KR20230081014A -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 - Google Patents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014A
KR20230081014A KR1020210168672A KR20210168672A KR20230081014A KR 20230081014 A KR20230081014 A KR 20230081014A KR 1020210168672 A KR1020210168672 A KR 1020210168672A KR 20210168672 A KR20210168672 A KR 20210168672A KR 20230081014 A KR20230081014 A KR 20230081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irculation device
device capable
pipe
water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경
박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아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아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168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1014A/ko
Publication of KR20230081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수지, 호수, 정화 및 하수처리장 등과 같이 유속이 느리거나 정체되어 있는 물에 발생하는 유막 및 슬러지의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출수관의 양측에 에어백을 형성하여 수면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높낮이 조절이 되며 컴프레서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물을 순환시키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설치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유막 및 녹조 등과 같은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분해하는 것이 가능한 물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Water circulation device capable of decomposing oil film and sludge}
본 발명은 저수지, 호수, 정화 및 하수처리장 등과 같이 유속이 느리거나 정체되어 있는 물에 발생하는 유막 및 슬러지의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출수관의 양측에 에어백을 형성하여 수면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높낮이 조절이 되며 컴프레서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물을 순환시키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설치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유막 및 녹조 등과 같은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분해하는 것이 가능한 물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늪이나 호수와 같은 소호(沼湖)나, 보 등에 의해 유속이 인위적으로 늦추어진 강의 경우, 물의 내부적 순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표층과 중간층과 심층에서의 수온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물의 밀도차에 의한 성층화 현상을 유발한다. 성층화란, 물의 층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 한다. 말하자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표층수, 온도가 낮은 저층수가 섞이지 않고 층을 이루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성층화가 진행되면, 수면으로부터 대략 1미터 수심의 영역은 높은 수온과 다량의 영양염류로 인해 녹조류 등의 조류가 급성장하게 되며, 중층 이하는 햇볕이 닿지 않아 수생 식물들이 광합성을 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산소 농도가 급격히 낮아지며 혐기화 된다.
이러한 혐기화에 따라 바닥면에 쌓여 있던 각종 오염물질이 용출되어 물의 오염이 가속화 되며, 가령, 수중생물들이 집단 폐사하고 수질의 급격한 악화로 인하여 악취가 발생함은 물론 생태계가 전체적으로 파괴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하천과 호수의 대부분이 중영양 또는 부영양 상태로서 녹조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고, 녹조피해는 여름철 고수온기에 만성적으로 겪는 고질적인 문제이다. 이로 인해 매년 막대한 예산과 노력이 투입되고 있으며, 상수원을 중심으로 국민에게 먹는 물에 대한 불신을 초래하는 사회적 문제로 확대되고 있은 실정이다.
이러한 녹조를 분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응집살포제인 황토를 뿌리거나, 미생물을 살포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녹조를 일시적으로 가라앉히는 것일 뿐 오히려 수중 생태계를 교란시킬 수 있다.
또한, 선박에 녹조 처리장치를 설치하여, 녹조를 흡입 및 여과 처리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으나, 이는, 유지관리 비용이 높아 장기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비용 측면에서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녹조가 발생하기 전에 물을 순환시켜 물의 성층화를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물이 활발하게 순환되면 표층에서의 녹조의 발생을 거의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종래에 개발된 물순환장치는, 수중펌프를 사용하여 하층수를 상부로 끌어 올리고, 상층수를 하부로 끌어 내리는 형태로 물을 순환시키고 있는데, 수중펌프 사용에 따라 에너지 소비가 크고 수중펌프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면서 고장률이 매우 높아 유지 관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어렵고, 물의 순환 영역이 좁고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물순환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25421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출수관의 양측에 에어백을 형성하여 수면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높낮이 조절이 되며 컴프레서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물을 순환시키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설치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유막 및 녹조 등과 같은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분해하는 것이 가능한 물순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는 수저관 및 수상캡을 포함하는 출수관; 수상캡의 양단에 형성되는 에어백; 상기 수저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필터망; 및 상기 수저관 하단부의 유입구 측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상캡이 상기 수저관의 상단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수저관의 상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상캡과 상기 수저관 사이에 상기 출수관 후방에 위치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방사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출수관;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에어백; 상기 다수개의 출수관의 수저관 하단부에 형성되는 필터망; 및 상기 다수개의 출수관의 수저관 하단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는 출수관과 출수관의 하단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 및 장치를 수중에 띄우기 위한 에어백으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설치 및 유지 관리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컴프레서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물을 순환시키는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별도로 수중펌프와 같은 구성이 필요 없어 고장률이 매우 낮아 유지 관리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출수관의 양측에 에어백을 형성하여 수면의 높이에 따라 물순환장치의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수관의 하단부에 필터망을 구비하여 순환되는 물에 포함된 녹조 등과 같은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출수관의 유출구에서 뿜어져 나온 유체가 상층수와 혼합되는 지점 뿐만 아니라 수상캡의 후방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수저관의 유출구를 통해 뿜어져 나오는 유체와 만나 혼합되는 지점에서도 유막이 분해될 수 있어 수면에 생기는 유막을 원활하게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수상캡의 후방공간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수저관의 유출구를 통해 뿜어져 나오는 유체와 만나면서 유막이 분해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유막 정체구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출수관의 후방부를 통해 물이 유입되지 못하는 경우 출수관의 후방에 위치하는 유체는 흐름이 정체될 수밖에 없어 유체의 표면에 형성된 유막이 분해되지 못하고 정체되는 구간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상캡의 후방공간을 통해 출수관의 후방에 위치하는 유체가 유입된 후 유막이 분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막의 정체구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원형의 지지대에 다수개의 출수관이 방사상으로 고정 설치된 물순환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물의 순환 영역을 대폭 증가시켜 유막 및 녹조 등과 같은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의 출수관을 통해 형성되는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의 저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의 출수관을 통해 형성되는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이하 '물순환장치'라 함)는 저수지, 호수, 정화 및 하수처리장 등과 같이 유속이 느리거나 정체되어 있는 곳(F)에 설치되어 유체(W)의 상층부 및 하층부를 서로 순환시켜 유막 및 녹조의 발생을 방지하고 이미 발생한 유막 및 녹조 등의 슬러지를 분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순환장치는 출수관(100), 에어백(200), 필터망(300) 및 컴프레서(4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출수관(100)은 수저관(110)과 수상캡(1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수저관(110)은 내부에 와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휘어진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체(W)의 하층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1)와 유입된 하층수를 유체(W)의 표면으로 배출하는 유출구(112)가 형성된다.
또한, 유입구(111)에는 컴프레서(400)를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공급관(410)이 연결되며, 이에 따라 컴프레서(400)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유입구(111) 주변의 하층수가 유입구(111)로 유입된 후 빠른 속도로 상승하여 유출구(112)를 통해 유체(W)의 표면으로 강하게 뿜어져 나와 상층수와 혼합된다.
부가적으로, 수저관(110)은 일단부에 형성된 유입구(111)와 타단부에 형성된 유출구(112)가 서로 80도 내지 120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입구(111)와 유출구(112)가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상캡(120)은 유체(W)의 표면에 위치되도록 유출구(112)가 형성된 수저관(110)의 상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수저관(110)에 고정 형성되되, 수저관(110)의 상단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수상캡(120)이 수저관(110)의 상단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수저관(110)의 상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수저관(110)의 상단부와 수상캡(120) 사이에는 공간(121, 12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상캡(120)의 후방공간(122)을 통해 출수관(100) 후방에 위치한 유체(W)가 유입되어 전방공간(121) 측으로 흐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순환장치는 수저관(110)의 유출구(112)에서 강하게 뿜어져 나온 유체(W)가 상층수와 혼합되는 제2지점(P2) 뿐만 아니라 수상캡(120)의 후방공간(122)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W)가 수저관(110)의 유출구(112)를 통해 뿜어져 나오는 유체(W)와 만나 혼합되는 제1지점(P1)에서도 유막(WM)이 분해될 수 있어, 유체(W)의 표면에 생기는 유막(WM)을 원활하게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수상캡(120)의 후방공간을 통해 유입된 유체(W)가 수저관(110)의 유출구(112)를 통해 뿜어져 나오는 유체(W)와 만나면서 유막(WM)이 분해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유막(WM)의 정체구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출수관(100)의 후방부를 통해 유체(W)가 유입되지 못하는 경우 출수관(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유체(W)는 흐름이 정체될 수밖에 없어 유체(W)의 표면에 형성된 유막(WM)이 분해되지 못하고 정체되는 구간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상캡(120)의 후방공간(122)을 통해 출수관(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유체(W)가 유입된 후 유막(WM)이 분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막(WM)의 정체구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수상캡(120)의 전방 및 후방부는 내부에 기포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상캡(120)에는 에어백(200)이 설치되기 위한 지지부(130)가 고정 형성되고, 에어백(200)은 지지부(130)에 고정됨으로써 수상캡(120)의 양단에 설치되며, 에어백(200)은 설치되는 곳(F)의 수면의 높이에 따라 물순환장치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필터망(300)은 컴프레서(400)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수저관(110)의 유입구(111) 쪽으로 순환되는 상층수에 포함된 녹조 등의 슬러지를 여과하기 위해 마련되며, 내부에 여과제를 충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는 이하 작동 과정에 대한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먼저, 물순환장치를 저수지, 호수, 정화 및 하수처리장 등과 같이 유속이 느리거나 정체되어 있는 곳(F)의 유체(W)에 설치하면, 수상캡(120)의 양단에 형성된 에어백(200)이 유체(W)의 표면에 뜨면서 자연스럽게 물순환장치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후, 컴프레서(400)가 작동하여 수저관(110)의 유입구(111) 측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압축공기가 수저관(110)의 유출구(112)를 향해 상승하는 힘에 의해 수저관(110)의 유입구(111) 주변의 하층수가 먼저 유입구(111)로 유입된 후 상승하여 유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며, 순차적으로 유체(W)의 상층수도 압축공기가 수저관(110)의 유입구(111)에서 유출구(112)를 향해 상승하는 힘에 의해 수저관(110)의 유입구(111) 쪽으로 하강하면서 필터망(300)을 거쳐 녹조 등의 슬러지가 여과된 후 유입구(111)로 유입되어 유출구(112)를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W)의 상층수와 하층수가 순환하게 된다.
이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저관(110)의 유출구(112)에서 강하게 뿜어져 나온 유체(W)는 상층수와 혼합되는 제2지점(P2)에서 유막(WM)이 분해되며, 수상캡(120)의 후방공간(122)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W)는 수저관(110)의 유출구(112)를 통해 뿜어져 나오는 유체(W)와 만나 혼합되는 제1지점(P1)에서 유막(WM)이 분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물순환장치는 유체(W)의 표면에 생기는 유막(WM)을 원활하게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상캡(120)의 후방공간을 통해 유입된 유체(W)가 수저관(110)의 유출구(112)를 통해 뿜어져 나오는 유체(W)와 만나면서 유막(WM)이 분해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유막(WM)의 정체구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수관(100)의 후방부를 통해 유체(W)가 유입되지 못하는 경우 출수관(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유체(W)는 흐름이 정체될 수밖에 없어 유체(W)의 표면에 형성된 유막(WM)이 분해되지 못하고 정체되는 구간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상캡(120)의 후방공간(122)을 통해 출수관(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유체(W)가 유입된 후 유막(WM)이 분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막(WM)의 정체구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는 컴프레서(400)를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유체(W)의 상층수와 하층수를 순환시킴으로써 빠른 순환이 가능하고, 순환 영역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어 유막, 녹조 등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함과 동시에 이미 발생한 유막 및 녹조 등의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출수관(100)과 출수관(100)의 하단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400) 및 물순환장치를 수중에 띄우기 위한 에어백(200)으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설치 및 유지 관리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의 저면사시도이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되,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는 원형의 지지대(131)에 다수개의 출수관(100)이 방사상으로 고정 설치되며, 중앙부에는 에어백(210)이 형성된다.
또한, 컴프레서(400)의 공급관(410)이 에어백(210)의 내측으로 연결된 후 분지되어 다수개의 출수관(100)의 수저관(110) 하부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출수관(100)을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함에 따라 물의 순환 영역을 대폭 증가시켜 유막 및 녹조 등과 같은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출수관(100)의 형태 및 작동 과정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출수관(100)의 하단부에는 필터망(300)이 설치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는 출수관과 출수관의 하단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 및 장치를 수중에 띄우기 위한 에어백으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설치 및 유지 관리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컴프레서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물을 순환시키는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별도로 수중펌프와 같은 구성이 필요 없어 고장률이 매우 낮아 유지 관리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출수관의 양측에 에어백을 형성하여 수면의 높이에 따라 물순환장치의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수관의 하단부에 필터망을 구비하여 순환되는 물에 포함된 녹조 등과 같은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출수관의 유출구에서 뿜어져 나온 유체가 상층수와 혼합되는 지점 뿐만 아니라 수상캡의 후방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수저관의 유출구를 통해 뿜어져 나오는 유체와 만나 혼합되는 지점에서도 유막이 분해될 수 있어, 수면에 생기는 유막을 원활하게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수상캡의 후방공간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수저관의 유출구를 통해 뿜어져 나오는 유체와 만나면서 유막이 분해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유막 정체구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출수관의 후방부를 통해 물이 유입되지 못하는 경우 출수관의 후방에 위치하는 유체는 흐름이 정체될 수밖에 없어 유체의 표면에 형성된 유막이 분해되지 못하고 정체되는 구간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상캡의 후방공간을 통해 출수관의 후방에 위치하는 유체가 유입된 후 유막이 분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막의 정체구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원형의 지지대에 다수개의 출수관이 방사상으로 고정 설치된 물순환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물의 순환 영역을 대폭 증가시켜 유막 및 녹조 등과 같은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출수관
110 : 수저관
111 : 유입구
112 : 유출구
120 : 수상캡
121 : 전방공간
122 : 후방공간
130 : 지지대
200 : 에어백
300 : 필터망
400 : 컴프레서
410 : 공급관
F : 물순환장치가 설치된 장소
W : 유체
WM : 유막
<다른 실시예>
131 : 지지대
210 : 에어백

Claims (3)

  1. 수저관 및 수상캡을 포함하는 출수관;
    수상캡의 양단에 형성되는 에어백;
    상기 수저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필터망; 및
    상기 수저관 하단부의 유입구 측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캡이 상기 수저관의 상단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수저관의 상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상캡과 상기 수저관 사이에 상기 출수관 후방에 위치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
  3. 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방사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출수관;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에어백;
    상기 다수개의 출수관의 수저관 하단부에 형성되는 필터망; 및
    상기 다수개의 출수관의 수저관 하단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
KR1020210168672A 2021-11-30 2021-11-30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 KR20230081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672A KR20230081014A (ko) 2021-11-30 2021-11-30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672A KR20230081014A (ko) 2021-11-30 2021-11-30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014A true KR20230081014A (ko) 2023-06-07

Family

ID=86760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672A KR20230081014A (ko) 2021-11-30 2021-11-30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10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7020A (en) System and method for diffusing gas bubbles into a body of water
RU2720096C1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разведения рыб
KR101128133B1 (ko) 지하수를 이용한 녹조방지 및 수질정화시스템
JP3925711B2 (ja) 水中への酸素供給装置
JP2010101149A (ja) 発電所排水路の泡発生防止用水路構造
CA3213619C (en) Method and systems for oxygenation of water bodies
JP4518235B2 (ja) 水質浄化システム
Burley et al. Flow distribution studies in fish rearing tanks. Part 2—Analysis of hydraulic performance of 1m square tanks
KR20230081014A (ko) 유막 및 슬러지 분해가 가능한 물순환장치
KR102578413B1 (ko) 호수 정화 시스템
CN111847763A (zh) 一种集成式净化生态浮岛
CN110182959A (zh) 一种河道断头面源污染控制系统
JP2023109012A (ja) 並列式循環瀘過養殖装置
JP5918544B2 (ja) 液膜式酸素供給装置
JP2008174966A (ja) 濁水対策フェンスを用いた成層安定化装置
JP3082853B2 (ja) 水質浄化装置
Vilberg et al. Supersaturation in hydropower installations
KR20110047923A (ko) 조류제거장치
Bunea et al. Water quality in hydroelectric sites
CN218146258U (zh) 一种水体生态处理系统
JP2012017557A (ja) 河川水を用いた無動力海水または湖沼浄化システム
CN221460059U (zh) 一种沉水型超微曝气微生物污水处理设备
KR102241582B1 (ko) 강 또는 댐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물순환장치
JP2002273471A (ja) 水質浄化装置及び水質浄化方法
KR20170109316A (ko) 인공수초섬과 저층수를 이용한 미생물 순환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