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948A - 고관절 재활 장치 - Google Patents

고관절 재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948A
KR20230080948A KR1020210168547A KR20210168547A KR20230080948A KR 20230080948 A KR20230080948 A KR 20230080948A KR 1020210168547 A KR1020210168547 A KR 1020210168547A KR 20210168547 A KR20210168547 A KR 20210168547A KR 20230080948 A KR20230080948 A KR 20230080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ing
housing
hip joint
uni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혁
Original Assignee
양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혁 filed Critical 양재혁
Priority to KR1020210168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948A/ko
Publication of KR20230080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9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2001/0207Nutating movement of a body part around its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1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rotati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5Cro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관절 재활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한 쌍의 발판부 및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발판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발판부를 좌우 이동 또는 스윙 동작하도록 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관절 재활 장치{HIP JOINT REHABILITATION DEVICE}
본 발명은 고관절 재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한 쌍의 발판부에 양 발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한 쌍의 발판부를 개별적으로 좌우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스윙 동작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고관절 재활을 실행할 수 있고 허리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고관절 재활로 인하여 휜 다리를 교정할 수 있는 고관절 재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관절 또는 고관절 재활훈련(운동)은 병원에서 재활치료사가 환자의 특정 하지를 치료사의 어깨에 올려서 상방향과 대각 상방향으로 들어올려 환자의 고관절 근육을 자극하는 방식을 반복하는 훈련을 말한다.
그런데, 이러한 치료는 병원이나 재활치료원 등을 찾아야 하는 시간적 또는 공간적 한계가 있었으며, 따라서 근래에는 고관절을 중심으로 하여 굴곡 또는 신전 운동을 행할 수 있게 이루어진 운동장치가 여럿 상용화되었으며, 연구 중에 있다.
특히, 최근에는 단지 고관절을 재활하는 정도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휜 다리를 교정하는 등의 미적인 요소까지 구현할 수 있는 운동재활장치가 개발 중에 있는데, 예를 들면 정형용 운동 장치가 그것이다.
예를 들면,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형용 운동 장치는, 가정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고관절 교정은 물론 휜 다리 교정을 하며, 이를 통해 허벅지 군살, 하체 비만 등을 바로잡기 위한 장치이다.
그런데, 종래의 정형용 운동 장치를 비롯한 재활 장치의 경우, 고정형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다시 말해 옮길 수는 있지만 어느 장소에 고정적으로 놓고 사용해야 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는 데 제약이 따를 수 있다.
아울러, 종래의 재활 장치에 있어서는, 들이는 노력에 비해서 지속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었고, 개개인에 맞는 재활 적용에 있어서도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휴대성을 가짐으로써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고관절 교정 및 그로 인한 휜 다리 교정 등에 있어서 지속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면서도 심미적인 기능을 가질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고관절 교정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 출원번호 10-2020-0058755호(발명의 명칭: 발끝치기 운동 기구)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한 쌍의 발판부에 양 발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한 쌍의 발판부를 개별적으로 좌우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스윙 동작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고관절 재활을 실행할 수 있고 허리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고관절 재활로 인하여 휜 다리를 교정할 수 있는 고관절 재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관절 재활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한 쌍의 발판부 및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발판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발판부를 좌우 이동 또는 스윙 동작하도록 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구동부가 내장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본체 및 상기 하우징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발판부와 상기 한 쌍의 구동부를 각각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홀을 구비하는 개방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본체에 결합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본체 내에서 상기 한 쌍의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좌우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홀은 상기 개방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발판부는 각각의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홀을 따라 개별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한 쌍의 발판부는 연결되는 각각의 상기 구동부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선형 이동되거나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호 이격되거나 접근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발판부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부분과, 상기 발판부의 이동을 통해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부분으로서의 BLDC(Brushless DC) 모터와, 상기 BLDC 모터에 장착되는 모터 감소부재 및 상기 발판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BLDC 모터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서 상기 발판부가 이동되는 상기 길이 조절 부분으로서의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에서 상기 발판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발판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발판부를 스윙 동작시키는 서보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보 구동부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보 브라켓과, 상기 서보 브라켓에 장착되는 서보 모터 및 상기 서보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발판부가 장착되는 발판 홀더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서보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발판 홀더부재의 스윙에 의해 상기 발판부가 스윙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한 상기 발판부의 개별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터리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충전용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의 전력공급원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상기 구동부 또는 상기 발판부에 유선으로 전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전력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재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자극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한 쌍의 발판부에 양 발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한 쌍의 발판부를 개별적으로 좌우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스윙 동작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고관절 재활을 실행할 수 있고 허리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고관절 재활로 인하여 휜 다리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휴대성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사용이 편리하며, 또한 심미성이 있는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사용 만족감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관절 재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로서 주요 구성을 부각시킨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발판부와 구동부의 구성을 부각시킨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고관절 재활 장치의 발판부의 좌우 이동의 여러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고관절 재활 장치의 발판부의 스윙 동작의 여러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관절 재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로서 주요 구성을 부각시킨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발판부와 구동부의 구성을 부각시킨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관절 재활 장치(100)는, 고관절 재활이 필요하거나 예를 들면 O자형의 휜 다리를 교정하고자 하는 환자에게 적용되는 것으로서,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외측에서 하우징(1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한 쌍의 발판부(150)와, 하우징(110) 내에 구비되며 한 쌍의 발판부(150)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의 발판부(150)를 좌우 이동 또는 스윙(swing) 동작하도록 하는 한 쌍의 구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사용자가 한 쌍의 발판부(150)에 양 발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구동부(130)의 구동에 의해 한 쌍의 발판부(150)를 개별적으로 좌우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스윙 동작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고관절 재활을 실행할 수 있고 허리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고관절 재활로 인하여 휜 다리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고관절 재활 장치(100)는 휴대성이 용이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형상 또한 심미성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사용 만족감을 줄 수도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하우징(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의 기본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실질적인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본체(111)와, 하우징본체(11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받침부로서의 베이스 플레이트(112)와, 하우징본체(111)의 앞 부분에 결합되는 전단 플레이트(114)와, 전단 플레이트(114)와 하우징본체(111) 사이에 결합되며 한 쌍의 발판부(15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개방 플레이트(11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하우징본체(111)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개략적으로 다 방향이 개방된 디귿(ㄷ) 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형상에 의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발판부(150)의 일부분 그리고 구동부(130)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베이스 플레이트(11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본체(111)에 결합되어 하우징(110)의 바닥 부분을 형성하며 그 상부에 각각의 발판부(150)가 결합된 한 쌍의 구동부(130)가 대칭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12)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 개의 홀(113)이 관통되어 내부 공간의 열 등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단 플레이트(114)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를 위한 제어 버튼 또는 다른 형식의 조절부재(115)가 장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조절하여 발판부(150)의 작동을 실행할 수 있고 또한 작동 패턴 또는 시간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개방 플레이트(117)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결홀(118)이 구비되며 연결홀(118)을 통해 발판부(150)가 구동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발판부(150)의 일부가 연결홀(118)을 지나 하우징본체(111) 내에 배치되며, 이 일부에 구동부(130)가 연결됨으로써 구동부(130)의 구동에 의해 발판부(150)가 좌우 이동 또는 스윙 동작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발판부(15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 구비되며, 각각의 발판부(150)는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발판부(150)는, 사용자의 발을 잘 감싸는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의 발의 안착 느낌을 좋게 하기 위해서 발판부(150) 내에는 쿠션 기능을 가지는 쿠션부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발판부(150)는, 전술한 개방 플레이트(117)의 연결홀(118)의 형성 방향을 따라 좌우 이동되거나 또는 제자리에서 스윙 동작할 수 있는데, 먼저, 발판부(150)의 좌우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부(13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구동부(1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 구비되며, 한 쌍의 발판부(150)에 각각, 즉 일대일(1대1)로 연결되는 연결 구조를 가진다. 그래서 구동부(130)의 구동에 의해 그에 연결된 발판부(150)는 개별 구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발판부(150)와 다른 하나의 발판부(150)는 따로 구동되어서 한 쌍의 발판부(150)는 같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또 서로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고, 또 서로 가까워지게 이동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속도로 이동 및 회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구동부(13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력을 직접 발생시키는 구동 부분과 이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을 받아서 발판부(15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발판부(15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30)에 포함되는 길이 조절 부분으로 인해서 한 쌍의 발판부(150)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다리를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 고관절 재활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구동부(130)는, 구동 부분으로서의 BLDC(Brushless DC) 모터(131)와, BLDC 모터(131)에 장착되는 모터 감소부재(133)와, 발판부(15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며 BLDC 모터(131)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서 발판부(150)가 이동되는 길이 조절 부분으로서의 가이드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부연하면, BLDC 모터(131)의 회전력이 모터 감소부재(133)의 선형 운동으로 변환되며, 이로 인해 발판부(150)는 가이드부재(135)를 따라 선형 이동될 수 있다. BLDC 모터(131)의 회전 속도에 따라 발판부(150)의 이동 정도를 정할 수 있고, BLDC 모터(131)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발판부(150)의 이동 방향을 정할 수 있다.
이처럼, 각각의 발판부(150)는 구동부(130)의 구동에 의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 및 속도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발판부(150)는 개방 플레이트(117)의 연결홀(118)을 따라서 좌우로 선형 이동하는 이동 구조를 가지면서도 각각의 자리에서 스윙 동작함으로써 고관절 재활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의 구동부(13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서보 구동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서보 구동부(140)는 전술한 가이드부재(135)와 발판부(150)를 연결하여 가이드부재(135)와의 연결 지점을 축으로 하여 발판부(150)가 스윙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서보 구동부(140)는, 가이드부재(13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보 브라켓(141)과, 서보 브라켓(141)에 장착되는 서보 모터(145)와, 서보 모터(145)에 연결되며 발판부(150)가 장착되는 발판 홀더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서보 모터(145)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발판 홀더부재(143)는 스윙 동작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판 홀더부재(143)에 장착된 발판부(150) 역시 스윙 동작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고관절 재활 장치는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재 또는 사용자 신체에 저주파와 같은 별도의 전기적 자극이나 물리적 자극 등의 각종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자극부재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해당 측정부재나 자극부재는 발판부(150)에 장착되거나, 전단 플레이트 등 장치와 직접적으로 또는 무선 방식으로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동부(130) 및 서보 구동부(140)에 의해 발판부(150)의 좌우 이동 또는 스윙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고관절 재활 장치의 발판부의 좌우 이동의 여러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를 보면, 한 쌍의 발판부(150: 150a, 150b)는 각각의 구동부(130)에 의해서 서로 가까워지게 이동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발을 한 쌍의 발판부(150a, 150b)에 안착시킬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한 쌍의 발판부(150a, 150b) 중 왼쪽의 발판부(150a)만을 개별 작동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5의 (c)를 통해 발판부(150) 중 오른쪽의 발판부(150b)만을 개별 작동시킬 수 있다. 이처럼 한 쌍의 발판부(150a, 150b)는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재활 패턴에 따라 적절한 장치(100) 구동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d)를 보면, 한 쌍의 발판부(150a, 150b)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양 발이 벌어지면서 그에 따른 고관절 재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한 쌍의 발판부(150a, 150b)는 각각의 구동부(130)로 인해 개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한 쌍의 발판부(150a, 150b)는 같은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고, 하나는 멈춰 있고 다른 하나만이 이동될 수 있으며,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발판부(150a, 150b)의 이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고관절 재활 장치의 발판부의 스윙 동작의 여러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발판부(150a, 150b)는 각각이 연결된 서보 구동부(140)에 의해서 개별 구동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왼쪽의 발판부(150a)는 시계 방향으로 스윙되고, 오른쪽의 발판부(150b)는 반시계 방향으로 스윙될 수 있다.
반대로, 도 6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왼쪽의 발판부(150a)는 반시계 방향으로 스윙되고 오른쪽의 발판부(150b)는 시계 방향으로 스윙될 수 있다.
다만, 도 5 및 도 6에서는 발판부(150a, 150b)의 좌우 이동과 스윙 동작이 별개의 것처럼 도시되었지만, 발판부(150a, 150b)의 좌우 방향으로의 선형 이동과 스윙 동작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d)의 도면을 참고하면, 한 쌍이 발판부(150a, 150b)가 멀어질 때, 이때 동시에 왼쪽의 발판부(150a)는 시계 방향으로 스윙되고, 오른쪽의 발판부(150b)는 반시계 방향으로 스윙되면서 발판부(150a, 150b)에 형성된 안착 부분의 중심이 사용자의 발과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발의 틀어짐 등으로 인해 발에 무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고관절 재활 장치(100)는, 일단은 하우징(1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의 전력공급원에 연결되어 하우징(110)에 장착된 구동부(130) 또는 서브 구동부(130), 발판부(150) 등에 유선으로 전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전력선(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110) 내에 배터리홈이 구비되고 이에 충전용 배터리가 장착되어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고관절 재활 장치(100)는, 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부(130)의 구동에 의한 발판부(150)의 개별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장치(100)의 각 구성은 하우징(110)에 설치된 버튼과 같은 각 조절부재(115)를 통해서 작동될 수 있으며,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서도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한 쌍의 발판부(150)에 양 발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구동부(130)의 구동에 의해 한 쌍의 발판부(150)를 개별적으로 좌우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스윙 동작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고관절 재활을 실행할 수 있고 허리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고관절 재활로 인하여 휜 다리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고관절 재활 장치(100)는 휴대성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사용이 편리하며, 또한 심미성이 있는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사용 만족감을 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고관절 재활 장치
110: 하우징
111: 하우징본체
112: 베이스 플레이트
114: 전단 플레이트
115: 조절부재
117: 개방 플레이트
118: 연결홀
130: 구동부
131: BLDC 모터
133: 모터 감소부재
135: 가이드부재
140: 서보 구동부
141: 서보 브라켓
143: 발판 홀더부재
145: 서보 모터
150: 발판부
170; 전력선

Claims (13)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한 쌍의 발판부; 및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발판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발판부를 좌우 이동 또는 스윙 동작하도록 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재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구동부가 내장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본체; 및
    상기 하우징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발판부와 상기 한 쌍의 구동부를 각각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홀을 구비하는 개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재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본체에 결합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본체 내에서 상기 한 쌍의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재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은 상기 개방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발판부는 각각의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홀을 따라 개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재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발판부는 연결되는 각각의 상기 구동부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선형 이동되거나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호 이격되거나 접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재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발판부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부분과, 상기 발판부의 이동을 통해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 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재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부분으로서의 BLDC(Brushless DC) 모터;
    상기 BLDC 모터에 장착되는 모터 감소부재; 및
    상기 발판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BLDC 모터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서 상기 발판부가 이동되는 상기 길이 조절 부분으로서의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재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에서 상기 발판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발판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발판부를 스윙 동작시키는 서보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재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구동부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보 브라켓;
    상기 서보 브라켓에 장착되는 서보 모터; 및
    상기 서보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발판부가 장착되는 발판 홀더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서보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발판 홀더부재의 스윙에 의해 상기 발판부가 스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재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한 상기 발판부의 개별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재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배터리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충전용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재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의 전력공급원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상기 구동부 또는 상기 발판부에 유선으로 전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전력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재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관절 재활장치는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재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자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재활 장치.
KR1020210168547A 2021-11-30 2021-11-30 고관절 재활 장치 KR20230080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547A KR20230080948A (ko) 2021-11-30 2021-11-30 고관절 재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547A KR20230080948A (ko) 2021-11-30 2021-11-30 고관절 재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948A true KR20230080948A (ko) 2023-06-07

Family

ID=86760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547A KR20230080948A (ko) 2021-11-30 2021-11-30 고관절 재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09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37501B (zh) 踝关节训练适配件及康复训练设备
JP3750868B2 (ja) 体力良好維持、リハビリテーションおよび治療のためのストレッチ療法器械
KR100902602B1 (ko) 요추관절 재활치료 운동기구
KR100245627B1 (ko) 운동용 보조의자를 이용한 운동장치
KR100929157B1 (ko) 로윙머신 운동 보조장치
US20150320630A1 (en) Apparatus for locomotion therapy
JP2008502413A (ja) 対麻痺患者や運動神経の障害者のための運動、リハビリ、移動装置
CN106137681B (zh) 智能下肢康复训练器
US7452308B2 (en) Cross-crawl chair
US8219191B1 (en) Recumbent stepping exercise device with stimulation and related methods
CN104800051A (zh) 一种多方位智能拉伸器
US20210369532A1 (en) Rehabilitation training equipment and a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KR200490735Y1 (ko) 사용자의 신체에 펄스 전자기장을 제공하는 펄스전자기장 발생기를 장착한 안마의자
CN112316378A (zh) 膝骨关节炎运动康复器械
JP7187197B2 (ja) マッサージ機
JP2012110459A (ja) 運動補助具、運動補助装置及び揺動型運動装置
JP4980462B1 (ja) 旋回運動補助具
KR101633906B1 (ko)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CN110353945A (zh) 一种多运动模式的下肢康复机器人
JP2003250895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US20070232460A1 (en) Exercise chai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9364445B (zh) 一种健美操形体矫正训练装置
KR20230080948A (ko) 고관절 재활 장치
CN112891863A (zh) 新型主被动平衡训练装置
KR102361857B1 (ko) 슬라이딩 전신운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