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754A - Belt-type high frequency lipolysis machine - Google Patents

Belt-type high frequency lipolysis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754A
KR20230080754A KR1020210168202A KR20210168202A KR20230080754A KR 20230080754 A KR20230080754 A KR 20230080754A KR 1020210168202 A KR1020210168202 A KR 1020210168202A KR 20210168202 A KR20210168202 A KR 20210168202A KR 20230080754 A KR20230080754 A KR 20230080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timulation
electrode pad
pad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2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유안
황재용
Original Assignee
(주)에스제이글로벌
황유안
황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제이글로벌, 황유안, 황재용 filed Critical (주)에스제이글로벌
Priority to KR1020210168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754A/en
Publication of KR20230080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75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61N1/0496Patch electrodes characterised by using specific chemical compositions, e.g. hydrogel compositions,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1Electromedical be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타입의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에 있어서, 벨트 밴드를 사용자의 복부에 위치되어, 고주파 및/또는 중주파의 자극을 출력하고 플렉서블한 하기의 전극 패드부가 마련되는 자극부; 상기 자극부의 중앙부에 수용되어 하기의 전극 패드부의 자극 파형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 및 상기 자극부의 제1 축상에 수용되어 제1 극성이 인가되는 자극 전극 패드와 상기 자극부의 제2 축상에 수용되어 제2 극성이 인가되는 접지 전극 패드로 구성되는 전극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축상은 사용자의 복부 정중면(median plane)이고, 상기 제2 축상은 사용자의 복부 수평면(transverse plane)이며, 상기 접지 전극 패드는 상기 제2 축상에서 사용자의 복부 중앙으로부터 이격된 복부 측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a belt-type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has a belt band positioned on the user's abdomen, and outputs high-frequency and/or mid-frequency stimulation and includes a stimulation unit provided with the following flexible electrode pad unit; a control board accommod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imulation unit to control stimulation waveforms of the following electrode pad unit; and an electrode pad portion composed of a stimulation electrode pad accommodated on a first shaft of the magnetic pole unit to which a first polarity is applied and a ground electrode pad accommodated on a second shaft of the magnetic pole unit to which a second polarity is applied, The first axis is a median plane of the user's abdomen, the second axis is a transverse plane of the user's abdomen, and the ground electrode pad is on the abdominal sid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user's abdomen on the second axi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located.

Description

플렉서블한 패드전극을 이용한 벨트 타입의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BELT-TYPE HIGH FREQUENCY LIPOLYSIS MACHINE}Belt-type high-frequency lipolysis machine using flexible pad electrode {BELT-TYPE HIGH FREQUENCY LIPOLYSIS MACHINE}

본 발명은 지방분해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플렉서블한 패드전극으로 구성되어 벨트 타입으로 제공되는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polysis device, and relates to a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composed of flexible pad electrodes and provided in a belt type.

연부조직인 지방에 기계적인 자극을 제공하여 유착현상을 제거하고 통증 완화와 구조의 회복 및 세포단위에서의 대사를 활성화시켜 지방세포의 감소를 가져오는 기법을 연부조직가동술(Soft tissue Mobilization Technique)이라 한다.Soft tissue mobilization technique is a technique that removes adhesions by providing mechanical stimulation to fat, which is a soft tissue, and reduces fat cells by relieving pain, restoring structures, and activating metabolism in the cell unit. do.

지방세포는 기계적인 자극을 받을 때, 신체의 칼로리 소모를 향상시켜 체중을 줄이기 쉽게 도와준다. 물리적 자극을 이용한 비만 치료는 세포 및 조직에 자극을 주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기 연구된 내용으로 지방 조직에 압축력, 인장력 등의 변화를 가할 때 지방세포 내에서 신호전달체계가 활성화되어 지방생성이 억제되는 것이 알려져있다. 같은 원리로 연부조직가동술과 유사하게 조직에 압축력과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 부항이나 부압자극의 경우에도 체지방률이 줄고 혈중 지질이 감소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When fat cells are mechanically stimulated, they enhance the body's calorie consumption and help to lose weight easily. Obesity treatment using physical stimulation is being studied as a method for stimulating cells and tissues. Based on previous studies, when changes such as compressive force and tensile force are applied to adipose tissue, the signal transduction system is activated in adipocytes, resulting in adipogenesis. It is known to inhibit In the case of cupping or negative pressure stimulation, which can apply compressive and tensile forces to tissues similar to soft tissue mobilization on the same principle, it is also being studied that the percentage of body fat and blood lipids are reduced.

지방조직은 에너지를 발생시켜 칼로리를 소모함으로써 지방이 연소된다. 이 과정에서 유용한 지방분해 관리 중 하나는 열을 이용한 방법으로, 고주파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심부열로 지방조직을 느슨하게 만드는 것이고, 이는 지방조직 내 산소공급을 쉽게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 고주파요법이란 주파수가 10,000Hz 이상의 교류 전류를 인체조직에 적용하여 온열효과를 이용하는 치료방법으로 심부투열치료(diathermy)라고 한다. 이 방식은 인체 내에 전기화학적 반응, 전기분해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직류, 전류를 이용한 기기의 단점을 해결하며, 맥동기간이 짧아 감각신경, 운동신경을 자극하지 않기 때문에 근 수축을 일으키지 않아 저주파, 초음파를 이용한 기기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Adipose tissue generates energy and burns fat by consuming calories. One of the useful lipolysis management in this process is a method using heat, which is to loosen adipose tissue with deep heat generated using high frequency, which facilitates oxygen supply in adipose tissue and promotes blood circulation. Radiofrequency therapy is a treatment method that uses a thermal effect by applying an alternating current with a frequency of 10,000 Hz or more to human tissue, and is called diathermy. This method solves the disadvantages of devices using direct current and current because no electrochemical reaction or electrolysis occurs in the human body, and because the pulsation period is short, it does not stimulate sensory nerves or motor nerves, so it does not cause muscle contraction, so low-frequency and ultrasonic waves Disadvantages of the equipment used can be addressed.

종래에 지방분해기 선행특허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470377호는 벨트 타입의 ‘고주파 마사지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의 선행특허는 벨트에 구비되는 전극과 손에 파지되는 전극봉 간의 통전에 의하여 고주파 전류를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고주파 전류가 상반신 전체를 통하여 흐르기 때문에 특정 부위만을 집중적으로 자극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Conventionally,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470377 as a prior patent for a lipolysis machine discloses a belt-type 'high frequency massage device'. The above prior patent discloses a technique of providing high-frequency current by conducting electricity between an electrode provided on a belt and an electrode rod held by a hand. However, this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intensively stimulate only a specific part because the high-frequency current flows through the entire upper body.

종래의 고주파 지방분해기기는 모노폴라 방식으로, 도자 또는 금속성의 단일 전극이 자극 단부가 되고, 다른 접지 전극은 환자가 손에 파지하거나 환자의 후면에 배치된다. 모노폴라 방식의 고주파 지방분해기기는 특정 부위에 집중적 자극이 힘들어 전력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A conventional high-frequency fat dissolving device is a monopolar type, in which a single electrode of a conductor or metal serves as a stimulation end, and the other ground electrode is held in the patient's hand or placed on the back of the patient. Monopolar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s have a problem in that power efficiency is low because it is difficult to intensively stimulate a specific area.

또한, 종래의 고주파 지방분해기기는 도자 또는 금속성의 전극 단부가 피부에 접촉되도록 제공되어, 전극 프로브가 불규칙한 피부의 곡면에 충분히 대응되지 못하여 부위 별 다른 형상의 전극으로 프로브가 교체되는 제품 형태로 구현되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is implemented in a product form in which a ceramic or metallic electrode end is provided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kin, and the probe is replaced with an electrode of a different shape for each part because the electrode probe does not sufficiently correspond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irregular skin. It became.

종래의 모노폴라 방식의 고주파 지방분해기기는 별도의 접지 전극을 파지하거나 특정 장소에 누워서 접지 플레이트인 대극판에 접촉된 상태로 수행되어야 함에 따라 가정에서 일반인이 사용하기 불편한 한계점이 있다.Conventional monopolar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s have limitations that are inconvenient for ordinary people to use at home as they must be operated while holding a separate ground electrode or lying in a specific place in contact with a counter plate, which is a ground plate.

이에 따라, 최근 일본의 H사는 핸드피스의 자극부 상에 (+)극과 (-)의 전극을 모두 구성한 바이폴라식 고주파 다이어트기를 개시하고 있다. 바이폴라식 고주파 자극기는 전극 간의 최단거리를 흘러가게 하여 별도의 접지수단인 대극판이 필요하지 않고, 셀룰라이트가 뭉쳐진 타겟된 영역에 포커싱하여 고주파 자극을 수행한다. 다만, 이러한 핸드피스 형태의 바이폴라 고주파 자극기는 자극 전극간 거리가 좁아 고주파가 피하지방층을 충분히 경유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Accordingly, recently, Japanese company H has disclosed a bipolar type high-frequency dieter configured with both (+) and (-) electrodes on the stimulation part of the handpiece. The bipolar high frequency stimulator conducts high frequency stimulation by focusing on the targeted area where cellulite is clumped, without requiring a counter electrode, which is a separate grounding means, by passing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electrodes. However, the bipolar high-frequency stimulator in the form of a handpiece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high frequency cannot sufficiently pass through the subcutaneous fat layer due to the narrow distance between the stimulation electrodes.

따라서, 복부 지방과 같이 대면적의 지방분해를 일반 가정에서 편하게 자극 분해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벨트 타입으로 바이폴라 전극을 구성시키는게 바람직할 것이다. 벨트 타입으로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를 구현할 경우, 바이폴라 전극의 배치가 복부 피하지방을 통과되도록 설계됨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며, 특히 종래의 금속 또는 도자 식의 전극이 대체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그 이유로는, 현재 고주파 자극기에 사용되고 있는 도자 타입 또는 금속 전극 타입은 자극 면적이 작아 고주파의 출력을 같은 자리에 지속하면 사용자가 화상을 입게 될 우려가 있다. 화상을 피하기 위하여, 시술자는 고주파 자극 전극을 사용자의 피부상에서 지속적으로 움직여주어야 하므로, 일반인이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극을 대면적으로 구성할 경우, 복수개의 전극이 수용되어야 하는데 벨트로 구현하려는 제품 타입 특성상 무게가 무거워져 보급형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생긴다.Therefore, in order to implement large-area lipolysis, such as abdominal fat, in a form that can be easily stimulated and decomposed at home, it would be desirable to configure a belt-type bipolar electrode. When a belt-type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is implemente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bipolar electrodes are designed to pass through the abdominal subcutaneous fat, and in particular, replacement of conventional metal or ceramic electrodes should be considere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conductor type or metal electrode type currently used in high frequency stimulators has a small stimulation area, so if the high frequency output is continued at the same place, there is a risk that the user may get burned. In order to avoid burns, the operator must continuously move the high-frequency stimulation electrode on the user's skin, making it difficult for ordinary people to safely use the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hen the electrode is configured in a large area, a plurality of electrodes must be accommodated, but due to the nature of the product type to be implemented as a belt, the weight becomes heavy, making it difficult to use the popular type.

정리하면, 벨트 타입의 고주파 지방분해기기는 일반인이 착용한 상태로 다른 활동이 가능하도록 편의적인 장점이 특징이다. 이러한 장점을 살리기 위해서는 1) 고주파가 특정 위치에 지속적으로 출력되므로 화상 문제가 해결될 수 있어야 하며, 2) 자극 전극과 접지 전극이 벨트상에 모두 구현되되 환자의 피부에 접촉이 보장되어야 하고, 3) 무게가 무겁지 않고 가볍게 설계되어야 하는 기술적 이슈가 있다. In summary, the belt-type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is characterized by the convenience of enabling other activities while worn by ordinary people.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se advantages, 1) high-frequency waves are continuously output to a specific location, so burn problems must be solved, 2) stimulation electrodes and ground electrodes must be implemented on a belt, but contact to the patient's skin must be ensured, 3 ) There is a technical issue that should be designed lightly and not heavy.

상기의 세가지 기술이슈를 고려하여, 벨트 타입의 고주파 지방분해기기의 사용 전극으로는 플렉서블한 패드형 전극이 고려될 수 있다. 다만, 현재 고주파용 플렉서블한 패드 전극은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본 출원인은 저주파 또는 중주파에 사용되는 전극 패드-하이드로 겔을 이용하여 고주파의 출력을 선행적으로 테스트해본 결과, 사용자에게 화상이 발생되거나 패드 부착 부위에서 스파크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Considering the above three technical issues, a flexible pad-type electrode can be considered as an electrode used in a belt-type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However, it is currently difficult to commercialize flexible pad electrodes for high frequencies. The present applicant has previously tested the output of high frequency using the electrode pad-hydrogel used for low or medium frequency, and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burns occur to the user or sparks occur at the pad attachment site.

하이드로 겔은 전도성이 있는 겔 형태의 점착성 물질로, 전기 전도성 접착제로 이해될 수 있으며, 다양한 화학 물질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실리콘, 2액형 에폭시, 1액형 에폭시, 폴리우레탄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하이드로 겔은 함유 필러, 유분, 수분 등의 물성에 따라 전기 전도도와 점착성, 겔 경화의 정도가 결정된다. Hydrogel is an adhesive material in the form of a conductive gel, which can be understood as an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 It is manufactured based on various chemicals and has various types such as silicone, two-component epoxy, one-component epoxy, and polyurethane. The degree of electrical conductivity, adhesiveness, and gel hardening of the hydroge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he filler contained, oil content, and moisture.

이상의 배경으로, 본 출원인은 고주파 지방분해기기의 벨트 타입 구현시, 플렉서블한 패드 타입의 전극으로 전극 표면적을 넓히고,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 가능하며, 같은 위치에 부착하여 고주파를 자극하여도 화상의 위험이 없도록, 전극 패드와 점착성 겔의 소재와 물성이 고주파 출력에 특화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고안하게 되었다.With the above background, the present applicant, when implementing a belt-type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expands th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with a flexible pad-type electrode and can be attached to the user's skin.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so that the materi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electrode pad and the adhesive gel can be specialized for high frequency output.

한국 등록특허 제10-147037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70377

본 발명은 고주파의 전극이 도자 또는 금속형이 아닌 플렉서블한 패드의 형태로 구성하여 인체의 굴곡면에 접촉이 용이하고, 벨트 형상으로 제공이 가능한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in which the high-frequency electrode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lexible pad rather than a ceramic or metal type, so that it can easily contact the curved surface of the human body and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elt.

본 발명은, 접지 전극이 벨트의 자극부 상에 통합 구성된 바이폴라식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polar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in which a ground electrode is integrally configured on a magnetic pole of a belt.

또한, 본 발명은 고주파와 중주파가 조합되어 지나친 심부열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고주파의 자극에도 전극이 파손되거나 스파크 또는 열화상의 기능장애가 발생되지 않는 전극 패드를 구성한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configured with electrode pads that minimize side effects due to excessive deep heat by combining high-frequency and medium-frequency waves, and that do not cause damage to electrodes or malfunction of sparks or thermal images even when stimulated by high frequenci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벨트 타입의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에 있어서, 벨트 밴드를 사용자의 복부에 위치되어, 고주파 및/또는 중주파의 자극을 출력하고 플렉서블한 하기의 전극 패드부가 마련되는 자극부; 상기 자극부의 중앙부에 수용되어 하기의 전극 패드부의 자극 파형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 및 상기 자극부의 제1 축상에 수용되어 제1 극성이 인가되는 자극 전극 패드와 상기 자극부의 제2 축상에 수용되어 제2 극성이 인가되는 접지 전극 패드로 구성되는 전극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축상은 사용자의 복부 정중면(median plane)이고, 상기 제2 축상은 사용자의 복부 수평면(transverse plane)이며, 상기 접지 전극 패드는 상기 제2 축상에서 사용자의 복부 중앙으로부터 이격된 복부 측면에 위치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a belt-type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the belt band is located on the user's abdomen, outputs high-frequency and / or medium-frequency stimulation, and the following flexible electrode pad portion is provided. Stimulation wealth; a control board accommod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imulation unit to control stimulation waveforms of the following electrode pad unit; and an electrode pad portion composed of a stimulation electrode pad accommodated on a first shaft of the magnetic pole unit to which a first polarity is applied and a ground electrode pad accommodated on a second shaft of the magnetic pole unit to which a second polarity is applied, The first axis is a median plane of the user's abdomen, the second axis is a transverse plane of the user's abdomen, and the ground electrode pad is on the abdominal sid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user's abdomen on the second axi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located.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기판은, 자극 파형으로 고주파 또는 중주파를 교번적으로 출력하되, 고주파를 소정의 시간동안 출력한 후, 중주파를 소정의 시간동안 출력하여 고주파가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연속적으로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Preferably, the control board alternately outputs a high frequency or a medium frequency as a stimulus waveform, but after outputting the high frequency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medium frequency is output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high frequency is not continuously output beyond a set time. Avoid.

바람직하게, 상기 자극 전극 패드와 상기 접지 전극 패드는, 상기 제어 기판으로부터 고주파 및/또는 중주파가 인가되는 카본 패드; 및 상기 카본 패드 하면에 코팅된 점착성의 전도성 겔;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timulation electrode pad and the ground electrode pad include a carbon pad to which a high frequency and/or a medium frequency are applied from the control board; and an adhesive conductive gel co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rbon pad.

바람직하게, 상기 카본 패드는, 카본과 금속 분말을 혼합한 도전성 폴리머 또는 실리콘, 게르마늄, 알루미늄, 티타늄 및 지르코늄 중 적어도 하나를 배합한 전도성 고무의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arbon pad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of conductive polymer in which carbon and metal powder are mixed or conductive rubber in which at least one of silicon, germanium, aluminum, titanium and zirconium is mixed.

바람직하게, 상기 전도성 겔은, 아크릴산 3-설포프로필 염 형태의 음이온을 포함한 단량체; 폴리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 가교제; 및 염화 칼륨을 포함한 전해질;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ductive gel comprises a monomer containing an anion in the form of a 3-sulfopropyl acrylic acid salt; crosslinking agents including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And an electrolyte including potassium chloride; may be composed of.

바람직하게, 상기 카본 패드는, 은/염화은(Ag+/Ag+Cl-) 파우더가 첨가된 전극일 수 있다.Preferably, the carbon pad may be an electrode to which silver/silver chloride (Ag + /Ag + Cl - ) powder is added.

바람직하게, 상기 전도성 겔은, 전도도의 범위가 5mS/cm 내지 10mS/cm 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ductive gel may have a conductivity ranging from 5 mS/cm to 10 mS/cm.

바람직하게, 상기 자극부는, 상기 전극 패드부가 마련되는 영역에 상기 제어 기판으로부터 고주파 및/또는 중주파가 인가되는 전달 수단으로 스냅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자극 전극 패드와 상기 접지 전극 패드는, 상기 스냅 버튼이 카본 패드에 부설되어 상기 카본 패드로 고주파 및/또는 중주파를 출력하고, 상기 스냅 버튼을 통해 상기 자극부에 탈착되어 교체 가능할 수 있다.Preferably, the magnetic pole part is provided with a snap button as a transmission means to which high frequency and/or medium frequency are applied from the control board in a region where the electrode pad part is provided, and the stimulation electrode pad and the ground electrode pad are provided with the snap button. It may be attached to the carbon pad to output high frequency and/or medium frequency to the carbon pad, and may be detachable and replaceable from the magnetic pole part through the snap button.

또한, 본 발명은, 벨트 타입의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에 있어서, 벨트 밴드를 사용자의 복부에 위치되어, 고주파 및/또는 중주파의 자극을 출력하고 플렉서블한 하기의 전극 패드부가 마련되는 자극부; 상기 자극부의 중앙부에 수용되어 하기의 전극 패드부의 자극 파형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 및 상기 자극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복부에 점착되는 하나 이상의 전극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패드는, 은/염화은(Ag+/Ag+Cl-) 파우더가 첨가된 카본 패드와, 전도도의 범위가 5mS/cm 내지 10mS/cm로 형성된 전도성 겔로 구성되어, 플렉서블한 패드형 전극으로 고주파의 심부열을 발생시키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elt-type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the belt band is located on the user's abdomen, outputs high-frequency and / or medium-frequency stimulation and is provided with a flexible electrode pad portion; a control board accommod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imulation unit to control stimulation waveforms of the following electrode pad unit; and one or more electrode pads provided in the stimulation unit and attached to the user's abdomen, wherein the electrode pads include a carbon pad to which silver/silver chloride (Ag + /Ag + Cl - ) powder is added, and a conductivity range It is composed of a conductive gel formed of 5 mS / cm to 10 mS / cm, and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high-frequency deep heat with a flexible pad-type electrode.

본 발명에 따르면, 자극부가 벨트 밴드를 통해 사용자의 복부에 착용되고, 자극부 상에 자극 전극과 접지 전극이 모두 구비되되, 자극 전극과 접지 전극의 배치가 복부 정면을 통해 측복부로 고주파가 통과하여 피하지방의 영역에 효과적으로 심부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mulation unit is worn on the user's abdomen through a belt band, and both the stimulation electrode and the ground electrode are provided on the stimulation unit, and the disposition of the stimulation electrode and the ground electrode is such that high frequency passes through the front of the abdomen to the side abdomen. Thus, deep heat can be effectively generated in the subcutaneous fat region.

특히, 본 발명은 전극 패드부가 금속 또는 도자 소재가 아닌 카본 패드의 도전성 고무로 제공되어 무게가 가볍고 사용자의 복부에 에둘러 착용시 플렉서블한 전극이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효과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pad part is provided with carbon pad conductive rubber instead of metal or ceramic material, so that the flexible electrode can effectively contact the user's skin surface when worn around the user's abdomen.

또한, 본 발명은 전극 패드의 구성으로 카본 소재에 은/염화은 파우더를 첨가하여 접촉 임피던스를 저감시켰으며, 카본 패드와 겔의 전도도가 피부의 전도도와 높은 일치도를 보이도록 설정하여, 고주파 출력 지점에 균일한 전기장이 구성됨에 따라, 겔 영역에 화상 및 스파크의 기능장애가 발생되지 않는 고주파 맞춤형 전도성 겔을 구성하였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contact impedance by adding silver/silver chloride powder to the carbon material in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de pad, and sets the conductivity of the carbon pad and gel to show high agreement with the conductivity of the skin, so that the high frequency output point As a uniform electric field was formed, a high-frequency customized conductive gel was constructed in which burns and malfunctions of sparks did not occur in the gel region.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복부에 지방분해 기기를 착용한 상태로 추가적인 활동이 가능하며, 고정된 영역의 고주파 자극에도 부작용의 위험이 없어 일반 가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perform additional activities while wearing the lipolysis device on the abdomen, and can be used at home because there is no risk of side effects even in high-frequency stimulation of a fixed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의 바이폴라 전극의 부착 단면과 바이폴라 전극의 전류통전방식(RET)이 작용된 심부열 발생 위치를 복부에 표현한 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부의 분해 단면을 나타낸다.
1 shows a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attachment cross section of the bipolar electrode of the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ocation of deep heat generation to which the RET of the bipolar electrode is applied to the abdomen.
3 shows an electrode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n exploded cross-section of a magnetic po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exemplary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members performing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naturally understood or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1)를 나타낸다.1 shows a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1)는 자극부(10), 벨트 밴드(30), 파워 서플라이(50), 제어 기판(70), 전극 패드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high frequency lipolysis device 1 may include a stimulation unit 10, a belt band 30, a power supply 50, a control board 70, and an electrode pad unit 21.

자극부(10)는 벨트 밴드(30)를 사용자의 복부에 위치되어, 고주파 및/또는 중주파의 자극을 출력하고 피부에 점착되는 전극 패드부(21)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로, 자극부(10)에는 제어 기판(70), 전극 패드부(21)가 마련되어 지방분해를 위한 고주파 자극이 수행될 영역에 위치한다. 도 1은 복부에 착용되는 실시예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극부(10)는 허벅지나 팔 등의 신체부위로 밴드를 통해 스트랩 고정될 수 있는 영역의 지방을 분해할 수 있다.The stimulation unit 10 is provided with an electrode pad unit 21 attached to the skin by placing the belt band 30 on the user's abdomen and outputting high-frequency and/or medium-frequency stimulation. In this embodiment, the stimulation unit 10 is provided with a control board 70 and an electrode pad unit 21 and is positioned in an area where high-frequency stimulation for lipolysis is to be performed. 1 illustrates an embodiment worn on the abdomen,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imulation unit 10 can decompose fat in a body part such as a thigh or an arm where a strap can be fixed through a band.

자극부(10)는 중앙에는 제어 기판(70)이 배치될 수 있다. 제어 기판(70)은 벨트 밴드(30)에 고정될 수 있는 파워 서플라이(50)에 통합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본 실시예로, 자극부(10)는 외부로 고주파 출력 등의 표시 출력을 위한 LED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고, LED 등의 표시 수단은 제어 기판(70)에 부설되어 자극부(1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A control board 70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magnetic pole unit 10 . The control board 70 may be integrated into the power supply 50 that can be fixed to the belt band 30.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magnetic pole unit 1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LED means for displaying output such as a high frequency output to the outside, and the display means such as an LED is attached to the control board 70 so that the magnetic pole unit 10 )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자극부(10)는 중앙을 기준으로 상하좌우에 전극 패드(210, 213)가 수용되는 패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자극부(10)는 전극 패드부(21)가 마련되는 영역에 제어 기판(70)으로부터 고주파 및/또는 중주파가 인가되는 전달 수단으로 스냅 버튼(215(b))이 구비될 수 있다. 스냅 버튼(215(b))은 패드 홈 상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전극 패드부(21)는 스냅 버튼(215(b))을 전력 전달 수단으로 하며, 스냅 버튼(215(b))에 탈착되어 소모 교체될 수 있다.Pad grooves in which the electrode pads 210 and 213 are accommodat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gnetic pole 10 based on the center. The stimulation unit 10 may include a snap button 215 (b) as a transmission means to which high frequency and/or medium frequency are applied from the control board 70 to an area where the electrode pad unit 21 is provided. The snap button 215 (b) may be fixedly disposed on the pad groove. The electrode pad part 21 uses the snap button 215 (b) as a power transmission means, and can be detached from the snap button 215 (b) and consumed and replaced.

벨트 밴드(30)는 자극부(10)의 양 단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고주파 지방 분해가 요구되는 신체 부위를 감아 자극부(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50)는 벨트 밴드(30)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벨트 밴드(30)가 아닌 외부의 기기로 제공되어도 무방하다.The belt band 30 is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stimulation unit 10 and can fix the stimulation unit 10 by wrapping around a user's body part requiring high-frequency lipolysis. The power supply 50 may be provided on the belt band 30, and may be provided as an external device other than the belt band 30.

제어 기판(70)은 자극부(10)의 중앙부에 수용되어 전극 패드부(21)의 자극 파형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기판(70)은 자극 파형으로 고주파 또는 중주파를 교번적으로 출력하되, 고주파를 소정의 시간동안 출력한 후, 중주파를 소정의 시간동안 출력하여 고주파가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연속적으로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board 70 is accommodated in the center of the stimulation unit 10 to control the stimulation waveform of the electrode pad unit 21 . The control board 70 alternately outputs a high frequency or a medium frequency as a stimulus waveform, outputs the high frequency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outputs the medium frequency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high frequency is not continuously output beyond a set time. can

본 실시예로, 제어 기판(70)은 고주파를 5분 내지 10분의 제1구간 동안 출력한 후, 다시 5분 내지 10분의 제2구간 동안 중주파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 기판(70)은 고주파와 중주파를 교번하여 출력하지만, 이는 소정의 출력이 지속된 구간(제1구간, 제2구간)으로 상호 교번하여 출력 제어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어 기판(70)은 이와 같은 출력 제어로, 고주파의 출력이 20분을 초과하여 연속적으로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한 전극 패드(210, 213)가 고주파 출력에 적합하게 설계되었을지라도, 고주파로 인한 심부열이 오랜시간 지속되면, 전극에 의한 표피 화상이 아닌 체내 화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제어 기판(70)은 고주파의 출력 뒤, 심부열을 다소 진정시키는 구간을 중주파의 출력으로 대체하며, 중주파의 출력으로 복부에는 기계적인 마사지 효과로 지방 분해 효율을 유지하면서 심부열에 의한 화상이 방지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board 70 may output high frequency for a first period of 5 to 10 minutes and then output medium frequency for a second period of 5 to 10 minutes. The control board 70 alternately outputs the high frequency and the medium frequency, but this can be understood as controlling the output by alternating with each other in a section (first section, second section) in which a predetermined output is continued. The control board 70 can prevent the high frequency output from being output continuously for more than 20 minutes by such output control. This is because, even if the flexible electrode pads 210 and 21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designed to be suitable for high frequency output, if deep heat due to high frequency continues for a long time, there is a risk of internal burns rather than epidermal burns caused by the electrodes. because there is After the output of the high frequency, the control board 70 substitutes the output of the medium frequency for the section that calms the deep heat to some extent, and the output of the medium frequency maintains the lipolysis efficiency with a mechanical massage effect on the abdomen and prevents burns caused by the deep heat. can

전극 패드부(21)는 플렉서블하고, 자극부(10)의 제1 축상에 수용되어 제1 극성이 인가되는 자극 전극 패드(210)와 자극부(10)의 제2 축상에 수용되어 제2 극성이 인가되는 접지 전극 패드(213)로 구성될 수 있다.The electrode pad unit 21 is flexible, and accommodates the stimulation electrode pad 210 to which the first polarity is applied by being accommodated on the first axis of the magnetic pole unit 10 and the second axis of the magnetic pole unit 10 to which the second polarity is applied. It may be composed of the ground electrode pad 213 to which this is applied.

본 실시예로, 제1 축상은 사용자의 복부 정중면(median plane)이고, 제2 축상은 사용자의 복부 수평면(transverse plane)이며, 접지 전극 패드(213)는 제2 축상에서 사용자의 복부 중앙으로부터 이격된 복부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xis is the median plane of the user's abdomen, the second axis is the user's abdominal transverse plane, and the ground electrode pad 213 is positioned from the center of the user's abdomen on the second axis. It may be located on the ventral side spaced apart.

도 1을 참조하면, 자극 전극 패드(210)와 접지 전극 패드(213)가 한 쌍으로 자극 영역 A1과 자극 영역 A2를 형성한다. 자극 전극 패드(210(a))는 접지 전극 패드 (210(b))와 한 쌍의 전극을 형성하여 저항성 전류 통전이 발생된다. 자극 전극 패드(210(a))는 제1 축상으로 사용자의 복부 정중면에서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접지 전극 패드(210(b))는 제2 축상으로 복부 수평면에서 자극 전극 패드(210(a))의 우측 또는 좌측의 측복부 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드부(21)는 바이 폴라 타입으로, 저항성 전류 통전이 복부 내측 피하지방층을 효과적으로 통과하여 심부열의 자극 위치가 지방 분해에 유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stimulation electrode pad 210 and a ground electrode pad 213 form a stimulation area A1 and a stimulation area A2 as a pair. The stimulation electrode pad 210 (a) forms a pair of electrodes with the ground electrode pad 210 (b), so that resistive current conduction occurs. The stimulation electrode pad 210 (a) is preferably disposed above or below the median plane of the user's abdomen on the first axis. The ground electrode pad 210 (b)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right side or left side of the stimulating electrode pad 210 (a) in the abdominal horizontal plane on the second axis. Accordingly, the electrode pad part 2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of a bipolar type, and conduction of resistive current can effectively pass through the subcutaneous fat layer inside the abdomen, so that the stimulation position of deep heat can be formed to be advantageous for lipolysi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의 바이폴라 전극의 부착 단면과 바이폴라 전극의 전류통전방식(RET)이 작용된 심부열 발생 위치를 복부에 표현한 모습이다. 2 is a view showing the attachment cross section of the bipolar electrode of the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ocation of deep heat generation to which the RET of the bipolar electrode is applied to the abdomen.

도 2는 바이폴라 타입으로 한 쌍의 전극이 형성한 A1의 자극 영역을 예시한다. 피하지방은 피부 아래쪽에 위치한 지방층이고, 피하지방 보다 깊은 위치에 내장지방이 존재한다. 피하지방은 체표 바로 밑에 발달한 지방층으로, 표피와 3mm 내지 5mm의 두께로 형성된 진피층 밑으로 형성된다.2 illustrates a stimulation area of A1 formed by a pair of electrodes in a bipolar type. Subcutaneous fat is a layer of fat located under the skin, and visceral fat exists deeper than subcutaneous fat. Subcutaneous fat is a fat layer developed just below the body surface, and is formed below the epidermis and the dermis layer formed with a thickness of 3 to 5 mm.

본 실시예에 따른 자극 전극(210, 213)은 30kHz 내지 500kHz의 주파수에서 RET 통전의 침투깊이가 0.5cm 내지 10cm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극 전극(210, 213)은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자극 전극(210, 213)은 원형의 패드일 경우 최소 8cm 이상의 직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직사각형의 패드일 경우, 대각선의 길이가 최소 10cm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stimulation electrodes 210 and 213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have a RET conduction depth of 0.5 cm to 10 cm at a frequency of 30 kHz to 500 kHz. Stimulation electrodes 210 and 213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composed of circular or rectangular pads. In this embodiment, the stimulation electrodes 210 and 213 preferably have a diameter of at least 8 cm or more in the case of a circular pad, and preferably have a diagonal length of at least 10 cm or more in the case of a rectangular pad.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드(210, 213)는 자극 전극 패드(210)와 접지 전극 패드(213)를 총칭한다. The electrode pads 210 and 21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llectively refer to the stimulation electrode pad 210 and the ground electrode pad 213.

실험례1. 전극 직경 및 침투 깊이에 따른 온도 변화Example 1. Temperature Variation with Electrode Diameter and Penetration Depth

RET 통전의 경우, 전극의 직경에 따라 침투깊이와 발열이 강하게 형성된다. 본 실험례로, 돼지고기(두께 15cm)에 주파수 500kHz의 고주파를 5분간 출력하여 침투깊이에 따른 온도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당시의 온도는 20℃였으며, 2분의 고주파 자극 후 침투 깊이의 위치에서 측정된 온도로 변화온도를 상정하였다. 본 실험은 별도의 전도성 겔을 포함하지 않은 전극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는 침투깊이를 확인하여 화상을 피할 수 있는 패드형 전극의 크기를 설계하기 위함이다.In the case of RET conduction, penetration depth and heat generation are strongly formed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electrode. As an experimental example, a high frequency of 500 kHz was output for 5 minutes to pork (thickness of 15 cm), and the temperature change according to the penetration depth was investigated.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the experiment was 20 ℃, and the change temperature was assumed as the temperature measured at the location of the penetration depth after 2 minutes of high-frequency stimulation.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an electrode that did not contain a separate conductive gel, and this was to design the size of a pad-type electrode that could avoid burns by checking the penetration depth.

전극 직경electrode diameter 침투깊이penetration depth 초기온도initial temperature 변화온도change temperature 온도상승폭temperature rise 30mm30mm 0.5cm0.5cm 20℃20℃ 32℃32℃ 1212 30mm30mm 3cm3 cm 20℃20℃ 28℃28℃ 88 80mm80mm 0.5cm0.5cm 20℃20℃ 22℃22℃ 22 80mm80mm 3cm3 cm 20℃20℃ 24℃24℃ 44 80mm80mm 10cm10 cm 20℃20℃ 34℃34℃ 1414 100mm100mm 3cm3 cm 20℃20℃ 22℃22℃ 22 100mm100mm 10cm10 cm 20℃20℃ 29℃29℃ 99

현재, 일반적인 고주파 전극의 도자 직경인 30mm에서는 3cm의 침투깊이에서 약 8℃의 온도 상승폭을 나타냈다. 전극의 직경이 80mm인 경우, 3cm의 침투깊이에서 약 4℃의 온도 상승폭을 나타냈으며, 10cm의 침투깊이에서는 14℃의 온도 상승폭을 나타냈다. 전극의 직경이 100mm인 경우, 3cm의 침투깊이에서는 2℃의 온도 상승폭을 나타냈으며, 10cm의 침투깊이에서 9℃의 온도 상승폭을 나타냈다. Currently, at a conductor diameter of 30 mm, which is a general high-frequency electrode, a temperature rise of about 8 ° C was shown at a penetration depth of 3 cm. When the diameter of the electrode is 80mm, the temperature rise of about 4℃ was shown at the penetration depth of 3cm, and the temperature rise of 14℃ was shown at the penetration depth of 10cm. When the diameter of the electrode is 100 mm, a temperature rise of 2 °C was shown at a penetration depth of 3 cm, and a temperature rise of 9 °C at a penetration depth of 10 cm.

실험결과, 침투깊이와 온도 상승의 관계는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침투깊이와 상관없이 온도는 상승하였고, 전극 직경이 작을수록 온도상승폭과 침투깊이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극 직경이 작을수록 고주파가 실물에서 받는 임피던스 값이 큰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netration depth and the temperature increase was small, and the temperature increased regardless of the penetration depth, and the smaller the electrode diameter, the larger the temperature increase and the penetration depth.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maller the diameter of the electrode, the larger the impedance value received by high frequencies in real life.

본 실험례의 결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자극 전극(210, 213)은 원형의 패드일 경우 최소 8cm 이상의 직경으로 형성하고, 직사각형의 패드일 경우, 대각선의 길이가 최소 10cm 이상으로 형성하며, 최대직경 및 최대길이는 전도성 겔의 효과적인 표면저항 저감 정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최소 8cm이상의 전극 직경이 형성될 경우, 30℃ 이상의 온도 상승이 발생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 경우 고주파의 연속적인 출력 구간이 5분을 넘지 않도록 설정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자극 전극(210, 213)은 직사각형의 패드로, 대각선 길이가 최소 10c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10cm의 침투깊이에도 30℃가 넘어가는 온도상승이 발생되지 않아 5분 이상의 연속적인 고주파 출력이 가능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al example, the stimulation electrodes 210 and 213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re formed with a diameter of at least 8 cm or more in the case of a circular pad, and a diagonal length of at least 10 cm or more in the case of a rectangular pad, The maximum diameter and maximum length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effective surface resistance reduction of the conductive gel. When an electrode diameter of at least 8 cm or more is formed, a temperature rise of 30 ° C or more may occur. Therefore, in this case, the continuous output period of high frequency is set not to exceed 5 minutes. More preferably, the stimulating electrodes 210 and 213 are rectangular pads and may be formed with a diagonal length of at least 10 cm. In this case, a temperature rise exceeding 30 ° C. does not occur even at a penetration depth of 10 cm, so that 5 minutes More than one continuous high-frequency output may be possibl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드(210, 213)를 나타낸다. 3 shows electrode pads 210 and 2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전극 패드(210, 213)는 스냅 버튼(215), 카본 패드(217) 및 전도성 겔(219)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electrode pads 210 and 213 may include a snap button 215 , a carbon pad 217 and a conductive gel 219 .

카본 패드(217)는 제어 기판(70)으로부터 고주파 및/또는 중주파가 인가된다. 카본 패드(217)는 카본과 금속 분말을 혼합한 도전성 폴리머 또는 실리콘, 게르마늄, 알루미늄, 티타늄 및 지르코늄 중 적어도 하나를 배합한 전도성 고무의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The carbon pad 217 is applied with high frequency and/or medium frequency from the control board 70 . The carbon pad 217 may be made of a conductive polymer containing carbon and metal powder or a conductive rubber containing at least one of silicon, germanium, aluminum, titanium, and zirconium.

카본 패드(217)는 은/염화은(Ag+/Ag+Cl-) 파우더가 첨가된 전극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은/염화은(Ag+/Ag+Cl-) 파우더가 첨가된 카본 패드(217)는 고주파 전극으로 사용될 경우, 전극-피부 접촉 임피던스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은/염화은(Ag+/Ag+Cl-) 파우더가 첨가된 카본 패드(217)는 우수한 전도성으로 인해 높은 정밀도와 은 특성으로 인한 전기적 노이즈가 저감되어 안정된 분극전위를 갖는다.The carbon pad 217 is preferably provided as an electrode to which silver/silver chloride (Ag + /Ag + Cl - ) powder is added. When the carbon pad 217 to which silver/silver chloride (Ag + /Ag + Cl - ) powder is added is used as a high-frequency electrode, electrode-skin contact impedance can be effectively lowered. In addition, the carbon pad 217 to which silver/silver chloride (Ag + /Ag + Cl ) powder is added has high precision due to excellent conductivity and reduced electrical noise due to silver characteristics, and thus has a stable polarization potential.

스냅 버튼(215(a))은 카본 패드(217)에 부설되어 카본 패드(217)로 고주파 및/또는 중주파를 출력한다. 전극 패드(210, 213)는 스냅 버튼(215)을 통해 자극부(10)에 탈착되어 교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The snap button 215 (a) is attached to the carbon pad 217 and outputs high frequency and/or medium frequency to the carbon pad 217. The electrode pads 210 and 213 are detachable from the magnetic pole 10 through the snap button 215 and are provided to be replaced.

전도성 겔(219)은 카본 패드(217) 하면에 코팅된다. The conductive gel 219 is co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rbon pad 217 .

전도성 겔(219)은 비영구적 접착 특성 및 높은 수분 함량을 가지며, 이온전도성 물질로 처리되어 전도성을 개선시키는 능력이 있어 피부에 전극을 부착시키는데 이용된다. 고성능의 전도성 겔(219)은 전도력 뿐만 아니라, 환자 몸의 흔들림과 미세한 떨림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노이즈를 감소하고자 소정의 점착력이 있어야 하며, 피부의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아야 하고, 건습 피부나 여드름 등의 저항 임피던스를 균일하게 저감시켜야 한다.The conductive gel 219 has non-permanent adhesive properties and a high water content, and is treated with an ion conductive material to improve conductivity, so it is used for attaching electrodes to the skin. The high-performance conductive gel 219 must have a certain adhesiveness to reduce not only conductivity but also noise that can be generated by shaking and fine shaking of the patient's body, and must not cause side effects on the skin, such as dry and wet skin, acne, etc. The resistance impedance of should be uniformly reduced.

전도성 겔(219)은 아크릴산 3-설포프로필 염 형태의 음이온을 포함한 단량체; 폴리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 가교제; 및 염화 칼륨을 포함한 전해질;로 구성된 고주파용 하이드로 겔로 제공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gel 219 may include a monomer including an anion in the form of a 3-sulfopropyl acrylic acid salt; crosslinking agents including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And an electrolyte including potassium chloride; it can be provided as a hydrogel for high frequency composed of.

아크릴산 3-설포프로필 염은 하이드로겔의 구조를 형성하는 주쇄가 될 수 있다. 아크릴산 3-설포프로필 염의 함량은 20 중량% 내지 30 중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크릴산 3-설포프로필 염의 함량 중량이 20 중량% 미만일 경우 습윤제의 함량이 증가되어 하이드로겔이 무르게 될 수 있고, 30 중량% 이상일 경우 부산물인 염화칼륨이 석출될 우려가 있다. Acrylic acid 3-sulfopropyl salt can be a main chain forming the structure of the hydrogel. The content of 3-sulfopropyl acrylic acid salt may be formed to 20% by weight to 30% by weight. If the content of the 3-sulfopropyl acrylic acid salt is less than 20%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wetting agent may increase and the hydrogel may become brittle, and if it is more than 30% by weight, potassium chloride, a by-product, may be precipitated.

폴리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 가교제는 3차원적 그물 구조형성을 위한 중합체로, 겔화의 진행을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로 가교제의 함량은 0.05 중량% 내지 0.1 중량%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전해질은 전도성 겔(219)의 전기적 저항을 감소시키고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 crosslinking agent including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is a polymer for forming a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and is a component for gelation. In this embodiment,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formed in the range of 0.05% by weight to 0.1% by weight. The electrolyte may reduce electrical resistance and improve conductivity of the conductive gel 219 .

전도성 겔(219)은 전도도의 범위가 5mS/cm 내지 10mS/cm로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전도성 겔(219)의 전술한 전도도의 측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실험 환경으로 6mm의 전극 길이와 전극의 두께가 1mm, 전극간 거리를 4mm로 세팅하였다.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전도성 겔은 2mm의 높이를 갖는다. 인가한 전압 범위는 550~600V로 형성하였다. The conductive gel 219 is preferably designed to have a conductivity ranging from 5 mS/cm to 10 mS/cm. In this embodiment, the measurement criteria for the above-described conductivity of the conductive gel 219 are as follows. As an experimental environment, an electrode length of 6 mm, an electrode thickness of 1 mm, and a distance between electrodes were set to 4 mm. The conductive gel placed between the electrodes has a height of 2 mm. The applied voltage range was formed at 550 to 600V.

전도성 겔(219)은 적용되는 전극에 따라 전도도가 상이하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ECG인 재세동을 위한 전도성 겔은 본 실험환경에서 전도성이 10mS/cm보다 큰 높은 전도도를 갖는다. 반면 초음파 검사를 위한 전도성 겔은 전기 전도도가 높지 않으며 본 실험환경에서 전도율이 5mS/cm보다 낮은 수준이다. The conductivity of the conductive gel 219 is set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applied electrode. For example, the conductive gel for re-defibrillation, which is ECG, has high conductivity greater than 10 mS/cm in this experimental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the conductive gel for ultrasound examination does not have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 conductivity is lower than 5 mS/cm in this experimental environment.

실험례2. 고주파용 전도성 겔의 전도도 설정Example 2. Conductivity setting of conductive gel for high frequency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드(210, 213)에 적합한 고주파용 겔을 선정하기 위해 사용한 상업용 겔의 목록과 전도성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A list of commercial gels used to select a gel for high frequency suitable for the electrode pads 210 and 21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a range of conductivity are as follows.

모델Model 공급사supplier 전도도(mS/cm)Conductivity (mS/cm) 이상반응adverse reaction UltraBio SterileUltraBio Sterile SonotechSonotech 0.0020.002 겔 손상gel damage Signal GelSignal Gel Parker labParker lab 4343 화상burn Eko-GelEko-Gel Ca.MI,NACa.MI,NA 1.71.7 스파크spark Redux GelRedux Gel Parker labParker lab 4040 화상burn

ECG 또는 초음파에 사용되는 상업용 전도성 겔의 4종으로 주파수 500kHz의 고주파를 5분간 돼지고기에 조사하였으며, 돼지고기 표면에서의 이상반응을 측정하였다. 4종의 겔 중에는 스펙상 고주파의 사용이 가능한 것도 존재하였으나, 실험시 모두 이상반응이 관찰되었다. Four types of commercial conductive gels used for ECG or ultrasound were irradiated with high frequency of 500 kHz to pork for 5 minutes, and adverse reactions on the surface of pork were measured. Among the four types of gels, there were also those that could use high frequency in terms of specifications, but abnormal reactions were observed in all of them during the experiment.

그 밖에 상업용 겔의 다양한 전도도 범위로 실험을 수행하고자 하였으나, ECG 젤 제조업체의 대부분은 젤의 전기 전도도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았으며, 초음파용 젤 또한 전도도 관련 공개된 데이터나 문헌이 존재하지 않았다. 이에, 현재 상업용 젤의 전기 전도도 범위로는 고주파 자극 패드로의 전용이 어려운 것을 확인하였다.In addition, experiments were attempted with various conductivity ranges of commercial gels, but most of the ECG gel manufacturers did not provide data o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gels, and there were no published data or literature related to the conductivity of ultrasound gels.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it is difficult to transfer the gel to a high-frequency stimulation pad i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range of the current commercial gel.

모델Model 전도도(mS/cm)Conductivity (mS/cm) 이상반응adverse reaction 폴리우레탄 접착제polyurethane adhesive 4.34.3 젤 손상gel damage 77 이상없음clear 13.413.4 젤 손상gel damage 25.925.9 젤 손상gel damage

추가적인 실험으로 전기 전도성 접착제 중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구매하여 은의 충진량을 모두 다르게 설정하였다. 은의 충진량에 따라 접착제의 전도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그 중 4mS/cm 내지 25.9mS/cm 범위의 전도도를 나타낸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대상으로 주파수 500kHz의 고주파를 5분간 출력하였다. 실험결과, 공통적으로 돼지고기가 타게 되는 과격한 화상은 표면에 나타나지 않았으나, 젤이 딱딱하게 경화되어 점착력이 떨어지거나, 부분적으로 파손되는 손상이 발생되었다. 그 중,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전도도 범위로 7mS/cm의 경우 외관상 크게 젤이 손상되지 않아 고주파 전극의 전도성 겔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an additional experiment, polyurethane adhesive was purchased among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s and the filling amount of silver was set differently. The conductivity of the adhesive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amount of silver filling, and among them, a high frequency of 500 kHz was output for 5 minutes for the polyurethane adhesive showing conductivity in the range of 4 mS/cm to 25.9 mS/cm.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severe burns, commonly caused by burning pork, did not appear on the surface, but the gel was hardened and the adhesive strength decreased or damage was caused by partial breakage. Among them, in the case of 7 mS/cm as the conductivity range of the polyurethane adhesive, the gel was not significantly damaged in appearance, confirming the applicability of the conductive gel to the high-frequency electrode.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겔(219)은 전도도의 범위가 5mS/cm 내지 10mS/cm로 설정되며, 이를 위한 전도성 필러의 종류 및 함량은 제한하지 않는다.The conductive gel 219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conductivity range of 5 mS/cm to 10 mS/cm, and the type and content of the conductive filler for this purpose are not limit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부(10)의 분해 단면을 나타낸다.4 shows an exploded cross-section of the magnetic pole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자극부(10)는 패드를 수용하기 위한 패드 홈이 상하좌우의 4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드 홈에는 스냅 버튼(215(b))이 고정 부착되고, 스냅 버튼(215(b))으로 제어 기판(70)의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제어 기판(70)은 축 방향이 서로 다른 전극 패드(21)를 한 쌍으로 하여 서로 다른 극성을 인가한다. Referring to FIG. 4 , the magnetic pole 10 may have pad grooves for accommodating pads formed in four directions of up, down, left and right. A snap button 215 (b) is fixedly attached to the pad groove, and power of the control board 70 may be transmitted to the snap button 215 (b). The control board 70 applies different polarities to a pair of electrode pads 21 having different axial directions.

전극 패드(21)는 스냅 버튼(215(a))을 통해 자극부(10)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드(21)는 소모품으로 교체 가능하게 제공된다. The electrode pad 21 is detachably provided to the magnetic pole 10 through the snap button 215 (a). The electrode pad 2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be replaced as a consumable.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should be defined by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
10: 자극부
21: 전극 패드부
210: 자극 전극 패드
213: 접지 전극 패드
215: 스냅 버튼
217: 카본 패드
219: 전도성 겔
30: 벨트 밴드
50: 파워 서플라이
70: 제어 기판
1: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10: magnetic pole
21: electrode pad part
210: stimulation electrode pad
213: ground electrode pad
215: snap button
217: carbon pad
219: conductive gel
30: belt band
50: power supply
70: control board

Claims (9)

벨트 타입의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에 있어서,
벨트 밴드를 사용자의 복부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점착되어 고주파 및/또는 중주파의 자극을 출력하는 전극 패드부가 마련되는 자극부;
하기의 전극 패드부의 자극 파형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 및
플렉서블하고, 상기 자극부의 제1 축상에 수용되어 제1 극성이 인가되는 자극 전극 패드와 상기 자극부의 제2 축상에 수용되어 제2 극성이 인가되는 접지 전극 패드로 구성되는 전극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축상은 사용자의 복부 정중면(median plane)이고, 상기 제2 축상은 사용자의 복부 수평면(transverse plane)이며, 상기 접지 전극 패드는 상기 제2 축상에서 사용자의 복부 중앙으로부터 이격된 복부 측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
In the belt-type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a stimulation unit provided with an electrode pad unit for outputting high-frequency and/or medium-frequency stimulation by placing the belt band on the user's abdomen and being adhered to the user's skin;
A control board for controlling the stimulation waveform of the electrode pad part described below; and
An electrode pad portion that is flexible and composed of a stimulation electrode pad accommodated on a first shaft of the magnetic pole unit to which a first polarity is applied and a ground electrode pad accommodated on a second shaft of the magnetic pole unit to which a second polarity is applied ,
The first axis is a median plane of the user's abdomen, the second axis is a transverse plane of the user's abdomen, and the ground electrode pad is the abdominal sid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user's abdomen on the second axis.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판은,
상기 자극부의 중앙에 수용되고, 자극 파형으로 고주파 또는 중주파를 교번적으로 출력하되,
고주파를 소정의 시간동안 출력한 후, 중주파를 소정의 시간동안 출력하여 고주파가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연속적으로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board,
Accommodated in the center of the stimulation unit, and outputting a high frequency or medium frequency alternately as a stimulation waveform,
A high frequency lipoly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fter outputting high frequency for a predetermined time, medium frequency is output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high frequency is not continuously output beyond a set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전극 패드와 상기 접지 전극 패드는,
상기 제어 기판으로부터 고주파 및/또는 중주파가 인가되는 카본 패드; 및
상기 카본 패드 하면에 코팅된 점착성의 전도성 겔;을 포함하여,
플렉서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timulation electrode pad and the ground electrode pad,
a carbon pad to which high and/or mid-frequency waves are applied from the control substrate; and
Including; adhesive conductive gel co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rbon pad,
A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lexib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패드는,
카본과 금속 분말을 혼합한 도전성 폴리머 또는 실리콘, 게르마늄, 알루미늄, 티타늄 및 지르코늄 중 적어도 하나를 배합한 전도성 고무의 소재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
According to claim 3,
The carbon pad,
A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s a material of a conductive polymer mixed with carbon and metal powder or a conductive rubber compounded with at least one of silicon, germanium, aluminum, titanium and zirconiu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겔은,
아크릴산 3-설포프로필 염 형태의 음이온을 포함한 단량체;
폴리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 가교제; 및
염화 칼륨을 포함한 전해질;로 구성된 고주파용 하이드로 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
According to claim 3,
The conductive gel,
a monomer containing an anion in the form of a 3-sulfopropyl acrylic acid salt;
crosslinking agents including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and
Electrolyte containing potassium chloride;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ydrogel for high-frequency consisting of.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패드는,
은/염화은(Ag+/Ag+Cl-) 파우더가 첨가된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
According to claim 3,
The carbon pad,
A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de is added with silver / silver chloride (Ag + /Ag + Cl - ) powd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겔은,
전도도의 범위가 5mS/cm 내지 10mS/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
According to claim 3,
The conductive gel,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ge of conductivity is 5mS / cm to 10mS / c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부는,
상기 전극 패드부가 마련되는 영역에 상기 제어 기판으로부터 고주파 및/또는 중주파가 인가되는 전달 수단으로 스냅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자극 전극 패드와 상기 접지 전극 패드는,
상기 스냅 버튼이 카본 패드에 부설되어 상기 카본 패드로 고주파 및/또는 중주파를 출력하고,
상기 스냅 버튼을 통해 상기 자극부에 탈착되어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timulus,
A snap button is provided as a transmission means to which high and/or mid-frequency waves are applied from the control board to an area where the electrode pad part is provided,
The stimulation electrode pad and the ground electrode pad,
The snap button is attached to the carbon pad to output a high frequency and / or medium frequency to the carbon pad,
A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achable and replaceable to the stimulation part through the snap button.
벨트 타입의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에 있어서,
벨트 밴드를 사용자의 복부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점착되어 고주파 및/또는 중주파의 자극을 출력하는 전극 패드가 마련되는 자극부;
하기의 전극 패드부의 자극 파형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 및
플렉서블하고, 상기 자극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복부에 점착되는 하나 이상의 전극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패드는,
은/염화은(Ag+/Ag+Cl-) 파우더가 첨가된 카본 패드와, 전도도의 범위가 5mS/cm 내지 10mS/cm로 형성된 전도성 겔로 구성되어,
플렉서블한 패드형 전극으로 고주파의 심부열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지방분해 기기.

In the belt-type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a stimulation unit provided with an electrode pad for outputting high-frequency and/or mid-frequency stimulation by placing the belt band on the user's abdomen and being adhered to the user's skin;
A control board for controlling the stimulation waveform of the electrode pad part described below; and
One or more electrode pads that are flexible and are provided in the stimulation unit and adhered to the user's abdomen;
The electrode pad,
Consisting of a carbon pad to which silver/silver chloride (Ag + /Ag + Cl - ) powder is added, and a conductive gel formed with a conductivity ranging from 5 mS / cm to 10 mS / cm,
A high-frequency lipolysis device characterized by generating high-frequency deep heat with a flexible pad-type electrode.

KR1020210168202A 2021-11-30 2021-11-30 Belt-type high frequency lipolysis machine KR2023008075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202A KR20230080754A (en) 2021-11-30 2021-11-30 Belt-type high frequency lipolysis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202A KR20230080754A (en) 2021-11-30 2021-11-30 Belt-type high frequency lipolysis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754A true KR20230080754A (en) 2023-06-07

Family

ID=86761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202A KR20230080754A (en) 2021-11-30 2021-11-30 Belt-type high frequency lipolysis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075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377B1 (en) 2014-06-02 2014-12-08 강태석 Apparatus For Massage Using Radio Frequenc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377B1 (en) 2014-06-02 2014-12-08 강태석 Apparatus For Massage Using Radio Frequenc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0212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non-invasive capacitive electrical stimulation and their use for vagus nerve stimulation on the neck of a patient
US11123545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nerve stimulation
US10507325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non-invasive capacitive electrical stimulation and their use for vagus nerve stimulation on the neck of a patient
US8914122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non-invasive capacitive electrical stimulation and their use for vagus nerve stimulation on the neck of a patient
US20110230938A1 (en) Device and methods for non-invasive electrical stimulation and their use for vagal nerve stimulation
US20190030336A1 (en) Portable Composite Waveform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TWM541866U (en) Soft membrane microelectrode device
KR20230080754A (en) Belt-type high frequency lipolysis machine
KR20090097457A (en) Apparatus for high frequency treatment of obesity preventing spark
GB2577534A (en) Portable composite waveform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US1140028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electrical stimulation and their use for vagus nerve stimulation on the neck of a patient
Shin et al. The Effect of Electrode Distance on the Voltage Distribution during Non-invasive Vagus Nerve Stimulation–a Preliminary Study
KR20100064453A (en) Applied the cellular phone the attachment style electric magnetic pole system which bur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