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615A - 명도 차이에 의한 채도 도출법과 톤맵 표시 매체 - Google Patents

명도 차이에 의한 채도 도출법과 톤맵 표시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615A
KR20230080615A KR1020210167958A KR20210167958A KR20230080615A KR 20230080615 A KR20230080615 A KR 20230080615A KR 1020210167958 A KR1020210167958 A KR 1020210167958A KR 20210167958 A KR20210167958 A KR 20210167958A KR 20230080615 A KR20230080615 A KR 20230080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tone
colors
saturation
t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진
Original Assignee
김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진 filed Critical 김미진
Priority to KR1020210167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615A/ko
Publication of KR20230080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01J3/52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using colour ch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01J3/463Colour mat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01J2003/466Coded colour; Recognition of predetermined colour; Determining proximity to predetermined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01J2003/467Colour compu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명도 차이에 의한 채도 도출법과 톤맵 표시 매체는, 각 72개 색상들이 원형으로 배열되는 정삼각형의 15개 톤이 배치되고, 무채색 10단계 명도 축을 기준으로 상기 15개 톤에 명도 수치가 숫자로 대입되어 일정 간격으로 표기되며, 상기 15개 톤의 수치 포인트는, 대각선 수치 1 및 상하 수치 2의 간격 및 규칙으로 배열되고, 상기 각 톤은, 원형의 최상단에 상대적으로 가장 밝은 명도의 색이 배열되고, 상기 원형의 최하단에 상대적으로 가장 어두운 명도의 색이 배열될 수 있다.

Description

명도 차이에 의한 채도 도출법과 톤맵 표시 매체{CHROMA DERIVATION METHOD AND TONE MAP DISPLAYING APPARATUS BY USING BRIGHTNESS DIFFERENCE}
본 발명은 톤맵 표시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명도와 모발 명도의 차이를 고려하여 생성한 채도 이미지를 통해 각 72개 색상들이 원형으로 배열되는 정삼각형의 15개 톤이 배치되는 톤맵을 표시할 수 있는 명도 차이에 의한 채도 도출법과 톤맵 표시 매체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다양한 색상이 일정한 기준으로서 배열되어 표시되는 색상 테이블로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색상환(color wheel, 色相環)이다.
색상환이라 함은, 원 위에 색의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색의 변화를 계통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 색표를 둥근 모양으로 배열한 것이다. 색상환에서 사용되는 색표는 색상을 기준으로 하여 배열하므로 색상환이라고 정의되고 있다.
특히, 상대하는 위치에 보색이 서로 마주 보이는 것을 보색 색상환이라고 하는데, 일례로서 도 1a를 참조하면,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20 색상환의 경우, 빨강색과 청록색, 노랑과 남색은 서로 보색 관계에 있다.
색상환 속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놓인 색은 모두 보색 관계를 이루는데 이들을 배색하면 선명한 인상을 줄 수 있다. 이들의 어울림을 보색대비(補色對比)라 한다. 위의 색상환에서 보듯이 파랑의 보색은 그 반대편에 있는 주황이다. 또, 초록과 청록은 서로 가까이 있다고 해서 '인접색'이라고 한다. 따라서 다양한 분야에서 이러한 색상환을 이용하여 컬러가 들어가는 제품을 제작하고 있다.
기존의 색상환의 경우는, 보색 기준으로 색상환을 나타낼 뿐이지 계통색을 대표하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효율성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계통색을 대표하는 기준색을 중심으로 색이 주는 감성을 명도와 강도가 함께 표시될 수 있는 새로운 기준의 색상 테이블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명도는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낸 색의 속성 중의 하나다. 밝은 색은 명도가 높다고 하여 고명도색이라 하고 어두운 색은 명도가 낮다고 하여 저명도색이라 한다. 채도는 색의 맑고 탁함, 순수한 정도, 색의 강약을 나타내는 성질로 색이 맑고 선명한 색은 고채도색이라 하고 탁하고 수수한 색은 저채도색이라 한다.
톤(색조)은 색채의 삼속성 중 명도와 채도를 통합한 개념이다. 한국산업규격 KS 톤의 기준이 되는 유채색은 빨강, 주황, 노랑, 연두, 초록, 청록, 파랑, 남색, 보라, 자주 이다. 무채색은 하양, 밝은 회색, 회색, 어두운 회색, 검정으로 5단계로 나눈다.
도 1b는 한국산업규격 KS 톤 분류표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KS 톤은 13개 톤으로 흰(wh), 밝은 회(lg), 회(gr), 어두운 회(dg), 검은(bk) 등은 수수한 저채도톤에 해당되고 연한(pl), 흐린(sf), 탁한(dl), 어두운(dk) 등은 중저채도톤에 해당된다. 밝은(lt), 강한(s), 진한(dp) 등은 중고채도톤에 해당된다. 선명한(vv) 은 맑고 선명한 고채도에 해당된다.
특히, 톤은 무채색과 근거리에 있는 저채도톤은 주목감이 적고 흐릿하고 부드러운 이미지를 가지고 있고, 무채색과 원거리에 있는 고채도톤은 주목감이 크고 화려하고 강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부드럽고 강한 톤의 이미지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여 제작하고 있다.
기존의 톤의 경우는, 무채색 기준으로 톤의 이미지를 나타낼 뿐이지 명도와 채도의 위치와 강약(Soft와 Hard)을 대표하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효율성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명도와 채도의 강약(Soft와 Hard)을 대표하는 기준 톤을 중심으로 톤이 주는 감성을 명도와 채도 수치로 표시될 수 있는 새로운 기준의 톤 테이블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24134호(공개일: 2005. 03. 10.)
본 발명은, 피부 명도와 모발 명도의 차이를 고려하여 생성한 채도 이미지를 통해 각 72개 색상들이 원형으로 배열되는 정삼각형의 15개 톤이 배치되는 톤맵을 표시할 수 있는 명도 차이에 의한 채도 도출법과 톤맵 표시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피부와 고명도 매칭법, 모발과 저명도 매칭법에 의해 도출되는 이미지를 실현할 수 있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① 톤(이미지)과 명도 숫자의 관계를 모색할 수 있으며, 도 6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② 명도 수치 측정 스케일을 제공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③ 명도에 의한 채도 이미지 도출법을 생성할 수 있으며,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④ 채도 이미지 도출법에 의해 배색, 패턴, 소재 이미지 매칭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각 72개 색상들이 원형으로 배열되는 정삼각형의 15개 톤이 배치되고, 무채색 10단계 명도 축을 기준으로 상기 15개 톤에 명도 수치가 숫자로 대입되어 일정 간격으로 표기되며, 상기 15개 톤의 수치 포인트는, 대각선 수치 1 및 상하 수치 2의 간격 및 규칙으로 배열되고, 상기 각 톤은, 원형의 최상단에 상대적으로 가장 밝은 고명도 노랑이 배열되고, 상기 원형의 최하단에 상대적으로 가장 어두운 저명도 남색이 배열되는 명도 차이에 의한 채도 도출법과 톤맵 표시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정삼각형의 15개 톤은, 블랙(black) 색상으로부터 화이트(white) 색상의 방향으로 톤 명도 숫자 1 내지 9를 포함하며, 톤 명도 숫자 9 내지 7은 고명도를, 톤 명도 숫자 6 내지 4는 중명도를, 톤 명도 숫자 3 내지 1은 저명도를 각각 나타내며, 상기 톤 명도 숫자가 같은 동일한 위치의 톤들은 동일한 명도 값을 가지며, 톤 명도 표기는 [숫자 명도 : 톤]의 조합으로 표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정삼각형의 15개 톤의 각 톤은, 원색 24색에서 2개씩 분화된 72개 색상의 명도 수치로 배열되고, 무채색 10단계 명도 축을 기준으로 상기 72개 색상에 명도 수치를 숫자로 대입하여 최상단에서 좌우로 내려가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 및 표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원색 24색의 기본 명도는 0.5씩 감소하는 흐름으로 배치되고, 상기 72색 색상의 색상환 수치 포인트는 좌우 수치 0.17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체의 피부 명도는 9단계로 배열되고, 모발 명도는 9단계로 배열됨으로써, 피부 및 모발 명도를 합쳐 15단계의 명도 측정키트를 가지는 도 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체의 피부 명도 위치, 신체의 모발 명도 위치에 의거하여 채도를 표시하는 도 7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브라이트존 계산법, 라이트존 계산법, 뮤트존 계산법, 다크존 계산법의 채도 도출법을 포함하는 도 8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 명도와 모발 명도의 수치를 대입하여 생성한 채도 이미지를 통해 각 72개 색상들이 원형으로 배열되는 정삼각형의 15개 톤이 배치되는 톤맵을 표시할 수 있는 명도 차이에 의한 채도 도출법과 톤맵 표시 매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색상환과 톤맵을 필요로 하는 관련 분야(뷰티, 패션, 인테리어)의 다양한 사용자 욕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와 모발 명도 측정키트로 쉽게 채도 이미지를 도출하고 화장품, 의상, 헤어염색 등에 쉽게 활용할 수 있으며, 발명효과로서 ① 명도에 의한 채도 이미지 도출맵(도 7 참조)을 생성할 수 있으며, 발명효과로서 ② 채도 이미지 도출법과 이미지 매칭(도 9, 도 10, 도 11 참조)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a는 기존의 20 색상환 표시 매체의 예시도이다.
도 1b는 한국산업규격 KS 톤 분류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톤맵 표시 매체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원색 24색에서 2개씩 분화된 72 색상의 명도 수치와 배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는 15톤과 72개 색상의 명도 위치와 매칭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명도와 신체 색의 매칭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피부와 모발의 신체 명도 축과 신체 명도 키트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신체 명도 축과 톤맵의 명도, 채도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신체 명도 차이에 의한 채도 도출법과 이미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9는 채도별 배색, 톤, 패턴, 질감, 소재의 적용 예시를 보여주는 Soft Image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채도별 배색, 톤, 패턴, 질감, 소재의 적용 예시를 보여주는 Hard Image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채도별 배색, 톤, 패턴, 질감, 소재의 적용에 있어서, 신체 명도 추출 스케일, 이목구비 유닛 스케일, 패턴 이미지 도출 스케일의 예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지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설명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톤맵 표시 매체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톤맵 표시 매체는 각 72개 색상들이 원형으로 배열되는 정삼각형의 15개 톤(tone; 색조)이 배치되고, 무채색 10단계 명도 축을 기준으로 15개 톤에 명도 수치가 숫자로 대입되어 일정 간격으로 표기되며, 15개 톤의 수치 포인트는 대각선 수치 1 및 상하 수치 2의 간격 및 규칙으로 배열될 수 있다.
최고명도 9에서 중명도 5, 최저명도 1 등 일정한 간격과 규칙적인 수치의 톤맵으로 표기될 수 있다. 여기에서, 톤은 명도와 채도가 더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정삼각형의 15개 톤은 블랙(black) 색상으로부터 화이트(white) 색상의 방향으로 톤 명도 숫자 1 내지 9를 포함하며, 톤 명도 숫자 9 내지 7은 고명도를, 톤 명도 숫자 6 내지 4는 중명도를, 톤 명도 숫자 3 내지 1은 저명도를 각각 나타낸다. 명도 숫자가 같은 동일한 위치의 톤들은 동일한 명도값을 가지며, 톤 명도 표기는 [숫자 명도 : 톤]의 조합으로 표기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명도 1은 1개의 blackish tone으로, 명도 2는 1개의 dark tone으로, 명도 3은 2개의 darkgrayish tone과 deep tone으로, 명도 4는 2개의 dull tone과 deepvivid tone으로, 명도 5는 3개의 grayish tone과 strong tone과 vivid tone으로, 명도 6은 2개의 soft tone과 brightvivid tone으로, 명도 7은 2개의 lightgrayish tone과 bright tone으로, 명도 8은 1개의 light tone으로, 명도 9는 1개의 pale tone으로 각각 표기될 수 있다.
명도 9에서 명도 8의 우측 방향으로 가면서 명청색 톤 배열은 명도 1씩 감소하는 흐름을 가질 수 있고, 명도 9에서 명도 8의 아래 방향으로 가면서 탁색 톤 배열의 명도 2씩 감소하는 흐름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원색 24색에서 2개씩 분화된 72 색상의 명도 수치와 배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톤은 원형의 최상단에 상대적으로 가장 밝은 고명도의 노랑이 배열되고, 원형의 최하단에 상대적으로 가장 어두운 저명도의 남색이 배열될 수 있는데, 정삼각형의 15개 톤의 각 톤은 원색 24색에서 2개씩 분화된 72 색상의 명도 수치로 배열되고, 무채색 10단계 명도 축을 기준으로 72개 색상에 명도 수치를 숫자로 대입하여 최상단에서 좌우로 내려가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 및 표기될 수 있다.
원색 24색의 기본 명도는 0.5씩 감소하는 흐름으로 배치되고, 72색 색상의 색상환 수치 포인트는 좌우 수치 0.17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는데, Yellow는 최고명도 8로 정중앙에 배치되고, Purple Blue(pB2)는 최저명도 2로 하단 정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상단에서 좌측 난색 배열에는 Orange 명도 7, Red 명도 5, Purple 명도 3으로 색상에 명도 수치를 대입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표기 및 나열할 수 있으며, 상단에서 우측 한색 배열에는 Yellow Green(yG2) 명도 7, Blue Green(bG2) 명도 5, Blue 명도 3으로 색상에 명도 수치를 대입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표기 및 나열할 수 있다.
색상 명도 숫자 8 및 7은 고명도(9는 없음)를, 색상 명도 숫자 6 내지 4는 중명도를, 색상 명도 숫자 3 및 2(1은 없음)는 저명도를 각각 나타낸다. 즉, 원색에서 White에 가까운 9와 Black에 가까운 1은 존재하지 않는다.
도 4는 15톤과 72개 색상의 명도 위치와 매칭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채색 10단계의 명도 축을 기준으로 15톤과 24원색(72 분화색)이 일정한 간격과 배치로 조합됨을 알 수 있다. 24원색은 15톤 맵 상에서는 중명도 5에 해당되지만 명도 의미를 확대하여 해석해 보면 노랑은 최고명도 8이고, 남색은 최저명도 2로써 명도차가 확실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무채색 명도 수치에 맞게 vivid tone 24색 또는 72색을 확대함으로써 무채색 10단계에 맞게 명도 기준을 맞출 수 있다.
색상환 원색 노랑의 명도 8과 Light Tone의 명도는 8로 같은 결과값을 갖는다. 15개 톤과 72색(24색에서 분화된 색)의 명도 위치가 일치하는 위치는 사람의 피부 밝기와 모발 밝기를 측정하고 매칭함으로써 어울리는 색을 찾을 수 있다.
도 5는 명도와 신체 색의 매칭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채색 10단계의 명도 축을 기준으로 15톤과 24원색(72 분화색)의 명도와 신체 색 명도가 어울림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명도는 색조 화장품, 헤어 염색, 패션 등의 일상복, 정장 등에 어울리는 컬러를 바로 매칭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예컨대, 명도 수치와 피부 명도의 매칭을 보면, 한국인의 피부 명도는 9 내지 5의 명도 수치에 해당되며, 피부 명도 측정키트(도 6 참조)로 피부 명도를 측정하고, 파운데이션, 색조 화장품 명도를 측정키트에 대입하면 쉽게 어울리는 고명도 톤 또는 뷰티 컬러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명도 수치와 모발 명도의 매칭을 보면, 한국인의 모발 명도는 남녀 구분 없이 4 내지 1 수치에 해당되며, 모발 명도 측정키트(도 6 참조)로 모발 명도를 측정하고, 헤어 염색, 정장 명도를 측정키트에 대입하면 쉽게 어울리는 저명도 톤 또는 패션 컬러를 찾을 수 있다.
도 6은 피부와 모발의 신체 명도 축과 신체 명도 측정 키트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신체의 피부는 9개의 고명도 색상으로 배열되고, 모발은 9개의 저명도 색상으로 배열됨으로써, 피부 및 모발명도 15단계의 측정키트를 가지는 도 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피부의 고명도 단계와 모발의 저명도 단계를 조합한 신체 명도 축으로서, 신체 명도를 측정할 수 있는 키트이다. 피부 명도 9단계와 모발 명도 6단계를 조합하여 새로운 15단계의 신체 명도 측정 키트를 생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명도의 피부와 저명도의 모발 밝기 차이를 한 눈에 볼 수 있음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도 7은 신체 명도 축과 톤맵의 조합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신체의 피부 명도 위치, 모발 명도 위치에 의거하여 명도, 채도를 표시하는 도 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피부 + 모발의 명도 축과 톤맵의 조합을 통해 [신체 색 톤맵]을 완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White의 고명도와 Black의 저명도의 무채색 명도 축에 피부의 고명도와 모발의 저명도를 하나의 명도 축으로 도입함으로써 톤맵에 대입하여 어울리는 컬러를 쉽게 매칭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은 신체 명도 차이에 의한 채도 도출법과 이미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브라이트존 계산법, 라이트존 계산법, 뮤트존 계산법, 다크존 계산법의 채도 도출법을 포함하는 도 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피부와 모발 명도의 차이에 따라, 아래의 1 내지 4와 같이, 어울리는 채도 이미지를 도출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채도 이미지는 배색의 강약, 대비감의 강약, 주목감의 강약, 광택감의 강약, 패턴의 강약 등을 의미할 수 있다.
1. 브라이트존 계산 : 피부 9 ?? 모발 1 = 채도 8, (명도 5)
최고명도 9와 최저명도 1의 조합으로 배색, 대비감, 주목감, 광택감, 패턴이 강한 타입으로 채도가 강한 Hard Image와 매칭
2. 라이트존 계산 : 피부 8 ?? 모발 2 = 채도 6, (명도 6)
고명도 8과 저명도 2의 조합으로 배색, 대비감, 주목감, 광택감, 패턴이 가벼운 타입으로 채도가 약한 Soft Image와 매칭
3. 뮤트존 계산 : 피부 7 ?? 모발 1.5 = 채도 5.5, (명도 5.5)
중고명도 8과 저명도 1.5의 조합으로 배색, 대비감, 주목감, 광택감, 패턴이 중립적인 타입으로 채도가 약한 Soft Image와 매칭
4. 다크존 계산 : 피부 6 - 모발 1 = 채도 5, 명도 5
중명도 6과 최저명도 1의 조합으로 배색, 무게감, 존재감, 두께감, 패턴이 강한 타입으로 명도가 강한(무거운) Hard Image와 매칭
도 9는 채도별 배색, 톤, 패턴, 질감, 소재의 적용 예시를 보여주는 Soft Image의 예시도이고, 도 10은 채도별 배색, 톤, 패턴, 질감, 소재의 적용 예시를 보여주는 Hard Image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채도별 배색, 톤, 패턴, 질감, 소재의 적용에 있어서, 신체 명도 추출 스케일, 이목구비 유닛 스케일, 패턴 이미지 도출 스케일의 예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각 72개 색상들이 원형으로 배열되는 정삼각형의 15개 톤이 배치되고,
    무채색 10단계 명도 축을 기준으로 상기 15개 톤에 명도 수치가 숫자로 대입되어 일정 간격으로 표기되며,
    상기 15개 톤의 수치 포인트는,
    대각선 수치 1 및 상하 수치 2의 간격 및 규칙으로 배열되고,
    상기 각 톤은,
    원형의 최상단에 상대적으로 가장 밝은 명도의 노랑이 배열되고, 상기 원형의 최하단에 상대적으로 가장 어두운 명도의 남색이 배열되는
    명도 차이에 의한 채도 도출법과 톤맵 표시 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삼각형의 15개 톤은,
    블랙(black) 색상으로부터 화이트(white) 색상의 방향으로 톤 명도 숫자 1 내지 9를 포함하며,
    톤 명도 숫자 9 내지 7은 고명도를, 톤 명도 숫자 6 내지 4는 중명도를, 톤 명도 숫자 3 내지 1은 저명도를 각각 나타내고,
    상기 톤 명도 숫자가 같은 동일한 위치의 톤들은 동일한 명도 값을 가지며, 톤 명도 표기는 [숫자 명도 : 톤]의 조합으로 표기되는
    명도 차이에 의한 채도 도출법과 톤맵 표시 매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삼각형의 15개 톤의 각 톤은,
    원색 24색에서 2개씩 분화된 72 색상의 명도 수치로 배열되고,
    무채색 10단계 명도 축을 기준으로 상기 72개 색상에 명도 수치를 숫자로 대입하여 최상단에서 좌우로 내려가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 및 표기되며,
    상기 원색 24색의 기본 명도는 0.5씩 감소하는 흐름으로 배치되고,
    상기 72색 색상의 색상환 수치 포인트는 좌우 수치 0.17 간격으로 배열되는
    명도 차이에 의한 채도 도출법과 톤맵 표시 매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신체의 피부는 9개의 고명도 색상으로 배열되고, 모발은 9개의 저명도 색상으로 배열됨으로써, 피부 및 모발명도 15단계의 측정키트를 가지는 도 6 도시의
    명도 차이에 의한 채도 도출법과 톤맵 표시 매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신체의 피부명도 위치, 신체의 모발명도 위치에 의거하여 채도를 표시하는 도 7 도시의
    명도 차이에 의한 채도 도출법과 톤맵 표시 매체.
  6. 제 1 항에 있어서,
    브라이트존 계산법, 라이트존 계산법, 뮤트존 계산법, 다크존 계산법의 채도 도출법을 포함하는 도 8 도시의
    명도 차이에 의한 채도 도출법과 톤맵 표시 매체.
KR1020210167958A 2021-11-30 2021-11-30 명도 차이에 의한 채도 도출법과 톤맵 표시 매체 KR20230080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958A KR20230080615A (ko) 2021-11-30 2021-11-30 명도 차이에 의한 채도 도출법과 톤맵 표시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958A KR20230080615A (ko) 2021-11-30 2021-11-30 명도 차이에 의한 채도 도출법과 톤맵 표시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615A true KR20230080615A (ko) 2023-06-07

Family

ID=86762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958A KR20230080615A (ko) 2021-11-30 2021-11-30 명도 차이에 의한 채도 도출법과 톤맵 표시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061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134A (ko) 2003-09-05 2005-03-10 주식회사 블루하모니 영상물에서 자동으로 색상 배치 정보를 추출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134A (ko) 2003-09-05 2005-03-10 주식회사 블루하모니 영상물에서 자동으로 색상 배치 정보를 추출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73191B (zh) 颜色显示系统
CN110490981B (zh) 八基色hsb颜色空间的网格化模型及其离散色谱构建方法
CA2342519C (en) Display system facilitating paint color selection and coordination
Yi et al. Color analysis of natural colorant‐dyed fabrics
Centore sRGB centroids for the ISCC-NBS colour system
KR20230080615A (ko) 명도 차이에 의한 채도 도출법과 톤맵 표시 매체
CN110324476B (zh) 一种手机屏呈色性能的表征方法
CN103856687B (zh) 用于颜色指定印刷的颜色变换装置、颜色变换方法
CN110537362A (zh) 颜色处理程序、颜色处理方法、色彩感觉检查系统、输出系统、色觉校正图像处理系统及色觉模拟图像处理系统
US9253370B2 (en) Normalization method for a value of an equivalent lightness and a value of a degree of vividness of an arbitrary color, tone type identification method, munsell value calculating method, image formation method and interface screen display device
CN1979594A (zh) 颜色体系色样立体模型
JP2009115903A (ja) トーン別明度差チャート
CN101384116B (zh) 灯光控制方法
US20060066097A1 (en) Method of color specification and, using the same, color column structure and color chart
KR101927779B1 (ko) 24 색상환 및 톤맵 표시 매체
Han Big Data Computation for Application of Color Management in Digital Printing of Home Textiles
Ng The teaching of the concept of color harmony and its ambiguity
CN105556264B (zh) 制备比色图表的方法
JP4169355B2 (ja) 配色色相比較ボード
Sugano A fuzzy set theoretical approach for color specification using color names
CN108765502A (zh) 一种复杂环境下的色貌获取方法
Occil Color Topics for Programmers
Khan et al. A proposed model of a color harmonizer application
Shishmanova et al. RGB Color Wheel Intended to Create Color Harmony Compositions in Modern Art and Design
Zhang et al. A Modified Color Appearance Model of CIELA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