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533A - 스마트 안전 펜스 - Google Patents

스마트 안전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533A
KR20230080533A KR1020210167831A KR20210167831A KR20230080533A KR 20230080533 A KR20230080533 A KR 20230080533A KR 1020210167831 A KR1020210167831 A KR 1020210167831A KR 20210167831 A KR20210167831 A KR 20210167831A KR 20230080533 A KR20230080533 A KR 20230080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afety fence
guide member
fenc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4333B1 (ko
Inventor
김효준
Original Assignee
김효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준 filed Critical 김효준
Priority to KR1020210167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4333B1/ko
Publication of KR20230080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8Flexible barrier members, e.g. cords; Means for rendering same conspicuous; Adapted supports, e.g. with storage ree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00)의 하단에 구동장치(20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0)가 입력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00)가 구비됨으로써, 안전펜스를 자동으로 편리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장소에 설치 및 회수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 펜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안전 펜스는, 입력된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여 가이드라인을 형성하는 안전펜스모듈(10); 을 포함하되, 상기 안전펜스모듈(10)은, 본체(100); 상기 본체(100)를 이동시키는 구동장치(200); 상기 본체(100)가 입력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00); 상기 본체(100)가 일정 위치에 배치되면 가이드부재를 전개하는 펜스장치(50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안전 펜스{Smart safety fence}
본 발명은 스마트 안전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전 펜스가 필요한 장소에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고, 자동으로 설치가 가능한 스마트 안전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봉은 매표소나 행사장 등에 설치되어 사람들의 질서유지를 위한 유도 라인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출입구나 건설현장 등에 설치되어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단봉은 몸체 내부에 스파이럴 스프링과 벨트가 내장되어 벨트를 잡아 빼서 설치 사용하고, 해체시 자동감기 기능을 이용 몸체 내부 드럼에 벨트가 감겨 들어가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는 차단봉은 외부 일측에 몸체 벨트고정장치 걸이구가 형성되며 차단봉의 벨트 인출구의 벨트 끝부분에 설치된 착탈식 연결고정장치를 잡아 빼서 벨트를 다른 차단봉의 몸체 벨트고정장치 걸이구에 착탈하며 사용되었다.
또한, 차단봉은 쉽게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단의 무게가 많이 나가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단봉은 행사장 위치나 경로가 변경될 때 마다 작업자가 직접 설치 장소로 이동하여 차단봉을 이동시키고 설치해야 하며, 이로 인해 작업시 많은 노동력이 소모되고, 신속한 설치 및 회수가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475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00)의 하단에 구동장치(20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0)가 입력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00)가 구비됨으로써, 안전펜스를 자동으로 편리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장소에 설치 및 회수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 펜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안전 펜스는, 입력된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여 가이드라인을 형성하는 안전펜스모듈(10); 을 포함하되, 상기 안전펜스모듈(10)은, 본체(100); 상기 본체(100)를 이동시키는 구동장치(200); 상기 본체(100)가 입력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00); 상기 본체(100)가 일정 위치에 배치되면 가이드부재(520)를 전개하는 펜스장치(500); 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장치(200)는,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구비되며, 구동모터(210)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바퀴(220); 상기 본체(100)의 이동시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삽입 배치되며, 정지시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100)의 이동을 저지하는 정지모듈(240); 를 포함한다.
상기 펜스장치(500)는, 모터(M)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회전보빈(510); 상기 제1회전보빈(510)에 권취되며, 상기 제1회전보빈(510)의 회전시 상기 본체(100)의 일측으로 전개되는 가이드부재(520); 를 포함한다.
상기 펜스장치(500)는, 모터(M)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풀리(550); 상기 회전풀리(550)와 접하여 상기 회전풀리(550)의 회전시 상기 본체(100)의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전개되는 가이드부재(520); 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재(520)는 단면이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를 갖는 금속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펜스장치(50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회전보빈(530); 상기 제2회전보빈(530)에 권취되며, 상기 가이드부재(520)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재(520)의 전개시 함께 전개되는 가이드밴드(540); 를 포함한다.
상기 펜스장치는, 자바라 형태로 절첩되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가 절첩 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단을상하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장치; 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펜스모듈(10)은 복수개로 이루져 상호 이격 배치되되, 상기 본체(100)에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연결장치(150)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520)의 선단에는 이격 배치된 다른 안전펜스모듈(10)의 연결장치(150)에 부착되는 철편부재(521)가 구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 안전 펜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체(100)의 하단에 구동장치(20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0)가 입력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00)가 구비됨으로써, 안전펜스를 자동으로 편리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장소에 설치 및 회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상기 본체(100)의 이동을 저지하는 상기 정지모듈(240)이 구비됨으로써, 가이드라인 형성시 안전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상기 가이드부재(520)를 상기 제1회전보빈(510)에 감아 보관함으로써,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재(520)의 길이를 최대화 하여 가이드라인을 길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상기 안전펜스모듈(10)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본체(100)에 상기 연결장치(150)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520)에 상기 철편부재(52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안전펜스모듈(10)을 더욱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가이드라인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스마트 안전 펜스의 일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스마트 안전 펜스의 타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스마트 안전 펜스의 전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스마트 안전 펜스의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스마트 안전 펜스의 정지부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스마트 안전 펜스의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스마트 안전 펜스의 전개 상태를 나타낸 단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스마트 안전펜스의 단면 구조도,
도 9 및 도 10은 실시예4에 따른 스마트 안전펜스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은 복수의 안전펜스모듈(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전펜스모듈(10)들은 외부 또는 내부에서 입력된 위치 정보에 따라 입력된 위치로 이동하여 가이드라인을 형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펜스모듈(10)은, 본체(100), 구동장치(200), 제어장치(300), 전원장치(400), 펜스장치(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내부에 상기 구동장치(200), 제어장치(300) 및 펜스장치(500)를 수용하는 케이스이며, 상부가 원통형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가 납작한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어 전도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바닥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부 일측에는 후술할 상기 펜스장치(500)가 전개되는 개방홈(110)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펜스장치(50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장치(15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장치(200)는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100)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장치(200)는 구동모터(210), 구동바퀴(220), 보조캐스터(230) 및 정지모듈(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바퀴(220)는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며,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외주면에 타이어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구동바퀴(220)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2개로 이루어져 좌우 이격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210)와 연결되어 회전된다.
상기 보조캐스터(230)는 360도 회전하는 볼캐스터이며, 2개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바퀴(220)와 90도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보조캐스터(230)는 상기 구동바퀴(220)와 함께 상기 본체(100)의 바닥을 지지하여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고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정지모듈(240)은 상기 본체(100)의 이동시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정지시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100)의 이동을 저지하는 장치이다.
상기 정지모듈(240)은 2개로 이루어져 상기 보조캐스터(230)의 측부에 하나씩 배치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정지모듈(240)은, 정지부재(241), 탄성부재(242) 및 가압부재(2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지부재(241)는 상하로 긴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정지부재(241)의 상단에는 반구 형태로 캠부(241a)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평평한 평면부(242b)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정지부재(241)는 상기 탄성부재(242)에 의해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242)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이 상기 본체(100)와 접하고, 상단이 상기 캠부(241a)와 접하여 상기 정지부재(241)를 상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가압부재(243)는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캠부(241a)의 측부에 배치되고, 중심부가 엑츄에이터(A)와 연결되어 일정 각도 회전된다.
여기에서 상기 엑츄에이터(A)는 전자석의 원리에 전원 인가시 일정 각도로 회전된다.
이러한 상기 가압부재(243)는 상기 본체(100)를 정지시킬 때 상기 캠부(241a)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캠부(241a)와 접하여 상기 정지부재(241)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정지모듈(2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이동시 상기 가압부재(243)은 상기 캠부(241a)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부(242b)는 상기 탄성부재(242)에 의해 상방향으로 지지되어 지면과 이격되며, 이로 인해 상기 구동바퀴(220)는 지면과 접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정지시에는 상기 가압부재(243)가 일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캠부(241a)와 접하게 되면, 정지부재(241)가 하강하여 상기 평면부(242b)가 지면과 접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평면부(242b)가 지면과 접함에 따라 지면과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상기 본체(100)는 쉽게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상기 본체(100)의 이동을 저지하는 상기 정지모듈(240)이 구비됨으로써, 가이드라인 형성시 안전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300)는 상기 본체(100)가 입력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장치(2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장치(300)에는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외부 단말기나 중앙서버를 통해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장치(300)로 보낼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300)가 위치 정보를 받으면 경로를 계산하여 상기 본체(100)를 입력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장치(20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가 입력된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정지모듈(240)를 작동시켜 상기 본체(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펜스장치(500)를 작동시켜 가이드라인이 완성되도록 한다.
상기 전원장치(400)는 상기 구동장치(200), 제어장치(300) 및 펜스장치(5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충전식 배터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는 별도의 전선 없이 무선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위치나 장소에 배치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펜스장치(500)는 상기 본체(100)가 일정 위치에 배치되면 가이드부재를 전개하여 가이드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에서 가이드라인은 매표소 등에서 사람들이 줄서는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고, 위험한 작업을 할 때 외부 사람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펜스장치(500)는, 제1회전보빈(510), 가이드부재(520), 제2회전보빈(530) 및 가이드밴드(5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회전보빈(51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모터(M)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재(520)가 감기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520)는 얇은 금속판을 긴 띠 형태로 제작한 것으로, 단면이 볼록하게 만곡진 원호 형태로 형성되어 길게 전개되더라도 구부러지지 않는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부재(520)는 상기 제1회전보빈(510)의 외측에 감겨진 상태로 보관되며, 전개시 상기 본체(100)의 일측 방향으로 일직선 형태로 전개된다.
이와 같이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상기 가이드부재(520)를 상기 제1회전보빈(510)에 감아 보관함으로써,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재(520)의 길이를 최대화 하여 가이드라인을 길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회전보빈(53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회전보빈(5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2회전보빈(530)에는 상기 가이드밴드(540)가 각각 권취되되, 릴스프링에 의해 감겨지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밴드(540)는 끝단이 상기 가이드부재(520)의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재(520)의 전개시 상기 가이드부재(520)와 함께 본체(100)의 일측으로 길게 전개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밴드(540)는 금속재인 상기 가이드부재(520)의 양측단을 덮어 상기 가이드부재(520)의 날카로운 양측단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가이드라인이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하여 식별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520)에는 식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명수단(6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수단(600)은 유연한 재질의 LED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부재(520)에 부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520)의 전개시 발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520)에 상기 조명수단(600)이 구비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도 식별력을 확보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에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상기 연결장치(15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장치(150)는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 배치되며, 전원을 인가하면 자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520)의 끝단에는 철편부재(521)가 구비된다.
상기 철편부재(521)는 상기 가이드부재(520)가 전개되었을 때 이웃하게 배치된 다른 안전펜스모듈(10)의 연결장치(150)와 연결된다.
즉, 복수개의 상기 안전펜스모듈(10)들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안전펜스모듈(1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재(520)가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서 전개되면, 상기 철편부재(521)가 이웃한 다른 안전펜스모듈(10)의 연결장치(150)에 부착되어 이웃한 상기 안전펜스모듈(10)과 상호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상기 안전펜스모듈(10)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본체(100)에 상기 연결장치(150)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520)에 상기 철편부재(52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안전펜스모듈(10)을 더욱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가이드라인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펜스는, 상기 구동장치(200)와 상기 제어장치(300)가 구비됨으로써, 입력된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본체(100)가 자동으로 이동하여 설치되며, 이로 인해 설치시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신속하게 설치 및 회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스마트 안전펜스는, 실시예1에서 펜스장치(500)의 구성을 제외한 모든 구성이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펜스장치(5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2에 따른 상기 펜스장치(500)는 회전풀리(550)와 가이드부재(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풀리(55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모터(M)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부재(520)는 얇은 금속판을 긴 띠 형태로 제작한 것으로, 단면이 볼록하게 만곡진 원호 형태로 형성되어 길게 전개되더라도 구부러지지 않는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부재(520)는 일단이 상기 본체(100)의 상기 개방홈(110)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풀리(550)를 지나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길게 전개된 상태로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가이드레일(160)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520)의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60)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52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풀리(550)의 외주면과 상기 가이드부재(520)의 일면에는 상호 맞물리는 기어가 각각 구비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펜스장치(500)는 상기 회전풀리(550)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부재(520)가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본체(100)의 일측으로 전개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스마트 안전펜스는, 실시예1에서 펜스장치(500)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펜스장치(5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3에 따른 상기 펜스장치(500)는 모터(M)와 가이드부재(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재(520)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상기 모터(M)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되게 연결된다.
이러한 막대 형태의 상기 가이드부재(52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전개시 상단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전개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스마트 안전펜스는, 실시예1에서 펜스장치(500)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펜스장치(5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4에 따른 상기 펜스장치(500)는 자바라 형태로 구성된 가이드부재(520)와 구동장치(560)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520)는 'X'자 형태로 교차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프레임(525)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525)들의 양 끝단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자바라 형태로 접철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상기 가이드부재(520)는 좌측 상단이 상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좌측 하단이 상기 본체(100)에 상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부재(520)의 좌측 하단은 상하 왕복 구동되는 상기 구동장치(560)와 연결된다.
상기 구동장치(560)는 상하 작동하는 유압이나 공압 실린더를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터(561)와 볼스크류(562)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스크류(562)가 모터(561)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520)의 좌측 하단이 상기 볼스크류(562)를 따라 상하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520)가 자바라 형태로 절첩되는 복수의 프레임(525)들로 구성됨으로써, 내구성과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520)의 앞면에는 디스플레이장치(700)가 구비되어 안내 문구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700)는 판 형태의 LCD장치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본체(100)의 측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700)가 삽입 보관되는 보관케이스(170)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재(520)가 전개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700)는 상기 보관케이스(170)에 삽입되어 보호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 안전펜스모듈
100 : 본체
110 : 개방홈
150 : 연결장치
160 : 가이드레일
170 : 보관케이스
200 : 구동장치
210 : 구동모터
220 : 구동바퀴
230 : 보조캐스터
240 : 정지모듈
241 : 정지부재
242 : 탄성부재
243 : 가압부재
300 : 제어장치
400 : 전원장치
500 : 펜스장치
510 : 제1회전보빈
520 : 가이드부재
521 : 철편부재
522 : 슬라이더
525 : 프레임
530 : 제2회전보빈
540 : 가이드밴드
550 : 회전풀리
560 : 구동장치
561 : 모터
562 : 볼스크류
600 : 조명수단
700 : 디스플레이장치

Claims (7)

  1. 입력된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여 가이드라인을 형성하는 안전펜스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안전펜스모듈은,
    본체;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본체가 입력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상기 본체가 일정 위치에 배치되면 가이드부재를 전개하는 펜스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 펜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본체의 하단에 구비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바퀴;
    상기 본체의 이동시 상기 본체의 하단에 삽입 배치되며, 정지시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이동을 저지하는 정지모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 펜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장치는,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회전보빈;
    상기 제1회전보빈에 권취되며, 상기 제1회전보빈의 회전시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전개되는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 펜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장치는,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풀리;
    상기 회전풀리와 접하여 상기 회전풀리의 회전시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전개되는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 펜스.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단면이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를 갖는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 펜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장치는,
    자바라 형태로 절첩되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가 절첩 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단을상하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 펜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펜스모듈은 복수개로 이루져 상호 이격 배치되되,
    상기 본체에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연결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선단에는 이격 배치된 다른 안전펜스모듈의 연결장치에 탈부착되는 철편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 펜스.
KR1020210167831A 2021-11-30 2021-11-30 스마트 안전 펜스 KR102674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831A KR102674333B1 (ko) 2021-11-30 2021-11-30 스마트 안전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831A KR102674333B1 (ko) 2021-11-30 2021-11-30 스마트 안전 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533A true KR20230080533A (ko) 2023-06-07
KR102674333B1 KR102674333B1 (ko) 2024-06-10

Family

ID=86761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831A KR102674333B1 (ko) 2021-11-30 2021-11-30 스마트 안전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43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328B1 (ko) * 2023-12-19 2024-06-10 주식회사 그린휀스 플라스틱 재질의 시트로 천재지변에 의한 전기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광반사 보드로 야간시인성을 확보한 안전 휀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350A (ko) * 1999-09-13 2001-04-06 이명수 테이블의 이동받침
KR20110128040A (ko) * 2010-05-20 2011-11-28 주식회사 퍼스텍아이앤씨 교통안전 차단기
KR101088869B1 (ko) * 2011-08-10 2011-12-06 주식회사 삼영기술 가변형 휀스
KR101364757B1 (ko) 2013-06-18 2014-02-17 조성호 다방향 벨트 체결링을 구비한 차단봉
KR20150146317A (ko) * 2014-06-23 2015-12-31 이윤정 스크린벨트 차단장치
KR20190114928A (ko) * 2019-07-29 2019-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벨트 타입 차단봉 및 벨트 타입 차단봉의 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350A (ko) * 1999-09-13 2001-04-06 이명수 테이블의 이동받침
KR20110128040A (ko) * 2010-05-20 2011-11-28 주식회사 퍼스텍아이앤씨 교통안전 차단기
KR101088869B1 (ko) * 2011-08-10 2011-12-06 주식회사 삼영기술 가변형 휀스
KR101364757B1 (ko) 2013-06-18 2014-02-17 조성호 다방향 벨트 체결링을 구비한 차단봉
KR20150146317A (ko) * 2014-06-23 2015-12-31 이윤정 스크린벨트 차단장치
KR20190114928A (ko) * 2019-07-29 2019-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벨트 타입 차단봉 및 벨트 타입 차단봉의 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328B1 (ko) * 2023-12-19 2024-06-10 주식회사 그린휀스 플라스틱 재질의 시트로 천재지변에 의한 전기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광반사 보드로 야간시인성을 확보한 안전 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4333B1 (ko) 202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7294B2 (en) Pull down, push up, shade assembly
US9194178B2 (en) Door for industrial building
KR20230080533A (ko) 스마트 안전 펜스
US20110120823A1 (en) Retracta Belt Brake System
JP5296094B2 (ja)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のトンネル部移動装置
US20080029674A1 (en) Self-leveling sign hanger
TW201741595A (zh) 照明昇降裝置
KR101980157B1 (ko) 와이어로프 안내유도 및 이탈을 방지하는 무대시설용 안전 승하강장치
KR102151698B1 (ko) 와이어로프 장력조절 및 이탈을 방지하는 무대시설용 안전 장치
KR20090040201A (ko) 음향 반사판을 겸한 이동형 조명브리지
JP2008100840A (ja) ウインチ及びウインチを用いたワイヤロープ等の紐状体の取り込み/取り出し方法
KR20020075357A (ko) 조명장치
US6394172B1 (en) Trackless roll-up door opening covering
CA3051449A1 (en) Overhead storage unit
US20190229511A1 (en) Overhead electrical infeed
US20040031898A1 (en) Sign positioning and changing device
KR102151699B1 (ko) 안내유도장치가 구비된 무대시설용 안전 승하강장치
ES2392745T3 (es) Dispositivo de sujeción para elemento de cubierta
JP2005138998A (ja) プロジェクター天井内収納用昇降装置
KR20090057601A (ko) 광고물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광고대
JP4543944B2 (ja) 昇降装置
JP4854249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US20110083371A1 (en) Retractable screen door system
KR102408881B1 (ko) 무접점 방식의 스피커 승하강 장치
KR102549037B1 (ko) 전선권취용 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