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319A - 다중대역 다중연결망에서 저지연 서비스를 위하여 액세스 노드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대역 다중연결망에서 저지연 서비스를 위하여 액세스 노드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319A
KR20230080319A KR1020220158250A KR20220158250A KR20230080319A KR 20230080319 A KR20230080319 A KR 20230080319A KR 1020220158250 A KR1020220158250 A KR 1020220158250A KR 20220158250 A KR20220158250 A KR 20220158250A KR 20230080319 A KR20230080319 A KR 20230080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information
message
identifier
pdu s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8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선미
김일규
김준식
박순기
장성철
정희상
최용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8/070,67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171832A1/en
Publication of KR20230080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5Determin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ser equipment, UE)의 동작 방법은 UE 주변에서 무선 신호가 측정되는 복수의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를 스캐닝하는 과정과, 상기 스캐닝한 결과를 MN(master node, MN)에게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SN 그룹에 관한 정보를 MN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SN 그룹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활성화 SN에 접속하는 과정과,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에게 PDU 세션을 설정하고 변경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대역 다중연결망에서 저지연 서비스를 위하여 액세스 노드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CCESS NODE FOR LOW LATENCY SERVICE IN MULT-RADIO MULTI-CONNECTIVITY NETWORK}
본 개시(disclosure)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대역 다중연결망에서 저지연 서비스를 위하여 액세스 노드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서브 테라헤르츠 대역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6G 서비스의 목표는 99.9%의 고신뢰와 종단간 1ms 이내, 무선 구간에서 0.4ms 이내의 저지연 성능을 만족시켜야 한다.
0.1THz ~ 0.3THz 영역의 서브 테라헤르츠 밴드는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제공하지만 무선 밴드의 물리적 제약(free-space attenuation, molecular absorption loss, NLOS path loss)으로 인해 데이터 손실률이 높고 극도로 작은 커버리지 영역을 지원한다.
또한, 서브 테라헤르츠 네트워크는 복잡한 커버리지 설계가 필요한 초소형 스몰셀 구조가 요구되고, Sub-6Hz, mmWave, Sug-TH에 다중 접속 가능해야 하며, 가장 넓은 커버리지를 지원하는 Sub-6Hz을 매크로 노드로 운영하고, 소형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무선 통신 환경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mmWave, Sub-THz 대역은 세컨더리 노드로 운영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테라헤르츠 무선 영역을 포함하는 다중 대역에서 사용자 이동성과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고신뢰 저지연 전송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대역 다중 연결이 가능한 초고밀도 망을 구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고밀도 망 구성에 따라 사용자 이동에 따른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ser equipment, UE)의 동작 방법은 UE 주변에서 무선 신호가 측정되는 복수의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를 스캐닝하는 과정과, 상기 스캐닝한 결과를 MN(master node, MN)에게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SN 그룹에 관한 정보를 MN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SN 그룹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활성화 SN에 접속하는 과정과,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에게 PDU 세션을 설정하고 변경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의 동작 방법은 UE(user equipment, UE)로부터 복수의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에 대하여 스캐닝한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스캐닝한 결과를 기반으로 SN 그룹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SN 그룹에 관한 정보를 UE에게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CN(core network, CN)으로부터 PDU 세션을 설정 및 변경을 완료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를 기반으로 활성화 SN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은 단말(user equipment, UE)로부터 PDU 세션을 설정하고 변경하기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를 기반으로 활성화(active)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와 CN 간에 사용자 평면(user plane, UP)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를 기반으로 비활성화(inactive)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와 CN 간에 사용자 평면(user plane, UP)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UE에게 PDU 세션을 설정 및 변경을 완료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다중대역 다중연결망에서 멀티미디어 대용량 서비스와 사용자의 이동성을 보장함으로써, 사용자 이동 경로에 따라 잦은 세컨더리 노드 변경이 요구되는 시스템에서 저지연성을 확보하여 멀티미디어 대용량 서비스 및 사용자의 이동성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N 그룹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N 그룹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적용된 서비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 MN, SN, UPF, 및 AMF/SMF 간의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 MN, SN, UPF, 및 AMF/SMF 간의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UE가 서빙 SN에서 타겟 SN으로 핸드 오버하는 동작에 대한 신호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N 그룹에서 SN를 선별하기 위한 신호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SN 그룹을 변경하기 위한 UE, 노드, 및 코어네트워크 간의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SN 그룹을 변경하기 위한 UE, 노드, 및 코어네트워크 간의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UE가 서빙 SN에서 타겟 SN으로 핸드 오버하는 동작에 대한 신호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SN과 코어 네트워크 간 UP만 연결된 배치에서 SN과 코어네트워크 간의 UP 터널 생성을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노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3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노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노드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대역 다중연결망에서 저지연 서비스를 위하여 액세스 노드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테라헤르츠 무선 영역에서 사용자 이동성과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신호를 지칭하는 용어, 채널을 지칭하는 용어, 제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네트워크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일부 통신 규격(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는 노드(node)들의 일부로서,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110), 코어 네트워크로서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130), UPF(user plane function)(150), 및 복수의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s, SNs)(170)을 도시한다. 도 1은 SNs에 SN1(171), SN2(173), SN3(175), 및 SN4(177)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일뿐 더 많은 세컨더리 노드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MN(110)은 AMF/SMF(130)와 N2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고, UPF(150)은 N3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다. MN(110)은 SNs(170)은 Xn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다. SNs(170)은 UPF(150)과 N3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다중대역 다중연결망(multi-radio multi-connectivity)일 수 있다. MR-RC의 경우, MN(110)은 멀티 라디오 환경에서 안정성 높은 주파수 대역으로 할당될 수 있고, SNs(170)은 데이터 전송률이 높은 대역으로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ub-6Ghz 대역을 MN, mmWave 및 Sub-THz 대역을 SNs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중대역 다중연결망의 경우,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SNs에서의 핸드오버가 자주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Sub-THz와 같은 고주파 영역에서 커버리지가 매우 협소하므로 커버리지 이탈 시에 다른 액세스 노드로의 핸드 오버의 발생 빈도가 더 높을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은 사용자가 SN4(177)에서 SN1(171)로 핸드 오버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2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N 그룹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의 MN(210), AMF/SMF(230), 및 UPF(250)은 도 1에 도시된 MN(110), AMF/SMF(130), 및 UPF(150)과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도 2a는 도 1에서 개시한 핸드오버에 의한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SN 그룹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SN 그룹이란, 사용자가 접속된 세컨더리 노드뿐 아니라 앞으로 접속될 수 있는 노드들까지 포함하는 SN 그룹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는 사용자가 접속된 상태의 노드를 활성화 노드(active node), 아직 접속되지 않았지만 접속될 수 있는 노드들을 비활성화 노드(inactive node)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2a를 참고하면, 도 2a는 도 1과 달리, AMF/SMF(230)과 SN 그룹(270)이 N2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개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하여 MN(210)과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에서 활성화 노드뿐만 아니라 비활성화 노드의 정보를 사전에 공유함으로써 사용자 이동에 따라 서빙(serving) 세컨더리 액세스 노드와 타겟(target) 세컨더리 액세스 노드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최소할 수 있다.
도 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N 그룹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적용된 서비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b를 참고하면, 도 2b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라 SN 그룹(270)을 재조직하고, SN 그룹(270)을 구성하는 SN들(271, 273)이 사용자와의 무선 접속 여부와 상관없이 Xn 인터페이스, N2 인터페이스, 및 N3 인터페이스를 설정하여 서비스를 받을 준비 상태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Sub-THz, mmWave의 고주파 대역에서도 끊임없는 대용량 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 MN, SN, UPF, 및 AMF/SMF 간의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다중대역 다중연결망이 가능한 UE(301)가 MN(303)과 SN1(305)에 동시 접속하고 SN1(305)와 예비 SN들(SN2, …, SNn)들을 그룹으로 구성하고 예비 SN들(SN2, …, SNn)을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신호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의 SN1(305)은 활성화 노드이고 SN2, …, SNn은 비활성화 노드일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단말(user equipment, UE)(301), MN(303), 및 SN들(305, 307)는 세컨더리 노드 그룹(SN1, …, SNn)을 생성할 수 있다(311). 예를 들어, UE(301)는 무선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다수의 SN들을 스캐닝하고 스캐닝 결과를 MN(303)에게 보고한 후에 MN(303)이 세컨더리 노드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311)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은 도 4의 동작(411) 내지 동작(423)에 대응될 수 있다.
UE(301)는 SN1(305)에 접속할 수 있다(313). 예를 들어, UE(301)는 MN(303)이 제공한 세컨더리 노드 그룹 정보 중에서 활성화 세컨더리 노드인 SN1(305)과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예: 랜덤 액세스 절차)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313)은 도 4의 동작(425)에 대응될 수 있다.
UE(301)는 Multi-Radio Multi-Connectivity PDU(protocol data unit) 세션을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다(315). 동작(315)은 도 4의 동작(427) 내지 동작(433)에 대응될 수 있다.
MN(303)는 비활성화 세컨더리 노드(SN2, …, SNn)와 코어네트워크와의 UP(user plane)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317). 구체적으로, UE(301)와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고 SN 그룹에 추가된 다수의 비활성화 세컨더리 SN들(SN2, …, SNn)과 코어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경로 (UPF와 N3 터널)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317)은 도 4의 동작(435)에 대응될 수 있다.
UE(301)은 활성화된 세컨더리 노드가 SN1(405)에서 SNn(407)으로 변경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319). 동작(319)은 도 5의 동작(511) 내지 동작(529)에 대응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 MN, SN, UPF, 및 AMF/SMF 간의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UE(401)는 주변의 SN들을 스캐닝할 수 있다(411).
UE(401)는 MN(403)에게 주변 SN들을 스캐닝한 결과를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하여 보고할 수 있다(413). 일 실시 예에 따라, 동작(413)의 스캐닝한 결과는 주기적으로 보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동작(411)의 스캐닝한 결과는 감지된 SN에 대한 SN 식별자, 무선 신호 측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MN(403)이 UE(401)에게 SN group measurement request를 전송할 때, UE(403)이 동작(411)의 스캐닝한 결과를 MN(403)에게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하여 전달할 수 있다.
MN(403)은 SN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415). 구체적으로, MN(403)은 UE(401)의 스캐닝 결과에 근거하여 UE(401)와 접속될 수 있는 다수의 후보 SN들을 선택하여 SN 그룹으로 구성하여 식별자로 SN 그룹 ID를 할당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MN(403)은 SN 그룹 내의 SN들 중에서 연결성이 좋을 것으로 예측되는 SN1(405)을 선택하여 활성화 세컨더리 노드로 지정할 수 있다. 그 외에 스캔닝된 노드들은 비활성화 세컨더리 노드(SN2, …, SNn)로 지정할 수 있다.
MN(403)은 활성화 세컨더리 노드(SN1)(405)와 SN addition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417). 신호 절차는 3GPP 규격 TS 37.340에서 Figure 10.2.2-1의 step 1~2a에 따를 수 있다.
MN(403)은 다수의 비활성화 세컨더리 노드들과 SN addition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419). MN과 비활성화 세컨더리 노드간의 신호 절차는 3GPP 규격 TS 37.340에서 Figure 10.2.2-1 step 1~2a를 따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비활성화 세컨더리 노드들과 UE(405)와의 무선 연결은 수행하지 않는다.
MN(403)은 UE(401)에게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하여 활성화 SN과 비활성화된 SN들의 그룹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421). 일 실시 예에 따라, SN 그룹 정보는 SN 그룹 ID, 및 SN 그룹을 구성하는 SN ID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421).
동작(421)에 대응하여, UE(401)은 MN(403)에게 동작(421)의 메시지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RRC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423).
동작(411) 내지 동작(423)은 도 3의 동작(311)을 구체화한 동작일 수 있다.
UE(401)은 랜덤 액세스 절차에 의하여 활성화 세컨더리 노드(SN1)(405)와 연결될 수 있다(425).
UE(401)은 PDU 세션 설정 및 변경을 위한 비활성화 세컨더리 노드들의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할 수 있다(427). 일 실시 예에 따라, PDU 세션 설정 및 변경을 위한 비활성화 세컨더리 노드들의 정보는 MN(403), 활성화 세컨더리 노드(SN1)(405)와 비활성화 세컨더리 노드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는 AMF/SMF(40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활성화 세컨더리 노드는 UE(401)가 현재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나 잠재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미리 코어 네트워크와의 사용자 데이터 경로를 설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일 실시 예에 따라, 비활성화 세컨더리 노드들의 정보는 UE(401)가 MN(403)과 세컨더리 노드에 동시에 접속되는 다중대역 다중연결망 접속이고 사전에 미리 사용자 데이터 경로를 설정해야 하는 비활성화 SN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비활성화 세컨더리 노드들의 정보는 3GPP TS 23.502의 PDU 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및 PDU Session Modific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비활성화 세컨더리 노드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Multi-Radio Multi-Connectivity indicator, SN 식별자, MN 식별자, SN 그룹 식별자, SN 그룹 리스트, 및 SN-CN deployment type와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PDU 세션 설정 요구 (또는 변경 요구)에 대한 후속 절차는 TS 23.502 4.3.2절의 절차와 동일할 수 있다.
다중대역 다중연결(multi-Radio multi-connectivity0 indicator는 UE(401)가 PDU 세션이 다중대역 다중연결망 접속이며 SN 그룹 관리가 필요함을 코어 네트워크(예: AMF/SMF(408))에게 알리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에서는 다중대역 다중연결 indicator를 수신하고 SN 그룹 관리를 할 수 있다.
SN 식별자는 세컨더리 노드 식별자, MN 식별자는 마스터 노드 식별자이며, UE, MN, SN, 코어 네트워크에서 공유하고 식별할 수 있다.
SN 그룹은 동작(411)에서 MN(403)이 생성한 UE(401)가 핸드오버 될 수 있는 SN들의 집합이며 동작(415)에서 SN 그룹 id와 함께 코어 네트워크에 전달될 수 있다.
SN-CN deployment type은 SN과 CN의 배치 타입을 지시할 수 있다. 3GPP에서 MN과 코어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는 유저 평면(user plane, UP)(N3 인터페이스)와 제어 평면(control plane, CP)(N2 인터페이스)가 모두 허용되지만, 세컨더리 액세스 노드와 코어 네트워크와의 배치 형태는 UP만 허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SN-CN deployment type이 SN-CN UP only이면 SN과 CN와의 UP 인터페이스 N3로 제공되고 CP 인터페이스는 없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SN-CN deployment type이 SN-CN UP with CP이면 SN과 CN은 CP 인터페이스 N2와 UP 인터페이스 N3가 있을 수 있다. SN-CN deployment type이 SN-CN UP only인 경우 동작에 대하여는 도 10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코어 네트워크에서 SN과 데이터 경로를 설정해야 하는 기능 엔티티(SMF, UPF)들에게 SN 그룹 정보를 분배할 수 있다(429). 일 실시 예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는 PDU 세션 마다 SN 그룹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SN 그룹 정보는 PDU 세션 식별자, MN 식별자, Active SN 식별자, SN 그룹 식별자, 및 SN 그룹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427)의 SN-CN deployment type이 SN-CN UP with CP 이면 UPF(408)와 활성화 SN(SN1)(405)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N3 터널을 생성을 할 수 있다(431). SN1(405)은 터널 생성 정보(일 실시예: AN tunnel info, CN tunnel info) 를 MN(403)에게 전달하고 이후 PDU 세션 설정 혹은 변경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동작(431)은 CN과 활성화 SN인 SN1(405)간에 이루어지며 TS 23.502의 그림 4.3.2.2.1-1의 스텝 10a~12, 14와 동일할 수 있다. 도 4의 동작(427) 내지 동작(431)은 도 3의 동작(315)을 구체화한 동작일 수 있다.
UPF(409)는 PDU 세션 설정 혹은 변경 절차를 완료하기 위하여 PDU Session Modification or Establishment Confirmation 메시지를 UE(401)에게 송신할 수 있다(433). 일 실시 예에 따라서, 동작(433)은 TS 23.502 4.3.2절 (또는 4.3.3 절)의 절차와 동일할 수 있다.
UE와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고 SN 그룹에 추가된 다수의 비활성화 SN들 (SN2, …, SNn)은 코어네트워크와 데이터 경로(UPF(409)와 N3 터널)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435). 동작(435)은 CN과 비활성화 SN인 SNn간에 이루어지며 TS 23.502 그림4.3.2.2.1-1의 스텝 10a~12, 14와 동일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UE가 서빙 SN에서 타겟 SN으로 핸드 오버하는 동작에 대한 신호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의 동작(319)을 구체화한 것으로 도 5는 UE(501)에 의하여 활성화 SN을 변경을 시작하기 위한 신호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타겟 SN이 서빙 SN과 동일한 SN 그룹에 존재하지 않는 다면, 동작(511)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동작(511)은 TS 37.340에 있는 10.5.2절 MN initiated SN change 절차의 그림 10.5.2.-1절의 스텝1~3에 대응될 수 있다. 타겟 SN이 서빙 SN과 동일한 SN 그룹에 소속되어 이미 사전에 코어 네트워크와 트래픽 경로 설정이 이루어져 있다면, 동작(513)부터 SN 변경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동작(513)은 MN(503)에 의하여 SN 변경이 수행될 때 MN(503)은 UE(501)에게 ACTIVE SN CHANGE indicator, T-SN의 정보를 RRC 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하여 UE에게 전송할 수 있다(513).
UE(501)은 MN(503)에게 RRC reconfiguration completion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515).
MN(503)이 UE(501)로부터 RRC reconfiguration completion을 수신하면, MN(503)은 ACTIVE SN CHANGE Indicator, S-SN info(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하는 RRC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T-SN(5053)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S-SN info에는 PDU session ID, S-SN ID, serving AN tunnel info(information, 정보), 및 serving CN tunnel info(information,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동작(519)에서, S-SN(5051)과 T-SN(5053)과의 포워딩 터널을 생성하고 UE(501)과 T-SN(5053)의 접속이 완료되기전까지 S-SN(5051)이 수신한 데이터를 T-SN(5053)에게 포워딩할 수 있다.
동작(521)에서, UE(501)과 T-SN(5053)은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하여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동작(523)에서, UE(501)가 코어네트워크의 SMF(509)에게 활성화된 세컨더리 노드의 변경을 알리기 위하여 PDU Session Modifica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PDU Session Modification 메시지는 ACTIVE SN CHANGE Indicator, S-SN id, T-SN id, MN id, SN group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525)에서, SMF(509)는 UPF(508)에게 SN 그룹의 활성화된 세컨더리 노드의 변경을 요구하기 위하여 Session Modification (일실시예: N4 Session modification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Session Modification 메시지는 ACTIVE SN NODE CHANGE Indicator, T-S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ession Modification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SN 그룹의 활성화된 세컨더리 노드의 변경에 따른 베어러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동작(527)은 TS 37.340 10.5.2절 그림 10.5.2-1의 스텝 13~15에 대응될 수 있다.
SMF(509)는 UE(501)에게 PDU Session modification ack(acknowledgement)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529).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N 그룹에서 SN를 선별하기 위한 신호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비활성화 SN 관리 기능에 관한 것으로, SN 그룹이 이미 구성된 상황에서도 다중대역 다중연결망으로 접속한 UE가 서비스를 받는 중에 향후 접속될 수 있는 SN들을 선별하여 SN 그룹의 비활성화 노드로 추가하거나 접속될 가능성이 낮은 SN들을 그룹에서 삭제하기 위하여 UE, 노드, 및 코어네트워크 간의 신호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UE(601)는 무선 신호 측정이 되는 다수의 SN을 스캐닝하여 MN(603)에게 주기적으로 보고하거나 MN(603)이 요청할 때 스캐닝한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611). 동작(611)은 도 7의 동작(711)에 대응될 수 있다.
MN(603)은 비활성화 SN 그룹 변경을 결정할 수 있다(603).
MN(603)은 UE(601)로부터 주변 SN들의 무선 신호를 수집하여 더 나은 무선 상태의 SN으로 활성화 SN의 변경할 수 있다(605). 일 실시 예에 따라, MN(603)은 UE(601)로부터 주변 SN들의 무선 신호를 수집하여 더 나은 무선 상태를 가진 활성화 SN의 변경없이 비활성화 SN들을 SN 그룹에 편입할 수도 있고 기존 비활성화 SN들을 편출시킬 수도 있다. 동작(603), 및 동작(605)은 도 7의 동작(713)내지동작(727)에 대응될 수 있다.
MN(603)은 변경된 비활성화 SN과 UPF 사용자 데이터 터널을 변경할 수 있다(607). 동작(607)은 도 7의 동작(729)내지동작(737)에 대응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SN 그룹을 변경하기 위한 UE, 노드, 및 코어네트워크 간의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MN에 의하여 시작되는 절차로서, SN 그룹들의 편입 혹은 편출되는 SN들의 변경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와의 UP 접속 경로 변경을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UE(701)는 MN(703)과의 UE measurement procedure 설정에 따라 SN 그룹을 구성하는 SN의 무선 신호 스캐닝 측정 보고를 주기적으로 하거나 요청할 때 마다 응답할 수 있다(711). 동작(711)은 도 6의 동작(601)을 구체화한 동작일 수 있다.
MN(703)은 SN 그룹 변경을 결정할 수 있다(713).
MN(703)은 편출 SNa 노드(705)를 그룹에서 삭제하기 위하여 SN 그룹 식별자, PDU 세션 식별자, UPF 주소, 및 N3 터널 정보를 포함한 SN Deletion Request를 SNa(705)에게 송신할 수 있다(715).
동작(715)에 대응하여 MN(703)이 SN Deletion Request를 수신하면 MN(703)은 SN Deletion Reqeust Acknowledge 메시지를 송신하여 SN 그룹의 정보 변경을 완료할 수 있다(717).
MN(703)은 액세스 노드간 데이터 포워딩이 가능하다면, Xn-U address indication 메시지를 송신하여 포워딩 주소 정보를 SNa(705)에게 송신할 수 있다(719).
MN(703)은 편입 SNb 노드를 그룹에 추가하기 위해 SN addition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SN addition Request는 SN 그룹 식별자, PDU 세션 식별자, UPF 주소, 및 MN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721).
SNb(707)는 동작(721)에 대응하여 SN addition Request Ack을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MN(701)은 SN 그룹의 정보 변경을 완료할 수 있다(723).
MN(701)은 액세스 노드간 데이터 포워딩이 가능하다면, 포워딩 주소 정보를 SNb(707)에게 제공할 수 있다(725).
MN(701)은 코어네트워크(예: AMF/SMF(709))에 SN 그룹 구성원의 변경을 알리기 위하여 N2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727). 일 실시 예에 따라, N2 제어 메시지는 PDU Session 식별자, SN group modification indicator, 및 변경된 SN 그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N group modification indicator란, 코어 네트워크에서 SN 그룹의 구성이 변경됨을 알리는 지시자일 수 있다. SN 그룹 정보에는 SNb(707)가 편입되고 SNa(705)가 편출됨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713)내지동작(727)은 도 6의 동작(603), 동작(605)을 구체화한 동작일 수 있다.
SMF(709)는 SN 그룹의 구성 변경에 따라 SMF(709)와 UPF(708)에 저장된 기존의 SN 그룹에서 편출 노드와 편입 노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729).
SMF(709)는 UPF간의 N4 세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731). 구체적으로, UPF(708)와 SNb(707) 간의 N3 인터페이스를 위한 CN tunnel info가 할당되어 있지 않다면 새로 할당할 수 있다. N4 세션 변경 및 설정 절차는 TS 23.502와 동일할 수 있다.
AMF/SMF(709)는 SNb(707)에게 N2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N2 메시지는 PDU session ID, N2 SM inform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N2 SM information은 PDU session ID, QFI(s), PDU session type, 및 CN tunnel info등을 포함할 수 있다(733).
SNb(707)은 동작(733)에서 N2 메시지를 수신하여 N2 SM information을 분석한 후 PDU session에 대한 AN tunnel info를 할당하고 N2 메시지에 포함하여 AMF(709)에게 전송할 수 있다(735).
SMF(709)는 SNa(705)에게 코어 네트워크와의 UP 접속을 비활성화 할 수 있다(737). 동작(737)의 절차는 TS 23.502의 4.3.2절, 그림 4.3.7-1의 스텝 4a에서부터 스텝 9에 대응될 수 있다.
동작(729)내지동작(737)은 동작(607)을 구체화한 동작일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SN 그룹을 변경하기 위한 UE, 노드, 및 코어네트워크 간의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SN들에 의하여 시작되는 절차로서, SN 그룹들의 편입 혹은 편출되는 SN들의 변경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와의 UP 접속 경로 변경을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811)은 도 7의 동작(711)내지동작(719)과 동일한 동작일 수 있고 구체적인 내용은 도 7의 동작(711)내지동작(719)와 동일한 바 생략할 수 있다.
SNa(805)는 코어 네트워크(예: AMF/SMF(809))에 SN 그룹 구성원에서 편출됨을 알리기 위해 N2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813). 일 실시 예에 따라, N2 메시지는 PDU Session 식별자, SN group id, Inactive SN deletion indicator, 및 SM inform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Inactive SN detection indicator는 SN 그룹에서 SNb(807)가 편출됨을 알리는 지시자일 수 있다. SN information는 AN tunnel info, CN tunnel info를 포함할 수 있다.
SNa(805)는 SNa(807)과 코어 네트워크 간의 UP connection path를 해제할 수 있다(815). 동작(815)는 3GPP TS 23.502 4.3.2절 그림 4.3.7-1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MN(803)은 편입 SNb(807) 노드를 그룹에 추가하기 위해 SN Addi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817). 일 실시 예에 따라, SN Addition Request 메시지는 SN 그룹 식별자, PDU 세션 식별자, UPF 주소, 및 MN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817)에 대응하여 MN(803)이 SN Addition Request Ack를 수신하면 MN(803)은 SN group의 정보 변경을 완료할 수 있다(819).
MN(803)은 액세스 노드간 데이터 포워딩이 가능하다면, 포워딩 주소 정보를 SN에 송신할 수 있다(821).
SNb(807)은 코어네트워크에 SN 그룹 구성원에 편입됨을 알리기 위해 N2 메시지를 코어 네트워크에게 전송할 수 있다(823). 일 실시 예에 따라, N2 메시지는 PDU Session 식별자, SN group id, Inactive SN addition indictor, 및 SM inform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SNb(807)은 SNb(807)과 코어 네트워크 간의 UP 경로를 위한 AN tennel을 할당할 수 있다. SN information는 AN tunnel info를 포함할 수 있다. Inactive SN addition indicator는 SN 그룹에서 SNa(805)가 편입됨을 알리는 지시자일 수 있다.
SNb(807)은 SNb(807)과 코어 네트워크 간의 UP connection path를 설정할 수 있다(825). 동작(825)는 3GPP TS 23.502 4.3.2절 그림 4.3.7-1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UE가 서빙 SN에서 타겟 SN으로 핸드 오버하는 동작에 대한 신호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액세스 노드(access node, AN)에 의하여 활성화 SN을 변경을 시작하기 위한 신호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T-SN(9053)은 Path switch request를 AMF(909)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Path switch request는 ACTIVE NODE CHANGE indicator, PDU session ID, N2 SM information, S-SN ID, 및 T-SN ID를 포함할 수 있다.
AMF(909)는 S-SN(9051)에서 T-SN(9053)으로 경로 변경이 완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Path switch confirm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Path switch confirm은 ACK 또는 NACK, 및 CN tunnel info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SN과 코어 네트워크 간 UP만 연결된 배치에서 SN과 코어네트워크 간의 UP 터널 생성을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SN과 코어 네트워크가 UP만 연결되고 CP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 SN과 코어네트워크 간의 UP 터널을 생성하기 위해 MN의 도움으로 코어 네트워크와의 제어 메시지 교환을 도시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동작(1011)은 도 4의 동작(411) 내지 동작(425)과 동일한 동작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UE(1001)은 코어 네트워크로 N1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1013). 일 실시 예에 따라, N1 메시지는 PDU Session Establishment or Modification request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N1 메시지는 SN-CN UP ONLY type으로 설정된 SN-CN deployment type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1015)은 도 7의 동작(719)와 동일한 동작일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예: AMF/SMF(1009))는 동작(1013)의 N1 메시지에 대응하기 위하여 N1 메시지를 포함하는 N2 PDU Session request를 전송할 수 있다(1017). 일 실시 예에 따라, N1 메시지는 SN들을 위한 N3 UP 터널 생성을 MN에게 요구하기 위해 SN Tunnel creation request를 포함할 수 있다.
MN(1003)은 UE(1001)에게 PDU Session Modification Confirmation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1019) PDU Session Modification Confirmation은 동작(1013)의 메시지에 대응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동작(1017)의 메시지에 포함된 동작(1013)의 메시지에 포함된 N1 컨테이너를 전달할 수 있다. 동작(1019)는 3GPP TS 23.502와 동일할 수 있다.
MN(903)은 SN그룹을 구성하는 SN들과 코어 네트워크의 UPF(908)와의 N3 UP 터널 생성을 요청하기 위해 N2 message를 코어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1021). 일 실시 예에 따라, N2 메시지는 SN group N3 tunnel creation request, SN group AN tunnel info table을 포함할 수 있다.
SN group AN tunnel info table은 SN1…SNn마다 각 N3터널을 식별하는 AN 터널 식별자들의 집합일 수 있다.. 동작(1011)의 4, 및 5의 절차에서 SN들이 AN tunnel 식별자를 할당하여 MN(1003)에게 전달한다. MN(1003)은 SN group AN tunnel info table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SN group AN tunnel info table은 동작(1021)의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예: AMF/SMF(909))는 SN group CN Tunnel info를 포함하는 N2 메시지를 MN(903)에게 송신할 수 있다(1023). 즉, 코어 네트워크에서 SN group N3 tunnel creation request을 수신하면 SN group AN tunnel info table에 명시된 SN들의 N3 터널 생성을 위해 AN 터널 식별자와 대응하는 CN 터널 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다.
MN(903)은 SN 그룹에 포함된 SN1(1005)에게 코어 네트워크에서 할당한 N3 CN 터널의 정보를 포함하는 SN Node Modification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1025). 동작(1025) 이후 SN1(1005)과 코어네트워크 간의 N3 터널이 생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각 SN에 대하여 동작(1025)을 수행하여 SN1(1005)외에 SN 그룹에 포함된 각 SN 모두에게 SN Node Modification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동작(1027)은 SNn에 대한 SN Node Modification 메시지를 전달하는 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도 11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UE는 UE 주변에서 무선 신호가 측정되는 복수의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를 스캐닝할 수 있다(1101).
UE는 스캐닝한 결과를 MN(master node, MN)에게 송신할 수 있다(1103). 일 실시 예에 따라, 스캐닝한 결과를 송신하는 동작(1103)은 스캐닝한 결과를 주기적으로 보고하거나 상기 MN이 요청하는 경우 상기 스캐닝한 결과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SN 그룹에 관한 정보를 MN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1105).
동작(1101), 동작(1103), 및 동작(1105)은 도 3의 동작(311)에 대응되고, 도 4의 동작(411) 내지 동작(423)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 3의 동작(311), 도 4의 동작(411) 내지 동작(423)에 도시되어 있다.
UE는 SN 그룹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활성화 SN에 접속할 수 있다(1107). 일 실시 예에 따라, 활성화 SN에 접속하는 과정은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절차에 따라 접속할 수 있다.
동작(1107)은 도 3의 동작(313)에 대응되고, 도 4의 동작(425)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 3의 동작(313), 도 4의 동작(425)에 도시되어 있다.
UE(401)는 CN에게 PDU 세션을 설정하고 변경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1109). 일 실시 예에 따라, PDU 세션을 설정하고 변경하기 위한 메시지는 다중대역 다중연결(multi-radio multi-connectivity) 인디케이터, SN 식별자, MN 식별자, SN 그룹 식별자, SN 그룹 정보, 및 SN-CN 배치 타입(deployment type)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SN-CN 배치 타입이 SN-CN UP with CP이면 UPF와 활성화 SN과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N3 터널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PDU 세션을 설정하고 변경하기 위한 메시지는 활성화 SN 변경 인디케이터, 서빙-SN 식별자, 타겟-SN 식별자, MN 식별자, 및 SN 그룹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1109)은 도 3의 동작(315)에 대응될 수 있고, 도 4의 동작(427)내지 동작(431)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 3의 동작(315), 도 4의 동작(427) 내지 동작(43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노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MN는 UE(user equipment, UE)로부터 복수의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에 대하여 스캐닝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1201).
MN는 스캐닝한 결과를 기반으로 SN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1203). 일 실시 예에 따라, SN 그룹에 대한 정보는 SN 그룹 식별자, SN 그룹을 구성하는 식별자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MN는 SN 그룹에 관한 정보를 UE에게 송신할 수 있다(1205).
동작(1201), 동작(1203), 및 동작(1205)은 도 3의 동작(311)에 대응되고, 도 4의 동작(411) 내지 동작(423)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 3의 동작(311), 도 4의 동작(411) 내지 동작(423)에 도시되어 있다.
MN는 CN(core network, CN)으로부터 PDU 세션을 설정 및 변경을 완료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1207). 동작(1207)은 도 3의 동작(315)에 대응될 수 있고, 도 4의 동작(427)내지 동작(435)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 3의 동작(315), 도 4의 동작(427) 내지 동작(435)에 도시되어 있다.
MN는 동작(1207)의 메시지를 기반으로 활성화 SN을 변경할 수 있다(1209). 일 실시 예에 따라, UE에게 RRC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RRC Reconfiguration 메시지는 활성화 SN 변경 인디케이터, 및 T-SN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활성화 SN을 변경하는 과정은, MN이 UE로부터 RRC reconfiguration completion을 수신하면, 타겟 SN에게 S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SN Reconfiguration 메시지는 활성화 SN 변경 인디케이터, 서빙-S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빙 SN 정보는 PDU 세션 식별자, 서빙-SN 식별자, 서빙 AN(access node) 터널 정보, 및 서빙 CN 터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1109)은 도 3의 동작(319)에 대응될 수 있고, 도 5의 동작(511)내지 동작(529)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 3의 동작(317), 도 4의 동작(511) 내지 동작(529)에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MN은 SN 그룹을 변경할 수 있다. SN 그룹을 변경하는 과정은, SN 삭제 요청 메시지를 활성화 SN에게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SN 삭제 요청 메시지는 SN 그룹 식별자, PDU 세션 식별자, UPF 주소, 및 N3 터널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MN이 상기 UE로부터 RRC Reconfiguration completion을 수신하면, 타겟 SN에게 S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SN Reconfiguration 메시지는 활성화 SN 변경 인디케이터, 서빙-S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빙 SN 정보는 PDU 세션 식별자, 서빙-SN 식별자, 서빙 AN(access node) 터널 정보, 및 서빙 CN 터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MN은 SN 그룹을 변경할 수 있다. SN 그룹을 변경하는 과정은, SN 삭제 요청 메시지를 활성화 SN에게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SN 삭제 요청 메시지는 SN 그룹 식별자, PDU 세션 식별자, UPF 주소, 및 N3 터널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SN 그룹을 변경하는 과정은, SN 삭제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MN가 SN 삭제 요청 ACK(acknowledge)를 수신하면, 상기 MN은 SN 그룹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과, 포워딩 주소 정보를 SN에게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CN은 단말(user equipment, UE)로부터 PDU 세션을 설정하고 변경하기 위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1301). 동작(1301)은 도 3의 동작(315)에 대응될 수 있고, 도 4의 동작(427)내지 동작(435)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 3의 동작(315), 도 4의 동작(427) 내지 동작(435)에 도시되어 있다.
CN은 동작(1301)의 메시지를 기반으로 활성화(active)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와 CN 간에 사용자 평면(user plane, UP)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1303).
CN은 동작(1301)의 메시지를 기반으로 비활성화(inactive)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와 CN 간에 사용자 평면(user plane, UP)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1305).
CN은 UE에게 PDU 세션을 설정 및 변경을 완료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1307).
동작(1303) 내지 동작(1307)은 도 3의 동작(315) 내지 동작(317)에 대응될 수 있고, 도 4의 동작(427) 내지 동작(435)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 3의 동작(315) 내지 동작(317), 도 4의 동작(427) 내지 동작(435)에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CN은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및 UPF(user plane function)에게 SN 그룹에 대한 정보를 분배할 수 있다. SN 그룹에 대한 정보는 각 PDU 세션마다 관리되고, SN 그룹에 대한 정보는 PDU 세션 식별자, MN 식별자, 활성화 SN 식별자, SN 그룹 식별자, 및 SN 그룹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CN은 MN으로부터 SN 그룹 구성원의 변경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SN 그룹 구성원의 변경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는 PDU 세션 식별자, SN 그룹 수정 인디케이터, 및 변경된 SN 그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N 그룹 수정 인디케이터는 CN에게 상기 SN 그룹의 구성이 변경됨을 알리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상, 본개시는 3GPP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커버리지가 좁고 불안정한 무선 전송 특징을 가진 Sub-Thz 대역을 세컨더리 노드로 사용하는 다중대역 다중연결망 환경에서 저지연을 요구하는 멀티미디어 대용량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이동성도 보장하고자 할 때 고밀도 액세스 노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세컨더리 노드들을 액세스 노드와 코어 네트워크에서 집단 관리를 하고 사용자의 이동을 고려하여 사전에 코어 네트워크와 비활성화된 액세스 노드간의 데이터 패스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사용자의 이동시 잦은 활성화된 SN의 변경으로 인한 액세스 노드 간 혹은 코어 네트워크와의 제어 신호 절차의 지연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V2X(vehicle to everything)와 같은 사용자 이동 경로에 따라 잦은 세컨더리 노드 변경이 요구되는 시스템에서 저지연을 요구하는 멀티미디어 대용량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이동성도 보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은 단말(terminal) 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노드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액세스 노드는 무선통신부 1410, 백홀통신부 1420, 저장부 1430, 제어부 144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 14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 14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무선통신부 14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통신부 14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무선통신부 14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 14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 14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통신부 1410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antenna elements)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무선통신부 1410은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및 아날로그 유닛(analog uni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다수의 서브 유닛(sub-unit)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 14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부 14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transmitter)', '수신부(receiver)' 또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무선통신부 2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백홀통신부 1420은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통신부 1420은 액세스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다른 접속 노드, 다른 기지국, 상위 노드,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저장부 1430은 노드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143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1430은 제어부 14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 1440은 노드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1440은 무선통신부 1410를 통해 또는 백홀통신부 1420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1440은 저장부 14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 144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 예에 따라, 프로토콜 스텍은 무선통신부 141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144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1440은 노드(예: 마스터 노드, 세컨더리 노드)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노드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5을 참고하면, 단말은 통신부 1510, 저장부 1520, 제어부 1530를 포함한다.
통신부 15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15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통신부 15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통신부 3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통신부 15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15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15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1510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통신부 1510은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는 하나의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은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1510은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 15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 3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통신부 3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저장부 1520은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152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1520은 제어부 15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 1530은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1530은 통신부 1510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1530은 저장부 15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 153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톨 스택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153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 1510의 일부 및 제어부 1530은 CP(communication processor)라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1530은 단말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ser equipment, UE)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UE 주변에서 무선 신호가 측정되는 복수의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를 스캐닝하는 과정과,
    상기 스캐닝한 결과를 MN(master node, MN)에게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스캐닝한 결과에 기반하여 생성된 SN 그룹에 관한 정보를 MN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SN 그룹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활성화 SN에 접속하는 과정과,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에게 PDU 세션을 설정하고 변경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한 결과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스캐닝한 결과를 주기적으로 보고하거나 상기 MN이 요청하는 경우 상기 스캐닝한 결과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SN에 접속하는 과정은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절차에 따라 접속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PDU 세션을 설정하고 변경하기 위한 메시지는 다중 대역 다중연결(multi-radio multi-connectivity) 인디케이터, SN 식별자, MN 식별자, SN 그룹 식별자, SN 그룹 정보, 및 SN-CN 배치 타입(deployment type)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SN-CN 배치 타입이 SN-CN UP with CP이면 UPF와 활성화 SN과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N3 터널을 생성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DU 세션을 설정하고 변경하기 위한 메시지는 활성화 SN 변경 인디케이터, 서빙-SN 식별자, 타겟-SN 식별자, MN 식별자, 및 SN 그룹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UE(user equipment, UE)로부터 복수의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에 대하여 스캐닝한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스캐닝한 결과를 기반으로 SN 그룹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SN 그룹에 관한 정보를 UE에게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CN(core network, CN)으로부터 PDU 세션을 설정 및 변경을 완료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를 기반으로 활성화 SN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SN 그룹은 SN 그룹 식별자가 할당되는,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SN 그룹에 대한 정보는 SN 그룹 식별자, SN 그룹을 구성하는 식별자 리스트를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활성화 SN을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UE에게 RRC 재구성(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RRC 재구성 메시지는 활성화 SN 변경 인디케이터, 및 T-SN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활성화 SN을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MN이 상기 UE로부터 RRC reconfiguration completion을 수신하면, 타겟 SN에게 S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SN Reconfiguration 메시지는 활성화 SN 변경 인디케이터, 서빙-SN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빙 SN 정보는 PDU 세션 식별자, 서빙-SN 식별자, 서빙 AN(access node) 터널 정보, 및 서빙 CN 터널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SN 그룹을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SN 그룹을 변경하는 과정은, SN 삭제 요청 메시지를 활성화 SN에게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SN 삭제 요청 메시지는 SN 그룹 식별자, PDU 세션 식별자, UPF 주소, 및 N3 터널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SN 그룹을 변경하는 과정은,
    SN 삭제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MN가 SN 삭제 요청 ACK(acknowledge)를 수신하면, 상기 MN은 SN 그룹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과,
    포워딩 주소 정보를 SN에게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단말(user equipment, UE)로부터 PDU 세션을 설정하고 변경하기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를 기반으로 활성화(active)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와 CN 간에 사용자 평면(user plane, UP)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를 기반으로 비활성화(inactive)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와 CN 간에 사용자 평면(user plane, UP)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UE에게 PDU 세션을 설정 및 변경을 완료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및 UPF(user plane function)에게 SN 그룹에 대한 정보를 분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SN 그룹에 대한 정보는 각 PDU 세션마다 관리되고,
    상기 SN 그룹에 대한 정보는 PDU 세션 식별자, MN 식별자, 활성화 SN 식별자, SN 그룹 식별자, 및 SN 그룹 리스트를 포함하는,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MN으로부터 SN 그룹 구성원의 변경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SN 그룹 구성원의 변경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는 PDU 세션 식별자, SN 그룹 수정 인디케이터, 및 변경된 SN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SN 그룹 수정 인디케이터는 CN에게 상기 SN 그룹의 구성이 변경됨을 알리는 정보가 포함되는, 방법.
KR1020220158250A 2021-11-29 2022-11-23 다중대역 다중연결망에서 저지연 서비스를 위하여 액세스 노드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30080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70,677 US20230171832A1 (en) 2021-11-29 2022-11-29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managing access nodes for low-latency service in multi-radio multi-connectivity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042 2021-11-29
KR20210167042 2021-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319A true KR20230080319A (ko) 2023-06-07

Family

ID=86761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250A KR20230080319A (ko) 2021-11-29 2022-11-23 다중대역 다중연결망에서 저지연 서비스를 위하여 액세스 노드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03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79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ovement of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10253453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접속 기술을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8956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arri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13381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re network node selection method, and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used therefor
US20220279391A1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ditional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4491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04652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CN109155955A (zh) 用于控制无线网络中的移动性的方法和装置
WO2011082693A1 (zh) 多模终端的资源分配方法和装置
CN111279750B (zh) 终端装置以及终端装置切换数据传输路径的方法
US10750422B2 (en) Method for handover between inter-RAT cells and apparatus
KR2020009995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20353776A1 (en)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link fail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8174422B (zh) 高低频切换方法、配置终端的方法及装置
KR20230080319A (ko) 다중대역 다중연결망에서 저지연 서비스를 위하여 액세스 노드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08581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30171832A1 (e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managing access nodes for low-latency service in multi-radio multi-connectivity network
KR102552869B1 (ko)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lte 및 nr 액세스간 트래픽 경로 제어를 위한 기구 및 방법
WO2024066812A1 (zh) 小区切换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120040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voice service qua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2133785A1 (zh) 一种iab节点的mt的小区配置方法及装置
US202302173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voice service qua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7837211A (zh) 移动无线通信系统中用于辅基站变更的方法和装置
KR2024002386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0843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조건 기반 daps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