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917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917B1
KR102344917B1 KR1020170083718A KR20170083718A KR102344917B1 KR 102344917 B1 KR102344917 B1 KR 102344917B1 KR 1020170083718 A KR1020170083718 A KR 1020170083718A KR 20170083718 A KR20170083718 A KR 20170083718A KR 102344917 B1 KR102344917 B1 KR 102344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terminal
node
information
belo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173A (ko
Inventor
백영교
강충구
양찬석
손중제
김성훈
이준만
이호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3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917B1/ko
Priority to US16/024,163 priority patent/US10631218B2/en
Publication of KR20190003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04W36/0044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of quality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5Determin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Abstract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를 결정하는 과정과,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에게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disclosure)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5G 통신 시스템에서, 면허 대역을 통한 네트워크와 비면허 대역을 통한 네트워크가 공존하는 상황에서, 단말이 면허 대역을 통한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로부터 비면허 대역을 통한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에게 핸드오버하기 위한 상세한 절차가 제시되지 못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의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게 아직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한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를 결정하는 과정과,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에게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방법은 단말에게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에 따라, 상기 단말의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로부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에게로의 핸드오버를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를 결정하고,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에게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단말에게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송신에 따라 상기 단말의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로부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에게로의 핸드오버를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단말의 이동성 패턴(mobility pattern) 및 단말 주변의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핸드오버 정책을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세션의 QoS(quality of service) 버짓(budget)을 보장하고, 핸드오버에 따른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를 결정함으로써, 단말이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를 탐색하기 위해 소모되는 시간 및 단말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단말의 데이터 세션 설정 절차를 트리거링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단말에게 아직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한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를 송신함으로써, 데이터 손실에 따른 데이터 송신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준비(handover preparation) 절차를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결정(handover decision) 절차를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실행(handover execution) 절차를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완료(handover completion) 절차를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2a 및 1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들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 13a 내지 13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2 네트워크에 대한 TAL(tracking area list)을 도시한다.
도 14a 및 1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본 방식 대비 성능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5a 및 15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AL에 따른 성능 그래프를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를 지칭하는 용어, 신호를 지칭하는 용어, 채널을 지칭하는 용어, 제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들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일부 통신 규격(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110, 소스 노드 120, 타겟 노드 130, 접속 경유 노드 140,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 세션 관리 노드 160, 사용자 평면 노드 170, 및 네트워크 180을 예시한다. 도 1은 하나의 단말만을 도시하나, 단말 1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단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단말 110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소스 노드 120 또는 타겟 노드 13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 단말 110은 사용자의 관여 없이 운영될 수 있다. 즉, 단말 110은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아니할 수 있다. 단말 110은 단말(terminal) 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소스 노드 120 및 타겟 노드 130 각각은 단말 110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이다. 소스 노드 120은 제1 네트워크에 속하며, 제1 RAT(radio access technology)를 통해 단말 1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소스 노드 120은 제2 네트워크에 속할 수 있다. 타겟 노드 120은 제2 네트워크에 속하며, 제2 RAT를 통해 단말 1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제1 네트워크는 면허 대역을 이용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할 있다. 제1 네트워크는 셀룰러 통신을 이용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는 LTE 또는 5G 통신을 이용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는 그 기술적 의미에 따라 "3GPP 네트워크"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명칭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제2 네트워크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는 비셀룰러 통신을 이용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는 신뢰되거나(trusted) 신뢰되지 않을 수 있다(untrusted). 여기서, 신뢰되는 제2 네트워크는 보안 수준이 높은 제2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신뢰되지 않는 제2 네트워크는 보안 수준이 낮은 제2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는 WiFi(wireless fidelity)를 이용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는 그 기술적 의미에 따라 "비(non)-3GPP 네트워크"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명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소스 노드 120 및 타겟 노드 130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거리에 기초하여 일정한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되는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진다. 소스 노드 120 및 타겟 노드 130은 기지국(base station),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접속 경유 노드 140은 단말 110이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코어 망은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과 사용자 평면 노드 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접속 경유 노드 140은 소스 노드 120과 동일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속할 수 있다. 접속 경유 노드 140은 그 기술적 의미에 따라 "N3IWF(non 3GPP interworking function)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단말 110의 네트워크 접속과 단말 110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소스 노드 120과 타겟 노드 130 모두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단말 110의 소스 노드 120으로부터 타겟 노드 130에게로의 핸드오버를 관리할 수 있다.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그 기술적 의미에 따라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세션 관리 노드 160은 단말 110과 소스 노드 120 또는 타겟 노드 130 간 데이터 세션을 관리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세션 관리 노드 160은 해당 데이터 세션을 위한 사용자 평면 노드 170을 선택할 수 있다. 세션 관리 노드 160은 그 기술적 의미에 따라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 평면 노드 170은 IP(internet protocol)의 앵커(anchor)로 기능한다. 사용자 평면 노드 170은 그 기술적 의미에 따라 "UPF(user plane function)"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네트워크 180은 하향링크로 전송할 데이터를 사용자 평면 노드 170에게 전달한다. 네트워크 180은 단말 110이 송신한 데이터를 사용자 평면 노드 170으로부터 전달 받는다.
도 1에서, 단말 110, 소스 노드 120, 타겟 노드 130, 접속 경유 노드 140,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 세션 관리 노드 160, 사용자 평면 노드 170, 및 네트워크 180은 각각의 노드로 표현되었지만, 적어도 하나의 노드는 하나의 노드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단말 110, 소스 노드 120, 타겟 노드 130, 접속 경유 노드 140,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 세션 관리 노드 160, 사용자 평면 노드 170, 및 네트워크 180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DN(software defined networking)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성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예시된 구성은 단말 11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단말 110은 통신부 210, 저장부 220, 제어부 230를 포함한다.
통신부 2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2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통신부 2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볼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통신부 2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통신부 2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2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2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210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통신부 310은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는 하나의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210은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310은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210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210은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 WiFi, WiGig(WiFi Gigabyte), 셀룰러 망(예: 5G, NR,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5GHz, 5G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 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 2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통신부 2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저장부 220은 단말 11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22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220은 제어부 2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 230은 단말 11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230은 통신부 210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230은 저장부 2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 23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코톨 스택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23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 210의 일부 및 제어부 230은 CP(communication processor)라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230은 단말 110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들 간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 230은 제1 네트워크에 속하는 소스 노드 120으로부터 제2 네트워크에 속하는 타겟 노드 130에게로의 핸드오버 여부를 판단하고,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2 네트워크에 속하는 노드들 중 타겟 노드 130을 선택하고, 타겟 노드 130으로의 핸드오버에 필요한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30은 단말 110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는 통신부 310, 저장부 320, 제어부 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 예시된 구성은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의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 310은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통신부 310은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즉, 통신부 310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 310은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저장부 320은 상위 노드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부 320은 제어부 3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 330은 상위 노드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330은 통신부 31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330은 저장부 3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 330은 단말 110의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하고, 단말 110의 데이터 세션 설정을 트리거링하는 핸드오버 트리거링 결정부 3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핸드오버 트리거링 결정부 532는 저장부 320에 저장된 명령어 집합 또는 코드로서, 적어도 일시적으로 제어부 330에 상주된(resided) 명령어/코드 또는 명령어/코드를 저장한 저장 공간이거나, 또는, 제어부 330를 구성하는 회로(circuitry)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340은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가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은 단말 11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401 단계에서, 단말 110은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으로부터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핸드오버 준비(handover preparation) 절차를 통해, 단말 110은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 세션에 대한 식별자, 데이터 세션에 대한 무선 품질(예: QoS(quality of service)), 단말 110 주변의 제2 네트워크에 대한 타겟 노드 목록, 및 핸드오버의 트리거링을 위한 타이머를 수신할 수 있다.
403 단계에서, 단말 110은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을 결정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핸드오버 결정(handover decision) 절차를 통해, 단말 110은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세션에 대한 무선 품질을 확인하고, 데이터 세션에 대한 무선 품질에 기반하여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을 결정할 수 있다.
405 단계에서, 단말 110은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으로부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에게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핸드오버 실행(handover execution) 절차를 통해, 단말 110은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으로부터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핸드오버 완료(handover completion) 절차를 통해, 단말 110은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에게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 110으로부터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에게 이미 송신되거나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으로부터 상기 단말 110에게 이미 송신된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에 대한 정보가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으로부터 사용자 평면 노드 170에게 송신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501 단계에서,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단말 110에게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핸드오버 준비 절차를 통해,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단말 110의 이동성 패턴(mobility pattern), 단말 110 주위의 적어도 하나의 타겟 노드에 대한 정보, 단말 110이 핸드오버하기 위한 데이터 세션과 관련된 정보, 및 단말 110의 측정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단말 110의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할 것을 결정하고,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503 단계에서,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단말 110의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으로부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에게로의 핸드오버를 처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핸드오버 실행 절차를 통해,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단말 110에게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601 단계에서, 단말 110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노드들과 핸드오버 준비 절차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단말 110의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단말 110에게 핸드오버 트리거링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핸드오버 준비 절차는 현재 단말 110이 연결된 소스 노드와 핸드오버할 타겟 노드의 종류에 관계 없이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의 주도(lead)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오버 준비 절차는 현재 단말 110이 연결된 소스 노드와 핸드오버할 타겟 노드가 제1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제2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의 주도 하에 수행될 수 있다. 601 단계의 핸드오버 준비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하기 도 7에서 설명된다.
603 단계에서, 단말 110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노드들과 핸드오버 결정 절차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110은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을 탐색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 110은 탐색된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에게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단말 110이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에게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말 110은 타겟 노드 등록 절차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단말 110은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에게 핸드오버 트리거링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603 단계의 핸드오버 결정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하기 도 8에서 설명된다.
605 단계에서, 단말 110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노드들과 핸드오버 실행 절차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110은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으로부터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트리거링할 것을 지시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단말 110은 상기 요청을 수신함에 응답하여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에게 데이터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세션은 PDU(protocol data unit) 세션이라 지칭될 수 있다. PDU는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반체(예: 패킷, 프레임)를 의미할 수 있다. 605 단계의 핸드오버 실행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하기 도 9에서 설명된다.
607 단계에서, 단말 110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노드들과 핸드오버 완료 절차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110은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과의 데이터 세션 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110은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으로부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과의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수락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단말 110은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에게로의 데이터 전송을 중지하고,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과의 데이터 세션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에, 세션 관리 노드 160은 사용자 평면 노드 170에게 데이터 포워딩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포워딩 요청은 아직 단말 110에게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한 포워딩의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평면 노드 170은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에게 단말 110에게로의 데이터 송신을 중지할 것을 지시하기 위한 종료 마커(end marker)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은 사용자 평면 노드 170에게 데이터 포워딩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포워딩 응답은 아직 단말 110에게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단말 110은 사용자 평면 노드 170으로부터 아직 수신하지 못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과의 데이터 세션을 종료할 수 있다. 607 단계의 핸드오버 완료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하기 도 10에서 설명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준비 절차를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한다.
도 7을 참고하면, 701 단계에서,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단말 110의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할 것을 결정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하기 <표 1>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단말 110의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정보 정보의 상세 파라미터 획득 방법
이동성 패턴 단말 110의 이동 속도 -주기적으로 또는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이 단말에게 이동성 패턴 업데이트 절차를 트리거링하여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10이 자체적으로 이동성 패턴 업데이트하여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10의 잔여 전력량
면허 대역을 통한 데이터 소모량
단말이 속한 트래킹 영역
단말 110 주변의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과 동일한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에 연결된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가 단말 110 주변에 존재하는지 여부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과 접속 경유 노드 140 간 인터페이스(예: N2)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신뢰되지 않는 제2 네트워크의 경우,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이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지 못할 수 있다.
-핸드오버 트리거링 전,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의 트래픽 부하량을 확인함으로써, 허가 제어(admission control)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110 주변의 모든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들의 트래픽 부하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핸드오버 트리거링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과 동일한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에 연결된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의 트래픽 부하량
단말 110에게 할당된 제2 네트워크에 대한 TAL(tracking area list) 정보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단말 110에게 제2 네트워크에 대한 TAL을 할당할 수 있다.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단말 110에게 할당한 제2 네트워크에 대한 TAL 단위로 단말 110에게 핸드오버 정책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단말 110에게 할당된 제2 네트워크에 대한 TAL이 변경될 때마다,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핸드오버 트리거링 요청을 통해 업데이트된 핸드오버 정책을 제공할 수 있다.
-단말 110에게 어떠한 TAL이 할당되고, 할당된 TAL에 따라 어떠한 핸드오버 정책이 제공되느냐에 따라 핸드오버 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
핸드오버하기 위한 PDU 세션과 관련된 정보 QoS 프로파일(GRB(guaranteed bit rate)/비(non) GRB)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과 세션 관리 노드 160 간 인터페이스(예: N11)을 통해 획득 가능
단말 110의 측정 정보 -신호 세기에 의한 측정 이벤트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의 트래픽 부하량
단말 110이 주기적으로 주변 셀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 110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 110의 이동성 패턴에 대한 파라미터 값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단말 110의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의 트래픽 부하량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단말 110의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QoS 프로파일에 대한 파라미터 값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단말 110의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특정 이벤트 또는 특정 시간에 단말 110의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들에서,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단말 110의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하지 않을 것을 결정하는 경우,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과의 연결을 유지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701 단계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들에서,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단말의 이동성 패턴 및 단말 주변의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110을 위한 핸드오버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
703 단계에서,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단말 110에게 핸드오버 트리거링 요청을 송신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핸드오버 트리거링 요청은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을 통해 단말 110에게 송신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핸드오버 트리거링 요청은 하기 <표 2>의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필수 여부 용도 비고
PDU 세션의 식별자 필수 단말 110이 핸드오버하기 위한 PDU 세션의 식별자를 제공할 수 있다. PDU 세션의 식별자가 송신되지 않는 경우, 모든 PDU 세션들에 대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될 수 있다.
PDU 세션 별 QoS 프로파일 필수 단말 110이 핸드오버를 결정하기 위한 필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세션 관리 노드 160으로부터 전달 받은 PDU 세션 별 QoS 프로파일을 단말 11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에 대한 타겟 노드 목록 선택 -단말 110 주변의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를 탐색하기 위한 부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에 대한 허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타겟 노드 목록은 타겟 노드 목록 내의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들에 대한 핸드오버 우선 순위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노드 목록 내의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들은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과 동일한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타겟 노드 목록은 단말 110의 이동성 패턴, 단말 110 주변의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핸드오버하기 위한 PDU 세션과 관련된 정보, 및 단말 110의 측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단말 110에게 타겟 노드 목록 내의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만을 선택하도록 지시하여, 허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핸드오버 트리거링을 위한 타이머 선택 단말 110에게 핸드오버 트리거링 요청에 포함된 정보가 유효한 시간을 알려줄 수 있다. 핸드오버 트리거링을 위한 타이머는 핸드오버 트리거링 이후 단말 110의 핸드오버 결정까지 걸리는 시간에 제한을 두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단말 110에게 단말의 이동성 패턴 및 단말 주변의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핸드오버 정책을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세션의 QoS 버짓(budget)을 보장하고, 핸드오버에 따른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핸드오버 정책은 제2 네트워크에 대한 타겟 노드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결정 절차를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한다.
도 8을 참고하면, 801 단계에서, 단말 110은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을 탐색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 110이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으로부터 제2 네트워크에 대한 타겟 노드 목록을 제공받는 경우, 단말 110은 제2 네트워크에 대한 타겟 노드 목록을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을 탐색할 수 있다. 즉, 제2 네트워크에 대한 타겟 노드 목록이 제공됨으로써, 단말 110이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을 탐색하기 위해 소모되는 시간 및 단말 110의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이 제2 네트워크에 대한 타겟 노드 목록을 제공함으로써, 단말 110에게 최적의 핸드오버 정책을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단말 110이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으로부터 제2 네트워크에 대한 타겟 노드 목록을 제공받지 않는 경우, 단말 110은 자신 주변의 모든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들을 탐색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110은 접속 경유 노드 140의 존재를 확인하고,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과 접속 경유 노드 140이 동일한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 또는 PLMN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803 단계에서, 단말 110은 탐색된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에게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 110은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을 통한 PDU 세션의 식별자 별로 핸드오버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110은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에 대한 무선 품질을 확인하여, 핸드오버하기 위한 PDU 세션에 대한 QoS가 특정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에 대한 무선 품질은 무선 채널에 대한 접속 지연 시간, 신호 세기, 및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 110은 핸드오버 트리거링 요청에 포함된 정보 및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에 대한 무선 품질에 기반하여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에게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 110은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에게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에게 핸드오버함을 허용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한하여, 단말 110은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에게 핸드오버함을 결정할 수 있다.
805 단계에서, 단말 110이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말 110은 타겟 노드 등록 절차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 110은 접속 경유 노드 140을 통해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에게 타겟 노드 등록 요청을 송신함으로써,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에 등록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단말 110이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에게 등록되어 있는 경우, 807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807 단계에서, 단말 110은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에게 핸드오버 트리거링 응답을 송신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핸드오버 트리거링 응답은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을 통해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에게 송신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핸드오버 트리거링 응답은 PDU 세션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들에서, 803 단계에서 단말 110이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에게 핸드오버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핸드오버 트리거링 응답은 핸드오버에 대한 NACK(negative acknowledg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핸드오버에 대한 NACK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트리거링 응답을 수신한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다시 도 7의 70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실행 절차를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한다.
도 9를 참고하면, 901 단계에서, 단말 110은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으로부터 PDU 세션의 설정을 트리거링할 것을 지시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110은 PDU 세션의 설정을 트리거링할 것을 지시하기 위한 요청이 수신하여야만 PDU 세션 설립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903 단계에서, 단말 110은 상기 요청을 수신함에 응답하여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에게 PDU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 110은 PDU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의 타입을 "이미 PDU 세션이 존재함"으로 설정함으로써,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에게 핸드오버 진행을 알릴 수 있다. 왜냐하면, 이미 PDU 세션이 존재함에도 PDU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한다는 것은 이미 존재하는 PDU 세션으로부터 다른 PDU 세션으로 핸드오버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완료 절차를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1001 단계에서, 단말 110은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과의 PDU 세션 설정 절차를 수행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 110은 접속 경유 노드 140과의 PDU 세션의 QoS 플로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U 세션의 QoS 플로우는 IP sec(internet protocol security) child SA(security associ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1003 단계에서, 단말 110은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으로부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과의 PDU 세션의 설정을 수락(accept)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PDU 세션의 설정을 수락하는 정보는 PDU 세션의 식별자 및 PDU 세션의 QoS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1005 단계에서, 단말 110은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에게로의 데이터 송신을 중지한다. 이 경우, 단말 110은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에게 데이터 송신을 시작할 수 있다.
1007 단계에서,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을 통한 PDU 세션 설정을 완료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세션 관리 노드 160에게 세션 관리 요청을 송신하고, 세션 관리 노드 160으로부터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세션 관리 요청은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과 세션 관리 노드 160 간 인터페이스(예: N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세션 관리 노드 160은 사용자 평면 노드 170에게 세션 변경 요청을 송신하고, 사용자 평면 노드 170으로부터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세션 변경 요청은 세션 관리 노드 160과 사용자 평면 노드 170 간 인터페이스(예: N4)의 변경을 요청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1009 단계에서, 세션 관리 노드 160은 사용자 평면 노드 170에게 데이터 포워딩 요청을 송신한다. 즉, 세션 관리 노드 160은 사용자 평면 노드 170에게 데이터 포워딩 절차를 시작하라고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포워딩 요청은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의 식별자 및 PDU 세션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1011 단계에서, 사용자 평면 노드 170은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에게 종료 마커를 송신한다. 여기서, 종료 마커는 단말 110에게로의 데이터 송신을 중지할 것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1013 단계에서,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은 사용자 평면 노드 170에게 데이터 포워딩 응답을 송신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데이터 포워딩 응답은 단말 110으로부터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에게 이미 송신된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으로부터 단말 110에게 이미 송신된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 및 아직 단말 110에게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110으로부터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에게 이미 송신된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는 상향링크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의 시퀀스 넘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으로부터 단말 110에게 이미 송신된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는 하향링크 PDCP의 시퀀스 넘버를 포함할 수 있다.
1015 단계에서, 단말 110은 사용자 평면 노드 170으로부터 아직 수신하지 못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 110이 아직 수신하지 못한 데이터는 접속 경유 노드 140을 통해 단말 110에게 수신될 수 있다. 즉, 단말 110에게 아직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가 포워딩됨으로써, 데이터 손실에 따른 데이터 송신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
1017 단계에서, 단말 110은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과의 PDU 세션을 종료한다. 즉, 단말 110은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 120과의 PDU 세션을 종료함으로써,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30에게로의 핸드오버를 완료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에 연결된 제1 네트워크에 속한 하나의 소스 노드의 커버리지 내에 제2 네트워크에 속한 다수의 타겟 노드들(예: 타겟 노드 1101, 타겟 노드 1103)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타겟 노드 1101은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에 연결되어 있고, 타겟 노드 1103은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 110이 오피스(office)에 위치하는 경우,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단말 110에게 핸드오버 트리거링 요청을 송신하여 핸드오버 정책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핸드오버 정책은 제2 네트워크에 대한 타겟 노드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네트워크에 대한 타겟 노드 목록에 포함된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101은 단말 110에게 할당된 제2 네트워크에 대한 TAL에 적용될 수 있다. 단말 110이 할당된 제2 네트워크에 대한 TAL을 벗어나는 경우,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단말 110에게 새로운 타겟 노드 목록을 제공하고, 새로운 타겟 노드 목록에 포함된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가 단말 110에게 할당된 제2 네트워크에 대한 TAL에 적용될 수 있다.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에 연결된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만을 타겟 노드 목록에 포함시켜 타겟 노드 목록을 생성함으로써, 단말 110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때 데이터 세션(예: PDU 세션)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110은 핸드오버 정책을 통해 제2 네트워크에 대한 타겟 노드 목록에 포함된 타겟 노드들 중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타겟 노드에게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a 및 1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들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 12a 및 12b의 경우,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에 연결된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101과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에 연결되지 않은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103이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도 12a를 참고하면, 오피스 내에 제2 네트워크에 속한 25개의 타겟 노드들이 밀집되게(densely)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에 속한 25개의 타겟 노드들은 2m 간격으로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110은 제2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로부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101에게 핸드오버할 수 있다.
도 12b를 참고하면, 오피스 내에 제2 네트워크에 속한 25개의 타겟 노드들이 스파스(sparse)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에 속한 25개의 타겟 노드들은 5m 간격으로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110은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로부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101에게 핸드오버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들에게 30dB의 투과 손실(penetration loss)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3a 내지 13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2 네트워크에 대한 TAL(tracking area list)을 도시한다.
도 13a 내지 13c를 참고하면, TAL 1 1301, TAL 2 1303, 및 TAL 3 1305 각각은 오피스 내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에 연결된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들 중 일부가 할당된다. 예를 들어, 도 13a와 같이, TAL 1 1301은 4개의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들 1311이 할당될 수 있다. 도 13b와 같이, TAL 2 1303은 9개의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들 1313이 할당될 수 있다. 도 13c와 같이, TAL 3 1305는 13개의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들 1315가 할당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110에게 TAL 3 1305가 할당되는 경우, 단말 110은 TAL 1 1301을 할당 받은 경우보다 더 빈번하게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되나, 더 좋은 SNR(signal to noise ratio)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단말 110이 더 많은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들이 속한 TAL을 할당 받을수록, 핸드오버를 더 빈번하게 수행하지만, 더 좋은 SNR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14a 및 1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본 방식 대비 성능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4a 및 14b는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들이 밀집되게 배치된 경우, TAL 1 1301이 할당된 단말 110이 3km/hour로 이동할 때의 기존 방식 대비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성능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4a 및 14b를 참고하면, 기존 방식의 경우, 단말 110이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에 연결되지 않은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103에게 핸드오버함으로써, 데이터 세션의 연속성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기존 방식의 경우, 핸드오버 지연 시간이 증가하고, 처리량이 감소할 수 있다. 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식의 경우, 단말 110이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에 연결된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 1101에게만 핸드오버함으로써, 데이터 세션의 연속성이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식의 경우, 기존 방식에 비해 핸드오버 지연 시간이 감소하고, 처리량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방식의 경우, 핸드오버 지연 시간이 1600ms이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식의 경우, 핸드오버 지연 시간이 66ms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기존 방식의 경우, 처리량이 8.05 Mbps이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식의 경우, 처리량이 14.78Mbps일 수 있다.
도 15a 및 15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AL에 따른 성능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5a 및 15b 각각은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들이 스파스하게 배치된 경우, 단말 110이 3km/hour 또는 15km/hour로 이동하는 경우와 TAL 1 1301 또는 TAL 3 1305를 사용하는 경우의 성능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5a를 참고하면, 단말 110이 단말 110의 이동 속도에 관계 없이 TAL 1 1301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TAL 3 1305를 사용하는 경우에 분(minute) 당 핸드오버 횟수가 더 높을 수 있다. 즉, 단말 10이 TAL 1 1301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TAL 3 1305를 사용하는 경우에 핸드오버에 따른 오버헤드가 더 증가할 수 있다.
도 15b를 참고하면, 단말 110이 단말 110의 이동 속도에 관계 없이 TAL 1 1301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TAL 3 1305를 사용하는 경우에 처리량이 증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핸드오버에 따른 오버헤드가 증가할수록 처리량이 감소하지만, 도 15a 및 15b의 환경에서는 핸드오버에 따른 오버헤드보다 SNR이 처리량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및 이동성 관리 노드 150은 단말 110의 이동성 패턴에 따라 최적의 제2 네트워크에 대한 타겟 노드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2 네트워크에 속한 노드들 중 타겟 노드를 결정하는 과정과,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로부터 상기 타겟 노드에게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에게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에게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중단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소스 노드에게 이미 송신되거나,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상기 단말에게 이미 송신된 다른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에 대한 정보는,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게 송신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면허 대역을 이용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식별자,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무선 품질,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한 타겟 노드 목록, 및 상기 핸드오버의 트리거링(triggering)을 위한 타이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무선 품질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품질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에게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6. 삭제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게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에 따라,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로부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에게로의 핸드오버를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소스 노드에게 이미 송신되거나,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상기 단말에게 이미 송신된 다른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에 대한 정보는,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게 송신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면허 대역을 이용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의 이동성 패턴(mobility pattern),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노드에 대한 정보, 상기 단말이 핸드오버하기 위한 상기 데이터 세션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측정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를 트리거링(triggering)할 것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단말에게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상기 타겟 노드에게로의 핸드오버를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송신에 따라, 상기 단말에게 상기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를 결정하고,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에게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에게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소스 노드에게 이미 송신되거나,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상기 단말에게 이미 송신된 다른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에 대한 정보는,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게 송신되는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면허 대역을 이용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식별자,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무선 품질,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한 타겟 노드 목록, 및 상기 핸드오버의 트리거링(triggering)을 위한 타이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무선 품질을 결정하고, 상기 무선 품질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16. 삭제
  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단말에게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송신에 따라 제1 네트워크에 속한 소스 노드로부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에게로의 핸드오버를 처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타겟 노드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소스 노드에게 이미 송신되거나,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상기 단말에게 이미 송신된 다른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에 대한 정보는,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게 송신되는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면허 대역을 이용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장치.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의 이동성 패턴(mobility pattern),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노드에 대한 정보, 상기 단말이 핸드오버하기 위한 상기 데이터 세션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측정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를 트리거링(triggering)할 것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단말에게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에 따라, 상기 단말에게 상기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KR1020170083718A 2017-06-30 2017-06-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44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718A KR102344917B1 (ko) 2017-06-30 2017-06-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6/024,163 US10631218B2 (en) 2017-06-30 2018-06-29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718A KR102344917B1 (ko) 2017-06-30 2017-06-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173A KR20190003173A (ko) 2019-01-09
KR102344917B1 true KR102344917B1 (ko) 2021-12-30

Family

ID=6473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718A KR102344917B1 (ko) 2017-06-30 2017-06-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31218B2 (ko)
KR (1) KR1023449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6903B2 (en) * 2018-08-08 2022-06-07 Google Llc Device and method of configuring a handover
US10880836B2 (en) 2019-03-28 2020-12-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eam provisioning for sensory data collection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s
US11297554B2 (en) 2019-03-28 2022-04-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andidate beam selection and control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11064337B2 (en) 2019-03-28 2021-07-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eam as a service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11026095B2 (en) 2019-07-31 2021-06-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al-time network provisioning for distributed virtual zones of collaborative mobile devices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CN113810964B (zh) * 2020-06-13 2023-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设备
TWI768534B (zh) 2020-11-05 2022-06-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多重接取邊緣運算裝置及網路接取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8263B2 (en) * 2001-02-26 2007-12-11 Kineto Wireless, Inc.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handover of a tele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a licensed wireless system and an unlicensed wireless system
KR100822120B1 (ko) * 2002-10-18 2008-04-14 키네토 와이어리즈 인코포레이션 비인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인가 무선 통신시스템의 커버리지 영역 확장 장치 및 방법
CN1918922A (zh) * 2004-02-18 2007-02-21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利用未许可无线电接入网的移动通信
WO2006056882A1 (en) * 2004-11-29 2006-06-01 Nokia Corporation System, devices and methods using an indication of complementary access availability
GB2449629A (en) * 2007-05-01 2008-12-03 Nec Corp Buffering numbered unsegmented PDCP SDUs in 3GPP system to assist efficient hard handover
KR20110068700A (ko) * 2009-12-16 2011-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관리할 수 있는 멀티모드 단말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4602308B (zh) * 2013-10-30 2018-10-30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将终端在多个无线ap之间进行切换的方法和系统
WO2016063113A1 (en) * 2014-10-24 2016-04-28 Nokia Technologies Oy Enabling power efficient dual connectivity with reduced delay impact
US10517021B2 (en) * 2016-06-30 2019-12-24 Evolve Cellular Inc. Long term evolution-primary WiFi (LTE-P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07879A1 (en) 2019-01-03
US10631218B2 (en) 2020-04-21
KR20190003173A (ko)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491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9630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537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53453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접속 기술을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TWI555430B (zh) 在一無線通訊系統中支援裝置間通訊的方法及裝置
US117229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603317B1 (en) Methods, primary base station and secondary base station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4600378B (zh) 终端、基站及通信方法
KR10245210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301995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43376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95029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PDU se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4453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ecurity key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44473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들을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2185281A1 (en) Indication of uplink transmission in downlink symbol
CN114765903A (zh) 用于增强侧链路功率控制的系统和方法
KR2021009163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실패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3039830A (zh) 无线通信系统中控制测量操作的装置和方法
KR2019002199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3016727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4002386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3504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DC) 구조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2015626A1 (en) Inter-system and event-triggered mobility load balancing
KR2023009491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협동 메시지를 이용한 단말 간 통신용 자원 선택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6746217A (zh) 终端及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