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237A - 소스통을 구비한 숟가락 - Google Patents

소스통을 구비한 숟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237A
KR20230080237A KR1020210167775A KR20210167775A KR20230080237A KR 20230080237 A KR20230080237 A KR 20230080237A KR 1020210167775 A KR1020210167775 A KR 1020210167775A KR 20210167775 A KR20210167775 A KR 20210167775A KR 20230080237 A KR20230080237 A KR 20230080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sauce
saucer
present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성
손준석
Original Assignee
김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성 filed Critical 김태성
Priority to KR1020210167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237A/ko
Publication of KR20230080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4Influencing taste or nutritional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숟가락에 관한 것이다.
기존 숟가락에는 원하는 소스를쉽게 밥과 함께 먹지 못하였다 그래서 숟가락 위에 소스를 바로 뿌리는 기능이 필요하였다.
소스를 넣을 그릇이 없어도 되며 보다 간편하게 숟가락 위에 음식물을 소스와 섞을 수 있다.

Description

소스통을 구비한 숟가락{spoon with saucer}
본 발명은 숟가락에 관한 것이다.
기존 숟가락에는 원하는 소스를쉽게 밥과 함께 먹지 못하였다 그래서 숟가락 위에 소스를 바로 뿌리는 기능이 필요하였다.
기존 숟가락에는 원하는 소스를쉽게 밥과 함께 먹지 못하였다 그래서 숟가락 위에 소스를 바로 뿌리는 기능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밥이나 국물따위를 떠먹는 기구인 숟가락(10):과
상기 숟가락(10)의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스위치(22)를 누르면 소스가 나오는 소스통(20):으로 구성하여 해결하였다.
소스를 넣을 그릇이 없어도 되며 보다 간편하게 숟가락 위에 음식물을 소스와 섞을 수 있다.
도 1은 소스통을 구비한 숟가락의 구성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선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소스통을 구비한 숟가락의 구성도이다
본 방명은
밥이나 국물따위를 떠먹는 기구인 숟가락(10):과
상기 숟가락(10)의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스위치(22)를 누르면 소스가 나오는 소스통(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스를 넣을 그릇이 없어도 되며 보다 간편하게 숟가락 위에 음식물을 소스와 섞을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 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우ㅟ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숟가락
20:소스통
21:뚜껑
22:누름 스위치
23:배출구

Claims (1)

  1. 밥이나 국물따위를 떠먹는 기구인 숟가락(10):과
    상기 숟가락(10)의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스위치(22)를 누르면 소스가 나오는 소스봉(20):으로 이루어진 소스봉을 구비한 숟가락.
KR1020210167775A 2021-11-29 2021-11-29 소스통을 구비한 숟가락 KR20230080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775A KR20230080237A (ko) 2021-11-29 2021-11-29 소스통을 구비한 숟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775A KR20230080237A (ko) 2021-11-29 2021-11-29 소스통을 구비한 숟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237A true KR20230080237A (ko) 2023-06-07

Family

ID=86760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775A KR20230080237A (ko) 2021-11-29 2021-11-29 소스통을 구비한 숟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02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80237A (ko) 소스통을 구비한 숟가락
CN209376935U (zh) 一种便携套装餐具盒
KR101903942B1 (ko) 숟가락 반지
KR20200084761A (ko) 밥 덩어리 안에 마련된 포켓에 반찬이 담긴 피자 형 도시락
CN201073179Y (zh) 一种米饭盛放结构
US20110011872A1 (en) Egg baker
KR20190006857A (ko) 오뚜기 숫가락
CN109171509A (zh) 调料壶
JP2014117494A (ja) 汁物をすくい取る食器具
KR20220050703A (ko) 상부 하부 뚜껑 가진 용기
CN109419409A (zh) 调料壶
KR200317777Y1 (ko) 지지대가 형성된 식사도구
CN207821607U (zh) 一种陶瓷薯条杯
KR200323743Y1 (ko) 복수의 조리공간을 갖는 조리용기
KR20210075299A (ko) 컵이 달린 컵라면 용기
CN207101043U (zh) 一种多功能环保餐盘
KR200226856Y1 (ko)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
JP1709221S (ja) 先割れ穴あきスプーン
CN109418428A (zh) 一种口袋豆腐的制作方法
KR20220170209A (ko) 젓가락 포크
KR200402477Y1 (ko) 폴리에틸렌 간이 밀폐 용기
KR970064402A (ko) 대나무통을 이용한 취사방법
KR20140047454A (ko) 국물과 건더기 모두 퍼지는 국자
JP3151637U (ja) まな板と水溜容器をセットにした流し台シンク内で使用できるまな板
KR20200044292A (ko) 라면과 밥을 함께 먹을 수 잇는 라면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