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160A - Mask with echo tube - Google Patents

Mask with echo tu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160A
KR20230080160A KR1020210167634A KR20210167634A KR20230080160A KR 20230080160 A KR20230080160 A KR 20230080160A KR 1020210167634 A KR1020210167634 A KR 1020210167634A KR 20210167634 A KR20210167634 A KR 20210167634A KR 20230080160 A KR20230080160 A KR 20230080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thermal fusion
fusion treatment
cradle
mas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6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영희
Original Assignee
조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희 filed Critical 조영희
Priority to KR1020210167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160A/en
Publication of KR20230080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1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08Non-electric sound-amplifying devices, e.g. non-electric mega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울림통이 구비된 마스크(1)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마스크(1)는 상부 혹은 하부에는 열 융착 미처리 마감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1삽입 출입구(17) 혹은 제 2삽입 출입구(17,19)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거치대(3)는 마스크의 상부 혹은 하부에는 열 융착 미처리 마감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1 및 제 2삽입 출입구(17,19)에 2개의 상단이 각각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또한 마스크는, 거치대(3)와; 거치대(3)에 배치되어 음성을 증폭하고 입김을 확산하는 울림통(7)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1) equipped with an echo cylinder. Such a mask 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ports 17 or second insertion ports 17 and 19 respectively formed in an upper or lower portion with a non-thermal fusion treatment. In addition, the two upper ends of the cradle 3 ar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insertion ports 17 and 19 formed of non-thermal fusion treatment at the top or bottom of the mask. In addition, the mask, and the cradle (3); It includes an echo box 7 disposed on the cradle 3 to amplify voice and spread breath.

Description

울림통이 구비된 마스크{Mask with echo tube}Mask with echo tube {Mask with echo tube}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마스크 본체의 상하부에 복수의 삽입출입구를 각각 형성하고, 이 삽입출입구에 거치대의 상하단을 각각 삽입하여 거치함으로써 코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마스크가 안면에 밀착될 수 있어 안경의 김서림을 방지하며, 또한 턱의 움직임에 관계없이 마스크가 안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자리를 유지하게 되어 마스크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울림통을 배치함으로써 음성이나 입김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wherein a plurality of insertion opening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mask body,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radle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openings, respectively, so that the mask can adhere to the face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nose. A mask that prevents fogging of the face, and also, regardless of the movement of the chin, the mask remains in place while in contact with the face to prevent the mask from flowing down, and also, by arranging a resonator, voice or breath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It is about.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의 방역을 위해 보다 장시간의 마스크 착용이 요구되고 있다. Recently, wearing a mask for a longer period of time is required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corona virus.

실외든 실내든 마스크 사용이 선택이 아닌 필수인 상황, 특정 상황만이 아닌 하루 종일 사용이 일상이 된 상황에서 기존의 마스크는 많은 불편이 있다.In a situation where the use of a mask, whether outdoors or indoors, is not an option but a necessity, and in a situation where it is used all day long rather than only in specific situations, existing masks are inconvenient.

우선, 김서림 문제가 있다. 입김의 온도에 비해 외기 온도가 낮아지면 어김없이 김서림이 생긴다. 심지어 차 한잔 마시고 마스크를 쓰더라도 김서림은 생긴다.First of all, there is the problem of fogging.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breath, fogging occurs without fail. Even if you drink a cup of tea and wear a mask, fogging occurs.

이를 콘텍트 렌즈 사용이나 라식 수술 등을 통해 해결하거나 일시적이지만 세정제를 사용하여 불편을 해결하였다.This problem was solved through the use of contact lenses or LASIK surgery, or temporarily, but the inconvenience was solved by using a detergent.

기존의 코편이 적용된 마스크는 철편을 코의 골격에 밀착시켜 증기 유출을 방지하려 하지만, 코의 골격이 부위마다 미세한 변화가 있기 때문에 마스크 위치가 조금 이동되면 제 기능이 상실되어 안경에 김서림이 생기는 원인이 된다.Existing masks with nose pieces adhere to the skeleton of the nose to prevent outflow of steam, but since the skeleton of the nose has subtle changes in each part, if the mask is moved a little, its function is lost, causing fogging on the glasses. becomes

본 발명은 콧등의 전 라인을 비틈없이 막는 방법이 아닌, 코뼈와 광대근 사이 오목한 코 양편 두 지점만을 누름으로써 해결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solved by pressing only two points on both sides of the concave nose between the nasal bone and the zygomatic muscle, rather than a method of blocking the entire line of the bridge of the nose without any distortion.

본 발명자의 이전 출원에 적용된 방법은 스프링 같은 탄성편을 사용하여 마스크 상단 두 지점을 외부에서 누르는 방식으로 해결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스프링이 마스크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method appli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or solves the problem by pressing the upper two points of the mask from the outside using an elastic piece such as a spring.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pring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mask.

시중에 유통되는 덴탈 마스크는 기본적으로 유연한 섬유소재로 제작되고, 귀걸이줄에 의해 당겨져서 안면에 밀착시켜 사용되어 내부 공간 확보가 어렵고, 코뼈와 일치되도록 코편 지지대를 사용하므로 인하여 김서림 방지가 원천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Commercially available dental masks are basically made of flexible fiber materials, are pulled by earring strings and u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making it difficult to secure internal space. can't support

또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대화를 하는 경우, 턱의 움직임에 따라 턱에 단단히 밀착된 마스크가 유동하여 아래로 흘러내리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when having a conversation while wearing a mask, there is inconvenience in that the mask tightly adhered to the chin flows and flows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hin.

한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001645호(명칭:보건용 마스크)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20-0001645 (Name: Health mask)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크 본체의 상하부에 복수의 삽입출입구를 각각 형성하고, 이 삽입출입구에 거치대의 상하단을 각각 삽입하여 거치함으로써 코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마스크가 안면에 밀착될 수 있어 김서림을 방지하며, 또한 턱의 움직임에 관계없이 마스크가 안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자리를 유지하게 되어 마스크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울림통을 배치함으로써 음성이나 입김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plurality of insertion openings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mask body, respectively, and inser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radle into the insertion openings, respectively.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mask, the mask can adhere to the face to prevent fogging, and regardless of the movement of the chin, the mask stays in place while in contact with the face, preventing the mask from dripping. By arranging it, it is to provide a mask through which voice or breath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부에는 열 융착 미처리 마감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1삽입 출입구(17)가 각각 형성된다.A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openings 17 formed of non-thermal fusion treatment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respectively.

또한 마스크의 하부에는 열 융착 미처리 마감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2삽입 출입구(19)가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openings 19 formed of non-thermal fusion treatment are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mask, respectively.

또한 거치되는 마스크의 상부에 열 융착 미처리 마감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1삽입 출입구(17)에 2개의 상단이 각각 선택적으로 삽입된다.In addition, the two upper ends ar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ports 17 formed by non-thermal fusion treatment on the upper part of the mask to be mounted.

또한 거치되는 마스크 하부에 열 융착 미처리 마감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2삽입 출입구(19)에 2개의 하단이 각각 선택적으로 삽입된다.In addition, the two lower ends ar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ports 19 formed with non-thermal fusion treatment at the lower part of the mask to be mounted.

또한 마스크는, 마스크가 거치되는 거치대(3)와;In addition, the mask, and the cradle (3) on which the mask is mounted;

거치대(3)에 배치되어 음성이나 입김을 증폭하거나 확산시키는 울림통(7)을 포함한다.It is disposed on the cradle (3) and includes a sound box (7) that amplifies or diffuses voice or breath.

또한 마스크는, 상부에는 열 융착 미처리 마감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1삽입 출입구(17)가 각각 형성되고, In addition, the mask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ports 17 each formed of a heat-sealed untreated finish on the upper part,

하부에는 열 융착 미처리 마감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2삽입 출입구(19)가 각각 형성되며,At the bottom, a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ports 19 formed by non-thermal fusion treatment are formed, respectively.

2개의 상단은 제 1삽입 출입구(17)에 삽입되고, 2개의 하단은 제 2삽입 출입구(19)에 삽입되는 거치대(3)와; 그리고The two upper end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port (17) and the two lower ends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port (19); and

거치대(3)에 배치되어 음성 및 입김을 증폭하거나 확산시키는 울림통(7)을 포함한다.It includes a resonator 7 disposed on the cradle 3 to amplify or diffuse voice and breath.

울림통(7)은 거치대(3)에 배치된 보조 울림관(14)과; 보조 울림관(14)에 결합되어 음성 혹은 입김의 통로가 되는 주 울림관(16)과; 주 울림관(16)의 테두리에 돌출되어 마스크 본체(5)에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접촉하는 복수개의 돌기(20)를 포함한다.Ullimtong 7 and the auxiliary sound tube 14 disposed on the holder (3); A main sounding tube 16 coupled to the auxiliary sounding tube 14 and serving as a passage for voice or breath; It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20 protruding from the rim of the main sound pipe 16 and contacting the mask body 5 at regular intervals.

주 울림관(16) 혹은 보조 울림관(14)의 내주면에는 원형 혹은 나선형상의 턱(2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sounding tube 16 or the auxiliary sounding tube 14, a circular or spiral jaw 22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원형 혹은 나선형상의 턱의 제작이 어려울 경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별도 제작된 주름관(30)을 주 울림관(16) 혹은 보조 울림관(14)의 내부에는 주름관(30)이 삽입할 수 있다.If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 circular or spiral jaw, a separately manufactured corrugated pipe 30 may be inserted into the main resonant pipe 16 or the auxiliary resonant pipe 14 to increase efficiency.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3겹 내지 4겹의 필터로 제조되는 마스크는 상하단에서 접힌 후 열 융착되는 바, 특정 부위는 열 융착을 하지 않음으로써 복수개의 제 1삽입 출입구 및 제 2삽입 출입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하 프레임의 상하단이 이 삽입 출입구에 각각 삽입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사용자마다 코의 높낮이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경우, 코의 높낮이에 따라 상하 프레임의 상단을 복수개의 제 1삽입 출입구중 적절한 삽입구에 삽입함으로써 마스크 본체의 상단이 콧등의 전 라인을 포함한 얼굴 전면에 밀착되어 김서림의 원인이 되는 날숨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First, a mask made of 3-ply or 4-ply filters is thermally fused after being folded at the top and bottom, and a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entrances and second insertion entrances are formed by not thermally splicing a specific part, respectively, and the upper and lower frames are formed. By mak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respectively, when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height of the nose for each user, the upp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are inserted into the appropriate insertion port of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port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nose, thereby mask body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adheres to the entire face, including the entire line of the bridge of the nose, so that the outflow of exhaled breath, which causes fogging, can be prevented.

둘째,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턱이 움직이는 경우에도 마스크 본체는 얼굴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자리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바, 하단 누름쇠를 복수개의 제 2삽입 출입구중 적절한 삽입구에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마스크 본체가 턱에 접촉되는 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턱의 움직임에 따라 마스크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even if the chin moves while wearing the mask, the mask body needs to remain in place while in contact with the face, so the lower presser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appropriate insertion hole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openings to replace the mask body.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degree of contact with the chi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sk from flowing down by preventing the mask from mov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hin.

셋째, 마스크의 거치대에 울림통을 배치함으로써 음성이 증폭되어 외부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또한 입김이 마스크 전면에서 확산됨으로써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하여도 착용자의 안면에서 느끼는 열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Third, by placing the resonator on the holder of the mask, the voice can be amplified and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outside, and the breath can be diffused from the front of the mask, so that the heat felt on the wearer's face can be minimized even when the mask is worn for a long time.

넷째, 울림통의 내부면에 원형 혹은 나선형의 턱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음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폭할 수 있다.Fourth, by forming circular or spiral jaw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sonat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voice can be more effectively amplifi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울림통이 구비된 마스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d)는 도 2에 도시된 울림통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울림통에 주름관이 삽입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마스크 본체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마스크를 얼굴에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sk equipped with a sound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s 3 (a) to (d)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cryolrimtong shown in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corrugated pipe is inserted into the sound box shown in FIG. 2 .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ask body of FIG. 1;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sk shown in FIG. 1 is worn on the fa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마스크(1)는 거치대(3)와; 거치대(3)에 장착되는 울림통(7)과; 거치대(3)에 교체가능하게 거치되는 섬유재질의 마스크 본체(5)와; 마스크 본체(5)에 연결되어 귀에 걸리는 귀걸이(8)를 포함한다.1 to 6, the mask 1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der 3; A sound box 7 mounted on the cradle 3; A mask body 5 made of a fiber material that is replaceably mounted on the holder 3; It includes an earring 8 connected to the mask body 5 and hung on the ear.

이러한 구조를 갖는 마스크(1)에 있어서, 거치대(3)는 안면에 위치함으로써 섬유재질의 마스크 본체(5)를 지지한다. In the mask 1 having such a structure, the cradle 3 is positioned on the face to support the mask body 5 made of a fiber material.

이러한 거치대(3)는 다양한 구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안면을 감싸는 형태를 갖는다. This holder (3) has a variety of structures, preferably has a shape surrounding the face.

그 일예가 도 2에 도시되는 바, 거치대(3)는 상하로 배치되며 서로 일정거리 떨어진 한 쌍의 상하 프레임(9)과; 한 쌍의 상하 프레임(9)을 서로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13)을 포함한다.An example of which is shown in Figure 2, the holder (3) is disposed vertically and a pair of upper and lower frames (9)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ncludes a support frame 13 connecting a pair of upper and lower frames 9 to each other.

한 쌍의 상하 프레임(9)의 상부에 돌출된 상단 누름쇠(11)에는 마스크 본체(5)의 상측에 형성된 제 1삽입 출입구(17)가 각각 삽입되고, 상하 프레임(9)의 하부에 돌출된 하단 누름쇠(15)에는 마스크 본체(5)의 하측에 형성된 제 2삽입 출입구(19)가 각각 삽입된다.The first insertion port 17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sk body 5 is inserted into the upper pushers 11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upper and lower frames 9, respectively, and protrud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9. The second insertion port 19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sk body 5 is inserted into the lower pusher 15, respectively.

따라서, 상단 누름쇠(11)는 마스크 본체(5)의 상단에 형성된 제 1삽입 출입구(17)에 삽입됨으로써 마스크 본체(5)가 거치대(3)에 거치되고, 하단 누름쇠(15)는 마스크 본체(5)의 하단에 형성된 제 2삽입 출입구(19)에 삽입됨으로써 마스크 본체(5)의 하부가 고정될 수 있다.Therefore, the upper pusher 11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port 17 formed on the top of the mask body 5, so that the mask body 5 is mounted on the holder 3, and the lower pusher 15 is the mask. The lower part of the mask body 5 may be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port 19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5 .

그리고, 상단 누름쇠(11)는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며 마스크 본체(5)의 상단을 가압하여 콧등의 굴곡에도 광대근과 콧등사이에 마스크를 밀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resses 11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and press the upper end of the mask body 5 to bring the mask into close contact between the cheekbones and the bridge of the nose even when the bridge of the nose is curved.

또한, 상하 프레임(9)의 상하단 누름쇠(11,15)는 측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상하단 누름쇠(11,15)가 마스크 본체(5)의 제 1 및 제 2삽입 출입구(17,19)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마스크 본체(5)의 상하부가 거치대(3)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pushers 11 and 15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9 are bent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ushers 11 and 15 are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ports 17 and 19 of the mask body 5.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sk body 5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cradle 3 by being inserted separately.

그리고, 상하 프레임(9)의 하단 누름쇠(15)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안면으로 완만하게 돌출된 곡선형상이거나 돌기 형상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pusher 15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9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and may have a curved shape or a protruding shape that gently protrudes toward the face.

이와 같이, 하단 누름쇠(15)에 의하여 마스크 하단이 상악과 하악의 사이, 혹은 턱의 소정 위치에 지지되어 마스크의 상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lower end of the mask is suppor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jaws 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chin by the lower pressing key 15, thereby minimiz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ask.

지지 프레임(13)은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며, 예를 들면 일자 구조, 혹은 좌우로 길게 형성된 타원구조 등이 가능하다. Support frame 13 can have a variety of structures, for example, a straight structure, or an elliptical structure formed long to the left and right.

그리고, 하단 누름쇠(15)의 전면에는 일정 깊이로 노치(Notch;18)가 형성된다. 따라서, 하단 누름쇠(15)가 마스크 본체(5)의 하단 제 2삽입 출입구(19)에 삽입한 상태에서 본체 하단을 안쪽으로 접는 경우 하단 누름쇠(15)의 하단이 노치(18)를 중심으로 꺽이면서 마스크 착용한 경우 개방감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 notch 18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front of the lower pusher 15. Therefore, when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is folded inwar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usher 15 is inserted into the lower second insertion port 19 of the mask body 5, the lower end of the lower pusher 15 is centered around the notch 18. When wearing a mask while bending it, the sense of openness can be improved.

그리고, 마스크 본체(5)는 통상적인 마스크 본체(5)와 같이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며, 여러 겹으로 구성된다.And, the mask body 5 is made of a fiber material like the conventional mask body 5, and is composed of several layers.

이러한 마스크 본체(5)의 상단 및 하단의 여러 겹은 한 번 말아서 접은 후 열 융착으로 마감처리하게 된다.Several layers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mask body 5 are rolled and folded once, and then finished by thermal fusion.

이때, 상하단의 특정 부위는 열 융착을 하지 않음으로써 복수개의 제 1삽입 출입구(17) 및 제 2삽입 출입구(19)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제 1삽입 출입구(17) 및 제 2삽입출입구(19)는 서로 일정 간격 떨어짐으로써 상하 프레임(9)의 상하단 누름쇠(11,15)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entrances 17 and second insertion entrances 19 are formed by not heat-sealing specific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ports 17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s 19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ushers 11 and 15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9 can be inserted, respectively.

이때, 복수개의 제 1 및 제 2삽입 출입구(17,19)간의 간격은 다양하므로 상하 프레임(9)의 간격에 제약을 받지 않고 제 1 및 제 2삽입 출입구(17,19)중 적절한 삽입 출입구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insertion entrances 17 and 19 is varied, an appropriate insertion entrance among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entrances 17 and 19 is not restrict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9. Each can be inserted.

상하 프레임(9)의 한 쌍의 상단 누름쇠(11)간의 간격이 정해진 상태에서 상단 누름쇠(11)가 삽입되는 한 쌍의 제 1삽입 출입구(17)간의 간격이 넓은 경우에는 콧등이 높은 착용자의 콧등을 충분히 감싸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upper pushers 11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9 is determine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first insertion entrances 17 into which the upper pushers 11 are inserted is wide, wearers with high nose bridges enough to cover the bridge of the nose.

반대로 한 쌍의 제 1삽입출입구(17)간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는 콧등이 낮은 착용자의 콧등 위로 마스크의 여유분이 생기지 않게 되어 공기의 출입공간을 만들지 않게 된다.Conversely,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first insertion ports 17 is narrow, the mask does not have an extra space on the nose of a wearer with a low nose bridge, so that no air entry and exit space is created.

따라서, 콧대의 높이에 제약을 받지 않고 마스크 본체를 완전히 밀착시키기 위하여 상단 누름쇠(11)의 상단을 복수개의 제 1삽입 출입구(17)중 적절한 삽입구에 삽입하는 바, 콧대가 높은 경우에는 제 1삽입 출입구(17)중 외측 출입구(17a)에 삽입하고, 낮은 경우에는 내측 출입구(17b)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착용함으로써 마스크 본체(5)의 상단이 코 등의 전 라인을 포함한 얼굴 전면에 밀착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completely adhere the mask body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height of the nose bridge, the upper end of the upper clamp 11 is inserted into an appropriate insertion port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ports 17, and when the nose bridge is high, the first By inserting it into the outer entrance 17a of the insertion entrance 17 and inserting it into the inner entrance 17b when it is low, the upper end of the mask body 5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ntire face including the nose and the like. can

그리고,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귀걸이끈에 의해 좌우로 당겨지는 상황에서 마스크 본체의 하부 내면이 턱 표면에 강하게 밀착접촉하게 되어 턱의 움직임에 따라 같이 유동하여 아래로 밀릴 수 있다.And, in general, when the mask is pulled left and right by the earring string,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mask body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hin surface, so that it can flow together and be pushe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hin.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마스크 본체(5)의 하부 내면과 턱 표면 사이를 적절하게 접촉하여 턱이 움직이는 경우에도 마스크 본체(5)는 접촉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제자리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even whe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5 and the chin surface are properly contacted and the chin moves, the mask body 5 needs to remain in place while maintaining the contact state.

따라서, 마스크 본체(5)의 하부 내면이 턱에 적절한 힘으로 접촉될 필요가 있는 바, 하단 누름쇠(15)를 복수개의 제 2삽입 출입구(19)중 적절한 삽입구에 삽입함으로써 접촉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5 needs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hin with an appropriate force, the degree of contact can be adjusted by inserting the lower presser 15 into an appropriate insertion hole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ports 19. can

즉, 턱이 큰 경우에는 제 2삽입 출입구(19)중 외측 출입구(19a)에 삽입하고, 작은 경우에는 내측 출입구(19b)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착용함으로써 마스크 본체(5)의 하단이 턱에 적절한 힘으로 접촉할 수 있다.That is, if the chin is large, it is inserted into the outer entrance 19a of the second insertion entrance 19, and if it is small, it is inserted into the inner entrance 19b,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mask body 5 is suitable for the chin. can be contacted by force.

따라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턱이 움직이는 경우에도 마스크 본체(5)는 접촉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자리를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chin moves while wearing the mask, the mask body 5 can remain in place while maintaining the contact state.

이와 같이, 거치대(3)에 마스크 본체(5)를 거치하고, 귀걸이(8)에 의하여 귀에 걸어서 착용하는 경우, In this way, when the mask body 5 is mounted on the holder 3 and worn on the ear by the earring 8,

상단 누름쇠(11)의 상단을 복수개의 제 1삽입 출입구(17)중 적절한 삽입구에 삽입함으로써 콧대의 높이에 따라 마스크 본체(5)의 상단이 코 등의 전 라인을 포함한 얼굴 전면에 밀착될 수 있고,By inserting the upper end of the upper pusher 11 into an appropriate insertion hol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entrances 17, the upper end of the mask body 5 can be closely adhered to the front of the face, including the entire line of the nose,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nose bridge. there is,

또한, 하단 누름쇠(15)를 복수개의 제 2삽입 출입구(19)중 적절한 삽입구에 삽입함으로써 마스크 본체(5)의 하부 내면이 턱에 적절한 힘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inserting the lower pusher 15 into an appropriate insertion port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ports 19,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5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hin with appropriate force.

한편, 거치대(3)의 전방에는 울림통(7)이 배치됨으로써 음성을 증폭하여 전달할 수 있고, 또한 입김을 확산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sound box 7 is disposed in front of the holder 3, it is possible to amplify and transmit voice and also spread breath.

이러한 울림통(7)은 거치대(3)에 배치된 보조 울림관(14)과; 보조 울림관(14)에 결합되어 음성 혹은 입김의 통로가 되는 주 울림관(16)과; 주 울림관(16)의 테두리에 돌출되어 마스크 본체(5)에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접촉하는 복수개의 돌기(20)를 포함한다.The echo tube 7 includes an auxiliary sound tube 14 disposed on the holder 3; A main sounding tube 16 coupled to the auxiliary sounding tube 14 and serving as a passage for voice or breath; It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20 protruding from the rim of the main sound pipe 16 and contacting the mask body 5 at regular intervals.

보조 울림관(14)은 원통형상으로서 거치대(3)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조되어 결합되는 구조이다.The auxiliary sound pipe 14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lder 3 or is separately manufactured and coupled.

그리고, 주 울림관(16)도 원통형상으로서 보조 울림관(14)에 결합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내직경이 확장됨으로써 경사면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main sound pipe 16 is also coupled to the auxiliary sound pipe 14 in a cylindrical shape, and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as the inner diameter expands toward the front.

따라서, 음성이 보조 및 주 울림관(16)을 통과하면서 점차 증폭된 상태로 마스크 본체(5)를 통과하여 외부로 퍼질 수 있다.Therefore, the voice can pass through the mask body 5 in a gradually amplified state while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and main sound tubes 16 and spread to the outside.

결과적으로, 마스크는 3겹 내지 4겹으로 제작됨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소리 잠김 현상이 발생하므로 일상의 대화시 뿐만 아니라 강연시에도 충분히 답답함을 느끼는 바, 이와 같이 음성이 울림통(7)에 의하여 증폭된 상태로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As a result, since the mask is made of 3 to 4 layers, the sound locking phenomenon inevitably occurs, so it feels sufficiently stuffy not only during daily conversation but also during lectures, and thus the voice is amplified by the resonator 7 can be transmitted externally.

또한, 울림통(7)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돌기(20)는 마스크 본체(5)의 내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주 울림관(16)의 테두리와 마스크 본체(5)의 내측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0 disposed on the sound chamber 7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5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rim of the main sound pipe 16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5. It can be.

따라서, 입김이 주 울림관(16)을 통하여 배출된 후 마스크 본체(5)의 내측면에 접촉한 후 확산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뜨거운 입김에 의한 열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refore, after the breath is discharged through the main sound pipe 16, it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5 and spreads, thereby minimizing the feeling of heat caused by the hot breath felt by the user.

한편, 이러한 주 울림관(16)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한 바, 그 일 예가 도 3(a) 내지 (d)에 도시된다.On the other hand, this main sound pipe 16 can be changed into various shapes, examples of which are shown in FIGS. 3 (a) to (d).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울림관(16)은 내주면이 편평한 형상을 갖는다.As shown in Fig. 3 (a), the main sound pipe 16 has a flat inner peripheral surface.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울림관(16)의 경사부(21)의 내주면에만 일정 높이의 턱(22)이 형성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3 (b), the jaw 22 of a certain height may be formed only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21 of the main sound pipe 16.

이때, 턱(22)은 원형상으로서 주 울림관(16)의 경사부(21) 선단에서 후단 방향으로 복수개의 원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jaw 22 has a circular shape, and a plurality of circle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21 of the main sound pipe 16.

또는 턱(22)은 경사부(21)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jaws 22 may be spirally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21 .

따라서, 음성 혹은 입김이 울림통(7)을 통과할 때 이 원형 혹은 나선형상의 턱(22)에 반사됨으로써 증폭되어 효과적으로 울림통(7)을 통과할 수 있다.Therefore, when voice or breath passes through the resonant box 7, it is amplified by being reflected on the round or spiral jaw 22 and can effectively pass through the resonant box 7.

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울림관(16)의 전 길이에 걸쳐서 일정 높이의 턱(22)이 형성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3(c), a jaw 22 of a certain height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main sound pipe 16.

이때, 턱(22)은 원형상으로서 주 울림관(16)의 경사부(21) 선단에서 후단 방향으로 복수개의 원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jaw 22 has a circular shape, and a plurality of circle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21 of the main sound pipe 16.

또는 턱(22)은 주 울림관(16)의 전 길이에 걸쳐서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jaw 22 may be spiral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main sound tube 16.

따라서, 음성 혹은 입김이 이 원형 혹은 나선형상의 턱(22)을 따라 효과적으로 울림통(7)을 통과할 수 있다.Therefore, voice or breath can effectively pass through the resonator box 7 along the circular or spiral shaped jaw 22 .

또는,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울림관(16)을 생략하고 보조 울림관(14) 만을 배치한 경우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3(d), it is also possible to omit the main sound pipe 16 and arrange only the auxiliary sound pipe 14.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울림관(14)의 내부에 별도의 주름관(30)을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보조 울림관(14)의 내주면에 나선형 혹은 원형의 턱(22)을 형성하는 방식이 아니라, 별도의 주름관(30)을 삽입하는 방식이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4, it is also possible to insert a separate corrugated pipe 30 into the auxiliary sound pipe 14. That is, it is not a method of forming a spiral or circular jaw 22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sound pipe 14, but a method of inserting a separate corrugated pipe 30.

이때, 주름관(30)은 보조 울림관(14) 뿐만 아니라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구조의 주 울림관(16)에도 적용가능하다.At this time, the corrugated pipe 30 is applicable not only to the auxiliary sound pipe 14 but also to the main sound pipe 16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S. 3 (a) to 3 (c).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울림관이 가능한 바, 마스크의 사용환경 혹은 설계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울림관이 선택가능하다.As such, since various types of sound tubes are possible, an appropriate type of sound tube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age environment or design of the mask.

한편, 귀걸이(7)는 통상적인 귀걸이를 의미하는 바, 마스크 본체(5)의 상하부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귀에 착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arring 7 means a normal earring, and can be worn on the ear by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mask body 5, respectively.

이하, 상기한 마스크를 착용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wearing the above mask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마스크 본체(5)를 거치대(3)에 삽입하여 거치하게 된다.First, the mask body 5 is inserted into the holder 3 and mounted.

즉, 상하 프레임(9)의 상단 누름쇠(11)는 마스크 본체(5)의 상단에 형성된 제 1삽입 출입구(17)에 삽입되고, 상하 프레임(9)의 하단 누름쇠(15)는 마스크 본체(5)의 하단에 형성된 제 2삽입 출입구(19)에 삽입함으로써 마스크 본체(5)를 거치대(3)에 고정한다.That is, the upper clamp 11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9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port 17 formed at the top of the mask body 5, and the lower clamp 15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9 is inserted into the mask body 5. The mask body 5 is fixed to the holder 3 by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port 19 formed at the lower end of (5).

이때, 상단 누름쇠(11)의 상단은 복수개의 제 1삽입 출입구(17)중 적절한 삽입구에 삽입함으로써 콧대의 높이에 제약을 받지 않고 마스크 본체(5)의 상단이 코 등의 전 라인을 포함한 얼굴 전면에 밀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upper pusher 11 is inserted into an appropriate insertion hol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ports 17,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mask body 5 is not restricted by the height of the nose bridge and the face including the entire line of the nose It can be attached to the front.

또한, 하단 누름쇠(15)의 하단이 복수개의 제 2삽입 출입구(19)중 적절한 삽입구에 삽입됨으로써 마스크 본체(5)의 하단과 턱의 접촉이 느슨한 접촉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턱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지 않음으로써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lower end of the lower pusher 15 is inserted into an appropriate insertion hole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ports 19, the contact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mask body 5 and the chin maintains a loose contact state, thereby affecting the movement of the chin. By not receiving it, you can prevent it from flowing down.

한편, 마스크를 착용한 경우, 울림통(7)의 선단에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20)가 마스크 본체(5)의 내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주 울림관(16)의 테두리와 마스크 본체(5)의 내측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mask is worn, a plurality of projections 20 protruding from the tip of the sound box 7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5, thereby forming a gap between the rim of the main sound pipe 16 and the mask body 5. A constant gap may be maintained between the inner surfaces.

입김이 울림관을 통하여 배출된 후 마스크 본체(5)의 내측면에 접촉한 후 사방으로 확산됨으로써 뜨거운 입김이 사용자의 안면으로 되돌아오는 시간을 지연시켜 사용자가 느끼는 열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After the breath is discharged through the sound tube, it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5 and then spreads in all directions, thereby delaying the time when the hot breath returns to the user's face, thereby minimizing the user's feeling of heat.

그리고, 이러한 음성은 주 울림관(16)의 내주면에 형성된 원형 혹은 나선형 턱(22)에 의해 반복 진동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울림통(7)을 통과한다.And, this voice passes through the soundbox 7 more effectively by being repeatedly vibrated by the circular or spiral jaws 22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soundpipe 16.

Claims (11)

상부에는 열 융착 미처리 마감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1삽입 출입구(17)가 각각 형성되는 마스크.A mask having a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openings 17 each formed of a non-thermal fusion treatment finish on the upper portion. 하부에는 열 융착 미처리 마감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2삽입 출입구(19)가 각각 형성되는 마스크.A mask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openings 19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hereof by non-thermal fusion treatment. 상부에는 열 융착 미처리 마감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1삽입 출입구(17)가 각각 형성되고,
하부에는 열 융착 미처리 마감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2삽입 출입구(19)가 각각 형성되는 마스크.
At the top, a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ports 17 formed by non-thermal fusion treatment are formed, respectively.
A mask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openings 19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lower portion with a non-thermal fusion treatment finish.
마스크 상부에 열 융착 미처리 마감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1삽입 출입구(17)에 2개의 상단이 각각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거치대.A cradle for which two upper ends ar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ports 17 formed on the top of the mask with non-thermal fusion treatment. 마스크 하부에 열 융착 미처리 마감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2삽입 출입구(19)에 2개의 하단이 각각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거치대.A cradle in which two lower ends are selectively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ports 19 formed with non-thermal fusion treatment at the lower part of the mask. 마스크 상부에 열 융착 미처리 마감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1삽입 출입구(17)에 2개의 상단이 각각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마스크 하부에 열 융착 미처리 마감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2삽입 출입구(19)에 2개의 하단이 각각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거치대.
The two upper ends are each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ports 17 formed by non-thermal fusion treatment on the upper part of the mask,
A cradle in which two lower ends are selectively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ports 19 formed with non-thermal fusion treatment at the lower part of the mask.
마스크가 거치되는 거치대(3)와;
거치대(3)에 배치되어 음성 및 입김을 증폭하거나 확산시키는 울림통(7)을 포함하는 마스크.
a cradle (3) on which the mask is mounted;
A mask including a resonator 7 disposed on the cradle 3 to amplify or diffuse voice and breath.
상부에는 열 융착 미처리 마감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1삽입 출입구(17)가 각각 형성되고,
하부에는 열 융착 미처리 마감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2삽입 출입구(19)가 각각 형성되며,
2개의 상단은 제 1삽입 출입구(17)에 삽입되고, 2개의 하단은 제 2삽입 출입구(19)에 삽입되는 거치대(3)와; 그리고
거치대(3)에 배치되어 음성 및 입김을 증폭하거나 확산시키는 울림통(7)을 포함하는 마스크.
At the top, a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ports 17 formed by non-thermal fusion treatment are formed, respectively.
At the bottom, a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ports 19 formed by non-thermal fusion treatment are formed, respectively.
The two upper end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port (17) and the two lower ends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port (19); and
A mask including a resonator 7 disposed on the cradle 3 to amplify or diffuse voice and breath.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울림통(7)은 거치대(3)에 배치된 보조 울림관(14)과; 보조 울림관(14)에 결합되어 음성 혹은 입김의 통로가 되는 주 울림관(16)과; 주 울림관(16)의 테두리에 돌출되어 마스크 본체(5)에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접촉하는 복수개의 돌기(20)를 포함하는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7 or 8,
Ullimtong 7 and the auxiliary sound tube 14 disposed on the holder (3); A main sounding tube 16 coupled to the auxiliary sounding tube 14 and serving as a passage for voice or breath; A mask includ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20 protruding from the rim of the main sound pipe 16 and contacting the mask body 5 at regular intervals.
제 9항에 있어서,
주 울림관(16) 혹은 보조 울림관(14)의 내주면에는 원형 혹은 나선형상의 턱(2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9,
A mask in which a circular or spiral jaw 22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sound pipe 16 or the auxiliary sound pipe 14.
제 9항에 있어서,
주 울림관(16) 혹은 보조 울림관(14)의 내부에는 주름관(30)이 삽입되는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9,
A mask in which a corrugated pipe 30 is inserted into the main sound pipe 16 or the auxiliary sound pipe 14.
KR1020210167634A 2021-11-29 2021-11-29 Mask with echo tube KR202300801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634A KR20230080160A (en) 2021-11-29 2021-11-29 Mask with echo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634A KR20230080160A (en) 2021-11-29 2021-11-29 Mask with echo tub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160A true KR20230080160A (en) 2023-06-07

Family

ID=8676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634A KR20230080160A (en) 2021-11-29 2021-11-29 Mask with echo tu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016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99004A1 (en) * 2021-06-11 2022-12-15 Suetsugu Katsunori Voice augmentation device, partition, mask, mouth shield, and face shiel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645A (en) 2018-06-26 2020-01-07 (주)인송건설 Plate for impression of brid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645A (en) 2018-06-26 2020-01-07 (주)인송건설 Plate for impression of brid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99004A1 (en) * 2021-06-11 2022-12-15 Suetsugu Katsunori Voice augmentation device, partition, mask, mouth shield, and face shiel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55053B2 (en)
US6092243A (en) Sports goggles with changeable lenses and improved wearing comfort
KR101785801B1 (en) Breathing frame of mask
KR20230080160A (en) Mask with echo tube
JP2016529004A (en)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JPS6037521A (en) Spectacles
JPS632018A (en) Soft pad to be inserted into spectacles frame
TW200532276A (en) Eyeglasse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6546565B2 (en) Swimming goggles with step-less adjustment
KR20200125741A (en) glasses
JPH04230731A (en) Spectacles having nose-mout piece
TWI721124B (en) Temple ba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mple bar
JP3075178U (en) Unclouded mask for glasses
KR200474391Y1 (en) Glasses Including Silicon Ear Frame
JP3159668U (en) Mask to prevent splashing
FI58055B (en) HOERSELSKYDD FOER ANVAENDNING TILLSAMMANS MED GLASOEGONSKALMAR
KR102381703B1 (en) Mask
JP3044557U (en) Swimming goggles bridge device
KR102654950B1 (en) The mask guard removable mask
US5389980A (en) Nose pads for spectacles
KR200427280Y1 (en) Assistant fixing implement for glasses
KR20220073223A (en) antifogging accessory mounted to mask body
KR20230126810A (en) Device for assisting wearing a mask
KR20220101506A (en) spacer that separates mask body from lips of the wearer
JP3880927B2 (en) Glasses nose p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