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9569A - Impression coping for dental implant surgery - Google Patents

Impression coping for dental implant surg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9569A
KR20230079569A KR1020210166418A KR20210166418A KR20230079569A KR 20230079569 A KR20230079569 A KR 20230079569A KR 1020210166418 A KR1020210166418 A KR 1020210166418A KR 20210166418 A KR20210166418 A KR 20210166418A KR 20230079569 A KR20230079569 A KR 20230079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ression
impression coping
coping
main body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4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현성
Original Assignee
장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성 filed Critical 장현성
Priority to KR1020210166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9569A/en
Publication of KR20230079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95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내에 식립된 임플란트 위치를 구강 외 기공작업 모형에서 재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임프레션 코핑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단에서 깊이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구조로 형성하여 인상채득이 용이하고, 인상채득 후 기공작업 모형을 재현하기 위해 인상체를 재결합할 때 인상체의 변형을 방지하여 모형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임프레션 코핑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ession coping used to reproduce the position of an implant placed in the oral cavity in an extraoral stomatal work model. , It is about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surgery that can accurately implement a model by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impression body when the impression body is reassembled to reproduce the groundbreaking work model after impression taking.

Description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임프레션 코핑{IMPRESSION COPING FOR DENTAL IMPLANT SURGERY}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surgery {IMPRESSION COPING FOR DENTAL IMPLANT SURGERY}

본 발명은 구강 내에 식립된 임플란트 위치를 구강 외 기공작업 모형에서 재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임프레션 코핑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단에서 깊이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구조로 형성하여 인상채득이 용이하고, 인상채득 후 기공작업 모형을 재현하기 위해 인상체를 재결합할 때 인상체의 변형을 방지하여 모형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임프레션 코핑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ession coping used to reproduce the position of an implant placed in the oral cavity in an extraoral stomatal work model. , It is about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surgery that can accurately implement a model by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impression body when the impression body is reassembled to reproduce the groundbreaking work model after impression taking.

일반 보철물이나 덴쳐(denture,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는데 반해,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고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동일하면서 충치가 생기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Whereas general prosthetics or dentures damage the surrounding teeth and bones over time, implants do not damage the surrounding tooth tissue and have the same function and shape as natural teeth, but do not cause cavities and can be used semi-permanently. There is an advantage.

임플란트 치료에 있어서 구강 내에 식립된 임플란트의 위치를 3차원적으로 정확하게 복사하는 것은 제작되는 기공물(보철물)의 정확성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는 정확한 위치를 확보해야 보다 정확한 기공물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implant treatment, three-dimensionally accurate copying of the position of an implant placed in the oral cavity is very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accuracy of a fabricated pore (prosthesis). This is because a more accurate pore can be produced only when the exact location is secured.

임플란트 치료에서 임프레션 코핑을 사용한 기공작업 모형 제작은 필수적인 항목이다. 기공작업 모형 제작의 정확성은 인상채득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임프레션 코핑을 사용한 인상채득방법은 보통 픽스쳐 레벨(fixture level)에서 진행되어 왔다. In implant treatment, fabrication of a mechanical work model using impression coping is an essential item. The accuracy of groundbreaking work model production is greatly influenced by impression taking. The impression taking method using impression coping has usually been performed at the fixture level.

일반적으로, 픽스쳐 레벨에서의 인상채득방법은 다음과 같다. 식립된 픽스쳐 상부에 임프레션 코핑을 결합하고, 그 위에 유동 가능한 인상재를 씌워 떠낸 후, 랩 아날로그를 치아모형의 인상체 상에 식립된 임프레션 코핑에 고정시킨다. 이후, 치과용 스톤을 부어 치아모형을 제작하고, 이렇게 제작된 치아모형에 어버트먼트를 체결하고, 다시 인상재를 이용하여 기공물을 제작하기 위한 인상과정을 진행하게 된다.In general, the impression taking method at the fixture level is as follows. After coupling the impression coping to the upper part of the implanted fixture, covering it with a flexible impression material and scooping it out, the lab analog is fixed to the implanted impression coping on the impression body of the tooth model. Thereafter, a dental stone is poured to produce a tooth model, an abutment is fastened to the tooth model thus produced, and an impression process for producing a pore is performed using an impression material again.

임프레션 코핑은 일반적으로 본체와, 본체의 내부로 진입하여 본체를 픽스쳐에 고정시켜주는 스크류(screw) 부분으로 나뉘고 스크류의 상부에는 드라이버 홀이 마련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임프레션 코핑을 이용해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인상채득을 진행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Impression coping is generally divided into a main body and a screw part that enter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fixes the main body to a fixtur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driver hole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screw. However, when impression taking is perform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using the impression coping having such a structure, the following problems occur.

먼저, 픽스쳐에 결합된 임프레션 코핑 상부에 인상재를 씌우는 과정을 진행할 때 인상재가 드라이버 홀에 들어가게 되고, 이는 인상채득의 정확성을 떨어뜨린다. 결국, 정확한 인상채득을 위해서는 인상재가 드라이버 홀에 들어가지 않도록 인상재를 씌우기 전에 임프레션 코핑의 드라이버 홀을 임시로 막아주는 작업을 별도로 진행해야 하므로 인상채득을 위한 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임프레션 코핑의 상단부에 마련된 드라이브 홀은 보통 육각홈이나 별모양 구조를 갖게 되는데, 인상채득 후 구강 외에서 인상체를 임프레션 코핑을 재결합할 때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드라이브 홀의 오정렬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First, when the process of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impression coping coupled to the fixture is performed, the impression material enters the driver hole, which deteriorates the accuracy of impression taking. After all, in order to take an accurate impression,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temporarily block the driver hole of the impression coping before covering the impression material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does not enter the driver hole, so the work for impression taking becomes cumbersome and complicated. In addition, the drive hol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impression coping usually has a hexagonal groove or a star-shaped structure. When the impression body is recombined with the impression coping outside the oral cavity after taking an impression, there is a problem that misalignment of the drive hole occurs due to the rotation of the screw. there is.

KR 10-0428935 B1, 2004. 04. 13.KR 10-0428935 B1, 2004. 04. 13. KR 10-1172838 B1, 2012. 08. 03.KR 10-1172838 B1, 2012. 08. 03. KR 10-2280897 B1, 2021. 07. 19.KR 10-2280897 B1, 2021. 07. 1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general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인상채득 과정에서 임프레션 코핑으로부터 인상체를 안정적으로 분리시키는 한편, 인상채득 후 구강 외에서 기공작업 모형을 재현하기 위해 인상체를 임프레션 코핑에 재결합할 때 인상체의 변형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기공작업 모형을 제작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임프레션 코핑에 관한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ably separate the impression body from the impression coping during the impression taking process, and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impression body when recombining the impression body to the impression coping in order to reproduce a groundbreaking model outside the mouth after impression taking. It relates to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surgery that can produce an accurate groundwork model.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외에도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를 통해 기재된 기술들을 통해 다양한 목적들이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urpose, and various other objects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hrough the techniques described through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claim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하로 관통된 중공의 상단에서 깊이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내면을 갖는 본체; 및 헤드의 상면이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를 픽스쳐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임프레션 코핑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ain body having an inner surfac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in the depth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hollow vertically penetrated; And an upper surface of the head is located o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provides an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main body to the fixture.

또한, 상기 본체의 내면은 상기 중공의 상단에서 상기 헤드의 상면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inner diameter decreases from an upper end of the hollow to an upper surface of the head.

또한, 상기 중공의 하부에는 상기 헤드의 하단부가 걸림지지되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내면은 상기 중공의 상단에서 상기 단턱부의 상면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tepped portion for holding the lower end of the head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llow,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from the upper end of the hollow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

또한, 상기 헤드의 외면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n inclined surface.

또한, 상기 중공의 상단 내경은 상기 헤드의 상면과 동일 높이에서 상기 중공의 내경의 2배 미만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hollow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ize less than twice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low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또한, 상기 중공의 상단 내경은 상기 단턱부의 상면과 동일 높이에서 상기 중공의 내경의 2배 미만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inner diameter of the hollow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ize less than twice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low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또한,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굴곡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urved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에 따르면, 체결부재, 즉 스크류의 헤드가 임프레션 코핑의 내측 하부에 체결됨에 따라 종래에 인상재가 스크류의 드라이버 홀 내부로 인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드라이버 홀을 임시로 메워주는 번거로움을 해결함으로써 인상채득 작업을 단순화하여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mpression co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astening member, that is, the head of the screw is fastened to the inner lower part of the impression coping, a driver hole is formed to prevent the impression material from entering the driver hole of the screw in the prior art. By solving the trouble of temporary filling,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by simplifying the impression taking work.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에 따르면, 상단에서 깊이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taper) 형태로 이루어진 임프레션 코핑을 제공함으로써 인상채득 후 임프레션 코핑이 복사된 인상체와 임프레션 코핑을 재결합할 때 인상체의 변형없이 안정적으로 결합 가능하여 기공작업 모형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mpression co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mpression coping is recombined with the impression body copied from the impression coping after impression taking by providing an impression coping having a tapered shape such that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from the top to the depth direction, It can be stably combined without deformation of the impression body, so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implement the groundbreaking work model.

즉, 임프레션 코핑의 상단부가 폭경이 증가된 인상체의 내부로 원활하게 인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임프레션 코핑이 복사된 인상체와 임프레션 코핑을 재결합할 때 인상체의 변형없이 안정적으로 결합 가능하여 기공작업 모형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upper end of the impression coping is smoothly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impression body with the increased width and combined, when the impression coping is copied and the impression coping is recombined, it is possible to stably combine the impression coping without deformation of the impression body, thereby creating a groundbreaking work model. can be implemented accurat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에 따르면, 상단에서 깊이방향으로 내경이 작아지는 구조로 임프레션 코핑이 형성됨에 따라 임프레션 코핑의 중공 부위로 인상재가 주입되어 복사됨으로써 인상채득 후 인상체를 임프레션 코핑에 재결합할 때 내측와 외측에서 견고하게 임프레션 코핑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mpression co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impression coping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in the depth direction from the top end, the impression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hollow part of the impression coping and copied, so that the impression body is reunited with the impression coping after impression taking. When doing this, it is possible to secure stability by firmly supporting the impression coping from the inside and outsid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들을 비교하기 위해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mpression co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for compar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parative examples.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impression co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다. Hereinafter,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n order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provided,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그리고, 각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은 크기 및 형상이 과도하게 도시될 수도 있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제한을 두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언급된 '인상'은 치과 진단 및 치료를 위해 구강 내 조직의 모습을 본 뜨는 과정, 혹은 그 결과물을 의미한다. '인상재'는 인상을 위해 사용하는 재료를 의미하고, '인상채득'은 인상재를 이용하여 구강 내의 모습을 본 뜨는 과정을 의미하고, '인상체'는 인상채득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결과물을 의미한다. Also,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 addition, each component shown in each figure may be excessively illustrated in size and shape, which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In addition, the 'impression' mention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a process of imitating the appearance of tissues in the oral cavity for dental diagnosis and treatment, or a result thereof. 'Impression material' refers to materials used for impression, 'impression taking' refers to the process of imitating the oral cavity using impression material, and 'impression body' refers to the result obtained through the impression taking process.

임플란트 치료에서 임프레션 코핑을 사용한 기공작업 모형 제작은 필수적인 항목이다. 그리고, 기공작업 모형 제작의 정확성은 인상채득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인상채득을 통해 획득한 인상체에서부터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기공작업 모형을 안정적으로 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추후 제작된 보철물이 구강 내에서 맞지 않게 되고, 다시 처음부터 임프레션 코핑을 구강 내 식립된 임플란트에 꽂고 인상을 떠 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결국, 제대로 된 인상체를 얻어내는 것은 필수다.In implant treatment, fabrication of a mechanical work model using impression coping is an essential item. Also, the accuracy of groundbreaking work model production is greatly influenced by impression taking. If an error occurs from the impression body acquired through impression taking, the prosthesis produced later does not fit in the oral cavity despite the stable fabrication of the groundbreaking work model, and the impression coping is inserted into the implant placed in the oral cavity from the beginning. There is a problem that needs to be raised and worked on. In the end, it is essential to obtain a proper impression body.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견고하고 안정된 형상의 인상체를 제작할 수 있는 임프레션 코핑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임프레션 코핑으로부터 인상체의 분리가 용이하고, 인상채득 후 구강 외에서 기공작업 모형을 재현하기 위해 인상체를 임프레션 코핑에 재결합할 때 인상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임프레션 코핑을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ession coping capable of producing an impression body with a more robust and stable shape, through which the impression body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impression coping, and an impression body to reproduce a groundbreaking work model outside the oral cavity after taking an impression. Provides an impression coping capable of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impression body when recombination with the impression cop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mpression co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은 본체(10)와, 본체(10)의 하부(11)의 일부가 픽스쳐(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본체(10)를 픽스쳐(1)에 고정하는 체결부재(2)를 포함한다. 이때, 체결부재(2)는 스크류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impression cop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10 and a part of the lower part 11 of the main body 10 inserted into the fixture 1, the main body 10 It includes a fastening member 2 fixed to the fixture 1. At this time, the fastening member 2 may be a screw.

이러한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10)는 체결부재(2)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하로 관통된 중공(10a)이 형성된 관형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중공(10a)과 대면하는 내면(13)은 상단(12)에서 깊이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main body 10 of the impression coping may have a tubular structure having a hollow 10a penetrating vertically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2 is inserted therein.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13 facing the hollow 10a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from the upper end 12 in the depth direction.

예를 들어,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10)의 상단(12)에서 내경(d1)은 최대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10)의 내경은 상단(12)에서 제1 또는 제2 기준지점(ref1, ref2)까지 깊이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For example, the inner diameter d1 at the upper end 12 of the main body 10 of the impression coping may be the largest. In addit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main body 10 of the impression coping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in the depth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12 to the first or second reference points ref1 and ref2.

제1 기준지점(ref1)은 체결부재(2)가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10)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헤드(2a)의 상면 높이와 동일 높이의 지점일 수 있다. 제2 기준지점(ref2)은 체결부재(2)가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10)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헤드(2a)가 걸림 지지되도록 형성된 단턱부(14)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의 지점일 수 있다. The first reference point ref1 may be a point at the same height as the top surface of the head 2a in a state where the fastening member 2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of the impression coping. The second reference point ref2 is a point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14 formed to hold the head 2a in a state where the fastening member 2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of the impression coping. can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10)는 내면(13)이 상단(12)에서 제1 또는 제2 기준지점(ref1, ref2)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10)의 내면(13)은 d1>d2, d1>d3, 또는 d1<d2>d3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기준지점(ref1)에서 제2 기준지점(ref2) 사이의 내면은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0 of the impression coping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surface 13 decreases from the upper end 12 toward the first or second reference points ref1 and ref2. That is, the inner surface 13 of the main body 10 of the impression coping may be formed as d1>d2, d1>d3, or d1<d2>d3. In this case, the inner surface between the first reference point ref1 and the second reference point ref2 may have the same inner diame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10)의 상단(12)에서의 내경 'd1'과 기준지점(ref1)에서 내경 'd2'와의 관계는 아래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로 정의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ner diameter 'd1' at the upper end 12 of the main body 10 of the impression coping and the inner diameter 'd2' at the reference point ref1 is expressed by [Equation 1] or [Equation 2] below. ] can be defined.

[수학식 1][Equation 1]

d1 > d2d1 > d2

[수학식 2][Equation 2]

2×d2 > d1 > d22×d2 > d1 > d2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10)를 픽스쳐(1)에 체결 고정하는 체결부재(2)는 스크류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체결부재(2)는 바디(2b)의 직경이 대략 2.0mm이고, 헤드(2a)는 바디(2b)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대략 2.3mm~2.4mm인 직경의 스크류를 사용한다. The fastening member 2 for fastening and fixing the main body 10 of the impression coping to the fixture 1 uses a screw. In general, the fastening member 2 uses a screw having a diameter of about 2.3 mm to 2.4 mm so that the body 2b has a diameter of about 2.0 mm and the head 2a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body 2b.

따라서, 체결부재(2)의 헤드(2a)가 수용되는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10)의 내부 내경은 최소 2.4mm가 되어야 하는데, 보통 0.1mm 정도의 여유를 갖도록 2.5mm으로 형성한다. 결국,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10)의 상단(12)에서 내경(d1)은 2.5mm가 된다. Accordingly, the inner diameter of the main body 10 of the impression coping, in which the head 2a of the fastening member 2 is accommodated, should be at least 2.4 mm, but is usually formed to be 2.5 mm with a margin of about 0.1 mm. As a result, the inner diameter d1 at the upper end 12 of the main body 10 of the impression coping becomes 2.5 mm.

한편,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10)는 일반적인 치아의 직경보다 작아야 한다. 그 이유는 치아 한 개가 상실되는 경우에 임프레션 코핑의 폭이 더 크면, 구강 내에서 임프레션 코핑을 픽스쳐(1)에 체결 고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10 of the impression coping should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a general tooth. The reason is that if the width of the impression coping is larger when one tooth is lost, a problem in that the impression coping cannot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fixture 1 occurs in the oral cavity.

보통 구치부의 폭이 대략 10mm인 경우도 있지만, 소구치부는 대략 6mm 정도이고, 하악 전치부는 4mm 정도이므로 제1 기준지점(ref1)에서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10)의 내경이 너무 크면, 픽스쳐(1)에 체결이 어려워 인상채득이 사실상 불가능할 수 있다. Although the width of the posterior teeth is usually about 10 mm, the premolars are about 6 mm and the lower anterior teeth are about 4 mm. It may be virtually impossible to obtain a raise because it is difficult to conclude.

내경 'd1'이 2.5mm라고 하면, 'd1'의 2배는 5.0mm가 된다.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10)의 내경이 5.0mm가 되면, 외경은 적어도 5.5mm 이상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임프레션 코핑의 외면에는 인상체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굴곡면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굴곡면에서 볼록한 부분으로 인해 임프레션 코핑은 최소 6mm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6.0mm 크기의 임프레션 코핑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강 내에서 최소 양쪽에 1mm 정도의 인상재가 인입될 여유 공간이 필요하다. 이 경우, 8mm 이상의 공간이 있는 곳에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악 전치부나 소구치부, 그리고 상악 소구치부에는 사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제1 기준지점(ref1)에서 내경 'd2'는 'd1'의 2배 미만으로 제작되어야 한다.If the inside diameter 'd1' is 2.5mm, twice the 'd1' is 5.0mm. 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main body 10 of the impression coping is 5.0 mm, the outer diameter must be at least 5.5 mm or more. The reason is that a curved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mpression coping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with the impression body. At this time, due to the convex portion of the curved surface, the impression coping can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at least 6 mm, and 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6.0 mm size impression coping, at least 1 mm of impression material must be inserted on both sides of the oral cavity. Free space is required. In this case, since it can be used only where there is a space of 8 mm or more, it is difficult to use it for the lower anterior teeth, premolars, and upper premolars. Therefore, the inner diameter 'd2' at the first reference point ref1 should be less than twice that of 'd1'.

한편, 도 1과 같이,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10)의 외면(15)에는 인상채득을 위해 사용되는 인상재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굴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굴곡면은 일정한 패턴, 예를 들면 볼록면과 오목면이 반복적 또는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굴곡면은 임프레션 코핑의 길이방향(상하방향)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둘레면을 따라 회전방향(측방향)으로 물결 또는 요철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굴곡면은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패턴의 형상은 제한을 두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 , a curved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15 of the main body 10 of the impression coping to increase bonding strength with the impression material used for impression taking. At this time, the curved surfac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certain pattern, for example, a convex surface and a concave surface are repeatedly or continuously formed. The curved surface may b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f the impression coping, or may be formed in a wavy or concave shape in a rotational direction (later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n addition, the curved surfaces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shape of the pattern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without any limitation.

또한,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10)의 외면(15)에는 회전방향으로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인상채득 후 기공작업 모형을 재현하기 위해 인상체와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10)를 재결합할 때 인상체가 회전되지 않도록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10)의 외면에는 회전 방지용 구조물, 예를 들면, 돌부, 홈부 또는 컷팅된 평평한 면 등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형상 및 개수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In addition, grooves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15 of the main body 10 of the impression coping, and in order to reproduce a groundbreaking work model after taking an impression, the impression body and the main body 10 of the impression coping A structure for preventing rotation, for example, a protrusion, a groove, or a cut flat surface,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of the impression coping so that the impression body does not rotate when recombination. There are no limit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들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을 비교하기 위해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과, 그 인상체를 나타내고, 도 2의 (b)는 비교예1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과 그 인상체를 나타내며, 도 2의 (c)는 비교예2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과 그 인상체를 나타낸다. 2 is schematic diagrams for comparing impression cop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parative examples, FIG. 2 (a) shows an impression co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mpression body thereof, Figure 2 (b) shows the impression coping and its impression body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and Figure 2 (c) shows the impression coping and its impression body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1은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30)의 내측 하부에 체결부재(2)의 헤드(2a)가 위치되는 구조로서, 인상채득 후 인상체(40)를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30)에 재결합할 때 인상체(40)에 형성된 돌부(dh1')(체결부재(2)의 헤드(2a)에 형성된 드라이버 홀(dh1)이 복사된 구조물)의 찌그러짐으로 인해 인상체(40)가 변형될 수 있다. Comparative Example 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ead 2a of the fastening member 2 is positioned at the inner lower part of the main body 30 of the impression coping, and the impression body 40 is rejoined to the main body 30 of the impression coping after impression taking. When the impression body 40 is formed, the impression body 40 may be deformed due to the crushing of the protrusion dh1' (a structure in which the driver hole dh1 formed in the head 2a of the fastening member 2 is copied). .

그 이유는 인상채득 후 인상체(40)를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30)에 재결합할 때 인상체(40)의 돌부(dh1')와 체결부재(2)의 드라이버 홀(dh1')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드라이버 홀(dh1')은 내면이 각형(예컨대, 육각홈)으로 이루어지고, 이를 복사한 돌부(dh1')는 외면이 각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재결합시 불일치로 인해 돌부(dh1')가 드라이버 홀(dh1')의 내부로 삽입될 때 찌그러짐이 발생하고, 이러한 돌부(dh1')의 찌그러짐은 인상체(40)의 전체로 전이되어 변형을 야기한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impression body 40 is rejoined to the main body 30 of the impression coping after impression taking, the projection dh1' of the impression body 40 and the driver hole dh1' of the fastening member 2 are exactly matched. because it doesn't The inner surface of the driver hole dh1' is made of a prismatic shape (for example, a hexagonal groove), and the protruding part dh1 ′ copied therefrom has a prismatic outer surface. When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dh1'), distortion occurs, and the distortion of the projection dh1' is transferred to the entire impression body 40 and causes deformation.

이러한 인상체(40)의 변형은 본체(30)의 내면이 상하로 동일한 내경(D1)으로 형성됨에 따라 인상체(40)를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30)에 결합할 때 인상체(40)가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30)의 중공(중앙 홀) 부분을 찾기가 어렵고, 찾더라도 상하로 수직한 내면을 갖는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30)로 인해 상하 길이에 대응하는 깊이(원하는 깊이)까지 삽입되지 못하고, 그 과정에서 찌부러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The deformation of the impression body 40 is such that when the impression body 40 is coupled to the body 30 of the impression coping, as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30 is formed with the same inner diameter D1 vertically, the impression body 40 It is difficult to find the hollow (central hole) of the body 30 of the impression coping, and even if it is found, it is not inserted to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length (desired depth) due to the body 30 of the impression coping, which has vertically vertical inner surfaces. This is because cracking occurs in the process.

이러한 이유로, 비교예2와 같이,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50)의 상단부에 체결부재(3)의 헤드(3a)가 위치하는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50) 구조가 주로 사용되었다. 비교예2와 같은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50)는 클로즈드 트레이(closed tray)용으로, 본체(50)를 픽스쳐(1)에 고정하는 체결부재(3)의 헤드(3a)의 상면이 본체(50)의 상면과 거의 일치하도록 제작되었다. 그러나, 비교예2 또한 인상체(60)를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50)에 재결합할 때 드라이버 홀(dh2)과의 불일치로 인해 인상체(60)의 돌부(dh2')에서 찌그러짐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인상체(60)가 변형되었다. For this reason, as in Comparative Example 2, the structure of the body 50 of the impression coping in which the head 3a of the fastening member 3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50 of the impression coping was mainly used. The main body 50 of the impression coping as in Comparative Example 2 is for a closed tra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3a of the fastening member 3 fixing the main body 50 to the fixture 1 is the main body 50. ) was manufactured to almost coincid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wever, in Comparative Example 2, when the impression body 60 is rejoined to the main body 50 of the impression coping, distortion occurs at the projection dh2' of the impression body 60 due to mismatch with the driver hole dh2. As a result, the impression body 60 is deformed.

전술한 비교예1 및 2의 구조와 다르게, 도 2의 (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10)는 체결부재(2)의 헤드(2a)가 내측 하부에 위치됨으로써 비교예2에서 지적된 문제들을 해결하고, 내면의 내경이 상단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비교예1에서 지적된 문제들, 즉 인상체의 변형을 방지하여 기공작업 모형을 비교예1 및 2 구조에 비해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Unlike the structures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described above, in the main body 10 of the impression cop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By being positioned, the problems pointed out in Comparative Example 2 are solved, and the problem pointed out in Comparative Example 1, that is, the deformation of the impression body, is prevented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surface becomes small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groundwork work model is created. Compared to the structures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it can be accurately implement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impression co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형예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의 본체(70)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내측에 단턱부(14)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경사면(71)이 형성된다. 이와 대응하여 체결부재(4)의 헤드(4a) 외면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4)의 헤드(4a)는 원뿔 구조에서 상부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main body 70 of the impression coping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formed with a stepped portion 14 on the inside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but with an inclined surface 71. . Correspondingly,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4a of the fastening member 4 may be formed as a downwardly inclined surface from top to bottom. For example, the head 4a of the fastening member 4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conical structure is cu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에서 임프레션 코핑은 내경이 상단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내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내경이 상단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모든 구조 및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프레션 코핑은 다단으로 완만한 경사면이 형성된 계단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impression coping is composed of an inclined surface to realize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but this is an example, and may include all structures and shapes in which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re is. For example, the impression coping may be formed in a stepped structure in which gentle slopes are formed in multiple stages.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 is for explanation and not for limitation. 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픽스쳐 2, 3, 4 : 체결부재(스크류)
2a, 3a, 4a : 헤드 2b : 바디
10, 30, 50 : 본체(임프레션 코핑) 10a : 중공
11 : 하부 12 : 상단
13, 71 : 내면 14 : 단턱부
15 : 외면 20, 40, 60, 70 : 인상체
1: fixture 2, 3, 4: fastening member (screw)
2a, 3a, 4a: head 2b: body
10, 30, 50: body (impression coping) 10a: hollow
11: lower part 12: upper part
13, 71: inner surface 14: stepped part
15: outer surface 20, 40, 60, 70: impression body

Claims (7)

상하로 관통된 중공의 상단에서 깊이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내면을 갖는 본체; 및
헤드의 상면이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를 픽스쳐에 고정하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임프레션 코핑.
A main body having an inner surface in which an inner diameter decreases in a depth direction from an upper end of the hollow vertically penetrated; and
a fastening member having an upper surface of the head positioned on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fixing the main body to the fixture;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proced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면은 상기 중공의 상단에서 상기 헤드의 상면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임프레션 코핑.
According to claim 1,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from the upper end of the hollow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하부에는 상기 헤드의 하단부가 걸림지지되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내면은 상기 중공의 상단에서 상기 단턱부의 상면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임프레션 코핑.
According to claim 1,
In the lower part of the hollow, a stepped portion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head is hooked is forme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from the upper end of the hollow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Impression cop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외면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임프레션 코핑.
According to claim 1,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proced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is made of an inclined surf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상단 내경은 상기 헤드의 상면과 동일 높이에서 상기 중공의 내경의 2배 미만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임프레션 코핑.
According to claim 2,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proced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inner diameter of the hollow has a size less than twice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low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상단 내경은 상기 단턱부의 상면과 동일 높이에서 상기 중공의 내경의 2배 미만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임프레션 코핑.
According to claim 3,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inner diameter of the hollow has a size less than twice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low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ped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굴곡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임프레션 코핑.
According to claim 1,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proced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KR1020210166418A 2021-11-29 2021-11-29 Impression coping for dental implant surgery KR202300795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418A KR20230079569A (en) 2021-11-29 2021-11-29 Impression coping for dental implant surg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418A KR20230079569A (en) 2021-11-29 2021-11-29 Impression coping for dental implant surg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569A true KR20230079569A (en) 2023-06-07

Family

ID=86761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418A KR20230079569A (en) 2021-11-29 2021-11-29 Impression coping for dental implant surg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9569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935B1 (en) 2001-10-11 2004-04-29 주식회사 덴티움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operation
KR101172838B1 (en) 2010-08-20 2012-08-09 동 욱 신 Multi abutment device
KR102280897B1 (en) 2018-11-08 2021-07-23 정문성 Implant assembly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935B1 (en) 2001-10-11 2004-04-29 주식회사 덴티움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operation
KR101172838B1 (en) 2010-08-20 2012-08-09 동 욱 신 Multi abutment device
KR102280897B1 (en) 2018-11-08 2021-07-23 정문성 Implant assembly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2710B2 (en) Components for improved impression taking
JP4276540B2 (en) Components and methods for improved impression taking
JP3634441B2 (en) Mold cap for dental implant
CN107847303B (en) Dental implant
KR20120082000A (en) Dental bridge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US20060216673A1 (en) Dental implant
CN101048113B (en) Dental implant system, dental implant and whole set of tool with the implant
KR101106161B1 (en) Implant Apparatus having Strong Coupling Structure of abutment and zirconia cap
KR20060130494A (en) Abutment for dental implant
KR101172838B1 (en) Multi abutment device
KR102369161B1 (en) Abutments to prevent rotation of implant crowns
US20140322665A1 (en) Guiding template for dental implantology
KR101025225B1 (en) Fixture of Dental Implant
KR102470652B1 (en) Implant impression coping with improved connecting structure
KR20230079569A (en) Impression coping for dental implant surgery
KR200456293Y1 (en) Onebody solid abutment
KR20050090651A (en) Implant for instant fixing
US20210386526A1 (en) Coupling element for dentistry applications and corresponding kit
KR101067752B1 (en) Implant fixture
KR101740181B1 (en) Implant unit
JP5781709B2 (en) Gingival shaping cap and gingival shaping cap kit
KR100614975B1 (en) Dental prosthesis and mounting method thereof
KR20200002558U (en) Surgical connector for dental fixture
KR102580491B1 (en) Hybrid impression coping
JP5706976B1 (en) Gingival shaping cap and gingival shaping cap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