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8909A - Pressure boosting device for cryogenic liquid fuel tank - Google Patents

Pressure boosting device for cryogenic liquid fuel t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8909A
KR20230078909A KR1020210166130A KR20210166130A KR20230078909A KR 20230078909 A KR20230078909 A KR 20230078909A KR 1020210166130 A KR1020210166130 A KR 1020210166130A KR 20210166130 A KR20210166130 A KR 20210166130A KR 20230078909 A KR20230078909 A KR 20230078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moved
movement
space
boo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1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4712B1 (en
Inventor
박희성
서재선
윤성상
이춘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케이개발
디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케이개발, 디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케이개발
Priority to KR1020210166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712B1/en
Publication of KR20230078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89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7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96Pressure regulat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용 승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에 설치되어 내부압력이 낮아질 경우, 상기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 내의 연료를 이동시켜 기화시킨 후 다시 내부로 유입시켜 내부압력을 상승시키는 승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가 유입되어 이동되는 제1 승압이동관; 상기 제1 승압이동관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승압이동관으로부터 연료가 유입되고, 자석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연료를 이동시켜 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압모듈 및 상기 승압모듈과 상기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승압모듈로부터 유입되는 연료가 이동되며 기화되어 상기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 승압이동관를 포함하는 승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boosting device for a cryogenic liquid fuel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ed in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and the internal pressure is lowered, the fuel in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is moved, vaporized,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inside again. A booster device for increasing internal pressure, comprising: a first pressure-up transfer pipe through which the fuel inside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is introduced and moved;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boosting pipe, fuel is introduced from the first boosting pipe, and the boost module moves the fuel by the movement of the magnet slider to vaporize, and the boost module is connected to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oosting device including a second boosting transfer pipe through which the fuel introduced from the boosting module is moved and vaporized to be introduced into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Description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용 승압장치{Pressure boosting device for cryogenic liquid fuel tank}Pressure boosting device for cryogenic liquid fuel tank}

본 발명은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용 승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자석 슬라이더를 통해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를 외부로 강제 이동시켜 열교환 작용으로 기화 되도록 하여 연료를 기체 형태로 다시 내부로 주입시킴으로써, 빠른 시간에 내부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용 승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boosting device for a cryogenic liquid fuel tank, and more particularly, by forcibly moving fuel inside a fuel tank to the outside through a magnet slider to vaporize it through a heat exchange action and injecting the fuel back into the inside in the form of a gas, It relates to a pressure boosting device for a cryogenic liquid fuel tank capable of increasing the internal pressure over time.

일반 산업용 초저온 탱크(예; 액체질소나 액체산소 등의 이동식 탱크)는 초저온 액체를 또 다른 용기에 옮겨 담을 때에 기화된 기체의 내부압력을 이용하게 되는데, 처음에는 압력이 높아 액체가 쉽게 빠져나오다 내부압력이 점차 낮아짐에 따라 속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때문에 압력이 상승하기를 기다렸다 다시 옮겨 담아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General industrial cryogenic tanks (e.g. mobile tanks for liquid nitrogen or liquid oxygen) use the internal pressure of vaporized gas to transfer cryogenic liquid to another container. As the pressure gradually decreases, the speed decreases. Because of this phenomenon, a situation arises in which the pressure must rise and then be transferred again.

이러한 상황에서 내부 압력상승을 촉진할 수 있도록, 열전달율이 높은 동관을 이용하여 액체를 내조에서부터 내외조사이를 거쳐 외조 바깥으로 끌어내어 자연기화 시킨 후 다시 내조까지 이어지는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In order to accelerate the internal pressure rise under this circumstance, a copper pipe with high heat transfer rate is used to draw the liquid from the inner tank through the inner and outer tubes to the outside of the outer tank, where it is naturally vaporized and then leads to the inner tank again.

이러한 장치가 없을 때 보다 빠른 속도로 액체를 다른 용기로 옮겨 담을 수는 있지만, 이러한 장치도 추가적인 자연기화장치로써의 한계가 있어 속도가 느려지는 구간이 생기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오히려 탱크의 단열성능을 떨어뜨리는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어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When there is no such device,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liquid to another container at a faster rate, but this device also has a limitation as an additional natural vaporization device,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peed is slowed down. In addition, it can bring about the opposite effect of reducing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tank, so it is rarely used.

또한 탱크 내부의 압력을 올리기 위해 펌프 형태의 강제이송 장치와 열교환기를 갖출 수는 있지만, 2,000kPa(20bar) 이상의 내부압력으로 인하여 복잡하고 부피가 큰 가스누설 방지장치 등이 요구되어 사실상 적용되기 쉽지 않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have a pump-type forced transfer device and a heat exchanger to increase the pressure inside the tank, but it is not easy to apply in practice because a complicated and bulky gas leakage prevention device is required due to the internal pressure of 2,000 kPa (20 bar) or more. .

따라서, 탱크의 단열성능을 떨어뜨리지 않고 빠른 시간 내에 압력 상승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승압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essure boosting device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capable of increasing the pressure within a short time without deteriorating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tank.

한국등록특허 제10-2210854호 연료 승압 모듈을 구비하는 연료 탱크(2019.09.18)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210854 Fuel tank having a fuel boosting module (2019.09.18)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자석 슬라이더를 통해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를 외부로 강제 이동시켜 열교환 작용으로 기화 되도록 하여 연료를 기체 형태로 다시 내부로 주입시킴으로써, 빠른 시간에 내부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용 승압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forcibly moves the fuel inside the fuel tank to the outside through a magnet slider so that it is vaporized through a heat exchange action, and then injects the fuel back into the inside in the form of a gas, thereby quickly increasing the internal pressu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oster for a cryogenic liquid fuel tank capable of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용 승압장치는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에 설치되어 내부압력이 낮아질 경우, 상기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 내의 연료를 이동시켜 기화시킨 후 다시 내부로 유입시켜 내부압력을 상승시키는 승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가 유입되어 이동되는 제1 승압이동관; 상기 제1 승압이동관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승압이동관으로부터 연료가 유입되고, 자석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연료를 이동시켜 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압모듈 및 상기 승압모듈과 상기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승압모듈로부터 유입되는 연료가 이동되며 기화되어 상기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 승압이동관를 포함하는 승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sure boosting device for a cryogenic liquid fuel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and, when the internal pressure is lowered, moves and vaporizes the fuel in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and then again 1. A pressure boosting device for increasing internal pressure by introducing fuel into the inside of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comprising: a first pressure rising pipe through which the fuel inside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is introduced and moved;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boosting pipe, fuel is introduced from the first boosting pipe, and the boost module moves the fuel by the movement of the magnet slider to vaporize, and the boost module is connected to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oosting device including a second boosting transfer pipe through which the fuel introduced from the boosting module is moved and vaporized to be introduced into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또한 상기 제1 승압이동관에 설치되어, 상기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의 내부압력에 따라 오픈 및 차단시킬 수 있는 전단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front end valve installed in the first pressure-up moving pipe,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여기서, 상기 승압모듈은, 길이를 가지는 관통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공간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공간과 상기 상부공간과 연결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와 상부에 각각 상기 제1 승압이동관과 제2 승압이동관이 연결되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부를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는 자석 슬라이더; 상기 상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플런저; 상기 상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고, 상하 이동에 따라 차단 및 오픈되는 상단이동밸브 및 상기 하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며, 상하 이동에 따라 오픈 및 차단되는 하단이동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oosting modul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hrough-pipe having a length, and an upper space located at the top as an internal space and a lower space connected to the upper space and located at the bottom are formed. a cylinder part to which a first boosting pipe and a second boosting pipe are connected; a magnet slider installed outside the cylinder and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cylinder; a plunger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and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gnet slider; An upper moving valve that is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lunger, and is blocked and open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lunger, and is installed in the lower space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lunger, and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lunger. It may include a lower moving valve that is blocked.

또한 상기 승압모듈은, 상기 자석 슬라이더가 상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플런저가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상단이동밸브가 차단되어 상기 상부공간의 연료가 상기 제1 승압이동관으로 이동되고, 상기 하단이동밸브가 오픈되어 상기 하부공간의 연료가 상기 상부공간의 상기 상단이동밸브 하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자석 슬라이더가 하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플런저가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상단이동밸브가 오픈되어 상기 상단이동밸브 하측에 위치하는 연료가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하단이동밸브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boosting module, when the magnet slider moves upward, the upper moving valve is blocked as the plunger moves upward, so that the fuel in the upper space is moved to the first boosting moving pipe, and the lower moving valve is opened and the fuel in the lower space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moving valve in the upper space, and when the magnet slider is moved downward, the upper moving valve is opened as the plunger is moved downward and the upper moving valve is moved to the lower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el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valve is moved upward, and the lower moving valve is closed.

또한 상기 실린더부는, 길이를 가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이 형성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 하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1 승압이동관이 연결되며, 상기 하단이동밸브가 안착될 시 상기 하단이동밸브를 차단시키는 하단 플러그 및 상기 실린더 상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2 승압이동관이 연결되는 상단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ylinder portion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length, the cylinder having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formed; It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cylinder to connect the first boosting shift pipe, and is inserted and fixed to a bottom plug blocking the bottom shift valve when the bottom shift valve is seated and an upper part of the cylinder to connect the second boost shift pipe. A top plug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상부공간과 하부공간 사이에 내면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단이동밸브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상단이동밸브의 하측 이동을 제한하는 공간분리돌출부 및 외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자석 슬라이더가 지지되고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ylinder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between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to limit the upward movement of the lower movement valve and to limit the lower movement of the upper movement valve. It may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ce to support the magnet slider and prevent separation.

또한 상기 하단 플러그는, 상기 제1 승압이동관이 연결되는 하단 연결관; 상기 하단 연결관 상측으로 형성되는 하단 플러그몸체 및 상기 하단 플러그몸체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고, 상기 하단이동밸브와 밀착되어 상기 하단이동밸브를 차단시킬 수 있는 하단 플러그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lug may include a lower connecting pipe to which the first boosting moving pipe is connected; A lower plug bod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onnecting pipe and a lower plug insertion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ug body and inserted into the cylinder,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movement valve to block the lower movement valve. .

또한 상기 상단 플러그는, 상기 제2 승압이동관이 연결되는 상단 연결관; 상기 상단 연결관 하측으로 형성되는 상단 플러그몸체 및 상기 상단 플러그몸체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는 상단 플러그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lug may include: an upper connecting pipe to which the second boosting moving pipe is connected; An upper plug body formed below the upper connection pipe and an upper plug insertion portion formed below the upper plug body and inserted into the cylinder.

또한 상기 상단이동밸브는, 중공되되 상면이 막혀 있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상단밸브몸체; 상기 상단밸브몸체 상측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될 시 차단되고 하측으로 이동될 시 오픈되는 하나 이상의 상단밸브개방홀; 상기 상단밸브몸체 상단에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가 걸려 상측으로 같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상단걸림부 및 상기 상단밸브몸체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가 걸려 하측으로 같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하단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movable valve, the upper valve body is formed in a hollow tubular shape with an upper surface blocked, and has a longer length than the plunger; one or more upper valve opening hol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ide of the upper valve body, blocked when moved upward by the plunger and opened when moved downward; An upper hanging part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upper valve body to protrude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ce so that the plunger can be caught and moved upward together, and formed to protrude outwar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valve body, so that the plunger is caught and moved upward. It may include a lower hanging part to be moved together.

또한 상기 하단이동밸브는, 중공되어 상면이 막혀 있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하단밸브몸체; 중공되어 하면이 막혀 있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하단밸브몸체 상측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하단밸브몸체보다 넓이가 크게 형성되는 제2 하단밸브몸체; 상기 제1 하단밸브몸체 상측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부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될 시 차단되고 상측으로 이동될 시 오픈되는 하나 이상의 제1 하단밸브개방홀 및 상기 제2 하단밸브몸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하단밸브개방홀이 오픈되면 상기 하부공간으로 이동되는 연료가 상기 상부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하단밸브개방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moving valve may include a first lower valve body formed in a hollow tubular shape with an upper surface blocked; A second lower valve body formed in a hollow tubular shape with a lower surface blocked and integrally formed above the first lower valve body and having a larger width than the first lower valve body; One or more first lower valve opening hol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ower valve body, blocked when moved downward by the cylinder part and opened when moved upward,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lower valve body It may include a second lower valve opening hole that is formed according to the first lower valve opening hole and allows fuel moved to the lower space to move to the upper space when the first lower valve opening hole is open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용 승압장치는 자석 슬라이더를 통해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를 외부로 강제 이동시켜 열교환 작용으로 기화 되도록 하여 연료를 기체 형태로 다시 내부로 주입시킴으로써, 빠른 시간에 내부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ooster for a cryogenic liquid fuel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cibly moves the fuel inside the fuel tank to the outside through a magnet slider, vaporizes it by heat exchange action, and injects the fuel back into the gas form, Internal pressure can be increased quickly.

또한 간단한 구조로 구현 가능하여 탱크 슈라우드 내에 설치 가능하고, 설치 용이성이 우수하며, 별도의 가스누설 방지장치 등의 설치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can be implemented with a simple structure, it can be installed in the tank shroud, has excellent installation ease, and can minimize the installation of a separate gas leakage prevention device.

또한 연료탱크의 단열성능 저하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rioration of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fuel tank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용 승압장치가 연료탱크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예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에서 연료탱크의 일부 구성을 제거하여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용 승압장치만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용 승압장치의 승압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승압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승압모듈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4의 승압모듈을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분해사시도.
도 8의 (a) 및 (b)는 도 6의 실린더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9의 (a) 및 (b)는 도 6의 하단 플러그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의 (a) 및 (b)는 도 6의 상단이동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1의 (a) 및 (b)는 도 6의 하단이동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2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용 승압장치의 승압모듈의 자석 슬라이더가 상승될 시 작동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
도 1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용 승압장치의 승압모듈의 자석 슬라이더가 하강될 시 작동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
1 is a use example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ssure boosting device for a cryogenic liquid fuel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fuel tank.
Figure 2 is a front view of Figure 1;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only a pressure boosting device for a cryogenic liquid fuel tank by removing some components of the fuel tank in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osting module of a boosting device for a cryogenic liquid fuel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boosting module of FIG. 4;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oosting module of FIG. 4 after being separated;
FIG. 7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ep-up module of FIG. 4 after being separated;
8 (a) and (b)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cylinder of FIG. 6;
Figure 9 (a) and (b) is a perspective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ottom plug of Figure 6.
Figure 10 (a) and (b) is a perspective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pper moving valve of Figure 6.
Figure 11 (a) and (b) is a perspective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ower moving valve of Figure 6.
12 (a) to (d) are operational examples of operation when a magnet slider of a boosting module of a boosting device for a cryogenic liquid fuel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aised.
13(a) to (d) are operational examples of operation when a magnet slider of a boosting module of a boosting device for a cryogenic liquid fuel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 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 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 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combina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components,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combinations of steps, components, etc.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 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Here, repeated descriptions, well-known func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configurations ar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3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용 승압장치가 연료탱크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연료탱크의 일부 구성을 제거하여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용 승압장치만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용 승압장치의 승압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승압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승압모듈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승압모듈을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분해사시도이고, 도 8의 (a) 및 (b)는 도 6의 실린더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고, 도 9의 (a) 및 (b)는 도 6의 하단 플러그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10의 (a) 및 (b)는 도 6의 상단이동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11의 (a) 및 (b)는 도 6의 하단이동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12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용 승압장치의 승압모듈의 자석 슬라이더가 상승될 시 작동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이며, 도 1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용 승압장치의 승압모듈의 자석 슬라이더가 하강될 시 작동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이다.1 is a use example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oster for a cryogenic liquid fuel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fuel tank, FIG. 2 is a front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part of the fuel tank in FIG.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only the booster device for a cryogenic liquid fuel tank by removing the configura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oster module of the booster device for a cryogenic liquid fuel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osting module of FIG. 4 with the boosting module separated, FIG. 7 is a cross-sectional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osting module of FIG. (b) is a perspective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ylinder of FIG. 6, (a) and (b) of FIG. 9 are a perspective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plug of FIG. 6, and (a) and (b) of FIG. is a perspective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pper moving valve of FIG. 6, FIG. 11 (a) and (b) are a perspective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ower moving valve of FIG. 6, and FIG. 12 (a) to (d) is an exemplary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when the magnet slider of the boosting module of the boosting device for a cryogenic liquid fuel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aised, and FIG. 13 (a) to (d) ar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emplary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when the magnet slider of the boosting module of the boosting device for a cryogenic liquid fuel tank according to is lower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연료 액체 연료탱크용 승압장치(1, 이하 '승압장치'라 함)는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에 설치되어 내부압력이 낮아질 경우,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 내의 연료를 이동시켜 기화시킨 후 다시 내부로 유입시켜 내부압력을 상승시키는 장치이다.1 to 3, when the pressure boosting device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ssure boosting device') for a super fuel liquid fuel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ryogenic liquid fuel tank to lower the internal pressure, the cryogenic temperature It is a device that moves and vaporizes the fuel in the liquid fuel tank and then introduces it back into the tank to increase the internal pressure.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는 펌프 없이 연료 기화에 의해 내부압력을 올려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데, 연료충전 후 탱크내부 압력이 엔진시동 연료분사 압력보다 낮으면 엔진 시동이 되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그리고 처음에는 내부압력이 높아 연료가 쉽게 빠져나올 수 있으나 엔진과부하가 지속될 경우, 엔진에 연료공급량이 많아져 내부압력이 점차 낮아짐에 따라 연료 공급 속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uses a method of supplying fuel to the engine by raising the internal pressure by vaporizing the fuel without a pump. However, if the pressure inside the tank after fuel is lower than the engine starting fuel injection pressure, the engine does not start. . At first, the internal pressure is high, so the fuel can easily escape. However, when the engine overload continues, the fuel supply rate decreases remarkably as the internal pressure gradually decreases as the amount of fuel supplied to the engine increases.

본 발명의 승압장치(1)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의 내부압력이 저하될 시 연료를 강제 이동시켜 기화의 발생으로 내부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booster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internal pressure by vaporizing the fuel by forcibly moving the fuel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decreases.

한편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는 크게 2가지의 연료 입출관이 형성되어 있는데, 연료를 충전하거나 엔진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관(F)과 연료 기화에 의해 내부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경우 기체의 연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E)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료관(F) 중간에 형성되어 승압장치(1)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레귤레이터(R)도 구성될 수 있는데, 레귤레이터(R)는 엔진에 이미 연료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차량 운행 상태)에서 압력 차이에 의해 자동으로 액상의 연료를 이동시켜 기화시킨 후 연료탱크 내부로 보내어 내부압력이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장치이다.On the other hand,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has two fuel inlet and outlet pipes, a fuel pipe (F) for charging fuel or supplying fuel to the engine, and a gas pipe when the internal pressure rises above a certain pressure due to fuel vaporization. A discharge pipe (E) for discharging fuel to the outside may be configured. In addition, a regulator (R)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uel pipe (F) and having a function similar to that of the booster (1) may also be configured. It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moves and vaporizes liquid fuel accor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and then sends it to the inside of the fuel tank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is maintained at a constant pressure.

구체적으로, 승압장치(1)는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에 설치될 시, 연료관(F)과 연결되어 연료관(F)으로부터 연료탱크 내부의 액상의 연료가 유입될 수 있고, 연료탱크 내부로 연결되어 기상의 연료가 연료탱크 내부로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boosting device 1 is installed in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it is connected to the fuel pipe F so that liquid fuel inside the fuel tank can be introduced from the fuel pipe F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fuel tank. This allows gaseous fuel to be injected into the fuel tank.

도 3을 참조하면, 승압장치(1)는 제1 승압이동관(10), 승압모듈(20), 제2 승압이동관(30) 및 전단 밸브(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booster device 1 may include a first booster pipe 10 , a booster module 20 , a second booster pipe 30 and a front valve 40 .

제1 승압이동관(10)은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 내부의 액상의 연료가 유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관으로서, 일단이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의 연료관(F)과 연결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 내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ressure-up transfer pipe 10 is a pipe through which the liquid fuel inside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can be introduced and moved, and one end is preferably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uel pipe F of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It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being forme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또한 제1 승압이동관(10)의 타단이 승압모듈(20)의 하단, 즉 승압모듈(20)의 하단 플러그(211)와 연결되어,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 내부로부터 유입된 액상의 연료가 승압모듈(20)로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oster pipe 1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ooster module 20, that is, the lower plug 211 of the booster module 20, so that the liquid fuel introduced from the inside of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is boosted by the module ( 20) can be moved.

한편, 제1 승압이동관(10)은 전단 밸브(40)에 의해 차단되거나 개방될 수 있는데,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의 내부압력이 높을 경우 전단 밸브(40)에 의해 차단되어 승압장치(1)가 작동되지 않을 수 있으며, 내부압력이 낮을 경우 전단 밸브(40)가 오픈되어 개방되는 것으로 승압장치(1)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the first pressure boosting pipe 10 may be blocked or opened by the front valve 40.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is high, the front valve 40 blocks the pressure boosting device 1 to operate. It may not be, and when the internal pressure is low, the front valve 40 is opened so that the booster 1 can be operated.

승압모듈(20)은 제1 승압이동관(10)과 연결되어, 자석 슬라이더의 상하 이동에 의해 제1 승압이동관(10)으로부터 연료가 유입되어 제2 승압이동관(30)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제2 승압이동관(30)에서 연료가 기화가 이루어지고, 기상의 연료가 연료탱크 내부로 주입됨에 따라 내부압력이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승압모듈(20)은 펌프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는데,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를 강제 이동시켜 빠르게 연료 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짧은 시간에 내부압력이 상승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e boosting module 20 is connected to the first boosting pipe 10 so that fuel is introduced from the first boosting pipe 10 and moved to the second boosting pipe 30 by vertical movement of the magnet slider. Accordingly, the fuel is vaporized in the second pressure-up-moving pipe 30, and the internal pressure can be increased as the vapor-phase fuel is injected into the fuel tank. That is, the boosting module 20 can function like a pump, and by forcibly moving the fuel inside the fuel tank so that the fuel vaporizes quickly, the internal pressure can be increased in a short time.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승압모듈(20)은 실린더부(21), 자석 슬라이더(22), 플런저(23), 상단이동밸브(24) 및 하단이동밸브(25)를 포함할 수 있다.4 to 7 , the boosting module 20 may include a cylinder 21, a magnet slider 22, a plunger 23, an upper moving valve 24 and a lower moving valve 25. .

실린더부(21)는 하부와 상부에 각각 제1 승압이동관(10)과 제2 승압이동관(30)이 연결되어 연료가 이동되는 경로와 같은 역할을 하며, 플런저(23), 상단이동밸브(24), 하단이동밸브(25)가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ylinder part 21 serves as a path through which fuel is moved by connecting the first pressure-up movement pipe 10 and the second pressure-up movement pipe 30 to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respectively, and includes a plunger 23 and an upper movement valve 24. ), the lower moving valve 25 may be installed inside and provided with an inner space so as to be movable.

보다 구체적으로, 실린더부(21)는 실린더(210), 하단 플러그(211) 및 상단 플러그(212)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ylinder portion 21 may include a cylinder 210 , a lower plug 211 and an upper plug 212 .

도 8을 참조하면, 실린더(210)는 길이를 가지는 관통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는데, 내부공간으로 상부공간(210a)과 하부공간(21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공간(210a)과 하부공간(210b)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 연료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cylinder 210 may be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length and having an inner space, and an upper space 210a and a lower space 210b may be formed as the inner space. At this time, since the upper space 210a and the lower space 210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uel may be moved.

상부공간(210a)에는 플런저(23), 상단이동밸브(24)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공간(210b)에는 하단이동밸브(25)가 설치될 수 있다.A plunger 23 and an upper valve 24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210a, and a lower valve 25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space 210b.

또한 실린더(210)는 공간분리돌출부(2100) 및 이탈방지돌출부(210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ylinder 210 may include a space separation protrusion 2100 and a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2101 .

공간분리돌출부(2100)는 상부공간(210a)과 하부공간(210b)이 구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공간(210a)과 하부공간(210b) 사이에서 실린더(210) 내면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pace separation protrusion 2100 allows the upper space 210a and the lower space 210b to be divided, and protrudes inwar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210 between the upper space 210a and the lower space 210b. can be formed to

이러한 공간분리돌출부(2100)는 하단이동밸브(25)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고, 상단이동밸브(24)의 하측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하단이동밸브(25)가 상측 이동될 시 공간분리돌출부(2100)에 걸려 더 이상 상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상단이동밸브(24)가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공간분리돌출부(2100)에 의해 받쳐지면 하측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e space separation protrusion 2100 may limit the upward movement of the lower movement valve 25 and the lower movement of the upper movement valve 24 . That is, when the lower moving valve 25 is moved upward, it can be caught by the space separation protrusion 2100 and prevented from moving upward any longer, and as the upper moving valve 24 moves downward, the space separation protrusion 2100 When supported by, it is possible to fix the position without moving further to the lower side.

이때 공간분리돌출부(2100)는 실린더(210) 내면 둘레를 따라 쭉 이어지게 형성되어 링 형상을 이루는 일 몸체로 구성되거나,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배열되어 형성되는 복수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ace separation protrusion 2100 may be composed of one body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210 to form a ring shape, or may be composed of multiple bodies arranged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ce.

이탈방지돌출부(2101)는 실린더(210) 외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실린더(210) 외면에 설치되는 자석 슬라이더(22)가 지지되어 작동하지 않을 시에 실린더(2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anti-separation protrusion 2101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210 so that the magnet slider 22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er 210 is not separated from the cylinder 210 when it is not supported and operated. can do.

이러한 이탈방지돌출부(2101)는 실린더(210) 하부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departure prevention protrusion 2101 is preferably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ylinder 2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실린더(210)는 상단과 하단에 상단 플러그(212)와 하단 플러그(211)가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이에 제1 승압이동관(10)과 제2 승압이동관(30)과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n upper plug 212 and a lower plug 211 may be install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cylinder 210, respectively,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ooster pipe 10 and the second booster pipe 30.

하단 플러그(211)는 실린더(210) 하부에 삽입 고정되고, 제1 승압이동관(1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단 플러그(211)는 하단이동밸브(25)가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안착되면 하단이동밸브(25)가 차단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The bottom plug 211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cylinder 210, and the first boosting pipe 10 may be connected thereto. In addition, when the lower plug 211 is seated as the lower moving valve 25 moves downward, the lower moving valve 25 may be in a blocked state.

이를 위해, 도 9를 참조하면, 하단 플러그(211)는 하단 연결관(2110), 하단 플러그몸체(2111) 및 하단 플러그삽입부(2112)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referring to FIG. 9 , the lower plug 211 may include a lower connector 2110, a lower plug body 2111, and a lower plug insertion portion 2112.

하단 연결관(2110)은 관통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에 제1 승압이동관(10)이 연결될 수 있고, 상단에 하단 플러그몸체(2111)가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connection pipe 2110 is formed in a through-tube shape, so that the first pressure-up moving pipe 10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and the lower plug body 2111 can be formed at the upper end.

하단 플러그몸체(2111)는 하단 연결관(2110) 상측으로 형성되되, 관통되게 형성되며, 횡단면 넓이가 실린더(210)의 횡단면 넓이 이상으로 형성되어, 하단 플러그(211)가 실린더(210)에 삽입될 시 실린더(210) 하단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lower plug body 2111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onnector 2110, is formed to pass through, and has a cross-sectional area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ylinder 210, so that the lower plug 211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210. When it is, it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ylinder 210.

즉, 하단 플러그몸체(2111)는 하단 플러그(211)의 삽입 정도가 제한되도록 하며, 실린더(210)와의 기밀성이 보다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lower plug body 2111 can limit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lower plug 211 and improve airtightness with the cylinder 210.

또한 하단 플러그몸체(2111)는 관통된 내부 홀 크기가 하단이동밸브(25)가 일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될 시 하단이동밸브(25)와 밀착될 수 있는 크기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e lower plug body 2111 may have an inner hole through which the lower moving valve 25 may be partially inserted. At this time, a size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moving valve 25 when inserted is preferab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하단 플러그삽입부(2112)는 하단 플러그몸체(2111) 상측에 형성되되, 관통되게 형성되어 실린더(210)에 삽입될 수 있다. 실린더(210)에 삽입될 시, 실린더(210) 하단을 패킹할 수 있도록 실린더(210) 내면과 밀착되게 접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plug insertion portion 211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ug body 2111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cylinder 210 by being formed to pass through. When inserted into the cylinder 210,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a size that can closel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210 so as to pack the lower end of the cylinder 210.

또한 하단 플러그삽입부(2112)는 내부로 하단이동밸브(25)가 안착됨에 따라 하단이동밸브(25)와 밀착되어 하단이동밸브(25)의 제1 하단밸브개방홀(252)을 차단하여, 하단이동밸브(25)가 차단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lug insertion part 21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moving valve 25 as the lower moving valve 25 is seated inside, and blocks the first lower valve opening hole 252 of the lower moving valve 25, The lower moving valve 25 may be in a blocked state.

또한 하단 플러그삽입부(2112)는 하단이동밸브(25)의 제1 하단밸브몸체(250)만 삽입될 수 있는데, 제2 하단밸브몸체(251)가 삽입되지 않고 상측에 안착되도록 상부에 내면을 따라 형성된 하단밸브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nly the first lower valve body 250 of the lower moving valve 25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plug insertion part 2112, and the inner surface is plac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second lower valve body 251 is not inserted and seated on the upper side. It may include a lower valve seating groove formed along.

또한 하단 플러그삽입부(2112)는 실린더(210)와 보다 밀착되어 기밀성이 높아지도록 외면에 형성된 패킹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lug insertion portion 2112 may further include a packing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ylinder 210 to increase airtightness.

상단 플러그(212)는 실린더(210) 상부에 삽입 고정되고, 제2 승압이동관(30)이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plug 212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top of the cylinder 210, and the second boosting pipe 30 may be connected thereto.

이러한 상단 플러그(212)는 상기에서 설명한 하단 플러그(211)와 삽입되는 방향만 다르되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 하단 연결관(2110), 하단 플러그몸체(2111) 및 하단 플러그삽입부(2112)에 대응되는 상단 연결관(2120), 상단 플러그몸체(2121) 및 상단 플러그삽입부(2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plug 212 may be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lower plug 211 described above, but is inserted in a different direction, and thus, the lower connector 2110, the lower plug body 2111, and the lower plug insertion portion. An upper connection pipe 2120 corresponding to 2112, an upper plug body 2121, and an upper plug insertion portion 2122 may be included.

상단 연결관(2120)은 제2 승압이동관(30)이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connection pipe 212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oosting movement pipe 30 .

상단 플러그몸체(2121)는 상단 연결관(2120) 하측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단이동밸브(24)가 삽입되지는 않는다.The upper plug body 212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onnecting pipe 2120, bu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upper moving valve 24 is not inserted.

상단 플러그삽입부(2122)는 상단 플러그몸체(2121) 하측에 형성되어 실린더에 삽입될 수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단 플러그몸체(2121)와 같이 상단이동밸브(24)가 삽입되지는 않으며, 상단밸브안착홈에는 상단이동밸브(24)의 상단측이 안착될 수 있다.The upper plug insertion portion 2122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ug body 2121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cylinder.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and the upper moving valve 24 is not inserted like the upper plug body 2121, , The upper side of the upper moving valve 24 may be seated in the upper valve seating groove.

다시 도 4 내지 도 7로 돌아가 살펴보면, 자석 슬라이더(22)는 실린더부(21) 외부에 설치되어, 실린더부(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데, 상하 이동될 수 있다.Looking back to FIGS. 4 to 7 , the magnet slider 22 is installed outside the cylinder part 21 and can be mov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ylinder part 21, and can be moved up and down.

이때, 자석 슬라이더(22)는 실린더부(21)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높은 자성을 띠는 네오디움 자석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t this time, the magnet slider 22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er portion 21, and may be made of a neodymium magnet having high magnetis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자석 슬라이더(22)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되어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장치가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agnet slider 22 may be manually controlled and operated by the us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driving device capable of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applied in various forms.

이러한 자석 슬라이더(22)는 상하 이동됨에 따라 자성에 의해 플런저(23)가 같이 상하 이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상단이동밸브(24)와 하단이동밸브(25)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여 차단 및 오픈에 대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As the magnetic slider 22 moves up and down, the plunger 23 can be moved up and down together by magnetism, and thus the upper and lower movement valves 24 and 25 are controlled to block and open. You can control the state of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자석 슬라이더(22)가 상측으로 이동될 경우, 플런저(23)가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단이동밸브(24)가 차단 상태가 되어 상부공간(210a)의 연료가 플런저(23)에 밀어 올려져 제1 승압이동관(1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하단이동밸브(25)는 오픈 상태가 되어 하부공간(210b)의 연료가 상부공간(210a)의 상단이동밸브(24)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Briefly, when the magnet slider 22 is moved upward, as the plunger 23 moves upward, the upper movement valve 24 is in a blocked state and the fuel in the upper space 210a flows through the plunger 23. It can be pushed up and moved to the first pressure-up moving tube (10). At this time, the lower moving valve 25 is in an open state so that the fuel in the lower space 210b can be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moving valve 24 in the upper space 210a.

반대로, 자석 슬라이더(22)가 하측으로 이동될 경우, 플런저(23)가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단이동밸브(24)가 오픈 상태가 되어 상단이동밸브(24) 하측에 위치하는 연료가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하단이동밸브(25)는 차단 상태가 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magnet slider 22 moves downward, as the plunger 23 moves downward, the upper movement valve 24 opens, and the fuel positioned below the upper movement valve 24 moves upward. It can be. At this time, the lower moving valve 25 may be in a blocked state.

이러한 자석 슬라이더(22)에 의한 작동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by the magnet slider 2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플런저(23)는 상부공간(210a)에 설치되어, 자석 슬라이더(22)의 상하 이동에 따라 같이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런저(23)는 철재질 또는 네오디움 자석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석 슬라이더(22)와 자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는 소재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The plunger 23 is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210a and can move up and down as the magnet slider 22 moves up and down. To this end, the plunger 23 may be made of an iron material or a neodymium magne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aterial capable of having magnetic force with the magnet slider 22 may be applied.

또한 플런저(23)는 상단이동밸브(24) 외면을 감싸는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e plunger 23 is preferably formed 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moving valve 24, but is not limited thereto.

플런저(23)는 자석 슬라이더(22)에 의해 상하 이동됨에 따라 상단이동밸브(24)의 상하 이동과 차단/오픈 상태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단이동밸브(24)의 제어에 따라 압력에 의해 하단이동밸브(25)도 상하 이동되도록 하며, 차단/오픈 상태도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As the plunger 23 is moved up and down by the magnet slider 22, it can control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upper movement valve 24 and the blocking/opening state. In addition, the lower movement valve 25 is also moved up and down by pressure under the control of the upper movement valve 24, and the blocking/open state can be controlled.

상단이동밸브(24)는 상부공간(210a)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플런저(23)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고, 상하 이동에 따라 차단 및 오픈 될 수 있다. 여기서 상단이동밸브(24)는 차단 상태로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오픈 상태로 하측으로 이동되며 하측에 위치하는 연료가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upper moving valve 24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upper space 210a,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lunger 23, and can be blocked and opened according to the up and down movement. Here, the upper moving valve 24 may be moved upward in a closed state, and may be moved downward in an open state, so that fuel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may be moved upward.

도 10을 참조하면, 상단이동밸브(24)는 상단밸브몸체(240), 상단밸브개방홀(241), 상단걸림부(242) 및 하단걸림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upper moving valve 24 may include an upper valve body 240 , an upper valve opening hole 241 , an upper hanging part 242 and a lower hanging part 243 .

상단밸브몸체(240)는 중공되되 상면이 막혀 있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플런저(23)에 의해 상단이동밸브(24)의 오픈과 차단이 제어될 수 있도록 플런저(23)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upper valve body 240 is formed in a hollow tubular shape with an upper surface blocked, and may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plunger 23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upper moving valve 24 can be controlled by the plunger 23. there is.

이에 하부공간(210b)에서 상부공간(210a)으로 연료가 유입될 시, 상단밸브몸체(240) 내부로도 연료가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단밸브몸체(240)에 형성된 상단밸브개방홀(241)이 오픈 또는 차단인지에 따라 상단밸브몸체(240) 내부로 유입된 연료가 상단밸브몸체(240) 외측으로 이동될 건지가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fuel flows from the lower space 210b to the upper space 210a, the fuel may flow into the upper valve body 240 as well. Depending on whether the upper valve opening hole 241 formed in the upper valve body 240 is open or blocked,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fuel introduced into the upper valve body 240 will move to the outside of the upper valve body 240. .

상기 상단밸브개방홀(241)은 상단밸브몸체(240) 상측에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플런저(23)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될 시 차단되고 하측으로 이동될 시 오픈 될 수 있다.One or more upper valve opening holes 241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ide of the upper valve body 240, and may be blocked when moved upward by the plunger 23 and opened when moved downward.

이때, 상단밸브개방홀(241)은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valve opening hole 241 i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ce and formed in pluralit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단걸림부(242)는 상단밸브몸체(240) 상단에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플런저(23)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단걸림부(242)에 걸려 상단이동밸브(24)가 같이 이동될 수 있다.The upper hanging part 242 may be formed on the top of the upper valve body 240 to protrude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ce. Accordingly, while the plunger 23 moves upward, it is caught by the upper hanging part 242 and the upper moving valve 24 can be moved together.

하단걸림부(243)는 상단밸브몸체(240)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단걸림부(243)는 상단밸브몸체(240)에 탈부착 가능한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단밸브몸체(240)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lower hanging part 243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valve body 240 . At this time, the lower hanging portion 243 may be formed as a member that is detachable to the upper valve body 2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valve body 240.

이에 플런저(23)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하단걸림부(243)에 플런저(23)가 걸려 상단이동밸브(24)가 같이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plunger 23 moves downward, the plunger 23 is caught on the lower hanging part 243 and the upper moving valve 24 can be moved together.

하단이동밸브(25)는 하부공간(210b)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플런저(23)의 이동에 따른 상단이동밸브(24)의 상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상하 이동될 수 있고, 상하 이동에 따라 오픈 및 차단될 수 있다. 즉, 하단이동밸브(25)는 상단이동밸브(24)의 상태(오픈 또는 차단)와 이동(상측 이동 또는 하측 이동)에 따라 이동과 상태가 같이 조절될 수 있다.The lower movement valve 25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lower space 210b and can be moved up and down by pressure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upper movement valve 24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lunger 23. It can be opened and blocked according to movement. That is, the movement and state of the lower movement valve 25 can be controlled together according to the state (open or blocked) and movement (upward movement or lower movement) of the upper movement valve 24 .

도 11을 참조하면, 하단이동밸브(25)는 제1 하단밸브몸체(250), 제2 하단밸브몸체(251), 제1 하단밸브개방홀(252) 및 제2 하단밸브개방홀(253)을 포함할 수 있다.11, the lower moving valve 25 includes a first lower valve body 250, a second lower valve body 251, a first lower valve opening hole 252 and a second lower valve opening hole 253 can include

제1 하단밸브몸체(250)는 중공되어 상면이 막혀 있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lower valve body 250 may be hollow and formed in a tubular shape with an upper surface blocked.

제2 하단밸브몸체(251)는 중공되어 하면이 막혀 있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하단밸브몸체(250) 상측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 하단밸브몸체(251)는 제1 하단밸브몸체(250)보다 횡단면 넓이가 크게 형성되어, 제1 하단밸브몸체(250)와 같이 하단 플러그(211)에 삽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lower valve body 251 is hollow and formed in a tubular shape in which the lower surface is blocked, and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ower valve body 250. However, the second lower valve body 251 is formed to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first lower valve body 250, so that it is not inserted into the lower plug 211 like the first lower valve body 250.

이에 제2 하단밸브몸체(251)는 하단밸브안착홈에 안착되는 것으로 하단 플러그(211)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 하단밸브개방홀(252)을 통해 제2 하단밸브개방홀(253)로 연료가 이동되지 않도록 완전히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lower valve body 251 is seated in the lower valve seating groove and may not be inserted into the lower plug 211, and the second lower valve opening hole 253 through the first lower valve opening hole 252 It can be completely blocked so that the fuel does not move.

제1 하단밸브개방홀(252)는 제1 하단밸브몸체(250) 상측에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One or more first lower valve opening holes 252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ower valve body 250, and it is preferable to form a plurality of the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제1 하단밸브개방홀(252)은 하단이동밸브(25)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실린더부(21)의 하단 플러그(211)에 삽입될 시, 하단 플러그(211)와 제1 하단밸브몸체(250)가 밀착됨에 따라 차단될 수 있다. The first lower valve opening hole 252 is formed when the lower moving valve 25 is moved downward and inserted into the lower plug 211 of the cylinder part 21, the lower plug 211 and the first lower valve body ( 250) may be blocked as it is in close contact.

또한 하단이동밸브(25)가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하단 플러그(211)에서 하단이동밸브(25)가 이탈되어 제1 하단밸브개방홀(252)이 오픈 될 수 있고, 이에 제1 승압이동관(10)으로부터 유입된 연료가 제1 하단밸브개방홀(252)을 통해 하부공간(210b), 제2 하단밸브개방홀(253)을 거쳐 상부공간(210a)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lower moving valve 25 moves upward, the lower moving valve 25 is separated from the lower plug 211 and the first lower valve opening hole 252 can be opened, and thus the first boosting moving pipe ( Fuel introduced from 10) may be moved to the upper space 210a via the lower space 210b through the first lower valve opening hole 252 and the second lower valve opening hole 253.

제2 하단밸브개방홀(253)은 제2 하단밸브몸체(251)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One or more second lower valve opening holes 253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lower valve body 251, and it is preferable to form a plurality of the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제2 하단밸브개방홀(253)은 제1 하단밸브개방홀(252)이 오픈 되면 하부공간(210b)으로 이동되는 연료가 상부공간(210a)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lower valve opening hole 253 allows fuel moving to the lower space 210b to move to the upper space 210a when the first lower valve opening hole 252 is open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승압모듈(20)의 작동에 대하여 도 12 및 도 13을 이용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boosting module 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상단이동밸브(24)와 하단이동밸브(25)가 상부공간(210a)과 하부공간(210b)에서 각각 최하단에 위치하는 초기 상태(도 12의 (a))에서 자석 슬라이더(22)가 상측으로 이동될 경우, 플런저(23)가 상측 이동하여 상단이동밸브(24)의 상단밸브개방홀(241)을 막음에 따라 상단이동밸브(24)가 차단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하단이동밸브(25)의 제1 하단밸브개방홀(252)이 실린더부(21)에 의해 막혀 있어, 하단이동밸브(25)가 차단 상태일 수 있다(도 12의 (b)). First, referring to FIG. 12, in the initial state (FIG. 12(a)) in which the upper shifting valve 24 and the lower shifting valve 25 are positioned at the lowest end in the upper space 210a and the lower space 210b, respectively. When the magnet slider 22 is moved upward, the plunger 23 moves upward and closes the upper valve opening hole 241 of the upper valve 24, so that the upper valve 24 may be blocked. there is.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lower valve opening hole 252 of the lower movement valve 25 is blocked by the cylinder part 21, the lower movement valve 25 may be in a blocked state (Fig. 12(b)).

그 다음, 자석 슬라이더(22)가 계속 상승함에 따라 플런저(23)가 차단 상태의 상단이동밸브(24)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부공간(210a)에서 플런저(23)와 상단이동밸브(24) 상측에 위치하는 연료가 제2 승압이동관(30)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이때 압력에 의해 하단이동밸브(25)가 상측 이동되어 오픈 상태가 됨에 따라 제1 승압이동관(10)으로부터 유입된 연료가 제1 하단밸브개방홀(252), 하부공간(210b), 제2 하단밸브개방홀(253)을 통해 상부공간(210a)으로 이동될 수 있다(도 12의 (c)).Then, as the magnet slider 22 continues to rise, the plunger 23 moves the top shift valve 24 in the blocked state upward, and the plunger 23 and the top shift valve 24 move upward in the upper space 210a. The fuel located in is moved to the second booster pipe 30, and at this time, as the lower shift valve 25 is moved upward by the pressure and becomes open, the fuel introduced from the first booster pipe 10 is transferred to the first booster pipe 10. It can be moved to the upper space 210a through the lower valve opening hole 252, the lower space 210b, and the second lower valve opening hole 253 (FIG. 12(c)).

그 다음, 자석 슬라이더(22)가 최상단까지 상승함에 따라 상단이동밸브(24)가 상부공간(210a) 상단까지 이동하여 상단 플러그(212)에 안착됨에 따라 상부공간(210a) 상측에 위치했던 연료를 모두 밀어낼 수 있고, 상단이동밸브(24) 내부까지 연료가 들어온 상태가 될 수 있다(도 12의 (d)).Then, as the magnet slider 22 rises to the top, the upper moving valve 24 moves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space 210a and is seated on the upper plug 212 to remove the fuel located at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pace 210a. All can be pushed out, and fuel can enter the inside of the upper shift valve 24 (Fig. 12 (d)).

반면, 도 13을 참조하면, 상측 이동이 끝까지 이루어진 도 12의 (d)의 상태인 초기 상태(도 13의 (a))에서 자석 슬라이더(22)가 하측으로 이동될 경우, 플런저(23)가 하측 이동됨에 따라 상단이동밸브(24)의 상단밸브개방홀(241)을 열어 상단이동밸브(24)가 오픈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도 13의 (b)).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13, when the magnet slider 22 is moved downward in the initial state (FIG. 13(a)), which is the state of FIG. 12(d) in which the upward movement is completed, the plunger 23 As it moves downward, the upper valve opening hole 241 of the upper shift valve 24 can be opened so that the upper shift valve 24 is open (Fig. 13(b)).

상기 상태에서, 자석 슬라이더(22)가 계속 하강함에 따라 상단이동밸브(24) 내부에 위치한 연료가 상단밸브개방홀(241)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때 압력에 의해 하단이동밸브(25)가 하측 이동되어 차단 상태가 될 수 있다(도 13의 (c)).In the above state, as the magnet slider 22 continues to descend, the fuel located inside the upper valve 24 can move upward through the upper valve opening hole 241, and at this time, the lower valve 25 moves by the pressure. ) may be moved downward to become a blocking state ((c) of FIG. 13).

이후, 자석 슬라이더(22)가 최하단까지 하강함에 따라 상부공간(210a) 하측에 위치했던 연료가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도 13의 (d)).Thereafter, as the magnet slider 22 descends to the lowest end, the fuel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pace 210a may be moved upward (Fig. 13(d)).

제2 승압이동관(30)을 통해 연료가 기화될 수 있도록 승압모듈(20)은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연료를 상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승압이동관(3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booster module 20 can move the fuel to the second booster pipe 30 connected to the upper side through the above operation so that the fuel can be vaporized through the second booster pipe 30 .

제2 승압이동관(30)은 일단과 타단이 승압모듈(20)과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에 각각 연결되고, 승압모듈(20)로부터 유입되는 연료가 이동되며 기화되어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 내부로 기상의 액체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boosting pipe 30 has one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ooster module 20 and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respectively, and the fuel introduced from the booster module 20 is moved and vaporized into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can be allowed to flow in.

여기서 제2 승압이동관(30)은 이동되는 연료의 기화기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열전달율이 높은 동관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second boosting transfer pipe 30 may be composed of a copper pipe having a high heat transfer rate so that the fuel being moved may be vaporiz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전단 밸브(40)는 제1 승압이동관(10)에 설치되어,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의 내부압력에 따라 오픈 및 차단시켜, 제1 승압이동관(10)을 개방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단 밸브(40)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압력에 의해 기준압력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The front valve 40 is installed in the first booster pipe 10 and opens or closes it according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thereby opening or blocking the first booster pipe 10. This front valve 40 may be manually controlled by a us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a reference pressure by an internal pressure.

이에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의 내부압력이 낮아져 승압장치(1)의 작동이 필요할 경우에 전단 밸브(40)가 오픈될 수 있고, 내부압력이 일정 수준 높아졌을 경우 전단 밸브(40)가 차단되어 승압장치(1)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is lowered and the operation of the booster 1 is required, the front valve 40 can be opened, and when the internal pressure rises to a certain level, the front valve 40 is blocked and the booster (1) can be stopped.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용 승압장치는 자석 슬라이더를 통해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를 외부로 강제 이동시켜 열교환 작용으로 기화되도록 하여 연료를 기체 형태로 다시 내부로 주입시킴으로써, 빠른 시간에 내부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sure boosting device for a cryogenic liquid fuel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cibly moves the fuel inside the fuel tank to the outside through a magnet slider to vaporize the fuel through a heat exchange action, and returns the fuel to the inside in the form of a gas. By injecting, the internal pressure can be raised quickly.

또한 간단한 구조로 구현 가능하여 탱크 슈라우드 내에 설치 가능하고, 설치 용이성이 우수하며, 별도의 가스누설 방지장치 등의 설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can be implemented with a simple structure, it can be installed in the tank shroud, has excellent installation ease, and can minimize the installation of a separate gas leakage prevention device.

또한 연료탱크의 단열성능 저하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rioration of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fuel tank can be reduced.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parts of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nd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hese specific description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It will be clear. Accordingly, the substanti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승압장치
10: 제1 승압이동관
20: 승압모듈
21: 실린더부
210: 실린더
210a: 상부공간
210b: 하부공간
2100: 공간분리돌출부
2101: 이탈방지돌출부
211: 하단 플러그
2110: 하단 연결관
2111: 하단 플러그몸체
2112: 하단 플러그삽입부
212: 상단 플러그
2120: 상단 연결관
2121: 상단 플러그몸체
2122: 상단 플러그삽입부
22: 자석 슬라이더
23: 플런저
24: 상단이동밸브
240: 상단밸브몸체
241: 상단밸브개방홀
242: 상단걸림부
243: 하단걸림부
25: 하단이동밸브
250: 제1 하단밸브몸체
251: 제2 하단밸브몸체
252: 제1 하단밸브개방홀
253: 제2 하단밸브개방홀
30: 제2 승압이동관
40: 전단 밸브
1: booster
10: 1st boosting tube
20: boost module
21: cylinder part
210: cylinder
210a: upper space
210b: lower space
2100: space separation protrusion
2101: departure prevention protrusion
211: lower plug
2110: bottom connector
2111: lower plug body
2112: lower plug insertion part
212: top plug
2120: top connector
2121: upper plug body
2122: top plug insert
22: magnet slider
23: plunger
24: upper moving valve
240: upper valve body
241: upper valve opening hole
242: upper hanging part
243: lower hanging part
25: lower moving valve
250: first lower valve body
251: second lower valve body
252: first lower valve opening hole
253: second lower valve opening hole
30: second boosting tube
40: shear valve

Claims (9)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에 설치되어 내부압력이 낮아질 경우, 상기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 내의 연료를 이동시켜 기화시킨 후 다시 내부로 유입시켜 내부압력을 상승시키는 승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가 유입되어 이동되는 제1 승압이동관;
상기 제1 승압이동관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승압이동관으로부터 연료가 유입되고, 자석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연료를 이동시켜 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압모듈 및
상기 승압모듈과 상기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승압모듈로부터 유입되는 연료가 이동되며 기화되어 상기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 승압이동관를 포함하는 승압장치.
A pressure boosting device installed in a cryogenic liquid fuel tank to increase the internal pressure by moving and vaporizing fuel in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and then introducing the fuel into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when the internal pressure is low,
a first pressure transfer pipe through which the fuel in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is introduced and moved;
A boosting module connected to the first boosting pipe, through which fuel flows in, and moving the fuel by movement of a magnet slider to vaporize the fuel; and
and a second boosting transfer pipe connected to the boosting module and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and allowing the fuel introduced from the boosting module to be moved, vaporized, and introduced into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압이동관에 설치되어, 상기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의 내부압력에 따라 오픈 및 차단시킬 수 있는 전단 밸브를 더 포함하는 승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ooster device further comprises a front end valve installed in the first pressure booster tube and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yogenic liquid fuel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모듈은,
길이를 가지는 관통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공간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공간과 상기 상부공간과 연결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와 상부에 각각 상기 제1 승압이동관과 제2 승압이동관이 연결되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부를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는 자석 슬라이더;
상기 상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플런저;
상기 상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고, 상하 이동에 따라 차단 및 오픈되는 상단이동밸브 및
상기 하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며, 상하 이동에 따라 오픈 및 차단되는 하단이동밸브를 포함하는 승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up module,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erforated tube having a length, and an upper space located at the top as an internal space and a lower space connected to the upper space and located at the bottom are formed, and the first boosting tube and the second boosting tube are formed at the bottom and top, respectively. A cylinder part to which the moving pipe is connected;
a magnet slider installed outside the cylinder and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cylinder;
a plunger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and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gnet slider;
An upper movement valve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lunger, and blocked and opened according to the movement up and down; and
and a lower movement valve installed in the lower space,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lunger, and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lung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모듈은,
상기 자석 슬라이더가 상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플런저가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상단이동밸브가 차단되어 상기 상부공간의 연료가 상기 제1 승압이동관으로 이동되고, 상기 하단이동밸브가 오픈되어 상기 하부공간의 연료가 상기 상부공간의 상기 상단이동밸브 하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자석 슬라이더가 하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플런저가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상단이동밸브가 오픈되어 상기 상단이동밸브 하측에 위치하는 연료가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하단이동밸브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압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step-up module,
When the magnet slider is moved upward, the upper movement valve is blocked as the plunger is moved upward, so that the fuel in the upper space is moved to the first pressure-up movement pipe, and the lower movement valve is opened to the lower space. The fuel of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moving valve in the upper space,
When the magnet slider is moved to the lower side, as the plunger is moved to the lower side, the upper movable valve is opened to move the fuel located below the upper movable valve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movable valve is blocked. boosting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는,
길이를 가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이 형성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 하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1 승압이동관이 연결되며, 상기 하단이동밸브가 안착될 시 상기 하단이동밸브를 차단시키는 하단 플러그 및
상기 실린더 상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2 승압이동관이 연결되는 상단 플러그를 포함하는 승압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cylinder part,
A cylinder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length and having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formed therein;
A lower plug inserted a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cylinder, connected to the first pressure-up moving pipe, and blocking the lower moving valve when the lower moving valve is seated; and
and a top plug inserted and fixed to an upper part of the cylinder, to which the second booster tube is connec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상부공간과 하부공간 사이에 내면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단이동밸브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상단이동밸브의 하측 이동을 제한하는 공간분리돌출부 및
외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자석 슬라이더가 지지되고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돌출부를 포함하는 승압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cylinder,
A space separation protrusion formed between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to protrude inwar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to limit the upward movement of the lower movement valve and to limit the lower movement of the upper movement valve; and
A boosting device comprising a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outward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to support the magnet slider and prevent separ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플러그는,
상기 제1 승압이동관이 연결되는 하단 연결관;
상기 하단 연결관 상측으로 형성되는 하단 플러그몸체 및
상기 하단 플러그몸체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고, 상기 하단이동밸브와 밀착되어 상기 하단이동밸브를 차단시킬 수 있는 하단 플러그삽입부를 포함하는 승압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lower plug,
a lower connecting pipe to which the first boosting pipe is connected;
A lower plug bod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onnector pipe and
and a lower plug insertion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ug body, inserted into the cylinder,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hift valve to block the lower shift val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이동밸브는,
중공되되 상면이 막혀 있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상단밸브몸체;
상기 상단밸브몸체 상측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될 시 차단되고 하측으로 이동될 시 오픈되는 하나 이상의 상단밸브개방홀;
상기 상단밸브몸체 상단에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가 걸려 상측으로 같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상단걸림부 및
상기 상단밸브몸체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가 걸려 하측으로 같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하단걸림부를 포함하는 승압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upper moving valve,
An upper valve body formed in a hollow tube shape with an upper surface blocked and having a longer length than the plunger;
one or more upper valve opening hol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ide of the upper valve body, blocked when moved upward by the plunger and opened when moved downward;
An upper hanging part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upper valve body to protrude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ce so that the plunger can be caught and moved upward together; and
and a lower lock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upper valve body to protrude outward and allowing the plunger to be caught and moved downward toge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이동밸브는,
중공되어 상면이 막혀 있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하단밸브몸체;
중공되어 하면이 막혀 있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하단밸브몸체 상측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하단밸브몸체보다 넓이가 크게 형성되는 제2 하단밸브몸체;
상기 제1 하단밸브몸체 상측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부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될 시 차단되고 상측으로 이동될 시 오픈되는 하나 이상의 제1 하단밸브개방홀 및
상기 제2 하단밸브몸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하단밸브개방홀이 오픈되면 상기 하부공간으로 이동되는 연료가 상기 상부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하단밸브개방홀을 포함하는 승압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lower moving valve,
A first lower valve body that is hollow and formed in a tubular shape with an upper surface blocked;
A second lower valve body formed in a hollow tubular shape with a lower surface blocked and integrally formed above the first lower valve body and having a larger width than the first lower valve body;
One or more first lower valve opening hol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ower valve body, blocked when moved downward by the cylinder part and opened when moved upward; and
A pressure boosting device including a second lower valve opening hol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lower valve body and allowing fuel moved to the lower space to be moved to the upper space when the first lower valve opening hole is opened. .
KR1020210166130A 2021-11-26 2021-11-26 Pressure boosting device for cryogenic liquid fuel tank KR1026147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130A KR102614712B1 (en) 2021-11-26 2021-11-26 Pressure boosting device for cryogenic liquid fuel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130A KR102614712B1 (en) 2021-11-26 2021-11-26 Pressure boosting device for cryogenic liquid fuel ta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909A true KR20230078909A (en) 2023-06-05
KR102614712B1 KR102614712B1 (en) 2023-12-18

Family

ID=86764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130A KR102614712B1 (en) 2021-11-26 2021-11-26 Pressure boosting device for cryogenic liquid fuel ta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71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0347B2 (en) * 1991-04-10 2003-09-22 ミネソタ・バレー・エンジニアリング・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ontrol valve device used in cryogenic storage tank
KR20100082586A (en) * 2009-01-09 2010-07-1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A storage appratus of liquefied fuel for vehicle
KR101591747B1 (en) * 2016-01-14 2016-02-04 주식회사 제이에이치복합소재테크 Liquid nature gas tank for vehicle
KR102210854B1 (en) 2019-09-18 2021-02-02 디앨 주식회사 Fuel tank with fuel boosting mod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0347B2 (en) * 1991-04-10 2003-09-22 ミネソタ・バレー・エンジニアリング・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ontrol valve device used in cryogenic storage tank
KR20100082586A (en) * 2009-01-09 2010-07-1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A storage appratus of liquefied fuel for vehicle
KR101591747B1 (en) * 2016-01-14 2016-02-04 주식회사 제이에이치복합소재테크 Liquid nature gas tank for vehicle
KR102210854B1 (en) 2019-09-18 2021-02-02 디앨 주식회사 Fuel tank with fuel boosting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712B1 (en) 202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22491B (en) Storage tank for a cryogenic fluid with a partitioned cryogen space
JP4403098B2 (en) Fuel inje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02040854A1 (en) Needle lift damper device of injector for fuel injection and needle lift damping method
RU2635076C2 (en) Method and system for washing tanks
US20060086825A1 (en) Gaseous fuel injector
KR101845544B1 (en) Pintle injector for controlling opening distance with fuel supply pressure
US8262137B2 (en) Connector
CN101718218A (en) Siphon tube for a multi-chamber fluid reservoir
JP2009539679A (en) On-board refueling steam recovery system with vent line check valve
KR20010101059A (en) Valve for controlling fluids
JP5888276B2 (en) Fuel supply device
US9581295B2 (en) Economizer biasing valve for cryogenic fluids
US8333176B2 (en) Connector
KR20230078909A (en) Pressure boosting device for cryogenic liquid fuel tank
US20100244302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nnector
JP2009057977A (en) Injection nozzle for injecting fuel
US6974093B2 (en) Fuel injection device
CN102108929B (en) Improved fuel injection system and armature housing
JP2002021672A (en) Injector provided with controlled nozzle needle and brought under pressure control
JP2007107513A (en) Fuel injection valve
KR102189473B1 (en) Double check multi valve apparatus for a gas storage tank
US9404459B2 (en) Pressure compensated fuel injector with solenoid pumping
KR102595781B1 (en) Refrigerant recovery and charging tank structure
JP3087085B2 (en) Liquid temperature connection device for mold temperature control
JPH10238429A (en) Fuel cutoff device for fuel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