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8566A - Nft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Nft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8566A
KR20230078566A KR1020220160613A KR20220160613A KR20230078566A KR 20230078566 A KR20230078566 A KR 20230078566A KR 1020220160613 A KR1020220160613 A KR 1020220160613A KR 20220160613 A KR20220160613 A KR 20220160613A KR 20230078566 A KR20230078566 A KR 20230078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ome
nft
dielectric
transacting
genomic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0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인철
임창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지놈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지놈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지놈박스
Publication of KR20230078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8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장치는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NFT(Non-fungible token) 생성 요청을 수신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유전체 기반 NFT를 등록하는 등록부와, 상기 유전체 기반 NFT를 공시하는 공시부와,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NFT의 지분의 일부 혹은 전부에 대한 소유권 구매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소유권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유전체 기반 NFT에 대한 지분 변동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고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소유권거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NFT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Apparatus for trading genomic data based on Non-fungible token (NFT)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NFT(Non-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명확하게 보장해줄 수 있는 기술로서 블록체인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가 조명되고 있다. NFT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자산에 대한 고유한 디지털 증명서를 부여하는 신종 디지털 자산화와 관련된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388233호 (2022년04월14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NFT(Non-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장치는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NFT(Non-fungible token) 생성 요청을 수신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유전체 기반 NFT를 등록하는 등록부와, 상기 유전체 기반 NFT를 공시하는 공시부와,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NFT의 지분의 일부 혹은 전부에 대한 소유권 구매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소유권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유전체 기반 NFT에 대한 지분 변동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고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소유권거래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전체 기반 컨텐츠는 유전체 데이터(Whole Genome Sequencing, Whole Exome Sequencing, Microarray), 유전체 분석 결과, 및 유전자 마커(SNPs)를 기초로 생성된 창작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창작물은 이미지, 음악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창작물은 유전체 데이터의 특성을 이용한 창작물 및 유전체 분석 데이터 및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융합하여 도출된 창작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창작물 중 이미지는 PFP(profile picture) 또는 GDID(Genome based Decentralized Identifier)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시부는 유전체 기반 NFT에 대응하여 유전체 분석 결과,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라이프로그 및 기 설정된 설문에 대한 설문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공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는 제3 사용자 장치로부터 유전체 기반 NFT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 구매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사용권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판매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연결하고, 제3 사용자 장치에 상기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을 제공하는 사용권거래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소정의 주기로 상기 유전체 기반 NFT의 소유권에 대한 판매에 따른 수익금 및 상기 유전체 기반 컨텐츠의 사용권에 대한 판매에 따른 수익금을 도출하고, 상기 지분 변동 정보에 따라 상기 유전체 기반 NFT의 소유권 지분을 도출하고, 상기 소유권 지분에 따라 상기 수익금을 정산하는 정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시부는 소정의 평가 지표에 따라 유전체 기반 NFT를 평가하고, 상기 평가 지표에 따른 유전체 기반 NFT의 평가 결과를 공시하며, 상기 소정의 평가 지표를 상기 유전체 기반 NFT의 검색을 위한 검색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방법은 등록부가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NFT(Non-fungible token)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부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유전체 기반 NFT를 등록하는 단계와, 공시부가 상기 유전체 기반 NFT를 공시하는 단계와, 소유권거래부가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NFT의 지분의 일부 혹은 전부에 대한 소유권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소유권거래부가 상기 수신된 소유권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유전체 기반 NFT에 대한 지분 변동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고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유전체 기반 컨텐츠는 유전체 데이터(Whole Genome Sequencing, Whole Exome Sequencing, Microarray), 유전체 분석 결과, 및 유전자 마커(SNPs)를 기초로 생성된 창작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창작물은 이미지, 음악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창작물은 유전체 데이터의 특성을 이용한 창작물 및 유전체 분석 데이터 및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융합하여 도출된 창작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창작물 중 이미지는 PFP(profile picture) 또는 GDID(Genome based Decentralized Identifier)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전체 기반 NFT를 공시하는 단계는 상기 공시부가 유전체 기반 NFT에 대응하여 유전체 분석 결과,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라이프로그 및 기 설정된 설문에 대한 설문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공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사용권거래부가 제3 사용자 장치로부터 유전체 기반 NFT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권거래부가 수신된 사용권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판매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연결하고, 제3 사용자 장치에 상기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정산부가 소정의 주기로 상기 유전체 기반 NFT의 소유권에 대한 판매에 따른 수익금 및 상기 유전체 기반 컨텐츠의 사용권에 대한 판매에 따른 수익금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정산부가 상기 지분 변동 정보에 따라 상기 유전체 기반 NFT의 소유권 지분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정산부가 상기 소유권 지분에 따라 상기 수익금을 정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전체 기반 NFT를 공시하는 단계는 상기 공시부가 소정의 평가 지표에 따라 유전체 기반 NFT를 평가하고, 상기 평가 지표에 따른 유전체 기반 NFT의 평가 결과를 공시하고, 상기 소정의 평가 지표를 상기 유전체 기반 NFT의 검색을 위한 검색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NFT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 자체 혹은 유전체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다양한 컨텐츠를 판매할 수 있다. 이로써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 거래를 위한 유전체 기반 NFT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 거래를 위한 유전체 기반 NFT에 대해 공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장치(10, 20, 30), 거래서버(100), 복수의 노드장치(201)로 이루어진 블록체인 네트워크(200) 및 데이터베이스서버(300)를 포함한다.
사용자장치(10, 20, 3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이며, 사용자장치(10, 20, 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거래서버(100) 및 데이터베이스서버(300)와 연결된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장치(10, 2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패블릿, PC, 노트북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장치(10)는 사용자장치(10, 20, 30)는 유전체 기반 컨텐츠를 제공하여 유전체 기반 NFT를 생성하도록 요청하는 최초 소유권자인 사용자의 사용자장치라고 가정한다. 또한, 제2 사용자 장치(20)는 유전체 기반 NFT의 소유권을 구매하는 사용자의 사용자장치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제3 사용자 장치(30)는 유전체 기반 NFT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의 사용권을 구매하는 사용자의 사용자장치라고 가정한다.
거래서버(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기반 NFT를 생성하고, 유전체 기반 NFT 혹은 유전체 기반 NFT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거래를 제공하는 마켓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거래서버(100)는 등록부(110), 공시부(120), 소유권거래부(130), 사용권거래부(140) 및 정산부(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등록부(110), 공시부(120), 소유권거래부(130), 사용권거래부(140) 및 정산부(150)를 포함하는 거래서버(10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노드장치(201)는 컴퓨팅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특히, 복수의 노드장치(201)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를 구성한다. 노드장치(201)는 컴퓨팅 연산을 수행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무방하다. 예컨대, 노드장치(201)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서버(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기반 NFT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 및 이에 따른 공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서버이다. 유전체 기반 컨텐츠는 유전체 데이터(Whole Genome Sequencing, Whole Exome Sequencing, Microarray), 유전체 분석 결과, 및 유전자 마커(SNPs)를 기초로 생성된 창작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창작물은 이미지, 음악 및 영상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창작물은 유전체 데이터의 특성을 이용한 창작물 및 유전체 분석 데이터 및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융합하여 도출된 창작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히, 창작물 중 이미지는 PFP(profile picture) 또는 GDID(Genome based Decentralized Identifier)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공시 정보는 유전체 분석 결과,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라이프로그 및 기 설정된 설문에 대한 설문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 거래를 위한 유전체 기반 NFT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 거래를 위한 유전체 기반 NFT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 거래를 위한 유전체 기반 NFT에 대해 공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등록부(110)는 S110 단계에서 제1 사용자 장치(10)로부터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NFT(Non-fungible token) 생성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전체 기반 컨텐츠는 유전체 데이터(Whole Genome Sequencing, Whole Exome Sequencing, Microarray), 유전체 분석 결과, 및 유전자 마커(SNPs)를 기초로 생성된 창작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창작물은 이미지, 음악 및 영상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창작물은 유전체 데이터의 특성을 이용한 창작물 및 유전체 분석 데이터 및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융합하여 도출된 창작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창작물은 PFP(profile picture) 또는 GDID(Genome based Decentralized Identifier)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이미지가 GDID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등록부(110)는 S120 단계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유전체 기반 NFT를 등록한다. 기본적으로, 유전체 기반 NFT는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가 저장된 위치를 특정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 기반 NFT는 제1 사용자 혹은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공시 정보가 저장된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서버(300)에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 및 그 유전체 기반 컨텐츠의 공시 정보가 저장된 상태이고 유전체 기반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한 정보인 위치 정보가 거래서버(100)의 등록부(110)에 제공된 상태라고 가정한다.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 및 그 유전체 기반 컨텐츠의 공시 정보는 제1 사용자 장치(10)에 의해 미리 업로드되거나, S110 단계에서 수신되어 등록부(110)에 의해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등록부(110)는 유전체 기반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한다. 이때, 등록부(110)는 유전체 기반 컨텐츠의 식별자, 거래서버(100)의 식별자 및 위치 정보를 거래서버(100)의 개인키로 서명한다. 그런 다음, 등록부(110)는 유전체 기반 컨텐츠의 식별자, 거래서버(100)의 식별자 및 위치 정보와, 서명 파일을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등록부(110)는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 전송한다. 트랜잭션을 수신한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그 위치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블록으로 저장한다. 이때,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 속하는 복수의 노드장치(201) 중 어느 하나의 노드장치(201)가 트랜잭션을 수신하면, 트랜잭션을 수신한 노드장치(201)는 거래서버(100)의 공유키를 이용하여 트랜잭션을 검증한다. 이때, 해당 노드장치(201)는 거래서버(100)의 공유키를 이용하여 서명 파일을 복호화하여 유전체 기반 컨텐츠의 식별자, 거래서버(100)의 식별자 및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트랜잭션이 원본임을 검증한다. 원본임이 검증되면, 해당 노드장치(201)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전역에 해당 트랜잭션을 전파한다. 이때, 트랜잭션을 수신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속한 다른 노드장치(201) 또한 동일한 검증을 수행한다. 또한, 원본임이 검증되면, 해당 트랜잭션은 임시 풀(temporary pool)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임시 풀은 블록에 트랜잭션 데이터가 기록되기 전에 트랜잭션 데이터가 임시로 보관되는 장소이다. 다음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속하는 복수의 노드장치(201) 중 어느 하나의 노드 장치가 채굴(mining)에 성공하면, 채굴에 성공한 노드장치(201)는 블록을 생성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속하는 노드장치(201)는 인증되지 않은 불특정 노드이기 때문에, 블록 생성에 대한 정당성을 입증하여야 한다. 작업 증명 알고리즘은 정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합의 알고리즘 중 하나로 구체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다. 복수의 노드장치(201) 각각은 무작위로 해시 값을 대입하고, 주어진 목표 해시 값을 만족시키는 넌스(nonce)를 찾는 과정에서 비용과 무관하게 수행되는 인공지능형 의사결정 혹은 그 과정에 상응하는 컴퓨팅 비용을 제공하게 되고, 인공지능형 의사결정 혹은 컴퓨팅 비용에 근거하여 해당 노드장치(201)의 정당성이 입증된다. 이에 따라, 목표 해시 값을 만족시키는 넌스를 찾은 노드장치(201), 즉, 채굴에 성공한 노드장치(201)가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블록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생성 규칙에 따라 유전체 데이터의 식별자, 거래서버(100)의 식별자 및 위치 정보가 인덱스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다. 블록을 생성한 후, 채굴에 성공한 노드장치(201)는 앞서 생성된 블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 전파한다. 그러면,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 속한 복수의 노드장치(201)는 해당 블록을 검증하고, 검증에 성공한 경우, 기존의 블록체인에 해당 블록을 연결한다. 블록체인이 연결된 후, 채굴에 성공한 노드장치(201)는 해당 인덱스 데이터가 블록으로 블록체인에 저장되었음을 거래서버(100)에 통지할 수 있다. 이로써,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무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공시부(120)는 S130 단계에서 앞서 등록된 유전체 기반 NFT를 공시한다. 기본적으로, 공시라고 함은 해당 유전체 기반 NFT의 소유권을 판매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해당 유전체 기반 NFT의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의 사용권을 판매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화면 예가 도 4에 도시되었다. 예컨대, 판매되는 유전체 기반 NFT의 소유권 및 그 유전체 기반 NFT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한 리스트로 제공되거나, 도 4의 (B)와 같이, 소정의 지표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공시부(120)는 유전체 기반 NFT에 대응하여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분석 결과를 공시할 수 있다. 또한, 공시부(120)는 유전체 기반 NFT에 대응하여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라이프로그 및 기 설정된 설문에 대한 설문 내용을 공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전체 분석결과, MBTI, 라이프로그, 설문 등 적어도 일부를 공시함으로써 유전체 데이터의 차별점과 가치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공시부(120)는 소정의 평가 지표에 따라 유전체 기반 NFT를 평가하고, 그 평가 지표에 따른 평가 결과를 유전체 기반 NFT에 매핑하여 공시한다. 즉, 공시부(120)는 소정의 평가 지표에 따라 유전체 기반 NFT를 평가하고, 평가 지표에 따른 유전체 기반 NFT의 평가 결과를 공시한다. 또한, 공시부(120)는 소정의 평가 지표를 유전체 기반 NFT의 검색을 위한 검색어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사용자 혹은 제3 사용자는 제2 사용자 장치(20) 혹은 제3 사용자 장치(30)를 통해 평가 지표를 검색어로 하여 유전체 기반 NFT를 검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평가 시스템을 통해 학술적 가치가 높거나 인플루언서와 같이 인지도가 높은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NFT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고, 유전체 기반 NFT의 가치 변화를 인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전체 기반 NFT가 등록되고, 공시된 후, 소유권거래부(130)는 S210 단계에서 유전체 기반 NFT의 소유권의 일부 혹은 전부를 구매하고자 하는 제2 사용자의 제2 사용자 장치(20)로부터 유전체 기반 NFT의 지분의 일부 혹은 전부에 대한 소유권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소유권거래부(130)는 S220 단계에서 수신된 소유권 구매 요청이 유효한 경우, 수신된 소유권 구매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유전체 기반 NFT에 대한 지분 변동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고 해당 유전체 기반 NFT에 대응하는 블록체인에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제2 사용자는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NFT의 소유권의 일부 혹은 전부를 구매할 수 있다.
한편, 사용권거래부(140)는 S230 단계에서 유전체 기반 NFT의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을 구매하고자 하는 제3 사용자의 제3 사용자 장치(30)로부터 유전체 기반 NFT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권거래부(140)는 S240 단계에서 수신된 사용권 구매 요청이 유효한 경우, 그 수신된 사용권 구매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 판매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해당 유전체 기반 NFT에 대응하는 블록체인에 연결한다.
그런 다음, 사용권거래부(140)는 S250 단계에서 제3 사용자 장치(30)에 해당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을 제공한다.
한편, 정산부(150)는 S260 단계에서 소정의 주기로 정산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산부(150)는 소정의 주기로 유전체 기반 NFT의 소유권의 판매에 따른 수익금 및 유전체 기반 컨텐츠의 사용권의 판매에 따른 수익금을 도출하고, 지분 변동 정보에 따라 유전체 기반 NFT의 소유권 지분을 도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정산부(150)는 유전체 기반 NFT의 소유권 지분에 따라 유전체 기반 NFT의 소유권 및 유전체 기반 컨텐츠의 사용권의 판매로 인한 수익금을 정산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와이어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20, 30: 사용자장치
100: 거래서버
200: 블록체인 네트워크
201: 노드장치
300: 데이터베이스서버

Claims (18)

  1.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NFT(Non-fungible token) 생성 요청을 수신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유전체 기반 NFT를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유전체 기반 NFT를 공시하는 공시부; 및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NFT의 지분의 일부 혹은 전부에 대한 소유권 구매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소유권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유전체 기반 NFT에 대한 지분 변동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고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소유권거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기반 컨텐츠는
    유전체 데이터(Whole Genome Sequencing, Whole Exome Sequencing, Microarray),
    유전체 분석 결과, 및
    유전자 마커(SNPs)를 기초로 생성된 창작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은
    이미지, 음악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은
    유전체 데이터의 특성을 이용한 창작물 및
    유전체 분석 데이터 및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융합하여 도출된 창작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 중 이미지는
    PFP(profile picture) 또는
    GDID(Genome based Decentralized Identifier)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시부는
    유전체 기반 NFT에 대응하여
    유전체 분석 결과,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라이프로그 및 기 설정된 설문에 대한 설문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공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3 사용자 장치로부터 유전체 기반 NFT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 구매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사용권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판매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연결하고, 제3 사용자 장치에 상기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을 제공하는 사용권거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소정의 주기로
    상기 유전체 기반 NFT의 소유권에 대한 판매에 따른 수익금 및 상기 유전체 기반 컨텐츠의 사용권에 대한 판매에 따른 수익금을 도출하고,
    상기 지분 변동 정보에 따라 상기 유전체 기반 NFT의 소유권 지분을 도출하고,
    상기 소유권 지분에 따라 상기 수익금을 정산하는 정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시부는
    소정의 평가 지표에 따라 유전체 기반 NFT를 평가하고, 상기 평가 지표에 따른 유전체 기반 NFT의 평가 결과를 공시하며,
    상기 소정의 평가 지표를 상기 유전체 기반 NFT의 검색을 위한 검색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장치.
  10.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등록부가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NFT(Non-fungible token)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등록부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유전체 기반 NFT를 등록하는 단계;
    공시부가 상기 유전체 기반 NFT를 공시하는 단계;
    소유권거래부가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의 유전체 기반 NFT의 지분의 일부 혹은 전부에 대한 소유권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유권거래부가 상기 수신된 소유권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유전체 기반 NFT에 대한 지분 변동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고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기반 컨텐츠는
    유전체 데이터(Whole Genome Sequencing, Whole Exome Sequencing, Microarray),
    유전체 분석 결과, 및
    유전자 마커(SNPs)를 기초로 생성된 창작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은
    이미지, 음악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은
    유전체 데이터의 특성을 이용한 창작물 및
    유전체 분석 데이터 및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융합하여 도출된 창작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 중 이미지는
    PFP(profile picture) 또는
    GDID(Genome based Decentralized Identifier)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기반 NFT를 공시하는 단계는
    상기 공시부가 유전체 기반 NFT에 대응하여 유전체 분석 결과,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라이프로그 및 기 설정된 설문에 대한 설문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공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사용권거래부가 제3 사용자 장치로부터 유전체 기반 NFT의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권거래부가 수신된 사용권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판매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연결하고, 제3 사용자 장치에 상기 유전체 기반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정산부가 소정의 주기로 상기 유전체 기반 NFT의 소유권에 대한 판매에 따른 수익금 및 상기 유전체 기반 컨텐츠의 사용권에 대한 판매에 따른 수익금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정산부가 상기 지분 변동 정보에 따라 상기 유전체 기반 NFT의 소유권 지분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정산부가 상기 소유권 지분에 따라 상기 수익금을 정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기반 NFT를 공시하는 단계는
    상기 공시부가 소정의 평가 지표에 따라 유전체 기반 NFT를 평가하고, 상기 평가 지표에 따른 유전체 기반 NFT의 평가 결과를 공시하고, 상기 소정의 평가 지표를 상기 유전체 기반 NFT의 검색을 위한 검색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방법.



KR1020220160613A 2021-11-26 2022-11-25 Nft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2300785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65216 2021-11-26
KR1020210165216 2021-1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566A true KR20230078566A (ko) 2023-06-02

Family

ID=86756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0613A KR20230078566A (ko) 2021-11-26 2022-11-25 Nft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856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233B1 (ko) 2021-09-02 2022-04-18 김한조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233B1 (ko) 2021-09-02 2022-04-18 김한조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60001B (zh) 一种数字证书管理方法、装置和系统
KR102144302B1 (ko)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7077557B (zh) 软件应用程序发布和验证的方法及装置
US20200402062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EP1134670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transmitter, and transmission method as well as information reception system, receiver and reception method
US2015019360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haring, transferring and removing previously owned digital media
KR101899275B1 (ko) 디지털 상품들의 소유권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1841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centralized digital structured data storage, management, and authentication using blockchain
CN1953459A (zh) 内容消费环境的完整性验证和确认的系统和方法
JP690400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16521887A (ja) サード・バーティ製品に対するストア間ライセンシング
EP2199921A1 (en) Digital contents counting system and method
JP2001094554A (ja) 情報送信システム、情報送信装置、情報受信装置、情報送信方法
EP2804341A1 (en) Information storage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157000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ng immutability of blockchains
CN113795841A (zh) 分发数字内容的使用权利证书的方法、及存储在介质中以运行所述方法的计算机程序
CN111210217A (zh) 数据处理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01083874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規制装置、情報受信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CN109067849A (zh) 基于区块的数据同步方法
JP200514141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1092880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リスト送信装置、情報受信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WO2020085226A1 (ja) 制御方法、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KR20230078566A (ko) Nft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거래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N116028982A (zh) 基于非同质化通证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20240104642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non-fungible tok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