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7499A -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bluetooth beac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bluetooth beac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7499A
KR20230077499A KR1020210164829A KR20210164829A KR20230077499A KR 20230077499 A KR20230077499 A KR 20230077499A KR 1020210164829 A KR1020210164829 A KR 1020210164829A KR 20210164829 A KR20210164829 A KR 20210164829A KR 20230077499 A KR20230077499 A KR 20230077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control unit
parking surface
user terminal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8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동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쿼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쿼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쿼드
Priority to KR1020210164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7499A/en
Publication of KR20230077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4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6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roadside infrastructure, e.g. beac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카메라가 주차장 내의 주차면을 실시간 촬영하는 단계; b) 제어부가 상기 a)단계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상기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b)단계에서 판단된 주차여부에 따라 해당 주차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가 블루투스 비콘이 미리 탑재된 이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면, 상기 주차장 내에 이용자의 차량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블루투스 방식으로 실시간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제어부가 상기 d)단계에서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의 작동결과를 기반으로 임의의 주차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주차면 정보를 다시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알림부가 상기 e)단계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주차면 정보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용자 단말의 앱이 서버에 접속할 필요없이 위치정보에 따른 주차면 정보를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이용자에게 제공이 가능해지므로, 보다 효율적이고 적응적인 주차관리 환경을 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차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a camera capturing a parking surface in a parking lot in real time; b) determining, by a controller,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through image analysis by obtaining an image captured in step a); c) controlling, by the control unit, the operation of a light emitting lamp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according to whether parking is determined in step b); d) whe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equipped with a Bluetooth beacon in advance and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determining that the user's vehicle has entered the parking lot, and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in a Bluetooth manner; e) generating, by the control unit, random parking surface information based on the operation result of the light emitting lamp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n step d),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arking surface information back to the user terminal; and f) visually displaying, by the notification unit,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through step e) on an arbitrary screen,
Since the app of the user terminal automatically generates parking su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without having to access the server and provides it to the user, a more efficient and adaptive parking management environment can be achieved,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for parking user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Description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BLUETOOTH BEAC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Bluetooth beacon and its control method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BLUETOOTH BEAC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블루투스 비콘이 탑재된 이용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위치정보를 블루투스 방식으로 수신하면서 이용자 단말의 앱이 서버에 접속할 필요없이 위치정보에 따른 주차면 정보를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이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적응적인 주차관리 환경을 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차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equipped with a Bluetooth beacon in a Bluetooth manner, and automatically generates parking su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without the need for an app of the user terminal to access a server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hroug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a more efficient and adaptive parking management environment, and thus, to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a Bluetooth beacon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parking user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은 주차면의 차량 유무 및 번호판 등을 식별하고, 주차가능 유무 표시등(만공차등)의 점등, 주차 전광판에 주차가능 대수 정보 표시, 키오스크로 차량위치정보 전달 등과 같이 차량의 운전자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주차/출차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시스템이다.In general, 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identifi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on a parking surface, license plate, etc., turns on a parking availability indicator (full gap lamp), display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arking spaces available on a parking display board, transmits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to a kiosk, etc. It is a system that manages the driver to park/exit quickly and conveniently.

예컨대, 주차면의 차량 인식은 현재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검지 방법과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차량 및 번호판 검지 방법이 대부분 사용되고 있으며,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검지 방법은 초음파 센서 1개당 1개의 주차면에 주차면 검지가 가능한 반면,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차량 및 번호판 검지 방법은 카메라 렌즈의 화각 조절을 통해 카메라 1대로 여러 주차면의 검지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For example, vehicle recognition of a parking surface is currently mostly using a detection method using an ultrasonic sensor and a vehicle and license plate detection method using a camera image.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detecting vehicles and license plates using camera images is characterized in that multiple parking surfaces can be detected with one camera by adjusting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lens.

이러한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차량 및 번호판 검지 방법을 위해 사용되는 주차면 검지용 카메라에는 전방위(어안)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와 일반 또는 광각렌즈를 적용한 단방향 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A camera using an omnidirectional (fisheye) lens and a camera using a unidirectional lens to which a general or wide-angle lens is applied are generally used as a parking surface detection camera used for a vehicle and license plate detection method using such camera images.

그러나 종래의 주차면 검지용 카메라에는 카메라 전용의 시스템 온칩(System on Chip, SoC)이 장착된 상태로 제조되기 때문에 카메라 기능 위주로 설계가 이루어져 카메라 외에 부가적인 기능 구현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며, 원가와 유지 비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camera for detecting parking surfaces is manufactured with a system on chip (SoC) dedicated to the camera mounted, the design is centered on the camera function, so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implementing additional functions other than the camera, cost and maintenance The problem was that it was expensive.

또한, 혼잡한 주차장에서는 주차장의 빈 자리(공차 공간)이 있는지와, 그 자리가 어디에 얼마나 있는지가 중요한 정보가 되는데, 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선 주차 이용객 휴대폰의 앱이 주차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에 직접 접속하여 그 정보를 획득해야 하므로, 다소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n a crowded parking lot, important information is whether there are vacant seats (empty spaces) in the parking lot and where and how many of those seats are available. Since it is necessary to connect and acquire the informa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somewhat inefficien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9752호(2010.08.27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979752 (registered on 2010.08.2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블루투스 비콘이 탑재된 이용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위치정보를 블루투스 방식으로 수신하면서 이용자 단말의 앱이 서버에 접속할 필요없이 위치정보에 따른 주차면 정보를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이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적응적인 주차관리 환경을 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차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ile receiving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equipped with a Bluetooth beacon in a Bluetooth manner, the parking surface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without the need for the app of the user terminal to access the server. A more efficient and adaptive parking management environment can be achieved through a configuration in which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generated and provided to users, and thus,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a Bluetooth beacon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parking users, and it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com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은, 복수개의 주차면이 구비된 주차장 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주차면을 실시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주차면에 각각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광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발광램프; 상기 주차장 내에 진입하는 차량의 이용자가 소지하는 이용자 단말;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 상기 발광램프 및 상기 이용자 단말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상기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면서 상기 판단된 주차여부에 따라 해당 주차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위치정보를 실시간 제공받아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의 작동결과를 기반으로 임의의 주차면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주차면 정보를 다시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용자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주차면 정보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본체,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의 일부 구성을 이룰 수 있고,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발광램프는, 상호 간에 블루투스 방식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각각 구비된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용자 단말은, 블루투스 비콘이 미리 탑재된 스마트폰으로서, 상기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 통신모듈과 실시간 근거리 무선통신하면서 상기 제어부로 상기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a Bluetooth beac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lurality of main bodies installed in a parking lot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a camera coupled to the main body to photograph the parking surface in real tim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lamp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parking surface, respectively, to output preset optical signals;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of a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amera, the light emitting lamp, and the user terminal, and acquires an image taken by the camera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through image analysis.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uminous lamp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parking is parked,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and generates arbitrary parking surface information based on the operation result of the luminous lamp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hen,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parking surface information back to the user terminal; And a notification unit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and visually displaying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on an arbitrary screen, but the main body, the camera, and the control unit may form part of a smartphone. And, the control unit and the light emitting lamp may further includ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respectively to enable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user terminal is a smartphone with a Bluetooth beacon pre-loaded, and the Bluetooth beacon.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continuously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while performing real-tim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by using.

또한, 상기 주차면 정보는,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주차면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구역 범위 내의 만차여부, 주차가능대수, 공차면 주차좌표를 포함하는 주차현황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may be data on the parking status including whether or not the parking surface is full within a preset area rang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park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number of available parking spaces, and parking coordinates on the empty surfac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만차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주차면 정보 또는 상기 주차가능대수가 1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주차면 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만, 상기 주차면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only when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not full or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one or more parking spaces are generated. ca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안드로이드 보드가 탑재되어, 임의의 관리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앱 생성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be equipped with an Android board to generate an app for communication with an arbitrary management serv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키기 위한 카메라 구동모듈;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을 미리 저장된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상기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주차인식모듈; 및 상기 주차인식모듈을 통해 판단된 주차여부에 따라 해당 주차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발광제어모듈; 및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위치정보를 실시간 제공받아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의 작동결과를 기반으로 임의의 주차면 정보를 생성하는 주차면 정보 생성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amera driving module for driving the camera; A parking recognition module that obtains an image taken by the camera and analyzes the obtained image through a pre-stored image processing program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And a light emitting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lamp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parking is determined through the parking recognition module; And it may include a parking surfac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and generating arbitrary parking surface information based on the operation result of the light emitting lamp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 상기 주차인식모듈 및 상기 발광제어모듈의 각 소프트웨어에 대한 버전을 관리하며,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가 실시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관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oftware management module for managing versions of each software of the camera driving module, the parking recognition module, and the light emitting control module, and performing an update as necessary.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안드로이드 기반의 앱이 생성될 경우,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의 구동환경, 상기 주차인식모듈의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환경, 상기 발광제어모듈의 제어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및 변경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소프트웨어의 성능 개선으로 상기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필요 시에, 상기 소프트웨어 관리모듈로 업데이트 요청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Android-based app is created by the control unit, the management server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app, and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camera driving module, the image processing program environment of the parking recognition module, and the light emission At least one of the control environments of the control module may be configured to be set and changed, and when an update of the software is required due to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software, an update request may be made to the software management modul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앱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임의의 관리자 인증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되는 인증정보를 미리 설정된 관리자 식별 데이터와 매칭시켜 관리자를 인식하는 관리자 인증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manager authentication module that receives arbitrary manag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app and recognizes the manager by matching the provid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 preset manager identification data. .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앱의 IP, 상기 카메라의 IP, 상기 발광램프의 IP를 포함한 식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app and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P of the app, the IP of the camera, and the IP of the light emitting lamp.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구동, 상기 발광램프의 작동 중 적어도 하나를 원격제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app, and may be configured to remotely control at least one of driving of the camera and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lamp.

또한, 상기 주차인식모듈은,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나타내는 관심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차인식모듈에서 인식된 차량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king recognition module may analyze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program to detect a region of interest representing a vehicle number, and recognize the vehicle number through analysis of the region of interest, and the management server may use the app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it can be provided with data for the license plate number recognized by the parking recognition module.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방법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카메라가 주차장 내의 주차면을 실시간 촬영하는 단계; b) 제어부가 상기 a)단계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상기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b)단계에서 판단된 주차여부에 따라 해당 주차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가 블루투스 비콘이 미리 탑재된 이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면, 상기 주차장 내에 이용자의 차량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블루투스 방식으로 실시간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제어부가 상기 d)단계에서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의 작동결과를 기반으로 임의의 주차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주차면 정보를 다시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알림부가 상기 e)단계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주차면 정보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trol method of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a Bluetooth beac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technical method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the camera steps of real-time photographing the parking surface in the parking lot; b) determining, by a controller,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through image analysis by obtaining an image captured in step a); c) controlling, by the control unit, the operation of a light emitting lamp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according to whether parking is determined in step b); d) whe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equipped with a Bluetooth beacon in advance and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determining that the user's vehicle has entered the parking lot, and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in a Bluetooth manner; e) generating, by the control unit, random parking surface information based on the operation result of the light emitting lamp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n step d),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arking surface information back to the user terminal; and f) visually displaying, by a notification unit,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step e) on an arbitrary screen.

또한,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만차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주차면 정보 또는 상기 주차가능대수가 1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주차면 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만, 상기 제어부가 상기 주차면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e), only when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not full or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available parking spaces is one or more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can be sent to

본 발명은 블루투스 비콘이 탑재된 이용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위치정보를 블루투스 방식으로 수신하면서 이용자 단말의 앱이 서버에 접속할 필요없이 위치정보에 따른 주차면 정보를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이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한 제어부의 구성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적응적인 주차관리 환경을 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차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equipped with a Bluetooth beacon in a Bluetooth manner and automatically generates parking su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without the need for an app of the user terminal to access a server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chieve a more efficient and adaptive parking management environment, and thus,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parking user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만차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주차면 정보 또는 주차가능대수가 1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주차면 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만, 주차면 정보를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의 제한적인 알고리즘을 통해 보다 원활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환경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mited algorithm of the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parking surfac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only when parking surface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non-full or parking surface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one or more parking spaces is generat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chieve a smoother and more efficient data processing environment.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일부 구성을 이루는 카메라와 제어부를 포함하여, 안드로이드 보드를 탑재한 제어부가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에 따라 발광램프를 제어하면서 앱을 통해 관리서버와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구성하여 종래의 양산된 스마트폰 개조 활용이 가능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시스템의 촬영기능에 대한 원가를 보다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보다 효율적인 주차장 관리환경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unit equipped with an Android board, including a camera and a control unit constituting a part of a smartphone, controls a light emitting lamp according to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and shares data with a management server through an app. By configuring it, it is possible to utilize conventional mass-produced smartphone modifications, and thus, the cost of the system's shooting function can be further reduced,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advantage in supporting a more efficient parking lot management environment.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앱을 활용하는 제어부 및 관리서버를 통해 각 구성에 대한 소프트웨어 관리기능, 관리자 인증기능, 원격제어기능을 포함하여 보다 다양한 앱 기능을 자체적으로 구현 및 지원할 수 있으며, 제어부 및 발광램프가 블루투스 통신가능하도록 한 구성을 통해 관리서버와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비상 상황에서도 구애받지 않고, 주차장 관리기능을 대체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신뢰도 높은 주차장 관리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re various app functions including software management function, administrator authentication function, and remote control function for each configuration can be implemented and supported by itself through a control unit and management server that utilizes an app of the Android operating system, , Since the control unit and the light emitting lamp can perform Bluetooth communication without being restricted even in emergency situations where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is not performed, the parking lot management function can be substituted, thereby achieving a more reliable parking lot management function. can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상기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상기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제어부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 관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1 is a diagram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a Bluetooth beac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electronic configuration of 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rking management process using 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a Bluetooth beac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intervening elements exist.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refer to a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상기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제어부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주차장 관리 시스템이 이용한 주차 관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a Bluetooth beac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electronic configuration of 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Figure 3 is the parking lot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the management system,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arking management process used by 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Bluet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 chart show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100)은 본체(110), 카메라(120), 발광램프(130), 이용자 단말(140), 제어부(150), 알림부(160) 및 관리서버(17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100 using a Bluetooth beac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camera 120, a light emitting lamp 130, a user terminal 140, and a control unit. (150), notification unit 160 and management server 170 can be configured.

상기 본체(110)는 후술될 카메라(120) 및 제어부(150)가 수용가능하게 형성되는 외형틀로서,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하우징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더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단말의 외형을 따르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main body 110 is an outer frame in which the camera 120 and the controller 150 to be described later are accommodated, and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housing having a hollow inside, but more preferably, a smartphone terminal. It may be configured to follow the outer shape 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상기 본체(110)는 카메라(120) 및 제어부(150)가 상기 중공에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120) 및 제어부(150)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body 110 allows the camera 120 and the control unit 150 to be accommodated in the hollow and serves to protect the camera 120 and the control unit 150.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110)는 복수개의 주차면이 구비된 주차장 내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차장 내에 틸팅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10 may be installed in a plurality in a parking lo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more preferably, may be tiltably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예컨대, 상기 주차장은 본 발명의 실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건물 내부 주차장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기 건물 내부 주차장에는 해당층의 천장측에 임의의 높이로 레일프레임(부호 미표시)이 구비된다.For example, the parking lot may be applied to the parking lot inside the building to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general, the parking lot inside the building is provided with a rail frame (not shown) at an arbitrary height on the ceiling side of the floor.

이때, 상기 레일프레임은 후술될 카메라(120) 및 발광램프(130) 등의 주차장 관리 시스템(100)을 위한 구성이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틀로서, 각 구성 간 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수납되기도 한다.At this time, the rail frame is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components for 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100, such as a camera 120 and a light emitting lamp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cables for connection between each component are also accommodated.

즉, 상기 본체(110)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레일프레임에 틸팅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본체(110)의 틸팅동작을 위한 구조는 상기 레일프레임과 수직설치되는 틸팅프레임(111)과, 상기 틸팅프레임(111)에 지지되면서 상기 틸팅프레임(111)을 기준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구(미도시)와, 상기 회동구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회동모터(미도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동을 위한 구조는 힌지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대표적이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10 is preferably installed to be tiltable on the rail frame, and the structure for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110 is the tilting frame 111 installed vertically with the rail frame An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tilting frame 111, a rotation tool (not shown) installed to be able to rotate about the tilting frame 111 as a reference axis, and a rotation motor (not shown) that provides power for rotating the rotation device ), and the like, and the structure for the rotation is typically a hinge structure.

이러한 상기 틸팅구조 및 회동구조는 통상적으로 게재된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꼭 한정되지는 않고, 해당관련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설계될 수 있다.Since the tilting structure and the rotation structure are generally known technologies, they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desig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상기 카메라(120)는 상술한 본체(110)에 결합되어 상기 주차면을 실시간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로서, 후술될 제어부(150)의 카메라 구동모듈(152)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 중공에 수용되면서 렌즈(부호 미표시)가 노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camera 120 is an image sensor coupled to the above-described main body 110 to capture the parking surface in real time, and may be driven by a camera driving module 152 of the control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preferably,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inner hollow of the main body 110, a lens (not shown) may be coupled to be exposed.

또한, 상기 카메라(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렌즈가 주차면 방향을 바라보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본체(110)와 일체로 결합되므로, 상기 복수개의 본체(110)의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120 is preferably installed so that the lens faces the parking surface direction, and since it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main body 110,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110 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corresponding to the number.

이러한 상기 카메라(120)는 기존 스마트폰 단말에 장착되는 스마트폰 전용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CMOS형 카메라 또는 CCD 카메라가 적용될 수도 있고, 스피드돔 카메라, 핀홀 카메라, 팬틸트줌 카메라 등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야간에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적외선 카메라가 부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camera 120 is preferably a smartphone-specific IP (Internet Protocol) camera mounted on an existing smartphone terminal, but a CMOS camera or a CCD camera may be applied, a speed dome camera, a pinhole camera, a pan-tilt camera, A zoom camera or the like may be used, and furthermore, an infrared camera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enable shooting even at night.

다만, 상기 카메라(120)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완성도를 위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However, the camera 120 will have to be modified and designed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for completeness of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발광램프는(130)는 광신호를 직접적으로 방출하는 광원으로서, 상기 주차면에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상기 레일프레임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후술될 제어부(150)의 발광제어모듈(154)의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광신호를 출력하여 주차이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주차면에 대한 주차여부를 원거리에서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light emitting lamps 130 are light sources that directly emit light signals, and may be installed in plurality so as to be supported on the rail frame so as to correspond to the parking surface, respectively. ), it outputs a preset optical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parking user to visually recognize whether or not to park on the parking surface at a desired location even at a distance.

이러한 상기 발광램프(130)는 발광다이오드(LED)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광원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광신호에 대한 설명은 상기 발광제어모듈(154)의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The light emitting lamp 130 is preferably a light emitting diode (L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light sources may be applied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ght signal is described in the light emitting control module 154 )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n the description.

상기 이용자 단말(140)은 주차장 내에 진입하는 차량의 이용자가 소지하는 단말기기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루투스 비콘이 미리 탑재된 스마트폰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ser terminal 140 is a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a user of a vehicle entering a parking lot,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apply a smartphone preloaded with a Bluetooth beacon.

여기서, 상기 이용자 단말(140)은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하여 후술될 제어부(150)의 블루투스 통신모듈(151)과 실시간 근거리 무선통신하면서 상기 제어부(150)로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user terminal 140 may continuously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50 while performing real-tim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151 of the control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using a Bluetooth beacon.

상기 제어부(150)는 상술한 본체(110)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120), 발광램프(130) 및 이용자 단말(140)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120)가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상기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면서 상기 판단된 주차여부에 따라 해당 주차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130)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이용자 단말(140)로부터 위치정보를 실시간 제공받아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130)의 작동결과를 기반으로 임의의 주차면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주차면 정보를 다시 상기 이용자 단말(140)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블루투스 통신모듈(151), 카메라 구동모듈(152), 주차인식모듈(153), 발광제어모듈(154), 주차면 정보 생성모듈(155), 소프트웨어 관리모듈(156), 관리자 인증모듈(15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is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main body 110 and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amera 120, the light emitting lamp 130, and the user terminal 140, and obtains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20. While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through image analysis,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lamp 130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arking status, and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40 After receiving in real time and generating random parking surface information based on the operation result of the light emitting lamp 13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generated parking surfa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40 again. ,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151, camera driving module 152, parking recognition module 153, lighting control module 154, parking surfac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55, software management module 156, manager authentication module 157 ).

여기서, 상기 제어부(150)는 본 발명에 따르면, 안드로이드 보드가 탑재되어, 후술될 관리서버(170)와의 통신을 위한 앱 생성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 단말의 외형을 따르는 본체(110) 및 스마트폰 전용의 구성을 취하는 카메라(120) 함께 스마트폰 단말기의 일부 구성을 이룰 수 있게 된다.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50 can be configured to be equipped with an Android board and generate an app for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170 to be described later, and as described above, the appearance of the smartphone terminal With the main body 110 and the camera 120 having a dedicated configuration for a smartphone, it is possible to form a part of a smartphone terminal.

즉, 본 발명은 상기 안드로이드 보드와 상기 발광램프(130)를 제어하는 기능의 제어보드(발광제어모듈, 154)를 결합한 제어기판(제어부, 150)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이미 양산된 종래의 스마트폰을 개조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control board (control unit, 150) combining the Android board and a control board (emission control module, 154) functioning to control the light emitting lamp 130, and this configuration is already mass-produced in the conventional art. It will be possible to use by modifying the smartphone of

상기 블루투스 통신모듈(151)은 블루투스 기기와의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구성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발광램프(130)와 상호 간에 블루투스 방식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광램프(130)에도 구비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151 is configured to enable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 Bluetooth device,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onfigured to enable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light emitting lamp 130, and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emitting lamp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also be provided.

이러한 상기 블루투스 통신모듈(151)의 블루투스 통신기술은 일반적인 공지기술이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Bluetooth communication technology of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151 is a general 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152)은 미리 설정된 구동환경으로 상기 카메라(120)가 구동될 수 있도록 전원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관리자로부터 수동적으로 구동제어신호를 입력받거나, 후술될 관리서버(150)로부터 원격으로 구동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The camera driving module 152 is configured to provide power so that the camera 120 can be driven in a preset driving environment, and receives a driving control signal manually from a manager or remotely from a management server 150 to be described later. A driving control signal can be input as

상기 주차인식모듈(153)은 카메라(120)가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을 미리 저장된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상기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The parking recognition module 153 is configured to obtain an image taken by the camera 120 and analyze the acquired image through a pre-stored image processing program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예컨대,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은 픽셀을 분석하여, 백터로 정의된 화소들의 물체에 대한 색상, 음영, 위치, 크기 등을 인식하거나, 물체의 경계선 및 윤곽선 등의 에지, 윤곽에 근사하는 선분, 곡선 등을 구하여 인식할 수도 있고, 상기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모서리점, 불변인 점, 또는 회전변환이나 크기 변화 등에 대하여 불변인 특징점을 이용한 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미지에 포함된 물체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program analyzes the pixels to recognize the color, shade, position, size, etc. of the object of the pixels defined as vectors, or the edge of the object's boundary and outline, line segment, curve, etc. It may be obtained and recognized, or recognition may be performed using a corner point, an invariant point, or a feature point that is invariant for rotation conversion or size change existing in the image, and the feature point of an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is extracted and recognized. can also be performed.

이러한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로서,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여부 인식은 물론, 주차면에 대한 입차/출차 진행상황을 인식할 수 있고, 차량번호와 관련된 번호판과 같은 관심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번호를 나타내는 숫자 형상까지 인식할 수 있다.This image processing program is a generally known technology, and various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cessing program recogniz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Of cours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progress of entering / exiting the parking surface, detect a region of interest such as a license plate related to a vehicle number, and recognize even a number shape representing the vehicle number through analysis of the region of interest there is.

즉, 상기 주차인식모듈(153)은 상술한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주차면에 입차하거나, 상기 주차면으로부터 출차하는 차량의 차량번호까지 인식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parking recognition module 153 can recognize even the license plate number of a vehicle entering or exiting the parking surface by using the above-described image processing program.

상기 발광제어모듈(154)은 주차인식모듈(153)을 통해 판단된 주차여부에 따라 해당 주차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13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The light emitting control module 154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lamp 130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according to whether parking is determined through the parking recognition module 153.

여기서, 상기 발광제어모듈(154)은 발광램프(130)의 다양한 광신호 출력을 위해 조명패턴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emitting control module 154 stores lighting pattern information in advance to output various light signals of the light emitting lamp 130 .

상기 조명패턴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광램프(130)가 연출할 수 있는 조명의 패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로서, 점멸패턴정보, 디밍패턴정보, 색상패턴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lighting pattern information is a database of lighting patterns that can be produced by the light emitting lamp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blinking pattern information, dimming pattern information, color pattern information, and the like.

상기 점멸패턴정보는 발광램프(130)가 임의의 주기패턴으로 점멸하도록 하는 광신호를 저장한 정보로서, 관리자가 일정한 주기패턴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주기패턴에 따라 상기 각각의 발광램프(130)가 ON/OFF 스위칭을 통해 점멸되도록 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The blinking pattern information is information storing an optical signal that causes the light emitting lamps 130 to flicker in an arbitrary periodic pattern. It means data that is blinked through ON/OFF switching.

상기 디밍패턴정보는 발광램프(130)의 밝기를 가변하도록 하는 광신호를 저장한 정보로서, 상기 발광램프(130)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발광램프(130)가 임의의 주기패턴으로 다양한 밝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The dimming pattern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 which an optical signal for varying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ing lamp 130 is stored, and the light emitting lamp 130 operates in an arbitrary periodic pattern by adjusting the current or voltage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lamp 130. It refers to data that enables a variety of brightness to be produced.

상기 색상패턴정보는 발광램프(130)의 색상이 가변하도록 하는 광신호를 저장한 정보로서, 상기 발광램프(130)가 임의의 주기패턴으로 다양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The color pattern information is information storing an optical signal that allows the color of the light emitting lamp 130 to vary, and means data that allows the light emitting lamp 130 to produce various colors in an arbitrary periodic pattern.

이를 위해 상기 발광램프(130)는 각각 다른 색상을 가진 광원을 복수개로 설치하는 방식, 적/녹/청의 색상을 갖는 광원을 혼용하여 다양한 색상을 연출하는 RGB(red-green-blue) 방식, 광원의 색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색상 제어기(미도시)를 별도로 더 포함하여 개별적으로 색상을 제어하는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light emitting lamp 130 is a method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having different colors, a red-green-blue (RGB) method of producing various colors by mixing light sources having red/green/blue colors, and a light source A method of individually controlling color by further including a color controller (not shown) capable of controlling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color temperature may be appli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제어모듈(154)은 주차인식모듈(153)을 통해 임의의 주차면에 지정차량이 입차하여 '주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주차면에 대응하는 상기 발광램프(130)가 '적색'을 나타내는 광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임의의 주차면에 지정차량이 출차하여 '미주차(공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주차면에 대응하는 상기 발광램프(130)가 '녹색'을 나타내는 광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control module 154 determines that the designated vehicle is in a 'parking' state by entering an arbitrary parking surface through the parking recognition module 153,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The light emitting lamp 130 can be controlled to output an optical signal indicating 'r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signated vehicle leaves a parking surface and is in an 'unparked (empty)' state,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The light emitting lamp 130 can be controlled to output an optical signal indicating 'green'.

나아가, 상기 발광제어모듈(154)은 주차인식모듈(153)을 통해 임의의 주차면에 외부차량이 입차하여 '주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주차면에 대응하는 상기 발광램프(130)가 '황색'을 나타내는 광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임의의 주차면에 차량이 '입차' 또는 주차면으로부터 차량이 '출차' 진행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주차면에 대응하는 상기 발광램프(130)가 '황색'으로 점멸되는 광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light emitting control module 154 determines that an external vehicle parks on an arbitrary parking surface through the parking recognition module 153 and is in a 'parking' state, the light emitting lamp 130 corresponding to the parking surface It can be controlled to output an optical signal indicating 'yellow',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entering' or 'leaving' from the parking surface, the light emitting lamp corresponding to the parking surface is in progress. 130 can be controlled to output an optical signal flickering in 'yellow'.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발광램프(130)의 작동위치는 곧, 주차이용자가 인지하고자 하는 주차면의 위치와 직결되므로, 상기 발광램프(130)의 개수와 상기 주차면의 개수가 동일해야함이 필수사항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lamps 130 is directly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parking surface that the parking user wants to recognize, it is essential that the number of the light emitting lamps 130 and the number of the parking surface be the same. It is a matter.

예컨대, 상기 카메라(120)의 개수당 1개의 상기 발광램프(130)가 1:1 대응 설치되는 구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광제어모듈(154)이 1개의 카메라(120') IP를 1개의 상기 발광램프(130') IP와 매칭시켜 상기 카메라(120')의 영상에 따라 상기 발광램프(13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n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in which one light emitting lamp 130 is installed per the number of cameras 120 in a 1:1 correspondence, the light emitting control module 154 assigns one camera 120' IP to one light emitting lamp 130. It can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lamp 130' according to the image of the camera 120' by matching the IP of the light emitting lamp 130'.

이를 위해 상기 발광제어모듈(154)은 복수개의 카메라(120) IP 및 복수개의 발광램프(130) IP를 포함한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To this e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IPs of the plurality of cameras 120 and IPs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lamps 130 may be stored in the light emitting control module 154 in advance.

반면, 도 4를 참조하여, 시스템의 원가 절감을 위해 상기 카메라(120)의 개수당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발광램프(130)가 1:1+N 설치되는 구조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1개의 카메라(120") IP를 적어도 2개 이상의 발광램프(130") IP와 매칭시켜야 하므로, 상기 주차인식모듈(153)이 카메라(120")로부터 획득한 영상에서 주차면과 관련된 ROI(관심영역)을 미리 구분 설정하여, 상기 구분된 관심영역 각각의 상기 주차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상기 발광제어모듈(154)은 상기 구분된 관심영역 각각에 상기 각각의 발광램프(130") IP를 매칭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4, in another embodiment of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light emitting lamps 130 are installed 1:1+N per number of cameras 120 to reduce system cost, one camera ( 120") IP must be matched with at least two light emitting lamps 130" IP, so the parking recognition module 153 determines the ROI (region of interest) related to the parking surface from the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120" in advance. Classification is set to determine whether each of the divided regions of interest is parked, and the light emitting control module 154 can be configured to match the IP of each of the light emitting lamps 130" to each of the divided regions of interest. there is.

상기 주차면 정보 생성모듈(155)은 이용자 단말(140)로부터 위치정보를 실시간 제공받아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130)의 작동결과를 기반으로 임의의 주차면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55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40 in real time and generating arbitrary parking surface information based on the operation result of the light emitting lamp 13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do.

여기서, 상기 주차면 정보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주차면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구역 범위 내의 만차여부, 주차가능대수, 공차면 주차좌표를 포함하는 주차현황에 대한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is data on the parking status including whether or not the parking surface is full within a preset area rang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park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number of available parking spaces, and the parking coordinates of the empty surface. it is desirable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상기 만차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주차면 정보 또는 상기 주차가능대수가 1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주차면 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만, 상기 주차면 정보를 이용자 단말(14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알고리즘은 상기 주차면 정보 생성모듈(155) 및 블루투스 통신모듈(151) 간의 유기적 작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when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not full or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available parking spaces is one or more is generated, the parking surface It can be configured to transmi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40, and this algorithm can be implemented as an organic action between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55 and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151.

상기 소프트웨어 관리모듈(156)은 제어부(150)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152), 주차인식모듈(153) 및 상기 발광제어모듈(154)을 포함한 상기 제어부(150)를 구성하는 모듈의 각 소프트웨어에 대한 버전을 관리하며,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가 실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oftware management module 156 is installed in the control unit 150, and each of the modules constituting the control unit 150 including the camera driving module 152, the parking recognition module 153, and the light emission control module 154 It manages the version of the software and performs the function to ensure that updates are carried out as needed.

상기 관리자 인증모듈(157)은 제어부(150)에 설치되어 상기 앱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170)로부터 임의의 관리자 인증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되는 인증정보를 미리 설정된 관리자 식별 데이터와 매칭시켜 관리자를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anager authentication module 157 is installed in the control unit 150, receives arbitrary manag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170 through the app, and matches the provid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 preset manager identification data to match the manager identification data. It can be configured to recognize.

여기서, 상기 관리자 인증정보는 관리자의 아이디(ID), 패스워드(PW) 등의 개인정보 또는 관리자의 생체정보 등 관리자임을 확인할 수 있는 관리자 고유정보를 의미한다.Here, the manag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fers to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 manager's ID and password (PW), or manager-specific information such as manager's biometric information to confirm that the manager is a manager.

상기 알림부(160)는 제어부(150)로부터 전송되는 주차면 정보를 임의의 화면 상에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의 시각적인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용자 단말(140)에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otification unit 160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50 in a visual form such as text or image on an arbitrary screen, preferably, to be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140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즉, 상기 알림부(160)는 스마트폰의 화면부가 적용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notification unit 160 may be applied to a screen unit of a smartphon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C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nd a 3D display.

상기 관리서버(170)는 제어부(150)와 통신하며, 상기 주차장의 상황을 모니터링 가능한 운용환경을 제공하는 단말장치로서, 상기 주차장에 카메라(120)와 별도로 설치되는 보안용 CCTV(미도시)를 통해 상기 주차장 내의 영상을 원격으로 모니터링 가능하게 구성된 관리자의 PC(170a) 또는 관리자의 스마트폰(170b)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앱 통신이 가능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단말기기의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170 is a terminal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unit 150 and provides an operating environment capable of monitoring the situation of the parking lot, and includes a security CCTV (not shown)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camera 120 in the parking lot. It is preferable to apply a manager's PC (170a) or manager's smartphone (170b) configured to remotely monitor the image in the parking lot through,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app communic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As a result, it may be possible to apply various terminal devices.

이러한 상기 관리서버(170)는 제어부(150)에 의해 안드로이드 기반의 앱이 생성될 경우,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제어부(150)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152)의 구동환경, 상기 주차인식모듈(153)의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환경, 상기 발광제어모듈(154)의 제어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및 변경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소프트웨어의 성능 개선으로 상기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필요 시에, 상기 소프트웨어 관리모듈(156)로 업데이트 요청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When an Android-based app is created by the controller 150, the management server 170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50 through the app, and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camera driving module 152 and the parking recognition At least one of the image processing program environment of the module 153 and the control environment of the light emission control module 154 may be set and changed, and when the software needs to be updated due to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software, the software The management module 156 may be configured to request an update.

또한, 상기 관리서버(170)는 앱의 IP, 상기 카메라(120)의 IP, 상기 발광램프(130)의 IP를 포함한 식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120)의 구동, 상기 발광램프(130)의 작동, 상기 본체(110)의 틸팅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원격제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170 may be provided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P of the app, the IP of the camera 120, and the IP of the light emitting lamp 130, based on which the driving of the camera 120,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lamp 130 and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110 may be remotely controlled.

상기 제어부(150)는 원격제어모듈(15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원격제어모듈(158)은 다양한 공지의 원격지원 프로그램(소프트웨어)이 적용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 module 158, and at this time, the remote control module 158 may be applied with various known remote support programs (software).

한편, 상기 관리서버(170)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제어부(150)로부터 주차인식모듈(153)에서 인식된 차량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관리자가 외부차량에 대하여 직접 단속을 수행할 수 있는 모니터링 환경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170 can receive data on the vehicle number recognized by the parking recognition module 153 from the control unit 150 through the app, and accordingly, the manager can Provides a monitoring environment that can directly enforce control over vehicles.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100)을 제어하는 방법은 도 5를 참조하여, 주차면 촬영단계(S100), 주차여부 판단단계(S200), 발광램프 작동 제어단계(S300), 위치정보 수신단계(S400), 주차면 정보 전송단계(S500) 및 알림부 디스플레이 단계(S6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Next,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100 using the Bluetooth beac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referred to FIG. 5, parking surface photographing step (S100), parking determination step (S200), light lamp operation control step ( S300),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S400), parking surfac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500) and notification unit display step (S600)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주차면 촬영단계(S100)에서는 카메라(120)가 주차장 내의 주차면을 실시간 촬영한다.In the parking surface photographing step (S100), the camera 120 photographs the parking surface in real time in the parking lot.

상기 주차여부 판단단계(S200)에서는 제어부(150)가 상기 주차면 촬영단계(S10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상기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여부를 판단한다.In the parking determination step (S200), the controller 150 obtains the image taken through the parking surface photographing step (S100) and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through image analysis.

상기 발광램프 작동 제어단계(S300)에서는 제어부(150)가 상기 주차여부 판단단계(S200)에서 판단된 주차여부에 따라 해당 주차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130)의 작동을 제어한다.In the light emitting lamp operation control step (S300),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lamp 130 corresponding to the parking surface according to the parking state determined in the parking state determination step (S200).

상기 위치정보 수신단계(S400)에서는 제어부(150)가 블루투스 비콘이 미리 탑재된 이용자 단말(140)과의 블루투스 방식의 연결여부를 판단(S410)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블루투스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차장 내에 이용자의 차량이 진입한 것으로 인식하며, 상기 이용자 단말(140)의 위치정보를 블루투스 방식으로 실시간 수신(S420)한다.I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S400),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S410) whether or not the Bluetooth beacon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40 equipped with the Bluetooth beacon in advance,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Bluetooth communication is possible. If it is determined, it is recognized that the user's vehicle has entered the parking lo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40 is received in real time in a Bluetooth manner (S420).

상기 주차면 정보 전송단계(S500)에서는 제어부(150)가 상기 위치정보 수신단계(S400)에서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130)의 작동결과를 기반으로 임의의 주차면 정보를 생성(S510)하고, 상기 생성된 주차면 정보를 다시 상기 이용자 단말(140)로 전송(S530)한다.In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500), the control unit 150 generates arbitrary parking surface information based on the operation result of the light emitting lamp 13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S400) (S510 ), and transmits the generated parking surfac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40 again (S530).

여기서, 상기 주차면 정보 전송단계(S500)에서는 제어부(150)가 상기 생성되는 주차면 정보에 따라 주차가능 여부를 판단(S520)하고, 상기 만차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주차면 정보 또는 상기 주차가능대수가 1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주차면 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만, 주차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주차면 정보를 이용자 단말(140)로 전송(S530)할 수 있다.Here, in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500),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whether or not parking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generated parking surface information (S520), and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not full or the number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ly when parking surface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one or more is generated, it is determined that parking is possible, and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40 (S530).

상기 알림부 디스플레이 단계(S600)에서는 알림부(160)가 상기 주차면 정보 전송단계(S500)를 통해 상기 제어부(150)로부터 전송되는 주차면 정보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In the notification unit display step (S600), the notification unit 160 visually displays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50 through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500) on an arbitrary scree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100) 및 이의 제어방법은 블루투스 비콘이 탑재된 이용자 단말(140)로부터 실시간 위치정보를 블루투스 방식으로 수신하면서 이용자 단말(140)의 앱이 서버에 접속할 필요없이 위치정보에 따른 주차면 정보를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이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한 제어부(150)의 구성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적응적인 주차관리 환경을 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차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100 using a Bluetooth beac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trol method is an app of the user terminal 140 while receiving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40 equipped with a Bluetooth beacon in a Bluetooth manner. It is possible to achieve a more efficient and adaptive parking management environment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150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parking su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it to the user without having to access the server, and accordingly,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만차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주차면 정보 또는 주차가능대수가 1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주차면 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만, 주차면 정보를 이용자 단말(140)로 전송하는 제어부(150)의 제한적인 알고리즘을 통해 보다 원활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환경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40 only when parking surface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non-full or parking surface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one or more parking spaces is generated ( 150) has the advantage of achieving a smoother and more efficient data processing environment through the limited algorithm.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의 일부 구성을 이루는 카메라(120)와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안드로이드 보드를 탑재한 제어부(150)가 카메라(120)에서 촬영되는 영상에 따라 발광램프(130)를 제어하면서 앱을 통해 관리서버(170)와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구성하여 종래의 양산된 스마트폰 개조 활용이 가능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시스템의 촬영기능에 대한 원가를 보다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보다 효율적인 주차장 관리환경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camera 120 and the controller 150 constituting a part of the smartphone, the control unit 150 equipped with an Android board is a light emitting lamp according to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20 ( 130), it is configured to share data with the management server 170 through the app while controlling the application, so that the conventional mass-produced smartphone can be remodeled and used, and accordingly, the cost of the system's shooting function can be further reduce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upport a more efficient parking lot management environment.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앱을 활용하는 제어부(150) 및 관리서버(170)를 통해 각 구성에 대한 소프트웨어 관리기능, 관리자 인증기능, 원격제어기능을 포함하여 보다 다양한 앱 기능을 자체적으로 구현 및 지원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 및 발광램프(130)가 블루투스 통신가능하도록 한 구성을 통해 관리서버(170)와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비상 상황에서도 구애받지 않고, 주차장 관리기능을 대체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신뢰도 높은 주차장 관리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150 and the management server 170 utilizing apps of the Android operating system, more various app functions, including software management functions for each configuration, administrator authentication function, and remote control function, are provided independently. It can be implemented and supported, and the control unit 150 and the light emitting lamp 130 perform the replacement of the parking lot management function regardless of emergency situations in which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170 is not achieved through a configuration in which Bluetooth communication is possible.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achieving a more reliable parking lot management fun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s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lement and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 way of combining each other.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citation relationship in the claims may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may be included as new claims by amendment after filing.

100 : 주차장 관리 시스템 110 : 본체
111 : 틸팅프레임 120 : 카메라
130 : 발광램프 140 : 이용자 단말
150 : 제어부 151 : 블루투스 통신모듈
152 : 카메라 구동모듈 153 : 주차인식모듈
154 : 발광제어모듈 155 : 주차면 정보 생성모듈
156 : 소프트웨어 관리모듈 157 : 관리자 인증모듈
158 : 원격제어모듈 160 : 알림부
170 : 관리서버 170a : 관리자 PC
170b : 관리자 스마트폰
100: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110: main body
111: tilting frame 120: camera
130: light emitting lamp 140: user terminal
150: control unit 151: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152: camera driving module 153: parking recognition module
154: light control module 155: parking surfac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56: software management module 157: manager authentication module
158: remote control module 160: notification unit
170: management server 170a: manager PC
170b: manager smartphone

Claims (13)

복수개의 주차면이 구비된 주차장 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주차면을 실시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주차면에 각각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광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발광램프;
상기 주차장 내에 진입하는 차량의 이용자가 소지하는 이용자 단말;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 상기 발광램프 및 상기 이용자 단말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상기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면서 상기 판단된 주차여부에 따라 해당 주차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위치정보를 실시간 제공받아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의 작동결과를 기반으로 임의의 주차면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주차면 정보를 다시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용자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주차면 정보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의 일부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발광램프는,
상호 간에 블루투스 방식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각각 구비된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용자 단말은,
블루투스 비콘이 미리 탑재된 스마트폰으로서, 상기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 통신모듈과 실시간 근거리 무선통신하면서 상기 제어부로 상기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A plurality of main bodies installed in a parking lot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a camera coupled to the main body to photograph the parking surface in real tim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lamp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parking surface, respectively, to output preset optical signals;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of a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amera, the light emitting lamp, and the user terminal, and acquires an image taken by the camera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through image analysis.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uminous lamp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parking is parked,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and generates arbitrary parking surface information based on the operation result of the luminous lamp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hen,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parking surfac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gain; and
Including a notification unit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and visually displaying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on an arbitrary screen,
The body, the camera and the control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phone,
The controller and the light emitting lam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respectively to enable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m,
The user terminal,
A smartphone equipped with a Bluetooth beacon in advance, wherein the Bluetooth beacon is used to continuously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while performing real-tim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a Bluetooth beac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면 정보는,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주차면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구역 범위 내의 만차여부, 주차가능대수, 공차면 주차좌표를 포함하는 주차현황에 대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a Bluetooth beac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ata on the parking status including whether or not the car is full within a pre-set area rang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park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number of available parking spaces, and the parking coordinates of the vacant surface.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만차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주차면 정보 또는 상기 주차가능대수가 1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주차면 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만,
상기 주차면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Only when parking surface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non-full or parking surface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one or more parking spaces is generat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a Bluetooth beac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transmit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안드로이드 보드가 탑재되어, 임의의 관리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앱 생성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a Bluetooth beacon, characterized in that an Android board is mounted and an app can be created for communication with an arbitrary management serv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키기 위한 카메라 구동모듈;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을 미리 저장된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상기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주차인식모듈;
상기 주차인식모듈을 통해 판단된 주차여부에 따라 해당 주차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발광제어모듈; 및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위치정보를 실시간 제공받아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의 작동결과를 기반으로 임의의 주차면 정보를 생성하는 주차면 정보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control unit,
a camera driving module for driving the camera;
A parking recognition module that obtains an image taken by the camera and analyzes the obtained image through a pre-stored image processing program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A light emitting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light emitting lamp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according to whether parking is determined through the parking recognition module; and
Parking lot using Bluetooth beac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rking surfac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and generating arbitrary parking surface information based on the operation result of the light emitting lamp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 상기 주차인식모듈 및 상기 발광제어모듈의 각 소프트웨어에 대한 버전을 관리하며,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가 실시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control unit,
Parking lot management using Bluetooth beac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oftware management module that manages versions of each software of the camera driving module, the parking recognition module, and the light emission control module, and allows updates to be performed as needed. syste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안드로이드 기반의 앱이 생성될 경우,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의 구동환경, 상기 주차인식모듈의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환경, 상기 발광제어모듈의 제어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및 변경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소프트웨어의 성능 개선으로 상기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필요 시에, 상기 소프트웨어 관리모듈로 업데이트 요청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management server,
When an Android-based app is created by the control unit,
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app, and is configured to set and change at least one of a driving environment of the camera driving module, an image processing program environment of the parking recognition module, and a control environment of the light emission control module. When the software needs to be updated due to performance improvement, 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a Bluetooth beac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request an update to the software management modu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앱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임의의 관리자 인증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되는 인증정보를 미리 설정된 관리자 식별 데이터와 매칭시켜 관리자를 인식하는 관리자 인증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control unit,
Receive arbitrary administrat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app,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a Bluetooth beac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anager authentication module for recognizing a manager by matching the provid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 preset manager identification data.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앱의 IP, 상기 카메라의 IP, 상기 발광램프의 IP를 포함한 식별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management server,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a Bluetooth beacon,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app and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P of the app, the IP of the camera, and the IP of the light emitting lamp.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구동, 상기 발광램프의 작동 중 적어도 하나를 원격제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The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app,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a Bluetooth beac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remotel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driving of the camera and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lamp.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인식모듈은,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나타내는 관심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차인식모듈에서 인식된 차량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The parking recognition module,
It is characterized by detecting a region of interest representing a vehicle number by analyzing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through analysis of the region of interest,
The management server,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a Bluetooth beacon,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app and receives data on the license plate number recognized by the parking recognition module.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a) 카메라가 주차장 내의 주차면을 실시간 촬영하는 단계;
b) 제어부가 상기 a)단계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상기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b)단계에서 판단된 주차여부에 따라 해당 주차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가 블루투스 비콘이 미리 탑재된 이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면, 상기 주차장 내에 이용자의 차량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블루투스 방식으로 실시간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제어부가 상기 d)단계에서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의 작동결과를 기반으로 임의의 주차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주차면 정보를 다시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알림부가 상기 e)단계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주차면 정보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As a control method of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a Bluetooth beacon,
a) real-time photographing of a parking surface in a parking lot by a camera;
b) determining, by a controller,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through image analysis by obtaining an image captured in step a);
c) controlling, by the control unit, the operation of a light emitting lamp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according to whether parking is determined in step b);
d) whe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equipped with a Bluetooth beacon in advance and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determining that the user's vehicle has entered the parking lot, and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in a Bluetooth manner;
e) generating, by the control unit, random parking surface information based on the operation result of the light emitting lamp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n step d),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arking surface information back to the user terminal; and
f) Control method of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a Bluetooth beacon comprising the step of visually displaying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step e) by the notification unit on an arbitrary scree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만차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주차면 정보 또는 상기 주차가능대수가 1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주차면 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만,
상기 제어부가 상기 주차면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2,
In step e),
Only when parking surface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non-full or parking surface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one or more parking spaces is generated,
Control method of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a Bluetooth beac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KR1020210164829A 2021-11-25 2021-11-25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bluetooth beac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300774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829A KR20230077499A (en) 2021-11-25 2021-11-25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bluetooth beac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829A KR20230077499A (en) 2021-11-25 2021-11-25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bluetooth beac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499A true KR20230077499A (en) 2023-06-01

Family

ID=8677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829A KR20230077499A (en) 2021-11-25 2021-11-25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bluetooth beac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749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752B1 (en) 2008-06-25 2010-09-02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rking lo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752B1 (en) 2008-06-25 2010-09-02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rking l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2176B2 (en) Vehicle lamp
KR101655839B1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fisheye lens camera and method thereof
US9997070B1 (en) Use of software configurable luminaire in parking application
AU2016256752B2 (en) Image sensor controlled lighting fixture
KR101737380B1 (en) Monitoring system using auto-lift, camera and detection device
US11792552B2 (en)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 luminaire
KR100956400B1 (en) Intelligent parking lot camera apparutus with multi functional image processing module an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US20120307137A1 (en) Lighting control module, video camera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2008059846A (en) Lighting device, lighting system, and lighting control method
KR101297759B1 (en) Ir led controlling apparatus for cctv and method thereof
US11557030B2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 combined image representing a position of sensor having defect and a vehicle
KR20230077498A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android-based smartphone camera
US20240179392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photograph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in
US20170102784A1 (en) Display system, projector,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 system
KR200455913Y1 (en) Multi-camera with illumination device
KR20230077499A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bluetooth beac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8147751A (en) Illumination system
KR101606726B1 (en) Wearable device and lighting systerm includes the wearable device
KR101303230B1 (en) Led security lamp having camera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633777B1 (en) Image photograping apparatus and park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CN108770146B (en) Multi-scene-change intelligent control lighting device
KR102258747B1 (en) Monitoring system which links a PTZ camera with external illuminators
KR20230007104A (en)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bluetooth full places light
KR20160025300A (en) Multifunctional security lights
KR20040062302A (en) Charge-coupled-device camera using infrar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