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7190A - Apparatus for shar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mobile app advertise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har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mobile app advertis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7190A
KR20230077190A KR1020210164185A KR20210164185A KR20230077190A KR 20230077190 A KR20230077190 A KR 20230077190A KR 1020210164185 A KR1020210164185 A KR 1020210164185A KR 20210164185 A KR20210164185 A KR 20210164185A KR 20230077190 A KR20230077190 A KR 20230077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identification code
user identification
content
vi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1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지선
Original Assignee
안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지선 filed Critical 안지선
Priority to KR1020210164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7190A/en
Publication of KR20230077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19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는 모바일 단말을 통한 광고 컨텐츠의 시청을 검출하는 광고 컨텐츠 시청 검출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코드를 획득하는 사용자 식별코드 획득부;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를 기초로 상기 광고 컨텐츠의 시청에 대한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를 NFT (Non-Fungible Token) 컨텐츠로 변환하여 사용자 식별코드별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광고 로그 데이터 기록부; 상기 변환된 NFT 컨텐츠를 기초로 전자 코인을 생성하고 상기 전자 코인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전자 코인 제공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shar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a mobile app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vertisement content view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viewing of advertisement content through a mobile terminal; a user identification code acquisition unit acquiring a user identification code for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Advertisement logs that collect advertisement viewing log data for viewing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code, convert the advertisement viewing log data into NFT (Non-Fungible Token) contents, and record them on the blockchain for each user identification code. data recorder; An electronic coin providing unit generating an electronic coin based on the converted NFT content and providing the electronic coin to the mobile terminal.

Description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APPARATUS FOR SHAR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MOBILE APP ADVERTISEMENT}Advertising information sharing device of mobile app advertisement

본 발명은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를 NFT (Non-Fungible Token) 컨텐츠로 변환하여 사용자 식별코드별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는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device for mobile app advertiseme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app advertisement that converts advertisement viewing log data into NFT (Non-Fungible Token) contents and records them on a blockchain by user identification code. It relates to an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device.

전통적인 광고 방법은 방송국이나 신문사에 광고를 게재하는 구조가 일반적이었지만, 이동통신 산업이 발전하면서 광고 플랫폼이나 모바일 앱 기반의 광고물을 광고 수단으로 선호하는 광고주들이 늘어나고 있다. 광고주들은 홍보하고자 하는 브랜드와 상품을 가능한 많이 노출하고 싶어하지만, 소비자들은 일상에서 너무 많은 광고에 노출되어 광고에 대한 피로가 누적되어 있고, 광고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혜택이 일부 무료서비스에 불과하여 광고에 대한 거부감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 블록체인과 광고가 결합된 블록체인 기반 탈 중앙화 광고 플랫폼이다. 블록체인 광고 플랫폼은 소비자 개개인에 맞는 광고를 선별하여 송출함으로써, 광고주는 플랫폼 사업자에게, 플랫폼 사업자는 개인 정보 공개를 동의한 소비자에게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단방향성에서 양방향성 광고 플랫폼으로 변화하게 되었다.The traditional advertising method was to place advertisements in broadcasting stations or newspapers, but as the mobile communication industry develops, more and more advertisers prefer advertising platforms or mobile app-based advertisements as advertising means. Advertisers want to expose the brands and products they want to promote as much as possible, but consumers are exposed to too many advertisements in their daily lives and accumulate fatigue from advertisements. A sense of rejection is formed. An alternative to this is a blockchain-based decentralized advertising platform that combines blockchain and advertising. The blockchain advertising platform has changed from a unidirectional to an interactive advertising platform by selecting and sending advertisements tailored to each individual consumer, advertisers providing platform operators and platform operators rewarding consumers who agree to disclose personal information.

이러한 블록체인 결합 광고 플랫폼 중 더 많은 혜택과 수익을 제공하는 광고를 선택해서 시청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광고 시청자에게는 수익이 얼마나 발생했는지에 대해 공유할 수 있고, 광고주는 광고 시청자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를 얻어 광고주와 광고 시청자 간의 신뢰도를 높이고,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확대되고 있다.More and more people are choosing and watching advertisements that provide more benefits and profits among these blockchain-combined advertising platforms. As a result, ad viewers can share how much revenue has been generated, and advertisers can provide an objective view of ad viewers. Demand for methods to increase reliability between advertisers and advertisement viewers by obtaining indicators and to create synergies is expanding.

한국공개특허 제2020-0030992호는 광고시청 보상용 포인트 또는 코인을 지급하는 앱에 의한 생산자와 매칭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앱에서 광고관리회사의 포인트 및 코인의 지급과 연계되어 생산자 또는 제휴 사이트를 연계할 수 있는 광고 서버 시스템, DB를 관리하는 DB서버, 웹을 관리하는 웹 서버 및 동영상 광고 등을 송출하는 광고/리서치 컨텐츠 서버, Point/Coint 관리 서버, 생산자 운영서버를 포함한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20-0030992 relates to a method of matching with a producer by an app that pays points or coins for rewarding viewing of advertisements. It includes an advertisement server system that can be linked, a DB server that manages the DB, a web server that manages the web, and an advertisement/research content server that transmits video advertisements, etc., a Point/Coint management server, and a producer operating server.

한국공개특허 제2020-0030992호 (2020.03.1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20-0030992 (2020.03.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를 NFT (Non-Fungible Token) 컨텐츠로 변환하여 사용자 식별코드별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는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device for mobile app advertisements that can convert advertisement viewing log data into NFT (Non-Fungible Token) contents and record them in a blockchain for each user identification c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 기반의 NFT 컨텐츠를 기초로 전자 코인을 생성하고 전자 코인을 모바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an electronic coin based on NFT content based on advertisement viewing log data and provide the electronic coin to a mobile terminal.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device for mobile app advertise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블록체인의 기록 과정에서 광고 컨텐츠의 광고주 서버에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를 제공하여 광고주 서버가 광고관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도록 하는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vertising information sharing device for mobile app advertising that provides the user identification code to the advertiser server of the advertising content in the process of recording in the block chain so that the advertiser server builds a user database interested in advertis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는 모바일 단말을 통한 광고 컨텐츠의 시청을 검출하는 광고 컨텐츠 시청 검출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코드를 획득하는 사용자 식별코드 획득부;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를 기초로 상기 광고 컨텐츠의 시청에 대한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를 NFT (Non-Fungible Token) 컨텐츠로 변환하여 사용자 식별코드별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광고 로그 데이터 기록부; 상기 변환된 NFT 컨텐츠를 기초로 전자 코인을 생성하고 상기 전자 코인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전자 코인 제공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shar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a mobile app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vertisement content view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viewing of advertisement content through a mobile terminal; a user identification code acquisition unit acquiring a user identification code for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Advertisement log data for view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collected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code, and the advertisement viewing log data is converted into NFT (Non-Fungible Token) contents and recorded on the blockchain for each user identification code. data recorder; An electronic coin providing unit generating an electronic coin based on the converted NFT content and providing the electronic coin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광고 로그 데이터 기록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식별코드 및 광고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 상기 광고 컨텐츠의 식별코드 및 광고유형과 상기 광고 컨텐츠의 시청 타임스탬프를 캡슐화 하여 상기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 별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광고 로그 데이터 기록부는 상기 블록체인의 기록 과정에서 상기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를 특정 단위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를 상기 NFT 컨텐츠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별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광고 로그 데이터 기록부는 상기 블록체인의 기록 과정에서 상기 광고 컨텐츠의 광고주 서버에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를 제공하여 상기 광고주 서버가 광고관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도록 할 수 있다.The advertisement log data recording unit determines the identification code and advertisement type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encapsulates the user identification code, the identification code and advertisement type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and the viewing timestamp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and records the advertisement viewing log data. It can be generated for each user identification code. The advertisement log data recording unit divides the advertisement viewing log data into specific units in the recording process of the block chain, converts the divided advertisement viewing log data into the NFT content, and records it in the blockchain for each user identification code. . The advertisement log data recording unit may provide the user identification code to the advertiser server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in the recording process of the block chain so that the advertiser server builds an advertisement interest user database.

상기 전자 코인 제공부는 상기 변환된 NFT 컨텐츠에 있는 광고 유형을 기초로 상기 전자 코인의 종류를 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electronic coin providing unit may determine and provide the type of the electronic coin based on the advertisement type in the converted NFT content.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는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를 NFT (Non-Fungible Token) 컨텐츠로 변환하여 사용자 식별코드별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shar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for mobile app advertise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vert advertisement viewing log data into Non-Fungible Token (NFT) contents and record them on a blockchain for each user identification c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는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 기반의 NFT 컨텐츠를 기초로 전자 코인을 생성하고 전자 코인을 모바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shar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a mobile app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an electronic coin based on NFT content based on advertisement viewing log data and provide the electronic coin to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는 블록체인의 기록 과정에서 광고 컨텐츠의 광고주 서버에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를 제공하여 광고주 서버가 광고관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도록 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shar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for mobile app advertise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r identification code to the advertiser server of advertisement content in the process of recording the block chain, so that the advertiser server builds a user database of advertisement intere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의 기능 구성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system for mobile app advertise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configuration of an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device for mobile app advertisements of FIG. 1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shar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a mobile app advertisement of FIG. 1 .
Figure 4 is a flow chart explain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device of the mobile app advertisement of Figure 1.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intervening elements exist.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refer to an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follow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than specifi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system for mobile app advertise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시스템(100)은 모바일 단말(110),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130), 광고주 서버(150) 및 광고관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ystem for shar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for mobile app advertisements 100 includes a mobile terminal 110, a device for shar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for mobile app advertisements 130, an advertiser server 150, and an advertisement interest user database 170. can include

모바일 단말(110)은 광고 컨텐츠의 시청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장치로서,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휴대용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웨어러블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10)은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110)은 광고 컨텐츠의 시청을 이용할 수 있는 전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10 is a device capable of viewing advertisement content,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or a portable compute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as a variety of devices such as wearable devices. The mobile terminal 110 may be connected to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device 130 of the mobile app advertisement through a network, and the mobile terminal 110 may install and execute a dedicated program or application capable of viewing advertisement contents.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130)는 모바일 단말(110)의 사용자에게 모바일 앱 광고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130)는 모바일 단말(110)과 연관된 사용자별 블록체인의 관리 및 전자 코인의 발행을 수행할 수 있다.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device 130 for mobile app advertisements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or server capable of providing mobile app advertisement content services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10 . In addition,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device 130 for mobile app advertisements may perform management of blockchain for each user associated with the mobile terminal 110 and issuance of electronic coins.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130)는 모바일 단말(11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단말(1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device 130 of the mobile app advertisement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10 through a wired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such as Bluetooth or WiFi, and may transmit/receive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110 through the network.

광고주 서버(150)는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130)에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광고주 서버(150)는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130)와 유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1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advertiser server 15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or server capable of generating advertising content and providing the advertising content to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device 130 for mobile app advertisements. The advertiser server 150 may be connected to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device 130 of the mobile app advertisement through a wired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such as Bluetooth or WiFi, and transmits data to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device 130 of the mobile app advertisement through the network. can transmit and receive.

광고관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70)는 광고주 서버(150)에 의해 구축될 수 있고, 사용자별 관심 모바일 앱 광고에 대한 광고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advertisement interest user database 170 may be constructed by the advertiser server 150 and may store advertisement information about mobile app advertisements of interest for each user.

도 2는 도 1의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configuration of an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device for mobile app advertisements of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an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device 130 for mobile app advertisements may include a processor 210 , a memory 230 , a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

프로세서(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 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execute a procedure for shar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a mobile app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age the memory 230 read or written in this process, and store volatile information in the memory 230. Synchronization time between memory and non-volatile memory can be scheduled. The processor 21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device 130 for mobile app advertisements,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230,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so that there is no communication between them. You can control the data flow. The processor 210 may be implement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device 130 for mobile app advertisements.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들의 집합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230 is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solid state disk (SSD) or a hard disk drive (HDD) and is used as a secondary storage device used to store all data necessary for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device 130 of a mobile app advertisement. It may include, and may include a main memory implemented as a volatile memory such as RAM (Random Access Memory). In addition, the memory 230 may store a set of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learning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being executed by the electrically connected processor 210 .

사용자 입출력부(25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은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130)는 독립적인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includes an environment for receiving a user input and an environment for outputt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user, and includes an adapter such as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 on-screen keyboard, or a pointing device. It may include devices and output devices including adapters such as monitors or touch screens. In one embodiment,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remote connection, and in such a case,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device 130 of a mobile app advertisement may be performed as an independent server.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되기 위한 통신 환경을 제공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는 학습 데이터의 무선 전송을 위해 WiFi,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 기능이나 4G 이상의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provide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a network, and includes, for exampl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n adapter for communication such as a Value Added Network (VAN)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may be implemented to provi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WiFi or Bluetooth or a 4G or higher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learning data.

도 3은 도 1의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shar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a mobile app advertisement of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130)는 광고 컨텐츠 시청 검출부(310), 사용자 식별코드 획득부(320), 광고 로그 데이터 기록부(330), 전자 코인 제공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evice for shar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mobile app advertisements 130 includes an advertisement content viewing detection unit 310, a user identification code acquisition unit 320, an advertisement log data recording unit 330, and an electronic coin providing unit 340. And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350.

광고 컨텐츠 시청 검출부(310)는 모바일 단말(110)을 통한 광고 컨텐츠의 시청을 검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광고 컨텐츠 시청 검출부(310)는 모바일 단말(110)의 화면에서 포그라운드 프로세스로서 수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있는 모바일 앱 광고 컨텐츠를 검출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기반의 고유식별코드로서 구별될 수 있다.The advertising content viewing detection unit 310 detects viewing of advertising conten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10 . In one embodiment, the advertising content viewing detection unit 310 may detect mobile app advertising content in an application being executed as a foreground process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10 . Advertising content can be identified a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based on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사용자 식별코드 획득부(320)는 모바일 단말(110)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식별코드 획득부(320)는 모바일 단말(110)에 등록된 이메일 주소와 같은 로그인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 식별코드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식별코드 획득부(320)는 모바일 단말(110)을 통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식별코드를 식별할 수 있다.The user identification code acquisition unit 320 may obtain a user identification code for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10 . In one embodiment, the user identification code acquisition unit 320 may identify the user identification code by utilizing login information such as an e-mail address registered in the mobile terminal 110 . In another embodiment, the user identification code acquisition unit 320 may identify a user identification code based on user information pre-register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10 .

광고 로그 데이터 기록부(330)는 사용자 식별코드를 기초로 광고 컨텐츠의 시청에 대한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를 수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 로그 데이터 기록부(330)는 광고 컨텐츠의 식별코드 및 광고유형을 결정하고, 사용자 식별코드, 광고 컨텐츠의 식별코드 및 광고유형과 광고 컨텐츠의 시청 타임스탬프를 캡슐화 하여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를 사용자 식별코드 별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컨텐츠의 식별코드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거나 또는 광고주 서버(150)에 의해 고유적으로 지정될 수 있다. 광고 유형은 광고 컨텐츠와 연관된 파일에 메타데이터로서 저장될 수 있고, 광고주 서버(15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캡슐화는 사용자 식별코드, 광고 컨텐츠의 식별코드, 광고 컨텐츠의 광고유형과 광고 컨텐츠의 시청 타임스탬프를 하나의 데이터 블록으로 패키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advertisement log data recording unit 330 collects advertisement viewing log data regarding viewing of advertisement contents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code. More specifically, the advertisement log data recording unit 330 determines the advertisement content identification code and advertisement type, and encapsulates the user identification code, the advertisement content identification code, and the advertisement type and viewing timestamp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to obtain advertisement viewing log data. can be generated for each user identification code. For example, an identification code of advertising content may be generated based on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or may be uniquely designated by the advertiser server 150 . The advertisement type may be stored as metadata in a file associated with advertisement content and may be determined by the advertiser server 150 . Encapsulation may mean packaging a user identification code, an identification code of advertisement contents, an advertisement type of advertisement contents, and a viewing timestamp of advertisement contents into one data block.

광고 로그 데이터 기록부(330)는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를 NFT (Non-Fungible Token) 컨텐츠로 변환하여 사용자 식별코드별 블록체인에 기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 로그 데이터 기록부(330)는 블록체인의 기록 과정에서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를 특정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광고 로그 데이터 기록부(330)는 분할된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를 NFT 컨텐츠로 변환하여 사용자 식별코드별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즉, 광고 로그 데이터 기록부(330)는 사용자 별로 블록체인을 유지하여 복수의 블록체인들을 관리할 수 있다.The advertisement log data recording unit 330 converts the advertisement viewing log data into Non-Fungible Token (NFT) contents and records them in the blockchain for each user identification code. More specifically, the advertisement log data recording unit 330 may divide advertisement viewing log data into specific units in the recording process of the blockchain. Next, the advertisement log data recording unit 330 may convert the divided advertisement viewing log data into NFT contents and record them in the blockchain for each user identification code. That is, the advertisement log data recording unit 330 may manage a plurality of blockchains by maintaining a blockchain for each user.

광고 로그 데이터 기록부(330)는 블록체인의 기록 과정에서 광고 컨텐츠의 광고주 서버(150)에 사용자 식별코드를 제공하고, 광고주 서버(150)로 하여금 광고관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70)를 구축하도록 할 수 있다.The advertisement log data recording unit 330 may provide a user identification code to the advertiser server 150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during the recording process of the block chain, and allow the advertiser server 150 to build the advertisement interest user database 170. .

전자 코인 제공부(340)는 변환된 NFT 컨텐츠를 기초로 전자 코인을 생성하고 전자 코인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한다. 여기에서, 전자 코인은 광고주 서버(150)에 의해 구축된 전자 쇼핑몰 등에 의해 활용될 수 있다. 또는 전자 코인은 광고주 서버(150)의 승인 하에 현금으로 교환될 수 있다.The electronic coin providing unit 340 generates an electronic coin based on the converted NFT content and provides the electronic coin to the mobile terminal. Here, the electronic coin may be utilized by an electronic shopping mall or the like built by the advertiser server 150 . Alternatively, the electronic coin may be exchanged for cash under the approval of the advertiser server 150 .

제어부(350)는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광고 컨텐츠 시청 검출부(310), 사용자 식별코드 획득부(320), 광고 로그 데이터 기록부(330) 및 전자 코인 제공부(34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device 130 for mobile app advertisements, and includes the advertisement content viewing detection unit 310, the user identification code acquisition unit 320, the advertisement log data recording unit 330, and the electronic coin. Control flow or data flow between providers 340 may be managed.

도 4는 도 1의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의 기능 구성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Figure 4 is a flow chart explain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device of the mobile app advertisement of Figure 1.

도 4에서, 광고 컨텐츠 시청 검출부(310)는 모바일 단말(110)을 통한 광고 컨텐츠의 시청을 검출한다(S410).In FIG. 4 , the advertising content viewing detection unit 310 detects viewing of advertising conten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10 (S410).

사용자 식별코드 획득부(320)는 모바일 단말(110)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코드를 획득한다(S420).The user identification code acquisition unit 320 obtains a user identification code for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10 (S420).

광고 로그 데이터 기록부(330)는 사용자 식별코드를 기초로 광고 컨텐츠의 시청에 대한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고,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를 NFT (Non-Fungible Token) 컨텐츠로 변환하여 사용자 식별코드별 블록체인에 기록한다(S430).The advertisement log data recording unit 330 collects advertisement viewing log data for viewing of advertisement contents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code, converts the advertisement viewing log data into NFT (Non-Fungible Token) contents, and creates a block chain for each user identification code. It is recorded in (S430).

전자 코인 제공부(340)는 변환된 NFT 컨텐츠를 기초로 전자 코인을 생성하고 전자 코인을 모바일 단말(110)에 제공한다(S440).The electronic coin providing unit 340 generates an electronic coin based on the converted NFT content and provides the electronic coin to the mobile terminal 110 (S44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시스템
130 :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
310 : 광고 컨텐츠 시청 검출부
320 : 사용자 식별코드 획득부
330 : 광고 로그 데이터 기록부
340 : 전자 코인 제공부
350 : 제어부
100: Advertising information sharing system for mobile app advertising
130: Advertising information sharing device for mobile app advertisement
310: advertising content viewing detection unit
320: user identification code acquisition unit
330: advertisement log data record unit
340: electronic coin providing unit
350: control unit

Claims (5)

모바일 단말을 통한 광고 컨텐츠의 시청을 검출하는 광고 컨텐츠 시청 검출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코드를 획득하는 사용자 식별코드 획득부;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를 기초로 상기 광고 컨텐츠의 시청에 대한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를 NFT (Non-Fungible Token) 컨텐츠로 변환하여 사용자 식별코드별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광고 로그 데이터 기록부;
상기 변환된 NFT 컨텐츠를 기초로 전자 코인을 생성하고 상기 전자 코인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전자 코인 제공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
an advertising content view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viewing of advertising content through a mobile terminal;
a user identification code acquisition unit acquiring a user identification code for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Advertisement log data for view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collected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code, and the advertisement viewing log data is converted into NFT (Non-Fungible Token) contents and recorded on the blockchain for each user identification code. data recorder;
Advertising information sharing device for mobile app advertisements including an electronic coin providing unit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coin based on the converted NFT content and providing the electronic coin to the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로그 데이터 기록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식별코드 및 광고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 상기 광고 컨텐츠의 식별코드 및 광고유형과 상기 광고 컨텐츠의 시청 타임스탬프를 캡슐화 하여 상기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 별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dvertisement log data recording unit
Determines the identification code and advertisement type of the advertising content, encapsulates the user identification code, the identification code and advertisement type of the advertising content, and the viewing timestamp of the advertising content to generate the advertisement viewing log data for each user identification code Advertising information sharing device for mobile app advertising, characterized in that f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로그 데이터 기록부는
상기 블록체인의 기록 과정에서 상기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를 특정 단위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광고시청 로그 데이터를 상기 NFT 컨텐츠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별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dvertisement log data recording unit
In the recording process of the blockchain, the advertisement viewing log data is divided into specific units, and the divided advertisement viewing log data is converted into the NFT content and recorded in the blockchain for each user identification code. Advertising information sharing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로그 데이터 기록부는
상기 블록체인의 기록 과정에서 상기 광고 컨텐츠의 광고주 서버에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를 제공하여 상기 광고주 서버가 광고관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dvertisement log data recording unit
In the recording process of the block chain, the user identification code is provided to the advertiser server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so that the advertiser server builds a user database interested in advertis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코인 제공부는
상기 변환된 NFT 컨텐츠에 있는 광고 유형을 기초로 상기 전자 코인의 종류를 결정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 광고의 광고정보 공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lectronic coin providing unit
Advertising information sharing device for mobile app advertising,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and providing the type of the electronic coin based on the type of advertisement in the converted NFT content.

KR1020210164185A 2021-11-25 2021-11-25 Apparatus for shar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mobile app advertisement KR2023007719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185A KR20230077190A (en) 2021-11-25 2021-11-25 Apparatus for shar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mobile app advertis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185A KR20230077190A (en) 2021-11-25 2021-11-25 Apparatus for shar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mobile app advertis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190A true KR20230077190A (en) 2023-06-01

Family

ID=86771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185A KR20230077190A (en) 2021-11-25 2021-11-25 Apparatus for shar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mobile app advertis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719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992A (en) 2018-09-13 2020-03-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Watertight doors with curtain modules to prevent smoke spread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992A (en) 2018-09-13 2020-03-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Watertight doors with curtain modules to prevent smoke sprea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88277B (en) For monitoring the method and apparatus of media presentation
JP5819456B2 (en) Content syndication in web-based media via ad tags
US10055783B1 (en) Identifying objects in video
US9189792B2 (en) System and methods for monitoring devices, systems, users, and user activity at remote locations
CA2875218C (en) Methods and apparatus to monitor media presentations
US8751287B1 (en) Generating item recommendations
CN107079183B (en) Television audience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Trappey et al. Consumer driven product technology function deployment using social media and patent mining
Fulgoni et al. The power of political advertising: Lessons for practitioners: How data analytics, social media, and creative strategies shape US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s
US9753988B1 (en) Computer processes for predicting media item popularity
CN101317191A (en) Selective advertisement display for multimedia content
JP2009181468A (en) Image search log collection system, image search log collection method and program
JP2019532378A (en) Single-source cross-platform media measurement apparatus, device, and related method
JP52431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001258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tively Programming Aggregated Media On-Demand Networks
CN101685518A (en) Multi-media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feedback system of integral performance evaluation
US20160042362A1 (en) Recording purchase behavior using device with multiple feedback and input modalities
JP524313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020099629A1 (en) Scheme for presenting recommended items through network using client preference estimating factor information
KR1023883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ersonalized content based on device independent re-grab
KR20230077190A (en) Apparatus for shar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mobile app advertisement
US201002503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izing online content
US11589125B2 (en) Dynamic content generation
KR20220005901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rand information generation service
KR102371028B1 (en) Device independent re-grab based integrated conten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