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7124A -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7124A
KR20230077124A KR1020210164051A KR20210164051A KR20230077124A KR 20230077124 A KR20230077124 A KR 20230077124A KR 1020210164051 A KR1020210164051 A KR 1020210164051A KR 20210164051 A KR20210164051 A KR 20210164051A KR 20230077124 A KR20230077124 A KR 20230077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reinforcement panel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0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순전
석원균
전현수
김영선
Original Assignee
롯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4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7124A/en
Publication of KR20230077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12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s
    • E04H9/06Structures arranged in or forming part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에 중공층이 형성되도록 방폭용 보강 패널을 설치하여 신축 건축물은 물론 기존 건축물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폭발 에너지의 충격력을 감소시켜 방폭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방폭용 보강 패널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W)에 시공되는 방폭용 보강 패널 설치 구조로서, 일단은 벽면(w)에 매립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벽면(w)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단부(21)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 볼트(20); 가장자리에 2개 이상의 통공(11)이 형성된 보강 패널(10); 및 상기 단부(21)에 체결되는 너트(30);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21)는 상기 통공(11)을 관통하여 상기 보강 패널(10)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보강 패널(10)은 상기 벽면(W)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벽면(W)과 보강 패널(10)의 사이에 중공층(40)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너트(30)를 상기 단부(21)에 체결하여 상기 보강 패널(10)이 벽면에 거치·고정되도록 구성된 방폭용 보강 패널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n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so that a hollow layer is formed on the wall of a building,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existing buildings as well as new buildings, and the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configured to improve explosion-proof performance by reducing the impact force of explosion energy It's about rescu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constructed on the wall (W) of a building, one end is embedded in the wall (w) and the other e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wall (w) and extends to the end (21) a threaded fixing bolt 20; A reinforcing panel 10 having two or more through holes 11 formed at an edge thereof; and a nut 30 fastened to the end 21, wherein the end 21 penetrates the through hole 11 and protrudes forward of the reinforcing panel 10, and the reinforcing panel 10 is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W) at equal intervals and disposed such that a hollow layer 40 is formed between the wall surface (W) and the reinforcing panel 10, and the nut 30 is fastened to the end portion 21 To provide an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in which the reinforcement panel 10 is mounted and fixed on a wall surface.

Description

방폭용 보강 패널 설치 구조{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installation structure}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에 중공층이 형성되도록 방폭용 보강 패널을 설치하여 신축 건축물은 물론 기존 건축물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폭발 에너지의 충격력을 감소시켜 방폭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방폭용 보강 패널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n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so that a hollow layer is formed on the wall of a building,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existing buildings as well as new buildings, and the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configured to improve explosion-proof performance by reducing the impact force of explosion energy It's about rescue.

탄환 또는 포탄 파편, 차량 충돌 등의 직접적인 충격 사고와 더불어 폭탄테러, 가스폭발 등에 의한 폭발사고는 건축 구조물의 붕괴와 같은 대형 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폭발사고는 일상생활에서도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고, 플랜트 시설물이나 원전시설물 등 각종 위험 시설물의 증가와 유기계 내장재의 사용으로 인하여 그 손상과 피해 규모 역시 대형화 되는 추세이다. 폭발에 의한 피해 규모와 빈도는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규모나 빈도와 비교하여 무시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In addition to direct impact accidents such as bullets or shell fragments and vehicle collisions, explosions caused by bombings and gas explosions can cause large-scale accidents such as collapse of building structur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uch an explosion accident may occur in everyday life, and the damage and scale of damage are also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various hazardous facilities such as plant facilities and nuclear power facilities and the use of organic interior materials. The scale and frequency of damage caused by explosions have reached a level that cannot be ignored compared to the scale and frequency of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이에, 콘크리트 재료의 방폭성능에 대한 향상 기법 및 평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방폭'이란 폭발의 효과를 무력화시키는 방법을 뜻하며, 방폭구조물은 구조를 강화함으로써 폭발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한 구조물이다. 폭발 후 비산물과 잔해로부터 인명과 자산을 보호하고, 건물을 지탱하며 건물 내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폭설계는 군사시설이나 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국가 핵심시설, 위험물을 보관한 산업시설 등 특수시설에 적용된다. 도심지에 위치한 아파트, 빌딩 등은 방폭사고에 대한 대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주거용 건축물은 화재 진압용 설비를 갖추고 내연소재 등의 시공을 통하여 방화, 방염에 대한 대비책은 마련하고 있으나, 방폭설비나 방폭구조를 적용한 경우는 거의 없고, 이에 대한 필요성이나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Therefore, the need for research on improvement techniques and evaluation of the explosion-proof performance of concrete materials is increasing, and research on this is in progress. 'Explosion-proof' means a method of neutralizing the effect of an explosion, and an explosion-proof structure is a structure that minimizes damage caused by an explosion by reinforcing the structure. Its purpose is to protect life and assets from flying debris and debris after an explosion, support the building, and secure time for people inside the building to evacuate. Explosion-proof design is applied to special facilities such as military facilities, national core facilities such as nuclear power plants, and industrial facilities that store hazardous materials. Apartments and buildings located in urban areas are rarely prepared for explosion-proof accidents. Residential buildings are equipped with fire suppression equipment and prepare measures against fire and flame retardation through the construction of combustion retardant materials, but there are few cases where explosion-proof equipment or explosion-proof structures are applied, and the need for and research on this is insignificant.

그러나, 최근 친환경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전기차 및 수소차의 점유율이 증가함에 따라, 도심지 특히 일반 주거지에서의 폭발 사고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However, as the share of electric vehicles and hydrogen vehicles that use eco-friendly energy as a power source increases recently, the risk of explosion accidents in urban areas, particularly in general residential areas, increases.

친환경 자동차는 전기 충전용 대용량 배터리를 사용함에 따라 주차중 차량내 배터리나 폐배터리를 적재해둔 창고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하고, 기존 주유소와는 달리 전기, 수소전용 충전소는 도심지나 주거지의 주차장과 같이 주거 밀집지역에 근접하여 설치되므로 폭발사고가 발생할 경우 심각한 인명피해가 예상된다.As eco-friendly cars use large-capacity batteries for electric charging, the possibility of an explosion accident increases in the warehouse where batteries or waste batteries are stored while parked. Since it is installed close to densely populated residential areas, serious casualties are expected in the event of an explosion.

최근 전기차에 내장된 리튬이온 배터리의 폭파 사고에 의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노르웨이 Uno-X station 수소 충전소 폭발 사고와 강릉 수소탱크 폭발사고의 사례와 같이 수소탱크의 폭발 사고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Recently, damage caused by explosion accidents of lithium-ion batteries built into electric vehicles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concerns about explosion accidents of hydrogen tanks are increasing, such as the cases of explosion accidents at hydrogen charging stations in Norway Uno-X station and explosion accidents in Gangneung hydrogen tanks. there is.

폭발이 발생할 경우, 폭발에 의한 열과 충격이 전달되는데 정적하중을 산정하여 시공된 큰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폭발에 의하여 발생하는 극단하중을 받게되면 국부적인 파괴거동이 발생하게 된다.When an explosion occurs, heat and shock due to the explosion are transmitted. In the case of a large concrete structure constructed by calculating a static load, a local failure behavior occurs when an extreme load generated by an explosion is received.

도심지나 주거지의 주차장에서 갑작스럽게 폭발사고가 발생할 경우 건축 구조물은 미소시간에 발생하는 극한하중에 의하여 파괴되고, 심각할 경우 전체 구조물이 붕괴되어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폭발 충격에 의하여 파괴된 건축물에서 고속으로 비산되는 파편에 의하여 추가적인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When an explosion accident suddenly occurs in an urban area or a parking lot in a residential area, the building structure is destroyed by the extreme load generated in a minute, and in serious cases, the entire structure collapses, resulting in large-scale human casualties. In addition, additional human life and property damage may occur due to fragments scattered at high speed from buildings destroyed by the impact of the explosion.

최근에는 폭발의 위험이 있는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벽체의 두께 및 철근의 배근간격을 조절하는 방안을 사용하고 있으며, 보강 대상 구조물을 25~30 ㎝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 방폭벽으로 시공하고, 구조물을 보강할 경우 10~20 cm 이상의 철근콘크리트 부재 또는 철판 부재를 덧대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벽체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식은 구조체의 하중을 증가시켜 건축물의 설치높이가 제한되며 활용공간이 줄어들고, 공사비용이 과도하게 증가하게 되어 비효율적이다. 그리고, 상기 기준은 일반적인 저압 폭발에 대한 방폭기준으로 은행시설의 벙커 또는 군사시설과 같이 고압 폭발에 대한 방폭기준의 경우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벽두께 1 m 내외까지 방폭벽을 시공하여 수소 충전소의 폭발과 같은 고압 폭발에 대한 방폭기준을 일반 주거용 건축물에 적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Recently, in order to protect facilities with a risk of explosion, a method of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wall and the spacing of reinforcing bars is being used, and the structure to be reinforced is constructed as a reinforced concrete explosion-proof wall of 25 to 30 cm or more, and the structure is When reinforcing, a method of adding reinforced concrete members or steel plate members with a thickness of 10 to 20 cm or more is adopted. However,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wall increases the load of the structure, limits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building, reduces the usable space, and excessively increases the construction cost, which is inefficient. In addition, the above standards are explosion-proof standards for general low-pressure explosions. In the case of explosion-proof standards for high-pressure explosions such as bunkers in bank facilities or military facilities, explosion-proof walls are constructed with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up to a wall thickness of around 1 m to prevent explosions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same explosion-proof standards for high-pressure explosions to general residential buildings.

위와 같이 고압 폭발에 대응하기 위하여 충전소의 예상 폭발 반경에 속하는 기존 건축물의 벽체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식을 적용할 경우, 벽체 두께 증가를 위한 추가적인 공간의 확보가 어렵고 오히려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 건축물에 하중 증가로 인한 구조체의 변형 발생 우려가 있어 기존 건축물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법은 실제로 적용하기 어렵다.As described above, in case of applying a method of increasing the wall thickness of an existing building belonging to the expected explosion radius of a charging station in order to respond to a high-pressure explosion, it is difficult to secure additional space for increasing the wall thickness, and rather, as the load increases, the load on the existing building It is difficult to actually apply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thickness of an existing building because there is a risk of deformation of the structure due to the increase.

따라서, 방폭용 보강 패널의 설치 구조로서, 벽체의 두께 및 하중의 증가량을 최소화하면서 폭발압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방폭 성능을 가지고, 관통 저항성능이 우수하여 폭발에 의한 직접 타격에 대하여 구조체를 보호하며, 기존 건축물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폭용 보강 패널 설치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as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n explosion-proof reinforcing panel, it has an explosion-proof performance that effectively absorbs the explosion pressure while minimizing the increase in the thickness and load of the wall, and has excellent penetration resistance performance to protect the structure from a direct hit by an explosion, There is a need for an explosion-proof reinforcing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existing buildings.

또한, 방폭 보강용 구조물은 구조설계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재료의 추가 등으로 시공비용이 상승하므로 주거지역의 구조물에 시공할 경우 전체적인 공사비를 상승시킬 우려가 있다. 군부대의 탄약실과 같은 특수목적의 시설이 아닌 일반 주거지역의 건축물을 보강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면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경제성까지 갖춘 방폭 패널 설치 구조의 개발이 요구된다. In addition, since the explosion-proof reinforcing structure not only has a complicated structural design but also increases construction cost due to the addition of materials, there is a concern that the overall construction cost will increase when it is constructed in a structure in a residential area. Economical aspect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reinforcing buildings in general residential areas, not special purpose facilities such as ammunition rooms in military bases. Therefor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install, so the explosion-proof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has economic feasibility that can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development is required.

이에 관련된 특허로는, 등록특허 10-0945204 "복합섬유를 이용한 초고인성 방폭 시멘트 복합체"가 있다. 해당 특허는 시멘트에 강섬유를 혼합하여 시멘트 매트릭스의 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시멘트 구조물의 내충격성과 방폭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만, 해당 특허는 시멘트 매트릭스 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건물이 새로 축조될 경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나 이미 완공된 기설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항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기설 건축물을 철거한 후 해당 발명을 적용한 시멘트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는 시간·비용적 부담이 크다.As a related patent, there is Registered Patent No. 10-0945204 "Ultra-high toughness explosion-proof cement composite using composite fibers". The patent is designed to improve the impact resistance and explosion-proof performance of cement structures by improving the toughness of the cement matrix by mixing steel fibers with cement. However, the patent can be usefully used when a building is newly constructed by improving the toughness of the cement matrix, but specific details applicable to already completed existing buildings are not presented. After demolishing the existing building, cement to which the invention is applied may be used, but this is time consuming and costly.

그 외, 등록번호 10-1605691 "내충격 및 방폭 강화용 초고성능 시멘트 조성물" 또한 복합섬유를 이용한 시멘트 복합체에 관한 기술로, 새로 건설하는 건축물의 방폭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기설 건축물에 대한 보강방법은 별도로 제시되어 있지 않다.In addition, Registration No. 10-1605691 "Ultra high-performance cement composition for impact resistance and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is also a technology related to cement composites using composite fibers, which can improve the explosion-proof performance of newly constructed buildings, but a reinforcement method for existing buildings is not presented separately.

등록번호 10-1250903 "알루미늄 폼 패널과 콘크리트판의 합성 방폭벽체, 그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폭구조물"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외피재의 사이에 알루미늄 발포체가 충진되어 있는 두께를 가지는 알루미늄 폼 패널의 일측에 콘크리트판을 일체로 합성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상기 언급된 두 기술과는 다르게 구성되었다. 다만, 마찬가지로 기설 건축물에 대한 보강방법은 별도로 제시되어 있지 않다.Registration No. 10-1250903 "Composite explosion-proof wall of aluminum foam panel and concrete plate, its construction method, and explosion-p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is one side of an aluminum foam panel having a thickness in which aluminum foam is filled between outer covering materials disposed at intervals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crete plate is integrally synthesized, so it is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two technologies mentioned above. However, similarly, reinforcement methods for existing buildings are not separately suggested.

상기와 같은 이유로 기설 건축물의 철거, 재건축의 과정 없이, 구조물을 보강하는 것으로 방폭기능을 향상시키는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For the above reasons,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structure that improves the explosion-proof function by reinforcing the structure without demolition or reconstruction of the existing building.

1. 등록번호 10-0945204 "복합섬유를 이용한 초고인성 방폭 시멘트 복합체"1. Registration No. 10-0945204 "Ultra-toughness explosion-proof cement composite using composite fibers" 2. 등록번호 10-1605691 "내충격 및 방폭 강화용 초고성능 시멘트 조성물"2. Registration No. 10-1605691 "Ultra high performance cement composition for impact resistance and explosion proof reinforcement" 3. 등록번호 10-1250903 "알루미늄 폼 패널과 콘크리트판의 합성 방폭벽체, 그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폭구조물"3. Registration No. 10-1250903 "Composite explosion-proof wall of aluminum foam panel and concrete plate, its construction method and explosion-proof structure using it"

본 발명은 기설 건축물을 해체하거나 보수하지 않고, 기설 건축물의 외벽에 방폭용 보강 패널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방폭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기설 건축물의 구조에 관계없이 중공층이 형성되도록 보강 패널을 설치하는 구조를 적용하여 건축물에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소산시켜 충격력의 전달을 억제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방폭용 보강 패널 설치 구조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a reinforcement panel is installed such that a hollow layer is formed regardless of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building by improving the explosion-proof performance by simply installing the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on the outer wall of the existing building without dismantling or repairing the existing building. The purpose is to develop an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configured to suppress the transmission of impact force by dissipating the impact energy transmitted to the building by applying

전술한 과제 해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에 시공되는 방폭용 보강 패널 설치 구조로서, 일단은 벽면에 매립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벽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 볼트; 가장자리에 2개 이상의 통공이 형성된 보강 패널; 및 상기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는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보강 패널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보강 패널은 상기 벽면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벽면과 보강 패널의 사이에 중공층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너트를 상기 단부에 체결하여 상기 보강 패널이 벽면에 거치·고정되도록 구성된 방폭용 보강 패널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constructed on the wall of a building, one end embedded in the wall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forward from the wall, a fixing bolt having a screw thread at the end; Reinforcing panels with two or more through holes formed at the edges; and a nut fastened to the end portion, wherein the end portion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protrudes forward of the reinforcing panel, and the reinforcing panel is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at equal intervals so as to form a hollow space between the wall surface and the reinforcing panel. It provides an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configured so that a layer is formed and the reinforcement panel is mounted and fixed to a wall surface by fastening the nut to the end portion.

또한, 상기 고정 볼트는 상기 단부의 경계부 외주연을 따라 플랜지(Flange)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 패널은 상기 플랜지에 지지되어 벽면과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 flange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undary portion of the fixing bolt, and the reinforcing panel may be supported on the flange to maintain a distance from the wall surface.

또한, 상기 플랜지는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충격량이 가해질 경우 파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ange may be configured to be destroyed when an impact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is applied.

또한, 상기 고정 볼트는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충격량이 가해질 경우 파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bolt may be configured to be destroyed when an impact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is applied.

또한, 상기 보강 패널의 전면 또는 배면 중 어느 한 면 이상에, 상기 통공 주변부의 패널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비된 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reinforcing part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anel to increase the panel thickness around the through hole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중공층에 배치되어, 상기 보강 패널의 배면을 지지하는 파형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disposed in the hollow layer, corrugated plate for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anel.

또한, 상기 중공층에 배치되어, 상기 보강 패널의 배면을 지지하고 발포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충격완화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disposed in the hollow layer,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anel and made of foamed synthetic resin.

또한, 상기 고정 볼트의 중단 외주연에 형성된 간격 조절용 수나사산; 및 내경에 암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산과의 나사결합 깊이에 따라 상기 중공층의 간격을 조절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male thread for adjusting the distanc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iddle of the fixing bolt; and a sleeve having a female screw groove formed in the inner diameter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hollow layers according to the screwing depth with the male screw thread.

또한, 상기 고정 볼트 외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벽면과 보강 패널 사이에 배치된 내측 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inner support spring inserted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bolt and disposed between the wall surface and the reinforcing panel.

또한, 상기 고정 볼트 외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보강 패널과 너트 사이에 배치된 외측 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outer support spring inserted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bolt and disposed between the reinforcing panel and the nut.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1. 기설 건축물의 해체 없이 본 발명의 구조를 설치하는 것으로 방폭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고 재료가 절감되어 경제적이다.1.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xplosion-proof effect by install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ismantling the existing building, so the construction is simple and the material is saved, so it is economical.

2. 단순한 구조로 구성되어 설치 난이도가 높지 않으므로 설치공사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2. It is composed of a simple structure and the difficulty of installation is not high, so the defect rate of installation work can be lowered.

3. 방호용 보강 패널을 벽면과 이격시켜 중공층이 형성되도록 설치하여 충격력이 벽체로 직접 전달되지 않고 충격력이 소산되어 방폭성능이 우수하다.3. The reinforcement panel for protection is installed to form a hollow layer by separating it from the wall, so the impact force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wall and the impact force is dissipated, so the explosion-proof performance is excellent.

4. 모듈화가 가능하며 보강 패널이 파손되었을 경우 파손된 보강 패널만 교체 할 수 있어 보수작업이 간편하고 교체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4. Modularization is possible, and only the damaged reinforcement panel can be replaced when the reinforcement panel is damaged, so repair work is easy and replacement cost can be reduced.

5. 중공층에 파형판, 충격완화재, 스페이서 등을 배치하여 방폭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어 요구되는 방폭성능에 따라서 구성을 변경하여 방폭성능을 조절하기 용이하다.5. It is easy to adjust the explosion-proof performance by chang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required explosion-proof performance becaus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xplosion-proof performance by arranging a corrugated plate, shock absorbing material, spacer, etc. in the hollow layer.

6. 플랜지 또는 고정 볼트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충격량이 가해질 경우 파괴되도록 구성하여 고정 볼트를 통하여 벽체로 충격력이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매립된 고정 볼트 주변부 벽체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6. The flange or the fixing bolt is configured to be destroyed when an impact amount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is applied, so that the impact force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wall through the fixing bolt, so that the destruction of the wall around the embedded fixing bolt can be prevented.

7. 패널 소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설치공사가 가능하여 패널 소재에 따라 별도의 설치구조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7. Installation work is possible regardless of the type of panel material, so there is no need to prepare a separate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anel material.

8. 벽면에 따라서 방폭 성능이 다른 보강 패널을 끼워넣을 수 있어 필요에 따라 특정 벽면에 방폭 성능이 더 우수한 보강 패널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8. Reinforcement panels with different explosion-proof performance can be inserted according to the wall surface, so that a reinforcement panel with better explosion-proof performance can be easily constructed on a specific wall surface if necessary.

9. 건식 공법으로 양생기간 등의 추가기간이 생략되고 계절의 영향이 적으므로 공사기간이 짧고 품질관리가 용이하다.9. Due to the dry construction method, additional periods such as curing periods are omitted, and the influence of the season is small, so the construction period is short and quality control is eas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 패널이 모듈화되어 복수 개로 설치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 구조에서 보강 패널에 충격력이 가해졌을 경우 보강 패널의 거동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볼트의 플랜지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충격량이 가해져 파괴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응력집중구간이 형성된 고정 볼트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충격량이 가해져 파괴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응력집중구간이 사선으로 형성된 고정 볼트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충격량이 가해져 파괴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보강 패널의 통공 주변부에 보강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는 너트 체결부의 상부에 보호캡을 조립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층에 파형판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층에 충격완화재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층에 스페이서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고정 볼트의 수나사산에 체결되는 슬리브의 나사결합 깊이에 따른 중공층의 간격 차이를 비교한 단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가 수나사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a) 내측 지지스프링, (b) 외측 지지스프링, (c) 내측 및 외측 지지스프링이 각각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은 플랜지가 형성된 고정 볼트에 보강 패널이 거치 고정된 상태에서 충격력이 작용할 경우 보강 패널의 거동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reinforcing pane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modularized and installed.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behavior of the reinforcing panel when an impact force is applied to the reinforcing panel in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process in which the flange of the fixing bo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troyed by applying an amount of impact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Figure 4] shows the process in which the fixing bolt in which the stress concentration section is formed is destroyed by the application of an impact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Figure 5] shows a process in which a fixing bolt in which a stress concentration section is formed in an oblique line is destroyed by applying an impact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inforcing part is provided in a peripheral portion of a through hole of a reinforcing panel.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protective cap is assembled on top of a nut fastening part.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rrugated plate is disposed in the hollow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mpact absorbing material is disposed in the hollow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pacers are disposed in the hollow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comparing the gap difference between the hollow layers according to the screwing depth of the sleeve fastened to the male thread of the fixing bolt.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ee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male screw thread.
13 shows a state in which (a) the inner support spring, (b) the outer support spring, and (c) the inner and outer support springs are respectively disp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behavior of a reinforcement panel when an impact force acts in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ement panel is mounted and fixed to a flanged fixing bolt.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Since these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se examples.

본 명세서에서는 기존 벽체에서 폭탄이나 총탄이 날아오는 방향 즉, 충격이 처음 가해지는 방향의 면을 '전면(前面)' 또는 '표면'이라 하고, 이와 반대되는 면을 '배면'이라 칭한다. 또한, 벽체 방향을 '내측' 또는 '후방', 벽체의 반대방향을 '외측' 또는 '전방'으로 지칭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direction in which bombs or bullets fly from the existing wall,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pact is first applied, is referred to as 'front' or 'surface', and the opposite surface is referred to as 'rear'.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he wall is referred to as 'inside' or 'rear',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wall is referred to as 'outside' or 'fron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W)에 시공되는 방폭용 보강 패널(10) 설치 구조로서, 일단은 벽면(W)에 매립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벽면(W)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단부(21)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 볼트(20); 가장자리에 2개 이상의 통공(11)이 형성된 보강 패널(10); 및 상기 단부(21)에 체결되는 너트(30);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21)는 상기 통공(11)을 관통하여 상기 보강 패널(10)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보강 패널(10)은 상기 벽면(W)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벽면(W)과 보강 패널(10)의 사이에 중공층(40)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너트(30)를 상기 단부(21)에 체결하여 상기 보강 패널(10)이 벽면(W)에 거치·고정되도록 구성된 방폭용 보강 패널(10)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10 installation structure constructed on the wall (W) of a building, one end is embedded in the wall (W) and the other e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wall (W), and the end (21) A fixing bolt 20 threaded on the; A reinforcing panel 10 having two or more through holes 11 formed at an edge thereof; and a nut 30 fastened to the end 21, wherein the end 21 penetrates the through hole 11 and protrudes forward of the reinforcing panel 10, and the reinforcing panel 10 is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W) at equal intervals and disposed such that a hollow layer 40 is formed between the wall surface (W) and the reinforcing panel 10, and the nut 30 is fastened to the end portion 21 To provide an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10 installation structure configured so that the reinforcement panel 10 is mounted and fixed to the wall surface W.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모듈화된 보강 패널(10)이 복수 개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건축물의 벽면(W)에 일부 매립 설치된 고정 볼트(20)에 보강 패널(10)이 이격되어 거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1 show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modularized reinforcing panels 10 are installed, and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panels 10 are spaced apart and mounted on the fixing bolts 20 partially embedded in the wall surface W of the building is shown. has been

상기 고정 볼트(20)는 볼트의 일단을 구조물에 매립하여 상기 보강 패널(10)을 벽면(W)에 거치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앵커 볼트, 스터드 볼트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고정 볼트(20)의 일단은 건축물에 매립되는 부분으로, 기설 건축물의 경우 엘자형 앵커, 웨지형 앵커, 셋트 앵커, 캐미컬 앵커 등을 적용하여 벽체를 보링하여 고정하고, 신축 건축물의 경우 미리 고정 볼트(20)의 일단을 타설 전 벽체의 구조물에 고정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에 매립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 볼트(20)의 타단은 벽면(W)에서 전방으로 수직 돌출되며, 단부(21)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은 상기 보강 패널(10)을 삽입하고 너트(30)를 체결하기 위한 길이까지만 구비되어 너트(30)가 헛돌거나 소정 깊이 이상 내측으로 조여지지 않도록 단부(21)에서 일정길이로만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bolt 20 is to mount and fix the reinforcing panel 10 to the wall surface W by embedding one end of the bolt in a structure, and an anchor bolt, a stud bolt, or the like can be applied. One end of the fixing bolt 20 is a part embedded in the building. In the case of an existing building, the wall is fixed by boring by applying an L-shaped anchor, a wedge-shaped anchor, a set anchor, a chemical anchor, etc., and in the case of a new building, it is fixed in advance One end of the bolt 20 may be fixed to the structure of the wall before pouring, and concrete may be poured and embedded in the wall. The other end of the fixing bolt 20 vertically protrudes forward from the wall surface W, and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at the end 21. The screw thread is provided only to a length for inserting the reinforcing panel 10 and fastening the nut 30, and may be formed only at a certain length at the end 21 so that the nut 30 does not spin or is tightened inward beyond a predetermined depth. there is.

상기 보강 패널(10)은 폭발의 충격력을 저감시켜 폭발 하중을 제어함에 따라 폭발에너지로부터 건축물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보강 패널(10) 설치 구조는 금속 패널, 콘크리트 패널, 합성수지 패널, 발포금속 합성패널, 섬유패널, 복합 패널 등 패널로 제작이 가능한 재료를 모두 적용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panel 10 is for protecting a building from explosion energy by controlling the explosion load by reducing the impact force of the explosion, and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panel 10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al panel, a concrete panel, a synthetic resin panel All materials that can be made into panels, such as foamed metal composite panels, fiber panels, and composite panels, can be applied.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보강 패널(10) 설치 구조는 보강 패널(10)을 벽면(W)에서 이격시켜 중공층(40)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중공층(40)은 보강 패널(10)의 충격 흡수를 용이하게 하고, 보강 패널(10)에 가해진 충격력이 벽면(W)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보강 패널(10)은 충격력을 흡수, 완화시키기 위하여 고인성의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inforcing panel 10 installation structur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orm a hollow layer 40 by separating the reinforcing panel 10 from the wall surface W, and the hollow layer 40 is of the reinforcing panel 10. It serves to facilitate shock absorption and suppress the impact force applied to the reinforcing panel 10 from being directly transferred to the wall surface (W).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panel 1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with high toughness in order to absorb and alleviate the impact for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패널(10)은 고정 볼트(20)에 고정 거치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벽면(W)에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reinforcing panel 10 is disposed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W, except for the portion fixed to the fixing bolt 20.

폭발에 의한 충격에너지가 보강 패널(10)에 도달할 경우, 고정 볼트(20)에 의하여 고정된 부분을 제외한 보강 패널(10)의 패널면은 충격에너지의 진행 방향으로 휘어지며 충격력을 단계적으로 소산시킬 수 있다. 이때, 보강 패널(10)이 벽면(W)에 밀착되지 않고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보강 패널(10)이 용이하게 충격파에 대응하여 휘어지면서 유동되도록 하고, 초기 충격력이 벽면(W)에 직접 전달되지 않아 충격력을 효율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When the impact energy due to the explosion reaches the reinforcement panel 10, the panel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anel 10, except for the portion fixed by the fixing bolt 20, is bent in the direction of impact energy and dissipates the impact force step by step. can make it At this time, since the reinforcing panel 10 is not closely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W and is spaced apart, the reinforcing panel 10 easily bends and flows in response to the shock wave, and the initial impact force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wall surface W. The impact force can be effectively damped.

충격량은 충격력과 작용한 시간의 곱으로서 충격력과 작용한 시간은 반비례 관계이므로 동일한 충격량이 가해졌을 경우, 충격력이 작용하는 시간을 증가시킬수록 충격력은 감소된다.The impact force is the product of the impact force and the acting time. Since the impact force and the acting time are inversely proportional, when the same impact amount is applied, as the time for which the impact force increases, the impact force decreases.

[도 2]에는 본 발명의 설치 구조에서 보강 패널(10)에 충격력이 가해졌을 경우 보강 패널(10)의 거동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2 shows the behavior of the reinforcing panel 10 when an impact force is applied to the reinforcing panel 10 in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강 패널(10)은 고정 볼트(20)와 양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벽면(W)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보강 패널(10)에 충격력이 가해질 경우 충격력이 가해진 보강 패널(10)은 유동하여 충격력이 가해진 부분의 주변부로 충격력을 전달하며 진동하게 된다. 충격파가 충격지점의 주변부로 이동함에 따라, 충격파의 이동방향으로 보강 패널(10)이 전후방으로 유동하면서 충격에너지가 점진적으로 소실된다.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the reinforcing panel 10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W)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are coupled with the fixing bolts 20. When an impact force is applied to the reinforcing panel 10, the reinforcement panel 10 to which the impact force is applied moves and vibrates while transmitting the impact force to the periphery of the portion to which the impact force is applied. As the shock wave moves to the periphery of the impact point, the impact energy is gradually lost while the reinforcing panel 10 flow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hock wave.

[도 2]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보강 패널(10)의 중앙부에 충격력이 가해진 경우 충격력은 보강 패널(10)의 유동에 의하여 진동에너지로 변환되면서 감소되고, 충격에너지는 보강 패널(10)을 따라서 전달되어 보강 패널(10) 주변부에 위치한 벽면(W)과 고정 볼트(20)의 연결지점에 도달할 때 충격에너지가 감소된 상태로 도달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벽면(W)에 전달되는 충격력이 효과적으로 감소되게 된다.2, when impact force is appli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inforcement panel 10, the impact force is reduced while being converted into vibration energy by the flow of the reinforcement panel 10, and the impact energy is reduced through the reinforcement panel 10 Therefore, when it is transmitted and reaches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wall surface (W) located at the periphery of the reinforcing panel 10 and the fixing bolt 20, the impact energy is reached in a reduced state, so that the impact force finally transmitted to the wall surface (W) is effectively will be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벽면(W)에서 이격하여 보강 패널(10)이 배치된 경우 충격력의 벽면(W) 도달 시간을 증가시키면서 보강 패널(10)이 유동하여 충격파를 소산시키는 복합작용에 의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reinforcement panel 10 is disposed away from the wall surface W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e action of dissipating the shock wave by increasing the arrival time of the impact force on the wall surface W while the reinforcement panel 10 flows. As a result, the impact force can be reduced more effectively.

보강 패널(10)은 가장자리에 상기 고정 볼트(20)를 삽입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통공(1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강 패널(10) 전체를 벽면(W)에 밀착하여 고정시키지 않고 보강 패널(10)을 벽면(W)에서 이격하여 거치시키는 방식으로, 보강 패널(10)의 가장자리 2개의 지점만 벽면(W)에 고정되도 보강 패널(10)의 고정이 가능하다. 2개 지점만 고정될 경우 2개의 통공(11)은 대각선으로 형성되거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보강 패널(10)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The reinforcing panel 10 may have two or more through holes 11 formed at an edge thereof to insert the fixing bolts 20 therei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panel 10 is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W without fixing the entire reinforcing panel 10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W. Even if it is fixed to (W), the fixation of the reinforcement panel 10 is possible. When only two points are fixed,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 through-holes 11 are formed diagonally or formed at the top to stably support the reinforcing panel 10 .

[도 1]과 같이 보강 패널(10)을 벽체에 일정한 크기에 따라 구획하여 설치하는 경우 각각의 패널을 규격화하여 모듈로 제작할 수 있으며, 모듈화된 보강 패널(10)은 인접하는 보강 패널(10) 모듈과 빈틈없이 결합하기 위하여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인접하는 모듈간의 접합부를 빈틈없이 맞추기 용이하도록 보강 패널(10)을 사각형의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reinforcement panel 10 is partitioned and installed on a wall according to a certain size, each panel can be standardized and manufactured as a module, and the modularized reinforcement panel 10 is adjacent to the reinforcement panel 10. It can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in order to be coupled with modules without gaps.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panel 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ne to facilitate fitting joints between adjacent modules without gaps.

상기 고정 볼트(20)는 상기 단부(21)의 경계부 외주연을 따라 플랜지(Flange, 22)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 패널(10)은 상기 플랜지(22)에 지지되어 벽면(W)과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The fixing bolt 20 has a flange 22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undary of the end 21, and the reinforcing panel 10 is supported by the flange 22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W. this can be maintained.

상기 고정 볼트(20)에 삽입되는 상기 보강 패널(10)의 배면은 상기 플랜지(22)의 전면에 접하면서 더 이상 내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걸쳐지고, 상기 너트(30)가 체결되어 벽면(W)과 이격되어 고정되게 된다. 위와 같이 체결된 상태에서의 상기 보강 패널(10)은 상기 플랜지(22)와 너트(30)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되므로, 상기 고정 볼트(20)의 단부(21)에 형성된 나사산은 상기 플랜지(22)의 전면부까지만 형성될 수 있다.The rea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anel 10 inserted into the fixing bolt 20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lange 22 so as not to move inward anymore, and the nut 30 is fastened so that the wall surface (W) is separated from and fixed. Since the reinforcing panel 10 in the fastened state as above is positioned between the flange 22 and the nut 30 and fixed, the thread formed on the end 21 of the fixing bolt 20 is the flange 22 ) can be formed only up to the front part of.

상기 플랜지(Flange, 22)는 상기 고정 볼트(20)에 보강 패널(10)이 거치되는 경계부의 외주연을 따라 구비된 것으로, 상기 고정 볼트(20)의 외주연을 따라 수직으로 돌출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2)는 기 설정된 임계치의 충격량을 초과하기 전까지 파괴되지 않고 보강 패널(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 합성수지재 등 인성과 고강도를 가진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The flange (Flange, 22) is provid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undary where the reinforcing panel 10 is mounted on the fixing bolt 20, and has a plate shape that protrudes vertic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bolt 20. can be formed The flange 2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toughness and high strength such as a metal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so as to support the reinforcing panel 10 without being destroyed until an impact amount of a preset threshold value is exceeded.

또한, 상기 플랜지(22)는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충격량이 가해질 경우 파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ange 22 may be configured to be destroyed when an impact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볼트(20)의 플랜지(22)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충격량이 가해져 파괴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3] shows the process in which the flange 22 of the fixing bol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troyed by applying an amount of impact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상기 플랜지(22)는 외측에서 전달되는 충격력이 가해질 경우 내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소성변형하여 충격력을 흡수하고, 충격력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파괴되도록 구성되어 충격력의 도달 시간을 지연시키고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flange 22 absorbs the impact force by plastically deforming while bending inward when an impact forc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is applied, and is configured to be destroyed when the impact forc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reby delaying the arrival time of the impact force and reducing the impact energy It is designed to absorb.

따라서, 상기 플랜지(22)는 파괴 전 소성변형에 의하여 충격력을 흡수하며, 파괴될 때 작은 파편으로 나눠지면서 반발력이 발생하고, 반발력이 충격력의 진행방향에 반대로 작용하여 충격에너지를 감쇠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flange 22 absorbs the impact force by plastic deformation before breaking, and when it is broken, it is divided into small fragments to generate a repulsive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acts opposit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impact force to attenuate the impact energy.

위의 과정을 따라서 충격력의 저감 매커니즘을 충격력이 보강 패널(10)을 거쳐서 벽면(W)에 전달되는 과정을 순서에 따라서 설명하자면, 플랜지(22)는 파괴되기 직전까지 충격력에 대응하며 보강 패널(10)은 벽면(W)과 이격된 상태에서 충격력을 기 임계치까지 흡수하여 충격력을 1차적으로 저감시키고, 기 임계치 이상의 충격력을 받은 플랜지(22)가 파괴될 때의 반발력에 의하여 충격력이 2차적으로 저감되며, 플랜지(22)가 파괴되어 벽면(W)에 밀착된 보강 패널(10)은 저감된 충격력을 3차적으로 저감시켜 최종적으로 벽면(W)에 도달하는 충격력이 소산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Following the above process, the impact force reduction mechanism will be described in order of the process in which the impact force is transmitted to the wall surface W through the reinforcement panel 10, the flange 22 responds to the impact force until just before destruction and the reinforcement panel ( 10) primarily reduces the impact force by absorbing the impact force up to a critical value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W, and secondarily reduces the impact force by the repulsive force when the flange 22 subjected to the impact force above the critical value is destroyed reduced, the flange 22 is destroyed and the reinforcing panel 10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W thirdly reduces the reduced impact force, and finally the impact force reaching the wall surface W is dissipated.

상기 플랜지(22)는 소산 과정과 충격 전달시간의 지연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 볼트(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2)는 단수개 형성된 경우에도 소정의 효과를 가지나 방폭 효과를 더 보강해야 되는 경우에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The flange 22 may be formed in pluralit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bolt 20 in order to increase the delay effect of the dissipation process and the impact transmission time. Even when the flange 22 is formed singly, it has a predetermined effect, but when the explosion-proof effect needs to be further reinforced, a plurality of flanges 22 may be formed.

또한, 상기 플랜지(22)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충격량이 가해질 경우 파괴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고정 볼트(20)를 통하여 벽면(W)으로 충격력이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매립된 고정 볼트(20) 주변부 벽체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lange 22 is configured to be destroyed when an impact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is applied, so that the impact force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wall surface W through the fixing bolt 20, so that the embedded fixing bolt 20 periphery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destruction of the wall.

상기와 같이 플랜지(22)가 파괴되도록 구성하는 것 외에, 상기 고정 볼트(20)도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충격량이 가해질 경우 파괴되도록 구성하여 벽면(W)에 직접 충격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flange 22 being configured to be destroyed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bolt 20 is also configured to be destroyed when an impact amount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applied, so that the impact force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wall surface W. .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 볼트(20)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충격량이 가해질 경우 파괴되도록 소재의 파괴강도를 설정하여 고정 볼트(20)를 제조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xing bolt 20 may be manufactured by setting the breaking strength of the material so that the fixing bolt 20 is destroyed when an impact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applied.

또한, 고정 볼트(20)의 외주연 둘레부를 따라 내입된 홈으로 이루어진 응력집중구간(24)을 형성하여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충격량이 가해질 경우 파괴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ess concentration section 24 made of grooves insert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ing bolt 20 may be formed so that it is destroyed when an impact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is applied.

[도 4]는 응력집중구간(24)이 형성된 고정 볼트(20)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충격량이 가해져 파괴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응력집중구간(24)이 사선으로 형성된 고정 볼트(20)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충격량이 가해져 파괴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Fig. 4] shows the process in which the fixing bolt 20 in which the stress concentration section 24 is formed is destroyed by the application of an impact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Fig. 5] shows the stress concentration section 24 It shows a process in which the obliquely formed fixing bolt 20 is destroyed by applying an impact amount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상기와 같이 응력집중구간(24)은 고정 볼트(20)의 외주연 둘레부를 따라 내입된 홈을 형성하여 상기 응력집중구간(24)에서 집중파괴가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ress concentration section 24 forms a groove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ing bolt 20, so that concentrated failure can be achieved in the stress concentration section 24.

이때, 응력집중구간(24)은 [도 4]와 같이 벽면(w)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고, [도 5]와 같이 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ress concentration section 24 may be formed with a horizontal wall surface (w) as shown in [Fig. 4], or may be formed in an oblique line as shown in [Fig. 5].

상기 응력집중구간(24)이 사선으로 형성된 경우 집중파괴가 발생하기 용이하며, 보강 패널(10)이 벽면(w)과 수평하게 내측으로 밀착되므로 보강 패널(10)의 모서리 등이 벽면(w)에 충돌하여 벽면(w)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f the stress concentration section 24 is formed in an oblique line, it is easy to cause a concentrated failure, and since the reinforcing panel 10 is inwardly adhered to the wall surface w horizontally, the corner of the reinforcing panel 10 may be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w.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ll surface (w) from being destroyed by colliding with i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강 패널(10)의 전면 또는 배면 중 어느 한 면 이상에, 상기 통공(11) 주변부의 패널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비된 보강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part 12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anel 10 to increase the panel thickness around the through hole 11.

[도 6]은 보강 패널(10)의 통공(11) 주변부에 보강부(12)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part 12 is provided in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11 of the reinforcing panel 10.

상기 보강 패널(10)의 통공(11)은 상기 고정 볼트(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판을 덧대거나 통공(11) 주변부의 두께를 증가시켜 통공(11) 주변부의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보강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hrough hole 11 of the reinforcing panel 10 is a through hole formed to allow the fixing bolt 20 to be inserted, and as shown in [Fig. A reinforcing portion 12 configured to increase strength of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11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보강부(12)는 보강 패널(10)의 하중에 의하여 고정 볼트(20)가 보강 패널(10)에 관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통공(11) 주변부의 균열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보강 패널(10)은 건축물의 벽면(W)에 거치되어 시공되므로 장기적으로 고정 볼트(20)에 보강 패널(10)의 하중이 가해져 통공(11) 주변부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폭발에 의한 충격력이 가해질 경우 통공(11) 주변부가 파손되면서 보강 패널(10)이 벽면(W)에서 이탈하여 벽면(W)이 폭발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취약한 통공(11) 주변부를 보강하여 임계시간이 경과하기 전까지 방폭 패널이 고정 볼트(20)에 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보강부(12)를 구비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part 12 prevents the fixing bolt 20 from penetrating into the reinforcing panel 10 by the load of the reinforcing panel 10, thereby preventing cracks and breakage of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11. Since the reinforcing panel 10 is installed and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W of the building, a load of the reinforcing panel 10 is applied to the fixing bolt 20 in the long term, so that the strength of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11 may decrease. In addition, when an impact force due to an explosion is applied, there is a risk that the through hole 11 is damaged and the reinforcing panel 10 is separated from the wall surface W, thereby exposing the wall surface W to an explosion.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ement part 12 may be provided to reinforce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11, which is relatively weak in durability, so that the explosion-proof panel is mounted on the fixing bolt 20 until the critical time elapses.

상기 너트(30)는 상기 고정 볼트(20)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보강 패널(10)이 벽면(W)과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보강 패널(10)이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침턱의 역할을 한다. 상기 너트(30)를 체결할 경우 체결시 너트(30)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너트(30)의 하단부(21)에 와셔를 배치할 수 있다.The nut 30 is fastened to the screw thread of the fixing bolt 20, and the reinforcing panel 10 is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W at a regular interval so that the reinforcing panel 10 does not move forward. do. When the nut 30 is fastened, a washer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21 of the nut 30 to distribute the load of the nut 30 during fastening.

또한, 너트(30)의 체결부가 외기, 습기, 약품 등에 의하여 부식되거나 마모되어 결합력이 저하되거나 폭발의 충격력에 의하여 급격하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너트(30) 체결부의 상단을 덮어 커버하여 밀폐시키도록 구성된 보호캡(31);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호캡(3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30) 체결부의 상부에 조립되는 부재로 너트(30)를 체결한 뒤 상부를 밀폐시켜 외기 및 폭발로부터 너트(30) 체결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fastening part of the nut 30 from being corroded or worn by external air, moisture, chemicals, etc., so that the bonding force is lowered or is rapidly damaged by the impact of an explosion, the top of the fastening part of the nut 30 is covered and sealed. It can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cap 31 configured to. As shown in [Fig. 7], the protective cap 31 is a member assembled on the top of the nut 30 fastening part. After the nut 30 is fastened, the upper part is sealed to prevent the nut 30 fastening part from outside air and explosion. can play a protective role.

상기 중공층(40)은 상기 벽면(W)과 보강 패널(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보강 패널(10)의 충격력 소산 능력를 보완하여 방폭 성능을 증대시키며, 벽면(W)에 직접 충격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충격력의 전달 시간을 지연시켜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소산, 억제 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hollow layer 40 is a space formed between the wall surface (W) and the reinforcing panel 10 and supplements the impact force dissipation ability of the reinforcement panel 10 to increase explosion-proof performance, and the impact force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wall surface (W). It plays a role in effectively dissipating and suppressing the impact force by delaying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impact force.

상기 중공층(40)에는 발포 수지, 발포 알루미늄, 압축기체, 액체, 유동재 등을 충전하여 방폭 효과를 더 증대시킬 수도 있다.The hollow layer 40 may be filled with foamed resin, foamed aluminum, compressed gas, liquid, fluid, etc. to further increase the explosion-proof effect.

또한, 상기 중공층(40)에 방폭 효과를 보강하기 위하여 다양한 보강용 부재를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reinforcing members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hollow layer 40 to reinforce the explosion-proof effect.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층(40)에 파형판(50)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rrugated plate 50 is disposed on the hollow layer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파형판(50)은 합성수지, 알루미늄 금속판 등 금속판, 섬유보강판, 복합강판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형판(50)은 파형 단면이 3각형의 트러스 구조를 형성하여 일면에서 작용하는 힘을 분산시키면서 지연 압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형판(50)은 압축 시 지연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탄성력이 높고 인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rrugated plate 5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synthetic resin, a metal plate such as an aluminum metal plate, a fiber reinforced plate, or a composite steel plate. The corrugated plate 50 forms a triangular truss structure with a corrugated cross-section, and may be delayed-compressed while dispersing forces acting on one surface. At this time, the corrugated plate 5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elasticity and excellent toughness in order to increase the delay time during compression.

따라서, 상기 파형판(50)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충격량이 가해질 경우 파괴됨과 동시에 지연 압축되면서 충격력이 벽면(W)에 도달하는 시간을 증가시켜 충격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파형판(50)의 탄성력에 의하여 충격력을 소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corrugated plate 50 is destroyed when an impact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is applied, and at the same time delayed and compressed, increasing the time for the impact force to reach the wall surface W to reduce the impact force, and at the same time, the corrugated plate 50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issipate the impact forc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층(40)에 충격완화재(100)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mpact absorbing material 100 is disposed in the hollow layer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충격완화재(100)는 발포성형이 가능한 합성수지(Foamed plastics)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단열성, 완충성 및 충격흡수력이 우수하다. 특히, 상기 충격완화재(100)는 녹는점이 165℃로 내열성이 우수하고, -30℃에서도 완충성을 유지하여 온도변화에 의한 열수축이 적고, 단열성, 융착성, 강성, 복원력 및 내유, 내약품성이 우수하며, PP가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있어 유해가스의 발생이 적어 건물의 외장재용 및 방폭용으로 적합하며, 분쇄 후 재성형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인 발포 폴리프로필렌(EPP)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shock absorbing material 100 is formed of one or more of foamed plastics capable of foaming and molding, and has excellent heat insulating properties, buffering properties, and shock absorbing power. In particular, the shock absorbing material 100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with a melting point of 165 ° C, maintains buffering properties even at -30 ° C, has little heat shrinkage due to temperature change, and has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adhesion, rigidity, resilience, oil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It is excellent, and PP is chemically stable, so it generates less harmful gases, so it is suitable for exterior materials of buildings and explosion-proof, and it is possible to re-mold after grinding, so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of eco-friendly expanded polypropylene (EPP).

상기 충격완화재(100)는 폭발하중을 간접적으로 부담함과 동시에 상기 보강 패널(10)을 통해 전달된 잔여 폭발 충격력을 소산시키며, 상기 보강 패널(10)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구조물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완화하고, 상기 보강 패널(10)이 벽면(W)에 직접 충돌하는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력이 우수한 상기 충격완화재(100)는 보강 패널(10)과의 복합작용을 통하여 보강 패널(10)의 인성에 의한 응력의 흡수효과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The impact mitigating material 100 indirectly bears the explosion load and at the same time dissipates the residual impact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reinforcement panel 10, and minimizes the deformation of the reinforcement panel 10 so that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to th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lieve and prevent the reinforcing panel 10 from directly colliding with the wall surface (W). In addition, the impact absorbing material 100 having excellent impact absorbing power can further increase the effect of absorbing stress due to the toughness of the reinforcing panel 10 through a complex action with the reinforcing panel 10 .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층(40)에 스페이서(spacer, 90)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pacers 90 are disposed in the hollow layer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스페이서(90)는 사각형, 삼각형, 원형, 구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벽면(W)과 보강 패널(10)의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층(4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90)는 벽면(W)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장스팬(span)으로 형성된 보강 패널(10)은 가장자리만 고정 볼트(20)에 고정될 경우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측방하중에 의하여 보강 패널(10)이 벽면(W) 방향으로 내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페이서(90)를 중공층(40)에 배치하여 중공층(40)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spacer 9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a triangle, a circle, and a sphere, and may be disposed in the hollow layer 40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wall surface W and the reinforcing panel 10. can In addition, a plurality of spacers 90 may be disposed on the wall surface W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hen only the edge of the reinforcing panel 10 formed of a long span is fixed to the fixing bolt 20, the reinforcing panel 10 may be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wall surface W by the lateral load generated in daily life. The spacer 90 may be placed on the hollow layer 40 to maintain the hollow layer 40 .

또한, 상기 스페이서(90)는 상기 파형판(50)과 같이 중공층(40)의 방폭성능을 보강하는 역활도 할 수 있다. 폭발력이 도달할 때 상기 보강 패널(10)이 벽면(W)에 충돌하여 벽면(W)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보강 패널(10)과 복합작용하여 상기 보강 패널(10)의 인성을 보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90)는 인성과 충격 흡수력이 높은 고무, 실리콘 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cer 90 may also play a role of reinforcing the explosion-proof performance of the hollow layer 40 like the corrugated plate 50. When the explosive force reaches, the reinforcing panel 10 collides with the wall surface W to prevent the wall surface W from being damaged and interacts with the reinforcing panel 10 to supplement the toughness of the reinforcing panel 10. can Accordingly, the spacer 9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having high toughness and shock absorption.

또한, 상기 고정 볼트(20)의 중단 외주연에 형성된 간격 조절용 수나사산(23); 및 내경에 암나사홈(61)이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산(23)과의 나사결합 깊이에 따라 상기 중공층(40)의 간격을 조절하는 슬리브(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male screw thread 23 for adjusting the distanc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iddle of the fixing bolt 20; and a sleeve 60 having a female screw groove 61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to adjust the spacing of the hollow layer 40 according to the screwing depth with the male screw thread 23.

[도 11]은 상기 고정 볼트(20)의 수나사산(23)에 체결되는 슬리브(60)의 나사결합 깊이에 따른 중공층(40)의 간격 차이를 비교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60)가 수나사산(23)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comparing the difference in spacing of the hollow layer 40 according to the screwing depth of the sleeve 60 fastened to the male thread 23 of the fixing bolt 20, [Figure 12] is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eeve 60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oupled to the male thread 23.

상기 고정 볼트(20)의 중단 외주연에는 길이 조절용 수나사산(23)이 형성되고, 이는 상기 고정 볼트(20)에 너트(30)를 체결하기 위하여 형성된 나사산이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A male thread 23 for length adjustment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iddle of the fixing bolt 20, which is formed by extending the thread formed to fasten the nut 30 to the fixing bolt 20 or formed separately .

상기 슬리브(60)는 파이프형태로 이루어지고 내경이 상기 고정 볼트(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sleeve 60 may be formed in a pipe shape and have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fixing bolt 20 to be inserted.

이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볼트(20)의 수나사산(23)과 상기 슬리브(60)의 암나사홈(61)이 상호 나사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 볼트(20)에서 상기 슬리브(60)가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어, 상기 슬리브(60)가 상기 고정 볼트(20)에 체결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2], while the male thread 23 of the fixing bolt 20 and the female threaded groove 61 of the sleeve 60 are mutually screwed together, the fixing bolt 20 Since the sleeve 60 can be moved outward or inward, the depth at which the sleeve 60 is fastened to the fixing bolt 20 can be adjusted.

이때, 상기 슬리브(60)는 상기 플랜지(22)와 같이 상기 보강 패널(10)을 지지하여 벽면(W)과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보강 패널(10)의 후면은 상기 슬리브(60)의 외측단에 걸쳐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중공층(40)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60)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체결될수록 중공층(40)의 간격이 좁아지고, 외측으로 이동하여 체결될수록 중공층(40)의 간격은 넓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sleeve 60 may serve to support the reinforcing panel 10 like the flange 22 to maintain a gap with the wall surface (W). The hollow layer 40 may be formed by fixing the rea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anel 10 across the outer end of the sleeve 60 . Therefore, as the sleeve 60 is moved inwardly and fastened, the distance between the hollow layers 40 is narrowed, and as the sleeve 60 is moved outwardly and fastened, the distance between the hollow layers 40 is widened.

이를 [도 11]의 실시예로 설명하면, (a)도에 도시된 슬리브(60)의 체결된 깊이보다 (b)도에 도시된 슬리브(60)의 체결된 깊이가 더 내측으로 체결되어 최종적으로 보강 패널(10)이 걸쳐져 고정되었을 때 (a)도의 중공층(40) 간격(a)이 (b)도의 중공층(40) 간격(b)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1, the fastened depth of the sleeve 60 shown in (b) is more inward than the fastened depth of the sleeve 60 shown in (a), and finally When the reinforcing panel 10 is stretched and fixed, the interval (a) of the hollow layer 40 in (a) may be formed wider than the interval (b) of the hollow layer 40 in (b).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 볼트(20) 외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벽면(W)과 보강 패널(10) 사이에 배치된 내측 지지스프링(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볼트(20) 외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보강 패널(10)과 너트(30) 사이에 배치된 외측 지지스프링(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ner support spring 70 inserted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bolt 20 and disposed between the wall surface W and the reinforcing panel 10, and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bolt 20 An outer support spring 80 inserted between the reinforcing panel 10 and the nut 3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도 13]의 실시예에서는 (a) 내측 지지스프링, (b) 외측 지지스프링, (c) 내측 및 외측 지지스프링이 각각 배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1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an inner support spring, (b) an outer support spring, (c) a state in which the inner and outer support springs are respectively disposed.

상기 내·외측 지지스프링(70, 80)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측방에서 작용하는 외력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볼트(20)에는 내측 지지스프링(70) 및 외측 지지스프링(8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보강 패널(10)에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 상기 보강 패널(10)은 진동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움직이며 상기 내·외측 지지스프링(70, 80)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보강 패널(10)의 충격 흡수 능력을 보완하고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The inner and outer support springs 70 and 80 are formed of compression coil springs and can respond to external forces acting from the side. Any one or more of the inner support spring 70 and the outer support spring 80 may be disposed on the fixing bolt 20 .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reinforcing panel 10, the reinforcing panel 10 moves forward and backward by vibration, and the shock absorption ability of the reinforcing panel 10 is achieved by the elasticity of the inner and outer support springs 70 and 80. and dampen vibration.

특히, 상기 내·외측 지지스프링(70, 80)은 진동을 감쇠시켜 충격파를 억제하고 충격력의 도달시간을 지연시킴에 따라 벽면(W)에 도달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inner and outer support springs 70 and 80 can effectively reduce the impact force reaching the wall surface W by suppressing shock waves by damping vibration and delaying the arrival time of the impact force.

상기 내측 지지스프링(7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2)가 형성된 경우 플랜지(22)와 보강 패널(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inner support spring 7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lange 22 and the reinforcing panel 10 when the flange 22 is formed as shown in [FIG. 13].

[도 14]에서는 상기 내·외측 지지스프링(70, 80)이 모두 구비되고, 플랜지(22)가 형성된 경우의 고정 볼트(20)에 보강 패널(10)이 거치 고정된 상태에서 충격력이 작용할 경우 보강 패널(10)의 거동이 도시되어 있다. 보강 패널(10)의 유동에 의한 충격력 소실작용을 내·외측 지지스프링(70, 80)이 보완하여 충격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소실시킬 수 있다.In [FIG. 14], when both the inner and outer support springs 70 and 80 are provided and the impact force is applied in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panel 10 is mounted and fixed to the fixing bolt 20 when the flange 22 is formed. The behavior of the reinforcing panel 10 is shown. The inner and outer support springs 70 and 80 compensate for the loss of impact force caused by the flow of the reinforcing panel 10, thereby dissipating the impact force more effectively.

이하에서는, 방폭용 보강 패널(10) 설치 구조의 기술적 의의를 개발이론을 바탕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significance of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10 will be explained based on the development theory.

폭발이 발생할 경우 폭발에 의한 직접충격력이나 폭발로 인하여 고속으로 비산하는 비상체에 의한 콘크리트의 파괴 메커니즘은 아래 [참고도 1]과 같다.In the event of an explosion, the concrete destruction mechanism by the direct impact force of the explosion or by the flying object that is scattered at high speed due to the explosion is shown in [Reference Figure 1] below.

[참고도 1] [Reference Figure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콘크리트의 전면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충격에 의하여 벽체의 전면이 파괴되어 내측으로 관입되고, 전면에 배면방향으로 압축파가 발생하여 압축파가 콘크리트의 배면에서 반사되어 인장파를 형성한다. 이때, 인장파에 의한 인장변형과 압축파에 의한 응력이 복합작용하여 콘크리트의 배면이 파괴되어 박리된다.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oncrete, the front surface of the wall is destroyed by the impact and penetrates inward, and a compression wave is generate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and the compression wave is reflect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ncrete to form a tensile wave. At this time, the tensile strain caused by the tensile wave and the stress caused by the compressive wave act in combination, and the back surface of the concrete is destroyed and peeled off.

본 발명의 출원인은 위와 같은 폭발력에 의한 콘크리트의 파괴거동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내충격력 향상 방안에 대한 이론을 전개하였다.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eveloped a theory for the following impact resistance improvement method based on the fracture behavior of concrete by the above explosive force.

1) 표면관입 깊이 감소 대책 : 표면의 두께를 보강하고, 표면의 두께 보강을 통하여 부재의 강도 증가 및 충격력의 전달을 지연시킬 수 있다.1) Countermeasures for reducing surface penetration depth: Reinforcing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member and delaying the transmission of impact force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the surface thickness.

2) 압축응력파의 모체(벽면, w) 전달 차단 : 압축응력파가 직접 모체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감쇠시켜야 배면에서 반사되는 배면반사 인장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압축응력파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방안과 감쇠비가 높은 재료를 적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2) Blocking the transfer of compressive stress waves to the parent body (wall, w): The generation of back-reflected tensile waves reflected from the rear surface can be suppressed only when the direct transfer of compressive stress waves to the parent body is blocked or attenuated. To this end, a method for blocking transmission of compressive stress waves and a method for applying a material with a high damping ratio are required.

즉, 상기 이론에 의하여 충격력을 감소시키고, 충격력의 전달을 지연시키며, 배면반사 인장파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압축응력파가 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하여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That is, in order to reduce the impact force, delay the transmission of the impact force, and suppress the generation of the back-reflected tensile wave according to the above theory, it was concluded that the compressive stress wave should be configured so that it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other body.

여기서 충격력을 감소시키고 충격력의 전달을 지연시키기 위한 검토 이론은 아래 [참고도 2]와 같다.Here, the review theory for reducing the impact force and delaying the transmission of the impact force is shown in [Reference Figure 2] below.

[참고도 2][Reference Figure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 참고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운동량은 물체의 질량과 속도의 곱이고, 충격량은 어떤 정해진 시간 안에 운동량의 변화량으로, 충격력은 힘이 가해지는 시간에 반비례하여, 충격력이 작용하는 시간을 증가시킬 경우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shown in the reference figure 2, the momentum is the product of the mass and speed of the object, the impulse is the amount of change in momentum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impact forc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ime the force is applied, increasing the time the impact force acts impact force can be reduced.

이를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를 적용하여 1) 충격력을 감소시키고, 2) 충격력의 전달을 지연시키며, 3) 압축응력파가 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하여야 하고 이때, 충격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충격력의 전달 시간을 지연시켜야 하며, 이는 충격력의 전달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this to 1) reduce the impact force, 2) delay the transmission of the impact force, and 3) configure so that the compressive stress wave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other body. At this time, in order to reduce the impact force, the transmission of the impact force Time must be delayed, which results in a delay in the transmission of the impact force.

상기의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보강 패널(10)을 벽면(W)과 이격하여 배치하고 보강 패널(10)과 벽면(W) 사이에 중공층(40) 및 이와 유사한 충격력 전달 지연 수단을 적용하여 상기의 효과를 도출하였다.Based on the above test results,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the reinforcing panel 10 at a distance from the wall surface (W), and the hollow layer 40 and similar impact force transfer delay between the reinforcing panel 10 and the wall surface (W) The above effect was derived by applying the means.

상기 중공층(40)을 통하여 1) 충격력이 벽면(W)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중공층(40) 또는 중공층(40)에 배치된 탄성부재를 통하여 전달되므로, 충격력의 전달 시간이 증가되고 이는 충격력의 전달 시간의 지연에 따라 충격력이 감소되며, 보강 패널(10)이 직접 벽면(W)에 접촉된 것이 아니므로 벽면(W)에 압축응력파가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내충격력 향상 방안의 요건을 모두 만족하게 된다.Through the hollow layer 40, 1) the impact force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wall surface W, but transmitted through the hollow layer 40 or an elastic member disposed in the hollow layer 40, so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impact force is increased This reduces the impact force according to the delay in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impact force, and since the reinforcing panel 10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wall surface W, it is possible to prevent direct transmission of the compressive stress wave to the wall surface W. It satisfies all the requirements of the impact force improvement plan.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를 바탕으로 비상체 충돌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상기 시험결과에 의하여 모체콘크리트(벽면, W)과 보강 패널(10) 사이의 중공층(40)이 10 mm 만 형성되어도 방폭성능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중공층(40)의 두께가 증가 할수록 방폭성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ducted a non-body crash test based on this, and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even if the hollow layer 40 between the parent concrete (wall surface, W) and the reinforcing panel 10 is formed only 10 mm, the explosion-proof performa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rovement was greatly improv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losion-proof performance increased as the thickness of the hollow layer 40 increased.

상기와 같이 방폭용 보강 패널(10)을 벽면(W)에 밀착하여 부착하는 경우보다 벽면(W)에서 이격하여 중공층(40)이 형성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방폭용 보강 패널(10)의 방폭성능이 효과적으로 증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는 중공층(40)이 형성되는 보강 패널(10)의 설치 구조를 제공하면서도 중공층(40)의 충격력 감소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방폭용 보강 패널(10)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xplosion-proof performance of the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10 is to be installed so that the hollow layer 40 is form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W, rather than in the case where the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10 is closely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W. It can be seen that this is effectively increased, and the technical signific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improve the impact force reduction performance of the hollow layer 40 while provid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panel 10 in which the hollow layer 40 is formed. It is to provide an explosion-proof reinforcing panel 10 installation structur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was examined in detail with specific exampl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 : 벽면
10 : 보강 패널
11 : 통공 12 : 보강부
20 : 고정 볼트
21 : 단부 22 : 플랜지
23 : 수나사산 24 : 응력집중구간
30 : 너트
31 : 보호캡
40 : 중공층
50 : 파형판
60 : 슬리브
61 : 암나사홈
70 : 내측 지지스프링
80 : 외측 지지스프링
90 : 스페이서
100 : 충격완화재
W: wall
10: reinforcement panel
11: through hole 12: reinforcement part
20: fixing bolt
21: end 22: flange
23: Male thread 24: Stress concentration section
30: nut
31: protective cap
40: hollow layer
50: corrugated board
60: sleeve
61: female screw groove
70: inner support spring
80: outer support spring
90: Spacer
100: shock absorbing material

Claims (10)

건축물의 벽면(W)에 시공되는 방폭용 보강 패널 설치 구조로서,
일단은 벽면(w)에 매립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벽면(w)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단부(21)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 볼트(20);
가장자리에 2개 이상의 통공(11)이 형성된 보강 패널(10); 및
상기 단부(21)에 체결되는 너트(30);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21)는 상기 통공(11)을 관통하여 상기 보강 패널(10)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보강 패널(10)은 상기 벽면(W)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벽면(W)과 보강 패널(10)의 사이에 중공층(40)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너트(30)를 상기 단부(21)에 체결하여 상기 보강 패널(10)이 벽면에 거치·고정되도록 구성된 방폭용 보강 패널 설치 구조.
As an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constructed on the wall (W) of a building,
A fixing bolt 20 having one end embedded in the wall surface (w)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forward from the wall surface (w) and having a screw thread at the end portion 21;
A reinforcing panel 10 having two or more through holes 11 formed at an edge thereof; and
A nut 30 fastened to the end 21; includes,
The end 21 protrudes forward of the reinforcing panel 10 through the through hole 11,
The reinforcing panel 10 is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W at equal intervals so that a hollow layer 40 is formed between the wall surface W and the reinforcing panel 10,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configured to fasten the nut 30 to the end 21 so that the reinforcement panel 10 is mounted and fixed to a wall surface.
제1항에서,
상기 고정 볼트(20)는 상기 단부(21)의 경계부 외주연을 따라 플랜지(Flange, 22)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 패널(10)은 상기 플랜지(22)에 지지되어 벽면(w)과의 간격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보강 패널 설치 구조.
In paragraph 1,
The fixing bolt 20 is formed with a flange (Flange, 22)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undary of the end 21,
The reinforcement panel 10 is supported by the flange 22 and the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from the wall (w) is maintained.
제2항에서,
상기 플랜지(22)는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충격량이 가해질 경우 파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보강 패널 설치 구조.
In paragraph 2,
The flange 22 is an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destroyed when an impact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applied.
제1항에서,
상기 고정 볼트(20)는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충격량이 가해질 경우 파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보강 패널 설치 구조.
In paragraph 1,
The fixing bolt 20 is an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destroyed when an impact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applied.
제1항에서,
상기 보강 패널(10)의 전면 또는 배면 중 어느 한 면 이상에, 상기 통공(11) 주변부의 패널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비된 보강부(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보강 패널 설치 구조.
In paragraph 1,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einforcement part (12)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anel (10) to increase the panel thickness around the through hole (11). installation structure.
제1항에서,
상기 중공층(40)에 배치되어, 상기 보강 패널(10)의 배면을 지지하는 파형판(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보강 패널 설치 구조.
In paragraph 1,
Arranged in the hollow layer 40, the corrugated plate 50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anel 10;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제1항에서,
상기 중공층(40)에 배치되어, 상기 보강 패널(10)의 배면을 지지하고 발포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충격완화재(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보강 패널 설치 구조.
In paragraph 1,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disposed in the hollow layer 40,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anel 10 and made of foamed synthetic resin.
제1항에서,
상기 고정 볼트(20)의 중단 외주연에 형성된 간격 조절용 수나사산(23); 및
내경에 암나사홈(61)이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산(23)과의 나사결합 깊이에 따라 상기 중공층(40)의 간격을 조절하는 슬리브(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보강 패널 설치 구조.
In paragraph 1,
A male thread 23 for adjusting the distanc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iddle of the fixing bolt 20; and
A sleeve 60 having a female screw groove 61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to adjust the spacing of the hollow layer 40 according to the screwing depth with the male screw thread 23; Reinforcing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고정 볼트(20) 외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벽면(W)과 보강 패널(10) 사이에 배치된 내측 지지스프링(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보강 패널 설치 구조.
In any one of claims 1 to 8,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inner support spring 70 inserted outside the fixing bolt 20 and disposed between the wall surface (W) and the reinforcement panel 10.
제9항에서,
상기 고정 볼트(20) 외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보강 패널(10)과 너트(30) 사이에 배치된 외측 지지스프링(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보강 패널 설치 구조.
In paragraph 9,
An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outer support spring 80 inserted outside the fixing bolt 20 and disposed between the reinforcement panel 10 and the nut 30.
KR1020210164051A 2021-11-25 2021-11-25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KR2023007712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051A KR20230077124A (en) 2021-11-25 2021-11-25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051A KR20230077124A (en) 2021-11-25 2021-11-25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124A true KR20230077124A (en) 2023-06-01

Family

ID=86770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051A KR20230077124A (en) 2021-11-25 2021-11-25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7124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204B1 (en) 2009-07-28 2010-03-03 주식회사 삼표 High-tensional non-explosion cement composite using complex fiber
KR101250903B1 (en) 2011-01-11 2013-04-04 박종영 Composite Wall using Aluminum Foam Panel and Concrete Pane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and Shield Structure using such Composite Wall
KR101605691B1 (en) 2014-07-22 2016-03-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Non-explosion and High Resistance - High Performance Cement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204B1 (en) 2009-07-28 2010-03-03 주식회사 삼표 High-tensional non-explosion cement composite using complex fiber
KR101250903B1 (en) 2011-01-11 2013-04-04 박종영 Composite Wall using Aluminum Foam Panel and Concrete Pane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and Shield Structure using such Composite Wall
KR101605691B1 (en) 2014-07-22 2016-03-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Non-explosion and High Resistance - High Performance Cement Compos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3891B2 (en) Methods of reinforcing structures against blast events
US9611667B2 (en) Durable, fire resistant, energy absorbing and cost-effective strengthening systems for structural joints and members
WO2020019955A1 (en) Assembled embedded damping interlayer double steel plate concrete composite shear wall and mounting method thereof
US7895798B2 (en) Structural system with high absorption capacity to impactive and impulsive loads
KR101372087B1 (en) Strengthen method for steel frame structure using seismic control device
RU2548455C1 (en) Explosionproof panel for emergency protection of industrial buildings and structures
KR100887160B1 (en) The structure aseismic reinforcement method of construction for which multi connection elastic device was used
JP5960934B1 (en) Protective structures against flying objects
GB2470230A (en) A load-bearing member having a rigid portion and a flexible portion
KR101403125B1 (en) Seismic control device and strengthen method for steel frame structure using thereof
KR20230077124A (en)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KR20140034268A (en) Aseismic damper
Verma et al. Blast resistant design of structure
JP2019100143A (en) Base isolation structure
KR102092413B1 (en) Seismic reinforcement vibration control device having double-plate intermediary damper
KR101482691B1 (en) Earthquake-resistant Apparatus Having Fire-resistance
RU142251U1 (en) EXPLOSION-RESISTANT ATTACHED VENTILATED FACADE
CN112726664A (en) Interchangeable foam concrete link plate protection piping lane inside gas explosion device
RU2584250C1 (en) Explosion proof panel for protection of industrial buildings and structures from emergency situation
US20120167491A1 (en) Energy absorbing system for safeguarding structures from disruptive forces
KR102645926B1 (en) Composite panel for structural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and its installation structure
JP2003184032A (en)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bridge
KR102637712B1 (en) Precast explosion proof panel
KR102097821B1 (en) Structure with seismic reinforcement using damper with double stell plate
CN113793703B (en) Outer striking protective structure of contai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