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343A - 건물 관리 및 공기 질 개선 자동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 관리 및 공기 질 개선 자동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6343A
KR20230076343A KR1020210163172A KR20210163172A KR20230076343A KR 20230076343 A KR20230076343 A KR 20230076343A KR 1020210163172 A KR1020210163172 A KR 1020210163172A KR 20210163172 A KR20210163172 A KR 20210163172A KR 20230076343 A KR20230076343 A KR 20230076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air
building
zone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9681B1 (ko
Inventor
정광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블유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블유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블유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163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681B1/ko
Publication of KR20230076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8Failure diagn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5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combined with a d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관리 및 공기 질 개선 자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관리 시스템은 출입문을 갖는 건물, 상기 건물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결되는 급기 덕트, 상기 급기 덕트상에 설치되는 급기 댐퍼, 상기 급기 덕트상에 설치되는 급기 팬, 상기 건물의 외부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외부 공기 오염도 센서, 상기 출입문의 일 측에 설치되어 그 반대 측을 향해 공기를 토출하는 에어 커튼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 공기 오염도 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면, 상기 급기 댐퍼가 폐쇄되고 상기 급기 팬이 정지하며 상기 에어 커튼이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 관리 및 공기 질 개선 자동 제어 시스템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MANAGING BUILDING AND IMPROVING AIR QUALITY}
본 발명은 건물 관리 및 공기 질 개선 자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공기 질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강과 환경에 대한 이슈가 주목됨에 따라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 질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그 기준도 강화되고 있으며 관련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예컨대 공개특허 10-2010-0102869는 건물 환기 시스템을 개시한다. 하지만, 위 공개특허는 단순히 외기를 도입하고 실내 공기를 배출하는 것에 그쳐, 외부 공기 질이 나쁠 경우에는 오히려 외기를 도입함으로써 실내 공기 질이 저해될 수 있으며 필터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내부 공기 질이 좋을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실내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냉난방 효율이 저하되고 에너지가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출입문을 통해 들어올 수 있는 먼지에 대한 대비가 전혀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건물의 공기 질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10-0102869 A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건물의 공기 질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관리 시스템은 출입문을 갖는 건물, 상기 건물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결되는 급기 덕트, 상기 급기 덕트상에 설치되는 급기 댐퍼, 상기 급기 덕트상에 설치되는 급기 팬, 상기 건물의 외부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외부 공기 오염도 센서, 상기 출입문의 일 측에 설치되어 그 반대 측을 향해 공기를 토출하는 에어 커튼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 공기 오염도 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면, 상기 급기 댐퍼가 폐쇄되고 상기 급기 팬이 정지하며 상기 에어 커튼이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 공기 오염도 센서의 측정값이 증가할수록 상기 에어 커튼의 출력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물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결되는 배기 덕트, 상기 배기 덕트상에 설치되는 배기 댐퍼, 상기 배기 덕트상에 설치되는 배기 팬 및 상기 건물의 내부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내부 공기 오염도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내부 공기 오염도 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면, 상기 배기 댐퍼가 개방되고 상기 배기 팬이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내부 공기 오염도 센서의 측정값이 증가할수록 상기 배기 댐퍼의 개방도와 상기 배기 팬의 출력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문의 일 측에 설치되어 그 반대 측을 향해 수증기를 분사하는 수증기 분사 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 공기 오염도 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면, 상기 수증기 분사 장치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증기 분사 장치가 작동하도록 미리 정해진 기준은 상기 에어 커튼이 작동하도록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커튼과 상기 수증기 분사 장치는 상기 에어 커튼이 공기를 토출하는 방향에 나란한 평면과 상기 수증기 분사 장치가 수증기를 분사하는 방향에 나란한 평면이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 공기 오염도 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면, 미리 정해진 수칙을 방송하고 미리 정해진 단체나 기관으로 관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내부 공기 오염도 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면, 미리 정해진 수칙을 방송하고 미리 정해진 단체나 기관으로 관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화재 감지 시 상기 에어 커튼이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화재 감지 시 상기 수증기 분사 장치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물의 내부는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포함해 복수로 구획되고,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구역에서 화재 감지 시, 외부로부터 상기 제1 구역으로 공기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제1 구역으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제2 구역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물의 내부는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포함해 복수로 구획되고,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구역에서 화재 감지 시 상기 제1 구역으로 전력 공급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물의 내부는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포함해 복수로 구획되고, 침수 여부를 감지하는 침수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구역에서 침수 감지 시 상기 제1 구역으로 전력 공급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제1 컨트롤러와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해 복수로 제공되어, 상기 제1 컨트롤러가 동작하다가 상기 제1 컨트롤러에 고장이 생기면 상기 제2 컨트롤러가 동작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제1 컨트롤러와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해 복수로 제공되어,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상기 제2 컨트롤러가 교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제1 컨트롤러와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해 복수로 제공되어,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급기 댐퍼, 상기 급기 팬 및 상기 에어 커튼 중 일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급기 댐퍼, 상기 급기 팬 및 상기 에어 커튼 중 나머지 일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관리 시스템은 외부 공기 오염도 및/또는 내부 공기 오염도에 따라 건물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 공급 및/또는 건물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공기 배출을 조절함으로써, 주변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특히, 외부 공기 오염도가 높은 경우, 에어 커튼이 작동함으로써, 출입문을 통해 건물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나쁜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나아가, 외부 공기 오염도가 높은 경우, 수증기 분사 장치가 작동하여 먼지나 이물질을 포집함으로써, 건물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화재 발생 시 에어 커튼이 정지함으로써 연기 배출을 허용하고, 수증기 분사 장치가 작동함으로써 분진이나 미세 입자를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화재가 발생한 구역으로 공기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불길 확산을 방지하는 한편, 그 구역으로부터 공기를 배출한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구역으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그 구역으로 연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건물의 공기 질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관리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관리 시스템(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관리 시스템(100)의 개요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관리 시스템(100)은 건물(110), 급기 덕트(121), 급기 댐퍼(122), 급기 팬(123), 배기 덕트(131), 배기 댐퍼(132), 배기 팬(133), 외부 공기 오염도 센서(141), 내부 공기 오염도 센서(142), 에어 커튼(150), 수증기 분사 장치(160), 화재 센서(171), 침수 센서(172) 및 컨트롤러(1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건물(110)은 용도나 형태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아래 설명을 참조하여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시설물이나 건축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가능한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건물(110)은 출입문(111)을 갖는다. 또한, 건물(110)의 내부는 복수로 구획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건물(110)의 내부가 층별로 구획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건물의 내부가 한 층에서 여러 방이나 공간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건물(110)의 내부가 제1 구역(112A)과 제2 구역(112B)으로 구획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급기 덕트(121)는 건물(11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결된다.
급기 댐퍼(122)는 급기 덕트(121)상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급기 팬(123)은 급기 덕트(121)상에 설치되어 급기 덕트(121)를 통해 건물(11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 유동을 일으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급기 댐퍼(122)가 개방되고 급기 팬(123)이 작동함으로써 건물(11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 공급을 허용할 수 있고, 급기 댐퍼(122)가 폐쇄되고 급기 팬(123)이 정지함으로써 건물(11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급기 덕트(121), 급기 댐퍼(122) 및 급기 팬(123)은 제1 구역(112A)과 제2 구역(112B)에 대해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즉, 제1 급기 덕트(121A)가 건물(110)의 외부로부터 제1 구역(112A)으로 연결되고, 제1 급기 댐퍼(122A)가 제1 급기 덕트(121A)상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제1 급기 팬(123A)이 제1 급기 덕트(121A)상에 설치되어 제1 급기 덕트(121A)를 통해 건물(110)의 외부로부터 제1 구역(112A)으로 공기 유동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고, 제2 급기 덕트(121B)가 건물(110)의 외부로부터 제2 구역(112B)으로 연결되며, 제2 급기 댐퍼(122B)가 제2 급기 덕트(121B)상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제2 급기 팬(123B)이 제2 급기 덕트(121B)상에 설치되어 제2 급기 덕트(121B)를 통해 건물(110)의 외부로부터 제2 구역(112B)으로 공기 유동을 일으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외부로부터 메인 급기 덕트가 연장되다가 제1 급기 덕트와 제2 급기 덕트가 메인 급기 덕트로부터 분기되어 제1 구역과 제2 구역으로 연장되고, 급기 팬이 메인 급기 덕트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급기 팬이 작동할 때, 제1 급기 덕트상에 설치된 제1 급기 댐퍼는 개방되고 제2 급기 덕트상에 설치된 제2 급기 댐퍼는 폐쇄됨으로써 제1 구역으로만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고, 제1 급기 댐퍼는 폐쇄되고 제2 급기 댐퍼는 개방됨으로써 제2 구역으로만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으며, 제1 급기 댐퍼와 제2 급기 댐퍼가 모두 개방됨으로써 제1 구역과 제2 구역으로 함께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배기 덕트(131)는 건물(1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결된다.
배기 댐퍼(132)는 배기 덕트(131)상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배기 팬(133)은 배기 덕트(131)상에 설치되어 배기 덕트(131)를 통해 건물(1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공기 유동을 일으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배기 댐퍼(132)가 개방되고 배기 팬(133)이 작동함으로써 건물(1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공기 배출을 허용할 수 있고, 배기 댐퍼(132)가 폐쇄되고 배기 팬(133)이 정지함으로써 건물(1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공기 배출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배기 덕트(131), 배기 댐퍼(132) 및 배기 팬(133)은 제1 구역(112A)과 제2 구역(112B)에 대해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즉, 제1 배기 덕트(131A)가 건물(110)의 제1 구역(112A)으로부터 외부로 연결되고, 제1 배기 댐퍼(132A)가 제1 배기 덕트(131A)상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제1 배기 팬(133A)이 제1 배기 덕트(131A)상에 설치되어 제1 배기 덕트(131A)를 통해 건물(110)의 제1 구역(112A)으로부터 외부로 공기 유동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고, 제2 배기 덕트(131B)가 건물(110)의 제2 구역(112B)으로부터 외부로 연결되며, 제2 배기 댐퍼(132B)가 제2 배기 덕트(131B)상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제2 배기 팬(133B)이 제2 배기 덕트(131B)상에 설치되어 제2 배기 덕트(131B)를 통해 건물(110)의 제2 구역(112B)으로부터 외부로 공기 유동을 일으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제1 배기 덕트와 제2 배기 덕트가 제1 구역과 제2 구역으로부터 연장되다가 메인 배기 덕트로 합류되어 메인 배기 덕트가 외부로 연장되고, 배기 팬이 메인 배기 덕트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기 팬이 작동할 때, 제1 배기 덕트상에 설치된 제1 배기 댐퍼는 개방되고 제2 배기 덕트상에 설치된 제2 배기 댐퍼는 폐쇄됨으로써 제1 구역으로부터만 공기를 배출할 수도 있고, 제1 배기 댐퍼는 폐쇄되고 제2 배기 댐퍼는 개방됨으로써 제2 구역으로부터만 공기를 배출할 수도 있으며, 제1 배기 댐퍼와 제2 배기 댐퍼가 모두 개방됨으로써 제1 구역과 제2 구역으로부터 함께 공기를 배출할 수도 있다.
외부 공기 오염도 센서(141)는 건물(110)의 외부의 공기 오염도(PM10, PM2.5, O3, NO2, CO, SO2 등)를 측정한다. 외부 공기 오염도 센서(141)는 건물(110)이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고, 다른 단체나 기관(예를 들면, 기상청)이 보유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단체나 기관으로부터 해당 지역의 공기 오염도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내부 공기 오염도 센서(142)는 건물(110)의 내부의 공기 오염도(PM10, PM2.5, O3, NO2, CO, SO2 등)를 측정한다.
에어 커튼(150)은 건물(110)의 출입문(111)의 일 측에 설치되어 그 반대 측을 향해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출입문(111)의 외부와 내부 사이에서 공기 유동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에어 커튼(150)은 출입문(111)의 상측에 설치되어 출입문(111)의 하측을 향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수증기 분사 장치(160)는 건물(110)의 출입문(111)의 일 측에 설치되어 그 반대 측을 향해 수증기를 분사함으로써, 먼지나 이물질을 포집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수증기 분사 장치(160)는 출입문(111)의 양측에 설치되어 출입문(111)의 내측을 향해 수증기를 분사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 커튼(150)과 수증기 분사 장치(160)는 동시에 작동할 때 수증기가 에어 커튼(150)으로부터 나오는 바람에 의해 소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 커튼(150)이 공기를 토출하는 방향에 나란한 평면과 수증기 분사 장치(160)가 수증기를 분사하는 방향에 나란한 평면이 서로 이격되도록(즉, 오프셋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화재 센서(171)는 화재 여부를 감지한다.
침수 센서(172)는 침수 여부를 감지한다.
이러한 화재 센서(171)와 침수 센서(172) 자체는 공지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컨트롤러(180)는 외부 공기 오염도 센서(141), 내부 공기 오염도 센서(142), 화재 센서(171), 침수 센서(172) 등으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급기 댐퍼(122), 급기 팬(123), 배기 댐퍼(132), 배기 팬(133), 에어 커튼(150), 수증기 분사 장치(160) 등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컨트롤러(180)가 동작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컨트롤러(180)는 외부 공기 오염도 센서(141)의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예를 들면, PM2.5 37 ㎍/㎥)(이하 '제1 기준'이라 함)을 초과하면, 급기 댐퍼(122)가 폐쇄되고 급기 팬(123)이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급기 덕트(121)를 통해 건물(11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나쁜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80)는 외부 공기 오염도 센서(141)의 측정값이 제1 기준을 초과하면, 에어 커튼(15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출입문(111)을 통해 사람이 드나드는 것은 허용하되, 건물(11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나쁜 공기가 들어오는 것은 차단할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러(180)는 외부 공기 오염도 센서(141)의 측정값이 증가할수록 에어 커튼(150)의 출력이 증가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외부 공기 오염도가 약간 나쁠 때에는 에어 커튼(150)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가동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고, 외부 공기 오염도가 매우 나쁠 때에는 에어 커튼(150)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가동하여 공기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80)는 내부 공기 오염도 센서(142)의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예를 들면, PM2.5 25 ㎍/㎥)(이하 '제2 기준'이라 함)을 초과하면, 배기 댐퍼(132)가 개방되고 배기 팬(133)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배기 덕트(131)를 통해 건물(1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나쁜 공기를 내보낼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러(180)는 내부 공기 오염도 센서(142)의 측정값이 증가할수록 배기 댐퍼(132)의 개방도 및/또는 배기 팬(133)의 출력이 증가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내부 공기 오염도가 약간 나쁠 때에는 배기 덕트(131)를 상대적으로 작게 개방하거나 배기 팬(133)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가동하여 냉난방 효율을 유지하고 에너지를 절감하며, 내부 공기 오염도가 매우 나쁠 때에는 배기 덕트(131)를 상대적으로 크게 개방하고 배기 팬(133)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가동하여 공기 질 개선을 신속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80)는 외부 공기 오염도 센서(141)의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예를 들면, PM2.5 50 ㎍/㎥)(이하 '제3 기준'이라 함)을 초과하면, 수증기 분사 장치(160)가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수증기를 이용해 먼지나 이물질을 포집하여 건물(11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기준은 제1 기준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 공기 오염도가 나빠지기 시작하면 에어 커튼(150)이 우선 작동하고, 외부 공기 오염도가 더 나빠지면 에어 커튼(150)과 수증기 분사 장치(160)가 함께 작동한다. 나아가, 컨트롤러(180)는 외부 공기 오염도 센서(141)의 측정값이 증가할수록 수증기 분사 장치(160)의 출력이 증가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외부 공기 오염도가 약간 나쁠 때에는 수증기 분사 장치(160)를 상대적으로 약하게 가동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고, 외부 공기 오염도가 매우 나쁠 때에는 수증기 분사 장치(160)를 상대적으로 강하게 가동하여 먼지나 이물질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80)는 외부 공기 오염도 센서(141)의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예를 들면, PM2.5 75 ㎍/㎥)(이하 '제4 기준'이라 함)을 초과하면, 미리 정해진 수칙(예를 들면, "창문을 닫으세요" 등)을 방송하고, 미리 정해진 단체나 기관(예를 들면, 환경부)으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4 기준은 제3 기준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컨트롤러(180)는 내부 공기 오염도 센서(142)의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예를 들면, PM2.5 50 ㎍/㎥)(이하 '제5 기준'이라 함)을 초과하면, 미리 정해진 수칙(예를 들면, "창문을 열어 실내를 환기하세요" 등)을 방송하고, 미리 정해진 기관(예를 들면, 환경부)으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5 기준은 제2 기준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제1 구역(112A)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가상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컨트롤러(180)는 에어 커튼(150)이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출입문(111)을 통해 건물(1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기 배출을 허용한다.
또한, 컨트롤러(180)는 수증기 분사 장치(160)가 작동하도록 제어하며, 바람직하게는 이를 최대 출력으로 가동할 수 있다. 따라서, 수증기를 이용해 분진이나 미세 입자를 포집하여 제거함으로써 외부로 원치 않게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80)는 제1 급기 댐퍼(122A)가 폐쇄되고 제1 급기 팬(123A)이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제1 구역(112A)에서 산소 공급으로 인한 불길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컨트롤러(180)는 제2 급기 댐퍼(122B)가 개방되고 제2 급기 팬(123B)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제1 구역(112A)에 비해 제2 구역(112B)을 양압(즉, 고기압)으로 유지함으로써, 건물(110)의 내부에서 제1 구역(112A)으로부터 제2 구역(112B)으로 연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시 스프링클러 작동으로 침수가 일어날 수 있으며, 제1 구역(112A)에 전자 장비(미도시)가 있다면 합선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센서(171)에 의해 화재 감지 시 또는 실제로 침수 센서(172)에 의해 침수 감지 시 제1 구역(112A)으로 전기 공급을 중단하여 합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역(112A)에 배수 장비(미도시)가 있다면 이를 최대 출력으로 가동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80)는 화재, 침수 등에 관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기관이나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러(18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제1 컨트롤러(180A)라 하고 다른 하나를 제2 컨트롤러(180B)라 한다면, 제1 컨트롤러(180A)를 메인으로 사용하고 제2 컨트롤러(180B)를 서브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테면, 평상시 제1 컨트롤러(180A)를 이용해 전술한 제어를 수행하다가 제1 컨트롤러(180A)에 고장이 생기면 제2 컨트롤러(180B)로 즉시 전환하여 제2 컨트롤러(180B)를 이용해 동일한 제어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컨트롤러(180A)와 제2 컨트롤러(180B)를 교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하나의 컨트롤러만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고장률을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에 따라 일정한 주기적으로 교번할 수도 있고, 발열량이나 메모리 사용량 등에 기반하여 어느 한 컨트롤러에 과부하가 발생하면 다른 컨트롤러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교번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컨트롤러(180A)는 예컨대 급기 댐퍼(122), 급기 팬(123), 배기 댐퍼(132), 배기 팬(133) 등을 제어하는 데 사용하고 제2 컨트롤러(180B)는 예컨대 에어 커튼(150), 수증기 분사 장치(160) 등을 제어하는 데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컨트롤러(180)는 외부 공기 오염도 센서(141), 내부 공기 오염도 센서(142) 등의 측정값 및 급기 댐퍼(122), 급기 팬(123), 배기 댐퍼(132), 배기 팬(133), 에어 커튼(150), 수증기 분사 장치(160) 등의 작동 이력을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장비 점검/교체 주기를 예측하고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장비 운용 스케줄을 설정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관리 시스템(100)은 손실되는 열원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건물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모니터링 관리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건물 관리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 관리 시스템 중 하나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위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범위까지 모두 포함한다.

Claims (17)

  1. 출입문을 갖는 건물,
    상기 건물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결되는 급기 덕트,
    상기 급기 덕트상에 설치되는 급기 댐퍼,
    상기 급기 덕트상에 설치되는 급기 팬,
    상기 건물의 외부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외부 공기 오염도 센서,
    상기 출입문의 일 측에 설치되어 그 반대 측을 향해 공기를 토출하는 에어 커튼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 공기 오염도 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면, 상기 급기 댐퍼가 폐쇄되고 상기 급기 팬이 정지하며 상기 에어 커튼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건물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 공기 오염도 센서의 측정값이 증가할수록 상기 에어 커튼의 출력이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건물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결되는 배기 덕트,
    상기 배기 덕트상에 설치되는 배기 댐퍼,
    상기 배기 덕트상에 설치되는 배기 팬 및
    상기 건물의 내부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내부 공기 오염도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내부 공기 오염도 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면, 상기 배기 댐퍼가 개방되고 상기 배기 팬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건물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내부 공기 오염도 센서의 측정값이 증가할수록 상기 배기 댐퍼의 개방도와 상기 배기 팬의 출력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건물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의 일 측에 설치되어 그 반대 측을 향해 수증기를 분사하는 수증기 분사 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 공기 오염도 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면, 상기 수증기 분사 장치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건물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분사 장치가 작동하도록 미리 정해진 기준은 상기 에어 커튼이 작동하도록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높은 건물 관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커튼과 상기 수증기 분사 장치는 상기 에어 커튼이 공기를 토출하는 방향에 나란한 평면과 상기 수증기 분사 장치가 수증기를 분사하는 방향에 나란한 평면이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건물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 공기 오염도 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면, 미리 정해진 수칙을 방송하고 미리 정해진 단체나 기관으로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는 건물 관리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내부 공기 오염도 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면, 미리 정해진 수칙을 방송하고 미리 정해진 단체나 기관으로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는 건물 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화재 감지 시 상기 에어 커튼이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건물 관리 시스템.
  11. 제5항에 있어서,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화재 감지 시 상기 수증기 분사 장치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건물 관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내부는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포함해 복수로 구획되고,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구역에서 화재 감지 시, 외부로부터 상기 제1 구역으로 공기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제1 구역으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제2 구역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건물 관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내부는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포함해 복수로 구획되고,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구역에서 화재 감지 시 상기 제1 구역으로 전력 공급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건물 관리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내부는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포함해 복수로 구획되고,
    침수 여부를 감지하는 침수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구역에서 침수 감지 시 상기 제1 구역으로 전력 공급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건물 관리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제1 컨트롤러와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해 복수로 제공되어,
    상기 제1 컨트롤러가 동작하다가 상기 제1 컨트롤러에 고장이 생기면 상기 제2 컨트롤러가 동작하게 되는 건물 관리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제1 컨트롤러와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해 복수로 제공되어,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상기 제2 컨트롤러가 교번하여 동작하는 건물 관리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제1 컨트롤러와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해 복수로 제공되어,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급기 댐퍼, 상기 급기 팬 및 상기 에어 커튼 중 일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급기 댐퍼, 상기 급기 팬 및 상기 에어 커튼 중 나머지 일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건물 관리 시스템.
KR1020210163172A 2021-11-24 2021-11-24 건물 관리 및 공기 질 개선 자동 제어 시스템 KR102619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172A KR102619681B1 (ko) 2021-11-24 2021-11-24 건물 관리 및 공기 질 개선 자동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172A KR102619681B1 (ko) 2021-11-24 2021-11-24 건물 관리 및 공기 질 개선 자동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343A true KR20230076343A (ko) 2023-05-31
KR102619681B1 KR102619681B1 (ko) 2024-01-02

Family

ID=86542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172A KR102619681B1 (ko) 2021-11-24 2021-11-24 건물 관리 및 공기 질 개선 자동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68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869A (ko) 2009-03-12 2010-09-27 미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동주택용 환기 시스템
KR20120132857A (ko) * 2011-05-30 2012-12-10 (주)세기시스템 횡류형 에어커튼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80001895A (ko) * 2016-06-28 2018-01-05 주식회사 세진 안정성이 향상된 시설물 원격 통합 관리시스템
KR20200090273A (ko) * 2019-01-18 2020-07-29 최민수 Bas, bems, fms, si, 전력제어, 조명제어를 재난 대비 상황에 맞춰 제어하는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KR20210027806A (ko) * 2019-09-03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240479B1 (ko) * 2020-06-16 2021-04-16 유완식 에어커튼 시스템
KR102263908B1 (ko) * 2020-07-09 2021-06-14 주식회사 유온링크 복합 청정시스템이 구비된 스마트 게이트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869A (ko) 2009-03-12 2010-09-27 미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동주택용 환기 시스템
KR20120132857A (ko) * 2011-05-30 2012-12-10 (주)세기시스템 횡류형 에어커튼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80001895A (ko) * 2016-06-28 2018-01-05 주식회사 세진 안정성이 향상된 시설물 원격 통합 관리시스템
KR20200090273A (ko) * 2019-01-18 2020-07-29 최민수 Bas, bems, fms, si, 전력제어, 조명제어를 재난 대비 상황에 맞춰 제어하는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KR20210027806A (ko) * 2019-09-03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240479B1 (ko) * 2020-06-16 2021-04-16 유완식 에어커튼 시스템
KR102263908B1 (ko) * 2020-07-09 2021-06-14 주식회사 유온링크 복합 청정시스템이 구비된 스마트 게이트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681B1 (ko)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3734B2 (ja) 換気システム
CN101313640B (zh) 机柜温控装置、系统
CN207990779U (zh) 一种洁净手术室温湿度控制系统
CN205546261U (zh) 紧凑节能型智能管理一体化机房
KR102055298B1 (ko)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KR20190050879A (ko)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KR102054268B1 (ko) 지하복합상업시설의 화재연계 지능형 통합 공조시스템
KR20100120147A (ko) 에어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설비 룸
KR102081237B1 (ko) 환기 및 에너지 절감형 공기청정기
CN105953358B (zh) 空调安全防护方法、装置和空调
CN101504175B (zh) 带自清洁功能的新风引入装置及其自清洁方法
CN203480299U (zh) 智能楼宇节能系统
KR101965126B1 (ko)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벽부설치 급배기 일체형 환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02836781A (zh) 一种全自动高效静电除尘装置
KR102319017B1 (ko) 전열교환기 결로방지 및 외기냉난방 운전고지기능을 구비한 환기장치
KR20180063813A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6802767B2 (en) Local exhausting and ventilating methods, and local exhausting device and local ventilating system
JP2017503997A (ja) サーバ室冷却装置、外気導入用フィルタモジュール、及びデータセンターの空調システム
CN105157182A (zh) 基站热源智能管理节能系统
CN111132510B (zh) 一种机柜式数据中心运行环境监控系统及方法
KR100652249B1 (ko) 냉각탑 제어시스템
KR20230076343A (ko) 건물 관리 및 공기 질 개선 자동 제어 시스템
KR200412707Y1 (ko) 냉각탑 제어시스템
CN103148558A (zh) 温湿度控制系统
JP6656043B2 (ja) 換気システムおよび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