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5837A -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5837A
KR20230075837A KR1020210162445A KR20210162445A KR20230075837A KR 20230075837 A KR20230075837 A KR 20230075837A KR 1020210162445 A KR1020210162445 A KR 1020210162445A KR 20210162445 A KR20210162445 A KR 20210162445A KR 20230075837 A KR20230075837 A KR 20230075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pping mall
promotion
page
user
produ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민
신석원
김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쇼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쇼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쇼다
Priority to KR1020210162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5837A/ko
Publication of KR20230075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구비하지 않고도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쇼핑몰 판촉 페이지를 자동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는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DEVICE FOR MAKING AND PROVIDING AUTOMATED SHOPPING MALL PROMOTION SUPPORT SERVICE BASED ON SHOPPING MALL DATA}
본 발명은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구비하지 않고도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쇼핑몰 판촉 페이지를 자동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는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에 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편리함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품 구매 시 직접 매장에 방문하지 않아도 되는 온라인 쇼핑 서비스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가 전세계적으로 유행함에 따라서 비대면 및 비접촉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비대면 고객 층의 활동이 더욱 가속화되면서 온라인 쇼핑몰 등의 온라인 매장으로의 비대면 고객 유입을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광고 및 마케팅 활동이 가속화되고 있다.
한편, 온라인 매장 운영에는 디지털 판촉물을 통한 홍보가 기본적으로 필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지만, 비용, 인력 및 시간이 부족한 소상공인 및 개인 사업자들은 이러한 디지털 판촉물의 제작 단계에서부터 곤란함을 겪을 수 있다. 디지털 판촉물에 해당하는 웹 판촉 페이지는 PC 또는 휴대폰으로 접속하여 조회 가능한 반응형 랜딩페이지(URL), 이메일 및 블로그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판촉 페이지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전문 웹 디자이너 또는 개발자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현재 웹 페이지 제작 용이성을 높이기 위한 레이아웃 제작 툴들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인 기능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쇼핑몰에서 판매중인 상품 데이터를 빠르고 간편하게 페이지에 적재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 부재하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쇼핑몰 상품 정보를 입력 및 편집하여 페이지를 제작해야 하고, 서버 탑재와 URL 확보 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능력이 필요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시중에 출시된 광고 시스템들은 신규 방문자의 유입을 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검색 광고, 배너 광고, 동영상 광고 제작 및 타겟팅 광고 노출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 대형 이커머스 플랫폼 또는 쇼핑몰에 적합한 특징을 나타내지만, 여타 온라인 쇼핑몰과 차별화된 상품들을 묶어서 보여주려는 소형 쇼핑몰 운영자의 전략을 반영하기 어려우며, 해당 온라인 구매처에 대한 로그인에 앞서 온라인 쇼핑몰의 추천 상품들을 미리 확인하고 싶어하는 고객 층에게 만족감을 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이러한 종합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기술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3303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구비하지 않고도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쇼핑몰 판촉 페이지를 자동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는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는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 정보를 수집하는 상품 정보 수집부; 사용자 단말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을 홍보하기 위한 판촉 페이지를 생성하는 판촉 페이지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판촉 페이지를 상기 온라인 쇼핑몰의 고객에게 제공하는 판촉 페이지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품 정보 수집부는,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품 정보 수집부는, 하나 이상의 온라인 쇼핑몰 각각과 대응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각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품 정보는, 상품의 명칭, 카테고리, 가격 및 설명으로 분류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촉 페이지 생성부는, 각기 상이한 유형의 상기 템플릿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판촉 페이지 샘플을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촉 페이지 제공부는, 상기 판촉 페이지의 레이아웃 및 콘텐츠 편집 기능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들로부터 쇼핑몰 연동형 판촉 페이지를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상품의 상세 정보를 자동적으로 수집 및 분석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사용자는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구비하지 않고도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쇼핑몰 판촉 페이지를 자동 생성 및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내지 도 10은 쇼핑몰 고객반응 분석을 이용한 자동화된 쇼핑몰 모바일 판촉 페이지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1은 쇼핑몰 고객반응 분석을 이용한 자동화된 쇼핑몰 모바일 판촉 페이지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100)는 쇼핑몰 판촉 기획전 서비스 생성 및 전송 장치(110) 및 사용자 단말(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쇼핑몰 판촉 기획전 서비스 생성 및 전송 장치(110) 및 사용자 단말(10)은 서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쇼핑몰 판촉 기획전 서비스 생성 및 전송 장치(1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1 내지 10-3)과 연결될 수 있다.
쇼핑몰 판촉 기획전 서비스 생성 및 전송 장치(110)는 쇼핑몽 판촉 지원 서비스 제공사에 의해 관리되는 컴퓨팅 장치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과 연결되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요청되는 정보를 검색 또는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쇼핑몰 판촉 기획전 서비스 생성 및 전송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용자가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요청되는 쇼핑몰 판촉 지원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가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 각각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에 의해 휴대, 관리 또는 조작되는 컴퓨팅 장치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은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을 인식할 수 있고, 유/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컴퓨팅 장치로,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등의 전자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입력을 인식할 수 있고, 유/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컴퓨팅 장치라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0)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쇼핑몰 판촉 기획전 서비스 생성 및 전송 장치(110)는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판촉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은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판촉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지원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마켓(예: 안드로이드 마켓 등)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해당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판촉 지원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1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쇼핑몰 판촉 기획전 서비스 생성 및 전송 장치(110)와 연동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쇼핑몰 지원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상기 쇼핑몰 지원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사용자는 쇼핑몰 판촉 기획전 서비스 생성 및 전송 장치(110)와 연동되어 쇼핑몰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를 통해서도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판촉 지원 서비스 제공 기술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쇼핑몰 판촉 기획전 서비스 생성 및 전송 장치(110)는 사용자가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촉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품 정보 수집부(111), 판촉 페이지 생성부(112), 판촉 페이지 제공부(113) 및 피드백 분석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품 정보 수집부(111)는 상기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상품 정보는 상품의 명칭, 카테고리, 가격 및 설명으로 분류되는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상기 상품의 설명으로 분류되는 정보는 상품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설명 자료의 URL, 상품의 상세 설명, 상품의 요약 설명, 해시태그, 판매 활성화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각 상품 별로 수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 정보 수집부(111)는 상기 분류되는 정보 각각과 관련되는 상품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상품 이미지 정보는 상기 상품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로서, 상술한 분류되는 정보 각각에 해당하는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수집하는 것 외에도 이미지 형태로 수집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수집된 이미지 내에는 상기 분류되는 정보 각각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 정보 수집부(111)는 상품 정보 수집부(111)가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쇼핑몰 판촉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 정보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 본 발명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웹 브라우저에서의 로그인 정보, 사용자 단말(10)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 정보 수집부(111)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수집 결과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품 정보 수집 결과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수집된 상품 정보는 상품 카테고리 별로 정렬된 상품들 각각에 매시업(Mashup)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품 정보 수집부(111)는 상품 카테고리 별로 정렬되어 출력되는 상품들 중 하나에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해서 수집된 모든 상품 정보를 로딩함으로써, 해당 상품에 대한 판촉 페이지 자동 생성을 준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 정보 수집부(11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쇼핑몰 각각과 대응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각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품 정보 수집부(111)는 각 온라인 쇼핑몰에서 사용되는 API 인증키를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받고, API 인증키가 입력되어 정보가 연동된 온라인 쇼핑몰 각각에 대한 쇼핑몰 카테고리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연동된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상품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판촉 페이지 생성부(112)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을 홍보하기 위한 판촉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촉 페이지 생성부(112)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인가되는 간단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판촉 페이지를 자동 생성할 수 있다. 다만, 판촉 페이지의 생성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사용자 입력을 통해 직접 판촉 페이지를 생성하거나 및 이미 생성된 판촉 페이지를 수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판촉 페이지 생성부(112)는 상기 판촉 페이지의 레이아웃 및 콘텐츠 편집 기능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판촉 페이지의 구성을 설정할 수 있는 판촉 페이지 구성 설정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촉 페이지 생성부(112)는 도 4의 좌측에 위치하는 상기 판촉 페이지 구성 설정 버튼들에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판촉 페이지를 구성하는 템플릿(20) 및 템플릿(20)을 구성하는 이미지 상자(21)의 형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예는 사용자가 직접 판촉 페이지의 구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에 대한 예시이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판촉 페이지 생성부(112)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판촉 페이지를 생성할 상품이 선택되는 경우, 임의로 판촉 페이지의 템플릿(20) 및 이미지 상자(21)에 대한 설정을 완료하고 자동으로 콘텐츠를 구성하여 판촉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저장된 상품 이미지 정보를 상기 판촉 페이지 상의 특정 위치에 안내하여, 상기 판촉 페이지의 콘텐츠를 구성하도록 하는 템플릿(Template)(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템플릿(20)은 판촉 페이지 내의 콘텐츠를 구성하기 위한 틀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템플릿(20)은 상기 저장된 상품 이미지 정보를 적재하기 위한 복수의 이미지 상자(21)를 포함할 수 있다. 템플릿(20)의 형태가 설정되면, 템플릿(20)을 구성하는 이미지 상자(21) 각각에는 미리 수집되어 저장된 상기 상품 이미지 정보가 위치하도록 적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판촉 페이지 생성부(112)는 상기 분류되는 정보 각각과 대응되도록 설정된 상기 이미지 상자 각각에, 상기 분류되는 정보와 관련되어 저장된 상품 이미지 정보를 적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상자(21)의 구성 및 이에 적재되는 상기 상품 이미지 정보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상품 정보 수집부(1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비되는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 상자(21) 각각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상기 상품 이미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어서, 판촉 페이지 생성부(112)는 복수의 이미지 상자(21) 각각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수집된 상기 상품 이미지 정보를 미리 설정된 템플릿(20)의 구성에 따라 이미지 상자(21)에 적재함으로써, 판촉 페이지의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이미지 상자(21)는 상기 분류되는 정보 중 상품의 명칭과 관련된 정보와 대응되도록 설정됨으로써, 상품의 명칭과 관련되어 수집되고 저장된 상기 상품 이미지 정보가 자동으로 적재될 수 있으며, 형태는 다른 이미지 상자(21)들에 비해 비교적 폭이 좁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판촉 페이지 생성부(112)는 임의로 판촉 페이지의 템플릿(20) 및 이미지 상자(21)에 대한 설정을 수행하되,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상품에 대한 갯수, 상기 상품 정보를 수집한 쇼핑몰의 메인 코너 전시여부, 각 상품의 등록 일시, 상품 카테고리 별 우선 순위, 상품의 크기 및 품목, 쇼핑몰 로그로부터 분석되는 상품 별 구매 데이터를 반영하여 상기 판촉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판촉 페이지 생성부(112)는 각기 상이한 유형의 상기 템플릿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판촉 페이지 샘플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촉 페이지 생성부(112)는 임의로 판촉 페이지의 템플릿(20) 및 이미지 상자(21)의 구성을 자동으로 설정하되, 최적의 판촉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판촉 페이지를 도출하기 위해 서로 다른 형태로 구성되는 복수의 판촉 페이지 샘플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복수의 판촉 페이지 샘플들은 전송 테스트를 통한 검증을 받게 될 수 있으며, 검증 단계가 완료되면 최종적인 형태의 판촉 페이지가 도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판촉 페이지 생성부(112)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템플릿(20) 및 이미지 상자(21)의 폭, 테두리 두께, 색상 및 여백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판촉 페이지 생성부(112)는 판촉 페이지를 구성하기 위해 복수의 이미지 상자(21) 형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상자(21)는 타이틀형 이미지 상자, 세로형 이미지 상자, 가로형 이미지 상자, 텍스트 및 이미지 혼합형 상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판촉 페이지 제공부(113)는 상기 생성된 판촉 페이지를 상기 온라인 쇼핑몰의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판촉 페이지 제공부(113)는 상기 고객 중 일부 고객에게 상기 생성된 복수의 판촉 페이지 샘플 중 하나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촉 페이지 샘플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판촉 페이지 제공부(113)는 복수의 판촉 페이지 샘플(A, B, C)이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판촉 페이지 샘플들을 무작위로 각 고객의 사용자 단말(10-1, 10-2, 10-3 ...)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촉 페이지 제공부(113)는 쇼핑몰 대상 고객의 10%에 해당하는 고객을 임의로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고객에게 복수의 판촉 페이지 샘플들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판촉 페이지 제공부(113)는 온라인 네트워크 상에서 복수의 경로를 통해 상기 생성된 판촉 페이지를 상기 고객에게 전달 및 노출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촉 페이지의 전달 및 노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판촉 페이지 관리 인터페이스(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판촉 페이지 생성이 완료된 상품은 판촉 페이지 관리 인터페이스(30)에 등록되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판촉 페이지 관리 인터페이스(30)에 등록된 상품을 노출시키기 위한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 또는 블로그 주소를 추가하여 자동적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판촉 페이지 제공부(113)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추가되는 고객 주소록을 통해 판촉 페이지의 주소 링크(URL)를 상기 고객에게 전달함으로써, 판촉 페이지를 상기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판촉 페이지 제공부(113)는 온라인 네트워크 상에서 복수의 경로를 통해 상기 생성된 판촉 페이지를 상기 고객에게 일괄적으로 전달 및 노출시키기 위한 판촉 페이지 관리 인터페이스(30)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판촉 페이지 제공부(113)는 한번 생성된 판촉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판촉 페이지 관리 인터페이스(3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한번 생성된 판촉 페이지에 대한 정보는 고유 식별자를 통해 목록화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목록화된 판촉 페이지 각각에 대해서 추가된 전달 경로 및 노출 경로 또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판촉 페이지의 상품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판촉 페이지의 콘텐츠만 새로 생성하고 전달 경로 및 노출 경로는 별도로 설정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판촉 페이지 제공부(113)는 상기 고객에게 전달 및 노출되는 판촉 페이지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호 작용하는 반응형 판촉 페이지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반응형 판촉 페이지의 콘텐츠로서 포함되는 상품 이미지에 사용자 입력을 인가함으로써,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쇼핑몰 주소로 이동할 수 있다.
피드백 분석부(114)는 상기 고객에게 제공된 판촉 페이지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드백 분석부(114)는 상기 일부 고객에게 제공된 복수의 판촉 페이지 샘플 중 가장 많은 피드백 정보가 집계되는 판촉 페이지 샘플의 형태를 최적 판촉 페이지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최적 판촉 페이지가 설정되면, 판촉 페이지 제공부(113)는 상기 최적 판촉 페이지의 주소 링크(URL)를 상기 고객에게 전달함으로써, 상기 최적 판촉 페이지를 상기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 판촉 페이지의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최적 판촉 페이지(판촉 페이지 샘플(B))가 설정된 후에는, 상기 고객들에게 상기 최적 판촉 페이지(판촉 페이지 샘플(B)) 만을 제공함으로써, 판촉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드백 분석부(114)는 고객에게 제공 및 노출되는 판촉 페이지와 관련된 피드백 정보를 머신러닝을 통해 재학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자동 판촉 페이지 생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분석부(114)는 상기 고객에게 제공된 복수의 판촉 페이지 샘플에 대한 피드백 정보, 상기 고객에게 제공된 최적 판촉 페이지에 대한 피드백 정보, 판촉 페이지를 구성하는 템플릿(20) 및 이미지 상자(21)의 형태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가장 높은 효율을 나타내는 판촉 페이지의 구성을 판단하여 이와 관련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분석부(114)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상기 복수의 판촉 페이지 샘플들과 최적 판촉 페이지 대한 고객의 체류 시간, 접속한 고객 숫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된 상품 정보 등의 피드백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정보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판촉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판촉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온라인 쇼핑몰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를 분석 및 수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집되는 상품 정보는 상품의 명칭, 가격 및 설명 등으로 분류되는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류되는 정보들을 포함하는 이미지화된 상품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510).
쇼핑몰 판촉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는 상품에 대한 판촉 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공되는 판촉 페이지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라 수집되는 피드백 정보를 적용하여 재학습하는 머신러닝 과정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S520).
상기 생성된 판촉 페이지는 온라인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고객들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판촉 페이지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용이하게 상기 생성된 판촉 페이지를 고객들에게 노출 및 전달할 수 있다(S530).
상기 과정들을 통해 고객들에게 노출 및 전달되는 판촉 페이지와 관련된 피드백 정보는 수집되어 머신러닝에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에게 온라인 쇼핑몰 판촉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54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 정보를 수집하는 상품 정보 수집부;
    사용자 단말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을 홍보하기 위한 판촉 페이지를 생성하는 판촉 페이지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판촉 페이지를 상기 온라인 쇼핑몰의 고객에게 제공하는 판촉 페이지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수집부는,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수집부는,
    하나 이상의 온라인 쇼핑몰 각각과 대응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각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는,
    상품의 명칭, 카테고리, 가격 및 설명으로 분류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촉 페이지 생성부는,
    각기 상이한 유형의 상기 템플릿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판촉 페이지 샘플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촉 페이지 제공부는,
    상기 판촉 페이지의 레이아웃 및 콘텐츠 편집 기능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
KR1020210162445A 2021-11-23 2021-11-23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 KR20230075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445A KR20230075837A (ko) 2021-11-23 2021-11-23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445A KR20230075837A (ko) 2021-11-23 2021-11-23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837A true KR20230075837A (ko) 2023-05-31

Family

ID=8654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445A KR20230075837A (ko) 2021-11-23 2021-11-23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583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039B1 (ko) 2020-03-30 2020-07-10 서명교 의류 쇼핑몰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039B1 (ko) 2020-03-30 2020-07-10 서명교 의류 쇼핑몰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351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pplication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social platform
WO2005001656A2 (en) Internet-based brand management and marketing communication network
JP2017162377A (ja) 広告動画管理装置、広告動画管理システム、広告動画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広告動画管理方法
US201202840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hair stylist referrals
WO2014008766A1 (zh) 一种在网络交易中的信息分析系统和方法
JP7223934B2 (ja) 中間流通業者を経由して最初供給者及び購買者を連結する流通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CN111880890A (zh) 一种城市门户系统
US904326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data dependencies for reports
KR20210004176A (ko) 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한 상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및 그 방법
KR20210007632A (ko) 상품별 등록 스케쥴을 기반으로 온라인 마켓 api 연동을 통해 상품의 등록 관리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이의 동작 방법
TW201636925A (zh) 網路資訊流通方法
JP2009058988A (ja) アフィリエイト管理サーバ装置、アフィリエイト管理方法、およびアフィリエイト管理サーバプログラム
KR20200097544A (ko) 리셀러들을 위한 콘텐츠 큐레이션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KR20230075837A (ko) 쇼핑몰 액티비티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기획전 생성 및 전송 장치
KR20230075841A (ko) 쇼핑몰 상품 데이터를 이용한 자동화된 상품 기획전 생성 및 관리 시스템
KR102334612B1 (ko) 잔여 시간을 고려하여 생성되는 웨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US201402499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motion creation and redeption
KR20230075857A (ko) 쇼핑몰 상품에 대한 고객 반응 분석을 이용한 자동화된 쇼핑몰 기획전 제작 방법
JP200200774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上で動作する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1402075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erchant managed marketing distribution
KR20130079255A (ko) 스마트온 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모바일 브로슈어 저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220089594A (ko) 자동화된 쇼핑몰 판촉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30114326A (ko) 웹 디자인 거래 방법 및 시스템
WO20020150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website development and management
KR102668261B1 (ko) 가상상품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