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5341A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latform album servic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latform album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5341A
KR20230075341A KR1020220082534A KR20220082534A KR20230075341A KR 20230075341 A KR20230075341 A KR 20230075341A KR 1020220082534 A KR1020220082534 A KR 1020220082534A KR 20220082534 A KR20220082534 A KR 20220082534A KR 20230075341 A KR20230075341 A KR 20230075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bum
platform
information
identification cod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5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66312B1 (en
Inventor
김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니레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423486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3007534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니레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니레코드
Priority to PCT/KR2022/00970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90565A1/en
Publication of KR20230075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341A/en
Priority to KR1020230103412A priority patent/KR202301217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3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폼 앨범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이 아이템에 표시된 식별 코드를 획득함에 따라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식별 코드의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플랫폼 앨범의 컨텐츠로서 제공하는 플랫폼 앨범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form album servi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s a user terminal acquires an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an item,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is transmitted from a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to a user terminal. It relates to a platform album service system provided as content.

Description

플랫폼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LATFORM ALBUM SERVICE}Platform album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LATFORM ALBUM SERVICE}

본 발명은 플랫폼 앨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실물로 구입한 아이템에 표시된 QR 코드와 같은 정보 이미지를 단말을 통해 획득하고, 정보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서버에서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플랫폼 앨범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에게 아티스트의 음원뿐만 아니라, 플랫폼 앨범과 관련된 사용자 환경에 아티스트 이미지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영상은 사용자 환경에 오버레이하여 증강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방식 및 3차원 공간에서 사용자 아바타를 기준으로 콘텐츠를 배치하여 출력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플랫폼 앨범 서비스 가 제공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latform album service, wherein an information image such as a QR code displayed on an item purchased by a user in real life is acquired through a terminal, a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image is provided from a server. It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capable of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 platform album service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to provide users with an artist image or video in a user environment related to a platform album, as well as an artist's music source. In addition, such an image is a platform album service that provides various contents by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ethod of outputt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by overlaying the image on the user environment and a method of arranging and outputting the content based on the user's avatar in a 3D space. may be provided.

한국 K팝의 CD 판매량은 2021년 기준 5천만장을 돌파하고 있다.CD sales of K-pop in Korea are surpassing 50 million copies as of 2021.

K팝 아이돌 앨범이 포토카드, 팬미팅 응모권이 포함된 기념상품(굿즈) 형식으로 발매되면서 시장이 매년 크게 성장하고 있다.As K-pop idol albums are released in the form of souvenir products (goods) that include photo cards and fan meeting tickets, the market is growing significantly every year.

이러한 추세에 대해 전문가들은 코로나 19로 인해 기존 K팝 팬이 소비할 수 있는 콘텐츠에 제약이 생기면서 소장 가능한 음반으로 소비를 돌리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Regarding this trend, experts analyzed that it is because existing K-pop fans are turning their consumption to collectible albums as Corona 19 has placed restrictions on the content that existing K-pop fans can consume.

반면, 미국은 디지털 음원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되면서 CD 판매량이 꾸준히 줄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피지컬 CD의 구매 용도가 국내 K팝에서와는 달리 제한적이다 보니 산업이 빠르게 쇠락하고 있다고 분석했다.On the other hand, CD sales in the US are steadily declining as the market is reorganized around digital music. Regarding this, experts analyzed that the industry is rapidly declining because the purchase use of physical CDs is limited unlike that of K-pop in Korea.

미국 CD 시장을 마지막으로 지탱하는 공신은 K팝 아티스트라고 한다.It is said that the last contributor to the US CD market is K-pop artists.

따라서, 앞으로는 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면서 전자기기를 통하여 접속 가능한 앨범 플랫폼과, 앨범 플랫폼과 연결되어 정해진 접속자에게 고유 공간을 제공하는 창작 콘텐츠, 앨범 플랫폼의 사용자가 접속하여 업로드 또는 링크된 파일에 접속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공연 콘텐츠, 앨범 플랫폼을 통하여 다양한 음악 관련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및 팬 사용자가 접속하여 플랫폼 앨범을 참여형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이나, 아티스트와 상호 소통할 수 있는 기능 등을 더 탑재하여 소비자들의 관심을 이끌만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앨범 사업에 경쟁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Therefore, in the future, an album platform that can provide various services related to music and can be accessed through electronic devices, creative content that provides a unique space to designated users by being connected to the album platform, and uploads or links that are accessed by users of the album platform. Performance content made accessible to files, a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allows various music-related services to be provided through the album platform, and a function for fan users to connect and use the platform album in a participatory way, or a function to communicate with artis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ents that can attract consumers' attention by installing more etc. and to have competitiveness in the album busines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9028호 (출원일: 2018년 03월 02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39028 (filing date: March 02, 201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에게 전자 기기를 통해 플랫폼 앨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 platform album service to a user through an electronic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구매한 실물 아이템에 인쇄된 QR 코드와 같은 정보 이미지를 통해 플랫폼 앨범 서비스에서 확인할 수 있는 컨텐츠를 자신의 단말을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access content that can be checked in a platform album service through an information image such as a QR code printed on a purchased physical item through his/her terminal. .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구매한 실물 아이템에 인쇄된 QR 코드와 같은 정보 이미지에 해당 실물 아이템에 인쇄된 실물 이미지의 정보를 매핑 시켜 정보 이미지를 단말을 통해 식별함으로써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플랫폼 앨범 서비스에서 실물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the information image through the terminal by mapping the information of the real image printed on the real item to the information image, such as a QR code printed on the real item purchased by the user. In the platform album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termina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 real imag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구매한 실물 아이템에 인쇄된 QR 코드와 같은 정보 이미지에 대응하는 아티스트 정보, 컨텐츠 정보, 각 정보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시킴으로써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실물 아이템에 대응한 플랫폼 앨범의 판매 여부를 집계하고, 이에 대응하는 아티스트의 컨텐츠를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rtist information, content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information image corresponding to an information image such as a QR code printed on a real item purchased by a user, so that the actual product i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counting whether or not platform albums corresponding to items have been sold and providing corresponding artist contents to a user's terminal.

또한 전자기기를 통하여 접속 가능한 앨범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아티스트의 음원 플레이어뿐만 아니라, 사용자 환경에 아티스트 영상을 오버레이하여 증강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기능 및 3차원 공간에서 사용자 아바타를 기준으로 콘텐츠를 배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 앨범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lbum platform accessible through electronic devices provides users with not only the artist's sound source player, but also the function of outputting an augmented reality video by overlaying the artist's video on the user's environment and arranging content based on the user's avatar in a 3D spa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implementing a platform album service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contents including a function of outputting.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플랫폼 앨범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표시된 식별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별 코드의 획득에 따라 상기 식별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플랫폼 앨범의 컨텐츠로서, 상기 식별 코드의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컨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includes obtaining an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an item corresponding to a platform album; Transmitt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to a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according to the acquisi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Receiving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as contents of the platform album from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and outputt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한 컨텐츠 정보는, 상기 식별 코드와 함께 상기 아이템에 표시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플랫폼 앨범에서 상기 아이템에 인쇄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mage displayed on the item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outputting may include an image printed on the item in the platform album. It may include providing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플랫폼 앨범의 앨범 아트 또는 포토북 내 이미지로 상기 아이템에 인쇄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viding of the image information may include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mage printed on the item as album art of the platform album or an image in a photobook.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에 전송된 식별 코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플랫폼 앨범에 대응되는 판매 실적 또는 이용 실적이 확인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identification code transmitted to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sales performance or usage performance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album may be confirm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판매 실적 또는 상기 이용 실적이 컨텐츠 관련 차트에 제공된 것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thod of providing the content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the user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sales performance or the usage record being provided to the content-related char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식별 코드의 정보에 대응하는 동영상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video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상기 플랫폼 앨범의 뮤직 비디오, 비하인드 영상 또는 영상 메시지로 출력하거나, 상기 수신한 사운드 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상기 플랫폼 앨범의 트랙 사운드 또는 배경음(BGM)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utputting may include outputting a video corresponding to the video information as a music video, a behind-the-scenes video, or a video message of the platform album, or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information of the platform album. It may include outputting as track sound or background sound (BGM).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식별 코드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아이템에 대한 구매 실적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n icon representing a purchase result for the item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구매 실적 또는 상기 플랫폼 앨범을 통한 활동 실적에 따라 소정 등급으로 분류되는 레벨을 사용자의 계정에 할당받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레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차등적인 혜택을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assigning a level classified into a predetermined level to an account of a user according to a user's purchase history or activity record through the platform album from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and receiving differential benefits to the account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assigned leve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플랫폼 앨범에 대응하는 별도의 아이템에 표시된 식별 코드를 추가로 인식하는 단계; 상기 추가적인 식별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기존에 전송된 식별 코드의 정보 및 상기 추가적인 식별 코드의 정보의 조합에 대응하는 추가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further includes recognizing an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a separate item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album; Transmitt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dditional identification code to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and receiving additional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ombination of previously transmitted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and additional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from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플랫폼 앨범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표시된 식별 코드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플랫폼 앨범의 컨텐츠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 앨범의 컨텐츠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from a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includes receiving information of an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an item corresponding to a platform album from a user terminal; Checking content information of a platform album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and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of the platform album to the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공된 컨텐츠 정보는 상기 식별 코드와 함께 상기 아이템에 표시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아이템에 인쇄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플랫폼 앨범에서 출력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vided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mage displayed on the item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and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mage printed on the item is a platform album of the user terminal. can be output from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이템에 인쇄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가 상기 플랫폼 앨범의 앨범 아트 또는 포토북 내 이미지로 출력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mage printed on the item may be output as album art of the platform album or an image in a photobook.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수신한 식별 코드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플랫폼 앨범에 대응되는 판매 실적 또는 이용 실적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checking sales results or usage results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album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identification cod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확인된 판매 실적 또는 이용 실적을 음악 차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confirmed sales record or usage record to an external server providing a music chart servi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식별 코드의 정보에 대응하는 동영상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video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동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동영상이 상기 플랫폼 앨범의 뮤직 비디오, 비하인드 영상 또는 영상 메시지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될 수 있고,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운드 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상기 플랫폼 앨범의 트랙 사운드 또는 배경음(BGM)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a video corresponding to the video information may be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as a music video, a behind-the-scenes video, or a video message of the platform album, and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information may be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as a track sound or background sound (BGM) of the platform album.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식별 코드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아이템에 대한 구매 실적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계정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an icon representing a purchase result for the item to an account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구매 실적 또는 상기 플랫폼 앨범을 통한 활동 실적에 따라 소정 등급으로 분류되는 레벨을 사용자의 계정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레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차등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includes allocating a level classified into a predetermined level to an account of a user according to a user's purchase history or activity record through the platform album from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and providing differential benefits to the account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assigned leve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플랫폼 앨범에 대응하는 별도의 아이템에 표시된 식별 코드의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는 단계; 기존에 수신한 식별 코드 및 상기 추가적인 식별 코드의 조합에 대응하는 상기 플랫폼 앨범의 추가 컨텐츠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 컨텐츠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es receiving information of an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a separate item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album from the user terminal; Checking the additional content information of the platform album correspon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previously received identification code and the additional identification code; and providing the additional conten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입출력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어, 플랫폼 앨범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표시된 식별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 코드의 획득에 따라 상기 식별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플랫폼 앨범의 컨텐츠로서, 상기 식별 코드의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컨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한다.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includes an input/output interface, a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and a processor, and the processor is connected to the input/output interface and the memory to obtain an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in an item corresponding to a platform album. and transmit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to a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according to the acquisi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and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as contents of the platform album from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and output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는 트랜시버,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로부터 플랫폼 앨범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표시된 식별 코드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플랫폼 앨범의 컨텐츠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플랫폼 앨범의 컨텐츠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A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includes a transceiver, a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and a processor, and the processor is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and the memory and is displayed in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album from a user terminal.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is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of the platform album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is checked, and content information of the platform album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플랫폼 앨범에 대응하며 복수의 면을 포함하는 아이템은, 상기 복수의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표시되는 식별 코드; 및 상기 복수의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인쇄된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코드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인식되어 상기 식별 코드의 정보가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에 전송되는 경우, 상기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가 제공된다.An item corresponding to a platform album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ides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sides; and an image print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rfaces, and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recognized by a user terminal and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is transmitted to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Content information including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from.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이템은, 상기 복수의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상기 플랫폼 앨범의 명칭, 상기 플랫폼 앨범의 제작 업체명, 상기 플랫폼 앨범의 유통 업체명 및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저작권 표기 중 적어도 일부가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tem has at least a part of the name of the platform album, the name of the producer of the platform album, the name of the distributor of the platform album, and the copyright mark for the item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ides. may be additionally displayed.

한편,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recorded may be provided.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앨범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에게 증강현실 기술과 가상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아티스트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팬들에게 친밀감과 몰입감을 줄 수 있다.In the platform album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ive fans a sense of intimacy and immersion by providing artist content to users based o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앨범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아티스트에 관련된 콘텐츠를 플랫폼 앨범으로 제작함으로써, 제작비는 최소화하고, 재고관리, 앨범 수요 예측이 필요 없기 때문에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있을 때마다 플랫폼 앨범의 발행이 자동으로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latform album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ducing content related to an artist as a platform album, production costs are minimized, and inventory management and album demand prediction are unnecessary, so when there is a user who wants to purchase Each platform album can be issued automatical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앨범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팬 사용자를 구매와 활동 실적에 따라 레벨을 구분함으로써, 플랫폼 앨범 사업자에게는 아티스트 콘텐츠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팬덤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latform album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lassifying fan users according to purchase and activity records, platform album operators can create new value with artist contents and strengthen fandom.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앨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앨범을 제공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 카드를 기반으로 앱 실행 화면을 통해 출력한 증강현실 영상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플랫폼 앨범 구매자에 한하여 시청을 허여하는 라이브 콘텐츠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플랫폼 앨범에 포함되는 3차원 라운지 공간 컨텐츠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팬 사용자의 레벨에 따라 사용자 계정에 부여되는 아이콘 및 혜택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플랫폼 앨범을 구매한 팬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메가폰 기능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은 팬 사용자와 아티스트의 채팅 창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실물 매체의 구매로부터 플랫폼 앨범의 제공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0a 내지 10g는 플랫폼 앨범이 제공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latform album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n example of an execution screen of a dedicated application providing a platform alb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augmented reality image output through an app execution screen based on a photo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n example of live content that allows viewing only to platform album purchasers.
5 illustrates an example of 3D lounge space contents included in a platform album.
6 illustrates an example of icons and benefits given to user accounts according to fan user levels.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gaphone function given to a fan user who purchases a platform album.
8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hat window between a fan user and an artist.
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leading from purchase of physical media to provision of a platform album.
10A to 10G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screens of a dedicated application provided with a platform album.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echnical configuration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role, and fun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only in the claims. It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등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아래에서 설명할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기 위한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ations of each block of the accompanying block diagram and each step of the flowchart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Since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be loaded into the processor of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as general-purpose computers, special-purpose computers, portable notebook computers, and network computers, the instructions executed through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device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each step of the flow chart described below will create a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Since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computer readable memory or in memory available to a computer device that may be directed to a computer device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way, each block of a block diagram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an articl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of the flow chart. Since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also be loaded on a computer device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 process for performing a series of operation steps on a computer device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s created to create each block and flow chart in the block diagram.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of .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dditionally,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it is possible for the functions recited in blocks or step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ir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앨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latform album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앨범 서비스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 데이터베이스(300) 및 아티스트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latform album servi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a database 300, and an artist terminal 400. can include

여기서,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아티스트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아티스트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각 구성은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이 아니며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Her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through a network. Also,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artist terminal 400 through a network. In addition, at least one artist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through a network. Meanwhile, each component in the embodiment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partially omitted.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d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 wide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the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networks, telephone networks, and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s networks.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Long Term Evolution (LTE),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Fi , Internet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 A Near-Field Communication (Near-Field Communication) network, a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 analog broadcasting network,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 etc. are included, but not limited thereto.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singular and plural, and even if at least one term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singular or plural. It will be self-evident. In addition, the singular or plural number of each componen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embodiments.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을 소유한 팬이 아티스트의 플랫폼 앨범, 포토 카드, 굿즈를 구매 및 결제하기 위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 이와 같이 구매한 실물 아이템에 포함된 정보를 식별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200)는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플랫폼 앨범의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for a fan who owns the user terminal 100 to purchase and pay for an artist's platform album, photo card, or goods.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identif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rchased real item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and the service server 200 may transmit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contents of the platform album corresponding to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 터치 스크린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서버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In this cas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 pads, tablet PCs, and the like. Also, in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00 may include an input interface and an output interface for receiving a user's input, and an example of such an interface may include a touch screen and a speaker.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transceiver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a server.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memory for storing information, and such a user terminal 100 may be driven under the control of at least one processor.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아티스트에 관한 콘텐츠를 이용한 플랫폼 앨범의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이다.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아티스트의 활동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미지 정보, 동영상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플랫폼 앨범을 제작하여 아이템을 매개로 플랫폼 앨범을 구매한 사용자 단말(100)에 플랫폼 앨범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한다. 한편 실시 예에서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is a server that provides an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of a platform album using content related to an artist.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produces a platform album based on at least one of image information, video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an artist's activity, and the user terminal 100 that purchases the platform album through an item Provides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album. Meanwhile, in an embodiment,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may provid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200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플랫폼 앨범을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제작하고, 플랫폼 앨범을 구매한 사용자 단말(100)에 다운로드하여 설치되는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비대면으로 아티스트의 앨범을 구매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플랫폼 앨범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플랫폼 앨범을 제공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한편 실시 예 전반에서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는 서버로 지칭될 수 있다.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may create a platform album as a dedicated application, and download and install the platform album to the user terminal 100 that has purchased the platform album. Accordingly, the user can purchase the artist's album non-face-to-face. In other words,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may provide cont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latform album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100 . 2 shows an example of an execution screen of a dedicated application providing a platform album. Meanwhile, throughout the embodiments,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may be referred to as a serv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식별 코드(예컨대, QR 코드나 시리얼 넘버)의 정보를 전송 받는 경우, 해당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플랫폼 앨범의 판매 실적 또는 이용 실적(예컨대, 플랫폼 앨범 내 특정 음원의 스트리밍 실적)을 확인할 수 있다(1차 집계). 이어서,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확인된 판매 실적 또는 이용 실적을 음악 차트 서비스(예를 들어, 빌보드 차트, 오리콘 차트, 가온 차트, 한터 차트 등)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랫폼 앨범의 판매 실적이나 이용 실적이 외부 음악 차트의 순위 집계 시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할 때 상기 식별 코드에 대한 정보 역시 제공하여 판매 실적 또는 이용 실적을 검증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순위 집계에 특정 식별 코드에 대한 실적이 반영되는 경우,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 및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서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인원 이용 실적이 반영되었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이 구매한 아이템에 따른 구매 또는 이용 실적이 음악 차트의 순위에 반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아이템 구매의 유인이 보다 늘어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receives information of an identification code (eg, QR code or serial number) from the user terminal 100, sales performance of the platform album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Alternatively, usage performance (eg, streaming performance of a specific sound source in a platform album) can be checked (primary count). Subsequently,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may transmit the confirmed sales performance or usage performance to an external server that provides a music chart service (eg, Billboard chart, Oricon chart, Gaon chart, Hanteo chart, etc.). Through this, sales performance or usage performance of platform albums can be reflected when counting rankings of external music charts. When transmitting to the external server, information on the identification code may also be provided to verify sales results or usage results. On the other hand, when the performance for a specific identification code is reflected in such ranking aggregation, information that the number of people usage performance is reflected in at least one of the corresponding user account and user terminal in at least one of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and the external server can provide. In this way, as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purchase or usag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urchased item is reflected in the ranking of the music chart, the incentive to purchase the item can be further increased.

한편 식별 코드는 QR 코드 및 시리얼 넘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시리얼 넘버는 숫자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아이템에 표시되는 QR 코드 및 시리얼 넘버는 서로 매핑 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이 QR 코드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시리얼 넘버를 인식 시키거나, 사용자가 시리얼 넘버를 인식 시킴으로써 해당 시리얼 넘버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dentification code may be at least one of a QR code and a serial number, and the serial nu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numbers and letters. In addition, the QR code and serial number displayed on the same item can have a mapping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nd when the user terminal does not recognize the QR code, the serial number is recognized or the user recognizes the serial number to respond to the serial number content can be checked through the user terminal.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사용자가 플랫폼 앨범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표시된 식별 코드를 인식함에 따라 플랫폼 앨범 상에서 플랫폼 앨범의 컨텐츠로서 아티스트의 (1)뮤직 비디오, (2)음원 플레이어 및 트랙(즉, 각 음원을 재생 가능한 인터페이스와 앨범 내 트랙 사운드를 지칭한다), (3)포토북, (4)디지털화된 포토 카드, (5)비하인드 영상, (6)영상 메시지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1) 내지 (6)의 컨텐츠 정보는 플랫폼 앨범을 통해 제공되는(식별 코드의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 사운드 정보, 동영상 정보를 예시한 것이며, 이와 같은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팬 사용자가 확인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아이템에 표시된 식별 코드는 대응되는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 단말이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서버에 전송하면, 서버는 이에 대응한 컨텐츠를 확인하고 확인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이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아이템'은 사용자에게 플랫폼 앨범의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매개가 되는 매체로서, 포토 카드, LP, CD, 미니 CD, 카세트테이프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음반, 굿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아이템이 저장 매체를 포함한 음반일 경우, 음반 및 음반과 함께 제공 되는 물품 중 적어도 일부에 식별 코드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식별 코드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음반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식별 코드를 사용자 단말에 인식 시킴으로써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음반에 포함된 음원에 대응하는 다운로드 음원을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재생하기 어려운 음반의 경우도 이와 같이 식별 코드와 함께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서버로부터 음원을 다운로드하여 용이하게 음원을 감상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as the fan user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the item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album, the artist's (1) music video, (2) sound source player and track (i.e., , interface capable of reproducing each sound source and track sound in the album), (3) photobook, (4) digitized photo card, (5) behind-the-scenes video, (6) video message, etc. can be provided. The content information (1) to (6) shown in FIG. 2 exemplifies image information, sound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platform album (corresponding to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and such content is a user terminal. It can be provided in a form that a fan user can check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provided in (100). On the other hand, the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the item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when the user terminal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the server checks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he user terminal accesses the identified content. can be provided to do so. In the present disclosure, 'item' is a medium for providing the contents of a platform album to users, and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music including photo cards, LPs, CDs, mini CDs, and cassette tapes, goods, etc. there is. In addition, in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n item is a record including a storage medium, an identification code may be displayed on at least some of the record and articles provided with the record, and the identification code is checked through the user terminal to correspond to the record. The conten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a user can receive a download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a sound source included in a record from a server through a user terminal by recognizing an identification code in a user terminal. Even in the case of a record that is difficult to reproduce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user can download the sound source from the server and enjoy the sound source easily by providing the identification code in this way.

아울러 '아이템'으로서 기능하는 포토 카드의 재질은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대표적으로는 종이, 금속, 플라스틱 등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photo card functioning as an 'item'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one, and can be typically manufactured using paper, metal, plastic, or the like.

일 예로 사용자가 음원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구입하고, 이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인식하여 서버에 전송하면, 서버는 해당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음원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user purchases an item corresponding to a sound source and recognizes an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hereto through a user terminal and transmits the same to a server, the server may provide a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the user terminal. .

다른 예로 사용자가 뮤직 비디오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구입하고, 이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인식하여 서버에 전송하면, 서버는 해당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뮤직 비디오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a user purchases an item corresponding to a music video, recognizes an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item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the server provides a music video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the user terminal. can

이 중 (1)뮤직 비디오, (5)비하인드 영상, (6)영상 메시지와 관련하여, 예시적으로 식별 코드의 정보에 대응하는 동영상 정보가 플랫폼 앨범의 뮤직 비디오, 비하인드 영상 또는 영상 메시지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될 수 있다.Among them, in relation to (1) music video, (5) behind-the-scenes video, and (6) video message, illustratively, vide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of an identification code is a music video, behind-the-scenes video or video message of a platform album, and is a dedicated application. I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또한, (2)음원 플레이어 및 트랙과 관련하여, 예시적으로 식별 코드의 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 정보가 플랫폼 앨범의 트랙 사운드 또는 배경음(BGM)으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2) in relation to the sound source player and the track, illustratively sou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as a track sound or background sound (BGM) of a platform album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there is.

한편 (3)포토북, (4)포토 카드와 관련하여 예시적으로, 포토북이나 포토 카드에는 아티스트 단말(400)을 통해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 또는 데이터베이스(300)로 전송된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식별 코드 인식의 대상이 된 아이템이 복수의 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면 중 적어도 일면에 인쇄된 이미지를 포함한다면, 그 이미지 역시 포토북이나 포토 카드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아이템에 표시된 이미지와 대응되는 식별 코드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플랫폼 앨범에서도 실제 앨범을 구매한 것과 유사한 경험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다양한 포토 카드의 구매를 통해 플랫폼 앨범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보다 다양하게 할 수 있다. Meanwhile, in relation to (3) a photo book and (4) a photo card, illustratively, one or more photo books or photo cards transmitted to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or database 300 through the artist terminal 400. Artist images may be included. In particular, if an item subject to identification code recogni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ides and includes an image print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ides, the image may also be displayed on a photo book or photo card. On the other hand, by hav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item and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the content provided,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a similar experience to purchasing an actual album in the platform album, and through the purchase of various photo cards, the platform album Displayed content can be made more diverse.

한편 실시 예에서 아이템에 표시된 식별 코드는 식별 코드 각각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이와 같은 식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얼마나 많은 플랫폼 앨범과 관련된 아이템이 고객에게 판매되어서 고객이 앨범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이용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플랫폼 앨범의 판매량을 집계할 수도 있다. Meanwhile, in an embodiment, an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an item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identification code. By acquiring su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erver can check how many items related to the platform album have been sold to the customer so that the customer has used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album, and through this, the sales volume of the platform album can be counted.

데이터베이스(300)는 아티스트가 활동하는 3차원 스테이지 공간과 팬 사용자들을 위한 3차원 라운지 공간이 저장된 3차원 공간 데이터베이스, 팬 사용자의 아바타 정보가 저장된 아바타 데이터베이스, 상기 플랫폼 앨범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하는(예를 들어, 상기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에서 제작된) 아티스트의 뮤직 비디오, 음원 플레이어, 포토북, 포토카드 식별정보, 비하인드 영상 및 영상 메시지 중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300)는 복수의 플랫폼 앨범들에 대한 컨텐츠 정보 및 각 컨텐츠 정보와 식별 코드의 정보 사이의 관계를 정의한 매핑 정보가 포함되며, 이러한 매핑 정보를 통해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식별 코드의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실시 예에서 식별 코드에는 컨텐츠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서버는 컨텐츠에 대한 고유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The database 300 includes a 3D space database that stores a 3D stage space where artists are active and a 3D lounge space for fan users, an avatar database that stores avatar information of fan users, and a database corresponding to cont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latform album. It includes a database that stores at least a part of the artist's music video, sound source player, photo book, photo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behind-the-scenes video, and video message (eg, produced in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More specifically, the database 300 includes content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platform albums and mapping information defining a relationship between each content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and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through this mapping information. ) is able to provide content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 Meanwhile, in an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code may includ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content, and the server may identify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content.

도 3을 참조하면, 아이템(10)은 식별 코드를 포함하고, 아이템 (10)를 구매한 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식별 코드를 인식시키면,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의 실사 영상에 아이템(10)에 매핑된 아티스트 영상을 오버레이하여 증강현실 영상을 앱 실행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아이템(10)의 식별 코드의 정보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300)에 접근하여 플랫폼 앨범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달리 말해서,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식별 코드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독출, 사용자 단말(100)에 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식별 코드의 정보에는 (1)대응되는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식별 가능한 정보와, (2)컨텐츠에 접근 가능한 시리얼(serial)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하나의 식별 코드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만 인식되어 무단 복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식별 코드가 표시된 포토 카드의 경우 적어도 일면에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으며, 식별 코드의 식별을 통해 상기 적어도 일면에 표시된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플랫폼 앨범에서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an item 10 includes an identification code, and when a fan user who has purchased the item 10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a dedicated application is activated, and the user terminal 100 An augmented reality image may be output through an app execution screen by overlaying an artist image mapped to the item 10 on a live action image of a camera of ). That is,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may access the database 300 based on the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of the item 10 and provide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platform album. In other words,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can read cont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100 .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may include (1)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contents such as corresponding images, sounds, and moving images, and (2) serial information accessible to the contents, through which one identification code can be recognized only by one user terminal to prevent unauthorized copying. Meanwhile, in the case of a photo car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in an embodiment, an image may be displayed on at least one surface, and an image displayed on at least one surface may be displayed in a platform album provided to a user terminal through identific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도 3에 도시된 대로,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아이템(10)에 인쇄된 이미지(도 3에서 여성의 이미지)와 대응하는 이미지(영상)을 앱(전용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통해 출력 가능하다. 한편 오버레이를 통한 증강현실 영상은 이러한 이미지(영상)가 출력되는 하나의 방식이므로, 도 3은 이러한 이미지(영상)는 플랫폼 앨범의 앨범 아트, 포토북 등으로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음을 내포한다.As shown in FIG. 3,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outputs an image (video) corresponding to an image (a woman's image in FIG. 3) printed on the item 10 through an app (dedicated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possible. On the other hand, since augmented reality video through overlay is one way of outputting such an image (video), FIG. 3 implies that such an image (video) can be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album art of a platform album, a photo book, and the like.

일 실시예로, 전용 애플리리케이션이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로 아이템(10)의 고유의 식별 코드 정보를 전송하면,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가 식별 코드 정보와 미리 매핑되어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어 있던 콘텐츠를 독출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 실사 영상에 오버레이하여 출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dedicated application transmit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of the item 10 to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is mapped in advance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database ( 300), the content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read and output as an overlay on the camera real-time image of the user terminal 100.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가 전용 애플리케이션 상에 기 등록된 아이템(10)에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를 비추면, 해당 아이템(10)(카메라 실사 영상) 위에 대응하는 아티스트의 증강현실(AR) 영상이 오버레이되어 출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영상이 오버레이 되는 것은 사용자 단말(100)이 아이템(10)에 표시되거나 아이템(10)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획득하여 이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을 영상이 오버레이 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증강현실로 표시되는 컨텐츠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아티스트의 사이즈가 조절이 가능하며, 아티스트에 해당하는 영상은 3차원 공간에서 모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user shines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100 on the item 10 pre-registered on the dedicated application, the augmented reality (AR) of the corresponding artist on the item 10 (live camera image) Images may be overlaid and output. Overlaying of such an image may be implemented in such a way that the user terminal 100 acquire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tem 10 or transmitted from the item 10 and overlays the corresponding augmented reality image. On the other hand, the size of the artis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user input in the content displayed in augmented reality, and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artist can be rotated in all directions in the 3D space.

또 다른 실시예로, 카메라 실사 영상에 아티스트의 증강현실 영상이 오버레이되어 출력된 경우, 카메라 인터페이스(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카메라 앱 권한을 획득하여 카메라를 실행하는 것이므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따를 수 있음)를 통해 아티스트의 증강현실 영상(예컨대, 아바타)의 모션 동작을 재생시키고, 이러한 퍼포먼스를 녹화할 수도 있다. 즉, 카메라를 이용한 증강현실에서 그치지 않고, 아티스트의 가상 퍼포먼스를 관람, 녹화하는 연계 기능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an artist's augmented reality video is overlaid and output on a live-action camera video, the camera interface (because the dedicated application obtains the camera app permission to run the camera, the interface provided by the dedicated application can be followed ), the artist's augmented reality image (eg, avatar) may be played back and recorded. In other words, it does not stop at augmented reality using a camera, but can be developed into a linked function that allows viewing and recording of an artist's virtual performance.

상기한 실시예들에서, 아티스트의 증강현실 영상의 크기(사이즈), 회전 방향, 표시 위치 등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아티스트의 증강현실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 증강현실 영상의 출력과 동시에 또는 증강현실 영상이 퍼포먼스를 수행하는 경우에, 각 상황별로 설정된 음원, 멘트 등의 오디오가 재생될 수도 있다. 이로써 증강현실의 생동감과 현장감을 높일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artist's augmented reality image size (size), rotation direction, display position, etc.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In addition, when an artist's augmented reality image is output, at the same time as the augmented reality image is output or when the augmented reality image performs a performance, audio such as a sound source and a comment set for each situation may be reproduced. This can increase the liveliness and realism of augmented reality.

도 4는 플랫폼 앨범 구매자에 한하여 시청을 허여하는 라이브 콘텐츠의 일 예를 도시한다4 shows an example of live content that allows viewing only to platform album purchasers.

도 5는 플랫폼 앨범에 포함되는 3차원 라운지 공간 컨텐츠의 일 예를 도시한다.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플랫폼 앨범을 통해 제공되는 3차원 라운지 공간에 아티스트의 이미지나 동영상 콘텐츠를 가상의 액자나 TV를 통하여 팬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5 illustrates an example of 3D lounge space contents included in a platform album.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provides a function for fan users to arbitrarily select and output an artist's image or video content through a virtual picture frame or TV in the 3D lounge space provided through the platform album.

예를 들면, 3차원 라운지 공간에서 팬 사용자가 벽걸이 TV를 선택하고, 뮤직 비디오를 선택하여 벽걸이 TV로 드래그하여 드롭하면 뮤직 비디오가 벽걸이 TV에서 재생될 수 있다. 또는 액자를 선택하고 아티스트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액자로 드래그하여 드롭하면 아티스트의 이미지가 액자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if a fan user selects a wall-mounted TV in a 3D lounge space, selects a music video and drags and drops it to the wall-mounted TV, the music video may be played on the wall-mounted TV. Alternatively, if you select a frame, select an artist's image, and drag and drop it onto the frame, the artist's image can be placed in the frame.

또한,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팬 사용자의 아바타가 상기 3차원 스테이지 공간에 진입하는 경우, 아티스트의 3차원 아바타, 동영상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팬 사용자의 아바타 위치를 기준으로 배치하여 출력해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an user's avatar enters the 3D stage space,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arranges at least one of the artist's 3D avatar, video, and image based on the fan user's avatar position, can print out

한편,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팬 사용자의 구매 실적 또는 상기 플랫폼 앨범을 통한 활동 실적에 따라 소정 등급으로 분류되는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레벨에 따라 차등적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식별 코드의 정보에 기반한 팬 사용자의 구매 실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팬 사용자의 계정에 부여할 수 있다.Meanwhile,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may determine a level classified into a predetermined level according to a fan user's purchase record or activity record through the platform album, and provide differential benefits according to the level. In addition,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may assign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fan user's purchase result based on the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to the fan user's account.

도 6은 팬 사용자의 레벨에 따라 사용자 계정에 부여되는 아이콘으로서 예를 들면, 하위에서부터 상위로 브론즈, 실버, 골드, 플래티늄 레벨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에 부여된 레벨별로 혜택이 차등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실버 레벨은 추가 제공된 포토북을 50% 오픈할 수 있고, 골드 레벨은 추가 제공된 포토북을 100% 오픈할 수 있으며, 최상위 레벨인 플래티늄 레벨은 NFT(non-fungible token)가 반영된 아티스트의 포토를 지급받거나 아티스트와 영상통화를 할 수 있다. NFT 포토카드는 세상에 단 하나뿐인 아티스트의 원본 인증사진으로 팬들에게 의미있는 굿즈가 될 수 있다.6 shows icons assigned to user accounts according to fan user levels. For example, icons of bronze, silver, gold, and platinum levels may be display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Benefits may be provided differently for each level granted to the user account. For example, the silver level can open 50% of the additionally provided photobooks, the gold level can open 100% of the additionally provided photobooks, At the Platinum level, the highest level, you can receive an artist's photo that reflects NFT (non-fungible token) or make a video call with the artist. NFT photo cards can be meaningful goods for fans as they are the only original authentication photos of artists in the world.

다만 도 6에 도시된 아이콘은 이를 예시한 것으로, 아이콘은 어디까지나 팬 사용자의 구매 실적이나 활동 실적에 따라 차등을 두기 위한 개념적인 구성이다. 즉, 플랫폼 앨범 내에서 사용자의 구매 실적이나 활동 실적을 증명할 수 있는 아이콘을 사용자 계정에 부여하거나, 사용자의 구매 실적이나 활동 실적에 대한 대가로 플랫폼 앨범 내에서 통용 가능한 단위 화폐를 제공하는 등의 차등적인 혜택도 가능함을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획득된 식별 코드를 확인하면, 해당 사용자가 해당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실물 아이템을 구매한 것을 서버가 확인할 수 있으며, 서버는 이에 따라 해당 사용자 계정에 상기 구매한 실물 아이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된 아이콘은 사용자가 플랫폼 앨범과 관련된 커뮤니티 활동에서 사용자 정보와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구매 실적을 커뮤니티 내에서 다른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However, the icon shown in FIG. 6 is an example of this, and the icon is a conceptual configuration for discriminating according to fan user's purchase performance or activity performance. In other words, differentiation such as granting an icon to a user account that can prove the user's purchase performance or activity performance within the platform album, or providing a unit currency that can be used within the platform album in exchange for the user's purchase performance or activity performanc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additional benefits are also possible. More specifically, in an embodiment, when checking the identification code obtained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server can confirm that the user has purchased a real item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server accordingly stores the purchased item in the corresponding user account. An icon corresponding to a real item may be provided. The icon provided in this way can be displayed along with user inform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related to the platform album, and through this, other users can check the user's purchase performance within the community.

아티스트 단말(400)은 플랫폼 앨범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액션 입력에 대한 아티스트의 리액션을 전달할 수 있다.The artist terminal 400 may deliver an artist's reaction to the action input of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platform album.

도 7은 플랫폼 앨범을 구매한 팬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통신 아이템(예컨대, 메가폰) 기능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통신 아이템을 기반으로 아티스트와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능으로서, 통신 아이템이 매개가 되어 사용자 단말과 아티스트 단말 사이의 통신을 중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로, 라이브 시청 중 통신 아이템 메시지 사용이 가능하고, 팬 아이디 상단 표시(11)가 되고, 구입한 굿즈 수량과 노출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팬 사용자가 메시지를 터치할 경우 내용 팝업 창이 지원되어 팬 사용자가 아티스트에게 전할 문장을 입력할 수 있다. 통신 아이템은 사용자의 굿즈 구매 결제액에 비례하여 획득할 수 있고, 아티스트와 채팅 시 굿즈 구매 결제액이 높을수록 노출 순위가 높아져 리딩 우선권이 부여될 수 있다.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item (eg, megaphone) function given to a fan user who purchases a platform album. As a function for exchanging messages with an artist based on a communication item, the communication item serves as a medium to mediate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terminal and an artist terminal. As an embodiment, communication item messages can be used while watching live, fan IDs can be displayed at the top (11), and the quantity of purchased goods and exposure time can be displayed. When a fan user touches a message, a content pop-up window is supported so that the fan user can input a sentence to the artist. The communication item can be acquired in proportion to the user's purchase amount of goods, and when chatting with an artist, the higher the amount of purchase payment for goods, the higher the exposure order, and thus the leading priority can be given.

도 8은 팬 사용자와 아티스트의 채팅 창의 일 예를 도시한다. 팬 사용자는 아티스트로부터 자신이 불리고 싶은 애칭 정보를 설정할 수 있고, 아티스트는 애칭 정보를 기반으로 팬 사용자와 대화를 나누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8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hat window between a fan user and an artist. The fan user can set nickname information that he or she wants to be called by the artist, and the artist can use a function of having a conversation with the fan user based on the nickname information.

도 9는 아이템의 구매로부터 플랫폼 앨범의 제공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아이템이 제공되는 방식, 아이템의 외관을 포함한 구성 형태 등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개시에서 아이템 및 플랫폼 앨범에 관한 사항이 도 9에 도시된 사항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from purchasing an item to providing a platform album. 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an item, a configuration form including an appearance of the item, and the like are exemplary, and matters related to the item and the platform album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by the matters shown in FIG. 9 .

도 9의 좌측에 도시된 것은 'THE STORY'라는 문자가 인쇄된 실물 상품으로서, 해당 상품 내부에는 아이템(10)이 동봉되어, 아이템(10)을 구매 및 결제한 사용자 단말(100)에 전달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아이템(10)은 식별 코드가 전면(앞면)에 인쇄되고, 후면(뒷면)에는 아티스트의 이미지가 인쇄된 포토 카드 형태이나, 아이템(10)의 형태나 인쇄된 정보, 정보가 인쇄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아이템(10)의 일면에는 식별 코드 뿐만 아니라, 플랫폼 앨범의 명칭, 플랫폼 앨범의 제작 업체명, 플랫폼 앨범의 유통 업체명, 아이템에 대한 저작권 표기 등이 추가로 표시될 수도 있다.9 is a real product printed with the words 'THE STORY', and an item 10 is enclosed inside the product to be delivered to the user terminal 100 that purchased and paid for the item 10. can The item 10 shown in FIG. 9 is in the form of a photo card on which an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on the front side (front side) and an artist's image is printed on the back side (back side), or the shape of the item 10 or printed information or information The location to be printed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on one side of the item 10, not only the identification code, but also the name of the platform album, the name of the producer of the platform album, the name of the distributor of the platform album, and the copyright mark for the item may be additionally displayed.

사용자 단말(100)이 아이템(10)의 일면에 인쇄된 식별 코드를 인식하면,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식별 코드의 인식은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를 통해 식별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식별 코드의 형태가 QR 코드인 경우를 상정한 것이고, 식별 코드의 형태가 시리얼 넘버인 경우에는 해당 시리얼 넘버를 사용자 단말(100)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할 수도 있으므로, 식별 코드의 인식의 방식은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이 아이템(10)의 일면에 인쇄된 코드 정보를 인식하면, 이를 통해서도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후 구동되는 형태로 작동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클라우드 서버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설치 과정 없이 활성화될 수도 있다.When the user terminal 100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code printed on one side of the item 10, a dedicated application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ctivated. At this time, the recogni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may be performed by scanning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100, but this assumes that the form of the identification code is a QR code, and if the form of the identification code is a serial number Since the corresponding serial number may be input through the input interface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recognition method of the identification code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one. In addition, when the user terminal 100 recognizes code information printed on one side of the item 10, a dedicated application may be activated through this as well. On the other hand, the dedicated application may be downloaded and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nd then oper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ctivated without an installation process through a cloud server or a web browser.

다만, 도 9에서 식별 코드의 인식(1번 과정) 이후에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2번 과정)되는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식별 코드의 인식 이전에도 미리 활성화될 수 있다. 즉, 식별 코드의 인식은 결국 식별 코드의 정보를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한 선결 과정이며,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식별 코드 인식 전후로 활성화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However, in FIG. 9, activation of the dedicated application (process 2) after recogni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process 1) is exemplary, and the dedicated application may be activated in advance even before recogni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That is, it should be noted that recogni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is a prerequisite process for eventually transmitting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to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and a dedicated application may be activated before and after identification code recognition.

이후, 사용자 단말(100)이 식별 코드의 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식별 코드의 정보를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식별 코드의 정보를 전송 받고, 식별 코드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독출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 단말(100)에 플랫폼 앨범의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컨텐츠 정보로서 (1)식별 코드와 함께 아이템(10)에 인쇄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 (2)식별 코드의 정보에 대응하는 동영상 정보, (3)식별 코드의 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독출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이를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플랫폼 앨범의 뮤직 비디오, 비하인드 영상, 영상 메시지, 트랙 사운드, 배경음, 포토 카드, 포토북 등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terminal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to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identification code.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reads the cont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300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and provides the user terminal 100 with the information of the platform album based on the result. Content information can be provided. Illustratively,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is content information (1)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printed on the item 10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2) vide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3) At least some of the sou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may be read out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user terminal 100 may read the music video, behind-the-scenes video, and video of the platform album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It can be output in the form of a message, track sound, background sound, photo card, photo book, etc.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이 복수의 식별 코드 각각을 인식하여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한 경우,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각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확인하고, 사용자 계정이 구매한 것으로 판단되는 아이템의 개수, 종류 등이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사용자 계정에 기 설정된 보상을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A 타입, B 타입, C 타입의 포토 카드를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각 포토 카드에 표시된 식별 코드를 인식,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한 경우,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각 식별 코드가 타인의 단말에 의해 이미 인식된 적은 없는지 검증하고, 검증을 통과한 경우 사용자 계정이 A 타입, B 타입, C 타입의 플랫폼 앨범을 구매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설정된 보상으로서 사용자 계정에 스페셜 포토북 컨텐츠 또는 히든 영상 컨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9인조 아이돌 그룹의 멤버들 중 X, Y, Z가 유닛 그룹으로 플랫폼 앨범을 출시한 경우, 사용자가 X 멤버, Y 멤버, Z 멤버의 포토 카드를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각 포토 카드에 표시된 식별 코드를 인식,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한 경우,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각 식별 코드가 타인의 단말에 의해 이미 인식된 적은 없는지 검증하고, 검증을 통과한 경우 사용자 계정에 X, Y, Z로 구성된 유닛 그룹의 포토북 컨텐츠나 히든 영상 컨텐츠를 열람 가능한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복수의 아이템 수집에 따른 보상 체계를 수립함으로써, 플랫폼 앨범의 판매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사용자에게는 새로운 컨텐츠와 재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user terminal 100 recognizes each of a plurality of identification codes and transmits them to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identifies an item corresponding to each identification code. After confirming, if the number and type of items determined to be purchased by the user account satisfy a preset condition, a preset reward may be granted to the user account. For example, when a user collects A-type, B-type, and C-type photo cards, recognizes an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each photo car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the platform album The provided service server 200 verifies whether each identification code has already been recognized by another person's terminal, and if the verification passes,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account has purchased A-type, B-type, and C-type platform albums, Permission to view special photobook content or hidden video content may be granted to the user account as a reward set accordingly. As another example, when members X, Y, and Z of a 9-member idol group release a platform album as a unit group, the user collects photo cards of members X, Y, and Z to display the user terminal 100.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each photo card is recognized and transmitted to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verifies whether each identification code has already been recognized by another person's terminal and , If the verification is passed, the user account may be given the right to view the photobook contents or hidden video contents of the unit group consisting of X, Y, and Z. By establishing a reward system for collecting a plurality of items in this way, sales of platform albums can be activated, and new contents and fun can be provided to users.

한편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인식된 식별 코드를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URL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URL 정보는 QR 코드에 포함되거나, 사용자 단말에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이와 같은 URL 정보를 기반으로 식별 코드를 전송할 서버를 확인할 수 있다. Meanwhile, in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may check URL information to transmit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code to the server, and the URL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QR code or set in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can check the server to transmit the identification code based on such URL information.

또한 서버는 수신된 식별 코드를 기반으로 해당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가 기존에 등록되었는지 새로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신규 등록의 경우 해당 사용자와 해당 식별 코드를 매핑하고, 해당 사용자에게 해당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 등록된 식별 코드의 경우 해당 식별 코드와 사용자의 매핑 관계를 확인하고, 매핑된 사용자가 식별 코드를 전송하였을 경우에는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매핑되지 않은 사용자가 식별 코드를 전송하였을 경우 식별 코드가 다른 사용자에게 매핑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처리함으로써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구매한 사용자에게만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lso, based o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code, the server may check whe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has been previously registered or newly registered. In the case of new registration, a corresponding user and a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code may be mapped, a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code may be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user.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existing registered identification code,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user is checked, and when the mapped user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code,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ar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unmapped user is identified. When the code is transmitte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identification code has been mapped to another user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By processing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rresponding content only to the user who has purchased the item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한편 실시 예에서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인식시킴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별도의 앨범 오픈 절차 없이 애플리케이션의 접속 화면에서 바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Meanwhile, in an embodiment,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gnized by the user terminal, the content can be played directly from the access screen of the application without a separate album open procedure for play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Through this, the user can enjoy the content more easily.

도 10a 내지 10g는 플랫폼 앨범이 제공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10A to 10G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screens of a dedicated application provided with a platform album.

도 10a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는 플랫폼 앨범의 메인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메인 화면에는 사용자 단말(100)을 식별 코드를 인식 가능한 모드로 진입시키기 위한 스캔 버튼(1001)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메인 화면의 하단에는 플랫폼 앨범의 메인 화면으로 진입하기 위한 HOME 버튼, 앨범 컨텐츠(앨범 정보, 트랙 음원 플레이어, 포토 카드, 포토북, 뮤직 비디오, 비하인드 영상, 영상 메시지 등)에 접근하기 위한 ALBUM 버튼, 플랫폼 앨범에 대응하는 아이템 등을 구입할 수 있는 판매 사이트/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SHOP 버튼, 마이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MY 버튼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전용 애플리케이션 전반에서는 다양한 국적의 사용자를 위해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를 비롯한 다국어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10A illustrates a main screen of a platform album displayed in a dedicated application, and a scan button 1001 for entering the user terminal 100 into a mode capable of recognizing an identification code may be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In addition, at the bottom of the main screen, there is a HOME button to enter the main screen of the platform album, and a button to access album contents (album information, track source player, photo card, photo book, music video, behind-the-scenes video, video message, etc.) An ALBUM button, a SHOP button for moving to a sales site/page where items corresponding to a platform album, etc. can be purchased, and a MY button for moving to My Page may be displayed. The entire dedicated application can support multilingual services including Korean,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for users of various nationalities.

HOME 버튼을 통해 이동하거나 초기에 표시되는 메인 화면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티스트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예시적으로, 도 10a의 상단에 표시된 AA, BB, CC...). 목록에 표시된 아티스트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아티스트의 앨범 리스트가 화면에 표시되거나, 해당 아티스트와 관련하여 알림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나, 해당 아티스트에 대한 선호를 표시할 수 있는(예컨대, '좋아요') 인터페이스가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메인 화면에는 아티스트들의 다양한 영상 컨텐츠가 게시될 수도 있으며, 각 영상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한 제스처 입력에 조응하여 차례로 표시될 수 있다(예를 들어, 사용자의 슬라이드 입력에 따라 화면 상에 하나씩 좌우로 슬라이딩 되며 표시됨).A list of artists providing content services in a dedicated applic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initially displayed or moved through the HOME button (eg, AA, BB, CC, etc. displayed at the top of FIG. 10A ). When an artist displayed in the list is selected, the album list of the artist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 interface for setting notifications related to the artist, or an interface for displaying preference for the artist (e.g., 'Lik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Meanwhile, various video contents of artists may be posted on the main screen, and each video content may be displayed in sequence in response to a gesture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eg, on the screen according to a user's slide input). is displayed by sliding left and right).

SHOP 버튼을 통해 이동하는 판매 사이트/페이지에서는 원화 및 외화(예를 들어, USD, JPY) 결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결제 서비스는 페이팔, 다날 등의 에스크로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판매 사이트/페이지에서는 판매 중인 아이템의 목록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판매 사이트/페이지에 개설된 이벤트 탭에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자신이 원하는 아티스트의 이벤트에 응모할 수도 있다.A sales site/page moved through the SHOP button may support won and foreign currency (eg, USD, JPY) payment services. The payment service may be provided using an escrow service such as PayPal or Danal. On the sales site/page, information on events in which the user can participate may be displayed as well as a list of items on sale. The user can check event information in the event tab opened on the sales site/page, and apply for the event of the artist he/she wants.

MY 버튼을 통해 이동하는 마이 페이지에서는 사용자 계정에 할당되는 이름, 사진, 닉네임, 연락처 등을 설정/수정하거나, 특정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설정하거나,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언어를 설정하거나, 결제에 사용될 통화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계정이 보유 중인 플랫폼 앨범 목록을 확인하거나, 타인의 계정에 선물을 보낼 수도 있고(선물하기 기능), 타인의 계정과의 사이에서 주고 받은 선물의 이력을 확인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계정의 주문 내역(예를 들어, 배송 조회, 주문 취소 등)을 확인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서 발생하는 FAQ(Frequently Asked Questions)를 확인하거나 1:1 문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On My Page, which is accessed through the MY button, you can set/edit names, photos, nicknames, contacts, etc. assigned to your user account, set notifications for specific events, set the language applied to dedicated applications, or set the language used for payment. You can set the type of currency. In addition, you can check the list of platform albums held by your user account, send gifts to other people's accounts (gift function), check the history of gifts exchanged with other people's accounts, and order from your user account. You can also check details (eg, delivery inquiry, order cancellation, etc.). In addition, you can check Frequently Asked Questions (FAQ) that occur while us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or use the 1:1 inquiry service.

이 중 '선물하기 기능'과 관련하여 예시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계정에 저장된 식별 정보(예컨대, 시리얼 넘버)를 사용하지 않고, 선물하기 기능을 통해 선물 수신인에 대한 정보 및 선물 대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선물 수신인에게 메시지를 통해 선물 대상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컨텐츠 전송은 전자 우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SMS 및 MMS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물을 수신한 사용자의 단말은 해당 식별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에서 선물하기 기능으로 다른 사용자 단말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선물하면, 선물을 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식별 정보는 삭제되고, 선물 받은 사용자가 해당 식별 정보를 등록하여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해당 단말에서 재생할 수 있다.Among them, illustratively in relation to the 'gift function', the user does not us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serial number) stored in his or her account,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gift recipient and gift target content through the gift function. The information can be checked, and based on this, the gift target content can be transmitted to the gift recipient through a message. Such content transmission may be provided through at least one of e-mail, messaging application, SMS, and MMS. The terminal of the user who has received the gift in this way may transmit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acquire and reproduc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Meanwhile, when a user terminal presents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nother user terminal through the gift-giving func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terminal that gave the gift is deleted, and the user who received the gift register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dds it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content can be reproduced in the corresponding terminal.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ALBUM 버튼이 선택됨에 따라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되는 화면 중 앨범 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ALBUM 버튼 선택 시 화면 하단에 표시된 메뉴가 ALBUM 버튼, TRACKS 버튼, PHOTOS 버튼, VIDEO 버튼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ALBUM 버튼(1002)이 선택되는 경우 도 10b에 도시된 것처럼 앨범의 유형, 장르, 발매일, 발매사, 기획사 등의 정보가 기재된 앨범 정보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FIG. 10B illustrates a screen on which album information is displayed among screens displayed in a dedicated application as the ALBUM button shown in FIG. It can be changed to the VIDEO button, and when the ALBUM button 1002 is selected, an album information page containing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genre, release date, release company, agency, etc. of the album can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10B.

도 10c는 도 10b에 도시된 TRACKS 버튼(1003)이 선택됨에 따라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앨범에 수록된 음원으로 구성된 트랙 리스트 및 각 음원에 대한 플레이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음원에 대한 플레이어 기능으로는 재생 기능, 가사 표시 기능, 음원에 대한 다운로드 기능, 음원 재생 시 도시된 앨범 CD 화면이 회전하는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음원이 다운로드되는 경우, 다운로드 될 음원은 암호화되어 사용자 단말(100)의 스토리지에 저장되고, 이후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음원이 재생되는 경우, 해당 음원은 다시 복호화되어 재생될 수 있다. 이때, 음원을 암호화하는 주체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일 수 있고, 음원을 복호화하는 주체는 사용자 단말(100)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음원의 암호화/복호화 주체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서버는 음원에 대한 식별 코드에 대한 정보, 사용자 및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기반으로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은 이와 같은 정보를 기반으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나 사용자 단말 별로 암호화 및 복호화 방식을 다르게 함으로써 해당 음원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구매한 사용자만이 음원을 복호화 하여 재생할 수 있게 된다.FIG. 10C illustrates a screen displayed on a dedicated application when the TRACKS button 1003 shown in FIG. 10B is selected, and displays a track list composed of sound sources included in an album and an interface for providing a player function for each sound source. It can be. Specifically, the player function for each sound source may include a playback function, a lyrics display function, a download function for the sound source, and a function of rotating the album CD screen shown while playing the sound source. In this reg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a sound source is downloade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he sound source to be downloaded is encryp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n, when the sound source is played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can be decoded and reproduced again. At this time, the subject encrypting the sound source may be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and the subject decrypting the sound source may be the user terminal 100. However, this is an example, and the subject of encryption/decryption of the sound source may be set in various ways.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the server may perform encryption based on at least a part of information on an identification code for a sound source 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user and a us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may perform decryption based on such information. there is. In this way, by differentiating encryption and decryption methods for each user or user terminal, only a user who has purchased an item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sound source can decrypt and play the sound source.

도 10d, 10e는 도 10b에 도시된 PHOTOS 버튼(1004)이 선택됨에 따라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화면 상에는 이미지가 제공되는 형식을 선택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1005, 1007). 예시적으로 포토 카드 형식의 인터페이스(1005)가 선택되는 경우, 팬 사용자가 자신의 계정으로 기 등록한 포토 카드들이 표시될 수 있다(1006). 예컨대, 아이템이 전면에는 식별 코드, 후면에는 아티스트의 이미지가 인쇄된 포토 카드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식별 코드를 인식하면 해당 아이템 후면의 이미지가 도 10d에 도시된 것처럼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 계정이 보유한 디지털 형식의 포토 카드의 수량이 각 카드 인터페이스 하단에 표시되며(예컨대, 도 10d의 1장, 0장, 0장), 각 카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뒤집힐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된 포토 카드(1006)는 해당 아티스트의 동영상 클립과 연동되어, 사용자가 해당 포토 카드(1006)를 선택 시 그와 연동된 동영상 클립이 재생될 수도 있다. 이 때 포토카드(1006) 별로 각기 다른 동영상 클립이 연동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포토카드(1006)에 표시된 이미지 별로 해당 이미지에 대응하는 동영상 클립이 연동될 수 있다. 만일 도 10d에 도시된 3칸의 포토 카드가 모두 등록(수집)되면, 미리 설정된 히든 영상(비공개 영상) 또는 히든 이미지(비공개 이미지)가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포토북 형식의 인터페이스(1007)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플랫폼 앨범과 대응하는 아티스트의 이미지(1008)가 화면에 전환 가능한 형태(예를 들어, 좌우로 슬라이딩하여 전환됨)로 표시 되거나, 특정한 형식으로 배열(예를 들어, 바둑판 배열)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덧붙여, 각 이미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면에 보다 큰 크기로 표시되거나, 보다 높은 해상도로 표시될 수 있다.10D and 10E illustrate a screen displayed on a dedicated application when the PHOTOS button 1004 shown in FIG. 10B is selected, and an interface capable of selecting a format in which an image is provided may be provided on the screen (1005, 1007 ). Exemplarily, when the photo card type interface 1005 is selected, photo cards pre-registered by the fan user as his/her account may be displayed (1006). For example, when an item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hoto card on which an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on the front and an artist's image is printed on the back, when a fan user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code using the user terminal 100, the image on the back of the item is shown in FIG. 10D. I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The number of digital photo cards held by the user account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each card interface (eg, 1, 0, 0 in FIG. 10D), and each card interface can be flipp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photo card 1006 registered in the dedicated application may be interlocked with a corresponding artist's video clip,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corresponding photo card 1006, the video clip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photo card 1006 may be played. At this time, different video clips can be interlocked for each photo card 1006, and for example, a video clip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image can be interlocked for each image displayed on the photo card 1006. If all three photo cards shown in FIG. 10D are registered (collected), a preset hidden image (private image) or hidden image (private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photobook format interface 1007 is selected, the image 1008 of the artist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album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switchable form (for example, switched by sliding left and right) or in a specific format It may be displayed in an array (for example, a checkerboard arrangement). In addition, each image may be displayed in a larger size or higher resolution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도 10f, 10g는 도 10b에 도시된 VIDEO 버튼(1009)이 선택됨에 따라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화면 상에는 제공되는 동영상의 형식을 선택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1010, 1012). 예시적으로 뮤직 비디오 형식의 인터페이스(1010)가 선택되는 경우, 아티스트가 아티스트 단말(400)을 통해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나 데이터베이스(300)에 제공한 아티스트의 뮤직 비디오(1011)가 도 10f에 도시된 것처럼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스페셜 형식의 인터페이스(1012)가 선택되는 경우, 뮤직 비디오 외의, 아티스트가 아티스트 단말(400)을 통해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나 데이터베이스(300)에 제공한 아티스트의 비하인드 영상이나 영상 메시지 등이 도 10g에 도시된 것처럼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스페셜 형식의 인터페이스(1012) 하에서는 사용자 계정이 보유한 포토 카드에 해당하는 아티스트의 영상만이 시청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7인조 아이돌 그룹에 있어서 7명 각각의 영상 메시지가 별도로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 계정이 보유한 포토 카드 멤버의 영상 메시지만이 시청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10F and 10G illustrate a screen displayed in a dedicated application when the VIDEO button 1009 shown in FIG. 10B is selected, and an interface capable of selecting a video format provided may be provided on the screen (1010, 1012 ). For example, when the music video format interface 1010 is selected, the artist's music video 1011 provided by the artist to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or the database 300 through the artist terminal 400 is also displayed. I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10f. On the other hand, when the special format interface 1012 is selected, other than the music video, the artist's behind-the-scenes video or video message provided by the artist to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or database 300 through the artist terminal 400 etc.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10G. Depending on the embodiment, under the special format interface 1012, only the video of an artist corresponding to a photo card owned by a user account may be provided in a viewable form. For example, in a case where video messages for each of the 7 members of an idol group of 7 are separately provided, only video messages of photo card members possessed by a user account may be provided in a viewable form.

다만 상기 도 10a 내지 10g에 도시된 인터페이스의 형상, 배치된 위치, 각 페이지(화면)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의 종류 등은 예시적인 것으로, 도 10a 내지 10g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도 10a 내지 10g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는 증강현실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버튼이 추가로 표시될 수도 있다. 해당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가 활성화될 수 있고, 이 경우 (1)기 인식된 식별 코드에 대응하여 사전 설정된 아티스트 영상이 카메라의 실사 영상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되거나, (2)카메라에 의해 아이템에 인쇄된 (증강현실 기능의 제공 대상인) 이미지가 트래킹되어 카메라의 실사 영상과 합쳐서 표시될 수도 있다.However, the shape, arrangement position, and type of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each page (screen) of the interface shown in FIGS. 10A to 10G are examples, and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S. 10A to 10G. Also, although not shown in FIGS. 10A to 10G , a button for driving a camera of the user terminal 100 to generate an augmented reality image may be additionall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edicated application. When the corresponding button is selected,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ctivated, and in this case, (1) a preset arti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recognized identification code is displayed overlaid on a live action image of the camera, or (2) The image printed on the item by the camera (to be provided for the augmented reality function) may be tracked and displayed together with the real-life image of the camera.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사용자 단말(10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101), 프로세서(103) 및 메모리(10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입출력 인터페이스(101)를 통하여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 데이터베이스(300) 또는 아티스트 단말(400) 등과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may include an input/output interface 101, a processor 103, and a memory 105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the database 300 or the artist terminal 400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101 and exchange data.

프로세서(103)는 사용자 단말(100)과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10g를 통해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05)는 도 1 내지 도 10g를 통해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5)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The processor 103 may perform at least one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G in rel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 The memory 105 may store information for performing at least one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G. Memory 105 may be volatile memory or non-volatile memory.

프로세서(103)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3)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105)에 저장될 수 있다.The processor 103 may control the user terminal 100 to execute a program and provide information. Codes of programs executed by the processor 103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05 .

프로세서(103)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01) 및 메모리(105)와 연결되어, 플랫폼 앨범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표시된 식별 코드를 인식하고, 식별 코드의 인식에 따라 식별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고,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플랫폼 앨범의 컨텐츠로서, 식별 코드의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컨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The processor 103 is connected to the input/output interface 101 and the memory 105,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the item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album, and provide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to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transmits to the server, receives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as the content of the platform album from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and transmit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to a dedicated application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100. can be output through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to a user.

도 1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은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In the user terminal 100 shown in FIG. 11, only components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shown.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1 .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랜시버(201), 프로세서(203) 및 메모리(205)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트랜시버(201)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 데이터베이스(300) 또는 아티스트 단말(400) 등과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may include a transceiver 201, a processor 203 and a memory 205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0, the database 300, or the artist terminal 400 through the transceiver 201 and exchange data.

프로세서(203)는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와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10g를 통해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205)는 도 1 내지 도 10g를 통해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5)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The processor 203 may perform at least one method described above through FIGS. 1 to 10g in relation to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 The memory 205 may store information for performing at least one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G. Memory 205 may be volatile memory or non-volatile memory.

프로세서(203)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03)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205)에 저장될 수 있다.The processor 203 may execute a program and control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to provide information. Program codes executed by the processor 203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05 .

프로세서(203)는 트랜시버(201) 및 메모리(205)와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플랫폼 앨범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표시된 식별 코드의 정보를 수신하고,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플랫폼 앨범의 컨텐츠 정보를 확인하고, 플랫폼 앨범의 컨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processor 203 is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201 and the memory 205, receives information of an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album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contents information of the platform album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 and the content information of the platform album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

도 12에 도시된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200)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In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200 shown in FIG. 12, only components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shown.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2 .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앨범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팬 사용자를 구매와 활동 실적에 따라 레벨을 구분함으로써, 플랫폼 앨범 사업자에게는 아티스트 콘텐츠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팬덤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In such a platform album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lassifying fan users according to purchase and activity records, platform album operators can create new value with artist contents and strengthen fandom.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앨범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에게 증강현실 기술과 가상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아티스트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팬들에게 친밀감과 몰입감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latform album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rtist content to users based o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give fans a sense of intimacy and immers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앨범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아티스트에 관련된 콘텐츠를 플랫폼 앨범으로 제작함으로써, 제작비는 최소화하고, 재고관리, 앨범 수요 예측이 필요없기 때문에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있을 때마다 플랫폼 앨범의 발행이 자동으로 가능하다. 또한, 플랫폼 앨범에 음원 뿐만 아니라 아티스트 콘텐츠로서 팬미팅이나 공연 영상, 라이브 공연, 영상 메시지, 비하인드 영상, 포토카드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latform album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ducing content related to an artist as a platform album, production costs are minimized, and inventory management and album demand prediction are unnecessary, so when there is a user who wants to purchase Each platform album can be issued automaticall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fan meeting or performance videos, live performances, video messages, behind-the-scenes videos, and photo cards as artist contents as well as sound sources in the platform album.

기존에는 디지털 싱글 발매 시, 음원 수익만 기대할 수 있었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앨범으로부터 파생되는 다양한 콘텐츠를 파이프로 추가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또한, 플랫폼 앨범을 통해 팬들에게 꾸준히 새로운 콘텐츠를 제공하고 아티스트와 소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코어 팬을 관리할 수 있고, 팬덤 분석이 가능하게 한다. 즉, 플랫폼 앨범 관리를 통해 팬들의 국가/지역, 성별/나이, 기념품의 구매이력, 접속이력, 선호곡 정보, 활동 시간대 등에 관한 분석 자료를 도출할 수 있다.In the past, if only the sound source revenue could be expected when releasing a digital single, it is possible to generate additional revenue through a variety of contents derived from a platform alb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by providing fans with new content and communicating with artists through platform albums, core fans can be managed and fandom analysis made possible. In other words, through platform album management, it is possible to derive analysis data on fans' country/region, gender/age, souvenir purchase history, access history, preferred song information, and activity time zone.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ey are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 플랫폼 앨범 서비스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
200: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
300: 데이터베이스
400: 아티스트 단말
1: Platform album service system
100: user terminal
200: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300: database
400: artist terminal

Claims (25)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플랫폼 앨범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표시된 식별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별 코드의 획득에 따라 상기 식별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플랫폼 앨범의 컨텐츠로서, 상기 식별 코드의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컨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As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in a user terminal,
obtaining an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album;
Transmitt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to a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according to the acquisi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Receiving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as contents of the platform album from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and
and outputt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컨텐츠 정보는,
상기 식별 코드와 함께 상기 아이템에 표시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플랫폼 앨범에서 상기 아이템에 인쇄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Include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displayed on the item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The outputting step is
and providing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mage printed on the item in the platform albu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플랫폼 앨범의 앨범 아트 또는 포토북 내 이미지로 상기 아이템에 인쇄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step of providing the image information is
And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mage printed on the item as album art of the platform album or an image in the photoboo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에 전송된 식별 코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플랫폼 앨범에 대응되는 판매 실적 또는 이용 실적이 확인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identification code transmitted to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sales performance or usage performance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album is confirm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실적 또는 상기 이용 실적이 컨텐츠 관련 차트에 제공된 것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the user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sales result or the usage result being provided to a content-related ch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식별 코드의 정보에 대응하는 동영상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information,
A conten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t least a portion of video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상기 플랫폼 앨범의 뮤직 비디오, 비하인드 영상 또는 영상 메시지로 출력하거나, 상기 수신한 사운드 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상기 플랫폼 앨범의 트랙 사운드 또는 배경음(BGM)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outputting step is
Outputting a video corresponding to the video information as a music video, behind-the-scenes video or video message of the platform album, or outputting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information as a track sound or background sound (BGM) of the platform album. Including, how to provide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아이템에 대한 구매 실적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an icon representing a purchase result for the item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구매 실적 또는 상기 플랫폼 앨범을 통한 활동 실적에 따라 소정 등급으로 분류되는 레벨을 사용자의 계정에 할당받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레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차등적인 혜택을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ssigning a level classified into a predetermined level to the user's account according to the user's purchase history or activity record through the platform album from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differential benefits to the user's account according to the assigned level,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앨범에 대응하는 별도의 아이템에 표시된 식별 코드를 추가로 인식하는 단계;
상기 추가적인 식별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기존에 전송된 식별 코드의 정보 및 상기 추가적인 식별 코드의 정보의 조합에 대응하는 추가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dditionally recognizing an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a separate item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album;
Transmitt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dditional identification code to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dditional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ombination of previously transmitted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and the additional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from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플랫폼 앨범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표시된 식별 코드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플랫폼 앨범의 컨텐츠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 앨범의 컨텐츠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As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from a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Receiving information on an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an item corresponding to a platform album from a user terminal;
Checking content information of a platform album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and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the content information of the platform album to the user terminal, content providing metho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컨텐츠 정보는
상기 식별 코드와 함께 상기 아이템에 표시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템에 인쇄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플랫폼 앨범에서 출력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ed above is
Include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displayed on the item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printed on the item is output from the platform album of the user termina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에 인쇄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가 상기 플랫폼 앨범의 앨범 아트 또는 포토북 내 이미지로 출력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2,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printed on the item is output as album art of the platform album or an image in the photobook.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식별 코드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플랫폼 앨범에 대응되는 판매 실적 또는 이용 실적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identification cod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firming sales performance or usage performance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album, content providing metho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판매 실적 또는 이용 실적을 음악 차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4,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es transmitting the confirmed sales result or use result to an external server providing a music chart ser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식별 코드의 정보에 대응하는 동영상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The content information,
A conten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t least a portion of video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동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동영상이 상기 플랫폼 앨범의 뮤직 비디오, 비하인드 영상 또는 영상 메시지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고,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운드 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상기 플랫폼 앨범의 트랙 사운드 또는 배경음(BGM)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6,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a video corresponding to the video information is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as a music video, a behind-the-scenes video, or a video message of the platform album,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information is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as a track sound or background sound (BGM) of the platform albu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아이템에 대한 구매 실적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계정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an icon representing a purchase result for the item to an account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구매 실적 또는 상기 플랫폼 앨범을 통한 활동 실적에 따라 소정 등급으로 분류되는 레벨을 사용자의 계정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레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차등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allocating, from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a user's account a level classified into a predetermined level according to the user's purchase history or activity record through the platform album; and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differential benefits to the user's account according to the assigned leve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플랫폼 앨범에 대응하는 별도의 아이템에 표시된 식별 코드의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는 단계;
기존에 수신한 식별 코드 및 상기 추가적인 식별 코드의 조합에 대응하는 상기 플랫폼 앨범의 추가 컨텐츠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 컨텐츠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additionally receiving information on an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a separate item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album from the user terminal;
Checking the additional content information of the platform album correspon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previously received identification code and the additional identification code; and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the additional conten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0 is recorded. 입출력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어,
플랫폼 앨범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표시된 식별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 코드의 획득에 따라 상기 식별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플랫폼 앨범의 컨텐츠로서, 상기 식별 코드의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컨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It includes an input/output interface, a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and a processor,
The processor is connected to the input/output interface and the memory,
Obtain the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the item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album,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to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according to the acquisi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Receiving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as the contents of the platform album from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A user terminal that outputs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트랜시버,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로부터 플랫폼 앨범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표시된 식별 코드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플랫폼 앨범의 컨텐츠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플랫폼 앨범의 컨텐츠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
a transceiver,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and a processor;
The processor is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and the memory,
Receiving information of an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an item corresponding to a platform album from a user terminal;
Check the content information of the platform album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A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that provides content information of the platform album to the user terminal.
플랫폼 앨범에 대응하며 복수의 면을 포함하는 아이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표시되는 식별 코드; 및
상기 복수의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인쇄된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코드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인식되어 상기 식별 코드의 정보가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에 전송되는 경우, 상기 플랫폼 앨범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가 제공되는, 아이템.
In the item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album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ides,
an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rfaces; and
Includes an image print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rfaces,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recognized by the user terminal and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is transmitted to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content information including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is transmitted from the platform album providing service server to the user terminal. provided, item.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상기 복수의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상기 플랫폼 앨범의 명칭, 상기 플랫폼 앨범의 제작 업체명, 상기 플랫폼 앨범의 유통 업체명 및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저작권 표기 중 적어도 일부가 추가로 표시되는, 아이템.
According to claim 24,
The item is
At least a part of the name of the platform album, the name of the producer of the platform album, the name of the distributor of the platform album, and the copyright mark for the item are additionally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rfaces.
KR1020220082534A 2021-11-22 2022-07-0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latform album service KR1025663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9702 WO2023090565A1 (en) 2021-11-22 2022-07-05 Platform album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0230103412A KR20230121700A (en) 2021-11-22 2023-08-08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latform album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875 2021-11-22
KR1020210160875 2021-11-2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3412A Division KR20230121700A (en) 2021-11-22 2023-08-08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latform album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341A true KR20230075341A (en) 2023-05-31
KR102566312B1 KR102566312B1 (en) 2023-08-14

Family

ID=8423486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499A KR102468393B1 (en) 2021-11-22 2022-07-05 Platform album service system
KR1020220082534A KR102566312B1 (en) 2021-11-22 2022-07-0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latform album service
KR1020220152038A KR20230075353A (en) 2021-11-22 2022-11-14 Platform album service system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499A KR102468393B1 (en) 2021-11-22 2022-07-05 Platform album service system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2038A KR20230075353A (en) 2021-11-22 2022-11-14 Platform album servic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6839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7733A (en) * 2012-05-15 2013-11-25 이용석 Method for providing music album contents service
KR20180039028A (en) 2018-03-02 2018-04-17 (주)엘리펀트이엔티 A O2O Platform System for Providing a Field of a MusicCreation and a MusicalSource
KR20180114856A (en) * 2017-04-11 2018-10-19 주식회사 스페이스오디티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musition contents
KR20190106168A (en) * 2018-03-08 2019-09-18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of simple payment using image code
KR20210025251A (en) * 2019-08-27 2021-03-09 (주)네오위즈랩 System, server,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photocar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2335A1 (en) * 2008-05-06 2009-11-12 Petter Alexandersson Electronic device with 3d positional audio function and method
KR102083997B1 (en) * 2019-04-19 2020-03-03 (주)웨스토 Method for providing motion image based on objects and serve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7733A (en) * 2012-05-15 2013-11-25 이용석 Method for providing music album contents service
KR20180114856A (en) * 2017-04-11 2018-10-19 주식회사 스페이스오디티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musition contents
KR20180039028A (en) 2018-03-02 2018-04-17 (주)엘리펀트이엔티 A O2O Platform System for Providing a Field of a MusicCreation and a MusicalSource
KR20190106168A (en) * 2018-03-08 2019-09-18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of simple payment using image code
KR20210025251A (en) * 2019-08-27 2021-03-09 (주)네오위즈랩 System, server,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photoc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393B1 (en) 2022-11-18
KR20230075353A (en) 2023-05-31
KR102566312B1 (en) 202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9586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generated video reviews
AU20163672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advanced moderated online event
JP6574409B2 (en) System, method,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tent
US9703463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generated video reviews
CN105122288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media business service
CN104769627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posite end auxiliary shopping
US20220337898A1 (en) Live playback streams
JP2013544383A (en) Content capture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CN102662919A (en) Bookmarking segments of content
KR20050109919A (en) Content creation, distribution, interaction, and monitoring system
JP2017519312A (en) A global exchange platform for film industry professionals
US102643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digital content at events
TW201007600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2)
KR1025663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latform album service
KR202301217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latform album service
CN102369047B (en) System and method for sponsorship recognition
US202400131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enhanced interactive digital event design platform
KR20160062562A (en) Goods Information Display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ding Medium
Slot The Extended Media Consumer. Online media consumption, production and use in an age of participation
Leonard From Los Angeles to The Cloud: Driving Revenue and Exposure In The Contemporary Digital Soundscape
Cahill Symphonies to sex on fire: an investigation into the changing nature of mobile music technology and its effects on the Irish consumer market between the ages of 20-25 year ol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