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5317A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road conditions using dron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road conditions using dr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5317A
KR20230075317A KR1020210172964A KR20210172964A KR20230075317A KR 20230075317 A KR20230075317 A KR 20230075317A KR 1020210172964 A KR1020210172964 A KR 1020210172964A KR 20210172964 A KR20210172964 A KR 20210172964A KR 20230075317 A KR20230075317 A KR 20230075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urface
road
information
surface condition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9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몹티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몹티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몹티콘
Publication of KR20230075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3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2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use as communications relays, e.g. high-altitud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5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science, e.g. meteor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시스템은, 기설정된 감지구간 내에서 비행하도록 설정된 무인 비행체, 무인 비행체에 장착되고, 감지구간 내에서 도로 영상을 촬영하며, 감지구간 내의 대기상태를 측정하며, 도로 영상 및 상기 대기상태에 기반하여 감지구간 내의 노면상태를 판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면감지장치, 무인 비행체, 및 노면감지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용 정보를 생성하는 도로 감시 서버, 및 도로 감시 서버로부터 출력용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한다.A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drone are disclosed. A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n unmanned aerial vehicle 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set to fly within a preset detection section, takes a road image within the detection section, and monitors the standby state within the detection section. and generates information for output by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from any one of at least on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a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that determines the road surface condition within the detection section based on the road image and the standby state. and a display device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for output from the road monitoring server and the road monitoring server.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ROAD CONDITIONS USING DRONE} Road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drone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ROAD CONDITIONS USING DRONE}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얻어지는 노면 상태를 공지하는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dr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drone for notifying road surface conditions obtained from images taken of a road.

교통사고는 여러 환경들에 영향을 받아 일어날 수 있다. 운전자의 체력 및 심리 상태, 자동차의 관리 상태, 도로의 상태, 및 기후 조건 등이 좋아야 안전운전에 도움이 되고, 반대로 이러한 환경들이 좋지 않을 경우 교통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Traffic accidents can occur under the influence of various circumstances. The driver's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ndition, car management condition, road condition, and climate conditions are good to help safe driving, and conversely, poor conditions can cause traffic accidents.

교통사고를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인 도로의 상태를 살펴보면,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포장 도로의 파손이 발생한다. 도로의 파손은 적절한 시기에 보수가 이루어지면 적은 비용으로 보수가 가능하나, 대부분의 지자체에서는 예산 및 인력의 부족과 같은 이유로 즉각적인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게 현실이다.Looking at the condition of roads, which is one of the causes of traffic accidents, damage to paved roads occurs due to various causes. Damage to roads can be repaired at a low cost if repairs are made in a timely manner, but the reality is that most local governments do not respond immediately for reasons such as lack of budget and manpower.

도로 파손의 원인 중 기후적 원인을 살펴보면, 여름철에는 짧은 시간 동안에 급격히 쏟아지는 국지성 호우와, 겨울철에는 폭설 등이 도로 파손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이상 기온 현상으로 인해 폭우, 폭설, 및 우박 등의 기상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어 이 또한 도로 파손의 원인이 된다. 또한, 도심열섬현상에 의해 가열된 아스팔트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중차량에 의해 밀림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Looking at the climatic causes among the causes of road damage, local heavy rain that rapidly pours in a short time in summer and heavy snow in winter are the main causes of road damage. In particular, meteorological phenomena such as heavy rain, heavy snow, and hail often occur due to abnormal temperature phenomena, which also cause damage to roads. In addition, as the temperature of the asphalt heated by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rises, a jungle phenomenon occurs due to heavy vehicles.

도로 파손의 다른 원인으로는 노후화를 들 수 있다. 과중한 교통하중으로 인해 아스팔트 포장의 횡단면성에 변형이 축적되어 자동차 바퀴가 접촉되는 지점에 발생하는 소성변형과, 반복되는 교통하중의 영향으로 교통 진행방향으로 발생되는 피로균열이 주로 발생한다. Another cause of road damage is aging. Plastic deformation that occurs at the point where automobile wheels come into contact due to the accumulation of deformation in the cross-section of the asphalt pavement due to heavy traffic load, and fatigue cracks that occur in the direction of traffic due to the repeated traffic load mainly occur.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도로 파손에 대한 신속한 보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파손 지점에서 심각한 교통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땅의 지반이 내려앉아 발생한 싱크홀을 피하려다 옆 차선의 차량과의 접촉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균열과 밀림 현상이 발생한 도로에 기상악화까지 겹치면 큰 교통사고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As mentioned earlier, since there is no prompt repair for road damage, serious traffic accidents can occur at the point of damage. In an attempt to avoid a sinkhole caused by the sinking of the ground, a collision with a vehicle in the next lane may occur, and if cracks and jungles occur on the road with bad weather, it may cause a major traffic accident.

도로의 파손 이외에도 도로 상에는 다양한 변수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운행 중 자동차에 문제가 발생하여 도로 중간에 정차하게 된 차량이 발생할 수 있고, 대형 화물차에서 운송중 떨어져 방치된 낙하물도 존재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road damage, there are various variables on the road. For example, a vehicle may stop in the middle of the road due to a problem with the vehicle during operation, and there may be a falling object that is left unattended while being transported from a large truck.

이와 같이, 도로 상에는 도로의 파손과 같이 불가피하게 지자체의 개입이 필요한 문제 이외에도 다양하게 교통 흐름을 방해하는 요인들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안전상 중대한 위험을 발생시킬 수 있는 원인이 되지만, 즉각적으로 해결이 어려운 상황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이 요구된다.As such, in addition to problems that inevitably require the intervention of local governments, such as damage to roads, various factors that hinder traffic flow occur. These problems cause significant safety risks, but since most of the situations are difficult to solve immediately, solutions are required.

국내등록특허 제10-1977052호(2019. 05. 03. 공개)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977052 (published on May 3, 2019)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로를 촬영한 도로 영상과 도로의 대기정보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얻어진 정보 특히, 도로상의 위험 상황을 도로 상에 설치된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노면 상에 발생한 다양한 이슈를 운전자에게 사전에 공지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utput the information obtained by comprehensively reflecting the road image and atmospheric information of the road, especially the dangerous situation on the road, through a display device installed on the road. By doing so, it is to propose a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drone that can notify the driver of various issues occurring on the road surface in advanc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시스템은, 기설정된 감지구간 내에서 비행하도록 설정된 무인 비행체, 무인 비행체에 장착되고, 감지구간 내에서 도로 영상을 촬영하며, 감지구간 내의 대기상태를 측정하며, 도로 영상 및 상기 대기상태에 기반하여 감지구간 내의 노면상태를 판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면감지장치, 무인 비행체, 및 노면감지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용 정보를 생성하는 도로 감시 서버, 및 도로 감시 서버로부터 출력용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n unmanned aerial vehicle 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set to fly within a preset detection range, At least on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that captures an image, measures the atmospheric condition within the detection zone, and determines the road surface condition within the detection zone based on the road image and the atmospheric condition, the road surface from any on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road surface detection apparatus. It includes a road monitoring server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a state and generates information for output, and a display device that receives and displays information for output from the road monitoring server.

바람직하게, 노면감지장치는, 도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대기 중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대기상태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 촬영된 도로 영상 및 측정된 대기상태에 기반하여 노면상태를 판단하는 노면상태 판단부, 및 판단된 노면상태를 도로 감시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includes a camera for capturing a road image,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the atmospheric condition by detect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air, and a camera for determining the road surface condition based on the captured road image and the measured atmospheric condition. It includes a road surface condition determining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etermined road surface condition to a road monitoring server.

또한 바람직하게, 노면감지장치는, 감지구간 내의 열화상 영상을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노면상태 판단부는, 노면상태를 판단할 때 열화상 영상도 함께 반영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thermal imaging camera that captures a thermal image within the detection section, and the road surface condition determining unit may also reflect the thermal image when determining the road surface condition.

또한 바람직하게, 노면감지장치는, 노면상태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노면상태를 현재의 통신 상태에 따라 도로 감시 서버 및 무인 비행체 중 하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road surface condition determined by the road surface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to one of the road monitoring server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current communication status.

또한 바람직하게, 무인 비행체는, 드론 기체, 드론 기체를 제어하는 비행제어유닛, GPS 정보를 생성하는 GPS 센서, 및 도로 감시 서버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원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y include a drone body, a fligh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rone body, a GPS sensor that generates GPS information, and a remote communication module that supports communication with a road monitoring server.

또한 바람직하게, 무인 비행체는, 노면감지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노면감지장치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GPS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GPS 정보를 전송받아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further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road surface sensing device, and the road surface sensing device receives GP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PS sensor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또한 바람직하게, 무인 비행체 및 노면감지장치는 서로 일대일 대응하게 복수개이며, 도로 감시 서버는, 복수의 노면감지장치 및 무인 비행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수신한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취합하여 출력용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unmanned air vehicle and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are plural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and the road monitoring server includes a network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s and the unmanned air vehicle; A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may be included to generate information for output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road surface conditions.

또한 바람직하게, 도로 감시 서버는,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딥러닝(Deep learning) 인식을 통해 학습하는 딥러닝 학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road monitoring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deep learning learning unit that learns road surface condition information through deep learning recognition.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방법은,노면감지장치에서, 상기 감지구간 내에서 도로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노면감지장치에서, 감지구간 내의 대기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노면감지장치에서, 도로 영상 및 대기상태에 기반하여 감지구간 내의 노면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도로 감시 서버에서,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도로 감시 서버에서, 출력용 정보를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표시장치에서, 출력용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method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taking a road image within the detection section in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the step of measuring the atmospheric condition in the detection section in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 In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determining the road surface condition in the detection section based on the road image and the atmospheric condition, in the road monitoring serve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and generating output information, in the road monitoring server, for outputting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and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information for output in the display device.

바람직하게, 노면감지장치에서, 감지구간 내의 열화상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노면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노면상태를 판단할 때 열화상 영상도 함께 반영할 수 있다.Preferably,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capturing a thermal image within the detection section, and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road surface condition, the thermal image may also be reflected when determining the road surface condition.

또한 바람직하게, 노면감지장치에서, 노면상태를 판단한 후, 현재의 통신 상태에 따라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도로 감시 서버 및 무인 비행체 중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the road surface condition and then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to one of the road monitoring server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current communication condition.

또한 바람직하게, 무인 비행체에서, 노면감지장치로부터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한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도로 감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received road surface condition information to a road monitoring server when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is received from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또한 바람직하게, 노면감지장치에서, 근거리 통신을 통해 무인 비행체의 GPS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GPS 정보를 전송받아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by receiving GPS information generated by a GPS sensor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또한 바람직하게, 무인 비행체 및 노면감지장치는 서로 일대일 대응하게 복수개이며, 도로 감시 서버에서, 복수의 노면감지장치 및 무인 비행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출력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수신한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통합하여 출력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UAV and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are plural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and the road monitoring server further comprises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road surface condition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s and the UAV, and outputting In the step of generating information, information for output may be generated by integra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또한 바람직하게, 도로 감시 서버에서,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딥러닝 인식을 통해 학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road monitoring server may further include learning information about road surface conditions through deep learning recogni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된 도로 영상과, 도로 상의 대기상태까지 반영하여 도로의 노면상태를 판단하고, 이 판단 결과에 따른 정보를 운전자에게 사전에 고지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using a drone can be judged by reflecting the road image captured using a drone and the atmospheric condition on the road to determine the road surface condition, and inform the driver of inform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advance.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또한, 운전자가 도로 상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 특히, 도로상의 위험한 상황들을 미리 파악함으로써, 도로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사고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various accidents that may occur on the road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y the driver knowing in advance various variables that may occur on the road, in particular, dangerous situations on the road, and there is an effect of inducing safe driving.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감지장치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 감시 서버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상태 감시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상태 감시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a road condition monitoring system using a dr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road monitoring ser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Also,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re an element, component, device, or system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 component consisting of a program or software, even if not explicitly stated otherwise, that element, component, device, or system means that the program or software executes or operat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hardware (eg, memory, CPU, etc.) or other programs or software (eg, operating system or driver required to drive hardware) required to do so.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element (or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in any form of software, hardware, or both software and hardwar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1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a road condition monitoring system using a dr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시스템은, 무인 비행체(100), 노면감지장치(200), 표시장치(300), 및 도로 감시 서버(400)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 the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using a dr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a display device 300, and a road monitoring server 400. It is done.

무인 비행체(100)는 조종사가 직접 탑승하지 않고도 지상에서 사전 프로그램된 경로에 따라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날아가는 비행체를 말하는 것으로, 통상의 드론(drone)일 수 있다.The unmanned air vehicle 100 refers to an air vehicle that flies automatically or semi-automatically according to a pre-programmed path on the ground without a pilot directly boarding, and may be a conventional drone.

무인 비행체(100)는 기설정된 감지구간 내에서 비행한다. 본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시스템에는 복수의 무인 비행체(100)가 포함되어, 각 무인 비행체(100) 별로 중복되지 않도록 각각의 감지구간이 비행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무인 비행체(100)는 서로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비행 구간이 설정되어야 한다.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flies within a predetermined detection range. The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using the present drone includes a plural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100, and each detection section may be set as a flight section so as not to overlap for each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n particular, flight sections must be set so that the plural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100 do not collide with each other.

또한, 무인 비행체(1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현재 비행하고 있는 장소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한 대의 무인 비행체(100)만을 도시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무인 비행체(100)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도 2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may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of a place currently flying by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In this embodiment, only on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s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t is obvious that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 2 to be described later.

노면감지장치(200)는 무인 비행체(100)에 장착되는 것으로, 무인 비행체(100)가 비행함에 따라 함께 비행하게 된다. 노면감지장치(200)는 도로 영상을 촬영하고, 대기상태를 측정하며, 도로 영상 및 대기상태에 기반하여 노면상태를 판단한다. 노면감지장치(200)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nd flies along wit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s it flies.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captures a road image, measures an atmospheric condition, and determines a road surface condition based on the road image and atmospheric condition.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 3 to be described later.

노면감지장치(200)와 무인 비행체(100)는 일대일 대응한다. 즉, 하나의 무인 비행체(100)에 하나의 노면감지장치(200)가 장착된다. 또한, 본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시스템에는 일대일 대응하는 노면감지장치(200)와 무인 비행체(100)가 복수개 구비되어 각각의 비행구간이 설정된다.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correspond one-to-one. That is, on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is mounted on on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 In addition, the road surface monitoring system using this dron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s 200 and unmanned aerial vehicles 100 corresponding one-to-one, and each flight section is set.

표시장치(300)는 도로 상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로, 도로 감시 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예를 들면, 출력용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로에 하나의 표시장치(300)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display device 300 is a display installed on the road and display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for example, output information. In this embodiment, a state in which one display device 300 is installed on a road has been exemplified, but this is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즉, 표시장치(300)는 도로 상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상행선과 하행선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행선과 하행선에 각각 설치된 표시장치(300)는 도로 감시 서버(400)로부터 각각 다른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로 상이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at is,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300 may be installed on the roa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may also be installed on the ascending line and the descending lin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s 300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ascending line and the descending line may receive different information from 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and in this case, may display different information.

도로 감시 서버(400)는 무인 비행체(100), 및 노면감지장치(2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용 정보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로 감시 서버(400)는 복수의 노면감지장치(200)로부터 각각의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복수의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취합하여 출력용 정보를 생성한다.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road surface condition from any on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nd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and generates information for output. More specifically, 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generates information for output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road surface conditions by receiving information on each road surface condition from a plurality of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s 200 .

경우에 따라서, 도로 감시 서버(400)는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후, 위험지역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로 감시 서버(400)는 도로 상에 특별히 위험지역이 발견되지 않을 경우에는 별다른 정보를 표시하지 않거나 일상적인 안내문구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로 감시 서버(400)는 도로 상에 위험지역이 발견되면, 해당 지역에 인근하여 설치되어 있는 표시장치(300)에 위험상황을 알리기 위한 출력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로 감시 서버(400)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 4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In some cases, 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may determine a dangerous area after receiving information on road surface conditions. Through this, 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may not display any information or display a daily guide phrase when a particularly dangerous area is not found on the road. In addition, when a dangerous area is found on the road, 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may generate output information for notifying the dangerous situation on the display device 300 installed near the corresponding area. 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 4 to be described later.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의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100)는 드론 기체(110), FCU(Flight Control Unit)(120), GPS 센서(130), 근거리 통신모듈(140), 및 원거리 통신모듈(15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n unmanned air vehicle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one body 110, a flight control unit (FCU) 120, a GPS sensor 130,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40, and A remote communication module 150 is included.

드론 기체(110)는 무인 비행체(100)가 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드웨어적인 비행장치로, FCU(120)의 통제에 의해 기설정된 감지구간 내에서 비행을 하게 된다. 드론 기체(110)에는 비행 방향을 추정하기 위한 지자기 센서, 고도 측정을 위한 기압계가 내장될 수 있다.The drone body 110 is a hardware flight device that allow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o fly, and flies within a preset detection range under the control of the FCU 120. A geomagnetic sensor for estimating a flight direction and a barometer for measuring altitude may be embedded in the drone body 110 .

FCU(120)는 무인 비행체(100)의 비행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무인 비행체(100)에 탑재된 각종 센서들에 의한 센싱 데이터와 조정 명령을 이용하여 모터(미도시)를 제어한다. 예들 들면, FCU(120)는 지자기 센서, 및 기압계로부터 얻어지는 센싱 데이터와 조정 명령을 이용하여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The FCU 120 is for controlling the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nd controls a motor (not shown) using sensing data and adjustment commands by various sensors mounte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For example, the FCU 120 may control a motor using sensing data obtained from a geomagnetic sensor and a barometer and an adjustment command.

GPS 센서(13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사용하게 하는 센서로, 무인 비행체(100)의 자율 비행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무인 비행체(100)는 위치를 도출할 정보를 얻기 위해 인공위성에서 오는 전파를 가능한 많이 수신하는 것이 좋다.The GPS sensor 130 is a sensor that use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d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autonomous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 It is recommended tha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receive as many radio waves as possible from satellites in order to obtain information for deriving a location.

본 실시예에서, GPS 센서(130)는 무인 비행체(100)의 자율 비행을 위해서도 사용되나, 노면감지장치(200)에서 촬영하는 도로 영상에 위치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GPS sensor 130 is also used for autonomous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but may also be used for the purpose of adding location information to a road image captured by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근거리 통신모듈(140)은 무인 비행체(100)와 노면감지장치(200)와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한다. 근거리 통신모듈(140)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무선 통신규격 중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40 supports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nd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40 may apply one of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Bluetooth and ZigBee.

본 실시예에서는 무인 비행체(100)와 노면감지장치(200)의 통신에 무선 근거리 통신을 예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노면감지장치(200)가 무인 비행체(100)에 장착되는 것임을 감안하여, 노면감지장치(200)와 무인 비행체(100)를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여 GPS 정보 혹은 노면상태를 송수신하도록 변경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is exemplified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nd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but considering that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unmanned air vehicle 100 in some cases, the road surface The sensing device 200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d cable to transmit/receive GPS information or road conditions.

원거리 통신모듈(150)은 무인 비행체(100)와 도로 감시 서버(400)간의 원거리 통신을 지원한다. 원거리 통신모듈(150)은 무인 비행체(100)에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노면감지장치(200)에서 도로 감시 서버(400)와 직접 통신을 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무인 비행체(100)에 원거리 통신모듈(150)을 구비하지 않아도 무관하다. 다만, 노면감지장치(200)와 도로 감시 서버(400)가 직접 통신을 하는 경우라도, 노면감지장치(200)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는 경우 예비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구비할 수는 있다.The remote communication module 150 supports remote communication betwe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nd 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 The remote communication module 15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provided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 For example, when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is configured to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it is irrelevant tha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does not have the remote communication module 150. However, even when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and 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communicate directly, it may be provided for reserve use when communication between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is not smooth.

원거리 통신모듈(150)은 노면감지장치(200)에서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무인 비행체(100)로 전송한 경우에 동작하는 것으로, 노면감지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도로 감시 서버(400)로 다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emote communication module 150 operates when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nd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road surface condition received from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to the road. It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back to the monitoring server 400.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감지장치의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감지장치(200)는 카메라(210), 온/습도 센서(220), 열화상 카메라(230), 노면상태 판단부(240), 통신부(250), 및 컨트롤러(260)를 포함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노면감지장치(200)는 무인 비행체(100)에 장착된다. Referring to FIG. 3 ,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210,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220, a thermal imaging camera 230, a road condition determining unit 240, and a communication unit. (250), and a controller (260). As mentioned above,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카메라(210)는 무인 비행체(100)가 감지구간 내를 비행하는 동안 도로 영상을 촬영한다. 카메라(210)는 기설정된 바에 따라 감지구간 내를 비행하면서 도로에 대한 동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고, 정해진 시간 간격에 따라 정지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The camera 210 captures a road image whil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flies within the detection area. The camera 210 may take a moving image of the road while flying within the detection section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or may take a still im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온/습도 센서(220)는 감지구간 내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온도 및 습도는 도로의 환경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온도가 평균 이상으로 높거나 낮은 경우, 및 습도가 평균 이상으로 높거나 낮은 경우 등은 도로의 노면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가 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온/습도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노면상태를 판단하는데 사용한다.The temperature/humidity sensor 220 is a sensor that detects temperature and humidity within a sensing sec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important factors in predicting road conditions. Since temperature is higher or lower than average and humidity is higher or lower than average, these are factors that can greatly affect the road surface, so in this embodiment, the sensing data of the temperature/humidity sensor is used to judge

열화상 카메라(230)는 감지구간 내의 열화상을 촬영한다. 통상적으로, 열화상 카메라(230)는 물체의 온도가 높을수록 적외선의 파장이 짧아지는 점을 이용한 것으로, 이미지센서 대신에 적외선에 반응하는 마이크로 볼로미터 등이 탑재되고, 렌즈를 통과한 적외선 에너지가 적외선 센서를 통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는 구조에 의해 열화상을 촬영한다.The thermal imaging camera 230 takes a thermal image within the detection period. In general, the thermal imaging camera 230 utilizes the fact that the wavelength of infrared rays decreases as the temperature of an object increases. Instead of an image sensor, a microbolometer that responds to infrared rays is mounted, and the infrared energy passing through the lens is reflected in the infrared rays. A thermal image is taken by a structure that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a sensor.

열화상 카메라(230)는 온도를 이미지로 표현하므로, 열화상 카메라(230)에 의해 촬영된 열화상에 의해 관리자는 직관적으로 온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이미지를 통해 빠르게 온도를 분석할 수 있으며, 전반적인 온도 분포를 확인해 온도가 가장 높은 지점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열화상 카메라(230)에 의해 실시간으로 변하는 온도도 확인할 수 있다.Since the thermal imaging camera 230 expresses the temperature as an image, a manager can intuitively check the temperature state based on the thermal image captured by the thermal imaging camera 230 . In other words, you can quickly analyze the temperature through the image, and check the overall temperature distribution to identify the point with the highest temperature at a glance. In addition, the temperature changing in real time by the thermal imaging camera 230 can be checked.

노면상태 판단부(240)는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된 도로 영상, 온/습도 센서(220)에 의해 측정된 대기의 온도 및 습도, 및 열화상 카메라(230)에 의해 촬영된 열화상을 통합하여, 이들 정보에 의해 노면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한다.The road surface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240 determines the roa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210, the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measured by the temperature/humidity sensor 220, and the thermal image captured by the thermal imaging camera 230. Integrating, the road surface condition is comprehensively judged by these information.

통신부(250)는 노면감지장치(200)의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한다. 통신부(250)를 통해, 노면감지장치(200)는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도로 감시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부(250)는 무인 비행체(100)와의 근거리 통신 기능 및 도로 감시 서버(400)와의 원거리 통신 기능을 모두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50 supports network communication of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50,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to 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In this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250 includes both a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nd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

컨트롤러(260)는 본 노면감지장치(2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즉, 컨트롤러(260)는 카메라(210), 온/습도 센서(220), 열화상 카메라(230), 노면상태 판단부(240), 및 통신부(250)들 간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260 controls overall functions of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 That is, the controller 260 controls signal input/output between the camera 210, the temperature/humidity sensor 220, the thermal imaging camera 230, the road condition determining unit 24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50.

컨트롤러(260)는 노면상태 판단부(240)에 의해 판단된 노면상태를 현재의 통신 상태에 따라 도로 감시 서버(400) 혹은 무인 비행체(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50)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26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250 to transmit the road surface condition determined by the road surface condition determining unit 240 to 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ccording to the current communication statu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 감시 서버의 블럭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road monitoring ser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 감시 서버(4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0), 정보 생성부(420), 딥러닝 학습부(430), 저장부(440), 및 제어부(4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twork interface unit 410, an information generator 420, a deep learning learning unit 430, a storage unit 440, and A control unit 450 is included.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0)는 본 도로 감시 서버(4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0)는 무인 비행체(100), 노면감지장치(200), 및 표시장치(300)들과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410 supports the network interface of 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 For example, the network interface unit 410 may support communic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 and the display devices 300 .

정보 생성부(420)는 노면감지장치(200) 혹은 무인 비행체(100)로부터 전송받은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용 정보를 생성한다. 정보 생성부(430)에 의해 출력되는 출력용 정보는, 노면상태를 운전자에게 공지하기 위한 정보이다.Th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20 generates information for output using information about road surface conditions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 The information for output output by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430 is information for notifying the driver of road surface conditions.

복수의 노면감지장치(200) 혹은 복수의 무인 비행체(100)로부터 각각 전송된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정보 생성부(420)는 복수의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들을 취합하여 도로의 위험상황을 판단하고, 도로의 위험상황을 운전자에게 공지할 수 있도록 한 출력용 정보를 생성한다.When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s 200 or the plural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100 is received,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420 collects the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road surface conditions and risks the road. It determines the situation and generates information for output so that the driver can be notified of the dangerous situation on the road.

일 예로, 노면상태가 정상적인 경우에는 도로 상태가 양호함을 알리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노면상태가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현재의 도로 상태를 알리면서 운전자에게 도로 상태가 좋지 않음을 경고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road surface condition is normal, information informing that the road condition is good may be generated, and when the road surface condition is abnormal, information for notifying the driver of the poor road condition while notifying the current road condition may be generated. information can be created.

딥러닝 학습부(430)는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딥러닝(Deep learning) 인식을 통해 학습한다. 딥러닝 학습부(440)는 통상의 딥러닝 기술을 사용하여,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노면상태를 지속적으로 학습하여 정보 생성부(420)에서 도로의 위험상황을 판단하는 동작이 계속 진화하도록 할 수 있다.The deep learning learning unit 430 learns information about road surface conditions through deep learning recognition. The deep learning learning unit 440 continuously learns the road surface condition whenever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is received using a conventional deep learning technology, so that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420 determines the dangerous situation of the road. You can keep evolving.

저장부(440)는 본 도로 감시 서버(400)의 동작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저장부(440)는 무인 비행체(100)가 비행할 기설정된 감지구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40)는 딥러닝 학습부(430)에 의해 노면상태가 학습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0)를 통해 수신된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440 stores all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44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a preset sensing section in whic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will fly. Also, the storage unit 44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the road surface condition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410 so that the road surface condition can be learned by the deep learning learning unit 430 .

제어부(450)는 본 도로 감시 서버(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45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0), 정보 생성부(420), 딥러닝 학습부(430), 저장부(440)들 간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4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 That is, the control unit 450 controls signal input/output between the network interface unit 410, th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20, the deep learning learning unit 430, and the storage unit 440.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상태 감시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상태 감시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한다.Here, an example of a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관리자에 의해 무인 비행체(100)의 비행이 시작되면, 무인 비행체(100)는 기설정된 감지구간 내를 비행하고, 노면감지장치(200)의 카메라(210)가 도로 영상을 촬영한다(S501). 이때, 도로 영상은 비행하는 동안의 동영상이거나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촬영되는 정지영상일 수 있다.When the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s started by the manag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flies within a preset detection range, and the camera 210 of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captures a road image (S501). In this case, the road image may be a moving image during flight or a still image captur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노면감지장치(200)에서는 대기상태를 측정한다(S503). 보다 구체적으로, 온/습도 센서(220)는 도로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고, 열화상 카메라(230)는 도로의 열화상을 촬영한다.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measures the atmospheric condition (S503). More specifically, the temperature/humidity sensor 220 sens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road, and the thermal imaging camera 230 takes a thermal image of the road.

노면상태 판단부(240)에서 기측정된 대기상태 및 기촬영된 도로 영상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노면상태를 판단한다(S505).The road surface condition determining unit 240 comprehensively judges the measured atmospheric condition and the previously photographed road image to determine the road surface condition (S505).

무인 비행체(100)의 GPS 센서(130)는 GPS 정보를 노면감지장치(200)로 제공한다(S507). 이에, 노면감지장치(200)는 노면상태 판단부(240)에 의해 판단된 노면상태와 GPS 정보를 도로 감시 서버(400)로 전송한다(S509).The GPS sensor 130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provides GPS information to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S507). Accordingly,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transmits the road surface condition determined by the road surface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240 and the GPS information to 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S509).

도로 감시 서버(400)에서는 복수의 무인 비행체(100)로부터 전송받은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취합하고(S511), 표시장치(300)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출력용 정보를 생성한다(S513).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collects information on road surface conditions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100 (S511) and generates output information for display on the display device 300 (S513).

이후, 도로 감시 서버(400)는 출력용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한 출력용 정보를 표시장치(300)로 전송하고(S515), 표시장치(300)에서는 출력용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517).Thereafter, 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generates output information, transmits the generated output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300 (S515), and displays the output information in the display device 300 (S517).

본 실시예에서는 노면감지장치(200)에서 무인 비행체(100)를 거치지 않고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도로 감시 서버(400)로 직접 전송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이 경우, 무인 비행체(100)는 비행하면서 GPS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of directl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road surface conditions from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to 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has been described. In this cas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may perform only a role of providing GPS information while flying.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상태 감시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상태 감시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한다.Here, an example of a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nd 6 .

노면감지장치(200)에서 도로 영상 및 대기상태를 측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210)를 통해 도로 영상을 촬영하고(S601), 온/습도 센서(220)에서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한다(S603).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measures road images and atmospheric conditions. More specifically, a road image is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210 (S601), and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humidity sensor 220 (S603).

노면상태 판단부(240)에서 기측정된 대기상태 및 기촬영된 도로 영상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노면상태를 판단하고(S605), 판단된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무인 비행체(100)로 전송한다(S607).The road surface condition determining unit 240 comprehensively judges the measured atmospheric condition and the previously photographed road image to determine the road surface condition (S605),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road surface condition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S605). S607).

무인 비행체(100)는 노면감지장치(200)로부터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후,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와 GPS 센서(130)에 의한 GPS 정보를 도로 감시 서버(400)로 전송한다(S609).Afte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from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and GPS information by the GPS sensor 130 to 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S609). ).

도로 감시 서버(400)에서는 복수의 무인 비행체(100)로부터 전송받은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취합하고(S611), 표시장치(300)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출력용 정보를 생성한다(S613).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collects information on road surface condition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100 (S611) and generates output information for display on the display device 300 (S613).

도로 감시 서버(400)는 출력용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한 출력용 정보를 표시장치(300)로 전송하고(S615), 표시장치(300)에서는 출력용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617).After 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generates information for output, it transmits the generated information for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300 (S615), and displays the information for output in the display device 300 (S617).

이후, 노면감지장치(200)의 딥러닝 학습부(430)는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딥러닝 학습을 진행한다(S619). 딥러닝 학습을 통해 도로 감시 서버(400)의 정보 생성부(420)에서는 출력용 정보 생성시 지속적으로 진화하여 위험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reafter, the deep learning learning unit 430 of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200 proceeds with deep learning learning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S619). Through deep learning learning, th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20 of the road monitoring server 400 continuously evolves when generating information for output, so that a dangerous situation can be identified more accurately.

도로 상에는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한다. 폭우, 폭설, 짙은 안개 등 운전자가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기후 상태도 있는 반면, 블랙아이스와 같이 사용자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도 발생한다. 또한, 기후와는 무관하게 도로의 노후화 등에 의해 발생한 포트홀도 운전자가 피하기 어려운 상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대형화물차량에서 떨어진 낙하물도 뒤따르는 차량에는 매우 위험한 상황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낙하물의 종류에 따라 날카로운 낙하물이 도로에 방치되는 경우 차량의 바퀴에 영향을 끼쳐 큰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There are various variables on the road. While there are weather conditions that the driver can visually check, such as heavy rain, heavy snow, and thick fog, there are also situations that are difficult for users to predict, such as black ice. In addition, potholes caused by aging of roads, regardless of climate, may cause a situation that is difficult for drivers to avoid. In addition, falling objects from a large cargo vehicle can cause a very dangerous situation to vehicles following, and depending on the type of falling object, if a sharp falling object is left on the road, it may affect the wheels of the vehicle and lead to a serious accident.

즉, 도로 상에는 예측하기 어려운 매우 다양한 위험 상황들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기존에 많이 설치되어 있는 고정형 CCTV들은 도로 상의 위험한 상황들을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That is, a wide variety of unpredictable dangerous situations occur on the road. Therefore, many existing fixed CCTVs have limitations in determining dangerous situations on the road.

이에, 유동적이고 기동성이 좋은 드론에 의해 도로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 도로 영상을 반영하여 노면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저비용으로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드론과 함께 온/습도 및 열화상을 더 활용함으로써, 도로 영상만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까지도 반영할 수 있다.Therefore, by taking an image of the road by a flexible and maneuverable drone and determining the road surface condition by reflecting the image of the road, a great effect can be expected at a low cost. In particular, by using temperature/humidity and thermal images together with drones, even situations that are difficult to judge with only road images can be reflect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무인 비행체 200 : 노면감지장치
300 : 표시장치 400 : 도로 감시 서버
100: unmanned aerial vehicle 200: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300: display device 400: road monitoring server

Claims (15)

기설정된 감지구간 내에서 비행하도록 설정된 무인 비행체;
상기 무인 비행체에 장착되고, 상기 감지구간 내에서 도로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감지구간 내의 대기상태를 측정하며, 상기 도로 영상 및 상기 대기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감지구간 내의 노면상태를 판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면감지장치;
상기 무인 비행체, 및 노면감지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용 정보를 생성하는 도로 감시 서버; 및
상기 도로 감시 서버로부터 상기 출력용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시스템.
An unmanned aerial vehicle set to fly within a preset detection range;
At least one mounte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hotographing a road image within the detection section, measuring an atmospheric state within the detection region, and determining a road surface condition within the detection region based on the road image and the atmospheric stat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a road monitoring server generating information for output by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from any on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and
A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using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isplay device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information for output from the road monitoring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감지장치는,
상기 도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대기 중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상기 대기상태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
상기 촬영된 도로 영상 및 상기 측정된 대기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노면상태를 판단하는 노면상태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노면상태를 상기 도로 감시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a camera for capturing the road image;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the air condition by sensing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air;
a road surface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the road surface condition based on the captured road image and the measured atmospheric condition; and
A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using a drone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etermined road surface condition to the road monitoring serv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감지장치는,
상기 감지구간 내의 열화상 영상을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면상태 판단부는, 상기 노면상태를 판단할 때 상기 열화상 영상도 함께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for taking a thermal image within the detection secti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using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ad surface condition determining unit also reflects the thermal image when determining the road surface condi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감지장치는,
상기 노면상태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노면상태를 현재의 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도로 감시 서버 및 상기 무인 비행체 중 하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and a controlle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road surface condition determined by the road surface condition determining unit to one of the road monitoring server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 current communication state. surveillance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는,
드론 기체;
상기 드론 기체를 제어하는 비행제어유닛
GPS 정보를 생성하는 GPS 센서; 및
상기 도로 감시 서버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원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rone aircraft;
Fligh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rone body
a GPS sensor that generates GPS information; and
A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using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emote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communication with the road monitoring serv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는,
상기 노면감지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노면감지장치는,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GPS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GPS 정보를 전송받아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t further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The road surface monitoring system using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GP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PS sensor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 및 상기 노면감지장치는 서로 일대일 대응하게 복수개이며,
상기 도로 감시 서버는,
복수의 노면감지장치 및 상기 무인 비행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통합하여 출력용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are plural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The road monitoring server,
a network interface unit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from one of a plurality of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s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using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information for output by integra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감시 서버는,
상기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딥러닝(Deep learning) 인식을 통해 학습하는 딥러닝 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road monitoring server,
The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using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eep learning learning unit that learns the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through deep learning recognition.
기설정된 감지구간 내에서 비행하도록 설정된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노면감지장치, 상기 노면감지장치와 통신하는 도로 감시 서버, 및 상기 도로 감시 서버와 통신하는 표시장치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의 노면상태 감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면감지장치에서, 상기 감지구간 내에서 도로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노면감지장치에서, 상기 감지구간 내의 대기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노면감지장치에서, 상기 도로 영상 및 상기 대기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감지구간 내의 노면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도로 감시 서버에서, 상기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도로 감시 서버에서, 상기 출력용 정보를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장치에서, 상기 출력용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방법.
A road surface monitoring method for a system comprising a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mounted on an unmanned aerial vehicle set to fly within a preset detection section, a road monitoring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and a display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road monitoring server,
In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photographing a road image within the detection section;
In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measuring a standby state within the detection section;
determining a road surface condition within the sensing section based on the road image and the waiting condition, in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generating information for output by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in the road monitoring server;
Transmitting, in the road monitoring server, the information for output to a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monitoring road surface conditions using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information for output in the display devi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감지장치에서, 상기 감지구간 내의 열화상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면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노면상태를 판단할 때 상기 열화상 영상도 함께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9,
In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photographing a thermal image within the detection section; further comprising,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road surface conditi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method using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ermal image is also reflected when the road surface condition is determin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감지장치에서, 상기 노면상태를 판단한 후, 현재의 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도로 감시 서버 및 상기 무인 비행체 중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9,
In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after determining the road surface condition,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to one of the road monitoring server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current communication state;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method us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에서, 상기 노면감지장치로부터 상기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도로 감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In the unmanned air vehicle, when the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is received from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transmit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to the road monitoring server; State monitoring metho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감지장치에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무인 비행체의 GPS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GPS 정보를 전송받아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9,
In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receiving GP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PS sensor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road surface monitoring method using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 및 상기 노면감지장치는 서로 일대일 대응하게 복수개이며,
상기 도로 감시 서버에서, 복수의 노면감지장치 및 상기 무인 비행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신한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취합하여 출력용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are plural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In the road monitoring serve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from any one of a plurality of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s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further comprising,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information for output, the information for output is generated by collec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감시 서버에서, 상기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딥러닝 인식을 통해 학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노면상태 감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9,
The roa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method using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learning the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through deep learning recognition in the road monitoring server.
KR1020210172964A 2021-11-22 2021-12-06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road conditions using drone KR2023007531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61379 2021-11-22
KR1020210161379 2021-1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317A true KR20230075317A (en) 2023-05-31

Family

ID=8654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964A KR20230075317A (en) 2021-11-22 2021-12-06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road conditions using dr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531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052B1 (en) 2018-06-07 2019-05-10 이승호 System for road surface condition investigation using unmanned air vehicle and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052B1 (en) 2018-06-07 2019-05-10 이승호 System for road surface condition investigation using unmanned air vehicle and metho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244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mated Vehicle
KR101703001B1 (en) Intelligent road safety fence system
KR10216729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tatus information
US11714409B2 (en) U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to estimate sensor functionality for autonomous vehicles
CN112466141A (en) Vehicle-road-collaboration-oriented intelligent network connection end equipment interaction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114978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autonomous vehicle for switching driving mode
JP6962604B2 (en) Collaborative blindspot alerting methods and equipment for inter-vehicl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with fault tolerance and fracture robustness in extreme situations
KR101872825B1 (e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CN108074410A (en) Traffic cloud warns platform
CN110070689A (en) Use prairie fire discovery, monitoring and the response system of personal vehicles
KR20220031846A (en) Production factory unmanned transfer system and method
KR1021672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tatus information
KR102029865B1 (en) Variable speed notice device system
KR102312714B1 (en) SMART ROAD CONDITION ALARM SYSTEM USING Multi-sensor for determining road conditions and road condition judgment method
KR102241419B1 (en) A self-audit and management system for bridge based on IoT using intelligent remote terminal device
KR1021137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lack Box Function Using Wire and Wireless Gateway
KR102217434B1 (en) IoT based traffic safety facility operation management system
US11620911B2 (en) Management device and flying device management method
CN107776491A (en) Pilotless automobile
KR102327835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Pothole
US11217093B2 (e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related monitoring apparatus, supervision install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230075317A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road conditions using drone
CN116382253A (en)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rescue of unmanned vehicle
GB2610881A (en) A method, vehicle and system for measuring a dimension of a road defect
JP4835381B2 (en) Road-to-vehicle communication de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determination apparatus and vehicle-mounted device used there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