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5028A - 조선소 내의 현장 이슈 공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조선소 내의 현장 이슈 공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5028A
KR20230075028A KR1020210161209A KR20210161209A KR20230075028A KR 20230075028 A KR20230075028 A KR 20230075028A KR 1020210161209 A KR1020210161209 A KR 1020210161209A KR 20210161209 A KR20210161209 A KR 20210161209A KR 20230075028 A KR20230075028 A KR 20230075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sue
field
information
site
de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1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탁
안재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1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5028A/ko
Publication of KR20230075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조선소 내의 현장 이슈 공유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현장 이슈 공유 시스템은, 현장에서 발견된 현장 이슈에 관한 현장 이슈 정보를 입력받아 전송하는 현장 작업자 장치; 및 상기 현장 이슈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자 장치로부터 현장 이슈 정보에 대한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관리자 장치의 사용자가 소속된 부서에 상응하는 현장 이슈 정보들을 포함하는 현장 이슈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장치로 전송하는 현장 이슈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선소 내의 현장 이슈 공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on-site issues in shipyards}
본 발명은 조선소 내의 현장 이슈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선소에서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수주된 선박의 종류 및 크기 등에 따라 영업 설계를 시작함과 아울러 생산 계획에서 대일정 계획을 수립한다. 이어서, 상세 설계를 함과 아울러 구매 일정을 수립하고, 구매 일정과 연동하도록 중일정 계획을 수립한다. 상세 설계 및 중일정 계획이 수립되면, 생산에 필요한 생산 설계를 함과 아울러 생산에 필요한 소일정 계획을 부서별, 공정별로 수립하고, 이에 따라 구매 자재를 입고하고, 생산을 실행하게 된다. 이때, 생산 일정 및 생산 계획이 개별적으로 수립되며, 생산 일정 계획은 대략 1년 정도의 중일정 계획을 세우고, 이에 기초하여 부서별, 공정별 시수에 따른 상세한 소일정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조선소에서의 선박 건조 작업은 체계화된 계획에 따라 순차적이며, 유기적으로 실시될 필요가 있다.
건조되는 선박의 대형화 추세와 다수의 선박이 동시에 건조되는 작업 특성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조선소는 매우 넓은 부지를 가진다.
따라서, 작업자의 현장 작업 중 공정 지연요소, 위험 요소 등과 같은 문제 상황이 발견되면 사진 촬영하여 현장 이슈로서 신속하게 관련 담당자에게 통지하고자 하지만, 넓은 부지로 형성된 조선소의 특성상 신속한 통지 처리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장 이슈를 신속하게 전달하기 위해, 관련 담당자에게 촬영한 사진 이미지를 첨부한 이메일로 전송하거나 전화 통화로 전달하고는 있으나, 전달된 현장 이슈가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누락되는 상황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와 같이, 조선소 현장에서 발견된 현장 이슈에 대한 신속한 통지에 따른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현장 이슈에 대한 체계적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선박 건조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16248호(조선소 내 데이터 수집 시스템)
본 발명은 현장에 위치한 작업자가 발견한 현장 이슈를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등록하여 체계적으로 관리되도록 할 수 있고, 등록된 현장 이슈 리스트를 참조하여 관련 담당자가 현장 이슈를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조선소 내의 현장 이슈 공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빈번하게 반복되는 현장 이슈에 대해서는 관련 담당자를 수신처로 하여 통지됨으로써 관련 담당자가 주의하여 집중적인 관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조선소 내의 현장 이슈 공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현장에서 발견된 현장 이슈에 관한 현장 이슈 정보를 입력받아 전송하는 현장 작업자 장치; 및 상기 현장 이슈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자 장치로부터 현장 이슈 정보에 대한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관리자 장치의 사용자가 소속된 부서에 상응하는 현장 이슈 정보들을 포함하는 현장 이슈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장치로 전송하는 현장 이슈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현장 이슈 공유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현장 이슈 정보는 상기 현장 이슈에 상응하여 선택된 카테고리 정보, 현장 이슈 내용 정보, 이슈 사진 이미지 및 상기 이슈 사진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장 이슈 관리 장치는, 상기 현장 작업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현장 이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 장치의 조회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현장 이슈 리스트를 상기 관리자 장치로 전송하는 유저 대응부; 및 미리 저장된 업무 분장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관리자 장치의 사용자가 소속된 부서를 인식하고, 인식된 부서에 상응하는 현장 이슈 정보들을 포함하는 상기 현장 이슈 리스트를 생성하는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부는 상기 부서에 대해 커스터마이징된 포맷 형식으로 상기 현장 이슈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현장 이슈 관리 장치는, 상기 수신된 현장 이슈 정보가 미리 지정된 반복 이슈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현장 이슈에 상응하는 담당자에게 알림 처리를 수행하는 반복 이슈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반복 이슈 조건은 상기 현장 이슈가 동일한 카테고리, 동일한 이슈 발생 위치, 동일한 담당자 및 동일한 이슈 키워드에 해당하며 미리 지정된 횟수 이상으로 반복되면 만족되는 것으로 설정되는 조건일 수 있다.
알람 처리될 담당자는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상응하는 소속 부서의 관리자들에 관해 미리 저장된 업무 분장 정보와 상기 현장 이슈 정보에 상응하는 이슈 키워드를 이용하여 특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현장 이슈 공유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계들은, 현장 작업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현장에서 발견된 현장 이슈에 관한 현장 이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현장 이슈 정보가 미리 지정된 반복 이슈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반복 이슈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현장 이슈에 상응하는 담당자에게 알림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관리자 장치로부터 현장 이슈 정보에 대한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관리자 장치의 사용자가 소속된 부서에 상응하는 현장 이슈 정보들을 포함하는 현장 이슈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현장 이슈 정보는 상기 현장 이슈에 상응하여 선택된 카테고리 정보, 현장 이슈 내용 정보, 이슈 사진 이미지 및 이슈 사진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반복 이슈 조건은 상기 현장 이슈가 동일한 카테고리, 동일한 이슈 발생 위치, 동일한 담당자 및 동일한 이슈 키워드에 해당하며 미리 지정된 횟수 이상으로 반복되면 만족되는 것으로 설정되는 조건인,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에 위치한 작업자가 발견한 현장 이슈를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등록하여 체계적으로 관리되도록 할 수 있고, 등록된 현장 이슈 리스트를 참조하여 관련 담당자가 현장 이슈를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빈번하게 반복되는 현장 이슈에 대해서는 관련 담당자를 수신처로 하여 통지됨으로써 관련 담당자가 주의하여 집중적인 관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이슈 공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이슈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이슈 리스트 갱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이슈 공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이슈 공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이슈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이슈 리스트 갱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현장 이슈 공유 시스템은 현장 이슈 관리 장치(110), 현장 작업자 장치(120) 및 관리자 장치(125)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 이슈 관리 장치(110)는 유저 대응부(112), 구성부(114), 반복 이슈 처리부(116) 및 데이터베이스(11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장 이슈 관리 장치(11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세부 구성 요소는 지정된 역할을 수행하는 일종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거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으로 구현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지 않고,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유저 대응부(112)는 통신망을 통해 현장 작업자 장치(120) 및 관리자 장치(125)와 접속되고, 현장 작업자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현장 이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8)에 저장하고, 관리자 장치(125)로부터 현장 이슈 정보에 대한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관리자 장치(125)의 사용자(즉, 관리자, 담당자 등)에 상응하는 현장 이슈 리스트(310, 도 3 참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현장 작업자 장치(120)는 현장에 위치하고, 현장에서 발생된 현장 이슈를 발견하여 현장 이슈 정보를 전송한 현장 작업자가 휴대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현장 작업자 장치(120)는 예를 들어 카메라 기능, GPS 기능과 통신 기능이 구비되고,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이 가능한 스마트폰, 타블렛 피씨 등일 수 있다. 현장 작업자 장치(12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현장 이슈 등록 기능, 위치 매핑 기능을 구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현장 작업자는 현장에서 예를 들어, 필요 자재의 누락, 기준량 대비 자재 보관량의 부족 상황, 공정 지연 요소, 위험 요소 등과 같은 문제 상황이 발견되면, 현장 작업자 장치(1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표시되는 이슈 등록 화면(210, 도 2 참조)을 이용하여 현장 이슈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현장 이슈 정보를 현장 이슈 관리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슈 등록 화면(210)은 위치 매핑 영역(211), 카테고리 선택 영역(213), 이슈 내용 입력 영역(215), 현장 사진 첨부 영역(217)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슈 등록 화면(210)에는 발견한 현장 이슈와 관련하여 기타 자료(예를 들어, 설계 도면, 구매 신청서 등)를 첨부하기 위한 기타 첨부 영역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카테고리 선택 영역(213)은 현장 작업자가 발견한 현장 이슈에 해당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영역이고, 이슈 내용 입력 영역(215)는 현장 작업자가 현장 이슈의 내용을 기재하도록 구비된 영역이다.
카테고리 선택 영역(213)을 통해 선택할 수 있는 카테고리는 예를 들어, 가공/조립, 건조, 의장, 화물창, 품질, 후행, 중장비, 족장 등으로 미리 지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슈 등록 화면(210)에는 카테고리 선택 영역(213)뿐 아니라, 현장 이슈 정보가 제공되어야 하는 부서(예를 들어, 의장팀, 해양공사팀, 기전장설계팀 등)를 현장 작업자가 직접 지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서 선택 영역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슈 등록 화면(210)에는 현장 이슈의 내용에 상응하는 핵심 키워드인 이슈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현장 사진 첨부 영역(217)은 현장 작업자가 발견한 현장 이슈와 관련하여 촬영하고, 현장 이슈 정보에 포함하도록 선택된 사진 이미지가 첨부되는 영역이다.
위치 매핑 영역(211)은 현장 작업자가 현장 사진 첨부 영역(217)을 이용하여 현장 이슈 정보에 포함하도록 선택된 사진 이미지가 촬영된 GPS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조선소 내에서 해당 현장 이슈 정보에 따른 현장 이슈가 존재하는 영역을 특정하여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 여기서, 사진 이미지가 촬영된 GPS 좌표 정보는 현장 작업자 장치(120)에 구비된 GPS 기능을 이용하여 인식될 수 있으며, 인식된 GPS 좌표 정보는 촬영된 사진 이미지에 상응하도록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장 이슈가 존재하는 영역이 직관적으로 식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은 위치 매핑 영역(211)에 기본적으로 GIS 기반의 조선소 이미지를 표시하고, GIS 기반의 조선소 이미지에 현장 사진 첨부 영역(217)을 이용하여 첨부된 사진 이미지의 GPS 좌표 정보에 해당되는 영역을 지시하도록 미리 지정된 식별 기호를 오버랩시켜 표시하도록 미리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장 작업자는 현장 이슈 정보의 전송 이전에, 현장 사진 첨부 영역(217)에 첨부된 사진 이미지가 현장 이슈가 존재하는 영역을 대상으로 촬영한 것인지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유저 대응부(112)는 현장 작업자 장치(120)로부터 예를 들어, 카테고리 정보, 현장 이슈 내용 정보, 이슈 사진 이미지, 사진 촬영된 위치 정보(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 정보)를 포함하는 현장 이슈 정보가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118)에 현장 이슈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18)에는 조선소 내에 발생한 다양한 현장 이슈들 각각에 대해 다수의 현장 작업자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현장 이슈 정보가 저장 유지될 수 있다.
구성부(114)는 유저 대응부(112)에 관리자 장치(125)로부터 현장 이슈 정보에 대한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미리 저장된 업무 분장 정보를 참조하여 인식된 해당 관리자 장치(125)의 사용자인 관리자의 소속 부서에 상응하는 현장 이슈 정보들을 포함하는 현장 이슈 리스트(310)를 생성하여 해당 관리자 장치(125)로 제공한다.
여기서, 구성부(114)는 미리 지정된 포맷 형식으로 현장 이슈 리스트(310)를 생성하여 관리자 장치(125)에 제공할 수 있으며, 미리 지정된 포맷 형식은 카테고리나 부서에 관계없이 공통된 형식으로 구성된 것이거나 각 카테고리나 부서에서 커스터마이징한 형식으로 재구성된 것일 수 있다.
도 3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현장 이슈 리스트(310)는 예를 들어 복수의 필드들이 행과 열로 배열된 테이블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구성부(114)는 각 필드에 현장 이슈 정보에 포함된 상응하는 데이터를 적절하게 배치하여 현장 이슈 리스트(310)를 생성할 수 있다.
현장 이슈 리스트(310)에는 각각의 현장 이슈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 지도(도 2의 211 참조), 이슈 사진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 정보, 이슈 내용 정보(도 2의 215 참조), 선택된 카테고리 및 업무 분장 정보에 의해 인식된 담당자 이름, 이슈 사진 이미지(도 2의 217 참조), 기타 첨부 자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성부(114)가 카테고리 및 업무 분장 정보를 참조하여 담당자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이슈 등록 화면(210)에는 이슈 내용의 이슈 키워드를 입력하는 영역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업무 분장 정보에는 각 담당자별 업무 내용을 특정하는 업무 키워드들이 나열되도록 미리 작성될 수 있으며, 구성부(114)는 카테고리에 부합하는 부서의 담당자별 업무 분장 정보를 이슈 키워드와 대비하여 담당자를 특정할 수 있다.
물론, 이슈 등록 화면(210)에 이슈 키워드를 입력하는 영역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라면, 구성부(114)는 예를 들어 이슈 등록 화면(210)을 이용하여 입력된 이슈 내용에 입력된 단어들과 선택된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핵심 단어를 이슈 키워드로 추출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문장에서 핵심 단어를 추출하는 인공지능 기술은 다양하게 이미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현장 이슈 리스트(310)를 제공받는 관리자 장치(125)는, 예를 들어 현장 이슈 관리 장치(110)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고, 현장 또는 사무실 내에 위치한 관리자가 사용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 장치(125)는 사무실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형 장치일 수도 있고, 전술한 현장 작업자 장치(120)와 마찬가지로 관리자가 현장에서 현장 이슈 발견시 현장 이슈 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구동되는 포터블 장치일 수도 있다.
관리자 장치(125)에 현장 이슈 리스트(310)가 수신되어 표시되면, 관리자는 특정의 항목을 선택하여 현장 이슈 정보가 상세하게 표시(도 3의 (b) 참조)되도록 할 수 있다. 특정의 현장 이슈 정보에 대한 조치가 완료되면, 관리자는 조치 완료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조치 완료 정보는 현장 이슈 정보에 반영되어 데이터베이스(118)에 저장된다.
즉, 현장 이슈 리스트(310)는 현장 이슈 정보가 신규 수신되어 데이터베이스(118)에 저장되거나, 데이터베이스(118)에 저장된 현장 이슈 정보에 대한 조치 완료 정보가 입력되어 데이터베이스(118)에 저장되는 시점 등에서 갱신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반복 이슈 처리부(116)는 데이터베이스(118)에 저장된 현장 이슈 정보들 중 미리 지정된 반복 이슈 조건을 만족하는 현장 이슈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응하는 관리자에게 알림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처리는 예를 들어, 이메일 전송이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알람 등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반복하여 등록된 현장 이슈 정보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반복 이슈 조건은 예를 들어, 동일한 카테고리, 동일한 이슈 발생 위치, 동일한 담당자 및 동일한 이슈 키워드에 해당하는 현장 이슈로서, 미리 지정된 횟수(예를 들어 2회) 이상으로 반복하여 등록되는 현장 이슈 정보인 경우에 만족하도록 설정된 조건일 수 있다.
즉, 같은 위치에서 발생되어 동일한 카테고리로 선택되고, 동일한 이슈 키워드에 해당되어 동일한 담당자가 처리하여야 하는 현장 이슈가 미리 지정된 횟수 이상으로 반복하여 발생됐다면, 해당 현장 이슈는 담당자가 지속적으로 관심을 유지하며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한 사안에 해당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선소 내의 현장 이슈 공유 시스템은 현장에 위치한 작업자가 발견한 현장 이슈를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등록하여 체계적으로 관리되도록 할 수 있고, 등록된 현장 이슈 리스트를 참조하여 관련 담당자가 현장 이슈를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빈번하게 반복되는 현장 이슈에 대해서는 관련 담당자를 수신처로 하여 직접 통지됨으로써 관련 담당자가 주의하여 집중적인 관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이슈 공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현장 이슈 관리 장치(110)는 현장 작업자 장치(120)로부터 현장 이슈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18)에 저장한다.
현장 이슈 정보는 현장 작업자가 현장에서 발생된 현장 이슈를 발견하여 등록하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현장 이슈에 관한 카테고리 선택, 현장 이슈 내용, 현장 이슈를 촬영한 이슈 사진 이미지, 이슈 사진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20에서, 현장 이슈 관리 장치(110)는 단계 410에서 수신된 현장 이슈 정보가 미리 지정된 반복 이슈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반복 이슈 조건은 예를 들어, 동일한 카테고리, 동일한 담당자, 동일한 이슈 발생 위치 및 동일한 이슈 키워드에 해당하는 현장 이슈로서 미리 지정된 횟수(예를 들어 2회) 이상으로 반복하여 등록되는 현장 이슈 정보인 경우에 만족하도록 설정된 조건일 수 있다.
여기서, 현장 이슈를 조치할 담당자는 선택된 카테고리 및 미리 저장된 업무 분장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될 수 있다. 담당자의 특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업무 분장 정보는 각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부서의 담당자별 업무 내용을 특정하는 업무 키워드들이 나열되도록 미리 작성될 수 있으며, 카테고리에 부합하는 부서의 담당자별 업무 분장 정보를 해당 현장 이슈에 상응하는 이슈 키워드와 대비하여 담당자가 특정될 수 있다.
현장 이슈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이슈 등록 화면(210)에 이슈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슈 키워드 입력을 위한 영역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된 이슈 내용에 입력된 단어들과 선택된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핵심 단어를 이슈 키워드로 추출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되도록 미리 구현될 수 있다.
미리 지정된 반복 이슈 조건이 만족되면, 단계 430에서, 현장 이슈 관리 장치(110)는 해당 현장 이슈 정보에 상응하도록 지정된 담당자에게 알림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알림 처리는 예를 들어, 이메일 전송이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알람 등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반복하여 등록된 현장 이슈 정보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40에서, 현장 이슈 관리 장치(110)는 관리자 장치(125)로부터 현장 이슈 정보에 대한 조회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현장 이슈 정보에 대한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단계 450에서, 현장 이슈 관리 장치(110)는 미리 저장된 업무 분장 정보를 참조하여 인식된 해당 관리자 장치(125)의 관리자의 소속 부서에 상응하는 현장 이슈 정보들을 포함하는 현장 이슈 리스트(310)를 생성하여 해당 관리자 장치(125)로 제공한다.
이때, 현장 이슈 관리 장치(110)는 미리 지정된 포맷 형식으로 현장 이슈 리스트(310)를 구성하여 관리자 장치(125)에 제공할 수 있다. 현장 이슈 리스트(310)가 생성되는 포맷 형식은 카테고리나 부서에 관계없이 공통된 형식으로 구성되거나 각 카테고리나 부서에서 커스터마이징한 형식으로 재구성된 것일 수 있다.
관리자 장치(125)로부터 현장 이슈 리스트(310)에 포함된 특정의 현장 이슈 정보에 대한 조치가 완료되면, 관리자는 조치 완료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조치 완료 정보는 현장 이슈 정보에 반영되어 데이터베이스(118)에 저장된다. 현장 이슈 리스트(310)는 현장 이슈 정보가 신규 수신되어 데이터베이스(118)에 저장되거나, 데이터베이스(118)에 저장된 현장 이슈 정보에 대한 조치 완료 정보가 입력되어 데이터베이스(118)에 저장되는 시점마다 갱신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현장 이슈 관리 장치 112 : 유저 대응부
114 : 구성부 116 : 반복 이슈 처리부
118 : 데이터베이스 120 : 현장 작업자 장치
125 : 관리자 장치 210 : 이슈 등록 화면
211 : 위치 매핑 영역 213 : 카테고리 선택 영역
215 : 이슈 내용 입력 영역 217 : 현장 사진 첨부 영역
310 : 현장 이슈 리스트

Claims (5)

  1. 현장에서 발견된 현장 이슈에 관한 현장 이슈 정보를 입력받아 전송하는 현장 작업자 장치; 및
    상기 현장 이슈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자 장치로부터 현장 이슈 정보에 대한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관리자 장치의 사용자가 소속된 부서에 상응하는 현장 이슈 정보들을 포함하는 현장 이슈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장치로 전송하는 현장 이슈 관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현장 이슈 정보는 상기 현장 이슈에 상응하여 선택된 카테고리 정보, 현장 이슈 내용 정보, 이슈 사진 이미지 및 상기 이슈 사진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현장 이슈 공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이슈 관리 장치는,
    상기 현장 작업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현장 이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 장치의 조회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현장 이슈 리스트를 상기 관리자 장치로 전송하는 유저 대응부; 및
    미리 저장된 업무 분장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관리자 장치의 사용자가 소속된 부서를 인식하고, 인식된 부서에 상응하는 현장 이슈 정보들을 포함하는 상기 현장 이슈 리스트를 생성하는 구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성부는 상기 부서에 대해 커스터마이징된 포맷 형식으로 상기 현장 이슈 리스트를 생성하는, 현장 이슈 공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이슈 관리 장치는,
    상기 수신된 현장 이슈 정보가 미리 지정된 반복 이슈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현장 이슈에 상응하는 담당자에게 알림 처리를 수행하는 반복 이슈 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반복 이슈 조건은 상기 현장 이슈가 동일한 카테고리, 동일한 이슈 발생 위치, 동일한 담당자 및 동일한 이슈 키워드에 해당하며 미리 지정된 횟수 이상으로 반복되면 만족되는 것으로 설정되는 조건인, 현장 이슈 공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상응하는 소속 부서의 관리자들에 관해 미리 저장된 업무 분장 정보와 상기 현장 이슈 정보에 상응하는 이슈 키워드를 이용하여 알람 처리될 담당자가 특정되는, 현장 이슈 공유 시스템.
  5. 현장 이슈 공유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계들은,
    현장 작업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현장에서 발견된 현장 이슈에 관한 현장 이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현장 이슈 정보가 미리 지정된 반복 이슈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반복 이슈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현장 이슈에 상응하는 담당자에게 알림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관리자 장치로부터 현장 이슈 정보에 대한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관리자 장치의 사용자가 소속된 부서에 상응하는 현장 이슈 정보들을 포함하는 현장 이슈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현장 이슈 정보는 상기 현장 이슈에 상응하여 선택된 카테고리 정보, 현장 이슈 내용 정보, 이슈 사진 이미지 및 이슈 사진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반복 이슈 조건은 상기 현장 이슈가 동일한 카테고리, 동일한 이슈 발생 위치, 동일한 담당자 및 동일한 이슈 키워드에 해당하며 미리 지정된 횟수 이상으로 반복되면 만족되는 것으로 설정되는 조건인,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61209A 2021-11-22 2021-11-22 조선소 내의 현장 이슈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75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209A KR20230075028A (ko) 2021-11-22 2021-11-22 조선소 내의 현장 이슈 공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209A KR20230075028A (ko) 2021-11-22 2021-11-22 조선소 내의 현장 이슈 공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028A true KR20230075028A (ko) 2023-05-31

Family

ID=8654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1209A KR20230075028A (ko) 2021-11-22 2021-11-22 조선소 내의 현장 이슈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502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248B1 (ko) 2017-12-28 2018-11-07 주식회사 로탈 조선소 내 데이터 수집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248B1 (ko) 2017-12-28 2018-11-07 주식회사 로탈 조선소 내 데이터 수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53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relevant information for an enterprise
US20190080289A1 (en) Graphical project management tool
US7987234B1 (en) Monitoring alert conditions
US9015207B2 (en) Mobile sales tracking system
US20230049030A1 (en) Visualization of chat task record, linking messaging, and record keeping
US20160247246A1 (en) Plan visualization
CA2954448C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relevant information for an enterprise
US201803224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ctivities across an enterprise
US20210304126A1 (en) System to catalogue tracking data
US201600780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rmless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al support mechanics
US201400612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Access to Item Information
CN111797211B (zh) 业务信息搜索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230075028A (ko) 조선소 내의 현장 이슈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9971978B2 (en) Event-based data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EP3511835A1 (en) Management of software bug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JP2005148933A (ja) プロジェク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ジェクト管理方法
US201402821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electronic transactions in a facilities management computing environment
US20190228418A1 (en) Electronic employment document control system with mobile application
TWI536289B (zh) 用以識別用於一企業之相關資訊之系統及方法
US1177779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anked visualization of events
JP2009080548A (ja) 監視情報統合表示システム
WO2023212409A1 (en) Task tracking tool
WO2019216389A1 (ja) 管理装置、管理方法および管理プログラム
CN116450959A (zh) 一种门店地图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4995700A (zh) 小缺陷的点巡检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