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887A -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887A
KR20230074887A KR1020210160939A KR20210160939A KR20230074887A KR 20230074887 A KR20230074887 A KR 20230074887A KR 1020210160939 A KR1020210160939 A KR 1020210160939A KR 20210160939 A KR20210160939 A KR 20210160939A KR 20230074887 A KR20230074887 A KR 20230074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server
service
section
parc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4547B1 (ko
Inventor
김병준
Original Assignee
김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준 filed Critical 김병준
Priority to KR1020210160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547B1/ko
Priority to PCT/KR2022/017334 priority patent/WO2023090734A1/ko
Publication of KR2023007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6Recipient pick-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방법에 관한 것으로, 택배의 배송 출발지와 배송 목적지 사이의 배송 경유지 정보를 기반으로, 배송 구간들을 판단하고 각 배송 구간을 갖는 택배 물량이 기준 물량을 만족하기 전까지 보류 물량으로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인 택배 물량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Method, server and program for classifying shipping types based on constraints and using them to induce consumers to purchase}
본 발명은 택배 배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약 조건 기반으로 배송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이용하여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비대면 사회가 본격화되면서 택배 배송량은 기존보다 더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택배 배송 방식은 정해진 경로만을 이용하여 배송되고 있기 때문에 택배 회사의 배송 일정, 배송 경로에만 의존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택배업계에서 출발지(Spoke)에서 발생하는 물량을 중심 거점(Hub)으로 모으고, 중심 거점에서 물류를 분류하여 다시 각각의 도착지(Spoke)로 배송하는 형태의 허브 앤 스포크(Hub and Spoke)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강남구에서 강남구로 배송하더라도 허브 터미널을 통해 배송이 진행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택배 분류 작업, 택배 상하차를 진행하게 되며, 결국 동선 낭비와 느린 배송 속도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종래와 다르게 배송 경로, 배송 일정을 유동적으로 수립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각종 온라인 마켓의 물품 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현재로서는 이러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4752호, (2017.02.28)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택배의 배송 출발지와 배송 목적지 사이의 배송 경유지 정보를 기반으로, 배송 구간들을 판단하고 각 배송 구간을 갖는 택배 물량이 기준 물량을 만족하기 전까지 보류 물량으로 관리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배송 구간을 갖는 택배 물량이 기준 물량을 만족하게 되면, 보류 물량들을 배송 가능 상태로 설정하여 해당 배송 구간의 택배 배송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송 구간에 포함된 지역구 정보와 배송 보류 여부 등을 이용하여 배송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에서 관리하는 배송 구간들의 배송 가능 상태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배송지로 배송 가능한 지역을 선택하고, 해당 지역에서 판매하는 상품들의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방법은,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택배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 택배의 배송 출발지와 배송 목적지 사이의 배송 경유지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택배의 배송 출발지, 배송 목적지 및 상기 판단된 배송 경유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택배가 상기 배송 출발지로부터 상기 배송 목적지로 배송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송 구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배송 구간 중 누적된 택배 보류 물량이 기 설정된 기준 물량보다 많은 배송 구간이 제약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택배에 대하여 상기 판단된 배송 구간에 대한 제약 조건이 모두 만족되면, 상기 택배를 배송 가능 택배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택배의 배송 출발지, 배송 목적지, 상기 판단된 배송 경유지 정보 및 배송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배송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택배에 대하여 배송 출발지로부터 배송 구간에 대한 제약 조건이 만족될 때마다 다음 배송 구간에 따라 배송 코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서버에서 관리하는 복수의 배송 구간 각각에 대한 예상 배송 시간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서버에서 관리하는 복수의 배송 구간 각각에 대하여 제약 조건 만족 여부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서버와 제휴된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의 배송지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배송지까지의 제약 조건이 만족된 적어도 하나의 배송 구간을 기반으로, 상기 조회된 배송지로 배송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역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각 상품의 판매 지역으로부터 상기 배송지까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송 구간에 대한 예상 배송 시간을 기반으로 각 상품의 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예상 도착 시간을 상기 사용자에게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구매할 경우, 판매 지역으로부터 상기 배송지까지에 포함된 배송 구간에 대한 제약 조건이 만족되어 상기 배송지까지 배송이 가능하게 되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기 설정된 마감시간까지 접수된 택배 중에서 배송 구간에 대한 제약 조건이 모두 만족되어 상기 배송 가능 택배로 설정된 택배를 상기 택배 서비스를 이용하여 배송하도록 확정하고, 상기 택배 서비스를 위한 택배 일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기 설정된 마감시간까지 접수된 택배 중에서 배송 구간에 대한 제약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보류 건을 일반 배송 건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서버는, 신규로 접수되는 택배의 배송 출발지와 배송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택배의 배송 출발지와 배송 목적지 사이의 배송 경유지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택배의 배송 출발지, 배송 목적지 및 상기 판단된 배송 경유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택배가 상기 배송 출발지로부터 배송 목적지로 배송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송 구간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각 배송 구간에 대하여 누적된 택배 보류 물량이 기 설정된 기준 물량보다 많은 배송 구간이 제약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택배에 대하여 판단된 배송 구간에 대한 제약 조건이 모두 만족되면, 상기 택배를 배송 가능 택배로 설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택배의 배송 출발지와 배송 목적지 사이의 배송 경유지 정보를 기반으로, 배송 구간들을 판단하고 각 배송 구간을 갖는 택배 물량이 기준 물량을 만족하기 전까지 보류 물량으로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인 택배 물량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배송 구간을 갖는 택배 물량이 기준 물량을 만족하게 되면, 보류 물량들을 배송 가능 상태로 설정하여 해당 배송 구간의 택배 배송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각 구간의 배송 가능 물량을 기반으로 배송 가능 상태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송 구간에 포함된 지역구 정보와 배송 보류 여부 등을 이용하여 배송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에서 관리하는 배송 구간들의 배송 가능 상태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배송지로 배송 가능한 지역을 선택하고, 해당 지역에서 판매하는 상품들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허브 앤 스포크(Hub and Spoke) 방식의 택배 시스템을 포인트 투 포인트(Point to Point) 방식의 택배 시스템으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 택배 시스템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택배의 배송 출발지와 배송 목적지 사이 배송 경유지에 따른 제약 조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배송 구간의 제약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여 해당 배송 구간 내 택배들을 보류 상태로 설정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배송 구간의 제약 조건을 만족하여 해당 배송 구간 내 택배들의 보류 상태를 해제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배송 구간들의 제약 조건 만족으로 인하여, 새로운 배송 가능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의 배송지로 배송 가능한 지역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사용자가 구매할 경우 배송지로 일정 시간 내에 배송이 가능한 상품들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시스템(10)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시스템(10)은 서버(100)를 포함하며, 서버(100)는 프로세서(110), 통신부(120) 및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한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시스템(10), 서버(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120)는 신규로 접수되는 택배의 배송 출발지와 배송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120)는 배송 기사 단말(200), 사용자 단말(300)), 서버(100)와 제휴된 쇼핑몰 서버 등과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제어되며 배송 요청 신호를 배송 기사 단말(200)로 전송하고, 배송 기사 단말(200)로부터 배송 완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신부(120)의 추가적인 다른 기능들은 후술하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130)는 프로세서(110)가 생성하는 배송 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배송 코드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테이블이 마련되어 각각의 배송 코드를 자동으로 해당되는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각종 명령어, 알고리즘과 인공지능 모델이 저장되어 있다.
프로세서(110)는 서버(100) 내 구성들의 제어를 담당하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명령어, 알고리즘 등을 실행하여 각각의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서버(100)의 동작이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방법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서(110)가 택배의 배송 출발지와 배송 목적지(도착지) 사이의 배송 경유지 정보를 판단한다. (S100)
프로세서(110)가 택배가 배송되기 위한 배송 구간을 판단한다. (S200)
도 3은 택배의 배송 출발지와 배송 목적지 사이 배송 경유지에 따른 제약 조건을 예시한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10)는 서버(100)에 신규 택배가 접수되면 해당 택배의 배송 출발지와 배송 목적지 사이의 배송 경유지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배송 경유지가 존재하는 경우 배송 경유지의 개수, 배송 경유지의 위치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송 경유지는 택배 물량이 모여서 다른 장소로 출발하는 통합 창고, 물류 창고를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는 판매자로부터 소비자, 즉 배송 출발지로부터 배송 목적지까지의 배송 경유지가 없기 때문에, 배송 출발지로부터 배송 목적지까지가 배송 구간이 된다.
그리고, A는 배송 경유지가 없기 때문에 화물 이동이 필요 없고 배송 기사(예: 쿠팡 플렉스 등)에 의해 배송될 수 있다.
B는 배송 출발지로부터 배송 목적지까지 하나의 배송 경유지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배송 출발지로부터 배송 경유지까지가 제1 배송 구간, 배송 경유지로부터 배송 목적지까지가 제2 배송 구간으로 적용된다.
C는 배송 출발지로부터 배송 목적지까지 2개의 배송 경유지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배송 출발지로부터 제1 배송 경유지까지가 제1 배송 구간, 제1 배송 경유지로부터 제2 배송 경유지까지가 제2 배송 구간, 제2 배송 경유지로부터 배송 목적지까지가 제3 배송 구간으로 적용된다.
그리고, 제1 배송 경유지와 제2 배송 경유지 사이에는 화물 배송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A, B, C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찬가지로 배송 경유지 사이에서만 화물 배송이 필요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에서 3개의 배송 구간이 가장 많은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송 거리에 따라 더 많은 배송 구간이 포함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가 배송 구간 중에서 택배 보류 물량이 기준 물량보다 많은 배송 구간이 제약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한다. (S300)
프로세서(110)가 택배의 배송 구간에 대한 제약 조건이 모두 만족되면, 해당 택배를 배송 가능 택배로 설정한다. (S400)
도 4는 배송 구간의 제약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여 해당 배송 구간 내 택배들을 보류 상태로 설정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배송 구간의 제약 조건을 만족하여 해당 배송 구간 내 택배들의 보류 상태를 해제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10)는 택배의 배송 출발지, 배송 목적지, S100에서 판단된 배송 경유지 정보 및 배송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배송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이때, 배송 유형이란 택배 배송 보류 상태, 택배 배송 가능 상태, 배송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배송 일정을 기반으로 예상 배송 시간을 사용자(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고, 예상 배송 시간에 따라서 배송 유형을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배송 유형은 배송 시간에 따라 분류될 있으며, 예를 들어 즉시 배송, 새벽 배송 등과 같은 배송 유형이 적용 가능하다.
프로세서(110)는 택배가 접수되면 S200과 같이 해당 택배가 배송되기 위해서 포함되는 배송 구간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배송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각 배송 구간이 제약 조건이 만족된 상태인 경우 해당 택배가 해당 배송 구간에서 배송이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저장하고, 특정 배송 구간이 제약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배송 코드에 보류 정보를 포함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배송 구간에 기준 물량 1,000건의 제약 조건이 설정되어 있으며, 현재 보류중인 택배가 900건으로 제약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여 접수된 택배가 보류 상태로 저장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배송 구간에 보류중인 택배가 999건으로 제약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였으나, 해당 택배가 접수됨에 따라서 1,000건이 되어 제약 조건을 만족하게 되었고, 다른 999건과 함께 보류 상태가 해제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10)는 1,000건을 모두 배송 가능 상태로 전환하고 그에 따라 배송 코드를 변경하게 되며, 제2 배송 구간은 배송 가능 상태로 전환된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각 배송 구간의 배송 일정에 따른 배송 가능 물량을 기반으로, 기준 물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제2 배송 구간의 택배 운송 수단이 운송 가능한 택배 수를 배송 가능 임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제2 배송 구간의 택배 운송 수단이 3,000개의 택배를 제2 배송 경유지까지 배송할 수 있다면, 앞으로 1,000개~3,000개까지의 택배는 접수되는 즉시 보류 없이 배송 가능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배송 구간들의 제약 조건 만족으로 인하여, 새로운 배송 가능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A 지역에서 D지역 사이에는 배송 경유지로 B 지역, C 지역이 포함되어 있으며, A 지역에서 D 지역으로 배송이 결정된 택배들로 인하여 모든 배송 구간의 배송 제약 조건이 만족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B 지역 → C 지역, C 지역 → D 지역, B 지역 → D 지역으로 주문되어 배송되는 물건이 없거나 배송되기에 부족한 상황이라 할지라도, A 지역 → D 지역의 배송 가능 확정으로 인하여 B 지역 → C 지역, C 지역 → D 지역, B 지역 → D 지역의 배송도 자동으로 배송 가능으로 확정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주문이 없거나 부족한 상황에서도 기존에 없거나 불가능하였던 배송 경로가 배송 가능 상태로 활성화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7은 사용자의 배송지로 배송 가능한 지역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사용자가 구매할 경우 배송지로 일정 시간 내에 배송이 가능한 상품들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서버(100)에서 관리하는 복수의 배송 구간 각각에 대한 예상 배송 시간을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한다.
프로세서(110)는 제약 조건이 만족되어 배송 가능 상태로 확정된 배송 구간들에 대하여 예상 배송 출발 시간과 예상 배송 도착 시간을 기록하고 추적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서버(100)에서 관리하는 복수의 배송 구간 각각에 대하여 제약 조건 만족 여부를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하고, 실시간 감시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서버(100) 또는 서버(100)와 제휴된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소비자)의 배송지를 조회한다. (S500)
프로세서(110)가 조회된 사용자의 배송지까지의 제약 조건이 만족된 적어도 하나의 배송 구간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배송지로 배송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역을 선택한다. (S600)
프로세서(110)가 S600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역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S700)
이때, 서버(100)와 제휴된 서비스 서버는 온라인 상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 서버 등이 적용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서로 다른 지역과 사용자의 배송지에 대한 연결 관계가 도시되어 있으며, 각각의 배송 구간에 대한 배송 가능 또는 보류 여부가 표시되어 있다.
이때, 각 배송 구간에 대한 배송 가능 또는 보류 여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약 조건을 기반으로 판단된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A 지역, C 지역, D 지역, F 지역, G 지역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배송이 가능하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S700에서 각 상품의 판매 지역으로부터 사용자의 배송지까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송 구간에 대한 예상 배송 시간을 기반으로 각 상품의 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예상 도착 시간을 사용자에게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어 관리되고 있는 각 배송 구간의 예상 배송 시간에 기초하여, 각 지역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구매할 경우 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예상 도착 시간을 기반으로 배송 시간 유형을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 지역, F 지역은 즉시 배송이 가능하고, A, G 지역은 새벽 배송이 가능하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구매할 경우 판매 지역으로부터 사용자의 배송지까지에 포함된 배송 구간에 대한 제약 조건이 만족되어 배송이 가능하게 되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H 지역에서 G 지역은 현재 보류중인 택배가 999건으로 제약 조건(기준 물량: 1,000건 이상)을 만족하지 못하여 배송 보류 상태이다.
하지만, 사용자가 H 지역에서 판매하는 물품을 구매하는 경우 제약 조건이 만족되어 H 지역으로부터 G 지역의 배송 구간이 배송 가능 상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프로세서(110)는 H 지역에서 판매중인 물건을 구매할 경우에도 배송이 가능하게 된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배송 보류 중인 배송 구간에 대하여 제약 조건 만족까지 남은 물량의 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적용하게 되면, 사용자는 배송 가능 상태 활성화를 위한만큼의 물품을 구매하여 배송을 활성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택배 마감 시간까지 접수된 택배 중에서 배송 구간에 대한 제약 조건이 모두 만족되어 배송 가능 택배로 설정된 택배를 서버에서 제공하는 택배 서비스를 이용하여 배송하도록 확정하고, 택배 서비스를 위한 택배 일정 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프로세서는 생성된 각각의 택배 일정 정보를 해당되는 택배 기사의 단말로 전송하여, 배송 업무가 진행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택배 기사는 쿠팡 플렉스와 같은 예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택배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버는 본 발명의 택배 서비스에 참여할 택배 기사를 모집하여 운영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른 플랫폼에서 택배업에 참여하고 있는 택배 기사도 택배 서비스에 참여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택배 마감 시간까지 접수된 택배 중에서 배송 구간에 대한 제약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보류 건을 일반 배송 건으로 전환하여, 일반 배송 방식으로 배송되도록 요청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택배 마감 시간까지 접수된 택배 중에서 배송 구간에 대한 제약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보류 건들의 택배 코드에 포함된 보류 코드를 탈락 코드로 바꾸고, 일반 배송이 진행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8을 참조하면, C 지역은 A 지역, B 지역, D 지역의 물량이 이동되기 때문에, C 지역에 위치한 배송 경유지(통합 창고)는 허브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C 지역의 배송 경유지는 복수 지역의 물량이 이동되기 때문에 C 지역 자체적인 물량이 부족하더라도, F 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제약 조건을 쉽게 만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시스템
100: 서버
110: 프로세서
120: 통신부
130: 데이터베이스
140: 입출력부
200: 배송 기사 단말
300: 사용자 단말

Claims (10)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택배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
    택배의 배송 출발지와 배송 목적지 사이의 배송 경유지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택배의 배송 출발지, 배송 목적지 및 상기 판단된 배송 경유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택배가 상기 배송 출발지로부터 상기 배송 목적지로 배송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송 구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배송 구간 중 누적된 택배 보류 물량이 기 설정된 기준 물량보다 많은 배송 구간이 제약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택배에 대하여 상기 판단된 배송 구간에 대한 제약 조건이 모두 만족되면, 상기 택배를 배송 가능 택배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택배의 배송 출발지, 배송 목적지, 상기 판단된 배송 경유지 정보 및 배송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배송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택배에 대하여 배송 출발지로부터 배송 구간에 대한 제약 조건이 만족될 때마다 다음 배송 구간에 따라 배송 코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서버에서 관리하는 복수의 배송 구간 각각에 대한 예상 배송 시간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서버에서 관리하는 복수의 배송 구간 각각에 대하여 제약 조건 만족 여부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서버와 제휴된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의 배송지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배송지까지의 제약 조건이 만족된 적어도 하나의 배송 구간을 기반으로, 상기 조회된 배송지로 배송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역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각 상품의 판매 지역으로부터 상기 배송지까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송 구간에 대한 예상 배송 시간을 기반으로 각 상품의 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예상 도착 시간을 상기 사용자에게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구매할 경우, 판매 지역으로부터 상기 배송지까지에 포함된 배송 구간에 대한 제약 조건이 만족되어 상기 배송지까지 배송이 가능하게 되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기 설정된 마감시간까지 접수된 택배 중에서 배송 구간에 대한 제약 조건이 모두 만족되어 상기 배송 가능 택배로 설정된 택배를 상기 택배 서비스를 이용하여 배송하도록 확정하고, 상기 택배 서비스를 위한 택배 일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기 설정된 마감시간까지 접수된 택배 중에서 배송 구간에 대한 제약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보류 건을 일반 배송 건으로 전환하는,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방법.
  9. 신규로 접수되는 택배의 배송 출발지와 배송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택배의 배송 출발지와 배송 목적지 사이의 배송 경유지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택배의 배송 출발지, 배송 목적지 및 상기 판단된 배송 경유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택배가 상기 배송 출발지로부터 배송 목적지로 배송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송 구간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각 배송 구간에 대하여 누적된 택배 보류 물량이 기 설정된 기준 물량보다 많은 배송 구간이 제약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택배에 대하여 판단된 배송 구간에 대한 제약 조건이 모두 만족되면, 상기 택배를 배송 가능 택배로 설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서버.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10160939A 2021-11-22 2021-11-22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를 이용한 구매 유도 서버, 택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644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939A KR102644547B1 (ko) 2021-11-22 2021-11-22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를 이용한 구매 유도 서버, 택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PCT/KR2022/017334 WO2023090734A1 (ko) 2021-11-22 2022-11-07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939A KR102644547B1 (ko) 2021-11-22 2021-11-22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를 이용한 구매 유도 서버, 택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887A true KR20230074887A (ko) 2023-05-31
KR102644547B1 KR102644547B1 (ko) 2024-03-06

Family

ID=86397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939A KR102644547B1 (ko) 2021-11-22 2021-11-22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를 이용한 구매 유도 서버, 택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4547B1 (ko)
WO (1) WO202309073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513B1 (ko) * 2007-09-13 2010-02-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배달작업 계획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14752A (ko) 2015-07-31 2017-02-08 애드게이트홀딩스 주식회사 신선상품 택배 배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45797B1 (ko) * 2018-06-22 2019-12-02 (주)피플인소프트 개방형 택배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택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6427B2 (en) * 2011-09-11 2021-01-19 Greg Grinberg Computer-implemented process for improved delivery of commodities to consumers
KR20150131742A (ko) * 2014-05-16 2015-11-25 서태영 물류 배송지 및 수령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
KR101799458B1 (ko) * 2016-06-02 2017-11-20 이정륜 공유경제형 협력적 배송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513B1 (ko) * 2007-09-13 2010-02-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배달작업 계획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14752A (ko) 2015-07-31 2017-02-08 애드게이트홀딩스 주식회사 신선상품 택배 배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45797B1 (ko) * 2018-06-22 2019-12-02 (주)피플인소프트 개방형 택배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택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0734A1 (ko) 2023-05-25
KR102644547B1 (ko) 202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riviere et al. Stalking information: Bayesian inventory management with unobserved lost sales
US9195959B1 (en) Fulfillment of orders from multiple sources
US103952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tores as receiving points for third party, E-commerce suppliers
US20150193724A1 (en) Providing optimized delivery locations for an order
KR102664364B1 (ko) 배송 과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US2018031499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fullfillment of one or more online orders
US201803080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Establishing A Regional Distribution Center Truck Flow Graph to Distribute Merchandise
US200501826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inventory
US201803080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Regional Distribution Center Inventory Levels for New Third Party Products
US200602770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ation-based production capability planning
JP7175839B2 (ja) 輸送計画装置、輸送計画システム、及び輸送計画方法
US20050289022A1 (en) Part ordering amount calculation device
US6850809B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splitting an integrated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plan for use by separate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execution systems
KR20230074887A (ko)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100324212B1 (ko) 이동 물류관리 시스템 및 그 활용방법
JP4219372B2 (ja) 単位費用演算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3670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inventory
JP4954588B2 (ja) 物流費用演算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2085264A (ja) 在庫計画システム及び在庫計画方法
JP2005089060A (ja) 物流拠点決定装置、物流拠点決定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5060108A (ja) 物流管理システム
CN111242532A (zh) 一种采购管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JP7248613B2 (ja) 配送計画立案装置、及び配送計画立案方法
Corvi A comparison of brick-and-mortar and online last mile delivery networks
KR20220154591A (ko) It 분류 서버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