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549A -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통신 기기 - Google Patents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통신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549A
KR20230074549A KR1020237013908A KR20237013908A KR20230074549A KR 20230074549 A KR20230074549 A KR 20230074549A KR 1020237013908 A KR1020237013908 A KR 1020237013908A KR 20237013908 A KR20237013908 A KR 20237013908A KR 20230074549 A KR20230074549 A KR 20230074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tci state
transmission mode
qcl
sf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이리 정
펑 쑨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74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5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3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cting errors in frequency or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통신 기기를 제공하는데, 통신분야에 속한다. 상기 방법은,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은 RRC 시그널링 지시 방식, TCI state 지시 방식, 구성 또는 지시한 타깃 파라미터가 예정된 파라미터 요구를 만족시키는 방식, PDCCH가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지시 방식에서의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통신 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9월 29일 중국에 제출된 출원 명칭이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통신 기기"인, 특허 출원 제202011051668.0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통신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부 경우에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하이레벨 구성, 및 물리적 계층 구성을 통해 여러 가지 다중 송수신 포인트(Multip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MTRP) 전송 모드, 예를 들면, 공간 분할 다중화(Spatial division multiplex),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 FDM),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 TDM) 등 형태의 MTRP 전송 모드를 지시하고 구별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에는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ingle frequency network, SFN) 형태의 MTRP 전송 모드를 지시할 수 없어 네트워크와 단말기가 서로 대응하는 처리 행위를 실행하는데 불리하게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통신 기기를 제공하여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형태의 MTRP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양태에서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방법은 통신 기기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방법은,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지시 방식, 타깃 전송 구성 지시 상태(TCI state) 지시 방식, 구성 또는 지시한 타깃 파라미터가 예정된 파라미터 요구를 만족시키는 방식,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이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지시 방식에서의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서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상기 장치는,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지시 방식, 타깃 전송 구성 지시 상태(TCI state) 지시 방식, 구성 또는 지시한 타깃 파라미터가 예정된 파라미터 요구를 만족시키는 방식,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이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지시 방식에서의 하나를 포함한다.
제3 양태에서는, 단말 기기를 제공하는데, 이 단말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운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4 양태에서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는데, 이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운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5 양태에서는,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하는데, 상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6 양태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데, 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운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7 양태에서는, 칩을 제공하는데, 상기 칩은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커플링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운행시켜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통신 기기를 제공하는데, RRC 시그널링 지시 방식, TCI state 지시 방식, 구성 또는 지시한 타깃 파라미터가 예정된 파라미터 요구를 만족시키는 방식, PDCCH가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지시 방식에서의 하나를 포함하는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전송 모드를 결정함으로써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형태의 MTRP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한 도면은 본 출원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이의 설명은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출원에 대한 부당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응용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고;
도 6b는 중복 참조를 병합한 모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며;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고;
도 9b는 SFN 전송 모드에서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을 진행하는 모식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의 구조 모식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 모식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구조 모식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의 도면과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뚜렷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고자 하는데,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진보적인 창출에 힘쓸 필요가 없이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 실시예와 청구범위의 용어 "제1", "제2" 등은 유사한 상대를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반드시 특정된 순서 또는 선후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렇게 사용된 데이터는 적합한 상황에서 호환되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여기서 도시하거나 설명한 것을 제외한 순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 외에,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한 "및/또는”은 연결된 상대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고, 문자 부호 "/"는 일반적으로 앞뒤 관련 상대가 한가지 "또는"이라는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언급할 가치가 있는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은 롱 텀 에볼루션형(Long Term Evolution, LTE)/LTE의 진화(LTE-Advanced, LTE-A)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단일 운반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과 같은 기타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기타 시스템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용어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흔히 호환 가능하게 사용되고, 설명한 기술은 이상에서 제기한 시스템과 무선 전신 기술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타 시스템 및 무선 전신 기술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아래의 설명은 예시적인 목적으로 엔알(New Radio, NR) 시스템을 설명하였고, 아래의 대부분의 설명에서 NR 용어를 사용하며, 이러한 기술은 6세대(6th Generation, 6G) 통신 시스템과 같은 NR 시스템 응용을 제외한 응용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응용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말기(11)와 네트워크측 기기(12)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11)는 단말 기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라고 할 수도 있고, 단말기(11)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이거나 또는 노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팜톱 컴퓨터, 넷북, 울트라 모바일 피씨(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또는 차량용 기기(VUE), 보행자 단말기(PUE) 등 단말기측 기기라고 불릴 수도 있으며, 웨어러블 기기는 팔찌, 이어폰, 안경 등을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기(11)의 구체적인 유형을 한정하지 않는다. 네트워크측 기기(12)는 기지국 또는 코어 네트워크일 수 있고, 여기서, 기지국은 노드B, 에볼루션 노드B, 액세스 포인트,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무선 전신 기지국, 무선 전신 트랜시버,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 확장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 B노드, 에볼루션 B노드(eNB), 가정용 B노드, 가정용 에볼루션 B노드, WLAN 액세스 포인트, WiFi노드, 송수신 포인트(Transmitting Receiving Point, TRP), 매크로 기지국(Macro Base Station), 피코 기지국(Pico Base Station), 중계국, 원격 무선 주파수 모듈 (Remote Radio Unit, RRU), 무선 주파수 헤드 (Remote Radio Head, RRH) 등, 또는 상기 분야에서의 기타 어느 한 적합한 용어로 불릴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하기만 한다면 상기 기지국은 특정된 기술적 단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단지 NR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기지국의 구체적인 유형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과 결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 및 이의 응용 시나리오를 통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200)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바, 다시 말하면, 이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장착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고, 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202: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
SFN 전송 모드는, SFN 배치에서, 다수의 RRH가 하나의 BBU에 연결되고, 이렇게 되면 단말기는 고속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빈번하게 기지국을 전환할 필요가 없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기반하여, SFN 전송 모드의 사용 여부를 구별할 필요가 있고, 본 단계는 아래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의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지시 방식, 타깃 전송 구성 지시 상태(TCI state) 지시 방식, 구성 또는 지시한 타깃 파라미터가 예정된 파라미터 요구를 만족시키는 방식,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이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지시 방식에서의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의 실행주체는 단말 기기일 수도 있고 네트워크 기기일 수도 있으며,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아래 구현 방식을 포함한다.
실행주체가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UE에 SFN 전송 모드를 지시하고; 및 실행주체가 UE인 경우, UE는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 이로써, SFN 형태의 MTRP 전송 모드를 결정하여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로 하여금 SFN 전송 모드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네트워크 및 단말기가 SFN 모드 실행 여부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담보할 수 있으며, 단말기는 네트워크가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송신하는 것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어 단말기가 상응한 채널 모니터링을 진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300)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이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장착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고, 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302: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RRC 시그널링 지시 방식인 경우, 상기 RRC 시그널링에는 상기 SFN 전송 모드를 특성화하기 위한 SFN 지시 정보가 구성되고, 상기 SFN 지시 정보를 통해 SFN 전송 모드의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의 실행주체는 단말 기기일 수도 있고, 네트워크 기기일 수도 있으며, 본 단계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RRC 시그널링을 구성하고, RRC 시그널링에 상기 SFN 전송 모드를 특성화하기 위한 SFN 지시 정보가 구성되며, UE에 이 RRC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상기 SFN 지시 정보를 통해 SFN 전송 모드의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
본 단계가 UE에 의해 수행될 경우, UE는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는데, 상기 RRC 시그널링에는 상기 SFN 전송 모드를 특성화하기 위한 SFN 지시 정보가 구성되고, UE는 상기 SFN 지시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가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PDSCH 또는 PDCCH의 전송을 진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S304: 제1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시그널링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유닛(Medium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 MAC 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에 의해 지시된다. 예를 들면, MAC CE 또는 DCI에서의 타깃 도메인을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302에서는 RRC 시그널링의 형태를 통해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되, RRC의 RepetitionSchemeConfig information element에 하나의 SFN 전송 모드를 특성화하는 'sfn' 도메인을 추가하고, RRC 시그널링이 fdm-TDM, slotBased 및 sfn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sfn 도메인의 구성 형태는 ENUMERATED 또는 SetupRelease일 수 있다. 네트워크가 RRC 메시지에 ‘sfn’ 도메인을 구성하면 SFN 전송이 사용 가능하게 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는, 단계 S304에서, 네트워크가 RRC 메시지에 ‘sfn’ 도메인을 구성하고, MAC CE에서 SFN 전송을 위한 특정 도메인을 통해 활성화하면 SFN 전송이 사용 가능하게 된다. 또는, 단계 S304에서, 네트워크가 RRC 메시지에 ‘sfn’ 도메인을 구성하고, 기타 이미 정의한 관련 MAC CE시그널링, 예를 들면 TCI state를 활성화하거나 지시하기 위한 MAC CE 시그널링으로 암시적으로 지시하면 SFN 전송이 사용 가능하게 된다.
다른 구현 방식에서는, 단계 S304에서, 네트워크가 RRC 메시지에 ‘sfn’ 도메인을 구성하고, SFN 전송을 위한 특정 DCI 도메인을 통해 지시하면 SFN 전송이 사용 가능하게 된다.
다른 구현 방식에서는, 단계 S304에서, 네트워크가 RRC 메시지에 ‘sfn’ 도메인을 구성하고, 기타 이미 정의된 관련 DCI 시그널링, 예를 들면 TCI state를 지시하기 위한 DCI 시그널링을 통해 암시적으로 지시하면 SFN 전송이 사용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RRC 시그널링 지시 방식인 경우, 상기 RRC 시그널링에는 상기 SFN 전송 모드를 특성화하기 위한 SFN 지시 정보가 구성되고, 상기 SFN 지시 정보를 통해 SFN 전송 모드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며, SFN 형태의 MTRP 전송 모드를 결정하여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로 하여금 SFN 전송 모드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네트워크 및 단말기가 상대방의 SFN 모드 진행 여부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담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400)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이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장착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고, 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402: 제1 타깃 TCI state 지시 방식을 통해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은 타깃 전송 구성 지시(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TCI) 상태(state) 지시 방식이고, 상기 타깃 TCI state는 제1 타깃 TCI state이며, 상기 제1 타깃 TCI state는 제1 타깃 준공동위치 유형(Quasi co-location-type, QCL-type)와 연관되고, 여기서, 상기 제1 타깃 QCL-type는 아래 QCL-type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포함되는 요소가 시간 지연 확산인 제1 QCL-Type.
포함되는 요소가 평균 시간 지연과 시간 지연 확산인 제2 QCL-Type.
포함되는 요소가 도플러 확산, 평균 시간 지연 및 시간 지연 확산인 제3 QCL-Type.
포함되는 요소가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 도플러 확산 및 시간 지연 확산인 제4 QCL-Type.
준공동위치 (Quasi co-location, QCL)란 어느 안테나 포인트에서의 심볼이 경과하는 채널의 평균 시간 지연, 시간 지연 확산,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 도플러 확산 및 공간 수신 파라미터 등이 그 외의 한 안테나 포트를 통해 추정되는 것을 말한다. 엔알(New Radio, NR)에는 4가지 상이한 유형의 QCL 관계가 상이한 전송 시나리오에 대응한다.
1)QCL-TypeA,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 도플러 확산, 평균 시간 지연, 시간 지연 확산}.
2)QCL-TypeB,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 도플러 확산}.
3)QCL-TypeC,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 평균 시간 지연}.
4)QCL-TypeD, {공간 수신 파라미터}.
통상적으로, 추적 기준 신호 (Tracking reference signal, TRS)는 QCL-TypeA의 형태로 DMRS에 구성되어 QCL 참조에 사용된다. TCI는 기준 신호 사이의 QCL 참조 관계를 지시한다. MTRP 시나리오에서, 일반적으로 동시에 두 개의 TCI state를 지시한다. 하나의 TCI state에는 제일 많아 두 개의 QCL 참조 소스가 포함되고, 하나의 TCI state에서의 두 개의 QCL 참조 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는 동일할 수 없다. 만약 하나의 TCI state에 두 개의 QCL 참조 소스가 연관되면 그 중의 한 QCL 참조 소스의 QCL-Type는 반드시 QCL-TypeD이다.
이하, 한 가지 TCI state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DCI를 통해 PDSCH의 DMRS에 하나의 TCI state를 지시하되, 이 TCI state는 하나의 TRS 리소스 및 하나의 CSI-RS for BM 리소스와 같은 두 개의 QCL 참조 소스와 연관된다. 여기서, TRS 리소스는 QCL-TypeA와 대응하고, CSI-RS for BM 리소스는 QCL-TypeD와 대응한다.
그러나, 본 단계는 상기 4 가지 QCL 유형을 제외하고 상기 제1 타깃 QCL-type를 정의하고, 제1 타깃 TCI state가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경우, 제1 타깃 TCI state를 통해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제1 타깃 TCI state는 RRC, MAC CE 또는 DCI를 통해 구성되거나 지시할 수 있고, 본 단계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RRC, MAC CE 또는 DCI를 통해 제1 타깃 TCI state를 구성하거나 지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타깃 TCI state를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지시할 수 있다. 상응하게, 본 단계가 UE에 의해 수행될 경우, UE는 네트워크 기기가 RRC, MAC CE 또는 DCI를 통해 구성하거나 지시한 제1 타깃 TCI state를 수신하고, 네트워크는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PDSCH 또는 PDCCH의 전송을 진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본 단계를 수행하는 바, 즉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상기 제1 타깃 TCI state를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되, 여기서, 상기 제1 기설정 조건은 아래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PDSCH 또는 PDCCH에 대하여, RRC를 통해 구성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활성화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C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DCI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예를 들면, 새로 정의한 여러 가지 가능한 제1 타깃 QCL-type는 아래에 표시한 바와 같다.
QCL-TypeE1, 포함되는 요소는 {시간 지연 확산}이다.
QCL-TypeE2, 포함되는 요소는 {평균 시간 지연, 시간 지연 확산}이다.
QCL-TypeE3, 포함되는 요소는 {도플러 확산, 평균 시간 지연, 시간 지연 확산}이다.
QCL-TypeE4, 포함되는 요소는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 도플러 확산, 시간 지연 확산}이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PDSCH 또는 PDCCH의 DMRS는 QCL-TypeE1/E2/E3의 방식으로 TRS를 참조할 수 있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TRS는 QCL-TypeE1/E2/E3의 방식으로 TRS를 참조할 수 있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CSI 기준 신호 (CSI Reference Signal, CSI-RS)는 QCL-TypeE1/E2/E3의 방식으로 TRS를 참조할 수 있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PDSCH/PDCCH의 DMRS는 QCL-TypeE4의 방식으로 TRS를 참조할 수 있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CSI-RS는 QCL-TypeE4의 방식으로 TRS를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황 1: RRC가 PDCCH 또는 PDSCH에 각각 TCI state 1, TCI state 2, …, TCI state 8인 8개의 TCI state를 구성한다. 여기서, TCI state 2에는 1개의 QCL 참조 소스를 연관하여 TRS resource 2로 사용하고, QCL-Type가 QCL-TypeE3이면 SFN 전송 모드는 사용 가능하게 된다.
상황 2: RRC가 PDSCH에 각각 TCI state 1, TCI state 2, …, TCI state 10인 10개의 TCI state를 구성한다. 여기서, TCI state 2에는 1개의 QCL 소스를 TRS resource 2로 연관하고, QCL-Type는 QCL-TypeE3이다. MAC CE는 이 10개의 TCI state에서 TCI state1로부터 TCI state8까지 활성화한다. MAC CE가 활성화한 8개의 TCI state에 TCI state 2가 존재하므로 SFN 전송 모드는 사용 가능하게 된다.
상황 3: RRC가 PDCCH에 각각 TCI state 1, TCI state 2, …, TCI state 10인 10개의 TCI state를 구성한다. 여기서, TCI state 2에는 1개의 QCL 소스 TRS resource 2로 연관하고, QCL-Type는 QCL-TypeE3이다. MAC CE는 이 10개의 TCI state에서 TCI state 2를 PDCCH DMRS의 QCL 참조로 지시하므로 SFN 전송 모드는 사용 가능하게 된다.
상황 4: RRC가 PDSCH에 각각 TCI state 1, TCI state 2, …, TCI state 10인 10개의 TCI state를 구성한다. 여기서, TCI state 2에는 1개의 QCL 소스를 TRS resource 2로 연관하고, QCL-Type는 QCL-TypeE3이다. MAC CE는 이 10개의 TCI state에서 TCI state1로부터 TCI state8까지 활성화하고, DCI는 최종적으로 MAC CE에서 활성화한 8개의 TCI state에서 TCI state 2를 PDSCH DMRS의 QCL 참조로 사용하므로 SFN 전송 모드는 사용 가능하게 된다.
상기 상황 1~상황 4에서는 단지 새로 정의한 TCI state가 QCL-TypeE3인 것을 예로 들었으나 QCL-TypeE3은 기타 임의의 새로 정의된 TCI state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타깃 TCI state 지시 방식이고 상기 타깃 TCI state가 제1 타깃 TCI state인 경우, 상기 제1 타깃 TCI state는 상기 제1 타깃 준공동위치 유형(QCL-type)과 연관되고, 새로 정의된 QCL-type가 SFN 형태의 MTRP 전송 모드를 지시하는 것을 통해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로 하여금 SFN 전송 모드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네트워크 및 단말기가 상대방의 SFN 모드 진행 여부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담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500)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이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장착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고, 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502: 제2 타깃 TCI state를 통해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은 타깃 TCI state 지시 방식이고, 상기 타깃 TCI state는 제2 타깃 TCI state이며, 상기 제2 타깃 TCI state는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의 타깃 연관 관계와 연관하되, 여기서,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의 타깃 연관 관계에 포함되는 요소는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 예를 들면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제2 타깃 TCI state은 RRC, MAC CE 또는 DCI를 통해 구성되거나 지시될 수 있는데, 본 단계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RRC, MAC CE 또는 DCI를 통해 제2 타깃 TCI state를 구성하거나 지시할 수 있고, 상기 제2 타깃 TCI state를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지시할 수 있다. 상응하게, 본 단계가 UE에 의해 수행될 경우, UE는 네트워크 기기가 RRC, MAC CE 또는 DCI를 통해 구성하거나 지시한 제2 타깃 TCI state를 수신하며, 이로써 네트워크가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PDSCH 또는 PDCCH의 전송을 진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본 단계를 수행, 즉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상기 제2 타깃 TCI state를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기설정 조건은 아래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PDSCH 또는 PDCCH에 대하여, RRC를 통해 구성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활성화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C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DCI가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예를 들면, 연관 관계{도플러 주파수 오프셋}. 업링크 신호와 다운링크 신호의 연관 관계가 사용될 수 있는 경우는, 업링크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와 연관되는 다운링크 TRS의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 PUSCH 또는 PUCCH의 DMRS와 연관되는 다운링크 TRS의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600)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이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장착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고, 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602: 제3 타깃 TCI state를 통해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은 타깃 TCI state 지시 방식이고, 상기 타깃 TCI state는 제3 타깃 TCI state이며,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연관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는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가 존재하고,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는 비 QCL-TypeD이다. 본 단계는 한 가지 새로운 TCI state를 정의, 즉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제3 타깃 TCI state은 RRC, MAC CE 또는 DCI를 통해 구성되거나 지시될 수 있는데, 본 단계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RRC, MAC CE 또는 DCI를 통해 제3 타깃 TCI state를 구성하거나 지시할 수 있고, 상기 제3 타깃 TCI state를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지시할 수 있다. 상응하게, 본 단계가 UE에 의해 수행될 경우, UE는 네트워크 기기가 RRC, MAC CE 또는 DCI를 통해 구성하거나 지시한 제3 타깃 TCI state를 수신하고, 이로써 네트워크가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PDSCH 또는 PDCCH의 전송을 진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제3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본 단계를 수행, 즉 제3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제3 타깃 TCI state를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3 기설정 조건은 아래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PDSCH 또는 PDCCH에 대하여, RRC를 통해 구성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활성화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C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DCI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이 외에,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QCL-Type와 대응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서의 하나는 앵커 포인트이고, 상기 앵커 포인트는 예정된 규칙에 따라 미리 설정한 것이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지시된 것이다. 이 외에,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도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예정된 규칙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것이란 예를 들면 예정된 TCI state에서 순서가 앞에 놓이는 기준 신호 리소스를 앵커 포인트로 사용하는 것이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 다음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 QCL-Type의 반복 요소를 공동으로 참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새로운 TCI state 형태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1) TCI state에 4개의 TRS 리소스가 연관되는 바, 각각 QCL-TypeA와 대응하는 TRS resource 1; QCL-TypeA와 대응하는 TRS resource 2; QCL-TypeD와 대응하는 CSI-RS resource 3; QCL-TypeD와 대응하는 CSI-RS resource 4이다.
2) TCI state에 4개의 TRS 리소스가 연관되는 바, 각각 QCL-TypeA와 대응하는 TRS resource 1; 및 QCL-TypeE1과 대응하는 TRS resource 2; QCL-TypeD와 대응하는 CSI-RS resource 3; QCL-TypeD와 대응하는 CSI-RS resource 4이다.
상기 2)에서는 단지 QCL-TypeE1을 예로 들었으나 QCL-TypeE1은 기타 임의의 새로 정의된 QCL-Type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새로 정의된 QCL-TypeE1 내지 E4에서의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이다.
1)의 상황에 대하여, 두 개의 TRS 리소스가 모두 QCL-TypeA와 대응하므로, 그 중의 한 TRS 리소스를 앵커 포인트로 설정하여 완전한 QCL-TypeA 참조를 제공해야 하고, 비 앵커 포인트의 TRS 리소스는 QCL-TypeA에서의 {시간 지연 확산} 또는 {평균 시간 지연, 시간 지연 확산} 또는 {도플러 확산, 평균 시간 지연, 시간 지연 확산}, 또는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 도플러 확산, 시간 지연 확산} 등 일부 QCL 참조 항목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AC CE 또는 DCI가 TRS resource 1을 앵커 포인트로 지시하면 TRS resource 1은 완전한 QCL-TypeA 참조 항목{도플러 주파수 오프셋, 도플러 확산, 평균 시간 지연, 시간 지연 확산}을 제공하고, TRS resource 2는 단지 {시간 지연 확산}, 또는 {평균 시간 지연, 시간 지연 확산}, 또는 {도플러 확산, 평균 시간 지연, 시간 지연 확산}, 또는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 도플러 확산, 시간 지연 확산}만 제공하며; CSI-RS resource 3 및 CSI-RS resource 4는 각각 대응하는 {공간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이레벨 QCL-Type 파라미터의 번호 순서에 따라 번호가 앞에 놓이는 QCL-Type 파라미터와 대응하는 TRS resource를 앵커 포인트로 디폴트한다. 예를 들면, 하이레벨 파라미터qcl-Type1는 TRS resource 1과 대응하고, 하이레벨 파라미터qcl-Type2는 CSI-RS resource 3과 대응하며, 하이레벨 파라미터qcl-Type3는 TRS resource 2와 대응하고, 하이레벨 파라미터qcl-Type4는 CSI-RS resource 4와 대응하면 이때 TRS resource 1을 앵커 포인트로 하여 완전한 QCL-TypeA 참조 항목{도플러 주파수 오프셋, 도플러 확산, 평균 시간 지연, 시간 지연 확산}을 제공하고, TRS resource 2는 단지 {시간 지연 확산}, 또는 {평균 시간 지연, 시간 지연 확산}, 또는 {도플러 확산, 평균 시간 지연, 시간 지연 확산}, 또는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 도플러 확산, 시간 지연 확산}을 제공하며; CSI-RS resource 3 및 CSI-RS resource 4는 각각 대응하는 {공간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1)의 상황이든 2)의 상황이든, 다수의 참조 유형이 비 QCL-TypeD인 기준 신호에 중복되는 QCL 참조 항목을 제공할 경우, 단말기는 처리를 진행할 때 양자를 병합해야 한다. 이하, 2)에서의 상황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데, TRS resource 1이 QCL-TypeA와 대응하고, TRS resource 2가 QCL-TypeE1과 대응하므로 양자에 존재하는 중복 QCL참조 항목은 {시간 지연 확산}이다. 따라서, 단말기는 처리를 진행할 때 TRS resource 1이 제공하는 시간 지연 확산과 TRS resource 2가 제공하는 시간 지연 확산을 병합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결합된 시간 지연 확산을 산출해야 한다. 기타 상황에서도 유형의 병합 처리를 진행하는데, 예를 들면 TRS resource 1과 TRS resource 2는 모두 도플러 확산을 제공하므로 단말기는 마찬가지로 양자의 정보를 결합하여 하나의 병합된 도플러 확산을 산출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3 타깃 TCI state를 통해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상황 1: RRC는 PDCCH 또는 PDSCH에 각각 TCI state 1, TCI state 2, …, TCI state 8인 8개의 TCI state를 구성한다. 여기서, TCI state 1에는 4개의 QCL 참조 소스가 연관되는데, 각각 TRS resoure 1이 QCL-TypeA와 대응하고, TRS resoure 2가 QCL-TypeA와 대응하며, CSI-RS resoure 3이 QCL-TypeD와 대응하고, CSI-RS resoure 4가 QCL-TypeD와 대응하므로 SFN 전송 모드는 사용 가능하게 된다.
상황 2: RRC는 PDSCH에 각각 TCI state 1, TCI state 2, …, TCI state 10인 10개의 TCI state를 구성한다. 여기서, TCI state 1에는 4개의 QCL 참조 소스가 연관되는데, 각각 TRS resoure 1이 QCL-TypeA와 대응하고, TRS resoure 2가 QCL-TypeA와 대응하며, CSI-RS resoure 3이 QCL-TypeD와 대응하고, CSI-RS resoure 4가 QCL-TypeD와 대응한다. MAC CE는 이 10개의 TCI state에서 TCI state1로부터 TCI state8까지 활성화한다. MAC CE가 활성화한 8개의 TCI state에 TCI state 1이 존재하므로 SFN 전송 모드는 사용 가능하게 된다.
상황 3: RRC는 PDCCH에 각각 TCI state 1, TCI state 2, …, TCI state 10인 10개의 TCI state를 구성한다. 여기서, TCI state 1에는 4개의 QCL 참조 소스가 연관되는데, 각각 TRS resoure 1이 QCL-TypeA와 대응되고, TRS resoure 2가 QCL-TypeA와 대응되며, CSI-RS resoure 3이 QCL-TypeD와 대응되고, CSI-RS resoure 4가 QCL-TypeD와 대응된다. MAC CE는 이 10개의 TCI state에서 TCI state 1을 PDCCH DMRS의 QCL 참조로 지시하므로 SFN 전송 모드는 사용 가능하게 된다.
상황 4: RRC는 PDSCH에 각각 TCI state 1, TCI state 2, …, TCI state 10인 10개의 TCI state를 구성한다. 여기서, TCI state 1에는 4개의 QCL 참조 소스가 연관되는데, 각각 TRS resoure 1이 QCL-TypeA와 대응되고, TRS resoure 2가 QCL-TypeA와 대응되며, CSI-RS resoure 3이 QCL-TypeD와 대응되고, CSI-RS resoure 4가 QCL-TypeD와 대응된다. MAC CE는 이 10개의 TCI state에서 TCI state1로부터 TCI state8까지 활성화하고, DCI는 최종적으로 MAC CE에서 활성화한 8개의 TCI state에서 TCI state 1을 PDSCH DMRS의 QCL 참조로 지시하므로 SFN 전송 모드는 사용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은 새로운 TCI state 형태를 정의하여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700)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이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장착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고, 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702: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구성 또는 지시한 타깃 파라미터가 예정된 파라미터 요구를 만족시키는 방식인 경우, 상기 예정된 파라미터 요구는, DCI가 지시하는 PDSCH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포트의 타깃 코드 분할 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 CDM) 그룹 수량이 예정된 그룹 수이고, 대응하는 TCI State 수가 예정된 유형이며, RRC의 구성 파라미터에 예정된 활성화 파라미터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DCI가 PDSCH DMRS 포트(port(s))를 지시하는 CDM그룹(group)의 수가 1이고, 및 대응하는 TCI State 수가 2이며, 하이레벨 파라미터에 RepSchemeEnabler를 구성하지 않은 경우, SFN 전송 모드는 사용 가능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800)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이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장착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고, 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802: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PDCCH가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지시 방식인 경우, PDCCH가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전송하면, PDSCH가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한다고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본 단계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PDCCH를 송신하는 방식으로 UE에 PDSCH도 마찬가지로 SFN의 형태로 송신한다는 것을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상응하게, 본 단계가 UE에 의해 수행될 경우, UE가 수신한 PDCCH가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전송한 것이면 UE는 PDSCH도 마찬가지로 SFN의 형태로 전송한다는 것을 기대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900)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이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장착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고, 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902: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타깃 경우에,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하도록 결정한다.
도 9b는 SFN 전송 모드에서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을 진행하는 모식도를 도시하는 바, SFN 네트워크 배치에서, 다수의 RRH는 하나의 BBU에 연결되어 단말기가 고속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기지국을 빈번하게 전환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다수의 RRH가 동일한 데이터를 단말기에 송신하고, 단말기와 다수의 RRH 위치 관계가 상이하므로 다수의 RRH의 전송 신호가 단말기에 도달하는 시간 지연, 파워 및 도플러 편이가 상이하게 된다. 특히 도플러 편이가 상이하여 단말기의 데이터 복조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속철도 시나리오에서, 단말기가 두 개의 RRH의 중간에 이동할 경우, 이가 왼쪽 RRH1을 받는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은 Δf1이고, 오른쪽 RRH2를 받는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은 Δf2이다. 이때, Δf1과 Δf2의 수치는 근접하지만 양과 음이 반대되므로 단말기가 수신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조할 수 없게 된다.
단말기가 다수의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의 영향을 받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지국은 업링크 신호에 따라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단말기가 데이터를 수신할 때 미리 사전 보상을 진행할 수 있는 바, 통상적인 단계는 다음과 같다.
단계1: RRH1과 RRH2가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and PBCH block, SSB) 리소스 집합 SSB1 및 SSB2를 각각 송신한다.
단계2: 단말기가 SSB1 및 SSB2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Δf1 및 Δf2를 각각 대략 추정하고, SSB1 또는 SSB2의 주파수 오프셋 추정 결과에 따라 크리스탈 주파수를 조절한다. 예를 들면, 단말기는 SSB1의 추정 결과Δf1에 따라 크리스탈 주파수를 fc+Δf1(fc는 기지국 크리스탈 주파수)로 조절한다.
단계3: RRH1과 RRH2가 TRS 리소스 집합TRS1 및 TRS2를 각각 송신한다.
단계4: 단말기는 TRS1 및 TRS2에 따라 현재 주파수 오프셋Δf1' 및 Δf2'(SSB와 TRS 추정 오차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Δf1'=0, Δf2'=Δf2-Δf1)를 정밀 추정하고, TRS1 또는 TRS2의 주파수 오프셋 추정 결과에 따라 크리스탈 주파수를 조정한다. 예를 들면, TRS1의 추정 결과Δf1'에 따라 크리스탈 주파수를 fc+Δf1+Δf1'로 조절한다.
단계5: 단말기는 주파수 fc+Δf1+Δf1’로 업링크 SRS기준 신호를 송신하고, 기지국은 SRS기준 신호 또는 기타 기준 신호에 따라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Δf1 및 Δf2를 추정한다.
단계6: 기지국은 RRH1의 다운링크 주파수를 여전히 fc로 유지하고, RRH2의 다운링크 주파수를 fc+Δf1-Δf2로 조정하며, 다운링크 PDSCH 데이터를 전송한다.
단계7: 단말기는 다운링크 PDSCH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6에서 이미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을 미리 보상하였으므로 단계7에서 단말기가 수신한 다운링크 PDSCH 데이터는 엄중한 카운터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추정 오차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두 개의 심볼이 반대되는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 값은 0으로 제거된다. 본 단계에서, 타깃 경우에 상기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하여 단말기로 하여금 수신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조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본 단계는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네트워크에 의해 디스플레이하거나 암시적으로 지시할 경우에도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타깃 경우는 아래에서의 하나를 포함한다.
네트워크가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 가능하게 특성화하는 제2 시그널링을 구성 또는 지시하는 경우.
네트워크 기기가 본 단계를 수행할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UE에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 가능하게 특성화하는 제2 시그널링을 송신하여 UE에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하도록 지시한다. 상응하게, UE가 본 단계를 수행할 경우, UE는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 가능하게 특성화하는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하도록 결정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RRC, MAC CE 또는 DCI네트워크를 통해 이 제2 시그널링을 구성하거나 지시할 수 있다.
이 외에, 네트워크는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 가능하지 않게 하거나 오프시키는 시그널링을 구성하거나 지시할 수도 있다. 이 시그널링은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 가능하지 않게 하거나 오프시키도록 결정한다.
제3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TCI state가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의 연관 관계와 연관하고 상기 연관 관계의 요소가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TCI state가 업링크 기준 신호 및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연관 관계와 연관하고 상기 연관 관계의 요소가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하는 경우. 및 제3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TCI state가 업링크 물리적 채널 및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연관 관계와 연관하고 상기 연관 관계의 요소가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하는 경우.
제4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TCI state에 제2 타깃 QCL-Type를 연관하고, 상기 제2 타깃 QCL-Type와 대응하는 요소가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제5 시그널링을 통해 타깃 추적 기준 신호(TRS) 또는 타깃 동기 신호 블록(SSB) 리소스를 반송 주파수 및/또는 타이밍을 조절하는 앵커 포인트로 지시하는 경우. 예를 들면:
제5 시그널링이 0을 지시하거나 또는 지시하지 않으면: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을 오픈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제5 시그널링이 1을 지시하면: UE가 코드 포인트(codepoint){TCI state1, TCI state2}에서의 첫 번째 TCI state와 대응하는 RS를 앵커 포인트로 참조해야 하고,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이 사용 가능하게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5 시그널링이 2를 지시하면: UE가 codepoint{TCI state1, TCI state2}에서의 두 번째 TCI state와 대응하는 RS를 앵커 포인트로 참조해야 하고,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이 사용 가능하게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2 시그널링과 유사하게, 본 단계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UE에 제3 시그널링, 제4 시그널링 또는 제5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이로써 UE에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할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상응하게, 본 단계가 UE에 의해 수행될 경우, UE는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하거나 지시한 제3 시그널링, 제4 시그널링 또는 제5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이로써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제3 시그널링, 제4 시그널링 및 제5 시그널링은 RRC, MAC CE 또는 DCI를 통해 구성되거나 지시될 수 있다. 제3 시그널링, 제4 시그널링 및 제5 시그널링은 동일한 시그널링 또는 상이한 시그널링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하도록 결정하는 경우, 업링크 주파수는 PDSCH 또는 PDCCH의 DMRS가 대응되는 TCI state에서의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가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하도록 결정하는 경우, PDSCH 또는 PDCCH의 DMRS가 대응되는 TCI state에서의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업링크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은,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고, 여러 가지 명시적이거나 암시적인 방식으로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을 시작하여 네트워크 및 단말기에 대해 대응되는 처리를 진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1000)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이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장착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고, 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1002: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
본 단계는 도 2의 실시예의 설명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기초 상에, RRC 파라미터에 예정된 파라미터가 포함될 경우, 동일한 전송 블록은 다수의 시간 슬롯 레벨의 PDSCH에 의해 전송되고, 각 시간 슬롯의 PDSCH는 모두 상기 SFN 전송 모드로 전송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는, 하이레벨 구성의 예정된 활성화 파라미터, 예를 들면 SlotBased-r16 도메인을 허용하지 않는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예정된 활성화 파라미터가 구성된 경우, 상기 예정된 활성화 파라미터는 효력을 발생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만약 SlotBased-r16 도메인을 하이레벨 구성하면 이가 효력을 발생하지 않는다고 디폴트하거나, 또는 만약 SlotBased-r16 도메인을 하이레벨 구성하면 SlotBased-r16은 단지 pdsch-TimeDomainAllocationList에 포함되는 RepNumR16 파라미터의 PDSCH-TimeDomainResourceAllocation에만 효력을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은 SFN과 시간 슬롯에 기반한 중복 전송 방안을 결합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1100)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이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장착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고, 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1102: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
S1104: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제4 TCI state를 응용한다.
여기서, 상기 제4 TCI state가 연관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는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가 존재하고,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는 비 QCL-TypeD이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QCL-Type와 대응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서의 하나는 앵커 포인트이고, 상기 앵커 포인트는 미리 설정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지시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 다음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 QCL-Type에서의 반복 요소를 공동으로 참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에서, 실행주체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이거나, 또는 이 장치에서 상기 방법을 수행 및 로딩하기 위한 제어 모듈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가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수행 및 로딩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1200)는 결정 모듈(1201)을 포함한다.
결정 모듈(1201)은,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되, 여기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지시 방식, 타깃 전송 구성 지시 상태(TCI state) 지시 방식, 구성 또는 지시한 타깃 파라미터가 예정된 파라미터 요구를 만족시키는 방식,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이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지시 방식에서의 하나를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1200)는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선택 모듈은 상기 타깃 실행방식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RRC 시그널링 지시 방식인 경우, 상기 RRC 시그널링에는 상기 SFN 전송 모드를 특성화하기 위한 SFN 지시 정보가 구성되고, 상기 결정 모듈(1201)은, 상기 SFN 지시 정보를 통해 SFN 전송 모드의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RRC 시그널링에 상기 SFN 전송 모드를 특성화하기 위한 SFN 지시 정보가 구성되는 경우, 상기 결정 모듈(1201)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유닛(MAC 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 의해 지시되는 제1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 가능하게 하는데 더 사용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타깃 TCI state 지시 방식이고 상기 타깃 TCI state가 제1 타깃 TCI state인 경우, 상기 제1 타깃 TCI state는 제1 타깃 준공동위치 유형(QCL-type)과 연관되고, 여기서, 상기 제1 타깃 QCL-type는, 포함되는 요소가 시간 지연 확산인 제1 QCL-Type; 포함되는 요소가 평균 시간 지연과 시간 지연 확산인 제2 QCL-Type; 포함되는 요소가 도플러 확산, 평균 시간 지연 및 시간 지연 확산인 제3 QCL-Type; 포함되는 요소가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 도플러 확산 및 시간 지연 확산인 제4 QCL-Type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결정 모듈(1201)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상기 제1 타깃 TCI state를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되, 여기서, 상기 제1 기설정 조건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에 대하여, RRC를 통해 구성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활성화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C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 PDSCH에 대하여, DCI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타깃 TCI state 지시 방식이고 상기 타깃 TCI state가 제2 타깃 TCI state인 경우, 상기 제2 타깃 TCI state는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의 타깃 연관 관계와 연관하되, 여기서,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의 타깃 연관 관계에 포함되는 요소는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결정 모듈(1201)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상기 제2 타깃 TCI state를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되, 여기서, 상기 제2 기설정 조건은, PDSCH 또는 PDCCH에 대하여, RRC를 통해 구성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활성화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C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DCI가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타깃 TCI state 지시 방식이고 상기 타깃 TCI state이 제3 타깃 TCI state인 경우,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연관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는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가 존재하고,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는 비 QCL-TypeD이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결정 모듈(1201)은, 제3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제3 타깃 TCI state를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되, 여기서, 상기 제3 기설정 조건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에 대하여, RRC를 통해 구성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활성화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C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DCI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QCL-Type와 대응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서의 하나는 앵커 포인트이고, 상기 앵커 포인트는 미리 설정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지시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결정 모듈(1201)은,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 다음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 QCL-Type에서의 반복 요소를 공동으로 참조하는데 더 사용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구성 또는 지시한 타깃 파라미터가 예정된 파라미터 요구를 만족시키는 방식인 경우, 상기 예정된 파라미터 요구는, DCI가 지시하는 PDSCH 복조 기준 신호(DMRS) 포트의 타깃 코드 분할 다중화(CDM) 그룹 수량이 예정된 그룹 수이고, 대응하는 TCI State 수가 예정된 유형이며, RRC의 구성 파라미터에 예정된 활성화 파라미터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결정 모듈(1201)은,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PDCCH가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지시 방식인 경우, PDCCH가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전송하면, PDSCH가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한다고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RRC 파라미터에 예정된 파라미터가 포함될 경우, 동일한 전송 블록은 다수의 시간 슬롯 레벨의 PDSCH에 의해 전송되고, 각 시간 슬롯의 PDSCH는 모두 상기 SFN 전송 모드로 전송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예정된 활성화 파라미터가 구성된 경우, 상기 예정된 활성화 파라미터는 효력을 발생하지 않는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결정 모듈(1201)은,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타깃 경우에,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하도록 결정하는데 더 사용되되, 여기서, 상기 타깃 경우는,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 가능하게 특성화하는 제2 시그널링을 구성 또는 지시하는 경우; 제3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TCI state가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의 연관 관계와 연관하고 상기 연관 관계의 요소가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하는 경우; 제4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TCI state에 제2 타깃 QCL-Type를 연관하고, 상기 제2 타깃 QCL-Type와 대응하는 요소가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제5 시그널링을 통해 타깃 추적 기준 신호(TRS) 또는 타깃 동기 신호 블록(SSB) 리소스를 반송 주파수 및/또는 타이밍을 조절하는 앵커 포인트로 지시하는 경우에서의 하나를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하도록 결정하는 경우, 업링크 주파수는 PDSCH 또는 PDCCH의 DMRS가 대응하는 TCI state에서의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조절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결정 모듈(1201)은,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제4 TCI state를 응용하는데 더 사용되되, 여기서, 상기 제4 TCI state가 연관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는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가 존재하고,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는 비 QCL-TypeD이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QCL-Type와 대응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서의 하나는 앵커 포인트이고, 상기 앵커 포인트는 미리 설정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지시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결정 모듈(1201)은,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 다음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 QCL-Type의 반복 요소를 공동으로 참조하는데 더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는 장치일 수도 있고 단말기에서의 부품, 집적회로 또는 칩일 수도 있다. 이 장치는 이동 전자기기일 수도 있고 비 이동 전자기기 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이동 전자기기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팜톱 컴퓨터, 차량용 전자기기, 웨어러블 기기, 울트라 모바일 개인용 컴퓨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넷북 또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일 수 있고, 비 이동 전자기기는 서버, 네트워크 연결 스토리지(Network Attached Storage, NAS), 개인용 컴퓨터 (personal computer, PC), 텔레비전(television, TV), 현금 인출기 또는 자동판매기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는 운영체제를 구비한 장치일 수 있다. 이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일 수도 있고, ios 운영체제일 수도 있으며, 기타 가능한 운영체제일 수도 있는 바, 본 출원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1200)는 대응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200)-방법(1100)의 과정을 참조할 수 있고, 이 장치(1200)에서의 각 유닛/모듈 및 상기 기타 작업 및/또는 기능은 방법(200)-방법(1100)에서의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고 동일하거나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간결함을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기기(1300)를 더 제공하는데, 이는 프로세서(1301), 메모리(1302), 메모리(1302)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1301)에서 운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는 바, 예를 들면, 이 통신 기기(1300)가 단말기일 경우, 이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1301)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 통신 기기(1300)가 네트워크측 기기일 경우, 이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1301)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바,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기기를 더 제공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네트워크측 기기(1400)는 안테나(1401), 무선 주파수 장치(1402), 베이스밴드 장치(1403)를 포함한다. 안테나(1401)는 무선 주파수 장치(1402)와 연결된다. 업링크 방향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1402)는 안테나(1401)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베이스밴드 장치(1403)에 송신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다운링크 방향에서, 베이스밴드 장치(1403)는 송신하고자 하는 정보를 처리하고, 무선 주파수 장치(1402)에 송신하며, 무선 주파수 장치(1402)는 수신한 정보를 처리한 후, 안테나(1401)를 거쳐 송신한다.
상기 주파수 밴드 처리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1403)에 위치할 수 있고, 이상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가 수행하는 방법은 베이스밴드 장치(1403)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베이스밴드 장치(1403)는 프로세서(1404)와 메모리(1405)를 포함한다.
베이스밴드 장치(1403)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밴드 보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베이스밴드 보드에는 다수의 칩이 설치되고,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의 한 칩은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4)로서, 메모리(1405)와 연결되어 메모리(1405)에서의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이상의 방법 실시예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 베이스밴드 장치(1403)는 무선 주파수 장치(1402)와 정보를 교류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6)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공용 무선 인터페이스(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약칭 CPRI)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기기는 메모리(1405)에 저장되어 프로세서(1404)에서 운행될 수 있는 명령 또는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는데, 프로세서(1404)는 메모리(1405)에서의 명령 또는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되, 여기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지시 방식, 타깃 전송 구성 지시 상태(TCI state) 지시 방식, 구성 또는 지시한 타깃 파라미터가 예정된 파라미터 요구를 만족시키는 방식,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이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지시 방식에서의 하나를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RRC 시그널링 지시 방식인 경우, 상기 RRC 시그널링에는 상기 SFN 전송 모드를 특성화하기 위한 SFN 지시 정보가 구성되고,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SFN 지시 정보를 통해 SFN 전송 모드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RRC 시그널링에 상기 SFN 전송 모드를 특성화하기 위한 SFN 지시 정보가 구성되는 경우,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유닛(MAC 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 의해 지시되는 제1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 가능하게 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타깃 TCI state 지시 방식이고 상기 타깃 TCI state가 제1 타깃 TCI state인 경우, 상기 제1 타깃 TCI state는 제1 타깃 준공동위치 유형(QCL-type)과 연관되고, 여기서, 상기 제1 타깃 QCL-type는, 포함되는 요소가 시간 지연 확산인 제1 QCL-Type; 포함되는 요소가 평균 시간 지연과 시간 지연 확산인 제2 QCL-Type; 포함되는 요소가 도플러 확산, 평균 시간 지연 및 시간 지연 확산인 제3 QCL-Type; 포함되는 요소가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 도플러 확산 및 시간 지연 확산인 제4 QCL-Type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상기 제1 타깃 TCI state를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1 기설정 조건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에 대하여, RRC를 통해 구성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활성화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C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DCI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타깃 TCI state 지시 방식이고 상기 타깃 TCI state가 제2 타깃 TCI state인 경우, 상기 제2 타깃 TCI state는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의 타깃 연관 관계와 연관하되, 여기서,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의 타깃 연관 관계에 포함되는 요소는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상기 제2 타깃 TCI state를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2 기설정 조건은, PDSCH 또는 PDCCH에 대하여, RRC를 통해 구성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활성화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C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DCI가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타깃 TCI state 지시 방식이고 상기 타깃 TCI state이 제3 타깃 TCI state인 경우,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연관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는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가 존재하고,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는 비 QCL-TypeD이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제3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제3 타깃 TCI state를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3 기설정 조건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에 대하여, RRC를 통해 구성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활성화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C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DCI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QCL-Type와 대응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서의 하나는 앵커 포인트이고, 상기 앵커 포인트는 미리 설정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지시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 다음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 QCL-Type에서의 반복 요소를 공동으로 참조하는 단계를 더 수행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구성 또는 지시한 타깃 파라미터가 예정된 파라미터 요구를 만족시키는 방식인 경우, 상기 예정된 파라미터 요구는, DCI가 지시하는 PDSCH 복조 기준 신호(DMRS) 포트의 타깃 코드 분할 다중화(CDM) 그룹 수량이 예정된 그룹 수이고, 대응하는 TCI State 수가 예정된 유형이며, RRC의 구성 파라미터에 예정된 활성화 파라미터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PDCCH가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지시 방식인 경우,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PDCCH가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전송할 경우, PDSCH가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한다고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RRC 파라미터에 예정된 파라미터가 포함될 경우, 동일한 전송 블록은 다수의 시간 슬롯 레벨의 PDSCH에 의해 전송되고, 각 시간 슬롯의 PDSCH는 모두 상기 SFN 전송 모드로 전송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예정된 활성화 파라미터가 구성된 경우, 상기 예정된 활성화 파라미터는 효력을 발생하지 않는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는,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타깃 경우에,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되, 여기서, 상기 타깃 경우는,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 가능하게 특성화하는 제2 시그널링을 구성 또는 지시하는 경우; 제3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TCI state가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의 연관 관계와 연관하고 상기 연관 관계의 요소가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하는 경우; 제4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TCI state에 제2 타깃 QCL-Type를 연관하고, 상기 제2 타깃 QCL-Type와 대응하는 요소가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제5 시그널링을 통해 타깃 추적 기준 신호(TRS) 또는 타깃 동기 신호 블록(SSB) 리소스를 반송 주파수 및/또는 타이밍을 조절하는 앵커 포인트로 지시하는 경우에서의 하나를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하도록 결정하는 경우, 업링크 주파수는 PDSCH 또는 PDCCH의 DMRS가 대응하는 TCI state에서의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조절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는,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제4 TCI state를 응용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되, 여기서, 상기 제4 TCI state가 연관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는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가 존재하고,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는 비 QCL-TypeD이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QCL-Type와 대응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서의 하나는 앵커 포인트이고, 상기 앵커 포인트는 미리 설정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지시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 다음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 QCL-Type의 반복 요소를 공동으로 참조하는 단계를 더 수행한다. 프로세서(1404)가 수행하는 구체적인 단계는 도 200-도 1100에 도시된 각 단계에서 수행하는 방법과 같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하는 바,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 기기의 하드웨어 구조 모식도이다.
이 단말 기기(1500)는 무선 주파수 유닛(1501), 네트워크 모듈(1502), 오디오 출력 유닛(1503), 입력 유닛(1504), 센서(1505), 디스플레이 유닛(1506), 사용자 입력 유닛(1507), 인터페이스 유닛(1508), 메모리(1509), 프로세서(1510) 등 부품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단말 기기(1500)는 각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예를 들면 배터리)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전원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1510)와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및 전력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단말 기기 구조는 단말 기기를 한정하지 않는 바, 단말 기기는 도면에 도시된 부품보다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부품을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부품을 조합하거나, 또는 상이한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입력 유닛(1504)은 그래픽 처리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 GPU)(15041) 및 마이크로폰(150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래픽 처리 유닛(15041)은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컨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506)은 디스플레이 패널(15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 형태로 디스플레이 패널(15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507)은 터치 패널(15071) 및 기타 입력 기기(15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5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한다. 터치 패널(15071)은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컨트롤러 등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입력 기기(15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를 들면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 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1501)은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1510)에 의해 처리하고; 그 밖에, 업링크 데이터를 네트워크측 기기에 송신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15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모리(15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명령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509)는 주요하게 프로그램 또는 명령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프로그램 또는 명령 저장 영역에는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를 들면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 메모리(15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장치이다.
프로세서(1510)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510)에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가 통합될 수 있는데,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명령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와 같이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5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510)는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되, 여기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지시 방식, 타깃 전송 구성 지시 상태(TCI state) 지시 방식, 구성 또는 지시한 타깃 파라미터가 예정된 파라미터 요구를 만족시키는 방식,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이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지시 방식에서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RRC 시그널링 지시 방식인 경우, 상기 RRC 시그널링에는 상기 SFN 전송 모드를 특성화하기 위한 SFN 지시 정보가 구성되고,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SFN 지시 정보를 통해 SFN 전송 모드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RRC 시그널링에 상기 SFN 전송 모드를 특성화하기 위한 SFN 지시 정보가 구성되는 경우,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유닛(MAC 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 의해 지시되는 제1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 가능하게 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타깃 TCI state 지시 방식이고 상기 타깃 TCI state가 제1 타깃 TCI state인 경우, 상기 제1 타깃 TCI state는 제1 타깃 준공동위치 유형(QCL-type)과 연관되고, 여기서, 상기 제1 타깃 QCL-type는, 포함되는 요소가 시간 지연 확산인 제1 QCL-Type; 포함되는 요소가 평균 시간 지연과 시간 지연 확산인 제2 QCL-Type; 포함되는 요소가 도플러 확산, 평균 시간 지연 및 시간 지연 확산인 제3 QCL-Type; 포함되는 요소가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 도플러 확산 및 시간 지연 확산인 제4 QCL-Type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상기 제1 타깃 TCI state를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1 기설정 조건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에 대하여, RRC를 통해 구성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활성화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C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DCI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타깃 TCI state 지시 방식이고 상기 타깃 TCI state가 제2 타깃 TCI state인 경우, 상기 제2 타깃 TCI state는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의 타깃 연관 관계와 연관하되, 여기서,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의 타깃 연관 관계에 포함되는 요소는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상기 제2 타깃 TCI state를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2 기설정 조건은, PDSCH 또는 PDCCH에 대하여, RRC를 통해 구성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활성화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C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DCI가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타깃 TCI state 지시 방식이고 상기 타깃 TCI state이 제3 타깃 TCI state인 경우,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연관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는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가 존재하고,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는 비 QCL-TypeD이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제3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제3 타깃 TCI state를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3 기설정 조건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에 대하여, RRC를 통해 구성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활성화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C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DCI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QCL-Type와 대응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서의 하나는 앵커 포인트이고, 상기 앵커 포인트는 미리 설정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지시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 다음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 QCL-Type에서의 반복 요소를 공동으로 참조하는 단계를 더 수행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구성 또는 지시한 타깃 파라미터가 예정된 파라미터 요구를 만족시키는 방식인 경우, 상기 예정된 파라미터 요구는, DCI가 지시하는 PDSCH 복조 기준 신호(DMRS) 포트의 타깃 코드 분할 다중화(CDM) 그룹 수량이 예정된 그룹 수이고, 대응하는 TCI State 수가 예정된 유형이며, RRC의 구성 파라미터에 예정된 활성화 파라미터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PDCCH가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지시 방식인 경우,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PDCCH가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전송할 경우, PDSCH가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한다고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RRC 파라미터에 예정된 파라미터가 포함될 경우, 동일한 전송 블록은 다수의 시간 슬롯 레벨의 PDSCH에 의해 전송되고, 각 시간 슬롯의 PDSCH는 모두 상기 SFN 전송 모드로 전송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예정된 활성화 파라미터가 구성된 경우, 상기 예정된 활성화 파라미터는 효력을 발생하지 않는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는,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타깃 경우에,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되, 여기서, 상기 타깃 경우는,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 가능하게 특성화하는 제2 시그널링을 구성 또는 지시하는 경우; 제3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TCI state가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의 연관 관계와 연관하고 상기 연관 관계의 요소가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하는 경우; 제4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TCI state에 제2 타깃 QCL-Type를 연관하고, 상기 제2 타깃 QCL-Type와 대응하는 요소가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제5 시그널링을 통해 타깃 추적 기준 신호(TRS) 또는 타깃 동기 신호 블록(SSB) 리소스를 반송 주파수 및/또는 타이밍을 조절하는 앵커 포인트로 지시하는 경우에서의 하나를 포함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하도록 결정하는 경우, 업링크 주파수는 PDSCH 또는 PDCCH의 DMRS가 대응하는 TCI state에서의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조절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는,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제4 TCI state를 응용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되, 여기서, 상기 제4 TCI state가 연관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는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가 존재하고,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는 비 QCL-TypeD이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QCL-Type와 대응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서의 하나는 앵커 포인트이고, 상기 앵커 포인트는 미리 설정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지시된다.
한 가지 구현 방식에서,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 다음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 QCL-Type의 반복 요소를 공동으로 참조하는 단계를 더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1500)는 대응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200)-방법(1100)의 과정을 참조할 수 있고, 이 단말 기기(1500)에서의 각 유닛/모듈 및 상기 기타 작업 및/또는 기능은 방법(200)-방법(1100)에서의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고 동일하거나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간결함을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에는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더 제공하는데, 상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고, 이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바,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의 프로세서이다. 상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컴퓨터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시디롬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칩을 별도로 제공하는데, 상기 칩은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커플링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운행시켜 상기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도록 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바,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칩은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별도로 제공하는데, 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운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한다", "포괄하다" 또는 임의의 기타 변체는 비 배타적 포함을 의도하여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 요소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하도록 한다. 별도로 한정되지 않는 한, "하나의 … 포함한다"로 한정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다른 동일한 요소가 더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 외에, 지적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형태에서의 방법과 장치의 범위는 도시되거나 토론한 순서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관련된 기능에 근거하여 기본적으로 동시에 진행하거나 반대 순서로 진행하는 방식에 따라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설명된 순서와 상이한 순서에 따라 이미 설명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여러 가지 단계를 추가, 생략 또는 조합할 수 있다. 그 밖에, 일부 예시에서 설명한 특징을 참조하여 기타 예시에 조합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의 설명을 통해,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는 앞의 것이 더 바람직한 실시형태라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본질적 부분 또는 종래기술에 기여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해결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을 저장매체(예컨대, ROM/RAM, 자기 디스크, 시디롬)에 저장할 수 있으며, 약간의 명령을 포함하여 한 대의 단말기(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은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닌 바,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출원의 계시 하에 본 출원의 취지 및 청구범위에서 보호하고자 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여러 가지 형식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44)

  1. 통신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지시 방식, 타깃 전송 구성 지시 상태(TCI state) 지시 방식, 구성 또는 지시한 타깃 파라미터가 예정된 파라미터 요구를 만족시키는 방식,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이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지시 방식에서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RRC 시그널링 지시 방식인 경우, 상기 RRC 시그널링에는 상기 SFN 전송 모드를 특성화하기 위한 SFN 지시 정보가 구성되고,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SFN 지시 정보를 통해 SFN 전송 모드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RRC 시그널링에 상기 SFN 전송 모드를 특성화하기 위한 SFN 지시 정보가 구성되는 경우, 상기 방법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유닛(MAC 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 의해 지시되는 제1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타깃 TCI state 지시 방식이고 상기 타깃 TCI state가 제1 타깃 TCI state인 경우, 상기 제1 타깃 TCI state는 제1 타깃 준공동위치 유형(QCL-type)과 연관되고, 상기 제1 타깃 QCL-type는,
    포함되는 요소가 시간 지연 확산인 제1 QCL-Type;
    포함되는 요소가 평균 시간 지연과 시간 지연 확산인 제2 QCL-Type;
    포함되는 요소가 도플러 확산, 평균 시간 지연 및 시간 지연 확산인 제3 QCL-Type;
    포함되는 요소가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 도플러 확산 및 시간 지연 확산인 제4 QCL-Type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상기 제1 타깃 TCI state를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기설정 조건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에 대하여, RRC를 통해 구성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활성화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C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DCI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타깃 TCI state 지시 방식이고 상기 타깃 TCI state가 제2 타깃 TCI state인 경우, 상기 제2 타깃 TCI state는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의 타깃 연관 관계와 연관하되,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의 타깃 연관 관계에 포함되는 요소는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상기 제2 타깃 TCI state를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기설정 조건은,
    PDSCH 또는 PDCCH에 대하여, RRC를 통해 구성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활성화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C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DCI가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타깃 TCI state 지시 방식이고 상기 타깃 TCI state이 제3 타깃 TCI state인 경우,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연관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는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가 존재하고,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는 비 QCL-Typ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제3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제3 타깃 TCI state를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3 기설정 조건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에 대하여, RRC를 통해 구성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활성화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C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DCI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QCL-Type와 대응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서의 하나는 앵커 포인트이고, 상기 앵커 포인트는 미리 설정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 다음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 QCL-Type에서의 반복 요소를 공동으로 참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구성 또는 지시한 타깃 파라미터가 예정된 파라미터 요구를 만족시키는 방식인 경우, 상기 예정된 파라미터 요구는, DCI가 지시하는 PDSCH 복조 기준 신호(DMRS) 포트의 타깃 코드 분할 다중화(CDM) 그룹 수량이 예정된 그룹 수이고, 대응하는 TCI State 수가 예정된 유형이며, RRC의 구성 파라미터에 예정된 활성화 파라미터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PDCCH가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지시 방식인 경우,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PDCCH가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전송할 경우, PDSCH가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한다고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RRC 파라미터에 예정된 파라미터가 포함될 경우, 동일한 전송 블록은 다수의 시간 슬롯 레벨의 PDSCH에 의해 전송되고, 각 시간 슬롯의 PDSCH는 모두 상기 SFN 전송 모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예정된 활성화 파라미터가 구성된 경우, 상기 예정된 활성화 파라미터는 효력을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타깃 경우에,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깃 경우는,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 가능하게 특성화하는 제2 시그널링을 구성 또는 지시하는 경우;
    제3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TCI state가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의 연관 관계와 연관하고 상기 연관 관계의 요소가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하는 경우;
    제4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TCI state에 제2 타깃 QCL-Type를 연관하고, 상기 제2 타깃 QCL-Type와 대응하는 요소가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제5 시그널링을 통해 타깃 추적 기준 신호(TRS) 또는 타깃 동기 신호 블록(SSB) 리소스를 반송 주파수 및/또는 타이밍을 조절하는 앵커 포인트로 지시하는 경우에서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하도록 결정하는 경우, 업링크 주파수는 PDSCH 또는 PDCCH의 DMRS가 대응하는 TCI state에서의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제4 TCI state를 응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4 TCI state가 연관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는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가 존재하고,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는 비 QCL-Typ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QCL-Type와 대응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서의 하나는 앵커 포인트이고, 상기 앵커 포인트는 미리 설정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 다음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 QCL-Type의 반복 요소를 공동으로 참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21.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지시 방식, 타깃 전송 구성 지시 상태(TCI state) 지시 방식, 구성 또는 지시한 타깃 파라미터가 예정된 파라미터 요구를 만족시키는 방식,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이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지시 방식에서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RRC 시그널링 지시 방식인 경우, 상기 RRC 시그널링에는 상기 SFN 전송 모드를 특성화하기 위한 SFN 지시 정보가 구성되고,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SFN 지시 정보를 통해 SFN 전송 모드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RRC 시그널링에 상기 SFN 전송 모드를 특성화하기 위한 SFN 지시 정보가 구성되는 경우, 상기 결정 모듈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유닛(MAC 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 의해 지시되는 제1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 가능하게 하는데 더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타깃 TCI state 지시 방식이고 상기 타깃 TCI state가 제1 타깃 TCI state인 경우, 상기 제1 타깃 TCI state는 제1 타깃 준공동위치 유형(QCL-type)과 연관되고, 상기 제1 타깃 QCL-type는,
    포함되는 요소가 시간 지연 확산인 제1 QCL-Type;
    포함되는 요소가 평균 시간 지연과 시간 지연 확산인 제2 QCL-Type;
    포함되는 요소가 도플러 확산, 평균 시간 지연 및 시간 지연 확산인 제3 QCL-Type;
    포함되는 요소가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 도플러 확산 및 시간 지연 확산인 제4 QCL-Type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상기 제1 타깃 TCI state를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되, 상기 제1 기설정 조건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에 대하여, RRC를 통해 구성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활성화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C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DCI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1 타깃 QCL-type와 연관한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타깃 TCI state 지시 방식이고 상기 타깃 TCI state가 제2 타깃 TCI state인 경우, 상기 제2 타깃 TCI state는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의 타깃 연관 관계와 연관하되,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의 타깃 연관 관계에 포함되는 요소는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상기 제2 타깃 TCI state를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되, 상기 제2 기설정 조건은,
    PDSCH 또는 PDCCH에 대하여, RRC를 통해 구성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활성화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C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DCI가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를 연관한 타깃 연관 관계의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타깃 TCI state 지시 방식이고 상기 타깃 TCI state이 제3 타깃 TCI state인 경우,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연관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는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가 존재하고,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는 비 QCL-Typ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제3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제3 타깃 TCI state를 통해 상기 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되, 상기 제3 기설정 조건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에 대하여, RRC를 통해 구성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활성화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CCH에 대하여, MAC CE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
    PDSCH에 대하여, DCI를 통해 지시한 TCI state에 상기 제3 타깃 TCI state가 존재하는 조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QCL-Type와 대응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서의 하나는 앵커 포인트이고, 상기 앵커 포인트는 미리 설정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 다음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 QCL-Type에서의 반복 요소를 공동으로 참조하는데 더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
  3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구성 또는 지시한 타깃 파라미터가 예정된 파라미터 요구를 만족시키는 방식인 경우, 상기 예정된 파라미터 요구는, DCI가 지시하는 PDSCH 복조 기준 신호(DMRS) 포트의 타깃 코드 분할 다중화(CDM) 그룹 수량이 예정된 그룹 수이고, 대응하는 TCI State 수가 예정된 유형이며, RRC의 구성 파라미터에 예정된 활성화 파라미터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
  3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타깃 지시 방식이 PDCCH가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지시 방식인 경우, PDCCH가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전송하면, PDSCH가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한다고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
  34. 제21항에 있어서,
    RRC 파라미터에 예정된 파라미터가 포함될 경우, 동일한 전송 블록은 다수의 시간 슬롯 레벨의 PDSCH에 의해 전송되고, 각 시간 슬롯의 PDSCH는 모두 상기 SFN 전송 모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예정된 활성화 파라미터가 구성된 경우, 상기 예정된 활성화 파라미터는 효력을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
  3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타깃 경우에,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하도록 결정하는데 더 사용되되, 상기 타깃 경우는,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 가능하게 특성화하는 제2 시그널링을 구성 또는 지시하는 경우;
    제3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TCI state가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의 연관 관계와 연관하고 상기 연관 관계의 요소가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하는 경우;
    제4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TCI state에 제2 타깃 QCL-Type를 연관하고, 상기 제2 타깃 QCL-Type와 대응하는 요소가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제5 시그널링을 통해 타깃 추적 기준 신호(TRS) 또는 타깃 동기 신호 블록(SSB) 리소스를 반송 주파수 및/또는 타이밍을 조절하는 앵커 포인트로 지시하는 경우에서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주파수 오프셋 사전 보상 기능을 사용하도록 결정하는 경우, 업링크 주파수는 PDSCH 또는 PDCCH의 DMRS가 대응하는 TCI state에서의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
  3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SFN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제4 TCI state를 응용하는데 더 사용되되, 상기 제4 TCI state가 연관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는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가 존재하고, 상기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는 비 QCL-Typ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와 대응하는 QCL-Type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QCL-Type와 대응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에서의 하나는 앵커 포인트이고, 상기 앵커 포인트는 미리 설정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타깃 지시 방식을 통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 다음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타깃 다운링크 기준 신호 리소스 QCL-Type의 반복 요소를 공동으로 참조하는데 더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
  41.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운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는 단말 기기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2.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운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43.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는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가능 저장매체.
  44.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칩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커플링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운행시켜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KR1020237013908A 2020-09-29 2021-09-27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통신 기기 KR202300745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051668.0 2020-09-29
CN202011051668.0A CN114337947A (zh) 2020-09-29 2020-09-29 确定传输模式的方法、装置和通信设备
PCT/CN2021/120821 WO2022068749A1 (zh) 2020-09-29 2021-09-27 确定传输模式的方法、装置和通信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549A true KR20230074549A (ko) 2023-05-30

Family

ID=80951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908A KR20230074549A (ko) 2020-09-29 2021-09-27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통신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39896A1 (ko)
EP (1) EP4224765A4 (ko)
JP (1) JP2023543857A (ko)
KR (1) KR20230074549A (ko)
CN (1) CN114337947A (ko)
WO (1) WO20220687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4589A (zh) * 2022-04-27 2022-09-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确定传输配置指示状态的方法及装置
WO2024031517A1 (en) * 2022-08-11 2024-02-15 Qualcomm Incorporated Unified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determination for single frequency network
WO2024050776A1 (zh) * 2022-09-08 2024-03-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信息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8275B (zh) * 2010-08-13 2015-08-05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获取增强的信道质量指示信息的方法和装置
CN102843652B (zh) * 2011-06-24 2015-04-22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提升小区重选优先级的方法和装置
WO2014043898A1 (zh) * 2012-09-21 2014-03-27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接收和发送方法、基站以及用户设备
US9307521B2 (en) * 2012-11-01 2016-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scheme and quasi co-location assumption of antenna ports for PDSCH of transmission mode 10 for LTE advanced
US11177919B2 (en) * 2013-01-18 2021-11-1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s for energy-efficient unicast and multicast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582553B2 (en) * 2015-06-29 2020-03-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2D signals using a single frequency network sche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CN108135030B (zh) * 2016-09-30 2020-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物理控制信道的指示方法及其装置
WO2019208994A1 (en) * 2018-04-23 2019-10-3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integrated backhaul and access 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891313B (zh) * 2018-09-10 2022-08-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网络设备及终端
WO2020146377A1 (en) * 2019-01-08 2020-07-16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pping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tci) state an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ports grou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24765A4 (en) 2024-03-27
CN114337947A (zh) 2022-04-12
WO2022068749A1 (zh) 2022-04-07
JP2023543857A (ja) 2023-10-18
EP4224765A1 (en) 2023-08-09
US20230239896A1 (en)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5575B2 (ja) 信号送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US9497713B2 (en) Accurate uplink power control for CoMP and C-RAN
US11665703B2 (en) Physical uplink channel transmission method and receiving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KR20230074549A (ko)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통신 기기
WO2022078273A1 (zh) 定位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1567080A (zh) 用于在新无线电(nr)中执行测量的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
KR20230074558A (ko) 빔 처리 방법, 장치 및 관련 장비
EP4195767A1 (en) Cell handover method and terminal
US20230095844A1 (en) Beam failure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US20230188281A1 (en) Method for measuring reference signal,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CN114337757A (zh) 波束信息指示、获取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CN114765783A (zh) 波束切换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US20230189321A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30037605A1 (en) Control channel monitoring rules for inter-cell beam management
KR2022004776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 전자 장치, 방법, 및 저장 매체
CN114339793A (zh) 信息传输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US20240080148A1 (en) Csi measurement resourc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5913475B (zh) 波束信息确定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20240171996A1 (en) Method for determining beam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4017193A1 (zh) Tci状态确定方法、装置、终端和网络侧设备
WO2022228526A1 (zh) 移动性管理的配置方法、装置、终端、网络侧设备及介质
US20240137781A1 (en) Spatial relation indication method and device
US20240179781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US20240179757A1 (en)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US20230389083A1 (en) Random access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