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531A -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531A
KR20230074531A KR1020237013731A KR20237013731A KR20230074531A KR 20230074531 A KR20230074531 A KR 20230074531A KR 1020237013731 A KR1020237013731 A KR 1020237013731A KR 20237013731 A KR20237013731 A KR 20237013731A KR 20230074531 A KR20230074531 A KR 20230074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ergy
allergens
composition
gel
inhibi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제이. 문
카이 한
팡 씨에
싱우 저우
Original Assignee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미시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미시간 filed Critical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미시간
Publication of KR20230074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5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22Chitin, chitos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2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3Fructosans, e.g. inu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6Glucomannans or galactomannans, e.g. locust bean gum, guar g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2Cyclic peptides, e.g. bacitracins; Polymyxins; Gramicidins S, C; Tyrocidins A, B or C
    • A61K38/13Cyclospor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5Aller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 A61K2039/541Mucosal route
    • A61K2039/542Mucosal route oral/gastrointes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05Inorganic adjuv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nfectione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결합된 (예: 복합체화, 접합, 캡슐화, 흡수, 흡착, 혼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자가면역 질환 (예: 대장염) (예: 알레르기, 예컨대 식품 알레르기)의 치료와 관련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자가면역 질환 (예: 알레르기)와 관련된 면역 반응을 조절하고/하거나, 자가면역 질환 (예: 알레르기, 예컨대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면역 관용 또는 탈감작을 유도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도 제공된다.

Description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관련 출원의 인용
본 출원은 2020년 9월 2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63/082,236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본 문헌은 그 전문이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연방정부가 후원한 연구 또는 개발
본 발명은 국립 보건원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이 사정한 계약 번호 DK125087 하에 정부 지원으로 이루어졌다. 정부는 본 발명에 대한 일정한 권리를 갖는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결합된 (예: 복합체화, 접합, 캡슐화, 흡수, 흡착, 혼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자가면역 질환 (예: 대장염) (예: 알레르기, 예컨대 식품 알레르기)의 치료와 관련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자가면역 질환 (예: 알레르기)와 관련된 면역 반응을 조절하고/하거나, 자가면역 질환 (예: 알레르기, 예컨대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면역 관용 또는 탈감작을 유도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도 제공된다.
식품 알레르기는 전 세계적으로 만연되어 있는 질환이다. 식품 알레르기를 앓고 있는 환자들은 알레르기원에 무의식적으로 노출되면 가려움증, 설사 또는 심지어 생명을 위협하는 의식 상실을 비롯한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나타낼 것이다 (문헌 [R. Khamsi. Food allergies: the psychological toll. Nature 2020, 588, S4-S6] 참고). 현재 이용가능한 개입 또는 치료는 알레르기원 회피와 응급 치료로 한정되어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 (FDA)은 최근 땅콩 알레르기 치료에 유망한 시장 전망을 보여주는 첫 번째 약물인 팔포지아 (Palforzia)를 승인하였다 (문헌 [A. Mullard. FDA approves first peanut allergy drug. Nat Rev Drug Discovery 2020, 19, 156] 참고). 구강 면역치료 (OIT) 전략으로서, 팔포지아는 최초 용량 증량, 지속 용량증량 (up-dosing) 및 유지요법 단계로 구성된다. 하지만, 팔포지아도 한계는 많다. 팔포지아 임상시험에서 환자의 12.9%가 첫 6개월 동안 이상 사례로 인해 치료를 중단하였다 (문헌 [T. Casale, A. Wesley Burks, J. Baker, et al. Safety of Peanut (Arachis Hypogaea) Allergen Powder-dnfp in Children and Teenagers With Peanut Allergy: Pooled Analysis From Controlled and Open-Label Phase 3 Trials. J Allergy Clin Immunol 2021,147, AB106] 참고). 따라서, 새로운 접근 방법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대안으로, 부분적으로는 위장관 (GI)에서 유익한 공생 미생물에 의해 유도된 면역 관용 세포의 생성으로 인한 알레르기 치료를 위해, 프로바이오틱스의 경구 투여 또는 분변 미생물군 이식 (FMT)이 연구되어 왔다 (문헌 [A. Abdel-Gadir, E. Stephen-Victor, G. K. Gerber, et al. Microbiota therapy acts via a regulatory T cell MyD88/RORγt pathway to suppress food allergy. Nat Med 2019, 25,1164-1174] 참조). 그러나, 알레르기 환자들에게 유익한 공생 미생물에 대한 정확한 정의는 공지되어 있지 않으며, FMT에서 기회 감염의 우려도 있다.
따라서, 땅콩 알레르기 및 기타 식품 알레르기와 같은 자가면역 질환을 장기간에 걸쳐 조절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시급한 필요에 대해 고심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설명된 실험들은 효율적인 장내 미생물 조절, 알레르기원 특이적 IgE 수준 감소 및 조절 T (Treg) 세포의 유도를 위한 식이 섬유 하이드로겔 기반의 OIT 전략을 발표함으로써, 여러가지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보호 효과를 실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결합된 (예: 복합체화, 접합, 캡슐화, 흡수, 흡착, 혼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자가면역 질환 (예: 대장염) (예: 알레르기, 예컨대 식품 알레르기)의 치료와 관련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자가면역 질환 (예: 알레르기)와 관련된 면역 반응을 조절하고/하거나, 자가면역 질환 (예: 알레르기, 예컨대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면역 관용 또는 탈감작을 유도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도 제공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치료제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조합된 이라는 말의 특정 의미로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와 조합된 이라는 것은 하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복합체화, 접합, 캡슐화, 흡수, 흡착 및 혼합.
일부 실시형태에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는 20 이상 47 이하의 평균 중합도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는 평균 중합도가 대략 26 (예컨대,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는 프럭토-올리고당, 단쇄 프럭토-올리고당, 이소말트-올리고당, 트랜스갈락토-올리고당, 펙틴, 자일로-올리고당, 키토산-올리고당, 베타-글루칸, 아라비아 검 변성 전분, 저항성 감자 전분, 구아 검, 콩 검, 젤라틴, 글리세롤, 폴리덱스트로스, D-타가토스, 아카시아 섬유, 캐럽 (carob), 귀리 및 감귤 섬유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프리바이오틱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특정 유형 또는 종류의 치료제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제는 하나 이상의 알레르기원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알레르기원은 동물성 산물, 식물, 식품, 곤충침, 약물, 진균 포자 및 미생물로부터 선택되는 알레르기원 공급원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알레르기원은 동물성 산물 알레르기원, 식물성 알레르기원, 곤충침 알레르기원, 약물 알레르기원, 진균성 알레르기원, 미생물 알레르기원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알레르기원은 전복 (페를레모엔), 아세로라, 명태, 아몬드, 아니스 씨, 사과, 살구, 아보카도, 바나나, 보리, 피망, 브라질 너트, 메밀, 양배추, 잉어, 당근, 캐슈, 피마자콩, 셀러리, 셀러리악, 체리, 밤, 병아리콩 (가르반조, 벵갈녹두), 코코아, 코코넛, 대구, 목화씨, 호박 (애호박), 게, 대추야자, 계란, 무화과, 생선, 아마씨 (아마인), 개구리, 가든 플럼 (garden plum), 마늘, 포도, 헤이즐넛, 키위 과일 (차이니즈 구스베리), 렌틸콩, 양상추, 랍스터, 루핀콩 (루핀), 리치, 고등어, 메이즈 (옥수수), 망고, 멜론, 우유, 머스타드, 귀리, 굴, 복숭아, 땅콩 (그라운드넛, 원숭이넛), 배, 피칸, 감, 잣, 파인애플, 석류, 양귀비 씨, 감자, 호박, 쌀, 호밀, 연어, 참깨, 참깨씨, 새우 (블랙 타이거 새우, 갈색 새우, 기름기 많은 (greasyback) 새우, 인도 새우, 넵튠 장미 새우, 흰 새우), 달팽이, 대두 (소야), 오징어, 딸기, 해바라기 씨, 토마토, 참치, 순무, 호두 및 밀 (제빵용 밀, 파스타용 밀, 카무트, 스펠트밀)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알레르기원은 독립적으로 하기로부터 선택된다:
동물성 산물, 예컨대 털, 비듬, 바퀴벌레 악부 (cockroach calyx), 양모, 먼지 진드기 배설물, 및 Fel d 1 (예: 고양이침 및 피지선에서 생성되는 단백질);
식물 유래의 알레르기원, 예컨대 호밀풀과 같은 잔디의 식물 꽃가루; 돼지풀, 쐐기풀, 수영과 같은 잡초; 및 자작나무, 오리나무, 개암나무, 참나무, 느릅나무 및 단풍나무와 같은 나무;
곤충침 유래의 알레르기원, 예컨대 벌침, 말벌침 및 모기침;
약물 알레르기원, 예컨대 페니실린, 설폰아미드, 퀴니딘, 페닐부타존, 티오우라실, 메틸도파, 히단토인 및 살리시테이트;
진균성 알레르기원, 예컨대 영지 (Ganoderma)와 같은 담자포자 (basidiospore); 버섯 포자; 아스페르길루스 (aspergillus)알터나리아 (alternaria)-페니실린 계열의 알레르기원; 및 클라도스포리움 (cladosporium) 포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미생물 유래의 알레르기원, 예컨대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및
식품 알레르기원, 예컨대 땅콩, 피칸 및 아몬드와 같은 각과류, 계란, 우유, 조개류, 생선, 밀 및 이들의 유도체, 대두 및 이의 유도체.
일부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알레르기원은 2개 이상 (예를 들어, 2, 3, 4, 5, 10, 20, 50, 100, 1,000개)의 알레르기원이다.
치료제가 알레르기원인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적 유효량의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할 때, 해당 조성물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알레르기 (예: 식품 알레르기)를 치료하고,
알레르기 (예: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상을 감소시키며,
알레르기 (예: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면역 반응을 조절하고,
대상체에서 조절 T 세포의 증식 및/또는 축적을 유도하며,
IgE 항체 (예: 전체 IgE 항체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IgE 항체)의 생성을 억제하고,
하나 이상의 Th2 면역 반응을 억제하며,
대상체가 알레르기원으로 인한 공격 (예를 들어, 땅콩 알레르기원에 대한 부주의한 노출로 인한 아나필락시스 알레르기 반응의 경우)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함.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치료제는 핑골리모드(fingolimod); 2-(1'H-인돌-3'-카보닐)-티아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ITE) 또는 관련 리간드; 트리코스타틴(Trichostatin) A; 수베로일아닐리드 하이드록삼산(Suberoylanilide hydroxamic acid, SAHA); 스타틴; mTOR 억제제; TGF-β 신호전달 제제; TGF-β 수용체 작용제;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억제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미토콘드리아 기능 억제제; NF-κβ 억제제; 아데노신 수용체 작용제; 프로스타글란딘 E2 작용제(PGE2);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 억제제; 프로테아좀 억제제; 키나제 억제제; G-단백질 결합 수용체 작용제; G-단백질 결합 수용체 길항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레티노이드; 사이토카인 억제제; 사이토카인 수용체 억제제; 사이토카인 수용체 활성제;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길항제(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ntagonist);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작용제;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억제제; 칼시뉴린 억제제; 포스파타아제 억제제; PI3 KB 억제제; 자가포식 억제제;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억제제; 프로테아좀 억제제 I(PSI); 산화된 ATP IDO; 비타민 D3; 사이클로스포린;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억제제; 레스베라트롤; 아자티오퓨린(azathiopurine)(Aza); 6-머캅토퓨린(6-MP); 6-티오구아닌(6-TG); FK506; 상글리페린(sanglifehrin) A; 살메테롤(salmeterol); 마이코페놀레이트 모페틸(mycophenolate mofetil, MMF); 아스피린 및 기타 COX 억제제; 니플룸산(niflumic acid); 에스트리올; 트립톨리드(triptolide); OPN-305, OPN-401; 에리토란(Eritoran)(E5564); TAK-242; Cpn10; NI-0101; 1A6; AV411; IRS-954 (DV-1079); IMO-3100; CPG-52363; CPG-52364; OPN-305; ATNC05; NI-0101; IMO-8400; 하이드록시클로로퀸; CU-CPT22; C29; 오르토-바닐린; SSL3 단백질; OPN-305; 5 SsnB; 비잔틴(Vizantin); (+)-N-페네틸노르옥시모르폰(phenethylnoroxymorphone); VB3323; 단당류 3; (+)-날트렉손 및 (+)-날록손; HT52; HTB2; 화합물 4a; CNTO2424; TH1020; INH-ODN; E6446; AT791; CpG ODN 2088; ODN TTAGGG; COV08-0064; 2R9; G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2-아미노퓨린; 암렉사녹스(Amlexanox); Bay11-7082; BX795; CH-223191; 클로로퀸; CLI-095; CU-CPT9a; 사이클로스포린 A; CTY387; 제피티닙(Gefitnib); 글리벤클라미드(Glybenclamide); H-89; H-131; 이소리퀴리티게닌(Isoliquiritigenin); MCC950; MRT67307; OxPAPC; 파테놀리드(Parthenolide); Pepinh-MYD; Pepinh-TRIF; 폴리믹신 B; R406; RU.521; VX-765; YM201636; Z-VAD-FMK; 및 2,3,7,8-테트라클로로-디벤조-p-디옥신(TCDD); 트립타민(TA); 및 6 포르밀인돌로[3,2 b]카바졸(FICZ)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AHR-특이적 리간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면역조절제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치료제는 핑골리모드; 2-(1'H-인돌-3'-카보닐)-티아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ITE) 또는 관련 리간드; 트리코스타틴 A; 및/또는 수베로일아닐리드 하이드록삼산(SAHA)으로부터 선택되는 면역억제제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는 보조제 (예를 들어, CPG, polyIC, poly-ICLC, 1018 ISS, 알루미늄염, 앰플리박스, AS15, BCG, CP-870,893, CpG7909, CyaA, dSLIM, GM-CSF, IC30, IC31, 이미퀴모드, ImuFact IMP321, IS Patch, ISS, ISCOMATRIX, Juvlmmune, LipoVac, MF59, 모노포스포릴 지질 A, 몬타니드 IMS 1312, 몬타니드 ISA 206, 몬타니드 ISA 50V, 몬타니드 ISA-51, OK-432, OM-174, OM-197-MP-EC, ONTAK, PepTel.RTM, 벡터 시스템, PLGA 미세입자, 이미퀴모드, 레시퀴모드, 가디퀴모드, 3M-052, SRL172, 비로좀 및 기타 바이러스 유사 입자, YF-17D, VEGF 트랩, 베타-글루칸, Pam3Cys, 아퀼라의 QS21 스티뮬론, 바디메잔, AsA404 (DMXAA), 및 보조제의 임의의 유도체)와 추가로 혼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에는 보조제가 포함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자가면역 질환의 증상을 치료, 예방 및/또는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자가면역 질환 증상의 치료, 예방 및/또는 개선이 필요한 대상체 (예를 들어, 인간 대상체) (예컨대, 포유동물 대상체)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상기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컨대,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예컨대,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컨대,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 및 프리바이오틱 화합물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자가면역 질환은 알레르기성 천식, 알레르기성 대장염, 동물성 알레르기, 아토피성 알레르기, 건초열, 피부 알레르기, 두드러기, 아토피성 피부염, 아나필락시스, 알레르기성 비염, 약물 또는 의약 알레르기, 습진 (아토피성 피부염), 식품 알레르기, 진균 알레르기, 곤충 알레르기 (벌레 물림/독 알레르기 포함), 곰팡이 알레르기, 식물 알레르기 및 화분증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투여는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된 면역 반응의 억제를 유도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투여는 IgE 항체 생성의 억제를 유도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투여는 Th2 면역 반응의 억제를 유도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알레르기는 견과류 알레르기, 생선 알레르기, 밀 알레르기, 우유 알레르기, 땅콩 알레르기, 각과류 알레르기, 조개류 알레르기, 대두 알레르기, 종자 알레르기, 참깨 씨 알레르기 및 계란 알레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품 알레르기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알레르기는 땅콩 알레르기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이러한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컨대,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기 위한 설명서를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도 1a 내지 1g: 이눌린 겔 + OVA 병용 치료는 OVA 알레르기를 방지한다. a, 이눌린 하이드로겔의 이미지. b, 치료 처방계획. BABL/c 마우스를 0일과 14일째에 OVA/Alum으로 감작화하였다. 29일째부터, 마우스에게 PBS, OVA (용량당 1 mg) 및 이눌린 겔 (용량당 55 mg) + OVA (용량당 1 mg)를 각각 경구 위관영양법으로 투여하였다. 49일째부터, 마우스에게 OVA (50 mg/용량)를 격일로 총 6회 경구 투여하였다. c, 면역유발 6회째 체온 강하, d, 면역유발 중 아나필락시스 증상 점수, e, 면역유발 1회째와 6회째 사이의 체중 강하, f, 48일째, 55일째 및 61일째에 각각 혈청 내 OVA-특이적 IgE 수준, g, 비만 세포의 수 및 톨루이딘 블루로 염색한 빈창자 조직 절편의 예시적인 현미경 이미지. 화살표는 비만 세포를 가리킨다. 데이터는 평균 ± s.e.m이다. *P < 0.01, **P < 0.01, ****P < 0.0001. 데이터는 이원 분산분석 ANOVA (c-e) 또는 일원 분산분석 ANOVA (f, h) 또는 독립표본 스튜던트 t-검정 (g)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c의 #은 이눌린 겔/OVA vs. OVA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의미한다.
도 2a 내지 2g: 이눌린 겔 + OVA (용량 증량) 병용 치료는 OVA 알레르기를 방지한다. a, 치료 처방계획. BABL/c 마우스를 OVA/Alum으로 2회 감작시켰다. 29일째부터, 마우스에게 OVA (용량 증량 방식)와 이눌린 겔 (용량당 55 mg) + OVA (용량 증량 방식)를 각각 경구 위관영양법으로 투여하였다. 49일째부터, 마우스에게 OVA (50 mg/용량)를 격일로 6회 경구 투여하여 면역유발시켰다. b, 설사 발생 및 점수, c, 3차 면역유발 전후의 체중 강하, d, 아나필락시스 증상 점수, e, MMCP-1, f, 62일째에 비만 세포의 수 및 톨루이딘 블루로 염색한 빈창자 조직 절편의 예시적인 현미경 이미지. 화살표는 비만 세포를 가리킨다. g, 비장 세포를 62일째에 250 μg/mL의 OVA로 재자극시켰다. 72시간 항온배양 후, 사이토카인 분석을 위해 상청액을 수집하였다. 데이터는 평균 ± s.e.m이다. *P < 0.01, **P < 0.01, ***P < 0.001, ****P < 0.0001. 데이터는 이원 분산분석 ANOVA (b, d) 또는 독립표본 스튜던트 t-검정 (c, e-g)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3a 내지 3c: 이눌린 겔 OVA 병용 요법은 OVA 알레르기를 방지한다. BALB/c 마우스를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처리하였다. 61일째에 a, 회장에서 Foxp3+CD4+ Treg의 수와 예시적인 유세포 분석 플롯, b, 비장에서 CD103+ DC 세포의 수, c, 비장과 MLN에서 LAG3+CD49b+ Tr1 세포의 빈도를 나타내었다. 데이터는 평균 ± s.e.m이다. *P < 0.01. 이원 분산분석 ANOVA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도 4a 내지 4d: 이눌린 겔 + PE 병용 요법은 땅콩 알레르기를 방지한다. a, 치료 처방계획. C3H/HeJ 마우스에 보통 식단을 유지하고 4주간 PE/CT로 감작하였다. 36일째부터, 마우스에게 PBS, PE (용량당 1.2 mg), 이눌린 겔 (용량당 45 mg)과 이눌린 겔 (용량당 45 mg) + PE (용량당 1.2 mg)로 각각 경구 위관영양법으로 투여하였다. 마우스를 4주 동안 주당 4회의 OIT 치료한 후, 73일째에는 PE (125 μg/용량)를 i.p. 주사하였다. b-d, 평균 체온 강하 (b), 개체의 체온 강하 (c) 및 아나필락시스 증상 점수 (d). 데이터는 평균 ± s.e.m이다. *P < 0.01, **P < 0.01, ****P < 0.0001. 데이터는 이원 분산분석 ANOVA (b) 또는 일원 분산분석 ANOVA과 본페로니 (Bonferroni)의 다중 비교 시험 (d)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5a 내지 5e: C57BL/6 마우스에게 6일간 3% DSS를 함유한 물을 제공하였다. 0일에서 7일째까지, 마우스에게 PBS, 1 mg의 유리 IALD, 또는 60 mg의 이눌린 겔에 혼합된 1 mg의 IALD를 경구 투여하였다. b. 9일간 각 그룹의 일일 체중 변화. c-e. 9일째에, 동물을 안락사시켜 결장을 수집하고 (c), 결장 길이 (d) 및 맹장 중량 (e)을 측정하였다.
정의
본원에서, "약"이라는 용어는 언급한 값의 ±10%인 값을 의미하고자 사용된다.
본원에서, "흡수된"이라는 용어는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의 내부, 즉 외부 표면에 대한 내부로 흡수되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알레르기원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을 투여하는"이라는 말은,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예컨대, 하나 이상의 알레르기원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알레르기원과, 프리바이오틱 화합물 및 치료제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의 용량을 대상체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가리킨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 이용된 조성물은, 예를 들어, 흡입, 분무(nebulization), 에어로졸화, 비강내, 기관내, 기관지내(intrabronchially), 경구, 비경구(예를 들어, 정맥내, 피하 또는 근육내), 비강, 직장, 국소 또는 협측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 이용된 조성물은 국소적으로 또는 전신적으로도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투여 방법은 다양한 인자(예를 들어, 투여되는 조성물의 성분, 및 치료되는 상태의 중증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원에서, "혼합된"이라는 용어는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에 용해, 분산 또는 현탁되는 알레르기원을 지칭한다. 경우에 따라, 알레르기원은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에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다.
본원에서, "흡착된"이라는 용어는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의 외부 표면에 알레르기원이 부착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흡착은 바람직하게는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발생한다. 정전기적 인력은 2개 이상의 반대의 전하를 띤 기 또는 이온성 화학기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력 또는 결합이다. 일반적으로, 흡착은 일반적으로 가역적이다.
본원에서, "알레르기원"이라는 용어는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 (예컨대,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 유도 또는 촉발시키는 화합물, 물질 또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알레르기원은 일반적으로 항원이라고도 한다. 알레르기원은 일반적으로 단백질 또는 폴리펩타이드이다.
본원에서, "알레르기"라는 용어는 흔히 아토피로도 지칭되는 면역계의 질환 (또는 부적절한 반응)을 지칭한다. 알레르기 반응은 알레르기원으로 알려진 일반적으로 무해한 환경 물질에 대해 발생하는데; 이러한 반응은 후천성으로 예측가능하고 신속하다. 엄밀히 말하면, 알레르기는 4가지 형태의 과민증 중 하나로서, I형 (또는 즉시형) 과민증이라고 한다. 이러한 알레르기는 IgE로 알려진 항체 유형에 의해 비만 세포 및 호염기구라고 불리는 특정 백혈구가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극심한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인 알레르기 반응에는 습진, 두드러기, 건초열, 천식, 식품 알레르기, 말벌과 꿀벌과 같이 침을 쏘는 곤충의 독에 대한 반응이 포함된다. 건초열과 같은 가벼운 알레르기는 일반 사람들 사이에 매우 널리 퍼져 있어, 알레르기 결막염, 가려움증 및 콧물과 같은 증상을 유발한다.
본원에서 "자가면역 질환" 및 "자가면역 질병"이라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혼용되며, 대상체의 면역계가 잘못하여 대상체 자신의 신체를 공격하는 의학적인 상태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병용 치료" 또는 "병용 투여되는"이라는 말은, 2개 이상 (예를 들어, 2, 3, 4, 5, 6, 7, 8, 9, 또는 10개 이상)의 서로 다른 제제 또는 치료제가 특정 질병 또는 질환 (예컨대, 자가면역 질환)에 대해 규정된 치료 처방의 일부로서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것을 의미한다. 치료 처방은 대상체에 대한 개별 제제들의 효과가 중첩되도록 각 제제의 투여 용량과 주기를 규정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2종 이상의 제제들의 전달은 동시적 또는 공존적이며, 제제들은 함께 제제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2종 이상의 제제들은 함께 제제화되지 않고 처방 계획의 일부로서 순차적 방식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2종 이상의 제제 또는 치료제를 병용 투여하는 것은, 해당 질환과 관련된 증상 또는 기타 매개변수에서의 감소가 하나의 제제 또는 치료제를 단독으로 전달하거나 다른 제제 없이 전달했을 때 관찰되는 것보다 더 크다. 두 치료제의 효과는 부분적으로 상가적이거나, 완전히 상가적이거나, 또는 상가적인 것보다 더 클 수 있다 (예컨대, 상승적). 각 치료제의 순차적 또는 실질적으로 동시 투여는 흡입, 분무, 에어로졸화, 비강내, 기관내, 기관지내, 경구, 비경구(예를 들어, 정맥내, 피하 또는 근육내), 경구, 비강, 직장, 국소, 협측 또는 점막 조직을 통한 직접 흡수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절한 경로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치료제는 동일한 경로 또는 서로 다른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용의 제1 치료제는 정맥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는 반면, 병용의 제2 치료제는 경구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서, "복합체화"라는 용어는 알레르기원과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의 비공유 상호작용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접합된"이라는 용어는 알레르기원과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간의 공유 결합 회합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약물" 또는 "치료제"라는 용어는 진단 또는 치료 목적으로 유기체에 투여되는 임의의 분자, 분자 복합체 또는 물질을 포함시키고자 한 것이다.
본원에서, "면역조절제"라는 용어는 면역계를 자극하거나 억제하는 화합물을 가리킨다. 본원에서, "면역억제제"라는 용어는 항원 제시 세포 (APC)가 면역억제성 (예를 들어, 면역관용성 효과)을 갖게 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면역억제 효과는 바람직하지 않은 면역 반응을 감소, 억제 또는 예방하거나 원하는 면역 반응을 촉진하는 APC에 의한 사이토카인 또는 기타 인자들의 생성 또는 발현을 일반적으로 지칭한다. APC에 의해 제시된 항원을 인식하는 면역 세포에 대하여 해당 APC가 면역억제 효과를 유도하는 경우, 해당 면역억제 효과는 제시된 항원에 특이적이라고 한다. 이러한 효과는 본원에서 면역관용성 효과라고도 한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결부시키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면역억제 또는 면역관용성 효과는, 바람직하게는 항원(예를 들어, 투여된 항원 또는 생체 내에 이미 존재하는 항원)의 존재 하에 면역억제제가 APC에 전달된 결과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면역억제제는 동일한 조성물 또는 서로 다른 조성물로 제공되거나 제공되지 않을 수 있는 항원에 대한 면역관용성 면역 반응(tolerogenic immune response)을 제공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면역억제제는 APC가 하나 이상의 면역 이펙터 세포에서 조절 표현형을 촉진하도록 하는 제제이다. 예를 들어, 조절 표현형은 항원 특이적 CD8+ T 세포의 생성, 유도, 자극 또는 동원의 억제, Treg 세포의 생성, 유도, 자극 또는 동원의 억제 등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CD8+ T 세포 또는 B 세포가 조절 표현형으로 전환된 결과일 수 있다. 또한, 이는 다른 면역 세포, 예컨대 CD4+ T 세포, 대식세포 및 iNKT 세포에서 FoxP3을 유도한 결과일 수도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면역억제제는 항원을 처리한 후 APC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제제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면역억제제는 항원의 처리를 방해하는 것이 아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면역억제제는 아폽토시스성 신호전달 분자가 아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면역억제제는 인지질이 아니다.
면역조절제에는 스타틴; mTOR 억제제, 예를 들어 라파마이신 또는 라파마이신 유사체; TGF-β 신호전달 제제; TGF-β 수용체 작용제;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억제제, 예를 들어 트리코스타틴 A;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미토콘드리아 기능 억제제, 예를 들어 로테논(rotenone); P38 억제제; NF-κβ 억제제, 예를 들어 6Bio,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TCPA-1, IKK VII; 아데노신 수용체 작용제; 프로스타글란딘 E2 작용제(PGE2), 예를 들어 미소프로스톨(Misoprostol);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 억제제, 예를 들어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 4 억제제(PDE4), 예를 들어 롤리프람(Rolipram); 프로테아좀 억제제; 키나제 억제제; G-단백질 결합 수용체 작용제; G-단백질 결합 수용체 길항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레티노이드; 사이토카인 억제제; 사이토카인 수용체 억제제; 사이토카인 수용체 활성제;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길항제;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작용제;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억제제; 칼시뉴린 억제제; 포스파타아제 억제제; PI3 KB 억제제, 예를 들어 TGX-221; 자가포식 억제제, 예를 들어 3-메틸아데닌;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억제제; 프로테아좀 억제제 I(PSI); 및 산화된 ATP, 예를 들어 P2X 수용체 차단제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면역억제제에는 또한, IDO, 비타민 D3, 사이클로스포린, 예를 들어 사이클로스포린 A,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억제제, 레스베라트롤, 아자티오퓨린(Aza), 6-머캅토퓨린(6-MP), 6-티오구아닌(6-TG), FK506, 상글리페린 A, 살메테롤, 마이코페놀레이트 모페틸(MMF), 아스피린 및 기타 COX 억제제, 니플룸산, 에스트리올; 트립톨리드; OPN-305, OPN-401; 에리토란(E5564); TAK-242; Cpn10; NI-0101; 1A6; AV411; IRS-954 (DV-1079); IMO-3100; CPG-52363; CPG-52364; OPN-305; ATNC05; NI-0101; IMO-8400; 하이드록시클로로퀸; CU-CPT22; C29; 오르토-바닐린; SSL3 단백질; OPN-305; 5 SsnB; 비잔틴; (+)-N-페네틸노르옥시모르폰; VB3323; 단당류 3; (+)-날트렉손 및 (+)-날록손; HT52; HTB2; 화합물 4a; CNTO2424; TH1020; INH-ODN; E6446; AT791; CpG ODN 2088; ODN TTAGGG; COV08-0064; 2R9; G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2-아미노퓨린; 암렉사녹스; Bay11-7082; BX795; CH-223191; 클로로퀸; CLI-095; CU-CPT9a; 사이클로스포린 A; CTY387; 제피티닙; 글리벤클라미드; H-89; H-131; 이소리퀴리티게닌; MCC950; MRT67307; OxPAPC; 파테놀리드; Pepinh-MYD; Pepinh-TRIF; 폴리믹신 B; R406; RU.521; VX-765; YM201636; Z-VAD-FMK; 및 2,3,7,8-테트라클로로-디벤조-p-디옥신(TCDD); 트립타민(TA); 및 6 포르밀인돌로[3,2 b]카바졸(FICZ)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AHR-특이적 리간드가 포함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면역억제제는 FTY720(핑골리모드로도 알려짐)(Chung and Harung, Clin. Neuropharmacol 33: 91-101, 2010), 2-(1'H-인돌-3'-카보닐)-티아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ITE) 또는 관련 리간드에 의한 AhR 활성화(Yeste A,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09: 11270-11275, 2012; Quintana F.J.,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07: 20768-20773, 2010), 트리코스타틴 A(TSA)(Reilly C.M. et al. J. Autoimmun 31: 123-130. 2008),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억제제인, 수베로일아닐리드 하이드록삼산(SAHA)(Lucas J.L., et al. Cell Immunol 257: 97-104, 2009) 및/또는 라파마이신(Rapa)(Maldonado, R.A.,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12:E156-165, 2015)이다. 실시형태에서, 면역억제제는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면역억제제는 APC에 대한 면역억제(예를 들어, 면역관용성) 효과를 직접적으로 제공하는 화합물일 수 있거나 간접적으로(즉, 투여 후 어떤 방식으로 처리된 후) 면역억제(예를 들어, 면역관용성) 효과를 제공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따라서, 면역억제제는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화합물의 전구약물 형태를 포함한다.
면역억제제는 또한 면역억제성(예를 들어, 면역관용성)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본원에 제공된 펩타이드, 폴리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한다. 따라서, 실시형태에서, 면역억제제는 면역억제성(예를 들어, 면역관용성)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펩타이드, 폴리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핵산이고,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에 결합되는 핵산이다.
핵산은 DNA 또는 RNA, 예컨대 mRNA일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보체, 예컨대 전장 보체, 또는 본원에 제공된 (유전자 코드의 중복으로 인한) 임의의 핵산의 축중체(degenerate)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핵산은 세포주 내로 형질감염시 전사될 수 있는 발현 벡터이다. 실시형태에서, 발현 벡터는 특히 플라스미드, 레트로바이러스, 또는 아데노바이러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핵산은 표준 분자 생물학 접근법, 예를 들어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사용하여 핵산 단편을 생성한 다음, 정제하여 발현 벡터에 클로닝함으로써 분리되거나 합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행에 유용한 추가 기술은 문헌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2007 by John Wiley and Sons, Inc.;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Third Edition) Joseph Sambrook, Peter MacCallum Cancer Institute, Melbourne, Australia; David Russell, University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 Cold Spring Harbo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면역억제제에는 저분자 약물, 천연 생성물, 항체(예를 들어, CD20, CD3, CD4에 대한 항체), 생물제제(biologics) 기반 약물, 탄수화물 기반 약물, 나노입자, 리포솜, RNAi, 안티센스 핵산, 압타머(aptamer), 메토트렉세이트, NSAID; 핑골리모드; 나탈리주맙(natalizumab); 알렘투주맙; 항-CD3; 타크로리무스(tacrolimus)(FK506)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의 면역억제제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관련해서 제한을 두지 않는다.
본원에서, "시험관 내"라는 용어는 인공 환경, 및 인공 환경 내에서 발생하는 과정 또는 반응을 의미한다. 시험관 내 환경은 시험관과 세포 배양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생체 내"라는 용어는 자연 환경(예를 들어, 동물 또는 세포) 및 자연 환경 내에서 발생하는 과정 또는 반응을 의미한다.
"펩타이드", "폴리펩타이드" 및 "단백질"이라는 용어들은 서로 혼용하여 임의의 길이의 아미노산(예를 들어, 자연 발생 아미노산 및 비자연 아미노산)의 중합체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용어들은, 예를 들어, 이황화 결합 형성, 글리코실화, 아세틸화, 인산화, 지질화, 또는 표지 성분과의 접합과 같이 변형된 아미노산 중합체도 포함한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대상체에게 투여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조성물 (예컨대, 하나 이상의 알레르기원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알레르기원과, 프리바이오틱 화합물 및 치료제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을 의미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부형제, 담체 또는 보조제"는 투여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치료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대상체에게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부형제, 담체 또는 보조제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샘플"이라는 용어는 가장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된다. 어떤 의미에서는, 이는 생물학적 및 환경적 샘플 뿐만 아니라 모든 공급원에서 얻은 표본 또는 배양물을 포함하고자 한다. 생물학적 샘플은 동물(인간 포함)에서 얻을 수 있으며, 유체, 고체, 조직 및 기체도 망라한다. 생물학적 샘플에는 혈장, 혈청 등과 같은 혈액 산물들이 포함된다. 환경 샘플에는 표면 소재 (surface matter), 토양, 물, 결정체 및 산업적 샘플과 같은 환경 물질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러한 예들은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샘플 유형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원에서, "대상체"라는 용어는 특정 치료제의 수용자가 될, 인간, 비인간 영장류, 설치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동물(예를 들어, 포유동물)을 지칭한다. 통상적으로, "대상체" 및 "환자"라는 용어들은 인간 대상체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혼용된다.
"치료적 유효량"이란, 대상체의 상태, 또는 질환 또는 질병, 예를 들어 알레르기 또는 질환의 증상 또는 대상체의 상태를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방식으로 개선, 억제 또는 완화하기 위해 투여되는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알레르기원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알레르기원과, 프리바이오틱 화합물 및 치료제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의 양을 의미한다. 대상체에서의 임의의 개선은 치료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간주된다. 바람직하게는, 치료에 충분한 양은 해당 질병 또는 질환의 발생 또는 하나 이상의 증상을 감소, 억제 또는 예방하는 양이거나, 또는 대상체가 해당 질병 또는 질환의 하나 이상의 증상으로 고통받는 기간 또는 이의 중증도를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로 치료되지 않은 대조군 대상체에 비해, 적어도 약 10%, 약 20%, 또는 약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50%, 약 60%, 또는 약 7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80%, 약 90%, 약 95%, 약 99%, 또는 그 이상) 감소시키는 양이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 (예를 들어, 알레르기의 치료, 예방 및/또는 완화 방법)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투여 방식과 치료되는 대상체의 연령, 체중 및 전반적인 건강에 따라 달라진다. 의사나 연구원이라면 적절한 양과 투여 처방 계획을 결정할 수 있다.
알레르기는 면역계 질환으로서, 일반적으로 무해한 환경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의 발생을 특징으로 한다. 알레르기는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꽃가루 또는 다른 식물 성분들, 먼지, 곰팡이 또는 진균류, 식품, 첨가물, 라텍스, 수혈 반응, 동물 또는 새의 비듬, 곤충 독, 방사선 조영제, 약물 또는 화학 물질과 같은 광범위하게 다양한 출처에 존재할 수 있는 알레르기원에 의해 유발된다. 통상적인 알레르기 반응에는 습진, 두드러기, 건초열, 천식 및 독에 대한 반응이 포함된다. 건초열과 같은 가벼운 알레르기는 일반 사람들 사이에 매우 널리 퍼져 있어, 알레르기 결막염, 가려움증 및 콧물과 같은 증상을 유발한다. 일부 사람들의 경우, 환경 또는 식이 알레르기원, 또는 약물에 대한 심각한 알레르기가 생명을 위협하는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일으켜,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알레르기 반응은 a) 초기 단계 반응 또는 급성 반응, b) 후기 반응 및 c) 잠재적인 만성의 알레르기성 염증의 3가지 뚜렷한 패턴으로 발생할 수 있다. 알레르기 반응의 초기 단계는 통상적으로 알레르기원에 처음 노출된 후 수분 또는 수초 내에 발생하며, 이러한 초기 단계는 흔히 즉시형 알레르기 반응이라고도 한다. 알레르기의 초기 단계에서, 처음으로 접하는 알레르기원에 대한 과민 반응은, 사이토카인 인터루킨-4 (IL-4)를 생성하는 T 세포의 하위군인 Th2 세포에서 반응을 일으킨다. Th2 세포는 B 세포 (항원에 대한 항체를 생성하는 림프구)와 상호작용하고, IL-4의 효과와 함께 결합해 B 세포를 자극하여 면역글로불린 E (IgE)의 생성과 분비를 개시한다.
IgE는 알레르기와 알레르기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알레르기원이 들어오면, 각 대상체의 B 세포들은 다량의 IgE를 생성한다. IgE는 호염기구 및 비만 세포에서 발견되는 수용체에 결합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이러한 세포들은 활성화되면, 알레르기의 특징적인 증상을 유발하는 히스타민과 사이토카인과 같은 화학적 매개체를 방출한다.
식품 알레르기는 식품 알레르기원, 예컨대 식품 단백질에 대한 이상 면역 반응이다. 일반적인 식품 알레르기원은 조개류, 땅콩, 각과류, 생선, 우유, 계란, 콩과 신선한 과일, 예컨대 딸기, 망고, 바나나 및 사과에서 발견된다.면역글로불린 E (IgE) 매개형 식품 알레르기는 I형 즉시형 과민 반응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알레르기 반응은 급성으로 개시되고 (수초 내지 1시간) 수반되는 증상으로는 혈관성 부종 (눈꺼풀, 얼굴, 입술, 혀, 후두 및 기도의 연조직 부종); 두드러기; 입, 목, 눈 또는 피부의 가려움; 메스꺼움, 구토, 설사, 위경련 또는 복통과 같은 위장관 증상; 비루 또는 코막힘; 쌕쌕거림, 숨가쁨 또는 연하 곤란; 및 심지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심각한 전신적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가 포함될 수 있다. 21세 미만의 어린이 12명 중 1명은 의사의 식품 알레르기 진단을 받았다 (문헌 [Gupta, et al., JAMA Pediatrics, November 2013, Vol. 167, No. 11 참조). 이러한 유행은 특정 견과류에 대해 매 10년마다 배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CDC 2009). 게다가, 치명적인 식품 알레르기로 인해 여전히 매년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 중요한 점은, 식품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건강 관리/관리 비용으로 연간 240억 달러 이상이 지출된다는 것이다 (문헌 [Gupta, et al., JAMA Pediatrics, November 2013, Vol. 167, No. 11 참조). 이 비용은 대개 음식으로 유발된 아나필락시스 증상으로 미국에서 연간 약 90,000번의 응급실 방문에 기인한 것이다.
알레르기에 대한 세계보건기구 (WHO)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 50년간 산업화 국가에서 알레르기 발병률이 증가해 왔으며, 전 세계 취학 아동의 거의 40-50%가 하나 이상의 일반적인 알레르기원에 민감한 상태이다 (문헌 [Pawankar R, et al. The WAO White Book on Allergy (Update 2013)] 참고). 알레르기는 유년기에 발생할 수 있지만, 평생 동안 알레르기가 진해되거나 발생할 수도 있다.
알레르기원에 노출시 알레르기 반응의 중증도는 경미한 증상에서부터 때론 치명적인 반응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다양할 수 있다. 알레르기의 증상과 중증도는 관련된 면역 반응(들)의 유형, 면역 반응(들)의 지속시간과 정도, 알레르기원의 양, 및 알레르기원에 대한 접촉/노출 부위와 같은 요인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알레르기 증상의 예로는, 제한없이, 피부 발진, 피부 발적, 두드러기, 피부 돌출/잔점/부은 자국, 가려운 눈/유루안, 두통, 재채기, 쌕쌕거림, 숨가쁨, 흉부 압박감, 기침, 콧물, 인후통, 부기, 메스꺼움, 구토, 설사 및 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한다.
대상체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경로, 예를 들어 섭취, 흡입, 주사 또는 직접 접촉을 통해,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알레르기원과 접촉하거나 이에 노출될 수 있다. 알레르기 반응과 관련된 증상들은 알레르기원에 대한 접촉 또는 노출 부위, 예를 들어 피부 부위, 호흡기관 또는 위장관, 말단 부위에 국한될 수 있거나, 또는 아나필락시스의 경우에서와 같이 전신성이 될 수도 있다.
알레르기원에 대한 접촉 또는 노출에 반응하여 자극되는 면역 반응을 알레르기 반응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알레르기 반응은 알레르기원에 대한 접촉 또는 노출 직후, 또는 접촉 또는 노출 후 약 30분 이내 또는 그 이상의 시간 후에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수행된 실험들은 알레르기 (예컨대, 식품 알레르기 (예: 땅콩 알레르기))에 대한 경구용 면역치료를 위한 플랫폼 기술의 개발로 이어졌다. 특히, 이러한 실험들은, 많은 사람들이 소비하고 있는 식이성 천연 섬유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경구용 섬유-겔 제제의 개발을 유도하였다. 실제로, 이눌린은 새로운 경구용 이눌린-겔로 제형화되었고, 땅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구용 이눌린-겔이 개발되었다. 땅콩 추출물을 함유한 이눌린-겔을 경구 투여한 결과, 아나필락시스성 쇼크, 체중 감소 또는 체온 강하의 징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땅콩 알레르기원 공격으로부터 마우스를 효과적으로 보호했음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눌린-겔이 장내 미생물군을 조절하여 조절 T 세포 (예컨대, 식품 알레르기원 및 다른 자가항원에 대한 면역 관용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진 CD4 T 세포의 하위군)의 유도를 촉진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결합된 (예: 복합체화, 접합, 캡슐화, 흡수, 흡착, 혼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자가면역 질환 (예: 대장염) (예: 알레르기, 예컨대 식품 알레르기)의 치료와 관련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자가면역 질환 (예: 알레르기)와 관련된 면역 반응을 조절하고/하거나, 자가면역 질환 (예: 알레르기, 예컨대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면역 관용 또는 탈감작을 유도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도 제공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조합된 (예컨대, 복합체화, 접합, 캡슐화, 흡수, 흡착, 혼합)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는 20 이상 47 이하의 평균 중합도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는 평균 중합도가 대략 26 (예컨대,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이다.
이눌린은 프룩탄 그룹에 속하는 다당류이다. 이눌린은 프럭토스 분자의 베타-2-1 연결된 사슬로 이루어지며, 이 사슬의 말단에는 환원 말단의 알파-D-글루코스 단위가 있다. 이눌린은, 예를 들어 치커리 뿌리 및 달리아 괴경과 같은 다양한 식물에서 경제적으로 회수가능한 양으로 나타난다. 또한, 이눌린은, 예를 들어 예루살렘 아티초크 및 아티초크에서 발견되어 왔다. 다양한 이눌린의 평균 사슬 길이와 이들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식물 종마다 다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는 프럭토-올리고당, 단쇄 프럭토-올리고당, 이소말트-올리고당, 트랜스갈락토-올리고당, 펙틴, 자일로-올리고당, 키토산-올리고당, 베타-글루칸, 아라비아 검 변성 전분, 저항성 감자 전분, 구아 검, 콩 검, 젤라틴, 글리세롤, 폴리덱스트로스, D-타가토스, 아카시아 섬유, 캐럽 (carob), 귀리 및 감귤 섬유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프리바이오틱 화합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치료제는 핑골리모드; 2-(1'H-인돌-3'-카보닐)-티아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ITE) 또는 관련 리간드; 트리코스타틴 A; 수베로일아닐리드 하이드록삼산(SAHA); 스타틴; mTOR 억제제; TGF-β 신호전달 제제; TGF-β 수용체 작용제;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억제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미토콘드리아 기능 억제제; NF-κβ 억제제; 아데노신 수용체 작용제; 프로스타글란딘 E2 작용제(PGE2);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 억제제; 프로테아좀 억제제; 키나제 억제제; G-단백질 결합 수용체 작용제; G-단백질 결합 수용체 길항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레티노이드; 사이토카인 억제제; 사이토카인 수용체 억제제; 사이토카인 수용체 활성제;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길항제;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작용제;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억제제; 칼시뉴린 억제제; 포스파타아제 억제제; PI3 KB 억제제; 자가포식 억제제;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억제제; 프로테아좀 억제제 I(PSI); 산화된 ATP IDO; 비타민 D3; 사이클로스포린;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억제제; 레스베라트롤; 아자티오퓨린(Aza); 6-머캅토퓨린(6-MP); 6-티오구아닌(6-TG); FK506; 상글리페린 A; 살메테롤; 마이코페놀레이트 모페틸(MMF); 아스피린 및 기타 COX 억제제; 니플룸산; 에스트리올; 트립톨리드; OPN-305, OPN-401; 에리토란(E5564); TAK-242; Cpn10; NI-0101; 1A6; AV411; IRS-954 (DV-1079); IMO-3100; CPG-52363; CPG-52364; OPN-305; ATNC05; NI-0101; IMO-8400; 하이드록시클로로퀸; CU-CPT22; C29; 오르토-바닐린; SSL3 단백질; OPN-305; 5 SsnB; 비잔틴; (+)-N-페네틸노르옥시모르폰; VB3323; 단당류 3; (+)-날트렉손 및 (+)-날록손; HT52; HTB2; 화합물 4a; CNTO2424; TH1020; INH-ODN; E6446; AT791; CpG ODN 2088; ODN TTAGGG; COV08-0064; 2R9; G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2-아미노퓨린; 암렉사녹스; Bay11-7082; BX795; CH-223191; 클로로퀸; CLI-095; CU-CPT9a; 사이클로스포린 A; CTY387; 제피티닙; 글리벤클라미드; H-89; H-131; 이소리퀴리티게닌; MCC950; MRT67307; OxPAPC; 파테놀리드; Pepinh-MYD; Pepinh-TRIF; 폴리믹신 B; R406; RU.521; VX-765; YM201636; Z-VAD-FMK; 및 2,3,7,8-테트라클로로-디벤조-p-디옥신(TCDD); 트립타민(TA); 및 6 포르밀인돌로[3,2 b]카바졸(FICZ)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AHR-특이적 리간드로부터 선택되는 면역조절제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치료제는 핑골리모드; 2-(1'H-인돌-3'-카보닐)-티아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ITE) 또는 관련 리간드; 트리코스타틴 A; 및/또는 수베로일아닐리드 하이드록삼산(SAHA)으로부터 선택되는 면역억제제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료제는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내에 포함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는 보조제 (예를 들어, CPG, polyIC, poly-ICLC, 1018 ISS, 알루미늄염, 앰플리박스, AS15, BCG, CP-870,893, CpG7909, CyaA, dSLIM, GM-CSF, IC30, IC31, 이미퀴모드, ImuFact IMP321, IS Patch, ISS, ISCOMATRIX, Juvlmmune, LipoVac, MF59, 모노포스포릴 지질 A, 몬타니드 IMS 1312, 몬타니드 ISA 206, 몬타니드 ISA 50V, 몬타니드 ISA-51, OK-432, OM-174, OM-197-MP-EC, ONTAK, PepTel.RTM, 벡터 시스템, PLGA 미세입자, 이미퀴모드, 레시퀴모드, 가디퀴모드, 3M-052, SRL172, 비로좀 및 기타 바이러스 유사 입자, YF-17D, VEGF 트랩, 베타-글루칸, Pam3Cys, 아퀼라의 QS21 스티뮬론, 바디메잔, AsA404 (DMXAA), 및 보조제의 임의의 유도체)와 추가로 혼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에는 보조제가 포함되지 않는다.
치료제가 알레르기원인 이러한 조성물은, 대상체 (예: 인간 대상체)에게 치료적 유효량으로 투여시, 하기들 중 하나 이상을 할 수 있다: 알레르기 (예: 식품 알레르기)를 치료할 수 있고, 알레르기 (예: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알레르기 (예: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면역 반응을 조절할 수 있고, 대상체에서 조절 T 세포의 증식 및/또는 축적을 유도할 수 있으며, IgE 항체 (예컨대, 전체 IgE 항체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IgE 항체)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Th2 면역 반응을 억제할 수 있으며, 대상체가 알레르기원의 공격에서 살아남을 수 있게 한다 (예: 땅콩 알레르기원에 부주의하게 노출되어 아나필락시스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한 경우).
이러한 조성물은 특정 유형 또는 종류의 알레르기원에 한정되지 않는다. 알레르기원의 출처로는 동물성 산물, 식물, 식품, 곤충침, 약물, 진균류 포자 및 미생물을 포함한다.
동물성 산물 유래의 알레르기원의 예로는 털, 비듬, 바퀴벌레 악부, 양모, 먼지 진드기 배설물, 및 Fel d 1 (예: 고양이침 및 피지선에서 생성되는 단백질)을 포함한다. 식물 유래의 알레르기원의 예로는 호밀풀과 같은 잔디의 식물 꽃가루; 돼지풀, 쐐기풀, 수영과 같은 잡초; 및 자작나무, 오리나무, 개암나무, 참나무, 느릅나무 및 단풍나무와 같은 나무를 포함한다. 또한, 우루시올은 피부 발진을 일으키는 알레르기원인 덩굴 옻나무 (poison ivy)와 북미산 옻나무 (poison oak)에서 생성되는 수지이다. 식품 알레르기원의 예로는 땅콩, 피칸 및 아몬드와 같은 각과류, 계란, 우유, 조개류, 생선, 밀 및 이들의 유도체, 대두 및 이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곤충침 유래의 알레르기원의 예로는 벌침, 말벌침 및 모기침을 포함한다. 약물 알레르기원의 예로는 페니실린, 설폰아미드, 퀴니딘, 페닐부타존, 티오우라실, 메틸도파, 히단토인 및 살리시테이트를 포함한다. 진균성 알레르기원의 예로는 영지와 같은 담자포자; 버섯 포자; 아스페르길루스알터나리아-페니실린 계열의 알레르기원; 및 클라도스포리움 포자를 포함한다.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미생물의 예로는 바이러스와 박테리아를 포함한다. 기타 알레르기원에는 라텍스, 금속, 목재, 화학 물질, 화장품, 염료, 백신, 호르몬, 야채, 과일, 설탕, 동물 및 기본적으로 태양 자체를 포함하여 태양 아래 있는 모든 것들이 포함된다. 알레르기원의 또 다른 예는 정액일 수 있다. 불임은 여자 상대방의 정액에 대해 여성이 민감하게 반응하여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정상적인 방식으로 수태를 방해하여 의료비 지출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는 진정한 알레르기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2종 이상의 알레르기원이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와 조합 (예를 들어, 복합체화, 접합, 캡슐화, 흡수, 흡착, 혼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3종 이상의 알레르기원이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와 조합 (예를 들어, 복합체화, 접합, 캡슐화, 흡수, 흡착, 혼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4종 이상의 알레르기원이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와 조합 (예를 들어, 복합체화, 접합, 캡슐화, 흡수, 흡착, 혼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5종 이상의 알레르기원이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와 조합 (예를 들어, 복합체화, 접합, 캡슐화, 흡수, 흡착, 혼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6종 이상의 알레르기원이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와 조합 (예를 들어, 복합체화, 접합, 캡슐화, 흡수, 흡착, 혼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7종 이상의 알레르기원이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와 조합 (예를 들어, 복합체화, 접합, 캡슐화, 흡수, 흡착, 혼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8종 이상의 알레르기원이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와 조합 (예를 들어, 복합체화, 접합, 캡슐화, 흡수, 흡착, 혼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9종 이상의 알레르기원이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와 조합 (예를 들어, 복합체화, 접합, 캡슐화, 흡수, 흡착, 혼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10종 이상 (예컨대, 10, 11, 12, 15, 20, 25, 50, 75, 100, 1000, 10,000종 등)의 알레르기원이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와 조합 (예를 들어, 복합체화, 접합, 캡슐화, 흡수, 흡착, 혼합)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과 조합 (예를 들어, 복합체화, 접합, 캡슐화, 흡수, 흡착, 혼합)된 알레르기원들은 동일한 알레르기원 또는 서로 다른 알레르기원일 수도 있다. 알레르기원들이 서로 다른 실시형태에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는 해당 조성물 내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임의의 원하는 비율의 알레르기원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대상체에 대한 임의의 원하는 투여 방식을 위해 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제는 경구 (예를 들어, 경구 위관 영양법에 의해) 투여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제는 침술을 통해 투여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투여는 협측, 치아, 자궁경내, 근육내, 흡입, 두개내, 림프내, 근육내, 안구내, 복강내, 흉막내, 척수강내, 기관내, 자궁내, 혈관내, 정맥내, 방광내, 비강내, 눈, 귀, 담도 관류, 심장 관류, 치주, 직장, 척수, 피하, 설하, 국소, 질내, 경피, 요관 또는 요도를 비롯한 임의의 적절한 투여 경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된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 및 프리바이오틱 화합물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방법에 따라 치료될 수 있는 자가면역 질환의 예로는, 제한없이, 알레르기성 천식, 알레르기성 대장염, 동물성 알레르기, 아토피성 알레르기, 건초열, 피부 알레르기, 두드러기, 아토피성 피부염, 아나필락시스, 알레르기성 비염, 약물 또는 의약 알레르기, 습진 (아토피성 피부염), 식품 알레르기, 진균 알레르기, 곤충 알레르기 (벌레 물림/독 알레르기 포함), 곰팡이 알레르기, 식물 알레르기 및 화분증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알레르기는 식품 알레르기이다.
본 발명의 양태는 대상체에서 식품 알레르기의 치료 및/또는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된 면역 반응의 조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면역 관용 또는 탈감작을 유도하는 방법도 제공된다. 본원에서, "식품 알레르기"라는 용어는 식품, 특히 식품에 존재하는 알레르기원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알레르기성 면역 반응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된 알레르기성 반응은 접촉 후, 예를 들어 동일하거나 유사한 알레르기원을 함유하는 식품(들)의 섭취를 통해 유도된다. 당업자에게 자명하듯이,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된 증상들은, 예를 들어 알레르기원을 함유하는 식품을 섭취한 후에 대상체의 위장관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알레르기 반응은 호흡기나 피부와 같은 다른 부위들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식품 알레르기는 일반적으로 IgE 매개형 면역 반응으로 간주되나, 비-IgE 매개형 식품 알레르기와 혼합형 IgE 매개형/비-IgE 매개형 식품 알레르기도 존재한다. IgE 매개형 식품 알레르기는 알레르기원과 접촉한 후 즉시 또는 약 2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두드러기 (급성 두드러기), 혈관성 부종, 부기, 아나필락시스, 식품 관련 운동 유발성 아나필락시스,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 및/또는 구토와 통증을 수반하는 즉시형 위장관 과민증을 포함한다. 세포 매개 반응이라고도 하는, 식품 알레르기에 수반된 비-IgE 매개형 면역 반응은 지연성 과민 반응으로, 식품 단백질 유발성 장염 증후군, 식품 단백질 유발성 알레르기 직장결장염, 알레르기 접촉성 피부염 및 하이너 증후군을 수반할 수 있다. 식품 알레르기에 수반된, 혼합 또는 조합된 IgE 매개형/비-IgE 매개형 면역 반응은 IgE 및 T 세포 매개형 효과 모두와 관련이 있고, 아토피성 피부염, 호산구성 식도염 및/또는 호산구성 위장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 및 프리바이오틱 화합물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방법은 IgE 매개형 식품 알레르기를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및 방법은 IgE 매개형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된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및 방법은 IgE 매개형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면역 관용 또는 탈감작을 유도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및 방법은 비-IgE 매개형 식품 알레르기 및/또는 혼합 또는 조합된 IgE 매개형/비-IgE 매개형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식품 알레르기의 예로는, 제한없이, 땅콩 알레르기, 각과류 알레르기, 계란 알레르기, 옥수수 알레르기, 과일 알레르기, 우유 알레르기, 마늘 알레르기, 대두 알레르기, 밀 알레르기, 해산물 알레르기, 생선 알레르기 (예: 조개류 알레르기) 및 종자 알레르기 (예: 참깨 씨 알레르기)를 포함한다.
식품 알레르기가 발생할 수 있는 알레르기원을 함유한 식품의 비제한적 예로는 전복 (페를레모엔), 아세로라, 명태, 아몬드, 아니스 씨, 사과, 살구, 아보카도, 바나나, 보리, 피망, 브라질 너트, 메밀, 양배추, 잉어, 당근, 캐슈, 피마자콩, 셀러리, 셀러리악, 체리, 밤, 병아리콩 (가르반조, 벵갈녹두), 코코아, 코코넛, 대구, 목화씨, 호박 (애호박), 게, 대추야자, 계란, 무화과, 생선, 아마씨 (아마인), 개구리, 가든 플럼 (garden plum), 마늘, 포도, 헤이즐넛, 키위 과일 (차이니즈 구스베리), 렌틸콩, 양상추, 랍스터, 루핀콩 (루핀), 리치, 고등어, 메이즈 (옥수수), 망고, 멜론, 우유, 머스타드, 귀리, 굴, 복숭아, 땅콩 (그라운드넛, 원숭이넛), 배, 피칸, 감, 잣, 파인애플, 석류, 양귀비 씨, 감자, 호박, 쌀, 호밀, 연어, 참깨, 참깨씨, 새우 (블랙 타이거 새우, 갈색 새우, 기름기 많은 (greasyback) 새우, 인도 새우, 넵튠 장미 새우, 흰 새우), 달팽이, 대두 (소야), 오징어, 딸기, 해바라기 씨, 토마토, 참치, 순무, 호두 및 밀 (제빵용 밀, 파스타용 밀, 카무트, 스펠트밀)을 포함한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대상체에서 질병 또는 질환, 예컨대 알레르기 (예: 식품 알레르기)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 및 프리바이오틱 화합물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대상체", "개체" 및 "환자"는 상호교환하여 사용되어, 척추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과 같은 포유동물을 지칭한다. 포유동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인간 영장류, 비인간 영장류 또는 쥐, 소, 말, 개 또는 고양이 종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인간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인간 대상체는 신생아 대상체, 소아 대상체, 청소년 대상체, 성인 대상체 또는 노인 대상체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알레르기, 예컨대 식품 알레르기가 있거나 이러한 알레르기의 위험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알레르기원을 함유하는 특정 식품 또는 식품군에 대한 접촉이나 노출 후 하나 이상의 알레르기 반응을 보였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알레르기, 예컨대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된 병력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알레르기 또는 특정 알레르기원에 대한 알레르기의 가족력이 있다. 예를 들어, 가족력은 대상체가 알레르기, 예컨대 식품 알레르기가 있거나 이를 발전시킬 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특정 식품 (예: 식품의 특정 알레르기원)에 대한 식품 알레르기가 있는 대상체라면, 해당 대상체 자신이 다른 식품 (예: 식품의 다른 특정 알레르기원)에 대한 식품 알레르기가 생기거나 이를 발병할 경향이 생길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알레르기 발생과 관련된 위험 인자를 가진다. 식품 알레르기 발병과 관련된 위험 요인들의 예로는, 제한없이, 미성숙한 점막 면역계, 고형 음식물의 조기 섭취, 점막 투과성의 유전적인 증가, IgA 결핍 또는 IgA 생성 지연, 공생 세균총에 의한 장 면역계의 부적절한 공격, Th2 면역 반응에 대한 유전적으로 결정된 편향성, Th2 사이토카인 또는 IgE 수용체 유전자의 다형성, 손상된 장 신경계, 면역학적 변화 (예: 낮은 수준의 TGF-β)를 포함한다.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 및 프리바이오틱 화합물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은 대상체에게 치료적 유효량 또는 치료적 유효량의 용량으로 투여되어 질병 또는 질환, 예컨대 식품 알레르기를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다. "치료하다" 또는 "치료"라는 용어는 질병 (예: 식품 알레르기와 같은 알레르기)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상을 감소시키거나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예방하다" 또는 "예방"이라는 용어는 예방적 투여를 포함하여 질병 또는 질환 (예를 들어, 식품 알레르기)의 발생률 또는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알레르기 반응, 예컨대 식품 또는 식품 알레르기원과 관련된 알레르기 반응의 발생률 또는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조성물의 투여는 대상체에서 변형된 미생물군을 유도하여 해당 대상체에서 알레르기 반응의 발생률 또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조성물의 투여는 대상체에서 건강한 미생물군을 유도하여 해당 대상체에서 알레르기 반응의 발생률 또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조성물의 투여는 알레르기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상, 예컨대 알레르기 반응과 관련된 증상의 감소 또는 완화를 유도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 및 프리바이오틱 화합물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및 방법은 알레르기 (예: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된 알레르기원에 대한 면역 내성을 유도하거나, 또는 알레르기 (예: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된 알레르기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탈감작하는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알레르기와 관련하여 "관용" 및 "면역 관용"이라는 용어들은 하나 이상의 자극, 예컨대 알레르기와 관련된 알레르기원에 대한 면역 반응의 반응성 감소 또는 무반응성을 의미한다. 특히, 관용 또는 면역 관용은 지속된 기간 또는 장기간에 걸쳐서 하나 이상의 자극에 대한 면역 반응의 반응성 감소 또는 무반응성을 지칭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알레르기와 관련하여 "탈감작하다"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탈감작화 처방 과정 동안에, 하나 이상의 자극에 대한 면역 반응의 반응성 감소 또는 무반응성의 가역적 상태를 가리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 및 프리바이오틱 화합물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및 방법은 알레르기 (예: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된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당업자에게 자명하듯이,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및 방법은 알레르기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면역 반응(들)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알레르기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다른 면역 반응(들)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 및 프리바이오틱 화합물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및 방법은 조절 T 세포의 증식 및/또는 축적을 유도한다. 조절 T 세포는 일반적으로 FoxP3, CD25 및 CD4의 발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의 투여는, 대상체에서 조절 T 세포 (예를 들어, 전체 조절 T 세포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조절 T 세포)의 증식 및/또는 축적을, 해당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의 대상체에서 조절 T 세포의 양에 비해 적어도 1.1배, 1.2배, 1.3배, 1.4배, 1.5배,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20배, 30배, 40배, 50배, 100배, 1000배, 104배, 105배, 또는 그 이상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의 투여는, 조절 T 세포 (예를 들어, 전체 조절 T 세포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조절 T 세포)의 증식 및/또는 축적을, 해당 조성물을 투여받지 않았던 다른 대상체 (예: 참조 대상체)에서 조절 T 세포의 양에 비해 적어도 1.5배,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20배, 30배, 40배, 50배, 100배, 1000배, 104배, 105배, 또는 그 이상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 및 프리바이오틱 화합물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의 투여는, 조절 T 세포 (예를 들어, 전체 조절 T 세포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조절 T 세포)의 증식 및/또는 축적을, 해당 조성물의 투여 전에 대상체 (또는 대상체의 특정 부위)에서의 조절 T 세포의 양에 비해 적어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100%, 125%, 150% 또는 그 이상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의 투여는, 조절 T 세포 (예를 들어, 전체 조절 T 세포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조절 T 세포)의 증식 및/또는 축적을, 해당 조성물을 투여받지 않았던 다른 대상체 (예: 참조 대상체)에서 조절 T 세포의 양에 비해 적어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100%, 125%, 150% 또는 그 이상 증가시킨다.
조절 T 세포의 유도와 그에 상응하는 알레르기 치료는 복잡하게 관련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알레르기의 치료에서, 하나 이상의 해당 알레르기에 대한 치료 효능과 관련된 범위인 조절 T 세포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특정 알레르기 치료 처방 계획의 경우, 원하는 알레르기 치료 효과를 유도하기에는 상당히 강력하지만 바람직하지 않은 면역학적 사건을 초래할 만큼은 강하지 않은 조절 T 세포 반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의 투여는, 조절 T 세포 (예를 들어, 전체 조절 T 세포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조절 T 세포)의 증식 및/또는 축적을, 해당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 대상체 (또는 대상체의 특정 부위)에서 조절 T 세포의 양에 비해 1% 내지 20%, 2% 내지 19%, 3% 내지 17%, 4% 내지 16%, 4% 내지 15%, 5% 내지 15%, 6% 내지 14%, 7% 내지 13%, 8% 내지 12%, 5% 내지 10%, 5% 내지 15%, 10% 내지 15%, 또는 8% 내지 15%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의 투여는, 조절 T 세포 (예를 들어, 전체 조절 T 세포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조절 T 세포)의 증식 및/또는 축적을, 해당 조성물을 투여받지 않았던 다른 대상체 (예: 참조 대상체)에서 조절 T 세포의 양에 비해 1% 내지 20%, 2% 내지 19%, 3% 내지 17%, 4% 내지 16%, 4% 내지 15%, 5% 내지 15%, 6% 내지 14%, 7% 내지 13%, 8% 내지 12%, 5% 내지 10%, 5% 내지 15%, 10% 내지 15%, 또는 8% 내지 15%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 및 프리바이오틱 화합물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의 투여는, 대상체의 특정 부위에서의 조절 T 세포 (예를 들어, 전체 조절 T 세포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조절 T 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의 투여는, 조절 T 세포 (예를 들어, 전체 조절 T 세포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조절 T 세포)의 활성을, 해당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의 대상체에서 조절 T 세포의 활성에 비해 적어도 1.1배, 1.2배, 1.3배, 1.4배, 1.5배,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20배, 30배, 40배, 50배, 100배, 1000배, 104배, 105배, 또는 그 이상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의 투여는, 조절 T 세포 (예를 들어, 전체 조절 T 세포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조절 T 세포)의 활성을, 해당 조성물을 투여받지 않았던 다른 대상체 (예: 참조 대상체)에서 조절 T 세포의 활성에 비해 적어도 1.5배,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20배, 30배, 40배, 50배, 100배, 1000배, 104배, 105배, 또는 그 이상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 및 프리바이오틱 화합물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의 투여는, 조절 T 세포 (예를 들어, 전체 조절 T 세포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조절 T 세포)의 활성을, 해당 조성물의 투여 전에 대상체에서의 조절 T 세포의 활성에 비해 적어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100%, 125%, 150% 또는 그 이상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의 투여는, 조절 T 세포 (예를 들어, 전체 조절 T 세포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조절 T 세포)의 활성을, 해당 조성물을 투여받지 않았던 다른 대상체 (예: 참조 대상체)에서 조절 T 세포의 활성에 비해 적어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100%, 125%, 150% 또는 그 이상 증가시킨다.
조절 T 세포 (예를 들어, 전체 조절 T 세포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조절 T 세포)의 풍부도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 예를 들어 조절 T 세포를 나타내는 세포 마커 (예: FoxP3)를 검출함으로써, 조절 T 세포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활성을 평가함으로써, 및/또는 조절 T 세포에 의해 생성된 하나 이상의 사이토카인 (예: IL-10)의 생성을 측정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 및 프리바이오틱 화합물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및 방법은 IgE 항체의 생성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조성물 및 방법은 대상체에서 전체 IgE 항체의 생성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조성물 및 방법은 알레르기와 관련된 알레르기원, 예를 들어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된 식품 알레르기원에 특이적인 IgE 항체 (예를 들어, 알레르기원 특이적 IgE 항체)의 생성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의 투여는, IgE 항체 (예를 들어, 전체 IgE 항체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IgE 항체)의 수준을, 해당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의 대상체 (또는 이의 샘플)에서 IgE 항체 (예를 들어, 전체 IgE 항체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IgE 항체)의 수준에 비해 적어도 1.5배,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20배, 30배, 40배, 50배, 100배, 1000배, 104배, 105배, 또는 그 이상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의 투여는, IgE 항체 (예를 들어, 전체 IgE 항체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IgE 항체)의 수준을, 해당 조성물을 투여받지 않았던 다른 대상체 (예: 참조 대상체)에서 IgE 항체의 수준에 비해 적어도 1.5배,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20배, 30배, 40배, 50배, 100배, 1000배, 104배, 105배, 또는 그 이상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 및 프리바이오틱 화합물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의 투여는, IgE 항체 (예를 들어, 전체 IgE 항체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IgE 항체)의 수준을, 해당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의 대상체 (또는 이의 샘플)에서 IgE 항체 (예를 들어, 전체 IgE 항체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IgE 항체)의 수준에 비해 적어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100%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의 투여는, IgE 항체 (예를 들어, 전체 IgE 항체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IgE 항체)의 수준을, 해당 조성물을 투여받지 않았던 다른 대상체 (예: 참조 대상체)에서 IgE 항체의 수준에 비해 적어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100%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 및 프리바이오틱 화합물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의 투여는, IgE 항체 (예를 들어, 전체 IgE 항체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IgE 항체)의 수준을, 해당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의 대상체 (또는 이의 샘플)에서 IgE 항체 (예를 들어, 전체 IgE 항체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IgE 항체)의 수준에 비해 30% 내지 50%, 30% 내지 45%, 35% 내지 45%, 30% 내지 40%, 35% 내지 40%, 40% 내지 50%, 40% 내지 45%, 45% 내지 50%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의 투여는, IgE 항체 (예를 들어, 전체 IgE 항체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IgE 항체)의 수준을, 해당 조성물을 투여받지 않았던 다른 대상체 (예: 참조 대상체)에서 IgE 항체의 수준에 비해 30% 내지 50%, 30% 내지 45%, 35% 내지 45%, 30% 내지 40%, 35% 내지 40%, 40% 내지 50%, 40% 내지 45%, 45% 내지 50% 감소시킨다.
대상체에서의 IgE 항체의 존재 및/또는 양, 예컨대 알레르기원 특이적 IgE 항체의 존재 및/또는 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샘플, 예컨대 혈액 또는 혈장 샘플을 대상체로부터 얻어서, 예를 들어 면역분석법 (예: 방사선 알레르기 항원 흡착 검사 (RAST), 형광 알레르기 항원 흡착 검사 (FAST),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 (ELISA) 및 단백질 어레이에 의해 분석할 수 있다. 알레르기원 특이적 IgE 항체의 존재는,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피부 시험 (예: 피부 반응 검사)을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 및 프리바이오틱 화합물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및 방법은 하나 이상의 Th2 면역 반응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및 방법은 Th2 세포 (2형 헬퍼 T 세포라고도 함)의 발생 또는 분화를 억제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및 방법은 Th2 세포의 활성을 억제한다. 당업자에게 자명하듯이, Th2 세포는 IL-4, IL-5, IL-6, IL-10 및/또는 IL-13을 생성하는 CD4+ 세포의 대상으로, IgE 항체 반응 및/또는 호산구 활성을 촉진하는데 관여할 수 있다. CD4+ 세포의 Th2 세포로의 분화는 IL-4 및/또는 IL-12의 존재와 전사 인자 STAT6 및 GATA3의 활성화에 의해 촉진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IgE 항체의 양은 대상체에서 Th2 면역 반응의 마커로서 평가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 및 프리바이오틱 화합물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의 투여는, Th2 면역 반응의 수준을, 해당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의 대상체 (또는 이의 샘플)에서 Th2 면역 반응의 수준에 비해 적어도 1.5배,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20배, 30배, 40배, 50배, 100배, 1000배, 104배, 105배, 또는 그 이상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의 투여는, Th2 면역 반응을, 해당 조성물을 투여받지 않았던 다른 대상체 (예: 참조 대상체)에서 Th2 면역 반응에 비해 적어도 1.5배,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20배, 30배, 40배, 50배, 100배, 1000배, 104배, 105배, 또는 그 이상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 및 프리바이오틱 화합물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의 투여는, Th2 면역 반응의 수준을, 해당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의 대상체 (또는 이의 샘플)에서 Th2 면역 반응에 비해 적어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100%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의 투여는, Th2 면역 반응을, 해당 조성물을 투여받지 않았던 다른 대상체 (예: 참조 대상체)에서 Th2 면역 반응에 비해 적어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100% 감소시킨다.
Th2 면역 반응의 존재 또는 수준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h2 면역 반응의 존재 또는 수준은, 대상체로부터 얻은 샘플에서 Th2 세포의 수를 검출 및/또는 정량함으로써, 예컨대 Th2 세포를 나타내는 세포 마커를 검출함으로써; Th2 세포와 관련된 전사 프로파일을 평가함으로써; Th2 세포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활성을 평가함으로써; 및/또는 Th2 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사이토카인 (예: IL-4, IL-5, IL-6, IL-10, IL-13)의 생성을 측정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 및 프리바이오틱 화합물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의 투여는, 대상체에서 알레르기 (예: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된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건강한 미생물군을 유도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조성물의 투여는 대상체에서 알레르기 (예를 들어,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된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건강한 미생물군을 유도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조성물의 투여는 대상체에서 조절 T 세포의 축적 및/또는 증식을 유도하는 건강한 미생물군을 유도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조성물의 투여는 대상체에서 IgE 항체의 생성을 억제하는 건강한 미생물군을 유도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조성물의 투여는 대상체에서 Th2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건강한 미생물군을 유도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 및 프리바이오틱 화합물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의 치료적 유효량은 알레르기를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알레르기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상을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알레르기, 예컨대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면역 반응을 조절하기에 충분한 양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대상체에서 조절 T 세포의 증식 및/또는 축적을 유도하기에 충분한 양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IgE 항체 (예를 들어, 전체 IgE 항체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IgE 항체)의 생성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양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하나 이상의 Th2 면역 반응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양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대상체가 알레르기원에 대한 공격 (예를 들어, 땅콩 알레르기원에 대한 부주의한 노출로 인한 아나필락시스 알레르기 반응의 경우)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한 양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 및 프리바이오틱 화합물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및 방법은 자가면역 질환 (예: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당뇨병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질환의 예에는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당뇨병(예를 들어, 1형 진성 당뇨병), 갑상선의 자가면역 질병(예를 들어, 하시모토 갑상선염, 그레이브스병), 갑상선 관련 안병증 및 피부병증, 부갑상샘 기능저하증, 애디슨병, 조기 폐경, 자가면역 뇌하수체염, 뇌하수체 자가면역 질병, 면역위염, 악성 빈혈, 셀리악병, 백반증, 중증 근육무력증, 심상성 천포창 및 변종, 수포성 유사천포창, 듀링 포진성 피부염, 후천성 수포성 표피박리증, 전신 경화증, 혼합 결합 조직병, 쇼그렌 증후군, 전신 홍반 루푸스, 굿파스쳐 증후군, 류마티스성 심장 질병, 자가면역 다선 증후군 1형, 아이카디-구티에레스 증후군, 급성 췌장염 연령 의존성 황반 변성, 알코올성 간 질병, 간섬유화, 전이, 심근경색증,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파킨슨병, 다발성관절염/태아 및 신생아 빈혈, 패혈증, 및 염증성 장질병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치료적 유효량"이라는 용어는 "유효량"이라는 용어와 서로 교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물, 예를 들어 약제학적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 또는 유효량은, 본원에 기재된 것들과 같이, 대상체에서 원하는 반응 또는 결과를 유도하는 임의의 양으로서, 여기에는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원에 기술된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되는 질병 (예: 알레르기)의 적어도 하나의 증상의 발현을 지연시키거나, 그 진행을 중지시키거나, 그 증상을 경감 또는 완화시키는 것을 유도하는 임의의 양이다.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방법은 대상체의 알레르기 치료를 위한 것일 수 있다. 본원에서, 알레르기를 치료하는 방법은 알레르기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증상을 경감 또는 완화시키거나, 또는 알레르기원에 대한 접촉 또는 노출시 알레르기 반응의 개시를 늦추거나 방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대상체가 알레르기가 있거나, 이를 발병할 위험이 있거나, 또는 알레르기원에 반응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상체가 알레르기가 있거나 알레르기원에 반응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대상체에게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알레르기원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알레르기원과, 프리바이오틱 화합물 및 치료제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을 투여한다. 대상체가 알레르기가 있거나, 이를 발병할 위험이 있거나, 또는 알레르기원에 반응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IgE 항체 (예: 전체 IgE 항체, 알레르겐 특이적 IgE 항체)의 존재 또는 수준을 검출하는 것, 하나 이상의 Th2 면역 반응의 존재 또는 수준 검출하는 것, 또는 알레르기 피부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방법은 대상체가 식품 알레르기가 있거나 이를 발병할 위험이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것을 수반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상체가 식품 알레르기가 있거나 식품 알레르기원에 반응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대상체에게 본원에 기술된 박테리아성 균주를 함유하는 임의의 조성물을 투여한다.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조성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료제 (예: 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 알레르기원) 및 프리바이오틱 화합물과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은 임의의 형태, 예를 들어 용액 또는 현탁액과 같은 수성 형태, 반고체 형태, 분말 형태 또는 동결 건조 형태로 제공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동결건조된다. 조성물을 동결건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활성 성분과 상용성이어야 하고 투여되는 대상체에게 유해하지 않아야 하는 부형제를 말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해당 조성물의 의도한 투여 경로를 기초로 하여 선택되는데, 예를 들어 경구 또는 비강 투여용 조성물은 직장 투여용 조성물과는 상이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부형제의 예로는 멸균수, 생리 식염수, 용매, 염기 물질, 유화제, 현탁제, 계면활성제, 안정화제, 향미제, 방향제, 부형제, 비히클, 보존제, 결합제, 희석제, 등장성 조절제, 무통화제, 증량제, 붕해제, 완충제, 코팅제, 윤활제, 착색제, 감미제, 증점제 및 가용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업계에 익히 알려져 있어 일상적으로 시행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약제학적 조성물은 동결건조 제형 또는 수용액의 형태의 임의의 담체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허용가능한 부형제, 담체 또는 안정화제로는, 예를 들어 완충제, 산화방지제, 보존제, 중합체, 킬레이트 시약 및/또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GMP 조건 하에 제조된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비강 또는 비경구적으로, 예를 들어 캡슐, 정제, 환제, 포(sachet), 액체, 분말, 과립, 미세 과립, 필름 코팅 제제, 펠릿, 트로키, 설하 제제, 저작정, 구강점막용 제제, 페이스트, 시럽, 현탁액, 엘릭시르, 에멀젼, 도포제, 연고, 경피흡수제, 습포제, 경피 흡수 시스템, 로션, 흡입제, 에어로졸, 주사제, 좌제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정맥내, 근육내, 피하 또는 피부내 투여와 같이, 주사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 또는 대안적 경로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설하 투여용으로 제형화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주사 투여용으로 제형화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알레르기 치료에 이점을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보조제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용 면역치료제, 경피용 면역치료제 또는 설하용 면역치료제 중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제형으로 제제화된다. 투여 처방계획은 원하는 최적의 반응 (예: 예방 또는 치료적 효과)을 제공하도록 조정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의 제형은 정제, 환제, 캡슐, 분말, 과립, 용액 또는 좌제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으로 제형화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직장 투여용으로, 예컨대 좌제로서 제형화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적절한 코팅 (예를 들어, pH 특이적 코팅, 표적 부위 특이적 효소에 의해 분해될 수 있는 코팅, 또는 표적 부위에 존재하는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는 코팅)을 제공함으로써 장 또는 장의 특정 부위 (예컨대, 결장)에 대한 전달을 위해 제형화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당의정, 겔 캡슐, 겔, 에멀젼, 정제, 웨이퍼 캡슐, 하이드로겔, 나노섬유 겔, 전기방사 섬유, 푸드바 (food bar), 과자류, 발효유, 발효치즈, 츄잉껌, 분말 또는 치약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중 활성 성분들의 용량에 변화를 주어, 대상체에게 독성이 있거나 유해한 효과를 주지 않으면서, 특정 대상체, 조성물 및 투여 방식에 있어서 원하는 약학적 반응을 달성하는데 효과적인 활성 성분의 양을 얻을 수 있다. 선택된 용량 수준은 사용된 본 발명의 특정 조성물의 활성, 투여 경로, 투여 시간, 치료의 지속시간, 사용된 해당 특정 조성물과 병용하여 사용되는 다른 약물, 화합물 및/또는 물질, 치료되는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병태, 전반적인 건강 및 과거 병력을 비롯한 다양한 요인들, 및 이와 유사한 요인들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의사, 수의사 또는 기타 숙련된 전문의는 원하는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것보다 낮은 수준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량을 시작하여, 원하는 효과 (예: 알레르기의 치료, 알레르기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면역 반응의 조절)가 달성될 때까지 해당 용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사람군의 예방적 치료를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 용량은 투여 경로, 대상체의 생리학적 상태, 대상체가 인간인지 동물인지의 여부, 투여된 다른 약물 및 원하는 치료 효과를 비롯한 여러가지 서로 다른 요인들에 따라 달라진다. 안전성과 효능을 최적화하려면 용량을 적정할 필요가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투약 처방계획은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조성물 1회분 용량의 경구 투여를 수반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투약 처방계획은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조성물의 다회분 용량의 경구 투여를 수반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조성물은 대상체에게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또는 적어도 10회, 또는 그 이상 투여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조성물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예컨대 2주마다, 매월, 2개월마다, 3개월마다, 4개월마다, 5개월마다, 6개월마다, 또는 그 이상의 간격을 두고, 다회분 용량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조성물의 1회차 용량을 투여하고, 해당 조성물의 2회차 용량을 다음 날 (예컨대, 연속일)에 투여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조성물의 1회차 용량을 투여하고, 해당 조성물의 각 추가 용량을 연속일로 투여한다 (예를 들어, 제1일차에 1회차 용량, 제2일차에 2회차 용량, 제3일차에 3회차 용량 등).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약제학적 조성물의 다회분 1일 용량의 투여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약제학적 조성물은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8일, 9일, 10일, 11일, 12일, 13일, 14일, 15일, 16일, 17일, 18일, 19일, 20일, 21일, 22일, 23일, 24일, 25일, 26일, 27일, 28일, 29일, 30일간, 1개월, 2개월, 3개월, 4개월, 5개월, 6개월, 7개월, 8개월, 9개월, 10개월, 11개월, 12개월 동안, 또는 그 이상 동안 매일 투여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1회 이상 용량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상기 대상체가 상기 1회 이상 용량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반응하는지의 여부를, 예컨대, T 조절 세포, IgE 세포의 수준을 측정하거나, 또는 피부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반응이 원하는 효과와 관련이 없는 경우 (예를 들어, T 조절 세포의 불충분한 수준, 또는 피부 검사에 대한 강한 반응)라면, 해당 약제학적 조성물의 추가 용량을 투여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는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조성물 및 영양분을 포함하는 식품도 제공한다. 또한,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박테리아 균주 및 영양분을 포함하는 식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식품은 일반적으로 사람이나 동물이 섭취하도록 만든 것이다.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조성물은 식품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박테리아성 균주는 포자 형태의 식품으로 제조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박테리아성 균주는 영양 (vegetative) 형태의 식품으로 제조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식품은 영양형 박테리아 및 포자 형태의 박테리아를 모두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은 식품 또는 음료, 예컨대 건강 식품 또는 음료, 유아용 식품 또는 음료, 임산부, 운동선수, 노인 또는 기타 특정 그룹을 위한 식품 또는 음료,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 특정 보건용 식품 또는 음료, 식이 보충제, 환자용 식품 또는 음료, 또는 동물용 사료에 사용될 수 있다.
식품 및 음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주스, 청량 음료, 차 음료, 음료 제제, 젤리 음료 및 기능성 음료와 같은 다양한 음료; 맥주와 같은 알코올성 음료; 쌀 식품, 국수, 빵 및 파스타와 같은 탄수화물 함유 식품; 생선 햄, 소시지, 해산물 페이스트 제품과 같은 페이스트 제품; 카레, 걸쭉한 녹말 소스를 뿌린 음식, 수프와 같은 레토르트 파우치 제품; 우유, 유제품 음료, 아이스크림, 치즈 및 요구르트와 같은 유제품; 된장, 요거트, 발효 음료 및 피클과 같은 발효 식품; 콩 제품; 비스킷, 쿠키 등의 서양 과자류 제품, 찐빵, 부드러운 아즈끼-팥 (soft adzuki-bean) 젤리 등의 일본식 과자류 제품, 캔디, 츄잉껌, 젤리, 젤리를 비롯한 냉디저트, 크림 카라멜 및 냉동 디저트; 즉석 수프 및 즉석 된장국과 같은 인스턴트 식품; 전자레인지용 식품;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예로는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액체, 페이스트 및 젤리 형태로 제조된 건강 식품 및 음료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방법은 추가의 치료제를 (예컨대, 동시에 또는 서로 다른 시점에)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치료제의 예에는 질병 조절 항류마티스 약물(예를 들어, 레플루노미드(leflunomide), 메토트렉세이트, 설파살라진(sulfasalazine), 하이드록시클로로퀸), 생물학적 제제(biologic agent)(예를 들어, 리툭시맙(rituximab), 인플릭시맵, 에타너셉트, 아달리무맙, 골리무맙(golimumab)),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예를 들어, 이부프로펜, 셀레콕시브(celecoxib), 케토프로펜(ketoprofen), 나프록센(naproxen), 피록시캄(piroxicam), 디클로페낙(diclofenac)), 진통제(예를 들어, 아세트아미노펜, 트라마돌(tramadol)), 면역조절물질(immunomodulator)(예를 들어, 아나킨라(anakinra), 아바타셉트(abatacept)), 글루코코르티코이드(예를 들어, 프레드니손, 메틸프레드니손), TNF-α 억제제(예를 들어, 아달리무맙, 서톨리주맙 페골(certolizumab pegol), 에타너셉트, 골리무맙, 인플릭시맵), IL-1 억제제, 및 금속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제는 인플릭시맵, 아달리무맙, 에타너셉트, 또는 비경구 금(parenteral gold) 또는 경구 금(oral gold)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경우에, 치료제는 면역조절제 또는 면역억제제(예를 들어, 스타틴; mTOR 억제제, 예를 들어 라파마이신 또는 라파마이신 유사체; TGF-β 신호전달 제제; TGF-β 수용체 작용제;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억제제, 예를 들어 트리코스타틴 A;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미토콘드리아 기능 억제제, 예를 들어 로테논; P38 억제제; NF-κβ 억제제, 예를 들어 6Bio, 덱사메타손, TCPA-1, IKK VII; 아데노신 수용체 작용제; 프로스타글란딘 E2 작용제(PGE2), 예를 들어 미소프로스톨;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 억제제, 예를 들어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 4 억제제(PDE4), 예를 들어 롤리프람; 프로테아좀 억제제; 키나제 억제제; G-단백질 결합 수용체 작용제; G-단백질 결합 수용체 길항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레티노이드; 사이토카인 억제제; 사이토카인 수용체 억제제; 사이토카인 수용체 활성제;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길항제;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작용제;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억제제; 칼시뉴린 억제제; 포스파타아제 억제제; PI3 KB 억제제, 예를 들어 TGX-221; 자가포식 억제제, 예를 들어 3-메틸아데닌;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억제제; 프로테아좀 억제제 I(PSI); 및 산화된 ATP, 예를 들어 P2X 수용체 차단제이다. 면역억제제에는 또한, IDO, 비타민 D3, 사이클로스포린, 예를 들어 사이클로스포린 A,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억제제, 레스베라트롤, 아자티오퓨린(Aza), 6-머캅토퓨린(6-MP), 6-티오구아닌(6-TG), FK506, 상글리페린 A, 살메테롤, 마이코페놀레이트 모페틸(MMF), 아스피린 및 기타 COX 억제제, 니플룸산, 에스트리올; 트립톨리드; OPN-305, OPN-401; 에리토란(E5564); TAK-242; Cpn10; NI-0101; 1A6; AV411; IRS-954 (DV-1079); IMO-3100; CPG-52363; CPG-52364; OPN-305; ATNC05; NI-0101; IMO-8400; 하이드록시클로로퀸; CU-CPT22; C29; 오르토-바닐린; SSL3 단백질; OPN-305; 5 SsnB; 비잔틴; (+)-N-페네틸노르옥시모르폰; VB3323; 단당류 3; (+)-날트렉손 및 (+)-날록손; HT52; HTB2; 화합물 4a; CNTO2424; TH1020; INH-ODN; E6446; AT791; CpG ODN 2088; ODN TTAGGG; COV08-0064; 2R9; G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2-아미노퓨린; 암렉사녹스; Bay11-7082; BX795; CH-223191; 클로로퀸; CLI-095; CU-CPT9a; 사이클로스포린 A; CTY387; 제피티닙; 글리벤클라미드; H-89; H-131; 이소리퀴리티게닌; MCC950; MRT67307; OxPAPC; 파테놀리드; Pepinh-MYD; Pepinh-TRIF; 폴리믹신 B; R406; RU.521; VX-765; YM201636; Z-VAD-FMK; 및 2,3,7,8-테트라클로로-디벤조-p-디옥신(TCDD); 트립타민(TA); 및 6 포르밀인돌로[3,2 b]카바졸(FICZ)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AHR-특이적 리간드가 포함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면역억제제는 핑골리모드; 2-(1'H-인돌-3'-카보닐)-티아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ITE) 또는 관련 리간드; 트리코스타틴 A; 및/또는 수베로일아닐리드 하이드록삼산(SAHA)이다.
실험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정 실시형태들을 설명하고 추가로 예시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우리(의)" 및 "나"라는 용어들의 사용은 발명자들을 지칭하는 것이다.
실시예 I.
가열-냉각법을 통해 이눌린 겔을 제조하였다 (도 1a). 마우스들을 알부민 (OVA)과 명반의 복강내 (i.p.) 주사로 감작시킨 후, OIT 처리와 OVA 단백질의 경구 면역유발을 반복하였다 (도 1b). 6회차 OVA 면역유발 후, 이눌린 겔 + OVA로 처리된 마우스들은 PBS 또는 유리 OVA로 처리된 마우스들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된 심부 체온 강하를 나타냈다 (도 1c). 또한, 이눌린 겔 + OVA는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도 1d). 전반적으로, 이눌린 겔 + OVA는 설사로 인한 체중 감소를 효과적으로 완화하였다 (도 1e). 또한, 우리는 이눌린 겔 + OVA가 OVA 면역유발 후 빈창자의 비만 세포 뿐만 아니라 OVA 특이적 IgE를 실질적으로 감소시켰음도 관찰하였다 (도 1f, g).
진료소에서 널리 사용되는 치료 계획을 모의시험하기 위해, 우리는 다음으로 OIT 치료에서 OVA 용량을 증량하였다 (도 2a). OVA 그룹의 일부 마우스들은 3회차 OVA 면역유발 후에 사망하였기 때문에, 우리는 3회차 OVA 면역유발까지의 설사와 아나필락시스 반응만을 기록하였다. OIT에서 저용량의 OVA를 사용한 결과 (도 1)와 일치하게, 이눌린 겔 + 증량시킨 OVA도 유리 OVA에 비해서 설사의 발생과 중증도, 아나필락시스 점수 및 체중 감소를 크게 감소시켰다 (도 2b-d). 이러한 결과들은 본 모델에서 이눌린 겔이 제제화되지 않은 OVA 알레르기원과 관련된 잠재적인 이상 사례를 피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눌린 겔은 점막의 비만 세포 프로테아제-1 (MMCP-1), 빈창자의 비만 세포도 감소시켰고, 생존 개체에 있어서 Th2 사이토카인을 Th1/Th17 사이토카인으로 치우치게 하였다 (도 2e-g).
다음으로, 우리는 회장, 비장 및 장간막 림프절 (MLN)을 분석하여, 이눌린 겔 + OVA가 회장에서 Foxp3+CD4+ Treg, 비장에서 CD103+ DC 세포, 및 비장과 MLN에서 LAG3+CD49b+ Tr1 세포의 더 높은 빈도수를 유도하였음을 관찰하였다 (도 3). 이러한 세포들은 면역 관용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들은 이눌린 겔이 알레르기원 (또는 자가항원)을 전달하여 면역 관용을 유도하는 플랫폼으로서 기능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콜레라 독소 (CT)와 땅콩 추출물 (PE)을 경구 투여하여 땅콩 알레르기 모델을 확립하였다. 이눌린 겔 + PE가 포함된 OIT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체온 강하와 감소된 아나필락시스 반응에서 보듯이, PE 면역유발로부터 마우스를 효과적으로 보호하였다 (도 4). 이러한 결과는 다중 알레르기 모델에서 알레르기원 (또는 자가항원)을 전달하는 이눌린 겔의 유용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재료와 방법
이눌린 겔, PE 또는 OVA 로딩된 이눌린 겔의 제조 및 특성 분석. OVA 관련 연구를 위해, 치커리 유래의 이눌린 495 mg (Sigma-Aldrich)을 PBS 1.35 mL에 용해시키고 5분간 가열하였다. 이눌린 냉각 직후 OVA (Sigma-Aldrich)를 첨가하였다. PE 관련 연구를 위해, 치커리 유래의 이눌린 300 mg (Sigma-Aldrich)을 탈이온수 0.9 mL에 용해시키고, 5분간 가열한 후, 냉각 직후 PE 8 mg을 첨가하였다. 샘플들은 4℃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땅콩 추출물 준비를 위해, 40 g의 생땅콩 분말을 500 mL의 탈이온수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15분간 초음파 처리하였다.상기 현탁액을 3000xg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그런 다음, 상청액을 조심스럽게 수집하여 60분간 8000xg에서 추가로 원심분리하였다. 단백질을 함유하는 상청액을 분취하여 동결건조하였다. 땅콩 추출물의 단백질 함량 (약 20%)은 BCA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생체내 구강 감작, 면역치료 및 면역유발. 연방, 주 및 지역 지침에 따라 동물들을 관리하였다. 동물들에 대해 수행한 모든 작업은 동물실험윤리위원회 (IACUC)에 부합되도록 하여 승인을 받았다. Jackson Laboratory의 암컷 C3H/HeJ 마우스 또는 BABL/c (5-6주령)는 보통의 마우스 식단 (PicoLab® Laboratory 설치류 식단 5L0D*)로 유지하였다. 마우스들을 실험 전 일주일 동안 적응시켰다. 명반/OVA 모델의 경우, BABL/c 마우스를 1일과 14일째에 PBS (위-감작, 미감작군), 또는 150 μL의 PBS 중에서 OVA (50 μg/용량) 및 명반(1 mg/용량, Sigma-Aldrich)으로 복강내 (i.p.) 감작하였다. 29일째부터, 상기 감작된 마우스들에게 PBS, OVA (1 mg/용량), 이눌린 겔 (55 mg/용량) 또는 이눌린 겔 (55 mg/용량) + OVA (1 mg/용량)를 경구 투여하였다. OVA의 증량 용량 설정에서, 마우스들을 먼저 0.25, 0.5, 1, 2, 4, 8, 12, 16 mg의 가열된 OVA (70℃에서 2분간 가열)를 사용하여 OVA 또는 이눌린 겔 + OVA로 경구 위관영양 투여한 후, 6일 동안은 가열된 OVA 20 mg을 투여하였다. 49일째부터, 마우스는 총 6회의 위관영양 주입을 위해 격일로 250 μL의 PBS 중 50 mg의 OVA로 위내 (i.g.) 면역유발시켰다. i.g. 면역유발 전, 마우스는 4시간 동안 음식을 먹지 않았다. 모든 시간의 i.g. 면역유발 전의 체중을 기록하고, i.g. 면역유발 마지막 시간의 체온을 측정하였다. PE/CT 감작 모델의 경우, 마우스를 무작위로 할당하고, 1일, 7일, 14일, 21일 및 28일째에 PBS (위-감작, 미감작군) 또는 PE (6 mg/용량) 및 200 μL의 PBS 중 콜레라 독소 (보조제로서 CT, 10 μg/용량)로 i.g. 감작하였다. 36일째부터, 이 마우스들에게 PBS, PE, 이눌린 겔 (45 mg/용량) 또는 이눌린 겔 (45 mg/용량) + PE (1.2 mg/용량)를 각각 주당 4회 경구 투여하였다. 미감작 마우스는 대조군으로서 PBS를 경구 투여하였다. 73일째에, 마우스에게 125 ㎍의 PE를 i.p. 주사하고, 직장 온도 측정기를 통해 미리 설정한 시간에 체온을 기록하였다.
과민 반응 및 설사에 대한 평가. PE (125 μg/용량)의 i.p. 면역유발 또는 OVA (50 mg/용량)의 i.g. 면역유발 후 30분 내지 50분 사이에 아나필락시스 증상을 평가하였다. 아나필락시스 증상은 육안 관찰을 통해 점수를 매겼다: 0, 무증상; 1, 코와 머리 주위를 긁고 비빔; 2, 눈과 입 주위 부어오름, 입모, 활동 감소 및/또는 호흡 속도 증가에 따른 활동 감소; 3, 쌕쌕거림, 힘든 호흡, 및 입과 꼬리 주위의 청색증; 4, 찌른 후 활동 없음 또는 떨림 및 경련; 및 5, 사망 또는 30℃ 미만의 체온. OVA 연구의 경우, i.g. 면역유발 후 1시간까지 다량의 점액 대변을 보인 마우스들은 설사 양성 동물로 기록하였다. 임상적 설사 점수는 육안 관찰을 통해 평가하였다: 0, 정상; 1, 부드러움; 2, 흐름; 3, 액체; 4, 출혈.
OVA 특이적 항체 검출. 혈청 샘플은 OIT 처리를 종료한 날, i.g. 면역유발 후 1주차 및 50 mg의 OVA로 마지막 i.g. 면역유발 후 24시간째에 각각 수집하였다. ELISA 방법을 통해 혈청 내 OVA 특이적 항체를 검출하였다. 간략히 설명하면, 96-웰 ELISA 플레이트를 웰당 10 ㎍의 OVA로 코팅하고 4℃에서 밤새 항온배양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세척하고 1% BSA PBS 완충액으로 2시간 동안 차단하였다. 미리 설정한 배수로 희석된 혈청 샘플 또는 표준 마우스 항-난백알부민 (이소형 IgE, Bio-rad, USA)을 96-웰 플레이트에서 1시간 동안 항온배양하였다. 세척을 반복한 후, 각 웰에 HRP-접합된 염소 항-마우스 IgE (1:4000 희석, SouthernBiotech)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항온배양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완전히 세척하고 각 웰에 100 μL의 TMB 용액을 첨가하였다. 10분 후, 정지 용액 (1 M H2SO4)을 첨가하고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를 통해 450 nm에서의 광학 밀도 (OD) 값을 측정하였다.
사이토카인 발현. 마지막 i.g. 면역유발 후 24시간째에, 다양한 군들의 비장들을 무균 상태로 얻었다. 비장 세포들을 96-웰 플레이트 (웰당 1×106 개의 세포)에서 배양하고 OVA (250 μg/mL)로 재자극시켰다. 72시간의 항온배양 후, 상청액을 얻고 LEGENDplex™ MU Th 사이토카인 패널 (12-플렉스) w/ VbP V03 (Biolegend, USA)을 통해 사이토카인을 시험한 후, 데이터를 LEGENDplex™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였다.
장 조직과 비장의 생체 내 면역학적 분석. 마지막 i.g. 면역유발 후 24시간째에, 비장, MLN 및 회장 (맹장의 원위 1cm) 샘플을 수집하였다. MLN을 분리하고, 분쇄한 후, 70 μm 여과기를 통해 여과하였다. 비장을 분쇄하고, ACK 용해 완충액과 함께 항온배양한 다음, 70 μm의 여과기를 통해 여과하였다. 회장 조직의 경우, 해당 조직을 1 cm 조각으로 절단하고 2% FACS 완충액, 1.5 mM DTT 및 10 mM EDTA를 함유하는 PBS로 교반하면서 37℃에서 30분간 처리하여 점액 및 상피 세포를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조직들을 저미고, 콜라게나아제, DNase I (100 mg/ml), 5 mM MgCl2, 5 mM CaCl2, 5 mM HEPES 및 10% FBS와 함께 37℃에서 45분 동안 일정하게 교반하면서 항온배양하였다. 그 후, 상기 세포 현탁액을 70 μm의 여과기를 통해 여과하였다. 세포들을 먼저 LIVE/DEAD 고정용 efluor 450으로 염색하였다. 세포들을 항-CD16/CD32 (클론 2.4G2, BDBiosciences)와 함께 항온배양한 다음, 형광 표지된 항체로 염색하고 측정할 때까지 (암실에서 4℃로) 보관하였다.
장 비만 세포 정량. OVA의 마지막 i.g. 면역유발 후 24시간째에, 빈창자 조직을 위에서 7-10 cm 원위의 부위에서 수집하여 4% 포르말린에 고정시켰다. 상기 조직을 미시간 대학의 인-비보 애니멀 코어 (In-Vivo Animal Core)를 통해 톨루이딘 블루로 염색하였다. 마우스당 적어도 3개의 무작위 절편을 분석하였고, 약 3.5 mm 길이의 조직 (배율 20배)에서 톨루이딘 블루 양성 염색 세포를 계수하였다.
실시예 II.
우리는 면역 관용 약물을 로딩한 이눌린 겔의 경구 투여가 대장염에 대한 치료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급성 대장염을 유발하기 위해 마우스 식수에 3% DSS를 6일간 제공하였다. 0일째부터 시작하여, 마우스에게 PBS, Ahr 리간드, 인돌-3-알데하이드 (IALD), 또는 IALD로 제제화된 이눌린 겔 (이눌린 겔 + IALD)로 경구 위관영양 투여하였다 (도 5a). 이눌린 겔 + IALD를 사용한 처리는, 심각한 체중 감소와 결장 길이의 단축에 대해 마우스를 보호하였다 (도 5b, 5c). 이와는 대조적으로, PBS 또는 IALD로 처리된 마우스들은 현저한 체중 감소와 결장 길이의 단축을 나타냈다. 특히, 이눌린 겔 + IALD로 처리된 마우스들은 맹장 중량이 가장 컸는데, 이것은 이눌린 겔의 미생물군 정상화 효과 및 Ahr 리간드의 면역조절 역할이 원인일 수 있다 (문헌 [K. Han, J. Nam, J. Xu, X. Sun, X. Huang, O. Animasahun, A. Achreja, J.H. Jeon, B. Pursley, N. Kamada, G.Y. Chen, D. Nagrath, J.J. Moon, Generation of systemic antitumour immunity via the in situ modulation of the gut microbiome by an orally administered inulin gel, Nature Biomedical Engineering, (2021)]; [B. Stockinger, K. Shah, E. Wincent, AHR in the intestinal microenvironment: safeguarding barrier function, Nature Reviews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18 (2021) 559-570] 참조). 이러한 결과는 이눌린 겔이 대장염 및 기타 염증성 장 질환을 개선하는 면역 관용제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방법: 6주령의 암컷 C57BL/6 마우스를 연구 개시 전 2주 동안 적응시켰다. 대장염을 유도하기 위해, 마우스 식수에 3% DSS (40 kDa; Alfa Aesar)를 6일간 보충하여 제공한 후, 통상적인 물을 제공하였다. 이눌린 겔 + IALD, IALD 또는 PBS를 예정된 날짜에 마우스에 경구 위관영양 투여하였다. 이눌린 겔 + IALD는 치커리 유래의 이눌린 300 mg (Sigma-Aldrich)을 탈이온수 0.9 ml 및 IALD 용액 (50 mg/mL, DMSO) 0.1 ml에 용해시켜 준비하였다. 상기 이눌린 용액을 IALD 용액과 볼텍싱하여 완전히 혼합하고 70℃에서 5분간 가열하였다. 상기 제제를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유지하여 겔화시켰다. IALD는 이눌린을 첨가하지 않고 유사하게 준비하였다. 체중은 실험 기간 동안 매일 측정하였다. 9일째에,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전체 결장을 절제하였다. 결장 길이와 맹장 중량을 측정하였다.
인용에 의한 포함
본원에 언급한 각 특허 문서 및 과학 논문의 전문은 모든 목적을 위해 참조로 포함된다.
균등물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개념 또는 본질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형태들은 본원에 기술된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닌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청구항의 의미와 균등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변형들도 여기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Claims (23)

  1. 하나 이상의 치료제와 조합된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치료제가 알레르기원, 면역조절제 및 면역억제제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이 복합체화, 접합, 캡슐화, 흡수, 흡착 및 혼합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의 평균 중합도가 20 이상 47 이하인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의 평균 중합도가 약 26인 것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 기반의 이눌린 제제가 하나 이상의 프리바이오틱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리바이오틱 화합물이 프럭토-올리고당, 단쇄 프럭토-올리고당, 이소말트-올리고당, 트랜스갈락토-올리고당, 펙틴, 자일로-올리고당, 키토산-올리고당, 베타-글루칸, 아라비아 검 변성 전분, 저항성 감자 전분, 구아 검, 콩 검, 젤라틴, 글리세롤, 폴리덱스트로스, D-타가토스, 아카시아 섬유, 캐럽 (carob), 귀리 및 감귤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대상체에게 치료적 유효량으로 투여시 하기 중 하나 이상을 할 수 있는 것인, 조성물:
    알레르기 (예: 식품 알레르기)를 치료하고,
    알레르기 (예: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상을 감소시키며,
    알레르기 (예: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면역 반응을 조절하고,
    대상체에서 조절 T 세포의 증식 및/또는 축적을 유도하며,
    IgE 항체 (예: 전체 IgE 항체 또는 알레르기원 특이적 IgE 항체)의 생성을 억제하고,
    하나 이상의 Th2 면역 반응을 억제하며,
    대상체가 알레르기원으로 인한 공격 (예를 들어, 땅콩 알레르기원에 대한 부주의한 노출로 인한 아나필락시스 알레르기 반응의 경우)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알레르기원이 동물성 산물, 식물, 식품, 곤충침, 약물, 진균 포자 및 미생물로부터 선택되는 알레르기원 공급원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알레르기원이 동물성 산물 알레르기원, 식물성 알레르기원, 곤충침 알레르기원, 약물 알레르기원, 진균성 알레르기원, 미생물 알레르기원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알레르기원이 전복 (페를레모엔), 아세로라, 명태, 아몬드, 아니스 씨, 사과, 살구, 아보카도, 바나나, 보리, 피망, 브라질 너트, 메밀, 양배추, 잉어, 당근, 캐슈, 피마자콩, 셀러리, 셀러리악, 체리, 밤, 병아리콩 (가르반조, 벵갈녹두), 코코아, 코코넛, 대구, 목화씨, 호박 (애호박), 게, 대추야자, 계란, 무화과, 생선, 아마씨 (아마인), 개구리, 가든 플럼 (garden plum), 마늘, 포도, 헤이즐넛, 키위 과일 (차이니즈 구스베리), 렌틸콩, 양상추, 랍스터, 루핀콩 (루핀), 리치, 고등어, 메이즈 (옥수수), 망고, 멜론, 우유, 머스타드, 귀리, 굴, 복숭아, 땅콩 (그라운드넛, 원숭이넛), 배, 피칸, 감, 잣, 파인애플, 석류, 양귀비 씨, 감자, 호박, 쌀, 호밀, 연어, 참깨, 참깨씨, 새우 (블랙 타이거 새우, 갈색 새우, 기름기 많은 (greasyback) 새우, 인도 새우, 넵튠 장미 새우, 흰 새우), 달팽이, 대두 (소야), 오징어, 딸기, 해바라기 씨, 토마토, 참치, 순무, 호두 및 밀 (제빵용 밀, 파스타용 밀, 카무트, 스펠트밀)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알레르기원이 하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동물성 산물, 예컨대 털, 비듬, 바퀴벌레 악부 (cockroach calyx), 양모, 먼지 진드기 배설물, 및 Fel d 1 (예: 고양이침 및 피지선에서 생성되는 단백질);
    식물 유래의 알레르기원, 예컨대 호밀풀과 같은 잔디의 식물 꽃가루; 돼지풀, 쐐기풀, 수영과 같은 잡초; 및 자작나무, 오리나무, 개암나무, 참나무, 느릅나무 및 단풍나무와 같은 나무;
    곤충침 유래의 알레르기원, 예컨대 벌침, 말벌침 및 모기침;
    약물 알레르기원, 예컨대 페니실린, 설폰아미드, 퀴니딘, 페닐부타존, 티오우라실, 메틸도파, 히단토인 및 살리시테이트;
    진균성 알레르기원, 예컨대 영지 (Ganoderma)와 같은 담자포자 (basidiospore); 버섯 포자; 아스페르길루스 (aspergillus)알터나리아 (alternaria)-페니실린 계열의 알레르기원; 및 클라도스포리움 (cladosporium) 포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미생물 유래의 알레르기원, 예컨대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및
    식품 알레르기원, 예컨대 땅콩, 피칸 및 아몬드와 같은 각과류, 계란, 우유, 조개류, 생선, 밀 및 이들의 유도체, 대두 및 이의 유도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알레르기원이 2종 이상의 알레르기원인 것인,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억제제 또는 면역조절제가 핑골리모드(fingolimod); 2-(1'H-인돌-3'-카보닐)-티아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ITE) 또는 관련 리간드; 트리코스타틴(Trichostatin) A; 수베로일아닐리드 하이드록삼산(Suberoylanilide hydroxamic acid, SAHA); 스타틴; mTOR 억제제; TGF-β 신호전달 제제; TGF-β 수용체 작용제;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억제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미토콘드리아 기능 억제제; NF-κβ 억제제; 아데노신 수용체 작용제; 프로스타글란딘 E2 작용제(PGE2);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 억제제; 프로테아좀 억제제; 키나제 억제제; G-단백질 결합 수용체 작용제; G-단백질 결합 수용체 길항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레티노이드; 사이토카인 억제제; 사이토카인 수용체 억제제; 사이토카인 수용체 활성제;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길항제(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ntagonist);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작용제;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억제제; 칼시뉴린 억제제; 포스파타아제 억제제; PI3 KB 억제제; 자가포식 억제제;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억제제; 프로테아좀 억제제 I(PSI); 산화된 ATP IDO; 비타민 D3; 사이클로스포린;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억제제; 레스베라트롤; 아자티오퓨린(azathiopurine)(Aza); 6-머캅토퓨린(6-MP); 6-티오구아닌(6-TG); FK506; 상글리페린(sanglifehrin) A; 살메테롤(salmeterol); 마이코페놀레이트 모페틸(mycophenolate mofetil, MMF); 아스피린 및 기타 COX 억제제; 니플룸산(niflumic acid); 에스트리올; 트립톨리드(triptolide); OPN-305, OPN-401; 에리토란(Eritoran)(E5564); TAK-242; Cpn10; NI-0101; 1A6; AV411; IRS-954 (DV-1079); IMO-3100; CPG-52363; CPG-52364; OPN-305; ATNC05; NI-0101; IMO-8400; 하이드록시클로로퀸; CU-CPT22; C29; 오르토-바닐린; SSL3 단백질; OPN-305; 5 SsnB; 비잔틴(Vizantin); (+)-N-페네틸노르옥시모르폰(phenethylnoroxymorphone); VB3323; 단당류 3; (+)-날트렉손 및 (+)-날록손; HT52; HTB2; 화합물 4a; CNTO2424; TH1020; INH-ODN; E6446; AT791; CpG ODN 2088; ODN TTAGGG; COV08-0064; 2R9; G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2-아미노퓨린; 암렉사녹스(Amlexanox); Bay11-7082; BX795; CH-223191; 클로로퀸; CLI-095; CU-CPT9a; 사이클로스포린 A; CTY387; 제피티닙(Gefitnib); 글리벤클라미드(Glybenclamide); H-89; H-131; 이소리퀴리티게닌(Isoliquiritigenin); MCC950; MRT67307; OxPAPC; 파테놀리드(Parthenolide); Pepinh-MYD; Pepinh-TRIF; 폴리믹신 B; R406; RU.521; VX-765; YM201636; Z-VAD-FMK; 및 2,3,7,8-테트라클로로-디벤조-p-디옥신(TCDD); 트립타민(TA); 및 6 포르밀인돌로[3,2 b]카바졸(FICZ)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AHR-특이적 리간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4. 알레르기의 치료, 자가면역 질환 발병의 예방 및/또는 자가면역 질환 증상의 완화 방법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상기 질환의 치료, 발병 예방 및/또는 증상 완화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가면역 질환이 알레르기성 천식, 알레르기성 대장염, 동물성 알레르기, 아토피성 알레르기, 건초열, 피부 알레르기, 두드러기, 아토피성 피부염, 아나필락시스, 알레르기성 비염, 약물 또는 의약 알레르기, 습진 (아토피성 피부염), 식품 알레르기, 진균류 알레르기, 곤충 알레르기 (벌레 물림/독 알레르기 포함), 곰팡이 알레르기, 식물 알레르기 및 화분증 중 하나 이상인 것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포유동물 대상체인 것인,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인간 대상체인 것인,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가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된 면역 반응의 억제를 유도하는 것인,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가 IgE 항체 생성의 억제를 유도하는 것인,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가 Th2 면역 반응의 억제를 유도하는 것인,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알레르기가 견과류 알레르기, 생선 알레르기, 밀 알레르기, 우유 알레르기, 땅콩 알레르기, 각과류 알레르기, 조개류 알레르기, 대두 알레르기, 종자 알레르기, 참깨 씨 알레르기 및 계란 알레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알레르기가 땅콩 알레르기인 것인, 방법.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경구 투여용으로 제형화되는 것인, 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당의정, 겔 캡슐, 겔, 에멀젼, 정제, 웨이퍼 캡슐, 하이드로겔, 나노섬유 겔, 전기방사 섬유, 푸드바 (food bar), 과자류, 발효유, 발효치즈, 츄잉껌, 분말 또는 치약인 것인, 방법.
KR1020237013731A 2020-09-23 2021-09-23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202300745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82236P 2020-09-23 2020-09-23
US63/082,236 2020-09-23
PCT/US2021/051628 WO2022066825A1 (en) 2020-09-23 2021-09-23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nd/or preventing autoimmune disord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531A true KR20230074531A (ko) 2023-05-30

Family

ID=80845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731A KR20230074531A (ko) 2020-09-23 2021-09-23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346826A1 (ko)
EP (1) EP4216988A1 (ko)
JP (1) JP2023542978A (ko)
KR (1) KR20230074531A (ko)
CN (1) CN116528898A (ko)
AU (1) AU2021347236A1 (ko)
CA (1) CA3193371A1 (ko)
WO (1) WO20220668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00462B (zh) * 2022-08-18 2023-08-08 杭州市中医院 一种雷公藤甲素-黄精多糖固体分散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37851A2 (en) * 2006-06-29 2009-03-2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oating of devices with effector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93371A1 (en) 2022-03-31
WO2022066825A1 (en) 2022-03-31
CN116528898A (zh) 2023-08-01
EP4216988A1 (en) 2023-08-02
US20230346826A1 (en) 2023-11-02
AU2021347236A1 (en) 2023-05-04
JP2023542978A (ja)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33882A1 (en) Mixed allerg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10071157B2 (en) Method of inducing tolerance to an allergen
US11000556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allergy
CA2884092A1 (en) Inf.alpha.14 combinations for treating autoimmune diseases, inflammatory disorders and allergies
KR20230074531A (ko)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JP2023121755A (ja) アレルギーの処置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Langridge et al. Mucosal vaccination against enteric pathogens in the developing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