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372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372A
KR20230074372A KR1020210160708A KR20210160708A KR20230074372A KR 20230074372 A KR20230074372 A KR 20230074372A KR 1020210160708 A KR1020210160708 A KR 1020210160708A KR 20210160708 A KR20210160708 A KR 20210160708A KR 20230074372 A KR20230074372 A KR 20230074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splay device
refractive
encapsulation layer
d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희
이미화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0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4372A/ko
Priority to US17/875,227 priority patent/US20230165040A1/en
Priority to CN202211253350.XA priority patent/CN116156952A/zh
Publication of KR20230074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비하는 층들 사이에서의 오염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하여,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소자와, 상기 디스플레이소자 상에 배치되고, 염료 및 제1유기물을 포함하는, 봉지층과, 상기 봉지층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소자에 대응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제1굴절층과, 상기 제1굴절층을 덮도록 배치되고, 안료 및 제2유기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굴절층의 굴절률과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 제2굴절층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구비하는 층들 사이에서의 오염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소자의 전극 및 그 밖의 여러 금속 배선들은 외부에서 유입된 빛을 반사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밝은 환경에서 외광 반사로 인해 시인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컬러필터를 디스플레이소자 상부에 배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서 상부에 배치된 층이, 그 층의 하부에 위치한 층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비하는 층들 사이에서의 오염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소자와, 상기 디스플레이소자 상에 배치되고, 염료 및 제1유기물을 포함하는, 봉지층과, 상기 봉지층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소자에 대응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제1굴절층과, 상기 제1굴절층을 덮도록 배치되고, 안료 및 제2유기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굴절층의 굴절률과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 제2굴절층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염료는 상기 제2유기물에 가용성이고, 상기 제2굴절층은 상기 염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염료의 575 nm 초과 605 nm 미만의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흡수율은 상기 염료의 605 nm 내지 650 nm의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흡수율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상기 제2유기물에 불용성일 수 있다.
상기 안료의 380 nm 내지 480 nm의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흡수율은 상기 안료의 605 nm 내지 650 nm의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흡수율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2굴절층은 제1굴절층의 굴절률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을 수 있다.
상기 제2굴절층은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고굴절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굴절층은 상기 제1굴절층의 상기 개구를 채우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봉지층은, 제1무기봉지층, 상기 제1무기봉지층 상에 배치된 유기봉지층 및 상기 유기봉지층을 덮는 제2무기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봉지층은 상기 염료 및 상기 제1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소자와 상기 봉지층 사이에 개재되고, 무기물을 포함하는 저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봉지층과 상기 제1굴절층 사이에 개재되고 감지전극을 포함하는 입력감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굴절층 상부에 배치되고, 보호 필름 및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층은 상기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소자와, 상기 디스플레이소자 상에 배치되고, 염료, 안료 및 제1유기물을 포함하는 봉지층과, 상기 봉지층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소자에 대응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제1굴절층과, 상기 제1굴절층을 덮도록 배치되고, 제2유기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굴절층의 굴절률과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 제2굴절층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염료는 상기 제2유기물에 가용성이고, 상기 제2굴절층은 상기 염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염료의 575 nm 초과 605 nm 미만의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흡수율은 상기 염료의 605 nm 내지 650 nm의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흡수율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상기 제2유기물에 불용성일 수 있다.
상기 안료의 380 nm 내지 480 nm의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흡수율은 상기 안료의 605 nm 내지 650 nm의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흡수율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2굴절층은 제1굴절층의 굴절률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을 수 있다.
상기 제2굴절층은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고굴절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굴절층은 상기 제1굴절층의 상기 개구를 채우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봉지층은, 제1무기봉지층, 상기 제1무기봉지층 상에 배치된 유기봉지층 및 상기 유기봉지층을 덮는 제2무기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봉지층은 상기 염료, 상기 안료 및 상기 제1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소자와 상기 봉지층 사이에 개재되고, 무기물을 포함하는 저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봉지층과 상기 제1굴절층 사이에 개재되고 감지전극을 포함하는 입력감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굴절층 상부에 배치되고, 보호 필름 및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비하는 층들 사이에서의 오염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 추출 효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안료를 포함하는 제2굴절층 및 염료를 포함하는 봉지층 각각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도시한 그래프들이다.
도 8은 비교예의 안료와 염료를 포함하는 제2굴절층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컨대,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은 A이거나, B이거나, A와 B인 경우를 나타낸다. 그리고,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이거나, B이거나, A와 B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영역(DA) 및 디스플레이영역(DA)을 둘러싸는 주변영역(PA)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영역(DA)에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들의 어레이를 통해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각 화소는 소정의 색상의 빛을 방출할 수 있는 영역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소들에서 방출되는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각 화소는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영역(D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영역(DA)은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 보다 큰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거나,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 보다 작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거나,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영역(DA)은 타원 또는 원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주변영역(PA)은 이미지를 제공하지 않는 비표시영역으로서, 디스플레이영역(DA)을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주변영역(PA)에는 화소회로들에 전기적 신호나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드라이버 또는 메인전원라인이 배치될 수 있다. 주변영역(PA)에는 전자소자나 인쇄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인 패드가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로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는 무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또는 무기 EL 디스플레이 장치)이거나, 양자점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가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소자의 발광층은 유기물을 포함하거나 무기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발광층과, 발광층에서 방출되는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한 양자점층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도1의 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기판(100), 디스플레이소자층(200), 저반사층(300), 봉지층(400), 입력감지층(500), 굴절층(700) 및 보호층(800)을 구비할 수 있다.
기판(100)은 글라스, 금속 또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플렉서블 또는 벤더블 특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기판(100)은 예컨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기판(100)은 이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두 개의 층들과 그 층들 사이에 개재된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기판(100) 상에는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를 포함하는 버퍼층(110)이 위치할 수 있다. 버퍼층(110)은 기판(100)의 상면의 평활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버퍼층(110)은 기판(100)으로부터 금속 원자들이나 불순물 등이 그 상부에 위치한 반도체층(210)으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버퍼층(110)은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를 포함하는 단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버퍼층(110) 상에는 디스플레이소자층(200)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소자층(200)은 디스플레이소자(290), 그리고 디스플레이소자(29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디스플레이소자(290)로서 유기발광소자가 버퍼층(110)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유기발광소자가 박막트랜지스터(TFT)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유기발광소자의 화소전극(291)이 박막트랜지스터(TFT)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FT)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비정질실리콘, 다결정실리콘, 산화물반도체물질 또는 유기반도체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층(210), 게이트전극(230), 소스전극(251) 및 드레인전극(252)을 포함한다. 반도체층(210)과 게이트전극(230)과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게이트절연층(220)이 반도체층(210)과 게이트전극(2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아울러 게이트전극(230)의 상부에는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제1층간절연층(24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소스전극(251) 및 드레인전극(252)을 덮도록 제2층간절연층(26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TFT) 상에는 평탄화층(270)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트랜지스터(TFT) 상부에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될 경우, 평탄화층(270)은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상부를 대체로 평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평탄화층(270)은 예컨대 아크릴, BCB(Benzocyclobutene)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 등과 같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평탄화층(270)이 단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층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소자층(200)의 디스플레이영역(DA) 내에 있어서, 평탄화층(270) 상에는 디스플레이소자(290)가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소자(290)는 예컨대 화소전극(291), 대향전극(293) 및 그 사이에 개재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292)을 갖는 유기발광소자일 수 있다.
화소전극(291)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탄화층(270) 등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소스전극(251) 및 드레인전극(252) 중 어느 하나와 컨택하여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화소전극(291)은 ITO, In2O3 또는 IZO 등의 투광성인 도전성 산화물로 형성된 투광성 도전층과, Al 또는 Ag 등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된 반사층을 포함한다. 예컨대 화소전극(291)은 ITO/Ag/ITO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평탄화층(270) 상부에는 화소정의막(28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화소정의막(280)은 각 화소들에 대응하는 제1개구(280OP), 즉 적어도 화소전극(291)의 중앙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제1개구(280OP)를 가짐으로써 화소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화소정의막(280)은 화소전극(291)의 가장자리와 화소전극(291) 상부의 대향전극(293)과의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화소전극(291)의 가장자리에서 아크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화소정의막(280)은 예컨대 폴리이미드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 등과 같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의 중간층(292)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292)이 저분자 물질을 포함할 경우, 중간층(292)은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층(292)이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경우, 중간층(292)은 홀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홀 수송층은 PEDOT을 포함하고, 발광층은 PPV(polyphenylene 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간층(292)은 스크린 인쇄나 잉크젯 인쇄방법, 레이저열전사방법(LITI; Laser induced thermal imaging)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중간층(292)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중간층(292)은 복수개의 화소전극(291)들에 걸쳐서 일체인 층을 포함할 수도 있고, 복수개의 화소전극(291)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패터닝된 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향전극(293)은 디스플레이영역(DA) 상부에 배치되는데, 디스플레이영역(DA)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대향전극(293)은 복수개의 유기발광소자들에 있어서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화소전극(291)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대향전극(293)은 ITO, In2O3 또는 IZO으로 형성된 투광성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Al이나 Ag 등과 같은 금속을 포함하는 반투과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대향전극(293)은 Mg 또는 Ag를 포함하는 반투과막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소자층(200) 상에는 저반사층(300)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반사층(300)은 디스플레이소자층(200)과 봉지층(4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저반사층(300)은 반사율이 낮은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저반사층(300)은 예컨대 이터븀(Yb), 비스무스(Bi), 코발트(Co), 몰리브덴(Mo), 티타늄(Ti), 지르코늄(Zr), 알루미늄(Al), 크롬(Cr), 니오븀(Nb), 백금(Pt), 텅스텐(W), 인듐(In), 주석(Sn), 철(Fe), 니켈(Ni), 탄탈륨(Ta), 망간(Mn), 아연(Zn), 게르마늄(G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저반사층(300)에 포함된 무기물은 흡수 계수가 0.5 이상일 수 있다.
저반사층(30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부로 입사한 광과 저반사층(300)의 하부에 배치된 금속에서 반사되는 광 간의 소멸 간섭을 유도하여, 외광 반사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저반사층(30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광 반사율을 감소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의 디스플레이 품질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저반사층(300) 상에는 봉지층(400)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400)은 디스플레이영역(DA)을 덮으며 디스플레이영역(DA) 외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봉지층(400)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무기봉지층(410), 유기봉지층(420) 및 제2무기봉지층(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무기봉지층(410)은 저반사층(300)을 덮으며,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무기봉지층(410)은 그 하부의 구조물을 따라 형성되기에,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상면이 평탄하지 않게 된다.
유기봉지층(420)은 이러한 제1무기봉지층(410)을 덮는데, 제1무기봉지층(410)과 달리 대략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기봉지층(420)은 디스플레이영역(DA)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상면이 대략 평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봉지층(420)은 제1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유기물은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설포네이트,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릴레이트, 헥사메틸디실록산, 에폭시계 수지 및 아크릴계 수지(예컨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 등)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무기봉지층(430)은 유기봉지층(420)을 덮으며,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무기봉지층(430)은 디스플레이영역(DA) 외측에 위치한 그 가장자리에서 제1무기봉지층(410)과 컨택함으로써, 유기봉지층(4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봉지층(400)은 제1무기봉지층(410), 유기봉지층(420) 및 제2무기봉지층(430)을 포함하는 바, 이와 같은 다층 구조를 통해 봉지층(400) 내에 크랙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제1무기봉지층(410)과 유기봉지층(420) 사이에서 또는 유기봉지층(420)과 제2무기봉지층(430) 사이에서 그러한 크랙이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산소 등이 디스플레이영역(DA)으로 침투하게 되는 경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유기발광소자는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산소 등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기에, 봉지층(400)이 이러한 유기발광소자 및/또는 저반사층(300)을 덮어 이들을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유기봉지층(420)은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봉지층(420)은 외부에서 입사하는 입사광 중 일부를 흡수하거나, 외부로부터의 입사광이 유기봉지층(420) 하부의 구조물들에 의하여 반사된 후 외부로 진행하는 반사광 중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가 위상지연자(retarder) 및/또는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외광 반사를 줄일 수 있다. 염료는 예컨대 금속 포르피린(Metal porphyrin) 화합물, 메틴(Methine) 화합물, 트리아진(Triazine) 화합물, 피로메텐(Pyrromethene) 화합물, 테트라-아자포르피린(Tetra-azaporphyrin) 화합물,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봉지층(420) 포함된 염료는 제1유기물에 가용성이며, 제1유기물에 용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가 B에 가용성"이라는 것은 A 입자들 사이의 인력이, A 입자와 B 입자 사이의 인력 또는 B 입자들 사이의 인력과 같거나 그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A가 B에 용해된다"는 것은, A 입자가 B가 포함하는 물질 내에 확산되어 균일하게 분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염료 입자는 제1유기물 내에 확산되어 제1유기물 내에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다.
한편, 만일 유기봉지층(420)에 접하는 층이 염료가 용해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한다면, 유기봉지층(420)에 포함된 염료는 유기봉지층(420)에 접하는 층으로 이동하여 그 층을 오염시킬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경우, 염료를 포함하는 유기봉지층(420)이 제1무기봉지층(410)과 제2무기봉지층(430)으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유기봉지층(420)에 포함된 염료가 제1무기봉지층(410) 및/또는 제2무기봉지층(430)을 통과하여 다른 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가 구비하는 층들 사이에서의 오염이 방지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화학성이 향상된다.
봉지층(400) 상에는 입력감지층(500)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감지층(500)은 봉지층(400)과 차광층(6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차광층(600) 상에는 제1굴절층(710)이 위치할 수 있다. 입력감지층(500)은 외부의 입력, 예컨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물체의 터치 이벤트에 따른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입력감지층(500)은 감지전극 및/또는 트레이스라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감지층(500)은 뮤추얼 캡 방식 또는 셀프 캡 방식으로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감지층(500)은 감지전극 및/또는 트레이스라인 등을 포함하는 제1도전층(521)과 제2도전층(522)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400)과 제1도전층(521) 사이에는 제1터치절연층(510)이 배치될 수 있고, 제1도전층(521)과 제2도전층(522) 사이에는 제2터치절연층(5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도전층(521)과 제2도전층(522)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단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도전성 물질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구리(Cu) 또는 티타늄(T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도전층(521)과 제2도전층(522)은 Ti/Al/Ti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터치절연층(510)과 제2터치절연층(530)은 무기절연물 및/또는 유기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절연물은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절연물은 아크릴계 또는 이미드계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감지층(500)상에는 차광층(600)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광층(600)은 제2도전층(522)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차광층(600)은 디스플레이소자(290)의 발광영역(EA)에 대응하는 제2개구(600OP)를 구비할 수 있다. 차광층(600)은 복수의 제2개구(600OP)들이 구비되어 격자 형상 또는 매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차광층(600)의 제2개구(600OP)의 폭은 화소정의막(280)의 제1개구(280OP)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차광층(600)의 제2개구(600OP)의 형상은 화소정의막(280)의 제1개구(280OP)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차광층(600)은 광차단 물질을 포함하며, 블랙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광차단 물질은 카본 블랙, 탄소나노튜브, 블랙 염료를 포함하는 수지 또는 페이스트, 금속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입자는 예컨대, 니켈, 알루미늄, 몰리브데늄 및/또는 그의 합금일 수 있다. 또한, 광차단 물질은 크롬 산화물과 같은 금속 산화물 입자 또는 크롬 질화물과 같은 금속 질화물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차광층(600)이 광차단 물질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차광층(600)의 하부에 배치된 금속 구조물들에 의한 외광 반사를 줄일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차광층(600)은 그 하부에 배치된 화소정의막(28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광층(600)은 화소정의막(280)과 상이한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소자(290) 상부, 예컨대, 입력감지층(500) 상부에는 굴절층(700)이 배치될 수 있다. 굴절층(700)은 디스플레이소자(290)의 발광층에서 방출되는 광의 경로를 조절하며, 집광렌즈 역할을 할 수 있다. 굴절층(700)은 디스플레이소자(290)의 발광층에서 방출되는 광 중 측방향(예컨대, +z방향 외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대략 기판(100)에 수직인 방향(+z방향)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굴절층(700)은 제1굴절층(710) 및 제2굴절층(7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굴절층(710)은 차광층(6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굴절층(710)은 차광층(600)의 제2개구(600OP)에 대응하는 제3개구(710OP)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굴절층(710)의 제3개구(710OP)는 디스플레이소자(290)의 발광영역(EA)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제1굴절층(710)은 복수의 제3개구(710OP)들을 포함함으로써 격자 형상 또는 매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굴절층(710)의 제3개구(710OP)의 폭은 화소정의막(280)의 제1개구(280OP)의 폭보다 크고 차광층(600)의 제2개구(600OP)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제1굴절층(710)의 제3개구(710OP)의 형상은 화소정의막(280)의 제1개구(280OP)의 형상 및 차광층(600)의 제2개구(600OP)와 동일할 수 있다.
제1굴절층(710)은 저굴절률을 갖는 광 투과성 무기물 또는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기물은 실리콘옥사이드, 플루오르화마그네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물은 아크릴(acrylic),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미드(polyamide) 및 Alq3[Tris(8-hydroxyquinolinato)aluminium]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굴절층(710)의 제1 굴절률은 1.6 미만일 수 있다. 예컨대 제1굴절률은 1.3 초과 1.6 미만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굴절층(720)은 제1굴절층(710)의 제3개구(710OP)를 채우며 제1굴절층(7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굴절층(720)은 제1굴절층(710)을 덮을 수 있다. 제2굴절층(720)은 기판(100) 상부의 전면을 커버하고, 상부면은 대략 평탄할 수 있다.
제2굴절층(720)은 제2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유기물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설포네이트,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릴레이트, 헥사메틸디실록산, 에폭시계 수지 및 아크릴계 수지(예컨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 등)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유기물에는 유기봉지층(420)이 포함하는 전술한 염료가 가용성일 수 있다. 즉 염료 입자는 제2유기물 내에 확산되어 제2유기물 내에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경우, 제2굴절층(720)은 염료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굴절층(720)에 접하는 층이 염료가 용해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더라도, 염료는 제2굴절층(720)에 접하는 층으로 이동하여 그 층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가 구비하는 층들 사이에서의 오염이 방지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화학성이 향상된다.
제2굴절층(720)은 제2유기물 내에 분산된 복수의 고굴절입자(7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입자(730)는 금속산화물 예컨대 지르코늄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티타늄옥사이드, 나이오븀옥사이드, 탄탈옥사이드, 틴옥사이드, 니켈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인듐나이트라이드, 갈륨나이트라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입자(730)는 구형 또는 무정형으로 제2굴절층(720) 내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고굴절입자(730)들이 구형으로 제2굴절층(720) 내에 분산되어 있을 경우, 고굴절입자(730)들의 평균 직경은 5 nm 내지 30 nm일 수 있다.
제2굴절층(720)은 고굴절입자(730)들을 포함하므로, 제2굴절층(720)은 제1굴절층(710)의 제1굴절률보다 높은 제2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제2굴절층(720)의 제2굴절률은 1.6 초과일 수 있다. 제2굴절률은 예컨대 1.6 초과 2.0 미만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굴절층(720)은 안료(900)를 포함할 수 있다. 안료(900)는 예컨대 피그먼트 레드 177(C.I Pigment red 177), 피그먼트 그린 7(C.I Pigment Green 7), 피그먼트 그린 59(C.I Pigment Green 59), 피그먼트 옐로우 185(C.I Pigment Yellow 185) 및/또는 피그먼트 블루 15:6(C.I Pigment Blue 15:6)를 포함할 수 있다. 안료(900)는 제2유기물에 불용성이며, 제2유기질에 고르게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가 B에 불용성"이라는 것은 A 입자들 사이의 인력이, A 입자와 B 입자 사이의 인력 또는 B 입자들 사이의 인력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A가 B에 고르게 분산된다"는 것은 특정한 범위의 크기를 가진 A 미립자가 분산매인 B에 뭉침 없이 혼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안료(900)는 제2유기물에 용해되지 않고, 제2유기물에 미세한 입자의 형태로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세한 입자의 형태로 존재하는 안료(900)는 제2굴절층(720)에 분산되어 고굴절입자(730)와 유사한 효과를 발생시킨다. 즉 안료(900)는 제2굴절층(720)의 제2굴절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안료(900)는 제2유기물에 용해되지 않으므로, 안료(900)는 제2굴절층(720) 내에서 확산 또는 이동이 용이하지 않다. 나아가, 제2굴절층(720)에 포함된 안료(900)는 제2굴절층(720)에 접하는 층으로 이동하여 그 층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가 구비하는 층들 사이에서의 오염이 방지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화학성이 향상된다.
제2굴절층(720) 상에는 보호층(800)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800)은 보호 필름과 접착 물질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필름은 플라스틱 필름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물질은 예컨대, 실리콘 계열 접착 물질 또는 우레탄 계열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층(800)에 포함된 보호필름 및/또는 접착 물질에는 전술한 염료가 가용성일 수 있다. 즉, 만일 염료 입자를 포함하는 층이 보호층(800)에 접촉한다면, 염료 입자가 보호층(800)에 포함된 보호필름 및/또는 접착 물질 내로 이동하여 보호필름 및/또는 접착 물질을 오염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보호층(800)과 접하는 제2굴절층(720)이 염료를 포함하는 경우, 염료는 보호층(800)으로 이동하여 보호층(800)을 오염시킬 수 있으며, 보호층(800)과 화학적으로 반응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경우, 염료는 유기봉지층(420) 내에 위치하고, 제2굴절층(720)은 염료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굴절층(720)과 접하는 보호층(800)이 염료가 용해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더라도, 염료는 보호층(800)으로 이동하여 그 층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가 구비하는 층들 사이에서의 오염이 방지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화학성이 향상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광 추출 효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개구(710OP) 저면의 폭은 제1개구(280OP) 저면의 폭보다 크고, 제2개구(600OP) 저면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폭은 저면의 최대폭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소자(290)로부터 방출된 광은 제1굴절층(710)의 측면을 향해 비스듬히 입사하는 광(L1)과 제2굴절층(720)을 통과하며 방향 변경 없이 대략 기판(100)에 수직인 방향(+z방향)으로 추출되는 광(L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제1굴절층(710)의 경사진 측면을 향해 입사하는 광(L1)은 제1굴절층(710)과 제2굴절층(720)의 계면에서 전반사되어 광 경로가 변경되고, 전반사된 광(L2)은 대략 기판(100)에 수직인 방향(+z방향)으로 추출될 수 있다. 즉, 제1굴절률을 가지는 제1굴절층(710)과 제1굴절률보다 큰 제2굴절률을 가지는 제2굴절층(720)의 계면에서의 전반사에 의해 전방의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되어 정면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유기봉지층(420)이 염료를 포함하고 제2굴절층(720)이 안료(9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인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기봉지층(420)은 안료(900)의 일부와 염료를 포함하고, 제2굴절층(720)은 안료(900)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염료를 포함하는 유기봉지층(420)이 제1무기봉지층(410)과 제2무기봉지층(430)으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유기봉지층(420)에 포함된 염료가 제1무기봉지층(410) 및/또는 제2무기봉지층(430)을 통과하여 다른 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가 구비하는 층들 사이에서의 오염이 방지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화학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2굴절층(720)에 포함된 안료(900)의 일부는 제2굴절층(720)의 굴절률을 높인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굴절층(720)이 모든 안료(900)를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 경우에는 제2굴절층(720)의 굴절률이 낮을 수 있다.
한편, 안료(900)의 일부는 유기봉지층(420)에 포함되므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굴절층(720)이 모든 안료(900)를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외광 반사율을 갖는다. 즉 유기봉지층(420) 및 제2굴절층(720) 각각에 포함되는 안료(900)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2굴절층(720)이 모든 안료(900)를 포함하는 경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외광 반사율을 가지며, 제2굴절층(720)의 굴절률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인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기봉지층(420)이 안료(900)와 염료를 모두 포함하며, 제2굴절층(720)은 안료(900)와 염료를 모두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염료를 포함하는 유기봉지층(420)이 제1무기봉지층(410)과 제2무기봉지층(430)으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유기봉지층(420)에 포함된 염료가 제1무기봉지층(410) 및/또는 제2무기봉지층(430)을 통과하여 다른 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염료는 유기봉지층(420) 내에 위치하고, 제2굴절층(720)은 염료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굴절층(720)과 접하는 보호층(800)이 염료가 용해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더라도, 염료는 보호층(800)으로 이동하여 그 층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가 구비하는 층들 사이에서의 오염이 방지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화학성이 향상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염료를 포함하는 유기봉지층(420)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유기봉지층(420)은 염료로서 FDB-002(상품명, 야마다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와 NEC-594(상품명, 욱성화학 제품)를 포함하는 경우의 투과율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전술한 것과 같은 염료를 포함하는 유기봉지층(420)은, 디스플레이소자(290)가 방출하는 빛의 주된 파장 범위에 속하지 않는 파장대역 중 적어도 일부의 파장대역에 속하는 광을 흡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소자(290)는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소자(290)가 방출하는 청색광의 파장대역은 약 430 nm 내지 480 nm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소자(290)가 방출하는 녹색광의 파장대역은 약 510 nm 내지 575 nm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소자(290)가 방출하는 적색광의 파장대역은 약 605 nm 내지 650 nm일 수 있다. 따라서, 유기봉지층(420)은 약 430 nm 미만의 제1파장대역, 약 480 nm 초과 510 nm 미만의 제2파장대역, 약 575 nm 초과 605 nm 미만의 제3파장대역 및 650 nm 초과의 제4파장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파장대역의 광을 흡수할 수 있다. 예컨대, 유기봉지층(420)에 포함된 염료의 575 nm 초과 605 nm 미만의 제3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흡수율은 유기봉지층(420)에 포함된 염료의 605 nm 내지 650 nm의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흡수율보다 높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해, 유기봉지층(620)은 제1파장대역의 광을 흡수하는 제1염료, 제2파장대역의 광을 흡수하는 제2염료, 제3파장대역의 광을 흡수하는 제3염료 및 제4파장대역의 광을 흡수하는 제4염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염료는 금속 포르피린(Metal porphyrin) 화합물, 메틴(Methine) 화합물, 트리아진(Triazine)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제2염료는 피로메텐(Pyrromethene) 화합물일 수 있다. 제3염료는 테트라-아자포르피린(Tetra-azaporphyrin) 화합물일 수 있으며, 제4 염료는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화합물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유기봉지층(420)에 포함된 FDB-002(상품명, 야마다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는 제1염료이며,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유기봉지층(420)에 포함된 NEC-594(상품명, 욱성화학 제품)은 제3염료이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기봉지층(420)은 약 430 nm 미만의 제1파장대역과 약 575 nm 초과 605 nm 미만의 제3파장대역 의 광을 흡수한다.
유기봉지층(420)이 제1염료, 제2염료, 제3염료 및 제4염료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현되는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만일 유기봉지층(420)이 포함하는 염료가 약 430 nm 미만의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외광만을 흡수한다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사하여 반사되는 반사광 있어서 약 575 nm 초과 605 nm 미만의 제3파장대역에 속하는 광의 광량이 약 430 nm 미만의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광의 광량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광이 상대적으로 적색을 나타내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고, 이는 결국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현되는 이미지가 전체적으로 적색을 띄는 것으로 인식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유기봉지층(420)이 제1염료, 제2염료, 제3염료 및 제4염료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현되는 이미지의 품질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안료를 포함하는 제2굴절층(720)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그래프는 제2굴절층(720)이 안료(900)로서 피그먼트 옐로우 185(C.I Pigment Yellow 185)를 포함하는 경우의 투과율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2굴절층(720)은 380 nm 내지 480 nm 파장 영역에서의 광을 흡수한다. 예컨대, 제2굴절층(720)에 포함된 안료(900)의 380 nm 내지 480 nm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흡수율은 제2굴절층(720)에 포함된 안료(900)의 605 nm 내지 650 nm의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흡수율보다 높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염료를 포함하는 유기봉지층(42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안료(900)를 포함하는 제2굴절층(720)을 포함함으로써, 염료와 안료(900)를 포함하는 제2굴절층(72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외광 반사율을 갖는다.
도 8은 제2굴절층(720)이 염료와 안료를 모두 포함하는 비교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2굴절층(720)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의 그래프는 염료와 안료를 모두 포함하는 제2굴절층(720)이 염료로서 FDB-002(상품명, 야마다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와 NEC-594(상품명, 욱성화학 제품)를 포함하고, 안료(900)로서 피그먼트 옐로우 185(C.I Pigment Yellow 185)를 포함하는 경우의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비교예의 제2굴절층(720)은 350 nm 내지 430 nm의 제1 파장 영역과 575 nm 내지 605 nm의 제3 파장 영역의 광을 흡수한다. 도 6과 도 8의 그래프들을 비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유기봉지층(420)과 비교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굴절층(720)은 380 nm 내지 480 nm 파장 영역의 광 흡수율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2굴절층(720)이 380 nm 내지 480 nm 파장 영역의 광을 흡수하므로, 염료를 포함하는 유기봉지층과 안료를 포함하는 제2굴절층을 구비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380 nm 내지 480 nm 파장 영역의 광 흡수율은, 비교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380 nm 내지 480 nm 파장 영역의 광 흡수율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된다. 따라서, 염료를 포함하는 유기봉지층과 안료를 포함하는 제2굴절층을 구비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2굴절층(720)이 염료와 안료를 모두 포함하는 비교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외광 반사율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0: 기판
290: 디스플레이소자
300: 저반사층
400: 봉지층
410: 제1무기봉지층
420: 유기봉지층
430: 제2무기봉지층
500: 입력감지층
710: 제1굴절층
720: 제2굴절층
730: 고굴절입자
800: 보호층
900: 안료

Claims (25)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소자;
    상기 디스플레이소자 상에 배치되고, 염료 및 제1유기물을 포함하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소자에 대응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제1굴절층; 및
    상기 제1굴절층을 덮도록 배치되고, 안료 및 제2유기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굴절층의 굴절률과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 제2굴절층;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상기 제2유기물에 가용성이고,
    상기 제2굴절층은 상기 염료를 포함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의 575 nm 초과 605 nm 미만의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흡수율은 상기 염료의 605 nm 내지 650 nm의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흡수율보다 높은,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상기 제2유기물에 불용성인,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의 380 nm 내지 480 nm의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흡수율은 상기 안료의 605 nm 내지 650 nm의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흡수율보다 높은,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굴절층은 제1굴절층의 굴절률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굴절층은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고굴절입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굴절층은 상기 제1굴절층의 상기 개구를 채우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층은, 제1무기봉지층, 상기 제1무기봉지층 상에 배치된 유기봉지층 및 상기 유기봉지층을 덮는 제2무기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봉지층은 상기 염료 및 상기 제1유기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소자와 상기 봉지층 사이에 개재되고, 무기물을 포함하는 저반사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층과 상기 제1굴절층 사이에 개재되고 감지전극을 포함하는 입력감지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굴절층 상부에 배치되고, 보호 필름 및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층은 상기 안료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소자;
    상기 디스플레이소자 상에 배치되고, 염료, 안료 및 제1유기물을 포함하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소자에 대응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제1굴절층; 및
    상기 제1굴절층을 덮도록 배치되고, 제2유기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굴절층의 굴절률과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 제2굴절층;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상기 제2유기물에 가용성이고,
    상기 제2굴절층은 상기 염료를 포함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의 575 nm 초과 605 nm 미만의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흡수율은 상기 염료의 605 nm 내지 650 nm의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흡수율보다 높은,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상기 제2유기물에 불용성인,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의 380 nm 내지 480 nm의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흡수율은 상기 안료의 605 nm 내지 650 nm의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흡수율보다 높은,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굴절층은 제1굴절층의 굴절률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굴절층은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고굴절입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굴절층은 상기 제1굴절층의 상기 개구를 채우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층은, 제1무기봉지층, 상기 제1무기봉지층 상에 배치된 유기봉지층 및 상기 유기봉지층을 덮는 제2무기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봉지층은 상기 염료, 상기 안료 및 상기 제1유기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소자와 상기 봉지층 사이에 개재되고, 무기물을 포함하는 저반사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층과 상기 제1굴절층 사이에 개재되고 감지전극을 포함하는 입력감지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굴절층 상부에 배치되고, 보호 필름 및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160708A 2021-11-19 2021-11-19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7437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708A KR20230074372A (ko) 2021-11-19 2021-11-19 디스플레이 장치
US17/875,227 US20230165040A1 (en) 2021-11-19 2022-07-27 Display apparatus
CN202211253350.XA CN116156952A (zh) 2021-11-19 2022-10-13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708A KR20230074372A (ko) 2021-11-19 2021-11-19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372A true KR20230074372A (ko) 2023-05-30

Family

ID=86372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708A KR20230074372A (ko) 2021-11-19 2021-11-19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65040A1 (ko)
KR (1) KR20230074372A (ko)
CN (1) CN116156952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65040A1 (en) 2023-05-25
CN116156952A (zh)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1404B2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light transmitting region of non-through-hole structure
KR102632619B1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11322554B2 (en) Display apparatus
KR20210032599A (ko) 표시 장치
KR20220129139A (ko) 표시 장치
KR20190081475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3871421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20230112955A1 (en) Display apparatus
US20230105374A1 (en) Display apparatus
CN216250734U (zh) 显示面板和包括显示面板的电子设备
KR20230074372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943988B2 (en) Color filter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12542491A (zh) 显示装置
US20230200124A1 (en) Display apparatus
CN219288075U (zh) 显示设备
US20220246881A1 (en) Display apparatus
CN217485446U (zh) 显示面板
US2023038936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30171989A1 (en) Display apparatus
US2024012044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3001611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49740A (ko) 표시 장치
KR20240068922A (ko) 표시 장치
KR20240053733A (ko) 표시 장치
KR20220125903A (ko) 디스플레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