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755A - Composite filter and water purifier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Composite filter and water purifier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3755A
KR20230073755A KR1020210160466A KR20210160466A KR20230073755A KR 20230073755 A KR20230073755 A KR 20230073755A KR 1020210160466 A KR1020210160466 A KR 1020210160466A KR 20210160466 A KR20210160466 A KR 20210160466A KR 20230073755 A KR20230073755 A KR 20230073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purified water
washing
composit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4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태훈
윤성한
유근상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0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3755A/en
Priority to PCT/KR2022/010715 priority patent/WO2023085548A1/en
Publication of KR20230073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75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filter and a water purifier compri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mposite filter with improved manufacturability and a water purifier compri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by forming the composite filter by integrating filter members as it is possible to not only receive raw water and purified water but also discharge washing water. A head member of a housing unit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partition walls to form an independent flow path in which the raw water, purified water, and washing water do not mix such that a passage through which the raw water, purified water, and washing water flow are concentrated in an upper part of the composite filter to improve the freedom of layout design of other parts. A filtering unit comprises a first filter member and a second filter member disposed in a stacked structure by using a first body member, a first upper cap member, a second upper cap member, a first lower cap member, and a third upper cap member such that the composite filter can be manufactured by using the previously manufactured first filter member.

Description

복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COMPOSITE FILTER AND WATER PURIFIER WITH THE SAME} Complex filter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COMPOSITE FILTER AND WATER PURIFIE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원수 입수, 정수 출수뿐만 아니라 세척수 배출이 가능함에 따라 필터 부재들을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하우징부의 헤드 부재에는 원수, 정수 및 세척수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 및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됨으로써 원수, 정수 및 세척수가 흐르는 통로가 복합 필터의 상부에 집중되어 다른 부분의 레이아웃 설계 자유도를 제고할 수 있고, 여과부는 제1 바디 부재, 제1 어퍼캡 부재, 제2 어퍼캡 부재, 제1 로워캡 부재 및 제3 어퍼캡 부재를 이용하여 제1 필터 부재와 제2 필터 부재가 적층 구조로 배치됨으로써 기 제조된 제1 필터 부재를 활용해서 복합 필터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작성이 향상된 복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filter and a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and as raw water intake, purified water output and washing water discharge are possible,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by configuring a composite filter by integrating filter members, and the head member of the housing unit has raw water , Since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 walls are provided to form independent passages in which purified water and washing water do not mix, the passage through which raw water, purified water and washing water flows is concentr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mplex filter, thereby improving the layout design freedom of other parts. , The filtering unit is formed by arranging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in a laminated structure using the first body member, the first upper cap member, the second upper cap member, the first lower cap member, and the third upper cap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filter having improved manufacturability by being configured to manufacture a composite filter by utilizing a manufactured first filter member, and a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입수된 원수를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는 정수로 여과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원수 여과를 위해 여러 개의 필터를 조합해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각각의 필터를 조합해서 사용할 경우 정수기 내부의 레이아웃이 복잡해지고, 내부에서 필터가 차지하게 되는 부피가 증가하게 되어 정수기 전체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고자 각각의 필터가 일체화된 복합 필터가 사용되기도 한다. In general, a water purifier is a device that filters obtained raw water into purified water that a user can drink and provides to the user. These water purifiers are used by combining several filters for raw water filtration. When each filter is used in combination, the internal layout of the water purifier becomes complicated and the volume occupied by the filter inside increases, so that the entire water purifier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increase in volume.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omposite filter in which each filter is integrated is sometimes used.

엘지전자 주식회사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4919호에 개시된 정수장치에는 복합필터가 구비된다. 이러한 복합 필터에는 제1 필터부와 제2 필터부가 구비되고, 이러한 각각의 필터부는 활성탄 필터, 침전 필터, 세라믹 필터, 한외여과 필터 등 공지의 필터 중에서 선택된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 필터는 원수 입수와 정수 출수가 필터 하우징의 상측과 하측으로 분리되어 있어 정수기 내부의 레이아웃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복합 필터에는 필터를 세척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복합 필터의 교체 주기가 빨라지는 문제가 있다. A water purifying devic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54919 of LG Electronics Co., Ltd. includes a composite filter. The composite filter includes a first filter unit and a second filter unit, and each filter unit is selected from known filters such as an activated carbon filter, a sediment filter, a ceramic filter, and an ultrafiltration filter. However, such a complex filter has a problem in that raw water input and purified water output are separat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filter housing, complicating the internal layout of the water purifier. In addition, since the composite filter is not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for washing the filt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composite filter is accelerated.

코웨이 주식회사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7664호에는 정수필터를 개시된다. 이러한 정수필터에는 부직포 복합체층을 포함한 제1여과부재와 입상활성탄을 포함한 카본여과부가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 필터에는 필터를 세척하는 세척수가 흐르는 유로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복합 필터의 교체 주기가 빨라져 정수기의 운용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67664 of Coway Co., Ltd. discloses a water filter. Such a water filter includes a first filtering member including a nonwoven fabric composite layer and a carbon filtering unit including granular activated carbon. However, since the composite filter does not have a flow path through which washing water flow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composite filter is shortened and thus the operating cost of the water purifier increases.

코웨이 주식회사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3123호에 개시된 정수기에는 역세척이 가능한 정수필터가 구비된다. 이러한 정수기는 여과부에 존재하는 잔류수와 여과부에 연결된 세척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척수를 사용하여 정수필터를 세척하는 역세척부가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역세척부는 정수필터와 별도로 구비되어 정수기 전체의 크기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The water purifier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33123 of Coway Co., Ltd. includes a water filter capable of backwashing. Such a water purifier discloses a backwashing unit for washing a water filter using residual water present in the filtering unit and washing water stored in a washing water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filtering unit.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entire water purifier is increased because the backwash unit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water filter.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491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54919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766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67664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312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33123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는 원수 입수, 정수 출수뿐만 아니라 세척수 배출이 가능함에 따라 필터 부재들을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하우징부의 헤드 부재에는 원수, 정수 및 세척수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 및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됨으로써 원수, 정수 및 세척수가 흐르는 통로가 복합 필터의 상부에 집중되어 다른 부분의 레이아웃 설계 자유도를 제고할 수 있고, 여과부는 제1 바디 부재, 제1 어퍼캡 부재, 제2 어퍼캡 부재, 제1 로워캡 부재 및 제3 어퍼캡 부재를 이용하여 제1 필터 부재와 제2 필터 부재가 적층 구조로 배치됨으로써 기 제조된 제1 필터 부재를 활용해서 복합 필터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작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discharging washing water as well as raw water intake and purified water, so that the filter members are integrated to form a composite filter,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the housing part The head member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partition walls so that independent passages in which raw water, purified water, and washing water do not mix are formed, so that the passage through which raw water, purified water, and washing water flows is concentr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mposite filter, thereby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in layout design of other parts.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are laminated using the first body member, the first upper cap member, the second upper cap member, the first lower cap member, and the third upper cap memb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manufacturability by configuring a composite filter to be manufactured by utilizing a pre-manufactured first filter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여과부에는 제2 필터 부재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2 로워캡 부재가 구비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며, 제1 정수가 제2 필터 부재로 이동되는 유로가 형성되어 최종 출수되는 제2 정수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복합 필터의 제작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ration unit is provided with a second lower cap member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ilter member to improve structural stability, and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irst purified water moves to the second filter memb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manufacturability of a composite filter by allowing the second purified water to be finally discharged to be moved upwar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원수가 제1 상향 가이드를 통해 제1 필터 부재로 유입되므로, 복합 필터의 상부에 원수, 정수 및 세척수가 흐르는 통로가 집중되면서도 원수가 정수 또는 세척수와 혼합되지 않게 되어 복합 필터의 작동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raw water flows into the first filter member through the first upward guide, the passage through which raw water, purified water, and washing water flows are concentr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mposite filter, and the raw water is mixed with purified water or washing water. The purpose is to improve the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by not mix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제1 필터 부재를 경유한 세척수가 제2 상향 가이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세척수의 배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복합 필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memb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upward guide,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stably and the operation st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is improved. to b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제1 필터 부재를 경유한 제1 정수가 제1 로워캡 가이드를 통해 제2 필터 부재의 하측으로 이동되므로, 제1 필터 부재와 제2 필터 부재가 적층 구조를 가지더라도 제1 정수가 제2 필터 부재에 원활하게 이동되어 복합 필터의 작동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member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ilter member through the first lower cap guide,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by smoothly moving the first purified water to the second filter member even if it has a laminated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제3 어퍼캡 부재의 어퍼캡 가이드가 제2 필터 부재와 결합됨에 따라, 제2 정수가 제1 필터 부재와 제2 필터 부재 사이에서 이동되는 통로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므로, 복합 필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upper cap guide of the third upper cap member is coupled to the second filter member,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second purified water moves between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is formed. Since it is stably secured, the purpose is to improve the operation st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제1 필터 부재의 측면에는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되고, 제1 필터 부재를 세척한 세척수가 복수의 배출홀을 통해 제1 필터 부재와 제1 바디 부재 사이에 형성된 제1 배출 통로를 경유하여 세척수 배출 포트로 이동됨으로써, 세척수가 원수 또는 정수와 혼합되지 않고 독립적인 유로를 통해 이동되어 정수의 수질 향상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and washing water washing the first filter member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to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first body. By moving to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via the first discharge passage formed between the members, the washing water is moved through an independent flow path without being mixed with raw water or purified water, thereby improving user satisfaction by improving the quality of purified wa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제1 어퍼캡 부재와 제1 필터 부재 사이에는 세척수가 제1 필터 부재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오링이 형성되므로, 세척수를 안정적으로 외부로 배출하게 되어 제1 필터 부재의 사용 기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first O-ring is formed between the first upper cap member and the first filter member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re-introducing into the first filter member, the washing water is stably supplied to the outside. It is intended to increase the period of use of the first filter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제2 어퍼캡 부재와 제1 바디 부재 사이에는 세척수가 제2 정수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오링이 형성되므로, 복합 필터의 작동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O-ring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upper cap member and the first body member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being mixed with the second purified water,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aims to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제1 필터 부재와 제1 로워캡 부재 사이에는 세척수가 제2 필터 부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 오링이 형성되므로, 세척수가 제1 정수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수의 품질의 확보를 통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 O-ring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first lower cap member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flowing into the second filter member,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equal to the first purified water. Its purpose is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by preventing mixing and securing the quality of purified wa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제1 바디 부재와 제1 로워캡 부재 사이에는 세척수가 제2 정수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4 오링이 형성되므로, 복합 필터의 작동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urth O-ring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member and the first lower cap member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being mixed with the second purified water,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aims to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제2 바디 부재와 제3 어퍼캡 부재 사이에는 제2 정수가 제2 필터 부재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5 오링이 형성되므로, 제2 정수가 원활하게 상부로 이동되어 복합 필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fifth O-ring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body member and the third upper cap member to prevent the second purified water from re-introducing into the second filter member, the second purified water The purpose is to smoothly move to the top to improve the operational st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제1 어퍼캡 부재와 제1 바디 부재 사이에는 제1 스페이서가 형성되므로, 세척수가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 사이를 통해 상부로 원활하게 이동되어 복합 필터의 작동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space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upper cap member and the first body member, the washing water flows upward smoothly between the first upper cap member and the second upper cap member. It is moved to improve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제2 어퍼캡 부재와 케이스 부재 사이에는 제2 스페이서가 형성되므로, 정수가 제2 어퍼캡 부재와 케이스 부재 사이에서 원활하게 이동되어 복합 필터의 작동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spacer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upper cap member and the case member, purified water is smoothly moved between the second upper cap member and the case member, thereby ensuring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is aimed at improv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원수와 세척수가 복합 필터에 선택적으로 공급됨으로써, 최종 출수되는 정수와 세척수가 혼합되지 않으면서도 세척수의 의해 복합 필터를 세척하게 되므로, 복합 필터의 제품 수명을 증가시켜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w water and washing water ar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composite filter, so that the composite filter is washed by the washing water without mixing the purified water finally discharged with the washing water, so that the product life of the composite filter is increased. It aims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세척 모듈이 원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원수를 세척수로 이용함으로써, 세척 모듈에 세척수로 이용하기 위한 별도의 유체 공급이 필요 없게 되므로, 정수기의 제작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shing module uses raw water supplied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as washing water, a separate fluid supply for use as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module is not required, thereby improving the manufacturability of the water purifier. aims t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세척 모듈이 정수를 세척수로 이용함으로써, 복합 필터의 세척 효율이 개선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composite filter by using purified water as washing water in the cleaning modu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는, 원수가 입수되는 원수 입수 포트, 여과된 정수가 출수되는 정수 출수 포트 및 세척수가 배출되는 세척수 배출 포트가 구비된 하우징부; 및 상기 원수를 여과해서 제1 정수를 생성하는 제1 필터 부재와, 상기 제1 정수를 여과해서 제2 정수를 생성하되, 상기 제1 필터 부재의 하부에 적층 배치되는 제2 필터 부재가 구비되는 여과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원수와 상기 세척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구획 벽체와, 상기 정수와 상기 세척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되는 헤드 부재; 및 상기 헤드 부재로부터 연장되고, 그 내부에 상기 여과부가 배치되는 케이스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는, 상기 제1 필터 부재를 둘러싸는 제1 바디 부재; 상기 제1 필터 부재가 하측에 배치되는 제1 어퍼캡 부재; 상기 제1 어퍼캡 부재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디 부재가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어퍼캡 부재; 상기 제1 필터 부재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필터 부재를 관통하는 제1 로워캡 부재; 상기 제2 필터 부재를 둘러싸는 제2 바디 부재; 및 상기 제2 필터 부재가 하측에 배치되는 제3 어퍼캡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raw water intake port through which raw water is obtained, a purified water outlet port through which filtered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and a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washing water is discharged; and a first filter member filtering the raw water to generate first purified water, and filtering the first purified water to generate second purified water, wherein the second filter member is stacked and disposed below the first filter member. filter unit; The housing unit includes: a head member having a first partition wall for preventing mixing of the raw water and the washing water and a second partition wall for preventing mixing of the purified water and the washing water; and a case member extending from the head member and having the filtering unit disposed therein. It includes, wherein the filtering unit, a first body member surrounding the first filter member; a first upper cap member on which the first filter member is disposed below; a second upper cap member in which the first upper cap member is disposed on a lower side and the first body member is disposed on a lower side; a first lower cap member on which the first filter member is disposed above and penetrating the second filter member; a second body member surrounding the second filter member; and a third upper cap member on which the second filter member is disposed below.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제2 필터 부재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2 로워캡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lower cap member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second filter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워캡 부재는, 상기 제2 필터 부재와 결합되도록 상향 연장 배치된 제2 로워캡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lower cap member includes a second lower cap guide extending upward to be coupled with the second filter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는 상기 원수가 상기 제2 필터 부재로 유입되도록 상향 연장 배치된 제1 상향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upper cap member includes a first upward guide extending upward so that the raw water flows into the second filter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퍼캡 부재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제1 필터 부재로부터 배출되도록 상향 연장 배치된 제2 상향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upper cap member may include a second upward guide extending upward to allow the washing water to be discharged from the first filter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워캡 부재는 상기 제2 필터 부재를 관통하도록 하향 연장 배치된 제1 로워캡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ower cap member includes a first lower cap guide extending downward to pass through the second filter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3 어퍼캡 부재는 상기 제2 필터 부재와 결합되도록 하향 연장 배치된 어퍼캡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upper cap member includes an upper cap guide extending downward to be coupled with the second filter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는 상기 제1 필터 부재를 세척한 후, 상기 제1 필터 부재와 상기 제1 바디 부재 사이에 형성된 제1 배출 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세척수 배출 포트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washing the first filter member, the washing water passes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assage formed between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first body member to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It is characterized by moving t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 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제1 배출 통로와 연통되는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필터 부재를 세척한 세척수는 상기 복수의 배출홀을 통해 상기 제1 배출 통로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ischarge passage ar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washing water washing the first filter member i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to the first discharge passage through the ho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와 상기 제2 어퍼캡 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1 배출 통로와 연통되는 제2 배출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출 통로는 상기 세척수 배출 포트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discharge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ischarge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upper cap member and the second upper cap member, and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first discharge pass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municates with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와 상기 제1 필터 부재 사이에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제1 필터 부재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오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O-ring is formed between the first upper cap member and the first filter member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re-introducing into the first filter member. to b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퍼캡 부재와 상기 제1 바디 부재 사이에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제2 정수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오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O-ring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upper cap member and the first body member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being mixed with the second purified water.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 부재와 상기 제1 로워캡 부재 사이에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제2 필터 부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 오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 O-ring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first lower cap member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flowing into the second filter member.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부재와 상기 제1 로워캡 부재 사이에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제2 정수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4 오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urth O-ring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member and the first lower cap member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being mixed with the second purified water.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 부재와 상기 제3 어퍼캡 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2 정수가 상기 제2 필터 부재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5 오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fth O-ring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body member and the third upper cap member to prevent the second purified water from re-introducing into the second filter member.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와 상기 제1 바디 부재 사이에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기 위한 제1 스페이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pace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upper cap member and the first body member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퍼캡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 사이에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기 위한 제2 스페이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spacer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upper cap member and the case member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원수 공급부; 상기 원수 공급부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필터링하는 복합 필터; 상기 복합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정수 배출부; 및 상기 원수 공급부와 상기 복합 필터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복합 필터에 세척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세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필터는, 상기 원수를 여과해서 제1 정수를 생성하는 제1 필터 부재와, 상기 제1 정수를 여과해서 제2 정수를 생성하되, 상기 제1 필터 부재의 하부에 적층 배치되는 제2 필터 부재가 구비되는 여과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부는, 상기 제1 필터를 둘러싸는 제1 바디 부재; 상기 제1 필터 부재가 하측에 배치되는 제1 어퍼캡 부재; 상기 제1 어퍼캡 부재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디 부재가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어퍼캡 부재; 상기 제1 필터 부재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필터 부재를 관통하는 제1 로워캡 부재; 상기 제2 필터 부재를 둘러싸는 제2 바디 부재; 및 상기 제2 필터 부재가 하측에 배치되는 제3 어퍼캡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원수와 상기 세척수는 상기 복합 필터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w water supply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raw water; A complex filter for receiving and filtering raw water supplied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a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composite filter; and a washing module provided between the raw water supply unit and the complex filter and controlling the supply of washing water to the complex filter, wherein the complex filter includes a first filter member configured to filter the raw water and generate first purified water; a filtering unit configured to filter the first purified water to generate a second purified water and include a second filter member stacked under the first filter member; It includes, wherein the filtering unit, a first body member surrounding the first filter; a first upper cap member on which the first filter member is disposed below; a second upper cap member in which the first upper cap member is disposed on a lower side and the first body member is disposed on a lower side; a first lower cap member on which the first filter member is disposed above and penetrating the second filter member; a second body member surrounding the second filter member; and a third upper cap member on which the second filter member is disposed below. Inclu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raw water and the washing water ar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composite fil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복합 필터는, 원수가 입수되는 원수 입수 포트, 여과된 정수가 출수되는 정수 출수 포트 및 세척수가 배출되는 세척수 배출 포트가 구비된 하우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원수와 상기 세척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구획 벽체와, 상기 정수와 상기 세척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되는 헤드 부재; 및 상기 헤드 부재로부터 연장되고, 그 내부에 상기 여과부가 배치되는 케이스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lex filter includes a housing having a raw water intake port through which raw water is received, a purified water outlet port through which filtered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and a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he head member further includes, wherein the housing unit includes a first partition wall for preventing mixing of the raw water and the washing water, and a second partition wall for preventing mixing of the purified water and the washing water; and a case member extending from the head member and having the filtering unit disposed therei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 모듈은, 상기 원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원수를 이용하여 상기 복합 필터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site filter is washed using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상기 정수 배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복합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를 공급받는 정수 저장 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 모듈은, 상기 정수 저장 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복합 필터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urified water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and supplied with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composite filter, wherein the washing module includes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purified water storage tan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site filter is washed using.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는 원수 입수, 정수 출수뿐만 아니라 세척수 배출이 가능함에 따라 필터 부재들을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하우징부의 헤드 부재에는 원수, 정수 및 세척수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 및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됨으로써 원수, 정수 및 세척수가 흐르는 통로가 복합 필터의 상부에 집중되어 다른 부분의 레이아웃 설계 자유도를 제고할 수 있고, 여과부는 제1 바디 부재, 제1 어퍼캡 부재, 제2 어퍼캡 부재, 제1 로워캡 부재 및 제3 어퍼캡 부재를 이용하여 제1 필터 부재와 제2 필터 부재가 적층 구조로 배치됨으로써 기 제조된 제1 필터 부재를 활용해서 복합 필터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작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discharging washing water as well as raw water intake and purified water, and thus the user's convenience is improved by integrating the filter members to configure the composite filter, and the head member of the housing unit First and second partition walls are provided to form independent passages in which raw water, purified water, and washing water do not mix, so that the passage through which raw water, purified water, and washing water flows is concentr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mplex filter to improve the layout design freedom of other parts. In the filtering unit,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are arranged in a laminated structure using a first body member, a first upper cap member, a second upper cap member, a first lower cap member, and a third upper cap member. Accordingly, a composite filter may be manufactured using a pre-manufactured first filter member,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mproving manufacturabil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여과부에는 제2 필터 부재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2 로워캡 부재가 구비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며, 제1 정수가 제2 필터 부재로 이동되는 유로가 형성되어 최종 출수되는 제2 정수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복합 필터의 제작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ration unit is provided with a second lower cap member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ilter member to improve structural stability, and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irst purified water moves to the second filter member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purified water that is finally discharged is moved upward,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mproving the manufactur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원수가 제1 상향 가이드를 통해 제1 필터 부재로 유입되므로, 복합 필터의 상부에 원수, 정수 및 세척수가 흐르는 통로가 집중되면서도 원수가 정수 또는 세척수와 혼합되지 않게 되어 복합 필터의 작동 신뢰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raw water flows into the first filter member through the first upward guide, the passage through which raw water, purified water, and washing water flows are concentr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mposite filter, and the raw water is mixed with purified water or washing water. It does not mix, providing an effect of improving the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제1 필터 부재를 경유한 세척수가 제2 상향 가이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세척수의 배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복합 필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memb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upward guide,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stably and the operation st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is improved. to prov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제1 필터 부재를 경유한 제1 정수가 제1 로워캡 가이드를 통해 제2 필터 부재의 하측으로 이동되므로, 제1 필터 부재와 제2 필터 부재가 적층 구조를 가지더라도 제1 정수가 제2 필터 부재에 원활하게 이동되어 복합 필터의 작동 신뢰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member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ilter member through the first lower cap guide,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Even if it has a stacked structure, the first purified water is smoothly moved to the second filter member, providing an effect of improving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제3 어퍼캡 부재의 어퍼캡 가이드가 제2 필터 부재와 결합됨에 따라, 제2 정수가 제1 필터 부재와 제2 필터 부재 사이에서 이동되는 통로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므로, 복합 필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upper cap guide of the third upper cap member is coupled to the second filter member,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second purified water moves between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is formed. Since it is secured stably, it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the operation st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제1 필터 부재의 측면에는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되고, 제1 필터 부재를 세척한 세척수가 복수의 배출홀을 통해 제1 필터 부재와 제1 바디 부재 사이에 형성된 제1 배출 통로를 경유하여 세척수 배출 포트로 이동됨으로써, 세척수가 원수 또는 정수와 혼합되지 않고 독립적인 유로를 통해 이동되어 정수의 수질 향상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and washing water washing the first filter member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to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first body. As the washing water is moved to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via the first discharge passage formed between the members, the washing water is moved through an independent flow path without being mixed with raw water or purified water, thereby improving user satisfaction through improved water qual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제1 어퍼캡 부재와 제1 필터 부재 사이에는 세척수가 제1 필터 부재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오링이 형성되므로, 세척수를 안정적으로 외부로 배출하게 되어 제1 필터 부재의 사용 기간이 증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first O-ring is formed between the first upper cap member and the first filter member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re-introducing into the first filter member, the washing water is stably supplied to the outside. is discharged to provide an effect of increasing the period of use of the first filter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제2 어퍼캡 부재와 제1 바디 부재 사이에는 세척수가 제2 정수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오링이 형성되므로, 복합 필터의 작동 신뢰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O-ring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upper cap member and the first body member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being mixed with the second purified water,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provides the effect of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제1 필터 부재와 제1 로워캡 부재 사이에는 세척수가 제2 필터 부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 오링이 형성되므로, 세척수가 제1 정수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수의 품질의 확보를 통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 O-ring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first lower cap member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flowing into the second filter member,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equal to the first purified water. It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user satisfaction through securing the quality of purified water by preventing mix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제1 바디 부재와 제1 로워캡 부재 사이에는 세척수가 제2 정수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4 오링이 형성되므로, 복합 필터의 작동 신뢰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urth O-ring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member and the first lower cap member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being mixed with the second purified water,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provides the effect of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제2 바디 부재와 제3 어퍼캡 부재 사이에는 제2 정수가 제2 필터 부재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5 오링이 형성되므로, 제2 정수가 원활하게 상부로 이동되어 복합 필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fifth O-ring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body member and the third upper cap member to prevent the second purified water from re-introducing into the second filter member, the second purified water is smoothly moved upward to provide an effect of improving the operation st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제1 어퍼캡 부재와 제1 바디 부재 사이에는 제1 스페이서가 형성되므로, 세척수가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 사이를 통해 상부로 원활하게 이동되어 복합 필터의 작동 신뢰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space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upper cap member and the first body member, the washing water flows upward smoothly between the first upper cap member and the second upper cap member. It is moved to provide an effect of improving the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제2 어퍼캡 부재와 케이스 부재 사이에는 제2 스페이서가 형성되므로, 정수가 제2 어퍼캡 부재와 케이스 부재 사이에서 원활하게 이동되어 복합 필터의 작동 신뢰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spacer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upper cap member and the case member, purified water is smoothly moved between the second upper cap member and the case member, thereby ensuring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provides the effect of enhanc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원수와 세척수가 복합 필터에 선택적으로 공급됨으로써, 최종 출수되는 정수와 세척수가 혼합되지 않으면서도 세척수의 의해 복합 필터를 세척하게 되므로, 복합 필터의 제품 수명을 증가시켜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w water and washing water ar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composite filter, so that the composite filter is washed by the washing water without mixing the purified water finally discharged with the washing water, so that the product life of the composite filter is increased. It provides the effect of improving user satisfa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세척 모듈이 원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원수를 세척수로 이용함으로써, 세척 모듈에 세척수로 이용하기 위한 별도의 유체 공급이 필요 없게 되므로, 정수기의 제작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shing module uses raw water supplied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as washing water, a separate fluid supply for use as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module is not required, thereby improving the manufacturability of the water purifier. provide effe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세척 모듈이 정수를 세척수로 이용함으로써, 복합 필터의 세척 효율이 개선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module uses purified water as washing water,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mproving the washing efficiency of the composite filt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의 헤드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의 여과부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의 여과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의 여과부가 하우징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head member of a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filtration unit of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the filtration unit of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ration unit of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housing unit.
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ords and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construed as limited in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s can define terms and concept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ir invention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that corresponds to the technical idea.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correspond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are various to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crib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The fact that a component is located "above" or "below" another component means that it is directly adjacent to and placed "above" or "below" another component,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as well as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Including when placed. In addition, the fact that certain components are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includes cases where they are not only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 및 복합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의 헤드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의 여과부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a는 복합 필터의 축 방향을 의미하고, r은 복합 필터의 반경 방향을 의미한다.Hereinafter, a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composite fil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head member of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filtration unit of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FIG. Here, a means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mposite filter, and r means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mposite filter.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필터(900)는 원수(W1)가 입수되는 원수 입수 포트(920), 여과된 정수(C)가 출수되는 정수 출수 포트(930) 및 세척수(W2)가 배출되는 세척수 배출 포트(940)가 구비된 하우징부(910) 및 상기 원수(W1)를 여과해서 제1 정수(C1)를 생성하는 제1 필터 부재(1010)와, 상기 제1 정수(C1)를 여과해서 제2 정수(C2)를 생성하되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필터 부재(1020)가 구비되는 여과부(100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원수 입수 포트(920)를 통해 입수된 상기 원수(W1)는 상기 여과부(1000)로 이동한 후 상기 여과부(1000)에 구비된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와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여과되며, 최종적으로 여과된 정수(C)는 정수 출수 포트(930)를 통해 출수된 후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정수(C)는 별도의 정수 탱크(미도시)에 저장되거나, 냉수, 온수 및 얼음 생성을 위한 냉수 생성부(미도시), 온수 생성부(미도시) 및 얼음 생성부(미도시)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정수(C1)는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의 하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로 이동하고, 상기 세척수(W2)는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를 세척한 후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와 상기 제1 바디 부재(1030) 사이에 형성된 제1 배출 통로(1101)로 이동하여 상기 세척수 배출 포트(940)를 통해 상기 복합 필터(9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원수(W1) 입수 및 상기 정수(C) 출수뿐만 아니라 상기 세척수(W2)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와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를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를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상기 세척수(W2)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를 세척함으로써, 상기 복합 필터(900)의 제품 수명을 증가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 때,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는 중공사막에 의해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UF(Ultra Filtration) 필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는 카본 필터 또는 MF(Microfiltration) 필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는 전기 탈이온 방식의 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기 탈이온 방식은 EDI(Electro Deionization), CEDI(Continuous Electro Deionization) 또는 CDI(Capacitive Deionization) 등을 말한다. 이때,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의 외면에는 별도의 필터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러한 별도의 필터 부재는 NT 필터 부재일 수 있다. 이러한 NT 필터 부재는 유입된 원수(W1)에 포함된 이물질을 흡착하도록 정전기를 띠는 소재, 예컨대 나노 트랩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정전기를 띠는 소재는 양전하를 띠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수(W1)에 포함된 음전하를 띤 이물질, 예컨대 바이러스, 박테리아 및 미분 물질 등이 정전기에 의해서 NT 필터 부재에 흡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별도의 필터 부재는 세디먼트 필터 부재일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composite filter 9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w water intake port 920 through which raw water W1 is obtained, a purified water outlet port 930 through which filtered purified water C is discharged, and A housing part 910 having a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940 through which washing water W2 is discharged and a first filter member 1010 filtering the raw water W1 to generate first purified water C1; A filtering unit 1000 is provided with a second filter member 1020 disposed under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to generate a second purified water C2 by filtering 1 purified water C1. That is, the raw water W1 obtained through the raw water intake port 920 moves to the filtering unit 1000 and then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1010 provided in the filtering unit 1000. It is filtered while sequentially moving the filter member 1020, and finally filtered purified water C is discharged through the purified water outlet port 930 and then provided to the user. In addition, the purified water C may be stored in a separate purified water tank (not shown), or a cold water generator (not shown), a hot water generator (not shown), and an ice generator (not shown) for generating cold water, hot water, and ice. ) can be supplied. Then, the first purified water C1 moves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and then moves to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and the washing water W2 moves to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After washing, the composite filter 900 moves to the first discharge passage 1101 formed between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and the first body member 1030 through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940.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is way,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are integrated so that not only the inflow of the raw water W1 and the outflow of the purified water C but also the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W2 are possible.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as a composite filter can be configured, and by washing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using the washing water W2, the product lifespan of the composite filter 900 is increased, resulting in user convenience. this improves In this case,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may be a UF (Ultra Filtration) filter that filters out contaminants by means of a hollow fiber membrane. Also,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may be a carbon filter or a microfiltration (MF) filter. Also,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may include an electrodeionization-type filter. The electric deionization method refers to EDI (Electro Deionization), CEDI (Continuous Electro Deionization), CDI (Capacitive Deionization), or the like. At this time, a separate filter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 As an example, this separate filter element may be an NT filter element. Such an NT filter member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charged with static electricity to adsorb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introduced raw water W1, for example, a nano trap material. These electrostatic materials can be configured to carry a positive charge. Accordingly, negatively charged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raw water W1, such as viruses, bacteria, and fine particles, may be adsorbed to the NT filter member by static electricity. Also, this separate filter member may be a sediment filter memb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910)는 상기 원수(W1)와 상기 세척수(W2)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구획 벽체(911a)와, 상기 정수(C)와 상기 세척수(W2)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구획 벽체(911b)가 구비되는 헤드 부재(911) 및 상기 헤드 부재(911)로부터 연장되고, 그 내부에 상기 여과부(1000)가 배치되는 케이스 부재(912)를 포함한다. 즉, 입수되는 상기 원수(W1)뿐만 아니라 출수되는 상기 제2 정수(C2) 및 배출되는 세척수(W2)가 상기 복합 필터(900)의 상부로 출수/배출되는 구조이며, 이를 위해 상기 헤드 부재(911)에는 상기 원수(W1)가 입수되는 원수 영역(921), 상기 제2 정수(C2)가 출수되는 제2 정수 영역(931) 및 상기 세척수(W2)가 배출되는 세척수 영역(941)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부(910)의 상기 헤드 부재(911)에는 상기 원수(W1), 상기 제2 정수(C2) 및 상기 세척수(W2)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구획 벽체(911a, 911b)가 구비됨으로써 출수/배출이 상기 복합 필터(900)의 상부에 집중되어 다른 부분의 레이아웃 설계 자유도가 향상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에 유입되는 세척수(W2)는 상기 원수(W1)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를 세척한다. 다만, 상기 세척수(W2)는 상기 원수(W1)만을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출수되는 정수를 이용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2 , in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part 910 is a first partition wall 911a preventing mixing of the raw water W1 and the washing water W2. ), and a second partition wall 911b for preventing mixing of the purified water C and the washing water W2 is provided and extends from the head member 911 and the head member 911. It includes a case member 912 on which the filtering unit 1000 is disposed. That is, it is a structure in which not only the incoming raw water (W1) but also the second purified water (C2) and the washing water (W2) discharged are discharged/discharg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mposite filter 900, and for this, the head member ( 911) is formed with a raw water area 921 from which the raw water W1 is received, a second purified water area 931 from which the second purified water C2 is discharged, and a washing water area 941 from which the washing water W2 is discharged. do. To this end, independent flow paths in which the raw water W1, the second purified water C2, and the washing water W2 are not mixed are formed in the head member 911 of the housing part 91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water channels are formed. Since the partition walls 911a and 911b are provided, the water outlet/discharge is concentr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mposite filter 900, and the layout design freedom of other parts is improved. Here, the washing water W2 flowing into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washes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using the raw water W1. However, the washing water W2 is not limited to using only the raw water W1, and purified water may be us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부(1000)는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를 둘러싸는 제1 바디 부재(1030),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가 하측에 배치되는 제1 어퍼캡 부재(1040), 상기 제1 어퍼캡 부재(1040)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디 부재(1030)가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어퍼캡 부재(1050),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를 관통하는 제1 로워캡 부재(1060),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를 둘러싸는 제2 바디 부재(1070) 및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가 하측에 배치되는 제3 어퍼캡 부재(108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원수(W1)는 상기 제1 어퍼캡 부재(1040)의 내측을 통해 이동되고, 상기 세척수(W2)는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와 제1 바디 부재(1030) 사이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어퍼캡 부재(1040)와 상기 제2 어퍼캡 부재(1050) 사이를 통해 상부로 이동되고, 상기 정수(C)는 상기 케이스 부재(912)의 내측을 통해 상부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원수(W1), 상기 세척수(W2)와 상기 정수(C)가 서로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와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를 일체화하면서 제작성이 향상된다.As shown in FIG. 3 , the filtering unit 1000 includes a first body member 1030 surrounding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and a first upper in which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A cap member 1040, the first upper cap member 1040 disposed on the lower side, and the second upper cap member 1050 having the first body member 1030 disposed on the lower side,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the first lower cap member 1060 penetrating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the second body member 1070 surrounding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and the second filter The member 1020 includes a third upper cap member 1080 disposed on the lower side. At this time, the raw water W1 moves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upper cap member 1040, and the washing water W2 passes between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and the first body member 1030. so that it moves upward through between the first upper cap member 1040 and the second upper cap member 1050, and the integer C moves upward through the inside of the case member 912, thereby An independent flow path is formed in which the raw water (W1), the washing water (W2), and the purified water (C) are not mixed, so that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are integrated and manufacturability is improved. do.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의 측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배출홀(1011)이 구비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배출홀(1011)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다만, 상기 복수의 배출홀(1011)의 크기는 동일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커지거나 작아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배출홀(1011)은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다만, 상기 복수의 배출홀(1011)은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도록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와 상기 제1 바디 부재(1030) 사이에는 상기 세척수(W2)가 흐르는 제1 배출 통로(1101)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배출홀(1011)은 상기 제1 배출 통로(1101)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를 세척한 상기 세척수(W2)는 상기 복수의 배출홀(1011)을 통해 상기 제1 배출 통로(1101)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어퍼캡 부재(1040)와 상기 제2 어퍼캡 부재(1050) 사이에는 상기 제1 배출 통로(1101)와 연통되는 제2 배출 통로(1102)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제2 배출 통로(1102)는 상기 세척수 배출 포트(940, 도 2 참조)와 연통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를 세척한 상기 세척수(W2)는 상기 복수의 배출홀(1011), 상기 제1 배출 통로(1101), 상기 제2 배출 통로(1102)와 상기 세척수 배출 포트(94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복합 필터(9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900)는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와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를 일체화하여 제조하면서 상기 세척수(W2)가 상기 정수(C)와 서로 혼합되지 않고 배출됨으로써 상기 복합 필터(900)의 작동 신뢰성이 향상된다.As shown in FIG. 3 ,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0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011 have the same size. However, the size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011 is not limited to the same size, and may increase or decrease in the downward direction.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0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However,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011 are not limited to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ownward direction. A first discharge passage 1101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W2 flows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and the first body member 1030 .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011 communicate with the first discharge passage 1101 . The washing water W2 washing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is moved to the first discharge passage 1101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011 . A second discharge passage 1102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ischarge passage 1101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upper cap member 1040 and the second upper cap member 1050 . At this time,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1102 communicates with the wash water discharge port 940 (see FIG. 2). Through this, the washing water W2 washing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i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011, the first discharge passage 1101,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1102 and the washing water.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mposite filter 900 via the port 940 sequentially. In this way, the composite filter 9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integrating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and the washing water W2 is mixed with the purified water C.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900 is improved by being discharged without being mixed with each othe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의 여과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the filtration unit of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의 여과부(1000)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1040)의 하측에는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가 위치하고, 상기 제2 어퍼캡 부재(1050)의 하측에는 상기 제1 어퍼캡 부재(1040)가 위치하고,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의 하측에는 상기 제1 로워캡 부재(1060)가 위치하고, 상기 제3 어퍼캡 부재(1080)의 하측에는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가 위치한다. 상기 제1 어퍼캡 부재(1040), 상기 제2 어퍼캡 부재(1050), 상기 제1 로워캡 부재(1060) 및 상기 제3 어퍼캡 부재(1080)가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와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를 적층 구조를 가지도록 조립되므로, 상기 복합 필터(900)의 제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1 바디 부재(1030)는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를 감싸면서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1 바디 부재(1030)의 내측과 외측에는 별도의 유로가 형성되므로,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와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가 적층 구조를 가지면서도 상기 원수(W1), 상기 정수(C)와 상기 세척수(W2)가 혼합되지 않고 독립적인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복합 필터(900)의 작동 신뢰성이 확보된다.3 and 4, in the filtering unit 1000 of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is disposed below the first upper cap member 1040. position, the first upper cap member 1040 is located below the second upper cap member 1050, and the first lower cap member 1060 is located below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is positioned below the third upper cap member 1080 . The first upper cap member 1040, the second upper cap member 1050, the first lower cap member 1060, and the third upper cap member 1080 are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and the Since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is assembled to have a laminated structure, manufactur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900 is improved. In addition, the first body member 1030 surrounds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so that separate passages are provided inside and outside the first body member 1030. Since is formed, while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have a laminated structure, the raw water W1, the purified water C, and the washing water W2 are not mixed and independent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900 is secured by forming a flow path.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의 여과부(1000)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1040)는 상기 원수(W1)가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로 유입되도록 상향 연장 배치되는 제1 상향 가이드(1041)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어퍼캡 부재(1040)에는 상기 원수(W1)가 흐르는 제1 상향 가이드(1041)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원수(W1)의 유입과 상기 세척수(W2)의 배출을 분리하여 상기 복합 필터(900)의 동작 신뢰성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제1 구획 벽체(911a, 도 2 참조)는 상기 제1 상향 가이드(1041)를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 배치된다. 즉, 상기 원수(W1)는 상기 제1 구획 벽체(911a, 도 2 참조)와 상기 제1 상향 가이드(1041)를 통해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로 원활하게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1040)는 하향 연장 배치되는 제1 하향 가이드(10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하향 가이드(1042)는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어퍼캡 부재(1040)가 상기 제1 하향 가이드(1042)에 의해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 in the filtering unit 1000 of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upper cap member 1040 is the first filter member when the raw water W1 is It includes a first upward guide 1041 extending upward to flow into (1010). That is, as the first upper cap member 1040 is provided with the first upward guide 1041 through which the raw water W1 flows, the inflow of the raw water W1 and the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W2 are separated,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900 is secured. In addition, the first partition wall 911a (see FIG. 2 ) extends in the axial direction along the first upward guide 1041 . That is, the raw water W1 is smoothly moved to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through the first partition wall 911a (see FIG. 2 ) and the first upward guide 1041 . In addition, the first upper cap member 1040 includes a first downward guide 1042 extending downward. The first downward guide 1042 is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and is coupled to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so that the first upper cap member 1040 is the first downward guide. It is st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by 1042 .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의 여과부(1000)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퍼캡 부재(1050)는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를 경유한 상기 세척수(W2)가 상기 복합 필터(9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향 연장 배치되는 제2 상향 가이드(1051)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2 상향 가이드(1051)는 상기 제1 상향 가이드(1041)를 감싸면서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어퍼캡 부재(1050)에는 상기 세척수(W2)가 흐르는 상기 제2 상향 가이드(1051)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세척수(W2)의 배출과 상기 정수(C)의 출수를 분리하여 상기 복합 필터(900)의 동작 신뢰성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제2 구획 벽체(911b, 도 2 참조)는 상기 제2 상향 가이드(1051)를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 배치된다. 즉, 상기 세척수(W2)는 상기 제2 상향 가이드(1051)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제2 구획 벽체(911b, 도 2 참조)를 통해 상기 세척수 배출 포트(940)로 원활하게 이동되어 상기 복합 필터(900)의 동작 신뢰성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제2 어퍼캡 부재(1050)는 하향 연장 배치되는 제2 하향 가이드(105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하향 가이드(1052)는 상기 제1 하향 가이드(1042)를 감싸면서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하향 가이드(1042)와 상기 제2 하향 가이드(1052) 사이에는 상기 제1 배출 통로(1101)를 경유한 상기 세척수가 이동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1 바디 부재(1030)의 상부는 상기 제1 하향 가이드(1042)와 상기 제2 하향 가이드(1052) 사이에 배치된다. 3 and 4, in the filtering unit 1000 of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upper cap member 1050 removes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A second upward guide 1051 is disposed extending upward so that the passing washing water W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mposite filter 900 . At this time, the second upward guide 1051 surrounds the first upward guide 1041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s the second upper cap member 1050 is provided with the second upward guide 1051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W2 flows, the washing water W2 is discharged from the purified water C by being separated.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900 is secured. Also, the second partition wall 911b (see FIG. 2 ) extends in the axial direction along the second upward guide 1051 . That is, after moving upward along the second upward guide 1051, the washing water W2 smoothly moves to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940 through the second partition wall 911b (see FIG. 2),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900 is secured. In addition, the second upper cap member 1050 includes a second downward guide 1052 extending downward. Also, the second downward guide 1052 surrounds the first downward guide 1042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passes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assage 1101 is formed between the first downward guide 1042 and the second downward guide 1052 . In this case,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member 103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downward guide 1042 and the second downward guide 1052 .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의 여과부(1000)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워캡 부재(1060)는 상향 연장 배치되는 제3 상향 가이드(1061)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상향 가이드(1061)가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의 하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로워캡 부재(1060)가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 로워캡 부재(1060)는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를 관통하도록 하향 연장 배치되는 제1 로워캡 가이드(106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로워캡 가이드(1062)의 외경은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의 내경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를 경유한 상기 제1 정수(C1)가 상기 제1 로워캡 가이드(1062)의 내측을 따라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의 하부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 정수(C1)와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를 경유한 상기 제2 정수(C2)가 혼합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복합 필터(900)의 동작 안정성이 확보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in the filtration unit 1000 of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ower cap member 1060 includes a third upward guide ( 1061). The third upward guide 1061 surrounds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and is coupled to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so that the first lower cap member 1060 is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 is stably fixed at In addition, the first lower cap member 1060 includes a first lower cap guide 1062 extending downward to pass through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 An outer diameter of the first lower cap guide 1062 is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 In addition, as the first purified water C1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is mov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along the inner side of the first lower cap guide 1062, the first Operational st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900 is secured by preventing mixing of the first purified water C1 and the second purified water C2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의 여과부(1000)에 있어서, 상기 제3 어퍼캡 부재(1080)는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와 결합되도록 하향 연장 배치된 어퍼캡 가이드(108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어퍼캡 가이드(1082)는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3 어퍼캡 부재(1080)가 상기 어퍼캡 가이드(1082)에 의해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3 어퍼캡 부재(1080)는 상향 연장 배치되는 어퍼캡 지지 부재(1081)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캡 지지 부재(1081)는 상기 제1 로워캡 부재(1060)와 상기 제3 어퍼캡 부재(1080)가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를 경유한 상기 제2 정수(C2)는 상기 제3 어퍼캡 부재(1080)의 상부를 통해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2 정수(C2)가 상기 제1 정수(C1)와 혼합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복합 필터(900)의 상부로 이동되는 독립적인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정수의 품질을 확보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한다.3 and 4, in the filtering unit 1000 of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upper cap member 1080 is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and It includes an upper cap guide 1082 arranged to extend downward to be coupled. Also, the upper cap guide 1082 is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so that the third upper cap member 1080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member 1082 by the upper cap guide 1082 ( 1020) is stably fixed. In addition, the third upper cap member 1080 includes an upper cap support member 1081 extending upwardly. The upper cap support member 1081 is formed so that the first lower cap member 1060 and the third upper cap member 108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second integer C2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is moved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third upper cap member 1080, so that the second integer C2 becomes the first integer. An independent flow path is formed that moves to the upper part of the composite filter 900 without being mixed with (C1) to secure the quality of the purified water and improve user satisfaction.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의 여과부(1000)는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2 로워캡 부재(109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로워캡 부재(1090)는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와 결합하도록 상향 연장 배치된 제2 로워캡 가이드(1091)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로워캡 가이드(1091)는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의 하측 외주면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제2 로워캡 가이드(1091)가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복합 필터(90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로워캡 부재(1090)는 상기 제3 어퍼캡 부재(1080)와 함께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서브 어셈블리(sub assembly) 공정을 통해 상기 복합 필터(900)의 모듈화가 가능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2 로워캡 부재(1090)에는 상기 제2 바디 부재(1070)의 하측면을 향하여 하향 연장되는 로워 레그(1092)가 구비된다. 상기 로워 레그(1092)는 상기 제2 로워캡 부재(1090)가 상기 제2 바디 부재(1070)로부터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로워캡 부재(1090)가 상기 로워 레그(1092)에 의해 상기 제2 바디 부재(1070)로부터 이격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 로워캡 부재(1060)를 경유한 상기 제1 정수(C1)가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의 하부를 따라 이동된 후,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로 이동되어 상기 복합 필터(900)의 동작 안정성이 확보된다.3 and 4, the filtration unit 1000 of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lower cap member 1090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include In addition, the second lower cap member 1090 includes a second lower cap guide 1091 extending upward to be coupled with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 As the second lower cap guide 109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the second lower cap guide 1091 stably fixes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The dur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900 is improved. Accordingly, the second lower cap member 1090 stably fixes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together with the third upper cap member 1080, so that the composite filter ( 900) can be modularized and workability is improved. In addition, the second lower cap member 1090 is provided with a lower leg 1092 extending downward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member 1070 . The lower leg 1092 is formed such that the second lower cap member 1090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body member 1070 . And, since the second lower cap member 1090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body member 1070 by the lower leg 1092, the first integer passing through the first lower cap member 1060 ( After C1) is moved along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it is moved to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so that operation st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900 is secured.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바디 부재(1070)에는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 상기 제3 어퍼캡 부재(1080) 및 상기 제2 로워캡 부재(1090)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복합 필터(900)의 모듈화가 가능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the third upper cap member 1080, and the second lower cap member 1090 are included in the second body member 1070. By being mounted, modularization of the composite filter 900 is possible, and workability is improved.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의 여과부(1000)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1040)와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 사이에는 상기 세척수(W2)가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오링(120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오링(1201)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제1 오링(1201)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탄력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오링(1201)은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와 상기 제1 어퍼캡 부재(1040) 사이를 밀폐하여 상기 제1 배출 통로(1101)를 통해 이동되는 상기 세척수(W2)가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로 재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3 and 4, in the filtering unit 1000 of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first upper cap member 1040 and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A first O-ring 1201 for preventing the washing water W2 from re-introducing into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is formed. The first O-ring 1201 is made of rubber or silicon. However, the first O-ring 1201 is not limited to being made of rubber or silicon, and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having elasticity. The first O-ring 1201 seals the space between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and the first upper cap member 1040 so that the washing water W2 moving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assage 1101 Reflow into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is prevented.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의 여과부(1000)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퍼캡 부재(1050)와 상기 제1 바디 부재(1030) 사이에는 상기 세척수(W2)가 상기 제2 정수(C2)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오링(1202)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오링(1202)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제2 오링(1202)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탄력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오링(1202)은 상기 제2 어퍼캡 부재(1050)와 상기 제1 바디 부재(1030) 사이를 밀폐하여 상기 제2 정수(C2)가 상기 제1 배출 통로(1101) 또는 상기 제2 배출 통로(1102)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3 and 4, in the filtration unit 1000 of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second upper cap member 1050 and the first body member 1030 A second O-ring 1202 is formed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W2 from being mixed with the second purified water C2. The second O-ring 1202 is made of rubber or silicon. However, the second O-ring 1202 is not limited to being made of rubber or silicon, and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having elasticity. Further, the second O-ring 1202 seals between the second upper cap member 1050 and the first body member 1030 so that the second purified water C2 passes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assage 1101 or the first body member 1030. Inflow into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1102 is prevented.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의 여과부(1000)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와 상기 제1 로워캡 부재(1060) 사이에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 오링(1203)이 형성된다. 상기 제3 오링(1203)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제3 오링(1203)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탄력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오링(1203)은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와 상기 제1 로워캡 부재(1060) 사이를 밀폐하여 상기 제2 정수(C2)가 상기 세척수(W2)와 혼합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복합 필터(900)의 동작 안정성이 확보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in the filtration unit 1000 of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and the first lower cap member 1060 A third O-ring 1203 is formed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flowing into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 The third O-ring 1203 is made of rubber or silicon. However, the third O-ring 1203 is not limited to being made of rubber or silicon, and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having elasticity. In addition, the third O-ring 1203 seals between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and the first lower cap member 1060 to prevent the second purified water C2 from being mixed with the washing water W2 Thus, the operation st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900 is secured.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의 여과부(1000)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부재(1030)와 상기 제1 로워캡 부재(1060) 사이에는 상기 세척수(W2)가 상기 제2 정수(C2)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4 오링(1204)이 형성된다. 상기 제4 오링(1204)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제4 오링(1204)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탄력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오링(1204)은 상기 제1 바디 부재(1030)와 상기 제1 로워캡 부재(1060) 사이를 밀폐하여 상기 제2 정수(C2)가 상기 제1 배출 통로(1101)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복합 필터(900)의 동작 안정성이 확보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in the filtration unit 1000 of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first body member 1030 and the first lower cap member 1060 A fourth O-ring 1204 is formed to prevent mixing of the washing water W2 with the second purified water C2. The fourth O-ring 1204 is made of rubber or silicon. However, the fourth O-ring 1204 is not limited to being made of rubber or silicon, and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having elasticity. And, the fourth O-ring 1204 seals between the first body member 1030 and the first lower cap member 1060 so that the second purified water C2 moves to the first discharge passage 1101 operation stability of the complex filter 900 is secured.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의 여과부(1000)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 부재(1070)와 상기 제3 어퍼캡 부재(1080) 사이에는 상기 제2 정수(C2)가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5 오링(1205)이 형성된다. 상기 제5 오링(1205)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제5 오링(1205)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탄력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5 오링(1205)은 상기 제2 바디 부재(1070)와 상기 제3 어퍼캡 부재(1080) 사이를 밀폐하여 상기 제1 정수(C1)가 상기 제2 정수(C2)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복합 필터(900)의 동작 안정성이 확보된다.3 and 4, in the filtration unit 1000 of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second body member 1070 and the third upper cap member 1080 A fifth O-ring 1205 is formed to prevent the second purified water C2 from re-introducing into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 The fifth O-ring 1205 is made of rubber or silicon. However, the fifth O-ring 1205 is not limited to being made of rubber or silicon, and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having elasticity. The fifth O-ring 1205 seals between the second body member 1070 and the third upper cap member 1080 so that the first purified water C1 is mixed with the second purified water C2. operation stability of the composite filter 900 is secured by preventing the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의 여과부(1000)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1040)와 상기 제1 바디 부재(1030) 사이에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기 위한 제1 스페이서(1211)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스페이서(1211)는 상기 제1 배출 통로(1101)와 상기 제2 배출 통로(1102)가 서로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1 오링(1201)의 탄성력은 상기 제1 스페이서(1211)가 상기 제1 바디 부재(1030)를 향하여 가압되도록 제공됨에 따라, 상기 제1 어퍼캡 부재(1040)는 상기 제1 스페이서(1211)와 상기 제1 오링(1201)에 의해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와 상기 제1 바디 부재(1030)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된다.3 and 4, in the filtration unit 1000 of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first upper cap member 1040 and the first body member 1030 A first spacer 1211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ly, the first spacer 1211 prevents the first discharge passage 1101 and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1102 from being block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s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O-ring 1201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spacer 1211 is pressed toward the first body member 1030, the first upper cap member 1040 is the first spacer 1211 and the first O-ring 1201 are stably fixed between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and the first body member 1030.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의 여과부(1000)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퍼캡 부재(1050)와 상기 케이스 부재(912, 도 5 참조) 사이에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기 위한 제2 스페이서(1212)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스페이서(1212)는 상기 제2 어퍼캡 부재(1050)와 상기 케이스 부재(912, 도 5 참조) 사이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정수(C)가 상기 케이스 부재(912, 도 5 참조)의 내측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2 오링(1202)의 탄성력은 상기 제2 스페이서(1212)에 상기 케이스 부재(912, 도 5 참조)를 향하여 가압되도록 제공됨에 따라, 상기 제2 어퍼캡 부재(1050)는 상기 제2 스페이서(1212)와 상기 제2 오링(1202)에 의해 상기 케이스 부재(912, 도 5 참조)와 상기 제1 바디 부재(1030)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된다.3 and 4, in the filtration unit 1000 of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upper cap member 1050 and the case member 912 (see FIG. 5) ) Between them, a second spacer 1212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ly, the second spacer 1212 prevents clogging between the second upper cap member 1050 and the case member 912 (see FIG. 5) so that the constant C is generated in the case member 912 (see FIG. 5). 5) is smoothly moved along the inner side. In addition, as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O-ring 1202 is applied to the second spacer 1212 to be pressed toward the case member 912 (see FIG. 5), the second upper cap member 1050 2 The spacer 1212 and the second O-ring 1202 are stably fixed between the case member 912 (see FIG. 5 ) and the first body member 1030 .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의 여과부가 하우징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ration unit of the composit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housing uni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수 유입 포트(520, 도 2 참조)를 통해 유입된 상기 원수(W1)는 상기 제1 어퍼캡 부재(1040)를 통해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를 경유한 상기 제1 정수(C1)는 상기 제1 로워캡 부재(1060)를 통해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의 하부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제2 바디 부재(1070)와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 사이에는 상기 제1 정수(C1)가 이동되는 제1 정수 유로(112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정수(C1)는 상기 제1 정수 유로(1121)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와 상기 제1 로워캡 부재(1060) 사이에는 상기 제2 정수(C2)가 이동되는 제2 정수 유로(1121)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를 경유한 상기 제2 정수(C2)는 상기 제2 정수 유로(1121)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제3 어퍼캡 부재(1080)와 상기 제1 로워캡 부재(1060) 사이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부재(912)와 상기 제1 바디 부재(1030) 사이에는 제2 정수(C2)가 이동되는 제3 정수 유로(1123)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정수(C2)는 상기 제3 정수 유로(1123)를 따라 상부로 이동된다. As shown in FIG. 5 , the raw water W1 introduced through the raw water inlet port 520 (see FIG. 2 ) moves to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through the first upper cap member 1040 . do. Also, the first purified water C1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is mov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through the first lower cap member 1060 . In this case, a first purified water passage 1121 through which the first purified water C1 is moved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body member 1070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 The first purified water C1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while moving along the first purified water channel 1121 . Also, a second purified water passage 1121 through which the second purified water C2 is moved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and the first lower cap member 1060 . The second purified water C2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ter member 1020 is moved upward along the second purified water passage 1121, and the third upper cap member 1080 and the first lower cap member ( 1060). A third water purification channel 1123 through which the second water purification C2 is moved is formed between the case member 912 and the first body member 1030 . The second purified water C2 moves upward along the third purified water channel 1123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900)는 상기 원수(W1)의 입수, 상기 정수(C)의 출수 및 상기 세척수(W2)의 배출을 상부를 통해 독립적인 유로를 형성하면서도 상기 제1 어퍼캡 부재(1040), 상기 제2 어퍼캡 부재(1050), 상기 제1 로워캡 부재(1060) 및 제3 어퍼캡 부재(1080)에 의해 상기 제1 필터 부재(1010)와 상기 제2 필터 부재(1020)가 적층 구조를 가지도록 조립됨으로써, 복합 필터의 모듈화가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가 세척을 위해 별도의 구성을 조작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개선된다.In this way, the composite filter 9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independent flow path through the upper part for the inflow of the raw water (W1), the outflow of the purified water (C), and the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W2) while forming an independent flow path.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and the first filter member 1010 are formed by the first upper cap member 1040, the second upper cap member 1050, the first lower cap member 1060, and the third upper cap member 1080. By assembling the two filter members 1020 to have a laminated structure, modularization of the composite filter is possible and the user does not need to operate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cleaning,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200)는 원수(W1)의 공급을 제어하는 원수 공급부(1210), 상기 원수 공급부(1210)로부터 상기 원수(W1)를 공급받아 필터링하는 복합 필터(900), 상기 복합 필터(900)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C)의 배출을 제어하는 정수 배출부(1220) 및 상기 원수 공급부(1210)와 상기 복합 필터(90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복합 필터(900)에 세척수(W2)의 공급을 제어하는 세척 모듈(1230)을 포함하고, 상기 원수(W1)와 상기 세척수(W2)는 상기 복합 필터(900)에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As shown in FIG. 6, the water purifier 1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w water supply unit 1210 that controls the supply of raw water W1, and supplies the raw water W1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1210. A composite filter 900 for receiving and filtering, a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1220 controlling discharge of purified water C filtered by the composite filter 900, and between the raw water supply unit 1210 and the composite filter 900 and a washing module 1230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washing water W2 to the composite filter 900, wherein the raw water W1 and the washing water W2 ar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composite filter 900. do.

이 때, 상기 원수 공급부(1210)는 상기 원수(W1)의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원수(W1)가 상기 복합 필터(900)에 과도하게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복합 필터(900)가 상기 원수(W1)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원수(W1)가 상기 복합 필터(900)에 과소하게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복합 필터(900)의 내부에서 상기 원수(W1)의 흐름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정수 배출부(1220)는 상기 정수(C)의 배출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맞도록 정수를 추출하게 되어 사용자 만족도가 개선된다.At this time, the raw water supply unit 1210 controls the supply of the raw water W1 so that the raw water W1 is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supplied to the composite filter 900 so that the composite filter 900 is the raw water It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W1), and the raw water (W1) is prevented from being under-supplied to the composite filter 900, so that the flow of the raw water (W1) is lowered inside the composite filter 900 Since this is prevented, operational stability of the water purifier is ensured. In addition,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1220 controls the discharge of the purified water C, thereby extracting purified water to meet the user's request, thereby improving user satisfaction.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200)에 있어서, 상기 복합 필터(900)는 전술한 실시예의 복합 필터이다. 다만, 상기 복합 필터(900)는 전술한 복합 필터에 한정되지 않고, 원수 입수, 정수 출수 및 세척수 배출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도 적용 가능하다.And, as shown in FIG. 6 , in the water purifier 1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e filter 900 is the composite filter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owever, the composite filter 900 is not limited to the aforementioned composite filter, and a structure in which raw water intake, purified water outlet, and wash water discharge are independently performed may also be applied.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200)에 있어서, 상기 세척 모듈(1230)은 상기 원수 공급부(1210)의 상기 원수를 이용하여 상기 세척수(W2)의 공급을 제어하는 세척수 제어밸브(1231)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수 제어밸브(1231)는 상기 원수(W1)를 상기 복합 필터(900)로 공급하거나 상기 원수(W1)를 상기 세척 모듈(1230)로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세척수 제어밸브(1231)는 상기 원수(W1)가 상기 복합 필터(900)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면서 더불어 상기 원수(W1)가 상기 세척 모듈(1230)로 공급 중지되도록 제어하고, 반대로, 상기 세척수 제어밸브(1231)는 상기 원수(W1)가 상기 복합 필터(900)로 공급 중지되도록 제어하면서 더불어 상기 원수(W1)가 상기 세척 모듈(1230)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 모듈(1230)은 상기 원수 공급부(1210)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원수(W1)를 살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세척 모듈(1230)은 상기 원수(W1)를 살균하는 살균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세척 모듈(1230)은 초음파 또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상기 원수(W1)를 살균하거나 살균제를 첨가할 수 있고, 이외에 상기 원수(W1)를 살균하여 상기 복합 필터(900)를 세척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세척 모듈(1230)의 상기 세척수(W2)는 상기 복합 필터(900)로 이동되어 상기 복합 필터(900)를 세척한 후 세척수 배출 밸브(12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 in the water purifier 1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module 1230 uses the raw water of the raw water supply unit 1210 to clean the washing water W2. and a washing water control valve 1231 for controlling supply. The washing water control valve 1231 controls the supply of the raw water W1 to the composite filter 900 or the supply of the raw water W1 to the washing module 1230 . That is, the washing water control valve 1231 controls the raw water W1 to be supplied to the complex filter 900 and also controls the supply of the raw water W1 to the washing module 1230 to be stopped. The washing water control valve 1231 controls the supply of the raw water W1 to the complex filter 900 so that it is stopped, and also controls the raw water W1 to be supplied to the washing module 1230 . In addition, the cleaning module 1230 performs a function of sterilizing the raw water W1 supplied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1210 . That is, the cleaning module 1230 may be a sterilization device that sterilizes the raw water W1. For example, the cleaning module 1230 may sterilize the raw water W1 or add a sterilizing agent using ultrasonic waves or plasma, and also sterilize the raw water W1 to clean the composite filter 900. Various methods can be applied for this. The washing water W2 of the washing module 1230 is moved to the composite filter 900 to wash the composite filter 900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shing water discharge valve 1250 .

그리고, 도 6을 참조하여 정수 추출 과정과 상기 복합 필터(900)의 세척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정수 추출을 위해, 상기 원수 공급부(1210)는 상기 원수(W1)가 상기 복합 필터(900)로 공급되도록 상기 원수(W1)의 유로를 개방된다. 이 때, 상기 세척수 제어밸브(1231)는 상기 원수(W1)의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원수(W1)를 상기 복합 필터(900)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원수(W1)가 상기 세척 모듈(1230)로 이동되는 유로는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원수(W1)가 상기 복합 필터(900)를 경유함에 따라, 상기 복합 필터(900)는 상기 정수(C)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정수(C)는 상기 정수 배출부(1220)를 통해 외부로 추출된다. 이 때, 상기 세척수 배출 밸브(1250)는 상기 세척수(W2)의 유로를 폐쇄하여 상기 정수 추출의 동작의 안정성이 확보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6 , a process of extracting purified water and a process of cleaning the complex filter 900 will be described. First, for purified water extraction, the raw water supply unit 1210 opens a flow path of the raw water W1 so that the raw water W1 is supplied to the composite filter 900 . At this time, the washing water control valve 1231 opens the flow path of the raw water W1 to control the raw water W1 to be moved to the complex filter 900, and the raw water W1 is passed through the washing module 1230. ) is closed. Also, as the raw water W1 passes through the composite filter 900, the composite filter 900 generates the purified water C. Then, the purified water C is extra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1220 . At this time, the washing water discharge valve 1250 closes the flow path of the washing water W2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purified water extraction operation.

다음으로 상기 복합 필터(900)의 세척을 위해, 상기 원수 공급부(1210)는 상기 원수(W1)가 상기 세척 모듈(1230)로 공급되도록 상기 원수(W1)의 유로를 개방한다. 이 때, 상기 세척수 제어밸브(1231)는 상기 세척수(W2)의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원수(W1)를 상기 세척 모듈(1230)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원수(W1)가 상기 복합 필터(900)로 이동되는 유로는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 모듈(1230)은 상기 세척수(W2)를 상기 복합 필터(900)에 공급한다. 상기 세척수(W2)가 상기 복합 필터(900)를 경유함에 따라, 상기 복합 필터(900)는 상기 세척수(W2)에 의해 세척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W2)는 상기 세척수 배출 밸브(12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정수 배출부(1220)는 상기 정수(C)의 유로를 폐쇄하여 상기 복합 필터(900)의 세척을 위한 동작 안정성이 확보된다.Next, in order to clean the complex filter 900 , the raw water supply unit 1210 opens a flow path of the raw water W1 so that the raw water W1 is supplied to the washing module 1230 . At this time, the washing water control valve 1231 opens the flow path of the washing water W2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raw water W1 to the washing module 1230, and the raw water W1 passes through the composite filter 900. ) is closed. And, the washing module 1230 supplies the washing water W2 to the composite filter 900 . As the washing water W2 passes through the composite filter 900, the composite filter 900 is washed by the washing water W2. And, the washing water W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shing water discharge valve 1250. At this time,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1220 closes the flow path of the purified water (C), so that operation stability for washing the composite filter 900 is secur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7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300)는 원수 공급부(1210), 복합 필터(900), 정수 배출부(1220), 정수 저장 탱크(1240) 및 세척 모듈(1230)을 포함하고,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하고, 정수 저장 탱크(1240)와 세척 모듈(1230)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정수 저장 탱크(1240)는 상기 정수 배출부(1220)와 연결된다. 상기 정수 배출부(1220)는 상기 복합 필터(900)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C)가 상기 정수 저장 탱크(1240)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 밸브(122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정수(C)는 상기 정수 배출부(1220)의 제어에 의해 외부로 추출되거나 상기 제1 제어 밸브(1221)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정수 저장 탱크(1240)로 이동된다.As shown in FIG. 7 , the water purifier 1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w water supply unit 1210, a composite filter 900, a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1220, a purified water storage tank 1240, and a washing module ( 1230), and descriptions of components identical or similar to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replaced with the above-described descriptions, and the purified water storage tank 1240 and the washing module 1230 will be focused on. The purified water storage tank 1240 is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1220 .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1220 includes a first control valve 1221 that controls the purified water C filtered by the complex filter 900 to be supplied to the purified water storage tank 1240 . Also, the purified water C is extracted to the outside by the control of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1220 or moved to the purified water storage tank 1240 by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valve 1221 .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300)에 있어서, 상기 세척 모듈(1230)은 상기 정수 저장 탱크(1240)로부터 공급받은 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세척수(W2)의 공급을 제어하는 세척수 제어 밸브(1233)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수 제어 밸브(1233)가 상기 정수(C)가 이동되는 유로를 개방하면, 상기 정수(C)는 상기 세척 모듈(1230)로 이동되어 상기 세척수(W2)로 이용된다. 이 때, 상기 원수(W1)가 이동되는 유로에는 제2 제어 밸브(1232)가 구비된다. 상기 세척 모듈(1230)을 경유한 상기 세척수(W2)는 상기 원수(W1)가 이동되는 유로에 배치된 제2 제어 밸브(1232)로 이동된다. 상기 제2 제어 밸브(1232)는 상기 원수(W1)의 공급을 중지시키면서 상기 세척수(W2)가 상기 복합 필터(900)에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반대로, 상기 원수(W1)가 상기 복합 필터(900)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세척수(W2)의 공급을 중지시킬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7 , in the water purifier 1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module 1230 uses the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purified water storage tank 1240 to wash the washing water W2 ) and a washing water control valve 1233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When the washing water control valve 1233 opens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C is moved, the purified water C is moved to the washing module 1230 and used as the washing water W2. At this time, a second control valve 1232 is provided in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raw water W1 is moved. The washing water W2 passing through the washing module 1230 is moved to the second control valve 1232 disposed in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raw water W1 is moved. The second control valve 1232 controls the washing water W2 to be supplied to the composite filter 900 while stopping the supply of the raw water W1, and conversely, the raw water W1 is supplied to the composite filter 900. ), the supply of the washing water W2 may be stopped.

그리고, 도 7을 참조하여 정수 추출 과정과 상기 복합 필터(900)의 세척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정수 추출을 위해, 상기 원수 공급부(1210)는 상기 원수(W1)가 상기 복합 필터(900)로 공급되도록 상기 원수(W1)의 유로를 개방된다. 이 때, 상기 제2 제어 밸브(1232)는 상기 원수(W1)의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원수(W1)를 상기 복합 필터(900)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세척수(W2)가 상기 복합 필터(900)로 이동되는 유로는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원수(W1)가 상기 복합 필터(900)를 경유함에 따라, 상기 복합 필터(900)는 상기 정수(C)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정수(C)는 상기 정수 배출부(1220)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추출되거나 상기 정수 저장 탱크(1240)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세척수 제어 밸브(1233)와 상기 세척수 배출 밸브(1250)는 상기 세척수(W2)의 유로를 폐쇄하여 상기 정수 추출의 동작의 안정성이 확보된다.And, with reference to FIG. 7 , a process of extracting purified water and a process of cleaning the complex filter 900 will be described. First, for purified water extraction, the raw water supply unit 1210 opens a flow path of the raw water W1 so that the raw water W1 is supplied to the composite filter 900 . At this time, the second control valve 1232 opens the flow path of the raw water W1 to control the raw water W1 to move to the composite filter 900, and the washing water W2 to the composite filter ( 900) is closed. Also, as the raw water W1 passes through the composite filter 900, the composite filter 900 generates the purified water C. And, the purified water C is extracted to the outside or moved to the purified water storage tank 124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1220 . At this time, the washing water control valve 1233 and the washing water discharge valve 1250 close the flow path of the washing water W2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purified water extraction operation.

다음으로 상기 복합 필터(900)의 세척을 위해, 상기 세척수 제어 밸브(1233)는 상기 세척수(W2)의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정수(C)를 상기 세척 모듈(1230)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 모듈(1230)은 상기 세척수(W2)를 상기 제2 제어 밸브(1232)에 공급한다. 이 때, 상기 제2 제어 밸브(1232)는 상기 원수(W1)의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세척수(W2)가 상기 복합 필터(900)로 이동되는 유로를 개방한다. 상기 세척수(W2)가 상기 복합 필터(900)를 경유함에 따라, 상기 복합 필터(900)는 상기 세척수(W2)에 의해 세척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W2)는 상기 세척수 배출 밸브(12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정수 배출부(1220)는 상기 정수(C)의 유로를 폐쇄하여 상기 복합 필터(900)의 세척을 위한 동작 안정성이 확보된다.Next, in order to wash the complex filter 900, the washing water control valve 1233 controls the purified water C to be moved to the washing module 1230 by opening the passage of the washing water W2. And, the washing module 1230 supplies the washing water W2 to the second control valve 1232 . At this time, the second control valve 1232 closes the flow path of the raw water W1 and opens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W2 moves to the composite filter 900 . As the washing water W2 passes through the composite filter 900, the composite filter 900 is washed by the washing water W2. And, the washing water W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shing water discharge valve 1250. At this time,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1220 closes the flow path of the purified water (C), so that operation stability for washing the composite filter 900 is secured.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8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400)는 원수 공급부(1210), 복합 필터(900), 정수 배출부(1220), 정수 저장 탱크(1241) 및 세척 모듈(1230)을 포함하고,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하고, 정수 저장 탱크(1241)와 세척 모듈(1230)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정수 저장 탱크(1241)는 상기 복합 필터(900)와 상기 정수 배출부(12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정수 배출부(1220)와 연결된다. 상기 복합 필터(900)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C)는 상기 정수 저장 탱크(1241)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정수(C)는 상기 정수 배출부(1220)의 제어에 의해 외부로 추출된다.As shown in FIG. 8 , a water purifier 1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w water supply unit 1210, a composite filter 900, a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1220, a purified water storage tank 1241, and a washing module. 1230, and descriptions of components identical or similar to those of the foregoing embodiment are replaced with the foregoing descriptions, and the purified water storage tank 1241 and the washing module 1230 will be focused on. The purified water storage tank 1241 is disposed between the composite filter 900 and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1220 and is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1220 . The purified water C filtered by the complex filter 900 is supplied to the purified water storage tank 1241 . Then, the purified water (C) is extracted to the outside by the control of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1220 .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400)에 있어서, 상기 세척 모듈(1230)은 상기 정수 저장 탱크(1241)로부터 공급받은 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세척수(W2)의 공급을 제어하는 세척수 제어 밸브(1234)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수 제어 밸브(1234)가 상기 정수(C)가 이동되는 유로를 개방하면, 상기 정수(C)는 상기 세척 모듈(1230)로 이동되어 상기 세척수(W2)로 이용된다. 이 때, 상기 원수(W1)가 이동되는 유로에는 제어 밸브(801a)가 구비된다. 상기 세척 모듈(1230)을 경유한 상기 세척수(W2)는 상기 원수(W1)가 이동되는 유로에 배치된 제어 밸브(1215)로 이동된다. 상기 제어 밸브(1215)는 상기 원수(W1)의 공급을 중지시키면서 상기 세척수(W2)가 상기 복합 필터(900)에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반대로, 상기 원수(W1)가 상기 복합 필터(900)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세척수(W2)의 공급을 중지시킬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8 , in the water purifier 1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module 1230 uses the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purified water storage tank 1241 to wash the washing water W2 ) and a washing water control valve 1234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When the washing water control valve 1234 opens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C is moved, the purified water C is moved to the washing module 1230 and used as the washing water W2. At this time, a control valve (801a) is provided in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raw water (W1) is moved. The washing water W2 passing through the washing module 1230 is moved to the control valve 1215 disposed in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raw water W1 is moved. The control valve 1215 controls the washing water W2 to be supplied to the composite filter 900 while stopping the supply of the raw water W1, and conversely, the raw water W1 is supplied to the composite filter 900. The supply of the washing water W2 may be stopped while being controlled to be supplied.

그리고, 도 8을 참조하여 정수 추출 과정과 상기 복합 필터(900)의 세척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정수 추출을 위해, 상기 원수 공급부(1210)는 상기 원수(W1)가 상기 복합 필터(900)로 공급되도록 상기 원수(W1)의 유로를 개방된다. 이 때, 상기 제어 밸브(1215)는 상기 원수(W1)의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원수(W1)를 상기 복합 필터(900)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세척수(W2)가 상기 복합 필터(900)로 이동되는 유로는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원수(W1)가 상기 복합 필터(900)를 경유함에 따라, 상기 복합 필터(900)는 상기 정수(C)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정수(C)는 상기 정수 저장 탱크(1241)에 저장된 후, 상기 정수 배출부(1220)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추출된다. 이 때, 상기 세척수 제어 밸브(1234)와 상기 세척수 배출 밸브(1250)는 상기 세척수(W2)의 유로를 폐쇄하여 상기 정수 추출의 동작의 안정성이 확보된다.And, with reference to FIG. 8 , a process of extracting purified water and a process of cleaning the complex filter 900 will be described. First, for purified water extraction, the raw water supply unit 1210 opens a flow path of the raw water W1 so that the raw water W1 is supplied to the composite filter 900 . At this time, the control valve 1215 opens the flow path of the raw water W1 to control the raw water W1 to be moved to the composite filter 900, and the washing water W2 passes through the composite filter 900. The flow path moved to is closed. Also, as the raw water W1 passes through the composite filter 900, the composite filter 900 generates the purified water C. After the purified water C is stored in the purified water storage tank 1241, it is extracted to the outside under the control of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1220. At this time, the washing water control valve 1234 and the washing water discharge valve 1250 close the flow path of the washing water W2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purified water extraction operation.

다음으로 상기 복합 필터(900)의 세척을 위해, 상기 정수 배출부(1220)는 상기 정수(C)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정수(C)의 유로를 폐쇄한다. 이 때, 상기 세척수 제어 밸브(1234)는 상기 세척수(W2)의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정수(C)를 상기 세척 모듈(1230)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 모듈(1230)은 상기 세척수(W2)를 상기 제어 밸브(1215)에 공급한다. 이 때, 상기 제어 밸브(1215)는 상기 원수(W1)의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세척수(W2)가 상기 복합 필터(900)로 이동되는 유로를 개방한다. 상기 세척수(W2)가 상기 복합 필터(900)를 경유함에 따라, 상기 복합 필터(900)는 상기 세척수(W2)에 의해 세척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W2)는 상기 세척수 배출 밸브(12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정수(C)가 상기 세척수(W2)로 이용됨에 따라, 상기 복합 필터(900)의 세척 효율이 개선된다.Next, to clean the complex filter 900,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1220 closes the purified water C flow path so that the purified water C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washing water control valve 1234 opens the passage of the washing water W2 and controls the purified water C to be moved to the washing module 1230 . And, the washing module 1230 supplies the washing water W2 to the control valve 1215 . At this time, the control valve 1215 closes the flow path of the raw water W1 and opens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W2 moves to the composite filter 900 . As the washing water W2 passes through the composite filter 900, the composite filter 900 is washed by the washing water W2. And, the washing water W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shing water discharge valve 1250. As the purified water C is used as the washing water W2 in this way, the washing efficiency of the composite filter 900 is improv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or change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Other embodiments can be easily proposed by adding, deleting, adding, etc.,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900: 복합 필터 910: 하우징부
911: 헤드 부재 912: 케이스 부재
920: 원수 입수 포트 930: 정수 출수 포트
940: 세척수 배출 포트 911a: 제1 구획 벽체
911b: 제2 구획 벽체 1000: 여과부
1010: 제1 필터 부재 1020: 제2 필터 부재
1030: 제1 바디 부재 1040: 제1 어퍼캡 부재
1050: 제2 어퍼캡 부재 1060: 제1 로워캡 부재
1070: 제2 바디 부재 1080: 제3 어퍼캡 부재
900: composite filter 910: housing part
911 Head member 912 Case member
920: raw water inlet port 930: purified water outlet port
940: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911a: first compartment wall
911b: second partition wall 1000: filtering unit
1010: first filter member 1020: second filter member
1030: first body member 1040: first upper cap member
1050: second upper cap member 1060: first lower cap member
1070: second body member 1080: third upper cap member

Claims (21)

원수가 입수되는 원수 입수 포트, 여과된 정수가 출수되는 정수 출수 포트 및 세척수가 배출되는 세척수 배출 포트가 구비된 하우징부; 및
상기 원수를 여과해서 제1 정수를 생성하는 제1 필터 부재와, 상기 제1 정수를 여과해서 제2 정수를 생성하되, 상기 제1 필터 부재의 하부에 적층 배치되는 제2 필터 부재가 구비되는 여과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원수와 상기 세척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구획 벽체와, 상기 정수와 상기 세척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되는 헤드 부재; 및
상기 헤드 부재로부터 연장되고, 그 내부에 상기 여과부가 배치되는 케이스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는,
상기 제1 필터 부재를 둘러싸는 제1 바디 부재;
상기 제1 필터 부재가 하측에 배치되는 제1 어퍼캡 부재;
상기 제1 어퍼캡 부재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디 부재가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어퍼캡 부재;
상기 제1 필터 부재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필터 부재를 관통하는 제1 로워캡 부재;
상기 제2 필터 부재를 둘러싸는 제2 바디 부재; 및
상기 제2 필터 부재가 하측에 배치되는 제3 어퍼캡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a housing having a raw water intake port through which raw water is received, a purified water outlet port through which filtered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and a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washing water is discharged; and
Filtering comprising a first filter member for filtering the raw water to generate first purified water, and a second filter member for filtering the first purified water to generate second purified water and stacked under the first filter member. wealth; Including,
the housing part,
a head member having a first partition wall for preventing mixing of the raw water and the washing water and a second partition wall for preventing mixing of the purified water and the washing water; and
a case member extending from the head member and having the filtration unit disposed therein; including,
The filter unit,
a first body member surrounding the first filter member;
a first upper cap member on which the first filter member is disposed below;
a second upper cap member in which the first upper cap member is disposed on a lower side and the first body member is disposed on a lower side;
a first lower cap member on which the first filter member is disposed above and penetrating the second filter member;
a second body member surrounding the second filter member; and
a third upper cap member on which the second filter member is disposed below; Complex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제2 필터 부재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2 로워캡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ing un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lower cap member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second filter memb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워캡 부재는, 상기 제2 필터 부재와 결합되도록 상향 연장 배치된 제2 로워캡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According to claim 2,
The composite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lower cap member includes a second lower cap guide extending upward to be coupled with the second filter memb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는 상기 원수가 상기 제2 필터 부재로 유입되도록 상향 연장 배치된 제1 상향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upper cap member includes a first upward guide extending upward to allow the raw water to flow into the second filter memb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퍼캡 부재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제1 필터 부재로부터 배출되도록 상향 연장 배치된 제2 상향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osite filter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upper cap member includes a second upward guide extending upward to allow the washing water to be discharged from the first filter memb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워캡 부재는 상기 제2 필터 부재를 관통하도록 하향 연장 배치된 제1 로워캡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osite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lower cap member includes a first lower cap guide extending downward to pass through the second filter memb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어퍼캡 부재는 상기 제2 필터 부재와 결합되도록 하향 연장 배치된 어퍼캡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osite filter, wherein the third upper cap member includes an upper cap guide extending downward to be coupled with the second filter memb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는 상기 제1 필터 부재를 세척한 후, 상기 제1 필터 부재와 상기 제1 바디 부재 사이에 형성된 제1 배출 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세척수 배출 포트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According to claim 1,
After washing the first filter member, the washing water is moved to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via a first discharge passage formed between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first body member.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 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제1 배출 통로와 연통되는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필터 부재를 세척한 세척수는 상기 복수의 배출홀을 통해 상기 제1 배출 통로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According to claim 8,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ischarge passage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The composite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hing water that washed the first filter member is moved to the first discharge passage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와 상기 제2 어퍼캡 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1 배출 통로와 연통되는 제2 배출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출 통로는 상기 세척수 배출 포트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According to claim 9,
A second discharge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ischarge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upper cap member and the second upper cap member,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is a composite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in communication with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와 상기 제1 필터 부재 사이에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제1 필터 부재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오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According to claim 10,
A composite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O-ring is formed between the first upper cap member and the first filter member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re-introducing into the first filter member.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퍼캡 부재와 상기 제1 바디 부재 사이에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제2 정수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오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According to claim 10,
A composite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O-ring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upper cap member and the first body member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being mixed with the second purified water.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 부재와 상기 제1 로워캡 부재 사이에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제2 필터 부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 오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According to claim 10,
A composite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O-ring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first lower cap member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flowing into the second filter member.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부재와 상기 제1 로워캡 부재 사이에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제2 정수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4 오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According to claim 10,
A composite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a fourth O-ring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member and the first lower cap member to prevent mixing of the washing water with the second purified water.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 부재와 상기 제3 어퍼캡 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2 정수가 상기 제2 필터 부재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5 오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According to claim 10,
A composite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a fifth O-ring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body member and the third upper cap member to prevent the second purified water from re-introducing into the second filter memb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와 상기 제1 바디 부재 사이에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기 위한 제1 스페이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According to claim 1,
A composite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space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upper cap member and the first body member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퍼캡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 사이에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기 위한 제2 스페이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According to claim 1,
A composite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spacer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upper cap member and the case member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원수 공급부;
상기 원수 공급부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필터링하는 복합 필터;
상기 복합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정수 배출부; 및
상기 원수 공급부와 상기 복합 필터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복합 필터에 세척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세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필터는,
상기 원수를 여과해서 제1 정수를 생성하는 제1 필터 부재와, 상기 제1 정수를 여과해서 제2 정수를 생성하되, 상기 제1 필터 부재의 하부에 적층 배치되는 제2 필터 부재가 구비되는 여과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부는,
상기 제1 필터를 둘러싸는 제1 바디 부재;
상기 제1 필터 부재가 하측에 배치되는 제1 어퍼캡 부재;
상기 제1 어퍼캡 부재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디 부재가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어퍼캡 부재;
상기 제1 필터 부재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필터 부재를 관통하는 제1 로워캡 부재;
상기 제2 필터 부재를 둘러싸는 제2 바디 부재; 및
상기 제2 필터 부재가 하측에 배치되는 제3 어퍼캡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원수와 상기 세척수는 상기 복합 필터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Raw water supply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raw water;
A complex filter for receiving and filtering raw water supplied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a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complex filter; and
A washing module provided between the raw water supply unit and the composite filter and controlling the supply of washing water to the composite filter,
The composite filter,
Filtering comprising a first filter member for filtering the raw water to generate first purified water, and a second filter member for filtering the first purified water to generate second purified water and stacked under the first filter member. wealth; Including,
The filter unit,
a first body member surrounding the first filter;
a first upper cap member on which the first filter member is disposed below;
a second upper cap member in which the first upper cap member is disposed on a lower side and the first body member is disposed on a lower side;
a first lower cap member on which the first filter member is disposed above and penetrating the second filter member;
a second body member surrounding the second filter member; and
a third upper cap member on which the second filter member is disposed below; including,
Th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aw water and the washing water ar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composite filter.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필터는,
원수가 입수되는 원수 입수 포트, 여과된 정수가 출수되는 정수 출수 포트 및 세척수가 배출되는 세척수 배출 포트가 구비된 하우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원수와 상기 세척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구획 벽체와, 상기 정수와 상기 세척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되는 헤드 부재; 및
상기 헤드 부재로부터 연장되고, 그 내부에 상기 여과부가 배치되는 케이스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8,
The composite filter,
a housing having a raw water intake port through which raw water is received, a purified water outlet port through which filtered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and a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washing water is discharged; Including more,
the housing part,
a head member having a first partition wall for preventing mixing of the raw water and the washing water and a second partition wall for preventing mixing of the purified water and the washing water; and
a case member extending from the head member and having the filtration unit disposed therein; A water purifier comprising a.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모듈은, 상기 원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원수를 이용하여 상기 복합 필터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8,
The washing module is a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for washing the complex filter using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배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복합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를 공급받는 정수 저장 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 모듈은, 상기 정수 저장 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복합 필터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8,
Further comprising a purified water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outlet and supplied with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complex filter;
The washing module is a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for washing the composite filter using the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purified water storage tank.
KR1020210160466A 2021-11-09 2021-11-19 Composite filter and water purifier with the same KR20230073755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466A KR20230073755A (en) 2021-11-19 2021-11-19 Composite filter and water purifier with the same
PCT/KR2022/010715 WO2023085548A1 (en) 2021-11-09 2022-07-21 Composite filter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466A KR20230073755A (en) 2021-11-19 2021-11-19 Composite filter and water purifier with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755A true KR20230073755A (en) 2023-05-26

Family

ID=8653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466A KR20230073755A (en) 2021-11-09 2021-11-19 Composite filter and water purifier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3755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3123A (en) 2009-06-11 2010-12-2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Water purifier which can wash water purifying filter therein
KR20120054919A (en) 2010-11-22 2012-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Composite filt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KR20150067664A (en) 2013-12-10 2015-06-18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purifying fil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3123A (en) 2009-06-11 2010-12-2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Water purifier which can wash water purifying filter therein
KR20120054919A (en) 2010-11-22 2012-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Composite filt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KR20150067664A (en) 2013-12-10 2015-06-18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purifying fil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13301A (en) Multi-function control valve for water treatment system
KR20230073755A (en) Composite filter and water purifier with the same
KR20220111593A (en) Water purifier
KR20230067792A (en) Composite filter and water purifier with the same
KR20230072240A (en) Composite filter and water purifier with the same
CN110550770B (en) Purification-softening water treatment system and plane valve thereof
CN110862166B (en) Multifunctional water treatment machine
KR20110007542A (en) Carbon-filter device of water purifier
CN114364444B (en) Water purifier and filter for water purifier
KR20160109967A (en) assembly of RO sheet and RO filter
WO2012032929A1 (en) Water purifier
KR102637384B1 (en) A back washing type water purifier, purif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211226631U (en) Plane valve for purifying-softening water treatment system and valve core thereof
KR20230033052A (en) Water purifier having composite filter
KR20230017532A (en) Water purifier having composite filter
KR20230058247A (en) Water purifier having composite filter
KR20230027797A (en) Water purifier having composite filter
KR20230018727A (en) Water purifier having composite filter
EP4360732A1 (en) Water purifier having composite filter
KR20220169165A (en) Water purifier having composite filter
CN111217464A (en) Composite water purifying filter for water purifier
KR20220150711A (en) Water purifier having composite filter
KR20220169164A (en) Water purifier having composite filter
KR20230049363A (en) Water purifier having composite filter
KR101215567B1 (en) Complex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bubble effect and raw water induction pi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