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7664A - Water purifying filter - Google Patents
Water purifying fil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67664A KR20150067664A KR1020130153408A KR20130153408A KR20150067664A KR 20150067664 A KR20150067664 A KR 20150067664A KR 1020130153408 A KR1020130153408 A KR 1020130153408A KR 20130153408 A KR20130153408 A KR 20130153408A KR 20150067664 A KR20150067664 A KR 201500676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filter
- carbon
- filtered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98 carbon fil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10 hollow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01D29/21—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01D29/27—Filter 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정수필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는 여과될 물이 유입되고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유입된 물이 여과되도록 입상활성탄을 포함하는 카본여과부; 및 상기 카본여과부의 외측을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에 유입된 물이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상기 카본여과부로 유동하도록 하는 제1여과부재; 및 상기 카본여과부의 내측을 지지하며 상기 카본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이 통과하면서 여과되는 제2여과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Start an integer filt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filter comprising: a housing having water to be filtered and water to be filtered; A carbon filter portion including particulate activated carbon to filter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And a first filter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outside of the carbon filter portion and allowing the water flowing into the housing to pass therethrough and to flow to the carbon filter portion; And a second filtration member which supports the inside of the carbon filtration part and is filtered while passing water filtered by the carbon filtration part; . ≪ / RTI >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과성능이 우수한 입상활성탄을 사용하여 물을 여과할 수 있으며 2가지 이상의 여과기능을 하는 정수필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filter for filtering w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filter capable of filtering water using granular activated carbon having excellent filtering performance and performing two or more filtering functions.
정수필터는 물을 여과하는 장치이다.The water filter is a device for filtering water.
이러한 정수필터에는 물에 포함된 찌꺼기와 오물 등을 여과하는 세디먼트 필터, 잔류염소가 유기화합물이나 물속에 존재하는 냄새 및 세균을 제거하는 카본필터, 중금속 또는 이온성 물질이나 미생물 등을 여과하는 멤브레인필터 등이 있다.Such water filters include a sediment filter for filtering the residues and dirt contained in water, a carbon filter for removing odors and germs present in organic compounds or water, a heavy metal or a membrane for filtering ionic substances or microorganisms Filters and the like.
또한, 정수필터에는 2가지 이상의 여과기능을 하는 복합필터도 있다.In addition, a water filter has a composite filter having two or more filtering functions.
물의 여과를 위해서 정수필터에는 중공사막이 포함되거나 카본블럭이 포함된다.For the filtration of water, the water filter includes a hollow fiber membrane or a carbon block.
한편, 카본필터는 입상활성탄에 형성된 기공에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포집되어 물을 여과한다. 입상활성탄은 미세하여 고형화된 형상을 이룰 수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카본필터는 입상활성탄과 바인더가 혼합되어 만들어진 카본블럭을 포함함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rbon filter,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water are collected in pores formed in granular activated carbon, and water is filtered. Since the granular activated carbon can not be formed into a fine and solidified shape, a typical carbon filter includes a carbon block made by mixing granular activated carbon and a binder.
이러한 카본블럭은 여과기능을 할 수 없는 바인더가 혼합되기 때문에 혼합된 바인더의 양만큼 여과성능이 저하되며, 일부만이 물의 여과에 사용된다는 단점이 있다.Since such a carbon block is mixed with a binder which can not perform a filtering function, the filtering performance is lowered by the amount of the mixed binder, and only a part of the carbon block is used for filtration of wa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필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by recognizing at least any one of the requirements or problems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water filter.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여과성능이 우수한 입상활성탄에 의해서 물을 여과하도록 하는 것이다.One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water to be filtered by granular activated carbon having excellent filtration performance.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입상활성탄뿐만 아니라 부직포 복합체층에 형성된 기공에 의해서도 물을 여과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lter the water not only by the granular activated carbon but also by the pores formed in the nonwoven fabric composite layer.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정전기력에 의해서 물에 포함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을 포집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llect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and viruses contained in water by electrostatic force.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수필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An integer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blems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필터는 여과될 물이 유입되고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하우징; 하우징에 유입된 물이 여과되도록 입상활성탄을 포함하는 카본여과부; 및 카본여과부의 외측을 지지하며 하우징에 유입된 물이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카본여과부로 유동하도록 하는 제1여과부재; 및 카본여과부의 내측을 지지하며 카본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이 통과하면서 여과되는 제2여과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filter comprising: a housing into which water to be filtered flows and in which filtered water is discharged; A carbon filter portion including granular activated carbon so that wate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is filtered; And a first filtration member supporting the outer side of the carbon filtration part and allowing the water flowing into the housing to pass through and to flow to the carbon filter part; And a second filtration member which supports the inside of the carbon filtration part and is filtered while passing the filtered water in the carbon filtration part; . ≪ / RTI >
이 경우, 상기 제1,2여과부재는 대전(帶電)된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복합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filter members may include a nonwoven fabric composite layer containing charged fibers.
또한, 상기 대전된 섬유는 대전된 유리섬유나 대전된 알루미나 섬유 또는 대전된 셀룰로오스일 수 있다.The charged fibers can also be charged glass fibers, electrified alumina fibers or electrified cellulose.
그리고, 상기 제1여과부재의 기공의 크기는 4㎛ 내지 6㎛일 수 있다.The size of the pores of the first filter member may be 4 탆 to 6 탆.
또한, 상기 제2여과부재의 기공의 크기는 0.5㎛ 내지 1.5㎛일 수 있다.The size of the pores of the second filter member may be 0.5 탆 to 1.5 탆.
그리고, 상기 제1,2여과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회 절곡되어 주름질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lter members may be bent and folded a plurality of times.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상활성탄을 제1,2여과부재에 의해서 지지하여 여과성능이 우수한 입상활성탄에 의해서 물을 여과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nular activated carbon can be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filter members, and water can be filtered by the granular activated carbon having an excellent filtration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2여과부재가 무수히 많은 기공이 형성된 부직포 복합체층을 포함하도록 하여 부직포 복합체층에 형성된 기공에 의해서도 물을 여과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filter members include a nonwoven fabric composite layer having numerous pores, so that water can be filtered by the pores formed in the nonwoven fabric composite layer.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직포 복합체층이 대전된 섬유를 포함하여 정전기력에 의해서 물에 포함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을 포집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woven fabric composite layer can contain the charged fibers and collect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and viruses contained in the water by the electrostatic forc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과 도4는 각각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와 도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낸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wate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wate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and FIG. 1, respectively, and show operations of an embodiment of the wate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정수필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ased on embodiments best suited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illustrated embodiments.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which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each embodiment, the related constituent elem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or an extension line number.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과 도4는 각각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와 도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낸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wate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wate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1 and showing the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wate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100)의 일실시예는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 카본여과부(300), 제1여과부재(400) 및, 제2여과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2 to 4, the
하우징(20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될 물이 유입되고 여과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하우징(200)은 여과될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221)와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231)가 구비될 수 있다.The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은 하우징바디(210)와 하우징덮개(22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하우징바디(210)는 일측이 개방되며 후술할 카본여과부(300)와 제1여과부재(400) 및 제2여과부재(500)가 구비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덮개(220)는 하우징바디(210)의 개방된 일측을 덮을 수 있다.The
하우징덮개(220)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구(221)가 형성될 수 있다. 입수구(2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덮개(220)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입수구(221)를 통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될 물이 하우징(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또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덮개(220)에는 통과구멍(222)이 형성될 수도 있다. 통과구멍(222)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카본여과부(300)와 제1여과부재(400) 및 제2여과부재(50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재(230)의 출수구(231)가 통과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S. 1 to 3, a through
그러나, 하우징바디(210)의 형상과 하우징덮개(22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측이 개방되며 카본여과부(300)와 제1여과부재(400) 및 제2여과부재(500)가 구비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우징바디(210)의 개방된 일측을 덮을수 있는 형상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However, the shape of the
전술하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부재(230)의 출수구(231)가 하우징덮개(220)의 통과구멍(222)을 통과하여 위치함으로써, 후술할 카본여과부(300)와 제1여과부재(400) 및 제2여과부재(500)의 상부가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카본여과부(300)와 제1여과부재(400) 및 제2여과부재(500)의 하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부재(24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3, the
카본여과부(300)는 입상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하우징(200)에 유입된 물이 여과될 수 있다. 즉, 입상활성탄에 형성된 기공에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것에 의해서 물이 여과될 수 있다.The
따라서, 각각의 입상활성탄에 의해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포집될 수 있기 때문에, 여과성능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일부분만이 여과에 사용되지 않고 모든 부분을 여과에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water can be collected by each granular activated carbon, so that the filtration performance can be excellent. In addition, only a portion is not used for filtration, and all portions can be used for filtration.
카본여과부(300)에 포함되는 입상활성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입상활성탄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The particulate activated carbon contained in the
제1여과부재(400)는 카본여과부(300)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본여과부(300)가 중공의 원통형이라면 원통형 외측을 지지할 수 있다.The
이에 의해서, 카본여과부(300)에 포함된 전술한 입상활성탄이 카본여과부(300) 이외의 다른 하우징(200)의 부분으로 퍼지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granular activated carbon contained in the
또한, 제1여과부재(400)는 하우징(200)에 유입된 물이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카본여과부(300)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입수구(221)를 통해 하우징(200)에 유입된 물은 먼저 제1여과부재(40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카본여과부(300)에서 여과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를 위해서, 제1여과부재(400)는 대전(帶電)된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복합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부직포 복합체층에는 무수히 많은 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에 포함된 이물질 중 부직포복합체층에 형성된 기공의 크기보다 큰 이물질은 부직포 복합체층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A large number of pores may be formed in the nonwoven fabric composite layer. Accordingly,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ter, which is larger than the pore size formed in the nonwoven fabric composite layer, can not pass through the nonwoven fabric composite layer.
그리고, 이에 의해서 물이 부직포 복합체층을 포함하는 제1여과부재(400)를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다.Thereby, the water can be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제1여과부재(400)의 기공의 크기는 4㎛ 내지 6㎛일 수 있다.The size of the pores of the
제1여과부재(400)의 기공의 크기가 4㎛보다 작으면, 제1여과부재(400)에 의해서 여과되는 이물질이 상대적으로 많아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여과부재(400)가 이물질에 의해서 조기에 막힐 수 있어서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If the pore size of the
또한, 제1여과부재(400)의 기공의 크기가 6㎛보다 크면 제1여과부재(400)에 의해서 여과되는 이물질이 적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카본여과부(300)에 의해서 여과되는 이물질이나, 후술할 제2여과부재(500)에 의해서 여과되는 이물질이 상대적으로 많아질 수 있다. 따라서, 카본여과부(300)나 제2여과부재(500)가 이물질에 의해서 조기에 막힐 수 있어서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If the pore size of the
그러므로, 제1여과부재(400)의 기공의 크기는 4㎛ 내지 6㎛가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size of the pores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여과부재(400)에 포함되는 부직포 복합체층은 대전된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 크기가 일반적으로 0.02㎛ 내지 0.5㎛이어서 기공에 의해서 여과할 수 없는 바이러스나 세균 등 표면에 정전기가 대전된 미생물을 대전된 섬유의 정전기력에 의해서 포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nonwoven fabric composite layer included in the
대전된 섬유는 대전된 유리섬유나 대전된 알루미나 섬유 또는 대전된 셀룰로오스일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대전된 섬유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The charged fibers can be charged glass fibers, electrified alumina fibers or electrified cellulose. However,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known fiber may be used.
제1여과부재(400)는 도2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회 절곡되어 주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여과부재(400)와 물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제1여과부재(400)의 여과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The
제2여과부재(500)는 카본여과부(300)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본여과부(300)가 중공의 원통형이라면 제2여과부재(500)는 중공에 삽입되어 원통형의 내측인 중공부를 지지할 수 있다.The
이에 의해서, 카본여과부(300)에 포함된 전술한 입상활성탄이 카본여과부(300) 이외의 다른 하우징(200)의 부분으로 퍼지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granular activated carbon contained in the
또한, 제2여과부재(500)는 카본여과부(300)에서 여과된 물이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다. 즉,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본여과부(300)에서 입상활성탄에 의해서 여과된 물은 제2여과부재(500)를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구(2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를 위해서, 제2여과부재(500)는 대전(帶電)된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복합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부직포 복합체층은 무수히 많은 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에 포함된 이물질 중 부직포복합체층에 형성된 기공의 크기보다 큰 이물질은 부직포 복합체층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 large number of pores can be formed in the nonwoven fabric composite layer. Accordingly,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ter, which is larger than the pore size formed in the nonwoven fabric composite layer, can not pass through the nonwoven fabric composite layer.
이에 의해서, 물이 부직포 복합체층을 포함하는 제2여과부재(500)를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다.Thereby, the water can be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제2여과부재(500)의 기공의 크기는 0.5㎛ 내지 1.5㎛일 수 있다.The size of the pores of the
제2여과부재(500)의 기공의 크기가 0.5㎛보다 작으면 제2여과부재(500)에 의해서 여과되는 이물질이 상대적으로 많아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2여과부재(500)가 이물질에 의해서 조기에 막힐 수 있어서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If the pore size of the
또한, 제2여과부재(500)의 기공의 크기가 1.5㎛보다 크면 카본여과부(300)에 포함되는 입상활성탄이 제2여과부재(500)의 기공을 통해 하우징(200)의 다른 부분으로 퍼질 수 있다.If the size of the pores of the
그러므로, 제2여과부재(500)의 기공의 크기는 0.5㎛ 내지 1.5㎛가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size of the pores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여과부재(500)에 포함되는 부직포 복합체층은 대전된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 크기가 일반적으로 0.02㎛ 내지 0.5㎛이어서 기공에 의해서 여과할 수 없는 바이러스나 세균 등 표면에 정전기가 대전된 미생물을 대전된 섬유의 정전기력에 의해서 포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nonwoven fabric composite layer included in the
대전된 섬유는 대전된 유리섬유나 대전된 알루미나 섬유 또는 대전된 셀룰로오스일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대전된 섬유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The charged fibers can be charged glass fibers, electrified alumina fibers or electrified cellulose. However,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known fiber may be used.
제2여과부재(500)도 도2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회 절곡되어 주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여과부재(500)와 물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제2여과부재(500)의 여과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를 사용하면, 여과성능이 우수한 입상활성탄에 의해서 물을 여과할 수 있으며, 부직포 복합체층에 형성된 기공에 의해서도 물을 여과할 수 있고, 정전기력에 의해서 물에 포함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을 포집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wate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can be filtered by the granular activated carbon having excellent filtration performance, water can be filtered by the pores formed in the nonwoven fabric composite layer, and water is contained by the electrostatic force It is possible to collect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and viruses.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정수필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water filter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However,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0 : 정수필터 200 : 하우징
210 : 하우징바디 220 : 하우징덮개
221 : 입수구 222 : 통과구멍
230 : 상부지지부재 231 : 출수구
300 : 카본여과부 400 : 제1여과부재
500 : 제2여과부재 100: water filter 200: housing
210: housing body 220: housing cover
221: inlet port 222: through hole
230: Upper support member 231: Outlet
300: carbon filtration unit 400: first filtration member
500: second filtration member
Claims (6)
상기 하우징에 유입된 물이 여과되도록 입상활성탄을 포함하는 카본여과부; 및
상기 카본여과부의 외측을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에 유입된 물이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상기 카본여과부로 유동하도록 하는 제1여과부재; 및
상기 카본여과부의 내측을 지지하며 상기 카본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이 통과하면서 여과되는 제2여과부재;
를 포함하는 정수필터.A housing through which the water to be filtered flows and the filtered water is discharged;
A carbon filter portion including particulate activated carbon to filter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And
A first filtering member that supports an outer side of the carbon filter portion and allows the water flowing into the housing to pass therethrough and then flows to the carbon filter portion; And
A second filtration member which supports the inside of the carbon filtration part and is filtered while passing the filtered water through the carbon filtration part;
Lt; / RTI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3408A KR20150067664A (en) | 2013-12-10 | 2013-12-10 | Water purifying fil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3408A KR20150067664A (en) | 2013-12-10 | 2013-12-10 | Water purifying fil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7664A true KR20150067664A (en) | 2015-06-18 |
Family
ID=5351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53408A KR20150067664A (en) | 2013-12-10 | 2013-12-10 | Water purifying fil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67664A (en)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8456B1 (en) * | 2015-12-30 | 2016-12-21 | 박창현 | Salt Water Filter for Salt Field |
KR20190086397A (en) * | 2018-01-12 | 2019-07-22 | 주식회사 스탠다드그래핀 | Graphene filter module for water treatment |
IT201800010387A1 (en) * | 2018-11-16 | 2020-05-16 | Univ Degli Studi Di Salerno | FILTRATION DEVICE |
WO2020189950A1 (en) * | 2019-03-18 | 2020-09-24 |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 Portable water bottle cap with built-in filter |
WO2020231192A1 (en) * | 2019-05-14 | 2020-11-19 | 이정훈 | Water treatment reactor, 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hich comprise same |
KR102426003B1 (en) * | 2021-05-31 | 2022-07-29 |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 Filter for purification of apartment water tank and filtration apparatus |
KR20230067792A (en) | 2021-11-09 | 2023-05-17 | 코웨이 주식회사 | Composite filter and water purifier with the same |
WO2023085548A1 (en) | 2021-11-09 | 2023-05-19 | 코웨이 주식회사 | Composite filter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same |
KR20230072240A (en) | 2021-11-17 | 2023-05-24 | 코웨이 주식회사 | Composite filter and water purifier with the same |
KR20230073755A (en) | 2021-11-19 | 2023-05-26 | 코웨이 주식회사 | Composite filter and water purifier with the same |
-
2013
- 2013-12-10 KR KR1020130153408A patent/KR20150067664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8456B1 (en) * | 2015-12-30 | 2016-12-21 | 박창현 | Salt Water Filter for Salt Field |
KR20190086397A (en) * | 2018-01-12 | 2019-07-22 | 주식회사 스탠다드그래핀 | Graphene filter module for water treatment |
KR20200033838A (en) * | 2018-01-12 | 2020-03-30 | 주식회사 스탠다드그래핀 | Graphene filter module for water treatment |
CN111629809A (en) * | 2018-01-12 | 2020-09-04 | 标准石墨烯有限公司 | Graphene filtering module for water treatment |
IT201800010387A1 (en) * | 2018-11-16 | 2020-05-16 | Univ Degli Studi Di Salerno | FILTRATION DEVICE |
CN111701327B (en) * | 2019-03-18 | 2022-03-25 | 恩铂锘有限公司 | Cap with built-in filter for portable water bottle |
WO2020189950A1 (en) * | 2019-03-18 | 2020-09-24 |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 Portable water bottle cap with built-in filter |
CN111701327A (en) * | 2019-03-18 | 2020-09-25 | 恩铂锘有限公司 | Cap with built-in filter for portable water bottle |
KR20200110964A (en) * | 2019-03-18 | 2020-09-28 |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 Water Bottle Cap With Filter |
WO2020231192A1 (en) * | 2019-05-14 | 2020-11-19 | 이정훈 | Water treatment reactor, 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hich comprise same |
KR20200131944A (en) * | 2019-05-14 | 2020-11-25 | 이정훈 | Water treatment reactor, and water treatment system 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including the reactor |
KR102426003B1 (en) * | 2021-05-31 | 2022-07-29 |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 Filter for purification of apartment water tank and filtration apparatus |
KR20230067792A (en) | 2021-11-09 | 2023-05-17 | 코웨이 주식회사 | Composite filter and water purifier with the same |
WO2023085548A1 (en) | 2021-11-09 | 2023-05-19 | 코웨이 주식회사 | Composite filter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same |
KR20230072240A (en) | 2021-11-17 | 2023-05-24 | 코웨이 주식회사 | Composite filter and water purifier with the same |
KR20230073755A (en) | 2021-11-19 | 2023-05-26 | 코웨이 주식회사 | Composite filter and water purifier with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67664A (en) | Water purifying filter | |
JP4685760B2 (en) | Fuel filtration device | |
KR102138010B1 (en) | Composit filter of water purifier | |
RU2007120884A (en) | FILTER MEDIA (OPTIONS) AND CARTRIDGE FILTER | |
KR101912869B1 (en) | Integrated uf-sediment filter for water purification | |
DE102009005158A1 (en) | combination filter | |
CN106457158B (en) | Filter system | |
KR20120025112A (en) | Filter cartridge | |
JP2011230111A (en) | Filter element and filter device | |
KR101088862B1 (en) | Compound filter for water purifier | |
KR20150025526A (en) | Water purifying filter | |
JPWO2017138477A1 (en) | Water purification filter | |
KR20200011179A (en) | The Unity type Purifying Water Filter for removing Virus and Bacteria | |
EP2750781B1 (en) | A filter segment with a light weight frame | |
KR20100012376A (en) |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1131672B1 (en) | Carbon-filter device of water purifier | |
KR102010976B1 (en) | Carbon filter | |
KR101449508B1 (en) | Filter for water purifier | |
KR20180088951A (en) | Water purifier using nano fiber | |
GB2462486A (en) | Brush filter | |
KR200478985Y1 (en) | Water purifier filter | |
KR101957683B1 (en) | Carbon filter | |
KR20150076972A (en) | Water purifying filter and water purif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JP2006000798A (en) | Ion exchange filter | |
KR200471232Y1 (en) | Water purifier fil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2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4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6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107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3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012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0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6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00403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