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711A - 안전경로 안내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경로 안내 방법 - Google Patents

안전경로 안내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경로 안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3711A
KR20230073711A KR1020210160387A KR20210160387A KR20230073711A KR 20230073711 A KR20230073711 A KR 20230073711A KR 1020210160387 A KR1020210160387 A KR 1020210160387A KR 20210160387 A KR20210160387 A KR 20210160387A KR 20230073711 A KR20230073711 A KR 20230073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route
safe
dangerous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훈
Original Assignee
김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훈 filed Critical 김도훈
Priority to KR1020210160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3711A/ko
Publication of KR20230073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avig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로 안내 서버는,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지도 데이터베이스와, CCTV 설치위치 정보, 비상벨 설치위치 정보, 경찰 순찰경로 정보, 24시 운영 편의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포함한 경로안내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지도정보를 기초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안전위치정보를 경유하는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도착지 사이의 안전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센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움직임 분석부; 및 상기 움직임 분석부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이상 탐지부 및 상기 이상 탐지부가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기에 위험상황 발생정보를 송신하는 위험상황 송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경로 안내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경로 안내 방법{NAVIGATION SERVER FOR GUIDING SAFE ROUTE AND NAVAGA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전경로 안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정보를 고려한 안전경로를 생성 및 제공하며, 위험상황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안전경로 안내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경로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경로 안내를 위한 지도 서비스는 빠른 길을 안내해주는 것이 주요 서비스로, 안전한 길을 안내하는 것은 큰 길 안내가 전부였다. 따라서, 시간이 다소 소요되더라도 비교적 안전한 길을 가고자 하는 사람들의 니즈를 만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513370호(이하 '370특허'로 약칭한다)는 재난재해 관련정보, 범죄발생 통계정보, 성인 대상 성범죄자 신상정보 등을 제공하는 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안전 정보 제공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370특허는 일반적인 경로 안내가 아닌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점에서 본 발명과 상이하지만 범죄발생 통계정보 및 성인대상 성범죄사 신상정보를 고려한 경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와 일부 공통된다.
하지만, 상기 370특허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서버를 이용하여 안전한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 밤과 같은 늦은 시간에 안전경로를 제공하면서도 귀가하는 사람의 위험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위험상황 발생시 효과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안전경로 안내 방법은 개시하고 있지 않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13370호(2015.04.13)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안전위치정보를 경유한 안전경로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실시간 경로 정보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안전경로 안내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경로 안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로 안내 서버는,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지도 데이터베이스; CCTV 설치위치 정보, 비상벨 설치위치 정보, 경찰 순찰경로 정보, 24시 운영 편의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포함한 경로안내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지도정보를 기초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안전위치정보를 경유하는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도착지 사이의 안전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센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움직임 분석부; 및 상기 움직임 분석부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이상 탐지부; 및 상기 이상 탐지부가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기에 위험상황 발생정보를 송신하는 위험상황 송신부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GPS 센서 및 동작 센서로부터 측정된 정보이고, 상기 이상 탐지부는 상기 센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상기 안전경로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상 이탈되거나, 사용자가 상기 안전경로에 위치하더라도 미리 설정된 패턴에 벗어나는 급격한 움직임 패턴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녹음 기능의 동작을 제어하는 녹음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상 탐지부는 상기 녹음 제어부에 의해 녹음 기능이 활성화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소리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로 안내 서버는, 상기 이상 탐지부가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크기 및 패턴의 소리를 출력시키는 알람정보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로 안내 서버는, 상기 안전경로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상기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기에 제공하는 경로공유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경로공유 제어부는 상기 녹음 제어부에 의해 녹음 기능이 활성화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소리 정보를 상기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및 외부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안전경로 안내 서버를 이용한 안전경로 안내 방법은, (a) 상기 안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포함한 경로안내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안내 서버가 미리 구축된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지도 데이터베이스 및 CCTV 설치위치 정보, 비상벨 설치위치 정보, 경찰 순찰경로 정보, 24시 운영 편의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지도정보를 기초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안전위치정보를 경유하는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도착지 사이의 안전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안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센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단계; (d) 상기 안내 서버가 상기 분석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안내 서버가 상기 (d)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기에 위험상황 발생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안전경로 안내 방법은, (f) 상기 안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녹음 기능을 활성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녹음된 소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g) 상기 안내 서버가 상기 녹음된 소리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안전경로 안내 방법은, (h) 상기 안내 서버가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상용자의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크기 및 패턴의 소리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안전경로 안내 방법은, (i) 상기 안내 서버가 상기 안전경로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상기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로 안내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경로 안내 방법은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안전위치정보를 경유한 안전경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실시간 경로 정보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로 안내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경로 안내 방법은 사용자의 경로 정보 모니터링 중 위험 상황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알람정보를 발생시키거나, 미리 지정된 외부 단말기에 위험상황 발생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안전경로 안내 서버가 적용된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로 안내 서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로 안내 서버의 안전경로 안내 및 위험상황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 순서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경로 안내 화면의 일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로 안내 서버가 제공하는 안전경로 안내 화면의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로 안내 서버가 제공하는 안전 경로 안내 화면의 예시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경로 안내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경로 안내 방법에 대하여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안전경로 안내 서버가 적용된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로 안내 서버(100, 이하 '안내 서버'로 약칭하다)는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 안전정보 서버(300) 및 외부 단말기(400)에 연결된다.
안내 서버(100)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 및 외부 단말기(400)에 안전경로 안내를 위한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하는 서버 컴퓨터 등을 의미하며, 사용자 단말기(200)는 경로안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등의 단말기를 의미한다.
안내 서버(100)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10, 220, 230)에 안전경로 안내를 위한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외부 단말기(400)에 사용자의 경로정보 모니터링을 위한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400)는 경로안내를 제공받는 사용자 외의 다른 사람 또는 기관에서 사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등의 단말기를 의미한다. 외부 단말기(400)은 사용자의 부모님, 친구 등의 지인이 사용하는 단말기이거나 경찰서 등의 공공 기관의 단말기일 수 있다.
안내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외부 단말기(400)에 제공하는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이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이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안전정보 서버(300)는 도로상에 설치된 CCTV 설치위치 정보, 비상벨 설치위치 정보, 경찰 순찰경로 정보, 24시 운영 편의점 위치 정보 등을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도 1에서 안전정보 서버(300)는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의 다양한 공공기관의 서버 등으로 복수 개의 서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로 안내 서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내 서버(100)는 통신부(110), 지도 데이터베이스(120),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130), 경로 생성부(140), 움직임 분석부(150), 녹음 제어부(160), 경로공유 제어부(170), 이상 탐지부(180), 알람정보 발생부(190) 및 위험상황 송신부(19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0), 안전정보 서버(300) 및 외부 단말기(40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안내 서버(10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경로안내 요청 정보를 전달받아, 안전경로를 생성하여 통신부(1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안전경로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안내 서버(10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안전정보 서버(300)가 제공하는 안전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안내 서버(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로공유 제어부(170) 및 위험상황 송신부(195)가 생성하는 데이터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외부 단말기(400)에 전송할 수 있다.
지도 데이터베이스(120)는 사용자 단말기(200) 및 외부 단말기(400)에 제공할 경로 안내 프로그램에 이용될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지도 데이터베이스는 자체적으로 구축되거나 네이버, 다음, 구글이 제공하는 지도 서비스의 데이터를 제공받아 구축되거나, 티맵, 카카오내비 등 기존의 내비게이션 서비스의 데이터를 제공받아 구축될 수 있다.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130)는 CCTV 설치위치 정보, 비상벨 설치위치 정보, 경찰 순찰경로 정보, 24시 운영 편의점 위치 정보 등의 안전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130)는 안내 서버(100)가 인터넷망을 통하여 인터넷상의 데이터를 스크래핑하는 방법으로 구축되거나, 상기 설명한 바 있는 외부의 안전정보 서버(300)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130)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미리 구축되어 있을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주기로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경로 생성부(14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포함한 경로안내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지도 데이터베이스(120)의 지도정보를 기초로 하여 안전위치정보를 경유하는 출발지 및 도착지 사이의 안전경로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출발지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GPS 위치 정보이거나, 사용자 단말기(200)에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된 위치 정보일 수 있으며, 도착지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안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안전경로 생성시 경유되어야 할 안전위치정보 설정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안전위치정보 설정화면을 통하여 CCTV 설치위치 정보, 비상벨 설치위치 정보, 경찰 순찰경로 정보, 24시 운영 편의점 위치 정보 중 원하는 경유지 항목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각각 종래기술에 따른 경로안내 화면의 일 예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내 서버(100)가 제공하는 경로안내 화면의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종래기술에 따른 경로안내 화면은 단순히 큰 길 중심으로 빠른 길을 안내하고 있지만, 도 5에서는 안내된 안전경로에는 24시 편의점 및 CCTV를 경유한 경로를 안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안내 서버(100)가 제공하는 경로안내 화면의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는 출발점과 목적지를 입력하면 출발점과 목적지 사이의 편의점, CCTV 위치 등을 경유하는 최적의 안전경로가 도시됨과 동시에 주변 지역의 안전위치지점이 “C”라는 문자를 포함하는 아이콘 형태로 배치된다.
이렇게 지도 상에 안전위치지점이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지도 상에서 안전위치지점을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원하는 경우 특정 아이콘을 클릭하여 다소 이동 거리가 길어지더라도 보다 더 안전한 경유 지점을 수동으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전위치정보를 경유한 안전경로를 안내하는 경우 종래의 일반적인 경로보나 사용자에게 더 안전함을 제공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대로변이 아닌 골목길을 안내할 수도 있어 보다 더 적극적으로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조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내 서버(100)는 안전경로를 제공하는 것과 더불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고 위험 상황 발생시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하여 알람정보를 발생시키고,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기(400)에 위험상황 정보를 송신하는데 이와 관련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움직임 분석부(15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센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센서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GPS 센서 및 동작 센서로부터 측정된 정보일 수 있다. 동작 센서는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일 수 있다.
녹음 제어부(16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녹음 기능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녹음 제어부(16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생성된 안전경로를 안내하는 시점부터 사용자 단말기(200)의 녹음 기능이 동작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기(200)의 GPS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가 도착지에 도착한 경우에 녹음 기능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경로공유 제어부(170)는 안전경로 및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기(40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기(4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미리 설정한 외부 단말기(400)로, 부모님, 친구 등의 단말기이거나 경찰서 등의 단말기일 수 있다.
이때, 외부 단말기(400)에는 본 발명의 안내 서버(100)가 제공하는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정보를 제공받거나 문자 메시지 등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외부 단말기(400)가 안내 서버(100)가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제공되는 지도상에서 사용자의 경로안내 정보 및 실시간 위치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 단말기(400)에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링크 정보가 포함된 문자 또는 SNS 메시지메 외부 단말기(4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상 탐지부(180)는 움직임 분석부(150)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거나 녹음 제어부(160)에서 녹음된 소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이상 탐지부(18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수신된 센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안전경로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상 이탈된 경우로 판단되거나, 사용자가 안전경로에 위치한 경우이지만 미리 설정된 패턴에서 벗어나는 급격한 움직임 패턴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가 위험 상황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안전경로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상 이탈된 경우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GPS 신호 정보를 기초로 판단할 수 있는데, GPS 신호 정보의 일정 오차가 있는 점과 사용자가 길을 착각하거나 의도적으로 다른 길로 이동한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무분별한 알람정보 발생 또는 위험상황정보 송신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설명한 급격한 움직임 패턴이 동시에 감지되는 조건이 동시에 만족되는 경우에 위험 상황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센서 정보를 기초로 급격한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의 동작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걷고 있는 상태인지, 뛰고 있는 상태인지 등을 판단하고 뛰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녹음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경로 이동 중에 녹음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전화 통화와 같이 거의 실시간으로 녹음된 소리 정보를 경로공유 제어부(170)를 통하여 외부 단말기(400)에 제공할 수 있는데, 녹음 제어부(160)에서 녹음되는 소리정보에 비명 소리 등 위험 상황 발생시 발생되는 소리에 해당하는 경우 이상 탐지부(180)는 위험 상황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알람정보 발생부(190)는 이상 탐지부(180)가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의 스피커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크기 및 패턴의 소리를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알람정보 발생부(19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설정값을 통하여 미리 사용자 단말기(200)의 스피커 제어에 대한 최고 권한을 획득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최고 크기의 음량으로 비상 호루라기 소리, 비상벨 소리 등이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에게 위협을 가하던 사람이 놀라서 범행을 멈추고 도주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험상황 송신부(195)는 이상 탐지부(180)가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기(400)에 위험상황 발생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위험상황 송신부(195)가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기(400)에 위험상황 발생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은, 안내 서버(100) 자체가 외부 단말기(4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푸시 알람을 보내거나 안내 서버(100)에 저장된 연락처 기반으로 웹 기반으로 문자메세지 등을 보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위엄상황 송신부(195)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문자메시지 발송 등의 권한을 미리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로 안내 서버의 안전경로 안내 및 위험상황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경로안내 요청정보를 수신한다(S310).
안내 서버(100)는 상기 설명한 방식으로 안전위치정보를 경유하는 안전경로를 생성하고(S320), 생성된 안전경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S330).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안전경로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기(200)의 녹음 기능을 활성화하여 녹음을 시작한다(S340).
사용자 단말기(200)에 경로안내가 제공되면 경로공유 제어부(170)는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기(400)에 경로정보를 공유시킨다(S350).
이때, 외부 단말기(400)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부모님, 친구 등의 단말기일 수 있다.
안내 서버(100)는 경로 안내 중에 센서 데이터 및 녹음 정보를 기초로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360).
안내 서버(100)가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스피커를 통하여 알람정보를 발생시키고(S370), 위험상황 발생정보를 미리 지정된 외부 단말기(400)에 전송한다(S380).
이때, 외부 단말기(400)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부모님, 친구 등의 단말기 뿐만 아니라 경찰서의 단말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로 안내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경로 안내 방법은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안전위치정보를 고려한 안전경로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실시간 경로이동정보를 외부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위험 상황 발생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알람 정보를 발생시키고 미리 지정된 외부 단말기에 위험상황발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범죄 예방 및 범죄 추적을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안전경로 안내 서버 110: 통신부
120: 지도 데이터베이스 130: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
140: 경로 생성부 150: 움직임 분석부
160: 녹음 제어부 170: 경로공유 제어부
180: 이상 탐지부 190: 알람정보 발생부
195: 위험상황 송신부 200: 사용자 단말기
300: 안전정보 서버 400: 외부 단말기

Claims (10)

  1.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지도 데이터베이스;
    CCTV 설치위치 정보, 비상벨 설치위치 정보, 경찰 순찰경로 정보, 24시 운영 편의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포함한 경로안내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지도정보를 기초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안전위치정보를 경유하는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도착지 사이의 안전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센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움직임 분석부; 및
    상기 움직임 분석부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이상 탐지부; 및
    상기 이상 탐지부가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기에 위험상황 발생정보를 송신하는 위험상황 송신부를 포함하는 안전경로 안내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GPS 센서 및 동작 센서로부터 측정된 정보이고,
    상기 이상 탐지부는 상기 센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상기 안전경로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상 이탈되거나, 사용자가 상기 안전경로에 위치하더라도 미리 설정된 패턴에 벗어나는 급격한 움직임 패턴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안전경로 안내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녹음 기능의 동작을 제어하는 녹음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상 탐지부는 상기 녹음 제어부에 의해 녹음 기능이 활성화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소리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안전경로 안내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탐지부가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크기 및 패턴의 소리를 출력시키는 알람정보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안전경로 안내 서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경로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상기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기에 제공하는 경로공유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안전경로 안내 서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공유 제어부는 상기 녹음 제어부에 의해 녹음 기능이 활성화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소리 정보를 상기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기에 제공하는 안전경로 안내 서버.
  7. 사용자 단말기 및 외부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안전경로 안내 서버를 이용한 안전경로 안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안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포함한 경로안내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안내 서버가 미리 구축된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지도 데이터베이스 및 CCTV 설치위치 정보, 비상벨 설치위치 정보, 경찰 순찰경로 정보, 24시 운영 편의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지도정보를 기초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안전위치정보를 경유하는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도착지 사이의 안전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안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센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단계;
    (d) 상기 안내 서버가 상기 분석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안내 서버가 상기 (d)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기에 위험상황 발생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전경로 안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f) 상기 안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녹음 기능을 활성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녹음된 소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g) 상기 안내 서버가 상기 녹음된 소리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전경로 안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h) 상기 안내 서버가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상용자의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크기 및 패턴의 소리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전경로 안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i) 상기 안내 서버가 상기 안전경로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상기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전경로 안내 방법.
KR1020210160387A 2021-11-19 2021-11-19 안전경로 안내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경로 안내 방법 KR20230073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387A KR20230073711A (ko) 2021-11-19 2021-11-19 안전경로 안내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경로 안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387A KR20230073711A (ko) 2021-11-19 2021-11-19 안전경로 안내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경로 안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711A true KR20230073711A (ko) 2023-05-26

Family

ID=86537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387A KR20230073711A (ko) 2021-11-19 2021-11-19 안전경로 안내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경로 안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371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370B1 (ko) 2013-12-23 2015-04-17 대한지적공사 위치 정보를 이용한 안전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370B1 (ko) 2013-12-23 2015-04-17 대한지적공사 위치 정보를 이용한 안전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2808B2 (en) Alert system with zoning using wireless portable detectors and a central station
US10127737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human telematic data to provide a hazard alarm/notification message to a user in a dynamic environment such as during operation of a vehicle
CA31624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nd supporting digital requests for emergency service
US8947263B2 (en) Assessing traffic status with sensors
JP4905793B2 (ja)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および監視プログラム
US20220027417A1 (en) Modula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system
US10405072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human telematic data to provide a hazard alarm/notification message to a user in a static environment such as in or around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US10645472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human telematic data to provide a hazard alarm/notification message to a user in a static environment such as in or around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EP2905760A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tagged headcount accounting
US10332385B2 (en) Location based support request messages responsive to alert recommendation
US10210678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human telematic data to provide a hazard alarm/notification message to a user in a dynamic environment such as during operation of a vehicle
US104331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the safety of a user of an application for a proactive response
US11688261B2 (en) Body-worn alert system
US20170084151A1 (en) Proximity based ad-hoc messaging, alerting, and tracking system
US20220279331A1 (en) Systems & methods for enhanced emergency data sharing
KR102207713B1 (ko) 사용자의 상태 정보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eepa et al. IoT-Based Wearable Devices for Personal Safety and Accident Prevention Systems
JP6505168B2 (ja) 通報システム
KR20230073711A (ko) 안전경로 안내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경로 안내 방법
WO2016163871A1 (en) Distress signal disseminating system and method
Aung et al. Vehicle Accident Detection on Highway and Communication to the Closest Rescue Service
JP6514488B2 (ja) ウェアラブル端末
ul Hassan et al. Accident detection and disaster response framework utilizing IoT
US11176799B2 (en) Global positioning system equipped with hazard detector and a system for providing hazard alerts thereby
JP2007264913A (ja) 異常監視携帯端末及び異常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