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666A - 와이파이를 이용한 출입 정보 관리 서버 및 출입 정보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파이를 이용한 출입 정보 관리 서버 및 출입 정보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3666A
KR20230073666A KR1020210160295A KR20210160295A KR20230073666A KR 20230073666 A KR20230073666 A KR 20230073666A KR 1020210160295 A KR1020210160295 A KR 1020210160295A KR 20210160295 A KR20210160295 A KR 20210160295A KR 20230073666 A KR20230073666 A KR 20230073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ccess
user device
information management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2639B1 (ko
Inventor
오성훈
Original Assignee
오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훈 filed Critical 오성훈
Priority to KR1020210160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263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6029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2639B1/ko
Publication of KR20230073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enabling tracking or indicating prese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정보 관리 서버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와이파이 탐지 정보를 제공 받고, 복수의 와이파이 장치들의 등록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복수의 와이파이 장치들의 등록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와이파이 장치들의 등록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와이파이 탐지 정보를 비교하여 출입 정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와이파이 장치들 증 상기 와이파이 탐지 정보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 중 수신 강도가 가장 높은 하나를 결정 와이파이 장치로 선택하고, 상기 결정 와이파이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 와이파이 장치가 설치된 사업장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출입 관리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파이를 이용한 출입 정보 관리 서버 및 출입 정보 관리 방법{ENTRY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USING WIFI AND ENTRY INFORMATION MANAGEMENT MATHOD}
본 발명은 출입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파이를 이용한 출입 정보 관리 서버 및 출입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사업장에 대한 출입 관리는 방문객이 수기로 개인정보를 기록하거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인식하여 입장 장소 및 입장 시간을 수집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방문객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입장 시간은 체크될 수 있으나 퇴장 시간을 체크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무선 충실도(wireless fidelity)의 약어인 와이파이(WiFi)는 무선랜의 별칭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하이파이오디오와 같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로 지어졌으며, 케이블을 이용해 단말 장치들을 연결하여 통신하는 종래의 유선랜(Local Access Network, LAN)과는 달리,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단말 장치 간 케이블 없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 기술이다. 이러한 무선랜 서비스에 의하면 스마트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통신 단말 장치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무선접속장치인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중화와 더불어, 개방형 무선 네트워크로서 잠재성을 지닌 무선랜이 급속히 확장되고 있으며, 와이파이는 학교, 공항, 호텔 등에서 도시 전체에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이용되고 있다. 이에,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도 와이파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이동 통신 모듈 이외에 와이파이 모듈이 더 포함된 이동 통신 단말기가 개발되었으며, 사용자는 와이파이 모듈이 포함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와이파이 통신이 서비스되는 와이파이 존에서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6400호 (2014-08-26)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업장에 설치된 와이파이 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치의 사업장 출입 기록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출입 정보 관리 서버 및 출입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정보 관리 서버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와이파이 탐지 정보를 제공 받고, 복수의 와이파이 장치들의 등록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복수의 와이파이 장치들의 등록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와이파이 장치들의 등록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와이파이 탐지 정보를 비교하여 출입 정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와이파이 장치들 증 상기 와이파이 탐지 정보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 중 수신 강도가 가장 높은 하나를 결정 와이파이 장치로 선택하고, 상기 결정 와이파이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 와이파이 장치가 설치된 사업장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출입 관리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와이파이 장치들의 등록 정보는 상기 복수의 와이파이 장치들 각각에 대응하는 사업장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파이 탐지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탐지되는 주변 와이파이의 식별 정보 및 수신 강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 중 수신 강도가 높은 복수의 와이파이 장치들 중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LBS 정보에 근접한 하나를 상기 결정 와이파이 장치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정보 관리 방법은, 복수의 와이파이 장치들의 등록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사용자 장치의 와이파이 탐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와이파이 장치들의 등록 정보 중 상기 와이파이 탐지 정보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 중 수신 강도가 가장 높은 하나를 결정 와이파이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 와이파이 장치가 설치된 사업장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출입 관리 기록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 중 수신 강도가 가장 높은 하나를 결정 와이파이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 중 수신 강도가 높은 복수의 와이파이 장치들 중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LBS 정보에 근접한 하나를 상기 결정 와이파이 장치로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업장에 설치된 와이파이 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치의 사업장 출입 기록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출입 정보 관리 서버 및 출입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의 출입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의 가입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사용자 장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도시된 출입 정보 관리 서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출입 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제1 사용자 장치에서 탐지된 와이파이 탐지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에에 따른 출입 관리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의 출입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1000)은 사용자 장치(10), 이동 통신 사업자(20), 사업장 와이파이 장치(30), 인터넷 사업자(40) 및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는 이동 통신 사업자(20)를 통해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업장 와이파이 장치(30)는 인터넷 사업자(40)를 통해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10)(예: 사업장 방문자, 스마트폰 사용자)는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장치(10)는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로부터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는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에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를 사용하는 방문자는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에 회원가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업장 와이파이 장치(30)가 설치된 사업장의 사업주는 별도의 사용자 장치(예: 도 2의 제2 사용자 장치(1200))를 이용하여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업주는 별도의 사용자 장치를 통해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로부터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사업주는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에 회원가입하여 사업장 와이파이 장치(30)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인터넷 사업자(40)로부터 사업장 와이파이 장치(30)의 등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업장 와이파이 장치(30)의 등록 정보는 위치 정보(예: 사업장의 GPS 정보(위도 및 경도)) 및 식별 정보(예: 사업장 와이파이 장치(30)의 SSID 또는 사업장의 상호)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복수의 사업장의 와이파이 등록 정보를 인터넷 사업자(40)로부터 제공받아 와이파이 DB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이동 통신 사업자(20)를 통해 사용자 장치(10)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장치(10)가 사업장 와이파이 장치(30)에 근접하면, 사용자 장치(10)는 사업장 와이파이 장치(30)를 포함하는 주변의 와이파이 탐지 정보를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와이파이 탐지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 장치에 대한 와이파이 식별 정보(예: SSID) 및 수신 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사용자 장치(10)의 와이파이 탐지 정보 및 와이파이 DB에 저장된 와이파이 등록 정보에 공통으로 포함되는(또는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 중 수신 강도가 가장 높은 와이파이를 결정 와이파이 장치로 선택할 수 있다.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결정 와이파이 장치가 설치된 사업장에 사용자 장치(10)가 입장한 것으로 판단하고, 결정 와이파이 장치에 대하여 사업장 위치 및 입장 시간을 사용자 장치(10)의 출입 관리 정보로서 출입정보 DB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상기의 방법을 주기적으로 수행하여 결정 와이파이 장치의 변동이 발생하면, 사용자 장치(10)가 기존 사업장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장치(10)의 출입 관리 정보에 기존 사업장에 대한 퇴장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장치(10)는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장치(10)의 LBS(location based service) 정보(예: GPS 정보)를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들 중에 복수의 결정 와이파이 장치들이 존재하는 경우(예: 복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들의 수신 강도가 동일한 경우),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후보 와이파이 장치들 중 사용자 장치(10)의 LBS 정보와 가장 근접한 와이파이를 결정 와이파이 장치로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10)는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로부터 복수의 사업장의 와이파이 등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의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 및 복수의 사업장의 와이파이 등록 정보를 비교하여 결정 와이파이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는 결정 와이파이 장치에 대한 정보(예: 위치 정보, 사용자 장치(10)의 입장 시간 및 퇴장 시간)를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수신된 결정 와이파이 장치에 대한 정보를 출입 관리 정보로서 출입정보 DB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사업자(20) 및 인터넷 사업자(40)는 사용자 장치(10) 또는 사업장 와이파이 장치(30)와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 사이에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생략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의 가입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1000)은 제1 사용자 장치(1100)(예: 도 1의 사용자 장치(10)), 제2 사용자 장치(1200)(예: 도 1의 사업장 와이파이 장치(30)가 설치된 사업장의 사업주) 및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1100)는 스마트 폰이고, 제2 사용자 장치(1200)는 데스크탑 PC일 수 있다. 예로서, 제1 사용자 장치(1100)는 앱(APP) 기반 단말기이고, 제2 사용자 장치(1200)는 웹(WEB) 기반 단말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1100, 1200)는 통신망(예: 이동 통신 사업자(20) 또는 인터넷 사업자(40))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1100, 1200) 각각은 통신망을 통해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1100)는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에 제1 사용자 장치(1100)의 위치 정보를 위한 데이터(예: 와이파이 탐지 정보, LBS 정보(예: GPS 정보))를 전송하거나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장치(1200)는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에 제2 사용자 장치(1200)의 위치 정보를 위한 데이터(예: 와이파이 등록 정보)를 전송하거나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1100, 1200)는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방문자 또는 사업주가 제공하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장치(1100)는 화면부(1110)와 구동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1100)의 구동부(1120)는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사용자 장치(1200)의 구동부(1220)는 홈페이지 등과 같은 웹 서비스를 이용하여 화면부(1210) 상에서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1100, 1200)는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이나 웹 서비스를 구동하기 위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통신부(2100), 저장부(2200), 그리고 제어부(230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1100, 1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출입 관리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한 데이터를 출입정보 DB에 저장할 수 있다.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출입정보 DB 저장된 출입 관리 데이터를 제1 사용자 장치(1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2100)는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1100, 1200)로부터 회원 정보, 와이파이 탐지 정보, LBS 정보(예: GPS 정보), 그리고 와이파이 등록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2100)는 예를 들어, 3G 모듈, LTE 모듈, LTE-A 모듈, Wi-Fi 모듈, 와이기그(WiGig) 모듈, UWB(Ultra Wide Band) 모듈, 또는 랜카드 등과 같이 원거리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0)는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모듈, 블루투스 모듈, NFC 모듈, RFID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Z-Wave 모듈, 또는 적외선 모듈 등과 같이 근거리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2100)는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1100, 1200)로부터 회원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통신부(2100)는 제어부(2300)의 제어에 따라, 회원 가입을 승인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0)는 로그인 시에 회원 정보에 따라 출입 정보 관리 서비스의 이용을 승인하거나 차단 또는 제한할 수 있다. 통신부(2100)는 회원 정보를 저장부(2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2200)는 출입 관리를 위해 필요한 회원 정보, 와이파이 탐지 정보, LBS 정보(예: GPS 정보), 그리고 와이파이 등록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2300)는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 및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00)는 사용자에게 출입 정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300)는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1100, 1200)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탐지 정보, LBS 정보(예: GPS 정보), 그리고 와이파이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의 출입 정보 관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0)는 회원 정보 및 출입 관리 데이터를 관리하고 업데이트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300)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유닛(Graphic Processing Unit, GPU),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ler Unit, MCU),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사용자 장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에서는 스마트 폰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장치(1100)는 화면부(1110), 무선 통신부(1111),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12), 운영 시스템(1113),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1114), 그리고 메모리(1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 사용자 장치(1100)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제2 사용자 장치(1200)도 유사한 방식으로 웹 기반으로 출입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출입 정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부(1111)는 제1 사용자 장치(1100)가 출입 정보 관리 서버(도 2 참조, 2000)와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제1 사용자 장치(1100)는 무선 통신부(1111)를 통해 사업장 와이파이(도 1 참조, 30) 또는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11)는 3G 모듈, LTE 모듈, LTE-A 모듈, Wi-Fi 모듈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12)는 제1 사용자 장치(1100)에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하거나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12)는 화상 키보드와 같은 내부 입력 장치, 또는 유선이나 블루투스 등을 이용해 외부 입력 장치(예를 들면, 키보드나 전자 펜 등)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12)는 화면부(1110)와 같은 내부 출력 장치, 또는 유선이나 블루투스 등을 이용해 외부 출력 장치(예를 들면, 모니터나 프린터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운영 시스템(1113)은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1114)이 실행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1114)은 사용자(예: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1100, 1200))의 회원 가입이나 로그인을 통한 서비스 이용을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1114)은 제1 사용자 장치(1100)가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에 접속하여 출입 관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1114)은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12)와 운영 시스템(1113)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1114)은 제1 사용자 장치(1100)의 와이파이 탐지 정보 및 LBS 정보(예: GPS 정보)를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1114)이 제2 사용자 장치(1200)에서 사용되는 경우,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1114)은 제2 사용자 장치(1200)가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에 접속하여 와이파이 등록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1114)은 제2 사용자 장치(1200)에 대응하는 사업장의 와이파이 장치의 등록 정보(예: 위치 정보(예: 사업장의 GPS 정보(위도 및 경도)) 및 식별 정보(예: 사업장 와이파이 장치(30)의 SSID 또는 사업장의 상호))를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1114)은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로부터 복수의 사업장의 와이파이 등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1114)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 및 복수의 사업장의 와이파이 등록 정보를 비교하여 결정 와이파이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1114) 결정 와이파이 장치에 대한 정보(예: 위치 정보, 사용자 장치(10)의 입장 시간 및 퇴장 시간)를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수신된 결정 와이파이 장치에 대한 정보를 출입 관리 정보로서 출입정보 DB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115)는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1114)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회원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 ID나 패스워드 등)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15)에는 패스워드뿐만 아니라, 운영 시스템(1113)이나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1114) 등과 같은 프로그램도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서 도시된 출입 정보 관리 서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통신부(2100), 저장부(2200), 그리고 제어부(230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1100, 1200)로부터 와이파이 탐지 정보, LBS 정보(예: GPS 정보) 및 와이파이 등록 정보를 입력 받고, 사용자의 출입 정보 관리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2100)는 입력부(2110)와 출력부(212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10)는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1100, 1200)로부터 회원 정보, 와이파이 탐지 정보, LBS 정보(예: GPS 정보) 및 와이파이 등록 정보 등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 받고, 저장부(2200) 또는 제어부(23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1100, 1200)로부터 출입 정보 관리 서비스 요청을 받은 경우에, 출력부(2120)는 저장부(2200)로부터 출입 정보 관리 데이터를 직접 얻거나, 제어부(2300)를 통해 출입 정보 관리 데이터를 산출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2200)는 입력부(2110)에서 수신하는 출입 정보 관리 데이터를 저장하며, 회원정보 DB(2210), 와이파이 DB(2220), 그리고 출입정보 DB(22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정보 DB(2210)에는 사용자에 따라 방문자와 사업주 등에 관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와이파이 DB(2220)에는 사업장 와이파이 장치(30)의 등록 정보(예: 위치 정보(예: 사업장의 GPS 정보(위도 및 경도)) 및 식별 정보(예: 사업장 와이파이의 SSID))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출입정보 DB(2230)에는 제1 사용자 장치(1100)의 와이파이 탐지 정보, LBS 정보(예: GPS 정보), 후보 와아파이 정보, 결정 와이파이 정보 및 출입 기록(예: 입장 시간, 퇴장 시간)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2300)는 프로세서(2310), 애플리케이션 관리 유닛(2320), 회원 정보 관리 유닛(2330), 등록 와이파이 관리 유닛(2340), 그리고 출입정보 관리 유닛(23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0)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310)는 하드웨어로 구현되고, 애플리케이션 관리 유닛(2320), 회원 정보 관리 유닛(2330), 등록 와이파이 관리 유닛(2340), 그리고 출입정보 관리 유닛(2350)은 알고리즘이나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310)는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10)는 저장부(2200)의 회원정보 DB(2210), 와이파이 DB(2220), 그리고 출입정보 DB(2230)에 접근(access)하고, 회원 정보 관리 유닛(2330), 등록 와이파이 관리 유닛(2340), 그리고 출입정보 관리 유닛(2350)을 구성하는 알고리즘이나 프로그램 명령을 실행함으로, 제어부(2300)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10)는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의 여러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들, 인터페이스들, 그래픽 엔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310)는 SoC(system-on-chip),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관리 유닛(2320)은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1100, 1200)에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거나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1200)에서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관리 유닛(2320)은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1100, 1200)를 통해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로부터 출입 정보 관리 데이터를 제공받거나 출입 정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관리 유닛(2320)은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1100, 1200)에 출입 정보 관리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원 정보 관리 유닛(2330)은 저장부(2200)의 회원정보 DB(2210)에 접근하여 회원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회원 정보는 방문자와 사업주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회원 정보 관리 유닛(2330)은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1100, 1200)를 통해 신규 회원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신규 회원의 ID를 부여하고 회원정보 DB(2210)에 신규 회원 ID와 이름 등이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회원 정보 관리 유닛(2330)은 기존 회원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 회원정보 DB(2210)에 저장된 회원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회원 정보 관리 유닛(2330)은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의 서비스 운영자와 이에 접속하는 서비스 이용자 사이의 원할한 소통을 위해 댓글이나 온라인 상담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등록 와이파이 관리 유닛(2340)은 저장부(2200)의 와이파이 DB(2220)에 접근하여 사업장 와이파이 장치(30)의 등록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등록 와이파이 관리 유닛(2340)은 제2 사용자 장치(1200)를 통해 신규 와이파이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와이파이 DB(2220)에 사업장 와이파이 장치(30)의 등록 정보가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등록 와이파이 관리 유닛(2340)은 기존 와이파이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 와이파이 DB(2220)에 저장된 사업장 와이파이 장치(30)의 등록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등록 와이파이 관리 유닛(2340)은 제1 사용자 장치(1100)로부터 등록 와이파이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에, 저장부(2200)의 와이파이 DB(2220)로부터 사업장 와이파이 장치(30)의 등록 정보를 출입정보 관리 유닛(2350) 또는 제1 사용자 장치(1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출입정보 관리 유닛(2350)은 제1 사용자 장치(1100)의 와이파이 탐지 정보 및 와이파이 DB에 저장된 와이파이 등록 정보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출입정보 관리 유닛(2350)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 중 수신 강도가 가장 높은 와이파이를 결정 와이파이 장치로 선택할 수 있다. 출입정보 관리 유닛(2350)은 결정 와이파이 장치가 위치한 사업장에 제1 사용자 장치(1100)가 입장한 것으로 판단하고, 결정 와이파이 장치에 대하여 사업장 위치 및 입장 시간을 제1 사용자 장치(1100)의 출입 관리 정보로서 출입정보 DB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출입정보 관리 유닛(2350)은 상기의 방법을 주기적으로 수행하여 결정 와이파이 장치의 변동이 발생하면, 제1 사용자 장치(1100)가 기존 사업장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사용자 장치(1100)의 출입 관리 정보에 기존 사업장에 대한 퇴장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복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들 중에 복수의 결정 와이파이 장치들이 존재하는 경우(예: 복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들의 수신 강도가 동일한 경우), 출입정보 관리 유닛(2350)은 후보 와이파이 장치들 중 제1 사용자 장치(1100)의 LBS 정보와 가장 근접한 와이파이를 결정 와이파이 장치로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출입 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110 단계에서,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 장치의 등록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도 1의 인터넷 사업자(40)로부터 사업장 와이파이 장치(30)의 등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업장 와이파이 장치(30)의 등록 정보는 위치 정보(예: 사업장의 GPS 정보(위도 및 경도)) 및 식별 정보(예: 사업장 와이파이의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복수의 사업장의 와이파이 등록 정보를 인터넷 사업자(40)로부터 제공받아 와이파이 DB(222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120 단계에서,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사용자 장치(예: 사용자 장치(10), 제1 사용자 장치(1100)로부터 와이파이 탐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장치가 도 1의 사업장 와이파이 장치(30)에 근접하면, 상기 사용자 장치는 사업장 와이파이 장치(30)를 포함하는 주변의 와이파이 탐지 정보를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1114)을 통해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와이파이 탐지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치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 장치에 대한 와이파이 식별 정보(예: SSID) 및 수신 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130 단계에서,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와이파이 탐지 정보 및 와이파이 DB(2220)에 저장된 와이파이 등록 정보에서 공통으로 포함되는(또는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140 단계에서,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 중에서 결정 와이파이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 중 수신 강도가 가장 높은 와이파이를 결정 와이파이 장치로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150 단계에서,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결정 와이파이 장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의 출입 관리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결정 와이파이 장치가 설치된 사업장에 상기 사용자 장치가 입장한 것으로 판단하고, 결정 와이파이 장치에 대하여 사업장 위치 및 입장 시간을 상기 사용자 장치의 출입 관리 기록으로 출입정보 DB(223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상기의 방법을 주기적으로 수행하여 결정 와이파이 장치의 변동이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장치가 기존 사업장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의 출입 관리 기록에 기존 사업장에 대한 퇴장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1114)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의 LBS(location based service) 정보(예: GPS 정보)를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들 중에 복수의 결정 와이파이 장치들이 존재하는 경우(예: 복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들의 수신 강도가 동일한 경우),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후보 와이파이 장치들 중 상기 사용자 장치의 LBS 정보와 가장 근접한 와이파이를 결정 와이파이 장치로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장치는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로부터 복수의 사업장의 와이파이 등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치의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 및 복수의 사업장의 와이파이 등록 정보를 비교하여 결정 와이파이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치는 결정 와이파이 장치에 대한 정보(예: 위치 정보, 상기 사용자 장치의 입장 시간 및 퇴장 시간)를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수신된 결정 와이파이 장치에 대한 정보를 출입 관리 정보로서 출입정보 DB(223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제1 사용자 장치에서 탐지된 와이파이 탐지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장치(1100)는 화면부(1110)에 주변 와이파이 탐지 정보(61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에에 따르면, 와이파이 탐지 정보(610)는, 예시적으로, 제1 와이파이(611), 제2 와이파이(612), 제3 와이파이(613), 제4 와이파이(614) 및 제5 와이파이(615)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탐지 정보(610)는 와이파이 장치의 SSID(또는 명칭, 닉네임), 보안 정보 및 수신 강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이파이(611)는 제1 사업장에 설치된 와이파이 장치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와이파이(612)는 제2 사업장에 설치된 와이파이 장치에 대응할 수 있다. 제3 와이파이(613)는 제1 개인의 가정집에 설치된 와이파이 장치 또는 핫스팟에 대응할 수 있다. 제4 와이파이(614)는 제3 사업장에 설치된 와이파이 장치에 대응할 수 있다. 제5 와이파이(615)는 제2 개인의 가정집에 설치된 와이파이 장치 또는 핫스팟에 대응할 수 있다. 수신 강도에 있어서, 제4 와이파이(614)가 제1 강도를 가지고, 제1 와이파이(611)가 제1 강도보다 높은 제2 강도를 가지고, 제2 와이파이(612) 및 제5 와이파이(615)가 제2 강도보다 높은 제3 강도를 가지고, 제3 와이파이(613)가 제3 강도보다 높은 제4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에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장치(1100)는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에 와이파이 탐지 정보(610)를 전송할 수 있다.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제1 사업장, 제2 사업장 및 제3 사업장에 대한 와이파이 등록 정보를 와이파이 DB(2220)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와이파이 탐지 정보(610)와 와이파이 DB(2220)에 저장된 와이파이 등록 정보를 비교하여 제1 사업장, 제2 사업장 및 제3 사업장에 대한 제1 와이파이(611), 제2 와이파이(612) 및 제4 와이파이(614)를 후보 와이파이 장치들로 선택할 수 있다.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후보 와이파이 장치들 중에서 수신 강도가 가장 높은 제2 와이파이(612)를 결정 와이파이 장치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제3 와이파이(613)는 수신 강도는 가장 높지만 와이파이 DB(2220)에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후보에서 탈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장치(1100)는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로부터 와이파이 DB(2220)에 저장된 와이파이 등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제1 사용자 장치(1100)의 LBS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장치(1100)의 주변 와이파이 등록 정보만을 전송할 수도 있다. 제1 사용자 장치(1100)는 와이파이 탐지 정보(610)와 수신된 와이파이 등록 정보를 비교하여 제2 와이파이(612)를 결정 와이파이 장치로 선택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1100)는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1114)을 통해 결정 와이파이 장치로 선택된 제2 와이파이(612)의 정보를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에에 따른 출입 관리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장치(1100)는 화면부(1110)에 출입 관리 기록(71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장치(1100)는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1114)을 통해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에 출입 관리 기록(710)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예로, 출입 관리 기록(710)은 사업장 명칭, 사업장 주소, 입장 시간 또는 퇴장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1114)은 방문기록 검색 객체(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1100)는 주소 또는 날짜에 대응하는 출입 관리 기록(710)을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에 요청할 수 있다. 출입 정보 관리 서버(2000)는 출입 관리 기록(710)을 출입정보 DB(2230)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사용자 장치
20: 이동 통신 사업자
30: 사업장 와이파이 장치
40: 인터넷 사업자
1000: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
2000: 출입 정보 관리 서버

Claims (4)

  1. 출입 정보 관리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로부터 와이파이 탐지 정보를 제공 받고, 복수의 와이파이 장치들의 등록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복수의 와이파이 장치들의 등록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와이파이 장치들의 등록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와이파이 탐지 정보를 비교하여 출입 정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와이파이 장치들 증 상기 와이파이 탐지 정보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 중 수신 강도가 가장 높은 하나를 결정 와이파이 장치로 선택하고, 상기 결정 와이파이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 와이파이 장치가 설치된 사업장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출입 관리 기록을 저장하는 출입 정보 관리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와이파이 장치들의 등록 정보는 상기 복수의 와이파이 장치들 각각에 대응하는 사업장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정보 관리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탐지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탐지되는 주변 와이파이의 식별 정보 및 수신 강도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정보 관리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와이파이 장치 중 수신 강도가 높은 복수의 와이파이 장치들 중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LBS 정보에 근접한 하나를 상기 결정 와이파이 장치로 선택하는 출입 정보 관리 서버.
KR1020210160295A 2021-11-19 와이파이를 이용한 출입 정보 관리 서버 및 출입 정보 관리 방법 KR102672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295A KR102672639B1 (ko) 2021-11-19 와이파이를 이용한 출입 정보 관리 서버 및 출입 정보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295A KR102672639B1 (ko) 2021-11-19 와이파이를 이용한 출입 정보 관리 서버 및 출입 정보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666A true KR20230073666A (ko) 2023-05-26
KR102672639B1 KR102672639B1 (ko) 2024-06-05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400B1 (ko) 2012-10-31 2014-09-01 (주)휴빌론 전자지도를 적용한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400B1 (ko) 2012-10-31 2014-09-01 (주)휴빌론 전자지도를 적용한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07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ive-based scoring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US10575347B2 (en) Delivery of shared WiFi credentials
US9678693B2 (en) Method of setting wireless connection via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US110104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queue control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US8549593B2 (en) Network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3197828A (zh) 用于操作应用的计算装置和方法
US2014037252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2012134932A (ja) 携帯通信端末、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WO2016170780A1 (ja) 電子マニュアルを提供する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672639B1 (ko) 와이파이를 이용한 출입 정보 관리 서버 및 출입 정보 관리 방법
KR101958922B1 (ko) 문자 기반 상담 서비스의 가맹점 검색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20191573A (ja) 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30073666A (ko) 와이파이를 이용한 출입 정보 관리 서버 및 출입 정보 관리 방법
KR101344763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휴대단말기 사이의 파일 공유 방법
KR20140029342A (ko)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CN109543391B (zh) 生物特征信息动态匹配方法、装置及生物特征识别系统
KR102192878B1 (ko)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93119B1 (ko) 숙박시설에서의 무선 네트워크 간편 접속 시스템 및 방법
KR102093332B1 (ko)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US202401851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ive-based scoring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KR20100050195A (ko) Rf id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기기의 p2p 서비스 이용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KR101904141B1 (ko) 연결 수단의 입력에 따른 연결 설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단말
KR20180112194A (ko) 반응형 웹을 이용한 문자 기반 상담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19046062A (ja) 管理装置、管理システム及び注文管理方法
JP2018185689A (ja) チャットシステム、チャッ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