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449A -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 - Google Patents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3449A
KR20230073449A KR1020210159881A KR20210159881A KR20230073449A KR 20230073449 A KR20230073449 A KR 20230073449A KR 1020210159881 A KR1020210159881 A KR 1020210159881A KR 20210159881 A KR20210159881 A KR 20210159881A KR 20230073449 A KR20230073449 A KR 20230073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ial
mound
grass
cover
gravey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흥섭
Original Assignee
김진태
정흥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태, 정흥섭 filed Critical 김진태
Priority to KR1020210159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3449A/ko
Publication of KR20230073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4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Abstract

본 발명은 흙으로 형성되는 묘지 봉분 및 상기 봉분위에 식재된 잔디를 보호하기 위한 묘지 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져, 결합부에 의해 봉분 형태로 결합되며, 상부에 소정모양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천연잔디를 살리되 봉분을 훼손하지 않도록 하고, 설치 및 제거가 간편하고, 최소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한,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 {Cemetery covers to protect burial mounds and lawns}
본 발명은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소정개수의 덮개부를 조립하여 묘지의 봉분을 덮음으로써 묘지의 봉분 및 잔디의 훼손을 방지하면서 잔디가 용이하게 자라도록 하고, 벌초가 용이한,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과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묘지는 흙을 둥글게 쌓아 봉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묘지의 한 형태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묘지는 묘지를 조성할 때 봉분의 유실과 침하를 막고 조경을 위해 봉분과 봉분주위의 바닥면에 잔디를 식재하였다.
종래에 묘지를 조성할 때 잔디를 식재하는 방법은, 주로 줄떼 방법으로 잔디를 한 줄 한 줄 심어서 식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줄떼 시공 방법은 줄떼를 한 줄 한 줄 시공하게 됨으로써 시공이 번거롭고 식재 후에는 식재된 잔디의 원활한 식생을 위해 많은 관리가 필요하여 인건비가 많이 들며 의도한 만큼의 식생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잔디를 식재하기 위해서는 식재도구를 이용하여 봉분을 파헤치면서 잔디를 식재해야 하기 때문에 봉분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멧돼지 등의 야생동물이 봉분을 파헤치면서 잔디를 훼손하기 때문에 봉분 및 잔디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잔디를 식재한 초기에는 비, 바람 등의 기후에 의해 봉분이 쉽게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봉분이 훼손될 경우 시간과 비용을 들여 다시 복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재의 묘는 천연잔디 또는 인조잔디로 외부면이 형성되고 있다. 천연잔디를 활용한 묘의 경우 처음조성비 및 차후 유지보수관리비가 현저히 증가하며, 자연재해 및 관리부족으로 인한 묘의 훼손이 문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천연잔디 대신 인조잔디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자손이나, 친척이 시간 및 여러 사정으로 관리가 곤란한 나머지 급기야 콘크리트 무덤이 등장함으로써 환경공해 ? 시각적 공해를 야기함으로써 장기간 존치가 우려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기존 매장이나 미래의 매장방식에 있어서 천연잔디 및 인조잔디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천연잔디를 살리되 봉분을 훼손하지 않도록 하고, 설치가 간편하고, 최소비용으로 반영구적인 매장문화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천연잔디를 살리되 봉분을 훼손하지 않도록 하고, 설치 및 제거가 간편하고, 최소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한,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소정개수의 덮개부를 조립하여 묘지의 봉분을 덮음으로써 묘지의 봉분 및 잔디의 훼손을 방지하면서 잔디가 용이하게 자라도록 하고, 벌초가 용이한,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는,
흙으로 형성되는 묘지 봉분 및 상기 봉분위에 식재된 잔디를 보호하기 위한 묘지 덮개로서,
복수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져, 결합부(230)에 의해 봉분 형태로 결합되며, 상부에 소정모양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개구부를 덮는 뚜껑(21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잔디가 외부로 나올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구멍(22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100)에는 다수개의 구멍(220)이 골고루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00)에는 하부보다 상부에 형성된 구멍(220)이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멍(220)은 내부에서 외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태이다.
상기 결합부(230)는 나사 방식, 끼움방식 또는 접합 방식으로 상기 본체부(100)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제1 내지 제8 조각부(110~180)가 결합하여 반원의 봉분형태를 형성하고, 제9 및 제10 조각부(190, 200)가 결합하여 상기 반원의 봉분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제1 내지 제16 조각부(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151, 152, 161, 162, 171, 172, 181, 182)가 결합하여 반원의 봉분형태를 형성하고, 제17 및 제18 조각부(191, 201)가 결합하여 상기 반원의 봉분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제로 제1 내지 제8 조각부(110~180) 각각이 2조각으로 나누어진 제1 내지 제16 조각부(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151, 152, 161, 162, 171, 172, 181, 182)가 되는 것이고, 제9 및 제10 조각부(190, 200)는 제17 및 제18조각부(191, 201)로 동일하다.
상기 뚜껑(210)에는 소정개수의 구멍(2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100) 및 뚜껑(210)은 투명 또는 녹색의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는,
대리석으로 형성된 지지부(300), 상기 지지부 위에 흙으로 형성되는 묘지 봉분 및 상기 봉분위에 식재된 잔디를 보호하기 위한 묘지 덮개로서,
복수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져, 결합부(230)에 의해 봉분 형태로 결합되는 본체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00)는 제1 내지 제4 조각부(310, 320, 330, 340)이 결합되어 사각 봉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천연잔디를 살리되 봉분을 훼손하지 않도록 하고, 설치 및 제거가 간편하고, 최소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한,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구멍(220)이 형성된 소정개수의 덮개부를 조립하여 묘지의 봉분을 덮음으로써 묘지의 봉분 및 잔디의 훼손을 방지하면서 잔디가 용이하게 자라도록 하고, 벌초가 용이한,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의 크기 수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에 형성되는 구멍(220)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의 평면도이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는,
흙으로 형성되는 묘지 봉분 및 상기 봉분위에 식재된 잔디를 보호하기 위한 묘지 덮개로서,
복수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져, 결합부(230)에 의해 봉분 형태로 결합되며, 상부에 소정모양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개구부를 덮는 뚜껑(21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잔디가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구멍(22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100)에는 다수개의 구멍(220)이 골고루 형성된다. 이 경우 봉분에 식재된 잔디가 골고루 잘 자라며, 구명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자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본체부(100)에는 하부보다 상부에 형성된 구멍(220)이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빗물이 좀 더 묘내 내부로 스며들어 잔디가 잘 자랄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제1 내지 제8 조각부가 결합하여 반원의 봉분형태를 형성하고, 제9 및 제10 조각부가 결합하여 상기 반원의 봉분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230)는 나사 방식, 끼움방식 또는 접합 방식으로 상기 본체부(100)의 제1 내지 제10 조각부를 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내지 제10 조각부를 도 1 또는 도 2의 모양이 되도록 결합하되, 나사 방식, 끼움방식 또는 접합 방식으로 서로 결합을 하면 된다.
상기 뚜껑(210)에는 소정개수의 구멍(2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구멍(220)을 통해 빗물이 용이하게 잔디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 및 뚜껑(210)은 투명 또는 녹색의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계절 내내 묘지가 푸른색으로 보여 미관상 미려하게 보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흙으로 형성되는 묘지 봉분위에 잔디를 식재한다.
그리고 나서, 제1 내지 제10 조각부를 도 1 또는 도 2의 모양이 되도록 결합하되, 나사 방식, 끼움방식 또는 접합 방식으로 서로 결합을 하면 된다.
이후, 필요에 따라 묘지에 흙을 보충해야 하는 경우 뚜껑(210)을 열고 보충을 하면 된다.
그리고 비가 오게 되면, 구멍(220)을 통해 빗물이 잔디로 공급되어 잔디가 원활하게 자랄 수 있다.
또한, 잔디의 벌초도 용이하고, 잔디가 적당한 정도로 자라게 된다.
또한, 본체부(100)가 훼손되더라도 훼손된 조각 부분만 교체할 수 있어 비용이 적게 소요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의 크기 수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전반적으로 유사하며, 제2 실시예의 본체부(100)의 제1 내지 제16 조각부가 결합하여 반원의 봉분형태를 형성하고, 제17 및 제18 조각부가 결합하여 상기 반원의 봉분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이 제1 실시예와 차이점이다.
제2 실시예에서의 상기 본체부(100)는,
제1 내지 제16 조각부(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151, 152, 161, 162, 171, 172, 181, 182)가 결합하여 반원의 봉분형태를 형성하고, 제17 및 제18 조각부(191, 201)가 결합하여 상기 반원의 봉분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제로 제1 실시예의 제1 내지 제8 조각부(110~180) 각각이 2조각으로 나누어진 제1 내지 제16 조각부(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151, 152, 161, 162, 171, 172, 181, 182)가 되는 것이고, 제9 및 제10 조각부(190, 200)는 제17 및 제18조각부(191, 201)로 동일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의 평면도이다.
제3 실시예는 묘지의 형태가 제1 실시와 차이가 있으며, 필요에 따라 뚜껑(2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3 실시예는, 대리석으로 형성된 지지부(300), 상기 지지부(300) 위에 흙으로 형성되는 묘지 봉분 및 상기 봉분위에 식재된 잔디를 보호하기 위한 묘지 덮개로서,
복수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져, 결합부(230)에 의해 봉분 형태로 결합되는 본체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00)는 제1 내지 제4 조각부(310, 320, 330, 340)이 결합되어 사각 봉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에 형성되는 구멍(220)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상기 구멍(220)은 내부 입구(221)에서 외부출구(222)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태이다.
따라서 잔디가 자라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천연잔디를 살리되 봉분을 훼손하지 않도록 하고, 설치 및 제거가 간편하고, 최소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구멍(220)이 형성된 소정개수의 덮개부를 조립하여 묘지의 봉분을 덮음으로써 묘지의 봉분 및 잔디의 훼손을 방지하면서 잔디가 용이하게 자라도록 하고, 벌초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흙으로 형성되는 묘지 봉분 및 상기 봉분위에 식재된 잔디를 보호하기 위한 묘지 덮개로서,
    복수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져, 결합부에 의해 봉분 형태로 결합되며, 상부에 소정모양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잔디가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구멍을 구비하는,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골고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하부보다 상부에 형성된 구멍이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제1 내지 제8 조각부가 결합하여 반원의 봉분형태를 형성하고, 제9 및 제10 조각부가 결합하여 상기 반원의 봉분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제1 내지 제16 조각부가 결합하여 반원의 봉분형태를 형성하고, 제17 및 제18 조각부가 결합하여 상기 반원의 봉분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
  7. 대리석으로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 위에 흙으로 형성되는 묘지 봉분 및 상기 봉분위에 식재된 잔디를 보호하기 위한 묘지 덮개로서,
    복수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져, 결합부에 의해 봉분 형태로 결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제1 내지 제4 조각부가 결합되어 사각 봉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
KR1020210159881A 2021-11-19 2021-11-19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 KR202300734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881A KR20230073449A (ko) 2021-11-19 2021-11-19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881A KR20230073449A (ko) 2021-11-19 2021-11-19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449A true KR20230073449A (ko) 2023-05-26

Family

ID=86537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881A KR20230073449A (ko) 2021-11-19 2021-11-19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34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17519B (zh) 一种野生老树桩盆景无土栽培方法
KR101049249B1 (ko) 수목 지하 지주 설치방법
CN107771558B (zh) 一种生态篱笆及其制备方法
KR20230073449A (ko) 봉분 및 잔디를 보호하는 묘지 덮개
KR102002827B1 (ko)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한 녹화용 담장
EP2347646A1 (en) Growth protector for plant
KR20130131053A (ko) 수목 보호용 덮개
JP5408463B2 (ja) 植栽マット
KR102323550B1 (ko) 물 공급기능을 갖는 수목보호 조립체
CN218851513U (zh) 一种用于树木移植的灌溉装置
Koeser et al. Planting techniques
JP2717368B2 (ja) 法面植栽工法
KR100345461B1 (ko) 조경용 식수 블럭
McGroarty The Gardener’s Secret Handbook
KR101989951B1 (ko) 방근, 방초 기능을 갖는 수목보호판
JPH09170220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3022412U (ja) 芝生境界板
JPH0344818Y2 (ko)
TWI556723B (zh) The plant root group drape the structure of the surface of the production method
CN2585548Y (zh) 组合式苗盆
Pullman Melbourne's floral clock
Gilman Planting and establishing trees
JP2001348876A (ja) 挿入差しかえ植栽桝のある土留め構造物
JP3029717U (ja) 雑草除去用敷設部材
JP2011092166A (ja) コケ植物を使った墓所の植栽施工方法及び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