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16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3161A
KR20230073161A KR1020230061804A KR20230061804A KR20230073161A KR 20230073161 A KR20230073161 A KR 20230073161A KR 1020230061804 A KR1020230061804 A KR 1020230061804A KR 20230061804 A KR20230061804 A KR 20230061804A KR 20230073161 A KR20230073161 A KR 20230073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trol panel
frame
panel
dra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1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8323B1 (ko
Inventor
정용락
박기현
나성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61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323B1/ko
Publication of KR20230073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저장 공간을 형성한 캐비닛, 전면을 갖는 도어부와, 도어부와 연결되어 저장 공간을 인출입되며 식품이 수납되는 서랍부를 포함하는 서랍 도어, 서랍 도어의 상면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과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 및 캐비닛과 도어부의 배면을 연결하며, 캐비닛 측의 전선이 컨트롤 패널과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전선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며, 도어부는, 도어부의 배면을 형성하고, 내부공간에 단열재가 충진된 도어 패널과, 도어 패널 전방에 배치되어 도어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와, 아웃 플레이트를 도어 패널에 결합시키는 패널 결합부와, 도어 패널 상면에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컨트롤 패널이 수용되는 컨트롤 패널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근래에는 생활의 편리성 및 저장공간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대형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냉장고는 냉동실이 상부에 마련되는 일반형과, 냉동실이 좌우 일측에 마련되는 양문형과, 냉동실이 하부에 마련되는 혼합형 등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한편, 혼합형 냉장고의 냉동실은 냉장고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가 구비되고, 냉동실도어에는 냉동실의 온도조건 설정 등을 위한 컨트롤패널이 마련된 냉장고가 개시되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은 냉장고 본체의 내상에서 인출된 전선케이블과 연결되므로, 냉동실도어가 슬라이딩 인입 및 인출되는 경우 전선케이블이 주변과의 간섭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개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1614호에는 서랍식 도어의 인 출입에 따른 전선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고자 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전선 케이블이 가이드 레일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있어, 서랍형 도어를 인출입하는 과정에서 전선 케이블이 손상되어 단선이 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이 도어 내측에 장착되어 있어, 고장 및 노후에 따른 교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인출입되는 서랍 도어와 본체를 연결하여 전선의 배치를 안내하는 전선 가이드 모듈이 구비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인출입 되는 서랍도어에 컨트롤 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과 전장 부품을 연결하는 전선을 안내하는 전선 가이드 모듈이 구비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인출입되는 서랍 도어에 탈부착이 가능한 컨트롤 패널을 구비하여, 컨트롤 패널의 노후 및 고장에 따른 교체가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 공간을 형성한 캐비닛; 전면을 갖는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인출입되며 식품이 수납되는 서랍부를 포함하는 서랍 도어; 상기 서랍 도어의 상면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과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 및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부의 배면을 연결하며, 상기 캐비닛 측의 전선이 상기 컨트롤 패널과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전선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부는, 상기 도어부의 배면을 형성하고, 내부공간에 단열재가 충진된 도어 패널과, 상기 도어 패널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를 상기 도어 패널에 결합시키는 패널 결합부와, 상기 도어 패널 상면에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이 수용되는 컨트롤 패널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과 결합하는 서포트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의 바닥면에 고정 결합되는 프레임 바닥면, 및 상기 프레임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의 측면과 접하는 프레임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는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구속홈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상기 구속홈과 후크 결합되는 수용부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방에 배치되는 컨트롤 프레임, 및 상기 컨트롤 프레임의 하방 또는 내측에 배치되는 피시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프레임은,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 둘레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피시비를 수용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구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결합부는 측방으로 개구된 프레임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프레임 개구부를 통과하여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의 양 측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사이드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이드 커버는 다수회 절곡되어 상기 도어 패널의 측면과, 전면 및 후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커버는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어 상기 컨트롤 프레임의 양 측면과 결합하는 결합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커버는 상기 도어 패널의 하단에서 상기 플레이트까지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는 양 측단에서 상방으로 단차진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바닥면의 양 측단에서 상방으로 단차지며, 상기 단차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 단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결합부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체결부재에 의해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는 상기 도어 패널의 배면에 장착되는 도어 라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도어 라이트는 상기 서랍부의 개구된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서랍부의 내측을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입되는 서랍 도어를 가지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 상면에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냉장고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 및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이 마련된 컨트롤 패널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과 도어 라이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상기 도어부 중앙에 형성된 커넥팅 홀과 연결된 전선 가이드 모듈에 의해 연결되어, 도어 인출입에 따라 전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 패널이 상기 서포트 프레임과 후크 결합으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도어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서비스 상황 발생시 상기 컨트롤 패널의 분리 및 조립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서랍 도어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전선 가이드 모듈이 상기 냉장고의 캐비닛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서랍 도어를 형성하는 도어부의 도어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후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냉장고의 서랍 도어와 전선 가이드 모듈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전선 가이드 모듈이 서랍 도어와 캐비닛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전선 가이드 모듈을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전선 가이드 모듈을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서랍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트롤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서랍 도어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102)와, 상기 저장 공간(11, 12)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0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케이스(102)와, 상기 이너 케이스(101) 사이에는 단열재가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단열시킬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캐비닛(10)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배리어(13)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10)은,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저장공간(11)와,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저장공간(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저장공간(11)과 하부 저장공간(12)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각각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면서, 서로 같은 온도로 유지되거나,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부 저장공간(11)은, 식품을 냉장 저장하는 냉장실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은 냉동 저장하는 냉동실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저장공간(11)과, 하부 저장공간(12)은 각각 도어(2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부 저장공간(11)을 개폐하는 상부 도어(21)와,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을 개폐하는 하부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한되는 것을 아니나, 상기 상부 도어(21)와 하부 도어(22)는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 및 인입되어 저장 공간(11, 12)을 개폐하는 서랍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20)는 저장 공간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입한다는 점에서 서랍식 도어라고도 부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서랍 도어(20)가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에 배치되는 냉장고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랍 도어(20)는, 상기 도어(20)의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31)와, 상기 도어부(31)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부(31)와 함께 인출입되는 서랍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는 상기 캐비닛(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캐비닛(10) 내측에 배치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서로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함께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 배면에는 상기 도어(20)의 인출입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인출입 레일(33)이 장착되는 레일 프레임(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프레임(34)은, 상기 도어부(31) 배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인출입 레일(33)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일단이 상기 캐비닛(10) 내측의 저장공간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이 상기 레일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20)의 인출입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어부(31)에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냉장고(1)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 및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이 마련된 컨트롤 패널(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40)은 상기 상부 도어(21)를 형성하는 도어부(31)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 전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3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는 상시 도어부(31)의 배면에 위치되며, 저장을 위한 식품 또는 용기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내부는 상방으로 개구된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에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을 안내할 수 있는 인출입 레일(3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기 캐비닛(10)에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 패널(40)은, 상기 전선 가이드 모듈(90)에 의해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전장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선 가이드 모듈(90)은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가이드 모듈(9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전선 가이드 모듈이 상기 냉장고의 캐비닛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서랍 도어를 형성하는 도어부의 도어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후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냉장고의 서랍 도어와 전선 가이드 모듈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전선 가이드 모듈이 서랍 도어와 캐비닛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전선 가이드 모듈(90)은 상기 상부 저장공간(11)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선 가이드 모듈(90)은 상기 상부 저장공간(11)의 바닥면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도어(21)의 도어부(31)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와 함께 인출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 가이드 모듈(90)의 내측에는 전선(962)이 배치되며, 상기 전선(962)은 상기 전선 가이드 모듈(90)을 따라 상기 도어부(31)까지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전선 가이드 모듈(90)은 가이드 헤드(92)와, 다수의 커넥팅 멤버(93), 회전 연결부재(94) 및 마운팅 플레이트(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저장공간(11)의 바닥면에는 마운팅 플레이트(9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95)에는 상기 회전 연결부재(9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있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95)는 상기 상부 저장공간(11)의 바닥면 중앙에서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헤드(92)가 상기 도어부(31)의 후면 중앙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헤드(92)와 상기 회전 연결부재(94)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커넥팅 멤버(93)에 의해 상기 가이드 헤드(92)와 회전 연결부재(94)의 사이가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선 가이드 모듈(90)을 형성하는 각 구성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상기 전선 가이드 모듈을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전선 가이드 모듈을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전선 가이드 모듈(90)은, 상기 저장 공간(11)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마운팅 플레이트(95)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95)와 결합하는 회전 연결부재(94)와,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에 고정되는 가이드 헤드(92) 및 상기 회전 연결부재(94)와, 상기 가이드 헤드(92)에 의해 연결된 커넥팅 멤버(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95)는 전체적으로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저장 공간(11)의 바닥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95)는, 상면이 하방으로 함몰된 함몰부(951)와, 상기 함몰부(951) 둘레를 따라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둘레부(95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상기 회전 연결부재(94)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95)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연결부재(94)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회전 연결부재(9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95)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마운팅 체결홀(34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체결홀(345)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는, 상기 저장 공간(11)의 바닥면과 체결되어,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95)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95)에 장착되는 상기 회전 연결부재(94)를 상기 저장 공간(11)의 바닥면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 공간은 상기 캐비닛(10)의 바닥면일 수 있고, 보다 상세히 상부 저장공간(1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배리어(13)의 상면일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체결홀(345)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95)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비대칭 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95)는 전체적으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마운팅 체결홀(345)은 상기 함몰부(951) 영역에서 모서리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95)는 상기 회전 연결부재(94)가 장착되는 마운팅 개구(9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개구(954)는, 상기 회전 연결부재(94)의 직경과 대응하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개구(954)는, 상기 도어(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962)이 출입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개구(954)로 유입된 전선(962)은, 상기 회전 연결부재(94)의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개구(954)는, 상기 함몰부(951) 영역에서 전방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체결홀(345)은, 상기 마운팅 개구(954)를 중심으로 한쌍으로 비대칭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쌍의 마운팅 체결홀(345) 중의 제1 마운팅 체결홀(953a)은, 상기 마운팅 개구(954)가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마운팅 체결홀(953b)은, 상기 제1 마운팅 체결홀(953a)과 대각선과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회전 연결부재(94)가 상기 마운팅 체결홀(345)의 간섭없이 상기 함몰부(951) 영역에서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개구(954)의 둘레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마운팅 단차부(9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단차부(955)는 상기 회전 연결부재(94)에 형성된 연결부재 단차부(942)가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연결부재(94)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9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가 중공되어, 상기 전선(962)이 상기 회전 연결부재(94) 내측을 통과하여, 상기 커넥팅 멤버(93)를 향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연결부재(94)의 하면은 개구되어, 상기 마운팅 개구(954)와 연통되며, 상기 전선(962)이 인출입될 수 있는 하면 개구(94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연결부재(94)의 개구된 하면 둘레에는 연결부재 단차부(9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단차부(942)는 상기 마운팅 단차부(955)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회전 연결부재(94)는 상기 마운팅 단차부(955)에 장착된 상태에서 탈거되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 연결부재(94)의 하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연결부재 구속부(9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구속부(943)는 상기 연결부재 단차부(942)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또한 일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구속부(943)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95) 하면에 구속될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 구속부(943)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95)와 함께 상기 배리어(13)에 구속될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연결부재(94)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95)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회전 연결부재(94) 일면에는, 상기 전선(962)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된 개구(9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944)는, 상기 회전 연결부재(94) 하면의 내측을 통과하는 전선(962)을 상기 커넥팅 멤버(93)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기 회전 연결부재(94) 일면에는 상기 커넥팅 멤버(93)와 결합하는 연결부재 연결부(9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연결부(945)는, 상기 개구(944)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 연결부(945)는 상기 회전 연결부재(94)의 일면에서 외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넥팅 멤버(93)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연결부(945)에는 상기 커넥팅 멤버(93)의 일단과 축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홀(945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팅 멤버(93) 일단에 형성된 리어 돌기(933a)와 축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팅 멤버(93)는 상기 연결홀(945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넥팅 멤버(93)는 다수개가 연속하여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회전 연결부재(94)에서 상기 가이드 헤드(92)까지 연결될 수 있다.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커넥팅 멤버(93)는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연속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팅 멤버(93)가 결합된 구조는 체인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962)은 다수의 상기 커넥팅 멤버(93)의 내부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회전 연결부재(94)로부터 상기 가이드 헤드(92)까지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멤버(93)는 전후 방향으로 내부가 중공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과 후면이 개구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선(962)이 통과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멤버(93)의 개구된 전면에는 각각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전방으로 연장된 프론트 연결부(9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연결부(934)는 단부가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에는 개구된 연결홀(934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멤버(93)의 개구된 후면에는 각각 상단과 하단에는 리어 연결부(933)가 외측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상기 리어 연결부(933)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돌출 형성된 리어 돌기(93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돌기(933a)는 이웃하는 상기 커넥팅 멤버(93)의 연결홀(934a)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 연결부(933)의 사이, 즉, 상기 커넥팅 멤버(93)의 개구된 후면 일측단에는 리어 연장부(93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연장부(935)는 마주보는 다른 측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연장되며, 따라서 상기 커넥팅 멤버(93)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여 상기 커넥팅 멤버(93)가 방향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다수의 커넥팅 멤버(93)가 서로 연속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커넥팅 멤버(93)들은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팅 멤버(93)는 후방으로 연속하여 연결되어 연장된 후, 다시 전방을 향하도록 연속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멤버(93)는 전후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결되는 직선구간(S1, S2)과, 양측의 직선구간(S1, S2)을 연결하는 벤딩 구간(S3)을 포함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멤버(93)의 연장된 단부에는 각각 상기 회전 연결부재(94)와 상기 가이드 헤드(9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헤드(92)와 연결된 직선 구간(S1)은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시에도 그 길이가 유지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회전 연결부재(94)와 연결된 직선 구간(S2) 및 벤딩 구간(S3)은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에 따라 그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커넥팅 멤버(93)가 연결된 전체 길이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로 상기 전선(962)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헤드(92)는, 상기 도어부(3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팅 멤버(93)의 알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헤드(92)는 상기 도어부(31) 배면의 하단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헤드(92)는, 상기 도어부(31)에 형성된 커넥팅 홀(343)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헤드(92)는 전면이 개구된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헤드(92)는 상기 커넥팅 멤버(93)와 연결되는 헤드 연결부(921)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 연결부(921)는, 상기 가이드 헤드(92)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 연결부(921)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커넥팅 멤버(93)와 결합되는 연결 돌기(92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돌기(921a)는, 상기 헤드 연결부(921)에서 후방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돌기(921a)는, 상기 헤드 연결부(921)의 상단 및 하단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돌기(921a)는, 상기 커넥팅 멤버(93)에 연결된 연결홀(945a)과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헤드(92)는, 상기 커넥팅 멤버(93)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헤드(92)는, 상기 헤드 연결부(921) 일 측면에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헤드 고정부(9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 고정부(922)는, 상기 헤드 연결부(921)의 상하 방향의 길이와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 고정부(922)는, 상기 커넥팅 멤버(93)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 홈(936)에 삽입되는 고정 리브(92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리브(922a)는 상기 헤드 고정부(922)에서 외측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리브(922a)는 상기 고정 홈(936)과 결합하여, 상기 커넥팅 멤버(93)가 상기 가이드 헤드(92)에 연결될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커넥팅 멤버(93)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 헤드(92)와 연결되는 부분을 안내함으로써, 오결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헤드(92)는, 상기 헤드 연결부(921)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개구되어 상기 전선(962)을 안내하는 헤드 개구(923)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 개구(923)는, 상기 커넥팅 멤버(93)의 내부의 전선을 상기 가이드 헤드(92)를 통과하여 상기 도어부(31) 내측을 향하여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헤드(92)는, 상기 도어부(31)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9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924)는 상기 가이드 헤드(92) 일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헤드(92)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헤드(92)의 전면 일측에는 헤드 결합홀(925a)을 포함하는 헤드 결합부(9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 결합부(925)는 상기 가이드 헤드(92) 일측에서 외측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 결합홀(925a)에는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헤드 결합홀(925a)을 관통하여, 상기 도어부(31)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에 의해 상기 가이드 헤드(92)는 보다 견고하게 상기 도어부(31)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헤드(92)는, 상기 도어부(3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팅 멤버(9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멤버(93) 내측의 전선은, 상기 가이드 헤드(92)의 헤드 개구(923)를 통해, 상기 도어부(31)에 형성된 커넥팅 홀(343)을 향하여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홀(343) 내측으로 안내된 전선(962)은 상기 커넥팅 홀(343) 내측에 구비된 도어측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측 커넥터는 상기 도어부(31)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장 부품들과 연결된 전선들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측 커넥터와 연결된 전장 부품들은 상기 컨트롤 패널(40)과. 상기 도어 라이트(34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장 부품들은 상기 도어부(31)의 내측에 구비되고 전원 연결이 필요한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패널(40)을 포함하는 도어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상기 서랍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트롤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서랍 도어(20)를 구성하는 상기 도어부(31)와 상기 서랍부(32)는 서로 분리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분리 가능한 구조를 통해서 조립 작업성과 서비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의 배면과 상기 서랍부(32)의 전면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와 상기 서랍부(32)는 양측에 구비되는 한쌍의 도어 프레임(31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패널(340)은, 도어 커버(350)에 의해 가려질 수도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부(31)에 결합되는 도어 결합부(311)와, 상기 도어 결합부(311)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서랍 결합부(312)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 결합부(311)은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도어부(31)와 결합될 수도 있으며, 간단한 결합 구조에 의해 상기 도어부(31)의 일측과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결합부(312)는 상기 서랍부(32)의 양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인출입 레일(33)과 결합된 상태로 삽입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어부(31)는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어부(31)는 전면과 둘레면 일부를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320)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320)와 결합하여, 도어부(31)의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패널(3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패널(340)의 상면에는, 상기 컨트롤 패널(40)이 배치되고, 양 측면에는, 사이드 커버(36)가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 커버(36)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320)에는 사용자의 손이 파지될 수 있는 손잡이(3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340) 양 측면에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320)와 결합되는 패널 결합부(3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결합부(341)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320)와 체결부재에 의해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340)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패널(340) 내부에는, 단열재가 충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 공간(11, 12) 내부를 단열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패널(340) 배면에는, 도어 라이트(34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340) 배면에는 함몰되어 형성된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도어 라이트(34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342)는 상기 서랍부(32)의 개구된 상면보다 더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서랍부(32)의 전방에서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을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342)는 상기 서랍 도어(20)의 배면 좌측에서 우측까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서랍 도어(20)의 배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가스켓(370)의 내측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패널(340) 배면 하단 중앙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커넥팅 홀(343)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팅 홀(343) 내측에는 상기 도어 라이트(342)와, 상기 컨트롤 패널(40)과 연결된 전선을 연결하는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홀(343)은 상기 가이드 헤드(92)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헤드(92)에 의해 안내된 전선은, 상기 커넥팅 홀(343)의 내측에 배치된 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 라이트(342)와 상기 컨트롤 패널(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홀(343)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으로 개구된 전면과 상기 전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커넥터가 수용되는 공간(344)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팅 홀(343)의 외측에는, 상기 헤드 결합부(925)를 관통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345)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헤드(92)와 상기 도어 패널(340)이 보다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홀(343)에는, 상기 가이드 헤드(92)에 형성된 걸림부(924)와 결합되는 걸림홈(346)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패널(340) 상면에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40)의 일부는 수용하는 컨트롤 패널 수용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350)는, 상기 도어 패널(340) 상면을 따라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350)에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38)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38)과 결합된 상기 컨트롤 패널(40) 일부분이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350)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38)과, 상기 컨트롤 패널(40)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350) 양 측단에는 상방으로 단차진 단차부(3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351)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38)에 형성된 프레임 단차부(38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350) 바닥면에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바닥면(381)이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38)은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350)의 단차부(351)까지 연장되어, 상기 도어 패널(340)과 보다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350) 전면 및 후면에는 복수개의 구속홈(3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홈(352)은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350)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홈(352)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38)의 수용부 결합부(382)와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38)이 상기 도어 패널(340)과 후크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40)은 상기 도어부(31)에 배치되지만, 상기 도어 패널(340) 상방에서 함몰된 공간의 내부에 구비되어, 단열재의 내부에 매립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서포트 프레임(38)에 의해서, 도어 패널(340) 내부의 단열재가 상기 컨트롤 패널(40)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38)은, 상기 도어부(31)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컨트롤 패널 수용부(35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38)은,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350)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40)을 상기 도어부(31)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38)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38)은 상면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350)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31) 상면과 접하는 프레임 바닥면(381)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바닥면(381)은,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350)의 바닥면에 장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바닥면(381) 양 측단에는, 상방으로 단차진 프레임 단차부(3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단차부(382)는,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350)의 단차부(35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단차부(382)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38)이 상기 도어부(31)에 보다 더 견고하게 장착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바닥면(381)에는, 체결부재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프레임 체결부(381a)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체결부(381a)는 상기 프레임 바닥면(381)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350)에 마련된 관통홀(353)을 통과한 체결부재는 상기 프레임 체결부(381a)를 관통하여, 상기 서포트 프레임(38)이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35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38)은, 상기 프레임 바닥면(381)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40)의 측면과 접하는 프레임 결합부(383)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결합부(383)는 상기 프레임 바닥면(381)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프레임 결합부(383)는 상기 프레임 바닥면(381)의 전단 및 후단을 따라 각각 설정된 간격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알례로, 상기 프레임 결합부(383)는, 상기 프레임 바닥면(381)을 기준으로 전단 및 후단에 대칭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이웃하는 상기 프레임 결합부(383)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프레임 절개부(38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38)이 상기 컨트롤 패널(40)과 후크 결합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상기 프레임 결합부(383)가 보다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조립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이웃하는 프레임 결합부(383) 사이 공간에는,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350)와 결합을 위한 수용부 결합부(3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 결합부(382)는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350) 둘레를 따라 형성된 구속홈(352)과 결합하여, 상기 서포트 프레임(38)이 상기 도어 패널(340)과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결합부(383)는 상기 도어부(31) 상면을 기준으로 전단과 후단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결합부(383)가 상기 프레임 바닥면(381)에서 절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높이는, 상기 컨트롤 패널(40) 측면의 높이와 대응하거나 보다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결합부(383)는, 상기 컨트롤 패널(40) 하단과 접하여, 상기 컨트롤 패널(40)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지지부(383a)와, 상기 지지부(383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40)과 결합하는 결합부(383b)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결합부(383)는, 상기 컨트롤 패널(40)에 형성된 구속부(422)와 결합하여, 상기 서포트 프레임(38)이 상기 컨트롤 패널(40)과 결합될 수 있도록 개구된 프레임 개구부(385)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개구부(385)는 상기 결합부(383b)의 양 측방을 따라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38) 양 측단에는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38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86)는 상기 컨트롤 패널(40)이 상기 서포트 프레임(38)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컨트롤 패널(40)의 양 측면과 접하여, 상기 컨트롤 패널(4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별도의 체결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38)과 상기 컨트롤 패널(40)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40)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저장 공간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 및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40)은 상기 도어부(31) 상면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하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40) 내측에는 피시비(43)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40)은, 상면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플레이트(41)와, 상기 플레이트(41)의 하방에 배치되는 컨트롤 프레임(42) 및 상기 컨트롤 프레임(42)의 하방에 배치되거나, 상기 컨트롤 프레임(42)의 내측에 수용되는 피시비(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41)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41)는, 상기 도어부(31) 상면, 즉 달리 설명하면,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350)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41)의 양 단은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350)에 형성된 단차부(351)의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레이트(41)의 수평 방향의 길이는, 상기 컨트롤 프레임(42) 보다 양 측방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41)의 수평 방향의 길이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38)의 양 단의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41)는, 상기 피시비(43)와, 상기 컨트롤 프레임(42) 및 상기 서포트 프레임(38)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피시비(43)에는 LED를 비롯한 다양한 표시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시비(43)에는 스위치, 터치센서, 버튼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43)에는 각종 소자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프레임(42)은, 상기 플레이트(41)의 하측 둘레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측면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421) 내부에 피시비(43)가 수용되면서, 상기 피시비(43)의 방수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에는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구속부(4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422)에 의해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38)과 상기 컨트롤 프레임(42)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422)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내측방향, 이를 달리 설명하면, 피시비가 배치된 방향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속부(422)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프레임(42)의 하단이 상기 서포트 프레임(38)의 지지부(383a)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결합부(383)가 상기 컨트롤 프레임(42)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속부(422)는, 상기 프레임 개구부(385)를 통과하여, 상기 컨트롤 패널(40)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38)이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컨트롤 프레임(42)을 가압하여, 상기 구속부(422)와 상기 프레임 개구부(385)와의 후크 결합을 손쉽게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 패널 교체 등 수리 작업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가 손쉽게 상기 후크 결합을 해제하거나 결합하여, 상기 컨트롤 패널(40)을 교체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컨트롤 프레임(42) 양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절개부(4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424)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38)과 후크 결합하거나 분리 작업 시, 상기 컨트롤 프레임(42)이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조립 및 분리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40)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38)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패널(340)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부(31) 양 측면에는 사이드 커버(36)가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 커버(36)는, 상기 도어 패널(340) 양 측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패널(340) 양 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커버(36)는 다수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도어 패널(340)의 측면과 전면 및 후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커버(36)는, 상기 도어 패널(340) 측면과 접하는 바디부(361)와, 상기 바디부(361) 전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제1 절곡부(362)와, 상기 바디부(361) 후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절곡부(3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곡부(362)와 상기 제2 절곡부(363)는 상기 바디부(361)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 패널(340)의 전면 및 후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커버(36)는 상기 도어 패널(340)의 상하 방향의 길이 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커버(36)는, 상기 도어 패널(340)의 하단에서 상기 컨트롤 프레임(42)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상기 플레이트(41)와 대응하는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사이드 커버(36)는, 상기 도어 패널(340) 상면에 장착되는 서포트 프레임(38)과 상기 컨트롤 패널(40) 양 측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커버(36)는, 상기 컨트롤 프레임(42) 양 측면과 결합되는 결합리브(3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364)는 상기 컨트롤 프레임(42)에 형성된 절개부(424)에 삽입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4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 패널(40)이 상기 도어부(31)에 보다 더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 패널(40)이 상기 서포트 프레임(38)과 후크 결합으로 결합되어, 분리 및 조립이 간편하여, 상기 컨트롤 패널(40)을 교체 또는 수리하는 작업이 손쉬운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입되는 서랍 도어(20)를 가지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31)에 상기 컨트롤 패널(40)과 도어 라이트(342)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40)과 도어 라이트(34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상기 도어부(31) 중앙에 형성된 커넥팅 홀(343)과 연결된 전선 가이드 모듈(90)에 의해 연결되어, 도어 인출입에 따라 전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저장 공간을 형성한 캐비닛;
    전면을 갖는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인출입되며 식품이 수납되는 서랍부를 포함하는 서랍 도어;
    상기 서랍 도어의 상면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과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 및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부의 배면을 연결하며, 상기 캐비닛 측의 전선이 상기 컨트롤 패널과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전선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부는,
    상기 도어부의 배면을 형성하고, 내부공간에 단열재가 충진된 도어 패널과,
    상기 도어 패널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를 상기 도어 패널에 결합시키는 패널 결합부와,
    상기 도어 패널 상면에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이 수용되는 컨트롤 패널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과 결합하는 서포트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의 바닥면에 고정 결합되는 프레임 바닥면, 및
    상기 프레임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의 측면과 접하는 프레임 결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는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구속홈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상기 구속홈과 후크 결합되는 수용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방에 배치되는 컨트롤 프레임, 및
    상기 컨트롤 프레임의 하방 또는 내측에 배치되는 피시비를 포함하는 냉장고.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프레임은,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 둘레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피시비를 수용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구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결합부는 측방으로 개구된 프레임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프레임 개구부를 통과하여 후크 결합되는 냉장고.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냉장고.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의 양 측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사이드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이드 커버는 다수회 절곡되어 상기 도어 패널의 측면과, 전면 및 후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커버는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어 상기 컨트롤 프레임의 양 측면과 결합하는 결합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커버는 상기 도어 패널의 하단에서 상기 플레이트까지 상하로 연장되는 냉장고.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 수용부는 양 측단에서 상방으로 단차진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바닥면의 양 측단에서 상방으로 단차지며, 상기 단차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결합부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체결부재에 의해 스크류 결합되는 냉장고.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 도어는 상기 도어 패널의 배면에 장착되는 도어 라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도어 라이트는 상기 서랍부의 개구된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서랍부의 내측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냉장고.
KR1020230061804A 2021-04-08 2023-05-12 냉장고 KR102638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1804A KR102638323B1 (ko) 2021-04-08 2023-05-12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785A KR102538004B1 (ko) 2021-04-08 2021-04-08 냉장고
KR1020230061804A KR102638323B1 (ko) 2021-04-08 2023-05-12 냉장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785A Division KR102538004B1 (ko) 2021-04-08 2021-04-08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161A true KR20230073161A (ko) 2023-05-25
KR102638323B1 KR102638323B1 (ko) 2024-02-19

Family

ID=835100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785A KR102538004B1 (ko) 2021-04-08 2021-04-08 냉장고
KR1020230061804A KR102638323B1 (ko) 2021-04-08 2023-05-12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785A KR102538004B1 (ko) 2021-04-08 2021-04-08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11867459B2 (ko)
KR (2) KR1025380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875A (ko) * 2018-12-03 2020-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6A (ko) *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7208A1 (en) * 2004-10-26 2006-04-2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201277786Y (zh) * 2008-09-04 2009-07-22 伊莱克斯(中国)电器有限公司 一种冰箱抽屉门和使用该抽屉门的冰箱
US8434837B2 (en) * 2009-07-08 2013-05-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9217601B2 (en) * 2009-12-22 2015-12-2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a convertible compartment
KR101831614B1 (ko) 2010-01-28 2018-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20130092802A1 (en) * 2011-10-13 2013-04-18 Andrew J. Doberstein Line Extender/Retractor
AU2018410668A1 (en) * 2018-03-02 2020-08-06 Electrolux Do Brasil S.A. Variable climate zone wiring
DE102018203230A1 (de) * 2018-03-05 2019-09-05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verschiebbarem Bauteil
DE102018203272A1 (de) * 2018-03-06 2019-09-12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Schublad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 Haushaltskältegerätes
CN109780806B (zh) * 2018-12-27 2020-04-2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具有滑轨走线机构的冰箱
MX2021008691A (es) * 2019-02-12 2021-08-19 Qingdao haier refrigerator co ltd Refrigerador que tiene mecanismo de cablead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875A (ko) * 2018-12-03 2020-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6A (ko) *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93934A1 (en) 2024-03-21
US11867459B2 (en) 2024-01-09
US20220325947A1 (en) 2022-10-13
US20240093935A1 (en) 2024-03-21
KR20220139613A (ko) 2022-10-17
KR102638323B1 (ko) 2024-02-19
KR102538004B1 (ko) 202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5013B1 (en) Refrigerator comprising a cover over an electrical connector mounted onto a drawer type door
EP3663686B1 (en) Refrigerator
KR102210016B1 (ko) 냉장고
KR20200025515A (ko) 냉장고
CN110319646B (zh) 冰箱
JP4934446B2 (ja) 冷却貯蔵庫
KR20100106686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
KR102447530B1 (ko) 냉장고
US20230375256A1 (en) Refrigerator
KR102538004B1 (ko) 냉장고
KR102470041B1 (ko) 냉장고
KR101652514B1 (ko) 냉장고 수납부재 조립체
KR102486948B1 (ko) 냉장고
KR20200140551A (ko) 냉장고
JP6803530B2 (ja) 冷蔵庫
KR20210112187A (ko) 냉장고
KR20210058217A (ko) 냉장고
CN113686079B (zh) 冰箱
KR20170106130A (ko) 냉장고
JP2021143783A (ja) 冷蔵庫
KR20220142907A (ko) 냉장고
KR100697430B1 (ko) 서브피시비가 구비된 냉장실도어
JP2021110497A (ja) 貯蔵庫
CN113686076A (zh) 冰箱
KR101185292B1 (ko) 김치냉장고의 도어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