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653A - 수납 기능을 포함하는 장식 조명 - Google Patents

수납 기능을 포함하는 장식 조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653A
KR20230072653A KR1020210159114A KR20210159114A KR20230072653A KR 20230072653 A KR20230072653 A KR 20230072653A KR 1020210159114 A KR1020210159114 A KR 1020210159114A KR 20210159114 A KR20210159114 A KR 20210159114A KR 20230072653 A KR20230072653 A KR 20230072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hole
led light
circuit board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준
Original Assignee
이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준 filed Critical 이성준
Priority to KR1020210159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2653A/ko
Publication of KR20230072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6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식 조명은, 광원 몸통; 상기 광원 몸통 상에 배치되며, 상측으로 빛을 발하는 LED 광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상기 광원 몸통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LED 광원의 빛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연결 몸통;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LED 광원의 빛을 분산시켜 외부로 전달하는 투명 수납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통홀은 적어도 하나의 단차를 가지고, 상기 투명 수납부는 상기 관통홀 내의 단차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투명 수납부는 상기 LED 광원과 관계없이 다양한 형태로 교체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납 기능을 포함하는 장식 조명{DECORATION LIGHT INCLUDING FUNCTION OF STORAGE}
본 발명은 조명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장식 기능 및 다양한 수납 기능을 포함하는 조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은 다양한 형태와 모양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실내에 설치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명등은 내측에 전등을 구비하여, 실내의 적절한 조명과 조도를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조명등의 외관을 다양하고 미려한 형태로 제작하여, 화려한 실내 장식을 연출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대부분의 조명등은 조명등의 형태나 모양을 화려하게 하여 실내장식효과를 높인 것으로 그 제작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제적 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2046호 (2002-04-01)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원부와 수납부의 분리가 가능하고, 광원부의 빛이 투명한 수납부를 통과하여 다양한 장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수납 기능을 포함하는 장식 조명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납부가 광원부로부터 분리되어, 교체 가능하고 세척이 용이하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수납 기능을 포함하는 장식 조명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식 조명은, 광원 몸통; 상기 광원 몸통 상에 배치되며, 상측으로 빛을 발하는 LED 광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상기 광원 몸통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LED 광원의 빛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연결 몸통;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LED 광원의 빛을 분산시켜 외부로 전달하는 투명 수납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통홀은 적어도 하나의 단차를 가지고, 상기 투명 수납부는 상기 관통홀 내의 단차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투명 수납부는 상기 LED 광원과 관계없이 다양한 형태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수납부는 측면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상부에 개구를 포함하고, 하부에 투명한 밑면을 포함하여 상기 개구를 통해 액체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 몸통은 상기 관통홀과 일부 상하로 중첩되고, 상기 회로 기판이 삽입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 조명은 상기 회로 기판에서 상기 LED 광원이 배치된 면의 반대 면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원부와 장식부의 분리가 가능하고, 광원부의 빛이 장식을 통과하여 다양한 장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장식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부가 광원부로부터 분리되어, 교체 가능하고 세척이 용이하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수납 기능을 포함하는 장식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식 조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식 조명의 광원 몸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식 조명의 연결 몸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식 조명의 투명 수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회로 기판에 연결되는 스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회로 기판에 실장된 구성들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식 조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식 조명의 광원 몸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식 조명의 연결 몸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식 조명의 투명 수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장식 조명(100)은 광원 몸통(110), 연결 몸통(120) 및 투명 수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 몸통(110) 일부에는 LED 광원(141)이 배치될 수 있다. LED 광원(141)은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몸통(120)은 광원 몸통(11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연결 몸통(120)은 연결 몸통(120)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120a, 120b)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20a, 120b)은 LED 광원(141)의 빛을 연결 몸통(120)의 상부로 전달할 수 있다. 투명 수납부(130)는 관통홀(120a, 120b)의 일부에 안착될 수 있다. 투명 수납부(130)는 LED 광원(141)의 빛을 분산시켜 장식 조명(100)의 주변을 밝힐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광원 몸통(110)에는 LED 광원(141)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 몸통(110)의 일부(예: 중앙부)에는 홈(110a)이 형성될 수 있다. LED 광원(141)은 회로 기판(140)의 일면에 배치되고, 회로 기판(140)은 홈(110a)에 안착될 수 있다. 회로 기판(140)은 LED 광원(141)이 배치된 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홈(110a)에 배치될 수 있다. 홈(110a)은 회로 기판(140)의 외곽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회로 기판(140)은 홈(110a)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140)은 LED 광원(141)의 색상 또는 밝기를 제어하는 회로, LED 광원(141)을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스위치 또는 충전식 배터리(150)를 충전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식 배터리(150)는 회로 기판(140)에서 LED 광원(141)이 배치된 반대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충전식 배터리(150)는 회로 기판(140)에 결합되어 회로 기판(1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장식 조명은 충전식 배터리(150)를 포함하지 않고, 회로 기판(140)은 외부 전원(예: 가정용 콘센트, USB 전원 케이블)에 직접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홈(110a)의 일 측면에 배선 홀(110b)이 형성될 수 있다. 배선 홀(110b)은 홈(110a)과 광원 몸통(110)의 일 측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140)에 연결된 배선(142)은 배선 홀(110b)을 통해 광원 몸통(1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회로 기판(140)에 연결된 배선(142)은 스위치, USB 단자 또는 플러그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원 몸통(110)은 목재, 커피박, 플라스틱, 금속 또는 비철금속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 몸통(110)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광원 몸통(110)은 원기둥 또는 다각 기둥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 몸통(110)의 상부 면적은 연결 몸통(120)의 하부 면적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광원 몸통(110)의 하부 면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결 몸통(120)은 일부(예: 중앙부)에 관통홀(120a, 120b)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20a, 120b)은 적어도 하나의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통홀(120a, 120b)은 제1 관통홀(120a) 및 제2 관통홀(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홀(120a)은 연결 몸통(1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홀(120b)은 연결 몸통(1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홀(120a)은 제2 관통홀(120b)보다 가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홀(120b)은 투명 수납부(130)의 밑면(132)의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명 수납부(130)는 제2 관통홀(120b)에 삽입되고, 제1 관통홀(120a)의 상부에 정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몸통(120)은 목재, 커피박, 플라스틱, 금속 또는 비철금속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 몸통(110)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광원 몸통(110)은 원기둥 또는 다각 기둥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 몸통(120)은 광원 몸통(110)과 동일한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홀(120a) 및 제2 관통홀(120b)은 광원 몸통(110)의 홈(110a)과 적어도 일부 상하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투명 수납부(130)는 측면(131)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130a)을 포함하는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 수납부(130)의 상부는 개구로 형성되고, 투명 수납부(130)의 하부는 밑면(132)으로 막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수납부(130)는 밑면(132)으로 막힌 부분이 연결 몸통(120)의 제2 관통홀(120b)로 삽입될 수 있다. 밑면(132)은 렌즈 또는 프리즘 구조로 형성되어 LED 광원(141)의 빛을 지정된 각도로 분산시킬 수 있다. 투명 수납부(130)는 하부가 밑면(132)으로 막혀 있어서 액체를 담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투명 수납부(130)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 투명 수납부(130)는 다양한 다각형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투명 수납부(130)가 다각형 기둥의 형상을 가질 경우, 연결 몸통(120)의 제2 관통홀(120b)도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수납부(130)는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투명 수납부(130)는 연필꽂이로 사용될 수 있고, 물을 채운 후 꽃병 또는 어항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음료수를 담아 컵으로 이용될 수 있다. 투명 수납부(130)는 연결 몸통(120)으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세척이 용이하고, 이에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광원 몸통(110)은 제1 높이(H1)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몸통(120)은 제2 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투명 수납부(130)는 연결 몸통(120)의 외부로 제3 높이(H3)만큼 노출되고, 연결 몸통(120)의 내부로 제4 높이(H4)만큼 삽입될 수 있다. 즉, 투명 수납부(130)는 제3 높이(H3)와 제4 높이(H4)를 합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2 높이(H2)는 제3 높이(H3)와 동일할 수 있다. 제4 높이(H4)는 제3 높이(H3)의 절반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연결 몸통(12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폭(W1)을 가질 수 있다. 투명 수납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폭(W2)(또는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폭(W1)은 제2 폭(W2)의 2배 또는 3배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식 조명(100)은 광원 몸통(110), 연결 몸통(120) 및 투명 수납부(130)가 분리되어, 투명 수납부(130)에 어떠한 물품(예: 액체)을 수납하더라도 광원의 조작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투명 수납부(130)가 광원 몸통(110)과 분리되기 때문에, 투명 수납부(130)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교체 가능하다. 또한, 투명 수납부(130)의 세척이 용이하기 때문에, 투명 수납부(130)는 다양한 용도(예: 꽃병, 어항, 음료수 컵)로 사용 가능하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회로 기판에 연결되는 스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버튼식 스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터치식 스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c)는 충전감지식 스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a)에서, 직접버튼식 스위치(191)는 도 3의 회로 기판(140)에 연결된 배선(142)과 연결될 수 있다. 직접버튼식 스위치(191)는 기계적인 방식으로 외부의 전기에너지를 회로 기판(140)에 공급할 수 있다. (b)에서, 충전터치식 스위치(192)는 사람의 신체(예: 손)의 접촉이 있는 경우 도 3의 회로 기판(140)과 충전식 배터리(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c)에서, 충전감지식 스위치(193)는 광 센서, 동작 센서 또는 진동 센서를 포함하여, 외부의 광, 동작 또는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도 3의 회로 기판(140)과 충전식 배터리(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회로 기판에 실장된 구성들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회로 기판(140)은 제어부(210)(예: 프로세서), LED 광원(141), 스위치(190), 배터리(150), 충전부(220), 온도센서(230), 습도센서(240) 또는 미세먼지 센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210)는 회로 기판(140)에 실장된 부품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스위치(190)의 신호에 기초하여 LED 광원(141)을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스위치(190)의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150)를 충전할 수 있다. 스위치(190)는 도 6에 도시된 직접버튼식 스위치(191), 충전터치식 스위치(192) 또는 충전감지식 스위치(19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충전부(220)로부터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150)를 충전할 수 있다. 일 예로, 충전부(220)는 USB 커넥터 또는 무선 충전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210)는 온도센서(23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LED 광원(141)의 색상 또는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온도센서(230)를 통해 기온이 지정된 온도(예: 섭씨 18도) 이하로 하강하면, 제어부(210)는 LED 광원(141)을 제1 색상(예: 파란색) 또는 제1 밝기로 조절할 수 있다. 온도센서(230)를 통해 기온이 지정된 온도(예: 섭씨 18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제어부(210)는 LED 광원(141)을 제2 색상(예: 빨간색) 또는 제1 밝기보다 밝은 제2 밝기로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210)는 온도에 따라 구간을 정하여 LED 광원(141)의 색상 또는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온도 구간(예: 섭씨 0도 내지 15도)에서, 제어부(210)는 제1 색상(예: 파란색) 또는 제1 밝기로 조절할 수 있다. 제2 온도 구간(예: 섭씨 16도 내지 25도)에서, 제어부(210)는 제2 색상(예: 녹색) 또는 제1 밝기보다 밝은 제2 밝기로 조절할 수 있다. 제3 온도 구간(예: 섭씨 26도 내지 40도)에서, 제어부(210)는 제3 색상(예: 빨간색) 또는 제2 밝기보다 밝은 제3 밝기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210)는 습도센서(24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LED 광원(141)의 색상 또는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습도센서(240)를 통해 습도가 지정된 습도(예: 50%) 이하로 하강하면, 제어부(210)는 LED 광원(141)을 제1 색상(예: 파란색) 또는 제1 밝기로 조절할 수 있다. 습도센서(240)를 통해 습도가 지정된 습도(예: 50%) 이상으로 상승하면, 제어부(210)는 LED 광원(141)을 제2 색상(예: 빨간색) 또는 제1 밝기보다 밝은 제2 밝기로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210)는 습도에 따라 구간을 정하여 LED 광원(141)의 색상 또는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습도 구간(예: 0% 내지 30%)에서, 제어부(210)는 제1 색상(예: 파란색) 또는 제1 밝기로 조절할 수 있다. 제2 습도 구간(예: 31% 내지 60%)에서, 제어부(210)는 제2 색상(예: 녹색) 또는 제1 밝기보다 밝은 제2 밝기로 조절할 수 있다. 제3 습도 구간(예: 61% 내지 100%)에서, 제어부(210)는 제3 색상(예: 빨간색) 또는 제2 밝기보다 밝은 제3 밝기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210)는 미세먼지 센서(25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LED 광원(141)의 색상 또는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미세먼지 센서(250)를 통해 미세먼지가 지정된 농도(예: 44ug) 이하로 하강하면, 제어부(210)는 LED 광원(141)을 제1 색상(예: 파란색) 또는 제1 밝기로 조절할 수 있다. 미세먼지 센서(250)를 통해 미세먼지가 지정된 농도(예: 44ug) 이상으로 상승하면, 제어부(210)는 LED 광원(141)을 제2 색상(예: 빨간색) 또는 제1 밝기보다 밝은 제2 밝기로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210)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구간을 정하여 LED 광원(141)의 색상 또는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농도 구간(예: 0ug 내지 30ug)에서, 제어부(210)는 제1 색상(예: 파란색) 또는 제1 밝기로 조절할 수 있다. 제2 농도 구간(예: 31ug 내지 50ug)에서, 제어부(210)는 제2 색상(예: 녹색) 또는 제1 밝기보다 밝은 제2 밝기로 조절할 수 있다. 제3 농도 구간(예: 51ug 내지 200ug)에서, 제어부(210)는 제3 색상(예: 빨간색) 또는 제2 밝기보다 밝은 제3 밝기로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식 조명(100)은 장식으로서의 심미적인 효과와 함께, 사용자에게 온도, 습도 또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시각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장식 조명
110: 광원 몸통
120: 연결 몸통
130: 투명 수납부

Claims (4)

  1. 장식 조명에 있어서,
    광원 몸통;
    상기 광원 몸통 상에 배치되며, 상측으로 빛을 발하는 LED 광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상기 광원 몸통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LED 광원의 빛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연결 몸통;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LED 광원의 빛을 분산시켜 외부로 전달하는 투명 수납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통홀은 적어도 하나의 단차를 가지고,
    상기 투명 수납부는 상기 관통홀 내의 단차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투명 수납부는 상기 LED 광원과 관계없이 다양한 형태로 교체되는 장식 조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납부는 측면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상부에 개구를 포함하고, 하부에 투명한 밑면을 포함하여 상기 개구를 통해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장식 조명.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몸통은 상기 관통홀과 일부 상하로 중첩되고, 상기 회로 기판이 삽입되는 홈을 포함하는 장식 조명.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에서 상기 LED 광원이 배치된 면의 반대 면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장식 조명.
KR1020210159114A 2021-11-18 2021-11-18 수납 기능을 포함하는 장식 조명 KR202300726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114A KR20230072653A (ko) 2021-11-18 2021-11-18 수납 기능을 포함하는 장식 조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114A KR20230072653A (ko) 2021-11-18 2021-11-18 수납 기능을 포함하는 장식 조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653A true KR20230072653A (ko) 2023-05-25

Family

ID=86542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114A KR20230072653A (ko) 2021-11-18 2021-11-18 수납 기능을 포함하는 장식 조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265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046Y1 (ko) 2002-01-17 2002-04-13 김종성 장식용 조명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046Y1 (ko) 2002-01-17 2002-04-13 김종성 장식용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0798Y1 (ko) 발광컵
US8215789B2 (en) Light-emitting apparatus
US5119279A (en) Lighted drinking vessel
CA2593253C (en) Color changing light object and user interface for same
CN103126456B (zh) 智能发光杯
US8888310B2 (en) Floating illumination device
KR101177403B1 (ko) 다용도 랜턴
JP2018535155A (ja) 容器
US10352553B2 (en) Apparatus for producing light and sound
US6948841B2 (en) Light emitting decorative apparatus
KR20230072653A (ko) 수납 기능을 포함하는 장식 조명
JP2014110208A (ja) 装飾用の発光装置
JP2005071766A (ja) 観賞用ライト
US20070279905A1 (en) Illuminable Container
CN212394523U (zh) 一种发光托盘
US11118771B2 (en) Flameless candle with multi-purpose flame element
CN216602393U (zh) 一种可发光杯子
KR200342963Y1 (ko) 발광컵
CN219895294U (zh) 一种杯底发光杯
KR200352420Y1 (ko) 발광액체용기
CN217185571U (zh) 一种儿童用发光杯
KR200160637Y1 (ko) 발광가능한 도어손잡이
KR200443768Y1 (ko) 발광기능을 갖춘 저금통
KR200165739Y1 (ko) 발광가능한 잔받침대
US20060049953A1 (en) Container having photo-audio eff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