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768Y1 - 발광기능을 갖춘 저금통 - Google Patents

발광기능을 갖춘 저금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768Y1
KR200443768Y1 KR2020070018169U KR20070018169U KR200443768Y1 KR 200443768 Y1 KR200443768 Y1 KR 200443768Y1 KR 2020070018169 U KR2020070018169 U KR 2020070018169U KR 20070018169 U KR20070018169 U KR 20070018169U KR 200443768 Y1 KR200443768 Y1 KR 2004437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ed
bank
piggy bank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근
Original Assignee
김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근 filed Critical 김태근
Priority to KR2020070018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7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7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12Savings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6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기능을 갖춘 저금통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저금통의 본체에서 다양한 색채의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이의 장식미를 도모하며, 야간에는 무드램프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발광기능을 갖춘 저금통에 의하면; 금전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단에 금전투입구(12)가 마련된 통 형상의 측벽(11)과, 측벽(11)의 상단에서 평면으로 이루어진 천정(14)을 구비하며, 하부가 개방된 저금통 본체(10)와; 이 저금통 본체(10)의 하부를 폐쇄하도록 결합되며, 개폐가능한 금전인출구가 마련된 하부커버(20)와; 저금통 본체(10)의 천정(14)에 천공된 발광홀(15)에 엘이디(31)가 수용되도록 상기 저금통 본체(10)내에 배치되고, 앞면에 엘이디(31)의 점등을 제어하기 위한 택트스위치(32)가 배치된 엘이디모듈(30)과; 상단은 발광홀(15)과 인접하는 저금통 본체(10)의 천정(14) 하부에 매달려 설치되며, 상부 측면에는 엘이디모듈(30)이 배치되고 하단 내부에는 엘이디(3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수납 보관되는 배터리케이스(40)와; 저금통 본체(10)의 천정(14) 하부에 지지브래킷(17)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진퇴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선단(51) 일부는 저금통 본체(10)의 측벽(11) 상단에 천공된 관통홀(13)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고 후단은 엘이디모듈(30)의 택트스위치(32)와 당접하여 외부에서 엘이디모듈(30)의 택트스위치(32)를 작동시키기 위한 누름부재(50)와; 저금통 본체(10)의 상부를 여유있게 덮도록 마련되며 발광홀(13)을 통한 엘이디(31)의 불빛을 외부로 발산시키기 위해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커버(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금통, 엘이디, 발광, 커버, 배터리

Description

발광기능을 갖춘 저금통{A SAVING BOX WITH LED MODULE}
본 고안은 저금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금통 본체에 발광기능을 부설하여 저금통 본연의 기능은 물론이며 장식미를 겸비할 수 있는 발광기능을 갖춘 저금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금통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비치되어 동전 또는 지폐 등을 일정시간 수납보관하여 모으기 위한 것으로, 이것이 차게 되면 수납된 동전 등을 꺼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저금통은 본체의 형상 및 금전의 인출방법 등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가 개시되어 있는데, 최근에는 금전의 수납 기능 이외에 음향 등을 제공하여 호기심 또는 흥미를 유발하는 저금통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음향 기능을 구비한 저금통의 경우 그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이며 제조비용이 상당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통해 저금통의 본체에서 다양한 색채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이의 장식미를 도모하는 것은 물론이며 흥미를 유발시켜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발광기능을 갖춘 저금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금전 수납 본연의 기능 이외에 무드램프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발광기능을 갖춘 저금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금전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단에 금전투입구가 마련된 통 형상의 측벽과 상기 측벽의 상단에서 평면으로 이루어진 천정을 구비하며, 하부가 개방된 저금통 본체와; 상기 저금통 본체의 하부를 폐쇄하도록 결합되며, 개폐가능한 금전인출구가 마련된 하부커버와; 상기 저금통 본체의 천정에 천공된 발광홀에 엘이디가 수용되도록 상기 저금통 본체내에 배치되고, 앞면에 상기 엘이디의 점등을 제어하기 위한 택트스위치가 배치된 엘이디모듈과; 상단은 상기 발광홀과 인접하는 상기 저금통 본체의 천정 하부에 매달려 설치되며, 상부 측면에는 상기 엘이디모듈이 배치되고 하단 내부에는 상기 엘이디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수납 보관되는 배터리케이스와; 상기 저금통 본체의 천정 하부에 지지브래킷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진퇴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선단 일부는 상기 저금통 본체의 측벽 상단에 천공된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고 후단은 상 기 엘이디모듈의 택트스위치와 당접하여 외부에서 상기 엘이디모듈의 택트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누름부재와; 상기 저금통 본체의 상부를 여유있게 덮도록 마련되며 상기 발광홀을 통한 상기 엘이디의 불빛을 외부로 발산시키기 위해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저금통 본체의 천정의 발광홀에 상기 저금통 본체의 상측으로 입설되며 상기 엘이디에서 발하는 불빛을 입체적으로 발산하기 위한 로드 형태의 발광로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발광로드의 상단부가 구 형태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발광로드가 광투과성 재질의 아크릴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발광기능을 갖춘 저금통에 의하면; 누름로드 선단을 누르면 저금통의 본체 상부에서 다양한 색체 발광이 이루어져 저금통의 장식미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어린이들에게 흥미를 유발시켜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저금통이 금전 수납 본연의 기능 이외에 야간에는 무드램프 기능을 발휘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기능을 갖춘 저금통의 구조를 보인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저금통의 동작과정을 보인 것이다.
<구성설명>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저금통은 내부에 금전을 수납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외부로 빛을 발할 수 있는 발광기능을 구비한 것으로, 이를 위해 금전을 수용 보관하며 저금통의 외형을 이루는 저금통 본체(10)와, 이 저금통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커버(20)와, 저금통 본체(10)내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엘이디(31)가 마련된 엘이디모듈(30)과, 이 엘이디모듈(30)을 고정하며 배터리(41)가 수납 보관되는 배터리케이스(40)와, 엘이디모듈(30)을 외부에서 조작하기 위한 누름부재(50)와, 저금통 본체(10)의 상부를 여유있게 덮는 상부커버(60)를 갖추고 있다.
저금통 본체(10)는 금전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단에 금전투입구(12)가 마련된 통 형상의 측벽(11)과, 이 측벽(11)의 상단에서 평면으로 이루어진 천정(14)을 구비하며, 이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다. 저금통 본체(10)의 천정(14)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도록 발광홀(15)이 천공되어 있는데, 이것은 엘이디모듈(30)의 불빛을 외부로 발산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저금통 본체(10)의 천정(14)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슬롯형태의 결합홈(1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상부커버(6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하부커버(20)는 저금통 본체(10)의 하부를 폐쇄하도록 후크결합 방식을 통해 결합되며, 이의 중앙부에는 개폐가능한 금전인출구(미도시)가 마련된다. 따라서 사 용자는 저금통 본체(10)에 수납된 금전을 금전인출구를 통해 꺼낼 수 있다.
그리고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엘이디모듈(30;LED MODULE)은 저금통 본체(10)의 천정(14)에 천공된 발광홀(16)에 엘이디(31;LED)가 수용되도록 저금통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의 앞면에는 엘이디(31)의 점등을 제어하기 위한 택트스위치(32)가 배치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엘이디(31)가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색상의 빛을 발하도록 복수개로 구성되며, 엘이디모듈(30)의 회로기판(PCB)에는 택트스위치(32)의 접점신호에 의해 엘이디(31)의 점등이 제어되도록 프로그램화되어 있다. 그리고 엘이디모듈(30)의 택트스위치(32)는 접점이 자동적으로 복원되는 돔스위치의 일종으로 구성되는데,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스위치의 접점 스트로크가 1mm 정도인 택트스위치를 적용하였다.
이러한 엘이디모듈(30)은 배터리케이스(40)에 부착되어 저금통 본체(10)의 천정(14) 하부에 설치된다. 즉, 배터리케이스(40)는 상단이 발광홀(15)과 인접하는 저금통 본체(10)의 천정(14) 하부에 고정스크루(42)를 통해 매달려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 측면에는 엘이디모듈(30)이 후크결합방식을 통해 고정 배치된다. 그리고 배터리케이스(40)의 하부는 내부가 텅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기에는 엘이디(31)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의 배터리(41)가 수납 보관된다. 또한, 배터리케이스(40)는 고정스크루(42)를 통해 저금통 본체(10) 내부에서 착탈이 가능하게 매달려 설치되기 때문에, 엘이디모듈(30)을 수리하거나 배터리(41)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엘이디모듈(30)의 엘이디(31) 직상부, 즉 발광홀(15)에는 엘이디(31) 에서 발하는 불빛을 입체적으로 발산시키기 위한 광투과성 재질의 발광로드(70)가 결합된다. 이 발광로드(70)는 로드형태로 이루어져 저금통 본체(10)의 천정(14)에서 상측으로 입설되며, 이의 상단부(71)는 구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발광로드(70)는 광투과성이 우수한 아크릴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성형성이 우수한 아크릴수지를 통해 구성하였다.
한편, 저금통 본체(10)의 천정(14) 하부에는 외부에서 엘이디모듈(30)의 택트스위치(31)를 작동시키기 위한 누름부재(50)가 마련된다. 이 누름부재(50)는 저금통 본체(10)의 천정(14) 하부에 돌출되게 성형된 지지브래킷(17)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진퇴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이의 선단(51)은 저금통 본체(10)의 측벽(11) 상단에 천공된 관통홀(13)을 통해 외부로 2mm 정도 연장 돌출되고, 이의 후단은 엘이디모듈(30)의 택트스위치(32)와 당접하도록 배치된다. 누름부재(50)의 선단(51)은 관통홀(13)을 통해 일부만이 노출되도록 단차지게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누름부재(50)의 선단(51)을 인위적으로 누르면, 누름부재(50)가 후진하여 택트스위치(32)를 작동시키며, 누름부재(50)를 놓으면 택트스위치(32)의 복원력에 의해 누름부재(50) 역시 초기 위치로 이동되게 된다.
또한,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커버(60)는 발광로드(70)가 입설된 저금통 본체(10)의 천정(14) 상부를 여유있게 덮는 것으로, 이것 역시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부커버(60)는 하단을 따라 걸림후크(61)가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어서 저금통 본체(10)의 천정(14) 결합홈(16)에 탄성 결합되며, 상 부커버(60)의 내면에는 발광로드(70)에서 발산되는 빛을 난반사시키기 위한 돌기형 비드가 전역에 걸쳐 마련된다.
<동작설명>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저금통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금전투입구(12)를 통해 동전이나 지폐와 같은 금전을 투입하면, 이것은 저금통 본체(10)내로 떨어져 여기에 수납 보관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전투입 중에 저금통 본체(10)의 측벽(11)으로 약간 돌출된 누름부재(50)의 선단(51)을 누르면(도 5의 화살표 방향 참조), 누름부재(50)가 후퇴하여 택트스위치(32)의 접점을 동작시킨다. 그리고 누름부재(50)를 놓으면 택트스위치(32)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누름부재(50)는 초기상태로 복원된다.
이러한 택트스위치(32)의 접점 동작에 따라 엘이디모듈(30)의 엘이디(31)가 점등되며, 여기에서 발하는 빛은 발광홀(15)과 발광로드(70) 및 상부커버(60)를 통해 외부로 난반사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택트스위치(32)의 1회 접점동작에 따라 엘이디모듈(30)의 엘이디(31)가 일정시간 동안 점등된 후 자동적으로 오프되도록 프로그램화되어 있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택트스위치(32)가 매번 접점 될 때마다 온 또는 오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램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어린이 등이 저금통에 금전을 투입하면서 누름부재(50)를 누르면 엘이디모듈(30)이 발광하여 제품의 흥미를 더욱 유발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야간에는 발광로드(70)와 상부커버(60)를 통해 은은한 색채감을 갖는 빛이 난반사됨으로써 무드램프 용도로도 사용 가능한 실용적인 가치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기능을 갖춘 저금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저금통의 상부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저금통의 발광로드 및 엘이디모듈 등의 배치구조를 일부 절결하여 보인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 - Ⅳ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고안에 따른 저금통의 발광로드 및 엘이디모듈 등의 배치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저금통의 발광기능 사용 상태를 보인 것이다.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저금통 본체 12..동전투입구
15..발광홀 20..하부커버
30..엘이디모듈 32..택트스위치
40..배터리케이스 50..누름부재
60..상부커버 70..발광로드

Claims (4)

  1. 금전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단에 금전투입구(12)가 마련된 통 형상의 측벽(11)과 상기 측벽(11)의 상단에서 평면으로 이루어진 천정(14)을 구비하며, 하부가 개방된 저금통 본체(10)와;
    상기 저금통 본체(10)의 하부를 폐쇄하도록 결합되며, 개폐가능한 금전인출구가 마련된 하부커버(20)와;
    상기 저금통 본체(10)의 천정(14)에 천공된 발광홀(15)에 엘이디(31)가 수용되도록 상기 저금통 본체(10)내에 배치되고, 앞면에 상기 엘이디(31)의 점등을 제어하기 위한 택트스위치(32)가 배치된 엘이디모듈(30)과;
    상단은 상기 발광홀(15)과 인접하는 상기 저금통 본체(10)의 천정(14) 하부에 매달려 설치되며, 상부 측면에는 상기 엘이디모듈(30)이 배치되고 하단 내부에는 상기 엘이디(3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1)가 수납 보관되는 배터리케이스(40)와;
    상기 저금통 본체(10)의 천정(14) 하부에 지지브래킷(17)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진퇴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선단 일부는 상기 저금통 본체(10)의 측벽(11) 상단에 천공된 관통홀(13)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고 후단은 상기 엘이디모듈(30)의 택트스위치(32)와 당접하여 외부에서 상기 엘이디모듈(30)의 택트스위치(32)를 작동시키기 위한 누름부재(50)와;
    상기 저금통 본체(10)의 상부를 여유있게 덮도록 마련되며 상기 발광홀(15) 을 통한 상기 엘이디(31)의 불빛을 외부로 발산시키기 위해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커버(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기능을 갖춘 저금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금통 본체(10) 천정(14)의 발광홀(15)에는 상기 저금통 본체(10)의 상측으로 입설되며 상기 엘이디(31)에서 발하는 불빛을 입체적으로 발산하기 위한 로드 형태의 발광로드(7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기능을 갖춘 저금통.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로드(70)의 상단부(71)는 구 형태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기능을 갖춘 저금통.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로드(70)는 광투과성 재질의 아크릴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기능을 갖춘 저금통.
KR2020070018169U 2007-11-12 2007-11-12 발광기능을 갖춘 저금통 KR2004437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169U KR200443768Y1 (ko) 2007-11-12 2007-11-12 발광기능을 갖춘 저금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169U KR200443768Y1 (ko) 2007-11-12 2007-11-12 발광기능을 갖춘 저금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768Y1 true KR200443768Y1 (ko) 2009-03-12

Family

ID=41347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169U KR200443768Y1 (ko) 2007-11-12 2007-11-12 발광기능을 갖춘 저금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7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6907A (zh) * 2012-06-26 2012-10-17 应江波 一种储蓄罐底座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6907A (zh) * 2012-06-26 2012-10-17 应江波 一种储蓄罐底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7411B1 (en) Electronic candle
US7178939B2 (en) Electronic simulation candle
CA2593253A1 (en) Color changing light object and user interface for same
US20060176703A1 (en) Novelty lighting system
US20060164823A1 (en) LED-type wall lamp with decorative liquid
CN102460004A (zh) 发光装置
US7360930B2 (en) Electronic candleholder
WO2017206647A1 (zh) 透明体积木块件
KR200443768Y1 (ko) 발광기능을 갖춘 저금통
US6746135B2 (en) Illuminated soap bar with sound
US20060172239A1 (en) Led candle holder
JP6561309B2 (ja) 多面体照明装置
US20070279905A1 (en) Illuminable Container
JP3935126B2 (ja) 装飾用灯具
JP2005158320A (ja) 携帯用ケース
KR101607602B1 (ko) 백라이트유닛을 가지는 음료 자판기
CN220707403U (zh) 电弧打火机
US20050205605A1 (en) Illuminated liquid soap dispenser
JP3203064U (ja) 発光機能付きcdケース型装飾装置
KR100742725B1 (ko) 기능성 어항
KR200494799Y1 (ko) 무드등
EP2282315A1 (en) Illuminated push button
KR200379242Y1 (ko) 엘이디(led)를 이용한 수족관
CN212117333U (zh) 跳闪吊饰
CN211625113U (zh) 创意石头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