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602A - Digital Reduction-Type Video Wall Switchboard - Google Patents

Digital Reduction-Type Video Wall Switch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602A
KR20230072602A KR1020210159015A KR20210159015A KR20230072602A KR 20230072602 A KR20230072602 A KR 20230072602A KR 1020210159015 A KR1020210159015 A KR 1020210159015A KR 20210159015 A KR20210159015 A KR 20210159015A KR 20230072602 A KR20230072602 A KR 20230072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control
information processing
switchboard
facil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0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8384B1 (en
Inventor
장양순
이창규
Original Assignee
(주)가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온테크 filed Critical (주)가온테크
Priority to KR1020210159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384B1/en
Publication of KR20230072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6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3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5/00Supervisory desks or panels for centralised control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은, 기존의 아날로그 입출력 정보의 통신과 제어 방식에서 수행되는 감시, 제어, 경보, 계측의 기능을 디지털화하고, 현장설비를 모니터링하고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장 및 오류 요인 감소와 실시간 감시 능력 향상으로 인해 변전소 설비에 대한 감시제어 기술 증대, 정전 비용 감소, 변전설비 운전비용 감소 효과가 발생하여 신뢰성이 높고 안전하며 친환경적인 운영이 가능한 변전소 설비 감시용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은, 변전소 현장설비; 현장설비의 동작 및 설비 상태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배전반에 전달하는 현장데이터입력모듈과, 디지털 배전반으로부터 현장설비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현장설비에 제공함으로써 현장설비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현장데이터출력모듈로 구성되는 현장정보처리반; 및 현장정보처리반으로부터 현장설비 동작 및 설비 상태를 수신하고 현장설비의 제어 및 작동 신호를 현장정보처리반에 송신하며, 중앙관제센터에서 현장설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현장설비의 결선상태를 축소 구현하고 현장설비의 감시, 제어, 경보, 계측의 기능을 디지털화하는 디지털 배전반;을 포함하되, 디지털배전반은, 현장데이터입력모듈에서 수신한 현장설비 정보를 분석하고 현장설비의 상태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생성 후 현장정보처리반과 송수신하여 현장설비를 운전하는 주 정보처리장치; 주 정보처리장치에 연결되어 현장설비에 대한 제어 명령 입력 및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며, 모자익 제어용 입출력 장치로 구성되는 모자익 제어장치; 주 정보처리장치에 연결되며, 현장정보처리반의 입력신호에 따라 현장설비의 표시램프를 점등 제어하는 램프제어모듈; 현장설비의 비정상 상태를 수신하여 비상램프를 점등 제어하는 비상램프모듈; 및 모자익 제어장치의 제어명령를 현장설비에 맞게 변환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스위치제어모듈;로 구성되는 현장제어모듈; 주 정보처리장치에 연결되어 현장설비의 장애 상태를 음성과 음향의 확성으로 안내하는 경보장치; 주 정보처리장치에 연결되어 현장설비의 차단기 작동횟수를 누산하는 계측기; 및 디지털 배전반에 송수신되는 현장설비의 정보들이 스크린으로 영상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igital reduced video wall switch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digitizes the monitoring, control, alarm, and measurement functions performed in the existing analog input/output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control method, and enables field equipment to be monitored and remotely controlled, thereby preventing breakdowns. Digital miniature type for monitoring substation facilities that enables reliable, safe, and eco-friendly operation by increasing monitoring and control technology for substation facilities, reducing power outage costs, and reducing substation facility operating costs due to reduction of error factors and improved real-time monitoring capabilities It aims to provide a video wall switchboard.
Accordingly, the digital reduced video wall switc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ubstation field facilities; A field data input module that receives field equipment operation and facility status signals and transmits them to the digital switchboard, and a field data output module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controlling field facilities by receiving field facility control signals from the digital switchboard and providing them to field facilities. On-site information processing group consisting of; Receive field facility operation and facility status from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panel and send field facility control and operation signals to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panel. A digital switchboard that digitizes the functions of monitoring, control, alarm, and measurement of facilities; including, but, the digital switchboard analyzes the field facil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eld data input module and generates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ield facility. A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o operate on-site facilities; a mosaic control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erforms control command input and monitoring functions for field facilities, and consists of input/output devices for mosaic control; A lamp control module that is connected to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s the lighting of the display lamp of the field facility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panel; An emergency lamp module that receives an abnormal state of field equipment and controls the lighting of an emergency lamp; and a switch control module that converts control commands of the mosa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field facilities and transmits control signals; a field control module comprising; An alarm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s the failure state of field facilities with voice and sound amplification; A measuring instrument connected to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accumulating the number of circuit breakers of field facilities; and a display unit that outputs images of field equipment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he digital switchboard on a screen.

Description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Digital Reduction-Type Video Wall Switchboard}Digital Reduction-Type Video Wall Switchboard}

본 발명은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별 중앙처리장치 탑재 모듈의 분산 기법을 적용한 변전설비 감시 및 운전 기능을 디지털 통신 기술로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에 도입함으로써 기존의 아날로그 입출력 정보의 통신과 제어 방식에서 수행되는 감시, 제어, 경보, 계측의 기능을 디지털화 하는 디지털 배전반을 구성하고, 현장설비 근단에 입출력 모듈을 분산 설치하며, 디지털 배전반을 통해 현장 운전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운전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장 및 오류 요인 감소와 실시간 감시 능력이 향상되고 변전소 설비에 대한 감시제어 기술 증대, 정전 비용 감소 및 변전설비 운전비용 감소 효과가 발생하여 신뢰성이 높고 안전하며 친환경적인 운영이 가능한 변전소 설비 감시용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iniature video wall switchboard, and more particularly, by introducing a substation facility monitoring and operation function applied with a distributed technique of a module equipped with an individual central processing unit into a miniature mosaic switchboard with digital communication technology. Configure a digital switchboard that digitizes the functions of monitoring, control, alarm, and measurement performed in the communication and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distribute and install input/output modules near field facilities, acquire field oper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digital switchboard, and By monitoring information and enabling remote control, failure and error factors are reduced, real-time monitoring capability is improved, substation equipment monitoring and control technology is increased, power outage costs are reduced, and substation facility operation costs are reduced. It relates to a digital miniature video wall switchboard for monitoring substation facilities that can be operated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ner.

전기에너지는 사회 전반에 걸친 경제활동의 성장과 첨단기술의 개발, 그리고 디지털 기반의 기술 발달로 생활의 질과 산업 활동이 증가 되어 사용량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른 전력기기 및 송ㆍ변전설비가 대형화되고 있으며, 현재의 전력설비 고장은 곧바로 광역정전으로 파급될 수 있으며 경제와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점점 커지고 있다.The use of electric energy continues to increase as the quality of life and industrial activities increase due to the growth of economic activities throughout society, the development of cutting-edge technologies,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based technologies. As a result, power equipment and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facilities are becoming larger, and current power facility failures can immediately ripple into wide-area power outages, and the impact on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is increasing.

특히 송ㆍ변전 설비인 경우 점차 선로용량의 증대뿐만 아니라 선로와 연계된 변전설비의 기기가 다양화되고 복잡화되고 있어 고장횟수 및 정전시간의 증가 우려뿐만 아니라 고장 시 제품의 생산 차질 및 불량 발생 등으로 산업 활동 전반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으며 타 에너지산업보다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더욱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력에너지 환경 변화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서는 전력계통의 안정적 공급이 최우선 선행되어야 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facilities, not only the line capacity is gradually increasing, but also the devices of the substation facilities connected to the lines are diversifying and becoming more complex. It is causing enormous disruption to overall industrial activities, and the impact on economic activities is relatively more increased than other energy industries. Therefore, in order to actively cope with changes in the electric energy environment, the stable supply of the power system must be a top priority.

그러나 최근 변전소 내에 있는 각종 전력기기들의 품질 저하 및 보호장치의 미흡으로 인적 실수들이 유발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송ㆍ변전설비의 고장은 대형 정전으로 확대되어 크나큰 사회적 물의를 야기하고 있는 바,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신기술개발에 집중하여 안정적인 전력공급과 고장 등의 사고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보안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recently, human errors have been caused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various electric power devices in the substation and the lack of protective devices, and as a result, the failure of the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has expanded to a large-scale power outage, causing great social controversy. In order to do this, there is a need for security measures that can block accidents such as stable power supply and breakdown in advance by focusing on continuous new technology development.

우리나라의 2020년 3월 기준 송·변전 설비는 송전설비가 가공 34,122(C-km), 지중 4,437(C-km), 수중 291(km)가 설치되어 환상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변전설비는 866개 변전소를 운영하고 있고 그 중 약 86.61 %인 750개 변전소가 무인화 운전 되고 있으며 신설 변전소는 물론 기존 변전소도 지속적으로 무인화가 되고 추세인데, 무인변전소에는 설비운전 상태를 자동으로 감시하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Superviso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SCADA)에 의한 변전설비 운전방식 및 디지털 신기술을 적용한 변전소 종합자동화를 추진하고 있다.As of March 2020,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facilities in Korea consist of an annular network with 34,122 (C-km) overhead, 4,437 (C-km) underground, and 291 (km) underwater, and 866 substation facilities 750 substations are in operation, and about 86.61% of them, 750 substations, are operated unmanned. New substations as well as existing substations are continuously becoming unmanned.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CADA) substation facility operation method and substation comprehensive automation applying new digital technology are being promoted.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은 변전소 운전설비의 종합적인 감시, 제어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설비로서 2020년 후반부터 변전소에 적용된 이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설치, 운영중에 있는데, 현행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The reduced mosaic switchboard is a facility that performs comprehensive monitoring, control, and management functions of substation operating facilities. same.

우선 현재 변전소에 적용하고 있는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과 변전설비 간의 정보교환 방식은 설비의 감시, 제어 각 관제 지점별로 1:1 제어케이블로 매칭 구성되어 있다.First of all, the information exchange method between the miniature mosaic switchboard and the substation facility currently applied to the substation is composed of matching 1:1 control cables for each monitoring and control control point of the facility.

변전소내 설비 운전정보는 제어케이블로 감시실에 집중되도록 시설되어 있으며 기존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은 아날로그(analog) 기술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고 변전설비용 원방감시제어시스템(SCADA) 정보통신 방식은 한전 고유의 프로토콜(protocol)이 적용되어 있어서 설비 오동작 시의 파급효과가 막대하여 설비 제어 등의 수행방식에 다단계 검증 절차가 요구되며 설비의 종류 및 특성이 다양하여 설비별 감시, 제어 등의 관제점 규모가 상이하다.Facility operation information in the substation is equipped to be concentrated in the monitoring room with control cables, and the existing miniature mosaic switchboard is composed based on analog technology, and th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SCADA)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for substation facilities is unique to KEPCO. protocol is applied, so the ripple effect in case of equipment malfunction is enormous, requiring a multi-level verification procedure for the method of performing equipment control, etc., and the size of control points such as monitoring and control for each equipment It is different.

또한 다량의 제어케이블 포설로 시설투자비(전기, 건축 등)가 과다하게 소요되며 복잡한 설비 구성으로 고장 발생 요인 증가에 따른 막대한 손실비용의 발생 요인이 되며 향후 설비 운전방식 등 디지털화 변경 시에는 기 시공된 제어케이블 투자비 손실이 발생된다.In addition, excessive facility investment (electricity, construction, etc.) is required due to the installation of a large amount of control cables, and the complex configuration of facilities causes huge loss costs due to the increase in failure factors. Control cable investment cost loss occurs.

게다가 복잡한 제어케이블 포설로 시공성이 저하되며 단위 설비 내 제어케이블 포화로 설비 유지보수가 곤란하고 제어케이블 시설을 위한 복잡한 건축 구조물 및 부대시설 시공이 필요하며 배전반 높이가 높아 감시운전 및 유지보수에 불합리하다.In addition, complex control cable installation reduces workability, control cable saturation within unit facilities makes facility maintenance difficult, complex building structures and auxiliary facility construction for control cable facilities are required, and the height of the switchboard is high, making monitoring operation and maintenance unreasonable. .

상술한 것과 같이 다량의 제어케이블이 감시실로 집중되어 시설되는 후진적 구성방식이 유지됨으로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 내부구성이 제어케이블에 의해 복잡하게 이뤄져 있어 비정상 상황 발생 시 원인분석 파악 및 조치가 지연되는 등 기술적 장애요인이 상존하는 실정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ackward configuration method in which a large amount of control cables are concentrated and installed in the monitoring room is maintained, so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iniature mosaic switchboard is complicated by the control cables, so that in the event of an abnormal situation, cause analysis, identification and action are delayed, etc. Technical barriers still exist.

이에 변전소 설비의 운전상태에 대한 감시, 제어, 계측 기능을 디지털화 하고 변전소 설비의 외형을 축소하고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설비운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디지털 기반의 변전소 설비 감시용 축소형 배전반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digital-based miniature switchboard for monitoring substation facilities that can digitize the monitoring, control, and measurement functions for the operation status of substation facilities, reduce the appearance of substation facilities, minimize costs, and secure the safety of facility operation. There is a situa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83503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10-0783503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개별 중앙처리장치 탑재 모듈의 분산 기법을 적용한 변전설비 감시 및 운전 기능을 디지털 통신 기술로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에 도입함으로써 기존의 아날로그 입출력 정보의 통신과 제어 방식에서 수행되는 감시, 제어, 경보, 계측의 기능을 디지털화 하는 디지털 배전반을 구성하고, 현장설비 근단에 입출력 모듈을 분산 설치하며, 디지털 배전반을 통해 현장 운전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운전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장 및 오류 요인 감소와 실시간 감시 능력이 향상되고 변전소 설비에 대한 감시제어 기술 증대, 정전 비용 감소 및 변전설비 운전비용 감소 효과가 발생하여 신뢰성이 높고 안전하며 친환경적인 운영이 가능한 변전소 설비 감시용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by introducing the substation facility monitoring and operation function applied with the distributed technique of the individual central processing unit module to the miniature mosaic switchboard with digital communication technology, Configure a digital switchboard that digitizes the functions of monitoring, control, alarm, and measurement performed in the communication and control method of analog input/output information, distribute and install input/output modules near field facilities, acquire field oper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digital switchboard, By monitor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enabling remote control, failure and error factors are reduced, real-time monitoring capability is improved, substation facility monitoring and control technology is increased, power outage costs are reduced, and substation facility operation costs are reduced, resulting in high reliability Its purpose is to provide a digital miniature video wall switchboard for monitoring substation facilities that can be operated safely and in an eco-friendly manner.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은, 변전소 현장설비; 현장설비의 동작 및 설비 상태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배전반에 전달하는 현장데이터입력모듈과, 디지털 배전반으로부터 현장설비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현장설비에 제공함으로써 현장설비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현장데이터출력모듈로 구성되는 현장정보처리반; 및 현장정보처리반으로부터 현장설비 동작 및 설비 상태를 수신하고 현장설비의 제어 및 작동 신호를 현장정보처리반에 송신하며, 중앙관제센터에서 현장설비를 모니터링 하도록 현장설비의 결선상태를 축소 구현하고 현장설비의 감시, 제어, 경보, 계측의 기능을 디지털화하는 디지털 배전반;을 포함하되, 디지털배전반은, 현장데이터입력모듈에서 수신한 현장설비 정보를 분석하고 현장설비의 상태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생성 후 현장정보처리반과 송수신하여 현장설비를 운전하는 주 정보처리장치; 주 정보처리장치에 연결되어 현장설비에 대한 제어 명령 입력 및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며, 모자익 제어용 입출력 장치로 구성되는 모자익 제어장치; 주 정보처리장치에 연결되며, 현장정보처리반의 입력신호에 따라 현장설비의 표시램프를 점등 제어하는 램프제어모듈; 현장설비의 비정상 상태를 수신하여 비상램프를 점등 제어하는 비상램프모듈; 및 모자익 제어장치의 제어명령를 현장설비에 맞게 변환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스위치제어모듈;로 구성되는 현장제어모듈; 주 정보처리장치에 연결되어 현장설비의 장애 상태를 음성과 음향의 확성으로 안내하는 경보장치; 주 정보처리장치에 연결되어 현장설비의 차단기 작동횟수를 누산하는 계측기; 및 디지털 배전반에 송수신되는 현장설비의 정보들이 스크린으로 영상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A digital reduced video wall switc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ubstation field facilities; Consisting of a field data input module that receives field equipment operation and facility status signals and transmits them to the digital switchboard, and a field data output module that performs field facility control functions by receiving field facility control signals from the digital switchboard and providing them to field facilities on-site information processing team; and field equipment operation and facility status are received from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panel, and control and operation signals of field facilities are transmitted to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panel, and the wiring status of field facilities is reduced and realized so that the central control center monitors field facilities, and realization of field facility A digital switchboard that digitizes the functions of monitoring, control, alarm, and measurement; but, the digital switchboard analyzes the field equip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eld data input module and generates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ield equipment, and then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panel A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operates field facilities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 mosaic control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erforms control command input and monitoring functions for field facilities, and consists of an input/output device for mosaic control; A lamp control module that is connected to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s the lighting of the display lamp of the field facility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panel; An emergency lamp module that receives an abnormal state of field equipment and controls the lighting of an emergency lamp; and a switch control module that converts control commands of the mosa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field facilities and transmits control signals; a field control module comprising; An alarm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s the failure state of field facilities with voice and sound amplification; A measuring instrument connected to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accumulating the number of circuit breakers of field facilities; and a display unit that outputs images of field facility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he digital switchboard on a screen.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배전반은, 예비 정보처리장치;를 더 포함하고, 현장정보처리반은 주 정보처리장치와 예비 정보처리장치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스위칭 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gital switchboard further includes a preliminary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the on-site information processing board is selectively switched and connected to one of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the auxiliary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배전반은. 외측에 별도 구성되어 연결되는 배전반 시뮬레이터;를 더 포함하고, 배전반 시뮬레이터는, 주 정보처리장치에 연결되어 디지털 배전반의 구성과 현장설비의 구조를 포함한 리얼데이터를 전달받아 가상현장 설비 계통도를 작성하고 모의데이터에 동기화시켜 가상현장 설비를 구성하는 정보처리 모의장치; 정보처리 모의장치에 연결되어 가상현장 설비 계통도 및 모의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하는 훈련영상출력부; 정보처리 모의장치에 연결되어 가상현장 설비를 대상으로 감시, 제어, 경보, 계측 기능을 조정하는 모자익 모의제어장치; 모자익 제어장치에 연결되어 조정에 따른 제어 및 경보기능을 출력하는 경보모의장치; 및 모자익 제어장치에 연결에되 가상현장 설비의 차단기 누산값을 산출하는 계측모의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gital switchboard. It further includes a switchboard simulator that is separately configured and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the switchboard simulator is connected to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o receive real data includ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switchboard and the structure of field facilities, and create and simulate a schematic diagram of virtual field facilities. An information processing simulation device that configures virtual field facilities by synchronizing with data; A training image output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simulation device and outputs a schematic diagram of virtual field facilities and simulated data to a screen; Mosaic simulation control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simulation device and adjusts monitoring, control, alarm, and measurement functions for virtual field facilities; An alarm simulation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mosaic control device and outputs control and alarm functions according to the adjustment; And a measurement simulator that is connected to the mosaic control device and calculates the accumulated value of the circuit breaker of the virtual field facility.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보장치는, 현장설비의 광역 구간별로 구분되는 다수의 광역경보구간부;로 구성되고, 각 광역경보구간부는 주위를 둘러싸는 경보조명등;이 별도 구성되며, 특정 현장설비 장애 발생 시 경보조명등이 점멸됨으로서 해당 광역경보구간부 전체를 점검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larm devic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wide-area warning sections divided by wide-area sections of field facilities, and each wide-area alarm section is separately configured with alarm lights surrounding the surroundings, and specific field facility failures. It is characterized by guiding to inspect the entire wide-area warning section by flickering the alarm lighting when it occurs.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자익 제어용 입출력 장치는 모니터, 키보드 및 증폭마우스를 포함하며, 증폭마우스는, 일측에 구비된 스퀴즈버튼을 구동시키면 모니터에 현장설비 상태가 부분적으로 확대 출력되어 모니터링을 위해 다수의 화면을 이동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타측에 구비된 와이드버튼을 구동시키면 모니터에 현장설비 상태 전체가 광범위하게 출력되어 하나의 화면으로 모니터링 하도록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put/output device for mosaic control includes a monitor, a keyboard, and an amplifying mouse, and when the squeeze butt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mplifying mouse is driven, the field equipment state is partially enlarged and output on the monitor, and a plurality of It is implemented so that the screen can be moved, and when the wide butt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is driven, the entire field equipment state is output to a wide range on the monitor,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implemented to be monitored with one scree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igital reduced video wall switch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한국전력에서 추진하고 있는 한국형 디지털 뉴딜 정책에 발맞추어 변전소의 디지털 변환을 이루게 되며, 이를 통해 노후화된 전력 인프라에 대한 업그레이드와 함께 변전소 지능화 신기술을 접목하여 고품질 전력을 수용가에 안정적 공급이 가능하다.First, substations will be digitally transformed in line with the Korean Digital New Deal policy promoted by KEPCO. Through this, high-quality power can be stably supplied to consumers by upgrading the aging power infrastructure and incorporating new technologies for substation intelligence.

둘째, 디지털 기반의 안정적 변전소 운영이 가능한 선진국형 제어관리 기술력을 확보하여 기업의 역량을 증진시키고 해외기업과의 경쟁력 우위 조건을 확보할 수 있어 해외 수출의 길이 확대될 수 있다.Second,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way of overseas exports by improving the capabilities of companies and securing competitive advantage conditions with foreign companies by securing control and management technology in advanced countries that can operate digital-based stable substations.

셋째, 신뢰성 높은 감시제어기술의 증대를 통해 시설의 간소화와 고장의 우려가 감소하고 정전비용이 감소하며 변전설비 운영 비용이 감소하여 경제적 효과가 뛰어나다.Third, through the increase of reliable monitoring and control technology, facility simplification and failure concerns are reduced, power outage costs are reduced, and substation facility operating costs are reduced, resulting in excellent economic effects.

넷째, 안정적이고 예측이 가능한 설비 운영과 낮은 고장 발생률 및 고장 발생 시 신속한 대응 복구가 가능하므로 변전소의 송·배전 품질에 대한 신뢰성이 높고 안전하며 친환경적인 운영이 가능하다.Fourth, stable and predictable facility operation, low failure rate, and rapid response and recovery in case of failure enable reliable, safe, and eco-friendly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quality of the subst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과 현장설비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추가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 및 먼지제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의 기본적인 감시제어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의 배선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의 메인시스템과 백업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의 경보장치 및 계측기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의 제어방식 운전상태 및 제어전원 공급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부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상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부의 집진롤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부의 구성 및 외부 모습을 도시한 전면도, 배면도 및 단면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digital reduced video wall switchboard and field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reduced video wall distribution board and a dust remov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asic monitoring and control flow of a digital reduced video wall switc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iring structure of a digital reduced video wall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configurations of a main system and a backup system of a digital reduced video wall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n alarm device and a measuring instrument of a digital reduced video wall switc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peration state and a control power supply state of a digital reduced video wall switc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top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ust removal unit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roller of a dust removal unit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a rear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external appearance of a dust removal unit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However, it should not be construe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in detail below.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each drawing, the same members are sometimes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과 현장설비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추가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 및 먼지제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의 기본적인 감시제어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의 배선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의 메인시스템과 백업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의 경보장치 및 계측기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의 제어방식 운전상태 및 제어전원 공급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부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상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부의 집진롤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부의 구성 및 외부 모습을 도시한 전면도, 배면도 및 단면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igital reduced video wall switchboard and field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gital reduced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ddition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deo wall switchboard and a dust removal unit, and FIG. 3 is a flow chart showing a basic monitoring and control flow of a digital reduced video wall switc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iring structure of a digital reduced video wall switc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onfiguration of a main system and a backup system of a digital reduced video wall switc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n alarm device and a measuring instrument of a digital reduced video wall switc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top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ust removal unit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roller of a dust removal unit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external appearance of the dust removal unit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and cross s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1)은 디지털 배전반(10), 현장정보처리반(20) 및 현장설비(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digital reduced video wall switchboard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gital switchboard 10, a site information processing board 20, and field equipment 30.

변전소 현장설비(30)는 변전소의 기능 수행을 위한 각종 시설, 즉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전달받고 이를 송전선로나 배전선로를 통해 수요자에게 공급하기 위해 전압을 높이거나 낮추는 등 전압 및 전류의 성질을 변환하는 시설로써, 변전 시설은 물론 변전 완료된 전압 및 전류를 배전하는 송전 및 배전을 위해 다양한 지점에 설치된 각종 시설을 의미하는 것으로, 변압기, 단로기, 차단기, 조상설비, 피뢰기 등을 포함한다.The substation field equipment 30 converts the characteristics of voltage and current, such as increasing or decreasing voltage in order to receive various facilitie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substation, that is, power produced in a power plant and supply it to consumers through transmission lines or distribution lines. It refers to various facilities installed at various points for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that distributes voltage and current that have been completed as well as substation facilities, including transformers, disconnectors, circuit breakers, ancestor facilities, lightning arresters, etc.

배전반은 변전소의 각종 현장설비(30) 전체의 운전이나 제어, 상태 감시를 위한 장치로써 안전장치, 계기, 표시등, 계전기, 개폐기 및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나 장애 발생 시 경보기능을 수행하는 알람장치 등이 포함되며, 배전반이 중앙관제센터 등에 설치되면 현장설비(30)는 배전반과 연결되어 중앙관제센터에서 배전반을 통해 모든 현장의 상황을 일괄적으로 통제할 수 있게 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배전반은 디지털 배전반(10)으로 구성된다.The switchboard is a device for operation, control, and status monitoring of the entire substation's various field facilities (30), and is a safety device, instrument, indicator light, relay, switchgear, lamp displaying the status, or an alarm device that performs an alarm function in case of failure. etc., and when the switchboard is installed in the central control center, etc., the field equipment 30 is connected to the switchboard so that the central control center can collectively control all site situations through the switchboard,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rnace switchboard is composed of a digital switchboard (10).

이때 현장설비(30)는 무수히 많은 시설과 배선의 결합체로 이뤄져 개별 시설 각각이 배전반에 연결되기도 어렵고 연결할 수 있다 하더라도 그 효율성 및 신뢰도가 매우 낮고 비합리적이기 때문에 특정 현장설비(30)를 지역 단위, 기능 단위로 묶어 현장정보처리반(20)을 형성하여 관리하게 되며, 다수의 현장정보처리반(20)이 배전반에 연결되면 배전반이 모든 현장설비(30)를 감시 및 제어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field facility 30 is composed of a myriad of facilities and wiring combinations, so it is difficult for each individual facility to be connected to the switchboard, and even if it can be connected, the efficiency and reliability are very low and unreasonable. It is grouped into units to form and manage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panel 20, and when a plurality of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panels 20 are connected to the switchboard, the switchboard can monitor and control all field facilities 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현장정보처리반(20)은 현장데이터입력모듈(21)과 현장데이터출력모듈(22)로 구성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0 may be composed of a field data input module 21 and a field data output module 22.

현장데이터입력모듈(21)은 현장설비(30)의 동작 및 설비 상태, 즉 운전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디지털 배전반(1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디지털 배전반(10)에서 현장설비(3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비정상 상황 발생 시 이를 즉각 인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한다. The field data input module 21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the operation and facility status of the field facility 30, that is, oper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digital switchboard 10, thereby enabling the field facility 30 in the digital switchboard 10. It monitors the status in real time and supports the immediate recognition of abnormal situations.

현장데이터입력모듈(21)은 현장설비(30)의 운전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디지털화하여 디지털 배전반(10)에 전달하게 되는데, 전달방식은 광케이블(40)에 의한 통신방식으로 한국전력 분산 통신망 프로토콜(kepco DNP1.0) 기반의 통신 기능으로 구성된다.When the field data input module 21 receive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field facilities 30, it digitizes it and transmits it to the digital switchboard 10. The transmission method is a communication method by the optical cable 40, and the KEPCO distributed communication network protocol ( It consists of kepco DNP1.0) based communication function.

또한 현장데이터입력모듈(21)은 현장설비(30)의 운전정보를 디지털 배전반(10)에 송신함과 동시에 원격소장치(RTU;Remote Terminal Unit)에 송신하여 정보공유를 위한 연계구조로써 원방감시제어시스템(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을 구현하며, 유지 보수 시에도 원격소장치의 공유정보 유지를 위한 입력모듈 이원화를 구축할 수 있게 되어, 만약 디지털 배전반(10)의 전원 상실 등 중앙관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경우 현장데이터입력모듈(21)로 전달되는 모든 정보는 원격소장치에 저장되었다가 디지털 배전반(10)이 복구된 이후에 디지털 배전반(10)의 고장 이전과 고장 중의 모든 정보가 디지털 배전반(10)으로 공유가 되어 현장설비(30)에 대한 정상적인 인지가 됨으로써, 디지털 배전반(10)의 고장 상황에도 불구하고 고장 이전과 복구 이후에 동일한 수준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ield data input module 21 transmit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field equipment 30 to the digital switchboard 10 and at the same time to a remote terminal unit (RTU) for remote monitoring as a linkage structure for information sharing. It implements a control system (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and it is possible to build dual input modules for maintaining shared information of remote devices even during maintenance, so that if the digital switchboard 10 loses power, etc., central control When the function cannot be performed, all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field data input module 21 is stored in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fter the digital switchboard 10 is restored, all information before and during the failure of the digital switchboard 10 The information is shared with the digital switchboard 10 and becomes a normal recognition of the field facilities 30, so that despite the failure situation of the digital switchboard 10, the same level of management is possible before and after the failure. will perform

현장데이터출력모듈(22)은 현장데이터입력모듈(21)과 방향성만 반대일 뿐 기본 구성 및 기능은 현장데이터입력모듈(21)과 동일한데, 현장데이터출력모듈(22)은 디지털 배전반(10)으로부터 현장설비(30)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현장설비(30)에 제공하여 현장설비(3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중앙관제센터에서 변전소 각 지점 현장에 대한 설비 제어를 직접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eld data output module 22 has the same basic configuration and function as the field data input module 21, except that the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field data input module 21. The field data output module 22 is the digital switchboard 10 By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of the field facility 30 from the field facility 30 and providing it to the field facility 30 to perform th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field facility 30, the central control center can directly control the facility for each branch site of the substation perform supporting functions.

디지털 배전반(10)은 현장정보처리반(20)에 연결되며 현장정보처리반(20)을 통해 현장설비(30)의 상태를 인지하고 필요 조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데, 현장데이터입력모듈(21)을 통해 현장정보현장설비(30)의 동작 및 설비 상태를 수신하고, 현장설비(30)의 상태에 따라 특정한 조치가 적용되어야 할 경우 자동 제어 프로그램이나 또는 관리자의 인위적인 조정에 의해서 해당 현장설비(30)에 대한 제어 및 작동신호가 발생되며 이를 현장데이터출력모듈(22)을 통해 해당 현장설비(30)로 전달되도록 하여 현장설비(30)에 대한 제어가 이뤄질 수 있다.The digital switchboard 10 is connected to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board 20 and implemented to recognize the state of the field equipment 30 and control necessary actions through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board 20. The field data input module 21 Receives the operation and facility status of the field information field facility 30 through, and if a specific action is to be appli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ield facility 30, the field facility (30 Control and operation signals for ) are generated, and control of the field facilities 30 can be achieved by transmitting them to the field facilities 30 through the field data output module 22.

디지털 배전반(10)에는 중앙관제센터에서 현장설비(30)를 감시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 및 현장설비(30)를 조정할 수 있는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현장설비(30)의 결선상태가 축소 구현되는데 이러한 현장설비(30)의 감시, 제어, 경보, 계측의 기능 수행을 위한 정보가 디지털화 되어 디지털 배전반(10)에 구현될 수 있다. In the digital switchboard 10, the wiring state of the field facilities 30 is reduced and implemented in order to provide a monitoring function capable of monitoring the field facilities 30 from the central control center and a control func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field facilities 30. Information for monitoring, controlling, alarming, and measuring functions of the field equipment 30 may be digitized and implemented in the digital switchboard 10.

이를 위해 디지털 배전반(10)은 주 정보처리장치(100), 모자익 제어장치(200), 디스플레이부(300), 현장제어모듈(400), 경보장치(500) 및 계측기(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digital switchboard 10 includes a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a mosaic control device 200, a display unit 300, a field control module 400, an alarm device 500, and a measuring instrument 600. It can be.

주 정보처리장치(100)는 현장정보처리반(20)과 디지털 배전반(10) 간에 설치된 통신용 모듈 간의 데이터를 통신방식으로 입력받아 상호 연동 논리를 분석, 처리하는 장치로써, 현장데이터입력모듈(21)에서 수신한 현장설비(30) 정보를 분석하여 상태를 판단하고, 현장설비(30)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조치로써 제어 결정을 하게 되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현장데이터출력모듈(22)에 송신하여 현장설비(30)를 운전하도록 한다.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receives data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s installed between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panel 20 and the digital switchboard 10 in a communication method and analyzes and processes mutual interlocking logic, and the field data input module 21 The state is determined by analyzing the field facility 30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eld facility 30, and the control decision is made as necessary ac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ield facility 30, and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field data output module 22 to The on-site equipment 30 is operated.

이를 위해 주 정보처리장치(100)를 중심으로 모자익 제어장치(200), 현장제어모듈(400), 디스플레이부(300), 경보장치(500) 및 계측기(600)가 연계 구성되고 동작하며 상기 모자익 제어장치(200)를 위시한 구성요소들은 주 정보처리장치(100)를 통해서 현장설비(30)와 연결이 이뤄질 수 있다.To this end, the mosaic control device 200, the field control module 400, the display unit 300, the alarm device 500, and the measuring instrument 600 are configured and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and the mosaic Components including the control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field facility 30 through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모자익 제어장치(200)는 주 정보처리장치(100)에 연결되며 현장설비(30)의 상태에 따라 현장설비(3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게 되며 현장설비(30)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모자익 제어장치(200)에 모자익 제어용 입출력 장치(미도시)가 구성되어 중앙관제센터에서 현장설비(30)에 대한 운전이 가능하게 한다.The mosaic control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inputs control commands for the field facilities 30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ield facilities 30, and performs a monitoring function for the field facilities 30. To this end, an input/output device (not shown) for mosaic control is configured in the mosaic control device 200 to enable operation of the field equipment 30 in the central control center.

이때 모자익 제어용 입출력 장치는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특히 마우스는 본 발명의 특수한 실시예로써 증폭마우스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put/output device for mosaic control may include a monitor, a keyboard, and a mouse. In particular, the mouse may be configured as an amplifying mouse as a speci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증폭마우스(미도시)는 일측에 스퀴즈버튼이 구비되고 타측에 와이드버튼이 구비된 것으로 스퀴즈버튼을 눌러 증폭마우스를 구동시키고 조작하면 모니터에 현장설비(30) 상태가 부분적으로 확대 출력되어 상세한 상황을 볼 수 있게 하며 다만 전체 설비 중 특정 부문에 대해 확대 출력되므로 나머지 설비를 보려면 마우스 드래그 조정을 통해 다수의 화면을 이동하면서 봐야 한다. 반면 전체 화면에 대한 포괄적인 인지 및 넓은 범위의 화면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와이드버튼을 구동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현장설비(30) 상태 전체가 모니터에 광범위하게 출력되어 단일 또는 소수의 화면으로 모니터링 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증폭마우스를 조금만 드래그해도 간단하게 전체 화면에 대해 광범위한 이동이 이뤄질 수 있다.The amplifying mouse (not shown) is equipped with a squeeze button on one side and a wide button on the other side. When the squeeze button is pressed to drive the amplifying mouse and is operated, the state of the field equipment 30 is partially enlarged and output on the monitor to display detailed situations. However, since a specific section of the entire facility is enlarged and output, in order to view the rest of the facility, you have to move through multiple screens by adjusting the mouse drag. On the other hand, if a comprehensive recognition of the entire screen and a wide range of screen movement are required, the wide button can be driven. It can be implemented, and the user can make a wide range of movements for the entire screen simply by dragging the amplifying mouse a little.

모자익 제어장치(200)는 관리자가 디지털 배전반(10) 전체를 조정하면서 현장정보처리반(20)과 현장설비(30) 전반에 걸친 운영을 하는 창구의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인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하는 것을 차단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안전장치가 구비될 필요가 있다.Since the mosaic control device 200 serves as a window through which the manager controls the entire digital switchboard 10 and operates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panel 20 and the field facilities 30, unauthorized users cannot arbitrarily operate it. It is necessary to have a safety device to block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in advance.

이를 위해 모자익 제어장치(200)의 일측에는 인가된 관리자인지를 확인하는 절차로써 인증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어서 관리자가 인증시스템의 인증절차를 거쳐야 비로소 모자익 제어장치(200)의 조정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 보안잠금이 해제될 수 있는데, 인증시스템은 가령 지문 인식, 안면 인식 등 생체인식 기능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관리자가 모자익 제어장치(200)에 접근하여 지문, 안구, 정맥 등을 인증시스템에 접근시키면 인가된 관리자에게는 운전 자격이 주어져 디지털 배전반(10) 시스템이 오픈되고, 비 인가된 관리자에게는 비인가 안내 멘트와 함께 시스템 보안잠금이 유지되는데 비 인가된 관리자의 반복 접근이 인지되면 경보음이 울리면서 타 관리자에게 고지되도록 경고기능이 작동할 수 있다.To this end, an authentication system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saic control device 200 as a procedur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administrator is authorized,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adjust the mosaic control device 200 only after going through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of the authentication system. The security lock can be released, and the authentication system can be implemented as a biometric recognition function, such as fingerprint recognition and face recognition. If so, the authorized manager is given driving qualification and the digital switchgear (10) system is opened, and the system security lock is maintained with an unauthorized announcement to the unauthorized manager. A warning function can be activated so that other administrators are notified.

디스플레이부(300)는 현장정보처리반(20)과 송수신되는 현장설비(30)의 정보들이 디스플레이 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구성되고 주 정보처리장치(100)와 연결되어 주 정보처리장치(100)로 송수신되는 현장설비(30)의 상태 표시, 주 정보처리장치(100)에 입출력되는 모자익 제어장치(200)의 제어명령 및 제어상태, 주 정보처리장치(100)에 연결되어 제어 및 상태표시 기능을 수행하는 현장제어모듈(400)의 현재 상태 및 정상여부 등을 화면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주 정보처리장치(10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300)는 모자익 제어장치(200) 및 현장제어모듈(400)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00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information of the field facilities 30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panel 20, and is composed of at least one display screen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to process the main information. Display of the status of field facilities 30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he device 100, control commands and control status of the mosaic control device 200 input and output to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and control connected to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And it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the current state and normality of the field control module 400 performing the status display function, and the display unit 300 through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is the mosaic control device 200 And i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eld control module 400.

이때 본 발명의 특수한 실시예로써 디스플레이부(300)는 스크린 형태이되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300)에서 스크린 터치를 통해 모자익 제어장치(200)의 제어 명령을 직접 입력할 수 있고, 현장설비(30)의 상태를 스크린에 확대 출력하거나 다수 현장설비(30)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골라가며 화면 출력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장제어모듈(400)을 직접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s a speci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300 may be formed as a touch screen although it is in the form of a screen. , The state of field facilities 30 can be enlarged and output on the screen, or the state of a plurality of field facilities 30 can be selectively selected and output on the screen to check, and the field control module 400 can be directly controlled. .

그리고 디스플레이부(300)에서 특정 제어명령을 수행할 때 다중 확인 절차가 구행될 수 있는데, 가령 현장설비 중 10번 변압기에 문제가 생겨 이의 전원 연결을 차단하고자 할 때 디스플레이부(300)에서 해당 현장데이터출력모듈(22)을 터치 선택하고 10번 변압기를 터치 선택한 후 작동중지 버튼을 터치 선택하는데, 이때 바로 10번 변압기를 중단시키는 게 아니라 변압기 중단할 의사가 있는지, 중단하려는 게 10번 변압기가 맞는지 등을 연속해서 질의 하고 이에 대해 다수의 확인 절차가 반영되면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실수로 제어명령을 잘못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pecific control command is executed in the display unit 300, a multi-confirmation procedure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when a problem occurs with transformer No. 10 among field facilities and the power connection is to be cut off, the display unit 300 Select the data output module (22) by touch, select transformer No. 10 by touch, and then touch and select the operation stop button. etc. are continuously queried and executed when a number of confirmation procedures are reflected in the quer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dministrator from accidentally issuing a control command by mistake.

상기 다중 확인절차는 단지 디스플레이부(300)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디지털 배전반(10)의 모든 제어명령 입력 시 적용되어 명령 오류에 의한 인적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조치로 활용될 수 있다.The multi-confirmation procedure is not applied only to the display unit 300, but is applied to inputting all control commands of the digital switchboard 10, and can be used as a measure to prevent human accidents caused by command errors in advance.

현장제어모듈(400)은 주 정보처리장치(100)에 연결되어 현장정보처리반(20) 및 모자익 제어장치(200)와 연계됨으로써, 현장설비(30)의 상태를 수신하여 표시램프를 통하여 디지털 배전반(10)에 표시하고 현장설비(30) 제어명령을 현장설비(30)에 적용하여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field control module 400 is connected to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and linked with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panel 20 and the mosaic control device 200 to receive the status of the field equipment 30 and display the digital switchboard through the display lamp. (10)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executing the field facility 30 control command by applying it to the field facility 30.

현장제어모듈(4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램프제어모듈(410), 비상램프모듈(420), 스위치제어모듈(4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램프제어모듈(410)은 현장설비(30)의 상태 정보를 현장정보처리반(20)으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입력신호에 따라 표시램프를 점등 제어하면서 현장설비(30)의 상태를 나타내는 기능을 하며, 비상램프모듈(420)은 현장정보처리반(20)의 입력신호를 해석하여 현장설비(30)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되면 비상램프를 점등하여 현장설비(30)의 비정상 상태를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며, 스위치제어모듈(430)은 모자익 제어장치(200)의 제어 명령을 현장설비(30)에 적용될 수 있도록 변환하여 현장설비(30)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eld control module 400 may be composed of a lamp control module 410, an emergency lamp module 420, and a switch control module 430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amp control module 410 is a field facility ( When the status information of 30) is received from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panel 20, it functions to indicate the state of the field equipment 30 while lighting and controlling the indicator lamp according to the received input signal, and the emergency lamp module 420 provides field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eld equipment 30 is in an abnormal state by analyzing the input signal of the processing panel 20, an emergency lamp is turned on to notify the abnormal state of the field equipment 30, and the switch control module 430 controls the mosaic. It can perform a function of converting the control commands of the device 200 so that they can be applied to the field facilities 30 and transmitting them to the field facilities 30 .

경보장치(500)는 주 정보처리장치(100)로부터 현장설비(30)의 장애 상태를 수신하면 사전에 프로그래밍된 경보기준 및 경보신호에 따라 음향과 음성으로 확성 출력함으로써 현장설비(30) 장애상태를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프로그래밍이 자체 내장되어 주 정보처리장치(100)의 입력 신호를 자체 해석하여 경보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모자익 제어장치(200)나 현장제어모듈(400)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그에 따라 차별화된 경보안내를 수행하는 출력장치로써 기능할 수도 있다. When the alarm device 500 receives the error state of the field facility 30 from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it amplifies and outputs the field facility 30 failure state in sound and voice according to pre-programmed alarm standards and alarm signals. It performs a function of guiding, and the alarm function may be performed by self-interpreting the input signal of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due to the built-in programming itself, or the mosaic control device 200 or the field control module 400 It can also function as an output device that receives a control command and performs differentiated alarm guidance accordingly.

이때 경보장치(500)는 현장설비(30)의 광역 구간별로 구분되는 다수의 광역경보구간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어서 특정 현장설비(30)에 장애가 발생하면 해당 설비가 포함된 광역경보구간부 전체에 경보장치(500)가 발생하여 음성 및 음향으로 경고 메시지가 확성 출력될 수 있으며, 또한 광역경보구간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경보조명등(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어서 경보장치(500) 작동 시 경보조명등이 반복적으로 점멸되면서 시각적인 인지 효과를 더하게 됨으로써 해당 광역경보구간부 전체를 점검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현장설비(30) 장애 발생 시 음향 및 음성은 물론 점멸 조명까지 작동함으로써 장애 발생에 대한 신속한 인지와 즉각적 대처를 유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larm device 50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wide-area alarm sections (not shown) divided by wide-area sections of the field facilities 30, so that when a failure occurs in a specific field facility 30, a wide-area alarm including the facility An alarm device 500 is generated in the entire section, so that a warning message can be amplified and output with voice and sound, and an alarm light (not shown) surrounding the wide-area section section can be installed, so that the alarm device 500 During operation, the alarm lights flash repeatedly to add a visual recognition effect, so that it can function as a guide to inspect the entire wide-area warning section. By operating even the lighting, it is possible to induce prompt recognition and immediate response to failures.

상기 광역경보구간부 및 경보조명등은 경보장치(500) 뿐 아니라 표시램프, 비상램프 등의 상태램프에도 적용되어 상태램프를 광역구간으로 구획하여 소속 구간에서 장애 발생 시 해당 구간 전체의 경보조명등이 점멸되도록 하여 현상 인지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The wide area alarm section and alarm lights are applied not only to the alarm device 500 but also to status lamps such as indicator lamps and emergency lamps, so that the status lamps are divided into wide area sections, and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section to which they belong, the alarm lights of the entire section flicker. By doing so, the effect of recognizing the phenomenon can be increased.

계측기(600)는 주 정보처리장치(100)에 연결되어 현장설비(30)의 차단기 작동횟수를 누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measuring instrument 600 is connected to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and performs a function of accumulating the number of times the circuit breakers of the field facilities 30 are op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현장데이터입력모듈(21)에서 현장설비(30) 상태 신호 데이터를 디지털 배전반(10)에 송신하면 주 정보처리장치(100)는 상기 데이터를 연산 처리하여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형태의 데이터 처리 결과를 보여줄 수 있도록 하는데 표시램프 및 비상램프를 통하여 해당 설비의 상태 표시를 함과 동시에 차단기의 작동횟수를 카운트하여 차단 누산값을 계측기(600)에 표시함으로써 처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eld data input module 21 transmits the field facility 30 state signal data to the digital switchboard 10,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calculates and processes the data to convert two or more data to each other. In order to show the result of data processing in a different form, it can be processed by displaying the status of the facility through the indicator lamp and emergency lamp,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circuit breaker is operated, and displaying the accumulated blocking value on the meter 600.

상술한 구성요소 특징 및 구조을 통해 본 발명의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1)의 종합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mprehensiv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digital downscaling video wall switchboard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 features and structure.

종래 발명에서 한국전력 변전소에 적용하고 있는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과 변전설비 간의 정보교환 방식은 설비의 감시, 제어 각 관제점 별로 일대일 제어케이블로 구성되어 있어서, 변전소 내 설비운전정보는 제어케이블로 감시실에 집중되도록 시설되어 있으며, 기존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은 아날로그(analog) 기술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고 변전설비용 원방감시제어시스템(SCADA) 정보통신 방식은 한전 고유의 프로토콜(protocol)을 적용하며 설비 오동작 시의 파급효과가 막대하여 설비제어 등의 수행방식에 다단계 검증 절차가 요구됨은 물론 설비의 종류 및 특성이 다양하여 설비별 감시, 제어 등의 관제점 규모가 상이하다.In the prior invention, the information exchange method between the miniature mosaic switchboard and substation facilities applied to KEPCO substations consists of one-to-one control cables for each control point for monitoring and control of facilities, so facility operation information in the substation is transmitted through control cables to the monitoring room. It is equipped to be concentrated on, and the existing miniature mosaic switchboard is composed based on analog technology, and th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SCADA)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for substation facilities applies KEPCO's unique protocol and malfunctions Since the ripple effect of the city is enormous, a multi-level verification procedure is required for the method of performing facility control, etc., and the size of control points such as monitoring and control for each facility is different due to the variou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모자익 배전반이 아날로그 기술기반 설비인 상태에서는 전체 송배전 시설의 운영환경 디지털화에 대한 대응이 불가하여 설비기술 향상에 저해 요인이 되며, 운전설비의 중요성 및 요구기술 특수성을 감안한 다양한 디지털 설비의 적용이 어려워지므로 설비의 개선을 추진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된다.In a state where the mosaic switchgear is an analog technology-based facility, it is impossible to respond to the digitization of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entir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which hinders the improvement of facility technology. It is difficult to promote facility improvement.

게다가 다량의 제어케이블 포설로 전기, 건축 등 시설투자비가 과다하게 소요되어 복잡한 설비 구성으로 고장 발생요인이 증가하며 이에 함께 손실비용 발생 요인도 증가하고 향후 설비 운전방식 등 디지털화 변경 시 기 시공된 제어케이블 투자비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복잡한 제어케이블 포설로 시공성이 저하되며 단위 설비 내 제어케이블 포화로 설비 유지보수가 곤란하고 제어케이블 시설을 위한 복잡한 건출 구조물 및 부대시설 시공이 필요하며 배전반 높이가 높아져 감시운전 및 유지보수에 불합리하다.In addition, excessive investment in facilities such as electricity and construction is required due to the installation of a large amount of control cables, which increases the number of failure factors due to complex facility configuration, which also increases the cost of loss. There is a problem of loss of investment cost. In addition, complex control cable laying reduces workability, and facility maintenance is difficult due to control cable saturation within unit facilities. Complex building structures and auxiliary facility construction are required for control cable facilities. .

이와 같이 다량의 제어케이블이 감시실로 집중 시설되는 후진적 구성방식이 유지되면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 내부구성이 제어케이블에 의해 복잡하게 이뤄지게 되어 현장설비 및 배전반의 비정상 상황 발생 시 원인분석이 지연되는 등 기술적 장애요인이 상존하고 있다.In this way, if the backward configuration method in which a large amount of control cables are concentrated in the monitoring room is maintained, the internal composition of the miniature mosaic switchboard becomes complicated by the control cables, and the cause analysis is delayed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in the field facilities and switchboard. Obstacles exist.

이에 대한 대응으로써 본 발명의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1)의 특징 및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response to this, the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the digital reduced video wall switchboard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현장정보처리반(20)과 디지털 배전반(10)의 약 2,500회선의 제어케이블 구성방식을 RS-485를 사용한 광통신 구성방식으로 함으로써 현장설비(30)에 대한 감시, 제어, 계측 기능을 디지털화 하는데, 현장설비(30) 근단에 현장데이터입력모듈(21)과 현장데이터출력모듈(22)을 분산 시설하고 광케이블(40)로 구성하여 현장설비(30) 운전정보의 디지털화 모듈이 적용되며, 디지털 및 광케이블(40) 환경 하에서 현장설비(30)의 개폐기, 차단기 등의 운전 시 운전상태 점등 기능과 개폐기 동작횟수를 원격으로 누산 계측하고 표시하게 되어 변전소 설비 운전의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By making the control cable configuration method of about 2,500 lines of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panel 20 and the digital switchboard 10 into an optical communication configuration method using RS-485, the monitoring, control, and measurement functions for the field equipment 30 are digitized. The field data input module 21 and the field data output module 22 are distributed at the near end of the facility 30 and composed of optical cables 40, so that the digitization module of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field facilities 30 is applied, and digital and optical cables ( 40) When the switchgear, circuit breaker, etc. of the field facility 30 is operated under the environment, the operating state lighting function and the number of switchgear operations are remotely accumulated, measured and displayed, so that the safety of substation facility operation can be improved.

또한 디지털화로 인해 케이블 부피가 현격히 감소하고 디지털 배전반(10)의 외형이 축소될 수 있으면서도 현장설비(30) 관련 제공정보는 더욱 증가되는 효과를 가져오므로, 가격상승 요인 배제로 인한 비용 최소화에 따른 경제적 효과와 함께 관리자의 감시 시야 확보 및 유지보수의 용이성 확보 효과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digitalization, the cable volume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appearance of the digital switchboard (10) can be reduced, but the information provided related to the field facility (30) is further increased, thereby minimizing the cost due to the exclusion of price increase factors. Along with the economic effect, it can also have the effect of securing the manager's monitoring view and securing the ease of maintenance.

본 발명의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1)은 모듈 분산기법을 적용하였는데 이는 현장정보처리반(20)의 각 모듈에 개별적으로 중앙처리장치(CPU)를 탑재하여 분산 배치하는 것으로써 각 현장설비(30)에 대한 정확하고 빠른 정보 취득과 상태 해석, 제어 및 감시가 가능해지는 기반이 되어서 고신뢰, 친환경 변전설비 운전기능을 보유하고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전 기능, 즉 감시, 제어, 경보, 계측을 디지털화 할 수 있게 된다.The digital reduced video wall switchboard 1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module distribution technique, which is to individually mount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in each module of the on-site information processing panel 20 and distribute it to each field facility ( 30), it is the basis for accurate and fast information acquisition, status analysis, control and monitoring, so it has a highly reliable and eco-friendly substation facility operation function, and digitalizes all functions of the miniature mosaic switchgear, that is, monitoring, control, alarm, and measurement. You can do it.

한편 본 발명의 중단 없는 연속적인 운영과 안정성 확보를 위해 디지털 배전반(10)이 주 정보처리장치(100)를 이중화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디지털 배전반(10)은 예비 정보처리장치(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ensure continuous operation and st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switchboard 10 may be configured by duplicating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예비 정보처리장치(700)는 주 정보처리장치(100)와 동일한 기능 및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어서 모자익 제어장치(200), 현장제어모듈(400), 디스플레이부(300), 경보장치(500) 및 계측기(600)와 연결되고, 원방감시제어시스템(SCADA)에 의해 현장설비(30)의 상태 및 제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면서 대기 상태로 준비하게 되며, 현장정보처리반(20)은 주 정보처리장치(100)와 예비 정보처리장치(700)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스위칭 되어 연결될 수 있다.The preliminary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700 may be formed with the same functions and configuration as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so that the mosaic control device 200, the field control module 400, the display unit 300, and the alarm device 500 And connected to the instrument 600, prepares in a standby state while receiving the status and control information of the field facilities 30 in real time by th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SCADA), and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0 processes the main information It can be selectively switched and connected to one of the device 100 and the preliminary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700 .

따라서 주 정보처리장치(100) 동작 이상 발생 시 디지털 배전반(10)에서 주 정보처리장치(100) 오류 신호가 발송되면 현장정보처리반(20)은 주 정보처리장치(100)와의 접속을 자동으로 해제하고 동시에 예비 정보처리장치(700)에 접속하여 디지털 배전반(10)의 기능을 중단 없이 이어나가게 함으로써 운전 데이터의 상실 없이 본 발명의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1)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when an error signal of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is sent from the digital switchboard 10 when an operation error of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occurs, the on-sit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20 automatically disconnects from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And at the same time, by connecting to the preliminary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700 to continue the function of the digital switchboard 10 without interruption, the function of the digital reduced video wall switchboard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loss of operation data.

또한 주 정보처리장치(100)는 실시간으로 분산 설치된 현장정보처리반(20)의 현장데이터입·출력모듈(21,22)과의 통신품질을 점검하며 모듈 기능 이상 상태 발견 시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관련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00)에 시현하고 경보장치(500) 및 표시램프, 비상램프를 구동하게 되며, 동시에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 상기 이상 상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상 문제가 복구될 시 주 정보처리장치(100) 전면의 통신 복귀 스위치 및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 원격 통신 초기화 기능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checks the communication quality with the field data input/output modules 21 and 22 of the distributedly installed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panel 20 in real time, and when a module function abnormality is found, the manager can check the related Stat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0, and the alarm device 500, display lamp, and emergency lamp are driven, and at the same time, th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can provide related information so that the abnormal state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 When the abnormal problem is restored, the remote communication initialization function can be performed in the communication return switch and th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on the front of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이때 분산 설치되는 현장데이터입력모듈(21) 및 현장데이터출력모듈(22) 각각은 개별로 중앙처리장치(CPU)를 탑재되므로 모듈 단위별로 각자 통신이 가능하고, 시스템 운전 중 이상이 있는 모듈은 복구되기 전까지 통신선로에서 자동분리될 수 있어서 전체 시스템의 성능 및 통신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distributedly installed field data input module 21 and field data output module 22 is equipped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individually, so that communication is possible for each module unit, and modules with problems during system operation are restored. It can be automatically separated from the communication line until it is turned off, so it can be configured not to affect the performance and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entire system.

한편 종래 발명에 있어 원격소장치와 배전반이 시간 동기화가 되지 않아 시간적 오차로 인한 고장판단 지연의 문제가 있었는데, 이는 원격속장치에는 위성항법장치(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사용하면서 배전반에는 자체 설치된 디지털 시계를 사용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현장설비의 고장 발생 시 원격소장치에 전송되는 상위 전송시간과 현장에 설치된 배전반에 기록되는 시간이 불일치하여 고장시간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는 문제에 기인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invention, there is a problem of failure judgment delay due to time error because the remote control unit and the switchboard are not synchronized in time. This is due to the use of a digital clock, and it is due to the problem that the failure time cannot be accurately determined due to the discrepancy between the upper transmission time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time recorded in the switchboard installed in the field when a field equipment failure occurs.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현장설비(30)와 현장정보처리반(20) 및 디지털 배전반(10)의 시간을 동기화하도록 조치될 수 있는데 일 실시예로써 현장설비(30), 현장정보처리반(20) 및 디지털 배전반(10)에 네트워크 타임 프로토콜(NTP;Network Time Protocol) 모듈을 구축하고 NTP를 통해 GPS 신호를 수신하여 업데이트 함으로써 현장부터 배전반에 이르기까지 시간을 동기화 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는 현장설비(30)에서 GPS 수신모듈을 이용하여 시간을 업데이트하고 광케이블을 통해 상기 업데이트된 시간 정보를 현장정보처리반(20) 및 디지털 배전반(10)에 전송하여 상호 간에 시간이 동기화되도록 할 수도 있어서, 이를 통해 종래 발명에서 현장과 배전반 간 시간의 오차로 인한 문제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can be taken to synchronize the time of the field equipment 30,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panel 20, and the digital switchboard 10. As an embodiment, the field facility 30,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panel ( 20) and the digital switchboard 10, it is possible to synchronize the time from the site to the switchboard by constructing a Network Time Protocol (NTP) module and receiving and updating GPS signals through NTP. Updates the time using the GPS receiving module in the field facility 30 and transmits the updated time information to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panel 20 and the digital switchboard 10 through an optical cable so that the time is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problems due to an error in time between the field and the switchboard in the prior art.

그리고 본 발명의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1)은 제어방식 운영상태 및 제어전원 공급상태 확인을 위하여 보조릴레이를 이용한 감시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로써 운전 및 제어전원 정상 시에는 운전상태 표시램프가 점등되고, 시험 시에는 시험상태 표시램프가 점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reduced video wall switchboard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monitoring function using an auxiliary relay to check the control method operation status and control power supply status, whereby the operation status display lamp when operation and control power is normal is turned on, and during the test, the test status indicator lamp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urned on.

한편 본 발명의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1)은 디지털 배전반(10) 외측에 별도 구성되어 디지털 배전반(10)에 연결되는 배전반 시뮬레이터(50)가 구성될 수 있으며, 배전반 시뮬레이터(50)는 디지털 배전반(10)과 동일한 기능을 모의로 실시할 수 있도록 유사한 구성으로 이뤄질 수 있어서 정보처리 모의장치(51), 훈련영상출력부(52), 모자익 모의제어장치(53), 경보모의장치(54) 및 계측모의기(55)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digital reduced video wall switchboard 1 of the present invention, a switchboard simulator 50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outside the digital switchboard 10 and connected to the digital switchboard 10, and the switchboard simulator 50 may have a digital switchboard simulator 50. It can be made of a similar configuration so that the same function as the switchboard 10 can be simulated, so the information processing simulation device 51, the training image output unit 52, the mosaic simulation control device 53, and the alarm simulation device 54 and a measurement simulator 55.

정보처리 모의장치(51)는 주 정보처리장치(100)에 대응되는 구성요소로써 주 정보처리장치(100)에 연결되어 디지털 배전반(10)의 구성과 현장설비(30)의 구조를 포함한 리얼데이터를 전달받고 상기 리얼데이터를 모의데이터에 동기화시켜 정보처리 모의장치(51)를 중심으로 하여 가상현장 설비를 구성하는 기능을 한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simulation device 51 is a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to provide real data includ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switchboard 10 and the structure of the field equipment 30 It receives and synchronizes the real data with simulated data to function to configure virtual field facilities centering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simulation device 51.

훈련영상출력부(52)는 디스플레이부(300)에 대응되는 장치로써 정보처리 모의장치(51)에 연결되어 가상현장 설비 계통도 및 모의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하고, 모자익 모의제어장치(53)는 정보처리 모의장치(51)에 연결되어 가상현장 설비를 대상으로 감시, 제어, 경보, 계측 기능을 조정하며, 경보모의장치(54) 및 계측모의기(55)는 각각 경보장치(500) 및 계측기(600)에 대응되는 장치로써 모자익 제어장치(200)에 연결되어 조정에 따른 제어 및 경보기능을 음성, 음향, 조명 등을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가상현장 설비의 차단기 누산값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raining image output unit 52 is a devic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unit 300 and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simulation device 51 to output a virtual site facility system diagram and simulation data to the screen, and the mosaic simulation control device 53 provides information It is connected to the processing simulator 51 and adjusts monitoring, control, alarm, and measurement functions for virtual field facilities, and the alarm simulator 54 and measurement simulator 55 are alarm devices 500 and instruments ( 600), it is connected to the mosaic control device 200 and performs a function of outputting control and alarm functions according to adjustment through voice, sound, lighting, etc., and calculates the accumulated value of circuit breakers of virtual field facilities. carry out

이로써 배전반 시뮬레이터(50)는 디지털 배전반(10)과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현장설비(30)를 모방한 가상현장 설비를 대상으로 하여 리얼시스템과 동일한 최신 구조의 시스템으로 디지털 배전반(10) 운전을 연습하고 그에 따른 제어 결과 시현을 통해 동작원리 이해 및 숙달을 도모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witchboard simulator 50 has almost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digital switchboard 10, targeting virtual field facilities that imitate the field facilities 30, practicing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switchboard 10 with a system of the same up-to-date structure as the real system, Through the display of control results, it is possible to support understanding and proficiency in operating principles.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1)은 광케이블이 설치되고 인터넷 기능이 적용되어 디지털 기반으로 구현되므로,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1)의 구성이 모바일 휴대기기에 애플리케이션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디지털 배전반(10) 및 디스플레이부(300)에 제공되는 현장설비(30)의 계통도 및 모자익 제어장치(200)를 포함하면서 모바일 휴대기기를 통해 현장설비(30)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모바일 휴대기기에서 모자익 제어장치(200) 및 주 정보처리장치(100)에 접속하여 직접 현장설비(3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Since the above-described digital reduced video wall switchboard 1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on a digital basis with an optical cable installed and an Internet function applied, the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reduced video wall switchboard 1 is applied to mobile portable devices. It can be applied to, and the application includes a system diagram of the field facility 30 provided to the digital switchboard 10 and the display unit 300 and the mosaic control device 200, and the field facility 30 through a mobile handheld device. The status can be monitored, and a control command for the field facility 30 can be directly input by accessing the mosaic control device 200 and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on a mobile handheld device.

상기 모바일 휴대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자는 디지털 배전반(10)이나 모자익 제어장치(200)에 직접 위치하지 않더라도 원격으로 현장설비(30)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며, 특히 비상사태 발생 시 야간, 휴일, 원격지 근무 등에 관계 없이 현장설비(30)에 대한 신속하고 직접적인 통제가 가능하다.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handheld device, the administrator can remotely control the field facilities 30 without being located directly at the digital switchboard 10 or the mosaic control device 200.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directly control the field facilities 30 regardless of remote work.

한편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써 디지털 배전반(10)은 먼지제거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switchboard 10 may include a dust removing unit 800.

먼지제거부(800)는 디지털 배전반(10)의 후면에 탈착식으로 부착되어 배전반의 후면 개방 시 또는 중앙관제실의 공사, 청소 등으로 배전반에 먼지, 이물질의 유입이 우려될 경우 이의 차단과 제거를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dust removing unit 80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ck of the digital switchboard 10 to block and remov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when the back of the switchboard is opened or when there is concern about dust and foreign substances entering the switchboard due to construction and cleaning of the central control room. can be used as

이를 위해 먼지제거부(800)는 펜스프레임(810) 및 기둥프레임(820)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중앙의 펜스프레임(810)은 디지털 배전반(10) 후면의 설비 배치 영역에 대응되면서 부착되고, 기둥프레임(820)은 펜스프레임(810)의 양 단에 펜스프레임(810)의 연장 형태로 구성되되 디지털 배전반(10)의 케이스 양단 기둥에 맞춰 형성될 수 있어서, 먼지제거부(800)를 디지털 배전반(10) 후면에 부착하면 양 단 기둥 부위에는 기둥프레임(820)이 부착되고 나머지 중앙부에는 펜스프레임(810)이 부착되면서 디지털 배전반(10) 후면에 소정 두께의 프레임이 연장 형성된 모습을 구성하게 된다.To this end, the dust removing unit 800 may be composed of a fence frame 810 and a pillar frame 820. The central fence frame 810 is attached while corresponding to the equipment arrangement area on the rear side of the digital switchboard 10, The pillar frame 82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extension of the fence frame 810 at both ends of the fence frame 810 and may be formed to fit the pillars at both ends of the case of the digital switchboard 10, so that the dust removal unit 800 is digitally When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witchboard 10, the pillar frames 820 are attached to the poles at both ends and the fence frame 810 is attached to the remaining central part, so that a fram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exten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gital switchboard 10. do.

펜스프레임(810)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이 각각 흡착망(811)과 차단판(812)으로 구성된 형태를 지니는데, 흡착망(811)은 메쉬 형태로 공기는 통하되 먼지, 이물질이 통과되지 않고 망사에 걸리도록 하는 집진 기능을 하게 된다.The fence frame 810 has an empty space formed therein, and the front and rear sides have a form composed of an adsorption net 811 and a blocking plate 812, respectively. , it acts as a dust collector so that foreign substances do not pass through and get caught in the mesh.

흡착망(811)은 펜스프레임(810)의 전면과 후면 각각에서 펜스프레임(810)이 형성하는 사각형의 사선 방향으로 설치되며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하고 차단판(812)은 흡착망(81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채워지는데, 흡착망(811)이 사각형의 전면과 후면을 사선 방향으로 대부분에 걸쳐 형성되므로 차단판(812)은 사각형의 상부 일측 모서리의 직각삼각형과 하부 타측 모서리의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고 펜스프레임(810)은 흡착망(811)이 전면과 후면에 이중으로 설치되어 외부에서 디지털 배전반(10) 내부로 유입하려는 먼지를 이중으로 차단하고 흡착망(811)에 달라붙게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The suction net 811 is installed in the oblique direction of the rectangle formed by the fence frame 810 on eac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ence frame 810 and occupies most of the area, and the blocking plate 812 is except for the suction net 811. It is filled with the remaining area. Since the adsorption net 811 is formed over most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rectangle in an oblique direction, the blocking plate 812 is formed of a right triangle at one corner of the upper corner of the rectangle and a right triangle at the other corner of the lower corner of the rectangle, In the fence frame 810, a suction net 811 is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to double block dust trying to flow into the digital switchboard 10 from the outside, and can function to stick to the suction net 811. there is.

기둥프레임(820)에는 흡착망(811)에 집진된 먼지 및 이물질을 빨아들이고 한 곳으로 모아 배출하는 기능을 하도록 설비가 구성되며, 이를 위해 집진롤러(830), 롤링가이드(840), 롤링모터(850), 송풍기(860) 및 집진수거함(8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illar frame 820 is equipped with facilities to suck up dust and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adsorption net 811 and collect and discharge them in one place. To this end, a dust collection roller 830, a rolling guide 840, and a rolling motor 850, a blower 860, and a dust collection box 870 may be included.

집진롤러(830)는 흡착망(811)에 흡착된 먼지 및 이물질에 직접 접촉하여 빨아들이는 흡착창구의 역할을 하는 원기둥 타입의 롤러로써 펜스프레임(810)의 너비 방향으로 흡착망(811)의 사선과 동일한 기울기로 대각선으로 설치되어 흡착망(811)을 따라 상하 구간으로 롤링하면서 이동하며 먼지를 빨아들이는 기능을 하게 된다.The dust collection roller 830 is a cylindrical roller that serves as an adsorption window that directly contacts and sucks dust and foreign substances adsorbed on the adsorption net 811, and moves through the adsorption net 811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ence frame 810. It is installed diagonally with the same inclination as the oblique line, and moves while rolling in the upper and lower sections along the suction net 811 and functions to suck in dust.

집진롤러(830)의 양단은 기둥프레임(820) 내부로 연결되고 모터에 의해 집진롤러(83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롤러 내부로 먼지를 빨아들인 후 기둥프레임(820) 방향으로 배출시키면 기둥프레임(820) 내에서 먼지를 수거하고 필터(871)로 걸러서 공기만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Both ends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ar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pillar frame 820, and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moves up and down by the motor to suck dust into the roller and then discharge it in the direction of the pillar frame 820 to the pillar frame ( 820) to collect dust and filter it with a filter 871 so that only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를 위해 집진롤러(830)는 중공관(831), 슬릿(832), 롤링기어(833), 배출관(8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중공관(831)은 집진롤러(830)의 내부 중심에 집진롤러(8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 형성된 빈 공간으로써 대각선 하부를 향하는 일측 선단은 개방되어 롤링기어(833)를 지나 배출관(834)까지 연결되며 배출관(834)은 다시 집진수거함(870)에 연결되고, 대각선 상부를 향하는 타측 선단은 막힌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집진롤러(830)의 외표면은 펜스프레임(810) 전면의 흡착망(811) 및 후면의 흡착망(811)에 모두 맞닿은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may include a hollow tube 831, a slit 832, a rolling gear 833, and a discharge pipe 834, and the hollow tube 831 is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As an empty space formed in the cen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one end facing downward diagonally is opened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834 through the rolling gear 833, and the discharge pipe 834 collects dust again (870). ), and the other front end facing upward diagonally may be provided in a blocked stat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is attached to the suction net 811 on the front and the suction net 811 on the back of the fence frame 810. All of them may be provided in a state of contact.

슬릿(832)은 중공관(831)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뻗어나가며 다수 형성되는 좁고 긴 틈새로써 슬릿(832)의 내측단은 중공관(831)에 연결되고 슬릿(832)의 외측단은 집진롤러(830)의 외표면까지 연결되면서 배출관(834), 중공관(831), 슬릿(832)이 연통되어 흡착망(811)까지 개통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The slit 832 radially extends from the hollow tube 831 and is formed in many narrow and long gaps, the inner end of the slit 832 being connected to the hollow tube 831 and the outer end of the slit 832 being a dust collecting roller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 the discharge pipe 834, the hollow pipe 831, and the slit 83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adsorption net 811 is opened.

따라서 집진롤러(830)가 복수의 흡착망(811) 사이에 장착되어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집진롤러(830) 일측의 배출관(834)을 통해 강한 바람으로 공기를 빨아들이게 되면 흡인력은 중공관(831)을 통해 슬릿(832)에 전달되고 흡착망(811)에까지 작용하게 되고, 흡착망(811)에 걸려있는 먼지는 슬릿(832)을 통해 중공관(831)으로 흡입된 후 배출관(834)으로 이동되면서 기둥프레임(820) 방향으로 모여지게 된다.Therefore, when air is sucked in with strong wind through the discharge pipe 834 on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in a state where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is mount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ction nets 811 and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uct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hollow tube 831 ) through the slit 832 and acts on the adsorption net 811, and the dust caught on the adsorption net 811 is sucked into the hollow pipe 831 through the slit 832 and then to the discharge pipe 834. As it is moved, it is gathered in the direction of the pillar frame 820.

집진롤러(830)의 양단은 롤링기어(833)에 연결되어서 롤링기어(833)가 회전하며 기둥프레임(82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 집진롤러(830) 또한 상하로 회전이동하게 되는데, 배출관(834)은 집진롤러(830)의 일단에 배치된 롤링기어(833)의 타측단에 연결되고, 배출관(834)의 선단에는 집진수거함(870)이 구비된다.Both ends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are connected to the rolling gear 833 so that when the rolling gear 833 rotates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pillar frame 820,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also rotates up and down. 834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lling gear 833 disposed at one end of the dust collection roller 830, and a dust collection box 870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discharge pipe 834.

배출관(834)은 탄성 재질의 주름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어서 집진롤러(830)와 롤링기어(833)가 상부로 이동하더라도 배출관(834)이 늘어나면서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집진수거함(870)은 기둥프레임(820)의 하부에 고정 장착된 상태로 배출관(834)의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The discharge pipe 834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rrugated pip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even when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and the rolling gear 833 move upward, the discharge pipe 834 may be stretched and the connection state may be maintained, and the dust collection box 870 The connection state of the discharge pipe 834 may be maintained while being fixedly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ilver pillar frame 820 .

기둥프레임(820)과 펜스프레임(810)이 접하는 면, 즉 펜스프레임(810)의 일면과 타면에는 중싱부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 형성되는 롤링가이드(840)가 구비되고, 집진롤러(830)와 롤링기어(833)를 연결하는 연결축이 롤링가이드(840)에 배치되면서 집진롤러(830)와 롤링기어(833)는 롤링가이드(840)를 사이에 두고 상호 연결된 형태를 갖게 된다.A rolling guide 840 formed with a long ho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iddle part is provided on the surface where the pillar frame 820 and the fence frame 810 come into contact, that is,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ence frame 810, and a dust collecting roller 830 ) And the rolling gear 833 as the connecting shaft is disposed on the rolling guide 840,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and the rolling gear 833 have a form interconnected with the rolling guide 840 interposed therebetween.

그리고 기둥프레임(820)의 내부에는 롤링가이드(840)와 기어 결합되는 가이드기어(841)가 형성되고, 가이드기어(841)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형성되면서 U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최상단 가이드기어(841)에는 롤링모터(850)가 결합되어 최상단 가이드기어(841)를 구동시킬 수 있다.And inside the column frame 820, a guide gear 841 gear-coupled with the rolling guide 840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guide gears 841 ar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arranged in a U shape, A rolling motor 850 may be coupled to the top guide gear 841 to drive the top guide gear 841 .

이제 가이드기어(841)의 하단에 롤링기어(833)가 위치하면 집진롤러(830)도 흡착망(811) 사이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롤링모터(850)가 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최상단 가이드기어(841)가 일 방향 회전하면서 모든 가이드기어(841)가 기어회전이 이뤄지고 따라서 롤링기어(833)도 기어회전이 이뤄지게 되어 가이드기어(841)를 타고 상부 방향으로 이동이 이뤄지게 된다.Now, when the rolling gear 833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gear 841,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is also located at the lowest part between the adsorption nets 811, and in this state, the rolling motor 850 rotates in one direction. When driven, the uppermost guide gear 841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all guide gears 841 rotate gears, and accordingly, the rolling gear 833 also rotates gears, so that the guide gear 841 moves upward. .

집진롤러(830)는 양 단이 각각 롤링기어(833)에 연결된 상태이고 각 롤링기어(833)는 상술한 절차에 따라 기어회전하면서 상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집진롤러(830) 또한 흡착망(811)과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며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마찬가지로 롤링모터(850)를 타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 가이드기어(841)의 회전은 반대 방향이 되고 롤링기어(833)가 반대로 기어회전하면서 집진롤러(830)와 롤링기어(833)는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Since both ends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are connected to the rolling gear 833, and each rolling gear 833 moves upward while gear rotating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cedure,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also adsorbs the net 811 It rotates in close contact with and moves upward. Similarly, when the rolling motor 85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guide gear 841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rolling gear 833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and the rolling gear 833 are moved downward.

집진롤러(830)는 펜스프레임(810)의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고 롤링기어(833)는 기둥프레임(820) 내부에서 수평으로 설치된 채 상하로 이동하기 때문에 집진롤러(830)가 사선을 유지한 상태에서 롤링기어(833)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하기 위해서는 집진롤러(830) 양단에서 롤링기어(833) 연결축과 결합되는 부위에 연결축 테두리를 따라 다수의 베어링이 설치되고 롤링기어(833)가 회전하면 연결축이 회전되면서 베어링에 의해 집진롤러(830)가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Since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is installed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fence frame 810 and the rolling gear 833 moves up and down while being installed horizontally inside the pillar frame 820,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maintains an oblique line. In order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olling gear 833, a plurality of bearings are installed along the rim of the connecting shaft at both ends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and coupled to the connecting shaft of the rolling gear 833, and the rolling gear 833 When rotating, the connection shaft may be rotated so that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is rotated by a bearing.

또는 집진롤러(830)는 회전하지 않은 채 사선을 유지한 항태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연결축과 롤링기어(833)가 결합되는 부위에서 연결축 주위로 베어링이 설치됨으로써 롤링기어(833)가 회전하면 집진롤러(830)의 회전에는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can move up and down while maintaining an oblique line without rotating. In this case, the rolling gear 833 is installed around the connecting shaft at the joint between the connecting shaft and the rolling gear 833. When ) rotates, the coupled state can be maintained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rotation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이때 집진롤러(830)와 양 단의 롤링기어(833)는 롤링가이드(840)를 통해 결합된 상태이고 롤링가이드(840)는 집진롤러(830) 및 롤링기어(833)의 직경보다 작고 연결축에 대응되는 틈새로 통공 형성되기 때문에 집진롤러(830)와 롤링기어(833)의 상회 회전 시 기 설치된 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 상태에서 상하 회전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and the rolling gear 833 at both ends are coupled through the rolling guide 840, and the rolling guide 840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and the rolling gear 833 and the connecting shaft. Since the through hole is formed with a gap corresponding to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and the rolling gear 833 during upward rota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repeated up and down rotation while maintaining the installed position without changing.

한편 집진수거함(870)은 일면이 배출관(834)에 연결되고 타면에는 필터(871)가 장착되며, 타면 외측으로 송풍기(860)가 연결되어 집진수거함(870) 내부와 송풍기(860)가 연통될 수 있다.Meanwhile,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on box 87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834, the other side is equipped with a filter 871, and a blower 86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other side so that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on box 870 and the blower 860 communicate. can

송풍기(860)는 컴프레셔로써 구성될 수 있어서 강한 압력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데, 송풍기(860)가 구동되면 집진수거함(870)의 일면에서 타면 방향으로 강하게 공기를 빨아들이게 되며, 이로 인해 집진수거함(870)과 연결된 배출관(834), 집진롤러(830), 흡착망(811)에까지 순서대로 흡인력을 작용하게 하여, 흡착망(811)의 먼지를 슬릿(832), 중공관(831), 배출관(834)을 통해 집진수거함(870)까지 빨아들이게 되며 집진수거함(870)으로 들어온 먼지는 필터(871)에 걸린 채 집진수거함(870)에 채집되고 바람은 송풍기(860) 외측으로 빠져나가게 된다.The blower 860 may be configured as a compressor to suck air at a strong pressure. When the blower 860 is driven, air is strongly sucked in from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on box 870 to the other side, and this causes the dust collection box to suck air. (870), the su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discharge pipe 834,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and the suction net 811 in order to remove dust from the suction net 811 through the slit 832, the hollow tube 831, and the discharge pipe It is sucked up to the dust collection box 870 through the 834, and the dust entering the dust collection box 870 i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box 870 while being caught in the filter 871, and the wind is blown out of the blower 860.

송풍기(860)가 구동됨과 동시에 롤링모터(850)가 구동되면 집진롤러(830)는 흡착망(811)을 밀착된 채 상하로 이동하면서 전체 흡착망(811)에 흡착된 먼지를 슬릿(832)을 통해 빨아들이게 되는데, 슬릿(832)은 중공관(831)으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되었으므로 집진롤러(830)가 상하 이동하면서 회전이 이뤄져도 다수의 슬릿(832)이 번갈아 흡착망(811)에 맞닿도록 배치가 되면서 먼지를 빨아들일 수 있게 된다.When the blower 860 is driven and the rolling motor 850 is driven at the same time, the dust collection roller 830 moves up and down while closely adhering to the adsorption net 811, removing the dust adsorbed to the entire adsorption net 811 through the slit 832. Since the slits 832 are radially formed from the hollow tube 831, even when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moves up and down and rotates, the plurality of slits 832 alternate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adsorption net 811. As it is placed, it can suck up dust.

집진롤러(830)는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흡착망(811)을 타고 상하 이동함에 따라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하 이동할 경우 대비 흡착망(811)에 대한 압력이 분산되어 흡착망(811) 훼손을 방지하고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흡착망(811)에 형성되는 격자 형태의 정사각형 틈새와 집진롤러(830)의 슬릿(832)이 겹치는 방향이 수평과 사선으로 어긋나게 됨으로써 흡착망(811)과 슬릿(832)이 동일한 수평방향일 경우 대비 흡착력이 더 강하게 작용하여 먼지를 더 쉽고 강하게 빨아들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is arranged in an oblique direction and is installed horizontally as it moves up and down along the adsorption net 811, and the pressure on the adsorption net 811 is dispersed compared to when it moves up and down to prevent damage to the adsorption net 811 Durability can be increased, and the overlapping direction of the lattice-shaped square gap formed in the adsorption net 811 and the slit 832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830 is displaced horizontally and obliquely, so that the adsorption net 811 and the slit 832 ) is in the same horizontal direction, the contrast adsorption force acts more strongly,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sucking up dust more easily and strongly.

게다가 집진롤러(830)가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하게 되면 수평,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흡착망(811)을 다수의 슬릿(832)이 사선방향으로 번갈아 쓸면서 접하게 되므로 먼지 흡입효과가 증대될 수 있어서 집진롤러(830)가 수평으로 배치된 경우보다 훨씬 강한 먼지 제거 효과를 거둘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ust collection roller 830 rotates and moves up and down, a plurality of slits 832 come in contact with the suction nets 811 arranged in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hile alternately sweeping in an oblique direction, so that the dust suction effect can be increased to collect dust. A much stronger dust removal effect can be obtained than when the roller 830 is disposed horizontally.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refore,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
10 : 배전반
20 : 현장정보처리반
21 : 현장데이터입력모듈
22 : 현장데이터출력모듈
30 : 현장설비
40 : 광케이블
100 : 주 정보처리장치
200 : 모자익 제어장치
300 : 디스플레이부
400 : 현장제어모듈
410 : 상태표시램프카드
420 : 제1제어스위치카드
430 : 제2제어스위치카드
500 : 경보장치
600 : 계측기
700 : 예비 정보처리장치
800 : 먼지제거부
810 : 펜스프레임
811 : 흡착망
812 : 차단판
820 : 기둥프레임
830 : 집진롤러
831 : 중공관
832 : 슬릿
833 : 롤링기어
834 : 배출관
840 : 롤링가이드
841 : 가이드기어
850 : 롤링모터
860 : 송풍기(컴푸레셔)
870 : 집진수거함
871 : 필터
50 : 배전반 시뮬레이터
51 : 정보처리 모의장치
52 : 훈련영상출력부
53 : 모자익 모의제어장치
54 : 경보모의장치
55 : 계측모의기
1: Digital Miniature Video Wall Switchgear
10: switchboard
20: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Team
21: field data input module
22: Field data output module
30: Field facilities
40: optical cable
100: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200: mosaic control device
300: display unit
400: field control module
410: status display lamp card
420: first control switch card
430: second control switch card
500: alarm device
600: instrument
700: preliminary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800: dust removal unit
810: fence frame
811: adsorption net
812: blocking plate
820: column frame
830: dust collecting roller
831: hollow tube
832: slit
833: rolling gear
834: discharge pipe
840: rolling guide
841: guide gear
850: rolling motor
860: blower (compressor)
870: dust collection box
871: filter
50: switchboard simulator
51: information processing simulator
52: training video output unit
53: Mosaic simulator
54: alarm simulator
55: measurement simulator

Claims (5)

변전소 현장설비;
현장설비의 동작 및 설비 상태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배전반에 전달하는 현장데이터입력모듈과, 디지털 배전반으로부터 현장설비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현장설비에 제공함으로써 현장설비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현장데이터출력모듈로 구성되는 현장정보처리반; 및
현장정보처리반으로부터 현장설비 동작 및 설비 상태를 수신하고 현장설비의 제어 및 작동 신호를 현장정보처리반에 송신하며, 중앙관제센터에서 현장설비를 모니터링 하도록 현장설비의 결선상태를 축소 구현하고 현장설비의 감시, 제어, 경보, 계측의 기능을 디지털화하는 디지털 배전반;을 포함하되,
디지털배전반은,
현장데이터입력모듈에서 수신한 현장설비 정보를 분석하고 현장설비의 상태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생성 후 현장정보처리반과 송수신하여 현장설비를 운전하는 주 정보처리장치;
주 정보처리장치에 연결되어 현장설비에 대한 제어 명령 입력 및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며, 모자익 제어용 입출력 장치로 구성되는 모자익 제어장치;
주 정보처리장치에 연결되며, 현장정보처리반의 입력신호에 따라 현장설비의 표시램프를 점등 제어하는 램프제어모듈; 현장설비의 비정상 상태를 수신하여 비상램프를 점등 제어하는 비상램프모듈; 및 모자익 제어장치의 제어명령를 현장설비에 맞게 변환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스위치제어모듈;로 구성되는 현장제어모듈;
주 정보처리장치에 연결되어 현장설비의 장애 상태를 음성과 음향의 확성으로 안내하는 경보장치;
주 정보처리장치에 연결되어 현장설비의 차단기 작동횟수를 누산하는 계측기; 및
디지털 배전반에 송수신되는 현장설비의 정보들이 스크린으로 영상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
substation field equipment;
Consisting of a field data input module that receives field equipment operation and facility status signals and transmits them to the digital switchboard, and a field data output module that performs field facility control functions by receiving field facility control signals from the digital switchboard and providing them to field facilities on-site information processing team; and
Receives field equipment operation and facility status from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panel, transmits field facility control and operation signals to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panel, reduces and implements the wiring status of field facilities to monitor field facilities from the central control center, and monitors field facilities , a digital switchboard that digitizes functions of control, alarm, and measurement;
digital switchboard,
A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analyzes the field facil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eld data input module, generates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ield facility, and transmits and receives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o operate the field facility;
a mosaic control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erforms control command input and monitoring functions for field facilities, and consists of an input/output device for mosaic control;
A lamp control module that is connected to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s the lighting of the display lamp of the field facility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panel; An emergency lamp module that receives an abnormal state of field equipment and controls the lighting of an emergency lamp; and a switch control module that converts control commands of the mosa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field facilities and transmits control signals; a field control module comprising;
An alarm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s the failure state of field facilities with voice and sound amplification;
A measuring instrument connected to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accumulating the number of circuit breakers of field facilities; and
A digital miniature video wall switchboard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images of field facility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he digital switchboard on a screen.
제1항에 있어서,
디지털 배전반은,
예비 정보처리장치;를 더 포함하고,
현장정보처리반은 주 정보처리장치와 예비 정보처리장치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스위칭 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
According to claim 1,
digital switchboard,
A preliminary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field information processing panel is a digital miniature video wall switchboar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ively switched and connected to one of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the auxiliary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디지털 배전반은.
외측에 별도 구성되어 연결되는 배전반 시뮬레이터;를 더 포함하고,
배전반 시뮬레이터는,
주 정보처리장치에 연결되어 디지털 배전반의 구성과 현장설비의 구조를 포함한 리얼데이터를 전달받아 가상현장 설비 계통도를 작성하고 모의데이터에 동기화시켜 가상현장 설비를 구성하는 정보처리 모의장치;
정보처리 모의장치에 연결되어 가상현장 설비 계통도 및 모의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하는 훈련영상출력부;
정보처리 모의장치에 연결되어 가상현장 설비를 대상으로 감시, 제어, 경보, 계측 기능을 조정하는 모자익 모의제어장치;
모자익 제어장치에 연결되어 조정에 따른 제어 및 경보기능을 출력하는 경보모의장치; 및
모자익 제어장치에 연결에되 가상현장 설비의 차단기 누산값을 산출하는 계측모의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
According to claim 1,
digital switchboard.
Further comprising a switchboard simulator separately configured and connected to the outside,
The switchboard simulator,
An information processing simulation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ma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receives real data, including the configuration of digital switchboards and the structure of field facilities, creates a schematic diagram of virtual field facilities and synchronizes them with simulated data to configure virtual field facilities;
A training image output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simulation device and outputs a schematic diagram of virtual field facilities and simulated data to a screen;
Mosaic simulation control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simulation device and adjusts monitoring, control, alarm, and measurement functions for virtual field facilities;
An alarm simulation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mosaic control device and outputs control and alarm functions according to the adjustment; and
A digital miniature video wall switchboard including a measurement simulator that is connected to the mosaic control device and calculates the circuit breaker accumulation value of the virtual field facility.
제1항에 있어서,
경보장치는,
현장설비의 광역 구간별로 구분되는 다수의 광역경보구간부;로 구성되고,
각 광역경보구간부는 주위를 둘러싸는 경보조명등;이 별도 구성되며,
특정 현장설비 장애 발생 시 경보조명등이 점멸됨으로서 해당 광역경보구간부 전체를 점검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
According to claim 1,
alarm device,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wide-area warning sections divided by wide-area sections of field facilities,
Each wide-area warning section is separately configured with alarm lights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A digital miniature video wall switchboard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specific field facility failure occurs, the alarm lighting flashes to guide the inspection of the entire wide area alarm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모자익 제어용 입출력 장치는 모니터, 키보드 및 증폭마우스를 포함하며,
증폭마우스는,
일측에 구비된 스퀴즈버튼을 구동시키면 모니터에 현장설비 상태가 부분적으로 확대 출력되어 모니터링을 위해 다수의 화면을 이동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타측에 구비된 와이드버튼을 구동시키면 모니터에 현장설비 상태 전체가 광범위하게 출력되어 하나의 화면으로 모니터링 하도록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
According to claim 1,
Input/output devices for mosaic control include a monitor, keyboard, and amplified mouse,
amplified mouse,
When the squeeze button provided on one side is operated, the field facility status is partially enlarged and output on the monitor, so that multiple screens can be moved for monitoring.
A digital miniature video wall switchboard,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wide butt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is driven, the entire field equipment status is output to the monitor in a wide range and can be implemented to be monitored on a single screen.
KR1020210159015A 2021-11-18 2021-11-18 Digital Reduction-Type Video Wall Switchboard KR1026483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015A KR102648384B1 (en) 2021-11-18 2021-11-18 Digital Reduction-Type Video Wall Switch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015A KR102648384B1 (en) 2021-11-18 2021-11-18 Digital Reduction-Type Video Wall Switchbo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602A true KR20230072602A (en) 2023-05-25
KR102648384B1 KR102648384B1 (en) 2024-03-18

Family

ID=86541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015A KR102648384B1 (en) 2021-11-18 2021-11-18 Digital Reduction-Type Video Wall Switch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38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503B1 (en) 2006-06-14 2007-12-11 대웅전기공업(주) Digital mosaic system
KR100783505B1 (en) * 2006-06-14 2007-12-11 대웅전기공업(주) Communication interface device
KR20070119223A (en) * 2006-06-14 2007-12-20 대웅전기공업(주) Master cpu structure
KR100885036B1 (en) * 2008-03-14 2009-02-20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Simulating apparatus and simulating system of digital miniature mosaic panel
KR101085056B1 (en) * 2011-02-10 2011-11-21 (주)가온테크 System for monitoring digital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101645519B1 (en) * 2016-04-07 2016-08-12 (주)한빛기술단 Breakdown point detection system of distribution lin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503B1 (en) 2006-06-14 2007-12-11 대웅전기공업(주) Digital mosaic system
KR100783505B1 (en) * 2006-06-14 2007-12-11 대웅전기공업(주) Communication interface device
KR20070119223A (en) * 2006-06-14 2007-12-20 대웅전기공업(주) Master cpu structure
KR100885036B1 (en) * 2008-03-14 2009-02-20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Simulating apparatus and simulating system of digital miniature mosaic panel
KR101085056B1 (en) * 2011-02-10 2011-11-21 (주)가온테크 System for monitoring digital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101645519B1 (en) * 2016-04-07 2016-08-12 (주)한빛기술단 Breakdown point detection system of distribution 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384B1 (en) 202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3599B (en) Tunnel monitoring system
CN201583578U (en) Multifunctional electric power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CN103151771A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on of power transmission network
CN111189481A (en) Onlin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former substation protection pressing plate
KR101212124B1 (en) Monitoring system for photovoltaic electric power station
CN205176598U (en) A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for floodgate station
CN208125202U (en) A kind of long-distance monitorng device based on Project Supervising
CN214429325U (en) Comprehensive monitoring linkage platform for auxiliary system of intelligent substation
CN216142512U (en) Intelligent dustproof system for outdoor GIS equipment installation
CN203056456U (en) Power transmission line overhead guide ground wire patrol device
CN203206397U (en) Remote visual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power distribution network
CN203133601U (e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information platform
KR20230072602A (en) Digital Reduction-Type Video Wall Switchboard
CN106437829A (en) Iron ore safety risk avoiding system
CN110740179A (en) fire safety monitoring system for rail transit
CN217925168U (en) Town road natural disasters risk information remote acquisition and early warning device
WO2018028919A1 (en) Switching installation for high voltage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witching installation
CN203551031U (en) Cable trench water level monitoring and alarming system of transformer substation
CN211205340U (en) Online monitoring system for transformer substation protection pressing plate
KR102548271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emote Terminal Unit
KR102203589B1 (en) Underground joint zone remote monitoring system
CN107607842A (en) A kind of arc light on-line monitoring system based on technology of Internet of things
CN204131224U (en) Case becomes intelligent monitor system
CN204793637U (en) Module of high -pressure shunt capacitance ware device of intelligence
CN201733136U (en) WIFI wireless network based power annular net cabinet centralized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