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1732A -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1732A
KR20230071732A KR1020220145361A KR20220145361A KR20230071732A KR 20230071732 A KR20230071732 A KR 20230071732A KR 1020220145361 A KR1020220145361 A KR 1020220145361A KR 20220145361 A KR20220145361 A KR 20220145361A KR 20230071732 A KR20230071732 A KR 20230071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server
place
user
business pl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5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관
Original Assignee
박문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관 filed Critical 박문관
Priority to PCT/KR2022/01739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90742A1/ko
Publication of KR20230071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제 1 서버가 현실세계에 실재하는 사업장을 관리하는 제 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업장 위치를 포함한 사업장 정보를 수신하여 신규 등록하는 단계, 및 제 1 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 신규 등록된 사업장 정보를 현실세계가 디지털화된 메타버스를 온라인 서비스하는 제 2 서버로 전달하여 사업장에 대한 가상 사업장이 메타버스 상에서 동일 위치에 구현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 방법{Digital twin service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은 메타버스와 관련된 것으로, 특히 현실세계와 무관한 가상의 메타버스가 아니라 현실세계를 디지털화한 메타버스와 관련된 것이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25694호에는 디지털 트윈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 및 장치는 디지털 트윈 기술로 구축된 가상 현실 공간을 기반으로 사용자들 간에 인터랙션을 서로 주고 받을 수 있게 한다. 또한, 가상 현실 단말 사용자와 증강 현실 단말 사용자 간에 자연스런운 인터랙션을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며, 상대방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을 추적하여 가상 현실 단말 또는 증강 현실 단말 상에 정확히 표현할 수 있게 한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25694호(2022년 9월 14일 공개)
본 발명은 오프라인 사업장들의 실재 및 위치가 현실에서 검증되고 이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상에 구현될 수 있게 하여 진정한 디지털 트윈을 보장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 1 서버가 현실세계에 실재하는 사업장을 관리하는 제 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업장 위치를 포함한 사업장 정보를 수신하여 신규 등록하는 단계, 및 제 1 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 신규 등록된 사업장 정보를 현실세계가 디지털화된 메타버스를 온라인 서비스하는 제 2 서버로 전달하여 사업장에 대한 가상 사업장이 메타버스 상에서 동일 위치에 구현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 1 서버가 신규 등록된 사업장의 제 1 사용자에게 사업장의 위치 데이터가 포함된 사업장 코드를 발급하여 사업장 내에 마련되도록 하는 단계,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사업장 내에 마련된 사업장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가 획득된 사업장 코드에 속한 위치 데이터와 일치할 경우 사업장의 영업 현황 정보를 제 1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 1 서버가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업 현황 정보를 제 2 서버로 전달하여 메타버스 상에서 해당 가상 사업장을 통해 오프라인 사업장의 영업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업장을 방문한 제 2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사업장에 마련된 사업장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제 2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가 획득된 사업장 코드에 속한 위치 데이터와 일치할 경우 제 2 사용자에게 사업장에 대한 평가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제 2 애플리케이션이 평가 권한을 부여받은 제 2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업장 평가 정보를 제 1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 및 제 1 서버가 업로드된 사업장 평가 정보를 제 2 서버로 전달하여 메타버스 상에서 해당 가상 사업장을 방문한 방문자들에게 사업장 평가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 방법 흐름도이다.
도 9는 서버용 컴퓨팅 디바이스 구성 예시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블록도이다.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은 모두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로서, 사용 주체에 따라 구분한 것이다. 제 1 단말(100)을 사용하는 제 1 사용자는 오프라인 사업장(매장)을 관리하는 자를 말하며, 사업자 또는 사업자를 대신하는 별도의 관리자(직원)를 의미한다. 제 2 단말(200)을 사용하는 제 2 사용자는 오프라인 사업장을 방문하거나 메타버스에 온라인 접속하여 이용할 수 있는 일반 사용자(소비자)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 1 단말(100)에는 제 1 사용자용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 1 애플리케이션(300)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제 2 단말(200)에는 제 2 사용자용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 2 애플리케이션(400)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제 1 앱(300)과 제 2 앱(400)은 사실상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인지 아니면 제 2 사용자인지에 따라 인용 권한을 달리 부여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제 1 서버(500)와 제 2 서버(600)는 각각 하나 이상의 서버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버 시스템으로서, 윈도우 계열 운영체제나 MacOS, 자바, 유닉스(UNIX) 또는 리눅스(LINUX)를 포함하거나 이에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운영체제 하에서 운영될 수 있다. 제 1 서버(500)는 제 1 앱(300)과 연동하여 오프라인 사업장의 실재 및 위치를 검증하는 역할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 2 앱(400)과 연동하여 제 2 사용자들의 사업장 현장 방문을 검증하는 역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서버(600)는 메타버스를 운영하는 서버로서, 제 1 서버(500)를 통해 검증된 결과를 메타버스에 반영하여 진정한 디지털 트윈을 제 2 사용자들에게 온라인 서비스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참고로, 제 2 서버(600)는 오프라인 사업장에 대응되는 가상 사업장을 메타버스 상에서 동일 위치에 구현하며, 사용자들에게 가상 사업장을 통해 오프라인 사업장에서 판매하는 유무형의 상품들을 구매하거나 예약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블록도로서,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모바일 단말은 저장부(110)와 디스플레이부(120)와 통신부(130)와 GPS 수신부(140)와 카메라부(150)와 RFID 리더부(160)와 NFC 리더부(170)와 비콘 수신부(180) 및 단말 제어부(19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저장부(110)에는 모바일 단말(100)의 운용을 위한 명령어, 데이터,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 1 앱(300) 또는 제 2 앱(400)도 프로그램 코드 형태로 기록되어 관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로 하여금 제 1 앱(300) 또는 제 2 앱(400)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것으로, 화면 출력은 물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도 받아들일 수 있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통신부(130)는 관리 서버(3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며, GPS 수신부(14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로서,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다.
카메라부(150)와 RFID 리더부(160)와 NFC 리더부(170) 및 비콘 수신부(180) 역시 그 자체로는 이미 잘 알려진 것들로서, 본 개시에서는 사업장에 마련된 바코드나 QR(Quick Response) 또는 RFID 태그나 NFC 태그나 비콘으로부터 사업장 코드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즉, 사업장 코드는 사업장 내에 마련되는 바코드나 QR 코드나 RFID(Raid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등에 기록되어 있어 카메라부(150)나 RFID 리더부(160) 또는 NFC 리더부(170)를 통해 획득할 수 있으며, 사업장 내 설치된 비콘의 무선 송신 신호를 비콘 수신부(180)를 통해 수신하고 그 수신 신호로부터 사업장 코드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상은 예시적인 것으로, 사업장 정보는 이미 알려진 다른 수단 혹은 향후에 등장하는 새로운 수단을 통해 획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말 제어부(190)는 모바일 단말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단말 제어부(190)의 프로세서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제 1 앱(300) 또는 제 2 앱(400)을 로딩하여 실행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제 1 앱(300) 또는 제 2 앱(400)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앱(300)은 제 1 사용자로부터 제 1 사용자의 오프라인 사업장 정보를 입력받으며, 그 입력된 사업장 정보를 제 1 서버로 전송하면서 등록을 요청한다(S100). 사업장 정보에는 사업장 위치가 포함되고, 사업자명, 사업장명(상호), 업종, 사업자등록증, 사업장 촬영 이미지 등 중에서 적어도 일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 1 서버(500)는 제 1 앱(300)으로부터 사업장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신규 등록한다(S110). 이때, 제 1 서버(500)는 수신된 사업장 정보가 기등록된 사업장 정보인지 여부를 체크한 후에 미등록된 사업장 정보로 확인될 경우에 데이터베이스에 신규 등록할 수 있다.
제 1 서버(500)는 신규 등록된 사업장 정보를 제 2 서버(600)로 전달한다(S120). 이를 통해, 제 2 서버(600)로 하여금 오프라인 사업장에 대한 가상 사업장이 메타버스 상에서 동일 위치에 구현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서버(500)는 사업장 정보가 신규 등록되면 그 사업장 정보를 제 2 서버(600)로 전달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서버(500)는 제 2 서버(600)로부터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한해 데이터베이스에 신규 등록된 모든 사업자 정보를 제 2 서버(600)로 전달한다. 제 2 서버(600)는 제 1 서버(500)로부터 사업장 정보를 전달받으며, 그 전달된 사업장 정보에 따라 메타버스 상에 가상 사업장을 구현하되 사업장 정보를 통해 확인되는 오프라인 사업장의 현실 위치에 대응되는 메타버스의 좌표 상에 가상 사업장을 구현한다(S130).
추가로, 제 1 서버(500)는 신규 등록된 오프라인 사업장에 대해 고유의 사업장 코드를 발급할 수 있다(S140). 사업장 코드는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유형의 바코드나 QR(Quick Response) 코드일 수도 있고 시각적으로 표현되지 않는 무형의 데이터일 수도 있다. 제 1 서버(500)는 이 같은 사업장 코드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앱(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아니면 사업장 코드가 바코드나 QR 코드 등과 같은 시각적 코드일 경우에 한해서는 인쇄물로 출력되어 제 1 사용자에게 배송 등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사용자에게 발급된 사업장 코드는 시각적 코드일 경우에는 오프라인 사업장 내에서 전자 기기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스티커 등의 실물 형태로 부착되어 사용자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으며, 무형의 데이터일 경우에는 RF 태그나 NFC 태그 또는 비콘 내에 기록되어 사용자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사업장 정보는 제 1 단말(100)의 위치와 사업장 위치가 일치할 경우에 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신규 등록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일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S100의 구체 흐름도이다. 제 1 앱(300)은 제 1 사용자로부터 사업장 정보를 획득하며, 제 1 단말(100)의 위치 데이터를 획득한다(S101)(S102). 단말 위치를 획득하는데 이용되는 하드웨어 자원은 GPS 수신부(140)일 수 있다
제 1 앱(300)은 사업장 정보에 속한 사업장 위치와 획득된 단말 위치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판단한다(S103). 즉, 단말 위치가 사업장 위치에 속해 있는지 비교 판단하는 것이다. 이때, 단말 위치의 오차를 고려하여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서 단말 위치가 매장 위치와 일치하는지 비교 판단할 수 있다. 이 같은 비교 판단 결과 일치하면, 제 1 앱(300)은 사업장 정보를 제 1 서버(500)로 업로드한다(S104). 그러나 일치하지 않으면 사업장 정보 등록이 불가함을 제 1 사용자에게 알린다(S105).
일 예로, 사업장 정보에는 사업자등록증이 포함된다. 그리고 제 1 앱(300)은 사업자등록증을 분석하여 사업장 장소 정보(사업장 주소)를 추출할 수 있으며, S103에서 사업장 주소와 단말 위치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사업장 주소를 위치 좌표 데이터로 변환한 후에 단말 위치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앱(300)은 S103을 수행하지 않고 사업장 정보를 제 1 서버(500)로 업로드할 수도 있으며, 대신에 제 1 서버(500)가 사업장 위치와 단말 위치의 일치 여부를 비교 판단하여 사업장 정보를 등록하거나 등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사업장 코드가 발급된 이후의 절차로서, 오프라인 사업장의 영업 현황을 현실 검증하고 그 검증에 기반해 메타버스의 가상 사업장에 오프라인 사업장의 영업 현황 정보를 반영하는 절차이다. 제 1 앱(300)은 오프라인 사업장 내에 마련된 사업장 코드를 획득한다(S200). 이때 이용되는 하드웨어 자원은 카메라부(150)나 RFID 리더부(160)나 NFC 리더부(170) 또는 비콘 수신부(180)일 수도 있고 그 외의 다른 것일 수도 있다. 사업장 코드에는 사업장 위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며, 사업장 식별을 위한 사업장 식별자(ID)도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 1 앱(300)은 제 1 단말(100)의 위치 데이터도 획득한다(S210).
제 1 앱(300)은 사업장 위치와 단말 위치가 일치하는지 비교 판단한다(S220). 즉, 단말 위치가 사업장 위치에 속해 있는지 비교 판단하는 것이다. 이때, 단말 위치의 오차를 고려하여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서 단말 위치가 매장 위치와 일치하는지 비교 판단할 수 있다. 이 같은 비교 판단 결과 일치하면, 제 1 앱(300)은 제 1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업장 영업 현황 정보를 제 1 서버(500)로 업로드한다(S23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앱(300)은 S220을 통해 두 위치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사용자에게 사업장 영업 현황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며, 요청에 따라 입력된 사업장 영업 현황 정보를 제 1 서버(500)로 전송한다. 영업 현황 정보는 영업중, 영업 종료 예정, 영업 종료 등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으며, 사업장 ID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S220에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앱(300)은 제 1 사용자에게 영업 현황 정보를 업로드할 수 없음을 알린다(S240).
제 1 서버(500)는 제 1 앱(300)으로부터 수신된 사업장 영업 현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등록하며, 제 2 서버(600)로 영업 현황 정보를 전달한다(S250)(S260). 제 2 서버(600)에서 해당 오프라인 사업장을 식별할 수 있도록 사업장 ID도 함께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서버(600)는 제 1 서버(500)로부터 영업 현황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영업 현황 정보를 메타버스 내의 해당 가상 사업장에 반영한다(S270). 예를 들어, 제 2 서버(600)는 영업 현황 정보에 따라 해당 가상 사업장의 영업을 개시하거나, 영업 종료 예정임을 가상 사업장에 방문한 사용자들에게 알리거나, 영업을 종료하는 것이다. 다른 예로, 제 2 서버(600)는 가상 사업장의 영업은 그대로 유지하고 오프라인 사업장에 대한 영업 현황을 가상 사업장에 방문한 사용자들에게 정보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 1 서버(500)는 제 1 앱(300)으로부터 소정 기간(예를 들어, 1주일) 동안 제 1 앱(300)으로부터 영업 현황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 2 서버(600)로 이를 통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서버(600)는 제 1 서버(500)로부터의 통지에 따라 메타버스 상에서 해당 가상 사업장의 운영을 종료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및 도 8 역시 사업장 코드가 발급된 이후의 절차이다. 제 2 앱(400)은 오프라인 사업장 내에 마련된 사업장 코드를 획득하며, 제 2 단말(200)의 위치 데이터도 획득한다(S300)(S310). S300 및 S310은 사실상 도 5에 도시된 제 1 앱(300)에 의해 수행되는 S200 및 S210과 동일하다. 제 2 앱(400)은 사업장 위치와 단말 위치가 일치하는지 그리고 사업장이 제 1 서버(500)에 등록된 사업장이 맞는지를 판단한다(S320). 등록 사업장 여부에 대해서는 사업장 코드에 속한 사업장 ID로 제 1 서버(500)에 조회하는 등의 방식으로 파악이 가능하다.
S320에서 ‘예’로 판단되면, 제 2 앱(400)은 제 2 사용자에게 오프라인 사업장에 대한 평가 권한을 부여한다(S330). 그러나 ‘아니오’로 판단되면, 제 2 앱(400)은 제 2 사용자에게 평가 권한이 없어 평가가 불가함을 알린다(S350). S330의 후속으로 제 2 사용자는 실제 방문한 사업장에 대해 제 2 앱(400)을 통해 평가를 진행하며, 제 2 앱(400)은 사용자의 평가에 따라 얻어진 사업장 평가 정보를 제 2 서버(600)로 업로드한다(S350). 이때, 사업장 ID도 함께 제 2 서버(600)로 전송될 수 있다.
제 2 서버(600)는 제 1 앱(300)으로부터 사업장 평가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관리하며(S360), 제 2 서버(600)로 사업장 평가 정보를 전달한다(S370). S370에서 사업장 ID도 함께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서버(600)는 제 1 서버(500)로부터 사업장 평가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사업장 평가 정보를 메타버스 내의 해당 가상 사업장에 반영한다(S380). 예를 들어, 제 2 서버(600)는 가상 사업장 내에 사업장 평가 정보를 노출시켜 가상 사업장에 방문한 사용자들로 하여금 실제 사업장에 대한 평가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제 1 서버(500)는 제 2 앱(400)으로부터 사업장 평가 정보가 수신되면 제 2 사용자에게 제 2 앱(400)을 통해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S390). 리워드로는 오프라인 사업장 또는 그에 대응되는 가상 사업장에서 현금처럼 사용 가능한 디지털 쿠폰이나 포인트를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9는 서버용 컴퓨팅 디바이스 구성 예시도로서, 제 1 서버(500)와 제 2 서버(600)는 각각 하나 이상의 서버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술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는 프로세서(910), 메모리(920), 저장 장치(930), 입출력 인터페이스(940), 및 통신 인터페이스(9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al processing unit), 또는 이와 유사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를 구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20)에는 데이터, 프로세서(910)에 의한 실행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920)는 하나 이상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 또는 분산형 메모리일 수 있다. 저장 장치(930)는 데이터베이스용일 수 있으며, 비일시적(non-transitory)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93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광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범용 직렬 버스(USB) 드라이브 등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940)는 사용자가 입력을 제공하고 출력을 수신하며,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입력 및/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940)는 마우스, 키패드 또는 키보드, 카메라, 광학식 스캐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뎀, 기타 알려진 I/O 장치일 수 있으며,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940)는 그래픽 엔진,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출력 드라이버(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하나 이상의 오디오 스피커 및 하나 이상의 오디오 드라이버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95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와의 네트워크 통신(예를 들어, 패킷 기반 통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950)는 이더넷이나 다른 유선 기반 네트워크로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기(NIC)나 네트워크 어댑터 또는 와이파이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로 통신하기 위한 Wireless NIC나 무선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버스(Bus)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구성들을 서로 연결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는 AGP(Accelerated Graphics Port)나 다른 그래픽 버스, EISA(Enhanc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버스, FSB(front-side bus), HT(hypertransport) 인터커넥트, ISA(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버스, INFINIBAND 인터커넥트, LPC(low-pin-count) 버스, 메모리 버스, MAC(Micro Channel Architecture) 버스,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버스, PCIe(PCI-Express) 버스, SATA(serial technology attachment) 버스, VL(VESA Local, VESA: Video Electronics Standard Association Local) 버스, 다른 적절한 버스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도 9의 구성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컴퓨팅 디바이스는 도 9의 구성들의 적어도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구성들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제 1 단말 200 : 제 2 단말
300 : 제 1 앱 400 : 제 2 앱
500 : 제 1 서버 600 : 제 2 서버

Claims (7)

  1. 제 1 서버는 현실세계에 실재하는 사업장을 관리하는 제 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업장 위치를 포함한 사업장 정보를 수신하여 신규 등록하는 단계; 및
    제 1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신규 등록된 사업장 정보를 현실세계가 디지털화된 메타버스를 온라인 서비스하는 제 2 서버로 전달하여 사업장에 대한 가상 사업장이 메타버스 상에서 동일 위치에 구현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업장 정보는 제 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와 사업장 위치가 일치할 경우에 한하여 신규 등록되는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서버는 신규 등록된 사업장의 제 1 사용자에게 사업장의 위치 데이터가 포함된 사업장 코드를 발급하여 사업장 내에 마련되도록 하는 단계;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사업장 내에 마련된 사업장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제 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가 획득된 사업장 코드에 속한 위치 데이터와 일치할 경우 사업장의 영업 현황 정보를 제 1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 1 서버는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업 현황 정보를 제 2 서버로 전달하여 메타버스 상에서 해당 가상 사업장을 통해 오프라인 사업장의 영업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서버는 소정 기간 동안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영업 현황 정보가 미수신되면 제 2 서버에 통지하여 메타버스 상에서 해당 가상 사업장이 미운영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사업장 코드는 바코드 또는 QR(Quick Response) 코드인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서버는 신규 등록된 사업장의 제 1 사용자에게 사업장의 위치 데이터가 포함된 사업장 코드를 발급하여 사업장 내에 마련되도록 하는 단계;
    사업장을 방문한 제 2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사업장에 마련된 사업장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제 2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가 획득된 사업장 코드에 속한 위치 데이터와 일치할 경우 제 2 사용자에게 사업장에 대한 평가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제 2 애플리케이션은 평가 권한을 부여받은 제 2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업장 평가 정보를 제 1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 및
    제 1 서버는 업로드된 사업장 평가 정보를 제 2 서버로 전달하여 메타버스 상에서 해당 가상 사업장을 방문한 방문자들에게 사업장 평가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서버는 평가 권한을 부여받은 제 2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지급 관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20145361A 2021-11-16 2022-11-03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071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7394 WO2023090742A1 (ko) 2021-11-16 2022-11-08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090 2021-11-16
KR20210158090 2021-11-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732A true KR20230071732A (ko) 2023-05-23

Family

ID=86544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5361A KR20230071732A (ko) 2021-11-16 2022-11-03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173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694A (ko) 2021-03-05 2022-09-14 주식회사 맘모식스 디지털 트윈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694A (ko) 2021-03-05 2022-09-14 주식회사 맘모식스 디지털 트윈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8126B1 (ja) モバイル・データ端末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9125059B2 (en) Password-free, token-based wireless access
US20180137480A1 (en) Mobile device gesture and proximity communication
US20210005331A1 (en)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KR20180013061A (ko) 원거리 결제 방법 및 장치
US11494777B2 (en) Enriching transaction request data for maintaining location privacy while improving fraud prevention systems on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with user controls injected to back-end transaction approval requests in real-time with transactions
KR100905407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그룹웨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00374276A1 (en) Provisioning system, provisioning method, provisioning program, and, network device
US20200143465A1 (en) Out-of-band verification for an electronic application
KR20170036463A (ko) 매물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600455B1 (ko) 서비스 계정에 대한 사용자 인증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2133474B1 (ko) 고객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US107087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eacon location verification
KR20140135510A (ko) 클라우드 id 카드를 이용하여 개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362014B2 (en) Proxy authent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WO2023090742A1 (ko)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 방법
CN109362040B (zh) 信息处理方法和装置
KR20230071732A (ko) 현실 검증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111137A (ko) 온라인 게임용 쿠폰을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20200119571A (ko) 컴퓨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장 주문 시스템
JP2012014292A5 (ko)
KR101151298B1 (ko)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모바일 신용 결제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JP2019057011A (ja) 判定装置、判定方法及び判定プログラム
EP4390794A1 (en) Supplier virtuous cycle evaluation method based on on-site verification
JP6338749B1 (ja) 利用情報提供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