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1502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71502A KR20230071502A KR1020210157767A KR20210157767A KR20230071502A KR 20230071502 A KR20230071502 A KR 20230071502A KR 1020210157767 A KR1020210157767 A KR 1020210157767A KR 20210157767 A KR20210157767 A KR 20210157767A KR 20230071502 A KR20230071502 A KR 202300715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disposed
- light emitting
- display device
- control patter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12788 optical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9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137 deposi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95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UMIVXZPTRXBADB-UHFFFAOYSA-N benzocyclobute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2=C1 UMIVXZPTRXBAD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161 pass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QNRATNLHPGXHMA-XZHTYLCXSA-N (r)-(6-ethoxyquinolin-4-yl)-[(2s,4s,5r)-5-ethyl-1-azabicyclo[2.2.2]octan-2-yl]methanol;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H]([C@H](C1)CC)C2)CN1[C@@H]2[C@H](O)C1=CC=NC2=CC=C(OCC)C=C21 QNRATNLHPGXHMA-XZHTYLCXSA-N 0.000 description 2
- -1 acryl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49 argon plasma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17 amorphous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8 ba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DSAJWYNOEDNPEQ-UHFFFAOYSA-N barium atom Chemical compound [Ba] DSAJWYNOEDNP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3 biological exti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3 encapsul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20 photoresista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9719 polyimid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10 reflec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1—Anodes
- H10K59/80515—An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2—Cathodes
- H10K59/80521—Cath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서브 픽셀, 상기 발광 영역에 중첩되며 복수의 볼록부와 복수의 오목부를 갖는 다수의 광추출 패턴을 포함하는 평탄화층, 상기 다수의 광추출 패턴의 오목부에 교번하여 배치되는 광 제어 패턴 및 상기 다수의 광추출 패턴 및 상기 광 제어 패턴 상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광추출 효율을 증가시키면서 외부 광에 의한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대한 관심과 이를 이용하려는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어,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경량 및 박형의 평판 표시 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근래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표시 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형 표시 장치로서, 2개의 전극 사이에 개재된 유기 발광층의 발광을 통해서 표시 패널에 영상을 표시하므로 액정 표시 장치와는 달리 백라이트 유닛과 같은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으로 제조 가능하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저전압 구동에 의해 소비 전력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색상 구현, 응답 속도, 시야각, 명암 대비비도 우수하여, 차세대 표시 장치로 각광 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내부의 광이 표시 장치의 외부로 나오면서 화상을 표현하는 것으로 내부 광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데 외부 광에 의한 반사율 증가로 개선에 어려움이 있어 반사 시감을 저하시키기 위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본 명세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광이 외부로 나오면서 화상을 표시함에 있어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외부로 나오지 못하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부에 갇힐 수 있는 광들을 외부로 출광시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외부 광이 입사된 후 내부에서 반사되어 다시 출광되 거나 반사 전극에 의해 반사율이 증가하여 다시 출광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외부 광 반사에 따른 블랙 뜸 또는 반사 시감을 개선할 수 있고 레인보우 무라(Rainbow Mura) 현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명세서의 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위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 내용으로부터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서브 픽셀과, 상기 발광 영역에 중첩되며 복수의 볼록부와 복수의 오목부를 갖는 다수의 광추출 패턴을 포함하는 평탄화층과, 상기 다수의 광추출 패턴의 오목부에 교번하여 배치되는 광 제어 패턴 및 상기 다수의 광추출 패턴 및 상기 광 제어 패턴 상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 제어 패턴은 상기 오목부를 채워 상기 오목부의 상면을 교번으로 평탄화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 제어 패턴의 굴절률은 상기 평탄화층의 굴절률보다 클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한 4개의 상기 오목부들 각각의 중심부를 연결한 형태에서 선으로 연결되는 양 모서리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갖고 선으로 연결되지 않는 양 모서리는 서로 동일한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광추출 패턴 및 상기 광 제어 패턴의 표면 형상을 따르며 상기 광 제어 패턴이 미배치된 상기 광추출 패턴의 오목부에서는 오목 형태를 갖고 상기 광추출 패턴의 경사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 제어 패턴이 배치된 상기 광추출 패턴의 오목부에서는 평탄한 상면을 갖도록 배치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소자는 제1 전극, 발광 소자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광추출 패턴 및 상기 광 제어 패턴의 표면 형상을 따르며 상기 광 제어 패턴이 미배치된 상기 광추출 패턴의 오목부에서는 오목 형태를 갖고 상기 광추출 패턴의 경사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 제어 패턴이 배치된 상기 광추출 패턴의 오목부에서는 평탄한 상면을 갖도록 배치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외부에서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부로 입사되는 외부광은 상기 제2 전극에 의해 3번 반사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소자의 광이 출광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출광되는 방향으로 상기 기판에 부착된 위상 필름 및 상기 출광되는 방향으로 위상 필름에 부착된 편광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광의 광추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외부 광의 반사에 의한 반사 시감을 개선하며 블랙 들뜸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비구동 또는 오프 상태에서 리얼 블랙(real black)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레인보우 무라(Rainbow Mura)가 발생되는 것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단위 픽셀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하나의 서브 픽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4의 I-I'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4의 II-II'의 단면도이고, 도 5c는 도 4의 Ⅲ-Ⅲ'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A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a는 도 6의 Ⅳ-Ⅳ'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6의 Ⅴ-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비교예 사진이고, 도 9b는 비교예의 시뮬레이션 데이터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시뮬레이션 데이터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광 효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단위 픽셀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하나의 서브 픽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4의 I-I'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4의 II-II'의 단면도이고, 도 5c는 도 4의 Ⅲ-Ⅲ'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A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a는 도 6의 Ⅳ-Ⅳ'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6의 Ⅴ-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비교예 사진이고, 도 9b는 비교예의 시뮬레이션 데이터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시뮬레이션 데이터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광 효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예를 들면,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 (lower)", "위(above)", "상부(upPA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해 본 명세서의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서로 합착된 기판(100)과 대향 기판(300)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투명 글라스 기판 또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기판(100)은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I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AA)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픽셀 어레이 영역, 활성 영역, 픽셀 어레이부, 표시부, 또는 화면일 수 있다. 표시 영역(AA)은 복수의 픽셀(P)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픽셀(P)은 실제 빛이 발광되는 단위 영역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I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서, 주변 회로 영역, 신호 공급 영역, 비활성 영역, 또는 베젤 영역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IA)은 표시 영역(AA)을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 또는 기판(100)은 비표시 영역(IA)에 배치된 주변 회로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향 기판(300)은 접착 부재(또는 투명 접착제)를 매개로 기판(100)에 대향하여 합착되거나 유기물 또는 무기물이 기판(100)에 적층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대향 기판(300)은 상부 기판, 제2 기판, 또는 봉지 기판일 수 있으며 기판(100)을 봉지하는 것으로 대응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단위 픽셀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하나의 서브 픽셀(SP)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AA)에 복수의 서브 픽셀(SP)로 하나의 단위 픽셀(P)이 구성되는 복수의 단위 픽셀(P)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서브 픽셀(SP)은 픽셀 영역(PA)과 회로 영역(CA)을 포함할 수 있다. 픽셀 영역(PA)은 발광 영역(EA)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영역(CA)은 서브 픽셀(SP) 내에서 발광 영역(EA)과 공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발광 영역(EA)은 서브 픽셀(SP)에서 픽셀 영역(PA)이 뱅크(190)에 의해 개구되어 정의된 영역이다, 회로 영역(CA)은 비발광 영역 또는 비개구 영역일 수 있다.
하나의 단위 픽셀(P)은 4개의 서브 픽셀(SP)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픽셀(SP)은 적색 픽셀, 화이트 픽셀, 청색 픽셀, 녹색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픽셀(SP)의 발광 영역(EA)과 회로 영역(CA)사이에는 게이트 라인(GL)이 가로지르며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각 서브 픽셀(SP) 사이마다 다수의 데이터 라인(DL) 또는 레퍼런스 라인(RL)이 발광 영역(EA)과 이웃한 발광 영역(EA) 사이 또는 회로 영역(CA)과 이웃한 회로 영역(CA) 사이를 가로지르며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하나의 단위 픽셀(P)에는 데이터 라인(DL)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원배선(VDD)이 배치된다. 레퍼런스 라인(RL)은 단위 픽셀(P)의 센싱 구동 모드시, 회로 영역(CA)에 배치되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 및/또는 발광 소자층의 특성 변화를 외부에서 센싱하기 위한 센싱 라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00), 광추출 패턴(180)을 갖는 평탄화층(170), 광 제어 패턴(175), 발광 소자(EP) 및 광학 필름(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EP)는 기판(100)과 평탄화층(170)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dr)에 의해 구동된다.
기판(100)의 제1 면(100a) 상에 버퍼층(110),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dr), 보호층(130), 및 평탄화층(170), 및 발광 소자(EP)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기판(100)의 제2 면(100b)에 광학 필름(120)이 배치될 수 있다. 화상은 광학 필름(120)이 부착된 기판(100)의 제2 면(100b) 방향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EP)의 광이 출광되는 방향으로 기판(100)이 배치되고, 그 출광되는 방향으로 광학 필름(120)이 기판에 부착될 수 있다.
광학 필름(120)은 위상 필름(123)과 편광 필름(125)을 포함하며, 위상 필름(123)이 기판(100)과 편광 필름(125) 사이에 배치된다. 광학 필름(120)은 접착물질(미도시)로 기판(100)의 제2 면(100b)에 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편광 필름(125)은 다수의 레이어들이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져 위상 필름(123)에 부착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통과되는 광의 방향을 일 방향으로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 필름(125)은 위상을 90도 변경할 수 있다. 위상 필름(123)은 통과되는 광의 위상을 45도 변경할 수 있다.
기판(100)의 제1 면(100a)에 배치되는 버퍼층(110)은 기판(100)의 제1 면(100a)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110)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 중 고온 공정 시 기판(100)에 함유된 물질이 박막 트랜지스터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거나 외부의 수분이나 습기가 발광 소자 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버퍼층(110)은 경우에 따라서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거나 생략될 수도 있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dr)는 회로 영역(CA)에 배치되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dr)는 액티브층(111), 게이트 절연막(113), 게이트 전극(115), 층간 절연막(117), 드레인 전극(119d), 및 소스 전극(119s)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전극(119d)과 소스 전극(119s)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dr) 형태에 따라 서로 바뀌어 정의될 수 있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dr)를 구성하는 액티브층(111)은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다결정 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산화물(oxide) 및 유기물(organic material)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하는 반도체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13)은 액티브층(111)의 채널 영역 상에만 섬 형태로 배치되거나 액티브층(111)을 포함하는 기판(100) 또는 버퍼층(110)의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17)은 게이트 전극(115)과 액티브층(1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17)은 회로 영역(CA) 및 발광 영역(EA)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17)은 무기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유기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로 영역(CA)에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dr)와 함께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가 더 배치될 수 있다. 기판(100) 상의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dr),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층(111)의 아래에 차광층(101)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130)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dr)를 덮도록 기판(10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보호층(130)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dr)의 드레인 전극(119d)과 소스 전극(119s) 및 층간 절연막(117)을 덮는다. 보호층(130)은 회로 영역(CA) 및 발광 영역(EA)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130)은 패시베이션층의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00)의 제1 면(100a) 상에 파장 변환층(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장 변환층(150)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영역(EA)과 중첩되도록 기판(100)과 평탄화층(1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파장 변환층(150)은 발광 영역(EA)과 중첩되도록 보호층(130)과 평탄화층(1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파장 변환층(150)은 발광 영역(EA)과 중첩되도록 층간 절연막(117)과 보호층(130) 사이에 배치되거나 기판(100)과 층간 절연막(11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파장 변환층(150)은 발광 영역(EA)보다 넓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파장 변환층(150)은 발광 영역(EA)보다 넓으므로 평탄화층(170)의 광추출 패턴(180)보다 넓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파장 변환층(150)이 광추출 패턴(180) 보다 넓은 크기를 가질 경우 내부 광이 인접 서브 픽셀(SP)로 새는 빛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파장 변환층(150)은 발광 소자(EP)로부터 기판(100) 쪽으로 방출되는 광 중 서브 픽셀(SP)에 설정된 색상의 파장만을 투과시키는 컬러필터를 포함한다. 파장 변환층(150)은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파장을 투과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하나의 단위 픽셀(P)이 인접한 제1 내지 제 4 서브 픽셀(SP)로 구성될 경우, 제1 서브 픽셀에 마련된 파장 변환층(150)은 적색 컬러필터, 제2 서브 픽셀에 마련된 파장 변환층(150)은 녹색 컬러필터, 및 제3 서브 픽셀에 마련된 파장 변환층(150)은 청색 컬러필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 4 서브 픽셀에는 파장 변환층(150)이 배치되지 않아 화이트 광을 방출할 수 있다.
평탄화층(170)은 보호층(130)을 덮도록 기판(10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보호층(130)이 생략될 때, 평탄화층(170)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dr), 파장 변환층(150) 및 여러 배선들을 덮도록 기판(10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평탄화층(170)은 회로 영역(CA) 및 발광 영역(EA)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평탄화층(170)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영역(AA)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평탄화층(170)은 표시 영역(AA)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크기를 가지고 비표시 영역까지 배치될 수 있다.
평탄화층(170)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표시 영역(AA) 상에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 평탄화층(170)은 포토 아크릴(photo acryl),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폴리 이미드(polyimide), 및 불소 수지 등과 같은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평탄화층(170)은 픽셀 영역(PA)에 배치된 광추출 패턴(18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추출 패턴(180)은 픽셀 영역(PA)의 발광 영역(EA)과 중첩되도록 평탄화층(170)의 상면(170a)에 배치될 수 있다. 광추출 패턴(180)은 굴곡(또는 요철) 형태를 가지도록 발광 영역(EA)의 평탄화층(170)에 형성되어 발광 소자(EP)에서 발광된 광의 진행 경로를 변경하여 광추출 효율을 증가시킨다.
광추출 패턴(180)은 다수의 오목부(181)와 다수의 오목부(181)들 사이의 다수의 볼록부(183)를 포함하며, 볼록부(183)와 오목부(181)가 교번하면서 다수 개가 연결되어 배치된다. 광추출 패턴(180)의 복수의 오목부(181)는 평탄화층(170)의 상면(170a)을 기준으로 오목한 형태이지만 기판(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표면이 렌즈 형태로 다수 개가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오목부(181) 각각은 평탄화층(170)의 상면(170a)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깊이를 가질 수 있지만, 복수의 오목부(181) 중 일부는 다른 깊이를 가질 수 있다.
광추출 패턴(180)은 서브 픽셀(SP)의 발광 영역(EA)보다 넓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광추출 패턴(180)이 발광 영역(EA)보다 넓은 크기를 가지는 경우 발광 영역(EA)에서의 광효율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광추출 패턴(180)은 요철 패턴부, 마이크로 렌즈, 또는 광 산란 패턴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복수의 오목부(181) 각각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제1 방향(X)을 따라 나란하게 광추출 패턴(180) 하나의 간격마다 배치되고, 제2 방향(Y)을 따라 광추출 패턴(180) 하나의 간격마다 배치될 수 있다. 광추출 패턴(180)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오목부(181) 각각은 일정한 간격을 갖는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X)을 따라 배치되는 인접한 오목부(181)들을 서로 연결하면 직선으로 연결되고, 제2 방향(Y)으로 인접한 오목부(181)들을 서로 연결하면 직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접한 4개의 오목부들(181) 각각의 중심부는 사각 형태(SS)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오목부(181) 각각은 주변에 배치된 8개의 오목부(18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으며, 이때, 하나의 오목부(181)를 둘러싸는 4개의 오목부(181) 각각의 중심부는 평면적으로 사각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본 명세에 도시된 오목부(181) 평면 상 외형을 서클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오목부(181) 각각의 외곽은 허니콤 구조 또는 서클 구조로 배치되거나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픽셀(SP) 각각에 배치된 오목부들(181) 간의 피치(또는 간격)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오목부들(181) 간의 피치는 인접한 2개의 오목부(181) 각각의 중심부 간의 거리(또는 간격)일 수 있다.
볼록부(183)는 발광 소자(EP)의 유효 발광 영역을 기반으로 서브 픽셀(SP)에서 발생되는 광의 외부 추출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발광 영역(EA)과 중첩되는 평탄화층(170)에 마련될 수 있다.
볼록부(183)는 발광 소자(EP)에서 발광된 광의 진행 경로를 광 출사면 쪽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우, 볼록부(183)는 발광 소자(EP)에서 발광된 광의 진행 경로를 기판(100) 쪽으로 변경하여 발광 소자(EP)에서 발광된 광이 내부에 갇히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로 출광시키므로 광추출 효율을 증가시킨다.
볼록부(183)는 복수의 오목부(181) 각각을 둘러싸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하나의 오목부(181)를 둘러싸는 복수의 볼록부(183)를 연결하면 평면적으로 허니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볼록부(183)는 복수의 오목부(181)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183)의 상부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단면 형상의 돔(dome) 또는 벨(bell)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볼록부(183)와 오목부(181) 사이의 경사부는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볼록부(183)와 오목부(181) 사이의 경사부는 오목부(181)의 바닥에서 볼록부(183)의 상부까지 점점 증가하다가 점점 감소하는 접선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광 제어 패턴(17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화층(170)의 광추출 패턴(180) 상에 배치되는데, 광추출 패턴(180)의 오목부(181)에 배치된다. 광 제어 패턴(175)은 광추출 패턴(180)의 오목부(181)를 교번으로 채워 오목부(181)의 상면을 교번으로 평탄화 시키는 형태로 다수 개가 배치된다. 광 제어 패턴(175)은 평탄화층(170)의 굴절률보다 굴절률이 높은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다. 광 제어 패턴(175)의 굴절률은 1.57 이상일 수 있다. 광 제어 패턴(175)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투과율이 90% 이상일 수 있다. 광 제어 패턴(175)은 파티클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제어 패턴(175)은 내부의 광을 굴절시켜 광의 직진 방향성을 제어할 수 있다.
광 제어 패턴(17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광추출 패턴(180)의 인접하는 오목부(181)들에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 개의 광 제어 패턴(175)은 적어도 일 방향으로 광추출 패턴(180)의 볼록부(183), 오목부(181) 및 볼록부(183)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인접한 4개의 오목부(181)들 각각의 중심부를 연결하면 사각 형태(SS)를 이루는데, 사각 형태(SS)의 선으로 연결되는 양 모서리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갖고 선으로 연결되지 않는 양 모서리는 서로 동일하게 대칭 구조를 갖는다.
사각 형태(SS)에서 직선으로 연결되는 서로 마주보는 양 모서리의 오목부(181) 중 일 오목부(181)에는 광 제어 패턴(175)이 배치되고 타 오목부(181)에는 광 제어 패턴(175)이 미배치된다. 사각 형태(SS)에서 대각선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 모서리의 양 오목부(181)에 광 제어 패턴(175)이 배치되거나 대각선 방향의 반대의 대각선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 모서리의 양 오목부(181)에 광 제어 패턴(175)이 미배치된다. 위와 같이 배치할 경우 광추출 패턴(180)의 오목부(181)에 광 제어 패턴(175)이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광 제어 패턴(175)은 제1 방향(X)으로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추출 패턴(180)의 2개의 볼록부(183) 사이의 오목부(181)를 채워 평탄화 시키되 광 제어 패턴(175)에 의해 채워진 오목부(181)의 바로 인접한 오목부(181)에는 미배치된다. 이때, 일례로 제1 방향(X)으로 일행에 배치되는 광 제어 패턴(175)은 제1 방향(X)으로 다음 행 또는 인접 행에 배치되는 광 제어 패턴(175)과 서로 미중첩된다. 제1 방향(X)으로 광 제어 패턴(175)이 채워진 일행의 오목부(181)는 제1 방향(X)으로 광 제어 패턴(175)이 채워지지 않은 다음 행 또는 인접 행의 오목부(181)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광 제어 패턴(175)은 제2 방향(Y)으로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추출 패턴(180)의 2개의 볼록부(183) 사이의 오목부(181)를 채워 평탄화 시키되 바로 인접한 오목부(181)에는 미배치된다. 이때, 일례로 제2 방향(Y)으로 일 열에 배치되는 광 제어 패턴(175)은 제2 방향(Y)으로 다음 열 또는 인접 열에 배치되는 광 제어 패턴(175)과 서로 미중첩된다. 제2 방향(Y)으로 광 제어 패턴(175)이 채워진 일 열의 오목부(181)는 제2 방향(Y)으로 광 제어 패턴(175)이 채워지지 않은 다음 열 또는 인접 열의 오목부(181)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인접한 4개의 광추출 패턴(180)의 오목부(181)에 대해 대각선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할 경우 일 대각선 방향의 오목부(181)에는 광 제어 패턴(175)이 배치되고 타 대각선 방향의 오목부(181)들에는 광 제어 패턴(175)이 미배치된다. 위와 같이 배치할 경우 광추출 패턴(180)의 오목부(181)에 광 제어 패턴(175)이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로, 도 6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실시예2)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평탄화층(270)은 픽셀 영역(PA)에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배치된 광추출 패턴(28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추출 패턴(280)은 픽셀 영역(PA)의 발광 영역(EA)과 중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발광 소자(EP)에서 발광된 광의 진행 경로를 변경하여 광추출 효율을 증가시킨다.
광추출 패턴(280)은 다수의 오목부(281)와 다수의 오목부(281)들 사이의 다수의 볼록부(283)를 포함하며, 볼록부(283)와 오목부(281)가 교번하면서 다수 개가 연결되어 배치된다. 복수의 오목부(281) 각각은 평탄화층(270)의 상면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깊이를 가질 수 있지만, 복수의 오목부(281) 중 일부는 다른 깊이를 가질 수 있다.
광추출 패턴(280)은 서브 픽셀(SP)의 발광 영역(EA)보다 넓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광추출 패턴(280)이 발광 영역(EA)보다 넓은 크기를 가지는 경우 발광 영역(EA)에서의 광효율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광추출 패턴(280)은 요철 패턴부, 마이크로 렌즈, 또는 광 산란 패턴일 수 있다.
복수의 오목부(281) 각각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제1 방향(X)을 따라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 방향(Y)을 따라 광추출 패턴(280) 하나의 간격마다 배치될 수 있다. 광추출 패턴(280)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오목부(281) 각각은 일정한 간격을 갖는 마름모 또는 다이아몬드 형태(DS)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X)을 따라 배치되는 인접한 오목부(281)들을 서로 연결하면 지그재그로 연결되고, 제2 방향(Y)으로 인접한 오목부(281)들을 서로 연결하면 직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접한 4개의 오목부들(281) 각각의 중심부는 사각 형태이되 마름모 또는 다이아몬드 형태(DS)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오목부(281) 각각은 주변에 배치된 10개의 광추출 패턴(280)의 오목부(28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으며, 이때, 하나의 오목부(281)를 둘러싸는 6개의 오목부(281) 각각의 중심부는 평면적으로 육각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본 명서세에 도시된 오목부(281) 외형의 광추출 패턴(280)을 서클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오목부(281) 각각의 광추출 패턴(280)의 외곽은 허니콤 구조 또는 서클 구조로 배치되거나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픽셀(SP) 각각에 배치된 오목부들(281) 간의 피치(또는 간격)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오목부들(281) 간의 피치는 인접한 2개의 오목부(281) 각각의 중심부 간의 거리(또는 간격)일 수 있다.
볼록부(283)는 발광 소자(EP)의 유효 발광 영역을 기반으로 서브 픽셀(SP)에서 발생되는 광의 외부 추출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발광 영역(EA)과 중첩되는 평탄화층(170)에 마련될 수 있다.
볼록부(283)는 발광 소자(EP)에서 발광된 광의 진행 경로를 광 출사면 쪽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우, 볼록부(283)는 발광 소자(EP)에서 발광된 광의 진행 경로를 기판(100) 쪽으로 변경하여 발광 소자(EP)에서 발광된 광이 내부에 갇히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로 출광시키므로 광추출 효율을 증가시킨다.
복수의 볼록부(283)는 복수의 오목부(281) 각각을 둘러싸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하나의 오목부(281)를 둘러싸는 복수의 볼록부(283)를 연결하면 평면적으로 허니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볼록부(283)는 복수의 오목부(281)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283)의 상부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단면 형상의 돔(dome) 또는 벨(bell)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볼록부(283)와 오목부(281) 사이의 경사부는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볼록부(283)와 오목부(281) 사이의 경사부는 오목부(281)의 바닥에서 볼록부(283)의 상부까지 점점 증가하다가 점점 감소하는 접선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광 제어 패턴(275)은 평탄화층(270)의 광추출 패턴(280) 상에 배치되는데, 광추출 패턴(280)의 오목부(281)에 배치된다. 광 제어 패턴(275)은 광추출 패턴(280)의 오목부(281)를 교번으로 채워 평탄화 시키는 형태로 다수 개가 배치된다. 광 제어 패턴(275)은 평탄화층(270)의 굴절률보다 굴절률이 높은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다. 광 제어 패턴(275)의 굴절률은 1.57 이상일 수 있다. 광 제어 패턴(275)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투과율이 90% 이상일 수 있다. 광 제어 패턴(275)을 파티클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제어 패턴(275)은 내부의 광을 굴절시켜 광의 직진 방향성을 제어할 수 있다.
광 제어 패턴(27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광추출 패턴(280)의 적어도 일 방향으로 인접하는 오목부(281)들에 교번하여 배치된다. 예를 들어 2 개의 광 제어 패턴(275)은 적어도 일 방향으로 광추출 패턴(280)의 볼록부(283), 오목부(281) 및 볼록부(283)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인접한 4개의 오목부(281)들 각각의 중심부를 연결하면 다이아몬드 또는 마름모 형태(DS)를 이루는데, 마름모 형태(DS)의 선으로 연결되는 양 모서리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갖고 선으로 연결되지 않는 양 모서리는 서로 동일하게 대칭 구조를 갖는다.
마름모 형태(DS)에서 선으로 연결되는 서로 마주보는 양 모서리의 오목부(281)의 일 오목부(281)에는 광 제어 패턴(275)이 배치되고 타 오목부(281)에는 광 제어 패턴(275)이 미배치된다. 마름모 형태(DS)에서 대각선 방향을 기준으로 또는 선으로 연결되지 않는 서로 마주보는 양 모서리의 오목부(281)에는 광 제어 패턴(275)이 배치되고 반대의 대각선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 모서리의 오목부(281)에 광 제어 패턴(275)이 미배치된다. 위와 같이 배치할 경우 광추출 패턴(280)의 오목부(281)에 광 제어 패턴(275)이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광 제어 패턴(275)은 제1 방향(X)으로 광추출 패턴(280)의 2개의 볼록부(283) 사이의 오목부(281)를 채워 평탄화 시키되 바로 인접한 오목부(281)에는 미배치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방향(X)으로 일행에 배치되는 광 제어 패턴(275)은 제1 방향(X)으로 다음 행 또는 인접 행에 배치되는 광 제어 패턴(275)과 적어도 일부만 중첩된다. 제1 방향(X)으로 광 제어 패턴(275)이 채워진 일행의 오목부(281)는 제1 방향(X)으로 광 제어 패턴(275)이 채워지지 않은 다음 행 또는 인접 행의 오목부(281)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제2 방향(Y)으로 광 제어 패턴(275)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추출 패턴(280)의 2개의 볼록부(283) 사이의 오목부(281)를 채워 평탄화 시키되 바로 인접한 오목부(281)에는 미배치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 제2 방향(Y)으로 일열에 배치되는 광 제어 패턴(275)은 제2 방향(Y)으로 다음 열 또는 인접 열에 배치되는 광 제어 패턴(275)과 적어도 일부가 미중첩된다. 제2 방향(Y)으로 광 제어 패턴(275)이 채워진 일열의 오목부(281)는 제2 방향(Y)으로 광 제어 패턴(275)이 채워지지 않은 다음 열 또는 인접 열의 오목부(281)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인접한 4개의 광추출 패턴(280)의 오목부(281)에 대해 대각선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할 경우 일 대각선 방향의 오목부(281)들에는 광 제어 패턴(275)이 배치되고 타 대각선 방향의 오목부(281)들에는 광 제어 패턴(275)이 미배치된다. 위와 같이 배치할 경우 광추출 패턴(280)의 오목부(281)에 광 제어 패턴(275)이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EP)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영역(EA)의 광추출 패턴(180) 상에 배치되고, 하부 발광(bottom emission) 방식에 따라 기판(100) 쪽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발광 소자(EP)는 광추출 패턴(180) 및 광 제어 패턴(175)의 표면 형상(또는 모폴로지)을 따르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광 제어 패턴(175)이 미배치된 광추출 패턴(180)의 오목부(181)에서는 오목부 형태를 갖고 광추출 패턴(180)의 경사부에 배치되며, 광 제어 패턴(175)이 배치된 광추출 패턴(180)의 오목부(181)에서는 평탄한 상면의 단면 구조를 가진다. 광 제어 패턴(175)의 배치 구조에 따라 발광 소자(EP)는 오목 형태 또는 굴곡진 행태와 평탄한 형태를 교번하여 갖는다.
일 예에 따른 발광 소자(EP)는 제1 전극(E1), 발광 소자층(EDL), 및 제2 전극(E2)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EP)는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 6 내지 도 7b의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 설명으로 대체한다.
제1 전극(E1)은 픽셀 영역(PA) 상의 평탄화층(170) 상에 배치되어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dr)의 드레인 전극(119d)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 영역(CA)과 인접한 제1 전극(E1)의 일단은 평탄화층(170)과 보호층(130)에 마련된 전극 컨택홀(CH)을 통해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dr)의 드레인 전극(119d)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광추출 패턴(180) 및 광 제어 패턴(175)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광추출 패턴(180)과 광 제어 패턴(175)의 형상을 따르는 형상을 갖는다. 제1 전극(E1)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평탄화층(170) 및 광 제어 패턴(175) 상에 배치(또는 증착)되기 때문에 볼록부(183)와 복수의 오목부(181)를 포함하는 광추출 패턴(180) 및 광 제어 패턴(175)의 표면 형상(morphology)(또는 제1 표면 형상)을 그대로 따르는 표면 형상(또는 제2 표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극(E1)은 투명 도전물질의 증착 공정에 의해 광추출 패턴(180) 및 광 제어 패턴(175)의 표면 형상(또는 모폴로지)를 그대로 따르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광 제어 패턴(175)이 미배치된 광추출 패턴(180)의 오목부(181)에서는 오목부 형태를 따르고 광 제어 패턴(175)이 배치된 광추출 패턴(180)의 오목부(181)에서는 평탄한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진다. 광 제어 패턴(175)의 배치 구조에 따라 제1
전극(E1)은 오목 형태와 평탄한 형태를 교번하여 갖는다.
발광 소자층(EDL)은 제1 전극(E1) 상에 배치되어 제1 전극(E1)과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EDL)은 제1 전극(E1) 대비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제1 전극(E1) 상에 배치(또는 증착)됨으로써 볼록부(183)와 복수의 오목부(181) 각각의 표면 형상과 다른 표면 형상을 갖고 제1 전극(E1)의 표면 형상을 따르는 표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발광 소자층(EDL)은 증착 공정에 의해 제1 전극(E1)의 표면 형상(또는 모폴로지)를 그대로 따르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광 제어 패턴(175)이 미배치된 광추출 패턴(180)의 오목부(181)에서는 오목부 형태를 따르고 광 제어 패턴(175)이 배치된 광추출 패턴(180)의 오목부(181)에서는 평탄한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진다. 광 제어 패턴(175)의 배치 구조에 따라 발광 소자층(EDL)은 오목 형태와 평탄한 형태를 교번하여 갖는다. 한편, 발광 소자층(EDL)은 증착 공정에 의해 제1 전극(E1)의 표면 형상(또는 모폴로지)를 그대로 따르지 않는 비등각(non-conformal)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제1 전극(E1)과 다른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발광 소자층(EDL)은 볼록부(183) 또는 광 제어 패턴(175)이 미배치된 오목부(181)의 바닥면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EDL)은 광 제어 패턴(175)이 미배치된 광추출 패턴(180)의 경사부에 제1 두께로 배치될 수 있고, 광 제어 패턴(175)이 미배치된 오목부(181)의 바닥면 상에 제1 두께보다 두꺼운 제2 두께를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EDL)은 광 제어 패턴(175)이 배치된 광추출 패턴(180)의 오목부(181)의 상부에서 제3 두께로 배치될 수 있고, 광 제어 패턴(175)이 미배치된 오목부(181)의 바닥면 상의 제2 두께와 제3 두께는 동일할 수 있다. 광 제어 패턴(175)이 미배치된 광추출 패턴(180)의 경사부에 배치된 발광 소자층(EDL)의 제1 두께는 광 제어 패턴(175)이 배치된 광추출 패턴(180)의 오목부(181) 상부의 제3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발광 소자층(EDL)은 화이트 광을 방출하기 위한 2 이상의 발광층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발광 소자층(EDL)은 제1 광과 제2 광의 혼합에 의해 화이트 광을 방출하기 위한 제1 발광층과 제2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층은 제1 광을 방출하기 위하여, 청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적색 발광층, 황색 발광층, 및 황록색 발광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발광층은 청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적색 발광층, 황색 발광층, 및 황록색 발광층 중 제1 광과의 혼합에 의해 발광 소자(EP)에서 화이트 광을 구현하기 위한 제2 광을 방출하는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발광 소자층(EDL)은 청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적색 발광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발광 소자층(EDL) 상에 배치되어 발광 소자층(EDL)과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발광 소자층(EDL)의 표면 형상을 그대로 따르는 표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전극(E2)은 증착 공정에 의해 발광 소자층(EDL)의 표면 형상(또는 모폴로지)를 그대로 따르는 등각(conformal)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발광 소자층(EDL)과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전극(E2)은 광 제어 패턴(175)이 미배치된 광추출 패턴(180)의 오목부(181)에서는 오목부 형태를 따르고 광 제어 패턴(175)이 배치된 광추출 패턴(180)의 오목부(181)에서는 평탄한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진다. 광 제어 패턴(175)의 배치 구조에 따라 제2 전극(E2)은 오목 형태와 평탄한 형태를 교번하여 갖는다.
제2 전극(E2)은 광 제어 패턴(175)이 미배치된 광추출 패턴(180)의 경사부에 배치되며, 인접한 광추출 패턴(180)의 오목부(181)에 채워진 광 제어 패턴(175)의 상면에 배치되므로 발광 소자층(EDL)에서 발광된 광은 광 제어 패턴(175)에 의해 굴절되더라도 옆으로 이동하여 소멸되지 않고 미배치된 광추출 패턴(180)의 경사부에 배치된 제2 전극(E2)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광추출 패턴(180)의 오목부(181)에 교번하여 배치되는 광 제어 패턴(175)을 가짐으로써, 제2 전극(E2)이 광추출 패턴(180)의 경사부에 배치되므로 내부에서 발광된 광이 옆으로 이동하여 소멸되거나, 갇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서 반사되어 외부로 출광시킬 수 있으므로 집광 효율을 증대하여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광추출 패턴(180)의 오목부(181)에 교번하여 배치되는 광 제어 패턴(175)을 가짐으로써, 2 전극(E2)이 광추출 패턴(180)의 경사부에서는 경사를 갖도록 배치되고 오목부(181) 상에서는 교번하여 평탄한 면을 갖도록 배치된다.
제2 전극(E2)이 광추출 패턴(180)의 경사부, 오목부(181)상의 광 제어 패턴(175)의 상면 및 인접한 광추출 패턴(180)의 경사부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므로 입사된 외부 광을 내부에서 광추출 패턴(180)의 경사부, 오목부(181)상의 광 제어 패턴(175)의 상면 및 인접한 광추출 패턴(180)의 경사부에서 총 세 번 반사되게 할 수 있다.
제2 전극(E2)에 의해 입사된 외부 광이 내부에서 세 번 반사될 경우 다시 외부로 출광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외부 광에 따른 반사 시감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외부 광의 반사에 의한 블랙 들뜸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비구동 또는 오프 상태에서 리얼 블랙(real black)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외부 광이 다시 외부로 출광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외부 광이 출광되면서 굴절되어 발생되는 레인보우 무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발광 소자층(EDL)에서 방출되어 입사되는 광을 기판(100) 쪽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반사율이 높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E2)은 알루미늄(Al), 은(Ag), 몰리브덴(Mo), 금(Au), 마그네슘(Mg), 칼슘(Ca), 또는 바륨(Ba)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 또는 2 이상의 합금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반사성이 높은 불투명 도전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발광 영역(EA)를 정의하는 뱅크층(190)과 발광 소자(EP)를 보호하는 봉지부(200)을 더 포함한다.
뱅크층(190)은 제1 전극(E1)의 가장자리와 평탄화층(17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뱅크층(190)은 파장 변환층(150)의 가장자리 부분과 중첩될 수 있다. 뱅크층(190)은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계 수지, 아크릴계(acryl)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 등의 유기물로 배치할 수 있다. 뱅크층(190)은 검정색 안료를 포함하는 감광제로 배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뱅크층(190)은 인접한 픽셀 사이의 차광 부재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뱅크층(190)은 회로 영역(CA) 상으로 연장된 제1 전극(E1)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평탄화층(170)의 상면(170a) 상에 배치되는데 광추출 패턴(180)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뱅크층(190)에 의해 정의되는 발광 영역(EA)은 평면적으로 평탄화층(170)의 광추출 패턴(180)의 영역보다 좁은 크기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봉지부(200)는 발광 소자(EP)를 덮도록 기판(100)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봉지부(200)은 표시 영역을 둘러쌀 수 있다. 봉지부(20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발광 소자(EP) 등을 보호하고, 산소 또는/및 수분 나아가 이물들(particles)이 발광 소자(EP)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봉지부(200)는 복수의 무기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봉지부(200)는 복수의 무기 봉지층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봉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봉지층은 이물질 커버층(particle cover layer)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지부(200)는 표시 영역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충진재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대향 기판(300)은 충진재를 매개로 하여 기판(100)과 합착될 수 있다. 충진재는 산소 또는/및 수분 등을 흡수하는 게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대향 기판(300)은 봉지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대향 기판(300)은 플라스틱 재질, 유리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부(200)가 복수의 무기 봉지층을 포함할 때, 대향 기판(300)은 생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봉지부(200)가 충진재로 변경될 때, 대향 기판(300)은 충진재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대향 기판(300)은 플라스틱 재질, 유리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외부에서 외부광(Light)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내부로 입사될 때, 외부광(Light)은 광학 필름(120)을 통해 좌원편광 또는 우원편광으로 변경된다. 구체적으로, 외부광(Light)은 편광 필름(125)을 통과하면서 선편광으로 변경되고 선편광은 위상 필름(123)을 통과하면서 좌원편광 또는 우원편광으로 변경된다.
먼저, 좌원편광된 광으로 설명하면, 제1 좌원편광된 광은 광 제어 패턴(175,275)이 미배치된 광추출 패턴(180.280)의 경사부에 배치된 제2 전극(E2)에 의해 반사되어 제1 우원편광으로 변경된다. 제1 우원편광된 광은 광추출 패턴(180.280)의 오목부(181,281)에 배치된 광 제어 패턴(175,275)에 의해 굴절되어 발광 소자(EP) 방향으로 향하여 광 제어 패턴(175,275) 상의 평탄한 제2 전극(E2)에 의해 다시 반사되어 제2 좌원편광으로 변경된다.
이때, 광 제어 패턴(175,275)의 굴절률은 광추출 패턴(180, 280)을 갖는 평탄화층(170, 270)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귤을 가지므로 입사각(Θ1) 대비 출사각(Θ2)이 작으므로 광 제어 패턴(175,275)이 미배치된 광추출 패턴(180, 280)의 경사부에 배치된 제2 전극(E2)에 의해 제1 우원편광된 광이 발광 소자(EP)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제1 우원편광된 광은 광 제어 패턴(175,275) 상의 평탄한 제2 전극(E2)에 의해 다시 반사되어 제2 좌원편광으로 변경된다.
제2 좌원편광된 광은 광 제어 패턴(175,275)에 의해 다시 굴절되고 인접한 광추출 패턴(180,280)에 광 제어 패턴(175,275)이 미배치 되어있어 인접한 광추출 패턴(180,280)의 경사부에 배치된 제2 전극(E2)에 의해 반사되어 제2 우원편광으로 변경되며 기판(100)을 향하게 된다.
이때, 광 제어 패턴(175,275)의 굴절률은 광추출 패턴(180,280)을 갖는 평탄화층(170,270)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률을 가지므로 광 제어 패턴(175,275)에서의 광이 인접한 광추출 패턴(180,280)을 통과함에 있어 입사각(Θ1') 대비 출사각(Θ2')이 커지므로 제2 좌원편광된 광은 인접한 광추출 패턴(180,280)의 경사부를 향하게 되고 인접한 광추출 패턴(180,280)에 광 제어 패턴(175,275)이 미배치되므로 제2 전극(E2)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제2 좌원편광된 광은 제2 전극(E2)에 의해 반사되어 제2 우원편광으로 변경되며 제2 우원편광되어 기판(100)을 향한 광은 위상 필름(123)에 의해 위상이 90°로 바뀌게 되어 편광 필름(125)에 의해 외부로 출광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외부광(Light)이 편광 필름(125)을 통과하면서 선편광으로 변경되고 선편광이 위상 필름(123)을 통과하면서 우원편광으로 변경될 경우를 설명하면, 제1 우원편광된 광은 광 제어 패턴(175,275)이 미배치된 광추출 패턴(180,280)의 경사부에 배치된 제2 전극(E2)에 의해 반사되어 제1 좌원편광으로 변경된다. 제1 좌원편광된 광은 광추출 패턴(180,280)의 오목부(181,281)에 배치된 광 제어 패턴(175,275)에 의해 굴절되어 발광 소자(EP) 방향으로 향하여 광 제어 패턴(175,275) 상의 평탄한 제2 전극(E2)에 의해 다시 반사되어 제2 우원편광으로 변경된다.
이때, 광 제어 패턴(175,275)의 굴절률은 광추출 패턴(80,280)을 갖는 평탄화층(170,270)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귤을 가지므로 입사각(Θ1) 대비 출사각(Θ2)이 작으므로 광 제어 패턴(175,275)이 미배치된 광추출 패턴(180,280)의 경사부에 배치된 제2 전극(E2)에 의해 제1 좌원편광된 광이 발광 소자(EP)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제1 좌원편광된 광은 광 제어 패턴(175,275) 상의 평탄한 제2 전극(E2)에 의해 다시 반사되어 제2 우원편광으로 변경된다.
제2 우원편광된 광은 광 제어 패턴(175,275)에 의해 다시 굴절되고, 인접한 광추출 패턴(180,280)에 광 제어 패턴(175,275)이 미배치되어 있어 인접한 광추출 패턴(180)의 경사부에 배치된 제2 전극(E2)에 의해 다시 반사되어 제2 좌원편광으로 변경되며 기판(100)을 향하게 된다.
이때, 광 제어 패턴(175,275)의 굴절률은 광추출 패턴(180,280)을 갖는 평탄화층(170,270)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귤을 가지므로 광 제어 패턴(175,275)에서의 광이 인접한 광추출 패턴(180,280)을 통과함에 있어 입사각(Θ1') 대비 출사각(Θ2')이 커지므로 제2 우원편광된 광은 인접한 광추출 패턴(180,280)의 경사부를 향하게 되고 인접한 광추출 패턴(180,280)에 광 제어 패턴(175,275) 미배치되므로 제2 전극(E2)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제2 우원편광된 광은 제2 전극(E2)에 의해 다시 반사되어 제2 좌원편광으로 변경되며 제2 좌원편광되어 기판(100)을 향한 광은 위상 필름(123)에 의해 위상이 0°로 바뀌게 되어 편광 필름(125)에 의해 외부로 출광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외부광(Light)의 입사와 출사되는 광이 서로 다른 위상 또는 반대 위상을 가지게 하여 외부광(Light)이 편광 필름(125)을 갖는 광학 필름(120)에 의해 통과되지 못하게 함으로써 외부광(Light)이 출사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광추출 패턴(180,280)의 오목부(181,281)에 교번하여 광 제어 패턴(175,275)을 배치함으로써, 입사된 외부광(Light)이 제2 전극(E2)에 의해 내부에서 세 번 반사되게 하여 다시 외부로 출광되는 것을 차단해 외부 광에 따른 반사 시감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외부 광의 반사에 의한 블랙 들뜸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비구동 또는 오프 상태에서 리얼 블랙(real black)을 구현할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내부의 발광 소자(EP)에서 발광(Emitting)된 광은 기판(100)을 향해 출광되거나, 광추출 패턴(180,280)의 오목부(181,281)에 채워진 광 제어 패턴(175,275)에 의해 굴절되고, 굴절된 광은 인접한 광추출 패턴(180,280)을 향하거나 기판(100)을 향하게 된다.
굴절된 광이 인접한 광추출 패턴(180,280)을 향하게 된 경우, 인접한 광추출 패턴(180,280)의 오목부(181,281)에는 광 제어 패턴(175,275)이 미배치되므로 인접한 광추출 패턴(180,28)의 경사부에 제2 전극(E2)가 배치된다. 광 제어 패턴(175,275)에 의해 굴절된 광은 인접한 광추출 패턴(180,280)의 경사부에 배치된 제2 전극(E2)에 의해 반사되어 기판을 향하게 되고 외부로 출광된다. 이때, 내부의 발광 소자(EP)에서 발광된 광(Emitting)은 편광이 있는 광이 아니므로 제2 전극(E2)에 의해 반사되더라도 위상이 변경되지 않아 광학 필름(12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외부로 출광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광추출 패턴(180,280)의 오목부(181,281)에 교번하여 광 제어 패턴(175,275)을 배치함으로써, 내부의 발광 소자(EP)에서 발광된 광이 옆으로 이동하여 소멸되거나, 갇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발광 소자(EP)에서 발광된 광을 내부에서 반사시켜 외부로 출광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집광 효율을 증대하여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외부광이 표시 장치의 내부에서 반사되어 표시 장치의 외부로 출광되면서 굴절되어 레인보우 무라(rainbow mura)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비교에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시뮬레이션 한 결과는 도 9b에 도시된 것처럼 중앙은 붉은 색으로 휘도가 강하게 나타나며 중앙에 집중되면서 별모양으로 뻗어나가는 형태이다. 이처럼, 도 9b의 시뮬레이션 결과가 도 9a의 비교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반사 시감이 강하고 레인보우 무라 현상이 나타나는 사진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도 10의 시뮬레이션 한 결과처럼, 중앙에 붉은 색이 나타나지 않고 넓은 동심원 형태로 휘도 분포를 나타낸다. 이는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외부 광이 입사되더라도 표시 장치의 내부에서 세 번 반사되면서 출광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고, 중앙만 휘도가 강하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심원 형태로 넓게 퍼져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강도를 낮출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외부 광에 따른 반사 시감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레인보우 무라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광이 내부에서 반사되어 다시 출광되는 것을 차단하면서도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광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외부로 나오지 못하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부에 갇힐 수 있는 광들을 외부로 출광시킬 수 있는데,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따른 일 실시예(실시예1) 및 또 다른 실시예(실시예2)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비교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대비 시야각(angle) 0 기준으로 광효율이 29%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명세서는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 표시 패널
100: 기판
120: 광학 필름
123: 위상 필름
125: 편광 필름
150: 파장 변환층
170, 270: 평탄화층
175, 275: 광 제어 패턴
180, 280: 광추출 패턴
181, 281: 오목부
183, 283: 볼록부
190, 290: 뱅크층
200: 봉지부
100: 기판
120: 광학 필름
123: 위상 필름
125: 편광 필름
150: 파장 변환층
170, 270: 평탄화층
175, 275: 광 제어 패턴
180, 280: 광추출 패턴
181, 281: 오목부
183, 283: 볼록부
190, 290: 뱅크층
200: 봉지부
Claims (19)
-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서브 픽셀;
상기 발광 영역에 중첩되며 복수의 볼록부와 복수의 오목부를 갖는 다수의 광추출 패턴을 포함하는 평탄화층;
상기 다수의 광추출 패턴의 오목부에 교번하여 배치되는 광 제어 패턴; 및
상기 다수의 광추출 패턴 및 상기 광 제어 패턴 상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어 패턴은 상기 오목부를 채워 상기 오목부의 상면을 교번으로 평탄화시키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어 패턴의 굴절률은 상기 평탄화층의 굴절률보다 큰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인접한 4개의 상기 오목부들 각각의 중심부를 연결하면 사각 형태, 마름모 형태 또는 다이아몬드 형태를 이루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4개의 상기 오목부들 각각의 중심부를 연결한 형태에서 선으로 연결되는 양 모서리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갖고 선으로 연결되지 않는 양 모서리는 서로 동일한 대칭 구조를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4개의 상기 오목부들 각각의 중심부를 연결한 형태에서 선으로 연결되는 서로 마주보는 양 모서리의 오목부 중 일 오목부에는 상기 광 제어 패턴이 배치되고 타 오목부에는 상기 광 제어 패턴이 미배치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4개의 상기 오목부들 각각의 중심부를 연결한 형태에서 대각선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 모서리의 양 오목부에 상기 광 제어 패턴이 배치되거나 상기 대각선 방향의 반대의 대각선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 모서리의 양 오목부에 광 제어 패턴이 미배치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어 패턴은 상기 광추출 패턴의 일 오목부를 채워 평탄화 시키고 상기 일 오목부에 인접한 오목부에는 미배치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어 패턴은 제1 방향으로 다음 행 또는 인접 행에 배치되는 광 제어 패턴과 서로 미중첩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어 패턴은 제2 방향으로 다음 열 또는 인접 열에 배치되는 광 제어 패턴과 서로 미중첩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광추출 패턴 및 상기 광 제어 패턴의 표면 형상을 따르며 상기 광 제어 패턴이 미배치된 상기 광추출 패턴의 오목부에서는 오목 형태를 갖고 상기 광추출 패턴의 경사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 제어 패턴이 배치된 상기 광추출 패턴의 오목부에서는 평탄한 상면을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오목 형태와 평탄한 형태를 교번하여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제1 전극, 발광 소자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광추출 패턴 및 상기 광 제어 패턴의 표면 형상을 따르며 상기 광 제어 패턴이 미배치된 상기 광추출 패턴의 오목부에서는 오목 형태를 갖고 상기 광추출 패턴의 경사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 제어 패턴이 배치된 상기 광추출 패턴의 오목부에서는 평탄한 상면을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외부에서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부로 입사된 외부광은 상기 제2 전극에 의해 3번 반사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광은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부에서, 상기 광추출 패턴의 경사부에 배치된 제2 전극에 의해 반사되고,
상기 광 제어 패턴이 배치된 상기 광추출 패턴의 오목부의 평탄한 상면에서 다시 반사되고,
상기 광 제어 패턴이 미배치된 인접한 광추출 패턴의 오목부의 경사부에 배치된 제2 전극에 의해 반사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의 광이 출광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출광되는 방향으로 상기 기판에 부착된 위상 필름; 및
상기 출광되는 방향으로 위상 필름에 부착된 편광 필름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외부에서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부로 입사되는 외부광은 상기 광학 필름에 의해 제1 좌원편광 되고,
상기 제1 좌원편광은 상기 광 제어 패턴이 미배치된 광추출 패턴의 경사부에 배치된 상기 제2 전극에 의해 반사되어 제1 우원편광 되고,
상기 제1 우원편광은 상기 광추출 패턴의 오목부에 배치된 상기 광 제어 패턴의 상면에 배치된 평탄한 상기 제2 전극에 의해 반사되어 제2 좌원편광 되고,
상기 제2 좌원편광은 상기 광 제어 패턴이 미배치된 인접한 광추출 패턴의 경사부에 배치된 상기 제2 전극에 의해 반사되어 제2 우원편광 되고,
상기 제2 우원편광은 상기 편광 필름에 의해 출광되는 것이 차단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제1 전극, 발광 소자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층은 상기 광 제어 패턴이 미배치된 상기 광추출 패턴의 경사부에 제1 두께로 배치되고,
상기 광 제어 패턴이 미배치된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 상에 상기 제1 두께보다 두꺼운 제2 두께로 배치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층은 상기 광 제어 패턴이 배치된 상기 광추출 패턴의 오목부 상부에서 제3 두께로 배치되고,
상기 광 제어 패턴이 미배치된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 상의 상기 제2 두께와 상기 제3 두께는 동일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7767A KR20230071502A (ko) | 2021-11-16 | 2021-11-16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US17/903,577 US20230157063A1 (en) | 2021-11-16 | 2022-09-06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
EP22194325.1A EP4181653A1 (en) | 2021-11-16 | 2022-09-07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
CN202211293621.4A CN116156939A (zh) | 2021-11-16 | 2022-10-21 | 有机发光显示设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7767A KR20230071502A (ko) | 2021-11-16 | 2021-11-16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1502A true KR20230071502A (ko) | 2023-05-23 |
Family
ID=83232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57767A KR20230071502A (ko) | 2021-11-16 | 2021-11-16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157063A1 (ko) |
EP (1) | EP4181653A1 (ko) |
KR (1) | KR20230071502A (ko) |
CN (1) | CN116156939A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8863B1 (ko) * | 2014-06-27 | 2020-11-1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US10411223B2 (en) * | 2015-09-08 | 2019-09-10 | Sharp Kabushiki Kaisha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
KR101808715B1 (ko) * | 2015-09-23 | 2017-12-1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발광표시장치 |
KR102429944B1 (ko) * | 2017-09-27 | 2022-08-0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전계발광장치 |
KR102459045B1 (ko) * | 2017-11-30 | 2022-10-2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전계발광 표시장치 |
-
2021
- 2021-11-16 KR KR1020210157767A patent/KR20230071502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2
- 2022-09-06 US US17/903,577 patent/US20230157063A1/en active Pending
- 2022-09-07 EP EP22194325.1A patent/EP4181653A1/en active Pending
- 2022-10-21 CN CN202211293621.4A patent/CN116156939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30157063A1 (en) | 2023-05-18 |
CN116156939A (zh) | 2023-05-23 |
EP4181653A1 (en) | 2023-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30004383A (ko) | 전계 발광 표시 장치 | |
CN112242418B (zh) | 发光显示装置 | |
CN118284201A (zh) | 显示装置 | |
US20230189556A1 (en) |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 |
EP4016657B1 (en) |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 |
US12082440B2 (en) | Display apparatus including plurality of subpixels with light emission area | |
US20230066878A1 (en) |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CN111146263A (zh) | 彩膜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 |
KR20230071502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20220089997A (ko) | 발광 표시 장치 | |
KR102722773B1 (ko) | 발광 표시 장치 | |
US20240260415A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 |
US20240210608A1 (en) | Optical member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US20240260412A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 |
KR20240085493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20240048790A (ko) | 발광 표시 장치 | |
KR20240119730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20240103301A (ko) |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240107686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20240091630A (ko) | 발광 표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