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1495A - Electric kettle - Google Patents

Electric kett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1495A
KR20230071495A KR1020210157754A KR20210157754A KR20230071495A KR 20230071495 A KR20230071495 A KR 20230071495A KR 1020210157754 A KR1020210157754 A KR 1020210157754A KR 20210157754 A KR20210157754 A KR 20210157754A KR 20230071495 A KR20230071495 A KR 20230071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utlet
water
hole
packing
electric ke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7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원
시민규
강대용
이상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7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1495A/en
Publication of KR20230071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49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91Pouring spou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Abstract

본 발명은 출수구가 구비되는 전기 주전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는,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이 수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과, 상기 바디의 측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바디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출수구와, 상기 바디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바디 내부의 물이 출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출수공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출수공은 상반부의 면적이 하반부의 면적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물 뱉어냄이 없이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kettle provided with a water outlet.
An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accommodating water or food therein, a lid shielding an open upper side of the body, and a lid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body so that the liquid inside the body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water outlet for guiding and a water outlet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body and guiding water inside the body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The water outlet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of the upper half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lower half.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without spitting out water.

Description

전기 주전자{Electric kettle}Electric kettle {Electric kettle}

본 발명은 전기 주전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출수구가 구비되는 전기 주전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kett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kettle provided with a water outlet.

일반적으로 전기 주전자는 전기 공급에 의해 본체 내부에 수용된 물 등을 히터와 같은 가열 수단으로 가열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In general, an electric kettle refers to a device that heats water or the like accommodated in a main body by a heating means such as a heater by supplying electricity.

그리고, 이러한 전기 주전자는 대부분 전원이 공급되는 베이스에 본체가 탈착되도록 구성되어 베이스에 안착된 상태로 가열되고, 손잡이를 잡고 본체를 들어 베이스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전기 주전자를 통상 무선 전기 주전자, 무선 전기 포트, 커피 포트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And, most of these electric kettles are configured so that the main body is detachable from the base to which power is supplied, heated while seated on the base, and can be used by holding the handle and lifting the main body from the base. Electric kettles of this type are commonly called various names such as cordless electric kettles, cordless electric pots, and coffee pots.

이러한 전기 주전자는 본체의 형상이 복잡하고 내부의 구성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체를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Such an electric kettle may have a complex body shape and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to facilitate the arrangement of internal components.

그러나, 장기간 사용시 플라스틱의 유해 성분 또는 미세 플라스틱 성분이 고온의 물에 용해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스크래치 등에 취약하고 그로 인한 내부의 오염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harmful components of plastic or micro plastic components can be dissolved in high temperature water, but also vulnerable to scratches, and thus internal contamination problems may occur.

또한, 본체를 유리 소재로 형성하게 될 경우에는 위생상 우수하고 외관이 매우 뛰어나지만, 충격 등에 의한 파손 우려가 있으며, 무게가 무거워 사용이 불편하며, 성형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main body is formed of a glass material, it is hygienic and has excellent appearance, but there is a risk of damage due to impact, etc., heavy weight makes it difficult to use, and molding is not easy.

따라서, 한국 특허번호 제10-1631556호에서와 같이 용기가 세라믹 소재로 구성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Therefore, as in Korean Patent No. 10-1631556, a technique in which a container is made of a ceramic material is disclosed.

그러나, 이러한 선행 기술에서는 용기 내부의 물이 배출되는 주둥이가 용기(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제조가 힘들게 된다. 그리고, 주둥이에 이물질을 걸러내는 구조가 없어 용기 내부에 건더기가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건더기가 주둥이를 통해 물(액체)과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is prior art, since the spout through which the water inside the container is discharge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tainer (body), manufacturing is difficult. In addition, when the spout does not have a structure for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and there are ingredients inside the contain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se ingredients are discharged together with water (liquid) through the spout.

그리고, 한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94021호('블랜더 및 스티머 겸용 전기포트')에는 주둥이 내부에 필터가 구비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94021 ('Blender and Steamer Combination Electric Pot') discloses a technology in which a filter is provided inside the spout.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도 필터가 주둥이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제조 능률이 저하되며, 주둥이는 용기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여전히 제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even in this prior art, since the filter is detachably installed inside the spout, manufacturing efficiency is reduced, and since the spou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there is still a problem in that manufacturing is difficult.

한편, 미국 특허번호 US 9,226,610 B2에서도 주둥이에 스크린 인서트가 더 구비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구비되어 있으나, 이러한 스크린 인서트가 바디 상단에 구비되는 별도의 구조물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과다함은 물론, 주둥이가 바디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되므로 성형이 어려운 문제점을 동반한다.On the other hand, in US Patent No. US 9,226,610 B2, a screen insert is further provided on the spout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but since the screen insert is formed in a separate structure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dy,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excessive. Of course, since the spou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top of the body and protrudes, molding is difficult.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출원된 한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21-0117548호에서는 상기와 같은 선행특허들의 문제는 해결되었으나, 출수구의 홀(출수공)이 좁아 바디 내부의 물이 끓을때 증기의 배출이 어려우며, 증기가 출수구(출수공)를 통해 배출시 외부의 차가운 공기에 의해 액화되어 물로 변함으로 인하여 외부로 물 뱉어냄 현상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출수구와 바디 사에에 턱이 존재하거나 출수구 바닥이 평탄하게 이루어져 있어 바디 내부의 물을 외부로 따른 후에도 출수구에 물이 고여 잔존함으로써 오염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17548, fil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has solved the problems of the prior patents, but the water outlet hole (water outlet hole) is narrow, so when the water inside the body boils It is difficult to discharge the steam, and when the steam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utle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ater is spit out to the outside due to being liquefied by the cold air from the outside and turned into water.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ridge between the outlet and the body or the bottom of the outlet is flat, water remains in the outlet even after pouring the water inside the body to the outside, causing problems such as contamination.

한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3155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31556 한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9402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94021 미국 특허번호 US 9,226,610 B2US Patent No. US 9,226,610 B2 한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21-011754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1754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출수어셈블리가 바디의 일측에 별개로 구비되어 조립되는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kettle in which a water outlet assembly is separately provided on one side of a body to be assembled.

본 발명은 바디 내부의 증기가 출수구를 통해 원활히 배출되는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kettle in which steam inside the body is smoothly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본 발명은 출수구에 형성되는 출수공의 면적이 하측보다 상측이 상대적으로 더 큰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kettle in which the area of the water outlet hole formed at the outlet is relatively larger on the upper side than on the lower side.

본 발명은 출수구의 물이 바디 내부로 하중에 의해 유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kett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water from an outlet is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loa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에는, 출수구의 바닥면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출수구의 물이 바디 내부로 쉽게 유입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outlet is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Therefore, water from the outlet can easily flow into the body.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에서는 출수구 하단보다 출수공 하단의 높이가 더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출수구의 물 고임이 방지된다.In the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water outlet hole is lower than that of the lower end of the water outlet hole. Therefore, water accumulation in the outlet is prevented.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출수공 중 상측의 출수공 면적이 하측의 출수공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출수공을 통한 물이나 유체의 흐름이 원활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the upper water outlet hole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holes is formed larger than the area of the lower water outlet hole. Therefore, the flow of water or fluid through the outlet hole becomes smooth.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는,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이 수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과, 상기 바디의 측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바디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출수구와, 상기 바디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바디 내부의 물이 출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출수공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출수공은 상반부의 면적이 하반부의 면적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accommodating water or food therein, a lid shielding an open upper side of the body, and a lid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body so that the liquid inside the body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water outlet for guiding and a water outlet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body and guiding water inside the body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The water outlet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of the upper half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lower half.

상기 출수공은 상하로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outlet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vertically and long.

상기 출수공은 상기 바디의 상단부에 다수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outlet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상기 다수의 출수공은, 상측에 위치한 출수공의 크기가 하측에 위치한 출수공의 크기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hol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water outlet hole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water outlet hole located on the lower side.

상기 다수의 출수공은, 원형 또는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hol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formed in a circular or slit shape.

상기 출수공은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상측에는 슬릿형상의 출수공이 위치되고, 하측에는 원형의 출수공이 위치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outlet hole is made up of a plurality, characterized in that a slit-shaped water outlet hole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a circular water outlet hole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상기 슬릿형상의 출수공 크기는, 상기 원형의 출수공 크기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ze of the slit-shaped water outlet hole is larger than that of the circular water outlet hole.

상기 출수구의 하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end of the water outle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clined.

상기 출수공의 하단은, 상기 출수구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end of the water outlet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water outlet hole.

상기 다수의 출수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수공 하단은, 상기 출수구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 lower end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water exit holes is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water exit hole.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하나, 본 발명에서는 바디 내부의 물을 따를 수 있는 출수어셈블리가 별개로 구비되어 이중 바디에 조립된다. 따라서, 출수구가 바디에 일체로 성형되는 경우에 비해 바디의 제조가 용이하여 제조능률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outlet assembly capable of pouring water inside the body is separately provided and assembled to the double body. Therefor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water outlet is integrally molded with the bod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is improved because the manufacturing of the body is easy.

둘, 본 발명에서는, 출수어셈블리를 통해 배출되는 액체 중의 이물질(건더기)을 걸러내는 필터 기능이 바디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이너바디에 다수의 출수공이 형성되어 바디 내부의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필터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필터가 불필요하므로 제조 능률이 향상되고 관리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Seco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lter function for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dry matter) in the liquid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assembly is integrally formed in the body. That is, a plurality of outlet holes are formed in the inner body to serve as a filt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body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fore, since a separate filter is unnecessary, manufacturing efficiency is improved and management is convenient.

셋, 본 발명에서는 바디 또는 이너바디의 위쪽에 다수의 출수공이 타공되며, 이러한 출수공들은 윗쪽 출수공의 갯수가 아래쪽 출수공의 갯수보다 더 많도록 배치된다. 즉, 동일한 높이에 타공되는 출수공의 개수가 바디 또는 이너바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많아져 전체적으로 다수의 출수공들은 역삼각형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전기 주전자의 물을 따를 때, 기울이는 각도에 따라 출수량이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즉, 전기 주전자를 많이 기울일수록 첨차 물이 배출되는 양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Third,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water outlet holes are perfor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or inner body, and these water outlet holes are arranged so that the number of the upper water outlet holes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the lower outlet holes. That is, the number of water exit holes perforated at the same height increases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dy or the inner body to the upper part, so that a plurality of water exit holes are arranged in an inverted triangle shape as a whole. Therefore, when pouring water from the electric kettle, convenience of use can be increased because the amount of discharged water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angle of inclination. That is, the more the electric kettle is tilted, the more the amount of discharged tea water increases.

넷, 본 발명의 전기 주전자에서는 바디 내부의 물을 외부로 안내하는 출수구의 하단부가 내측(바디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바디 내부로부터 출수구로 이동한 증기나 물이 다시 바디 내부로 용이하게 복귀하는 장점이 있다.Fourth, in the electric kett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water outlet for guiding water inside the body to the outside is inclined inward (body sid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team or water that has moved from the inside of the body to the outlet can be easily returned to the inside of the body again.

다섯, 본 발명의 전기 주전자에서는 출수구의 바닥면 높이보다 바디에 형성된 출구공의 하단이 더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출수구와 바디 사이에 턱이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출수구의 물이 바디로 중력에 의해 저절로 흘러내려 출수구 내부의 물고임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Fifth, in the electric kett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outlet hole formed in the body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let port. Therefore, since the jaw does not exist between the outlet and the body, the water in the outlet automatically flows down to the body by gravity, thereby preventing water accumulation inside the outlet.

여섯, 본 발명의 전기 주전자에서는 출수공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거나 다수의 출수공 면적이 하측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이 더 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바디 내부의 물이 끓을 때 증기는 상측의 출수공을 통해 배출되고, 출수구 내부의 물은 외부의 대기압에 의해 냉각되어 하측의 출수공을 통해 바디 내부로 복귀되므로 증가나 물의 배출 및 복귀가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Sixth, in the electric kett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outlet holes are formed vertically and the area of the plurality of outlet holes is relatively larger on the upper side than on the lower side. Therefore, when the water inside the body boils, steam is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outlet hole, and the water inside the outlet is cooled by the external atmospheric pressure and returned to the inside of the body through the lower outlet hole, so it is easy to increase or discharge and return water. There are advantages to doing i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전기 주전자의 구성을 보인 상방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전기 주전자의 구성을 보인 하방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디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디의 구성을 보인 상방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디의 구성을 보인 하방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디의 하단부 구성을 보인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히터어셈블리의 상세 구성을 보인 하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온도센서어셈블리의 제1실시예와 센서패킹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온도센서어셈블리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온도센서어셈블리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텀어셈블리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출수어셈블리의 제1실시예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출수어셈블리의 제1실시예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출수어셈블리의 제1실시예의 패킹체의 상세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출수어셈블리의 제1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좌우방향 절개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출수어셈블리의 제1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전후방향 절개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출수어셈블리의 제1실시예가 바디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출수공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도.
도 2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출수공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22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출수공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상태를 보인 부분 절개사시도.
도 23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출수공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above.
Figure 4 is a downward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bod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od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low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heater assembl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embodiment of a temperature sensor assembl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ensor packin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a temperature sensor assembl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hird embodiment of a temperature sensor assembl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bottom assembl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acking body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left-right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ront and rear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embodiment of a water extraction assembl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body;
20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water outlet ho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outlet hol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2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outlet hol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water outlet ho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일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와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3과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주전자의 상방 및 하방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1 to 4 show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n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S. 1 and 2 show a perspective view and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nd FIGS. 3 and 4 are upper and lower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electric kettle shown in FIG. 1 are shown respectively.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1)는,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이 수용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20)과, 상기 바디(10)의 하측에 구비되어 바디(10)를 지지하는 베이스(60)와, 상기 바디(10)의 상단에 구비되어 바디(10) 내부의 물과 같은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안내하는 출수어셈블리(30)와, 상기 바디(10)의 상단에 체결되며 손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40) 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electric kett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in which water or food is accommodated, and a lid 20 for shielding the open upper side of the body 10. ), a base 60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10 to support the body 10, and a base 60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dy 10 to discharge contents such as water inside the body 10 It consists of a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for guiding and a handle 40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and configured to be gripped by hand.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1)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 등이 수용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20) 그리고, 손잡이(40) 및 히팅모듈(50), 베이스(60) 등으로 이루어진다.Looking in detail, the electric kett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nd shields the body 10 in which water or food is accommodated and the open upper side of the body 10 It consists of a lid 20, a handle 40, a heating module 50, a base 60, and the like.

상기 바디(10)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띠라서, 상기 바디(10)의 상면은 상기 뚜껑(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The body 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Since it is a belt,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can be shielded by the lid 20 .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바디(10)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40)는 바디(10)의 상단 우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The handle 40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body 10 . That is, as shown, the handle 40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right side of the body 10 .

상기 베이스(60)는 바닥면에 배치되며, 전원 코드가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The base 60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 power cord is connected so that external power can be supplied.

그리고, 상기 베이스(60)의 상면에는 조립된 상태의 바디(10)가 안착될 수 있다. And, the body 10 in an assembled state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60 .

상기 바디(1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가열될 수 있는 가열 공간(101)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0)는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The body 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ming a heating space 101 in which water may be accommodated and heated. In addition,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body 10 while being seated on the base 60 .

상기 베이스(60)와 바디(10)의 전원 공급방식은 전원 단자의 접촉에 의한 전원 공급 방식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60)와 바디(10)의 전원 공급방식은 전자기 유도 방식이 될 수도 있다. The power supply method of the base 60 and the body 10 may be a power supply method by contact of power terminals.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method of the base 60 and the body 10 may be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60)에는 1차 코일의 역할을 하는 로어 전원 모듈(64)이 구비되고, 이와 대응하는 상기 바디(10)에는 2차 코일의 역할을 하는 어퍼전원모듈(55)이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a lower power module 64 serving as a primary coil is provided in the base 60, and an upper power module 55 serving as a secondary coil is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body 10. can

상기 바디(10)의 하단에는 히팅모듈(50)과 바텀커버(56) 등이 설치되며, 이러한 히팅모듈(50)과 바텀커버(56)는 상기 바디(10)의 하부 일부를 형성하게 되므로 '로어 바디'라고 부를 수도 있다.A heating module 50 and a bottom cover 56 ar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and the heating module 50 and the bottom cover 56 form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10. You can also call it 'Lower Body'.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바디(10) 내부의 바닥면을 형성하거나 바디(10)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히팅플레이트(52)와, 상기 히팅플레이트(52)를 가열하는 히터(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어퍼전원모듈(55)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히팅플레이트(52)가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온도센서어셈블리(53) 및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바디(10)의 하면을 형성하는 바텀어셈블리(56)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ing module 50 includes a heating plate 52 configured to form a bottom surface inside the body 10 o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 and a heater 54 for heating the heating plate 52. ), and allows the heating plate 52 to be heated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upper power module 55. Also, the temperature sensor assembly 53 and the heating module 50 may include a bottom assembly 56 forming a lower surface of the body 10 .

이와 같이,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바디(10) 내부의 바닥면을 형성하거나 바디(10)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히팅플레이트(52)와, 상기 히팅플레이트(52)의 저면에 고정 장착되는 히터(54)와, 상기 히터어셈블리(5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어퍼전원모듈(55) 그리고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어셈블리(53)와 상기 바디(10)의 하면을 형성하는 바텀어셈블리(56) 등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this way, the heating module 50 includes a heating plate 52 configured to form a bottom surface inside the body 10 o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 and a bottom surface of the heating plate 52. A heater 54 fixedly mounted on the heater 54, an upper power module 55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assembly 51, a temperature sensor assembly 53 for measuring the water temperature inside the body 10, and the body It may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bottom assembly 56 and the like forming the lower surface of (10).

상기 바디(10)의 일단에는 출수어셈블리(spout)(30)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을 따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A spout 30 may protrude outward from one end of the body 10 to follow water inside the body 10 .

상기 출수어셈블리(30)의 반대방향에는 손잡이(40)가 장착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바디(10)의 우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출수어셈블리(30)는 상기 바디(10)의 좌측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출수어셈블리(30)를 통해 물을 따르기 쉽게 된다.A handle 40 may be moun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 That is, as shown, the handle 40 is preferably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body 10, and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body 10. Accordingly, it is easy for the user to pour water through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while holding the handle 40 with his/her hand.

한편,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바디(10)의 일측(도면에서는 우측) 외측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Meanwhile, the handle 40 may be fixedly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one side (right side in the drawing) of the body 10 .

상기 손잡이(40)는 사용자가 전기 주전자(1)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며, 데코와 탄성재질의 그립부 등을 포함하기도 한다. 즉, 상기 손잡이(40)는 외장은 고급스럽게 구성되고, 적어도 일부(그립부분 등)에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를 쥐었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handle 40 is a part that the user grips by hand to easily lift or move the electric kettle 1, and may include a decoration and a grip par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at is, the exterior of the handle 40 is luxuriously configured, and at least a portion (eg, a grip portion) may be formed of rubber or silicon material so as not to slip when the user grips the handle 40 .

또한, 상기 손잡이(40)에는 사용자가 온오프 조작 또는 온도 조절할 수 있는 버튼 등이 구비되어 조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손잡이(40)의 내부에는 피시비(PCB)가 구비될 있으며, 상면에는 상기 전기 주전자(1)의 동작 상태가 디스플레이(display)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le 40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it by providing a button for on/off operation or temperature control. To this end, a PCB may be provided inside the handle 40,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ic kettle 1 may be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상기 바디(10)는 이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바디(11)와 내부 외관을 형성하는 이너바디(12)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body 10 is preferably made of double. That is, it consists of an outer body 11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and an inner body 12 forming an internal external appearance.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이너바디(12)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손잡이브라켓(15)이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40)가 손잡이브라켓(15)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손잡이브라켓(15)은 상기 이너바디(12)의 외면에 용접 또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 고정될 수 있다.The handle 4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inner body 12 . That is, the inner body 12 is provided with a handle bracket 15 to be described below, so that the handle 40 is fixed to the handle bracket 15. And, the handle bracket 15 may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ody 12 by welding or adhesive.

상기 전기 주전자(1)의 개구된 상면 즉, 상기 바디(10)의 상면은 뚜껑(lid)(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electric kettle 1 ,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may be shielded by a lid 20 .

상기 뚜껑(20)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전기 주전자(1)의 상면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바디(10)의 상단 둘레와 접하여 상기 전기 주전자(1) 내부를 기밀시킬 수 있다. The lid 20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ic kettle 1 in a closed state, and can contact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to keep the inside of the electric kettle 1 airtight.

상기 뚜껑(20)의 중앙부에는 커버캡(21)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캡(21)은 사용자가 뚜껑(20)을 용이하게 들어올리거나, 상기 바디(10)에 결합하기 편하도록 하는 기능 등을 하게 된다.A cover cap 2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id 20 to protrude upward. The cover cap 21 has a function such as allowing the user to easily lift the lid 20 or to easily combine it with the body 10 .

그리고,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에는 손잡이브라켓(15)이 부착 또는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40)가 상기 바디(10)에 체결볼트 등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Also, a handle bracket 15 is attached or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body 12 so that the handle 40 is coupled to the body 10 by a fastening bolt or the like.

또한, 상기 이너바디(12)의 저면에는 온도센서어셈블리(53)가 구비되어 상기 가열공간(101) 내부의 물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In addition, a temperature sensor assembly 53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body 12 to measure the water temperature inside the heating space 101 .

도 5 내지 도 7에는 상기 바디(1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에는 상기 바디(10)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및 도 7에는 상기 바디(10)의 상부와 하부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5 to 7 show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body 10. That is, FIG. 5 show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dy 10, and FIGS. 6 and 7 show top and bottom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body 10, respectively.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는 전체적으로는 상방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형성되는 공간에는 물 등과 같은 내용물이 수용되고, 하단부에는 히팅모듈(50)이 구비되어 바디(10) 내부의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body 10 is generally made of a cylindrical shape with an upper opening, and contents such as water are accommodated in a space formed inside, and a heating module 5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It is configured to heat the contents inside the body 10.

상기 바디(10)는 이중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바디(10)는, 내부 외관을 형성하는 이너바디(12)와,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바디(11)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body 1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double. That is, the body 10 is composed of an inner body 12 forming an inner exterior and an outer body 11 forming an outer exterior.

상기 이너바디(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는 물 등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As shown, the inner body 12 preferably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upper opening,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water or the like is formed therein.

상기 아우터바디(11)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너바디(12)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아우터바디(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body 11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inner body 12 and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inner body 12 . As shown, the outer body 11 preferably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upper and lower openings.

상기 이너바디(12)는 아우터바디(1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의 사이에는 틈새공간(102)이 형성되어 단일 벽 구조에 비해 현저히 단열 성능이 향상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Since the inner body 12 is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outer body 11, a gap space 102 is formed between the inner body 12 and the outer body 11, significantly compared to a single wall structure. It may have a structure with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는 모두 동일한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바디(11)는 바디(10)의 외관을 형성하고, 이너바디(12)는 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Both the inner body 12 and the outer body 11 may be formed of the same stainless steel material, the outer body 11 forms the exterior of the body 10, and the inner body 12 It forms a space for receiving water.

이와 같이, 상기 이너바디(12)는 상기 아우터바디(11)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이너바디(12)는 상기 아우터바디(11)의 내측에 수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틈새공간(102)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inner body 12 is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outer body 11, the inner body 12 can be provided in a form accommodated inside the outer body 11, , A gap space 102 having a predetermined size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body 11 and the inner body 12 .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의 사이 틈새공간(102)은 공기층이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바디(11)로 열이 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n air layer is formed in the interstitial space 102 between the outer body 11 and the inner body 12 to prevent direct transfer of heat to the outer body 11 .

따라서, 상기 틈새공간(102)은 단열 틈새공간(102)이라 부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바디(12) 내부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어 뜨거운 상태에서도 상기 아우터바디(11)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도 있다.Therefore, the interstitial space 102 may also be referred to as an insulating interstitial space 102 . In addition, the outer body 11 may maintain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even when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inner body 12 is heated and is in a hot state.

그리고, 상기 단열 틈새공간(102)은 상기 히팅모듈(50)이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손잡이(40)의 내측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손잡이(40)에 위치된 손잡이 피시비(PCB)와 연결된 전선이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의 사이의 단열 틈새공간(102)을 지나 상기 히팅모듈(50)이 배치되는 공간까지 안내될 수 있다. Also, the heat insulating gap space 102 may communicate with a space where the heating module 50 is disposed and an inner space of the handle 40 . Therefore, although not shown, an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handle PCB located on the handle 40 passes through the insulation gap 102 between the outer body 11 and the inner body 12 to the heating module. (50) can be guided to the space where it is arranged.

상기 바디(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 바디(12)의 상단과 하단이 서로 결합되어 성형될 수 있다. The body 10 may be molded by coupling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uter body 11 and the inner body 12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each other.

일 예로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의 상단과 하단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의 상단과 하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단열 구조를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uter body 11 and the inner body 1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elding while overlapping each other. At this time, the outer body 11 and the inner body 12 except fo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may have a heat insulating structure by being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바디(10) 상단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상단과 이너바디(12)의 상단은 서로 결합되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top of the body 10 in more detail, the top of the outer body 11 and the top of the inner body 12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너상단부(121)가 더 구비되어 상기 이너바디(12)의 아우터바디(11)의 상단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As shown, the upper end of the inner body 12 is further provided with an upper inner end 121 extending outwar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body 11 of the inner body 12 is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이너상단부(121)는 이너바디(12)로부터 외측으로 단차지게 이중 연장되어 외측 끝단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상단에 접하도록 형성된다.The inner upper end portion 121 is double extended stepwise outward from the inner body 12 so that the out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outer body 11 .

따라서, 상기 틈새공간(102)의 상부는 상기 이너상단부(121)에 의해 차폐된다. 물론,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상단부가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과 접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us, the upper part of the interstitial space 102 is shielded by the inner upper part 121 . Of course, it may also be possible to extend the upper end of the outer body 11 inward so as to contact the upper end of the inner body 12 .

상기 바디(10)에는 상기 손잡이(40)와 출수어셈블리(30) 등이 결합된다.The handle 40 and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are coupled to the body 10 .

구체적으로는 상기 손잡이(40)와 출수어셈블리(30)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부에 체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손잡이(40)와 출수어셈블리(30)는 상기 아우터바디(11)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andle 40 and the water outlet assembly 30 may be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body 12, and the handle 40 and the water outlet assembly 30 penetrate the outer body 11 and It can protrude outward.

따라서, 상기 아우터바디(11)에는 상기 손잡이(40)가 관통하여 설치되기 위한 손잡이홀(111)과 상기 출수어셈블리(30)가 관통하여 설치되기 위한 출수어셈블리홀(112)이 각각 형성된다.Accordingly, the outer body 11 is formed with a handle hole 111 through which the handle 40 is installed and a water outlet assembly hole 112 through which the water outlet assembly 30 is installed.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우측면 상단부에는 사각 형상의 절개홀인 손잡이홀(111)이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된다.Specifically, at the upper end of the right side of the outer body 11, a handle hole 111, which is a square cutout hole, is formed to penetrate left and right.

그리고, 상기 손잡이홀(111)의 반대편에는 상기 출수어셈블리홀(112)이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좌측면 상단부에는 상기 출수어셈블리홀(112) 형성되며, 이러한 출수어셈블리홀(112)은 상기 출수어셈블리(3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ater outlet assembly hole 112 is formed to penetrate left and righ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andle hole 111. That is, the water outlet assembly hole 112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eft side of the outer body 11, and the water outlet assembly hole 112 preferably has a triangular shap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water outlet assembly 30.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전면과 이너바디(12)의 전면에는 각각 아우터홀(113)과 이너홀(123)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An outer hole 113 and an inner hole 123 are formed to pass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body 11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inner body 12, respectively.

상기 아우터홀(113)과 이너홀(123)은 아래에서 설명할 투시창(13)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홀(113)과 이너홀(123)은 투시창(13)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하로 길게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hole 113 and the inner hole 123 are portions where a viewing window 13 to be described below is install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hole 113 and the inner hole 123 have a rectangular shape that is vertically long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viewing window 13 .

상기 바디(10)에는 하나 이상의 출수공(125)이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바디(10)에는 바디(10)를 측방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바디(10) 내부의 물이 출수구(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출수공(1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출수공(125)은 상반부의 면적이 하반부의 면적보다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One or more water outlet holes 125 are formed through the body 10 . That is, a water outlet hole 125 is formed in the body 10 to pass through the body 10 sideways and guides water inside the body 1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port 30. In addition, the water outlet hole 125 may be formed such that the area of the upper half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lower half.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이너바디(12)의 좌측면 상단부에는 출수공(125)이 다수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출수공(125)은 상기 이너바디(12) 내부의 물이 상기 출수구(30)를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출수공(125)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좌측면 상단부에 형성되는 출수어셈블리홀(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Looking more specifically, the upper part of the left side of the inner body 1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water outlet holes 125 penetrating. The water outlet hole 125 is a part that guides water inside the inner body 12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ort 30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holes 125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water outlet assembly holes 112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eft side of the outer body 11 .

그리고, 이러한 다수의 출수공(125)은 소정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10) 내부의 내용물 중 건더기가 걸러지도록 하는 필터 역할도 할 수 있다. 즉, 상기 출수공(125)은 작은 크기의 지름을 가지는 홀(hole)로 이루어져 출수공(125)보다 더 큰 건더기는 필터링되어 상기 출수어셈블리(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holes 125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may also serve as a filter for filtering out ingredients from the contents of the body 10. That is, the water outlet hole 125 is formed of a hole having a small diameter so that the larger than the water outlet hole 125 is filtered so that it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outlet assembly 30.

상기 출수공(12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를 가지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다수의 출수공(125)의 상기 바디(10)의 상단부에 측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반부의 출수공(125) 갯수가 하반부의 출수공(125) 갯수보다 더 많도록 형성되거나 상반부의 출수공(125) 크기가 하반부의 출수공(125) 크기보다 더 크도록 하는 등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상반부의 출수공(125) 면적이 하반부의 출수공(125) 면적보다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the water outlet hole 125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holes 125 are formed to pass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sideways. In addition, the upper half as a whole is formed so that the number of outlet holes 125 in the upper half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outlet holes 125 in the lower half, or the size of the outlet holes 125 in the upper half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outlet holes 125 in the lower half. The area of the water outlet hole 125 of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water outlet hole 125 of the lower half.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출수어셈블리(30)를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기능을 상기 다수의 출수공(125)이 하게 되며, 이러한 필터 기능은 상기 바디(10)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너바디(1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function of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assembly 30 is performed by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holes 125, and this filter function is performed by the body 10, more specifically, the inner body (12) can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출수공(125)은 바디(10) 또는 이너바디(12)에 다수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다수 배치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water outlet holes 125 are formed in the body 10 or the inner body 12,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vertically and arranged in multiple numbers.

그리고, 상대적으로 바디(10) 또는 이너바디(12)의 위쪽에 배치된 출수공(125)들의 개수가 아래쪽에 타공된 출수공(125)들의 개수보다 많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동일한 높이에 놓여진 출수공(125)의 개수가 바디(10) 또는 이너바디(12)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많아질 수 있으며, 다수의 출수공(125)들은 역삼각형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water outlet holes 125 disposed above the body 10 or the inner body 12 may be relatively greater than the number of water outlet holes 125 perforated below. That is, the number of the “water exit holes 125” placed at the same height may increase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dy 10 or the inner body 12 to the upper part, and the plurality of water exit holes 125 may be arranged in an inverted triangle shape. .

이와 같이, 상기 다수의 출수공(125)들이 역삼각형 형태로 배치되면, 상기 출수어셈블리(30)의 우측단 외형과 대응될 뿐만아니라. 전기 주전자의 물을 따를 때, 기울이는 각도에 따라 출수량이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holes 125 are arranged in an inverted triangle shape, they not only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right end of the water outlet assembly 30. When pouring water from an electric kettle, convenience of use can be increased because the amount of discharged water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angle of inclination.

상기 이너바디(12)의 우측면 상단부에는 손잡이브라켓(15)이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브라켓(15)은 상기 손잡이(40)가 상기 이너바디(12)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형태(상방에서 볼 경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 handle bracket 15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right side of the inner body 12 . The handle bracket 15 allows the handle 40 to be coupled to and fixed to the inner body 12, and is preferably formed in a '⊃'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따라서 상기 손잡이브라켓(15)의 좌측단은 상기 이너바디(12)에 용접이나 접착제 또는 체결기구 등에 의해 결합되고, 우측단은 상기 손잡이(40)와 결합된다.Therefore, the left end of the handle bracket 15 is coupled to the inner body 12 by welding, adhesive, or a fastening mechanism, and the right end is coupled to the handle 40 .

상기 손잡이브라켓(15)이 상기 이너바디(12)에 고정 장착되면, 손잡이브라켓(15)의 우측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손잡이홀(111)을 통해 외측(우측)으로 노출됨이 바람직하다.When the handle bracket 15 is fixedly mounted on the inner body 12, the right end of the handle bracket 15 extends to the outside (right side) through the handle hole 111 of the outer body 11 as shown. It is desirable to be exposed.

그리고,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손잡이브라켓(15)에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손잡이브라켓(15)에 볼트(bolt) 및 너트(nut)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40 may be fastened to the handle bracket 15 by a fastening means. That is, the handle 40 may be coupled to the handle bracket 15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and a nut.

상기 바디(10)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소재로 형성되며, 용접 등의 가공에 의해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10)는 전해 연마(Electropolishing)에 의해 가공 부위를 매끄럽게 하고, 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의 표면이 매끄러운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The body 10 is made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and is molded by processing such as welding. Therefore, the body 10 can smooth the processed portion by electropolishing and maintain a smooth surface of the inner space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또한, 상기 바디(10)는 전해 연마를 통해서 내외측면이 내식성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바디(10)는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 바디(11)의 결합 후 전해 연마 가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body 10 may have corrosion resistance through electrolytic polishing. For this reason, the body 10 is preferably subjected to electrolytic polishing after coupling the inner body 12 and the outer body 11 .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바디(10)가 성형된 상태에서 전해 연마를 위해 상기 바디(10)를 전해액에 담근 후 전해 연마를 수행하게 된다.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body 12 and the outer body 11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body 10 is molded, the body 10 is immersed in an electrolyte solution for electrolytic polishing, and then electropolishing is performed.

이 과정에서 상기 바디(10)의 구조적인 특성상 필연적으로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 사이의 상기 단열 틈새공간(102)으로 전해액이 유입된다. 즉, 상기 바디(10)는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홀(111)과 출수어셈블리홀(112) 등이 개구되어 있으므로 전해액에 상기 바디(10)를 담글 경우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 사이로 전해액이 필연적으로 유입될 수 밖에 없다.In this process,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dy 10 , the electrolyte is inevitably introduced into the adiabatic interstitial space 102 between the inner body 12 and the outer body 11 . That is, since the handle hole 111 and the water outlet assembly hole 112 are opened in the body 10 in a molded state, when the body 10 is immersed in the electrolyte, the inner body 12 and the outer body ( 11) The electrolyte must inevitably flow in between them.

전해 연마 완료 후 상기 바디(10)를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 사이의 전해액은 틈새공간(102) 하측으로 배출된다. 즉,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의 하단은 서로 접하지 아니하고 상기 바텀커버(56) 등이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바텀커버(56) 등의 부품이 결합되기 전이므로 전해액이 틈새공간(102) 하방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When the body 10 is lifted after completion of electropolishing, the electrolyte solution between the inner body 12 and the outer body 11 is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interstitial space 102 . That is, since the lower ends of the inner body 12 and the outer body 11 do not contact each other and form a space where the bottom cover 56 and the like are coupled, before parts such as the bottom cover 56 are coupled Therefore, the electrolyte solution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interstitial space 102 .

또한, 상기 전해 연마 완료 후 상기 바디(10)를 세척하는 경우에도, 상기 바디(10)를 세척액에 담가 세척한 후 들어올리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 사이의 전해액이 틈새공간(102)을 통하여 하방으로 배출된다.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washing the body 10 after completion of the electropolishing, when the body 10 is immersed in a cleaning solution and then lifted up, the electrolyte solution between the inner body 12 and the outer body 11 is naturally removed. It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interstitial space 102.

이와 같이, 전해 연마 가공 후 전해액의 제거는 물론 상기 전해 연마 후 세척되는 경우에도 상기 바디(10)의 잔여 액체들이 모두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all remaining liquids of the body 10 can be smoothly discharged even when the electrolyte is removed after the electropolishing process and washed after the electropolishing process.

상기 바디(10)에는 투시창(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창(13)은 상기 전기 주전자(1)의 외측에서 상기 전기 주전자(1) 내부의 수위 또는 물이 끓는 상태 등을 뚜껑(20)을 열지 않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A viewing window 13 may be formed in the body 10 . The viewing window 13 allows checking the water level or boiling state of the electric kettle 1 from the outside of the electric kettle 1 without opening the lid 20 .

상기 투시창(13)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바디(12) 및 아우터바디(11)에 각각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시창(13)은 상기 이너바디(12)에 결합된다.The viewing window 13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fixedly mounted to the inner body 12 and the outer body 11, respectively. Preferably, the viewing window 13 is coupled to the inner body 12 .

상기 투시창(13)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바디(10)의 내부를 투시하여, 바디(10) 내부의 물 등과 같은 음식물의 양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투명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viewing window 13 allows the user to see the inside of the body 10 from the outside and know the amount of food such as water inside the body 10, and is preferably formed transparently.

상기 투시창(13)과 상기 바디(10) 사이에는 투시창가스켓(135)이 더 구비되어, 투시창(13)과 바디(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물의 누수가 방지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투시창(13)은 기밀 상태로 상기 바디(10)에 장착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a see-through window gasket 135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ee-through window 13 and the body 10 to prevent water from leaking through a gap between the see-through window 13 and the body 10. That is, the viewing window 13 may be mounted on the body 10 in an airtight state.

이와 같이, 상기 투시창(13)과 이너홀(123) 또는 아우터홀(113) 사이에는 투시창가스켓(135)이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시창가스켓(135)은 상기 이너홀(123)과 투시창(13)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이너바디(12) 내부의 물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As such, a sight window gasket 135 may be mounted between the sight window 13 and the inner hole 123 or the outer hole 113 . Preferably, the see-through window gasket 135 is installed between the inner hole 123 and the see-through window 13 to prevent leakage of water inside the inner body 12 .

상기 투시창가스켓(135)은 상기 투시창(13)의 둘레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ght window gasket 135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sight window 13, and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이너바디(12)의 이너홀(123)에 상기 투시창(13)이 고정 장착되면, 상기 투시창(13)의 내측면은 상기 이너바디(12)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When the viewing window 13 is fixedly mounted to the inner hole 123 of the inner body 12, the inner surface of the viewing window 13 is preferably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body 12. do.

따라서, 상기 투시창(13)이 상기 바디(10)에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바디(12)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내부의 구조가 간결하고 청소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viewing window 13 is fixedly mounted on the body 10, the inner body 12 is prevented from protruding to the inside, so that the internal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clean. .

또한, 상기 투시창(13)의 전면도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외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투시창(13)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투시창(13)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외측면보다 돌출 또는 함몰되지 않게 되어 외관이 보다 개선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viewing window 13 is also configured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ody 11 . 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sight window 13 is mounted, the sight window 13 does not protrude or sink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ody 11, so that the appearance can be further improved.

그리고, 상기 투시창(13)과 이너바디(12) 사이의 틈새는, 상기 투시창가스켓(135)에 의해 기밀되는 상태가 되어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p between the see-through window 13 and the inner body 12 is made airtight by the see-through window gasket 135 to prevent water inside the body 1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아우터바디(11) 등에 추가의 가스켓 또는 패킹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상기 투시창(13)의 사이를 더 기밀하여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상기 투시창(13)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Of course, additional gaskets or packings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body 11 as needed, and the outer body 11 and the see-through window 13 are more airtight so that the outer body 11 and the A gap between the viewing windows 13 may be prevented from occurring.

상기 바디(10)의 하부에는 상기 히팅모듈(50)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바디(12)의 저면에 히팅모듈(50)이 장착된다.The heating module 5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body 10 . That is, the heating module 50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body 12 .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바디(10) 내부의 공간을 가열하여 물 등과 같은 내용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The heating module 50 is to heat the space inside the body 10 to increase and control the temperature of contents such as water.

상기 히팅모듈(50)은 열을 생성하는 히터어셈블리(51)와, 상기 이너바디(12) 내부의 물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어셈블리(53)와, 상기 히터어셈블리(5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어퍼전원모듈(55) 등으로 구성된다.The heating module 50 supplies power to the heater assembly 51 that generates heat, the temperature sensor assembly 53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side the inner body 12, and the heater assembly 51. It is composed of an upper power module 55 and the like for

그리고, 상기 히팅모듈(50)의 하측에는 상기 어퍼전원모듈(55)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이 상기 바디(10)의 하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바텀커버(56)가 더 구비된다.A bottom cover 56 is further provided below the heating module 50 to cover components other than a part of the upper power module 55 from being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

상기 히팅모듈(50)과 상기 바텀어셈블리(56)는 상기 아우터바디(11)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 장착되며, 상기 바디(10)의 하부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므로 바텀 바디라 부를 수도 있다. Since the heating module 50 and the bottom assembly 56 are mounted through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outer body 11 and form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10, they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bottom body.

그리고, 상기 바텀 바디가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10)는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 주전자(1)의 동작을 위해서는 상기 바텀 바디가 조립된 상태의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되어야 한다.And, in a state in which the assembly of the bottom body is completed, the body 10 may be seated on the base 60 . That is, in order to operate the electric kettle 1 , the body 10 in a state in which the bottom body is assembled must be seated on the base 60 .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바디(10)의 어퍼전원모듈(55)과 상기 베이스(60)의 로어 전원 모듈(64)은 서로 접하는 상태가 되어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원 공급에 의해 상기 히터(54)가 발열되어 물을 끓일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body 10 is seated on the base 60, the upper power module 55 of the body 10 and the lower power module 64 of the base 6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power is supplied. It becomes possible. In this state, the heater 54 generates heat by supplying power to boil water.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개구된 하면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바텀어셈블리(56)를 분리할 경우 상기 아우터바디(11)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 나머지 구성들이 노출될 수 있다.As shown, the heating module 50 may be disposed inside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outer body 11 . When the bottom assembly 56 is separated from the heating module 50, the rest of the components may be exposed through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outer body 11.

상기 히터어셈블리(51)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저면에 부착 결합되는 히팅플레이트(52)와, 상기 히팅플레이트(52)의 저면에 고정 장착되는 히터(5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heater assembly 51 may include a heating plate 52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body 12 and a heater 54 fixedly moun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ating plate 52 .

구체적으로는, 상기 바디(10)의 하부 중앙에 상기 어퍼전원모듈(55)이 배치되고, 상기 어퍼전원모듈(55)의 바깥쪽에 히터(54)가 구비되어 이너바디(12)의 저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Specifically, the upper power module 55 is dispos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body 10, and a heater 54 is provided outside the upper power module 55 to heat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body 12. make it possible

그리고, 상기 바텀어셈블리(56)에는 상기 히터(54)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바텀피시비(PCB)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bottom PCB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54 may be provided in the bottom assembly 56 .

이와 같이, 상기 어퍼전원모듈(55)은 상기 히팅모듈(50)의 중앙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전원모듈(55)은 상기 히팅플레이트(52)의 중앙에 장착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upper power module 55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heating module 50. Also, the upper power module 55 may be mounted in the center of the heating plate 52 .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상기 이너바디(12)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히팅플레이트(52)에는 상기 히터(54)가 장착될 수 있다.The heating plate 52 may b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inner body 12 , and the heater 54 may be mounted on the heating plate 52 .

상기 히터(54)는 시즈히터(Sheathe heater)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54)는 상기 어퍼전원모듈(55)보다 더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히팅플레이트(52)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The heater 54 may be configured as a sheathe heater. In addition, the heater 54 is located outside the upper power module 55 and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eating plate 52 .

상기 히터(54)의 양단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서 이격되며, 이격된 상기 히터의 양단에 연결 단자가 노출되어 상기 바텀피시비(PCB)와 전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both ends of the heater 5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ositions adjacent to each other, and connection terminals are exposed at both ends of the spaced heater so that they can be connected to the bottom PCB (PCB) by wires.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상기 이너바디(12)의 하면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저면에 상기 히터(54)가 장착될 수 있다. The heating plate 52 may be formed in a disk shap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body 12, and the heater 54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열전도도가 높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히터(54)의 열이 상기 이너바디(12)의 저면 전체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히팅플레이트(52)와 상기 히터(54)는 다이캐스팅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heating plate 52 is formed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so that the heat of the heater 54 can be evenly transferred to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inner body 12 . Also, the heating plate 52 and the heater 54 may be integrally formed by die casting.

상기 히팅플레이트(52)에는 상기 온도센서어셈블리(53)가 장착되는 온도센서장착홀(521)이 더 형성될 수 있다.A temperature sensor mounting hole 521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assembly 53 is mounted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heating plate 52 .

상기 온도센서장착홀(521)에는 센서패킹(53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패킹(531)은 상기 온도센서장착홀(521)을 실링하게 된다.A sensor packing 531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temperature sensor mounting hole 521 . The sensor packing 531 seals the temperature sensor mounting hole 521 .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상기 이너바디(12)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상기 이너바디(12)의 하면과 완전히 밀착될 수 있으며,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블레이징 가공되어 상기 이너바디(12)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The heating plate 52 may be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inner body 12 . At this time, the heating plate 52 may be in complet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body 12 and may be integrally combined with the inner body 12 by being blazed so that heat transfer may be effectively achieved.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원형의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이너바디(12)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The heating plate 52 may be formed in a circular disk shape and may have a diameter slightly smaller than that of the inner body 12 .

상기 이너바디(12)의 바닥면에는 상기 온도센서어셈블리(53)의 상단이 노출되는 센서홀(124)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A sensor hole 124 through which an upper end of the temperature sensor assembly 53 is exposed is vertical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body 12 .

상기 센서홀(124)은 상기 온도센서장착홀(521)과 상하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sensor hole 124 is formed at a position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sensor mounting hole 521 .

상기 온도센서어셈블리(53)는 상기 이너바디(12)의 바닥면 상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가열 공간(101)의 물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The temperature sensor assembly 53 is exposed upwar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body 12 to detect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heating space 101 .

한편, 상기 온도센서어셈블리(53)의 상단 높이는 상기 이너바디(12)의 바닥면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온도센서어셈블리(53)와 이너바디(12) 사이의 틈새는 상기 센서패킹(531)에 의해 밀폐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height of the top of the temperature sensor assembly 53 is install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body 12, and the gap between the temperature sensor assembly 53 and the inner body 12 is It is preferable to be sealed by the sensor packing 531.

따라서, 상기 온도센서어셈블리(53)의 상단이 상기 이너바디(12)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바디(10)의 내부를 세척하는 경우에도 상기 온도센서어셈블리(53)가 간섭되지 않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upper end of the temperature sensor assembly 53 does not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body 12, the temperature sensor assembly 53 interferes even when the inside of the body 10 is washed. will not become

한편, 상기 바텀어셈블리(56)를 제외한 나머지 히팅모듈(50)은 모두 완전히 상기 바디(10)의 내측에 수용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어셈블리(56)의 장착시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히팅모듈(50)의 나머지 구성들을 차폐하게 되고 상기 바디(1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Meanwhile, all of the heating modules 50 other than the bottom assembly 56 may be completely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10 . Also, when the bottom assembly 56 is mounted, the rest of the components of the heating module 50 provided inside the body 10 are shielde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 is formed.

상기 바텀어셈블리(56)의 중앙에는 바텀홀(561)이 형성되며, 상기 바텀홀(561)을 통해서 상기 어퍼전원모듈(55)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A bottom hole 56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assembly 56, and a part of the upper power module 55 may be exposed through the bottom hole 561.

따라서, 상기 바텀홀(561)을 통해 상기 어퍼전원모듈(55)이 노출되어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장착될 때 상기 로어 전원 모듈(64)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upper power module 55 may be exposed through the bottom hole 561 so that the body 1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power module 64 when mounted on the base 60 .

이하에서는 상기 바디(10)의 하부 구성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the lower configuration of the body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 내지 도 13에는 상기 바디(10)의 하단부 구성 및 구성부품들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8에는 상기 바디(10)의 하단부 구성을 보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상기 히터어셈블리(51)의 상세 구성을 보인 하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상기 온도센서어셈블리(53)의 제1실시예와 센서패킹(531)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2에는 상기 온도센서어셈블리(53)의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에는 상기 바텀어셈블리(56)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8 to 13 show the configuration and components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That is, FIG.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FIG. 9 is a lowe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heater assembly 51, and FIG. 10 is the temperature sensor assembly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53) and the sensor packing 531 is shown. 11 and 12 respectively show perspective views showing configurations of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temperature sensor assembly 53, and FIG. 13 shows an exploded configuration of the bottom assembly 56 in detail. A perspective view is show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의 하단부에는 상기 바디(10) 내부의 공간을 가열하여 내용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제어하기 위한 히팅모듈(50) 등이 구비되며, 이러한 히팅모듈(50)에는 히터(54)의 조작 또는 열기를 제어하고 히터(54)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는 바텀어셈블리(56) 등이 구비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a heating module 50 and the like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to increase and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by heating the space inside the body 10, such a heating module ( 50) is provided with a bottom assembly 56 or the like that controls operation or opening of the heater 54 and blocks external exposure of the heater 54.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바텀어셈블리(56)는, 상기 바디(1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바텀(562)과, 상기 히팅모듈(50)의 히터(54)에 전원을 공급하는 바텀피시비(563)와, 상기 바디바텀(562)의 상측에 구비되어 바텀피시비(563)를 감싸 보호하는 바텀피시비커버(564)와, 상기 바텀피시비커버(564)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히팅모듈(50)의 히터(54) 열기가 상기 바텀피시비(563)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565) 등으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bottom assembly 56 includes a body bottom 562 that forms the lower exterior of the body 10 and a bottom PCB 563 that supplies power to the heater 54 of the heating module 50. ), a bottom PCB cover 564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bottom 562 to surround and protect the bottom PCB 563, and a bottom PCB cover 564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PCB cover 564 to control the heating module 50 It is composed of a blocking member 565 or the like that blocks heat from the heater 54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bottom PCB 563 .

이와 같이, 상기 바텀어셈블리(56)에는, 상기 히터(54)로 전원을 공급하는 바텀피시비(563)와, 상기 히터(54)의 열기가 상기 바텀피시비(563)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565)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In this way, the bottom assembly 56 includes a bottom PCB 563 that supplies power to the heater 54 and a blocking member that blocks heat from the heater 54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bottom PCB 563. (565)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바디바텀(5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테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는 상기 바텀홀(561)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바텀피시비(563)가 장착된다.As shown, the body bottom 562 preferably has a circular frame shape, the bottom hole 561 is formed therein, and the bottom PCB 563 is mounted therein.

상기 바디바텀(562)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하단에 결합된다.The body bottom 562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outer body 11 .

그리고, 상기 바디바텀(562)의 직경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직경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바디바텀(562)는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저면을 형성하는 아우터바닥면(11a)에 결합된다.Also, the diameter of the body bottom 562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at of the outer body 11 . Accordingly, the body bottom 562 is coupled to the outer bottom surface 11a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body 11 .

한편, 상기 바디바텀(562)의 상단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아우터바디(11)의 내부로 물이 침투한 경우에도 상기 아우터바디(11) 내부의 물이 상기 바디바텀(562) 내부로는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기 위함이다.Meanwhile, the upper end of the body bottom 562 is preferably locat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outer body 11 . This is to prevent water inside the outer body 11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body bottom 562 even when water penetrates into the outer body 11 .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바디바텀(562)의 측면 상단부에는, 측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아우터바닥면(11a)을 지지하는 수평테(562a)와, 상기 바디바텀(562)의 내주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평테(562a)보다 높이 돌출되는 수직테(562b)가 형성된다.Specifically,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of the body bottom 562, a horizontal frame 562a that is vertically bent laterally to support the outer bottom surface 11a of the outer body 11, and the body bottom 562 A vertical frame 562b extending up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protruding higher than the horizontal frame 562a is formed.

따라서, 상기 수평테(562a)의 상면에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아우터바닥면(11a)이 놓여져 결합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수직테(562b)의 상단 높이가 상기 아우터바닥면(11a)보다 높게 되므로,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 사이로 유입된 물은 상기 바디바텀(562)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게 된다.Therefore, the outer bottom surface 11a of the outer body 11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562a and coupled thereto. In this case, since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562b is higher than that of the outer bottom surface 11a, the water introduced between the outer body 11 and the inner body 12 enters the inside of the body bottom 562. can't go

상기 바디바텀(562)에는 상기 바텀피시비(563)가 안착되는 피시비안착단(562c)이 더 구비될 수 있다. A PCB seating end 562c on which the bottom PCB 563 is seated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body bottom 562 .

또한, 상기 바텀피시비커버(564)와 바디바텀(562)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커버돌기(564a)와 커버돌기홀(562d)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CB cover 564 and the body bottom 562 may be formed with cover protrusions 564a and cover protrusion holes 562d having corresponding shapes and coupl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텀피시비커버(564)의 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커버돌기(564a)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바텀(562)의 상단부에는 상기 커버돌기(564a)와 대응되는 크기의 커버돌기홀(562d)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ver protrusion 564a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ottom PCB cover 564, and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over protrusion 564a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bottom 562. A case in which the cover protrusion hole 562d is formed is exemplified.

상기 바디바텀(562)에는 상기 바텀피시비(563)가 장착된다.The bottom PCB 563 is mounted on the body bottom 562 .

상기 바텀피시비(563)는 상기 히터(54)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히터(54)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다.The bottom PCB 563 may perform a function such as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54 or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54 .

그리고, 상기 바텀피시비(563)에는 다른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저(buzzer)나 스피커(speaker) 등이 구비되어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동작 알림이 필요한 경우 비프음을 출력하여 상태를 알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립된 상태의 상기 바디(10)를 상기 베이스(60)에 안착하여 전원이 인가되는 상황이 되면 부저(buzzer)나 스피커(speaker)에서는 알림음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디스플레이 확인 없이도 동작 준비상태가 된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Also, the bottom PCB 563 may be configured to have various other functions. For example, a buzzer or a speaker may be provided to notify the state by outputting a beep when an operation notification of the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quired. In addition, when the body 10 in an assembled state is seated on the base 60 and power is applied, a notification sound is output from a buzzer or speaker so that the user operates without separate display confirmation. You might even be able to make it aware that you're ready.

또한, 상기 바텀피시비(563)에는 보스홀(563a)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스홀(563a)은 상기 바디바텀(562)이나 바텀피시비커버(564) 등에 형성되는 보스(도시되지 않음)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텀피시비(563)가 상기 바디바텀(562) 등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In addition, a boss hole 563a may be formed to pass vertically through the bottom PCB 563, and the boss hole 563a may be a boss formed in the body bottom 562 or the bottom PCB cover 564 (shown in the figure). ) penetrates and is coupled so that the bottom PCB 563 is firmly coupled to the body bottom 562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바텀피시비(563)의 양단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피비시단자(563b)가 각각 형성되기도 한다.Also, at both ends of the bottom PCB 563, PC terminals 563b for supplying power are formed, respectively.

상기 바텀피시비커버(56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바텀피시비(563)의 상부와 측방을 모두 감싸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PCB cover 564 is preferably formed to cover both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bottom PCB 563 with an open lower portion.

상기 바텀피시비커버(564)의 상면에는 상기 차단부재(565)가 안차되는 부재안착홈(564b)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텀피시비커버(564)의 상면에는 상기 차단부재(565)와 대응되는 형상의 부재안착홈(564b)이 형성되며, 이러한 부재안착홈(564b)에 상기 차단부재(565)가 안착되어 결합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CB cover 564, a member seating groove 564b, in which the blocking member 565 is seated, is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That is, as shown, a member seating groove 564b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locking member 565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CB cover 564, and the blocking member ( 565) is seated and coupled.

상기 부재안착홈(564b)에는 상기 차단부재(565)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이격리브(564c)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재안착홈(564b)에는 다수의 이격리브(564c)가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이격리브(564c)는 상기 차단부재(565)가 상기 부재안착홈(564b)에 장착되도록 지지하는 한편,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기도 한다.It is preferable that one or more separation ribs 564c supporting the blocking member 565 are formed in the member seating groove 564b. That is, as shown, a plurality of separation ribs 564c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member seating groove 564b, and the separation rib 564c is such that the blocking member 565 is the member seating groove ( 564b), while supporting them to be mounted, they are also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바텀피시비커버(564)의 측면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돌기(564a)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커버돌기(564a)는 2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커버돌기(564a)가 2 이상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돌기홀(562d)도 2 이상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 cover protrusion 564a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ttom PCB cover 564 to protrude outward, and two or more cover protrusions 564a may be formed. Of course, when two or more cover protrusions 564a are formed, two or more cover protrusion holes 562d should also be formed.

상기 차단부재(56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텀피시비커버(564)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바텀피시비(563)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the blocking member 565 is moun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CB cover 564 and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bottom PCB 563 .

상기 차단부재(565)는 상측에 설치되는 상기 히터(54)의 열기가 아래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바텀피시비(563)가 열에 의해 오작동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히터(54)가 상기 바디바텀(562)의 하측으로 절달되어 사용자가 열을 감지하거나 손을 데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The blocking member 565 serves to prevent the bottom PCB 563 from malfunctioning or being damaged by heat by preventing heat from the heater 54 installed on the upper side from being transmitted downward. Of course, the heater 54 is deliver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bottom 562 to prevent the user from sensing heat or burning his/her hands.

따라서, 상기 차단부재(565)는 열이나 전기에 강하고, 열 등을 효과적을 차단하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차단부재(565)는 전기적 및 열적 성질이 우수한 마이카(mica)시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the blocking member 565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is resistant to heat or electricity and effectively blocks heat. That is, the blocking member 565 may be made of a mica sheet having excellent electrical and thermal properties.

그리고, 상기 바디바텀(562)의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바텀댐퍼(56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3개의 바텀댐퍼(566)가 등(等)간격으로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바텀댐퍼(566)는 탄성재질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바텀(562)을 지지함과 아울리 미끄러짐 등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one or more bottom dampers 566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bottom 562 .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hree bottom dampers 566 are provided at equal intervals is exemplified, and these bottom dampers 566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support the body bottom 562 and to slip. It is desirable to prevent the etc.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바디(10) 내부의 바닥면을 형성하거나 바디(10)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히팅플레이트(52)와, 상기 히팅플레이트(52)의 저면에 고정 장착되는 히터(54)와, 상기 히터어셈블리(5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어퍼전원모듈(55)과,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어셈블리(53) 등으로 구성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module 50 includes a heating plate 52 configured to form a bottom surface inside the body 10 o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 and the heating plate A heater 54 fixedly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52, an upper power module 55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assembly 51, and a temperature sensor assembly for measuring the water temperature inside the body 10 (53) and so on.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어셈블리(53)는 상기 히팅플레이트(52)에 장착된다.And, the temperature sensor assembly 53 is mounted on the heating plate 52 .

따라서, 상기 히팅플레이트(52)에는, 상기 온도센서어셈블리(53)가 고정 장착되도록 하는 센서고정단(522)과, 상기 어퍼전원모듈(55)이 장착되도록 하는 모듈고정단(523)이 각각 구비된다.Therefore, the heating plate 52 is provided with a sensor fixing end 522 for fixing the temperature sensor assembly 53 and a module fixing end 523 for mounting the upper power module 55, respectively. do.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히팅플레이트(52)에는 상기 온도센서(53)가 장착되는 온도센서장착홀(52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이러한 온도센서장착홀(521)의 우측(도 9에서)에는 센서고정단(522)이 히팅플레이트(52)의 저면으로 부터 하측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다.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plate 52 having a disk shape has temperature sensor mounting holes 521 through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53 is mounted vertically, and these temperature sensor mounting holes ( On the right side of 521 (in FIG. 9 ), a sensor fixing end 522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heating plate 52 to a predetermined height.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장착홀(521)의 좌측(도 9에서) 및 이격된 2곳에는 상기 모듈고정단(523)이 각각 상기 센서고정단(522)과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module fixing end 523 is form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ensor fixing end 522 at the left side of the temperature sensor mounting hole 521 (in FIG. 9) and at two spaced apart locations.

상기 온도센서어셈블리(53)는, 상기 바디(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530)와, 상기 온도센서(530)가 상기 히팅플레이트(52)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센서체결판(535)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temperature sensor assembly 53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530 for measu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ody 10 and a sensor fastening plate 535 for supporting the temperature sensor 530 to be fixed to the heating plate 52. ), etc.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히팅플레이트(52)에는 상기 온도센서(530)가 장착되는 온도센서장착홀(521)이 더 형성되며, 상기 온도센서장착홀(521)에는 온도센서(530)와 온도센서장착홀(521)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센서패킹(531)이 더 구비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 temperature sensor mounting hole 521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530 is mounted is further formed in the heating plate 52, and the temperature sensor 530 is further formed in the temperature sensor mounting hole 521. A sensor packing 531 for sealing a gap between the and the temperature sensor mounting hole 521 is further provided.

상기 이너바디(12)의 바닥면에는 상기 온도센서(530)의 상단이 노출되는 센서홀(124)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센서홀(124)에 설치되는 온도센서(530)의 상면은 상기 이너바디(12)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온도센서(530)의 상단은 상기 이너바디(12)의 바닥면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A sensor hole 124 through which an upper end of the temperature sensor 530 is exposed is vertical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body 1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erature sensor 530 installed in the sensor hole 124. is installed to have the same plane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body 12 .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temperature sensor 530 is preferably installed so as not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body 12 .

이는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이 내부 청소와 세척시 상기 온도센서(530)가 간섭되어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As described above, this is to prevent the temperature sensor 530 from interfering with the internal cleaning and washing of the body 10.

상기 온도센서(530)는, 몸체를 이루는 센서바디(530a)와, 상기 센서바디(530a)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센서홀(124)에 삽입되는 센서상단부(530b)와, 상기 센서바디(530a)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센서체결판(535) 하부로 노출되는 센서하단부(530c)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temperature sensor 530 includes a sensor body 530a constituting a body, a sensor upper end 530b protruding upward from the sensor body 530a and inserted into the sensor hole 124, and the sensor body ( 530a) and a sensor lower end 530c that protrudes downward and is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nsor fastening plate 535.

상기 센서바디(530a)와 센서상단부(530b) 및 센서하단부(530c)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원기둥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센서상단부(530b) 및 센서하단부(530c)의 외경은 상기 센서바디(530a)의 외경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the sensor body 530a, the sensor upper part 530b, and the sensor lower part 530c are preferably formed to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the outer diameters of the sensor upper part 530b and the sensor lower part 530c are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to have a siz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ensor body (530a).

상기 센서하단부(530c)에는 전원선(536)이 연결되기도 한다.A power line 536 may be connected to the sensor lower part 530c.

상기 센서패킹(531)은, 상기 온도센서(530)의 상반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온도센서(530)의 상반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The sensor packing 53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half of the temperature sensor 530 and is configured to cover the upper half of the temperature sensor 530 .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센서패킹(531)은 내부가 중공된 링(ring)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실링 기능을 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sensor packing 531 is formed to have a hollow ring shape,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perform a sealing function.

그리고, 상기 센서패킹(53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센서바디(530a)의 측면을 감싸는 패킹바디(531a)와, 상기 패킹바디(531a)의 상측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센서상단부(530b)의 측면을 감싸는 패킹삽입부(531b) 등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ensor packing 531 is formed in a stepped manner as shown in the figure and integrally extends from the packing body 531a covering the side surface of the sensor body 530a and the upper side of the packing body 531a to form the sensor packing 531. It consists of a packing insertion part 531b surrounding the side of the upper part 530b.

상기 패킹삽입부(531b)는, 상기 패킹바디(531a)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히팅플레이트(52)의 온도센서장착홀(521)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센서패킹(531)은 상기 온도센서(530)와 온도센서장착홀(521) 사이의 틈새를 통한 물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The packing insertion part 531b is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packing body 531a and is inserted into the temperature sensor mounting hole 521 of the heating plate 52 . Accordingly, the sensor packing 531 prevents water flow through the gap between the temperature sensor 530 and the temperature sensor mounting hole 521 .

상기 센서체결판(535)은 도 10에 도시된온도센서어셈블리(53)의 제1실시예처럼 상기 히팅플레이트(52)에 2이상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도 11과 51의 제2 및 제3실시예처럼 상기 히팅플레이트(52)에 2이상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sensor fastening plate 535 may be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the heating plate 52 by two or more fastening members lik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emperature sensor assembly 53 shown in FIG. 10, but in FIGS. 11 and 51 Like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it may be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the heating plate 52 by two or more fastening members.

먼저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센서체결판(535)은 체결볼트와 같은 하나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히팅플레이트(52)의 하측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이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체결판(535)에는 체결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센서체결홀(535a)이 하나가 형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 11 , the sensor fastening plate 535 may be fixedly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heating plate 52 by one fastening member such as a fastening bolt. At this time, as shown, one sensor fastening hole 535a through whic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fastening bolt passes is formed in the sensor fastening plate 535.

한편, 도 11과 도 12에서처럼 상기온도센서어셈블리(53)가 2이상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히팅플레이트(52)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체결판(535)에 보조체결판(537)이 더 형성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1 and 12 , when the temperature sensor assembly 53 is mounted on the heating plate 52 by two or more fastening members, an auxiliary fastening plate 537 is further formed on the sensor fastening plate 535. do.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센서체결판(535)에는 센서체결판(535)으로부터 일측(도 11 및 도 12에서는 좌측)으로 연장 형성된 보조체결판(537)이 더 형성된다. Specifically, an auxiliary fastening plate 537 extending from the sensor fastening plate 535 to one side (left side in FIGS. 11 and 12) is further formed on the sensor fastening plate 535.

상기 보조체결판(537)은 상기 모듈고정단(523)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보조체결판(537)은 상기 센서체결판(535)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모듈고정단(523)에는 상기 어퍼전원모듈(55)의 상단이 체결되므로, 이러한 어퍼전원모듈(55)의 상단과 중첩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보조체결판(537)은 상기 센서체결판(535)보다 더 높은 위치를 가지거나 더 낮은 위치를 가지도록 단차지게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537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module fixing end 523. Therefore,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537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height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nsor fastening plate 535. That is, since the upper end of the upper power module 55 is fastened to the module fixing end 523,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537 overlaps with the upper end of the upper power module 55 and is coupled to the sensor fastening plate ( 535),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er position or a lower position than that of step bending.

상기 보조체결판(537)에도 상기 센서체결판(535)과 같이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센서체결홀(535a)과 대응되는 보조체결홀(537a)이 더 형성된다. Like the sensor fastening plate 535, an auxiliary fastening hole 537a corresponding to the sensor fastening hole 535a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passes is further formed in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537.

그리고, 상기 보조체결홀(537a)은 상기 센서체결홀(535a)과 같이 원형의 홀(hole)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 12에서와 같이 일측(도 12에서는 좌측)이 개구된 보조체결홈(537b)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fastening hole 537a may form a circular hole like the sensor fastening hole 535a, but as shown in FIG. 12, one side (left side in FIG. 12) is open ( 537b).

이와 같이, 상기 보조체결판(537)에 보조체결홈(537b)이 형성되면, 상기 모듈고정단(523)에 체결된 체결부재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보조체결판(537)을 상기 모듈고정단(523)에 끼워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auxiliary fastening groove 537b is formed in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537,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537 is attached to the module fastening end without completely separating the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module fastening end 523. It is possible to fasten by inserting into (523).

이처럼 상기 온도센서어셈블리(53)가 2곳 이상이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히팅플레이트(52)에 체결되면, 하나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하는 경우에 비해 온도센서어셈블리(53)의 유동이 방지되고, 실링이 보다 견고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In this way, when two or more temperature sensor assemblies 53 are fastened to the heating plate 52 by fastening members, movement of the temperature sensor assembly 53 is prevent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y are fastened by one fastening memb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ealing becomes more robust.

이하에서는 상기 출수어셈블리(3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will be described.

상기 출수어셈블리(30)는, 하나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10)와의 틈새가 차단되어 누수가 방지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출수어셈블리(30)는 하나의 단일체로 이루어지거나 2피스(piece)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출수어셈블리(3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포함한 액체가 틈새를 통해 누수되지 않도록 고무재질의 패킹(packing) 등이 구비되는 구조를 가지거나 실런트(sealant) 등과 같은 밀폐부재로 틈새를 메꾸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is composed of one or more components, and preferably has a structure in which a gap with the body 10 is blocked to prevent leakage. That is,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may be composed of a single unit or two or more pieces, and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to prevent liquid includ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from leaking through a gap.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acking or the like is provided or configured to fill the gap with a sealing member such as a sealant.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러한 출수어셈블리(30)의 다양한 구조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그리고, 중복되는 부품과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ccordingly, various structures of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n addition, descriptions of overlapping parts and functions will be omitted.

먼저 도 14 내지 도 19에는 상기 출수어셈블리(30)의 제1실시예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4 및 도 15에는 상기 출수어셈블리(30)의 제1실시예 구성을 보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에는 상기 출수어셈블리(30)의 제1실시예의 패킹체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7과 도 18에는 상기 출수어셈블리(30)의 제1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좌우 및 전후 방향의 절개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9에는 상기 출수어셈블리(30)의 제1실시예가 상기 바디(10)에 장착된 상태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4 to 19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That is, FIGS. 14 and 15 show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respectively, and FIG. 16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packing body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s shown, and FIGS. 17 and 18 are cut-away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respectively. And, FIG. 19 show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mounted on the body 10 .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어셈블리(30)는, 상기 바디(10)의 측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바디(10)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출수구(31)와, 상기 출수구(3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출수구(31)와 바디(10)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는 패킹체(32) 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water outlet assembly 30 includes a water outlet 31 installed to protrude to the side of the body 10 and guiding the liquid inside the body 1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ter outlet 31 and is made of a packing body 32 for shielding a gap between the water outlet 31 and the body 10 .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출수어셈블리(30)는 2피스((piece)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바디(10)의 측방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바디(10) 내부의 물 등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출수구(31)와, 이러한 출수구(31)와 바디(10) 틈새를 통해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패킹체(32)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ater outlet assembly 30 is composed of two pieces, and the water outlet 31 is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ide of the body 10 and guides water inside the body 10 to be discharged. ), and a packing body 32 that blocks water from leak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water outlet 31 and the body 10.

상기 출수구(31)는, 물의 배출 통로가 되는 출수바디(310)와, 상기 바디(10)에 결합되는 출수결합단(312)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water outlet 31 includes a water outlet body 310 serving as a water discharge passage, and a water outlet coupling end 312 coupled to the body 10 .

상기 출수바디(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홈이 형성되어 물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출수바디(310)의 일측(도 15에서는 우측)에는 상기 바디(10)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출수결합단(312)이 형성된다.As shown, the water extraction body 310 is configured to have a groove formed on the inside to allow water to flow, and one side (right side in FIG. 15) of the water extraction body 310 is accommodated and coupled to the body 10 A water outlet coupling end 312 is formed.

상기 출수결합단(312)은 상기 출수바디(310)의 우측단(도 15에서)으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소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출수결합단(3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바디(310)의 우측단(도 15에서)과 대응되는 원호 형상을 가진다. 즉,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가 하측으로 함몰되어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원호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water extraction coupling end 312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right from the right end (in FIG. 15) of the water extraction body 310,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this water extraction coupling end 312 has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right end (in FIG. 15) of the water extraction body 310 as shown. That is, it is made of a flat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s a circular arc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depressed downward and convexly protrudes downward.

그리고, 이러한 출수결합단(3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의 폭이 아래쪽의 폭보다 더 큰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바디(12)에 역삼각형 형태로 다수 형성된 출수공(125)들과 형태가 서로 대응되어 상기 출수공(125)들을 통과한 물이 상기 출수구(31)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And, as shown, the water exit coupling end 312 is formed to have a shape in which the width of the upper part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part. Therefore, since the number of water outlet holes 125 formed in the shape of an inverted triangle on the inner body 12 corresponds to each other,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outlet holes 125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ort 31. there will be

상기 출수결합단(312)의 양단에는 상기 패킹체(32)의 일단이 고정 장착되는 패킹고정단(312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출수결합단(312)의 전후(도 15에서) 상단에는 소정 크기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패킹고정단(312a)이 형성되며, 이러한 패킹고정단(312a)에는 상기 패킹체(32)의 상단이 안착되어 결합된다.Packing fixing ends 312a to which one end of the packing body 32 is fixed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water exit coupling end 312. That is, a packing fixing end 312a made of a groove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at the top and front of the water exit coupling end 312 (in FIG. 15), and the packing fixing end 312a has an upper end of the packing body 32 It is seated and connected.

상기 출수결합단(312)의 일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패킹부(322b)가 안착되는 패킹안착홈(313)이 일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결합단(312)의 우측단(도 15에서)에는 하측 및 좌측으로 함몰된 소정 깊이의 패킹안착홈(313)이 형성되며, 여기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패킹체(32)의 패킹부(322b)가 삽입되어 안착된다.At one end of the water outflow coupling end 312, a packing receiving groove 313 in which a packing part 322b to be described below is seated is formed to be recessed to one side. That is, as shown, the right end (in FIG. 15) of the water outflow coupling end 312 is formed with a packing receiving groove 313 with a predetermined depth recessed to the lower and left sides,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packing part 322b of (32) is inserted and seated.

구체적으로는 상기 출수결합단(312)의 내측에는 단차지게 형성된 패킹안착홈(313)이 형성된다. 즉, 상기 출수결합단(312)의 우측단 내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지게 형성된 패킹안착홈(313)이 형성되고, 이러한 패킹안착홈(313)에 아래에서 설명할 패킹체(32)의 패킹부(322b)가 안착된다.Specifically, a stepped packing receiving groove 313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water exit coupling end 312. 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a packing receiving groove 313 formed stepwise is formed inside the right end of the water outlet coupling end 312, and the packing of the packing body 32 to be described below is formed in this packing receiving groove 313. Part 322b is seated.

상기 출수결합단(312)의 일면에는, 다수의 용접돌기(314)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결합단(312)의 우측면(도 15에서)에는 다수의 용접돌기(314)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On one surface of the water exit coupling end 312, a plurality of welding protrusions 314 are formed to protrude outward. That is, as shown, a plurality of welding protrusions 314 are formed on the right side (in FIG. 15) of the water exit coupling end 312 to protrude to the right.

상기 용접돌기(314)는 2이상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총 6곳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용접돌기(314)는 상기 출수어셈블리(30)가 상기 바디(10)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때 용융되는 부분이다.It is preferable that two or more welding protrusions 314 are formed,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a total of six are formed is exemplified. The welding protrusion 314 is a part that melts when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is fixed to the body 10 by welding.

상기 패킹체(32)는, 상기 출수결합단(312)의 일단에 결합되는 패킹프레임(320)과, 상기 패킹프레임(320)과 결합되는 탄성재질의 출수패킹(322) 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패킹체(32)는 하나의 단일 구조물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세분하면 상기 출수결합단(312)의 상단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결합되는 패킹프레임(320)과, 상기 패킹프레임(320)에 일단이 일체로 결합되는 출수패킹(322)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packing body 32 is composed of a packing frame 320 coupled to one end of the water outlet coupling end 312 and a water outlet packing 322 made of an elastic material coupled to the packing frame 320 . That is, the packing body 32 is preferably made of one single structure, but if subdivided, the packing frame 320 installed and coupled to cross the upper end of the water outlet coupling end 312 and the packing frame 320 It consists of a water outlet packing 322 and the like to which one end is integrally coupled.

상기 패킹프레임(320)과 출수패킹(322)은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패킹프레임(320)은 출수패킹(322)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패킹프레임(320)이 상기 출수패킹(322)의 상단에 인서트 삽입되어 제조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acking frame 320 and the water outlet packing 322 are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That is, the packing frame 320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top of the water outlet packing 322, and for this purpose, the packing frame 320 is inserted into the top of the water outlet packing 322 by injection molding. It is preferable to manufacture

상기 패킹프레임(320)은, 상기 출수구(31)와 같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패킹프레임(320)과 출수구(31)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packing frame 320, like the water outlet 31,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That is, the packing frame 320 and the water outlet 31 are preferably formed of stainless steel.

상기 패킹프레임(320)은, 상기 출수구(31)의 출수결합단(312) 양단(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패킹프레임(320)과 출수구(31)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소재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금속재질 상호간에는 틈새가 발생하여 물의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수패킹(322)은 상기 패킹프레임(320)과 출수구(31)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여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The packing frame 320 serves to connect both ends (top) of the water outlet coupling end 312 of the water outlet 31 to each other.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acking frame 320 and the water outlet 31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a gap may occur between these metal materials to cause water leakage. Therefore, the water outlet packing 322 may serve to prevent leakage by shielding a gap between the packing frame 320 and the water outlet 31 .

상기 패킹프레임(320)은, 상기 출수패킹(322)이 상기 출수구(31)에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즉, 상기 패킹프레임(320)은 상기 출수패킹(322)이 상기 출수구(31)의 출수결합단(312) 우측에 밀착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The packing frame 320 also serves to couple the water outlet packing 322 to the water outlet 31 . That is, the packing frame 320 may also play a role of supporting the water outlet packing 322 to be tightly fixed to the right side of the water outlet coupling end 312 of the water outlet 31 .

상기 출수패킹(322)은, 상기 패킹프레임(320)과 결합되어 상기 패킹고정단(312a)에 장착되는 패킹체결부(322a)와, 상기 패킹체결부(322a)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10)와 출수결합단(312) 사이의 틈새를 탄성에 의해 실링하는 패킹부(322b)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water outlet packing 322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acking fastening part 322a coupled to the packing frame 320 and mounted on the packing fixing end 312a, and the packing fastening part 322a to form the body ( 10) and a packing part 322b that seals the gap between the water outlet coupling end 312 by elasticity.

상기 패킹체결부(32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프레임(320)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패킹체결부(322a)의 전후 길이는 상기 패킹프레임(320)의 전후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패킹체결부(322a)과 패킹프레임(320)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출수결합단(312)의 양단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As shown, the packing fastening part 322a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packing frame 320 . That is,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packing fastening part 322a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packing frame 320, and the packing fastening part 322a and the packing frame 32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water outlet coupling is performed. It is installed to cross both ends of the stage 312.

상기 패킹체결부(322a)는, 상기 패킹프레임(320)과 출수구(31)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여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패킹부(322b)가 상기 패킹프레임(320)에 의해 출수결합단(312)에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즉, 상기 패킹체결부(322a)에는 상기 패킹프레임(320)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출수결합단(312)의 상단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패킹부(322b)가 출수결합단(312)의 우측면에 밀착된다.The packing fastening part 322a serves to prevent leakage by shielding the gap between the packing frame 320 and the water outlet 31, and at the same time, the packing part 322b is attached to the packing frame 320. It also serves to guide to be coupled to the water extraction coupling end 312 by. That is, the packing frame 32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packing fastening part 322a by insert injection and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water outflow coupling end 312, so that the packing part 322b is connected to the water outflow coupling end 312 adhered to the right side of

상기 패킹부(322b)는 전체적으로는 역삼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출수구(31)의 우측단이 상기 바디(10)에 결합될 때 바디(10)와 출수결합단(312)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패킹부(322b)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cking part 322b is formed to have an inverted triangle shape as a whole, and when the right end of the water outlet 31 is coupled to the body 10, there is a gap between the body 10 and the water outlet coupling end 312. serves to seal the Therefore, the packing part 322b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상기 패킹체(32)에 의해 상기 바디(10)와 출수구(31) 사이의 틈새를 전체적으로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패킹체(32)에 의해 아우터바디(11)와 출수구(31) 사이의 틈새 및 상기 이너바디(12)와 출수구(31) 사이의 틈새가 모두 차폐됨으로써, 상기 바디(10)와 출수구(31) 사이의 전체 틈새가 모두 차폐되는 것이다.The gap between the body 10 and the water outlet 31 can be entirely covered by the packing body 32 .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gap between the outer body 11 and the outlet 31 and the gap between the inner body 12 and the outlet 31 are both shielded by the packing body 32, The entire gap between the body 10 and the water outlet 31 is all shielded.

상기와 같이, 상기 출수어셈블리(30)는 출수구(31)와 패킹체(32)로 이루어져 2피스(piece)이루어진다. 따라서,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상기 출수구(31) 내부의 사상 버핑(buffing)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outlet assembly 30 is composed of two pieces, consisting of a water outlet 31 and a packing body 32. Accordingly, not only the assembly is easy, but also the process of buffing the inside of the water outlet 31 is facilitated.

즉, 종래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출수구(31)와 패킹프레임(320)이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구성품이 되는 구조이므로, 이때에는 오목한 출수구(31) 내부의 사상 버핑(buffing) 작업이 어렵게 된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since the water outlet 31 and the packing frame 320 are integrally formed to form one component, it is difficult to buff the inside of the concave water outlet 31 at this time.

반면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프레임(320)이 상기 출수구(31)와 별개로 이루어져 분리되므로, 출수구(31) 내부 등 모든 부분의 버핑(buffing) 작업이 용이하게 가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cking frame 320 is separately formed and separated from the water outlet 31, buffing of all parts such as the inside of the water outlet 31 can be easily performed.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조립 작업도 용이하게 가능하다. 즉 상기 출수패킹(322)의 패킹체결부(322a)에는 상기 패킹프레임(320)이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패킹체(32)의 상단을 먼저 상기 출수결합단(312)의 패킹고정단(312a)에 끼운 다음, 상기 패킹안착홈(313)에 상기 패킹체(32)의 패킹부(322b)를 끼워넣으면 조립이 완료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configuration, assembling work is also easily possible. That is, since the packing frame 320 is integrally fixed to the packing fastening part 322a of the water extraction packing 322 by injection molding, the upper end of the packing body 32 is first connected to the water extraction coupling end 312. After inserting into the packing fixing end 312a, inserting the packing part 322b of the packing body 32 into the packing seating groove 313 completes the assembly.

그리고, 상기 출수어셈블리(30)는 상기 바디(10)와 같이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출수어셈블리(30)를 상기 바디(10)에 고정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게 된다.Also,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may be formed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like the body 10 . Therefore, it is not easy to fix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to the body 10.

상기 출수어셈블리(30)는 용접에 의해 상기 바디(10)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출수어셈블리(30)를 상기 이너바디(12)에 맞댄 상태에서 상기 용접돌기(314)에 전극으로 열을 가하여 출수어셈블리(30)의 출수구(31)를 상기 이너바디(12)에 고정할 수 있다.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body 10 by welding.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body 12, heat is applied to the welding protrusion 314 with an electrode to fix the water outlet 31 of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to the inner body 12 can do.

상기 용접 방식은 다이렉트 용점 또는 시리즈 용접(series welding)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welding method may be performed by direct welding or series welding.

즉, 상기 출수어셈블리(30)의 출수구(31)에 (+)전극을 연결하고, 상기 용접돌기(314)와 맞닿는 상기 이너바디(12)의 내면에는 (-)전극을 연결하여 용접하는 다이렉트 용접 방식으로 할 수도 있다.That is, direct welding in which a (+)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31 of the water outlet assembly 30 and a (-)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body 12 in contact with the welding protrusion 314. you can do it in a way

또한, 상기 출수구(31)를 상기 이너바디(12)에 맞댄 상태에서 상기 이너바디(12)의 내면에 (+)전극과 (-)전극을 모두 연결하여 용접하는 시리즈 용접(series welding)에 의해 상기 출수어셈블리(30)를 바디(10)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by series welding in which both the (+) electrode and the (-) electrode are connected and wel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body 12 while the water outlet 3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body 12 It will also be possible to couple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to the body 10 .

예를 들어, 시리즈 점 용접(series spot welding)은, 동일 측면에 있는 두개의 전극으로부터 백바라고 하는 받침판 전극(사용치 않을 때도 있다)을 거쳐 통전하여 하는 점 용접으로, 피용접물의 형상과 치수 등의 관계로 통상의 직접 점 용접과 같이 뒷면에 전극을 가지고 가기가 곤란할 때에는 자유 공간이 허용하는 한쪽으로부터 용접을 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는 용접 방식이다.For example, series spot welding is spot welding performed by passing current from two electrodes on the same side through a base plate electrode called a back bar (sometimes not used), and the shape and size of the object to be welded It is a welding method that has a great advantage in that it can weld from one side where the free space allows when it is difficult to carry an electrode on the back side like in normal direct spot welding.

따라서, 이와 같은 시리즈 용접(series welding)에 의해 상기 출수어셈블리(30)를 바디(10)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외면에 용접 자국이 남지 않게 된다.Therefore, when the water outlet assembly 30 is coupled to the body 10 by series welding, no welding marks are lef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ody 11.

이와 같이 용접(welding)에 의해 상기 출수어셈블리(30)를 바디(10)에 결합하는 것은 아래에서 설명할 다른 실시예에서도 사용 가능할 것이다.In this way, coupling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to the body 10 by welding may also be used in other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도 20 내지 도 22에는 상기 출수공(125)의 다른 실시예 및 그 적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0에는 상기 출수공(125)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1 및 도 22에는 상기 출수공(125)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와 절개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20 to 22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outlet hole 125 and its applied state. That is, FIG. 20 show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outlet hole 125, and FIGS. 21 and 22 show a partial perspective view and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outlet hole 125 is applied. each is show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공(125)은 상기 바디(10)에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좌우의 폭보다 상하의 길이가 더 큰 슬릿(sli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출수공(125)은 상기 이너바디(12)에 다수개가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출수구(31)의 내측단과 대응되도록 역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좌우(도 20에서)에 있는 출수공(125)의 상하 길이보다 중앙부에 있는 출수공(125)의 상하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water outlet hole 125 may be vertically formed in the body 10 to be long. That is, it may have a slit shap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lengths are great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A plurality of water outlet holes 125 are formed side by side in the inner body 12, and preferably have an inverted triangular shape to correspond to the inner end of the water outlet 31.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ical length of the water outlet hole 125 in the center is lar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water outlet hole 125 on the left and right (in FIG. 20).

이처럼 상기 출수공(125)은 상기 바디(10)의 상단부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이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출수공(125)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면, 전체적으로 출수공(125)의 크기가 증대되어 전기 주전자의 바디(10) 내부의 물이 끓을 때 발생되는 증기의 배출이 원활해진다. 즉, 상기 출수공(125)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반부의 면적이 하반부의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되므로, 상대적으로 더 큰 면적을 가지는 상반부 출수공(125)을 통해 증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such, a plurality of water outlet holes 125 ar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to guide water or steam inside the body 1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when the water outlet hole 125 is formed vertically, the size of the water outlet hole 125 is increased as a whole, so that steam generated when the water inside the body 10 of the electric kettle boils is smoothly discharged. That is, since the water outlet hole 125 is vertically long, and the area of the upper half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lower half, steam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hole 125 of the upper half having a relatively larger area. can

한편 상기 출수구(31)의 하단부(31a)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구(31)의 바닥면(31a)은 내측단(31b)(도 22에서는 우측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 내부의 물을 따르거나 증기가 상기 출수구(31)에서 응고된 증기가 출수구(31)의 바닥면에 고이지 않고 상기 바디(10)의 내부로 중력에 의해 저절로 흘러 들어가도록 하기 위함이다.Meanwhile, the lower end 31a of the water outlet 31 may be inclined. That is, as shown, the bottom surface 31a of the water outlet 31 preferably has a slope gradually decreasing in height toward the inner end 31b (right end in FIG. 22). This is so that the water in the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steam coagulated at the outlet 31 does not accumulat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let 31 and flows into the body 10 by gravity by itself. is to do

상기 출수공(125)의 하단(125a)은 상기 출수구(31)의 하단(31b)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구(31)의 바닥면(31a)보다 상기 출수공(125)의 하단(125a) 높이가 더 낮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출수구(31) 내부의 물 등이 상기 출수공(125)을 통해 바디(10) 내부로 흘러들어가도록 하여 출수구(31) 바닥면(31a)에는 물과 같은 액체가 고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lower end 125a of the water outlet hole 125 may be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lower end 31b of the water outlet 31 . That is, as shown,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lower end 125a of the water outlet 125 is lower than that of the bottom surface 31a of the water outlet 31. This is to prevent liquid such as water from accumulating on the bottom surface 31a of the outlet 31 by allowing water inside the outlet 31 to flow into the body 10 through the outlet hole 125.

또한, 상기 다수의 출수공(1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수공(125) 하단(125a)은 상기 출수구(31)의 하단(31a)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로 상기 출수구(31)의 하단부(31a)는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이러한 출수구(31)의 하단부(31a)는 내측단(31b)(도 20에서는 우측단)으로 갈수록 점점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다수의 출수공(125) 중에서 가운데(도 20에서)의 출수공(125') 하단(125a)의 높이가 상기 출수구(31)의 최하단(31b)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wer end 125a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holes 125 may be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lower end 31a of the water outlet 31. For example, the lower end 31a of the outlet 31 i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in height toward the center,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end 31a of the outlet 31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inner end 31b (right end in FIG. 20). It is formed inclined so that is lowered.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lower end 125a of the middle (in FIG. 20) water outlet hole 125'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holes 125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lowermost end 31b of the water outlet 31. .

이렇게 되면, 상기 출수구(31)의 가장 낮은 바닥면(31a,31b)에 모인 물과 같은 액체가 가장 가운데의 출수공(125')을 통해 상기 바디(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liquid such as water collected on the lowest bottom surfaces 31a and 31b of the water outlet 31 can flow into the body 10 through the water outlet hole 125' in the middle.

도 23에는 상기 출수공(125)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2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outlet hole 125.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출수공(125)은 원형 또는 슬릿(slit)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 도시된 것처럼, 상측 또는 상단부의 출수공(125b)은 슬릿(slit) 형상을 가지도록 상하 높이보다 좌우 길이가 더 길도록 형성되고, 하측 또는 하단부의 출수공(125c)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therein,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holes 125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slit shape. As shown in the example, the water outlet hole 125b at the upper or upper end is formed to have a slit shape so that the left and right lengths are longer than the vertical height, and the water outlet hole 125c at the lower or lower end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It can be.

그리고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출수공(125b)의 크기가 하측에 위치한 출수공(125c)의 크기보다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에서도 설명한 것처럼 상기 바디(10) 내부에서 생성되는 증기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출수공(125)의 상반부를 통해 외부로 잘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Also, the size of the relatively upper water outlet hole 125b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lower water outlet hole 125c. As described above, this is to ensure that steam generated inside the body 10 moves upward and is well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half of the water outlet hole 125.

이와 같이, 상기 출수공(125)은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상측에는 슬릿(slit)형상의 출수공(125b)이 위치되고, 하측에는 원형의 출수공(125c)이 위치되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릿(slit)형상의 출수공(125b) 크기(면적)는 상기 원형의 출수공(125c) 크기(면적)보다 더 큰 것일수 있다.As such, the water outlet hole 125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water outlet holes 125, and a slit-shaped water outlet hole 125b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and a circular water outlet hole 125c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Also, the size (area) of the slit-shaped water outlet hole 125b may be larger than the size (area) of the circular water outlet hole 125c.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1)의 사용을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베이스(60)에 연결된 전원선(도시되지 않음)을 콘센트에 꽂아 전원이 연결되도록 한다. First, in order to use the electric kett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serts a power line (not shown) connected to the base 60 into an outlet so that power is connected.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바디(10) 내부의 가열 공간(101)에 물이나 내용물을 넣고, 상기 바디(10)를 상기 베이스(60)에 올려놓게 된다.In this state, water or content is put into the heating space 101 inside the body 10, and the body 10 is placed on the base 60.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되면, 상기 어퍼전원모듈(55)과 로어 전원 모듈(64)은 서로 접하여 상기 베이스(60)로부터 상기 바디(10)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When the body 10 is seated on the base 60, the upper power module 55 and the lower power module 64 contact each other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base 60 to the body 10 do.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40)의 누름부를 조작하여 상기 히터(54)의 가열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해 설정된 온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조작에 의해 상기 가열공간(101)에 수용된 물의 가열 시작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즉, 온오프 버튼을 눌러 상기 히터(54)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물의 가열과 중단을 제어할 수 있다.Next, the user can start heating the heater 54 by manipulating the pressing part of the handle 40 . At this time, the user can check the set temperature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can operate the heating start of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heating space 101 by manipulation. That is, by pressing the on/off button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eater 54, the user can control heating and stopping of water.

그리고, 버튼 등의 조작으로 온도의 설정 및 조작의 지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두개 이상의 조작부(누름부)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set the temperature and instruct the operation by manipulating buttons or the like. And, if necessary, two or more operation units (press units) may be provided.

이러한 조작에 의해 상기 히터(54)는 동작이 개시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54)의 발열에 의해 상기 가열 공간(101)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가열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heater 54 can be started by this operation, and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heating space 101 can be heated by the heat of the heater 54 .

상기 온도센서어셈블리(53)의 감지에 의해, 상기 가열 공간(101) 내부의 물이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히터(54)는 동작을 중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기 주전자(1)는 동작을 완료하게 된다.When the water inside the heating space 101 reaches a set temperature by the detec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assembly 53, the heater 54 may stop operating, and thus the electric kettle 1 operates. will complete

전기 주전자(1)의 동작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40)를 쥐고 상기 바디(10)를 들어올려 상기 베이스(60)와 분리할 수 있으며, 전기 주전자(1)를 기울여 가열된 물을 상기 출수어셈블리(30)를 통해 따를 수 있게 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kettle 1 is completed, the user can hold the handle 40 and lift the body 10 to separate it from the base 60, and tilt the electric kettle 1 to pour the heated water. It can be poured through the water outlet assembly 30 .

전기 주전자(1)는 물이 가열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10)의 이중 구조에 의해 열 전도를 줄이거나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바디(10)의 외측면과 접촉하게 되더라도 과도하게 뜨겁지 않게 되어 사용상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히터(54)가 동작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가열된 물의 온도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The electric kettle 1 can reduce or block heat conduction due to the dual structure of the body 10 when the water is completely heated. Therefore, even if the us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it is not excessively hot, so safety in use can be ensur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ed water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even when the heater 54 is not operating. can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의 상단부에는 출수어셈블리(30)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주동이 형태의 출수어셈블리(30)가 바디(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바디(10) 내부의 물 배출을 안내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to protrude outward. That is, the water outlet assembly 30 in the form of a rostrum is formed to protrude outside the body 10 to guide the discharge of water inside the body 10 .

그리고, 상기 출수어셈블리(30)에는 패킹부재(33) 등 다양한 밀폐부재가 더 구비되어 출수어셈블리(30)의 주변을 통한 물 누수를 차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기 주전자를 기울여 물을 띠를 때에도 상기 바디(10)의 상단이나 출수어셈블리(30) 주변을 통한 물의 누수가 방지된다.In addition, various sealing members such as a packing member 33 are further provided in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to block water leakage through the periphery of the water extraction assembly 30 . Therefore, even when the user tilts the electric kettle to fill the water, water leakage through the top of the body 10 or around the water outlet assembly 30 is prevented.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출수공(125)의 형상이나 크기를 다양하게 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는 바, 이러한 출수공(125)의 크기와 구조에 의해 증기의 배출이나 물고임이 방지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shape or size of the water outlet hole 125 is varied is exemplified, and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water outlet hole 125 prevents steam discharge or water accumulation.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출수공(125)의 작은 크기의 원형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출수구(31) 및 출수공(125)에서 물뱉음 형상이 생길 수 있다. 즉 상기 바디(10)에 상기 뚜껑(20)을 닫은 후 물을 끓일 시, 상기 바디(10)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바디(10) 내부에서 생성된 증기가 상기 출수공(125) 및 출수구(31)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상기 출수구(31)와 바디(10)의 내부 사이에는 온도차가 존재하므로, 상기 바디(10) 내부로부터 상기 출수공(125)을 통해 출수구(31)로 나온 증기는 외부의 차가운 공기에 의해 물로 변한다. 이로 인해 외부(출수구)의 잔존물에 의해 물 뱉어냄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Specifically, when a plurality of small-sized circular water outlet holes 125 are provided, the water outlet 31 and the water outlet hole 125 may have a spitting shape. That is, when boiling water after closing the lid 20 on the body 10,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ody 10 occurs, so that the steam generated inside the body 10 flows through the water outlet 125 ) and exits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31. At this time, since there i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outlet 31 and the inside of the body 10, steam coming out of the body 10 through the water outlet hole 125 through the water outlet 31 is turned into water by the cold air outside. It changes. As a result, the phenomenon of spitting out water by the residues on the outside (outlet) occur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출수구(31) 바닥면(31a)에 물이 잘 흐를 수 있도록 경사를 추가하고, 출수공(125)의 하단(125a)은 출수구(31) 바닥면(31a)의 경사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출수구(31) 내부의 물이 상기 바디(10) 내부로 잘 흘러 들어갈수 있도록 하여 밖으로는 물이 배출되지 않게 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a slope is added to the bottom surface 31a of the water outlet 31 so that water can flow well, and the lower end 125a of the water outlet hole 125 is the bottom surface 31a of the water outlet 31 ) so that the water inside the outlet 31 can flow into the inside of the body 10 well, so that the water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다수의 출수공(125) 형상은 아래부분의 출수공(125) 갯수나 면적보다 윗부분의 출수공(125) 갯수나 면적이 더 크게 하여 물 끓임시 바디(10) 내부의 증기가 상대적으로 상측에 형성된 출수공(125)을 통해 바디(10)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대기(대기압)가 상기 출수구(31) 하단에 있는 물을 상기 바디(10) 내부로 들어가도록 압력을 가하게 되어 물 뱉어냄 현상이 방지된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holes 125 has a larger number or area of the water outlet holes 125 at the upper part than the number or area of the water outlet holes 125 at the bottom, so that steam inside the body 10 is relatively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through the water outlet hole 125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external atmosphere (atmospheric pressure) applies pressure so that the water at the bottom of the water outlet 31 enters the inside of the body 10, spitting out is prevented.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1.전기주전자 10.바디
11.아우터바디 12.이너바디
13.투시창 15.손잡이브라켓
20.뚜껑 21.캡
22.상커버 23.하커버
24.커버패킹 25.메탈커버
26.자석 30.출수어셈블리
31.출수구 32.패킹체
33.패킹부재 34.출수브라켓
40.손잡이 50. 히팅모듈
51.히터어셈블리 52.히팅플레이트
53.온도센서어셈블리 54.히터
55.어퍼전원모듈 56.바텀커버
60.베이스 64.로어 전원 모듈
101.가열공간 102.틈새공간
111.손잡이홀 112.출수어셈블리홀
113.아우터홀 121.이너상단부
123.이너홀 124.센서홀
125.출수공 135.투시창가스켓
151.부착부 152.체결부
153.연결부 154.체결홀
310.출수바디 312.출수결합단
314.용접돌기 320.패킹프레임
322.출수패킹 332.보조패킹
334.실런트 350.메쉬부
352.메쉬테두리 354.메쉬고정부재
521.온도센서장착홀 530. 온도센서
531.센서패킹 535. 센서체결판
561.바텀홀 562. 바디바텀
563. 바텀피시비 564. 바텀피시비커버
565. 차단부재
1. Electric kettle 10. Body
11. Outer body 12. Inner body
13. Sight window 15. Handle bracket
20. Lid 21. Cap
22. Top cover 23. Bottom cover
24. Cover packing 25. Metal cover
26. Magnet 30. Outlet assembly
31. Outlet 32. Packing body
33. Packing member 34. Outlet bracket
40. Handle 50. Heating module
51. Heater assembly 52. Heating plate
53. Temperature sensor assembly 54. Heater
55. Upper power module 56. Bottom cover
60. base 64. lower power module
101. Heating space 102. Interstitial space
111. Handle hole 112. Outlet assembly hole
113. Outer hole 121. Inner upper part
123. Inner Hall 124. Sensor Hall
125. Water outlet hole 135. Sight window gasket
151. attachment part 152. fastening part
153. connection part 154. fastening hole
310. Water exit body 312. Water exit coupling end
314. Welding protrusion 320. Packing frame
322. Outlet packing 332. Auxiliary packing
334. Sealant 350. Mesh part
352. Mesh border 354. Mesh fixing member
521. Temperature sensor mounting hole 530. Temperature sensor
531. Sensor packing 535. Sensor fastening plate
561. Bottom hole 562. Body bottom
563. bottom pcb 564. bottom pcb cover
565. Blocking members

Claims (10)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이 수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과, 상기 바디의 측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바디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출수구와, 상기 바디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바디 내부의 물이 출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출수공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출수공은,
상반부의 면적이 하반부의 면적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A body accommodating water or food therein, a lid shielding the open upper side of the body, a water outlet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body and guiding the liquid inside the body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body It is formed to penetrate and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water outlet hole for guiding the water inside the body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port;
The outlet hole,
The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of the upper half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lower hal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공은,
상하로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ater outlet hole,
An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vertically and lo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공은,
상기 바디의 상단부에 다수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ater outlet hole,
An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출수공은,
상측에 위치한 출수공의 크기가 하측에 위치한 출수공의 크기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outlet holes,
An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exit hole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exit hole located on the lower si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출수공은,
원형 또는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outlet holes,
An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circular or slit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공은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상측에는 슬릿형상의 출수공이 위치되고, 하측에는 원형의 출수공이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ater exit hole is made of a plurality,
An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t-shaped water outlet hole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circular water outlet hole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형상의 출수공 크기는,
상기 원형의 출수공 크기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ize of the slit-shaped exit hole,
An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ircular outlet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구의 하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The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water outlet is inclin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공의 하단은,
상기 출수구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water outlet hole,
An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water outle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출수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수공 하단은, 상기 출수구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The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lower end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holes is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a lower end of the water outlet hole.
KR1020210157754A 2021-11-16 2021-11-16 Electric kettle KR202300714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754A KR20230071495A (en) 2021-11-16 2021-11-16 Electric kett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754A KR20230071495A (en) 2021-11-16 2021-11-16 Electric kett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495A true KR20230071495A (en) 2023-05-23

Family

ID=86544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754A KR20230071495A (en) 2021-11-16 2021-11-16 Electric kett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1495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6610B2 (en) 2011-10-04 2016-01-05 Pi-Design Ag Double-walled liquid container
KR101631556B1 (en) 2014-05-29 2016-06-20 주식회사 오쿠 Electric pot having a function of double boil
KR101794021B1 (en) 2015-12-21 2017-11-07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ic kettle combined with blender and steamer
KR20210117548A (en) 2020-03-19 2021-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ic kett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6610B2 (en) 2011-10-04 2016-01-05 Pi-Design Ag Double-walled liquid container
KR101631556B1 (en) 2014-05-29 2016-06-20 주식회사 오쿠 Electric pot having a function of double boil
KR101794021B1 (en) 2015-12-21 2017-11-07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ic kettle combined with blender and steamer
KR20210117548A (en) 2020-03-19 2021-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ic kett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11640B1 (en) Electric kettle
EP3711635A1 (en) Electric kettle
EP3711638B1 (en) Electric kettle
EP3711636B1 (en) Electric kettle
US20200297147A1 (en) Electric kettle
EP3711637B1 (en) Electric kettle
KR20210117548A (en) Electric kettle
US20230060143A1 (en) Electric kettle
KR20230071495A (en) Electric kettle
KR20210112592A (en) Electric kettle
KR102573902B1 (en) Electric kettle
US11490758B2 (en) Electric kettle
US11944228B2 (en) Electric kettle
KR20210112591A (en) Electric kettle
KR20210114803A (en) Electric kettle
ES2279322T3 (en) ELECTRIC COOKING DEVICE THAT INCLUDES AN ELECTRICAL POWER SUPPLY.
KR20230091353A (en) Electric kettle
ES2307050T3 (en) COOKING CONTAINER FOR HEATER BASE OR ELECTRIC POWER BASE.
CN214230946U (en) Cooking utensil's lid and have its cooking utensil
CN213993299U (en) Cooking utensil's lid and have its cooking utensil
JP5945695B2 (en) Electric kettle
KR20230069383A (en) Electric kettle
CN114073415A (en) Cooking utensil's lid and have its cooking utensil
JPH09313342A (en) Rice coo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