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0936A -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0936A
KR20230070936A KR1020210157024A KR20210157024A KR20230070936A KR 20230070936 A KR20230070936 A KR 20230070936A KR 1020210157024 A KR1020210157024 A KR 1020210157024A KR 20210157024 A KR20210157024 A KR 20210157024A KR 20230070936 A KR20230070936 A KR 20230070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conversation
user
messenger
game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수
김승대
Original Assignee
(주)피아이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아이소프트 filed Critical (주)피아이소프트
Priority to KR1020210157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0936A/ko
Publication of KR20230070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5Fostering virtual charac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5Combinations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에서의 게임 캐릭터를 메신저 시스템에 가상 친구로 등록하여, 게임을 실행하지 않고도 메신저 시스템을 통해 이 가상 친구와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게임 내 가상 캐릭터와의 제한된 사지선다식 대화에서 벗어나 SNS 메신저를 통한 자유 대화를 할 수 있어, 마치 실제 여자 친구와 대화하는 것과 같은 연애 감정을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더 자주 게임에 접속하여 게임 내 활동을 통해 호감도를 보다 상승시키기 위한 활동을 하게 함으로써, 게임에 대한 몰입감 및 충성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a chatting service through a messenger system with a game character in a love nurturing simulation game}
본 발명은 게임과 메신저 서비스의 연동 기술에 관한 것으로,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에서의 게임 캐릭터를 메신저 시스템에 가상 친구로 등록하여, 게임을 실행하지 않고도 메신저 시스템을 통해 이 가상 친구와 자연스럽게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은 게임 내 가상 캐릭터와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용자에 대한 호감도를 상승시켜 가상 캐릭터가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대화 내용이나 몸짓 등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연애 감정을 느끼게 하여, 사용자가 게임에 점점 더 몰입하도록 하는 게임이다.
이때, 게임 내 가상 캐릭터와 사용자 사이의 호감도를 변화시키는 상호작용에는, 게임 내에서 제시한 상황이나 질문에 대한 여러 선택 가능한 행동이나 답변 중에서 사용자가 어떤 선택을 하는지를 통한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보다 적극적으로는 호감도 상승과 연결되는 별도의 기능 아이템을 구매하는 등의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게임 캐릭터와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반드시 게임을 실행하여 게임안에 들어와야 하므로, 자신에 대한 게임 캐릭터의 호감도를 상승시키는데 있어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있고, 따라서 게임에 대한 접근성을 제한하여 게임에 대한 충성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대한 호감도가 상승한 가상 캐릭터와의 대화 내용이나 몸짓과 같은 반응이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핵심 요소인데, 이러한 대화가 게임 내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사용자와 게임 캐릭터와의 호감도 있는 대화를 제한하여, 연애 감성을 감소시키고 몰입감을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내에서만 가능하던 가상 캐릭터와의 대화를 카카오톡, 페이스북 메신저와 같은 일반적인 SNS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서 가상 메신저 친구로 등록함으로써 게임을 실행하지 않고도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대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메신저 서비스를 게임과 연계하여 사용자가 게임에서 획득한 호감도 레벨에 따른 감성 대화를 제공하고,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가 게임에서 활동한 내역을 반영한 개인화된 대화를 제공하는 대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방법은,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육성한 게임 캐릭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게임 캐릭터를 메신저 시스템에 가상 메신저 친구로 등록하고 관리하는 게임 캐릭터 관리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신저 시스템을 통해 상기 가상 메신저 친구와의 대화를 요청하면, 상기 가상 메신저 친구에 대응되는 게임 캐릭터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개인화된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상기 가상 메신저 친구와 상기 사용자와 대화를 진행하고 관리하는 대화 관리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대화 관리단계는, 사용자로부터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상 메신저 친구에 대응되는 게임 캐릭터의 상기 사용자에 대한 호감도 정보를 게임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인공지능 감성대화모델을 통해 생성된 답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답변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대응시켜 개인화된 답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개인화된 답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게임 시스템에서의 활동내역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답변 메시지를 수정하거나 내용을 추가하여 개인화된 답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상기 인공지능 감성대화모델을 통해 생성된 답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친밀도 수준을 달리하는 복수의 답변 메시지 중에서 상기 호감도 정보에 따라 선택된 답변 메시지를 수신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장치는,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육성한 게임 캐릭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게임 캐릭터를 메신저 시스템에 가상 메신저 친구로 등록하고 관리하는 게임 캐릭터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신저 시스템을 통해 상기 가상 메신저 친구와의 대화를 요청하면, 상기 가상 메신저 친구에 대응되는 게임 캐릭터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개인화된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상기 가상 메신저 친구와 상기 사용자와 대화를 진행하고 관리하는 대화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대화 관리부는, 사용자로부터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가상 메신저 친구에 대응되는 게임 캐릭터의 상기 사용자에 대한 호감도 정보를 게임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인공지능 감성대화모델을 통해 생성된 답변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이를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대응시켜 개인화된 답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게임 내 가상 캐릭터와의 제한된 사지선다식 대화에서 벗어나 SNS 메신저를 통한 자유 대화를 할 수 있어, 마치 실제 여자 친구와 대화하는 것과 같은 연애 감정을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더 자주 게임에 접속하여 게임 내 활동을 통해 호감도를 보다 상승시키기 위한 활동을 하게 함으로써, 게임에 대한 몰입감 및 충성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대화 서비스 제공 흐름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게임 캐릭터를 가상 메신저 친구로 등록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가상 메신저 친구와 개인화된 감성 대화를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가상 메신저 친구와의 개인화된 감성 대화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장치의 구성도이다.
대화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게임 캐릭터 관리부(110) 및 대화 관리부(120)를 포함한다. 게임 캐릭터 관리부(110)는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140)을 통해 사용자가 육성한 게임 캐릭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 게임 캐릭터를 메신저 시스템(150)에 가상 메신저 친구로 등록하고 관리한다. 일 예로, 사용자는 연예 육성 게임 클라이언트(142)를 통해 게임을 진행하게 되는데, 게임 활동 내역은 연예 육성 게임 서버(144)에 저장된다. 연예 육성 게임 서버(144)에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아이디 정보, 게임 캐릭터 정보 및 사용자가 게임을 통해 획득한 게임 캐릭터의 사용자에 대한 호감도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대화 관리부(120)는 사용자가 메신저 시스템(150)의 메신저 클라이언트(152)를 통해 가상 메신저 친구와의 대화를 요청하면, 가상 메신저 친구에 대응되는 게임 캐릭터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개인화된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신저 서버(154)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가상 메신저 친구와 사용자와 대화를 진행하고 관리한다.
대화 관리부(120)는 일 예로, 사용자로부터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고, 가상 메신저 친구에 대응되는 게임 캐릭터의 사용자에 대한 호감도 정보를 게임 시스템(140)으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인공지능 감성대화모델을 통해 생성된 답변 메시지를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130)으로부터 수신한 후, 이를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대응시켜 개인화된 답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게임 시스템에서의 활동내역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기초로, 답변 메시지를 수정하거나 내용을 추가하여 개인화된 답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친밀도 수준을 달리하는 복수의 답변 메시지 중에서 상기 호감도 정보에 따라 선택된 답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호감도 정보에 따른 답변 메시지와 개인 정보를 반영한 개인화된 답변 메시지의 생성 예에 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130)는 사용자로부터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고, 가상 메신저 친구에 대응되는 게임 캐릭터의 사용자에 대한 호감도 정보를 게임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인공지능 감성대화모델을 통해 생성된 답변 메시지를 제공한다.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130)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도 5 및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대화 서비스 제공방법은 게임 캐릭터 관리단계(210, 220) 및 대화 관리단계(230, 240, 250)을 포함한다. 먼저 게임 캐릭터 관리단계는,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육성한 게임 캐릭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210). 그리고 이 게임 캐릭터를 메신저 시스템에 가상 메신저 친구로 등록하고 관리한다(220). 일 예로,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육성한 게임 캐릭터 아이디 및 사용자 아이디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메신저 시스템의 API 를 호출하여, 게임 캐릭터를 메신저 시스템에 가상 메신저 친구로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후 대화 관리단계는, 사용자가 메신저 시스템을 통해 상기 가상 메신저 친구와의 대화를 요청하면, 가상 메신저 친구에 대응되는 게임 캐릭터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개인화된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가상 메신저 친구와 사용자와 대화를 진행하고 관리한다. 이를 위해 먼저 사용자로부터 대화 메시지를 수신한다(230). 그리고 가상 메신저 친구에 대응되는 게임 캐릭터의 사용자에 대한 호감도 정보를 게임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인공지능 감성대화모델을 통해 생성된 답변 메시지를 수신한다(240). 그리고 이 답변 메시지를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대응시켜 개인화된 답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한다(250).
개인화된 답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게임 시스템에서의 활동내역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기초로, 답변 메시지를 수정하거나 내용을 추가하여 개인화된 답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인공지능 감성대화모델을 통해 생성된 답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은, 친밀도 수준을 달리하는 복수의 답변 메시지 중에서 호감도 정보에 따라 선택된 답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호감도 정보에 따른 답변 메시지와 개인 정보를 반영한 개인화된 답변 메시지의 생성 예에 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대화 서비스 제공 흐름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게임 사용자(310)가 게임 시스템(320)을 통해 연예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을 시작하면 게임 캐릭터를 선택하게 되고 선택된 게임 캐릭터를 가지고 게임을 진행한다. 한편 이 게임 캐릭터는 가상 메신저 친구로 등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 서비스 제공장치(340)에게 게임 캐릭터의 메신저 친구 신청을 요청한다. 그러면 대화 서비스 제공장치(340)는 메신저 시스템(330)에 메신저 친구 등록을 요청하여, 이 게임 캐릭터를 가상 메신저 친구로 등록한다. 이후 사용자는 그동안 게임을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게임을 종료하고, 메신저 시스템(330)에 접속하여 가상 메신저 친구와 대화를 진행하면, 사용자는 대화 메시지를 메신저 시스템(330)에 입력하게 되고, 이 대화 메시지는 대화 서비스 제공장치(340)에 전달된다. 그리고 답변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다시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350)에 전달되고,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350)은 여러가지 형태의 답변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들 중에서 가상 메신저 친구에 대응되는 게임 캐릭터의 사용자에 대한 호감도 정보를 기초로 인공지능 감성대화모델을 통해 답변 메시지를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답변 메시지는 대화 서비스 제공장치(340)에 전달된다. 대화 서비스 제공장치(34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게임 시스템에서의 활동내역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기초로, 답변 메시지를 수정하거나 내용을 추가하여 개인화된 답변 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신저 시스템(330)을 통해 게임 사용자(310)에게 전달된다. 이후 사용자는 다른 대화 메시지를 입력하게 되고, 위와 같은 과정이 반복됨으로써 대화가 진행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시기에 대화를 종료할 수 있다.
도 4는 게임 캐릭터를 가상 메신저 친구로 등록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게임 사용자는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내에서의 게임 캐릭터를 선택하여, 메신저 친구로 등록하도록 대화 서비스 제공장치에 요청한다(410). 이를 위해 일 예로, 게임 캐릭터 아이디와 게임 사용자 아이디를 전달한다(420). 대화 서비스 제공장치는 상용 메신저 플랫폼의 API를 호출하여 해당 게임 캐릭터의 챗봇을 게임 사용자의 대화 친구로 등록하도록 요청한다(430). 등록이 성공하면 게임 데이터베이스(DB)에 게임 사용자와 게임 캐릭터가 메신저 친구가 되었다는 정보를 업데이트한다(440).
도 5는 가상 메신저 친구와 개인화된 감성 대화를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게임 캐릭터가 가상 메신저 친구로 등록된 상용 메신저를 실행한다(510). 그리고 상용 메신저에서 가상 메신저 친구를 선택하고(520), 사용자는 대화 문장을 입력한다(530). 상용 메신저 플랫폼에서는 사용자 ID와 사용자 입력 문장을 기 등록된 대화 서비스를 호출하면서 인자로 전달한다(540, 550). 대화 서비스 제공장치에서는 게임 DB에서 사용자와 게임 캐릭터 사이의 호감도 레벨 정보를 가져온다(560). 이렇게 가져온 게임 캐릭터의 호감도 레벨과 사용자 입력 문장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인공지능 감성대화모델 추론을 수행한다(570). 추론의 결과로 사용자의 대화 의도와 호감도 정도에 일치하는 답변 문장을 생성한다.
이후 생성된 답변 문장에서 사용자의 이름, 위치, 취미, 게임 이력 등의 개인 정보를 반영한 문장으로 변환하기 위해 생성 문장에 대한 엔티티 분석을 수행한다(580). 이렇게 분석된 문장의 엔티티들을 게임 DB 정보에서 사용자의 정보들과 매칭하여(590), 개인화 답변 문장을 최종 생성하여 메신저의 답변으로 제공한다. 이렇게 하여 한 턴의 감성대화가 종료된다. 이후 사용자가 다음 대화를 입력하면 전술한 절차에 따라 다시 진행된다.
도 6은 가상 메신저 친구와의 개인화된 감성 대화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호감도 레벨 별, 사용자 정보 별 개인화된 대화의 일 예이다. 호감도 레벨에 따른 문장의 생성과 관련한 일례로, 가장 낮은 호감도에서는 사무적인 답변을 생성하여 제공하고, 호감도가 증가함에 따라 보다 친숙한 사이에 사용하는 답변을 사용하고, 더욱 친밀해지면 다양한 이모티콘을 포함한 애교문장으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 피곤하다'라는 대화를 시도하면, 대화 의도가 사용자가 피곤함이라고 파악한 후, 그에 맞는 답변을 생성하는데, 호감도 레벨 1인 경우, 가장 사무적인 답변인 '나도 피곤해요', 또는 '인생은 피곤한 거예요' 라는 답변을 준비한다. 호감도 레벨 2인 경우, 조금 더 친근한 답변인, '아 그래요? 오늘은 일찍 주무세요', 또는 '반신욕이 피곤에 좋대요, 꼭 해보세요'라는 답변을 준비한다. 호감도 레벨이 3인 경우, 아주 친근한 답변인, '너 주말에도 일한거니? 힘내요(토닥토닥)', 또는 '피곤하겠다, 자장가 불러줄께요^^'와 같은 답변을 다양한 이모티콘이나 의성어, 의태어를 사용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호감도가 3이므로 '너 혹시 주말에도 일한거니? 힘내요(토닥토닥)' 과 같은 답변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정보에 따른 문장의 변경과 관련한 일례로, 문장의 구성 요소 중, 이름이나 지명과 같은 고유 대명사, 음식이나 취미와 같은 명사 등을 인식하여, 해당 명사를 사용자나 캐릭터 정보를 반영하여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최근 게임 내 사용자의 활동 내역을 반영하여, 답변 문장의 필요한 요소를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사용자의 이름이 김승대이고, 이 사용자가 어제 밤에 게임을 늦게까지 한 활동 내역을 참조하여, '승대, 어제 밤에도 포링러브 게임을 한 거니? 힘내요(토닥토닥)'이라는 개인화된 답변을 최종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육성한 게임 캐릭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게임 캐릭터를 메신저 시스템에 가상 메신저 친구로 등록하고 관리하는 게임 캐릭터 관리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신저 시스템을 통해 상기 가상 메신저 친구와의 대화를 요청하면, 상기 가상 메신저 친구에 대응되는 게임 캐릭터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개인화된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상기 가상 메신저 친구와 상기 사용자와 대화를 진행하고 관리하는 대화 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관리단계는,
    사용자로부터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상 메신저 친구에 대응되는 게임 캐릭터의 상기 사용자에 대한 호감도 정보를 게임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인공지능 감성대화모델을 통해 생성된 답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답변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대응시켜 개인화된 답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된 답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게임 시스템에서의 활동내역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답변 메시지를 수정하거나 내용을 추가하여 개인화된 답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감성대화모델을 통해 생성된 답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친밀도 수준을 달리하는 복수의 답변 메시지 중에서 상기 호감도 정보에 따라 선택된 답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캐릭터 관리단계는,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육성한 게임 캐릭터 아이디 및 사용자 아이디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메신저 시스템의 API 를 호출하여 상기 게임 캐릭터를 메신저 시스템에 가상 메신저 친구로 등록하고 관리하는 것을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방법.
  6.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육성한 게임 캐릭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게임 캐릭터를 메신저 시스템에 가상 메신저 친구로 등록하고 관리하는 게임 캐릭터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신저 시스템을 통해 상기 가상 메신저 친구와의 대화를 요청하면, 상기 가상 메신저 친구에 대응되는 게임 캐릭터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개인화된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상기 가상 메신저 친구와 상기 사용자와 대화를 진행하고 관리하는 대화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가상 메신저 친구에 대응되는 게임 캐릭터의 상기 사용자에 대한 호감도 정보를 게임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인공지능 감성대화모델을 통해 생성된 답변 메시지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관리부는,
    사용자로부터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가상 메신저 친구에 대응되는 게임 캐릭터의 상기 사용자에 대한 호감도 정보를 게임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인공지능 감성대화모델을 통해 생성된 답변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이를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대응시켜 개인화된 답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게임 시스템에서의 활동내역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답변 메시지를 수정하거나 내용을 추가하여 개인화된 답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관리부는
    친밀도 수준을 달리하는 복수의 답변 메시지 중에서 상기 호감도 정보에 따라 선택된 답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장치.
KR1020210157024A 2021-11-15 2021-11-15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20230070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024A KR20230070936A (ko) 2021-11-15 2021-11-15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024A KR20230070936A (ko) 2021-11-15 2021-11-15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936A true KR20230070936A (ko) 2023-05-23

Family

ID=8654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024A KR20230070936A (ko) 2021-11-15 2021-11-15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09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3774B2 (en) Contextual chat message generation in online environments
US20120054645A1 (en) Contextual chat based on behavior and usage
CA2697858C (en) Virtual pet chatting system, method and virtual pet questioning and answering server
Fraser et al. Spoken conversational ai in video games: Emotional dialogue management increases user engagement
KR101261349B1 (ko) 가상 세계에서 사회화를 강화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3355A (ko) 비디오 게임을 위한 인터랙티브 음성-제어 컴패니언 애플리케이션
JP2005235142A (ja) ユーザ間親密度測定システム及びユーザ間親密度測定プログラム
Velleman Bodies, selves
KR20230070936A (ko) 연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 캐릭터와의 메신저 시스템을 통한 대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Hasani et al. Immersive experience with non-player characters dynamic dialogue
KR101719742B1 (ko) 아바타를 사용한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2010252863A (ja) ゲームシステム、プログラム
Lima Configurative dynamics of gender in Bioware's marketing for the Mass Effect franchise
KR20210040208A (ko)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 능동형 인공지능 영상 캐릭터 시스템
Weinberger et al. A COMPARISON OF VIRTUAL WORLDS BASED ON THE METAVERSE MATURITY MODEL
Banks et al. Put on your game face: Designing the researcher presence in immersive digital environments
KR102641088B1 (ko)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Rehm et al. Rapid prototyping of social group dynamics in multiagent systems
Mendonca Writing for Each Other: Dynamic Quest Generation Using in Session Player Behaviors in Mmorpg
US11839817B1 (en) Gaming system and method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of non-player characters
Endrass et al. What would you do in their shoes? experiencing different perspectives in an interactive drama for multiple users
Sarinho et al. Providing an IM Cross-Platform Game Engine for Text-Messaging Games
Imbert et al. A fuzzy internal model for intelligent avatars
Umbraško et al. Applying ChatGPT in AI-based dynamic video game narrative generation system
Pelechano et al. Fictional Worlds, Real Connections: Developing Community Storytelling Social Chatbots through LL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