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0906A - Measuring cup - Google Patents
Measuring cu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70906A KR20230070906A KR1020210156947A KR20210156947A KR20230070906A KR 20230070906 A KR20230070906 A KR 20230070906A KR 1020210156947 A KR1020210156947 A KR 1020210156947A KR 20210156947 A KR20210156947 A KR 20210156947A KR 20230070906 A KR20230070906 A KR 202300709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body
- cup
- stopper
- passage
- measuring cup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4 liqu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54 powder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7/00—Methods or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capacity of containers or cavities, or the volume of solid bod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개시(The Present Disclosure)는 계량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measuring cups.
계량컵은 측면에 높이에 따른 양이 표시되어, 액체형태 또는 가루형태의 재료를 계량할 수 있는 컵이다.The measuring cup is a cup that can measure liquid or powdered materials by displaying the amount according to the height on the side.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3347호에는, 계량컵의 치수를 확인할 수 없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구멍을 갖는 몸체; 및 몸체의 구멍을 덮도록 설치되고, 수압에 의해 몸체 외부 쪽으로 팽창되는 수위 감지 부재를 구비하는 시각장애인용 컵이 게재되어 있다.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3347 discloses a body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a height direction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who cannot check the dimensions of a measuring cup; and a cup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is installed to cover the hole of the body and has a water level sensing member that expands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by water pressure.
전술한 공보를 참조하면, 수위 감지 부재는 촉각을 통해 시각장애인이 재료의 양을 계량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하지만, 수위 감지 부재는 계량하고자 하는 양보다 많은 양의 재료가 담겨야 촉각으로 감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은 계량컵으로부터 재료를 덜어내는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Referring to the aforementioned publication, the water level sensing member helps a visually impaired person to measure the amount of material through a tactile sense. However, the water level sensing member can be tactilely sensed only when the amount of material to be measured is contained in the water level sensing member, and accordingly,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has to perform a process of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measuring cup.
계량하고자 하는 재료의 양을 미리 설정할 수 있는 계량컵을 제공한다.A measuring cup is provided in which the amount of material to be weighed can be set in advance.
실시예에 따른 계량컵은, 컵본체; 상기 컵본체의 측면에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 상기 복수 개의 홀 각각에 구비되는 마개; 상기 컵본체의 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컵본체의 높이에 따른 부피 값이 표시되는 눈금; 상기 컵본체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벽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컵본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기둥부로 구성되는 받침대;를 포함한다.A measur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up body; a plurality of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 height direction on a side surface of the cup body; Stopper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a scale formed on a wall surface of the cup body and displaying a volume value according to a height of the cup body; and a pedestal including a plate portion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cup body, a wall portion formed on an edge of the plate portion, and a pillar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portion and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up body.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마개는, 마개본체; 상기 마개본체의 중앙에 마련되는 통로; 상기 마개본체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통로를 통해 컵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재료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상기 통로의 둘레에 형성되는 단차돌기; 상기 가이드에 마련되며, 상기 단차돌기에 탈착되는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opp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stopper body; a passag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stopper body; a guide hing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topper body and providing a movement path for material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up body through the passage; stepped protrusions formed around the passage; It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groove provided in the guide and detachable from the stepped protrusion.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둥부의 중앙에는 돌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컵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함몰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protrusion may be further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illar portion, and a recessed portion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may be further formed at a bottom surface of the cup body.
실시예에 따른 계량컵은 계량하고자 하는 재료의 양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The measuring cu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preset the amount of material to be measured.
실시예에 따른 계량컵을 이용하면, 재료를 덜어내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If the measuring cu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used, the process of removing the material can be omitted.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계량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계량컵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계량컵의 변형된 마개가 적용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asur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measuring cu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3 is an exploded view of FIG. 2 .
4 is a view to which a modified stopper of a measur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ppli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계량컵(100)[이하, '계량컵(100)'이라 함]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도 1은 계량컵(100)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1을 참조하면, 계량컵(100)은 컵본체(110), 홀(120), 마개(130), 눈금(140) 및 받침대(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컵본체(110)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며, 재료가 투입된다. 여기서, 재료는 분말 형태의 가루 또는 액체이다.The
복수 개의 홀(120)은 컵본체(110)의 측면에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다.A plurality of
마개(130)는 복수 개의 홀(120) 각각에 구비되어, 홀(120)을 통해 재료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개(130)는 홀(120)에 대응 되는 형태를 가지되, 마개(130)는 컵본체(110)의 내부를 향하는 면이 홀(120)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고, 컵본체(110)의 외부를 향하는 면이 홀(120)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홀(120)은 마개(130)가 부착된 때 재료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며, 마개(130)가 분리된 때 재료가 컵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In the
눈금(140)은 컵본체(110)의 벽면에 형성되고, 컵본체(110)의 높이에 따른 부피 값이 표시된다.The
계량컵(100)으로 계량하고자 하는 재료의 양을 미리 설정하는 방법은, 높이에 따른 부피 값이 표시된 눈금(140)을 확인하고, 그 눈금(140)과 평행한 위치에 구비된 마개(130)를 분리한다. 이후, 재료를 컵본체(110)에 투입함으로써, 재료를 덜어내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A method of presetting the amount of material to be weighed with the
또한, 복수 개의 홀(120) 중 지면에 가까운 홀에서 재료가 배출되므로, 사용자는 계량하고자 하는 부피 값이 표기된 눈금(140) 인근에 위치한 마개(130)를 홀(12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since the material is discharged from a hole close to the ground among the plurality of
받침대(150)는 홀(120)을 통해 컵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된 재료가 보관되는 곳으로서, 컵본체(110)의 하부를 지지하며, 플레이트부(151), 벽부(152) 및 기둥부(153)를 포함한다.The
플레이트부(151)는 컵본체(110)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진다.The
벽부(152)는 플레이트부(151)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플레이트부(151)의 상면에 재료가 보관되도록 한다.The
기둥부(153)는 플레이트부(151)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어, 컵본체(110)의 하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컵본체(110)의 하면이 플레이트부(151)에 보관된 재료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기둥부(153)는 홀(120)을 통해 배출된 재료가 닿지 않도록 컵본체(110)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계량컵(100)은 홀(120)을 통해 배출되는 재료에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지 않도록, 손잡이(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도 2는 계량컵(100)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다.2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기둥부(153)의 중앙에는 돌출부(154)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컵본체(110)의 바닥면에는 돌출부(154)를 수용하는 함몰부(1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a
함몰부(111)의 내부에 돌출부(154)가 배치된 상태에서, 컵본체(110)는 기둥부(153)의 상면에서 이동되지 않는다.In a state where the
돌출부(154)의 높이는 함몰부(111)의 깊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받침대(150)에 보관된 재료의 높이가 기둥부(153)의 상부까지 높아져도, 컵본체(110)의 바닥면은 재료에 접촉되지 않는다.The height of the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계량컵(100)의 변형된 마개(130)가 적용된 도면이다.4 is a view to which the modified
도 4를 참조하면, 마개(130)는 홀(120)로부터 배출되는 재료가 컵본체(110)의 측면에 닿지 않도록, 마개본체(131), 통로(132) 및 가이드(13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마개본체(131)는 복수 개의 홀(120) 각각에 구비된다.The
통로(132)는 마개본체(131)의 중앙에 마련되며, 이를 통해 재료가 컵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된다.The
가이드(133)는 마개본체(131)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며, 힌지를 기준으로 축회전 시 통로(132)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통로(132)를 통해 배출되는 재료가 컵본체(110)의 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통로(132)를 통해 배출된 재료가 플레이트부(151)에 도달하도록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The
도 4를 참조하면, 마개(130)는 가이드(133)로 통로(132)를 닫기 위한, 단차돌기(134)와 수용홈(135)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단차돌기(134)는 통로(132)의 둘레에 형성된다.The
수용홈(135)은 단차돌기(134)에 대응되는 단면적과 소정의 깊이로 가이드(133)에 마련되고, 단차돌기(134)에 탈착된다.The
통로(132)는 가이드(133)의 위치에 따라 개폐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133)는 단차돌기(134)에 수용홈(135)이 결합됨으로서, 통로(132)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통로(132)는 닫힌다. Opening and closing of the
반대로, 가이드(133)는 단차돌기(134)로부터 수용홈(135)이 분리됨으로서, 통로(132)는 열린다. 또한, 가이드(133)는 홈(135)을 통해 배출된 재료의 이동경로를 제공한다.Conversely, in the
따라서, 마개(130)는, 홀(12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가이드(133)를 하방으로 축회전시킴으로서, 통로(132)를 통해 컵본체(110)의 외부로 재료를 배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100 : 계량컵
110 : 컵본체
111 : 함몰부
120 : 홀
130 : 마개
131 : 마개본체
132 : 통로
133 : 가이드
134 : 단차돌기
135 : 수용홈
140 : 눈금
150 : 받침대
151 : 플레이트부
152 : 벽부
153 : 기둥부
154 : 돌출부
160 : 손잡이100: measuring cup
110: cup body 111: depression
120: hall
130: stopper 131: stopper body
132: aisle
133: Guide
134: step protrusion
135: receiving groove
140: scale
150: base 151: plate part
152: wall part
153: column part
154: protrusion
160: handle
Claims (3)
상기 컵본체의 측면에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
상기 복수 개의 홀 각각에 구비되는 마개;
상기 컵본체의 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컵본체의 높이에 따른 부피 값이 표시되는 눈금;
상기 컵본체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벽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컵본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기둥부로 구성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컵.cup body;
a plurality of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 height direction on a side surface of the cup body;
Stopper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a scale formed on a wall surface of the cup body and displaying a volume value according to a height of the cup body;
A pedestal composed of a plate portion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cup body, a wall portion formed on an edge of the plate portion, and a pillar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portion and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up body; Characterized by a measuring cup.
상기 마개는,
마개본체;
상기 마개본체의 중앙에 마련되는 통로;
상기 마개본체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통로를 통해 컵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재료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상기 통로의 둘레에 형성되는 단차돌기;
상기 가이드에 마련되며, 상기 단차돌기에 탈착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컵.According to claim 1,
The stopper,
stopper body;
a passag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stopper body;
a guide hing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topper body and providing a movement path for material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up body through the passage;
stepped protrusions formed around the passage;
The measuring cu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ccommodating groove provided in the guide and detachable from the stepped protrusion.
상기 기둥부의 중앙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컵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컵.
According to claim 1,
A measuring cup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s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illar portion, and a recessed portion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6947A KR102680709B1 (en) | 2021-11-15 | 2021-11-15 | Measuring cu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6947A KR102680709B1 (en) | 2021-11-15 | 2021-11-15 | Measuring cup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0906A true KR20230070906A (en) | 2023-05-23 |
KR102680709B1 KR102680709B1 (en) | 2024-07-03 |
Family
ID=8654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56947A KR102680709B1 (en) | 2021-11-15 | 2021-11-15 | Measuring cu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80709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51686U (en) * | 1997-11-13 | 1998-09-02 | 丈夫 久保 | Simple water meter |
KR200390158Y1 (en) * | 2005-04-15 | 2005-07-21 | 광 용 이 | a cup holder |
KR200463347Y1 (en) | 2011-02-24 | 2012-11-05 | 김민기 | Cup for blind person capable of perceiving by touch feeling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51686B2 (en) * | 1996-11-22 | 2000-06-12 | 株式会社鹿児島物流 | Roller type charcoal grill machine |
-
2021
- 2021-11-15 KR KR1020210156947A patent/KR10268070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51686U (en) * | 1997-11-13 | 1998-09-02 | 丈夫 久保 | Simple water meter |
KR200390158Y1 (en) * | 2005-04-15 | 2005-07-21 | 광 용 이 | a cup holder |
KR200463347Y1 (en) | 2011-02-24 | 2012-11-05 | 김민기 | Cup for blind person capable of perceiving by touch feel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80709B1 (en) | 2024-0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00182B2 (en) | Liquid dispenser | |
US20140238985A1 (en) | Beverage container cap | |
CN107635887A (en) | Distributor, valve, there is it to accommodate equipment, inclusion mobile device and inclusion equipment | |
RU2447532C2 (en) | Swing button with led display | |
KR20230070906A (en) | Measuring cup | |
US9603690B1 (en) | Container for dental appliances | |
US7198167B2 (en) | Sipper cup with medicine dispenser | |
JPH0714825Y2 (en) | Windshield for precision balance | |
KR20160104526A (en) | Contents passing device, valve and container apparatus, contents moving apparatus and contents apparatus having the contents passing device and valve | |
CN107920649A (en) | Possess the cosmetics containers of identification device | |
KR200476477Y1 (en) | An alarm device for a cup used in visually impaired | |
JP3731728B2 (en) | Metering container | |
KR200483635Y1 (en) | Cosmetic vessel | |
JP6233841B2 (en) | Pill container | |
JPH09301392A (en) | Liquid measuring cap | |
KR101535646B1 (en) | Water Level Checking Device for Visual Impairment Person | |
KR101495874B1 (en) | Contact Lens Case | |
KR20170006478A (en) | The cosmetics case | |
KR102688758B1 (en) | A smart cosmetics container | |
JP2013244733A (en) | Water dome type calendar | |
JP2521994Y2 (en) | Liquid metering container | |
CN210902722U (en) | Integrated powder quantitative containing device | |
JPH0726664Y2 (en) | Quantitative extractor for coffee beans | |
JPH0711561U (en) | Brush dispensing container | |
CN207804034U (en) | Pressure cooking applia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