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0823A -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0823A
KR20230070823A KR1020210156805A KR20210156805A KR20230070823A KR 20230070823 A KR20230070823 A KR 20230070823A KR 1020210156805 A KR1020210156805 A KR 1020210156805A KR 20210156805 A KR20210156805 A KR 20210156805A KR 20230070823 A KR20230070823 A KR 20230070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
noise
information
floor nois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운
김대건
정희웅
최현빈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56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0823A/ko
Publication of KR20230070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8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01H1/1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of longitudinal or not specified vibr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발생되는 층간소음으로 야기되는 세대 간 갈등/분쟁이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아파트 중앙관제서버로 수집되는 객관적 층간소음 지표와 주관적 층간소음 지표, 구체적인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를 통해 조정될 수 있도록 하고, 관리자를 매개로 분쟁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 구성(세대원 이동통신단말기, 층간소음 관리애플리케이션, 세대원 인터폰유닛, 아파트 중앙관제서버, 관리자 단말기 등이 통신네트워킹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층간소음에 대한 합리적인 공적 해결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객관적 층간소음 지표 산출이 필요한 경우에만 세대원의 선택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만 소음진동 측정이 이루어져 전원소비가 절감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mediating conflict by floor noise and floor vibration in apartment}
본 발명은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발생되는 층간소음으로 야기되는 세대 간 갈등/분쟁이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아파트 중앙관제서버로 수집되는 객관적 층간소음 지표와 주관적 층간소음 지표, 구체적인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를 통해 조정될 수 있도록 하고, 관리자를 매개로 분쟁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 구성(세대원 이동통신단말기, 층간소음 관리애플리케이션, 세대원 인터폰유닛, 아파트 중앙관제서버, 관리자 단말기 등이 통신네트워킹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층간소음에 대한 합리적인 공적 해결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객관적 층간소음 지표 산출이 필요한 경우에만 세대원의 선택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만 소음진동 측정이 이루어져 전원소비가 절감될 수 있는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구밀집 지역의 초고층 아파트와 다세대 주택이 늘어나면서 겨울철 층간소음 갈등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날씨가 춥다보니 사람들이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고 이웃 간의 층간소음 문제 발생도 그 만큼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은 한 층의 소음이 다른 층의 가구에 전달되는 것을 말하는데, 주택법에 따르면 공동주택에서 뛰거나 걷는 동작에서 발생하는 소음 등을 직접충격소음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국토교통부와 환경부는 텔레비전, 오디오, 악기 등에서 발생한 소음이 공기를 타고 전파되는 공기전달 소음도 층간소음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래서 위 아래층 사이가 아니더라도 옆집이나 대각선 방향에서 생겨나는 소음 역시 층간소음에 해당된다고 한다.
층간소음으로 인해 범죄 및 피해가 늘어나가다 보니 정부는 공동주택 층간소음 방지기준을 정하였다. 2004년 4월 23일부터 가볍고 딱딱한 충격에 의한 소음을 나타내는 경량충격음에 대한 기준을 시행하였고, 2005년 7월에는 무겁고 부드러운 충격에 의한 소음을 나타내는 중량 충격음에 대한 기준도 시행하였다. 이러한 공동주택 층간소음 방지기준의 법적 기준을 살펴보면 제2조(층간소음의 범위)에는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범위는 입주자 또는 사용자의 활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으로서 다른 입주자 또는 사용자에게 피해를 주는 다음 각 호의 소음으로 한다. 다만, 욕실, 화장실 및 다용도실 등에서 급수나 배수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은 제외한다. 라고 되어있다. 2014년 국토교통부와 환경부가 공동 제정한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범위와 기준에 관한 규칙」을 살펴보면, 층간소음 기준은 직접충격 소음과 공기전달 소음으로 나뉜다. 직접충격 소음은 1분간 등가소음도(Leq)와 최고소음도(Lmax)로 평가하며 공기전달 소음은 5분간 등가소음도로 평가한다. 등가소음도는 소음측정기를 들고 일정 시간 동안 측정한 소음의 평균치를 말한다. 즉 1분 등가소음도는 1분간 측정한 소음을 평균으로 환산한 것이다. 최고소음도는 측정 시간 동안 발생한 소음 중에서 가장 수치가 높은 소음을 말한다. 또한, 직접충격 소음의 층간소음 기준은 1분간 등가소음도가 주간 43dB(데시벨), 야간 38dB이며 최고소음도는 주간 57dB, 야간 52dB이다. 공기전달 소음의 층간소음 기준은 5분간 등가소음도가 주간 45dB, 야간 40dB이다. 이때 1분간 등가소음도와 5분간 등가소음도는 측정한 값 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하며 최고소음도는 1시간에 3회 이상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층간소음으로 판단한다. 단 다세대주택이나 연립주택 등 일부 공동주택은 직접충격 소음의 기준을 5dB 더해 적용한다.
정부는 층간소음으로 인한 심각한 사회문제를 해소하고자 분쟁조정을 위한‘국가소음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공동주택의 입주자는 「주택법」에 따라 층간소음으로 다른 입주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주택법」제44조의2에서는 층간소음으로 피해를 본 입주자는 관리 주체에게 층간소음 발생 사실을 알려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관리주체는 사실관계를 파악한 뒤 층간소음 피해를 일으킨 입주자에게 소리를 줄이거나 막도록 권유해야 하며 층간소음을 일으킨 입주자는 이에 협조해야 한다. 만일 관리주체가 개입한 이후에도 층간소음이 계속된다면 피해를 본 입주자는 공동주택관리 분쟁조정위원회나 「환경분쟁조정법」에 따른 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할 수 있다. 또한, 공동주택 층간소음 방지기준도 마련하였는데,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14조의2에 따라 공동주택의 콘크리트 슬래브 두께는 210mm 이상, 라멘구조의 공동주택은 150mm 이상이어야 한다. 층간 바닥은 각 층간 바닥충격음을 기준으로 경량충격음이 58dB 이하, 중량충격음이 50dB 이하의 구조가 되어야 한다(단, 해당 기준에서 공동주택의 발코니, 현관 등의 바닥이나 라멘구조 등의 공동주택은 제외된다).
이와 같이, 정부의 소음방지대책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층간소음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은 피해자와 제공자 간에 층간소음 정도에 대한 정보와 발생지의 추적이 용이하지 않아 감정싸움이나 살인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기술들을 살펴보면, 층간소음 방지 장치는 대부분의 에어포켓 구조체(등록특허 제10-1481691호, 2015.01.21)나, 플로어에서 뜬 구조체(제10-0671455호) 등이 대부분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475261호(2014.12.22)의 층간소음 알림 시스템에는 천정의 진동을 감지하여 통신망(인터넷)과 연결되어 기준 레벨 이상이면 D/B에 저장하고 음성출력기로 송신하는 웹서버를 통해 출력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층간소음 알림 시스템은 실제 층간소음을 느끼는 아래 세대의 불편정도를 고려할 수 없었으며, 아파트 관리자를 매개로 한 원활한 분쟁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69640호 "층간소음 정보제공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33731호 "네트워크를 통한 아파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파트 관리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소음진동 측정기에 의한 층간소음 측정레벨 정보, 세대원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층간소음 관리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층간소음 평가레벨 정보 및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아파트 중앙관제서버와 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를 접수한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층간소음 해소를 위한 조치사항 관련정보 포함), 층간소음 관리정보(층간소음 발생 세대에 대한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층간소음 해소 요청메시지 포함)가 해당 세대로 전송되는 시스템 구조를 통해 층간소음으로 야기되는 세대 간 갈등/분쟁이 아파트 관리자를 매개로 정량 데이터/정성 데이터에 기반한 합리적인 공적 해결프로세스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객관적 층간소음 지표 산출이 필요한 경우에만 세대원의 선택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만 소음진동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원소비가 절감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아파트의 각 세대 내부공간 천정면에 배치되고, 상부 세대로부터 유도되는 소음진동을 측정하고 저장하되, 증거검출용 측정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고, 측정기 활성화신호 수신시 온(on) 동작하여 상기 증거검출용 측정시간 동안 소음진동을 측정하고 저장하게 되는 소음진동 측정기(100); 아파트의 각 세대원이 소지하는 세대원 이동통신단말기(200); 상기 세대원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설치되고, 세대원이 주거하는 아파트 세대정보가 설정되며, 층간소음을 감지한 세대원에 의해 측정기 활성화신호,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가 입력되는 한편, 아파트 관리사무소로부터 전송된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가 출력되는 층간소음 관리애플리케이션(300); 아파트의 각 세대 내부공간 벽면에 배치되고, 사운드 입출력기(410)와 디스플레이 패널(420)이 구비되며, 상기 소음진동 측정기(100)와 세대원 이동통신단말기(200)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소음진동 측정정보와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를 전달받게 되며, 아파트 관리사무소로부터 전송된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가 사운드 입출력기(410)와 디스플레이 패널(42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출력되는 세대원 인터폰유닛(400);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배치되어 상기 세대원 인터폰유닛(400)과 연결되고, 상기 세대원 인터폰유닛(400)과의 통신으로 층간소음 소스정보의 수신 및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와 층간소음 관리정보의 송신을 수행하되, 상기 층간소음 소스정보는 소음진동 측정정보와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는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를 접수한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층간소음 해소를 위한 조치사항 관련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층간소음 관리정보는 층간소음 소스정보와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로부터 추정되는 층간소음 발생 세대에 대한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층간소음 해소 요청메시지를 포함하는 아파트 중앙관제서버(500); 상기 아파트 중앙관제서버(500)와 연동되어 운용되고,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관리요원에 의해 조작되며, 층간소음 소스정보의 출력과 층간소음 소스정보 분석에 의해 도출되는 층간소음 관리정보,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의 입력이 수행되는 관리자 단말기(6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에서 상기 층간소음 관리애플리케이션(300)은, 아파트 동호수가 포함되는 아파트 세대정보, 주거인원과 주거인원 연령대가 포함되는 세대원 정보가 설정되는 기본정보 설정유닛(310); 층간소음을 감지한 세대원의 측정기 활성화신호 입력과 측정기 활성화신호의 송신을 관리하는 측정기 관리유닛(320); 층간소음 주관적 정량평가를 위한 층간소음 평가레벨이 설정개수의 고저(高低) 단계로 설정되어 있으며, 세대원의 층간소음 평가레벨 선택정보 입력 및 층간소음 평가레벨 선택정보의 송신을 관리하는 층간소음 정량평가 관리유닛(330); 층간소음을 감지한 세대원의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 입력을 관리하는 요청메시지 관리유닛(340); 아파트 관리사무소로부터 전송된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가 출력되는 수신정보 관리유닛(3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에서 상기 아파트 중앙관제서버(500)는, 아파트 전세대의 세대원 인터폰유닛(400)과의 통신으로 전체 층간소음 소스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층간소음 소스정보는 소음진동 측정정보,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 층간소음 평가레벨 선택정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소스정보 수집유닛(510); 전체 세대원 인터폰유닛(400)으로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층간소음 소스정보의 소음진동 측정정보를 집적하여 실시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소음진동 측정정보 DB(520); 전체 세대원 인터폰유닛(400)으로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층간소음 소스정보의 층간소음 평가레벨 선택정보를 집적하여 실시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층간소음 평가레벨 DB(530); 소음진동 측정정보 DB(520)로부터 소음진동 측정정보를 전달받아 분석하는 소음진동 측정정보 분석알고리즘(541)이 구비되고, 층간소음을 발생시킨 세대의 동호수 정보, 층간소음 객관적 정량평가를 위한 층간소음 측정레벨 정보가 상기 소음진동 측정정보 분석알고리즘(541)로부터 산출되는 객관적 층간소음 지표 산출유닛(540); 층간소음 평가레벨 DB(530)로부터 층간소음 평가레벨 선택정보를 전달받아 통계분석하는 층간소음 평가레벨 분석알고리즘(551)이 구비되고, 층간소음을 발생시킨 세대의 동호수 정보, 층간소음 주관적 정량평가를 위한 층간소음 평가레벨 통계정보가 상기 층간소음 평가레벨 분석알고리즘(551)로부터 산출되는 주관적 층간소음 지표 산출유닛(550); 상기 층간소음 소스정보 수집유닛(510)으로부터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를 아파트 동호수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관리요청 메시지 관리유닛(560); 상기 객관적 층간소음 지표 산출유닛(540), 주관적 층간소음 지표 산출유닛(550), 관리요청 메시지 관리유닛(560)과 연동되어 층간소음 측정레벨 정보, 층간소음 평가레벨 통계정보,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600)로 전송하는 층간소음 분석정보 전송유닛(570); 층간소음 측정레벨 정보, 층간소음 평가레벨 통계정보,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가 출력된 상기 관리자 단말기(600)로부터 입력되는 층간소음 관리정보,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관리자 입력정보 수신유닛(580); 상기 관리자 입력정보 수신유닛(580)으로부터 층간소음 관리정보,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층간소음 관리정보는 층간소음을 발생시킨 세대의 세대원 인터폰유닛(400)으로 송신하며, 상기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는 층간소음을 감지한 세대의 세대원 인터폰유닛(400)으로 송신하는 관리자 입력정보 송신유닛(59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아파트 층간소음으로 야기될 수 있는 세대 간 갈등/분쟁이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아파트 중앙관제서버로 수집되는 객관적 층간소음 지표와 주관적 층간소음 지표, 구체적인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를 통해 관리자를 매개로 조정되는 구조가 제공되므로, 층간소음에 대한 합리적인 공적 해결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의 기본 구성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관리애플리케이션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중앙관제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1)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 1에서와 같이 소음진동 측정기(100), 세대원 이동통신단말기(200), 층간소음 관리애플리케이션(300), 세대원 인터폰유닛(400), 아파트 중앙관제서버(500), 관리자 단말기(6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소음진동 측정기(100)는 아파트의 각 세대 내부공간 천정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부 세대로부터 유도되는 소음진동을 측정하고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진동 측정기(100)는 증거검출용 측정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측정기 활성화신호 수신시 온(on) 동작하여 증거검출용 측정시간 동안 소음진동을 측정하고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소음진동 측정기(100)는 층간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상부 세대의 움직임에 의한 소음진동 주파수 범위가 설정되어, 해당 주파수 범위의 소음진동만을 측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진동 측정기(100)는 착탈가능하게 천정면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설치위치 변경이나 조정이 가능해지고, 아파트 세대에 사후적 설치가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1)은 세대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각 영역(침실, 거실, 화장실, 드레스룸 등)에 복수의 소음진동 측정기(100)가 설치되어 층간소음 발생을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도록 한다.
세대원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아파트의 각 세대원이 소지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서,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이 될 수 있다.
층간소음 관리애플리케이션(300)은 세대원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세대원이 주거하는 아파트 세대정보(아파트 동호수 정보 등)가 층간소음 관리애플리케이션(300)에 설정된다. 그리고 층간소음 관리애플리케이션(300)은 층간소음을 감지한 세대원에 의해 측정기 활성화신호,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가 입력되도록 하는 한편, 아파트 관리사무소로부터 전송된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세대원은 층간소음을 감지하게 될 경우 자신의 세대원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설치된 층간소음 관리애플리케이션(300)을 활성화시킨 다음, 층간소음 관리애플리케이션(300)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 메뉴항목을 활용하여 층간소음 해소를 위한 행동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관리애플리케이션(300)은 도 2에서와 같이 기본정보 설정유닛(310), 측정기 관리유닛(320), 층간소음 정량평가 관리유닛(330), 요청메시지 관리유닛(340), 수신정보 관리유닛(3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기본정보 설정유닛(310)은 아파트 동호수가 포함되는 아파트 세대정보, 주거인원과 주거인원 연령대가 포함되는 세대원 정보가 설정되는 유닛이다.
측정기 관리유닛(320)은 층간소음을 감지한 세대원의 측정기 활성화신호 입력과 측정기 활성화신호의 송신을 관리하는 유닛이다.
층간소음 정량평가 관리유닛(330)에는 층간소음 주관적 정량평가를 위한 층간소음 평가레벨이 설정개수의 고저(高低) 단계로 설정되어 있는데, 세대원의 층간소음 평가레벨 선택정보 입력 및 층간소음 평가레벨 선택정보의 송신을 관리하게 된다. 층간소음 평가레벨은 세대원 자신이 느끼는 주관적인 층간소음의 정도를 정량적인 지표로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아라비아 숫자로 고저단계를 나타낼 수도 있고, 영문자로 고저단계를 나타낼 수도 있다.
요청메시지 관리유닛(340)은 층간소음을 감지한 세대원의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 입력을 관리하는 유닛이다. 세대원은 층간소음 발생에 따른 불편사항, 현재 발생한 층간소음의 해소를 위해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조치해주길 바라는 사항 등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를 입력하게 되는데,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는 문자메시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직접적인 음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직접적인 음성으로 구현될 경우 세대원 인터폰유닛(400)을 통해 아파트 중앙관제서버(500)로 실시간으로 음성이 전달되면서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상주 관리요원과 직접 상호소통할 수 있게 된다.
수신정보 관리유닛(350)은 아파트 관리사무소로부터 전송된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가 출력되는 유닛이다. 여기서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는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를 접수한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층간소음 해소를 위한 조치사항 관련정보를 포함한다.
세대원 인터폰유닛(400)은 아파트의 각 세대 내부공간 벽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사운드 입출력기(410)와 디스플레이 패널(42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세대원 인터폰유닛(400)은 소음진동 측정기(100)와 세대원 이동통신단말기(200)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소음진동 측정정보와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를 전달받게 되며, 아파트 관리사무소로부터 전송된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나 층간소음 관리정보가 사운드 입출력기(410)나 디스플레이 패널(420)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세대원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층간소음 관리애플리케이션(300)를 통하지 않더라도 세대원 인터폰유닛(400)을 통해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의 음성 출력이나 화면 출력이 될 수도 있고, 필요시 세대원의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가 층간소음 관리애플리케이션(300)이 아닌 세대원 인터폰유닛(400)의 사운드 입출력기(410)와 디스플레이 패널(420)을 통해 아파트 관리사무소도 전달될 수도 있다.
아파트 중앙관제서버(500)는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배치되어 세대원 인터폰유닛(400)과 연결되는 것으로, 세대원 인터폰유닛(400)과의 통신으로 층간소음 소스정보의 수신 및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와 층간소음 관리정보의 송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층간소음 소스정보는 소음진동 측정정보와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를 포함하고, 층간소음 관리정보는 층간소음 소스정보와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로부터 추정되는 층간소음 발생 세대에 대한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층간소음 해소 요청메시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중앙관제서버(500)는 도 3에서와 같이 층간소음 소스정보 수집유닛(510), 소음진동 측정정보 DB(520), 층간소음 평가레벨 DB(530), 객관적 층간소음 지표 산출유닛(540), 주관적 층간소음 지표 산출유닛(550), 관리요청 메시지 관리유닛(560), 층간소음 분석정보 전송유닛(570), 관리자 입력정보 수신유닛(580), 관리자 입력정보 송신유닛(59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층간소음 소스정보 수집유닛(510)은 아파트 전세대의 세대원 인터폰유닛(400)과의 통신으로 전체 층간소음 소스정보를 수신하는 유닛이다. 전체 층간소음 소스정보는 층간소음이 발생된 세대에 한하여 전체적으로 수집된 정보를 의미하고, 층간소음 소스정보는 소음진동 측정정보,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 층간소음 평가레벨 선택정보를 포함한다.
소음진동 측정정보 DB(520)은 전체 세대원 인터폰유닛(400)으로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층간소음 소스정보의 소음진동 측정정보를 집적하여 실시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DB이다.
층간소음 평가레벨 DB(530)는 전체 세대원 인터폰유닛(400)으로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층간소음 소스정보의 층간소음 평가레벨 선택정보를 집적하여 실시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DB이다.
객관적 층간소음 지표 산출유닛(540)은 소음진동 측정정보 DB(520)로부터 소음진동 측정정보를 전달받아 분석하는 소음진동 측정정보 분석알고리즘(541)을 구비하는데, 층간소음을 발생시킨 세대의 동호수 정보, 층간소음 객관적 정량평가를 위한 층간소음 측정레벨 정보가 소음진동 측정정보 분석알고리즘(541)로부터 산출된다. 층간소음 측정레벨 정보는 층간소음을 발생시킨 세대의 바로 아래 하부 세대가 복수일 경우, 각 하부 세대의 소음진동 측정정보를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산출되는 정보이다. 층간소음 측정레벨 정보도 설정개수의 고저(高低) 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주관적 층간소음 지표 산출유닛(550)은 층간소음 평가레벨 DB(530)로부터 층간소음 평가레벨 선택정보를 전달받아 통계분석하는 층간소음 평가레벨 분석알고리즘(551)을 구비하는데, 층간소음을 발생시킨 세대의 동호수 정보, 층간소음 주관적 정량평가를 위한 층간소음 평가레벨 통계정보가 층간소음 평가레벨 분석알고리즘(551)로부터 산출된다. 즉 층간소음 평가레벨 통계정보는 층간소음을 발생시킨 세대의 바로 아래 하부 세대가 복수일 경우, 각 하부 세대의 층간소음 평가레벨 선택정보를 통계분석하여 산출된다.
관리요청 메시지 관리유닛(560)은 층간소음 소스정보 수집유닛(510)으로부터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를 아파트 동호수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유닛이다.
층간소음 분석정보 전송유닛(570)은 객관적 층간소음 지표 산출유닛(540), 주관적 층간소음 지표 산출유닛(550), 관리요청 메시지 관리유닛(560)과 연동되어 층간소음 측정레벨 정보, 층간소음 평가레벨 통계정보,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기(600)로 전송하는 유닛이다.
관리자 입력정보 수신유닛(580)은 층간소음 측정레벨 정보, 층간소음 평가레벨 통계정보,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가 출력된 상기 관리자 단말기(600)로부터 입력되는 층간소음 관리정보,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유닛이다.
관리자 입력정보 송신유닛(590)은 관리자 입력정보 수신유닛(580)으로부터 층간소음 관리정보,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를 전달받고, 층간소음 관리정보는 층간소음을 발생시킨 세대의 세대원 인터폰유닛(400)으로 송신하며,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는 층간소음을 감지한 세대의 세대원 인터폰유닛(400)으로 송신하는 유닛이다.
관리자 단말기(600)는 아파트 중앙관제서버(500)와 연동되어 운용되는 것으로,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관리요원에 의해 조작되며, 층간소음 소스정보의 출력과 층간소음 소스정보 분석에 의해 도출되는 층간소음 관리정보,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의 입력이 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1)은 소음진동 측정기에 의한 층간소음 측정레벨 정보, 세대원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층간소음 관리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층간소음 평가레벨 정보 및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아파트 중앙관제서버와 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를 접수한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층간소음 해소를 위한 조치사항 관련정보 포함), 층간소음 관리정보(층간소음 발생 세대에 대한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층간소음 해소 요청메시지 포함)가 해당 세대로 전송되는 시스템 구조를 통해 층간소음으로 야기되는 세대 간 갈등/분쟁이 아파트 관리자를 매개로 정량 데이터/정성 데이터에 기반한 합리적인 공적 해결프로세스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1)은 객관적 층간소음 지표 산출이 필요한 경우에만 세대원의 선택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만 소음진동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원소비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
100 : 소음진동 측정기
200 : 세대원 이동통신단말기
300 : 층간소음 관리애플리케이션
310 : 기본정보 설정유닛
320 : 측정기 관리유닛
330 : 층간소음 정량평가 관리유닛
340 : 요청메시지 관리유닛
350 : 수신정보 관리유닛
400 : 세대원 인터폰유닛
410 : 사운드 입출력기
420 : 디스플레이 패널
500 : 아파트 중앙관제서버
510 : 층간소음 소스정보 수집유닛
520 : 소음진동 측정정보 DB
530 : 층간소음 평가레벨 DB
540 : 객관적 층간소음 지표 산출유닛
541 : 소음진동 측정정보 분석알고리즘
550 : 주관적 층간소음 지표 산출유닛
551 : 층간소음 평가레벨 분석알고리즘
560 : 관리요청 메시지 관리유닛
570 : 층간소음 분석정보 전송유닛
580 : 관리자 입력정보 수신유닛
590 : 관리자 입력정보 송신유닛
600 : 관리자 단말기

Claims (3)

  1. 아파트의 각 세대 내부공간 천정면에 배치되고, 상부 세대로부터 유도되는 소음진동을 측정하고 저장하되, 증거검출용 측정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고, 측정기 활성화신호 수신시 온(on) 동작하여 상기 증거검출용 측정시간 동안 소음진동을 측정하고 저장하게 되는 소음진동 측정기(100);
    아파트의 각 세대원이 소지하는 세대원 이동통신단말기(200);
    상기 세대원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설치되고, 세대원이 주거하는 아파트 세대정보가 설정되며, 층간소음을 감지한 세대원에 의해 측정기 활성화신호,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가 입력되는 한편, 아파트 관리사무소로부터 전송된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가 출력되는 층간소음 관리애플리케이션(300);
    아파트의 각 세대 내부공간 벽면에 배치되고, 사운드 입출력기(410)와 디스플레이 패널(420)이 구비되며, 상기 소음진동 측정기(100)와 세대원 이동통신단말기(200)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소음진동 측정정보와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를 전달받게 되며, 아파트 관리사무소로부터 전송된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나 층간소음 관리정보가 사운드 입출력기(410)와 디스플레이 패널(42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출력되는 세대원 인터폰유닛(400);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배치되어 상기 세대원 인터폰유닛(400)과 연결되고, 상기 세대원 인터폰유닛(400)과의 통신으로 층간소음 소스정보의 수신 및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와 층간소음 관리정보의 송신을 수행하되, 상기 층간소음 소스정보는 소음진동 측정정보와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는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를 접수한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층간소음 해소를 위한 조치사항 관련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층간소음 관리정보는 층간소음 소스정보와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로부터 추정되는 층간소음 발생 세대에 대한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층간소음 해소 요청메시지를 포함하는 아파트 중앙관제서버(500);
    상기 아파트 중앙관제서버(500)와 연동되어 운용되고,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관리요원에 의해 조작되며, 층간소음 소스정보 분석에 의해 도출되는 층간소음 관리정보,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의 입력이 수행되는 관리자 단말기(6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소음 관리애플리케이션(300)은,
    아파트 동호수가 포함되는 아파트 세대정보, 주거인원과 주거인원 연령대가 포함되는 세대원 정보가 설정되는 기본정보 설정유닛(310);
    층간소음을 감지한 세대원의 측정기 활성화신호 입력과 측정기 활성화신호의 송신을 관리하는 측정기 관리유닛(320);
    층간소음 주관적 정량평가를 위한 층간소음 평가레벨이 설정개수의 고저(高低) 단계로 설정되어 있으며, 세대원의 층간소음 평가레벨 선택정보 입력 및 층간소음 평가레벨 선택정보의 송신을 관리하는 층간소음 정량평가 관리유닛(330);
    층간소음을 감지한 세대원의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 입력을 관리하는 요청메시지 관리유닛(340);
    아파트 관리사무소로부터 전송된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가 출력되는 수신정보 관리유닛(3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파트 중앙관제서버(500)는,
    아파트 전세대의 세대원 인터폰유닛(400)과의 통신으로 전체 층간소음 소스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층간소음 소스정보는 소음진동 측정정보,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 층간소음 평가레벨 선택정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소스정보 수집유닛(510);
    전체 세대원 인터폰유닛(400)으로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층간소음 소스정보의 소음진동 측정정보를 집적하여 실시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소음진동 측정정보 DB(520);
    전체 세대원 인터폰유닛(400)으로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층간소음 소스정보의 층간소음 평가레벨 선택정보를 집적하여 실시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층간소음 평가레벨 DB(530);
    소음진동 측정정보 DB(520)로부터 소음진동 측정정보를 전달받아 분석하는 소음진동 측정정보 분석알고리즘(541)이 구비되고, 층간소음을 발생시킨 세대의 동호수 정보, 층간소음 객관적 정량평가를 위한 층간소음 측정레벨 정보가 상기 소음진동 측정정보 분석알고리즘(541)로부터 산출되는 객관적 층간소음 지표 산출유닛(540);
    층간소음 평가레벨 DB(530)로부터 층간소음 평가레벨 선택정보를 전달받아 통계분석하는 층간소음 평가레벨 분석알고리즘(551)이 구비되고, 층간소음을 발생시킨 세대의 동호수 정보, 층간소음 주관적 정량평가를 위한 층간소음 평가레벨 통계정보가 상기 층간소음 평가레벨 분석알고리즘(551)로부터 산출되는 주관적 층간소음 지표 산출유닛(550);
    상기 층간소음 소스정보 수집유닛(510)으로부터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를 아파트 동호수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관리요청 메시지 관리유닛(560);
    상기 객관적 층간소음 지표 산출유닛(540), 주관적 층간소음 지표 산출유닛(550), 관리요청 메시지 관리유닛(560)과 연동되어 층간소음 측정레벨 정보, 층간소음 평가레벨 통계정보,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600)로 전송하는 층간소음 분석정보 전송유닛(570);
    층간소음 측정레벨 정보, 층간소음 평가레벨 통계정보, 층간소음 관리요청 메시지가 출력된 상기 관리자 단말기(600)로부터 입력되는 층간소음 관리정보,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관리자 입력정보 수신유닛(580);
    상기 관리자 입력정보 수신유닛(580)으로부터 층간소음 관리정보,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층간소음 관리정보는 층간소음을 발생시킨 세대의 세대원 인터폰유닛(400)으로 송신하며, 상기 층간소음 대응결과정보는 층간소음을 감지한 세대의 세대원 인터폰유닛(400)으로 송신하는 관리자 입력정보 송신유닛(59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
KR1020210156805A 2021-11-15 2021-11-15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 KR202300708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805A KR20230070823A (ko) 2021-11-15 2021-11-15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805A KR20230070823A (ko) 2021-11-15 2021-11-15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823A true KR20230070823A (ko) 2023-05-23

Family

ID=8654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805A KR20230070823A (ko) 2021-11-15 2021-11-15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082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640B1 (ko) 2017-02-17 2018-06-20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층간소음 정보제공 장치
KR102033731B1 (ko) 2019-04-22 2019-11-08 성창화 네트워크를 통한 아파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파트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640B1 (ko) 2017-02-17 2018-06-20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층간소음 정보제공 장치
KR102033731B1 (ko) 2019-04-22 2019-11-08 성창화 네트워크를 통한 아파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파트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k et al. Levels and sources of neighbour noise in heavyweight residential buildings in Korea
Ljunggren et al. Correlation between sound insulation and occupants’ perception–Proposal of alternative single number rating of impact sound
Scholl et al. Rating of sound insulation at present and in future. The revision of ISO 717
KR101343345B1 (ko) 층간소음민원 및 방범관리가 가능한 층간소음정보 생성시스템
Caniato et al. Assessment criterion for indoor noise disturbance in the presence of low frequency sources
Bard et al. Acoustic comfort investigation in residential timber buildings in Sweden
KR20220105239A (ko)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Caniato et al. Low frequency noise and disturbance assessment methods: A brief literature overview and a new proposal
Oh et al. Acoustic design guidelines for houses for hearing impaired seniors–in the framework of Korean building codes
KR102368440B1 (ko)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20230070823A (ko) 아파트 층간소음 관리시스템
KR102238855B1 (ko) 소음의 종류를 분류하는 소음 분류 딥러닝 모델 학습 방법
Ljunggren et al. Airborne sound insulation between dwellings, from 50 vs. 100 Hz–a compilation of Swedish field surveys
KR20170068348A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관리 시스템
Oh An assessment model for the indoor noise environment of aged apartment houses
Gramez et al. In-situ investigation of the acoustical performance in collective social dwellings
KR102469970B1 (ko) 층간 소음 알림 기능을 갖는 시스템
Cho et al. Estimating the performance of heavy impact sound insulation using empirical approaches
Shin et al.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 of living noise in residential buildings
Jagniatinskis et al. Acoustic classification of building façades using statistical methods
Simmons et al. Acoustical Performance of Apartment Buildings–Resident's Survey and Field Measurements. AkuLite Report 2
Toome et al. A proposal for standard methods and criteria for the assessment of residential noise complaints
KR20200114425A (ko) 층간 소음 예방 장치 및 방법
Guigou-Carter et al. Possible representative indoor acoustic environment spectra
KR20240052262A (ko) 집합건물 층간소음 분쟁 예방 및 해결을 위한 층간소음 모니터링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