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0580A - A vibration puff - Google Patents

A vibration puf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0580A
KR20230070580A KR1020210156303A KR20210156303A KR20230070580A KR 20230070580 A KR20230070580 A KR 20230070580A KR 1020210156303 A KR1020210156303 A KR 1020210156303A KR 20210156303 A KR20210156303 A KR 20210156303A KR 20230070580 A KR20230070580 A KR 20230070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vibrating
sensor
vibrating body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3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근도
이칠성
김효영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웰
Priority to KR1020210156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0580A/en
Publication of KR20230070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58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3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watches or other mechanically-driven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brating puff which comprises: a puff which includes a cushion par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band par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ushion part so that a user's finger can be used while com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cushion part; a vibrating body which is embedded in the cushion part, and transmits vibration to the cushion part; and a first sensor part which is attached to a lateral side of the cushion part in the direction of the band part, and recognizes the entry of the finger to generate a switch-on signal to the vibrating body.

Description

진동 퍼프 {A VIBRATION PUFF}Vibration Puff {A VIBRATION PUFF}

본 발명은 진동 퍼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퍼프 내부에 진동체가 내장되어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퍼프에 관한 것으로 퍼프에 결합되어 있는 삽입밴드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경우 센서부가 손가락의 진입을 인식하여 상기 진동체에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센서부가 피부와의 접촉을 인식하여 상기 진동체에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 퍼프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ng puff.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vibrating puff in which a vibrating body is built into the puff to transmit vibration, and when a user inserts a finger into an insertion band coupled to the puff, the sensor recognizes the entry of the finger and transmits a switch signal to the vibrating body. This technology relates to a vibrating puff capable of generating a switch signal to the vibrating body by recognizing contact with the skin by a sensor unit.

화장퍼프는 여성 등 사용자가 피부 잡티를 가리거나 피부 톤을 보다 밝게 개선하기 위해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또는 트윈케익과 같은 화장품을 일정량을 묻혀 피부에 펴바르기 위한 도구이다.A makeup puff is a tool for users such as women to spread a certain amount of cosmetics such as foundation, skin cover, or twin cake on the skin in order to cover skin blemishes or improve skin tone brighter.

화장퍼프는 사용자가 손가락에 끼워 직접 두드리면서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화장퍼프가 있으며, 기기와 파운데이션이 일체로 형성된 진동파운데이션에 부착되어 기기의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퍼프, 진동체가 퍼프에 내장된 상태로 진동을 퍼프에 전달하는 진동 퍼프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There is a general makeup puff that users can use by putting it on their fingers and tapping it directly. A vibrating puff that is attached to a vibrating foundation in which the device and foundation are integrally formed to transmit the vibration of the device, and a vibrating body that is built into the puff to vibrate. There are various types such as a vibrating puff that delivers to the puff.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직접 타격감을 전달하는 일반적인 화장퍼프는 두드리는 힘이 일정하게 전달되지 않아 화장품이 특정부분에만 뭉쳐지거나 골고루 펴바르지 않아 자연스러운 화장을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기기와 파운데이션이 일체로 형성된 진동 파운데이션의 경우 파운데이션이 기기에 저장되어 배출되는 것으로 진동이 되는 동안 파운데이션이 지속적으로 배출되어, 배출되는 화장품의 양을 사용자가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n a general makeup puff, in which a user inserts a finger to deliver a direct blow, it is not easy to apply natural makeup because the force of tapping is not uniformly transmitted, so cosmetics clump only in a specific area or are not spread evenly.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vibrating foundation in which the device and the foundation are integrally formed, the foundation is stored in the device and discharged, and the foundation is continuously discharged while vibrating, so it is not easy for the user to control the amount of cosmetics discharged. .

한편, 퍼프 내부에 진동체가 내장된 진동 퍼프의 경우에는 퍼프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른 후 사용하도록 설계가 되어 있거나, 일정 시간 동안 작동하는 타이머를 설치하여 타이머를 재설정해야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사용하는 데 불편이 따른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vibrating puff with a vibrating body built into the puff, it is designed to be used after the user presses a switch to activate the puff, or a timer that operat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s installed and the timer must be reset to be used. It is inconvenient to use.

또 다른 종류의 진동 퍼프는 기기에서 분리될 경우에 작동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실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진동 퍼프가 작동되어 피부에 닿기도 전에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문제점이 있다.Another type of vibrating puff is operated when it is separated from the device, so that even when the user is not actually using the vibrating puff, the vibrating puff is operated unnecessarily before it touches the skin.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마그네틱을 사용하여, 마그네틱이 퍼프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진동 퍼프가 설계되었으나, 사용되는 마그네틱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제품의 슬림화가 불가능하여,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퍼프 케이스 안에 들어갈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여, 진동 퍼프의 두께를 얇게 제조할 수 있는 진동 퍼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a vibrating puff that operates by detecting the magnetic falling from the puff has been designed using a magnet, but it is impossible to slim the product because the thickness of the magnet used is thick, so it is a puff case commonly used in the industry. Due to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get inside, research on a vibrating puff capable of manufacturing a thin vibrating puff i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28545호 “진동 퍼프”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28545 “Vibration Puff”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그네틱이나 일반 터치 센서가 아닌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두꺼운 퍼프 위에서도 사람의 손이나 얼굴을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얇은 두께로 인하여 케이스 안에 쉽게 들어갈 수 있는 진동 퍼프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 uses a proximity sensor rather than a magnetic or general touch sensor to recognize a person's hand or face even on a thick puff, and also to use a vibrating puff that can easily fit into the case due to its thin thickness. want to provide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탄성 재질의 쿠션부와 손가락이 쿠션부에 밀착되어 사용하도록 상기 쿠션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퍼프; 상기 쿠션부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쿠션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체; 및 상기 쿠션부의 밴드부 방향 측면에 부착되고, 손가락의 진입을 인식하여 상기 진동체에 스위치 온(switch on)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센서부;를 포함하는, 진동 퍼프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uff comprising a cushion portion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band portion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ushion portion so that finger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ushion portion for use; a vibrating body built into the cushion unit to transmit vibrations to the cushion unit; and a first sensor unit attached to a side surface of the cushion unit in the direction of the band unit and recognizing the entry of a finger to generate a switch-on signal to the vibrator.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쿠션부의 밴드부와 반대 방향 측면에 부착되고, 피부와의 접촉을 인식하여 상기 진동체에 스위치 온(switch on)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band por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ushion portion, recognizes the contact with the skin to generate a switch on (switch on) signal to the vibrating body second sensor unit; more includes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2개의 센서가 배열되어 있고, 2개의 센서가 손가락의 진입을 순차적으로 인식하여 상기 진동체에 스위치 온(switch on) 신호를 발생시킨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nsor unit has two sensors arranged, and the two sensors sequentially recognize the entry of a finger to generate a switch on signal to the vibrating body.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는 일정 간격으로 피부와의 접촉을 2회 인식하면, 상기 진동체에 스위치 온(switch on) 신호를 발생시킨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sensor unit recognizes contact with the skin twice at regular intervals, it generates a switch on signal to the vibrator.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센서가 손가락의 진입을 순차적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2 센서부가 일정 간격으로 피부와의 접촉을 2회 인식하면, 상기 진동체에 스위치 온(switch on) 신호를 발생시킨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wo sensors sequentially recognize the entry of a finger and the second sensor unit recognizes contact with the skin twice at regular intervals, the vibrating body is switched on. ) signal.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센서가 손가락의 빠짐을 순차적으로 인식하여 상기 진동체에 스위치 오프(switch off) 신호를 발생시킨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sensors sequentially recognize the missing finger and generate a switch off signal to the vibrator.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는, 상기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ng bod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or the second sensor, the control unit capable of outpu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sensor or the second sensor; a motor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and a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는 퍼프 내부에 진동체를 구비하고, 퍼프의 일면에 구비되는 센서부가 손가락의 진입이나 피부와의 접촉의 감지여부에 따라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화장품이 일정한 두께로 골고루 펴 발라 자연스러운 화장을 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사용시에만 작동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구간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진동 퍼프를 제공할 수 있다.The vibrating pu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ibrating body inside the puff, and the sens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uff operates according to whether a finger enters or contacts the skin, so that cosmetics are spread evenly to a certain thickness and natural makeup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ibrating puff capable of minimizing occurrence of vibration in an unnecessary section by operating only when the user is using the puff.

더 나아가, 진동체 내부에 배터리를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진동 퍼프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ibrating puff that enables economical use by replacing the battery inside the vibrating body.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에 있어서, 퍼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에 있어서, 제1 센서부를 구비한 퍼프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에 있어서, 제2 센서부를 구비한 퍼프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에 있어서,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를 구비한 퍼프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에 있어서, 진동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에 있어서, 진동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체를 교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ng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uff having a first sensor unit in a vibrating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a vibrating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uff having a second sensor unit in a vibrating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uff having a first sensor unit and a second sensor unit in a vibrating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ng body in a vibrating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ng body in a vibrating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method of replacing a vibrat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지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Preferred examples are present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more easi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1000)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진동 퍼프의 퍼프(100)에 구비되는 제1 센서부(310), 제2 센서부(320)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ng puff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4 are a first sensor unit 310 and a second sensor unit 320 provided in the puff 100 of the vibrating puff. )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본 발명의 진동 퍼프는 탄성 재질의 쿠션부(110)와 손가락이 쿠션부에 밀착되어 사용하도록 상기 쿠션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밴드부(120)를 포함하는 퍼프(100); 상기 쿠션부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쿠션부(110)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체(200); 및 상기 쿠션부(110)의 측면 중 밴드부(120) 방향에 부착되고, 밴드부(120)에 손가락을 끼울 경우 손가락의 진입을 인식하여 상기 진동체에 스위치 온(switch on)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센서부(310);를 포함한다.The vibrating puff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ff 100 including a cushion part 11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band part 12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ushion part so that a finger is u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ushion part; a vibrating body 200 built inside the cushion unit and transmitting vibrations to the cushion unit 110; And attached to the side of the cushion part 110 in the direction of the band part 120, recognizing the entry of a finger when a finger is inserted into the band part 120 and generating a switch on signal to the vibrating body. It includes; sensor unit 31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에 있어서, 퍼프(100)의 모식도이다.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uff 100 in a vibrating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상부 및 하부의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퍼프(100)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제1 센서부(310)는 2개의 센서가 배열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1000)는 상기 제1 센서부(310)가 손가락의 진입을 순차적으로 인식하게 됨에 따라서, 온(on)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켜, 진동체(200)의 작동이 시작되도록 하여 모터(220)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도록 한다.As shown in the upper and lower figures of FIG. 2 , two sensors are arranged in the first sensor unit 310 located above the puff 100 .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 in the vibrating puff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irst sensor unit 310 sequentially recognizes the entry of a finger, an on switching signal is turned on. is generated,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vibrator 200 is started so that vibration is generated by the motor 220.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을 밴드부(120)에 끼워 넣으면, 제1 센서부 (310)는 손가락의 진입을 감지하여 제어부(210)에서 온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 배터리(230)에서 모터(220)에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220)가 작동하게 되어 퍼프(100)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a user inserts a finger into the band unit 120, the first sensor unit 310 detects the entry of the finger and outputs a switching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10. In this case,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230 to the motor 220 so that the motor 220 operates so that vibr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puff 100.

이렇게 센서가 스위치 온 신호를 발생함에 따라서, 쿠션부(110) 내부에 내장된 진동체(200)가 진동을 발생시켜 쿠션부(110)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As the sensor generates a switch-on signal, the vibrating body 200 built into the cushion part 110 generates vibrations so that the vibr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cushion part 110 .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에 있어서, 퍼프(100)의 모식도이다.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uff 100 in a vibrating puf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상부 및 하부의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센서부(320)은 상기 쿠션부(110)의 측면 중 밴드부(120)와 반대 방향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센서부는 피부와 접촉을 인식하게 되면, 이에 따라서 상기 진동체(200)에 스위치 온(switch on)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the upper and lower figures of FIG. 4 , the second sensor unit 320 may be attached to a side surface of the cushion unit 11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and unit 120 . When the second sensor unit recognizes the contact with the skin, it can generate a switch on signal to the vibrator 200 accordingly.

상기 제2 센서부(320)는 일정 간격으로 피부와의 접촉을 2회 인식하면, 상기 진동체(200)에 스위치 온(switch on)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쿠션부(110)의 측면 중 밴드부(120)와 반대 방향 측면에 부착된 제2 센서부를 피부에 2번 연속하여 톡톡 두드리면, 제2 센서부가 이러한 연속된 접촉을 인식하여 스위치 온(switch on)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일정 간격은 너무 짧거나 너무 길지 않다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0.01초 내지 1초 사이의 일정한 간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2회 인식이라는 표현은 2회만 인식하게 되면 스위치 온 신호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지, 2회 이상 즉 3회나 4회의 접촉을 인식하는 것을 제외하는 개념은 아니다.When the second sensor unit 320 recognizes contact with the skin twice at regular intervals, it can generate a switch on signal to the vibrator 200 . For example, when the user taps the second sensor part attached to the side of the cushion part 11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and part 120 on the skin twice in succession, the second sensor part recognizes this continuous contact and switches A switch on signal may be generated. The predetermined interv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not too short or too long, but may be preferably a regular interval between 0.01 second and 1 second. In addition, the expression 2 times recognition means that a switch-on signal is generated when only 2 times recognition is performed, but it is not a concept except for recognizing contacts 2 or more times, that is, 3 or 4 times.

이렇게 센서가 스위치 온 신호를 발생함에 따라서, 쿠션부(110) 내부에 내장된 진동체(200)가 진동을 발생시켜 쿠션부(110)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As the sensor generates a switch-on signal, the vibrating body 200 built into the cushion part 110 generates vibrations so that the vibr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cushion part 110 .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에 있어서, 퍼프(100)의 모식도이다.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uff 100 in a vibrating puf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상부 및 하부의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퍼프(100)의 쿠션부(110)의 측면 중 밴드부(120) 방향 측면에 제1 센서부(310)를 구비하고, 퍼프(100)의 쿠션부(110)의 측면 중 밴드부(120)와 반대 방향 측면에 제2 센서부(320)를 구비하여, 동시에 제1 센서부(310)와 제2 센서부(320)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센서부의 2개의 센서가 손가락의 진입을 순차적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2 센서부가 일정 간격으로 피부와의 접촉을 2회 인식하면, 상기 진동체에 스위치 온(switch on)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렇게 설계하는 경우,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가 모두 인식되어야만 스위치 온 신호가 발생하여 진동체가 작동하게 되므로, 제1 센서부나 제2 센서부 중 어느 하나의 오작동에 의하여 스위치 온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the upper and lower figures of FIG. 5, the first sensor unit 31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ushion part 110 of the puff 100 toward the band part 120, and the puff 100 Of the side surfaces of the cushion part 110, the second sensor part 320 is provid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band part 120, so that the first sensor part 310 and the second sensor part 320 can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there is. In this case, when the two sensors of the first sensor unit sequentially recognize the entry of a finger and the second sensor unit recognizes contact with the skin twice at regular intervals, a switch on signal is sent to the vibrating body. can be designed to generate In the case of this design, the switch-on signal is generated only when both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are recognized so that the vibrating body operates. be able to prev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에 있어서, 사용 중에 진동체의 진동을 멈추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밴드부(120)에서 제거하게 되면, 상기 2개의 센서가 손가락의 빠짐을 순차적으로 인식하여 제어부(210)에서 오프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 때, 배터리(230)의 모터(220)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모터(230)의 작동을 멈출 수 있다.In the vibrating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removes a finger from the band unit 120 in order to stop vibration of the vibrating body during use, the two sensors sequentially recognize the missing finger and control the controller. In 210, an off-switching signal is output. At this time, the supply of power to the motor 220 of the battery 230 is stopped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motor 230 may be stopped.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을 밴드부(120)에 끼워 넣을 경우에만 모터(220)가 작동되고, 손가락이 밴드부(120)에서 빠져 나오는 경우 제1 센서부가 이를 인식하여 작동을 멈추게 되므로, 사용자가 실제 사용할 때만 작동하게 된다.As a result, the motor 220 is operated only when the user inserts his/her finger into the band part 120, and when the finger gets out of the band part 120, the first sensor part recognizes this and stops operating, so only when the user actually uses it. It work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퍼프(1000)는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퍼프의 사용 동작만으로 진동체(200)를 작동시킬 수 있어, 스위치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아도 진동체(200)를 작동시킬 수 있는 편의성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ng puff 1000 can operate the vibrating body 200 only by using the puff that is generally used by the user, so that the vibrating body 200 can be operated without separately operating a switch. There is a convenience that can be operated.

더 나아가, 사용자가 사용을 중지하기 하기 위해 밴드부(120)에서 손가락을 빠져나오는 경우 진동이 멈추게 되어 별도로 사용을 중지하기 위한 동작을 하지 않아도 진동을 멈출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진동체(200)는 사용자의 온-오프 제어 동작 없이 퍼프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만 동작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동작을 멈추게 된다.Furthermore, when the user moves his/her finger out of the band unit 120 to stop use, the vibration stops, so that the vibration can be stopped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to stop use. As a result, the vibrating body 200 operates only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puff without an on-off control operation, and stops operating when not in u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는 진동체를 포함한다.A vibrating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brating body.

상기 진동체는, 상기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brating body may include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or the second sensor and capable of outpu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sensor or the second sensor; a motor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and a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에 있어서, 진동체(200)의 사시도이다. 상기 진동체(200)는 쿠션부(110) 내부에 내장되어 쿠션부(110)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ibrating body 200 in the vibrating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body 200 may be built into the cushion part 110 to transmit vibration to the cushion part 110 .

상기 진동체(200)는 상기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어부(210),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220);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brating body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or the second sensor, and a controller 210 capable of outpu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sensor or the second sensor, generated by the controller A motor 220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o; and a battery 230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진동체(200)는 모터(22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쿠션부(110)에 전달하므로 일정한 힘으로 두드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생하여 피부에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이 피부에 골고루 펴져 커버될 수 있다. 또한, 진동체(200)는 일정하고 빠른 진동에 의해 일정한 힘을 피부에 전달하므로 사용자가 직접 두드리는 방식 보다 화장품을 피부에 보다 밀착시킬 수 있어 메이크업 지속력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일정 두께로 피부에 밀착되어 보다 자연스럽고 매끄러운 피부결을 표현할 수 있다.Since the vibrating body 200 transmits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motor 220 to the cushion part 110, it generates an effect such as tapping with a constant force, so that cosmetics such as foundation can be evenly spread on the skin and covered. In addition, since the vibrating body 200 transmits a constant force to the skin by constant and fast vibration, the cosmetics can be more closely adhered to the skin than the user directly taps, thereby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makeup, and adheres to the skin with a certain thickness. It can express a more natural and smooth skin texture.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에 있어서, 진동체(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ibrating body 200 in the vibrating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진동체(200)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30)를 포함하며, 바닥면에 모터(220), 배터리(230), 자기감지 센서(250) 및 제어부(21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201) 및 모터(220), 배터리(230)를 커버하도록 수용부(201)와 결합하는 커버(202)를 포함한다.Here, the vibrating body 200 includes a battery 230 that supplies power to the motor 22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and the motor 220, the battery 230, the magnetic sensor 250 and The control unit 210 includes an accommodating unit 201 that can be accommodated, and a cover 202 coupled to the accommodating unit 201 to cover the motor 220 and the battery 230 .

또한, 진동체(200)는 수용부(201)와 배터리(230)가 인출되어 교체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결합되는 인출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brator 200 may include a lead-out portion 203 that is slidingly coupled so that the accommodating portion 201 and the battery 230 can be drawn out and replaced.

인출부(203)는 배터리(230)의 양측에서 지지하여 수용부(201)의 외부와 내부를 가이드하는 측면지지부(203a, 203b) 및 측면 지지부(203a)와 결합되어 측면 지지부(203a) 수용부(201)로 부터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203b)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ad-out portion 203 is coupled with the side support portions 203a and 203b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203a for guiding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01 by being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battery 230,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203a accommodating portion It may include a handle 203b that can be slid out of 20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부(310)와 제2 센서부(320)은 근접 센서로서, 예를 들어 정전식 터치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두꺼운 퍼프 위에서도 사람의 손이나 사람의 피부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를 퍼프의 케이스 내부에 어느 하나만 넣을 경우, 이들 센서가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거울을 인식함에 따라서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근접 센서인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를 2개로 사용하도록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구현하여, 이러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rst sensor unit 310 and the second sensor unit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ximity sensors, for example, capacitive touch sensors can be used, and human hands or human skin can be used even on thick puffs. can recognize If only one of these sensor units is placed inside the case of the puff, a malfunction may occur as these sensors recognize a mirror provided inside the cas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malfunction can be prevented by implementing software to use two proximity sensors,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종래기술은 케이스에 자기감지 센서가 내장되어 있어 진동을 멈추기 위해 케이스에 안착되어야 하므로 다른 케이스에 제형을 뭍혀 사용하는 경우나 다른 종류의 화장품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 불필요하게 지속적으로 동작하여 타 화장품과 호환하여 사용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달리 케이스 안착여부와 무관하게 진동 퍼프의 밴드부(120)와 쿠션부(110) 사이에 손가락이 진입하였는지 여부만으로 제어되므로, 다른 화장품의 제형을 이용하거나, 다른 케이스에 보관사용이 가능하다.In the prior art, since a magnetic sensor is built into the case, it must be seated in the case to stop vibration, so it is unnecessarily continuous and compatible with other cosmetics when using a formulation on another case or when using a different type of cosmetics However, unlike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only by whether or not a finger enters between the band part 120 and the cushion part 110 of the vibrating puff regardless of whether the case is seated, so it is possible to use other cosmetic formulations or , it can be stored and used in another cas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서 진동체(200)가 퍼프(100)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퍼프(100)의 지속 사용으로 오염되거나, 배터리(230)를 교체하기 위해 퍼프(100)로부터 분리가 필요한 경우 쿠션부(110)의 측면이 개방되어 개방된 부위로 진동체(200)를 드러내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8 is a use state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 state in which the vibrating body 200 can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puff 100. 230), when it is necessary to separate from the puff 100 to replace it, the side of the cushion part 110 is opened to expose the vibrating body 200 to the open area so that it can be replaced and used.

또한, 진동체(200)는 절개면이 중앙에 형성(미도시)되어 퍼프(100)의 절개면을 통해 퍼프(100)와 분리될 수 있어, 다양한 위치에서 교체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brating body 200 can be separated from the puff 100 through the cutout surface formed at the center (not shown) of the puff 100, so that i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in various positions.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1000: 진동 퍼프
100: 퍼프
110: 쿠션부
120: 밴드부
200: 진동체
201: 수용부
202: 커버
203: 인출부
220: 모터
230: 배터리
250: 자기감지 센서
260: 자성체
300: 센서부
310: 제1 센서부
320: 제2 센서부
1000: vibrating puff
100: puff
110: cushion part
120: band part
200: vibrating body
201: receiving part
202: cover
203: withdrawal unit
220: motor
230: battery
250: magnetic detection sensor
260: magnetic body
300: sensor unit
310: first sensor unit
320: second sensor unit

Claims (7)

탄성 재질의 쿠션부와 손가락이 쿠션부에 밀착되어 사용하도록 상기 쿠션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퍼프;
상기 쿠션부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쿠션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체; 및
상기 쿠션부의 밴드부 방향 측면에 부착되고, 밴드부에 손가락을 끼울 경우 손가락의 진입을 인식하여 상기 진동체에 스위치 온(switch on)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센서부;를 포함하는, 진동 퍼프.
A puff including a cushion par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band par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ushion part so that a finger is u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ushion part;
a vibrating body built into the cushion unit to transmit vibrations to the cushion unit; and
A first sensor unit attached to a side surface of the cushion part in the direction of the band part and recognizing the entry of a finger when a finger is inserted into the band part and generating a switch on signal to the vibrating body; Vibrating puf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의 밴드부와 반대 방향 측면에 부착되고, 피부와의 접촉을 인식하여 상기 진동체에 스위치 온(switch on)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퍼프.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sensor unit attached to a side surface of the cushion unit opposite to the band unit and recognizing contact with the skin to generate a switch on signal to the vibrating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ibrating puf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2개의 센서가 배열되어 있고, 2개의 센서가 손가락의 진입을 순차적으로 인식하여 상기 진동체에 스위치 온(switch on)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퍼프.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nsor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sensors are arranged, and the two sensors sequentially recognize the entry of a finger to generate a switch on signal to the vibrating body, the vibrating puff.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는 일정 간격으로 피부와의 접촉을 2회 인식하면, 상기 진동체에 스위치 온(switch on)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퍼프.
According to claim 2,
The vibrating puff,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econd sensor unit recognizes contact with the skin twice at regular intervals, it generates a switch on signal to the vibrating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의 2개의 센서가 손가락의 진입을 순차적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2 센서부가 일정 간격으로 피부와의 접촉을 2회 인식하면, 상기 진동체에 스위치 온(switch on)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퍼프.
According to claim 2,
The two sensors of the first sensor unit sequentially recognize the entry of a finger,
The vibrating puff,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econd sensor unit recognizes contact with the skin twice at regular intervals, it generates a switch on signal to the vibrating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센서가 손가락의 빠짐을 순차적으로 인식하여 상기 진동체에 스위치 오프(switch off)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퍼프.
According to claim 3,
The vibrating puff,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sensors sequentially recognize the missing finger and generate a switch off signal to the vibrating bod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는,
상기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퍼프.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vibrating body,
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or the second sensor and capable of outpu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sensor or the second sensor;
a motor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vibrating puff.
KR1020210156303A 2021-11-15 2021-11-15 A vibration puff KR2023007058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303A KR20230070580A (en) 2021-11-15 2021-11-15 A vibration puf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303A KR20230070580A (en) 2021-11-15 2021-11-15 A vibration puf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580A true KR20230070580A (en) 2023-05-23

Family

ID=8654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303A KR20230070580A (en) 2021-11-15 2021-11-15 A vibration puf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058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545A (en) 2019-09-04 2021-03-12 주식회사 에코웰 A vibration puf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545A (en) 2019-09-04 2021-03-12 주식회사 에코웰 A vibration puf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678B1 (en) A vibration puff
CN211383459U (en) Skin management device
EP3615134B1 (en) Sinus treatment device with adaptive circuit
WO2013021716A9 (en) Electric toothbrush capable of accepting user operation
US20160331487A1 (en) Personal oral-care device
KR102399707B1 (en) Skin care device
KR20110078516A (en) Electric puff
CN206630868U (en) A kind of facial cleansing massage device
KR20170108550A (en) Smart Mobile Vibration omitted
US6323841B1 (en) Computer mouse having a resilient soft pad with massaging function
CN111437505A (en) Neck massager and using method thereof
KR20230070580A (en) A vibration puff
JP2007196013A (en) Beautification device
KR101254141B1 (en) Vibration module for skin massage
KR102270167B1 (en) A vibration puff
JPH11309195A (en) Motor-driven massaging device with ejecting function
JP4592319B2 (en) Beauty Equipment
KR102092793B1 (en) Beautifying apparatus using plasma
WO2003096960A3 (en) Massage cushion
KR20210071689A (en) Elastic vibrating body and vibrating puff having the same
JP2001314473A (en) Ultrasonic face massager
JP2005334052A (en) Iontophoresis device
KR20120060035A (en) Controller having control groove and electric wheelchair with the same
KR102380552B1 (en) Small Skin Beauty Equipment
KR101594443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cosmet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