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545A - A vibration puff - Google Patents

A vibration puf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545A
KR20210028545A KR1020190109808A KR20190109808A KR20210028545A KR 20210028545 A KR20210028545 A KR 20210028545A KR 1020190109808 A KR1020190109808 A KR 1020190109808A KR 20190109808 A KR20190109808 A KR 20190109808A KR 20210028545 A KR20210028545 A KR 20210028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vibrating body
magnetic
cushion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8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0167B1 (en
Inventor
이칠성
김효영
윤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웰
Priority to KR1020190109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167B1/en
Publication of KR20210028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5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1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bration puff, which comprises: a puff including a cushion portion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band portion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ushion portion so that fingers come in contact with the cushion portion; a vibrating body embedded in the cushion portion to transmit vibration to the cushion portion; and a magnet coupled to the band portion to generate a switching signal to the vibrating body installed inside the cushion portion.

Description

진동퍼프{A VIBRATION PUFF}Vibration puff {A VIBRATION PUFF}

본 발명은 진동퍼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퍼프 내부에 진동체가 내장되어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퍼프에 관한 것으로 퍼프에 결합되어 있는 삽입밴드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경우 삽입밴드에 결합되어 있는 마그네틱이 퍼프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작동될 수 있는 진동퍼프에 관한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puff.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vibrating puff that transmits vibration by having a vibrating body built into the puff.When a user puts a finger on the insertion band coupled to the puff, it detects that the magnetic coupled to the insertion band falls from the puff and operates.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the vibrating puff that can be used.

화장퍼프는 여성 등 사용자가 피부 잡티를 가리거나 피부 톤을 보다 밝게 개선하기 위해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또는 트윈케익과 같은 화장품을 일정량을 묻혀 피부에 펴바르기 위한 도구이다. The makeup puff is a tool for users such as women to apply a certain amount of cosmetics such as foundation, skin cover, or twin cake to the skin to cover up skin blemishes or improve skin tone brighter.

화장퍼프는 사용자가 손가락에 끼워 직접 두드리면서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화장퍼프가 있으며, 기기와 파운데이션이 일체로 형성된 진동파운데이션에 부착되어 기기의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퍼프, 진동체가 퍼프에 내장된 상태로 진동을 퍼프에 전달하는 진동퍼프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The cosmetic puff is a general cosmetic puff that the user can use while tapping directly on the finger, and the vibration puff is attached to the vibration founda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device and the foundation to transmit the vibration of the device, and the vibration body is built into the puff to prevent vibration. There are various types such as vibrating puffs that are delivered to the puff.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직접 타격감을 전달하는 일반적인 화장퍼프는 두드리는 힘이 일정하게 전달되지 않아 화장품이 특정부분에만 뭉쳐지거나 골고루 펴바르지 않아 자연스러운 화장을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기기와 파운데이션이 일체로 형성된 진동 파운데이션의 경우 파운데이션이 기기에 저장되어 배출되는 것으로 진동이 되는 동안 파운데이션이 지속적으로 배출되어, 배출되는 화장품의 양을 사용자가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In general cosmetic puffs, where a user inserts a finger and delivers a feeling of hitting, it is not easy to apply natural makeup because the tapping force is not transmitted uniformly, and the cosmetics are not lumped together or spread evenly in a specific area.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vibration foundation in which the device and the foundation are integrally formed, the foundation is stored and discharged in the device, and the foundation is continuously discharged during vibration, so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control the amount of cosmetics discharged. .

한편, 퍼프 내부에 진동체가 내장된 진동퍼프의 경우에는 퍼프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스위칭을 누는 후 사용하도록 설계가 되어 있거나, 일정 시간 동안 작동하는 타이머를 설치하여 타이머를 재설정해야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사용하는 데 불편이 따른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vibrating puff with a built-in vibrating body inside the puff, it is designed to be used after the user presses the switch to operate the puff, or it is designed to be used only by resetting the timer by installing a timer that operat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inconvenient to use.

또 다른 종류의 진동퍼프는 기기에서 분리될 경우에 작동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실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진동퍼프가 작동되어 피부에 닿기도 전에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문제점이 있다.Another type of vibrating puff is operated when it is separated from the device, so that even when the user is not actually using the vibrating puff,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ibrating puff is operated and is unnecessarily operated before contacting the skin.

더 나아가. 종래의 진동퍼프는 배터리가 모두 소모되는 경우 진동퍼프 모두를 교체해야 하므로 교체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Furthermore. Conventional vibrating puffs require replacement of all vibrating puffs when all of the batteries are consum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of replacement is high.

한국등록특허 제10-1058359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5835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퍼프 내부에 진동체를 구비하고, 퍼프에 결합된 삽입밴드에 마그네틱을 결합시켜 진동체가 마그네틱의 감지여부에 따라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화장품이 일정한 두께로 골고루 펴 발라 자연스러운 화장을 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사용시에만 작동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구간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진동퍼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by providing a vibrating body inside the puff, and by coupling a magnetic to the insertion band coupled to the puff so that the vibrating body operates according to whether the magnetic is sensed, so that the cosmetic is evenly spread to a certain thicknes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ibration puff that can minimize the occurrence of vibration in unnecessary sections by applying natural makeup by applying it and operating it only when the user uses it.

더 나아가, 진동체 내부에 배터리를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진동퍼프를 제공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brating puff that enables economical use by replacing and using a battery inside a vibrating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는 탄성 재질의 상기 쿠션부와 손가락이 쿠션부에 밀착되어 사용하도록 상기 쿠션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퍼프; 상기 쿠션부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쿠션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체; 및 상기 밴드부와 결합되어 상기 쿠션부 내부에 설치된 상기 진동체에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틱;을 포함한다. The vibration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ff including a band portion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ushion portion so that the cushion portion and fingers of an elastic material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ushion portion to be used; A vibrating body built into the cushion unit and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cushion unit; And a magnetic coupled to the band part to generate a switching signal to the vibrating body installed inside the cushion part.

상기 진동체는, 상기 마그네틱의 감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자기감지센서; 상기 자기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기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brating body may include a magnetic sensing sensor capable of outputting a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magnetic is sense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nd configur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 motor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And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mot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는 탄성 재질의 쿠션부; 상기 쿠션부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쿠션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체; 손가락이 쿠션부에 밀착되어 사용하도록 상기 진동체의 양측에 결합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와 결합되어 상기 진동체에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틱;를 포함하되, 상기 밴드부는 상기 쿠션부의 일측에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 vibration puf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shion par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 vibrating body built into the cushion unit and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cushion unit; Band portion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vibrating body so that finger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ushion portion to be used; And a magnetic coupled to the band part to generate a switching signal to the vibrating body, wherein the band part is exposed from one side of the cushion part.

상기 진동체는, 상기 마그네틱의 감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자기감지센서; 상기 자기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기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brating body may include a magnetic sensing sensor capable of outputting a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magnetic is sense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nd configur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 motor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And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mot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상기 진동체는, 바닥면에 상기 모터, 상기 배터리, 상기 자기감지 센서 및 상기 제어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 상기 모터, 상기 배터리, 상기 자기감지 센서를 커버하도록 상기 수용부와 결합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brating body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motor, the battery,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nd the control unit may be accommodated on a bottom surface; It may include a cover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to cover the motor, the battery, and the magnetic sensing senso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체는 마그네틱의 감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자기감지 센서; 상기 자기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기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바닥면에 상기 모터, 상기 배터리, 상기 자기감지 센서 및 상기 제어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 및 상기 모터, 상기 배터리, 상기 자기감지 센서를 커버하도록 상기 수용부와 결합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배터리를 교체하도록 일부분이 들어올려져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vibrating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gnetic sensing sensor capable of outputting a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magnetic is sense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nd configur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 motor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A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An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motor, the battery,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nd the control unit may be accommodated on a bottom surface; And a cover coupled with the receiving portion to cover the motor, the battery, and the magnetic sensing sensor, wherein a portion of the cover is lifted and opened to replace the battery.

상기 자기감지 센서는, SQUID(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서치코일 마그네토미터(search coil magnetometer), 자기저항센서, 홀센서, 자기다이오드 (magnetodiode), 자기 트렌지스터(magnetotransistor), 리드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agnetic sensing sensor may be any one of a SQUID (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a search coil magnetometer, a magnetoresistive sensor, a Hall sensor, a magnetodiode, a magnetic transistor, and a reed sensor. It can be characterized.

본 발명의 도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는 탄성 재질의 쿠션부와 손가락이 쿠션부에 밀착되어 사용하도록 상기 쿠션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퍼프; 상기 쿠션부 내부에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되어 상기 쿠션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체; 및 상기 진동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모터의 전원 인가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쿠션부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A vibration puf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ff including a cushion par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band par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ushion part so that the finger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ushion part to be used; A vibrating body having a motor and a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inside the cushion unit to transmit vibration to the cushion unit; And a switch coupled to one side of the vibrating body, controlling whether or not power is applied to the motor according to whether or not it is pressurized, and exposed to one side of the cushion part.

상기 진동퍼프는 탄성 재질의 쿠션부와 손가락이 상기 쿠션부에 밀착되어 사용하도록 상기 쿠션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퍼프; 상기 쿠션부 내부에 모터가 내장되어 상기 쿠션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체; 및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모터의 전원 인가 여부를 제어하도록 상기 진동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ibration puff includes a cushion par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band par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ushion part so that a fing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ushion part to be used; A vibrating body having a motor built into the cushion unit to transmit vibration to the cushion unit;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nd may include a switch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vibrating body to control whether or not power is applied to the motor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motor is pressed.

상기 진동퍼프는 탄성 재질의 쿠션부와 손가락이 쿠션부에 밀착되어 사용하도록 상기 쿠션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퍼프; 상기 쿠션부 내부에 모터가 내장되어 상기 쿠션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체; 및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모터의 전원 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ibration puff includes a cushion par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band par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ushion part so that a fing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ushion part to be used; A vibrating body having a motor built into the cushion unit to transmit vibration to the cushion unit;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nd a touch sensor configured to control whether power is applied to the motor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motor is pressed.

탄성 재질의 쿠션부와 손가락이 쿠션부에 밀착되어 사용하도록 상기 쿠션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퍼프;A puff including a cushion par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band par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ushion part so that finger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ushion part to be used;

상기 쿠션부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쿠션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체; 및A vibrating body built into the cushion unit and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cushion unit; And

상기 밴드부와 결합되어 상기 쿠션부 내부에 설치된 상기 진동체에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틱;을 포함하고, Including; a magnetic for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to the vibrating body is coupled to the band part installed inside the cushion part,

상기 진동체는, 상기 마그네틱의 감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자기감지센서; 상기 자기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기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되, 상기 쿠션부는 상기 진동체가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일면에 형성되는 절개선을 포함하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절개선을 커버하도록 상기 쿠션부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The vibrating body may include a magnetic sensing sensor capable of outputting a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magnetic is sense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nd configur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 motor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ushion part includes a cut line formed on one surface so that the vibrating body is inserted or withdrawn, and the band part covers the cut line. It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ushion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는 퍼프; 상기 퍼프에 내장되어 상기 퍼프의 일면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체; 및 상기 퍼프와 결합되어 상기 퍼프에 내장된 상기 진동체에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틱;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체는, 상기 마그네틱의 감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자기감지센서; 상기 자기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기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되, 상기 퍼프는, 상기 진동체가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일면에 형성되는 절개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선을 중심으로 형성된 양쪽면 중 어느 일면에, 상기 자기감지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마그네틱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vibration puf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uff; A vibrating body built into the puff and transmitting vibration to one surface of the puff; And a magnetic coupled to the puff to generate a switching signal to the vibrating body embedded in the puff, wherein the vibrating body includes: a magnetic sensing sensor capable of outputting a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magnetic is sense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nd configur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 motor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puff has a cut line formed on one surface so that the vibrating body is inserted or withdrawn, and both sides formed around the cut line On any one of the surfaces, the magnetic may be coupl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sensing senso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는, 퍼프; 상기 퍼프에 내장된 진동체; 및 Vibrating puf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uff; A vibrating body built into the puff; And

상기 진동체에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틱; 상기 마그네틱의 감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자기감지센서; 상기 자기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기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 및A magnetic for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in the vibrating body; A magnetic sensing sensor capable of outputting a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magnetic is sense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nd configur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 motor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And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되, 상기 퍼프는, 상기 진동체를 내장하기 진동체 수용부; 및 상기 진동체 수용부의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진동체 수용부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손끝이 노출되지 않고 삽입될 수 있는 손가락 삽입부;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은 상기 손가락 삽입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puff includes: a vibrating body accommodating unit for embedding the vibrating body; And a finger insertion unit coupled with the vibrating body receiving unit to cover a portion of the vibrating body receiving unit so as to be inserted without exposing the user’s fingertips; wherein the magnetic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nger insertion unit. I can.

본 발명에 의하면, 퍼프 내부에 진동체를 구비하고, 퍼프에 결합된 삽입밴드에 마그네틱을 결합시켜 진동체가 마그네틱의 감지여부에 따라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화장품이 일정한 두께로 골고루 펴 발라 자연스러운 화장을 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사용시에만 작동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구간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진동퍼프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brating body is provided inside the puff, and a magnetic is coupled to the insertion band coupled to the puff so that the vibrating body operates according to whether the magnetic is sensed, so that the cosmetics are spread evenly to a certain thickness to make natural makeup,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ibration puff capable of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vibration in unnecessary sections by allowing the user to operate only when using.

더 나아가, 진동체 내부에 배터리를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진동퍼프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ibrating puff enabling economical use by replacing and using a battery inside the vibrating body.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 진동퍼프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체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체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perspective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vibrat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diagrams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of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diagrams and cross-sectional views in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a vibration puf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vibration puf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are perspective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vibrating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a vibration puf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a vibration puf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vibration puf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vibration puf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vibration puf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도 검사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accuracy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overlapped therewith.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 진동퍼프(1000)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체(200)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1000)는 퍼프(100), 마그네틱(300)을 포함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ng puff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A and 2B are perspective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vibrating bod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2A, and 2B, a vibration puff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ff 100 and a magnetic 3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100)는 탄성 재질의 쿠션부(110)와 손가락이 쿠션부에 밀착되어 사용하도록 쿠션부(110)의 양측에 결합되는 밴드부(120)를 포함한다. The puff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shion unit 11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band unit 12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ushion unit 110 so that finger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ushion unit to be used.

진동체(200)는 쿠션부(110) 내부에 내장되어 쿠션부(110)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으며, 마그네틱(300)은 밴드부(120)와 결합되어 쿠션부(110) 내부에 설치된 진동체(200)에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e vibrating body 200 is built in the cushion unit 110 to transmit vibration to the cushion unit 110, and the magnetic 300 is coupled to the band unit 120 to be installed inside the cushion unit 110 ( 200) can generate a switching signal.

진동체(200)는 마그네틱(300)의 감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자기감지 센서(210), 자기감지 센서(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자기감지 센서(21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어부,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ibrating body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magnetic sensing sensor 210 and a magnetic sensing sensor 210 that can output a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magnetic 300 is detected, and a detection result of the magnetic sensing sensor 210 A control unit capable of outpu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a motor 220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may be included.

진동체(200)는 모터(22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쿠션부(110)에 전달하므로 일정한 힘으로 두드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생하여 피부에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이 피부에 골고루 펴져 커버될 수 있다. 또한, 진동체(200)는 일정하고 빠른 진동에 의해 일정한 힘을 피부에 전달하므로 사용자가 직접 두드리는 방식 보다 화장품을 피부에 보다 밀착시킬 수 있어 메이크업 지속력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일정 두께로 피부에 밀착되어 보다 자연스럽고 매끄러운 피부결을 표현할 수 있따.Since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motor 220 is transmitted to the cushion unit 110, the vibrating body 200 generates an effect such as tapping with a certain force, so that cosmetics such as foundation on the skin can be evenly spread and covered on the skin. In addition, since the vibrating body 200 transmits a certain force to the skin by a constant and rapid vibration, the cosmetics can be more closely adhered to the skin than the user tapping method, thereby increasing the makeup lasting power,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with a certain thickness. To express a more natural and smooth skin texture.

진동체(200)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30)를 포함하며, 바닥면에 모터(220), 배터리(230), 자기감지 센서(250) 및 제어부(21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201) 및 모터(220), 배터리(230), 자기감지 센서(250)를 커버하도록 수용부(201)와 결합하는 커버(202)를 포함한다. The vibrating body 200 includes a battery 230 that supplies power to the motor 22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the motor 220, the battery 230, the magnetic sensor 250 and the control unit are on the bottom surface. It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201 in which 210 can be accommodated, and a cover 202 coupled with the receiving portion 201 so as to cover the motor 220, the battery 230, and the magnetic sensing sensor 250.

또한, 진동체(200)는 수용부(201)와 배터리(230)가 인출되어 교체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결합되는 인출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brating body 200 may include a lead-out portion 203 that is slidably coupled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201 and the battery 230 can be taken out and replaced.

인출부(203)는 배터리(230)의 양측에서 지지하여 수용부(201)의 외부와 내부를 가이드하는 측면지지부(203a, 203b) 및 측면 지지부(203a)와 결합되어 측면 지지부(203a) 수용부(201)로 부터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203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thdrawal part 203 is coupled to the side support parts 203a and 203b and the side support part 203a which are supported from both sides of the battery 230 to guide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art 201 and the side support part 203a receiving part It may include a handle (203b) that can slide from the 201.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체(200)는 자기감지 센서(250)와 결합되고, 마그네틱(300)이 자기감지 센서(250)와 부정합되어 스위칭 신호 발생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자성체(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ibrating bod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gnetic body that is coupled with the magnetic sensing sensor 250, and the magnetic 300 is mismatched with the magnetic sensing sensor 250 to prevent an error in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It may further include (260).

자성체(260)는 자기감지 센서(250)가 마그네틱(300)과 부정합되어 모터(220) 또는 배터리(230)와 접촉되어 자기감지 센서(250)와 부정합 됨으로써 스위칭 신호 발생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수용부(201)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마그네틱(300)이 모터(220) 또는 배터리(230)와 접촉되더라도 마그네틱(300)에서 발생한 자기장이 자성체(260)에 의해 자기감지 센서(250)에 도달하도록 하여 스위칭 신호 발생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The magnetic body 260 is a receiving unit in order to prevent an error in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as the magnetic sensor 250 is mismatched with the magnetic 300 and is in contact with the motor 220 or the battery 230 and mismatched with the magnetic sensor 250. It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201 so that even if the magnetic 300 is in contact with the motor 220 or the battery 230,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magnetic 300 reaches the magnetic sensor 250 by the magnetic body 260. Switching signal generation errors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감지 센서(250)는 비접촉식 자기감지 센서(250)로서, 바람직하게는 홀 센서일 수 있지만, 자성감지에 의해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SQUID(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서치코일 마그네토미터(search coil magnetometer), 자기저항센서, 홀센서, 자기다이오드 (magnetodiode), 자기 트렌지스터(magnetotransistor), 리드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질 수 있다. Magnetic sensing sensor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contact magnetic sensing sensor 250, preferably may be a Hall sensor, but SQUID (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by magnetic sensing ), a search coil magnetometer, a magneto-resistance sensor, a Hall sensor, a magnetodiode, a magnetotransistor, and a reed sensor.

한편, 홀 센서는 다른 자기감지 센서에 비하여 경제적이면서 높은 감도로 자기장의 측정이 가능하여 센싱의 민감도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all sensor is economical compared to other magnetic sensing sensors and can measure the magnetic field with high sensitivity, thereby increasing the sensitivity and accuracy of sensing.

이하에서는, 진동체(200)의 작동원리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vibrating body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밴드부(120)에 손가락을 삽입하였을 때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및 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진동퍼프(1000)를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보관되었을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및 단면도이다. 3A and 3B are diagrams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when a user inserts a finger into the band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A and 4B are general use of a vibration puff 1000 It is a use condition diagram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dition that would have been stored witho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1000)는 자기감지 센서(250)가 밴드부(120)와 결합된 마그네틱(300)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오프(off)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여 진동체(20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자기감지 센서(250)가 마그네틱(300)을 감지하는 경우 온(on)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켜, 진동체(200)의 작동이 시작되도록 하여 모터(220)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도록 한다. The vibration puff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off switching signal when the magnetic sensing sensor 250 detects the magnetic 300 coupled to the band unit 120 to generate an off switching signal. ) Stops the operation, and when the magnetic sensing sensor 250 detects the magnetic 300, an on switching signal is generated to start the operation of the vibrating body 200, thereby vibrating by the motor 220 Let this happen.

예를 들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밴드부(120)에 끼워 넣으면, 자기감지 센서(250)는 마그네틱(300)과 간격(dl)이 멀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210)에서 온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 배터리(230)에서 모터(220)에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220)가 작동하게 되어 퍼프(100)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A and 3B, when a user inserts a finger into the band unit 120, the magnetic sensor 250 senses that the distance dl from the magnetic 300 is separated from the control unit 210 ) To output the switching signal. In this case,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230 to the motor 220 so that the motor 220 operates, so that the vibr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puff 100.

반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밴드부(120)에서 제거하게 되면, 자기감지 센서(250)는 마그네틱(300)과 접촉된 것으로 인식하여 제어부(210)에서 오프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 때, 배터리(230)의 모터(220)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모터(230)의 작동을 멈출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3A and 3B, when the user removes the finger from the band unit 120, the magnetic sensor 250 recognizes that it is in contact with the magnetic 300, and the control unit 210 signals an off-switching signal. Is displayed. In this case, power supply to the motor 220 of the battery 230 is stopped,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motor 230 may be stopped.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을 밴드부(120)에 끼워 넣을 경우에만 모터(220)가 작동되고, 손가락이 밴드부(120)에서 빠져 나오는 경우 자기감지 센서(250)가 마그네틱(300)을 인식하여 작동을 멈추게 되므로, 사용자가 실제 사용할 때만 작동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motor 220 operates only when the user inserts a finger into the band unit 120, and when the finger comes out of the band unit 120, the magnetic sensor 250 recognizes the magnetic 300 and stops the operation. Therefore, it works only when the user actually uses i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퍼프(1000)는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퍼프의 사용 동작만으로 진동체(200)를 작동시킬 수 있어, 스위치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아도 진동체(200)를 작동시킬 수 있는 편의성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ng puff 1000 can operate the vibrating body 200 only by using a puff generally used by the user, so that the vibrating body 200 does not require a separate operation of the switch. There is a convenience that can be operated.

더 나아가, 사용자가 사용을 중지하기 하기 위해 밴드부(120)에서 손가락을 빠져나오는 경우 진동이 멈추게 되어 별도로 사용을 중지하기 위한 동작을 하지 않아도 진동을 멈출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진동체(200)는 사용자의 온-오프 제어 동작 없이 퍼프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만 동작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동작을 멈추게 된다. Furthermore, when the user pulls a finger out of the band unit 120 in order to stop using, the vibration is stopped, so that the vibration can be stopped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operation for stopping the use. As a result, the vibrating body 200 operates only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puff without on-off control operation, and stops the operation when not in use.

따라서, 진동체(200)가 케이스에 안착된 상태에서 진동을 멈추는 종래기술의 퍼프 보다 진동체의 작동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보다 경제적이다. Therefore, it is more economical because the operating time of the vibrating body can be reduced than that of the prior art puff that stops the vibration while the vibrating body 200 is seated in the case.

종래기술은 케이스에 자기감지 센서가 내장되어 있어 진동을 멈추기 위해 케이스에 안착되어야 하므로 다른 케이스에 제형을 뭍혀 사용하는 경우나 다른 종류의 화장품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 불필요하게 지속적으로 동작하여 타 화장품과 호환하여 사용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달리 케이스 안착여부와 무관하게 진동퍼프의 밴드부(120)와 쿠션부(110)의 거리만으로 제어되므로, 다른 화장품의 제형을 이용하거나, 다른 케이스에 보관사용이 가능하다. In the prior art, since a magnetic sensing sensor is built into the case, it must be seated on the case to stop the vibration, so when using the formulation in a different case or to use other types of cosmetics, it operates unnecessarily and continuously and is compatible with other cosmetics. However, unlike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only by the distance between the band part 120 of the vibration puff and the cushion part 110,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case is seated, so that the formulation of other cosmetics is used or stored in a different case. Can be used.

한편, 본 발명은 자성체(260)에 의해 마그네틱(300)이 모터(220) 또는 배터리(230)의 자성에 의해 자기감지 센서(250)와 부정합 된 위치에서 결합되더라도 마그네틱(300)이 진동체(200)에 인접하여 있는 상태를 감지하도록 하여 위치 감지 오류에 따라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magnetic body 260 is coupled at a position mismatched with the magnetic sensor 250 by the magnetism of the motor 220 or the battery 230, the magnetic 300 is a vibrating body ( By detecting the state adjacent to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vibration due to a position detection error.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서 진동체(200)가 퍼프(100)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퍼프(100)의 지속 사용으로 오염되거나, 배터리(230)를 교체하기 위해 퍼프(100)로부터 분리가 필요한 경우 쿠션부(110)의 측면이 개방되어 개방된 부위로 진동체(200)를 드러내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u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ibrating body 200 can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puff 100, and is contaminated by continuous use of the puff 100, or the battery ( When it is necessary to separate from the puff 100 in order to replace 230, the side of the cushion unit 110 is opened to expose the vibrating body 200 to the open portion so that it can be replaced and used.

또한, 진동체(200)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개면이 중앙에 형성되어 퍼프(100)의 절개면을 통해 퍼프(100)와 분리될 수 있어, 다양한 위치에서 교체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brating body 200 has a cut surface formed in the center as shown in FIG. 11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puff 100 through the cut surface of the puff 100, and thus can be used interchangeably at various positions.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 사용상태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체(200)는 일면에 밴드부(12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밴드부(120)가 결합된 진동체(200)는 주변에 쿠션부(110)가 형성되어 쿠션부(110)의 일면에 밴드부(120)가 노출될 수 있다. 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vibration puf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the vibrating body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band portion 120 coupled to one surface thereof, and the vibrating body 200 to which the band portion 120 is coupled may be The cushion unit 110 may be formed on the cushion unit 110 to expose the band unit 120 on one surface of the cushion unit 110.

진동체(200)의 일면에 밴드부(120)가 결합되는 경우 진동체(200)를 퍼프(100)로부터 분리하게 되는 경우에 진동체(20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band unit 120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vibrating body 200, when the vibrating body 200 is separated from the puff 100, the vibrating body 200 may not be operated.

밴드부(120)에 마그네틱(300)이 결합되어 있어, 배터리(230)를 교체하기 위해 진동체(200)를 퍼프(100)로 부터 분리하게 되면 마그네틱(300)이 진동체(200)와 거리가 멀어지므로, 자기감지 센서(250)는 이를 인식하고 온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Since the magnetic 300 is coupled to the band unit 120, when the vibrating body 200 is separated from the puff 100 to replace the battery 230, the magnetic 300 is separated from the vibrating body 200. As it moves away, the magnetic sensing sensor 250 recognizes this and outputs an ON switching signal.

따라서, 사용자가 배터리(230)를 교체하기 위해 퍼프(100)로부터 진동체(200)가 분리되면, 진동체(200)와 밴드부(120)에 결합된 마그네틱(300) 거리가 멀어져 배터리(230)가 분리되기 까지 진동체(200)가 진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vibrating body 200 is separated from the puff 100 in order for the user to replace the battery 230, the distance between the vibrating body 200 and the magnetic 300 coupled to the band part 120 increases, and the battery 230 The vibrating body 200 vibrates until is separated.

하지만,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120)가 진동체(200)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는 퍼프(110)에 결합된 경우와 달리 배터리(230)의 교체시에도 밴드부(120)가 진동체(20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자기감지 센서(250)가 마그네틱(300)을 감지할 수 있게 되어, 배터리(230) 교체시에 진동체(200)가 진동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band unit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vibrating body 200, unlike the case when the band unit 120 is coupled to the puff 110, even when the battery 230 is replaced, the band unit 120 is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vibrating body 200, so that the magnetic sensor 250 can detect the magnetic 300, preventing the phenomenon that the vibrating body 200 vibrates when the battery 230 is replaced. can do.

따라서, 밴드부(120)가 진동체(200)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는 사용자가 배터리 교체시에 모터(220)가 진동됨으로써 발생하는 진동을 사용자가 오작동으로 인식하여 사용상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band unit 120 is coupled to the vibrating body 200, the problem that the user perceives the vibration generated by vibrating the motor 220 when the battery is replaced as a malfunction and feels uncomfortable in use is improved. can do.

도 7a 내지 도 7 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체(200)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7A to 7C are perspective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vibrating body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 c를 참조하면, 진동체(200)는 바닥면에 모터(220), 배터리(230), 자기감지 센서(250) 및 제어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277)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220), 배터리(230), 자기감지 센서(250)를 커버하도록 수용부(277)와 결합되는 커버(271)를 포함한다. (도 7a 내지 도 7c에 내장된 모터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모터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작동된다.)7A to 7C, the vibrating body 200 includes a motor 220, a battery 230, a magnetic sensing sensor 250, and an accommodating part 277 in which the control unit may be accommodated on the bottom surface. , And a cover 271 coupled to the receiving part 277 to cover the motor 220, the battery 230, and the magnetic sensing sensor 250. (The motors built into Figs. 7A to 7C are operated on the same principle as the motors shown in Figs. 1 to 6).

커버(271)는 배터리(230)를 교체하도록 일부분(275)이 들어올려져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일부분이 돌출되어 수용부(277)에 체결되는 체결부(27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결합 방식으로 배터리(230)를 교체 분리, 결합하는 것이 아닌 커버(271)를 들어올리고 닫아 배터리(230)를 교체, 결합할 수 있는 방식을 제시하여 배터리(230)를 교체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제시하였다. The cover 271 is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275 is lifted and opened to replace the battery 230, and may include a fastening portion 273 that is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277 by protruding a portion. As shown in FIGS. 2A to 2C, the battery 230 is not replaced and separated by a sliding coupling method, but a cover 271 is lifted and closed to replace and couple the battery 230. Another example for replacing 230 was presented.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2000)의 사용상태도이다.8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vibration puff 2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탄성 재질의 쿠션부(110)와 손가락이 쿠션부(110)에 밀착되어 사용하도록 쿠션부(110)의 양측에 결합되는 밴드부(120)를 포함하는 퍼프(100), 쿠션부(110) 내부에 모터(220)가 내장되어 쿠션부(10)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체(200), 모터(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30)를 포함하고, 진동체(200)의 일측에 결합되어, 가압 여부에 따라 모터(220)의 전원 인가 여부를 제어하고, 쿠션부(110)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스위치(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8, a puff 100 including an elastic cushion part 110 and a band part 12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ushion part 110 so that finger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ushion part 110, and a cushion The motor 220 is embedded in the unit 110 to include a vibrating body 200 for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cushion unit 10, a battery 230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220, and the vibrating body 200 It is coupled to one side of ), controls whether or not power is applied to the motor 220 according to whether or not it is pressurized, and includes a switch 50 exposed to one side of the cushion unit 110.

사용자는 스위치(50)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진동체(200)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모터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50)는 텍트(TAXT) 스위치, 토글(TOGLE)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수은 스위치, 로커(Rocker) 스위치, 푸쉬버튼 스위치, 리드 스위치 등 진동체(20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모두 종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user can operate the motor built into the vibrating body 200 by pressing the switch 50, and the switch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XT switch, a toggle. It is a concept including all kinds of switches capable of controlling the on-off of the vibrating body 200 such as a switch, a micro switch, a mercury switch, a rocker switch, a push button switch, and a reed switch.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3000,4000)의 사용상태도이다. 9 and 10 are state diagrams of use of the vibration puffs 3000 and 4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스위치(50) 진동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쿠션부(110)의 일면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진동퍼프(300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switch 5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vibrating body, and the vibration puff 3000 may be operated by pressing the one surface of the cushion unit 110.

마찬가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진동체(200)는 터치센서 방식에 의해 작동될 수 있어, 사용자가 밴드부(120)에 손가락을 끼워 가볍게 터치하는 동작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Likewise, as shown in FIG. 10, the vibrating body 200 may be operated by a touch sensor method, and thus, the user may insert a finger into the band unit 120 and lightly touch it.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5000)에서, 쿠션부(110)는 진동체(200)가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일면에 형성되는 절개선(113)을 포함하고, 밴드부(120)는 절개선(113)을 커버하도록 쿠션부(110)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11, in the vibration puff 5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hion unit 110 includes a cut line 113 formed on one surface so that the vibration body 200 is inserted or removed. Including, the band portion 120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ushion portion 110 to cover the cut line 113.

사용자는 배터리(230) 교체하기 위해 절개선(113)을 중심으로 쿠션부(110)의 어느 한쪽 면을 당겨 배터리(230)를 쿠션부(110) 밖으로 꺼내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절개선(113)는 사용시 또는 보관시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밴드부(12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In order to replace the battery 230, the user may pull one side of the cushion unit 110 around the incision line 113 to take the battery 230 out of the cushion unit 110 and replace it. In addition, the incision line 113 is formed at a position that can be covered by the band unit 120 so that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during use or storage.

한편, 쿠션부(110)의 재질은 일면과 타면이 다른 재질로 형성되며, 절개선(113)이 형성되는 부분은 실리콘 재질이며, 타면은 벨벳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of the cushion unit 1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different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 portion where the incision line 113 is formed is a silicon material, and the other side may be formed of a velvet material.

벨벳 재질이 피부에 접촉하도록 하여 보다 파운데이션과 같은 색조 화장이 보다 매끄럽게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By allowing the velvet material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kin, you can make the makeup look smoother, such as foundation.

또한, 쿠션부(110)의 형상은 끝이 뾰쪽한 물방울 형상일 수 있다. 끝이 뽀족한 형태에 의해 콧볼, 턱주변, 눈과 코 경계 등 꿀곡이 있는 부분들까지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어 정교한 화장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cushion unit 110 may be a water drop shape with a pointed tip. With the pointed shape, it is possible to exquisitely express the parts of the nose, around the chin, and the borders of the eyes and nose.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6000)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퍼프의 형태가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2 is a view showing a vibration puff 6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2, it can be seen that the shape of the puff is different.

쿠션부(110)에 띠모양의 밴드부가 결합된 일반적이 퍼프 형태와 달리 밴드부가 아닌 쿠션부의 상부면에 손가락을 넣어 사용하는 것으로, 손가락 끝부분이 노출되지 않고 커버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퍼프이다. Unlike a general puff in which a band-shaped band part is combined with the cushion part 110, a finger is pu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part, not the band part, and it is a puff that can be used in a covered state without exposing the tip of the finger. .

구체적으로, 쿠션부(110)는 진동체(200)를 내장하기 진동체 수용부(111) 진동체 수용부(111)를 커버하도록 진동체 수용부(111)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손가락 삽입부(112)를 포함하여, 여기서 마그네틱(300)은 상기 손가락 삽입부(112)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ushion unit 110 is combined with the vibrating body receiving unit 111 to cover the vibrating body receiving unit 111 and the vibrating body receiving unit 111 to embed the vibrating body 200 so that the user's finger can be inserted. Including a finger insertion portion 112 that can be, wherein the magnetic 300 may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nger insertion portion 112.

또한, 밴드부가 결합되지 않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프는 내부에 진동체(200)가 삽입되고, 진동체(200)를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일면에 형성되는 절개선(113)이 형성되되, 절개선(113)을 중심으로 형성된 양쪽면 중 어느 일면에, 자기 감지센서(250)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그네틱(300)이 결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uf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band portion is not coupled has a vibrating body 200 inserted therein, and an incision line 113 formed on one surface to insert or withdraw the vibrating body 200 is formed, The magnetic 300 may be coupl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sensing sensor 250 on any one of both surfaces formed around the improvement 113.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6000)는 다른 실시예의 진동퍼프와 달리 퍼프(100)에 밴드부(120)가 결합된 형태 뿐만 아니라, 손끝과 손가락의 일부를 덮는 형태의 퍼프에도 다양하게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the vibration puff 6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aried not only in the form in which the band part 120 is coupled to the puff 100, but also in the form of covering the fingertip and part of the finger unlike the vibration puff in other embodiments.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applied and us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는 사용자가 밴드부에 손가락을 끼우는 동작만으로 작동되어 사용이 간편하고, 사용자가 직접 타격하는 경우와 달리 두드리지 않고 미세한 진동으로 화장품 피부에 밀착력되도록 하므로, 화장품이 뭉치지 않고 균일하게 밀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ibration puf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only by the operation of inserting a finger on the band part, so it is easy to use, and unlike the case where the user directly strikes, it does not tap but makes it close to the cosmetic skin with minute vibrations, Cosmetics can adhere evenly without clumping.

한편, 본 발명의 진동체(200)는 분당 12.000회 이상 미세진동할 수 있는 진동 모터를 포함하여, 미세 진동에 의해 파우데이션과 같은 제형을 피부에 밀착시켜, 미세주름에 제형이 섬세하게 채워져 보다 매끄러운 피부표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ibrating body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bration motor capable of finely vibrating at least 12.000 times per minute, so that a formulation such as founda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by fine vibration, so that the formulation is delicately filled in the fine wrinkles. It can enable smooth skin express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는 배터리를 교체 사용함으로써 장치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배터리를 슬라이딩 방식이나 뚜껑을 열어 교체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교체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다.In addition, the vibration puf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conomical because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without replacing the entire device by replacing the battery, and the convenience of replacing the battery with a sliding method or a simple operation of opening the lid. have.

더 나아가, 진동체의 제어 방식을 다양하게 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가 반영되도록 하였다. Furthermore, by presenting various control methods of the vibrating body, various needs of users were reflected.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진동퍼프
100: 퍼프
110: 쿠션부
120: 밴드부
200: 진동체
220: 모터
230: 배터리
250: 자기감지 센서
260: 자성체
300: 마그네틱
1000: vibration puff
100: puff
110: cushion part
120: band portion
200: vibrating body
220: motor
230: battery
250: magnetic detection sensor
260: magnetic body
300: magnetic

Claims (13)

탄성 재질의 쿠션부와 손가락이 쿠션부에 밀착되어 사용하도록 상기 쿠션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퍼프;
상기 쿠션부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쿠션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체; 및
상기 밴드부와 결합되어 상기 쿠션부 내부에 설치된 상기 진동체에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틱;을 포함하는, 진동퍼프.
A puff including a cushion par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band par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ushion part so that finger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ushion part to be used;
A vibrating body built into the cushion unit and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cushion unit; And
A vibration puff that includes; a magnetic for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to the vibrating body installed inside the cushion unit is coupled to the band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는,
상기 마그네틱의 감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자기감지센서;
상기 자기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기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진동퍼프.
The method of claim 1,
The vibrating body,
A magnetic sensing sensor capable of outputting a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magnetic is sense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nd configur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 motor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And
Containing, a vibration puff;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탄성 재질의 쿠션부;
상기 쿠션부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쿠션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체;
손가락이 쿠션부에 밀착되어 사용하도록 상기 진동체의 양측에 결합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와 결합되어 상기 진동체에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틱;를 포함하되,
상기 밴드부는 상기 쿠션부의 일측에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퍼프.
A cushion par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 vibrating body built into the cushion unit and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cushion unit;
Band portion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vibrating body so that finger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ushion portion to be used; And
Including; a magnetic for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in the vibrating body is coupled to the band part,
The vibration puff, characterized in that the band portion is exposed from one side of the cushion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는,
상기 마그네틱의 감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자기감지센서;
상기 자기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기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진동퍼프.
The method of claim 3,
The vibrating body,
A magnetic sensing sensor capable of outputting a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magnetic is sense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nd configur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 motor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And
Containing, a vibration puff;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는,
바닥면에 상기 모터, 상기 배터리, 상기 자기감지 센서 및 상기 제어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
상기 모터, 상기 배터리, 상기 자기감지 센서를 커버하도록 상기 수용부와 결합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진동퍼프.
The method of claim 4,
The vibrating body,
An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motor, the battery,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nd the control unit may be accommodated on a bottom surface;
A vibration puff comprising; a cover coupled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to cover the motor, the battery, and the magnetic sensing sensor.
마그네틱의 감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자기감지 센서;
상기 자기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기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바닥면에 상기 모터, 상기 배터리, 상기 자기감지 센서 및 상기 제어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 및
상기 모터, 상기 배터리, 상기 자기감지 센서를 커버하도록 상기 수용부와 결합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배터리를 교체하도록 일부분이 들어올려져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체.
A magnetic sensing sensor capable of outputting a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whether a magnetic is sense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nd configur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 motor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A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An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motor, the battery,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nd the control unit may be accommodated on a bottom surface; And
Including; a cover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to cover the motor, the battery, and the magnetic sensing sensor,
The cover,
A vibrating body,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is lifted and opened to replace the battery.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감지 센서는,
SQUID(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서치코일 마그네토미터(search coil magnetometer), 자기저항센서, 홀센서, 자기다이오드 (magnetodiode), 자기 트렌지스터(magnetotransistor), 리드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진동퍼프.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and 4 to 5,
The magnetic detection sensor,
SQUID (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search coil magnetometer, magneto-resistance sensor, Hall sensor, magnetodiode, magnetic transistor, and lead sensor .
탄성 재질의 쿠션부와 손가락이 쿠션부에 밀착되어 사용하도록 상기 쿠션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퍼프;
상기 쿠션부 내부에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되어 상기 쿠션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체; 및
상기 진동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모터의 전원 인가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쿠션부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진동퍼프.
A puff including a cushion par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band par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ushion part so that finger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ushion part to be used;
A vibrating body having a motor and a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inside the cushion unit to transmit vibration to the cushion unit; And
A vibration puff comprising; a switch coupled to one side of the vibrating body, controlling whether or not power is applied to the motor according to whether or not it is pressurized, and exposed to one side of the cushion unit.
탄성 재질의 쿠션부와 손가락이 상기 쿠션부에 밀착되어 사용하도록 상기 쿠션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퍼프;
상기 쿠션부 내부에 모터가 내장되어 상기 쿠션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체; 및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모터의 전원 인가 여부를 제어하도록 상기 진동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진동퍼프.
A puff including a cushion par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band par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ushion part so that finger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ushion part to be used;
A vibrating body having a motor built into the cushion unit to transmit vibration to the cushion unit; And
Including;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 vibration puff comprising; a switch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vibrating body to control whether or not power is applied to the motor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motor is pressed.
탄성 재질의 쿠션부와 손가락이 상기 쿠션부에 밀착되어 사용하도록 상기 쿠션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퍼프;
상기 쿠션부 내부에 모터가 내장되어 상기 쿠션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체; 및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모터의 전원 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진동퍼프.
A puff including a cushion par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band par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ushion part so that finger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ushion part to be used;
A vibrating body having a motor built into the cushion unit to transmit vibration to the cushion unit; And
Including;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Vibrating puff comprising; a touch sensor that controls whether or not power is applied to the motor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motor is pressed.
탄성 재질의 쿠션부와 손가락이 상기 쿠션부에 밀착되어 사용하도록 상기 쿠션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퍼프;
상기 쿠션부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쿠션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체; 및
상기 밴드부와 결합되어 상기 쿠션부 내부에 설치된 상기 진동체에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틱;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체는,
상기 마그네틱의 감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자기감지센서;
상기 자기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기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되,
상기 쿠션부는,
상기 진동체가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일면에 형성되는 절개선을 포함하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절개선을 커버하도록 상기 쿠션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진동퍼프.
A puff including a cushion par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band par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ushion part so that finger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ushion part to be used;
A vibrating body built into the cushion unit and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cushion unit; And
Including; a magnetic for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to the vibrating body is coupled to the band part installed inside the cushion part,
The vibrating body,
A magnetic sensing sensor capable of outputting a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magnetic is sense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nd configur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 motor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And
Including;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The cushion part,
And a cut line formed on one surface so that the vibration body is inserted or withdrawn, and the band part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ushion part to cover the cut line.
퍼프;
상기 퍼프에 내장되어 상기 퍼프의 일면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체; 및
상기 퍼프와 결합되어 상기 퍼프에 내장된 상기 진동체에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틱;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체는,
상기 마그네틱의 감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자기감지센서;
상기 자기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기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되,
상기 퍼프는,
상기 진동체가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일면에 형성되는 절개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선을 중심으로 형성된 양쪽면 중 어느 일면에, 상기 자기감지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마그네틱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퍼프.
puff;
A vibrating body built into the puff and transmitting vibration to one surface of the puff; And
Including; a magnetic for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to the vibrating body is combined with the puff is embedded in the puff,
The vibrating body,
A magnetic sensing sensor capable of outputting a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magnetic is sense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nd configur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 motor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And
Including;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The puff is,
An incision line formed on one surface is formed so that the vibrating body is inserted or drawn out,
The vibration puff,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ic is coupl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sensing sensor on any one of both surfaces formed around the incision line.
퍼프;
상기 퍼프에 내장된 진동체; 및
상기 진동체에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틱;
상기 마그네틱의 감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자기감지센서;
상기 자기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기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되,
상기 퍼프는,
상기 진동체를 내장하기 진동체 수용부; 및
상기 진동체 수용부의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진동체 수용부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손끝이 노출되지 않고 삽입될 수 있는 손가락 삽입부;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은 상기 손가락 삽입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퍼프.
puff;
A vibrating body built into the puff; And
A magnetic for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in the vibrating body;
A magnetic sensing sensor capable of outputting a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magnetic is sense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 control unit capable of outpu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magnetic sensing sensor;
A motor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And
Including;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The puff is,
A vibrating body accommodating part to house the vibrating body; And
Including; a finger insertion unit that can be inserted without exposing the user's fingertips by being coupled with the vibrating body accommodating portion to cover a portion of the vibrating body accommodating portion,
The magnetic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nger insertion portion, vibration puff.
KR1020190109808A 2019-09-04 2019-09-04 A vibration puff KR1022701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808A KR102270167B1 (en) 2019-09-04 2019-09-04 A vibration puf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808A KR102270167B1 (en) 2019-09-04 2019-09-04 A vibration puf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545A true KR20210028545A (en) 2021-03-12
KR102270167B1 KR102270167B1 (en) 2021-06-28

Family

ID=75177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808A KR102270167B1 (en) 2019-09-04 2019-09-04 A vibration puf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16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0580A (en) 2021-11-15 2023-05-23 주식회사 에코웰 A vibration puf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516Y1 (en) * 2005-02-24 2005-05-04 주식회사 태평양 Double-faced puffs for make-up
KR101058359B1 (en) 2011-04-05 2011-08-22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Puff for cosmetic purpose having built-in vibration means
KR101249944B1 (en) * 2012-07-10 2013-04-05 (주)고려퍼프 Puff vibration
KR20130112528A (en) * 2012-04-04 2013-10-14 (주)아모레퍼시픽 A vibrating cosmetic using magnetic sens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516Y1 (en) * 2005-02-24 2005-05-04 주식회사 태평양 Double-faced puffs for make-up
KR101058359B1 (en) 2011-04-05 2011-08-22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Puff for cosmetic purpose having built-in vibration means
KR20130112528A (en) * 2012-04-04 2013-10-14 (주)아모레퍼시픽 A vibrating cosmetic using magnetic sensing
KR101249944B1 (en) * 2012-07-10 2013-04-05 (주)고려퍼프 Puff vibr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0580A (en) 2021-11-15 2023-05-23 주식회사 에코웰 A vibration puf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167B1 (en) 202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678B1 (en) A vibration puff
US11883129B2 (en) Easy insert finger sensor for transmission based spectroscopy sensor
US20110202121A1 (en) Electrical nerve stimulator
JP4309183B2 (en) Fingerprint input device
EP0653182A1 (en) Portable measuring apparatus
KR20210028545A (en) A vibration puff
CN103976730A (en) Portable physiological parameter measuring instrument and physiological parameter measuring function quick starting method
CN108501049A (en) Hand held personal care equipment
CN105982650A (en) Infrared thermometer
WO2022079896A1 (en) Inhala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TWI505793B (en) Vibratory cosmetic container operated through detection of skin pressure
KR101325941B1 (en) A Vibrating Cosmetic Using Magnetic Sensing
WO2020051752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114675A1 (en) Display device, inhaler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WO2021027938A1 (en) Charging device and cigarette vaping apparatus having same
US9977490B2 (en) Dual mode input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070580A (en) A vibration puff
JP2003217540A (en) Battery container structure
KR102300676B1 (en) Elastic vibrating body and vibrating puff having the same
CN109984935A (en) A kind of induction control method and its device, massage machine
CN109561731A (en) The system of controlled distribution for cigarette
JP5416626B2 (en) Motor function measurement sensor, motor function measurement system
CN219680603U (en) Skin elasticity measuring system
US20210161616A1 (en) Dexterous Dental Handpiece With Hand and Foot Actuation
KR20190117882A (en) Lip car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