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0314A - 5g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반송파 집성 구성 - Google Patents

5g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반송파 집성 구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0314A
KR20230070314A KR1020237014310A KR20237014310A KR20230070314A KR 20230070314 A KR20230070314 A KR 20230070314A KR 1020237014310 A KR1020237014310 A KR 1020237014310A KR 20237014310 A KR20237014310 A KR 20237014310A KR 20230070314 A KR20230070314 A KR 20230070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upported
user equipment
access network
network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4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마사 우메다
페트리 주하니 바센카리
아마나트 알리
Original Assignee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230070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04L5/0039Frequency-contiguous, i.e. with no allocation of frequencies for one user or terminal between the frequencies allocated to anoth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04L5/0041Frequency-non-contigu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Abstract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가용 능력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장비에 대한 반송파 집성 구성을 생성하게 하고 - 가용 능력 정보는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한 적어도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정보 및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정보를 포함함 -;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자 장비를 구성하도록 반송파 집성 구성을 사용자 장비에 발송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5G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반송파 집성 구성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5세대(5G)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차세대 이동 통신 네트워크들이다. 현재 5G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표준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표준은 3GPP NR(New Radio) 표준으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추구되는 보호의 범위는 독립적인 청구항들에 의해 정해진다. 독립적인 청구항들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또는 특징부들은, 존재한다면, 다양한 실시예들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예들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R(New Radio) 네트워크에서 대역폭 조합 세트(BCS)를 추가할 필요성을 경감시키고/시키거나 gNB에 대해 요구되는 업데이트들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들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3GPP RAN4(Radio Access Network Working Group 4) 규격들에서 기존 NR CA BCS 테이블들을 업데이트할 필요성을 경감시킬 수 있고/있거나 gNB가 이들 테이블들을 소프트웨어로 임포트(import)할 필요성을 경감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또한, 중복 정보를 gNB에 보고할 필요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signaling overhead)를 감소시키고 및/또는 대역폭 용량(capacity)을 개선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가용 능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비에 대한 반송파 집성 구성(carrier aggregation configuration)을 생성하게 하고 - 가용 능력 정보는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한 적어도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정보 및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정보를 포함함 -; 및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자 장비를 구성하도록 사용자 장비에 반송파 집성 구성을 발송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제공하며, 상기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가용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비에 대한 반송파 집성 구성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 가용 능력 정보는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spacing) 당 적어도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정보 및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정보를 포함함 -; 및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자 장비를 구성하도록 사용자 장비에 반송파 집성 구성을 발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가용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비에 대한 반송파 집성 구성을 생성하는 단계 - 가용 능력 정보는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적어도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정보 및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정보를 포함함 -; 및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자 장비를 구성하도록 사용자 장비에 반송파 집성 구성을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가용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비에 대한 반송파 집성 구성을 생성하는 단계 - 가용 능력 정보는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적어도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정보 및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정보를 포함함 -; 및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자 장비를 구성하도록 사용자 장비에 반송파 집성 구성을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적어도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각각의 대역폭 조합 세트의 정의들을 저장하지 않고 반송파 집성 구성을 생성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정보는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을 포함할 수 있다.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정보는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각각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모든 특정된 채널 대역폭들의 서브세트를 지원할 수 있고, 가용 능력 정보는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각각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모든 특정된 채널 대역폭들의 서브세트 내의 채널 대역폭들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가용 능력 정보를 요청하는 가용 능력 질의(capability inquiry)를 발송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용 능력 정보가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해 지원되는 채널 대역폭들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는 표시를 가용 능력 정보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라디오 자원 제어 메시지(Radio Resource Control message)로서 반송파 집성 구성을 사용자 장비에 발송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역 조합은 적어도 제1 뉴 라디오(New Radio) 대역 및 제2 뉴 라디오 대역을 포함할 수 있고,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정보는 (i) 제1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1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및 (ii) 제2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2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을 포함할 수 있고,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정보는 (i) 제1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1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및 (ii) 제2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2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을 포함할 수 있다. 반송파 집성 구성은 제1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1 지원되는 채널 대역폭들 및 제2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마다의 제2 지원되는 채널 대역폭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가용 능력 정보는 (i)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제1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1 지원되는 채널 대역폭들의 표시, 및 (ii)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제2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2 지원되는 채널 대역폭들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를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가,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적어도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정보 및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정보를 포함하는 가용 능력 정보를 생성하게 하고; 가용 능력 정보를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발송하게 하고;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로부터 반송파 집성 구성을 수신하게 하도록 - 반송파 집성 구성은 가용 능력 정보에 기초하고, 반송파 집성 구성은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자 장비를 구성함 -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사용자 장비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장비는 :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해 적어도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정보 및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정보를 포함하는 가용 능력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가용 능력 정보를 발송하기 위한 수단; 및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로부터 반송파 집성 구성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반송파 집성 구성은 가용 능력 정보에 기초하고, 반송파 집성 구성은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자 장비를 구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한 적어도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정보 및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정보를 포함하는 가용 능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용 능력 정보를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발송하는 단계; 및 상기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로부터 반송파 집성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반송파 집성 구성은 상기 가용 능력 정보에 기초하고, 상기 반송파 집성 구성은 상기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자 장비를 구성함 - 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사용자 장비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사용자 장비가,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한 적어도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정보 및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정보를 포함하는 가용 능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상기 가용 능력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 및 상기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로부터 반송파 집성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반송파 집성 구성은 상기 가용 능력 정보에 기초하고, 상기 반송파 집성 구성은 상기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자 장비를 구성함 - 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가용 능력 정보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가용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비에 대한 반송파 집성 구성을 생성하게 할 수 있다.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정보는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을 포함할 수 있다.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정보는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각각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모든 특정된 채널 대역폭들의 서브세트를 지원할 수 있고, 가용 능력 정보는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각각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모든 특정된 채널 대역폭들의 서브세트 내의 채널 대역폭들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가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로부터의 가용 능력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 가용 능력 정보를 생성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용 능력 정보가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한 지원되는 채널 대역폭들을 식별하기 위해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는 표시를 가용 능력 정보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라디오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가용 능력 정보를 발송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역 조합은 적어도 제1 뉴 라디오 대역 및 제2 뉴 라디오 대역을 포함할 수 있고,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정보는 (i) 제1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1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및 (ii) 제2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2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을 포함하고,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정보는 (i) 제1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1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및 (ii) 제2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2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을 포함한다. 반송파 집성 구성은 제1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1 지원되는 채널 대역폭들 및 제2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마다의 제2 지원되는 채널 대역폭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가용 능력 정보는 (i)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제1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1 지원되는 채널 대역폭들의 표시, 및 (ii)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제2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2 지원되는 채널 대역폭들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한 컴포넌트들은 동일한 도면 번호에 의해 표시되며,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R(New Radio) 액세스 배치의 일부의 간략화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UE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대역간(inter-band) CA(2개의 밴드)에 대해 정의된 3GPP-LTE(3GPP Long-Term Evolution) 반송파 집성(CA) BCS(bandwidth combination set)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5는 대역간 CA(2개의 밴드)에 대해 정의된 3GPP NR CA BCS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6은 대역간 CA(2-밴드)를 위해 정의된 3GPP NR CA BCS의 다른 예를 예시한다.
이들 도면들은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활용되는 방법들, 구조 및/또는 재료들의 개괄적인 특성들을 예시하고 아래에 제공되는 기록된 설명을 보충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들은 스케일링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임의의 주어진 실시예의 정밀한 구조적 또는 성능 특성들을 정밀하게 반영하지 않을 수 있으며,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해 포함되는 값들 또는 특성들의 범위를 정의하거나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다양한 도면에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도면 번호의 사용은 유사하거나 동일한 엘리먼트 또는 특징부의 제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제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시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이 보다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세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구조적 및 기능적 세부사항들은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들을 위한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많은 대안적인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개시된 특정 형태들로 제한하려는 의도가 없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예들, 등가물들 및 대안들을 포괄하기 위한 것이다. 유사한 번호들은 도면들의 설명 전체에 걸쳐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나타낸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 또는 라디오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예를 들어, gNB), 사용자 장비(UE) 등의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적용가능한 디바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또는 프로세싱 회로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거나 저장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엘리먼트(또는 사용자 장비)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용어 "하나 이상" 및 "적어도 하나"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gNB는 또한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eNodeB(enhanced NodeB),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 라디오 네트워크 엘리먼트, 또는 네트워크 노드로 지칭될 수 있다. UE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이동국(mobile station)으로 지칭될 수 있고, 모바일 폰, 셀 폰, 스마트폰, 핸드셋,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랩톱 컴퓨터, 패블릿(phable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AN(Radio Access Network) 워킹 그룹 4(WG4(RAN4))는 각각의 3GPP NR(New Radio) 반송파 집성(CA), MR-DC(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 Dual Connectivity) 및 3GPP LTE(Long Term Evolution) CA 대역 조합(band combination)에 대해 지원되는 대역폭 조합 세트(BCS)를 특정하였다. BCS의 장점은 UE가 특정 오퍼레이터(operator) 또는 영역에 대해 최적화된(예를 들어, 최소 수의) 채널 대역폭(CBW) 조합들을 지원하도록 허용된다는 것이며, 이는 더 적은 수의 테스트들 및 IoDT(InterOperability Development Testing) 노력들로 인해 비용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대역 조합에 대해 하나 이상의 BCS를 특정하는 것은 RAN4 규격의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있거나 (예를 들어, 상당한) 추가 표준화 작업을 요구할 수 있다.
도 4는 대역간(inter-band) CA를 위해 정의된 3GPP-LTE CA BCS의 일 예를 예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예는 LTE 밴드 4 및 12를 포함하고, 하나의 밴드 조합에 대해 특정된 BCS의 최대 개수는 6개이다.
도 5는 대역간 CA를 위해 정의된 3GPP NR CA BCS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예는 대역들(n28 및 n75)에 대한 BCS들(BCS0 및 BCS1)을 포함한다.
도 6은 대역간 CA에 대해 정의된 3GPP NR CA BCS의 다른 예를 예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대역들 n28 및 n75에 대한 가상 BCS2의 예를 예시한다.
동작 시, UE는 UE 가용 능력 보고(capability report)를 통해 각각의 대역 조합에 대한 지원되는 BCS(들)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통상적으로, 기지국은 보고된 UE 가용 능력을 해석하기 위해 각각의 대역 조합에 대한 CBW 조합들을 이용하고 지원하는 모든 BCS(들)를 저장하고, 기지국에서 이용되지 않는 BCS(들)를 무시한다.
3GPP NR의 경우, 후보 CBW들의 수는 3GPP LTE에 대한 후보 CBW들의 수보다 더 크다. 추가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GPP NR에 대한 대역 당 지원되는 CBW들은 지원되는 부반송파 간격들(SCS)과 상이하다. 그 결과, 3GPP NR BCS 테이블들은 3GPP LTE BCS 테이블들보다 더 복잡하다. 추가하여, 3GPP LTE와 달리, 3GPP NR의 경우, 새로운 CBW(들)가 기존 대역들에 추가될 수 있으며, 이는 새로운 BCS(들)의 도입을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NR 대역 조합에 대한 BCS(들)의 수는 LTE 대역 조합에 대한 것보다 클 수 있다. gNB 구현의 관점에서, 이러한 상황은 3GPP LTE 네트워크들에서 보다 새로운 BCS(들)를 저장하기 위해 더 빈번한 gNB 업데이트들을 초래할 수 있다.
종래의 방법들은 도 5의 BCS들(BCS0 및 BCS1)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들은, 예를 들어, 5, 10 및 15 MHz CBW들에 대한 지원이 원칙적으로 단일 대역 동작을 위해 필수적이기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BCS에서 최소 CBW들이 3GPP NR 대역들 중 일부에 제한되는 경우를 해결할 수 없다. 시그널링의 관점에서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이들 CBW들을 지원하지 않음으로써 대역 조합에서 각각의 대역에 대해 5, 10 및 15 MHz CBW를 지원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렇게 하는 것은 심지어 CA가 필요하지 않을 때(예를 들어, 단일 대역 동작에서) 이들 CBW들을 가용 가능하지 않게 하거나, UE가 전세계적으로 상이한 네트워크들에 걸쳐 이용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 상황을 초래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UE가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NR 대역에 대한 SCS 당 지원되는 CBW들의 범위를 보고할 수 있는 시그널링 메커니즘을 도입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는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NR 대역에 대한 SCS 당 지원되는 최소 CBW 및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NR 대역에 대한 SCS 당 지원되는 최대 CBW를 보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또한 임의의 또는 모든 대역 조합들에 공통인 BCS "x"(예를 들어, x = 4)와 같은 고정된 BCS 개수를 gNB에 발송함으로써 UE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지원을 표시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UE가 예를 들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gNB에 다음의 파라미터들을 보고하기 위한 메커니즘들을 제공한다:
(i) 단일 대역 동작(존재하는 경우)으로서 각각의 NR 대역에 대한 SCS당 지원되는 CBW(들),
(ii)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NR 대역에 대한 SCS당 지원되는 최대 CBW, 및
(iii)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NR 대역에 대한 SCS당 지원되는 최소 CBW.
gNB는, UE에 대해, 위에서 논의된 적어도 파라미터들 (ii) 및 (iii)에 기초하여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NR 대역에 대한 SCS 당 지원되는 CBW(들)를 식별한다. 지원되는 CBW 조합은 NR 대역 마다 SCS 당 지원되는 CBW 각각의 치환(permutation)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NR의 BCS(예를 들어, BCS2)는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각각의 NR 대역에 대한 SCS 당 지원되는 CBW(들)를 보고하고 새로운 BCS를 명시적으로 추가하지 않고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UE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최적화된) CBW 조합 선택은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능할 수 있다. gNB의 관점에서, gNB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각각의 BCS의 정의를 기억(예를 들어, 저장)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gNB는 UE로부터의 보고된 가용 능력들에 기초하여 주어진 대역 조합에 대한 UE에 대한 지원되는 CBW 조합들을 결정할 수 있다. 가용 능력 보고 및 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UE와 gNB 사이의 시그널링은 나중에 더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3GPP NR 액세스 배치의 일부의 간략화된 다이어그램을 예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3GPP NR 라디오 액세스 배치는 송신 및 수신 포인트(TRP)(102A, 102B, 102C)를 갖는 gNB(102)를 포함한다. 각각의 TRP(102A, 102B, 102C)는 적어도, 예를 들어 라디오 주파수(RF) 안테나(또는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패널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RRH(remote radio head) 또는 RRU(remote radio unit)일 수 있으며, 지리적 영역 내에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 트랜시버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TRP들(102A, 102B, 102C)은 지리적 커버리지(coverage) 영역 내의 사용자 장비(UE)(예를 들어, UE(106))에 대한 셀룰러 자원들을 제공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기저대역 프로세싱(baseband processing)은 5세대(5G) 셀에서 TRP들(102A, 102B, 102C)과 gNB(102) 사이에서 분할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저대역 프로세싱은 gNB(102)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TRP들(102A, 102B, 102C)은 하나 이상의 송신(TX)/수신(RX) 빔 쌍들을 통해 UE(106)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gNB(102)는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와 통신하며, 이는 3GPP NR에서 뉴 코어(New Core)로 지칭된다.
TRP들(102A, 102B, 102C)은 독립적인 스케줄러들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gNB(102)는 TRP들(102A, 102B, 102C) 사이의 조인트 스케줄링(joint scheduling)을 수행할 수 있다.
단일 UE(106)만이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만, gNB(102) 및 TRP들(102A, 102B, 102C)은 TRP들(102A, 102B, 102C)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비교적 많은 수의 UE들에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명료함을 위해, 통신 서비스들(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 것을 포함)은 예컨대 gNB(102)와 UE(106) 사이에서 논의될 것이다. 그러나 신호는 UE(106)와 하나 이상의 TRP(102A, 102B, 102C) 사이에서 송신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RRC 시그널링의 맥락에서 gNB(102) 및 UE(106)의 예시적인 기능 및 동작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RRC 시그널링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상세한 논의는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RRC 시그널링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지만,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이 예에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다른 시그널링 메커니즘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예시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S202에서, gNB(102)는 UE(106)로부터 가용 능력 정보를 요청하는 UE 가용 능력 질의(capability inquiry) (또한, 때때로 본 명세서에서 UE 가용 능력 요청으로 지칭됨)를 UE(106)에 발송한다.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UE 가용 능력 질의는 UE(106)가 (예를 들어, gNB(102)에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발송된) 가용 능력 필터에 주어진 비트 (또는 비트들의 세트)를 포함함으로써 다른 것들 중에서도 BCS "x" (또한 BCSx로 지칭됨)를 보고하라는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요청은, 예를 들어, capabilityRequestFilterCommon: Include BCS "x"일 수 있다. BCS "x" 또는 BCSx는 x = 4와 같은 고정된 BCS 개수일 수 있으며, 이는 임의의 대역 조합들에 공통이며, UE(106)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지원한다는 것을 gNB(102)에 통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UE(106)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메커니즘들을 지원한다고 가정하면, S204에서, UE(106)는 BCS "x"를 보고하기 위한 요청에 기초하여 가용 능력 컨테이너(ue-CapabilityRAT-Container)를 합성하고, UE(106)에 대한 BCS 정보(BCS_Info)를 생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에서 BCS 정보(BCS_Info)는 각각의 SCS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
CBWperBandperSCS: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각각의 NR 대역에 대해 지원되는 CBW(들)(이 파라미터는 이 조건을 충족시키는 임의의 CBW들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옵션일 수 있음);
supportedBandwidthDL: 대역 조합 내의 각 NR 대역에 대해 지원되는 최대 CBW; 및
supportedMinBandwidthDL: 대역 조합 내의 각 NR 대역에 대해 지원되는 최소 CBW.
위에서 언급된 파라미터들은 UE에서 및/또는 UE(106)의 가용 능력들에 기초하여 알려질(또는, 대안적으로, (사전)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또한, BCS 정보(BCS_Info)는 RRC 규격에서 사용되는 ASN.1 표기에 따라 포맷(format)될 수 있다. 이러한 포맷은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논의는 생략된다.
계속 도 2를 참조하여, S206에서, UE(106)는 BCS 정보(BCS_Info)를 gNB(102)에 발송한다.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UE(106)는 UE 가용 능력 정보 RRC 메시지에 BCS 정보(BCS_Info)를 gNB(102)에 발송한다. 일 예에서, UE 가용 능력 정보 RRC 메시지는 BCS 정보(BCS_Info)를 추가로 포함하는 가용 능력 컨테이너(ue-CapabilityRAT-Container)를 포함한다. 가용 능력 컨테이너(CapabilityRAT-Container)는 가용 능력 컨테이너 리스트(UE-CapabilityRAT-ContainerList)에 열거된다.
S208에서, gNB(102)는 UE(106)로부터 (예를 들어, UE 가용 능력 정보 RRC 메시지에 포함된) BCS 정보(BCS_Info)를 수신하고, BCS 정보(BCS_Info)를 gNB(102)의 메모리에 레코딩/저장한다.
S210에서, gNB(102)는 BCS 정보(BCS_Info)에 기초하여 UE(106)에 대한 CA 구성을 동적으로 생성한다. CA 구성은 식별된 대역 조합(들)에 대한 SCS 조합(들)마다 지원되는 하나 이상의 CBW(들)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S210에서, gNB(102)는 주어진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NR 대역에 대해, (i)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각각의 NR 대역에 대해 UE에 의해 지원되는 CBW(들), 및 (ii) UE(106)로부터의 BCS 정보(BCS_Info)에 포함된 지원되는 최대 CBW와 지원되는 최소 CBW 사이의 CBW(들)의 범위를 식별한다. 그런 다음, gNB(102)는 NR 대역 당 지원되는 CBW(들) 각각의 조합들을 대역 조합(들)에 대한 SCS 조합(들) 당 지원되는 CBW(들)로서 결정 또는 식별한다. 일 예에서, 조합들은 NR 대역 당 지원되는 CBW들의 모든 치환(permutation)들을 포함한다. 대역 당 지원되는 CBW(들)의 조합들의 보다 구체적인 예는 후술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gNB(102)는 UE(106)에 대한 CA 구성을 생성하기 위해 BCS(들)와 연관된 임의의 테이블을 저장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gNB(102)는 (런타임(runtime)에서) CA 구성을 생성하기 위해 BCS 정보(BCS_Info)만을 저장할 필요가 있다.
계속 도 2를 참조하여, UE(106)에 대한 CA 구성을 생성한 후에, gNB(102) 및 UE(106)는 S212 및 S214에서 RRC (재)구성 메시지들을 교환한다. gNB와 UE 사이의 RRC (재)구성 메시지 및 교환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간략한 논의만이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S212에서, gNB(102)는 결정된 CA 구성을 포함하는 RRC (재)구성 메시지를 UE(106)에 발송한다.
RRC (재)구성 메시지에 응답하여, UE(106)는 CA 구성(미도시)을 수행한다. 일단 완료되면, S214에서, UE(106)는 이를 표시하는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gNB(102)에 발송한다.
그런 다음, UE(106)는 gNB(102)에 의해 제공되는 CA 구성을 사용하여 다운링크 상에서 gNB(102)와 통신할 수 있다.
UE(106)는 주어진 NR 대역에 대해 지원되지 않는 임의의 CBW(들)가 존재하는 경우 UE(106)에서 지원되는 CBW(들)를 명시적으로 보고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UE(106)가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각각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모든 특정된 채널 대역폭들의 서브세트를 지원하는 경우, UE(106)는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각각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모든 특정된 채널 대역폭들의 서브세트에서의 채널 대역폭들의 명시적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RAN2 규격의 관점에서, 410 MHz 내지 7125 MHz의 NR 대역에 대한 5, 10, 15, 20, 25, 30, 40, 50, 60, 80 및 100 MHz 또는 24250 MHz 내지 52600 MHz의 대역에 대한 50, 100 및 200 MHz 중 모든 특정된 CBW가 UE에 의해 지원되는 경우, UE(106)는 실제로 이러한 CBW를 gNB(102)에 명시적으로 보고할 필요가 없다.
다운링크 통신들과 관련하여 논의되었지만,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이 예에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또한 업링크 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
SCS = 15kHz이고 대역 조합이 NR 대역들 n28 및 n75를 포함하는 보다 구체적인 예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 예는 도 2의 신호 흐름도(적용가능한 경우) 및 도 1에 도시된 gNB(102) 및 UE(106)를 참조하여 논의될 것이다.
이 예에서, UE(106)는 지원되는 CBW(들)(예를 들어, NR 대역 n28에 대해 5, 10, 15, 20 및 30 MHz 및 NR 대역 n75에 대해 5, 10, 15, 20, 25, 30, 40 및 50 MHz)를 명시적으로 보고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CBW들의 지원은 필수적이어서 UE(106)가 이러한 CBW들을 gNB(102)에 명시적으로 보고할 필요가 없다.
UE 가용 능력 질의(S202)에 대한 응답으로, S206에서, UE(106)는 NR 대역 n28에 대한 지원되는 최대 CBW 파라미터 supportedBandwidthDL이 20 MHz이고, NR 대역 n75에 대한 지원되는 최대 CBW 파라미터 supportedBandwidthDL이 40 MHz이도록 지원되는 최대 CBW 파라미터 supportedBandwidthDL을 통해 단일 대역 엔트리 및 단일 CC(component carrier) 엔트리와의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NR 대역에 대한 적어도 지원되는 최대 CBW를 보고한다. 또한, S206에서, UE(106)는, NR 대역 n28에 대해 지원되는 최소 CBW 파라미터 supportedMinBandwidthDL이 10MHz이고, NR 대역 n75에 대해 지원되는 최소 CBW 파라미터 supportedMinBandwidthDL이 20MHz이도록 지원되는 최소 CBW 파라미터 supportedMinBandwidthDL을 통해 단일 대역 엔트리 및 단일 CC 엔트리와의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NR 대역에 대해 지원되는 최소 CBW를 보고한다. UE(106)는 또한 (i)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NR 대역 n28(제1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1 지원되는 채널 대역폭들의 표시, 및 (ii)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NR 대역 n75(제2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2 지원되는 채널 대역폭들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UE(106)로부터 보고된 가용 능력 정보를 저장한 후(S208), S210에서, gNB(102)는 대역 조합에 대한 지원되는 CBW들이 NR 대역 n28에 대해 10MHz와 20MHz 사이(10MHz ≤ CBW ≤ 20MHz)의 범위에 있다고 결정한다. 따라서, 이 예에서, gNB(102)는 10, 15 및 20 MHz 대역들이 NR 대역 n28에 대해 UE(106)에 의해 지원된다고 결정한다. NR 대역 n75에 대해, gNB(102)는 보고된 정보가 주어지면, 대역 조합에 대해 지원되는 CBW들이 20MHz와 40MHz 사이(20MHz ≤ CBW ≤ 40MHz)라고 결정한다. 따라서, gNB(102)는 20, 25, 30 및 40 MHz 대역들이 NR 대역 n75에 대해 지원된다고 결정한다.
따라서, 이 예에서, gNB(102)는 대역 조합에 대한 지원되는 CBW(들) 조합들이 상기에서 도출된 NR 대역 당 지원되는 CBW들 각각의 조합들이라고 결정한다. 즉, 이 예에서, SCS = 15kHz에 대해, 지원되는 CBW 조합들은 (n28, n75) = (10, 20), (10, 25), (10, 30), (10, 40), (15, 20), (15, 25), ..., (20, 40)이다. 따라서, 이 예에서, 지원되지 않는 CBW 조합들 (n28, n75) = (5, 5), (5, 10), (5, 15)은 비교적 간단한 (더 간단한) 시그널링으로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UE(106)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UE(106)는 메모리(740); 메모리(740)에 연결된 프로세서(720); 프로세서(720)에 연결된 다양한 인터페이스들(760); 및 다양한 인터페이스들(76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패널들(765)을 포함한다. 다양한 인터페이스(760) 및 안테나(765)는 하나 이상의 무선 빔을 통해 gNB(102)로/로부터 또는 복수의 TRP(102A, 102B, 102C 등)로부터/로 데이터를 송신/수신하기 위한 트랜시버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UE(106)의 구현에 따라, UE(106)는 도 3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예시적인 예제 실시예를 개시하기 위해 이러한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컴포넌트들 모두가 도시될 필요는 없다.
메모리(740)는 일반적으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또는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메모리(740)는 또한 프로세서(720)에 의해 실행될 UE(106)의 기능들(예를 들어, UE의 기능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 등)을 제공하기 위한 운영 체제 및 임의의 다른 루틴들/모듈들/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미도시)을 이용하여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메모리(74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개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또는 다른 유사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통해서가 아니라, 다양한 인터페이스들(760) 중 하나를 통해 메모리(74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720)는 시스템의 산술, 로직 및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어들은 메모리(740)에 의해 프로세서(720)에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인터페이스들(760)은 프로세서(720)를 안테나(765)와 인터페이싱하는 컴포넌트들, 또는 다른 입력/출력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UE(106)의 특수 목적 기능들을 제시하기 위해 메모리(740)에 저장된 다양한 인터페이스들(760) 및 프로그램들은 UE(106)의 구현예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인터페이스(76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어,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등) 및 사용자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논의되지는 않았지만,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그 중에서도, TRP들(102A, 102B, 102C), gNB(102), 다른 라디오 액세스 및 백홀(backhaul)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및/또는 디바이스들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메모리(740)는 프로세서(720)에 의해 실행될 TRP들, gNB 등의 기능들(예를 들어, 이러한 엘리먼트들의 기능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 등)을 제공하기 위한 운영 체제 및 임의의 다른 루틴들/모듈들/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엘리먼트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엘리먼트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컴포넌트를 다른 컴포넌트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엘리먼트는 제2 엘리먼트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엘리먼트가 제1 엘리먼트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연관된 열거된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어떤 엘리먼트가 다른 엘리먼트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엘리먼트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개재 엘리먼트가 존재할 수 있다. 대조하여, 어떤 엘리먼트가 다른 엘리먼트에 "직접 연결" 또는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개재 엘리먼트가 존재하지 않는다. 엘리먼트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용어는 같은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예를 들어, "사이(between)" 대 "바로 사이(directly between)", "인접(adjacent)" 대 "바로 인접(directly adjacent)" 등).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 "a", "an" 및 "the"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시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 "포함한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는(includes)" 및/또는 "포함하는(including)"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언급된 특징부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부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일부 대안적인 구현예들에서, 언급된 기능들/동작들은 도면들에서 언급된 순서와 다르게 발생할 수 있다는 것에 또한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도시된 2개의 도면들은 관련된 기능/동작들에 따라, 실제로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될 수 있거나 때때로 역순으로 실행될 수 있다.
특정 세부사항들이 예시적인 실시예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음의 설명에 제공된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시스템들은 불필요하게 상세하게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블록도들로 도시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잘 알려진 프로세스들, 구조들 및 기술들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불필요한 세부사항 없이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기존의 사용자 장비, 기지국들, eNB들, RRH들, gNB들, 펨토 기지국들, 네트워크 제어기들, 컴퓨터들 등에서 기존의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특정 태스크들을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들을 수행하는 루틴들, 프로그램들, 오브젝트들, 컴포넌트들, 데이터 구조들 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기능 프로세스들로서 구현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순서도들, 흐름도들, 데이터 흐름도들, 구조 다이어그램들, 블록 다이어그램들 등의 형태로) 동작들의 동작들 및 심볼 표현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한 기존의 하드웨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유닛(CPU)들, 하나 이상의 제어기들, 하나 이상의 산술 로직 유닛(ALU)들, 하나 이상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컴퓨터들, 하나 이상의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하나 이상의 시스템-온-칩(SoC)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유닛(PLU)들,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들, 또는 정의된 방식으로 명령어들에 응답하고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프로세싱 또는 제어 회로부일 수 있다.
흐름도는 동작들을 순차적 프로세스로서 설명할 수 있지만, 동작들 중 다수는 병렬로, 동시에 함께(concurrently) 또는 동시에(simultaneously)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동작들의 순서는 재배열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그 동작들이 완료되면 종료될 수 있지만, 도면에 포함되지 않은 추가적인 단계들을 또한 가질 수 있다. 프로세스는 방법, 함수, 절차, 서브루틴, 서브프로그램 등에 대응할 수 있다. 프로세스가 함수에 대응할 때, 그의 종결은 호출 함수 또는 메인 함수로의 함수의 복귀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용어 "저장 매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또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RAM, 코어 메모리,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들, 광 저장 매체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또는 다른 유형의 기계 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을 나타낼 수 있다. 용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명령어(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포함 또는 운반할 수 있는 휴대용 또는 고정 저장 디바이스, 광 저장 디바이스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마이크로코드로 구현될 때, 필요한 태스크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와 같은 기계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들은 필요한 태스크들을 수행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거나 저장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엘리먼트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필요한 태스크를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로서 인코딩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예시적인 알고리즘들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동작들의 수행을 제공하거나 야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의 코드 세그먼트는 절차, 함수,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클래스, 또는 명령어들, 데이터 구조들 또는 프로그램 스테이트먼트(statement)들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code segment)는 정보, 데이터, 인수(argument), 파라미터 또는 메모리 콘텐츠를 전달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다른 코드 세그먼트 또는 하드웨어 회로에 결합될 수 있다. 정보, 인수들, 파라미터들,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전달, 토큰 전달, 네트워크 송신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기술을 통해 전달, 포워딩, 또는 송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포함하는" 및/또는 "갖는"은 포함하는 것(즉, 개방형 언어)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결합된"은 연결된 것으로 정의되고, 반드시 직접 연결될 필요는 없고, 반드시 기계적으로 연결될 필요는 없다. 용어 "표시하는"(예를 들어, "표시하는" 및 "표시")로부터 도출된 용어론은 표시되는 객체/정보를 통신하거나 참조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모든 다양한 기술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전부는 아니지만 일부, 표시된 객체/정보를 통신하거나 참조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기술의 예들은 표시된 객체/정보의 전달, 표시된 객체/정보의 식별자의 전달, 표시된 객체/정보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정보의 전달, 표시된 객체/정보의 일부 부분 또는 일부의 전달, 표시된 객체/정보의 일부 파생물(derivation)의 전달, 및 표시된 객체/정보를 나타내는 일부 심볼의 전달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 기지국들, eNB들, RRH들, gNB들, 펨토 기지국들, 네트워크 제어기들, 컴퓨터들 등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또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하나 이상의 CPU들, 하나 이상의 제어기들, 하나 이상의 ALU들, 하나 이상의 DSP들,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컴퓨터들, 하나 이상의 FPGA들, 하나 이상의 SoC들, 하나 이상의 PLU들,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하나 이상의 ASIC들, 또는 정의된 방식으로 명령어들에 응답하고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프로세싱 또는 제어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점들, 다른 장점들, 및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들이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점들, 장점들,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들, 및 그러한 이점들, 장점들, 또는 해결책들을 야기하거나 초래하거나 그러한 이점들, 장점들, 또는 해결책들이 더 명백하게 되게 할 수 있는 임의의 엘리먼트(들)는 청구항들 중 임의의 청구항들 또는 모든 청구항들의 결정적이거나, 요구되거나, 또는 필수적인 특징 또는 엘리먼트로 해석되지 않는다.

Claims (24)

  1.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radio access network element)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가용 능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반송파 집성 구성(carrier aggregation configuration)을 생성하게 하고, 상기 가용 능력 정보는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해 적어도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정보 및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정보를 포함하고; 및
    상기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를 구성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비에 상기 반송파 집성 구성을 발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각각의 대역폭 조합 세트의 정의들을 저장하지 않고 상기 반송파 집성 구성을 생성하게 하도록 구성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정보는 상기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을 포함하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정보는 상기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을 포함하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정보는 상기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한 성분 반송파(component carrier) 당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을 포함하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각각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모든 특정된 채널 대역폭의 서브세트를 지원하고, 및
    상기 가용 능력 정보는 상기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각각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모든 특정된 채널 대역폭들의 상기 서브세트에서의 채널 대역폭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가용 능력 정보를 요청하는 가용 능력 질의(capability inquiry)를 발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능력 정보가 상기 대역 조합 내에서 각각의 대역에 대해 지원되는 채널 대역폭들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는 표시를 상기 가용 능력 정보는 포함하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상기 반송파 집성 구성을 라디오 자원 제어 메시지(Radio Resource Control message)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발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조합은 적어도 제1 뉴 라디오 대역(New Radio band) 및 제2 뉴 라디오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정보는 (i) 상기 제1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1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및 (ii) 상기 제2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2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을 포함하고,
    상기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정보는 (i) 상기 제1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1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및 (ii) 상기 제2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2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을 포함하고, 및
    상기 반송파 집성 구성은 상기 제1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1 지원되는 채널 대역폭들 및 상기 제2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2 지원되는 채널 대역폭들의 조합들을 포함하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능력 정보는 (i)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상기 제1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1 지원되는 채널 대역폭들의 표시, 및 (ii) 상기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상기 제2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2 지원되는 채널 대역폭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
  12.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가용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반송파 집성 구성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가용 능력 정보는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적어도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정보 및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정보를 포함함 -; 및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를 구성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비에 반송파 집성 구성을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사용자 장비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가,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해 부반송파 간격 당 적어도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정보 및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정보를 포함하는 가용 능력 정보를 생성하게 하고,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상기 가용 능력 정보를 발송하게 하고, 및
    상기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로부터 상기 반송파 집성 구성을 수신하고, 상기 반송파 집성 구성은 상기 가용 능력 정보에 기초하고, 상기 반송파 집성 구성은 상기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를 구성하게 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능력 정보는 상기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상기 가용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상기 반송파 집성 구성을 생성하게 하는, 사용자 장비.
  15. 제13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정보는 상기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정보는 상기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17.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정보는 상기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한 성분 반송파 당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각각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모든 특정된 채널 대역폭의 서브세트를 지원하고, 및
    상기 가용 능력 정보는 상기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각각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모든 특정된 채널 대역폭들의 상기 서브세트에서의 채널 대역폭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로부터의 가용 능력 질의(capability enquiry)에 응답하여 상기 가용 능력 정보를 생성하게 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20.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능력 정보가 상기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한 지원되는 채널 대역폭들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는 표시를 상기 가용 능력 정보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21. 제13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가 라디오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상기 가용 능력 정보를 발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22. 제13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조합은 적어도 제1 뉴 라디오 대역(New Radio band) 및 제2 뉴 라디오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정보는 (i) 상기 제1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1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및 (ii) 상기 제2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2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을 포함하고,
    상기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정보는 (i) 상기 제1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1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및 (ii) 상기 제2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2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을 포함하고, 및
    상기 반송파 집성 구성은 상기 제1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1 지원되는 채널 대역폭들 및 상기 제2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2 지원되는 채널 대역폭들의 조합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능력 정보는 (i)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상기 제1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1 지원되는 채널 대역폭들의 표시, 및 (ii) 상기 단일 대역 동작으로서 상기 제2 뉴 라디오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당 제2 지원되는 채널 대역폭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24. 방법으로서,
    대역 조합 내의 각각의 대역에 대해 적어도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 정보 및 지원되는 최소 채널 대역폭 정보를 포함하는 가용 능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상기 가용 능력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 및
    상기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로부터 반송파 집성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반송파 집성 구성은 상기 가용 능력 정보에 기초하고, 상기 반송파 집성 구성은 상기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자 장비를 구성하는, 방법.
KR1020237014310A 2020-10-22 2021-10-14 5g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반송파 집성 구성 KR202300703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104066P 2020-10-22 2020-10-22
US63/104,066 2020-10-22
PCT/EP2021/078446 WO2022084143A1 (en) 2020-10-22 2021-10-14 Carrier aggregation configuration in 5g wireless networ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314A true KR20230070314A (ko) 2023-05-22

Family

ID=78179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310A KR20230070314A (ko) 2020-10-22 2021-10-14 5g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반송파 집성 구성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956764B2 (ko)
EP (1) EP4233247A1 (ko)
JP (1) JP2023547093A (ko)
KR (1) KR20230070314A (ko)
CN (1) CN116420335A (ko)
AU (1) AU2021366173A1 (ko)
CA (1) CA3196007A1 (ko)
CL (1) CL2023001141A1 (ko)
CO (1) CO2023006614A2 (ko)
MX (1) MX2023004705A (ko)
WO (1) WO2022084143A1 (ko)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05976A1 (en) * 2010-02-19 2011-08-25 Nokia Siemens Networks Oy UE Specific Signaling Carrier Indicator For Carrier Aggregation
US9258092B2 (en) * 2010-09-17 2016-02-09 Blackberry Limited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in carrier aggregation
RU2646594C1 (ru) * 2014-03-20 2018-03-06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ы получения отчета о совместимости агрегации несущих
EP3335450B1 (en) * 2015-08-13 2020-12-09 Intel IP Corporation User equipment capability reporting
JP6078608B1 (ja) * 2015-10-02 2017-02-08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能力情報報告方法
US20170367073A1 (en) * 2016-06-15 2017-12-21 Qualcomm Incorporated Ue capability exchange for carrier aggregation
US11057962B2 (en) * 2016-11-04 2021-07-06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to report band combination capabilities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10959235B2 (en) * 2017-01-05 2021-03-23 Nokia Technologies Oy Performance indicator for interworking radio access technologies
US10892821B2 (en) * 2017-03-20 2021-01-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pping code word and layer in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102350263B1 (ko) * 2017-05-02 2022-01-14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CN111194534B (zh) * 2017-10-06 2022-08-0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Ue基带能力信号通知
US10904789B2 (en) * 2017-11-15 2021-01-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to reduce UE capability information message size
CN109803348A (zh) * 2017-11-15 2019-05-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能力的指示方法及终端
US10721717B2 (en) * 2017-11-28 2020-07-21 Qualcomm Incorporated Band combination constraint on the number of supported layers
US11109268B2 (en) * 2018-02-15 2021-08-31 Qualcomm Incorporated Size optimized encoding of capability structure for multicarrier systems
US11064549B2 (en) * 2018-08-09 2021-07-13 Qualcomm Incorporated Bandwidth configuration techniqu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20200099001A (ko) * 2019-02-13 2020-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능력을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765574B2 (en) * 2019-05-02 2023-09-19 Apple Inc. Advertising user equipment capability
US20210022149A1 (en) * 2019-07-18 2021-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use of carrier aggregation capability
US10979892B2 (en) * 2019-07-30 2021-04-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Efficient device capabilities enquiry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s wireless network
EP4057552A4 (en) * 2019-11-28 2022-11-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EU CAPACITY REPOR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11601946B2 (en) * 2020-02-05 202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TRP and URLLC capability signaling
CN111432487B (zh) * 2020-02-13 2021-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频带信息上报方法及相关设备
JP7474321B2 (ja) * 2020-04-07 2024-04-24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US11758388B2 (en) * 2020-04-23 2023-09-12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tions for complexities of carriers
US20230337202A1 (en) * 2020-11-09 2023-10-1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nfiguring user equipment supported carrier aggregation band combinations
US11979891B2 (en) * 2021-04-15 2024-05-07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UE) capability frequency band combination prioritization
JP2024517911A (ja) * 2021-05-08 2024-04-23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ュアルコネクティビティにおけるキャリアグループ化のためのユーザ機器能力情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96007A1 (en) 2022-04-28
JP2023547093A (ja) 2023-11-09
US20220132503A1 (en) 2022-04-28
MX2023004705A (es) 2023-05-09
CO2023006614A2 (es) 2023-08-28
WO2022084143A1 (en) 2022-04-28
EP4233247A1 (en) 2023-08-30
CL2023001141A1 (es) 2023-11-24
US11956764B2 (en) 2024-04-09
AU2021366173A1 (en) 2023-06-08
CN116420335A (zh) 202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7082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EP3817479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N110880958B (zh) 一种射频参数的上报方法及装置
US1095220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16322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resource indication value
US20210321312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1540267B2 (en) DCI detection method, PDCCH configur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S119735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st single-DCI and multi-DCI mode switching
US20230345477A1 (en) Default beams for pdsch, csi-rs, pucch and srs
US20190191476A1 (en) Multi-Link Configur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JP2019525545A (ja) 周波数帯処理方法及び装置
EP4046282A1 (en) Ue panel combination-specific coreset configuration for cell-free massive mimo
CN108781464B (zh) 用于无线通信网络的参数编码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18058565A1 (zh) 传输信道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20230070314A (ko) 5g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반송파 집성 구성
CN117501779A (zh) 支持具有不同面板能力的多面板ue操作
KR20220102648A (ko) 다중-송수신 포인트(다중-trp) 향상
CN114600526A (zh) 通信方法和装置
WO2023184427A1 (zh) 基于ai的csi处理能力确定方法、装置、介质、产品及芯片
JP7416857B2 (ja) ネットワークへの無線リンク障害(rlf)報告のためのメカニズム
EP4319398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22193252A1 (en) Communication methods, terminal device, network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2020026047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WO2020019322A1 (zh) 信息传输的方法和装置
KR20240006499A (ko) 단일 dci 기반 pusch 전송을 위한 단일-trp 및 다중-trp 동적 스위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