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9686A -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9686A
KR20230069686A KR1020210155932A KR20210155932A KR20230069686A KR 20230069686 A KR20230069686 A KR 20230069686A KR 1020210155932 A KR1020210155932 A KR 1020210155932A KR 20210155932 A KR20210155932 A KR 20210155932A KR 20230069686 A KR20230069686 A KR 20230069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ing device
tension adjusting
chain
outle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4422B1 (ko
KR102564422B9 (ko
Inventor
이강수
성홍근
박병재
김장진
김현국
손광일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주식회사 콤스
(주)디에이취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주식회사 콤스, (주)디에이취엠씨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155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422B1/ko
Priority to PCT/KR2022/005159 priority patent/WO2023085530A1/ko
Publication of KR20230069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422B1/ko
Priority to US18/403,425 priority patent/US20240150985A1/en
Publication of KR10256442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42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4Mooring po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0Fairl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21/004Quick release elements in mooring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류 대상이 되는 해양구조물에 연결되되, 몸체의 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출구룰 통해 유출되는 견인용 체인의 상기 출구로부터 상기 입구를 향한 진행을 차단하는 제1장력조절장치; 상기 제1장력조절장치의 상기 입구 외축으로 이어지는 상기 견인용 체인의 일단에 연결되되, 몸체의 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출구룰 통해 유출되는 견인용 체인의 상기 출구로부터 상기 입구를 향한 진행을 차단하는 제2장력조절장치;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제2장력조절장치의 상기 몸체 어느 일 면에 연결되고, 길이 방향 다른 일단이 해저면에 안착되는 앵커에 연결되는 계류용 체인;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제1장력조절장치의 상기 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상기 견인용 체인 일단에 연결되는 제1리드로프;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제2장력조절장치의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제2리드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detachable mooring system for offshore structures}
본 발명은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구조물의 계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긴급 유지보수를 위한 항만 이동 요구 및 태풍 발생 등의 비상 상황에서 계류 상태의 해양구조물 철수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해양구조물, 예컨대 해상 풍력기 등의 경우 해상에 위치함에 따라 파도 및 조류 등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파도 및 조류 등의 영향에 의해 해양구조물의 유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자칫 과도하게 유동할 경우 유실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쓰러짐 등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6022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각종의 계류장치 또는 계류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양구조물을 해상의 일 지점에 고정하고 있다.
이때, 해상 풍력기와 같은 해양구조물은 그 크기 및 하중이 상당하므로 이를 위한 계류장치 또한 그 크기 및 하중이 상당할 수밖에 없어 제작이 곤란하였을 뿐만 아니라 설치시 상당한 시간, 인력 및 장비가 소요될 수밖에 없어 설치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해양구조물용 계류장치는 예컨대 다수 개의 링크를 포함하는 등 그 구조가 복잡하였던바, 긴급 유지보수를 위한 항만 이동 요구 및 태풍 발생 등의 비상 상황으로 인하여 해양구조물의 철수가 요구될 때 해양구조물과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다수 개 링크 각각의 연결을 풀거나 할 때 더욱 상당한 시간, 인력 및 장비가 소요될 수밖에 없어 이로 인해 철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없었으므로 유지보수 지연으로 인한 손해가 발생하는 문제 및 자칫 태풍 등의 영향으로 해양구조물이 심각하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 분야에서는 해양구조물의 계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긴급 유지보수를 위한 항만 이동 요구 및 태풍 발생 등의 비상 상황에서 계류 상태의 해양구조물 철수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해양구조물용 계류시스템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602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해양구조물의 계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긴급 유지보수를 위한 항만 이동 요구 및 태풍 발생 등의 비상 상황에서 계류 상태의 해양구조물 철수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해양구조물용 계류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계류 대상이 되는 해양구조물에 연결되되, 몸체의 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출구룰 통해 유출되는 견인용 체인의 상기 출구로부터 상기 입구를 향한 진행을 차단하는 제1장력조절장치; 상기 제1장력조절장치의 상기 입구 외축으로 이어지는 상기 견인용 체인의 일단에 연결되되, 몸체의 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출구룰 통해 유출되는 견인용 체인의 상기 출구로부터 상기 입구를 향한 진행을 차단하는 제2장력조절장치;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제2장력조절장치의 상기 몸체 어느 일 면에 연결되고, 길이 방향 다른 일단이 해저면에 안착되는 앵커에 연결되는 계류용 체인;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제1장력조절장치의 상기 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상기 견인용 체인 일단에 연결되는 제1리드로프;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제2장력조절장치의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제2리드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 제1장력조절장치 및 제2장력조절장치는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견인용 체인과 접촉하는 풀리; 및 상기 풀리에 연결되되, 잠금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풀리의 일 방향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구;를 포함한다.
상기 제1장력조절장치 및 제2장력조절장치는 상기 단속구를 당김으로써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당김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장력조절장치 및 제2장력조절장치는 원격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단속구를 잠금 및 해제하는 무선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장력조절장치는 상기 몸체 어느 일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리드로프의 결속 부위를 제공하는 고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2장력조절장치는 상기 몸체 어느 일 면에 배치되어 상기 계류용 체인을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2장력조절장치의 상기 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상기 견인용 체인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로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은, 제1장력조절장치, 제2장력조절장치, 계류용체인, 제1리드로프 및 제2리드로프로 이루어지는바, 그 구조가 비교적 간소하므로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은, 제1장력조절장치로부터 이어지는 견인용 체인을 제2장력조절장치에 연결하고, 앵커로부터 이어지는 계류용 체인을 제2장력조절장치에 연결함으로써 계류 대상이 되는 해양구조물의 계류가 간단히 완료되는바, 해양구조물의 계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해양구조물 계류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은, 수상에서 제1장력조절장치로부터 이어지는 견인용 체인 일단을 당기거나 수중에서 제2장력조절장치로부터 이어지는 견인용 체인 일단을 당김으로써 계류 상태에서 간단히 장력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바, 장력 조절에 의해 해양구조물의 계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은, 제1장력조절장치 및 제2장력조절장치가 당김부재 및 무선제어기를 포함하는바, 당김부재에 의해 수동으로 제1장력조절장치의 단속구 및 제2장력조절장치의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제어기에 의해 자동으로 제1장력조절장치의 단속구 및 제2장력조절장치의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1장력조절장치 및 제2장력조절장치를 통한 장력 조절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이 해양구조물에 적용된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에서 제1장력조절장치 및 제1리드로프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견인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에서 제2리드로프를 이용한 계류용 체인 견인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에서 제1장력조절장치와 제2장력조절장치의 연결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에서 제1장력조절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에서 제2장력조절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에서 제1장력조절장치를 통한 장력 조절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에서 제2장력조절장치를 통한 장력 조절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A)은, 제1장력조절장치(10); 제2장력조절장치(20); 계류용 체인(30); 제1리드로프(40); 및 제2리드로프(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장력조절장치(10)는, 계류 대상이 되는 해양구조물(100)에 연결되되, 몸체(11)의 입구(11a)를 통해 유입되어 출구(11b)룰 통해 유출되는 견인용 체인(200)의 출구(11b)로부터 입구(11a)를 향한 진행을 차단한다.
이때, 제1장력조절장치(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견인용 체인(200)과 접촉하는 풀리(12); 및 풀리(12)에 연결되되, 잠금이 이루어짐에 따라 풀리(12)의 일 방향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구(13);를 포함함으로써 단속구(13) 잠김에 의한 풀리(12)의 일 방향 회전 단속에 의해 견인용 체인(200)의 출구(11b)로부터 입구(11a)를 향한 진행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단속구(13)는 잠금이 이루어짐에 따라 풀리(12)의 일 방향 회전을 단속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한바, 단속구(13)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1장력조절장치(10)는 단속구(13)를 당김으로써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당김부재(14)를 더 포함함으로써 수동으로 당김부재(14)를 당김에 따라 단속구(13)의 잠금이 해제되어 견인용 체인(200)이 출구(11b)로부터 입구(11a)를 향해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장력조절장치(10)는 원격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단속구(13)를 잠금 및 해제하는 무선제어기(15)를 더 포함함으로써 무선제어기(15)의 제어에 따라 단속구(13)의 잠금이 해제되어 견인용이 체인이 출구(11b)로부터 입구(11a)를 향해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제어기(15)는 원격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단속구(13)를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한바, 무선제어기(15)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1장력조절장치(10)는 견인용 체인(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애초 해양구조물(100), 더욱 구체적으로 해양구조물(100)을 이루는 볼라드(도면부호 미표시) 어느 하나에 연결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300)에 배치되는 윈치를 이용 견인용 체인(200) 및 이에 연결되는 제1리드로프(40)를 당김에 따라 제1장력조절장치(10)의 견인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해양구조물의 견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장력조절장치(20)는 제1장력조절장치(10)의 입구(11a) 외축으로 이어지는 견인용 체인(200)의 일단에 연결되되, 몸체(21)의 입구(11a)를 통해 유입되어 출구(21b)룰 통해 유출되는 견인용 체인(200)의 출구(21b)로부터 입구(21a)를 향한 진행을 차단한다.
이때, 제2장력조절장치(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견인용 체인(200)과 접촉하는 풀리(22); 및 풀리(22)에 연결되되, 잠금이 이루어짐에 따라 풀리(22)의 일 방향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구(23);를 포함함으로써 단속구(23) 잠김에 의한 풀리(22)의 일 방향 회전 단속에 의해 견인용 체인(200)의 출구(21b)로부터 입구(21a)를 향한 진행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단속구(23)는 잠금이 이루어짐에 따라 풀리(22)의 일 방향 회전을 단속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한바, 단속구(23)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2장력조절장치(20)는 단속구(23)를 당김으로써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당김부재(24)를 더 포함함으로써 수동으로 당김부재(24)를 당김에 따라 단속구(23)의 잠금이 해제되어 견인용 체인(200)이 출구(21b)로부터 입구(21a)를 향해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장력조절장치(20)는 원격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단속구(23)를 잠금 및 해제하는 무선제어기(25)를 더 포함함으로써 무선제어기(25)의 제어에 따라 단속구(23)의 잠금이 해제되어 견인용 체인(200)이 출구(21b)로부터 입구(21a)를 향해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제어기(25)는 원격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단속구(23)를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한바, 무선제어기(25)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2장력조절장치(20)는 몸체(21) 어느 일 면에 배치되는 고리부재(26)를 포함함으로써 고리부재(26)에 제2리드로프(50)를 결속함에 따라 제2장력조절장치(20)에 제2리드로프(50)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장력조절장치(20)는 몸체(21) 어느 일 면에 배치되는 결속부재(27)를 포함함으로써 결속부재(27)에 앵커(31)로부터 이어지는 계류용 체인(30)을 결속함에 따라 제2장력조절장치(20)에 계류용 체인(30)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계류용 체인(30)은 길이 방향 일단이 제2장력조절장치(20)의 몸체(21) 어느 일 면에 연결되고, 길이 방향 다른 일단이 해저면에 안착되는 앵커(31)에 연결된다.
이때, 계류용 체인(30)은 길이 방향 일단이 제2장력조절장치(20)에 마련되는 결속부재(27)에 결속됨으로써 제2장력조절장치(20)와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계류용 체인(30)은 애초 제2장력조절장치(20)에 연결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300)에 배치되는 윈치(도면부호 미표시)를 이용 제2장력조절장치(20)에 연결되는 제2리드로프(50)를 당김에 따라 제2장력조절장치(20)의 견인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계류용 체인(30)의 견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리드로프(40)는, 길이 방향 일단이 제1장력조절장치(10)의 출구(11b)를 통해 유출되는 견인용 체인(200) 일단에 연결된다.
따라서 선박(300)에 배치되는 윈치를 이용 제1리드로프(40) 길이 방향 다른 일단을 당김으로써 해양구조물(100)의 견인 또는 견인용 체인(200)의 장력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리드로프(40)의 길이 방향 다른 일단은 견인 또는 장력 조절 이외 상황에서 해양구조물(100)에 결속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은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리드로프(50)는 길이 방향 일단이 제2장력조절장치(20)의 몸체(21)에 연결된다.
따라서 선박(300)에 배치되는 윈치를 이용 제2리드로프(50) 길이 방향 다른 일단을 당김으로써 제2장력조절장치(20) 및 이에 연결된 계류용 체인(30)의 견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리드로프(50) 길이 방향 일단은 제2장력조절장치(20)의 몸체(21) 어느 일 면에 배치되는 고리부재(26)에 결속됨으로써 제2장력조절장치(20)와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리드로프(50)의 길이 방향 다른 일단은 견인 또는 장력 조절 이외 상황에서 해양구조물(100)에 결속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은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A)은 연결로프(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로프(60)는 길이 방향 일단이 제2장력조절장치(20)의 출구(21b)를 통해 유출되는 견인용 체인(200) 일단에 연결됨으로써 선박(300)에 배치되는 윈치를 이용 연결로프(60) 길이 방향 다른 일단을 당김으로써 견인용 체인(200)의 장력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A)을 이용한 해양구조물(100) 계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해양구조물(100) 및 계류용 체인(30)이 해상의 일 지점으로 이송된다.
이때, 해양구조물(100)에는 제1장력조절장치(10)가 연결되고, 제1장력조절장치(10)에는 견인용 체인(200)이 연결되며, 제1장력조절장치(10)의 몸체(11) 출구(11b)를 통해 유출되는 견인용 체인(200) 길이 방향 일단에는 제1리드로프(40)가 연결된다.
그리고 계류용 체인(30) 길이 방향 일단에는 제2장력조절장치(20)가 연결되고, 제2장력조절장치(20)의 몸체(21)에는 제2리드로프(50)가 연결된다.
한편, 해상의 일 지점으로 이송된 계류용 체인(30)은 일단이 부이(도면부호 미표시)에 연결된 상태로 해상으로 투입됨으로써 해상에 위치한다.
이때, 부이는 제1장력조절장치(10)와 제2장력조절장치(20)가 연결되는 과정에서 계류용 체인(30)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계류용 체인(30)이 수중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장력조절장치(10)와 제2장력조절장치(20)가 연결된다.
이때, 제2장력조절장치(2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장력조절장치(10)로부터 이어지는 견인용 체인(200) 길이 방향 일단이 연결됨으로써 견인용 체인(200)에 의해 제1장력조절장치(10)와 제2장력조절장치(20)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장력조절장치(10)로부터 이어지는 견인용 체인(200)은 길이 방향 일단이 제2장력조절장치(20)의 몸체(21) 입구(21a)를 통해 유입되어 출구(21b)를 통해 유출됨으로써 제2장력조절장치(20)와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장력조절장치(10)와 제2장력조절장치(20)의 연결은 제2장력조절장치(20)를 선상으로 견인한 상태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수중 작업이 최소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장력조절장치(20) 및 계류용 체인(30)이 수중에 투입된 상태에서 장력이 조절된다.
본 발명에서 제1장력조절장치(10)의 몸체(11) 출구(11b)로는 견인용 체인(200) 길이 방향 일단이 유출되고, 견인용 체인(200) 길이 방향 일단에는 제1리드로프(40)가 연결되는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300)에 배치되는 윈치를 이용 제1리드로프(40)를 당김으로써 해양구조물(100)과 앵커(31) 사이, 즉 견인용 체인(200) 및 계류용 체인(30)이 팽팽해질 수 있게 되므로 이에 의해 장력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2장력조절장치(20)의 몸체(21) 출구(21b)로는 견인용 체인(200) 길이 방향 다른 일단이 유출되고, 견인용 체인(200) 길이 방향 일단에는 연결로프(60)가 연결될 수 있는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300)에 배치되는 윈치를 이용 연결로프(60)를 당김으로써 해양구조물(100)과 앵커(31) 사이, 즉 견인용 체인(200) 및 계류용 체인(30)이 팽팽해질 수 있게 되므로 이에 의해 장력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1장력조절장치(10) 및 제2장력조절장치(20)는 단속구(13, 23)에 의한 풀리(12, 22) 일 방향의 회전 단속을 통해 견인용 체인(200)의 일방향 진행을 차단하는바, 견인용 체인(200)의 일 방향 진행 차단에 의해 장력 조절이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1장력조절장치(10) 및 제2장력조절장치(20)는 당김부재(14, 24)를 더 포함하는바, 수동으로 당김부재(14, 24)를 당김에 따라 단속구(13, 23)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어 이에 의해 견인용 체인(200)의 일방향 진행 차단이 해제, 다시 말해 양방향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견인용 체인(200) 당김에 의한 장력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장력조절장치(10) 및 제2장력조절장치(20)는 무선제어기(15, 25)를 더 포함하는바, 원격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른 무선제어기(15, 25)의 제어에 따라 단속구(13, 23)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어 이에 의해 견인용 체인(200)의 일방향 진행 차단이 해제, 다시 말해 양방향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견인용 체인(200) 당김에 의한 장력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A)은 긴급 유지보수를 위한 항만 이동 요구 및 태풍 발생 등의 비상 상황에서 계류 상태의 해양구조물(100) 철수가 원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리드로프(40) 및 제2리드로프(50)는 해양구조물(100) 계류 상태에서 그 일단이 해양구조물(100)에 결속되어 외부로 노출되는바, 긴급 유지보수를 위한 항만 이동 요구 및 태풍 발생 등의 비상 상황에서 해양구조물(100)에 결속된 제1리드로프(40) 및 제2리드로프(50) 일단을 풀어 선박(300)에 배치된 윈치에 연결한 후 당김으로써 해양구조물(100)의 견인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제2장력조절장치(20)의 견인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2장력조절장치(20)를 선상으로 견인하여 이로부터 견인용 체인(200)을 분리함에 따라 제1장력조절장치(10)와 제2장력조절장치(20)의 연결이 간단히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장력조절장치(10)와 제2장력조절장치(20)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제1장력조절장치(10)로부터 이어지는 견인용 체인(200) 및 제1리드로프(40)를 선박(300)에 연결하여 선박(300) 이동을 통해 제1장력조절장치(10)가 연결된 해양구조물(100)을 이송함으로써 신속하고 안전하게 철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장력조절장치(10)와의 연결이 해제된 제2장력조절장치(20)는 부이가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 재투입됨으로써 이전 설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차후 해양구조물(100)의 계류가 요구될 때 수중에 위치하는 제2장력조절장치(20)를 견인하여 제1장력조절장치(10)와 연결함에 따라 해양구조물(100)이 철수 이전 지점에 재위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제1장력조절장치 11 : 몸체
11a : 입구 11b : 출구
12 : 풀리 13 : 단속구
14 : 당김부재 15 : 무선제어기
20 : 제2장력조절장치 21 : 몸체
21a : 입구 21b : 출구
22 : 풀리 23 : 단속구
24 : 당김부재 25 : 무선제어기
26 : 고리부재 27 : 결속부재
30 : 계류용 체인 31 : 앵커
40 : 제1리드로프 50 : 제2리드로프
60 : 연결로프 100 : 해양구조물
200 : 견인용 체인 300 : 선박
A : 계류시스템

Claims (7)

  1. 계류 대상이 되는 해양구조물에 연결되되, 몸체의 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출구룰 통해 유출되는 견인용 체인의 상기 출구로부터 상기 입구를 향한 진행을 차단하는 제1장력조절장치;
    상기 제1장력조절장치의 상기 입구 외축으로 이어지는 상기 견인용 체인의 일단에 연결되되, 몸체의 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출구룰 통해 유출되는 견인용 체인의 상기 출구로부터 상기 입구를 향한 진행을 차단하는 제2장력조절장치;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제2장력조절장치의 상기 몸체 어느 일 면에 연결되고, 길이 방향 다른 일단이 해저면에 안착되는 앵커에 연결되는 계류용 체인;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제1장력조절장치의 상기 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상기 견인용 체인 일단에 연결되는 제1리드로프;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제2장력조절장치의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제2리드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력조절장치 및 제2장력조절장치는,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견인용 체인과 접촉하는 풀리; 및 상기 풀리에 연결되되, 잠금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풀리의 일 방향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력조절장치 및 제2장력조절장치는 상기 단속구를 당김으로써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당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력조절장치 및 제2장력조절장치는 원격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단속구를 잠금 및 해제하는 무선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력조절장치는 상기 몸체 어느 일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리드로프의 결속 부위를 제공하는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력조절장치는 상기 몸체 어느 일 면에 배치되어 상기 계류용 체인을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력조절장치의 상기 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상기 견인용 체인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로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
KR1020210155932A 2021-11-12 2021-11-12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 KR102564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932A KR102564422B1 (ko) 2021-11-12 2021-11-12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
PCT/KR2022/005159 WO2023085530A1 (ko) 2021-11-12 2022-04-08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
US18/403,425 US20240150985A1 (en) 2021-11-12 2024-01-03 Detachable mooring system for offshor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932A KR102564422B1 (ko) 2021-11-12 2021-11-12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686A true KR20230069686A (ko) 2023-05-19
KR102564422B1 KR102564422B1 (ko) 2023-08-09
KR102564422B9 KR102564422B9 (ko) 2024-02-08

Family

ID=86336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932A KR102564422B1 (ko) 2021-11-12 2021-11-12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50985A1 (ko)
KR (1) KR102564422B1 (ko)
WO (1) WO202308553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6022A (ko) 2013-04-22 2014-10-30 김은숙 수상구조물의 계류장치
KR20150084913A (ko) * 2012-11-06 2015-07-22 메칼 와인드 터빈 디자인 비.브이. 부유식 풍력 터빈의 이송 및 설치를 위한 부유 가능한 이송 및 설치 구조, 부유식 풍력 터빈과 그 이송 및 설치의 방법
KR20170043340A (ko) * 2015-10-13 2017-04-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무어링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어링 라인 장력 계측 시스템
US20200055569A1 (en) * 2018-08-17 2020-02-20 Bardex Corporation Mooring and tensioning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WO2020165568A1 (en) * 2019-02-15 2020-08-20 Flintstone Technology Limited Improved mooring/tension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3714B2 (en) * 2001-06-15 2006-01-10 Technip France Method of and apparatus for offshore mooring
SG158837A1 (en) * 2008-08-01 2010-02-26 Keppel Offshore & Marine Techn A system and method for mooring of offshore structures
NO343765B1 (en) * 2016-06-03 2019-06-03 Scana Offshore Vestby As Mooring pulley tensioning system
GB201706746D0 (en) * 2017-04-27 2017-06-14 Flinstone Tech Ltd Mid-line Tension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913A (ko) * 2012-11-06 2015-07-22 메칼 와인드 터빈 디자인 비.브이. 부유식 풍력 터빈의 이송 및 설치를 위한 부유 가능한 이송 및 설치 구조, 부유식 풍력 터빈과 그 이송 및 설치의 방법
KR20140126022A (ko) 2013-04-22 2014-10-30 김은숙 수상구조물의 계류장치
KR20170043340A (ko) * 2015-10-13 2017-04-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무어링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어링 라인 장력 계측 시스템
US20200055569A1 (en) * 2018-08-17 2020-02-20 Bardex Corporation Mooring and tensioning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WO2020165568A1 (en) * 2019-02-15 2020-08-20 Flintstone Technology Limited Improved mooring/tensio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50985A1 (en) 2024-05-09
KR102564422B1 (ko) 2023-08-09
WO2023085530A1 (ko) 2023-05-19
KR102564422B9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79492B (zh) 海洋工程装备海上定位锚泊系统及其使用方法
CN104640766B (zh) 串联式系泊链张紧器以及用于张紧水下锚索的方法
AU760276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plate anchors
US4889065A (en) Method of tensioning an anchor line, in particular for testing an anchor, and a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particularly comprising a cable or chain stopper
US20170349243A1 (en) Mooring pulley tensioning system
CN109415106B (zh) 紧急停船系统和方法
US10974792B2 (en) Mooring tensioner and methods thereof
AU2013251633B2 (en) In-line mechanical disconnect device
CN101578219B (zh) 用于浮式采油装置的操作缆绳的牵引系统
EP3251943B1 (en) Mooring pulley tensioning system
WO2014083056A1 (en) An underwater connecting system
EP1318072A2 (en) Mooring systems
US66853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ction anchor and mooring deployment and connection
AU20182731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laying a submarine pipeline
KR102564422B1 (ko)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
US8176866B2 (en)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mooring and for connecting lines to articles on the seabed
JP6820698B2 (ja) 係留索の継ぎ足し方法、浮体構造物の係留方法および浮体式洋上風力発電施設の施工方法
CN116714717A (zh) 一种海上浮体系泊系统在海底预张紧的方法
CN112722161A (zh) 导管架低成本下水施工工艺
CN110785345B (zh) 转塔系泊浮标系统
KR20130072833A (ko) 케이슨 파이프를 구비한 선박을 이용한 해양플랜트 앵커링 방법
KR20130072834A (ko) 케이슨 파이프를 구비한 선박의 앵커링 방법
US20210078676A1 (en) Off Vessel Tensioning System and Method
USH1372H (en) Method for mating floating sections of an offshore structure
NO20220482A1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