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9527A -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9527A
KR20230069527A KR1020210155644A KR20210155644A KR20230069527A KR 20230069527 A KR20230069527 A KR 20230069527A KR 1020210155644 A KR1020210155644 A KR 1020210155644A KR 20210155644 A KR20210155644 A KR 20210155644A KR 20230069527 A KR20230069527 A KR 20230069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unit
magnetic field
sputtering
sp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이치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이치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이치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155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9527A/ko
Publication of KR20230069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23C14/35Sputtering by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e.g. magnetron sput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4Gas-filled discharge tubes operating with cathodic sputtering
    • H01J37/3411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reactor
    • H01J37/345Magnet arrangements in particular for cathodic sputtering apparatus
    • H01J37/3455Movable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4Gas-filled discharge tubes operating with cathodic sputtering
    • H01J37/3411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reactor
    • H01J37/3461Means for shaping the magnetic field, e.g. magnetic shu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퍼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퍼터링타겟과 마그넷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스퍼터링타겟 표면의 자기이력곡선을 제어할 수 있는 스퍼터링 캐소드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 {A Sputtering Device Applied Magnetic Fields Controlling Technique}
본 발명은 스퍼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퍼터링타겟 표면에 작용하는 자기장 세기를 제어할 수 있는 스퍼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퍼터링 기술은 반도체,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Emitting Diode device), 태양전지, LED 등과 같은 소자를 제조하기 위해서 기판(실리콘, 유리 등)에 박막을 증착 하는 기술이다.
스퍼터링 장치는 스퍼터링 타겟의 후방에 마그넷(Magnet)을 배치하고, 양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플라즈마 방전이 진행되며, 타겟(Sputtering Target)의 입자가 기판(Substrate) 표면에 증착되는 장치이다.
상기 스퍼터링 장치는 적용분야 및 방법에 따라 그 성능을 좌우하는 스퍼터링 캐소드(Sputtering Cathode)를 다르게 제작 및 사용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스퍼터링 캐소드 내부 마그넷(Magnet)의 자기장 세기(B-Fields)와 구조에 따라 밸런스(Balanced Magnetron Sputtering)와 언밸런스(Unbalanced Magnetron Sputtering) 구조로 나누며, 언밸런스 구조는 다시 집사형과 분사형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스퍼터링 캐소드 집사형은 인라인(In-line)이나 회전(Rotation) 구조의 스퍼터링 장치에 주로 적용되며, 분사형은 마그넷 세트가 좌우로 움직이는 요동(Moving, Swing) 구조에 주로 적용된다.
그러므로, 현재까지 제작된 스퍼터링 장치에 있어, 스퍼터링 캐소드는 상기 열거된 종류 중 한 방법만 채택할 수 있고, 박막 제조함에 있어, 스퍼터링 장비 공정(증착 속도, 이온화율, 타겟에 종류에 따른 다른 자화율, 증착 시에 발생하는 Arc 등)과 박막의 물성 특성(증착 밀도, 증착 에너지, 결정성 등) 제어에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1-0046074]에서는 스퍼터링 증착장치의 자기장 조절 캐소드 건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1-0046074](공개일자: 2011.05.0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퍼터링타겟과 마그넷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스퍼터링타겟 표면의 자기이력곡선을 제어할 수 있는 스퍼터링 캐소드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는,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표면에 박막을 증착시키는 스퍼터링 장치에 있어서, 스퍼터링타겟부(100); 상기 스퍼터링타겟부(100)의 후방에 구비되며, 전방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교번되어 배치되도록 다수의 마그넷으로 구성된 분할마그넷부(200); 상기 분할마그넷(100)의 배면에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마그넷을 고정시키는 다수의 요크로 구성된 분할요크부(300); 및 상기 분할요크부(300)의 각각의 요크를 독립적으로 전후로 움직이는 구동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는 상기 구동부(400)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마그넷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스퍼터링타겟부(100) 표면의 자기이력곡선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분할마그넷부(200)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동심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할마그넷부(200)는 전방 방향으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S극을 하나의 세트로 구현하고, 전방 방향으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N극을 하나의 세트로 구현하여 세트 단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 상기 분할요크부(300)는 상기 마그넷을 고정시키며, 상기 마그넷을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마그넷회전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각각의 분할 요크와 연결되는 구동축(410); 상기 분할요크부(300)로부터 배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41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 하며, 상기 구동축(410)의 중심축이 자기장에 의한 인력과 척력에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동축지지대(420); 및 상기 구동축(410)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410)을 전후 이동시키는 축이동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스퍼터링 장치는 박막 제조함에 있어, 자기장 제어 기술을 공정 변수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퍼터링 캐소드의 타입(밸런스, 언밸런스, Type 1(집사형), Type 2(분사형))을 변경할 수 있음으로써, 종래의 기술보다 다양한 물성 특성의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장 제어 기술을 적용하여 박막 물성특성 제어기술 향상에 효과가 있다.
또한, 스퍼터링 장치 구동 시, 로렌츠 힘에 의해 자기이력곡선(Flux) 내에 드리프트 전자가 포집(Capture)되는 현상에 의거하여, 타겟 표면에서 자기장 세기와 영역을 제어할 수 있어 타겟 효율(Target Utilization)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의 개념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의 개념도.
도 8은 마그넷과 타겟과의 거리에 따른 위치별 자기장 세기에 대한 그래프.
도 9는 자기장 세기를 제어하여 ITO(Indium Tin Oxide)를 증착한 후 X-Ray 회절(XRD)을 측정한 결과의 그래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8은 마그넷과 타겟과의 거리에 따른 위치별 자기장 세기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9는 자기장 세기를 제어하여 ITO(Indium Tin Oxide)를 증착한 후 X-Ray 회절(XRD)을 측정한 결과의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는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표면에 박막을 증착시키는 스퍼터링 장치에 있어서, 스퍼터링타겟부(100), 분할마그넷부(200), 분할요크부(300), 구동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스퍼터링 구동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진공챔버부, 펌프부, 가스주입부 등은 도면에서 생략한다.
스퍼터링타겟부(100)는 스퍼터링타겟(Sputtering Target)을 포함한다.
스퍼터링타겟은 스퍼터링(sputtering) 증착 시에 사용되는 금속 또는 화합물을 말하는 것으로, 보통 판재 형태를 띄며,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크기도 다양하다.
증착기술은 각종 금속 또는 화합물을 기판 위에 박막으로 코팅하는 기술로, 다양한 IT소자용 박막코팅에 널리 쓰인다.
스퍼터링타겟은 보통 99.99%이상 순도의 금속/합금/화합물 소재가 사용되며, 티타늄타겟, 니켈타겟, 코발트타겟, 몰리브덴타겟, 텅스텐타겟, 탄탈륨타겟, 니오븀타겟, 오산화니오븀타겟, 알루미늄타겟, 몰리브덴니오븀합금타겟, 스텐레스타겟, 니켈합금타겟, 코발트합금타겟, ITO(IndiumTin Oxide)타겟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매우 다양한 성분의 스퍼터링타겟이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인 스퍼터링 공정에서 스퍼터링타겟은 전체중량의 30%내외만 사용되며, 증착효율이 줄어들면, 나머지 약70%의 폐타겟이 발생된다.
진공챔버속에서 스퍼터링을 할 때, 타겟의 입자가 떨어져나가 코팅할 물질위에 가서 붙어 코팅이 되는데, 평평하던 타겟의 표면이 폐기 시에는 일정한 형태로 움푹 파인 형태가 된다.
분할마그넷부(200)는 상기 스퍼터링타겟부(100)의 후방에 구비되며, 전방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교번되어 배치되도록 다수의 마그넷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그넷은 영구 자석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구동은 전후로 이동 가능하며, 그 재질은 NdFeB, 페라이트 등 자화 성질이 있는 모든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마그넷부(200)는 1개 이상 복수개의 캐소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소드는 N-S-N 또는 S-N-S 또는 N-S-N-S-N……와 같이 여러 극성(Multi Pole)을 가지는 캐소드를 복수개로 배열할 수 있다.
상기 캐소드를 1열로 배치하거나 또는 대면방식(Face to Face)으로 구성하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1개의 캐소드 또는 다수개의 캐소드가 전체적으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캐소드가 스퍼터링 장치에 구비됨에 있어 상하좌우 어느 방향에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마그넷 크기와 마그넷 간 간격(Fitch)은 자석의 세기에 따라 넓거나 좁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분할마그넷부(200)는 N-S-N 또는 S-N-S극 구성 뿐만 아니라, N-S-N-S-N……와 같이 여러 극성(Multi Pole)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분할요크부(300)는 상기 분할마그넷(100)의 배면에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마그넷을 고정시키는 다수의 요크로 구성된다.
상기 요크는 구동부(400)와 연결되며, 마그넷과 접합(Bonding, 나사 채결)되어있거나 자석 성질에 따라 요크 위에 자석이 붙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요크의 재질은 sus430, sus420 등 Ferrite 계열의 sus와 철(Fe 계열) 등 모든 강자성체(Ferromagnet) 계열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요크의 두께는 마그넷의 세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분할요크부(300)는 N-S-N 또는 S-N-S, N-S-N-S-N…… 등과 같이 여러 극성(Multi Pole)으로 구성된 경우 분할 요크를 마그넷 수와 같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분할 요크를 마그넷 수와 같게 구성하는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요크의 수가 더 많도록 구성하거나 마그넷의 수가 더 많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동부(400)는 상기 분할요크부(300)의 각각의 요크를 독립적으로 전후로 움직인다.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분할요크부(300)의 높낮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구동부(400)는 수직 운동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모터와 수동 조작이 가능한 스크류 슬라이딩을 사용하여 마그넷과 분할 요크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터는 진공 챔버 내부 또는 외부 어느 곳이든 위치할 수 있다. 구동부 구성은 1개의 분할 요크에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는 분할되어 있는 각각의 요크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스퍼터링 캐소드의 마그넷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스퍼터링타겟부(100) 표면의 자기이력곡선을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1과 같은 구조의 마그넷 위치를 변경(도 2 및 도 5 참조)하여 스퍼터링 박막 증착을 할 수 있다.
타겟의 입자가 기판에 강한 에너지로 집사(focus)되어 증착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방법은 도 2의 실시예와 같다.
즉, 내측의 S극이 외측의 N극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이동시켜 타겟의 중심에 높은 자기장 세기(B-Fields)가 되도록 자기이력곡선을 집중화시킨다.
이때, 자기이력곡선이 집중화된 타겟 부위에 높은 플라즈마 밀도가 발생하여 기판의 중심에 증착률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인라인 스퍼터링과 같이 기판이 움직이며 증착하는 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
대면적의 기판에 높은 균일도 특성의 박막 증착과 타겟의 비식각영역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 방법은 도 3의 실시예와 같다.
내측의 S극이 외측의 N극보다 높은 위치가 되도록 이동시켜 자기장을 외측으로 발산시킨다.
멀티 캐소드(Multi Cathode 또는 Multi Gun) 스퍼터링 장비 및 대면적 증착 시, 특정 부분에 증착율을 높이기 위해서 도 4 또는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높은 증착율을 필요로 하는 방향으로 자기이력곡선이 형성되도록 마그넷을 이동시켜 증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는 상기 구동부(400)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마그넷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스퍼터링타겟부(100) 표면의 자기이력곡선(도 1 내지 도 5의 점선)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00)를 수동 조작이 가능한 스크류 슬라이딩 등을 이용하여 직접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나, 제어부(500)를 통한 모터의 구동에 의한 정밀 제어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의 분할마그넷부(200)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동심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퍼터링타겟이 원판형상인 경우, 상기 분할마그넷부(200)는 중심에 원기둥 형상의 마그넷이 구비되고, 그 둘레로 링 형상의 마그넷이 동심원기둥 형태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분할마그넷부(200)는 단면이 사각형 기둥 형상의 마그넷이 구비되고, 그 둘레로 일정거리만큼 외부로 이격되면서 외형이 닮음인 중공의 사각형 기둥 형태로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의 분할마그넷부(200)는 전방 방향으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S극을 하나의 세트로 구현하고, 전방 방향으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N극을 하나의 세트로 구현하여 세트 단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는 하나의 S극이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고 하나의 N극이 하나의 세트를 구성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복수의 S극이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고 복수의 N극이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하나의 요크에 복수의 마그넷이 부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의 분할요크부(300)는 상기 마그넷을 고정시키며, 상기 마그넷을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마그넷회전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회전부(350)는 상기 제어부(500)의 요청에 의해 상기 마그넷을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전방 방향으로 N-S-N 형태로 배치된 마그넷을 회전시켜 도 7의 S-N-S 형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180도 회전시키는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각각의 마그넷을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시키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의 구동부(400)는 구동축(410), 구동축지지대(420) 및 축이동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410)은 상기 각각의 분할 요크와 연결된다.
상기 구동축(410)은 복수가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구동축(410)은 각각의 요크와 연결된다.
상기 구동축(410)과 요크의 연결 방법은 웰딩 용접, 볼트 가공 등을 다양한 연결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은 1개의 요크에 1개 또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요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축(410)을 축이동부(430)와 연결 시, 커플링, 리니어 피드스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동축의 재료는 sus304와 같은 오스테나이트(Auestenite) 계열의 sus나 알루미늄과 같은 비자성체(반자성체, 상자성체) 계열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구동축지지대(420)는 상기 분할요크부(300)의 배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41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 하며, 상기 구동축(410)의 중심축이 자기장에 의한 인력과 척력에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구동축지지대(420)는 마그넷 구동 시, 인력과 척력으로 인해 자석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되며, 비자성체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축지지대(420)는 상기 스퍼터링타겟부(100)와 백플레이트(150)와 절연되어 있으면 어느 곳에도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백플레이트(150)는 상기 스퍼터링타겟부(100)의 배면에서 상기 스퍼터링타겟부(1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축이동부(430)는 상기 구동축(410)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410)을 전후 이동시킨다.
상기 축이동부(430)는 모터 등 상기 구동축(410)을 이동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퍼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증착된 물성특성 결과에 대하여 설명이다.
도 8은 마그넷과 타겟과의 거리에 따른 위치별 자기장 세기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9는 자기장 세기를 제어하여 ITO(Indium Tin Oxide)를 증착한 후 X-Ray 회절(XRD)을 측정한 결과의 그래프이다.
T-S(Target to Magnet Distance) 25mm = 1000 Gauss
T-S(Target to Magnet Distance) 40mm = 500 Gauss
T-S(Target to Magnet Distance) 60mm = 200 Gauss
본 평가에서 자기장 세기를 강하게 할수록 ITO의 결정성이 높게 나타났는데, 그 원인은 스퍼터링 증착되는 입자의 에너지가 높아져서 ITO 박막의 Micro-Crystallization이 발생한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분야에 따라 요구되는 박막 물성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제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 스퍼터링이 가능한 모든 재질의 타겟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스퍼터링타겟부
200: 분할마그넷부
300: 분할요크부
350: 마그넷회전부
400: 구동부
410: 구동축
420: 구동축지지대
430: 축이동부
500: 제어부

Claims (6)

  1.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표면에 박막을 증착시키는 스퍼터링 장치에 있어서,
    스퍼터링타겟부(100);
    상기 스퍼터링타겟부(100)의 후방에 구비되며, 전방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교번되어 배치되도록 다수의 마그넷으로 구성된 분할마그넷부(200);
    상기 분할마그넷(100)의 배면에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마그넷을 고정시키는 다수의 요크로 구성된 분할요크부(300); 및
    상기 분할요크부(300)의 각각의 요크를 독립적으로 전후로 움직이는 구동부(400);
    를 포함하는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는
    상기 구동부(400)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마그넷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스퍼터링타겟부(100) 표면의 자기이력곡선을 제어하는 제어부(500);
    를 포함하는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마그넷부(200)는
    단면이 원형이거나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마그넷부(200)는
    전방 방향으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S극을 하나의 세트로 구현하고, 전방 방향으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N극을 하나의 세트로 구현하여 세트 단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요크부(300)는
    상기 마그넷을 고정시키며, 상기 마그넷을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마그넷회전부(350);
    를 포함하는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각각의 분할 요크와 연결되는 구동축(410);
    상기 분할요크부(300)로부터 배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41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 하며, 상기 구동축(410)의 중심축이 자기장에 의한 인력과 척력에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동축지지대(420); 및,
    상기 구동축(410)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410)을 전후 이동시키는 축이동부(430);
    를 포함하는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
KR1020210155644A 2021-11-12 2021-11-12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 KR20230069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644A KR20230069527A (ko) 2021-11-12 2021-11-12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644A KR20230069527A (ko) 2021-11-12 2021-11-12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527A true KR20230069527A (ko) 2023-05-19

Family

ID=86546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644A KR20230069527A (ko) 2021-11-12 2021-11-12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952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6074A (ko) 2009-10-28 2011-05-04 김만수 스퍼터링 증착장치의 자기장 조절 캐소드 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6074A (ko) 2009-10-28 2011-05-04 김만수 스퍼터링 증착장치의 자기장 조절 캐소드 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2966B2 (en) Sputtering system
JP6118258B2 (ja) ソフトスパッタリングマグネトロンシステム
JP5555848B2 (ja) 薄膜作製用スパッタ装置及び薄膜作製方法
CN105839065B (zh) 一种磁控溅射镀膜装置及方法、纳米颗粒的制备方法
JP5461264B2 (ja) マグネトロンスパッタリング装置、及び、スパッタリング方法
JP2014534341A (ja) Pvdアレイ用の多方向レーストラック回転カソード
JP5300084B2 (ja) 薄膜作製用スパッタ装置
JP6438657B2 (ja) 円筒形の蒸着源
CN100573802C (zh) 具有磁场发生装置的真空电弧光源
JP2001254175A (ja) 平板マグネトロンスパッタリング装置
CN102953038A (zh) 具有逆向侵蚀轮廓表面的溅射靶、溅射系统、及其使用方法
KR20230069527A (ko) 자기장 제어 기술이 적용된 스퍼터링 장치
CN108884558B (zh) 涂布基板的方法和用于涂布基板的涂布设备
JP6396367B2 (ja) Pvdアレイ用の多方向レーストラック回転カソード
JP7226759B2 (ja) スパッタ装置用カソード
EP2485241B1 (en) Post cathode physical vapor deposition system and magnet array for use within a post cathode
JP2019199646A5 (ko)
US11848179B2 (en)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magnetron sputtering
JP2012092380A (ja) 真空アーク蒸着法
KR101005204B1 (ko) 대향 타겟식 스퍼터링 장치
KR20130106575A (ko) 진공 아크 증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 이온 플레이팅 장치
RU12377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несения тонких пленок
US20140166479A1 (en) Sputtering apparatus
TWI627297B (zh) 用以濺鍍材料塗層於基板上之裝置及沉積系統
KR20050087104A (ko) 원형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