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9371A - 포충기구 - Google Patents

포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9371A
KR20230069371A KR1020210155341A KR20210155341A KR20230069371A KR 20230069371 A KR20230069371 A KR 20230069371A KR 1020210155341 A KR1020210155341 A KR 1020210155341A KR 20210155341 A KR20210155341 A KR 20210155341A KR 20230069371 A KR20230069371 A KR 20230069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ment
cover
sides
width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다애
Original Assignee
이다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다애 filed Critical 이다애
Priority to KR1020210155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9371A/ko
Publication of KR20230069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체가 되는 기구프레임과, 램프와, 투명한 재질의 기구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기구커버는 기구프레임에 결합되어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램프는 기구프레임에 설치되어 폭 방향으로 기구커버 사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구커버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되어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개구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충기구{Insect Trap}
본 발명은 포충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곤충을 유인하여 잡을 수 있는 포충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나 가축 및 농작물에 유해한 곤충을 박멸하기 위해서 살충제와 같은 화학 약품을 분사하거나 모기향과 같이 특정 물질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연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빛으로 해충을 유인하고 고온의 자외선 등을 이용하여 곤충을 연소시키는 방법은 가정의 실내에서와 같이 다소 밀폐된 공간 내에서 소수의 곤충을 박멸하는데 유용할 수 있으나, 가축의 축사와 같이 개방된 공간이나 해충의 수가 많은 지역에서는 그 실효성을 거두기 다소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광원으로부터 발광 되는 빛을 통해 곤충을 유인하고 모터의 회전에 의한 팬의 회전을 통해 빛에 의해 유인된 곤충을 포충망에 포집하는 포충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포충장치는 모터의 회전에 의한 회전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소음은 사람이나 가축에게 수면 장애 등과 같은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곤충은 오리 등 가금이 섭취하는 먹이로 사용될 수 있으나, 포획된 곤충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20-0070224호 공개특허공보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7-0017186호 공개특허공보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20-0408283호 등록실용신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환경오염이나 소음 발생이 없고 곤충이 가공의 먹이로 재활용될 수 있는 포충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체가 되는 기구프레임과, 램프와, 투명한 재질의 기구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기구커버는 기구프레임에 결합되어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램프는 기구프레임에 설치되어 폭 방향으로 기구커버 사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구커버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되어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개구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기구프레임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길이 방향 양측에서 상향 연장된 기구지지대와, 길이 방향 양측의 기구지지대 상단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 기구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는 기구연결부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기구커버는 기구프레임에 폭 방향 양측을 덮도록 구비되어, 기구커버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기구연결부의 폭 방향 양측으로 덮개부가 구비되어, 폭 방향 양측 덮개부와 기구연결부의 양측 하부로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개구된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덮개부는 외향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덮개부는 상부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경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기구지지대는 폭 방향 외향 경사 구비되며, 상기 기구연결부의 양측으로 덮개부가 구비되어, 폭 방향 양측과 기구연결부의 양측 하부로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체가 되는 기구프레임과, 램프와, 투명한 재질의 기구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기구커버는 램프의 하부로 하향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포충기구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소음 발생이 없으며, 환경오염이 없고, 포집된 곤충은 가공의 먹이로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포충기구를 구비한 포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포충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B-B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다양한 변형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포충기구 및 포충기구를 구비한 포충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포충기구를 구비한 포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포충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B-B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다양한 변형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도 2의 x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y 방향을 폭 방향으로, z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포충기구(200)는 기구프레임(210)과, 기구커버(220)와, 램프(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포충기구(200)는 정면 형상이 삼각형을 이루며,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기구프레임(210)은 기구베이스(211)와, 상기 기구베이스(211)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상향 연장된 기구지지대(213)와, 상기 기구지지대(213)의 상부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기구연결부(2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구프레임(210)은 금속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구베이스(211)는 판상의 사각형으로 구비되거나, 사각형을 이루는 막대로 구비되어 중심부는 개구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기구베이스(211)는 정사각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구지지대(213)는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기구지지대(213)는 상기 기구베이스(211)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상향 연장된다. 상기 기구지지대(213)의 하부는 기구프레임(210)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기구베이스(211)에 결합되어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 기구지지대(213)는 폭 방향 내향 경사 구비되어 상단이 기구연결부(215)에 결합된다.
기구지지대(2131)는 하부가 기구프레임(210)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기구베이스(211)의 폭 방향 중심부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구지지대(2131)의 하부는 기구베이스(211)에 결합되고 상부는 기구연결부(215)에 결합된다.
상기 기구지지대(213)는 기구베이스(211)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폭 방향으로 단부에 위치하며, 폭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기구지지대(213)의 폭 방향 중심부에는 다른 기구지지대(213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폭 방향으로 위치하는 기구지지대(213)의 사이에 다른 기구지지대(2131)가 더 구비됨으로써 기구프레임(210)의 강성이 더 향상된다.
상기 기구프레임(2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는 기구지지대(213) 사이에 하부는 기구베이스(211)에 결합되고, 상부는 기구연결부(215)에 결합되어 경사 구비되는 막대 형태의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기구연결부(215)는 상기 기구지지대(213)의 상부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기구연결부(215)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부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기구연결부(215)는 하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는 삿갓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구연결부(215)에는 길이 방향 양측을 막는 단벽부(2151)가 구비된다. 상기 단벽부(2151)에는 길이 방향 양측으로 위치하는 상기 기구지지대(213, 2131)의 상단이 용접이나 볼트 체결 등으로 단벽부(2151)에 결합된다.
상기 기구커버(22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투명한 비닐, 아크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기구커버(220)는 기구프레임(210)에 결합되어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기구커버(220) 사이의 폭 방향 간격은 상부에서는 좁고 하부에서는 넓게 형성된다. 상기 기구커버(220) 사이의 폭 방향 간격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며, 상부에서의 기구커버(220) 사이의 폭 방향 간격이 좁게 경사 구비된다.
상기 기구베이스(211)의 폭 방향 양측으로 기구지지대(213)만 구비되는 경우, 상기 기구커버(220)의 하부는 기구베이스(211)나 기구지지대(213) 하부에 결합되고, 상부는 기구연결부(215)나 기구지지대(213) 상부에 결합되어 폭 방향 양측에서 경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구베이스(211)의 폭 방향 중심부에 수직 상향 연장된 기구지지대(2131) 만 구비되는 경우, 상기 기구커버(220)의 하부는 기구프레임(211)에 결합되고, 상부는 기구연결부(215)에 결합되어 폭 방향 양측에서 경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구베이스(211)의 폭 방향 양측으로 기구지지대(213)가 구비되고, 상기 기구지지대(213)의 폭 방향 중심부에 다른 기구지지대(2131)가 더 구비되는 경우, 상기 기구커버(220)의 하부는 기구베이스(211)나 기구지지대(213) 하부에 결합되고, 상부는 기구연결부(215)나 기구지지대(213) 상부에 결합되어 폭 방향 양측에서 경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구프레임(210)의 하부에는 폭 방향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겹판 구조인 커버설치부(217)가 더 포함된다. 상기 커버설치부(217)는 상기 커버베이스(211)의 상부로 구비된다. 폭 방향 양측으로 위치하는 상기 커버설치부(217)는 서로 마주하여 구비된다.
상기 각각의 커버설치부(217)는 판상이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마주하여 나란하게 구비되는 2개의 설치부재(2171)와, 상기 설치부재(2171)와 기구커버(220)를 결합시키는 고정부재(2173)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부재(2171)는 서로 마주하여 나란하게 구비되는 설치부재(2171)와 틈새를 형성하며 이격 구비된다.
상기 기구커버(220)는 상기 설치부재(2171) 사이에 기구커버(220)의 하단을 위치시키고 리벳이나 나사로 이루어진 고정부재(2173)로 설치부재(2171)와 기구커버(220) 하단을 관통시켜 기구프레임(210)에 결합된다.
상기 기구커버(220)의 상부는 기구연결부(215)의 외면에 접하고 리벳 등으로 결합되거나, 상기 기구커버(220)의 상부가 기구연결부(215)의 외면(또는 내면)에 접하고, 그 외측(또는 내측)에 얇은 판(도시하지 않음)을 덧대어, 리벳이나 나사로 덧댄 판과 기구커버(220) 및 기구연결부(215)를 관통하여 기구커버(220)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 양측의 기구커버(220)는 일체로 되어, 기구연결부(215)의 상부를 지나고 양측의 하부가 기구베이스(211) 또는 기구지지대(213)에 고정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구커버(220)는 길이 방향 양측에서 기구지지대(213)에 하부에 나사로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램프(230)는 기구프레임(210)에 설치되어 폭 방향으로 기구커버(22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램프(230)는 상기 기구연결부(215)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램프(230)는 상기 단벽부(2151)의 내측으로 도시하지 않은 소켓이 설치되고, 램프(230)가 소켓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램프(230)는 시중에 판매되는 형광등 형태의 곤충 유인 램프로 한다. 상기 램프(230)는 350㎚∼360㎚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엘이디 램프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램프(230)는 광화학 작용과 형광 작용이 있는 근자외선(피크 파장 352nm)의 효율을 높여 방사하는 램프로써 약간의 가시광도 방사되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야행성 곤충은 근자외선에 민감하여 램프(230)로 쉽게 접근하므로 포충기용 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포충기구(200)는 논, 밭 등에 포충기구(200)의 하부 일부가 물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상기 포충기구(200)의 하부 일부가 잠긴 물이 포충기구(200)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흐르는 장소에 설치될 수도 있다(도 2의 "D"방향).
포충기구(200)의 램프(230)를 점등하면 램프(230)에 의하여 포충기구(200)의 기구커버(220) 사이로(도 2의 "A"방향) 곤충(M)이 들어오고, 양측의 기구커버(220)가 경사 구비되어 상부가 좁게 설치되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곤충(M)은 기구커버(220) 사이에서 물로 추락하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2의 "C"방향).
상기 포충기구(200)를 설치하고 오리와 같은 가금을 풀어놓으면 물에 떨어진 곤충(M)을 먹고, 이 곤충(M)이 단백질 공급원이 되어 오리의 성장이 매우 빠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곤충(M)을 버리지 않아 환경오염도 없고 소음도 없이 재활용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포충기구(200)의 다양한 변형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포충기구(200)는 기구프레임(210)과, 기구커버(220)와, 램프(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구프레임(210)은 기구베이스(211)와, 상기 기구베이스(211)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상향 연장된 기구지지대(213)와, 상기 기구지지대(213)의 상부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기구연결부(2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구베이스(211)는 판상의 사각형으로 구비되거나, 사각형을 이루는 막대로 구비되어 중심부는 개구된 형태로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구지지대(213)는 막대 형태로 구비되며, 기구베이스(211)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상향 연장된다. 상기 기구지지대(213)의 하부는 기구프레임(210)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기구베이스(211)에 결합되어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 기구지지대(213)에는 상단이 폭 방향 내향 절곡된 연장부(1233)가 구비되어 연장부(1233) 단부가 기구연결부(215)에 결합된다.
상기 기구연결부(215)는 상기 기구지지대(213)의 연장부(1233)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기구연결부(215)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부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기구연결부(215)는 하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는 삿갓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구연결부(215)에는 길이 방향 양측을 막는 단벽부(2151)가 구비된다. 상기 단벽부(2151)에는 길이 방향 양측으로 위치하는 상기 기구지지대(213)의 연장부(2133) 단부가 용접이나 볼트 체결 등으로 단벽부(2151)에 결합된다. 상기 기구연결부(215)에는 도 4와 같이 연결부(1233)가 폭 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기구연결부(215)의 폭 방향 양측 하단에 연결부(1233)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기구연결부(215)는 하단에 결합된 상기 연장부(2133)에 지지되어 구비된다.
상기 기구커버(22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투명한 비닐, 아크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기구커버(220)는 기구프레임(210)에 결합되어 폭 방향 양측을 덮도록 구비된다. 상기 기구커버(220) 사이의 폭 방향 간격은 상부에서 하부로 일정하게 형성된다.
상기 기구커버(220)는 상기 기구지지대(213)의 상단을 지나 기구연결부(215)로 연장된 덮개부(22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21)는 별도의 부재로 기구연결부(215)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21)는 판상의 재질로 이루어져 폭 방향 내측은 기구연결부(215)에 결합되고, 폭 방향 외측은 기구지지대(21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21)는 투명한 비닐, 투명한 아크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덮개부(221)는 상기 연결부(1233)의 상부로 연결부(1233)를 덮도록 구비되어 덮개부(221)의 내측 단부가 기구연결부(215)에 결합된다.
상기 덮개부(221)는 기구연결부(215)의 외면에 접하고 리벳 등으로 결합되거나, 상기 덮개부(221)가 기구연결부(215)의 외면(또는 내면)에 접하고, 그 외측(또는 내측)에 얇은 판(도시하지 않음)을 덧대어, 리벳이나 나사로 덧댄 판과 덮개부(221) 및 기구연결부(215)를 관통하여 기구커버(220)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폭 방향 양측의 기구커버(220)는 일체로 되어, 기구연결부(215)의 상부를 지나고 양측의 하부가 기구베이스(211) 또는 기구지지대(213)에 고정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램프(230)는 기구프레임(210)에 설치되어 폭 방향으로 기구커버(220) 사이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램프(230)는 상기 기구연결부(215)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램프(230)는 상기 단벽부(2151)의 내측으로 도시하지 않은 소켓이 설치되고, 램프(230)가 소켓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4와 같은 포충기구(200)는 기구연결부(215)의 폭 방향 양측으로 덮개부(221)가 구비되어, 폭 방향 양측 덮개부(221)와 기구연결부(215)의 양측 하부로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개구된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기구연결부(215)의 양측으로 덮개부(221)가 구비되어 상부에 넓은 공간이 형성되어 더 많은 곤충이 내측 공간으로 들어와 포충될 수 있다.
도 4의 확대도와 같이 연결부(1233)와 덮개부(221)가 외향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인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연결부(1233)의 단부는 기구연결부(125)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연장부(1233)의 단부는 기구연결부(215)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의 확대도와 같이 포충기구(200)의 상부가 외향 볼록하게 만곡 형성됨으로써 더욱 더 많은 곤충이 내측 공간으로 들어와 포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233)는 기구지지대(213)의 상단으로부터 폭 방향 내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단부가 기구연결부(2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구연결부(215)가 삿갓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1233)의 상단은 기구연결부(215)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기구연결부(215)의 내측 상단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233)는 기구지지대(213)의 상단으로부터 폭 방향 내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덮개부(221)는 상부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된다.
도 5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포충기구(200)는 하부에 넓은 공간이 형성되고 램프(230)가 설치된 상부에 좁은 공간이 형성되어 많은 곤충이 내측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면서, 램프(230) 가까이서 덮개부(221)에 충돌하게 되어 포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구지지대(213)는 하단이 기구베이스(211)의 폭 방향 양단에 결합되어 폭 방향 외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 기구지지대(213)의 상단에는 폭 방향 내향 절곡되어 연장된 연장부(1233)의 단부가 기구연결부(215)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기구연결부(215)의 양측으로 덮개부(221)가 구비되어, 폭 방향 양측과 기구연결부(215)의 양측 하부로 공간이 형성되며, 하향 할수록 폭이 좁게 형성된다. 상기 포충기구(200)는 기구연결부(215)의 하부로 넓은 공간이 형성되어 더 많은 곤충이 유입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구지지대(213)는 막대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기구베이스(211)의 길이 방향 양측 및 폭 방향 양측에서 상향 연장되며, 상기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 기구지지대(213)는 폭 방향 내향 경사 구비되어 상단이 기구연결부(215)에 결합된다.
상기 기구연결부(215)는 상기 기구지지대(213)의 상부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부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기구연결부(215)는 하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는 삿갓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램프(230)는 기구프레임(210)에 설치되어 상기 기구연결부(215)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램프(230)는 상기 단벽부(2151)의 내측으로 도시하지 않은 소켓이 설치되고, 램프(230)가 소켓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구프레임(210)에는 상기 램프(230)의 하부로 커버제1연결부(212)와, 기구베이스(211)의 상부로 커버제2연결부(214)가 더 구비된다.
상기 커버제1연결부(212)는 상기 램프(230)의 하부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이며, 길이 방향 양단이 상기 기구연결부(215)의 단벽부(2151)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제2연결부(214)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이며, 길이 방향 양측으로 구비되는 상기 기구베이스(211)에 길이 방향 양단이 결합된다. 상기 커버제2연결부(214)는 상기 기구베이스(211)의 폭 방향 중심부에 결합된다.
상기 기구커버(220)는 상기 램프(230)의 하부로 하향 연장된 판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기구커버(220)는 투명한 아크릴판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구커버(220)는 상기 커버제1연결부(212)와 커버제2연결부(214)에 결합되어 폭 방향 양측의 기구지지대(213)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기구커버(220)의 상단은 커버제1연결부(212)에 결합되고, 램프(230)의 하부로 하향 연장되며, 하단은 커버제2연결부(214)에 결합된다.
상기 기구커버(220)의 상부는 커버제1연결부(212)의 폭 방향 적어도 일측에 접하고 리벳 등으로 결합되거나, 상기 기구커버(220)의 상부가 커버제1연결부(212)의 폭 방향 적어도 일측에 접하고, 그 외측에 얇은 판(도시하지 않음)을 덧대어, 리벳이나 나사로 덧댄 판과 기구커버(220) 및 커버제1연결부(212)를 관통하여 기구커버(220)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구커버(220)의 하부는 커버제2연결부(214)의 폭 방향 적어도 일측에 접하고 리벳 등으로 결합되거나, 상기 기구커버(220)의 하부가 커버제2연결부(214)의 폭 방향 적어도 일측에 접하고, 그 외측에 얇은 판(도시하지 않음)을 덧대어, 리벳이나 나사로 덧댄 판과 기구커버(220) 및 커버제2연결부(214)를 관통하여 기구커버(220)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구커버(220)가 램프(230)의 하부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램프(230)로 몰려드는 곤충이 폭 방향 양측에서 기구커버(220)에 충돌하여 아래로 떨어지게 되어 포충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포충기구(200)와, 상기 포충기구(200)가 설치된 포충본체(100)를 포함하는 포충장치(10)가 도시되어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서 급수공(116)에서 배수공(118)으로 물이 흐르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포충본체(100)는 본체(110)와, 수용본체(120)와, 순환관(130)과, 펌프(140)와, 순환배출부(150)와, 배출부재(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는 상부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하부에 상하 연장된 막대인 복수의 본체다리(113)가 구비되어 바닥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본체(110)는 PVC와 같은 합성수지나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에는 상부에 오목한 설치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부(112)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배수공(118)과 급수공(116)이 형성된다. 상기 급수공(116)은 설치부(112) 바닥에 형성될 수도 있고, 설치부(112)를 형성하는 후방 벽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설치부(112)에 상기 포충기구(200)가 설치된다. 상기 포충기구(200) 상기 배수공(118)과 급수공(116) 사이에서 설치부(112)에 수용되어 구비된다. 상기 포충 기구(200)는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개구되도록 설치부(112)에 구비된다. 상기 포충 기구(200)는 기구베이스(211)에 나사 등으로 설치부(112) 바닥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112)에 형성된 급수공(116)에는 순환배출부(150)가 구비된다. 물은 펌프(140)로부터 급수공(116)으로 공급되고 상기 순환배출부(150)를 통하여 전방으로 토출된다.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급수공(116)과 배출공(118) 사이에 웨어(111)가 더 구비된다. 상기 웨어(111)는 설치부(112)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벽체보다 낮게 형성된다. 상기 포충기구(200)는 상기 급수공(116)과 웨어(111)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웨어(111)의 전방으로 본체(110)의 전방 벽체 사이에는 오목한 공간인 배출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공(118)은 상기 배출부(114)에 형성된다. 상기 설치부(112)에 물이 공급되면 설치부(112)의 전방으로 물이 웨어(111)를 타고 넘어 배수공(118)으로 물이 배출된다. 상기 배출공(118)에는 곤충이 걸러지는 망체인 배출부재(160)가 구비된다.
도면부호 115는 넘치는 물이 배수되는 바이패스관이다. 상기 바이패스관(115)의 높이는 설치부(112)를 형성하는 폭 방향 양측이나 후방 벽체의 높이보다 낮고 웨어(111)의 보다는 높다. 상기 바이패스관(115)은 물이 과하게 공급될 때 설치부(112)의 폭 방향 양측 또는 후방 벽체를 넘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용본체(120)는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수용본체(120)는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수용본체(120)는 상기 배수공(118)과 바이패스관(115)의 하부로 위치하여 배수공(118)과 바이패스관(115)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이 수용된다. 상기 수용본체(120)는 PVC와 같은 합성수지나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순환관(130)은 제1순환관과 제2순환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순환관은 일측이 상기 수용본체(120)에 결합되고, 타측은 펌프(140)에 결합된다. 상기 제2순환관은 일측이 펌프(140)에 결합되고, 타측은 본체의 급수공(116)에 결합된다. 상기 모터(141)와 모터(141)에 의하여 구동되는 펌프(140)는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펌프(140)가 모터(141)에 의하여 작동하면 급수공(116)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은 포충기구(200)를 지나 전방의 배수공(118)을 통하여 수용본체(120)로 배수된다. 순환하는 물에서는 물에 떨어진 곤충이 물과 함께 떠내려와 웨어(111)를 지나 배출부(114)로 유동한다. 상기 배출부(114)로 유동된 곤충(M)은 뜰채 등으로 걸러 내어 오리 등의 사료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웨어(111)가 구비됨으로써, 물이 웨어(111)를 지나며 격하게 유동하여 곤충이 다시 물로부터 날아올라 탈출하는 것이 억제된다.
10: 포충장치
100: 포충본체 110: 본체
120: 수용본체 130: 순환관
140: 펌프 150: 순환배출부
160: 배출부재 200: 포충기구
210: 기구프레임 220: 기구커버
230: 램프

Claims (7)

  1. 지지체가 되는 기구프레임(210)과, 램프(230)와, 투명한 재질의 기구커버(220)를 포함하며;
    상기 기구커버(220)는 기구프레임(210)에 결합되어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램프(230)는 기구프레임(210)에 설치되어 폭 방향으로 기구커버(220) 사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구커버(220)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되어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개구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구(2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프레임(210)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길이 방향 양측에서 상향 연장된 기구지지대(213)와, 길이 방향 양측의 기구지지대(213) 상단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 기구연결부(215)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230)는 기구연결부(215)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기구커버(220)는 기구프레임(210)에 폭 방향 양측을 덮도록 구비되어, 기구커버(220)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구(200).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연결부(215)의 폭 방향 양측으로 덮개부(221)가 구비되어, 폭 방향 양측 덮개부(221)와 기구연결부(215)의 양측 하부로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개구된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구(200).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21)는 외향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구(200).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21)는 상부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경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구(200).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지지대(213)는 폭 방향 외향 경사 구비되며, 상기 기구연결부(215)의 양측으로 덮개부(221)가 구비되어, 폭 방향 양측과 기구연결부(215)의 양측 하부로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구(200).
  7. 지지체가 되는 기구프레임(210)과, 램프(230)와, 투명한 재질의 기구커버(220)를 포함하며;
    상기 기구커버(220)는 램프(230)의 하부로 하향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구(200).
KR1020210155341A 2021-11-12 2021-11-12 포충기구 KR20230069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341A KR20230069371A (ko) 2021-11-12 2021-11-12 포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341A KR20230069371A (ko) 2021-11-12 2021-11-12 포충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371A true KR20230069371A (ko) 2023-05-19

Family

ID=86546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341A KR20230069371A (ko) 2021-11-12 2021-11-12 포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937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283Y1 (ko) 2005-09-28 2006-02-08 임낙모 포충장치
KR20170017186A (ko) 2015-08-05 2017-02-15 루미컴 주식회사 포충 엘이디 램프장치
KR20200070224A (ko) 2018-12-07 2020-06-17 가부시키가이샤 히카리 바이오 포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283Y1 (ko) 2005-09-28 2006-02-08 임낙모 포충장치
KR20170017186A (ko) 2015-08-05 2017-02-15 루미컴 주식회사 포충 엘이디 램프장치
KR20200070224A (ko) 2018-12-07 2020-06-17 가부시키가이샤 히카리 바이오 포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29459A1 (en) Devices for trapping insects
US20070068068A1 (en) Insect trap device
CN1231121C (zh) 昆虫捕获器
KR101349733B1 (ko) 해충 포획장치
US20070039236A1 (en) Insect trap
CA2074422A1 (en) Insect attracting and capturing apparatus
US20050055870A1 (en) Light attractant insect trap
KR102457324B1 (ko) 포충기
US20050274061A1 (en) Mosquito trapping device
KR101854414B1 (ko) 해충 유인형 포충기
US20180288992A1 (en) Insect Trap To Control Mosquito Population
KR101681748B1 (ko) 해충 포획 장치
KR200402319Y1 (ko) 흡입식 포충기
KR100538043B1 (ko) 전자 포충기
AU2008243253B2 (en) Insect trap
KR20230069371A (ko) 포충기구
KR102353666B1 (ko) 포충기구 및 포충기구를 구비한 포충장치
CN114208788A (zh) 捕虫器
KR20190019763A (ko) 포충기
KR200431848Y1 (ko) 친환경 해충 포획기
CN210519888U (zh) 一种捕虫装置
KR200408283Y1 (ko) 포충장치
WO2000059300A1 (en) Insect trap
JP2007209266A (ja) 捕虫装置
JP2007082479A (ja) 捕獲殺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