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9016A -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9016A
KR20230069016A KR1020220146334A KR20220146334A KR20230069016A KR 20230069016 A KR20230069016 A KR 20230069016A KR 1020220146334 A KR1020220146334 A KR 1020220146334A KR 20220146334 A KR20220146334 A KR 20220146334A KR 20230069016 A KR20230069016 A KR 20230069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ideo
images
image
synchron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6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식
Original Assignee
김유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식 filed Critical 김유식
Publication of KR20230069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0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제공 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 되는 다수의 영상들을 저장하되,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싱크(sync)가 맞춰진 상기 영상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저장된 영상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의 화면으로 전환시켜 재생하되, 상기 재생되는 영상을 시간 흐름의 연속성에 기초하여 끊김없이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되어, 싱크(sync)가 맞춰져 저장된 다수의 영상들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면이 전환되어 재생되는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디어가 발달함에 따라, 인터넷 상에는 다양한 영상들이 저장되고, 사용자들은 인터넷 상의 영상들을 자유롭게 시청할 수 있다.
이때, 'A'라는 동일 콘텐츠를 포함하는 다수의 영상들 중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영상을 선택하여 시청하는 도중, 또 다른 영상을 선택하여 시청하게 되면, 최초 선택했던 영상은 종료되고, 새롭게 선택한 영상이 처음부터 재생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 1 영상을 시청하는 도중, 제 2 영상을 선택하게 되면, 제 1 영상은 종료되고 새롭게 제 2 영상이 처음부터 재생됨에 따라,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이 동일한 콘텐츠의 내용을 포함하더라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동영상을 시청함에 있어서 끊김이 발생하므로, 영상을 시청하는데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09295호(2017.01.25 공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되어, 싱크(sync)가 맞춰져 저장된 다수의 영상들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면이 전환되어 재생되는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제공 장치는,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 되는 다수의 영상들을 저장하되,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싱크(sync)가 맞춰진 상기 영상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저장된 영상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의 화면으로 전환시켜 재생하되, 상기 재생되는 영상을 시간 흐름의 연속성에 기초하여 끊김없이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제공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은,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 되는 다수의 영상들을 저장하되,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싱크(sync)가 맞춰진 상기 영상들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영상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의 화면으로 전환시켜 재생하되, 상기 재생되는 영상을 시간 흐름의 연속성에 기초하여 끊김없이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매체는, 영상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상기 영상 제공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은,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 되는 다수의 영상들을 저장하되,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싱크(sync)가 맞춰진 상기 영상들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영상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의 화면으로 전환시켜 재생하되, 상기 재생되는 영상을 시간 흐름의 연속성에 기초하여 끊김없이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은, 영상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영상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상기 영상 제공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은,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 되는 다수의 영상들을 저장하되,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싱크(sync)가 맞춰진 상기 영상들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영상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의 화면으로 전환시켜 재생하되, 상기 재생되는 영상을 시간 흐름의 연속성에 기초하여 끊김없이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싱크(sync)가 맞춰져 저장된 영상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의 화면으로 전환시켜 재생하되, 상기 재생되는 영상은 시간 흐름의 연속성에 기초하여 끊김없이 재생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영상을 보다 재미있게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의 화면은 같은 콘텐츠의 내용을 포함하되, 촬영된 위치나 각도, 시점 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영상을 시청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흥미를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는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들이 그룹핑되어 저장된 묶음(pool)에서, 자신이 원하는 영상들을 선택하여 자신만의 영상을 만들고 시청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흥미를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들과 함께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내용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은 영상 제공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200)에 영상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영상 제공 장치(200)는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 되는 다수의 영상들을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의 화면으로 전환시켜 영상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제공 장치(200)는 재생되는 영상을 시간 흐름의 연속성에 기초하여 끊김없이 재생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와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일 수 있으며, 영상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해 어느 하나의 영상이 선택되면 해당 영상이 재생되다가, 사용자가 또 다른 영상을 선택하면 새롭게 선택된 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이때, 재생되는 영상은 시간 흐름의 연속성에 기초하여 끊김없이 재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200)은 휴대성이 용이한 휴대용 단말기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상술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N)를 통해 영상 제공 장치(100)와 통신이 가능한 것이라면 관계없다.
한편, 영상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과 별도의 장치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 내에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단말의 화면일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3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와 인터랙션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단말기로 구현되거나 서버로 구현되거나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디바이스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영상 제공 장치(100)의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나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전자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로 구현되거나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를 포함하거나 제 3의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영상 제공 장치(100)는 전자단말기, 서버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서버로 구현될 경우, 영상 제공 장치(100)를 구성하는 구성부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서버에서 수행되거나 하나의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100)는 입출력부(110), 통신부(120), 메모리(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입출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작업의 수행결과 또는 영상 제공 장치(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부(11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다른 디바이스(장치) 및/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20)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UWB(Ultra Wide 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LTE, LTE-Advanced 등의 무선 이동통신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가 지원하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일 수 있다.
메모리(130)는 파일,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설치 및 저장할 수 있으며, RAM, HDD 및 SSD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제어부(14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메모리(13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한편, 메모리(130)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 되는 다수의 영상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업로드 되는 영상들은 같은 컨텐츠의 내용을 포함하되, 서로 다른 기준에서 촬영 또는 녹화된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 되는 영상은, 사용자에 의해 녹화 완료된 동영상, 실시간 스트리밍 중인 동영상 또는 녹화 완료된 동영상과 실시간 스트리밍 중인 동영상이 결합된 하이브리드(hybrid) 동영상 등일 수 있다. 이때,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 되는 영상은, 촬영되는 툴의 종류가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필터와 같이 효과(effect)가 적용된 영상도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 되는 영상은, 어느 하나의 영상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형식을 사용함에 따라, 후술되는 본원발명은 개방성을 가지며,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분야,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ML) 분야, 메타버스(Metaverse) 분야 등 모든 분야에 연계하여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으므로 확장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은 누구나 자유롭게 업로드가 가능하고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1인 미디어가 활성화될 수도 있다. 메모리(130)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들을 저장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은, 영상에 포함된 메타정보에 기초하여 영상들의 싱크(sync)를 맞출 수 있으며, 이러한 알고리즘은 후술되는 제어부(140)에 의해 실행되어 그 결과,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들은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들의 각각의 크기 즉, 재생 분량은 모두 30초일 수 있다. 또한,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들의 각각의 크기 즉, 재생 분량은 30초, 1분, 10분 등으로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이때, 영상의 원본 자체가 싱크(sync)가 맞춰질 수도 있지만, 영상의 원본에서 임의 구간만이 선택되어 싱크(sync)가 맞춰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0초 재생 분량을 가진 영상과 1분 재생 분량을 가진 영상 및 10분의 재생 분량을 가진 영상이 싱크(sync)가 맞춰져 저장되면서, 10분 재생 분량을 가진 영상은 전체 영상에서 2~3분 구간의 영상만이 임의로 선택되어 싱크(sync)가 맞춰질 수도 있다. 이때,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은 일시적으로 사용자에게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묶음(pool)으로 구성되어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한 선택없이 묶음(pool)으로 구성되어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메모리(130)에 저장된 묶음(pool)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묶음(pool)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 되는 영상은, 사용자가 편집 툴(tool)을 사용하여 싱크(sync)를 맞춰 저장할 수도 있는데, 이때, 상술된 바에 따라 저장된 영상을 다른 사용자가 시청하는 경우, 그에 따른 보상(reward)을, 영상을 편집 제작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CPU, GPU, 아두이노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영상 제공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영상 제공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영상 제공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메모리(13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또는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의 화면으로 전환시켜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으며, 이때, 재생되는 영상을 시간 흐름의 연속성에 기초하여 끊김없이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에 싱크(sync)가 맞춰진 A 내지 E의 영상이 저장된 경우, 사용자가 A 영상을 선택하면 A 영상이 재생되다가, A 영상의 재생 도중, 사용자가 B 영상을 선택하면, B 영상으로 화면이 전환되어 B 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이때, A 영상 및 B 영상은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이기 때문에 시간 흐름의 연속성을 가지므로, 화면의 전환만이 이루어질 뿐, 내용의 끊김없이 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즉, A 영상 및 B 영상이 '아이유'의 '밤편지'라는 제목의 음원을 포함하고 싱크(sync)가 맞춰진 경우, A 영상 및 B 영상은 음원의 재생에 따른 시간 흐름의 연속성을 가지므로, '밤편지'의 노래가 연속적으로 흘러나오되,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이유'의 정면에서 촬영된 A 영상을 선택하여 A 영상이 재생되는 도중, 사용자가 '아이유'의 측면에서 촬영된 B 영상을 선택하게 되면, 음원은 끊김없이 재생되면서, '아이유'의 측면 영상으로 화면이 전환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들을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은, 영상에 포함된 메타정보에 기초하여 영상들의 싱크(sync)를 맞출 수 있다. 이때, 메타정보는 시간 데이터, 위치 데이터(GPS 데이터), 음향 데이터, 촬영 장비 이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된 다수의 영상들 중, A 내지 D의 영상이 가수 '아이유'의 '밤편지'라는 제목의 음원을 포함하고 있으면,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영상들의 싱크(sync)를 맞추고,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을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영상에 포함된 메타정보 중 음향 데이터를 기초로 A 내지 E 영상의 싱크(sync)를 맞출 수 있으며,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을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싱크(sync)가 맞는 영상들을 다수 개의 트랙으로 분리된 하나의 묶음(pool)으로 구성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묶음(pool)은 사용자에 의해 구성되어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싱크(sync)가 맞는 영상들 중 트랙에 배치될 영상들을 선택함으로써, 싱크(sync)가 맞는 영상들을 다수 개의 트랙으로 분리된 하나의 묶음(pool)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메모리(130)에는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들을 포함하는 묶음(pool)이 다수 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 묶음(pool)에는 싱크(sync)가 맞춰진 A 내지 E 영상이 다수 개의 트랙으로 분리되어 저장될 수 있고, '나' 묶음(pool)에는 싱크(sync)가 맞춰진 F 내지 J 영상이 다수 개의 트랙으로 분리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싱크(sync)가 맞는 영상들의 묶음(pool) 중 어느 하나의 묶음(pool)이 유저에 의해 선택되면, 유저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상들의 묶음(pool)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메모리(130)에 저장된 다수의 묶음(pool)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묶음(pool)에 포함된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들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들은 각각 하나의 트랙(도 3의 310 내지 350)으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은 1(310) 내지 5(350)의 트랙에 각각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트랙이 선택되면, 해당 트랙에 배치된 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한편, 트랙에 배치된 영상들은 상술된 바에 따르면,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들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트랙을 선택하면, 해당 트랙에 포함된 영상으로 전환되어 재생되되, 컨텐츠에 포함된 내용을 흐름이 끊기지 않고 재생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묶음(pool)으로 구성된 영상들은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들이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트랙 즉, 영상이 선택되더라도, 시간 흐름의 연속성을 가지므로 끊김없이 재생될 수 있으며, 화면의 전환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영상 만들기 요청이 수신되면, 메모리(130)에 저장된 싱크(sync)가 맞춰진 다수의 영상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상술된 다수의 영상들을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그룹핑하여 묶음(pool)으로 구성하고, 구성된 묶음(pool)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조건은, 예를 들어, 촬영 위치일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촬영 위치에 따라 영상들을 그룹핑하여 묶음(pool)으로 구성하고, 구성된 묶음(pool)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촬영 위치에 따라 묶음(pool)으로 구성된 영상들 중에 자신이 원하는 영상들을 선택하여, 맞춤형 영상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영상 만들기 버튼(미도시)을 클릭한 경우, 제어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30)에 저장된 싱크(sync)가 맞춰진 다수의 영상들(410 내지 450)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술된 다수의 영상들은 촬영 위치에 따라 그룹핑되어 묶음(pool)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하나의 묶음(pool)에는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복수 개의 영상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은 결혼식을 촬영한 동영상일 수 있다. 한편, 상술된 결혼식 동영상은 메타정보에 기초하여 싱크(sync)가 맞춰지되, 메타 정보 중 촬영 일자(시간 데이터)를 기준으로 싱크(sync)가 맞춰질 수 있다. 이때, 묶음(pool) A(410)는 신랑, 신부를 기준으로 정면에서 촬영한 영상들을 그룹핑한 것, B(420)는 신랑, 신부를 측면에서 촬영한 영상들을 그룹핑한 것, C(430)는 신랑, 신부 중 신부만을 클로즈업하여 촬영한 영상들을 그룹핑한 것, D(440)는 신랑, 신부 중 신랑만을 클로즈업하여 촬영한 영상들을 그룹핑한 것 그리고, E(450)는 신랑, 신부 모두를 클로즈업하여 촬영한 영상들을 그룹핑한 것일 수 있다. 이이 따라, 사용자는 다수의 풀(pool)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영상을 선택하여 편집함으로써, 자신만의 맞춤형 결혼식 영상 앨범(AB)을 제작할 수 있다. 이처럼, 상술된 바에 따르면, 결혼식, 학예회 등과 같이 여러 사용자가 참석하여 촬영한 다양한 동영상들을 기초로 자신만의 맞춤형 이벤트 앨범을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영상들은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이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으로의 화면전환만이 이루어질 뿐, 영상은 내용의 끊김없이 재생될 수 있다.
상술된 바에 따른 본원발명은, 스포츠 중계 영상의 경우, 다양한 위치에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거나 또는 다양한 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촬영되어 업로드 된 영상이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싱크(sync)가 맞춰져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은, 영상에 포함된 메타정보 중 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들의 싱크(sync)를 맞출 수 있다. 이처럼, 싱크(sync)가 맞춰진 다수의 영상들이 위치 별로 묶음(pool)으로 구성됨에 따라, 특정 이벤트, 예를 들어 골 장면의 재생 시점에, 사용자는 묶음(pool)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을 선택하면, 특정 위치에서 촬영된 골 장면이 재생되므로, 사용자는 특정 이벤트 시점의 장면을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선택하여 재생함으로써 영상 시청에 대한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된 바에 따른 본원발명은 홈쇼핑 연계 솔루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제공 장치(100)에는 방송 업체에서 업로드한 다수의 영상들이 저장될 수 있으며, 영상들은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들일 수 있다. 이때, 영상들은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되는 영상, 사전에 녹화된 제품 소개 영상, 제품 상세 정보 영상 및 제품 구매를 위한 옵션 선택 영상 등일 수 있다. 한편,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들은 다수 개의 트랙으로 분리된 하나의 묶음(pool)으로 구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되는 홈쇼핑 영상을 시청하는 도중, 우측 하단의 QR 코드(510)를 스캔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는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들이 다수 개의 트랙(520)으로 분리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트랙을 선택하면, 선택된 트랙에 대응하는 영상이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영상들은 싱크(sync)가 맞춰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트랙을 선택하더라도, 선택된 트랙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전환되어 표시될 뿐, 사용자에게는 계속해서 홈쇼핑의 방송 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에 따른 본원발명은 교육 콘텐츠 솔루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제공 장치(100)에는 교육 콘텐츠 업체에서 업로드한 다수의 영상들이 저장될 수 있으며, 영상들은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들일 수 있다. 이때, 영상들은 사전에 녹화되어 저장된 강사의 강의 영상 및 교재 영상 등일 수 있으며, 교재 영상은 강의 영상에 대응되는 내용을 포함하도록 싱크(sync)가 맞춰진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교재 영상은 강의 영상의 내용에 맞춰서 자동으로 넘어갈 수 있다. 또한, 교재 영상은 강의 영상 내용에 싱크(sync)가 맞춰져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는 싱크(sync)가 맞춰진 교재 영상들이 다수 개의 트랙으로 분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트랙을 선택하면, 선택된 트랙에 대응하는 교재 영상이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영상 제공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영상 제공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100)는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되는 다수의 영상들을 저장하되,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들을 저장할 수 있다(S610). 이때,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은, 영상에 포함된 메타정보에 기초하여 영상들의 싱크(sync)를 맞출 수 있다. 이때, 메타정보는 시간 데이터, 위치 데이터(GPS 데이터), 음향 데이터, 촬영 장비 이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싱크(sync)가 맞는 영상들을 다수 개의 트랙으로 분리된 하나의 묶음(pool)으로 구성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싱크(sync)가 맞는 영상들의 묶음(pool) 중 어느 하나의 묶음(pool)이 유저에 의해 선택되면, 유저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상들의 묶음(pool)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영상 만들기 요청이 수신되면, 메모리(130)에 저장된 싱크(sync)가 맞춰진 다수의 영상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상술된 다수의 영상들을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그룹핑하여 묶음(pool)으로 구성하고, 구성된 묶음(pool)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 제공 장치(100)는 S610 단계에서 저장된 영상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의 화면으로 전환시켜 재생하되, 재생되는 영상을 시간 흐름의 연속성에 기초하여 끊김없이 재생할 수 있다(S620). 이때, 상술된 영상들은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이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으로의 화면전환만이 이루어질 뿐, 영상은 내용의 끊김없이 재생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된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된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된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마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영상 제공 장치
200 : 가상 단말
110 : 입출력부
120 : 통신부
130 : 메모리
140 : 제어부

Claims (18)

  1.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제공 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 되는 다수의 영상들을 저장하되,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싱크(sync)가 맞춰진 상기 영상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저장된 영상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의 화면으로 전환시켜 재생하되, 상기 재생되는 영상을 시간 흐름의 연속성에 기초하여 끊김없이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 되는 다수의 영상들의 싱크(sync)를 맞추고, 상기 싱크(sync)가 맞는 영상들을 다수 개의 트랙으로 분리된 하나의 묶음(pool)으로 구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제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크(sync)가 맞는 영상들의 묶음(pool) 중 어느 하나의 묶음(pool)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상들의 묶음(pool)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묶음(pool)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트랙을 선택하면, 시간 흐름의 연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트랙에 대응하는 영상을 끊김없이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제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은,
    상기 영상에 포함된 메타정보에 기초하여 영상들의 싱크(sync)를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제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영상 만들기 요청이 수신되면,
    싱크(sync)가 맞는 다수의 영상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다수의 영상들을,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그룹핑하여 묶음(pool)으로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묶음(pool)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제공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정보는,
    시간 데이터, 위치 데이터, 음향 데이터, 촬영 장비 이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제공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사용자에 의해 녹화 완료된 동영상, 실시간 스트리밍 중인 동영상 또는 녹화 완료된 동영상과 실시간 스트리밍 중인 동영상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동영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제공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을 사용하던 사용자에 의해 QR 코드가 스캔되면, 상기 QR 코드에 대응하는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들이 다수 개의 트랙으로 분리된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트랙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트랙에 대응하는 영상을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제공 장치.
  9. 영상 제공 장치가 수행하는, 영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 되는 다수의 영상들을 저장하되,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싱크(sync)가 맞춰진 상기 영상들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영상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의 화면으로 전환시켜 재생하되, 상기 재생되는 영상을 시간 흐름의 연속성에 기초하여 끊김없이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는 영상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들을 저장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 되는 다수의 영상들의 싱크(sync)를 맞추고, 상기 싱크(sync)가 맞는 영상들을 다수 개의 트랙으로 분리된 하나의 묶음(pool)으로 구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sync)가 맞는 영상들의 묶음(pool) 중 어느 하나의 묶음(pool)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상들의 묶음(pool)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묶음(pool)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트랙을 선택하면, 시간 흐름의 연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트랙에 대응하는 영상을 끊김없이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제공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은,
    상기 영상에 포함된 메타정보에 기초하여 영상들의 싱크(sync)를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제공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영상 만들기 요청이 수신되면, 싱크(sync)가 맞는 다수의 영상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다수의 영상들을,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그룹핑하여 묶음(pool)으로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묶음(pool)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제공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정보는,
    시간 데이터, 위치 데이터, 음향 데이터, 촬영 장비 이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제공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사용자에 의해 녹화 완료된 동영상, 실시간 스트리밍 중인 동영상 또는 녹화 완료된 동영상과 실시간 스트리밍 중인 동영상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동영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제공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을 사용하던 사용자에 의해 QR 코드가 스캔되면, 상기 QR 코드에 대응하는 싱크(sync)가 맞춰진 영상들이 다수 개의 트랙으로 분리된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트랙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트랙에 대응하는 영상을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제공 방법.
  17. 제 9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8. 영상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 9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146334A 2021-11-11 2022-11-04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0690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55007 2021-11-11
KR1020210155007 2021-1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016A true KR20230069016A (ko) 2023-05-18

Family

ID=86545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334A KR20230069016A (ko) 2021-11-11 2022-11-04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901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295A (ko) 2015-07-16 2017-01-25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동영상 제공 장치, 동영상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295A (ko) 2015-07-16 2017-01-25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동영상 제공 장치, 동영상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3801B2 (en) Multiple independent video recording integration
US11109117B2 (en) Unobtrusively enhancing video content with extrinsic data
US9478256B1 (en) Video editing processor for video cloud server
US10999649B2 (en) Auto-summarizing video content system and method
JP6385447B2 (ja) 動画提供方法および動画提供システム
US20150139615A1 (en) Mobile video editing and sharing for social media
US100836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owd sourced multi-media lecture capture, sharing and playback
JP2019525628A (ja) 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WO2020062683A1 (zh) 视频获取方法、装置、终端和介质
JP2016527763A (ja) 動画エピソード選択方法、動画エピソード選択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1611797B2 (en) Providing over-the-air content to any device
US20220303617A1 (en) Server-side streaming content stitching
US9197920B2 (en) Shared media experience distribution and playback
JP680946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0764655B2 (en) Main and immersive video coordination system and method
KR20140117889A (ko) 클라이언트 장치, 서버 장치, 멀티미디어 리디렉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69016A (ko)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20517195A (ja) ユーザが製作したコンテンツの第三者コンテンツストリーム中へのリアルタイム取り込み
US20240121467A1 (en) Displaying multimedia segments in a display device
JP2014072589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240121466A1 (en) Displaying multiple multimedia segments in a display device
US20240040161A1 (en) Method and server for handling streaming data
JP6473469B2 (ja) 映像配信システム
US20240121471A1 (en) Multimedia formats for multiple display areas in a display device
Turnidge Hypervideo: interface design for collaborative documentaries: exeg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ment of the Master of Design at Massey University, Wellington, New Zea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