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8781A -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8781A
KR20230068781A KR1020210154910A KR20210154910A KR20230068781A KR 20230068781 A KR20230068781 A KR 20230068781A KR 1020210154910 A KR1020210154910 A KR 1020210154910A KR 20210154910 A KR20210154910 A KR 20210154910A KR 20230068781 A KR20230068781 A KR 20230068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
shaft
female connector
work vehicle
m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210154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8781A/ko
Priority to US17/985,404 priority patent/US20230148032A1/en
Publication of KR20230068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7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02Details, compone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05Arrangements of coup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101/00Lawn-m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차의 전륜과 후륜 사이에 장착되어 잔디 깎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미드 모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차에 미드 모어의 장/탈착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미드 모어의 장/탈착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는, 작업차의 차체 프레임 전방에 고정되는 전방 고정브라켓과; 미드 모어의 전방측으로 인출된 전방 링크의 단부에 결합되며 전방 고정브라켓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 샤프트와; 미드 모어의 후방에 고정되는 후방 고정브라켓과; 차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후방 고정브라켓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 샤프트가 구비된 회전 링크와; 미드 모어의 기어박스 측과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연결되며 끝단에 암커넥터부가 구비된 암커넥터축과; 작업차의 PTO축과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연결되며 끝단에 상기 암커넥터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커넥터부가 구비된 수커넥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Mid more auto-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작업차의 전륜과 후륜 사이에 장착되어 잔디 깎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미드 모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차에 미드 모어의 장/탈착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미드 모어의 장/탈착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어(mower)는 잔디 등을 적정 길이로 절단할 수 있는 장치로서, 내부에 구비된 동력원 또는 외부의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블레이드를 회전시켜 잔디의 절단 작업을 수행하는 기계를 말한다.
예를 들어, 트랙터와 같은 작업차(농기계)의 동력을 전달받아 잔디를 절단할 수 있는 모어의 경우, 트랙터의 전방이나 후방측에 장착되거나 또는 트랙터의 전륜과 후륜 사이에 장착되어 트랙터의 PTO(Power Take Off)축의 회전동력을 전달 받아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회전블레이드를 가동하여 잔디를 효율적으로 깎을 수 있음은 물론 작업 품질이 뛰어나며, 깎여진 잔디는 국지적으로 배출되지 않고 외부로 골고루 분산, 배출됨으로써 깎여진 잔디에 의해 성장과정의 잔디가 깔려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 일 예로서, 한국 특허공개 제2019-0074333호에는 작업차의 전륜과 후륜 사이에 모어를 장착하여 작업차를 운전하면서 모어에 설치된 회전블레이드를 통해 잔디 깎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미드 모어(Mid mower)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공개 문헌에서는 차체의 전륜과 후륜 사이의 하측에 모어 유닛을 장착하되, 상기 모어 유닛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승강 및 경사 실린더를 구성하고, 작업 위치의 지형 경사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되는 지형 경사도에 따라 승강 및 경사 실린더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성하여, 작업 위치의 지형 경사도에 따라 모어 유닛의 경사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작업차의 전륜과 후륜 사이에 장착하여 잔디 깎기 작업을 진행하는 미드 모어의 경우, 미드 모어를 작업차에 장착하기 위해 지면 위에 놓인 미드 모어를 작업차의 전륜이 타고 넘어간 후 작업차의 전륜과 후륜 사이에 배치된 미드 모어를 작업차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미드 모어의 경우 작업차의 전륜과 후륜 사이에 위치한 미드 모어를 작업차의 하측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미드 모어 및 작업차에 각각 구비된 다수의 연결링크들을 서로 결합시켜 연결해야 하고, 미드 모어와 작업차에 구비된 각각의 동력전달축을 서로 연결시키는 작업을 해야만 하기 때문에 미드 모어의 장착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사용자가 각종 연결링크나 동력전달축 등을 수작업으로 일일이 연결해야만 하기 때문에 미드 모어 장착시 많은 불편함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특허공개 제2019-0074333호(2019.06.2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업차가 미드 모어를 타고 넘어가는 과정에서 미드 모어의 자동 장/탈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미드 모어의 장/탈착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미드 모어의 장/탈착시 수작업에 의한 번거로움을 줄여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는, 작업차의 차체 프레임 전방에 고정되는 전방 고정브라켓과; 미드 모어의 전방측으로 인출된 전방 링크의 단부에 결합되며 전방 고정브라켓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 샤프트와; 미드 모어의 후방에 고정되는 후방 고정브라켓과; 차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후방 고정브라켓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 샤프트가 구비된 회전 링크와; 미드 모어의 기어박스 측과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연결되며 끝단에 암커넥터부가 구비된 암커넥터축과; 작업차의 PTO축과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연결되며 끝단에 상기 암커넥터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커넥터부가 구비된 수커넥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암커넥터축은 수커넥터축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암커넥터부와 수커넥터부는 축방향으로의 슬립 운동은 가능한 반면 원주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스플라인(spline) 결합구조를 갖도록 형성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커넥터축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서포트 부재가 미드 모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포트 부재가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미드 모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에는 서포트 부재와 연동하는 고정 로드부가 구비된 회동 샤프트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드 모어에는 고정 로드부와 맞물리며 회동 샤프트의 회동운동을 일시적으로 구속시켜 주는 회동방지용 브라켓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포트 부재는 미드 모어의 상승에 따른 암커넥터축의 하방 가압력에 의해 암커넥터축과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는 상기 PTO축이 위치하는 작업차의 기어박스 측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과; 수커넥터축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브라켓과; 지지 프레임과 회동 브라켓 사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동 브라켓에는 수커넥터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 구성에 따르면, 작업차가 전진 또는 후진하여 미드 모어를 타고 넘어가는 과정에서 작업차의 하측에 미드 모어가 자동으로 장/탈착될 수 있으므로, 미드 모어의 장/탈착에 따른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미드 모어의 장/탈착시 기존처럼 사용자가 미드 모어 장착 전이나 장착 후에 연결링크의 잠금/해제나 동력전달축의 연결/분리작업을 수작업으로 일일이 수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작업차에 미드 모어를 장/탈착시키기 위한 기구적 구성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제품의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를 통해 미드 모어가 작업차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드 모어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상세도.
도 6은 미드 모더에서 암커넥터축이 서포트 부재를 통해 지지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작업차의 기어박스 부분에 결합된 지지 프레임에 수커넥터축이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수커넥터축을 장착한 회동 브라켓이 지지 브라켓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에 의해 미드 모어가 작업차에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함을 밝혀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작업차가 전진되는 방향을 전방측 방향으로 정의하고, 작업차가 후진되는 방향을 후방측 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는, 작업차의 차체 프레임(210)의 전방측에 고정되는 전방 고정브라켓(220)과, 미드 모어(100)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전방 고정브라켓(22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 샤프트(112)와, 미드 모어(100)의 후방측에 고정되는 후방 고정브라켓(120)과, 차체 프레임(210)에 장착된 회전 링크(230)의 단부에 결합되어 후방 고정브라켓(12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 샤프트(232)와, 미드 모어(100)의 기어박스(102) 측에 유니버설 조인트(130)를 통해 연결되는 암커넥터축(140)과, 작업차의 PTO(Power Take Off)축(미도시)과 유니버설 조인트(2500)를 통해 연결되며 암커넥터축(14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커넥터축(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체 프레임(210)의 전방측 양쪽 측면에는 미드 모어(100)의 전방측에 배치된 전방 링크(110)의 전방 샤프트(112) 부분과 체결되는 한쌍의 전방 고정브라켓(220)이 장착된다.
전방 고정브라켓(220)의 전방측 부분에는 전방 링크(110)의 단부에 고정된 전방 샤프트(1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측으로 개구된 형태의 개구부(222)가 형성된다. 이때, 전방 샤프트(112)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개구부(222)의 입구 부분은 상하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며 확장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미드 모어(100)의 전방측에는 차체 프레임(210)의 전방 고정브라켓(220)과 체결되는 전방 샤프트(112)를 구비한 전방 링크(110)가 결합된다. 이 경우, 전방 링크(110)는 미드 모어(100)의 전방측으로 일정길이만큼 인출되어 끝단부가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전방 링크(110) 끝단부에는 상기 전방 고정브라켓(220)과 맞물리는 전방 샤프트(112)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미드 모어(100)를 작업차(200)에 장착할 경우 작업차(200)의 전륜(202)이 미드 모어(100)를 타고 넘어가서 전방측으로 이동할 경우 미드 모어(100)의 전방 샤프트(112) 부분이 차체 프레임(210)의 전방 고정브라켓(220)의 개구부(222) 부분으로 삽입되어 맞물리게 됨으로써 전방 샤프트(112)와 전방 고정브라켓(220)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미드 모어(100)의 후방측에는 차체 프레임(210)의 회전 링크(230) 단부측에 고정된 후방 샤프트(232)와 맞물려 결합되는 후방 고정브라켓(120)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회전 링크(230)의 일측 단부는 전방 고정브라켓(220)과 후방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차체 프레임(21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미드 모어(100)에 고정된 후방 고정브라켓(120)과 맞물리게 되는 후방 샤프트(232)가 결합된다.
후방 고정브라켓(120)의 후방측 부분에는 회전 링크(230)의 단부에 결합된 후방 샤프트(2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후방측으로 개구된 형태의 개구부(122)가 형성된다.
이 경우, 후방 고정브라켓(120)의 개구부(122)는 전방 고정브라켓(220)의 개구부(222)와 개구된 방향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방 고정브라켓(120)의 개구부(122)의 입구 부분도 전방 고정브라켓(220)의 개구부(222)와 마찬가지 형태로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며 확장된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방 샤프트(232)는 차체 프레임(210)의 양쪽 측면에 결합된 2개의 회전 링크(230) 단부에 각각 결합되지만, 전술된 전방 샤프트(112)의 경우 1개로 구비되어 전방 링크(110)의 단부에 결합된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드 모어(100)의 전방측에서는 하나의 전방 샤프트(112)가 한 쌍의 전방 고정브라켓(220)와 서로 맞물리게 되고, 미드 모어(100)의 후방측에서는 회전 링크(230)의 단부에 고정된 한 쌍의 후방 샤프트(232)가 미드 모어(100)에 고정된 한 쌍의 후방 고정브라켓(120)과 서로 맞물리는 결합구조를 형성한다.
상기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작업차(200)의 전륜(202)이 미드 모어(100)를 타고 넘어가서 전방측으로 이동할 경우 미드 모어(100) 전방측에 위치한 하나의 전방 샤프트(112)가 차체 프레임(210)의 한 쌍의 전방 고정브라켓(220) 부분과 결합되는 동시에, 차체 프레임(210)의 회전 링크(230) 단부에 결합된 한 쌍의 후방 샤프트(232)가 미드 모어(100)의 후방측에 위치한 한 쌍의 후방 고정브라켓(120) 부분과 각각 결합됨으로써, 미드 모어(100)는 작업차(200)의 전륜(202)과 후륜(204) 사이에 배치되어 차체 프레임(210)의 서로 다른 4개의 위치에서 차체 프레임(210)과 동시 체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체 프레임(210)의 하측에서 유동 발생 없는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미드 모어(100)에는 작업차(200)에 장착된 PTO(미도시)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회전 블레이드(미도시)를 구동시킬 수 있는 기어박스(102)가 장착되며, 상기 기어박스(102)의 입력축과 유니버설 조인트(130)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암커넥터축(140)이 구비된다, 그리고, 암커넥터축(140)의 단부에는 후술되는 수커넥터부(262)와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는 암커넥터부(142)가 형성된다.
또한, 작업차(200) 부분에는 내부의 기어박스(240)로부터 인출된 PTO축(미도시)과 유니버설 조인트(250)를 통해 연결되는 수커넥터축(260)이 구비되며, 수커넥터축(260)의 끝단 부분에는 암커넥터부(142)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암커넥터부(142)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커넥터부(262)가 형성된다.
상기 암커넥터축(140)과 수커넥터축(260)은 작업차(200)의 전방 이동에 따라 암커넥터부(142)와 수커넥터부(262)의 도킹동작을 통해 상호 체결되어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게 되고, 작업차(200)의 후방이동 시 암커넥터부(142)와 수커넥터부(262)가 서로 분리됨에 따라 동력전달이 차단된다.
이 경우, 암커넥터부(142)와 수커넥터부(262)는 축방향으로의 슬립(slip) 운동은 가능한 반면 원주방향으로의 회전력은 전달되는 스플라인(spline)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하게 되면, 작업차(200)의 전후 방향 이동에 따라 암커넥터부(142)와 수커넥터부(262)가 서로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고, 암커넥터부(142)와 수커넥터부(262)가 서로 맞물려 결합된 상태에서는 원주방향으로 상대 운동이 불가능함으로써 PTO축의 동력이 서로 맞물린 수커넥터축(260)과 암커넥터축(140)을 통해 미드 모어(100) 측으로 온전하게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커넥터축(140)은 미드 모어(100)의 중앙에 위치한 기어박스(102)로부터 후방측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즉, 암커넥터축(140)은 암커넥터부(142)가 미드 모어(100)의 후방측 단부 바깥쪽 부분까지 위치되도록 충분하게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면, PTO축과 유니버설 조인트(250)를 통해 연결되는 수커넥터축(260)은 상기 암커넥터축(140) 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작업차(200) 부분에 장착되는 수커넥터축(260)의 길이를 암커넥터축(14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할 경우, 작업차(200)를 전진시켜 미드 모어(100)의 암커넥터축(140)에 수커넥터축(260)을 연결할 때 작업차(200)의 움직임 등으로 인해 길이가 긴 수커넥터축(260)을 짧은 길이의 암커넥터축(140)에 도킹시키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아울러, 미드 모어(100)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로 작업차(200)를 단독으로 운행할 경우에도 수커넥터부(262)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작업차 운행에 매우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한편, 도 6에서는 미드 모더의 암커넥터축이 서포트 부재를 통해 지지되는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드 모어(100)에는 암커넥터축(14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서포트 부재(15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서포트 부재(150)는 판 형상을 가지며, 암커넥터축(140)과 접촉되는 상단 부분에는 암커넥터축(140)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는 원호 형상의 지지홈(1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서포트 부재(150)의 하단은 미드 모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동 샤프트(160) 부분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 샤프트(160)의 회동시 상기 서포트 부재(150)도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동 샤프트(160)는 일측 단부가 상방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이루어진 고정 로드부(162)가 구비된다. 이와 대응하여, 미드 모어(100)에는 암커넥터축(14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서포트 부재(150)가 자발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 로드부(162)를 일시적으로 구속시켜 주는 회동방지용 브라켓(170)이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회동방지용 브라켓(170)은 고정 로드부(162)와 결합되는 부분이 탄성적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는 클립(clip)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포트 부재(150)는 고정 로드부(162)가 회동방지용 브라켓(170)과 맞물린 상태에서는 회동 샤프트(160)의 회전운동이 발생되지 않아 세워진 상태로 암커넥터축(1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로드부(162)가 회동방지용 브라켓(170)과 맞물린 상태에서는 암커넥터축(140)을 지지하는 서포트 부재(150)의 상부는 지면과 수직을 이루지 않고 미드 모어(100)의 후방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진 형태를 갖게 되고, 암커넥터축(140) 또한 지면과 평행을 이루는 것이 아닌 미드 모어(100)의 후방측으로 일정각도 상향 경사진 형태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 부재(150)의 세워진 각도에 따라 암커넥터축(140)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암커넥터축(140)과 수커넥터축(260)이 용이하게 도킹될 수 있는 최적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서포트 부재(150)를 통해 암커넥터축(140)의 경사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미드 모어(100)가 상승될 경우에는 그 상승력에 의해 암커넥터축(140)과 서포트 부재(150) 간에 슬립이 발생되어 서포트 부재(150)에 하방으로의 회전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회동방지용 브라켓(170)과 고정 로드부(162)의 구속력이 강제로 해제됨으로써 서포트 부재(150)가 암커넥터축(14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암커넥터축(140)은 서포트 부재(150)에 의한 지지력이 상실되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은 PTO축이 위치하는 작업차의 기어박스 부분에 고정된 지지 프레임에 수커넥터축이 장착된 회동 브라켓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8은 지지 프레임 부분에 회동 브라켓을 통해 암커넥터축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PTO축이 위치하는 작업차(200)의 기어박스(240) 부분에는 수커넥터축(260)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 프레임(270)이 결합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270)은 기어박스(240) 부분에 결합되는 부분이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 형상을 갖는 지지 프레임(270)의 일측에는 지지 프레임(270)과 수직을 이루며 상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지지 브라켓(272)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브라켓(272) 부분에는 수커넥터축(260)과 결합된 회동 브라켓(274)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동 브라켓(274)은 지지 브라켓(272)과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브라켓(272)과 회동 브라켓(274) 사이에는 스프링(276)이 장착된다. 상기 스프링(276)은 지지 브라켓(272)과 회동 브라켓(274) 사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회동 브라켓(274)이 상방으로 자발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스프링(276)은 회동 브라켓(274)에 결합된 수커넥터축(260)이 상방으로 일정각도 이상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수커넥터축(260)이 암커넥터축(140)과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는 각도로 유지되도록 정렬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아울러, 상기 회동 브라켓(274) 내부에는 수커넥터축(26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어링(278)이 장착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를 통해 미드 모어(100)가 작업차(200)에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를 통해 미드 모어가 작업차에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먼저, 도 9의 (a)는 미드 모어(100)가 작업차의 차체 프레임(210)에 장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미드 모어(100)의 장착 시 작업차(200)는 미드 모어(100)의 후방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도 9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미드 모어(100)의 장착을 위해 사용자(운전자)가 작업차(200)를 전진시키면 도 9의 (b)와 같이 작업차(200)의 전륜(202)이 미드 모어(100)를 타고 넘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차(200)의 전륜(202)이 미드 모어(100)를 완전히 타고 넘어가서 지면과 맞닿게 되는 (c)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차가 조금 더 전진이동하게 되면 도 9의 (d)에서 보는 것과 같이 차체 프레임(210)의 전방측에 고정된 전방 고정브라켓(220) 부분이 미드 모어(100)의 전방으로 인출된 전방 링크(110)의 전방 샤프트(112) 부분과 체결되는 한편, 미드 모어(100)의 후방측에서는 회전 링크(230)의 단부에 고정된 후방 샤프트(232)가 미드 모어(100) 후방측에 고정된 후방 고정브라켓(120)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미드 모어(100)는 작업차(200)의 전륜(202)과 후륜(204) 사이에서 차체 프레임(210)의 전방측에 2개소와 후방측에 2개소에서 동시 체결이 이루어짐으로써 차체 프레임(210)의 하부측에 전후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되지 않은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차체 프레임(210)의 수커넥터축(260) 단부에 형성된 수커넥터부(262)가 미드 모어(100)의 암커넥터축(140) 단부에 형성된 암커넥터부(142)에 삽입되어 도킹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미드 모어(100)이 장착이 완료되고, 상기 수커넥터축(260)과 암커넥터축(140)은 PTO축으로부터 미드모어(100)측으로 동력전달이 가능한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미드 모어(100) 장착시 지면 위에 놓여 있는 미드 모어(100)를 작업차(200)가 타고 넘어가며 전진하는 과정에서 차체 프레임(210)의 전방 고정브라켓(220)과 미드 모어(100)의 전방 샤프트(112)가 체결되고, 동시에 차체 프레임(210)의 후방 샤프트(232)와 미드 모어(100)의 후방 고정브라켓(120)이 체결된 이후, 수커넥터부(262)와 암커넥터부(142)가 도킹되어 수커넥터축(260)과 암커넥터축(140)이 연결되는 간단한 체결 과정을 통해 미드 모어(100)의 장착이 완료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작업차(200)로부터 미드 모어(100)의 연결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 전술된 과정과 반대로 작업차(200)를 후진시키면 전륜(202)이 미드 모어(100)를 타고 후방측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차체 프레임(210)의 전방 고정브라켓(220)과 미드 모어(100)의 전방 샤프트(112)의 결합이 해제되는 동시에, 회전 링크(230)의 후방 샤프트(232)와 미드 모어(100)의 후방 고정브라켓(120) 간의 결합이 해제되고, 이어서 수커넥터축(260)과 암커넥터축(140)의 결합이 해제되는 과정을 거쳐 작업차(200)로부터 미드 모어(100)의 분리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면 위에 놓인 미드 모어(100)를 작업차(200)가 타고 넘어가 전진 또는 후진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미드 모어 마동 연결 장치를 통해 미드 모어(100)의 장/탈착작업이 단시간 내에 간편하게 수행되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미드 모어를 장착시키기 이전 단계 또는 장착된 이후 단계에서 사용자가 각 연결 부위에 대한 잠금 작업을 수행하거나, 암커넥터축을 수커넥터축에 수작업으로 체결하는 등의 추가 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 미드 모어 110 : 전방 링크
112 : 전방 샤프트 120 : 후방 고정브라켓
122,222 : 개구부 130, 250 : 유니버설 조인트
140 : 암커넥터축 142 : 암커넥터부
150 : 서포트 부재 152 : 지지홈
160 : 회동 샤프트 162 : 고정 로드부
170 : 회동방지용 브라켓 200 : 작업차
210 : 차체 프레임 220 : 전방 고정브라켓
230 : 회전 링크 232 : 후방 샤프트
260 : 수커넥터축 262 : 수커넥터부
270 : 지지 프레임 272 : 지지 브라켓
274 : 회동 브라켓 276 : 스프링
278 : 베어링

Claims (9)

  1. 작업차의 차체 프레임 전방에 고정되는 전방 고정브라켓;
    미드 모어의 전방측으로 인출된 전방 링크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방 고정브라켓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 샤프트;
    상기 미드 모어의 후방에 고정되는 후방 고정브라켓;
    상기 차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후방 고정브라켓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 샤프트가 구비된 회전 링크;
    상기 미드 모어의 기어박스 측과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연결되며, 끝단에 암커넥터부가 구비된 암커넥터축;
    상기 작업차의 PTO축과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연결되며, 끝단에 상기 암커넥터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커넥터부가 구비된 수커넥터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와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축은 상기 수커넥터축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와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부와 상기 수커넥터부는 축방향으로의 슬립 운동은 가능한 반면 원주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플라인(spline) 결합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와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 모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암커넥터축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서포트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와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부재가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미드 모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에는 상기 서포트 부재와 연동하는 고정 로드부가 구비된 회동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와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 모어에는 상기 고정 로드부와 맞물리며 상기 회동 샤프트의 회동운동을 일시적으로 구속시켜 주는 회동방지용 브라켓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와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부재는 상기 미드 모어의 상승시 상기 암커넥터축의 하방 가압력에 의해 상기 암커넥터축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와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O축이 위치하는 상기 작업차의 기어박스 측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수커넥터축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브라켓과;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회동 브라켓 사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와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브라켓에는 상기 수커넥터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와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
KR1020210154910A 2021-11-11 2021-11-11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 KR20230068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910A KR20230068781A (ko) 2021-11-11 2021-11-11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
US17/985,404 US20230148032A1 (en) 2021-11-11 2022-11-11 Mid mower auto-conn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910A KR20230068781A (ko) 2021-11-11 2021-11-11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781A true KR20230068781A (ko) 2023-05-18

Family

ID=86228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910A KR20230068781A (ko) 2021-11-11 2021-11-11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148032A1 (ko)
KR (1) KR2023006878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333A (ko) 2017-12-19 2019-06-28 한국체인공업 주식회사 경사 조절이 가능한 데크를 포함하는 주행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333A (ko) 2017-12-19 2019-06-28 한국체인공업 주식회사 경사 조절이 가능한 데크를 포함하는 주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48032A1 (en)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69901B2 (en) Tractor and Implement and hitch adapter therefor
US4829754A (en) Front mower
US5079907A (en) Lawn mower having a tiltable blade housing
US7877972B2 (en) Automatic connection mechanism for mid-mounted implement
EP2055169A2 (en) Drive system for an agricultural machine with a floating work tool
US10743468B2 (en) Method of forward mounting attachments to a wheeled vehicle
US9775276B2 (en) Working vehicle
EP2042013B1 (en) PTO coupling for automatic connection
US20010037634A1 (en) Raiseable mower deck
US20130111868A1 (en) Climb-Up Assist Structure for Mower Unit
CA2367725C (en) Draw bar swivel hitch
EP2988587B1 (en) Harvesting machine header connection
US6012274A (en) Mower having an adjustable frame assembly
US10219433B2 (en) System for forward mounting attachments to a wheeled vehicle
US20020011375A1 (en) Working vehicle with a PTO apparatus
US5722222A (en) Center-pivot mower-conditioner drive
KR20230068781A (ko) 미드 모어 자동 연결 장치
US7571591B2 (en) Tow behind mower attachment system
JP3510765B2 (ja) 折り畳み農作業機
US10999970B2 (en) Front PTO implement auto connect system
JPH0345537Y2 (ko)
EP1495662A1 (en) Front mounted rotary cutter with folding wings
JPS63230001A (ja) トラクタと作業機の連結装置
JPS6321441B2 (ko)
JPH10201306A (ja) トラクタのフロントモーア取付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