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8503A - 통증 감지 및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통증 감지 및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8503A
KR20230068503A KR1020210154352A KR20210154352A KR20230068503A KR 20230068503 A KR20230068503 A KR 20230068503A KR 1020210154352 A KR1020210154352 A KR 1020210154352A KR 20210154352 A KR20210154352 A KR 20210154352A KR 20230068503 A KR20230068503 A KR 20230068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excitation force
frequency
pain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이치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이치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이치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10154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8503A/ko
Publication of KR20230068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5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24Touch or pain perception evaluation
    • A61B5/4827Touch or pain perception evaluation assessing touch sensitivity, e.g. for evaluation of pain thresho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4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 A61B5/005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by applyin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4Other medical applications inducing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stress, e.g. applications for stress te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using specific filters therefor, e.g. Kalman or adaptiv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Phys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pidem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통증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정량화할 수 있으면서 통증을 치료할 수 있는 통증검지 및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근조직이나 장기 등의 인체부위의 통증을 감지하고 치료하기 위한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로서, 인체부위에 인가되는 가진력을 설정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발생된 가진력에 의해 피부에 접촉되어 근조직에 진동 형태로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 발생부와, 상기 진동 발생부에 의해 발생되고 근조직에서 반사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 감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 감지부에서 발생된 반사파를 통해 통증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증 감지 및 치료 장치{PAIN SENSING AND TREATING DEVICE}
본 발명은 통증 감지 및 치료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체의 통증을 직접적으로 감지하고 치료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질병 등으로 인해 인체에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 통증의 정도와 부위를 정확히 파악하여야 정확한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하게 된다.
현재는 통증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을 통해 거의 환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지하고 있다.
즉, 환자에게 질문을 통해 1-10 단계로 통증의 단계를 파악하고 있는 바 환자의 주관적인 느낌에 따라 큰 편차가 존재하고 있는 바, 통증 수치의 객관적 정량화가 곤란하여 통증치료의 근본적인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통증의 정량적인 검사를 위한 기술로 일본 OSACHI 사의 기술이 존재하고 있다.
이 기술에서는 임의 전류를 인체에 인가하여 인체를 자극하고 전류자극의 고통 척도를 측정하여 통증의 역치를 측정하여 10단계 통증 수치 및 맥길(McGill) 수치를 정량화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전류 역치 등에 의한 간접적인 판단방법이므로 실제 환자의 통증 척도와는 다른 경우가 자주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다른 통증감지기술이 존재하지 않아 부득이하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기술에서는 통증을 감지하는 기능만이 존재하고 치료는 별도의 기구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바, 이로 인한 환자 및 치료자의 번거로움과 장치 추가로 인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특허등록 제10-1817781호(등록일자 2018년01월05일)
본 발명은 인체의 통증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정량화할 수 있으면서 통증을 치료할 수 있는 통증검지 및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는, 근조직이나 장기 등의 인체부위의 통증을 감지하고 치료하기 위한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로서, 인체부위에 인가되는 가진력을 설정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발생된 가진력에 의해 피부에 접촉되어 근조직에 진동 형태로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 발생부와, 상기 진동 발생부에 의해 발생되고 근조직에서 반사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 감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 감지부에서 발생된 반사파를 통해 통증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가진력 제어부와, 상기 가진력 제어부에 연결되는 가진력 발생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진력 발생부에서는 복수의 공명 주파수를 인가하고, 상기 가진력 발생부에서는 치료 대상이 되는 인체 기관의 고유진동주파수에 의한 가진력(F1)과 이 고유진동주파수의 2차, 3차 등의 고조파 주파수를 이용한 2차, 3차 가진력(F2,F3..)등을 더하여 형성된 혼합 가진력(F)을 형성하며, 상기 혼합 가진력(F)은 하기 식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 = F1 + F2 + F3
F1 : 고유진동주파수에서의 가진력
F1 = F0cosωt, ω = 2πf
F2 : 2차 고조파 주파수에서의 2차 가진력
F2 = F0 2cos2ωt = F0 2((1+cos2ωt)/2)
F3 : 3차 고조파 주파수에서의 3차 가진력
F3 = F0 3cos3ωt = F0 3((1+cos3ωt+3cosωt)/4)
여기서. F0 : 초기 가진력, ω : 진동수, f : 주파수
본 발명의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에서, 상기 가진력 제어부는, 상기 진동 감지부에서 송신된 반사파를 분석하여, 반사파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반사파 주파수 피크를 미리 정해진 기준 주파수 피크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를 통증의 크기를 나타내는 일정 등급으로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에서, 상기 가진력 제어부는, 상기 혼합 가진력에 대해 상기 진동 감지부에서 감지한 신호를 통해 반사파 주파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모듈과, 상기 감지 모듈에서 발생된 반사파 피크 주파수를 인가하는 치료 모듈을 수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치료 모듈에서는 상기 감지 모듈에서 주파수 피크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 주파수만을 상기 가진력 발생부로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에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상기 가진력 발생부에 연결되는 고정 코일과, 상기 고정 코일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하여 피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가동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에서, 상기 진동 감지부는, 가진력이 인가된 인체 기관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감지센서와, 상기 진동감지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 연결되는 진폭신호 필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진폭신호 필터부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폭신호 중 자력진동진폭신호만을 검지하여 상기 가진력 주파수 제어부로 송신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를 이용하여 통증을 감지하고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인체의 통증이 발생하는 부위 근처의 피부 접촉하는 단계(S10);
가진력 혼합부에서는 복수의 가진력(F1,F2,F3)을 혼합하여 형성된 혼합 가진력(F = F1 + F2 + F3)을 복수의 주파수에 대해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단계(S20)에서 형성된 혼합가진력을 진동 발생부로 인가하여 진동이 발생하게 하는 단계(S30);
상기 단계(s30)에서 인가된 진동에 대해 진동감지부에서 반사파가 발생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
상기 단계(S40)에서 진동 감지부가 감지한 반사파의 주파수 피크값이 일정 값이 이하이어서 반사파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가 피부에 접촉하는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S50);
상기 단계(S50)에서 진동 감지부가 감지한 반사파의 주파수 피크값이 일정값 이상이어서 반사파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감지된 반사파의 진동을 가진력 제어부로 송신하여 주파수 피크를 판단하고, 복수 개의 주파수 피크 중 세기가 가장 큰 주파수 피크의 세기에 대해 미리 일정 등급으로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여 유사한 값으로 통증 정도 등급으로 결정하고 이를 표시하는 단계(S60);
상기 단계(S60)에서 표시된 통증 정도 등급을 보고 치료를 희망여부를 판단하여 희망시 치료입력부(140)를 통해 치료신호를 입력하는 단계(S70); 및
상기 단계(S70)에서 치료를 희망하는 경우 가진력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혼합 가진력의 주파수를 반사파 피크 주파수로 선정하는 단계(S8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혼합 가진력을 이용하므로 인체의 근조직이나 장기 등의 고유진동주파수를 효과적으로 도출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인체의 통증의 정도를 주파수 피크값을 기준치와 비교하여 표시하는 바, 환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아닌 장치를 통한 객관적인 판단이 가능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등급으로 표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치료단계에서는 가진력을 감지된 주파수로 하여 공명이 발생 할때까지 치료를 수행하므로 치료효과가 배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본 발명의 장치를 근조직이나 장기 등에 인접한 위치의 피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공명을 통해 치료작용을 하므로 치료대상이 되는 근조직이나 장기가 신체 깊숙이 위치하는 경우에도 환자에게 신체적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는 인체의 공진에 따른 주파수 및 진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은 일반적인 공명 시 진폭이 증가하여 발생되는 무구속(Unlimited)공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도 3 에서 고조파 주파수가 결합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맥놀이 공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의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를 이용하여 통증을 감지 및 치료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혼합가진력의 복수의 주파수로 인가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근조직에서 반사파가 발생하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반사파에서 피크 주파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중앙처리장치(10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 연결되어 공명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200)와, 상기 진동 발생부(200)에서 발생된 진동을 감지하여 전달하여 진동 감지부(30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진동 발생부(200)와 진동 감지부(300)가 하나로 이루어지며 중앙처리장치(100)는 별도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면 다양한 형태로 조합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중앙처리장치(100)는 가진력 제어부(110), 상기 가진력 제어부(110)에 연결되는 가진력 발생부(120)와, 상기 가진력 제어부(110)와 연결되는 표시부(130) 및 치료 입력부(140)로 이루어진다.
가진력 제어부(110)는 가진력 발생부(120), 표시부(130), 치료 입력부(140), 진동 감지부(300)와 연결된다.
가진력 발생부(120)에서는 고유진동주파수에 의한 가진력(F1)과 이 고유진동주파수의 2차, 3차 등의 고조파 주파수를 이용한 2차, 3차 가진력(F2,F3..)등을 혼합하여 형성된 혼합 가진력(F)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가진력 발생부(120)에서 발생되는 혼합 가진력(F)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F = F1 + F2 + F3
F1 : 고유진동주파수에서의 가진력
F1 = F0cosωt, ω = 2πf
F2 : 2차 고조파 주파수에서의 2차 가진력
F2 = F0 2cos2ωt = F0 2((1+cos2ωt)/2)
F3 : 3차 고조파 주파수에서의 3차 가진력
F3 = F0 3cos3ωt = F0 3((1+cos3ωt+3cosωt)/4)
여기서. F0 : 초기 가진력, ω : 진동수, f : 주파수
가진력 발생부(120)는 혼합 가진력을 인가하기 위한 장치로서 신호 증폭기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가진력 제어부(110)는 가진력 발생부(120)가 감지 모듈에서는 공지된 근조직의 공진 주파수의 범위 내에서 복수의 개별 고유진동주파수(f0,f1,f2 ...)를 인가하도록 제어한다.
도 2 는 인체의 공진에 따른 주파수 및 진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가진력을 혼합 가진력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인체 기관 공명의 최대화를 도모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 2가지 이유이다.
첫째로, 인체의 근조직과 같은 부위에서의 공명 진동과 최대한 유사패턴으로 가진력을 인가하기 위함이다.
인체의 공명시 진동 상태를 살펴보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 진동(Ao)뿐만 아니라 자력진동(Ai)도 혼합되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유주파수에 의한 가진력(F1)이 상기 외력 진동에 대응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 고유주파수의 고조파에 의한 2차, 3차 가진력(F2,F3)이 상기 자력 진동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인체 장기 등의 공명 진동의 패턴과 최대한 근사하게 외력으로 인가되는 가진력의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인체의 장기의 공명을 최대화하는 것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도 3 은 일반적인 공명 시 진폭이 증가하여 발생되는 무구속(Unlimited)공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도 3 에서 고조파 주파수가 결합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맥놀이 공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둘째로, 공명 시 발생할 수 있는 인체의 근조직 등에 미치는 충격을 감소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공명이라 함은 대상의 고유 주파수와 외력의 주파수가 일치하는 경우 진폭이 극대화되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폭이 무구속(unlimited)되어 극대화되는 바, 공명을 잘 조절하지 못할 경우 자칫 인체의 기관에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외력에 고조파을 혼합하여 가진력을 형성하게 되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구속 공진이 사라지고 맥놀이 형태로 가진력이 인가되므로 인체의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가진력 제어부(110)는 치료 모듈에서는 감지 모듈에서 주파수 피크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 주파수만로 가진력 발생부(120)가 가진력을 인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가진력 제어부(110)는 치료 모듈에서는 감지 모듈에서 주파수 피크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 주파수만로 가진력 발생부(120)가 가진력을 인가하도록 제어한다.
가진력 제어부(130)에서는 진동 감지부(300)를 통해 반사파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반사파 주파수 피크를 미리 정해진 기준 주파수 피크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를 통증의 크기를 나타내는 일정 등급으로 표시하여 표시부(140)로 송신하는 작용을 한다.
치료 입력부(140)는 표시부(140)에서 표시된 통증정도에 대해 치료를 희망하고자 하는 경우에 입력한다
진동 발생부(200)는 고정 코일(210)과, 이 고정 코일(210)과 연결되는 가동자석(220)과, 가동 자석(220)에 연결되는 댐퍼(230)로 이루어진다.
가동 자석(220)은 고정 코일(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고정 코일(210)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하여 피부에 진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인 진동 발생장치의 경우 전류값의 변화 없이 일정한 전류값으로 단순히 작동의 on-off 만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서는 고정 코일(210)의 미세한 전류값의 변화에도 가동 자석(220)이 진동하도록 구성되는 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잡한 형태의 혼합 가진력(F)을 인가하는 적합하므로 인체의 진동 패턴에 부합되는 진동 패턴을 발생하는 데 유리한 작용을 하게 된다.
진동 감지부(300)는 진동감지센서(310)와, 상기 진동감지센서(310)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320)와, 상기 증폭부(320)에 연결되는 진폭신호 필터부(330)로 이루어진다.
진동감지센서(310)는 가속도센서(accelomet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의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를 이용하여 통증을 감지 및 치료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계(S10)에서는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인체의 통증이 발생하는 부위 근처의 피부 접촉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단계(S20)에서는 가진력 혼합부(11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진력(F1,F2,F3)을 혼합하여 형성된 혼합 가진력(F = F1 + F2 + F3)을 형성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혼합가진력의 복수의 주파수로 인가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혼합 가진력(F)에서 주파수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조직의 공명 주파수로 공지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복수의 주파수로 인가된다.
단계(S30)에서는 단계(S20)에서 형성된 혼합가진력을 진동 발생부(200)로 인가하여 진동이 발생하게 하고, 이러한 진동은 피부를 지나 근조직으로 도달하게 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근조직에서 반사파가 발생하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계(S40)에서는 진동감지부(300)에서 반사파가 발생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가진력 발생(120)부에 의해 발생된 진동(음향 에너지)은 전달과정에서 매질에 따라 반사율과 투과율이 발생하게 된다.
근조직은 경화되는 경우 밀도가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근조직의 음향 임피던스가 증가되며 이로 인해 음향 에너지의 반사량이 증가하게 된다.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되지 않은 정상적인 근조직의 경우 반사율일 3% 이하인 것이 일반적이다. 근조직이 경화된 경우에는 도 7b 에서와 같이 반사율이 20% 이상으로 발생하게 된다.
단계(S50)에서는 진동 감지부(300)에서 반사파의 진동을 감지하고 이를 가진력 제어부(130)로 송신하여 FFT(Fast Fourier Transformation)을 통해 주파수 피크를 판단한다.
단계(S20)에서 복수의 주파수에 대해 가진력이 인가되므로 반사파도 복수의 주파수에 대해 판단한다.
반사파의 주파수 피크값이 정상 근조직에서 발생하는 예를 들어 3% 이상의 일정 반사값 이상인 경우에만 반사파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단계(S40)에서 반사파의 주파수 피크값이 일정 값이 이하이어서 반사파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계(S50)에서 본 발명의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가 피부에 접촉하는 위치를 변경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반사파에서 피크 주파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계(S60)에서는 단계(S40)에서 반사파의 주파수 피크값이 일정 값이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개의 주파수 피크 중 세기가 가장 큰 주파수 피크의 세기에 대해 미리 일정 등급으로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여 유사한 값으로 통증 정도 등급으로 결정하고 이를 표시부(140)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8 을 보면 주파수 피크가 가장 큰 것은 f3 이고 이를 기준등급과 비교하여 환산하면 7등급이 되므로 표시부(140)에서 통증 정도를 7등급으로 표시하게 된다.
단계(S70)에서는 단계(S60)에서 표시된 통증등급을 보고 치료를 희망여부를 판단하여 희망시 치료입력부(140)를 통해 치료신호를 입력한다.
단계(S80)에서는 단계(S70)에서 치료를 희망하는 경우 가진력 제어부(110)에서 인가되는 혼합 가진력의 주파수를 반사파 피크 주파수로 선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파수 피크가 가장 큰 f3 를 치료 주파수로 하여 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파수 피크가 가장 큰 주파수를 기준으로 가진력을 인가하면 통증이 발생된 근조직 등의 부위에서 공명이 발생함으로써 통증이 개선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인체 내의 근조직이나 장기 등은 형상이 복잡하며 개인의 신체 조건 등에 따라 상이하고 또한, 심장 등의 경우는 맥동에 의한 영향도 발생하므로 하나의 고유진동주파수로는 표현할 수 없는 바, 공명을 유도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혼합 가진력을 이용하므로 인체의 근조직이나 장기 등의 고유진동주파수를 효과적으로 도출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인체의 통증의 정도를 주파수 피크값을 기준치와 비교하여 표시하는 바, 환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아닌 장치를 통한 객관적인 판단이 가능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등급으로 표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치료단계에서는 가진력을 감지된 주파수로 하여 공명이 발생 할때까지 치료를 수행하므로 치료효과가 배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본 발명의 장치를 근조직이나 장기 등에 인접한 위치의 피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공명을 통해 치료작용을 하므로 발생시키므로 치료대상이 되는 근조직이나 장기가 신체 깊숙이 위치하는 경우에도 환자에게 신체적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기재된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100 : 중앙처리장치 200 : 진동 발생부
300 : 진동 감지부

Claims (7)

  1. 근조직이나 장기 등의 인체부위의 통증을 감지하고 치료하기 위한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로서,
    인체부위에 인가되는 가진력을 설정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발생된 가진력에 의해 피부에 접촉되어 근조직에 진동 형태로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 발생부와,
    상기 진동 발생부에 의해 발생되고 근조직에서 반사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 감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 감지부에서 발생된 반사파를 통해 통증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표시하는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가진력 제어부와, 상기 가진력 제어부에 연결되는 가진력 발생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진력 발생부에서는 복수의 공명 주파수를 인가하고,
    상기 가진력 발생부에서는 치료 대상이 되는 인체 기관의 고유진동주파수에 의한 가진력(F1)과 이 고유진동주파수의 2차, 3차 등의 고조파 주파수를 이용한 2차, 3차 가진력(F2,F3..)등을 더하여 형성된 혼합 가진력(F)을 형성하며,
    상기 혼합 가진력(F)은 하기 식에 의해 형성되는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
    F = F1 + F2 + F3
    F1 : 고유진동주파수에서의 가진력
    F1 = F0cosωt, ω = 2πf
    F2 : 2차 고조파 주파수에서의 2차 가진력
    F2 = F0 2cos2ωt = F0 2((1+cos2ωt)/2)
    F3 : 3차 고조파 주파수에서의 3차 가진력
    F3 = F0 3cos3ωt = F0 3((1+cos3ωt+3cosωt)/4)
    여기서. F0 : 초기 가진력, ω : 진동수, f : 주파수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가진력 제어부는,
    상기 진동 감지부에서 송신된 반사파를 분석하여, 반사파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반사파 주파수 피크를 미리 정해진 기준 주파수 피크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를 통증의 크기를 나타내는 일정 등급으로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가진력 제어부는,
    상기 혼합 가진력에 대해 상기 진동 감지부에서 감지한 신호를 통해 반사파 주파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모듈과,
    상기 감지 모듈에서 발생된 반사파 피크 주파수를 인가하는 치료 모듈을 수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치료 모듈에서는 상기 감지 모듈에서 주파수 피크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 주파수만을 상기 가진력 발생부로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상기 가진력 발생부에 연결되는 고정 코일과,
    상기 고정 코일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하여 피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가동자석으로 이루어지는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지부는,
    가진력이 인가된 인체 기관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감지센서와,
    상기 진동감지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 연결되는 진폭신호 필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진폭신호 필터부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폭신호 중 자력진동진폭신호만을 검지하여 상기 가진력 주파수 제어부로 송신하도록 이루어지는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를 이용하여 통증을 감지하고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인체의 통증이 발생하는 부위 근처의 피부 접촉하는 단계(S10);
    가진력 혼합부에서는 복수의 가진력(F1,F2,F3)을 혼합하여 형성된 혼합 가진력(F = F1 + F2 + F3)을 복수의 주파수에 대해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단계(S20)에서 형성된 혼합가진력을 진동 발생부로 인가하여 진동이 발생하게 하는 단계(S30);
    상기 단계(s30)에서 인가된 진동에 대해 진동감지부에서 반사파가 발생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
    상기 단계(S40)에서 진동 감지부가 감지한 반사파의 주파수 피크값이 일정 값이 이하이어서 반사파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통증감지 및 치료장치가 피부에 접촉하는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S50);
    상기 단계(S50)에서 진동 감지부가 감지한 반사파의 주파수 피크값이 일정값 이상이어서 반사파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감지된 반사파의 진동을 가진력 제어부로 송신하여 주파수 피크를 판단하고, 복수 개의 주파수 피크 중 세기가 가장 큰 주파수 피크의 세기에 대해 미리 일정 등급으로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여 유사한 값으로 통증 정도 등급으로 결정하고 이를 표시하는 단계(S60);
    상기 단계(S60)에서 표시된 통증 정도 등급을 보고 치료를 희망여부를 판단하여 희망시 치료입력부(140)를 통해 치료신호를 입력하는 단계(S70); 및
    상기 단계(S70)에서 치료를 희망하는 경우 가진력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혼합 가진력의 주파수를 반사파 피크 주파수로 선정하는 단계(S80)로 이루어지는 통증감지 및 치료방법.
KR1020210154352A 2021-11-11 2021-11-11 통증 감지 및 치료 장치 KR20230068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352A KR20230068503A (ko) 2021-11-11 2021-11-11 통증 감지 및 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352A KR20230068503A (ko) 2021-11-11 2021-11-11 통증 감지 및 치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503A true KR20230068503A (ko) 2023-05-18

Family

ID=86545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352A KR20230068503A (ko) 2021-11-11 2021-11-11 통증 감지 및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850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781B1 (ko) 2015-08-13 2018-01-1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통증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781B1 (ko) 2015-08-13 2018-01-1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통증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6468B2 (en) Soft tissue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e Lima et al. Assessment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muscle-tendon unit by supersonic shear wave imaging elastography: a review
US54027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bone density and diagnosing osteoporosis
Hoyt et al. Quantitative sonoelastography for the in vivo assessment of skeletal muscle viscoelasticity
US6364849B1 (en) Soft tissue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KR101700883B1 (ko) 통증 조절 및 근육 강화를 위한 저강도 집속 초음파 자극 장치
Sikdar et al. Assessment of myofascial trigger points (MTrPs): a new application of ultrasound imaging and vibration sonoelastography
Chen et al.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myofascial taut bands with magnetic resonance elastography
Pournot et al. The acute effect of local vibration as a recovery modality from exercise-induced increased muscle stiffness
JP7202599B2 (ja) 血圧測定装置、車両装置、及び血圧測定プログラム
Cheng et al. Comparison of two ways of altering carpal tunnel pressure with ultrasound surface wave elastography
JP2005521449A (ja) 力帰還眼圧計
KR20230068503A (ko) 통증 감지 및 치료 장치
KR20230102161A (ko) 심장혈행속도 개선장치
Archer et al. Propagation direction of natural mechanical oscillations in the biceps brachii muscle during voluntary contraction
Cosoli et al. Metr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herapeutic devices for pressure wave therapy: Force, energy density, and waveform evaluation
JP2896707B2 (ja) 音響波または機械的振動波を用いる治療・診断装置
KR102312209B1 (ko) 초음파 음향 방사력을 이용한 안압 측정 장치
Fan et al. The relationship of cavitation to the negative acoustic pressure amplitude in ultrasonic therapy
US200502730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ultrasound contrast-imaging
JP2017047193A (ja) 生体計測装置、生体計測方法及び検出方法
KR101523344B1 (ko)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장치
US20210251543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Non-Invasive and Non-Destructive Imaging and Measurement of Tissue and Material Mechanical Properties
JP2006230861A (ja) 筋肉疲労度測定装置
Zaitsev et al. DEALING WITH THE PRESSURE IN PNEUMATIC COMPRESSION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