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344B1 -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장치 - Google Patents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344B1
KR101523344B1 KR1020140068516A KR20140068516A KR101523344B1 KR 101523344 B1 KR101523344 B1 KR 101523344B1 KR 1020140068516 A KR1020140068516 A KR 1020140068516A KR 20140068516 A KR20140068516 A KR 20140068516A KR 101523344 B1 KR101523344 B1 KR 101523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mulation
subject
change
stimulus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주
Original Assignee
박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주 filed Critical 박병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2Devices for locating such po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실험자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에 위치하되, 일정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부와, 상기 진동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측정기; 및 상기 피실험자의 피부에 자극을 가하는 자극발생기;를 포함하여,
상기 진동부를 통해 피실험자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에 일정한 진동을 가하는 가운데, 상기 자극발생기에 의한 자극으로 인한 피실험자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근육 긴장도 변화를 측정하여 자극포인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장치{APPARATUS FOR FINDING STIMULUS POINT BY MEASURING CHANGE OF MUSCLE TENSION UNDER A DYNAMIC STATE}
본 발명은 자극포인트 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를 측정하여 치료를 위한 인체 내 자극포인트를 확인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기술발전으로 인한 환경호르몬 등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을 비롯하여 바쁜 일상생활로 인한 과도한 스트레스와 정서적 불안 등과 같은 정신적인 요인 및 사고나 세균 감염 등으로 인한 육체적인 요인으로 인해 많은 질병의 위험에 직면해 있다.
상기와 같은 원인으로 인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현대 의학(Conventional Medicine)이 등장하였으며, 다양한 검사 방법과 수술 요법과 약물 요법 개발 등을 통해 발전해 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과 더불어 방사선 부작용, 수술 부작용, 약물 부작용 등과 같은 각종 부작용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현대 의학의 문제를 보완, 대체 하기 위해서 인체 내 자연 치유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미국 보건 기구(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 NIH) 산하에 보완, 대체의학 센터(NCCAM, 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를 통해 이러한 대체 의학에 대한 체계적이며 과학적 연구가 1998년부터 진행 중이다.
대체 의학 중 하나인 침 치료의 경우 세계 보건 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 발표한 공식 침 자리(acupuncture points)가 있으며, 미국의 대부분의 주(state)에서 침 치료를 1차 진료(primary care)로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침 자리를 선택함에 있어 고서(古書)를 참고 하거나 침구사 각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같이 주관적으로 선택된 침 자리는 치료에 객관성을 결여 시키는 방법적 한계가 존재한다.
[관련기술문헌]
1. Publication number US6299586 B1 - Acupressure point treating system
2. Publication number US7536220 B2 - Methods for obtaining quick, repeatable and non-invasive bioelectrical signals in living organisms.
3. Publication number WO2013156415 A1 - Device and method for the non-invasive measurement of state of tension, biomechanical and viscoelastic properties of surfaces of soft biological tissu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체를 자극하는 침, 지압, 마사지 등과 같은 대체 의학을 이용함에 있어 피실험자 즉, 환자에게 필요한 자극포인트를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삭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장치는 피실험자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에 위치하되, 일정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부와, 상기 진동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측정기; 및 상기 피실험자의 피부에 자극을 가하는 자극발생기;를 포함하여, 상기 진동부를 통해 피실험자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에 일정한 진동을 가하는 가운데, 상기 자극발생기에 의한 자극으로 인한 피실험자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근육 긴장도 변화를 측정하여 자극포인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실험자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에 일정한 진동을 주어 근육이 동적 상태를 유지하는 가운데 상기 피실험자의 피부에 자극을 주어 주어진 자극에 대해 상기 손가락이나 발가락 근육의 긴장도 변화를 측정하여 운동성 변화가 나타난 지점을 확인함으로써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인체에 자극이 필요한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실험자에 의해서 주관적으로 결정되는 자극포인트가 아닌, 피실험자에게 나타나는 반응으로 자극이 필요한 포인트를 찾을 수 있어, 피실험자의 증상과 몸의 상태에 따라 해당 자극포인트에 적절한 자극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2 내지 도 4 및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방법 및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방법 및 장치를 통해 얻어진 근육 긴장도 값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여 찾은 자극포인트를 치료기구를 통해 치료하는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은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실험자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에 위치하되, 일정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부와, 상기 진동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측정기; 및 상기 피실험자의 피부에 자극을 가하는 자극발생기;를 포함하여, 상기 진동부를 통해 피실험자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에 일정한 진동을 가하는 가운데, 상기 자극발생기에 의한 자극으로 인한 피실험자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근육 긴장도 변화를 측정하여 자극포인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장치를 제안한다.
삭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방법 및 장치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신체 중 손이나 발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도면은 손을 중심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손이나 발을 제외한 신체부위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인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며, 이를 이용한 본 발명인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인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장치는 피실험자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에 위치되는 측정기(100)와, 상기 피실험자의 피부에 자극을 가하는 자극발생기(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정기(100)는 상기 손가락이나 발가락에 일정한 진동을 가하여 근육이 동적(dynamic) 상태가 되도록 하는 진동부(110)와, 상기 진동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120)에는 다수의 센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는 근육의 경직도를 측정하기 위해 공명 현상을 이용하는 압전 공명 센서(piezoelectric resonance sensor), 움직임 변화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측정기(100)는 상기 진동부(110)에 의해 일정한 진동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동적 상태에서 피실험자의 피부에 자극을 가하였을 때 상기 측정기(100)가 위치한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움직임 변화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러한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진동부(110)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가지는 진폭과 진동수를 정규화(normalization)하는 정규화부(130)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자극발생기(200)에서 발생되는 자극은 금속, 빛, 전기, 자기(magnet)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자극이다. 예를 들어 금과 은의 고유의 성질 차이에 따라 자극시 진동 변화가 다르게 나타나는바, 금속 자극의 경우 은색 금속으로 이루어진 자극발생기(200)를 피실험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이동시, 상기 측정기(100)가 위치한 손가락이나 발가락 근육의 긴장도가 증가하는 포인트를 찾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포인트는 은색 금속 자극이 필요한 자극포인트로 결정하게 된다. 또한, 은색 금속으로 이루어진 자극발생기(200)를 피실험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이동시, 상기 측정기(100)가 위치한 손가락이나 발가락 근육의 긴장도가 감소하는 포인트를 찾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포인트는 금색 금속 자극이 필요한 자극포인트로 결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현상에 대한 재확인을 위해 은색 금속 자극포인트에 금색 금속으로 이루어진 자극발생기(200)를 가하면 근육의 긴장도가 감소하게 되며, 금색 금속 자극포인트에 금색 금속으로 이루어진 자극발생기(200)를 가하면 근육의 긴장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자극포인트를 제외한 다른 피부에 은색 또는 금색 금속으로 이루어진 자극발생기(200)로 자극을 가할 시, 상기 측정기(100)가 위치한 손가락이나 발가락에서는 근육 긴장도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원리로 빛 자극의 경우 빨간색 파장의 빛과 초록색 파장의 빛이 은색 금속과 금색 금속의 경우와 같은 반응을 보이고, 전기 자극의 경우 음극과 양극에 따라 은색 금속과 금색 금속의 경우와 같은 반응을 보이며, 자기(magnet) 자극의 경우 N극과 S극에 따라 은색 금속과 금색 금속의 경우와 같은 반응이 나타난다.
따라서, 실험자는 피실험자에게 자극발생기(200)를 이용하여 자극을 가할 시, 가하는 자극의 종류와 형태를 통해 찾아진 자극포인트에 필요한 치료 자극 방안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인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장치에는 상기 측정기(100)와 연동되며, 상기 자극발생기(200)를 통해 발생된 자극으로 인해 동적 상태에 있는 손가락이나 발가락에서 감지되는 근육의 운동성 변화를 음성 또는 영상 형태로 외부로 출력하여 근육 긴장도 변화를 측정하는 모니터링기(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기(400)에서 소리 형태로 출력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일 예로 상기 측정기(100)로부터 손가락이나 발가락에 일정한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무음으로, 피부에 가해진 자극에 대하여 상기 측정기(100)가 위치한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근육 긴장도 변화가 발생되고 긴장도 증가시 고음으로, 긴장도 감소시 저음의 특정소리를 발생하며, 진동의 변화 폭이 커질수록 상기 특정소리의 크기가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기(400)에서 영상 형태로 출력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일 예로 진동 변화를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측정기(100)에서 감지된 진동의 변화는 상기 측정기(100)가 위치한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근육 긴장도가 변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바, 상기 모니터링기(400)를 통해 근육 긴장도의 변화가 측정되므로 실험자 또는 피실험자는 자극이 필요한 포인트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장치를 이용하여 자극포인트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 중 일부에 진동을 가하는 단계(S10)와, 피부에 자극을 가하며 자극포인트를 탐색하는 단계(S30)와, 상기 자극에 의해 근육 긴장도 변화가 일어나는 지점을 자극포인트로 결정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며, 상기 (S10)단계 이후 상기 진동을 정규화하는 단계(S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실험자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에 측정기(100)를 위치시키고, 상기 측정기(100)를 통해 손가락이나 발가락에 일정한 진동을 가하게 되며(S10), 이로 인해 근육은 일정하면서도 연속적인 동적 상태에 놓이게 된다.
추후 자극발생기(200)로 인한 자극으로 인해 상기 측정기(100)가 위치한 손가락이나 발가락에 미세한 운동성 변화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진동으로 인한 동적 상태를 정규화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20). 상기 정규화 과정은 상기 손가락이나 발가락에 가해지는 일정한 진동이 가지는 진폭과 진동수를 정량화하는 것이다.
이후, 자극발생기(200)를 이용하여 금속, 빛, 전기, 자기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자극을 상기 피실험자의 피부에 가하며 자극포인트를 탐색하며(S30),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실험자의 손바닥이나 발바닥에 상기 자극발생기(200)를 이용하여 자극을 가하며 자극포인트를 탐색할 수 있음은 물론, 피실험자의 손바닥이나 발바닥 이외에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실험자의 등을 비롯하여 피실험자의 피부에 자극을 가하며 자극포인트를 탐색할 수 있다.
상기 자극포인트란 추후 치료를 위해 자극이 필요한 포인트로, 상기 측정기(100)가 위치한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근육 긴장도가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지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자극발생기(200)가 자극포인트에 위치되어 주어진 자극에 대해 근육 긴장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측정된 경우, 주어진 자극에 반대되는 자극을 주어 근육 긴장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은색 금속 - 금색 금속, 붉은색 파장의 빛 - 초록색 파장의 빛, 음극 - 양극, N극 - S극은 각각 반대 자극이 된다.
또한, 은색 금속 자극에 대하여 근육 긴장도가 증가되는 자극포인트의 경우 해당 자극포인트에 붉은색 파장의 빛, 전기의 음극, 그리고 자석의 N극 자극을 주어도 동일한 효과를 얻게 되며, 금색 금속 자극에 대하여 근육 긴장도가 증가되는 자극포인트의 경우 해당 자극포인트에 초록색 파장의 빛, 전기의 양극, 그리고 자석의 S극 자극을 주어도 동일한 효과를 얻게 된다.
한편, 상기 자극발생기(200)가 자극이 필요한 포인트를 지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육 긴장도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5의 그래프는 손가락이나 발가락에 가해지는 진동을 정규화시킨 후 자극을 가할 시 진동이 변화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극이 필요한 포인트에 해당되는 지점에 자극발생기(200)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자극을 가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육 긴장도가 증가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동적 상태에서 피실험자의 피부를 스캔하며 상기 측정기(100)가 위치한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근육 긴장도 변화를 측정하고 자극이 필요한 포인트를 결정하게 된다(S40). 이때 자극포인트의 결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자극에 의한 진동 변화를 소리 또는 영상 형태로 외부에 출력하는 모니터링기(400)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통해 피실험자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에 일정한 진동을 주어 상기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근육이 일정한 운동성을 유지하는 동적 상태에서 상기 피실험자의 피부를 자극발생기로 자극하며 상기 손가락이나 발가락 근육의 긴장도가 변화하는 것을 손쉽게 알 수 있으며, 상기 진동 변화에 따른 근육 긴장도를 측정하여 진동 변화가 이루어진 지점을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자극포인트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객관적인 수치 변화를 이용하는바 실험자에 따라 결정되는 자극포인트가 달라지지 않으며, 간단한 장치를 통해 시간이나 장소에 제약받지 않고 용이하게 자극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통해 확인된 자극포인트에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과 같은 치료기구(300)를 이용한 치료를 할 수 있음은 물론 해당 자극포인트에 실험자 또는 피실험자가 마사지 또는 지압을 하여 치료를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드시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것만은 아니며 자가 치유 등과 관련된 연구를 함에 있어 자극포인트를 확인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A: 손 B : 등
100 : 측정기 110 : 진동부
120 : 센서부 130 : 정규화부
200 : 자극발생기 300 : 치료기구
400 : 모니터링기

Claims (8)

  1. 피실험자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에 위치하되, 일정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부와, 상기 진동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측정기; 및
    상기 피실험자의 피부에 자극을 가하는 자극발생기;를 포함하여,
    상기 진동부를 통해 피실험자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에 일정한 진동을 가하는 가운데, 상기 자극발생기에 의한 자극으로 인한 피실험자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근육 긴장도 변화를 측정하여 자극포인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에는 상기 진동이 가지는 진폭과 진동수를 정규화시키는 정규화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발생기에서의 자극은 금속, 빛, 전기, 자기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자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와 연동되어 자극에 의한 진동 변화를 소리 또는 영상 형태로 외부에 출력하여 근육 긴장도를 측정하는 모니터링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068516A 2014-06-03 2014-06-05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장치 KR101523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14294601A 2014-06-03 2014-06-03
US14/294,601 2014-06-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344B1 true KR101523344B1 (ko) 2015-05-28

Family

ID=53395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516A KR101523344B1 (ko) 2014-06-03 2014-06-05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3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421U (ko) * 1989-06-07 1991-01-21
JPH09253156A (ja) * 1996-03-23 1997-09-30 Asahi Denki Kasei Kk バイブレータ
JP2003062033A (ja) * 2001-08-22 2003-03-04 Seiko Epson Corp 経穴探査装置および治療効果判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421U (ko) * 1989-06-07 1991-01-21
JPH09253156A (ja) * 1996-03-23 1997-09-30 Asahi Denki Kasei Kk バイブレータ
JP2003062033A (ja) * 2001-08-22 2003-03-04 Seiko Epson Corp 経穴探査装置および治療効果判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80792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roving peripheral nerve function
Miller et al. Somatosensory cortex efficiently processes touch located beyond the body
Paungmali et al. Hypoalgesic and sympathoexcitatory effects of mobilization with movement for lateral epicondylalgia
Wells et al. Touch noise increases vibrotactile sensitivity in old and young
CA3018094C (en) An apparatus and method to locate, measure, monitor, and treat inflammation of the skin's soft tissue and fascia layers
KR20180132109A (ko) 조절 장치 및 관련 방법
Oh et al. Pain-related evoked potential in healthy adults
WO2021032803A1 (en) Method for identifying an acupuncture point and/or a meridian
Cau et al. Circumferential versus hand-held laser scanner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lower limb volumes in normal-weight and obese subjects
KR20130115573A (ko) 두부경락활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1523344B1 (ko) 동적 상태에서의 근육 긴장도 변화 측정을 이용한 자극포인트 확인 장치
Belavskaya et al. Investigation of electrical resistance and luminescence brightness of the skin surface near reflexogenic areas
KR20150122936A (ko) 압통계를 사용하여 인가한 압력자극 신호와 피부전기활동 신호 계측에 의한 통증 환자의 통증유발점 검출 시스템
KR20180078059A (ko) 다기능 측정장치를 이용하는 통증 측정기기의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80050914A (ko) 경혈점 식별시스템
Osumi et al. Influence of vibrotactile random noise on the smoothness of the grasp movement in patients with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Alcan et al. Current developments in surface electromyography
Trigui et al. A comparison study of SSVEP detection methods using the Emotiv Epoc headset
KR101683038B1 (ko) 모바일 기반의 한방 의료 시스템
KR101530957B1 (ko) 복수 개의 경혈점을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Szczuka et al. Electrodermal activity of the skin assessed using Ryodoraku method after a single training session in taekwondo competitors
RU2687006C1 (ru) Способ вибрационно-акустического массажа
Kokai Measuring interface pressure applied by garments in secondary upper limb lymphoedema
KR102067536B1 (ko) 헬스케어를 이용한 두면부 밴드
Vijayan et al. A Study to Ascertain Normative Value for Two-Point Discrimination Ability for the Lower Limb among Healthy Indian Middle-Aged Population: A Pilot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