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8182A - 사용자 참여 기반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참여 기반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8182A
KR20230068182A KR1020210154241A KR20210154241A KR20230068182A KR 20230068182 A KR20230068182 A KR 20230068182A KR 1020210154241 A KR1020210154241 A KR 1020210154241A KR 20210154241 A KR20210154241 A KR 20210154241A KR 20230068182 A KR20230068182 A KR 20230068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ironmental pollution
information
user terminal
measuring device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판구
김형주
염진영
이형호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54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8182A/ko
Publication of KR20230068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참여 기반 환경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은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오염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획득되는 환경 오염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로 배포하는 측정기; 상기 측정기와 연결되고, 상기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를 상기 측정기로부터 획득하며, 상기 환경 오염 정보에 기초하여 환경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측정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측정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환경 오염 정보 및 상기 환경오염 관리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참여 기반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ENVIRONMENTAL POLLU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USER PARTICIP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사용자 참여 기반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역별 거주민들이 스스로 참여 가능한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달 및 지리적 요인으로 인해 대기 오염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기 오염을 포함한 각종 환경 오염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 역시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환경 오염 및 대기질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들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시된 환경 오염 및 대기질 정보 모니터링 기술들은 오염 정도에 관한 지수를 제공하기는 하지만, 실제 주거지가 아닌 동사무소 옥상과 같은 높은 곳에 설치되어 그 수치의 정확성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주민들의 실제 거주 공간에 대해, 주민 스스로 환경오염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경 오염 모니터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2215250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참여 기반 환경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및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참여 기반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지도 상에 환경 오염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환경 오염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참여 기반 환경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은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오염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획득되는 환경 오염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로 배포하는 측정기; 상기 측정기와 연결되고, 상기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를 상기 측정기로부터 획득하며, 상기 환경 오염 정보에 기초하여 환경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측정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측정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환경 오염 정보 및 상기 환경오염 관리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참여 기반 환경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 및 소정의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기를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측정기 또는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하여 상기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지도 상에, 상기 환경 오염 정보,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측정기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환경 지도 상에 매칭된 상기 환경 오염 정보,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측정기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일자별, 지역별 및 장치별로 관리함으로써 환경 오염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환경 오염 이력 정보에 대한 요청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환경 오염 이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참여 기반 환경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 및 소정의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기를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측정기 또는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하여 상기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지도 상에, 상기 환경 오염 정보,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측정기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환경 지도 상에 매칭된 상기 환경 오염 정보,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측정기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일자별, 지역별 및 장치별로 관리함으로써 환경 오염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환경 오염 이력 정보에 대한 요청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환경 오염 이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들이 스스로 참여하여 환경 오염도를 측정하고, 측정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빅데이터 기반 더 정확한 환경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참여를 통해 확보된 빅 데이터를 통하여 다양한 환경 오염 저감 대책 및 미래 정책을 효과적으로 준비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오염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참여 기반 환경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종래 대기 정보 모니터링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환경오염 관리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포함하는 측정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기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에 대해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하는 UI 및 데이터베이스 설계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관리자에 대해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하는, UI 및 데이터베이스 설계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관리자에 대해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출력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내 사용자 단말 및 측정기 사이의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내 사용자 단말 및 측정기 사이에 환경 오염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측정기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측정기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내 측정기 및 사용자 단말의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QR 코드를 기반으로 화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내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통계 자료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오염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참여 기반 환경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00), 서버(2000) 및 측정기(3000)를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측정기(3000) 및 사용자 단말(1000)과 연동함으로써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오염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획득되는 환경 오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사용자 단말과 연동함으로써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환경 오염 정보에 대한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관리된 환경 오염 정보에 기초하여, 주민들이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에, 특정 지역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림 (120)을 참조하여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이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에 대한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이 제공하는 환경 오염 정보(152)는 미세먼지 정보, 초미세먼지 정보, 휘발성 유기화합물 정보, 이산화 탄소 정보 또는 리포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환경 오염 정보는 VOC 데이터, PM 10/PM2.5 센서의 센서 데이터 값,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 온도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미리 사용자 단말에 등록된 특정 지역 정보를 식별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환경 오염 정보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특정 지역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지역 별 환경 오염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0)로 전송할 수 있다.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 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등록된 특정 지역 정보(154)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특정 지역 정보(154)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152)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0)은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지도를 생성하고, 생성된 환경 지도 상에 상기 식별된 환경 오염 정보(152)를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 오염 정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 정보, 알람 정보 등을 포함하는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0)은 서버(2000) 및 복수의 측정기(3000)들과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0)은 서버(2000) 및 복수의 측정기(3000)들과 연결되고, 측정기들에 지정된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를 측정기로부터 획득하며, 환경 오염 정보에 기초하여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측정기(300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타입의 측정기(140, 142)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타입의 측정기(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타입의 측정기(140, 142)는 이동형 타입의 측정기이고, 제2 타입의 측정기(144)는 고정형 타입의 측정기일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정기의 타입은 측정기가 사용자 단말(1000) 또는 서버(2000)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주기, 측정기가 설치되는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측정기(3000)는 사용자 단말(1000)과 무선 또는 유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측정기(30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장거리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00)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측정기(3000)는 와이파이, 또는 지그비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측정기(3000)는 사용자 단말(1000)과 커플링됨으로써, 커플링된 사용자 단말(1000)에 모니터링 대상 공간에 대한 환경오염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획득되는 환경 오염 정보를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로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측정기(3000)는 사용자 단말(1000)로부터 상호 연결을 위한 데이터들을 송수신하고 송수신된 데이터에 응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00)과 커플링될 수 있다. 측정기(3000)는 사용자 단말(1000)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사용자 단말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환경 오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0)은 측정기(3000) 및 서버(2000)와 연동함으로써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들을 송수신하고, 송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환경 오염 서비스에 대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컴퓨터, 노트북, 데스크탑 기타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2000)는 측정기 및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고, 측정기 또는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환경 오염 정보 및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0)는 사용자 단말(1000)과 연결됨으로써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들을 송수신할 수 있는 컴퓨팅장치일 수 있다. 서버(2000)는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0) 또는 측정기(3000)와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이 제공하는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환경 오염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컨텐츠들을 제공하며, 환경 오염 정보에 기초하여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일련의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참여 기반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 내 전자 장치 및 소정의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기를 연결시키고, 전자 장치 및 측정기가 연결된 후, 측정기 또는 전자 장치를 통하여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는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지도 상에, 환경 오염 정보,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또는 측정기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매칭시킬 수 있다.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는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또는 측정기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환경 지도 상에 매칭 이후, 환경 지도 상에 매칭된 환경 오염 정보,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또는 측정기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일자별, 지역별 및 장치별로 관리함으로써 환경 오염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환경 오염 이력 정보에 대한 요청이 획득되는 경우, 환경 오염 이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환경 오염 이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종래 대기 정보 모니터링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탄소 배출에 따른 환경 오염이 날로 심각해짐에 따라, 시민들의 미세먼지 및 대기오염에 관심도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그림 (210)을 참조하면, 각 자치단체에 설치된 측정기를 통해 실시간 대기 정보, 시도별 대기 정보, 대기질 예/경보를 제공하는 예가 도시된다. 그림 (210)에 도시된 종래 자치단체의 대기 질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전국 단위 지역을 서비스하고 있기 때문에 각 지역 별 세부적인 대기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그림 (220)을 참조하면, 광주 광역시 내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오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과 함께 각 등급에 대한 시민들의 행동 요령에 대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예가 도시된다. 그러나 그림 (220)에 도시된 대기질 안내 기술 역시 광주 광역 시 내 구별 환경 오염 정보만을 제공하므로, 주민들이 생활하는 실제 소지역 별 세부적인 대기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환경오염 관리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에 따른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주민들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예컨대 사용자 단말)과 연동함으로써 환경 오염 물질 및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하드웨어 기반 측정 서비스를 제공하며, 특히, 사용자 단말과 연동함으로써, 시민들이 직접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예컨대 VOC, PM10/PM2.5,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 온도측정)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시민 참여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측정기와 연동함으로써, 모니터링되는 환경 오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 알림 컨텐츠를 전송하는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복수의 측정기 및 사용자 단말과 연계되는 플랫폼 기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교통 수단 및 자치단체에 확장 가능한 확장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시민들의 건강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포함하는 측정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내 측정기의 동작 내지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기(3000)는 측정기 내부의 구성들에 대한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예컨대 DC 또는 내장용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정기(3000)의 최소 감도는 (CO2)100/ (VOC) 125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기는 대기오염 물질을 적어도 3종 이상(CO2, VOC, PM10, PM2.5) 측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측정 방식을 통해 환경 오염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기(3000)는 (PM10/PM2.5)광산란, (CO2) MDIR, (VOC)MEMS MOS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기 오염 물질을 센싱함으로써 환경 오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기는 (PM10/PM2.5) 0 ~ 999ug/㎡, (CO2)400~2000PPM, (VOC)125~2400ppm의 측정 범위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대상 공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및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기는 복수의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설치되는 복수의 측정기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 복수의 측정기들은 복수의 대상 모니터링 공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고정형 타입 또는 이동형 타입의 측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이동형 타입의 측정기는 이동형 타입의 측정기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독립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기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측정기는 미세 먼지 측정 장치 Device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측정기는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제1 메모리,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측정기는 Wi-Fi/LTE 모듈, 센서 모듈, 프로세서, SDRAM, Flash Memory, 전원부, 마이크로 프로세서, STATUS LED, LCD DISPLAY, RO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메모리는 SDRAM, Flash Memory, ROM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정기는 사용자 단말 및 서버와 연동함으로써 주기적으로 환경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측정기는 도 5에 도시된 구성 보다 더 적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측정기 내 구성들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하고, Wi-Fi/LTE 모듈은 사용자 단말 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연동됨으로써 환경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에 대응될 수 있다.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환경 오염 정보들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 타입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STATUS LED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측정기의 현재 상태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STATUS LED는 측정기 내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빨간색의 광으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기 내 기타 구성들은 명칭에 의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측정기 내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는 측정기 및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측정기에 대해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상기 환경 오염 정보, 상기 측정기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측정기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측정기 내 제1 프로세서는 측정기와 연결된 소정의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사용자 단말에 기 설정된 주기로 측정 정보를 배포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에 대해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하는 UI 및 데이터베이스 설계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림 (610)을 참조하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도시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설정된 위치 항목을 통해 모니터링 대상 공간을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모니터링하기를 원하는 대상 공간을 검색할 수 있도록 위치 검색 인터페이스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지정한 모니터링 대상 공간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 미세먼지 수치 및 미세먼지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고, 소정의 주기별로 측정된 환경 오염 정보(예컨대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에 대한 이력을 관리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른 모니터링 대상 공간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림 (620)을 참조하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데이터 베이스(DB) 설계 예가 도시된다.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 및 측정기 사이에 송수신되는 환경 오염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측정기로부터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논리 테이블 명(예컨대 미세먼지 데이터 테이블), 물리 테이블명(예컨대 AP_DATA)에 기초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이 이용하는 데이터 베이스는 데이터 순번, 논리 칼럼명, 물리 칼럼명, 키, 데이터 타임, 길이, NULL 또는 기타 정보들이 기재될 수 있는 비고 항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논리 칼럼명 항목은 장치 식별자, 기기 식별자, 기기의 유형, 기기의 좌표 정보, 미세먼지 농도 타입, 환경 오염 정보 타입(예컨대 휘발성 유기 화합물 또는 이산화탄소)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관리자에 대해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하는, UI 및 데이터베이스 설계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림 (710)을 참조하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에 관리자 서버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도시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 서버(또는 관리자 사용 장치)를 통해, 관리자가 환경 오염 정보를 획득하기를 원하는 시간 및 장소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 서버를 통하여 특정 모니터링 대상 공간에 대한 미세먼지 데이터, 미세먼지 수치, 미세먼지 수치에 따른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과거 획득된 특정 지역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를 이력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 서버가 조회를 요청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 내 측정된 환경 오염 정보들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림 (720)을 참조하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관리자용 데이터 베이스(DB) 설계 예가 도시된다.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 및 측정기 사이에 송수신되는 환경 오염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관리자를 위한 별도 데이터 베이스를 마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측정기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측정된 환경 오염 정보들을 순번, 논리 칼럼명, 물리 칼럼명, 데이터 타입 및 길이에 기초하여 분류함으로써 관리자용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관리자에 대해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출력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림 (810)을 참조하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관리자에 대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도시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를, 관리자로 하여금 입력하도록 하기 위한 위치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위치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가 입력한 위치 정보에 위치하는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해 최근 측정 시간에 따른 대기 수치 및 상태 정보를 환경 오염 정보로써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에 따른 환경 오염 정보들을 최근 측정된 대기 수치 정보로써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림 (820)을 참조하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측정기 및 사용자 단말 사이에 측정된 데이터들을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관리자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에서 제공되는, 그림 (8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기 측정된 환경 오염 정보들의 내역을 수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관리자가 측정된 환경 오염 정보들을 수정할 수 있도록,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휘발성 유기화합물, 이산화탄소에 대한 수정 인터페이스와, 환경 오염 정보의 등록 일자, 등록 시간 및 등록 장소에 대한 수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내 사용자 단말 및 측정기 사이의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902에서, 사용자 단말(1000)은 와이파이 AP 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다. S904에서, 사용자 단말(1000)은 프로토콜을 참조하여 와이파이 AP 리스트 요청을 측정기(3000)로 전송할 수 있다. S906에서, 사용자 단말(1000)에서 전송된 와이파이 AP 리스트 요청에 응답하여 와이파이 AP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S908에서, 측정기(3000)는 프로토콜을 참조하여 와이파이 AP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0)로 전송할 수 있다. S910에서, 사용자 단말(1000)은 와이파이 접속 정보를 입력 후 저장할 수 있다. S912에서, 사용자 단말(1000)은 프로토콜을 참조하여 Send 와이파이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S914에서, 측정기(3000)는 와이파이를 연결할 수 있다.
S918에서 사용자 단말(1000)은 와이파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S916에서, 사용자 단말(1000)은 프로토콜을 참조하여 와이파이 정보 요청을 측정기(3000)로 전송할 수 있다. S920에서, 측정기(3000)는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S922에서, 측정기(3000)는 프로토콜을 참조하여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0)로 전송할 수 있다. S924에서, 사용자 단말(1000)은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내 사용자 단말 및 측정기 사이에 환경 오염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1002에서, 측정기(3000) 및 사용자 단말(1000)는 블루투스 연결될 수 있다. S1004에서, 사용자 단말(1000)은 미세먼지 정보 요청 버튼을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S1006에서, 사용자 단말(1000)은 프로토콜을 참조하여 미세먼지 정보 요청을 측정기(3000)로 전송할 수 있다.
S1008에서, 측정기(3000)는 수집된 환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S1010에서, 측정기(3000)는 프로토콜을 참조하여, 수집된 환경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0)로 전송할 수 있다. S1012에서, 사용자 단말(1000)은 측정기(3000)에서 전송된 환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측정기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림 (92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이 제공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들의 예가 도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0)은 측정기(3000)와의 연결 편의를 위한 복수의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000)은 사용자 단말에 현재 등록된 측정기의 식별자 정보가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 등록된 측정기를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0)은 사용자 단말에 기 등록된 측정기가 식별되지 않는 경우, '사용중인 대기오염 측정 기기가 없습니다'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출력함과 함께 기기 등록 인터페이스(902)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0)은 측정기와 사용자 단말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전송 주기 설정을 위한 전송 주기 설정 인터페이스(904)를 제공할 수 있고, 측정기(3000)가 현재 위치하는 측정 장소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인터페이스(906)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0)은 와이파이 설정(908)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림 (93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0)이 제공하는 또 다른 인터페이스 예가 도시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000)은 기 등록된 측정기에 대한 정보들을 나타내는 기기 등록 인터페이스(910)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화면상에 표시된 측정기기들의 현재 연결 상태(911)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0)은 측정기와의 연결 편의상 전송 주기 설정 인터페이스(912)만을 화면상에 따로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측정기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측정기기들을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인터페이스들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림 (9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00)에 현재 특정 지역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로써, 초미세먼지,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이산화탄소 농도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그림 (942)를 참조하면, 현재 환경 오염 정보가 획득되지 않거나, 사용자 단말에 연결된 측정기기에 대한 정보가 식별되지 않을 경우, 사용 중인 대기 오염 측정기기가 없다는 안내 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그림 (94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현재 연결된 측정기가 없을 경우, '사용중인 대기 오염 측정기기가 없습니다'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출력함과 함께 측정기 검색을 위한 기기 검색 인터페이스(952)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림 (9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 또는 측정기에 미리 등록된 장치들이 있을 경우, 해당 장치들에 대한 연결을 끊기 위한 연결 중단을 위한 인터페이스(954)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1302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플레이 스토어를 실행할 수 있다. S1304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세먼지 측정'과 같은 검색 키워드를 획득하고, 획득된 검색 키워드에 기초하여 본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S1306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블루투스 연결 상태로 진입할 수 있고, S1308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GPS 사용 허가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S1306 내지 S1308 단계 이후, 사용자 단말은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무선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내 측정기 및 사용자 단말의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림 (14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기(3000)는 측정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내(5초) 동작 모드(예컨대 ON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측정기(3000)는 측정기에 대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예컨대 4초)의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 중지 모드(예컨대 OFF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그림 (14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0)은 사용자 단말에 기 등록된 측정기가 식별되지 않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기기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기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블루투스 기기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0)은 블루투스 기기 리스트 상에 표시된 하나의 측정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측정기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그림 (142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0)은 연결된 측정기로부터 환경 오염 정보 획득을 명령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컨대 측정 버튼)를 출력하고,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측정기로부터 환경 오염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0)은 환경 오염 정보들이 획득되면, 획득된 환경 오염 정보들을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측정기 또는 서버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전송 버튼)를 출력하고,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측정기로부터 전송된 환경 오염 정보들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QR 코드를 기반으로 화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QR 코드를 기반으로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측정기 주변 또는 주민들이 생활하는 주거 공간 내 특정 장소에 위치하는 QR 코드를 촬영함으로써 QR 코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0)은 QR 코드 이미지 내 QR 코드 패턴(1502)을 식별하고, 식별된 QR 코드 패턴에 매칭된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000)에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이 기 설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0)은 QR 코드 이미지 내 QR 패턴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기 등록된 대상 공간의 환경 오염 정보들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서비스 이용자의 편의 향상을 위해,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매뉴얼 정보를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더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6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내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림 (16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000)은 사용자 단말에 기 등록된 환경 오염 정보들을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고, 환경 오염 정보에 따른 대기 수치 및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000)은 현재 측정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에 측정된 환경 오염 정보들에 기초하여, 대기 수치 정보들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내 사용자 단말은 환경 지도 상에서 특정 지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지역의 환경 정보들을 식별 및 표시하며, 식별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해당 지역의 환경 오염 상태가 나쁨으로 식별될 경우, 해당 지역의 마커를 빨간색으로 결정하고, 빨간 색으로 결정된 마커를 환경 지도 상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통계 자료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림 (17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소정의 시간 동안 측정된 환경 오염 정보들을 테이블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그림 (17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10)은 소정의 시간 동안 측정된 환경 오염 정보들을, 시간별, 일별, 주별 및 월별에 기초하여 분류하고, 시간별, 일별, 주별 및 월별에 기초하여 분류된 각 환경 오염 정보들(미세먼지, 초미세먼지, 휘발성 유기화합물, 이산화탄소 농도)을 시각적 컨텐츠로 변환(예컨대 막대 그래프)하여 화면상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000)은 프로세서(13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 및 메모리(17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1000)은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시퀀스를 획득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0)을 제어하기 위한 시퀀스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는 사용자 단말(1000)이 화면상에 출력한 사용자의 입력 또는 일련의 입력 시퀀스들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는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디스플레이상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키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미도시)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미도시)는 사용자 단말(10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기 위한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미도시)는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된 환경 오염 정보들, 측정기와의 연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제공되는 일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환경 오염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시각적 컨텐츠들, 환경 지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는 사용자 단말(1000)과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는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측정기로부터 획득된 환경 오염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거나, 서버로부터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는 측정기와의 사이에 환경 오염 정보 및 상기 환경 오염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미도시)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카메라(미도시)는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위치하는 QR 코드에 관한 이미지들을 촬영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0)는,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 디스플레이(미도시), 카메라(미도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1 내지 도 17에 기재된 사용자 단말(10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300)는 측정기에 대한 연결을 위한 연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연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상기 측정기의 식별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연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환경 오염 정보의 전송 주기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300)는 측정기로부터 획득되는 환경 오염 정보, 상기 환경 오염 정보, 상기 측정기의 위치 정보, 상기 측정기의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300)는 상기 복수의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환경 지도를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환경 지도상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측정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기의 위치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측정기들에 의해 측정된, 복수의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들을 상기 환경 지도상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300)는 상기 환경 지도 상에, 상기 복수의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마커를 표시하고, 상기 환경 오염 정보 내 소정의 환경 오염 파라미터들의 오염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된 마커색을 서로 다르게 표시하며, 상기 서로 다르게 표시된 마커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마커에 대응되는 대상 모니터링 공간의 세부 환경 오염 정보 및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측정 시간 정보를 상기 환경 지도상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300)는 복수의 대상 모니터링 공간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모니터링 공간 별 환경 오염 정보를 리스트 또는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각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300)는 상기 환경 지도상 일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환경 지도를 확대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환경 지도를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1700)는, 프로세서(1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0)로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700)는 사용자 단말(1000)이 획득한 환경 오염 정보, 측정기에 대한 정보, 환경 지도 정보,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정보,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시각적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서버(2000)는 프로세서(23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00) 및 데이터 베이스(2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0)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측정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환경 오염 정보, 상기 측정기의 위치 정보, 상기 측정기의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집 데이터를, 식별자, 측정기 시리얼 정보, 디바이스 유형 및 수집 데이터 등록 시간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2300)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2300)는 환경 지도, 상기 환경 지도상에 중첩하여 표시될 수 있는 복수의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들을 데이터 베이스(예컨대 제3 메모리)에 저장하고, 관리 가능한 측정기, 사용자 단말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환경 지도 내 단위 지역 별로 매칭시키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되는 요청에 응답하여, 일자별, 지역별, 및 장치별 환경 오염 정보들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환경 오염 이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데이터 베이스(2700)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은 측정기 및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전송된 환경 오염 정보, 환경 지도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데이터 베이스(2700)는 도 18에 기재된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1700)에 대응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00)는 측정기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환경 오염 정보들을 획득하고, 획득된 환경 오염 정보들에 대한 이력 정보 또는 환경 오염 정보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환경 지도 정보들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개시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일 실시 예에 다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개시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사용자 참여 기반 환경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오염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획득되는 환경 오염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로 배포하는 측정기;
    상기 측정기와 연결되고, 상기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를 상기 측정기로부터 획득하며, 상기 환경 오염 정보에 기초하여 환경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측정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측정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환경 오염 정보 및 상기 환경오염 관리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는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제1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기 및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측정기에 대해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상기 환경 오염 정보, 상기 측정기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측정기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기와 연결된 소정의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사용자 단말에 기 설정된 주기로 측정 정보를 배포하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는
    복수의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설치되는 복수의 측정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정기들은, 상기 복수의 대상 모니터링 공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고정형 타입 또는 이동형 타입의 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타입의 측정기는
    상기 이동형 타입의 측정기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독립 전원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제2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기에 대한 연결을 위한 연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연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상기 측정기의 식별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연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환경 오염 정보의 전송 주기를 미리 결정하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기로부터 획득되는 환경 오염 정보, 상기 환경 오염 정보, 상기 측정기의 위치 정보, 상기 측정기의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환경 지도를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환경 지도상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측정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기의 위치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측정기들에 의해 측정된, 복수의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들을 상기 환경 지도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는
    상기 환경 지도 상에, 상기 복수의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마커를 표시하고,
    상기 환경 오염 정보 내 소정의 환경 오염 파라미터들의 오염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된 마커색을 서로 다르게 표시하며,
    상기 서로 다르게 표시된 마커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마커에 대응되는 대상 모니터링 공간의 세부 환경 오염 정보 및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측정 시간 정보를 상기 환경 지도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대상 모니터링 공간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모니터링 공간 별 환경 오염 정보를 리스트 또는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각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는
    상기 환경 지도상 일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환경 지도를 확대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환경 지도를 축소하여 표시하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제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제3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환경 오염 정보, 상기 측정기의 위치 정보, 상기 측정기의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집 데이터를, 식별자, 측정기 시리얼 정보, 디바이스 유형 및 수집 데이터 등록 시간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상기 제3 메모리에 저장하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프로세서는
    상기 환경 지도, 상기 환경 지도상에 중첩하여 표시될 수 있는 복수의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들을 상기 제3 메모리에 저장하고,
    관리 가능한 측정기, 사용자 단말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환경 지도 내 단위 지역 별로 매칭시키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되는 요청에 응답하여, 일자별, 지역별, 및 장치별 환경 오염 정보들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환경 오염 이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
  14.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참여 기반 환경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 및 소정의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기를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측정기 또는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하여 상기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지도 상에, 상기 환경 오염 정보,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측정기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환경 지도 상에 매칭된 상기 환경 오염 정보,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측정기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일자별, 지역별 및 장치별로 관리함으로써 환경 오염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환경 오염 이력 정보에 대한 요청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환경 오염 이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5. 환경 오염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참여 기반 환경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 및 소정의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기를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측정기 또는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하여 상기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오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환경 지도 상에, 상기 환경 오염 정보,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측정기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환경 지도 상에 매칭된 상기 환경 오염 정보,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측정기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일자별, 지역별 및 장치별로 관리함으로써 환경 오염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환경 오염 이력 정보에 대한 요청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환경 오염 이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210154241A 2021-11-10 2021-11-10 사용자 참여 기반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30068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241A KR20230068182A (ko) 2021-11-10 2021-11-10 사용자 참여 기반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241A KR20230068182A (ko) 2021-11-10 2021-11-10 사용자 참여 기반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182A true KR20230068182A (ko) 2023-05-17

Family

ID=8654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241A KR20230068182A (ko) 2021-11-10 2021-11-10 사용자 참여 기반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818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250B1 (ko) 2019-05-24 2021-02-16 (주)엠텍정보 대기환경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기환경 데이터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250B1 (ko) 2019-05-24 2021-02-16 (주)엠텍정보 대기환경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기환경 데이터 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3904B2 (en) Automated combined display of measurement data
ES2762204T3 (es) Coincidencia de calendario de contextos inferidos y propagación de etiquetas
US10514686B2 (en) Operation support system, operation support device, and operation support method
US89637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instrumentation
Fan et al. SmarTrAC: A smartphone solution for context-aware travel and activity capturing
KR20100002756A (ko) 매트릭스 블로깅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3153890A1 (ja) デバイス管理装置及びデバイス検索方法
JP2017004279A (ja) 情報収集システム、情報収集端末装置、情報収集サーバ装置、及び情報収集方法
US20200110935A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to map and visualize sensor data
US20190050092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system
CN109060034A (zh) 一种环境监测物联网系统
US20130339489A1 (en) Mobile computing application for roadway pavement data
JP2013061895A (ja) 制御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30068182A (ko) 사용자 참여 기반 환경 오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0967036B (zh) 导航产品的测试方法和设备
JP6508323B2 (ja) 情報収集システム、情報収集端末装置、情報収集サーバ装置、及び情報収集方法
CN116342342A (zh) 学生行为检测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2016035679A (ja) Poiデータ生成装置、端末装置、poi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078353A (ko) 여행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Manvell et al. Many Apps Make Sound Work (Some Don't)
WO2013091656A1 (en) Dynamic data collection system
Orhan A multimodal sensor analysis framework for vehicular mobile applications